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2967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2967A
KR20220062967A KR1020200148762A KR20200148762A KR20220062967A KR 20220062967 A KR20220062967 A KR 20220062967A KR 1020200148762 A KR1020200148762 A KR 1020200148762A KR 20200148762 A KR20200148762 A KR 20200148762A KR 20220062967 A KR20220062967 A KR 20220062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vacuum cleaner
suction
brush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원
이병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8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2967A/ko
Priority to PCT/KR2021/012835 priority patent/WO2022097911A1/ko
Publication of KR20220062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2967A/ko
Priority to US18/312,042 priority patent/US2023027030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3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tract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47L9/0626Rigidly anchored lips, e.g. nozzles adapted for picking up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adjustably mount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Height adjustment of nozzle or dust 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Abstract

흡입력을 생성하는 청소기본체와 상기 흡입력으로 이물을 흡입하도록 개방된 흡입챔버를 가진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가 개시된다.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흡입챔버 내에서 상기 흡입챔버의 외측으로 부분 돌출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브러시드럼 및 상기 흡입챔버 내에서 상기 브러시드럼과 간격을 두고 상기 브러시드럼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이물을 수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간격이 확장되도록 형상 변형될 수 있는 변형부를 가지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A VACC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의 이물 수집을 위한 블레이드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카펫과 같이 이물이 깊숙한 곳에 부착되는 바닥을 청소하기 위한 브러시드럼을 가진 흡입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브러시드럼은 회전하면서 대상물을 타격하여 카펫 또는 바닥에 있는 이물을 카펫 또는 바닥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진공청소기는 이렇게 분리된 이물을 흡입유닛을 통해 흡입한다. 이와 같이 브러시드럼은 진공청소기의 흡입구를 청소면에 접근시켜 이물을 흡입할 때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진공청소기는 회전하는 브러시드럼과 청소면의 먼지를 밀고 가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인 고운 입자의 먼지는 흡입 시 큰 문제가 없으나, 견고하고 큰 이물은 브러시드럼과 블레이드 사이 간격이 넓으면 흡입력이 낮아져 흡입되지 않고, 흡입력을 높이기 위해 간격을 좁히면 통과하지 못하고 정체되거나 억지로 흡입되어 브러시드럼의 동작을 멈추게 하거나 브러시드럼 또는 블레이드를 파손시키는 등의 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력도 우수하면서 큰 이물들을 흡입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진공청소기가 제공된다.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청소기본체와 상기 흡입력으로 이물을 흡입하도록 개방된 흡입챔버를 가진 흡입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흡입챔버 내에서 상기 흡입챔버의 외측으로 부분 돌출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브러시드럼 및 상기 흡입챔버 내에서 상기 브러시드럼과 간격을 두고 상기 브러시드럼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이물을 수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간격이 확장되도록 형상 변형될 수 있는 변형부를 가지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흡입챔버의 개방부를 덮고, 상기 브러시드럼이 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된 개구부를 가진 브러시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커버는 상기 브러시드럼과 간격을 두고 상기 브러시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블레이드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이물을 수집하기 위해 청소면을 향하는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로부터 일체로 절곡되어 상기 브러시커버에 지지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블레이드지지부에 상기 블레이드를 사이에 두고 고정하는 블레이드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수집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수집부를 상기 블레이드커버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절곡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지지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복수의 요철(凹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철(凹凸)부는 호(弧)형상일 수 있다.
상기 요(凹)부의 폭은 상기 철(凸)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철(凸)부는 하부의 폭이 상부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브러시커버는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전방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지지부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고 하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 및 상기 복수의 돌기 사이에 마련되어 이물이 유입되는 복수의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凸)부의 수는 상기 돌기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요(凹)부는 상기 통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의 변형부는 상기 요(凹)부에 의해 노출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커버는 상기 변형부의 변형 부분을 수용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는 브러시드럼과 블레이드 간의 간격을 좁게 하고 큰 이물의 경우에 블레이드의 형상 변형을 통해 무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흡입력을 좋게 하면서도 큰 이물도 흡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는 청소 시에 견고하고 큰 이물의 흡입 과정 중에 브러시드럼이나 블레이드를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흡입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흡입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브러시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브러시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브러시커버를 분해하여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브러시커버를 분해하여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브러시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B-B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2은 도 7의 블레이드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7의 블레이드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8의 블레이드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복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진공청소기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진공청소기는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로봇청소기(1)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다르게 캐니스터 타입 진공청소기, 업라이트 타입 진공청소기,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 등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1)의 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1)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청소기본체(2) 및 흡입유닛(3)을 포함한다.
