KR20230017467A - 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 - Google Patents

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7467A
KR20230017467A KR1020210098977A KR20210098977A KR20230017467A KR 20230017467 A KR20230017467 A KR 20230017467A KR 1020210098977 A KR1020210098977 A KR 1020210098977A KR 20210098977 A KR20210098977 A KR 20210098977A KR 20230017467 A KR20230017467 A KR 20230017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lock unit
joint
storage tank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4552B1 (ko
Inventor
최희용
신동석
변춘섭
이태규
김원창
박민한
서유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Priority to KR1020210098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552B1/ko
Publication of KR20230017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빗물을 저류하고 시간차를 두어 빗물을 지중에 침투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와 용량의 저류공간이 형성되도록 조립하는 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사각틀을 이루는 둘레벽; 상기 둘레벽 내부를 구획하도록 十자로 형성된 격벽; 및 상기 둘레벽 모서리부에서 각 변이 연장되어, 상기 모서리부와 맞꼭지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이음벽;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음벽의 각 단부에는 종방향의 요부(凹部, 131)와 철부(凸部, 132)가 교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블록유닛 다수개가 수평 4방으로 연속 배치된 지중(地中) 구조물로서, 인접하는 블록유닛 이음벽의 요부와 철부가 맞물려 조합되고, 단일 블록유닛의 둘레벽과 격벽에 의해 구획, 형성된 제1저류공간; 인접하는 2개 블록유닛의 대향 둘레벽과, 요부와 철부가 맞물린 대향 이음벽에 의해 구획, 형성된 제2저류공간(220); 및 모서리부(111) 외측 지점을 공유하는 4개 블록유닛(100)의 요부(131)와 철부(132)가 맞물린 이음벽(130)에 의해 구획, 형성된 제3저류공간(23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200)」를 함께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Block unit and prefabricated rainwater penetration storage tan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중에 빗물을 저류하고 시간차를 두어 빗물을 지중에 침투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와 용량의 저류공간이 형성되도록 조립하는 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개발에 다른 불투수층 면적의 증가로 인해 빗물의 지반 침투량이 감소하여 지하수위가 저하되고 하천으로 직접 유출되는 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도심지의 빗물 및 하수 배수시설 발달로 인해 표면 유출이 증가하고 대규모 하수종말처리장 건설 등으로 하천의 기저유량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결국 도시화 및 산업화로 수질오염 등이 가속화되고 용수부족 및 열섬현상과 같은 환경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빗물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 제10-0938223호(발명의 명칭: 조립식 우수저류조, 이하 '종래기술 1'), 특허 제10-1141308호(발명의 명칭: 우수 침투 및 저류 시스템, 이하 '종래기술 2') 등과 같이 지중(地中)에 빗물 저장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위의 종래기술 1,2는 전체 저류조를 조립식 부재로 나누어 간편히 조립하기 위한 것이지만, 구조가 복잡하여 미숙련공은 조립이 어렵고 투수성 소재가 아니므로 지속적인 우수의 침투량을 확보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2013.8.3.자로 개정된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 관한 규칙」(국토교통부)에서는 '불투수 포장으로 인하여 다량의 빗물이 유출되는 도로·주차장 등은 빗물이 스며드는 구조로 하거나 빗물관리시설을 설치'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빗물이 지중으로 스며드는 구조를 확보하되 각각의 유닛이 간단한 구조의 단위부재로 기성제작되어 미숙련공도 소정의 품질로 시공할 수 있고, 설치 및 해체가 자유로운 공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허 제10-1560719호(발명의 명칭: 조립식 침투저류조 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이하 '종래기술 3'), 특허 제10-1896264호(발명의 명칭: 전처리 일체형 조립식 빗물 침투-저류 시설, 이하 '종래기술 4') 등은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투수성 소재로 제작된 블록유닛을 조립하여 빗물 침투저류조를 구성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미숙련공도 단순 적층 공정의 반복으로 소정의 품질로 시공할 수 있고, 설치 및 해체가 자유로운 조립식 침투저류조를 제공한다.
상기 종래기술 3, 4의 적용 지역이 확대됨에 따라 다양한 지반 상태 및 수요에 대응하여 보다 자유로운 저류 공간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유형의 블록유닛과 조립구조가 요구되어 왔다.
