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695A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695A
KR20230016695A KR1020230006271A KR20230006271A KR20230016695A KR 20230016695 A KR20230016695 A KR 20230016695A KR 1020230006271 A KR1020230006271 A KR 1020230006271A KR 20230006271 A KR20230006271 A KR 20230006271A KR 20230016695 A KR20230016695 A KR 20230016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blade
cleaner
brush body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6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155B1 (ko
Inventor
김병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06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155B1/ko
Publication of KR20230016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6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removing nail dust, hai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26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condition of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89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systems, e.g. for prevention of motor over-heating or for protection of the user
    • B08B1/002
    • B08B1/00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5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involving cleaning of the clean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청소 효율을 향상시킨 청소기를 제공한다.
청소기는 피청소물을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흡입구를 가지는 본체, 및 흡입구와 연통되는 브러시챔버 및 브러시챔버의 내부에 수용되는 브러시를 가지는 흡입장치를 포함하고, 브러시는 브러시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바디, 브러시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블레이드, 및 브러시챔버로 유입된 이물질이 블레이드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브러시바디의 중앙부로부터 브러시바디의 양 측 단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방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소기{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 효율을 향상시킨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실내의 피청소물을 제거하여 실내를 청결하게 하는 기구로서, 가정에서는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가 많이 사용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는 송풍장치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빨아들인 후 흡입된 공기 중의 피청소물을 필터 등과 같은 장치로 분리해냄으로써 실내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가전기기이다.
진공청소기는 핸들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진공청소기를 직접 이동시키며 바닥의 피청소물이 흡입되도록 함으로써 청소를 수행하는 일반 진공청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을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피청소물을 흡입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청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로봇청소기는 각종 센서 등을 통해 청소 영역 내에 설치된 가구, 사무용품 또는 벽과 같은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장애물과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행하면서 청소 영역을 청소하게 된다.
진공청소기는 송풍장치의 흡입력이 작용하는 흡입구에 배치되는 브러시를 포함하여, 회전하는 브러시에 의해 바닥의 피청소물이 상 측으로 쓸어 올려지도록 함으로써, 바닥의 피청소물이 보다 용이하게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브러시는 회전하며 동작하고, 진공청소기의 청소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브러시의 회전 속도와 마찰을 증가시켜야 하는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브러시에는 머리카락, 동물의 털, 실 등의 피청소물과 전선, 의류 또는 카펫의 러그 등의 이물질이 쉽게 감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피청소물 또는 이물질이 브러시에 감기는 경우, 브러시는 피청소물 또는 이물질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어 구동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청소 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소 성능이 향상된 청소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이 브러시챔버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개선된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브러시에 피청소물 또는 이물질이 감겨 청소기의 청소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브러시에 감긴 피청소물을 브러시로부터 이탈시키도록 개선된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는 피청소물을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흡입구를 가지는 본체, 및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브러시챔버 및 상기 브러시챔버의 내부에 수용되는 브러시를 가지는 흡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는 상기 브러시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바디, 상기 브러시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브러시챔버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블레이드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브러시바디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브러시바디의 양 측 단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지부재는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브러시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방지부재는 상기 브러시바디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브러시바디의 길이 방향 양 측을 향해 상기 브러시바디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지부재가 상기 브러시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브러시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방지부재는 상기 브러시바디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복수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방지부재는 상기 방지부재의 양 측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와 각각 동일한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방지부재의 재질은 상기 블레이드의 재질보다 단단할 수 있다.
상기 방재부재는 상기 브러시바디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장치는 상기 흡입구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브러시챔버의 하부를 커버하는 브러시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베이스는 이물질이 상기 브러시챔버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경사부를 가지는 차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는 복수로 서로 이격되고, 서로 인접한 상기 복수의 차단부재의 경사부는 같은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상기 복수의 차단부재의 경사부는 상기 브러시베이스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흡입장치는 상기 블레이드에 감긴 피청소물을 상기 블레이드와 접촉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상기 브러시챔버에 배치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흡입구와 인접하게 상기 흡입구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브러시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브러시바디의 회전축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기는 피청소물을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흡입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브러시챔버, 상기 브러시챔버의 내부에 수용되는 브러시, 및 상기 흡입구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브러시챔버의 하부를 커버하는 브러시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베이스는 이물질이 상기 브러시챔버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차단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에 감긴 피청소물을 상기 브러시와 접촉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브러시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상기 브러시챔버에 배치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흡입구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브러시바디의 회전축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청소기는 피청소물을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흡입구를 가지는 본체, 및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브러시챔버, 상기 브러시챔버의 내부에 수용되는 브러시, 및 상기 브러시챔버의 하부를 커버하는 브러시베이스를 가지는 흡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장치는 이물질이 상기 브러시챔버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브러시베이스에 마련되는 경사부를 가지는 차단부재, 상기 브러시챔버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브러시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브러시에 경사지게 마련되는 방지부재, 및 상기 브러시에 감긴 피청소물을 상기 브러시와 접촉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브러시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상기 브러시챔버에 배치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는 상기 브러시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방지부재는 상기 브러시바디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브러시바디의 양 측 단부를 향해 경사지고 상기 브러시바디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소기의 청소 성능이 이물질에 의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물질이 브러시챔버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청소기의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브러시에 피청소물 또는 이물질이 감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청소기의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브러시에 감긴 피청소물을 마찰력에 의해 브러시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청소기의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브러시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브러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브러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마찰부재가 브러시챔버에 배치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장치의 내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로봇청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캐니스터 형, 업라이트 형 또는 스틱 형 청소기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및 본체(10)가 청소 영역을 주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휠(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청소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본체(10)는 사각 형상 또는 원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청소기(1)는 벽과 벽을 연결하는 모서리 영역까지 청소가 가능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본체(1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회전 반경이 일정하여 주변 장애물과의 접촉을 피할 수 있고, 방향 전환을 매우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주행 중 주변 장애물에 걸려서 본체(10)가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본체(10)는 그 전면이 사각형이고, 후면은 원형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본체(10)는 흡입구(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10)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미 도시)가 마련되어, 흡입구(20)를 통해 유입된 공기 및 먼지 등의 피청소물이 집진되는 집진장치(미 도시)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본체(10)는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11) 및 베이스(11)의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휠(13)은 베이스(11)의 좌우 양 측에 각각 대칭되어 설치될 수 있다. 휠(13)은 구동모터(미 도시)에 의해 동력을 제공받아 본체(10)가 청소 영역을 주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제어부(14)가 마련되어, 청소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휠(13)을 제어하여 청소기(1)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청소기(1)에는 주행 중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범퍼(15)가 마련될 수 있다. 범퍼(15)는 청소기(1)의 전방 또는 후방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범퍼(15)는 청소기(1)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청소기(1)는 센서(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미 도시)는 장애물 또는 벽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센서(미 도시)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센서(미 도시)는 적외선 또는 초음파 또는 접촉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미 도시)는 본체(10)의 전면 또는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디스플레이장치(미 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장치(미 도시)는 사용자에게 청소기(1)의 상태 또는 동작에 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커버(12)의 상면에는 입력부(미 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미 도시)는 사용자가 청소기(1)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미 도시)는 사용자가 가압하여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일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입력부(미 도시)를 터치함에 따라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미 도시) 대신 리모컨을 이용하여 청소기(1)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청소기(1)는 외관의 전면을 형성하는 흡입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흡입장치(100)와 본체(10)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흡입장치(100)와 본체(10)는 별개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흡입장치(100)는 흡입력을 통해 공기와 함께 바닥의 피청소물이 흡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피청소물이란 먼지, 머리카락, 동물의 털 또는 실 등으로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고, 청소기(1)를 통해 제거할 목표인 대상을 의미할 수 있다.