청소기본체(2)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흡입모터 및 집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모터는 피청소면의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소정의 흡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집진부는 흡입력에 의해 흡입유닛(3)을 통해 청소기본체(2) 내로 흡입되는 먼지나 이물질을 수거할 수 있다. 집진부는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 먼지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부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3)은 청소면의 바닥, 예를 들면 카펫이나 바닥에 있는 먼지나 이물질, 예를 들면 헤어 등을 흡입한다.
도 3은 도 2의 흡입유닛(3)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흡입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흡입유닛(3)은 청소면 바닥을 향해 개방된 흡입챔버(31), 흡입챔버(31)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브러시드럼(32), 및 흡입챔버(31)의 개방부(311)를 덮도록 마련된 브러시커버(33)를 포함한다.
흡입챔버(31)는 청소기본체(2)의 저면에 함몰되어 형성된다. 흡입챔버(31)는 흡입된 이물질을 청소기본체(2)로 전달하는 흡입통로(312)와 연통되어 있다. 흡입챔버(31)에는 브러시드럼(3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청소면 바닥의 먼지나 이물질은 흡입력에 의해 브러시드럼(32)과 흡입챔버(31)의 내벽 사이를 지나 흡입통로(312)로 전달된다.
브러시드럼(32)은 흡입챔버(31)의 개방부(311)를 통해 부분 돌출되어 청소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브러시드럼(32)은 로봇청소기(1)의 진행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청소면의 이물질을 후방으로 밀어낸다.
브러시드럼(32)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일렬로 배열된 제1 및 제2드럼부(321,322)와 양단부에 마련된 제1 및 제2드럼캡(326,327)이 마련되어 있다. 브러시드럼(32)은 제1드럼부(321)의 일단과 제1드럼캡(326) 사이에 마련된 제1밸리(valley)(323), 제2드럼부(321)의 일단과 제2드럼캡(327) 사이에 마련된 제2밸리(324), 및 제1드럼부(321)의 타단과 제2드럼부(322)의 타단 사이에 마련된 제3밸리(325)를 포함한다. 브러시드럼(32)은 1개의 드럼 또는 3개 이상의 드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드럼부(321,322)는 융과 같은 재질로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
통상적으로 카펫과 같은 소재 내부에 깊이 부착된 먼지나 이물질은 공기의 흡입만으로는 흡입되기 어렵다. 따라서 브러시드럼(32)은 회전하면서 카펫의 다수의 모(毛) 사이에 깊숙이 부착된 먼지나 이물질을 털어, 카펫 상부로 비산시키고, 이렇게 비산된 먼지나 이물질은 흡입통로(312)로 흡입된다.
브러시커버(33)는 흡입챔버(31)의 개방부(311)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브러시커버(33)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중앙에 브러시드럼(32)의 일부가 돌출되는 제1 및 제2개구부(334, 335)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및 제2개구부(334, 335)는 각각 제1 및 제2드럼부(321,322)를 부분 수용한다. 이때, 브러시드럼(32)의 외주면과 제1 및 제2개구부(334, 335)의 내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G1)이 마련되어 있다. 청소면의 이물은 이 간격(G1)을 통해 흡입통로(312)로 흡입된다.
도 5는 도 4의 브러시커버(33)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브러시커버(33)의 저면도이고, 도 7은 브러시커버(33)의 블레이드(3322)를 분해하여 위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브러시커버(33)의 블레이드(3322)를 분해하여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5의 브러시커버(33)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B-B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2은 도 7의 블레이드(3322)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7의 블레이드(3322)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4는 블레이드커버(3323)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브러시커버(33)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된 제1 및 제2개구부(334,335)를 포함한다.
브러시커버(33)는 제1개구부(335)의 단변 측에 제2드럼캡(도 4의 327)이 놓이는 캡수용부(336)를 포함한다.
