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723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723A
KR20230014723A KR1020227044260A KR20227044260A KR20230014723A KR 20230014723 A KR20230014723 A KR 20230014723A KR 1020227044260 A KR1020227044260 A KR 1020227044260A KR 20227044260 A KR20227044260 A KR 20227044260A KR 20230014723 A KR20230014723 A KR 20230014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binet
extension
tub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4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홍
상민규
박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14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21/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horizontal axis within an enclosing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의류처리장치는: 상면패널과, 상기 상면패널의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측면패널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터브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의 바닥에 고정되는 구동부;로서 상기 터브의 바닥을 관통하고 상기 드럼에 고정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 그리고, 상기 캐비닛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전방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프레임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프레임; 상기 상측프레임의 좌측단과 우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 그리고, 상기 상측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하는 하측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본 개시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터브 내부에 배치된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 및/또는 건조를 수행한다.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터브가 진동할 수 있고, 터브의 진동이 캐비닛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최근 의류처리장치는 한 번에 많은 양의 대상물을 세탁 및/또는 건조하기 위해, 터브와 드럼의 용량이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적은 양의 대상물을 처리할 경우, 물과 전력소비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에 비해 크기와 용량이 작은 의류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의류처리장치는, 너비를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와 같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설계하고, 높이를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에 비해 작게 설계하여,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 캐비닛의 높이에 제한이 있으며,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와 비슷한 크기의 너비의 제한이 있다.
이러한 캐비닛 크기의 제한으로 인해, 터브와 드럼의 용량이 너무 작을 경우, 작은 크기의 의류처리장치의 효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드럼의 회전으로 인한 터브 및 캐비닛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캐비닛의 좌우 방향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강도가 강한 캐비닛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좌우 방향의 외력에도 변형되지 않는 캐비닛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터브의 부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너비가 높이보다 길게 설정된 캐비닛 및/또는 드로워 내부에 위치하는 터브의 부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드로워가 인출될 수 있는 개구부를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형성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복수개로 구비하여 상기 개구부의 너비 또는 높이를 확장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개구부를 확장하는 범위가 단일 재질의 성형범위를 초과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이 수용 또는 삽입 등으로 결합되어 별도의 체결부재 등을 생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드로워 타입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드로워의 부피를 확대하여 상기 드로워에 수용되는 의류수용부의 세탁용적을 확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전방프레임이 진동 및 소음을 감쇠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와, 상기 캐비닛에 결합하는 전방프레임(이하, '인출프레임'이라고도 함)을 포함한다.
캐비닛은 상면패널과 측면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면패널은 상기 상면패널의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은, 상측프레임(이하, '메인프레임'이라고도 함), 상측프레임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하는 하측프레임(이하, '확장 프레임'이라고도 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프레임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상측프레임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은 상기 상측프레임의 좌측단과 우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은, 상기 상측프레임의 좌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좌측프레임과, 상기 상측프레임의 우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우측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프레임은 상기 상측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측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에서 상기 전방프레임의 좌우 방향 중심을 향하여 연장된 연장프레임(이하, '연장패널'이라고도 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프레임과 상기 연장프레임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연장프레임의 전후방향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리브(이하, '절곡리브'라고도 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프레임은 상기 연장리브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연장리브에서 하측으로 함몰된 안착홈; 그리고, 상기 하측프레임에서 돌출되고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이격된 삽입홀; 그리고, 상기 하측프레임에서 돌출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면에서 함몰되고, 상기 삽입홀 하측에 배치된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는,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용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하측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강화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프레임은, 상기 전방프레임의 좌우 방향 중심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프레임은, 상기 경사파트에서 상기 하측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확장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 하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레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파트는 좌우방향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레그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 내부에 배치되는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의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은 상기 터브의 바닥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구동축은 상기 드럼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드로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는 상기 전방프레임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부를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는 상기 터브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는 상기 구동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하측프레임에서 하측으로 함몰되고, 좌우방향에서 상기 구동축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회피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전방 또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인출프레임을 복수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변형이 용이한 재질과, 강성이 강한 재질을 서로 혼합하여 프레임 구조를 적용할 수 있어, 개구부의 면적을 선택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구조를 일체로 구비할 경우, 소성변형의 정도는 그 한계가 결정된다. 