흡입장치(100)는 본체(10)의 전방에 형성되는 흡입구(20)와 연통될 수 있다. 흡입장치(100)는 그 저면에 공기와 먼지 등의 피청소물이 흡입되기 위한 유입구(101)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01)는 흡입구(20)와 연통될 수 있다. 유입구(101)와 흡입구(20)는 연통되어 흡입유로(30)를 형성할 수 있다.
유입구(10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피청소물은 흡입구(20)를 통해 본체(10)의 집진장치(미 도시)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구(101)는 대략 장방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흡입장치(100)에는 바닥의 피청소물을 쓸어 올릴 수 있도록 마련된 브러시(120)가 설치될 수 있다. 흡입장치(100)는 브러시(120)가 설치되도록 브러시(12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브러시챔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12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브러시챔버(110)는 브러시(1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120)는 브러시챔버(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브러시챔버(110)는 흡입구(20)와 연통될 수 있다. 브러시(120)는 브러시챔버(11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챔버(110)는 브러시(120)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수용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11)는 브러시(120)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수용부(111)의 직경은 브러시(120)의 직경보다 크거나 브러시(120)의 직경과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흡입장치(100)는 브러시챔버(1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브러시챔버(110)를 커버하는 브러시베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120)는 회전하며 동작하고, 청소기(1)의 청소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브러시(120)의 회전 속도와 마찰을 증가시켜야 하는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머리카락, 동물의 털, 실 등이 피청소물 또는 전선, 의류 또는 카펫의 러그 등의 이물질이 브러시(120)에 쉽게 감길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이란 피청소물과 달리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것으로 청소기(1)를 통해 제거할 목표가 아닌 대상을 의미할 수 있다.
피청소물 또는 이물질이 브러시(120)에 감기는 경우, 브러시모터(미 도시)에는 과전류가 흐르게 될 수 있고, 브러시모터(미 도시)의 온도 상승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시(120)는 피청소물 또는 이물질에 의해 구속되어 구동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이에 의해 청소기(1)의 청소 기능이 완전히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의 흡입장치(100)는 기구적인 구성 또는 전자적인 제어를 통해 브러시(120)의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청소기(1)의 청소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흡입장치(100)의 기구적인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브러시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베이스(130)는 베이스프레임(130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30a)은 브러시(120, 도 3 참조)가 바닥과 접촉할 수 있도록 브러시(120)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120)는 베이스프레임(130a)의 공간부(130b)를 통하여 바닥과 접촉하여 바닥에 있는 피청소물을 감아 당길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30a)은 대략 직사각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브러시베이스(130)는 베이스프레임(130a)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공간부(130b)를 구획하는 연결부(130c)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30c)에 의해 브러시베이스(130)는 대략 격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와 같은 청소기(1)의 특성상 베이스프레임(130a)의 두께는 제한이 될 수 있으므로, 연결부(130c)는 브러시베이스(130)를 사출 성형할 때 브러시베이스(13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30c)에 의해 전선 등의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이물질이 브러시챔버(1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브러시(130)에는 흡입유로(30)를 형성하도록 차단부재(131)가 마련될 수 있다. 차단부재(131)는 베이스브러시(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재(131)는 베이스프레임(130a)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재(131)는 유입구(10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재(131)는 흡입구(20)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차단부재(131)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재(131)는 경사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재(131)는 경사부(132)를 포함함으로써, 흡입구(20)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흡입유로(3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1)의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사부(132)는 이물질이 브러시챔버(110, 도 3 참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차단부재(131)의 경사부(132)는 같은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즉, 복수의 차단부재(131)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같은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경사부(132)에 의해 흡입유로(30)는 청소기(1)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향해 직선이 아닌 경사로 형성됨으로써, 전선 등의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이물질이 브러시챔버(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차단부재(131)의 경사부(132)는 브러시베이스(13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의 차단부재(131)는 대략 평행 사변형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단부재(131)는 청소기(1) 전방의 공기 및 피청소물을 흡입구(20) 측으로 안내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이물질이 브러시챔버(1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차단부재(131)의 경사부(132)가 브러시베이스(13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같은 지점에서 이격되는 거리는 바람직하게 약 15 mm 이상일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로 인접한 차단부재(131)의 경사부(132)가 브러시베이스(13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최소 거리는 바람직하게 약 6 mm 이상일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차단부재(131) 및 연결부(130c)에 의해 전선 등의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이물질이 브러시챔버(110)로 유입되는 것을 일차 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브러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브러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120)는 브러시챔버(110, 도 3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바디(121)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바디(121)는 강체로 형성되어 대략 원통형을 가질 수 있고, 브러시챔버(110)에 회전축(12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브러시모터(미 도시)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브러시(120)는 수용부(111, 도 3 참조)에 수용되도록 브러시바디(121)의 양 단부에 결합부(12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121b) 중 하나에는 브러시모터(미 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결합부(121b)에는 베어링(미 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바디(12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브러시바디(121)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바디(121)의 중앙부에는 브러시베이스(130)의 연결부(130c, 도 4 참조)가 위치되기 위한 홈부(121c)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홈부(121c)와 연결부(130c) 사이에는 갭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홈부(121c)와 연결부(130c) 사이에 머리카락 등의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피청소물이 걸릴 수 있다.