브러시커버(33)는 전방지지부(331), 후방지지부(332) 및 전방지지부(331)와 후방지지부(332)의 양단과 중앙을 연결하는 제1 내지 제3 연결부(333-1, 333-2, 333-3)를 포함한다. 전방지지부(331), 후방지지부(332), 및 제1 내지 제3 연결부(333-1, 333-2, 333-3)는 이격된 제1 및 제2개구부(334,335)를 형성한다.
전방지지부(331)는 서로 이격되어 하방으로 돌출하는 5개의 돌기(3311)를 포함한다. 5개의 돌기들(3311) 사이에는 청소면의 이물이 통과하는 통로(3312)가 형성된다. 각 돌기(331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소 진행방향으로 일 꼭지점이 배치된 3각형 단면을 가진다. 따라서, 통로(3312)는 앞쪽이 넓고 뒤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5개의 돌기(3311)는 도 5 및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개구부(334,335)의 내측을 향해서도 돌출된다. 따라서, 통로(3312)는 흡입챔버(31)와 연통되기 때문에, 통로(3312)를 통과한 이물이 흡입챔버(31) 내측으로 흡입된다. 이때, 흡입챔버(31) 내측으로 흡입되지 않은 이물은 브러시드럼(32)의 회전에 의해 후방으로 넘겨진다.
후방지지부(332)는 청소면을 향해 돌출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블레이드(3322)를 포함한다. 블레이드(3322)는 통로(3312)를 통과하여 브러시드럼(32)의 회전에 의해 후방으로 넘어온 이물들을 수집한다. 이와 같이 수집된 이물은 블레이드(3322)와 브러시드럼(32)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도 3의 G1)을 통해 흡입된다.
제1 내지 제3 연결부(333-1, 333-2, 333-3)는 브러시드럼(32)의 제1 내지 제3밸리(323,324,325)에 대응하는 반원형의 제1 내지 제3홈(3331, 3332, 3333)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홈(3331, 3332, 3333)는 브러시드럼(32)의 제1 내지 제3밸리(323,324,325)에 감긴 머리카락 등을 절단하는 커터가 마련될 수 있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브러시커버(33)의 후방지지부(332)는 블레이드지지부(3321), 블레이드(3322) 및 블레이드커버(3323)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3322)는 블레이드지지부(3321)의 저면과 블레이드커버(3323)의 상면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블레이드지지부(3321)는 저면에 블레이드(3322)가 장착될 수 있다. 블레이드지지부(3321)는 저면 양단부 측에 블레이드(3322)의 체결돌기(33224,33225)가 체결되는 체결홈(33217,33218) 및 제1나사체결공(332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블레이드지지부(3321)는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부(33213)와 수직부(33213)에 일체로 연결되어 개구부(334,335)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하는 경사부(33214)를 포함한다.
블레이드지지부(3321)의 경사부(33214)는 도 8 및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3322) 상에서 제1 및 제2개구부(334,335)를 향하는 복수의 요철(凹凸)부(33212, 332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철(凸)부(33211)는 하부에 장착되는 블레이드(3322)가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요(凹)부(33212)는 흡입되는 큰 이물에 의해 블레이드(3322)가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철(凸)부(33211)는 전방지지부(331)의 돌기(3311)에 대응하는 위치에 5개가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철(凸)부(33211)의 수는 5개 미만 또는 초과일 수 있다.
철(凸)부(33211)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에 블레이드(3322)가 개재된 상태로 하부의 블레이드커버(3323) 선단까지 나란히 연장한다. 결과적으로, 철(凸)부(33211)는 블레이드(3322)가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요(凹)부(33212)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3322)가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요(凹)부(33212)는 블레이드(3322)가 변형될 수 있도록 변형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블레이드(3322)는 큰 이물이 블레이드(3322)와 브러시드럼(32) 사이에 끼었을 때 변형될 수 있는 변형부(33220)를 포함한다. 변형부(33220)는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지지부(3321)의 요(凹)부(33212)에 의해 노출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요(凹)부(33212)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지지부(331)의 돌기들(3311) 사이의 통로(3312)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통로(3312)를 통해 유입된 이물은 요(凹)부(33212)에 대응하는 위치의 블레이드(3322)의 변형부(33220) 측으로 주로 이동된다.