따라서,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는 하나의 재료로 프레임을 제작하더라도, 하측의 프레임과 그 이외의 프레임을 별도로 제작한 후, 프레임들을 서로 결합하여 소성변형 량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는 인출프레임을 복수의 프레임을 서로 결합시켜 구비함으로써, 일체로 형성할 때는 제작할 수 없는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공간은 드로워의 인출입 또는 터브 내부의 진동 등으로 인해 외력이 프레임에 작용하여도 상기 인출프레임의 내구성을 확보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는 인출프레임을 서로 끼움 결합 및 수용결합시킴으로써,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도 고정 및 조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의 하부면도 프레임으로 결합함으로써, 종래 하부 패널을 제거하여 구동부의 방열성능을 더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수용되어 상기 개구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과,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드로워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후방을 커버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메인바디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인출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프레임은 상기 메인바디의 양측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 상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 하부에 결합되는 확장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프레임은 상기 확장프레임의 양단이 안착가능 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 하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구비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 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확장프레임과 결합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프레임은 상기 안착부와 함께 이격공간(A)을 형성하도록 상기 안착부에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확장프레임은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이격공간(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서 연장되는 연장패널과, 상기 연장패널의 양면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상기 확장프레임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절곡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프레임은 상기 절곡리브에 결합되되 상기 연장패널과 이격되어 상기 이격공간(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확장프레임은 상기 절곡리브 내측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확장프레임은 상기 절곡리브 내측에 배치되는 안착바디와, 상기 안착바디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착바디를 상기 연장패널에서 이격되어 상기 이격공간(A)을 형성하도록 상기 절곡리브에 안착되거나 결합되는 구비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프레임은 상기 안착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착바디를 고정시키는 삽입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홀은 상기 안착바디가 상기 연장패널에서 이격되어 상기 이격공간(A)을 형성하도록 상기 안착부 보다 상부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메인바디에 접촉되어 결합되는 강화패널과, 상기 강화패널에서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삽입홀이 형성되는 지지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은 상기 삽입홀의 일측에서 내부로 함몰되어 상기 삽입돌기의 자유단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연장패널에서 하부로 절곡되는 확장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프레임은 상기 안착바디에서 상기 확장패널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바디와, 상기 경사바디에서 상기 메인프레임과 마주하도록 연장되는 확장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바디는 상기 안착바디에서 상기 연장패널 또는 상기 확장패널과 이격된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확장패널에서 연장되는 안착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바디 또는 상기 확장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안착패널과 용접 또는 체결부재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의류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바디는 상기 구동부 또는 상기 드로워의 최하단을 회피하도록 구비되는 회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곡리브는 상기 확장패널의 양측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경사바디를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패널에 구비된 상기 절곡리브의 높이는 상기 확장패널에 구비된 상기 절곡리브의 높이보다 더 높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바디, 상기 경사바디 및 상기 확장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강성을 보강하도록 돌출되거나 함몰되어 구비되는 강화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화비드는 상기 경사바디 및 상기 확장바디의 길이방향을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화비드는 상기 경사바디 및 상기 확장바디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메인바디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 하부를 차폐하는 하부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패널은 상기 구동부가 노출되거나, 상기 구동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배출시키는 개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면 하단 모서리와, 상기 일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메인바디의 타측면 하단 모서리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구동부의 하부와 중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메인바디, 인출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거나 접촉되는 프레임바디와, 상기 프레임바디 내부에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바디의 강성을 보강하는 프레임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메인바디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드럼의 회전으로 인한 터브 및 캐비닛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캐비닛의 좌우 방향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강도가 강한 캐비닛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좌우 방향의 외력에도 변형되지 않는 캐비닛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터브의 부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너비가 높이보다 길게 설정된 캐비닛 및/또는 드로워 내부에 위치하는 터브의 부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드로워가 인출될 수 있는 개구부를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복수개로 구비하여 상기 개구부의 너비 또는 높이를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 개구부를 확장하는 범위가 단일 재질의 성형범위를 초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이 수용 또는 삽입 등으로 결합되어 별도의 체결부재 등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드로워의 부피를 확대하여 상기 드로워에 수용되는 의류수용부의 세탁용적을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전방프레임이 진동 및 소음을 감쇠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의류 처리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의 전방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의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의 추가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 제2 캐비닛(21), 전방프레임(2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a)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제1처리부(10)가 프론트 로드 타입으로 구비되고, 제2처리부(20)는 드로워 타입 및 탑로드 타입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처리부(10)가 상부에 구비되어도 사용자는 충분히 제1처리부(10)에 구비된 도어(12)에 접근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처리부(20)가 하부에 구비되어 있어도, 사용자는 상기 제2처리부(20) 내부에 구비되는 의류수용부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10)는 외관을 형성하며 전방에 도어(12)가 구비되는 제1캐비닛(1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캐비닛(11)을 지지하도록 하부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레그(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20)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제1처리부(10)를 지지하는 제2캐비닛(21)과, 상기 제2캐비닛(21)에서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할 수 있는 드로워(2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캐비닛(21)의 상부에는 상기 제1처리부(10)의 레그를 지지할 수 있는 브라켓(40)이 설치될 수 있다.(도1(b) 참조)
도1(b)를 참조하면, 상기 제2캐비닛(21)은 본체를 형성하는 바디캐비닛(210)과, 상기 바디캐비닛(210) 전방에 결합되어 드로워(22)가 인출입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전방프레임(220)과, 상기 바디캐비닛(210) 후방에 결합되어 바디캐비닛(210)의 후방을 커버하는 배면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220)과 상기 배면프레임(230)은 상기 바디캐비닛(210)에서 연장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전방프레임(220)과 상기 배면프레임(230)은 상기 바디 캐비닛(210)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방프레임(220)의 강성을 더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220)과 상기 배면프레임(230)는 단면이 C자형 구조로 구비되므로, 상기 바디캐비닛(210) 보다 강성 및 내구성이 구조적으로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0)은 상기 바디캐비닛(210)의 상부의 각각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브라켓(40)은 상기 전방프레임(220)의 양측 상부 및 상기 배면프레임(230)의 양측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40)은 상기 제2캐비닛(21) 상부에 안착되는 브라켓바디(41)와, 상기 브라켓바디(4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돌출판(42)과, 상기 레그(30)를 수용하도록 상기 브라켓 바디(41)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레그수용홀(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캐비닛(21)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1캐비닛(11)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상기 브라켓(40)은 상기 레그수용홀(43)에서 대각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어 크기가 다른 제1캐비닛의 레그를 수용할 수 있는 보조홀(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캐비닛(11)이 상기 제2캐비닛(21)에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는 감지홀(45)도 상기 브라켓(40)에 설치될 수 있다.