따라서, 흡입장치(100)는 홈부(121c)의 외주면과 대향 배치되어 홈부(121c)에 걸린 피청소물을 분쇄하는 그라인더(150,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라인더(150)는 연결부(130c)의 상 측에 고정된 상태로 홈부(121c)의 하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라인더(150)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홈부(121c)의 외주면과 대응하도록 중심부가 절개된 굴곡진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주면이 홈부(121c)와 대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라인더(150)는 그 내주면으로부터 홈부(121c)를 향하여 돌출되되, 홈부(121c)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피청소물을 분쇄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시(120)의 회전에 따라 홈부(121c)와 그라인더(15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머리카락 등의 피청소물은 브러시(120)와 함께 회전하면서 그라인더(150)에 걸려 분쇄 또는 잘려진 후, 흡입구(20)에 작용하는 흡입력에 의해 공기와 함께 흡입구(20) 내로 흡입될 수 있다.
브러시(120)는 브러시바디(121)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브러시바디(121)로부터 돌출되는 블레이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로부터 브러시바디(121)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에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1)가 주행하는 동안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와 함께 구동하면서 바닥에 쌓인 먼지 또는 잔해물의 피청소물을 휘저을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의 길이와 대략 유사한 길이만큼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바디(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의 블레이드(122)가 배치될 수 있고, 브러시바디(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블레이드(122)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의 블레이드홈(121d)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일 단부에 마련되는 블레이드결합부(122a)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결합부(122a)가 블레이드홈(121d)에 결합됨에 따라,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블레이드결합부(122a)와 반대되는 타 단부의 일부분이 피청소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피청소면을 타격(beating)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피청소물은 비산되어 흡입구(20)를 통해 청소기(1)의 내부로 유도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블레이드(122)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블레이드(122)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블레이드(122)가 3개로 마련되고, 블레이드(122)의 수에 대응하여 3개의 블레이드홈(121d)이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블레이드(122) 및 블레이드홈(121d)의 개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블레이드(122)에 대응하여 하나의 블레이드홈(121d)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의 측 단에 인접한 부위가 브러시바디(121)의 회전 방향 전방 측에 위치하고, 브러시바디(121)의 중앙부에 인접한 부위가 브러시바디(121)의 회전 방향 후방 측에 위치하도록 나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의 중앙부로부터 브러시바디(121)의 길이 방향 양 측으로 갈수록 브러시바디(121)의 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의 중앙부로부터 브러시바디(121)의 양 측 단부를 향해 경사지고, 브러시바디(121)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브러시바디(121)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시(120)를 브러시(120)의 반경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에 대해 대략 'V'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122)가 브러시바디(121)에 대해 대략 'V'형상으로 배치되는 경우, 집진장치(미 도시)와 연통되는 흡입구(20, 도 3 참조)가 대략 브러시챔버(110, 도 3 참조)의 중앙부에 마련되므로, 브러시바디(121)의 길이 방향 양 측에 존재하는 피청소물을 브러시바디(121)의 중앙부로 안내하여 흡입구(20)로 효율적으로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탄성 재질을 가지는 노즐, 또는 솔로 구성되는 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블레이드(122)가 모 또는 솔로 구성되는 경우, 블레이드(122)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섬유성 먼지 등의 피청소물이 블레이드(122)에 엉키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블레이드(122)가 탄성 재질을 가지는 노즐로 구성되는 경우, 블레이드(122)는 피청소물을 청소기(1)의 내부로 유도하는 블레이드바디(122b)에 형성된 블레이드홀(air current hole, 미 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홀(미 도시)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브러시바디(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홀(미 도시)은 블레이드(122)와 피청소면 사이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블레이드(122)와 피청소면 사이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어,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홀(미 도시)은 블레이드(122)와 피청소면 사이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블레이드(122)와 피청소면 사이의 저항을 감소시켜, 블레이드(12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브러시(120)는 브러시챔버(110)로 유입된 이물질이 블레이드(122)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브러시바디(121)로부터 브러시바디(121)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방지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방지부재(123)는 블레이드(122)와 브러시바디(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방지부재(123)는 브러시바디(121)의 길이와 대략 유사한 길이만큼 마련될 수 있다.
방지부재(123)는 블레이드(122)와 같은 경사로 연장될 수 있고, 블레이드(122)와 이격될 수 있다. 즉, 방지부재(123)가 브러시바디(121)의 중앙부로부터 브러시바디(121)의 길이 방향 양 측을 향해 브러시바디(12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방지부재(123)는 브러시바디(121)의 중앙부로부터 브러시바디(121)의 양 측 단부를 향해 경사지고 브러시바디(121)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될 수 있다.
방지부재(123)는 복수의 블레이드(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지부재(123)가 방지부재(123)의 양 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122)와 이격되는 거리는 각각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지부재(123)의 재질은 블레이드(122)의 재질보다 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질로 구성된 방지부재(123)는 이물질이 블레이드(122)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재부재(123)는 브러시바디(121)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방지부재(123)는 브러시바디(121)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방지부재(123)는 브러시바디(121)와 별개로 구성되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방지부재(123)가 브러시바디(121)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는 블레이드(122)가 브러시바디(121)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블레이드(122)보다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 진 방지부재(123)가 블레이드(122)와 함께 바닥면에 접촉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큰 소음을 유발할 수 있고, 방지부재(123)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5 및 도 6에서는 방지부재(123)가 대략 반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도시되고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브러시챔버(110, 도 3 참조)로 유입된 이물질이 블레이드(122)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방지부재(123)의 형상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방지부재(123)는 브러시바디(12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방지부재(123)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방지부재(123)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및 도 6에는 3개의 블레이드(122) 및 각각의 블레이드(122) 사이에 배치되는 3개의 방지부재(123)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블레이드(122)와 방지부재(123)의 배치 및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블레이드(122)와 방지부재(123)는 브러시바디(121)의 외주 방향을 따라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122)의 개수와 방지부재(123)의 개수가 상이하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방지부재(123)에 의해 브러시챔버(110)로 유입된 이물질이 블레이드(122)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라인더(150)에 의해 홈부(121c)에 감긴 머리카락 등의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피청소물을 분쇄함으로써, 청소기(1)의 청소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마찰부재가 브러시챔버에 배치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장치의 내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장치(100)는 블레이드(122)에 감긴 머리카락 등의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피청소물을 블레이드(122)와 접촉하는 마찰력에 의해 블레이드(122)로부터 이탈시키도록 브러시챔버(110)에 배치되는 마찰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부재(140)는 브러시챔버(110)에 배치되어 블레이드(122)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찰부재(140)는 브러시바디(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블레이드(122)에 감긴 피청소물을 블레이드(122)의 외부로 이탈시킬 수 있다.
마찰부재(140)는 흡입구(20)와 브러시챔버(1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찰부재(140)는 흡입구(2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블레이드(122)로부터 이탈되는 피청소물이 흡입력에 의해서 집진장치(미 도시)로 쉽게 이동될 수 있다.