1. 특허 제10-0938223호 "조립식 우수저류조" 2. 특허 제10-1141308호 "우수 침투 및 저류 시스템" 3. 특허 제10-1560719호 "조립식 침투저류조 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4. 특허 제10-1896264호 "전처리 일체형 조립식 빗물 침투-저류 시설"
본 발명은 수평 방향 결합 및 수직 방향 적층에 의해 다양한 형태와 용량의 빗물 침투 저류조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사각틀을 이루는 둘레벽(110); 상기 둘레벽(110) 내부를 구획하도록 十자로 형성된 격벽(120); 및 상기 둘레벽(110) 모서리부(111)에서 각 변이 연장되어, 상기 모서리부(111)와 맞꼭지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이음벽(13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음벽(130)의 각 단부에는 종방향의 요부(凹部, 131)와 철부(凸部, 132)가 교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유닛(100)」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블록유닛(100) 다수개가 수평 4방으로 연속 배치된 지중(地中) 구조물로서, 인접하는 블록유닛 이음벽(130)의 요부(131)와 철부(132)가 맞물려 조합되고, 단일 블록유닛(100)의 둘레벽(110)과 격벽(120)에 의해 구획, 형성된 제1저류공간(210); 인접하는 2개 블록유닛(100)의 대향 둘레벽(110)과, 요부(131)와 철부(132)가 맞물린 대향 이음벽(130)에 의해 구획, 형성된 제2저류공간(220); 및 모서리부(111) 외측 지점을 공유하는 4개 블록유닛(100)의 요부(131)와 철부(132)가 맞물린 이음벽(130)에 의해 구획, 형성된 제3저류공간(23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200)」를 함께 제공한다.
상기 블록유닛(100) 다수개의 연속 배치에 의해 전체적으로 방형(方形) 구조물이 구축되되, 상기 방형 구조물의 외곽 라인을 이루는 블록유닛(100a, 100b)의 둘레벽에는 상기 이음벽(130)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블록유닛(100)은 상기 둘레벽(110) 상단 외연에서부터 상기 격벽(120)의 교차지점(121) 전까지 벽체 높이가 낮은 레벨다운부(1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블록유닛(100)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상기 레벨다운부(122)가 통수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1. 각 블록유닛이 단위부재로 기성제작되어, 미숙련공도 블록 쌓기 방식으로 빗물 침투 저류조의 축조 및 해체 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2. 블록유닛의 둘레벽, 격벽 및 이음벽의 조합에 의해 블록유닛의 안·밖 영역에 여러 유형의 저류공간이 형성되고, 블록유닛 배치 설계에 의해 다수개의 저류 공간의 구성과 용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3. 블록유닛의 레벨다운부 형성 여부에 따라 용도에 맞추어 저류조 내 빗물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블록유닛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각틀을 이루는 둘레벽(110); 상기 둘레벽(110) 내부를 구획하도록 十자로 형성된 격벽(120); 및 상기 둘레벽(110) 모서리부(111)에서 각 변이 연장되어, 상기 모서리부(111)와 맞꼭지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이음벽(13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음벽(130)의 각 단부에는 종방향의 요부(凹部, 131)와 철부(凸部, 132)가 교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유닛(100)을 제공한다.
상기 둘레벽(110) 상단 외연에서부터 상기 격벽(120)의 교차지점(121) 전까지는 벽체 높이가 낮은 레벨다운부(122)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레벨다운부(122) 빗물이 전후좌우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블록유닛(100)은 모든 구성요소가 일체(一體)를 이루는 단일부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개를 수평 배치하거나 적층시켜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200)의 빗물 저장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블록유닛(100)은 콘크리트 블록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황토 등의 친환경 소재가 포함된 조성물로 제조하거나, 다공성 소재(투수성 소재)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200)는 지중(地中)에 구축되는 구조물로서, 상기 블록유닛(100) 다수개를 수평 4방으로 연속 배치하되, 인접하는 블록유닛 이음벽(130)의 요부(131)와 철부(132)가 맞물려 조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구축된다.
상기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200)는 상기 이음벽(130)의 요·철부(131, 132) 맞물림 조합에 의해 아래와 같이 블록유닛(100) 안·밖 영역에 다양한 저류공간이 형성된다([도 1] 및 [도 4] 참조)
- 제1저류공간(210) : 블록유닛(100) 내부 영역에 형성된 저류공간으로서, 단일 블록유닛(100)의 둘레벽(110)과 격벽(120)에 의해 구획, 형성된다.