도1(c)를 참조하면, 상기 전방프레임(220)은 상기 바디캐비닛(21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하중프레임(221)과, 상기 하중프레임(221)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상부프레임(222)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마주하며 상기 하중프레임(221)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하부프레임(223)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전방프레임(220)의 각 구성들을 일체로 형성하면, 각 프레임의 조립 또는 용접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처리부(20)가 보조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된다고 하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이 세탁용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고, 내부에 밸런서 등의 설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전방프레임(220)의 개구부가 형성하는 면적은 확대될 필요가 있다.
상기 개구부가 형성하는 면적이 상기 드로워(22)의 형상 및 부피를 결정하며, 상기 드로워(22)가 세탁용적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상기 개구부를 확장하기 위해 상기 하중프레임(221) 자체를 연장하게 되면, 상기 바디캐비닛(210)의 형상 전체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처리부(11)의 설치 높이도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전방프레임(220)의 하부에는 레그(121a)가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하부프레임(233)은 상대적으로 하부로 더 절곡될 여유가 있다.
상기 확장절곡부(224)는 상기 하부프레임(223)의 양단보다 더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전방프레임(220)이 형성하는 개구부를 확장시킬 수 있고, 상기 개구부로 인출입되는 드로워(22)의 높이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확장절곡부(224)는 상기 하부프레임(223)에서 성형되는 이상 일정 길이 또는 일정각도 이상으로 절곡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223)의 재질이 파손되지 않을 수 있는 소성변형 범위내로 상기 확장절곡부(224)를 성형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상기 전방프레임(220)의 개구부가 확장될 수 있는 최대치가 정해질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전방프레임(220)을 하나의 부재로 성형할 경우, 상기 드로워(22)에 수용되는 의류수용부의 부피도 기대값 이상으로 확장시킬 수 없으며, 상기 의류수용부의 진동을 감쇠하는 밸런서, 상기 의류수용부를 지지하는 서스펜션의 부피나 구조도 제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전방프레임(220)의 상기 확장절곡부(224)와 상기 하부프레임(223)은 하중, 진동 및 소음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장절곡부(224)와 상기 하부프레임(223)이 레그 등으로 인해 지면과 이격되는 경우, 상기 확장절곡부(224)와 상기 하부프레임(223)이 전달되는 하중 전체를 지지해야 되므로 내구성이 문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확장절곡부(224)와 상기 하부프레임(223)은 전달된 진동을 감쇠하지 못하고 그대로 진동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진동 및 소음을 전파시킬 우려가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2은 본 개시 의류를 처리하는 처리부의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이 상하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100)는 메인 의류처리장치인 제1처리부(200)와 보조 의류처리장치인 제2처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200)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세탁장치로 구비될 수 있고, 수분이 함유된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건조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200)가 세탁장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처리부(200)는 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행정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300)도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세탁장치로 구비될 수 있고, 수분이 함유된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건조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300)가 세탁장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2처리부(300)는 상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행정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200)는 상기 제2처리부(300)보다 세탁 또는 건조 용량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200)는 상기 제2처리부(200) 보다 크기가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300)는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속옷, 아기옷, 소량의 의류 등을 신속하게 세탁 또는 건조하는 보조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300)는 상기 제1처리부(200)와 별도로 구비되되, 상기 제1처리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200)와 상기 제2처리부(300)의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제1처리부(200)와 상기 제2처리부(300)가 세탁행정이나 건조행정 중 적어도 어느하나를 수행하는 작동명령을 입력받는 디스플레이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300)가 상기 제1처리부(200)와 분리되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처리부(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캐비닛(20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처리부(300)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제1캐비닛(201)과 구분되어 구비되는 제2캐비닛(3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300)는 상기 제1처리부(2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200)는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처리부(300)는 탑 로드 타입 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300)는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처리부(300)는 제1 처리부(200)와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처리부(200)가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처리부(300)가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처리부(300)가 상기 제1처리부(200)의 보조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면 어느 곳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2처리부(300)는 상기 제1처리부(200)와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처리부(300)가 독자적인 의류처리장치로서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2처리부(300)가 상기 제1처리부(200)의 하부에 배치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후술하는 구조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제2처리부(300)가 어느 곳에 배치되어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300)는 제2캐비닛(301) 내부에서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30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처리부(300)는 상기 드로워(301a) 내부에 의류를 수용하는 제2의류수용부(302,3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200)의 제1캐비닛(201) 하부에는 안착레그(210)가 구비될 수 있다. 안착레그(21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잇다. 