마찰부재(140)는 흡입구(20)에 인접하게 흡입구(20)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찰부재(140)는 흡입구(20)와 브러시바디(121)의 회전축(121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찰부재(140)는 일정 이상의 마찰력을 가질 수 있다. 마찰부재(140)는 나일론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부재(140)는 패브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마찰부재(140)에 의해 블레이드(122)에 감긴 머리카락 등의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피청소물을 블레이드(122)로부터 이탈시켜 흡입구(20)로 안내함으로써, 청소기(1)의 청소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의 주행과 주행 시 피청소물 또는 이물질에 의한 청소기(1)의 청소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설명하도록 한다.
청소기(1)는 메인터넌스스테이션(미 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청소기(1)는 자율적으로 주행하면서 여러 가지 청소 임무를 수행할 수 있고, 메인터넌스스테이션(미 도시)은 일종의 유지보수 장치로써, 청소기(1)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청소기(1)의 집진장치(미 도시)를 비워 줄 수 있다.
청소기(1)는 청소 주행 시에 먼지 등의 피청소물을 흡입할 수 있고, 메인터넌스스테이션(미 도시)에서 동작 시에 먼지 등의 피청소물을 배출할 수 있다.
청소기(1)는 제어부(14)가 휠(13)을 조종하여 청소 구역을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주행 방식에는 지그재그 주행, 장애물 추종 또는 장애물 회피 등 여러 가지 주행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4)는 센서(미 도시) 등의 신호에 기초하여 적절한 주행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청소기(1)가 청소 주행 중 브러시(120)는 청소기(1)의 하 측에 쌓여 있는 먼지 또는 잔해물 등의 피청소물을 쓸어 낼 수 있다. 집진장치(미 도시)는 브러시(120)가 쓸어 내는 피청소물을 담거나, 브러시(120)에 의해서 비산되는 피청소물을 흡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청소가 완료된 후에는 사용자는 집진장치(미 도시)를 분리하여 집진장치(미 도시)에 저장된 피청소물을 제거할 수 있고, 메인터넌스스테이션(미 도시)에 집진장치(미도시)를 연결하여 자동으로 집진장치(미 도시)에 저장된 피청소물을 제거할 수 있다.
피청소물 중에서 머리카락 등 및 전선 등의 이물질은 브러시(120)에 감길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이를 기구적인 구성 및 전자적인 제어로 방지할 수 있다.
기구적인 구성은 청소기(1)의 청소 주행 시, 일차 적으로 차단부재(131) 및 연결부(130c)에 의해 전선 등의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이물질이 브러시챔버(1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방지부재(123)에 의해 브러시챔버(110)에 유입된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이물질이 블레이드(122)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라인더(150)에 의해 홈부(121c)에 감긴 머리카락 등의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피청소물을 분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찰부재(140)에 의해 홈부(121c)가 아닌 블레이드(122)에 감긴 머리카락 등의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피청소물을 마찰부재(140)의 마찰력을 통해 블레이드(122)로부터 이탈시켜 흡입구(20)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부재(131), 방지부재(123) 및 마찰부재(140)는 기구적으로 청소기(1)의 청소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차단부재(131), 방지부재(123) 및 마찰부재(140)는 기구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고장 발생률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전자적인 제어는 청소기(1)의 청소 주행 시, 제어부(14)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브러시(120)는 청소기(1)의 청소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제어부(13)에 의해 등속 제어될 수 있다.
브러시(120)는 카펫과 같이 매끄럽지 않은 바닥 면을 청소하는 경우 매끄러운 바닥 면을 청소하는 경우에 비해서 회전 속도가 떨어질 수 있는데, 이때 제어부(14)는 전류 등을 더 공급하여 브러시(120)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브러시모터(미 도시)의 과전류 또는 온도 상승 등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 측정에 기초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피드백 함으로써, 청소기(1)가 장애요소로부터 벗어나 청소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 브러시(120)를 역 회전시켜 브러시(120)에 감긴 이물질이 풀리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의 전자적인 제어는 기구적인 구성을 보완할 수 있다.
차단부재(131), 방지부재(123) 및 마찰부재(140)는 청소기(1)의 청소 주행 시, 전방으로부터 피청소물 또는 이물질이 브러시챔버(110)로 유입될 때 피청소물 또는 이물질이 브러시(120)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청소기(1)의 후방으로부터 피청소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는, 제어부(14)를 통해 브러시(120)에 일정시간 동안 동력을 전달하는 브러시모터(미 도시)의 구동을 종료하여 브러시(120)의 회전력을 저감시켜, 브러시(120)에 감긴 피청소물 또는 이물질에 의한 청소기(1)의 청소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로봇청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캐니스터 형, 업라이트 형 또는 스틱 형 청소기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및 본체(10)가 청소 영역을 주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휠(13)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청소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는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본체(10)는 사각 형상 또는 원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청소기(1)는 벽과 벽을 연결하는 모서리 영역까지 청소가 가능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본체(1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회전 반경이 일정하여 주변 장애물과의 접촉을 피할 수 있고, 방향 전환을 매우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주행 중 주변 장애물에 걸려서 본체(10)가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본체(10)는 그 전면이 사각형이고, 후면은 원형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본체(10)는 흡입구(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10)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미 도시)가 마련되어, 흡입구(20)를 통해 유입된 공기 및 먼지 등의 피청소물이 집진되는 집진장치(미 도시)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본체(10)는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11) 및 베이스(11)의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휠(13)은 베이스(11)의 좌우 양 측에 각각 대칭되어 설치될 수 있다. 휠(13)은 구동모터(미 도시)에 의해 동력을 제공받아 본체(10)가 청소 영역을 주행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제어부(14)가 마련되어, 청소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휠(13)을 제어하여 청소기(1)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청소기(1)에는 주행 중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범퍼(15)가 마련될 수 있다. 범퍼(15)는 청소기(1)의 전방 또는 후방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범퍼(15)는 청소기(1)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청소기(1)는 센서(미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미 도시)는 장애물 또는 벽을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센서(미 도시)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센서(미 도시)는 적외선 또는 초음파 또는 접촉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미 도시)는 본체(10)의 전면 또는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디스플레이장치(미 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장치(미 도시)는 사용자에게 청소기(1)의 상태 또는 동작에 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커버(12)의 상면에는 입력부(미 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미 도시)는 사용자가 청소기(1)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미 도시)는 사용자가 가압하여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일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입력부(미 도시)를 터치함에 따라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미 도시) 대신 리모컨을 이용하여 청소기(1)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청소기(1)는 외관의 전면을 형성하는 흡입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흡입장치(100)와 본체(10)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흡입장치(100)와 본체(10)는 별개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흡입장치(100)는 흡입력을 통해 공기와 함께 바닥의 피청소물이 흡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피청소물이란 먼지, 머리카락, 동물의 털 또는 실 등으로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고, 청소기(1)를 통해 제거할 목표인 대상을 의미할 수 있다.