철(凸)부(33211)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의 폭이 상부보다 넓고 경사지게 형성된다. 요(凹)부(33212)는 철(凸)부(33211)보다 넓은 폭을 가진다. 이와 같이 경사진 철(凸)부(33211)의 측면은 유입된 이물이 철(凸)부(33211)에 대응하는 위치의 블레이드(3322)로 넘어오더라도 블레이드(3322)의 변형부(33220) 측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경사진 철(凸)부(33211)의 측면은 블레이드(3322)의 변형부(33220)가 형상 변형될 시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요철(凹凸)부(33212, 33211)는 호(弧)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3322)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도 8,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블레이드(3322)는 양단부 측에 상향 돌출하는 체결돌기(33224, 33225) 및 저면에 하향 돌출하는 복수의 결합돌기(33226)를 포함한다. 체결돌기(33224, 33225)는 블레이드지지부(3321)의 체결홈(33217,33218)에 삽입된다. 블레이드(3322)는 체결돌기(33224, 33225)가 블레이드지지부(3321)의 체결홈(33217,33218)에 삽입되고 하부의 결합돌기(33226)가 블레이드커버(3323)의 복수 결합홈(도 14의 33231)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블레이드지지부(3321)의 제1나사체결공(33216)과 블레이드커버(3323)의 제2나사체결공(33232)을 통해 나사 결합함으로써, 블레이드(3322)는 블레이드지지부(3321)의 저면에 장착될 수 있다.
블레이드(3322)는 도 10,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소면을 향해 돌출하는 수집부(33221), 고정부(33222) 및 수집부(33221)와 고정부(33222) 사이에 마련된 절곡연결부(3322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33221)는 청소면에 접촉하여 유입되는 이물을 후방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수집한다.
고정부(33222)는 블레이드지지부(3321)와 블레이드커버(3323) 사이 개재되어 고정 지지된다.
절곡연결부(33223)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3322)의 변형 범위를 크게 하기 위해 수집부(33221)와 블레이드커버(3323)의 선단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블레이드커버(3323)는 블레이드지지부(3321)의 하부에 배치한 블레이드(3322)를 고정 지지한다. 블레이드커버(3323)는 블레이드(3322)의 결합돌기(33226)가 결합되는 결합홈(33231)을 포함한다.
블레이드커버(3323)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3322)의 변형부(33220)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함몰부(33234)를 포함한다. 함몰부(33234)는 블레이드(3322)의 변형부(33220)가 변형되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3322)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3322)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3322)의 복원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물(A)은 흡입력에 의해 블레이드(3322)와 브러시드럼(32) 사이에 들어간다. 이때, 블레이드(3322)는 위로 늘어나면서 함몰부(33234)의 내부로 접혀 들어가 간격(도 16의 G1)이 간격(G2)로 확장될 수 있다. 그 결과, 이물(A)은 무난하게 확장된 간격(G2)을 통해 흡입통로(312)로 들어갈 수 있다. 블레이드(3322)가 변형될 때, 블레이드(3322)는 양측의 철(凸)부(33211)에 의해 복원하려는 응력이 가해진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물(A)이 통과한 블레이드(3322)는 변형된 부분의 응력에 의해 초기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는 브러시드럼(32)과 블레이드(3322) 사이의 간격(G1)을 좁게 하여 흡입성능을 높이면서 블레이드(3322)의 부분 변형에 의한 간격 확장으로 크고 불규칙한 이물을 통과시킬 수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블레이드(3322)는 블레이드커버(3323)를 생략하고 접착제 또는 나사 등에 의해 블레이드지지부(3321)에 직접 접착 또는 체결할 수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블레이드(3322)는 브러시커버(33) 대신에 흡입챔버(31)의 입구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변형실시예로서, 블레이드(3322)는 철(凸)부(33212, 33211)에 접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진공청소기
2: 청소기본체
3: 흡입유닛
31: 흡입챔버
32: 브러시드럼
321: 제1드럼부
322: 제2드럼부
323: 밸리
33: 브러시커버
331: 전방지지부
3311: 돌기
3312: 통로
332: 후방지지부
3321: 블레이드지지부
33211: 철(凸)부
33212: 요(凹)부
3322: 블레이드
33221: 수집부
33222: 고정부
3323: 블레이드커버
333: 연결부
334: 제1개구부
335: 제2개구부

Claims (16)

  1.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흡입력을 생성하는 청소기본체와;
    상기 흡입력으로 이물을 흡입하도록 개방된 흡입챔버를 가진 흡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흡입챔버 내에서 상기 흡입챔버의 외측으로 부분 돌출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브러시드럼; 및