안착레그(210)는 제2 처리부(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처리부(300)는 상기 드로워(301a)가 인출되었을 때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처리부(200)가 상부에 안착되었을 때만 작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처리부(200)와 상기 제2처리부(300)가 세탁장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처리부(200)는 상기 캐비닛(201)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202,2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202)는 물을 저장하는 제1터브(202), 상기 제1터브(20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제1드럼(2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드럼(203)은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전방을 향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200)는 상기 제1터브(202)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드럼(203)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204), 상기 제1터브(202)에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부(205), 상기 제1터브(202)의 물을 배수하는 제1배수부(2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204)는 상기 제1터브(202)의 배면에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204)는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제1스테이터(204a), 상기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로터(204b), 상기 로터와 상기 드럼의 일면을 연결하는 회전축(204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터브(202)의 일측에 구비된 모터와, 드럼의 일면을 연결하고 터브의 배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상기 모터에 구비되는 풀리, 상기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급수부(205)는 외부급수원과 상기 제1터브(202)를 연결하는 제1급수관(205a)과, 상기 제1급수관(205a)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급수밸브(205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수부(206)는 상기 제1터브(202)에서 상기 캐비닛(201) 외부에 연장되어 구비된 제1배수관(206b)과, 상기 제1터브(202)의 물을 배수하는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1배수관(206b)에 연통되어 구비된 제1배수펌프(206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300)는 상기 제1처리부(200)와 크기만 다를 뿐 같은 기능을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300)는 제2캐비닛(301)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처리부(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의류수용부(302,3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는(302)는 물을 수용하는 제2터브(302)와, 상기 제2터브(30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제2드럼(3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300)는 상기 제2터브(302)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드럼(303)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304)와, 상기 제2터브(302)에 물을 급수하는 제2급수부(305)와, 상기 제2터브(302)의 물을 배수하는 제2배수부(3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304)는 상기 제2터브(302)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처리부(200)는 상기 제1터브(202)를 상기 캐비닛(201)에서 지지하는 제1서스펜션(2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스펜션(207)은 스프링(207a)과 댐퍼(207b)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고, 브라켓과 연결바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300)는 상기 제2터브(302)를 상기 제2캐비닛(301)에서 지지하는 제2서스펜션(307)를 포함할 수 잇다. 상기 제2서스펜션(307)는 스프링(207a)과 댐퍼(207b)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고, 브라켓과 연결바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스펜션 (207)와 상기 제2 서스펜션 (307)는 상기 제1터브(202)와 상기 제2터브(302)를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2처리부(300)가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캐비닛(301)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301a)가 구비되고, 상기 드로워(301a) 내부에 상기 제2터브(302)와 상기 제2드럼(30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304)는 회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제2스테이터(304a), 상기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로터(304b), 상기 로터와 상기 드럼의 일면을 연결하는 제2회전축(304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터브(302)과 이격된 구비된 모터와, 드럼의 일면을 연결하고 터브의 배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상기 모터에 구비되는 풀리, 상기 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2급수부(305)는 외부급수원과 상기 제2터브(302)를 연결하는 제2급수관(305a)과, 상기 제2급수관(305a)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2급수밸브(305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배수부(306)는 상기 제2터브(302)에서 상기 제2캐비닛(301) 외부에 연장되어 구비된 제2배수관(306a)과, 상기 제2터브(302)의 물을 배수하는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배수관(306a)에 연통되어 구비된 제2배수펌프(30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처리부(200)는 상기 제1터브(202)에 물을 가열하는 제1히터(208)와, 상기 제1터브(202)에 열풍을 공급하는 제1열풍공급부(2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208)는 상기 제1터브(202)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스히터(sheath heater)가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히터(208)는 상기 제1터브(202)의 물을 가열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열풍공급부(209)는 상기 제1터브(201)에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 내부에 구비되는 덕트히터와, 상기 덕트의 공기를 제1터브(202)로 공급하는 팬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처리부(110)도 상기 제1처리부(200)와 같이 제2히터(308)와 제2열풍공급부(309)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처리부(200)와 상기 제2처리부(300)는 상기 제1처리부(200)와 상기 제2처리부(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캐비닛(201) 또는 상기 제2캐비닛(302)에 구비되는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처리부(200)와 상기 제2처리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건조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처리부(200)와 상기 제2처리부(300) 중 건조장치로 구비된 처리부는 전술한 급수부, 배수부, 터브, 히터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처리부(200)가 상기 제2처리부(300)의 상부에 배치되더라도 무게중심이 한곳으로 치중되거나, 진동 등에 의해, 상기 제1처리부(200)가 상기 제2처리부(300)에서 전도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처리부(200)가 상기 제2처리부(300)의 상부에 배치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안착된 것이 유지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처리부(200)가 상기 제2처리부(300)에 의도된 위치에 안착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처리부(200)는 상당한 부피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처리부(200)가 메인 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되면 그 부피는 상기 제2처리부(300) 보다 월등히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처리부(200)를 상기 제2처리부(300)의 상부 중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도록 유도하고, 상기 제1처리부(200)가 상기 제2처리부(3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캐비닛과 상기 제1캐비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캐비닛을 지지하는 브라켓(500)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500)는 상기 제1캐비닛(201)이 상기 제2캐비닛(301)에 안착되면 상기 제1캐비닛(201)이 상기 제2캐비닛(301)에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210)는 상기 제1캐비닛(201) 꼭지점 또는 그 부근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210)는 상기 제1캐비닛(201)의 무게중심을 유지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500)은 상기 제2캐비닛(301)과 별도로 구비될 수다. 