흡입장치(100)는 본체(10)의 전방에 형성되는 흡입구(20)와 연통될 수 있다. 흡입장치(100)는 그 저면에 공기와 먼지 등의 피청소물이 흡입되기 위한 유입구(101)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01)는 흡입구(20)와 연통될 수 있다. 유입구(101)와 흡입구(20)는 연통되어 흡입유로(30)를 형성할 수 있다.
유입구(10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피청소물은 흡입구(20)를 통해 본체(10)의 집진장치(미 도시)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구(101)는 대략 장방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흡입장치(100)에는 바닥의 피청소물을 쓸어 올릴 수 있도록 마련된 브러시(120)가 설치될 수 있다. 흡입장치(100)는 브러시(120)가 설치되도록 브러시(12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브러시챔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12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브러시챔버(110)는 브러시(1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120)는 브러시챔버(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브러시챔버(110)는 흡입구(20)와 연통될 수 있다. 브러시(120)는 브러시챔버(11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챔버(110)는 브러시(120)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수용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11)는 브러시(120)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수용부(111)의 직경은 브러시(120)의 직경보다 크거나 브러시(120)의 직경과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흡입장치(100)는 브러시챔버(1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브러시챔버(110)를 커버하는 브러시베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120)는 회전하며 동작하고, 청소기(1)의 청소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브러시(120)의 회전 속도와 마찰을 증가시켜야 하는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머리카락, 동물의 털, 실 등이 피청소물 또는 전선, 의류 또는 카펫의 러그 등의 이물질이 브러시(120)에 쉽게 감길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이란 피청소물과 달리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것으로 청소기(1)를 통해 제거할 목표가 아닌 대상을 의미할 수 있다.
피청소물 또는 이물질이 브러시(120)에 감기는 경우, 브러시모터(미 도시)에는 과전류가 흐르게 될 수 있고, 브러시모터(미 도시)의 온도 상승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시(120)는 피청소물 또는 이물질에 의해 구속되어 구동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이에 의해 청소기(1)의 청소 기능이 완전히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의 흡입장치(100)는 기구적인 구성 또는 전자적인 제어를 통해 브러시(120)의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청소기(1)의 청소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흡입장치(100)의 기구적인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브러시베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베이스(130)는 베이스프레임(130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30a)은 브러시(120, 도 3 참조)가 바닥과 접촉할 수 있도록 브러시(120)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120)는 베이스프레임(130a)의 공간부(130b)를 통하여 바닥과 접촉하여 바닥에 있는 피청소물을 감아 당길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30a)은 대략 직사각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브러시베이스(130)는 베이스프레임(130a)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공간부(130b)를 구획하는 연결부(130c)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30c)에 의해 브러시베이스(130)는 대략 격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로봇청소기와 같은 청소기(1)의 특성상 베이스프레임(130a)의 두께는 제한이 될 수 있으므로, 연결부(130c)는 브러시베이스(130)를 사출 성형할 때 브러시베이스(13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30c)에 의해 전선 등의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이물질이 브러시챔버(1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브러시(130)에는 흡입유로(30)를 형성하도록 차단부재(131)가 마련될 수 있다. 차단부재(131)는 베이스브러시(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재(131)는 베이스프레임(130a)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재(131)는 유입구(10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재(131)는 흡입구(20)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차단부재(131)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재(131)는 경사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재(131)는 경사부(132)를 포함함으로써, 흡입구(20)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흡입유로(3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1)의 청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사부(132)는 이물질이 브러시챔버(110, 도 3 참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차단부재(131)의 경사부(132)는 같은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즉, 복수의 차단부재(131)는 서로 마주보는 면이 같은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경사부(132)에 의해 흡입유로(30)는 청소기(1)의 전면으로부터 후면을 향해 직선이 아닌 경사로 형성됨으로써, 전선 등의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이물질이 브러시챔버(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차단부재(131)의 경사부(132)는 브러시베이스(13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의 차단부재(131)는 대략 평행 사변형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단부재(131)는 청소기(1) 전방의 공기 및 피청소물을 흡입구(20) 측으로 안내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이물질이 브러시챔버(1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차단부재(131)의 경사부(132)가 브러시베이스(13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같은 지점에서 이격되는 거리는 바람직하게 약 15 mm 이상일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로 인접한 차단부재(131)의 경사부(132)가 브러시베이스(13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최소 거리는 바람직하게 약 6 mm 이상일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차단부재(131) 및 연결부(130c)에 의해 전선 등의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이물질이 브러시챔버(110)로 유입되는 것을 일차 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브러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브러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120)는 브러시챔버(110, 도 3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바디(121)를 포함할 수 있다.
브러시바디(121)는 강체로 형성되어 대략 원통형을 가질 수 있고, 브러시챔버(110)에 회전축(12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브러시모터(미 도시)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브러시(120)는 수용부(111, 도 3 참조)에 수용되도록 브러시바디(121)의 양 단부에 결합부(12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121b) 중 하나에는 브러시모터(미 도시)가 연결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결합부(121b)에는 베어링(미 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바디(12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브러시바디(121)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바디(121)의 중앙부에는 브러시베이스(130)의 연결부(130c, 도 4 참조)가 위치되기 위한 홈부(121c)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홈부(121c)와 연결부(130c) 사이에는 갭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홈부(121c)와 연결부(130c) 사이에 머리카락 등의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피청소물이 걸릴 수 있다.
따라서, 흡입장치(100)는 홈부(121c)의 외주면과 대향 배치되어 홈부(121c)에 걸린 피청소물을 분쇄하는 그라인더(150,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라인더(150)는 연결부(130c)의 상 측에 고정된 상태로 홈부(121c)의 하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라인더(150)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홈부(121c)의 외주면과 대응하도록 중심부가 절개된 굴곡진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주면이 홈부(121c)와 대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라인더(150)는 그 내주면으로부터 홈부(121c)를 향하여 돌출되되, 홈부(121c)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피청소물을 분쇄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시(120)의 회전에 따라 홈부(121c)와 그라인더(15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머리카락 등의 피청소물은 브러시(120)와 함께 회전하면서 그라인더(150)에 걸려 분쇄 또는 잘려진 후, 흡입구(20)에 작용하는 흡입력에 의해 공기와 함께 흡입구(20) 내로 흡입될 수 있다.