- 제2저류공간(220) : 블록유닛(100)의 사이 사이에 형성되는 저류공간으로서, 인접하는 2개 블록유닛(100)의 대향 둘레벽(110)과, 요부(131)와 철부(132)가 맞물린 대향 이음벽(130)에 의해 구획, 형성된다.
- 제3저류공간 : 블록유닛(100) 4개의 모서리부가 모이는 지점에 형성되는 저류공간으로서, 모서리부(111) 외측 지점을 공유하는 4개 블록유닛(100)의 요부(131)와 철부(132)가 맞물린 이음벽(130)에 의해 구획, 형성된다.
- 제4저류공간 :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200) 내부 영역에 비워진 공간으로서, 다수개의 블록유닛(100) 둘레벽(110)에 둘러 싸이는 형태로 형성되며, 공간 형태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위와 같은 블록유닛(100, 100a, 100b)은 복수개를 수직 방향으로 적층 조립할 수도 있으며, 지반 상태와 형태에 따라 블록유닛 배치 설계에 의해 저류공간의 구성과 용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구성된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200)는 블록유닛별 해체도 간편하여, 블록유닛 개별 단위의 보수, 청소, 교체 작업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200)는 구조물의 외곽 라인을 이루는 블록유닛(100a, 100b)의 둘레벽에는 상기 이음벽(130)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배치할 수 있다. 즉, 타 블록유닛과 조합되지 않는 둘레벽(110)에는 이음벽(130)이 형성되지 않은 블록유닛(100a, 100b)을 적용할 수 있다.
구조물의 모서리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교하는 2변의 둘레벽(110)에 이음벽(130)이 형성되지 않은 블록유닛(100a)을 배치하고, 구조물의 변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변의 둘레벽(110)에 이음벽(130)이 형성되지 않은 블록유닛(100b)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이음벽(130)이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200)의 지중(地中) 구축 작업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유닛(100)은 상기 둘레벽(110) 상단 외연에서부터 상기 격벽(120)의 교차지점(121) 전까지 벽체 높이가 낮은 레벨다운부(1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블록유닛(100)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상기 레벨다운부(122)가 통수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블록유닛(100)에 상기 레벨다운부(122)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저류공간(210, 220, 230)은 각각 분절되어 유입된 빗물이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저장된 상태에서 각 저류공간의 하부 지반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빗물 침투가 이루어진다.
반면, 상기 블록유닛(100)에 상기 레벨다운부(122)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저류공간(210, 220, 230) 중 일부 구간에 유입된 빗물이 상기 레벨다운부(122) 높이 이상으로 차오르면, 빗물은 상기 레벨다운부(122)를 거쳐 인접한 타 저류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벨다운부(122) 형성 여부에 따라 각 저류공간별로 용도에 맞추어 저류조 내 빗물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0, 100a, 100b : 블록유닛
110 : 둘레벽 111 : 모서리부
120 : 격벽 121 : 교차지점
122 : 레벨다운부 130 : 이음벽
131 : 요부 132 : 철부
200 :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
210 : 제1저류공간 220 : 제2저류공간
230 : 제3저류공간 240 : 제4저류공간

Claims (4)

  1. 사각틀을 이루는 둘레벽(110);
    상기 둘레벽(110) 내부를 구획하도록 十자로 형성된 격벽(120); 및
    상기 둘레벽(110) 모서리부(111)에서 각 변이 연장되어, 상기 모서리부(111)와 맞꼭지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이음벽(13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음벽(130)의 각 단부에는 종방향의 요부(凹部, 131)와 철부(凸部, 132)가 교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유닛(100).
  2. 제1항의 블록유닛(100) 다수개가 수평 4방으로 연속 배치된 지중(地中) 구조물로서,
    인접하는 블록유닛 이음벽(130)의 요부(131)와 철부(132)가 맞물려 조합되고,
    단일 블록유닛(100)의 둘레벽(110)과 격벽(120)에 의해 구획, 형성된 제1저류공간(210);
    인접하는 2개 블록유닛(100)의 대향 둘레벽(110)과, 요부(131)와 철부(132)가 맞물린 대향 이음벽(130)에 의해 구획, 형성된 제2저류공간(220); 및
    모서리부(111) 외측 지점을 공유하는 4개 블록유닛(100)의 요부(131)와 철부(132)가 맞물린 이음벽(130)에 의해 구획, 형성된 제3저류공간(23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200).