또는, 상기 브라켓(500)으 상기 제2캐비닛(301)과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3은 상기 제2캐비닛(301)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3(a)를 참조하면, 상기 제2캐비닛(301)은 상기 드로워(301a)를 수용하는 메인바디(320)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고정프레임(330)과, 상기 메인바디의 타측 또는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드로워(301a)가 상기 캐비닛(301)에서 인출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인출프레임(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프레임(310)은 상기 메인바디(3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인출프레임(310)은 상기 메인바디(32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인출프레임(310)은 상기 메인바디(32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인출프레임(310)은 상기 메인바디(320)의 전방에 수용되어 상기 메인바디(3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330)은 상기 메인바디(3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330)은 상기 메인바디(32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프레임(330)은 상기 메인바디(32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320)은 상기 메인바디(320)의 후방에 수용되어 상기 메인바디(3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인출프레임(310)과 상기 고정프레임(320)은 폐곡선으로 구비되거나,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바디(320)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바디(320)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인출프레임(310)과 상기 고정프레임(320)으로 대부분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프레임(310)과 상기 고정프레임(330)은 상기 메인바디(320) 보다 두께 또는 강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강하게 구비되어 상기 메인바디(320)에 가해지는 대부분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메인바디(320)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달리, 상기 인출프레임(310)은 상기 메인바디(320)의 전방에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고정프레임(330)은 상기 메인바디(320)의 후방에 결합될 수 도 있다. 즉, 상기 인출프레임(310)과 상기 고정프레임(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메인바디(320)의 외부에 노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출프레임(310)은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2처리부(300)가 드로워 타입이 아닌 일반적인 탑로드 타입으로 구비될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320)는 내부에 상기 드로워(301a) 또는 상기 제2의류수용부(302,303)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320)는 상기 제1처리부(20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320)는 상면패널(322)과, 상기 상면패널(322)의 양측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측면패널(3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패널(322)은 상기 제2캐비닛(301)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측면패널(321)은 제2캐비닛(301)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320)는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제작 편의성을 위해, 전방 및 후방,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면패널(322)은 운송 중 상기 제2터브(302)와 상기 드로워(301a)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별도의 완충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지지홈(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홈(323)에 삽입된 완충부재는 상기 상면패널(332)의 상부로 연장되어 제1캐비닛(201) 내부에 위치한 제1터브(202)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홈(323)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상면패널(322)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화단차(32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상면패널(322)의 하부면이 별도의 부재로 지지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상기 상면패널(322)은 하부로 휘어지지 않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상면패널(322)의 양측 표면에는 난반사를 발생시키는 인식차단부(3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식차단부(325)는 상기 제2캐비닛(301)이 제작 또는 운송 중에 복수개로 적층될 경우에 별도의 완충부재가 안착되는 영역이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가 장시간 안착되면서 상기 제2캐비닛(301)의 표면이 오염되거나, 얼룩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식차단부(325)는 표면에 난반사를 발생시켜 상기 오염이나 얼룩이 외부로 식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차단부(325)는 상기 상면패널(322) 상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상면패널(322)의 강성도 보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출프레임(310)과 상기 고정프레임(330)은 상기 드로워(301a)가 인출되는 레일(360)이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는 레일결합부(321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메인바디(320) 보다 강성이나 내구성이 큰 인출프레임(310)과 고정프레임(330)이 상기 의류수용부의 하중을 온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레일(360)은 상기 레일결합부(3211)에 고정되는 고정레일(361)과, 상기 고정레일(361)에서 상기 인출프레임(310)이 형성하는 개구부를 향해 인출되며 상기 드로워(301a)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인출레일(3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패널(321)의 하단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측면패널(321)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처리부(300)는 지지레그(37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레그(370)는 상기 제2캐비닛(301)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370)은 상기 측면패널(321)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지지레그(370)는 상기 고정레일(361)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370)는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지지댐퍼(3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지면으로 전달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캐비닛(201)이 프론트 로드 타입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구동부(204)가 배면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댐퍼(380)는 상기 메인바디(320)의 배면에 위치한 지지레그(370)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로써, 진동이 발생하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완충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330)은 상기 메인바디(32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330)은 단면이 C자형으로 구비되는 프레임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바디(320) 보다 큰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고정프레임(330)의 상부면 또는 상부 양측으로 상기 제1캐비닛(201)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330)은 일면만 개방된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프레임(330)는 상기 메인바디(320) 또는 상기 인출프레임(310)을 향하는 부분만 개방되고 상기 메인바디(320)에서 멀어지는 일면은 차폐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고정프레임(330)은 상기 제2캐비닛(301)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캐비닛(301)의 내부가 배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캐비닛(301)은 상기 메인바디(320)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패널(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패널(340)은 상기 캐비닛 하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하부패널(340)로 인해 상기 제2구동부(304) 또는 드로워(301a)가 하부에 노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고, 상기 메인바디(320)의 측면패널(321)의 강성 또는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패널(340)은 상기 메인바디(320) 및 상기 인출프레임(310)과 상기 고정프레임(3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부에 결합되는 패널바디(341)와, 상기 제2구동부(304)가 노출되거나, 상기 제2구동부(304)에서 발생되는 열을 배출시키는 개방홀(3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구동부(304)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2구동부(304)의 수리 또는 설치를 간편화 할 수 있다.