브러시(120)는 브러시바디(121)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브러시바디(121)로부터 돌출되는 블레이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로부터 브러시바디(121)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에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1)가 주행하는 동안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와 함께 구동하면서 바닥에 쌓인 먼지 또는 잔해물의 피청소물을 휘저을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의 길이와 대략 유사한 길이만큼 마련될 수 있다. 브러시바디(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의 블레이드(122)가 배치될 수 있고, 브러시바디(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블레이드(122)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의 블레이드홈(121d)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일 단부에 마련되는 블레이드결합부(122a)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결합부(122a)가 블레이드홈(121d)에 결합됨에 따라,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블레이드결합부(122a)와 반대되는 타 단부의 일부분이 피청소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피청소면을 타격(beating)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피청소물은 비산되어 흡입구(20)를 통해 청소기(1)의 내부로 유도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블레이드(122)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블레이드(122)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블레이드(122)가 3개로 마련되고, 블레이드(122)의 수에 대응하여 3개의 블레이드홈(121d)이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블레이드(122) 및 블레이드홈(121d)의 개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블레이드(122)에 대응하여 하나의 블레이드홈(121d)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의 측 단에 인접한 부위가 브러시바디(121)의 회전 방향 전방 측에 위치하고, 브러시바디(121)의 중앙부에 인접한 부위가 브러시바디(121)의 회전 방향 후방 측에 위치하도록 나선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의 중앙부로부터 브러시바디(121)의 길이 방향 양 측으로 갈수록 브러시바디(121)의 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의 중앙부로부터 브러시바디(121)의 양 측 단부를 향해 경사지고, 브러시바디(121)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브러시바디(121)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시(120)를 브러시(120)의 반경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블레이드(122)는 브러시바디(121)에 대해 대략 'V'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122)가 브러시바디(121)에 대해 대략 'V'형상으로 배치되는 경우, 집진장치(미 도시)와 연통되는 흡입구(20, 도 3 참조)가 대략 브러시챔버(110, 도 3 참조)의 중앙부에 마련되므로, 브러시바디(121)의 길이 방향 양 측에 존재하는 피청소물을 브러시바디(121)의 중앙부로 안내하여 흡입구(20)로 효율적으로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블레이드(122)는 탄성 재질을 가지는 노즐, 또는 솔로 구성되는 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블레이드(122)가 모 또는 솔로 구성되는 경우, 블레이드(122)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섬유성 먼지 등의 피청소물이 블레이드(122)에 엉키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블레이드(122)가 탄성 재질을 가지는 노즐로 구성되는 경우, 블레이드(122)는 피청소물을 청소기(1)의 내부로 유도하는 블레이드바디(122b)에 형성된 블레이드홀(air current hole, 미 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홀(미 도시)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브러시바디(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홀(미 도시)은 블레이드(122)와 피청소면 사이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블레이드(122)와 피청소면 사이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어, 청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홀(미 도시)은 블레이드(122)와 피청소면 사이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블레이드(122)와 피청소면 사이의 저항을 감소시켜, 블레이드(12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브러시(120)는 브러시챔버(110)로 유입된 이물질이 블레이드(122)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브러시바디(121)로부터 브러시바디(121)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방지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방지부재(123)는 블레이드(122)와 브러시바디(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방지부재(123)는 브러시바디(121)의 길이와 대략 유사한 길이만큼 마련될 수 있다.
방지부재(123)는 블레이드(122)와 같은 경사로 연장될 수 있고, 블레이드(122)와 이격될 수 있다. 즉, 방지부재(123)가 브러시바디(121)의 중앙부로부터 브러시바디(121)의 길이 방향 양 측을 향해 브러시바디(12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방지부재(123)는 브러시바디(121)의 중앙부로부터 브러시바디(121)의 양 측 단부를 향해 경사지고 브러시바디(121)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될 수 있다.
방지부재(123)는 복수의 블레이드(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지부재(123)가 방지부재(123)의 양 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122)와 이격되는 거리는 각각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지부재(123)의 재질은 블레이드(122)의 재질보다 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질로 구성된 방지부재(123)는 이물질이 블레이드(122)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재부재(123)는 브러시바디(121)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방지부재(123)는 브러시바디(121)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방지부재(123)는 브러시바디(121)와 별개로 구성되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방지부재(123)가 브러시바디(121)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는 블레이드(122)가 브러시바디(121)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블레이드(122)보다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 진 방지부재(123)가 블레이드(122)와 함께 바닥면에 접촉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큰 소음을 유발할 수 있고, 방지부재(123)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5 및 도 6에서는 방지부재(123)가 대략 반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도시되고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브러시챔버(110, 도 3 참조)로 유입된 이물질이 블레이드(122)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방지부재(123)의 형상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방지부재(123)는 브러시바디(12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방지부재(123)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방지부재(123)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및 도 6에는 3개의 블레이드(122) 및 각각의 블레이드(122) 사이에 배치되는 3개의 방지부재(123)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블레이드(122)와 방지부재(123)의 배치 및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블레이드(122)와 방지부재(123)는 브러시바디(121)의 외주 방향을 따라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122)의 개수와 방지부재(123)의 개수가 상이하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방지부재(123)에 의해 브러시챔버(110)로 유입된 이물질이 블레이드(122)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라인더(150)에 의해 홈부(121c)에 감긴 머리카락 등의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피청소물을 분쇄함으로써, 청소기(1)의 청소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마찰부재가 브러시챔버에 배치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에 있어서, 흡입장치의 내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장치(100)는 블레이드(122)에 감긴 머리카락 등의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피청소물을 블레이드(122)와 접촉하는 마찰력에 의해 블레이드(122)로부터 이탈시키도록 브러시챔버(110)에 배치되는 마찰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부재(140)는 브러시챔버(110)에 배치되어 블레이드(122)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찰부재(140)는 브러시바디(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블레이드(122)에 감긴 피청소물을 블레이드(122)의 외부로 이탈시킬 수 있다.
마찰부재(140)는 흡입구(20)와 브러시챔버(1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찰부재(140)는 흡입구(2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블레이드(122)로부터 이탈되는 피청소물이 흡입력에 의해서 집진장치(미 도시)로 쉽게 이동될 수 있다.
마찰부재(140)는 흡입구(20)에 인접하게 흡입구(20)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찰부재(140)는 흡입구(20)와 브러시바디(121)의 회전축(121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찰부재(140)는 일정 이상의 마찰력을 가질 수 있다. 마찰부재(140)는 나일론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부재(140)는 패브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마찰부재(140)에 의해 블레이드(122)에 감긴 머리카락 등의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피청소물을 블레이드(122)로부터 이탈시켜 흡입구(20)로 안내함으로써, 청소기(1)의 청소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의 주행과 주행 시 피청소물 또는 이물질에 의한 청소기(1)의 청소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설명하도록 한다.