  3. 제2항에서,
    구조물의 외곽 라인에 배치된 블록유닛(100a, 100b)의 둘레벽에는 상기 이음벽(130)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200).
  4.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블록유닛(100)은 상기 둘레벽(110) 상단 외연에서부터 상기 격벽(120)의 교차지점(121) 전까지 벽체 높이가 낮은 레벨다운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블록유닛(100)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상기 레벨다운부(122)가 통수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200).
KR1020210098977A 2021-07-28 2021-07-28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 KR102644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977A KR102644552B1 (ko) 2021-07-28 2021-07-28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977A KR102644552B1 (ko) 2021-07-28 2021-07-28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467A true KR20230017467A (ko) 2023-02-06
KR102644552B1 KR102644552B1 (ko) 2024-03-07

Family

ID=8522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977A KR102644552B1 (ko) 2021-07-28 2021-07-28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55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425B1 (ko) * 2001-11-19 2005-10-12 주식회사 테포시티 호안블록
KR100938223B1 (ko) 2009-07-20 2010-01-22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조립식 우수저류조
KR20120033948A (ko) * 2010-09-30 2012-04-09 유니손 코포레이션 이음매 형성용의 돌기가 부가된 블록
KR101141308B1 (ko) 2011-06-30 2012-07-11 이상우 우수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20150046558A (ko) * 2013-10-22 2015-04-30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조립식 침투저류조 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KR101896264B1 (ko) 2016-08-11 2018-09-07 최희용 전처리 일체형 조립식 빗물 침투-저류 시설
KR102014747B1 (ko) * 2018-12-10 2019-08-27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조립식 쉘터 유닛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쉘터 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425B1 (ko) * 2001-11-19 2005-10-12 주식회사 테포시티 호안블록
KR100938223B1 (ko) 2009-07-20 2010-01-22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조립식 우수저류조
KR20120033948A (ko) * 2010-09-30 2012-04-09 유니손 코포레이션 이음매 형성용의 돌기가 부가된 블록
KR101141308B1 (ko) 2011-06-30 2012-07-11 이상우 우수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20150046558A (ko) * 2013-10-22 2015-04-30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조립식 침투저류조 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KR101560719B1 (ko) 2013-10-22 2015-10-16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조립식 침투저류조 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KR101896264B1 (ko) 2016-08-11 2018-09-07 최희용 전처리 일체형 조립식 빗물 침투-저류 시설
KR102014747B1 (ko) * 2018-12-10 2019-08-27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조립식 쉘터 유닛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쉘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552B1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6580B2 (en) Honeycomb module and underground storage system
US10774516B2 (en) Modular tessellation assembly for storage of water underground
US11149427B2 (en) Tessellation square module and underground storage system
US20030188505A1 (en) Structural module
US6736569B2 (en) Structural modular interconnectable subsoil drainage cell
US11220815B2 (en) Underground storage system with V shaped support legs
KR101896264B1 (ko) 전처리 일체형 조립식 빗물 침투-저류 시설
KR20150046558A (ko) 조립식 침투저류조 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FI104439B (fi) Vesisäiliökonstruktio
CN105735088A (zh) 一种行道砖及人行道
KR101321992B1 (ko) 블록식 우수 저류조
KR101564767B1 (ko) 비점오염원 저감형 조립식 저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저감기능을 갖는 저류조 시공 방법
KR20230017467A (ko) 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
US11952767B2 (en) Underground storage system with V shaped support legs
KR20230017468A (ko) 사방결합형 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빗물 침투 저류조
CN211947947U (zh) 一种桥梁防撞栏预制花槽
KR101224380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
CN102561452A (zh) 一种雨水利用生态池
EP4004301A1 (en) Modular rain garden system
JP2004285754A (ja) 雨水貯水槽及び雨水貯水槽を形成するための支持構造体。
JP2011144579A (ja) 蓋部材、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地下貯水施設
KR20220149076A (ko) 빗물 저류-배수용 편형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호우 방재형 다단 빗물 침투 측구 구조물
KR101847553B1 (ko) 조립식 침투저류조
JP2011202468A (ja) 雨水流出抑制施設
KR20220149073A (ko) 편형 트랜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단 트랜치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