상기 인출프레임(310)은 상기 메인바디(320)의 양측 전방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311)과, 상기 지지프레임(311)의 양측 상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메인프레임(312)과, 상기 지지프레임(311)의 양측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메인프레임(312)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확장프레임(3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프레임(314), 상기 지지프레임(311) 및 상기 메인프레임(312)은 상기 드로워(301a)가 인출되는 개구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01a)는 상기 인출프레임(310)에서 상기 지지프레임(311)과 메인프레임(312), 및 확장프레임(314)이 형성하는 개구부를 통해 인출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메인바디(320)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고정프레임(330)는 차폐되어 있으므로, 상기 드로워(301a)의 높이는 상기 인출프레임(310)의 개구부 높이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캐비닛(302)의 하부는 지지레그(370)로 인해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인출프레임(310)은 하부로 더 확장될 수 있는 여유공간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확장프레임(314)은 상기 지지프레임(311)의 하단보다 하부로 더 절곡되어 상기 개구부를 하부로 더 크게 확장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드로워(301a)의 부피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상기 드로워(301a)의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2구동부(304)가 돌출되거나, 제2 구동부(304)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드로워(301a)의 하부가 하측으로 더 돌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구동부(304)(또는, 드로워(301a)의 하부)와 상기 인출프레임(310)가 서로 간섭되는 것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드로워(301a) 내부 부피가 확장되어 세탁용적이나, 드럼 상부에 부착되는 밸런서 및 서스펜션부의 구조가 더 크게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지프레임(311)과 상기 확장프레임(314)이 일체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확장프레임(314)을 변형시키는 방법으로 하부로 절곡할 경우에는 재료의 소성변형을 넘어서지 못하므로, 확장량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확대되는 세탁용적이 충분하지 못할 수 있으며, 필요한 밸런서와 서스펜션 구조가 설치될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확장프레임(314)을 상기 지지프레임(311)과 별도로 구비시키고, 상기 확장프레임(314)을 하부로 절곡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확장프레임(314)을 상기 지지프레임(311) 보다 소성변형 정도가 더 큰 재질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확장프레임(314)이 지지프레임(311)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확장프레임(314)을 더 넓게 하부로 절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프레임(310)의 개구부는 더욱 확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출될 수 있는 드로워(301a)의 높이도 더욱 확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2터브(302)의 높이가 더 높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2드럼(303)의 상부에 결합되는 밸런서가 더 크게 설치되거나, 상기 제2서스펜션(307)의 설치 공간이 더 확보되어 복잡한 구조도 충분히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확장프레임(314)은 상기 지지프레임(311)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11)의 하부에 상기 지지프레임(311)의 하단에서 벤딩되고, 지지프레임(311)의 하단보다 더 아래에 배치되는 안착부(3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장프레임(314)은 상기 안착부(313)의 상부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13)로 인해, 상기 확장프레임(314)의 재질이 무르거나, 상기 확장프레임(314)의 하부 절곡량이 더 크더라도 온전하게 상기 확장프레임(314)이 상기 지지프레임(311)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14)는 상기 지지프레임(311)의 하단에서 상기 메인프레임(312)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313)가 연장된 길이 범위 내에서 상기 확장프레임(314)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프레임(314)이 하부로 변형되는 절곡량을 더 크게 확보할 수 있다.
확장프레임(314)과 안착부(313) 사이에 공간(A, 도 4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공간(A)를 이격공간(A)이라고도 한다. 상기 확장프레임(314)은 이격공간(A)을 형성하도록 상기 안착부(313)에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확장프레임(314)은 상기 인출프레임(310)의 하부에 이격공간(A)이 확보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311)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인출프레임(310) 또는 상기 메인바디(320)의 전방에는 상기 드로워(301a)의 인출여부나, 상기 제2터브(302)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제2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s)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출프레임(310)과 상기 고정프레임(330)을 상기 메인바디(320)에 결합시키도록 유도하는 프레임지지부(6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지지부(600)는 상기 메인바디(320) 모서리마다 구비되어 상기 인출프레임(310)과 상기 고정프레임(330)에 결합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지지부(600)는 상기 제1캐비닛(201)의 안착레그(210)을 지지하는 브라켓(500)이 결합되는 구조도 제공할 수 있다.