청소기(1)는 메인터넌스스테이션(미 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청소기(1)는 자율적으로 주행하면서 여러 가지 청소 임무를 수행할 수 있고, 메인터넌스스테이션(미 도시)은 일종의 유지보수 장치로써, 청소기(1)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청소기(1)의 집진장치(미 도시)를 비워 줄 수 있다.
청소기(1)는 청소 주행 시에 먼지 등의 피청소물을 흡입할 수 있고, 메인터넌스스테이션(미 도시)에서 동작 시에 먼지 등의 피청소물을 배출할 수 있다.
청소기(1)는 제어부(14)가 휠(13)을 조종하여 청소 구역을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주행 방식에는 지그재그 주행, 장애물 추종 또는 장애물 회피 등 여러 가지 주행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4)는 센서(미 도시) 등의 신호에 기초하여 적절한 주행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청소기(1)가 청소 주행 중 브러시(120)는 청소기(1)의 하 측에 쌓여 있는 먼지 또는 잔해물 등의 피청소물을 쓸어 낼 수 있다. 집진장치(미 도시)는 브러시(120)가 쓸어 내는 피청소물을 담거나, 브러시(120)에 의해서 비산되는 피청소물을 흡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청소가 완료된 후에는 사용자는 집진장치(미 도시)를 분리하여 집진장치(미 도시)에 저장된 피청소물을 제거할 수 있고, 메인터넌스스테이션(미 도시)에 집진장치(미도시)를 연결하여 자동으로 집진장치(미 도시)에 저장된 피청소물을 제거할 수 있다.
피청소물 중에서 머리카락 등 및 전선 등의 이물질은 브러시(120)에 감길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는 이를 기구적인 구성 및 전자적인 제어로 방지할 수 있다.
기구적인 구성은 청소기(1)의 청소 주행 시, 일차 적으로 차단부재(131) 및 연결부(130c)에 의해 전선 등의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이물질이 브러시챔버(1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방지부재(123)에 의해 브러시챔버(110)에 유입된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이물질이 블레이드(122)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라인더(150)에 의해 홈부(121c)에 감긴 머리카락 등의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피청소물을 분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찰부재(140)에 의해 홈부(121c)가 아닌 블레이드(122)에 감긴 머리카락 등의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피청소물을 마찰부재(140)의 마찰력을 통해 블레이드(122)로부터 이탈시켜 흡입구(20)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부재(131), 방지부재(123) 및 마찰부재(140)는 기구적으로 청소기(1)의 청소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차단부재(131), 방지부재(123) 및 마찰부재(140)는 기구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고장 발생률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전자적인 제어는 청소기(1)의 청소 주행 시, 제어부(14)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브러시(120)는 청소기(1)의 청소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제어부(13)에 의해 등속 제어될 수 있다.
브러시(120)는 카펫과 같이 매끄럽지 않은 바닥 면을 청소하는 경우 매끄러운 바닥 면을 청소하는 경우에 비해서 회전 속도가 떨어질 수 있는데, 이때 제어부(14)는 전류 등을 더 공급하여 브러시(120)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브러시모터(미 도시)의 과전류 또는 온도 상승 등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 측정에 기초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피드백 함으로써, 청소기(1)가 장애요소로부터 벗어나 청소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전류가 검출되는 경우 브러시(120)를 역 회전시켜 브러시(120)에 감긴 이물질이 풀리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의 전자적인 제어는 기구적인 구성을 보완할 수 있다.
차단부재(131), 방지부재(123) 및 마찰부재(140)는 청소기(1)의 청소 주행 시, 전방으로부터 피청소물 또는 이물질이 브러시챔버(110)로 유입될 때 피청소물 또는 이물질이 브러시(120)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청소기(1)의 후방으로부터 피청소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는, 제어부(14)를 통해 브러시(120)에 일정시간 동안 동력을 전달하는 브러시모터(미 도시)의 구동을 종료하여 브러시(120)의 회전력을 저감시켜, 브러시(120)에 감긴 피청소물 또는 이물질에 의한 청소기(1)의 청소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8)

  1. 피청소물을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흡입구를 가지는 본체; 및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브러시챔버, 상기 브러시챔버를 커버하고 공기를 상기 흡입구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브러시챔버의 하부에 탈착 가능한, 브러시베이스 및 상기 브러시챔버의 내부에 수용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흡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는,
    상기 브러시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바디,
    상기 브러시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브러시챔버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블레이드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브러시바디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브러시바디의 양 측 단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베이스는,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경사부를 가지는 복수의 차단부재;
    베이스프레임;
    상기 브러시가 통과되는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를 구획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바디는,
    상기 연결부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브러시바디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홈부; 및
    상기 홈부와의 사이에 공간으로 흡입된 이물질을 자르도록 상기 홈부와 상기 브러시베이스의 사이에 위치되는 그라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차단부재는 서로 이격되고, 서로 인접한 상기 복수의 차단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경사부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진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재는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브러시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재는 상기 브러시바디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브러시바디의 길이 방향 양 측을 향해 상기 브러시바디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재가 상기 브러시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브러시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보다 작은 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재는 상기 브러시바디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복수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방지부재는 상기 방지부재의 양 측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와 각각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는 청소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재의 재질은 상기 블레이드의 재질보다 단단한 청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재는 상기 브러시바디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구성되는 청소기.
  9.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상기 복수의 차단부재의 경사부는 상기 브러시베이스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청소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장치는 상기 블레이드에 감긴 피청소물을 상기 블레이드와 접촉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상기 브러시챔버에 배치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흡입구와 인접하게 상기 흡입구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청소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브러시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청소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흡입구와 상기 브러시바디의 회전축 사이에 배치되는 청소기.
  14. 피청소물을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흡입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브러시챔버;
    상기 브러시챔버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브러시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바디를 포함하는 브러시; 및
    상기 흡입구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상기 브러시챔버의 하부를 커버하는 브러시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베이스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브러시가 통과되는 공간부;
    상기 공간부를 구획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차단부재는 서로 인접한 상기 복수의 차단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이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바디는,
    상기 연결부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브러시바디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홈부; 및
    상기 홈부와의 사이에 공간으로 흡입된 이물질을 자르도록 상기 홈부와 상기 브러시베이스의 사이에 위치되는 그라인더를 포함하는 청소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에 감긴 피청소물을 상기 브러시와 접촉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브러시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상기 브러시챔버에 배치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흡입구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흡입구와 상기 브러시바디의 회전축 사이에 배치되는 청소기.