    상기 흡입챔버 내에서 상기 브러시드럼과 간격을 두고 상기 브러시드럼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이물을 수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간격이 확장되도록 형상 변형될 수 있는 변형부를 가지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흡입챔버의 개방부를 덮고, 상기 브러시드럼이 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된 개구부를 가진 브러시커버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커버는 상기 브러시드럼과 간격을 두고 상기 브러시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블레이드지지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이물을 수집하기 위해 청소면을 향하는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로부터 일체로 절곡되어 상기 브러시커버에 지지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상기 블레이드지지부에 상기 블레이드를 사이에 두고 고정하는 블레이드커버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수집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수집부를 상기 블레이드커버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절곡연결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지지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복수의 요철(凹凸)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凹凸)부는 호(弧)형상인 진공청소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凹)부의 폭은 상기 철(凸)부의 폭보다 큰 진공청소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철(凸)부는 하부의 폭이 상부보다 큰 진공청소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커버는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마련된 전방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지지부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고 하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기 및 상기 복수의 돌기 사이에 마련되어 이물이 유입되는 복수의 통로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철(凸)부의 수는 상기 돌기의 수와 동일한 진공청소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요(凹)부는 상기 통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진공청소기.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변형부는 상기 요(凹)부에 의해 노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커버는 상기 변형부의 변형 부분을 수용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KR1020200148762A 2020-11-09 2020-11-09 진공청소기 KR20220062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762A KR20220062967A (ko) 2020-11-09 2020-11-09 진공청소기
PCT/KR2021/012835 WO2022097911A1 (ko) 2020-11-09 2021-09-17 진공청소기
US18/312,042 US20230270302A1 (en) 2020-11-09 2023-05-04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8762A KR20220062967A (ko) 2020-11-09 2020-11-09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2967A true KR20220062967A (ko) 2022-05-17

Family

ID=81457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8762A KR20220062967A (ko) 2020-11-09 2020-11-09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70302A1 (ko)
KR (1) KR20220062967A (ko)
WO (1) WO202209791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334A (ko) * 2007-12-14 2009-06-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로봇청소기의 브러쉬 흡입장치
KR20160025392A (ko) * 2014-08-27 2016-03-08 에브리봇 주식회사 흡입 노즐,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US9844311B2 (en) * 2016-05-23 2017-12-19 Shenzhen Zhiyi Technology Co., Ltd. Floor washer cleaning device and floor washer
KR20190054517A (ko) * 2017-11-13 2019-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CN110279354A (zh) * 2019-07-31 2019-09-27 苏州德易仕清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家用电器的流体收集动力清洁(刷)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70302A1 (en) 2023-08-31
WO2022097911A1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101763C4 (en)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KR102546702B1 (ko) 진공청소기
KR101814568B1 (ko)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US4854006A (en) Floor nozzle for vacuum cleaner
EP2941994B1 (en) Vacuum cleaner
US5970577A (en) Brush head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KR102451450B1 (ko) 청소기용 드럼 및 이를 갖는 청소기
US9980617B2 (en) Vacuum cleaner
KR20050059575A (ko) 회전 브러시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20220062967A (ko) 진공청소기
US4045840A (en) Vacuum cleaner tool for cleaning deep pile carpets
JP3187346B2 (ja) 電気掃除機用吸口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545077B2 (ja) 電気掃除機の床ノズル
KR100647896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메쉬 필터
KR102664784B1 (ko) 진공청소기
JP7154149B2 (ja) 電気掃除機用のブラシノズ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545073B2 (ja) 電気掃除機の床ノズル
WO2021069863A1 (en)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JP4028784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20200080902A (ko) 진공청소기
WO2023233228A1 (en)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KR0114830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JP2000262443A (ja) 電気掃除機用床ブラシ
JPS625957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