도3(b)를 참조하면, 상기 인출프레임(310)은 상기 확장프레임(314)을 안착하는 상기 안착부(313)를 상기 지지프레임(311)과 일체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13)는 상기 확장프레임(314)의 양단이 안착가능 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311)의 양측 하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13)는 상기 지지프레임(311)의 양측 하부에서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확장프레임(314)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13)는 상기 확장프레임(314)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뿐만 아니라, 상기 확장프레임(314)의 설치위치가 가변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확장프레임(314)을 고정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13)는 상기 지지프레임(311)의 하부에서 지면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안착부(313)의 자유단이 상기 지지프레임(311)의 하단보다 더 하부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인출프레임(310)이 형성하는 개구부의 면적을 더 확대시킬 수 있다.
상기 안착부(313)는 상기 지지프레임(311)의 하부에서 연장되는 연장패널(3131)과, 상기 연장패널(3131)의 양면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상기 확장프레임이 설치되는 공간 또는 상기 이격공간(A)을 형성하는 절곡리브(3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프레임(314)은 상기 절곡리브(3132)에 고정될 수 있다. 확장프레임(314)은 절곡리브(3132)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확장프레임(314)은 양측 절곡리브(3132) 사이에 배치되는 안착바디(3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바디(3141)은 상기 안착부(313)와 적어도 일부 이격되어 상기 이격공간(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착바디(3141)는 양측면 중 하나 이상에서 상기 절곡리브(3132)로 연장되어 상기 절곡리브(3132)에 결합되거나 안착되는 지지돌기(31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314b)는 상기 안착바디(314)와 상기 연장패널(3131)을 이격시키도록 상기 안착바디(314)을 상기 절곡리브(3132)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바디(314)가 상기 절곡리브(3132)에 안착되더라도 상기 연장패널(3131)과 상기 안착바디(314) 사이에 이격공간(A)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안착바디(3141)가 상기 연장패널(3131)에 이격되어도, 상기 지지돌기(314b)는 상기 절곡리브(3132)에 결합되거나 안착되어 상기 안착바디(3141)의 설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절곡리브(3132)는 상기 지지돌기(314b)가 지지될 수 있는 안착홈(313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돌기(314b)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착홈(313a)의 내주면에 접촉되거나 수용되어 상기 안착바디(3141)가 정위치에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확장프레임(314)은 상기 안착바디(3141)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착바디(3141)을 상기 안착부(313)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310)에 고정시키는 삽입돌기(314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314a)는 상기 지지프레임(310) 또는 상기 안착부(313)를 관통하여 상기 안착바디(3141)를 고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지지프레임(310)은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홀(31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홀(311a)은 상기 연장패널(3131) 보다 상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바디(3141)의 상기 삽입돌기(314a)가 상기 삽입홀(311a)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바디(3141)가 상기 연장패널(3131)에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절곡리브(313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11)은 상기 메인바디(320)의 양측면 전방에 배치되는 지지패널(3111)과, 상기 지지패널(3111)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강화패널(3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3111)에는 상기 삽입홀(3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3111)은 상기 제2캐비닛(301)의 측면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메인바디(32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강화패널(3112)은 상기 지지패널(3111)에서 절곡되어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11)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메인바디(320)의 전방 절곡부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
상기 지지돌기(314b)는 상기 확장프레임(314)의 자유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지패널(3111)에 구비된 삽입홀(311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314a)은 상기 안착바디(3141)의 자유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돌기(314b)는 상기 안착바디(3141)의 상기 삽입돌기(314a)가 돌출된 방향과 경사진 방향 또는 수직방향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돌기(314b)와 상기 삽입돌기(314a)의 위치가 구분되어 작업자가 조립하는 데 상기 구성 들을 혼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홀(311a)은 상기 안착부(313)에서 상기 이격공간(A)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삽입돌기(314a)가 상기 삽입홀(311a)에 삽입되면 상기 안착바디(3141)와 상기 안착부(313) 사이에 이격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확장프레임(314)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확장프레임(314)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강화비드(314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강화비드(314c)는 상기 확장프레임(314)이 하부로 경사지게 절곡된 이후에 성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확장프레임(314)는 상기 제2구동부(304) 또는 상기 제2구동부(304)를 수용하는 상기 드로워(301a)의 저면과 간섭이 회피될 수 있도록 회피홈(314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피홈(314d)은 상기 확장프레임(314)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하측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피홈(314d)은 상기 확장바디(3143)에 구비되어 상기 제2구동부(304) 또는 상기 드로워(301a)의 최하단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확장프레임(314)은 좌우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바디(3141)은 상기 확장프레임(314)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삽입돌기(314a)와, 상기 지지돌기(314b)도 상기 확장프레임(314)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장프레임(314)은 양단보다 중앙이 더 낮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장프레임(314)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연장되면서 하부로 절곡된 후 다시 상부로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확장프레임(314)은 상기 인출프레임(310)의 개구부의 면적을 하측으로 더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안착부(313)는 상기 안착바디(3131)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구비되는 확장패널(3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패널(3133)은 상기 안착부(313)의 자유단이 상기 지지프레임(311)보다 하부로 위치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확장패널(3133)은 상기 안착바디(3131)의 