  17. 피청소물을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흡입구를 가지는 본체; 및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브러시챔버, 상기 브러시챔버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브러시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바디를 포함하는 브러시, 및 상기 브러시챔버의 하부를 커버하는 브러시베이스를 가지는 흡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장치는,
    이물질이 상기 브러시챔버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브러시베이스에 마련되는 경사부를 가지는 차단부재,
    상기 브러시챔버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브러시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브러시에 경사지게 마련되는 방지부재, 및
    상기 브러시에 감긴 피청소물을 상기 브러시와 접촉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브러시로부터 이탈시키도록 상기 브러시챔버에 배치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베이스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브러시가 통과되는 공간부;
    상기 공간부를 구획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경사부를 가지는 복수의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차단부재는 서로 이격되고, 서로 인접한 상기 복수의 차단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경사부가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기 브러시바디는,
    상기 연결부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브러시바디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홈부; 및
    상기 홈부와의 사이에 공간으로 흡입된 이물질을 자르도록 상기 홈부와 상기 브러시베이스의 사이에 위치되는 그라인더를 포함하는 청소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상기 브러시챔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러시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방지부재는 상기 브러시바디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브러시바디의 양 측 단부를 향해 경사지고 상기 브러시바디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청소기.
KR1020230006271A 2017-11-13 2023-01-16 청소기 KR102620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271A KR102620155B1 (ko) 2017-11-13 2023-01-16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912A KR20190054517A (ko) 2017-11-13 2017-11-13 청소기
KR1020230006271A KR102620155B1 (ko) 2017-11-13 2023-01-16 청소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912A Division KR20190054517A (ko) 2017-11-13 2017-11-13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695A true KR20230016695A (ko) 2023-02-02
KR102620155B1 KR102620155B1 (ko) 2024-01-03

Family

ID=664388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912A KR20190054517A (ko) 2017-11-13 2017-11-13 청소기
KR1020230006271A KR102620155B1 (ko) 2017-11-13 2023-01-16 청소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912A KR20190054517A (ko) 2017-11-13 2017-11-13 청소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17159B2 (ko)
EP (1) EP3689211B1 (ko)
KR (2) KR20190054517A (ko)
CN (1) CN111343892B (ko)
WO (1) WO20190936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0460B (zh) * 2019-08-14 2023-12-22 三星电子株式会社 真空清洁器
KR20220062967A (ko) * 2020-11-09 2022-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USD989426S1 (en) * 2021-01-20 2023-06-13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Robot vacuum cleaner
KR102614197B1 (ko) * 2023-06-20 2023-12-15 권근우 청소 전문가용 스크레이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5309A (ko) * 2011-09-01 2013-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와 그 제어 방법
KR101644887B1 (ko) * 2015-03-24 201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지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KR20170049532A (ko) * 2014-09-08 2017-05-10 악티에볼라겟 엘렉트로룩스 로봇 진공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13403B1 (en) * 1987-10-23 1993-03-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loor nozzle for vacuum cleaner
JPH0588467U (ja) * 1991-08-28 1993-12-03 禅兵 服部 掃除機用吸入ノズルの回転ロータ
JP2693324B2 (ja) 1991-09-30 1997-12-24 三田工業株式会社 自己修復システム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TW410593U (en) 1997-08-29 2000-11-01 Sanyo Electric Co Suction head for electric vacuum cleaner
GB9926008D0 (en) 1999-11-04 2000-01-12 Vax Appliances Ltd Floor sweeping apparatus
US7210197B2 (en) 2003-03-25 2007-05-01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Nozzle assembly with air flow acceleration channels
DE102004017696A1 (de) 2004-04-10 2005-10-27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odenpflegegerät mit einer rotierbaren Bürste
KR20140123110A (ko) * 2007-05-09 2014-10-21 아이로보트 코퍼레이션 소형 자율 커버리지 로봇
CN103549921B (zh) * 2008-03-17 2017-01-11 伊莱克斯家用产品有限公司 具有清洁部件的搅拌器
KR20110125942A (ko) 2010-05-14 2011-11-22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바닥 청소기용 회전브러시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청소기용 베이스 어셈블리
CN102727136A (zh) 2011-04-06 2012-10-1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带螺旋状叶片的滚刷结构
EP2570067A1 (en) 2011-09-01 2013-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nomous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R2999067B1 (fr) 2012-12-12 2015-07-03 Seb Sa Brosse d'aspirateur
US9326654B2 (en) * 2013-03-15 2016-05-03 Irobot Corporation Roller brush for surface cleaning robots
DE102014110025A1 (de) * 2014-07-17 2016-01-21 Miele & Cie. Kg Saugroboter mit rotierender Borstwalze und Reinigungsverfahren für eine Borstwalze eines Saugroboters
CN106659344B (zh) * 2014-09-08 2019-10-25 伊莱克斯公司 机器人真空吸尘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5309A (ko) * 2011-09-01 2013-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와 그 제어 방법
KR20170049532A (ko) * 2014-09-08 2017-05-10 악티에볼라겟 엘렉트로룩스 로봇 진공 청소기
KR101644887B1 (ko) * 2015-03-24 2016-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지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89211A4 (en) 2020-12-23
KR102620155B1 (ko) 2024-01-03
EP3689211A1 (en) 2020-08-05
KR20190054517A (ko) 2019-05-22
US11517159B2 (en) 2022-12-06
EP3689211B1 (en) 2024-06-05
WO2019093655A1 (ko) 2019-05-16
CN111343892A (zh) 2020-06-26
US20200352403A1 (en) 2020-11-12
CN111343892B (zh) 202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0155B1 (ko) 청소기
CN106659345B (zh) 机器人真空吸尘器
CN209826570U (zh) 自主清洁机器人和侧部刷子
EP2941994B1 (en) Vacuum cleaner
RU2644108C2 (ru) Насадка для чистя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JP4838978B2 (ja) 自律的床清掃ロボット
JP5745543B2 (ja) 掃除機ヘッド
KR102451450B1 (ko) 청소기용 드럼 및 이를 갖는 청소기
JP5237410B2 (ja) ロボット掃除機
KR101460534B1 (ko) 로봇 청소기
US8839485B2 (en) Upright vacuum with floating head
JP6031317B2 (ja) 自走式掃除機用の補助ブラシ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
JP6140523B2 (ja) 補助ブラシの取付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走式掃除機
JP7232600B2 (ja) 自走式電気掃除機
US20110265284A1 (en) Method and system of detecting a blockage in a vacuum cleaner
JP2018007909A (ja) 自走式電気掃除機
JP7063534B2 (ja) 自走式電気掃除機
JP2008188320A (ja) 電気掃除機
KR101629300B1 (ko) 진공청소기
JP6553570B2 (ja) 自走式電気掃除機
JP2018057616A (ja) 電気掃除機
GB2619035A (en)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JP2018061537A (ja) 自走式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