자유단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313)는 상기 확장패널(3133)에서 연장되어 상기 확장프레임(314)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안착패널(3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패널(3134)은 상기 확장프레임(314)과 접촉면적을 확장시켜 상기 확장프레임(314)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확장프레임(314)은 상기 안착바디(3141)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바디(3142)와, 상기 경사바디(3142)에서 상기 메인프레임(312)과 마주하도록 연장되는 확장바디(31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바디(3143)를 중심으로 상기 경사바디(3142)와 상기 안착바디(3141)가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곡리브(3132)는 상기 연장패널(3131)의 양측면에서 상기 확장패널(3133)의 양측면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곡리브(3132)는 상기 경사바디(3142)를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리브(3132)는 상기 안착패널(3134)의 양측면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패널(3134)에 구비된 절곡리브(3132)의 두께 또는 높이는 상기 확장패널(3133) 또는 상기 안착패널(3134)의 절곡리브(3132) 두께 또는 높이 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절곡리브(3132)의 높이 또는 두께는 상기 안착패널(3134)에서 상기 확장패널(3133) 또는 상기 안착패널(3134)로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프레임(314)과 상기 안착부(313)의 이격 공간(A)이 상기 안착바디(3141)에서 경사바디(3142)로 갈수록 좁아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바디(3142)는 상기 안착바디(3141)에서 상기 이격공간(A)의 두께가 좁아지도록 상기 확장패널(3133)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로워(301a)가 인출되는 것이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330)은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면 상기 인출프레임(310)과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프레임(330)도 상기 지지프레임(311)과 안착부(313) 및 확장프레임(314)을 구비하여 내부에 이격공간(A)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캐비닛(301)이 상기 제1처리부(200)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처리부(200)와 무관하게 배치된다면, 상기 메인바디(320)는 상기 의류수용부(302,303)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출프레임(310)은 상기 이격공간(A)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지만, 상기 고정프레임(330)과 같이 개구부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도4는 상기 인출프레임의 이격공간(A)을 도시한 것이다.
도4(a)를 참조하면, 상기 안착부(313)에 상기 확장프레임(314)이 안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확장프레임(314)의 양단은 상기 안착부(313) 및 절곡리브(3132)에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확장프레임(314)의 중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311)의 하부보다 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4(b)와 도4(c)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패널(3111)은 상기 삽입홀(311a)의 외주면에서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함몰되어 상기 삽입돌기(314a)의 자유단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31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311b)은 상기 지지패널(3111)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돌기(314a)의 두께보다 더 깊게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돌기(314a)는 상기 삽입홀(311a)에 삽입된 후에 절곡되어 상기 수용홈(311b)에 안착 또는 수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확장패널(314)과 상기 안착부(313)는 추가적인 체결부재 등이 없이도 자체적으로 결합 및 고정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돌기(314b)는 상기 안착바디(3141) 보다 상부로 돌출된 후에 안착바디(314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안착바디(3141)은 상기 절곡리브(3132) 내부에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경사바디(3142)는 상기 안착바디(3141)에서 상기 연장패널(3131) 또는 상기 확장패널(3133)과 이격된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안착부(313)와 상기 확장프레임(314)이 이격공간(A)이 상기 확장프레임(314)이 상기 안착부(313)에서 이격되는 방향에 따라 작아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이격공간(A)은 점차적으로 좁아질 수 있으며, 상기 확장프레임(314)은 하부로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격공간(A)으로 인해 상기 인출프레임(310)의 강성 또는 내구성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상기 드로워(301a)가 인출되는 것이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바디(3142) 또는 상기 확장바디(31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안착패널(3134)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확장프레임(314)은 상기 안착부(313)와 이격공간(A)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안착부(313)에 물리적으로 면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바디(3142) 또는 상기 확장바디(31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안착패널(3134)과 용접 또는 체결부재 등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확장프레임(314)은 상기 안착부(313)와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일체로 구비된 것과 같은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화비드(314c)는 상기 안착바디(3141), 상기 경사바디(3142) 및 상기 확장바디(31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강화비드(314C)는 상기 안착바디, 상기 경사바디 및 상기 확장바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되거나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강화비드(314C)는 상기 경사바디(3132) 및 상기 확장바디(3143)의 길이방향을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강화비드(314C)는 상기 경사바디(3142) 및 상기 확장바디(3143)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확장프레임(314)이 연성이 크나 강성이 작은 재질로 구비되더라도 충분한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5는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의 부피 증가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5(a)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전방프레임(220)이며, 도5(b)는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의 인출프레임(310)을 도시한 것이다.
도5(a)를 참조하면,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전방프레임(220)은 일체로 구비되기 때문에 하부로 절곡되어도 연장될 수 있는 길이가 한계가 있다.
다시말해, 하부프레임(223) 중 일부를 절곡하여 확장절곡부(224)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하부프레임(223)의 최하단을 더 하부로 확장시킨다고 하더라도, 소성변형 한계로 인해 상기 확장절곡부(224)의 절곡길이가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전방프레임(220)이 생성할 수 있는 개구부의 최대면적은 제한될 수 밖에 없고, 상기 의류수용부의 높이도 제한되어 세탁용적도 일정 수준 이상으로는 확보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223) 및 상기 확장절곡부(224)는 내부에 이격공간(A)을 형성하지 못하므로, 단면이 “L” 자형 또는 “ㄷ”자 형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의류수용부에서 발생하는 진동 중 상기 하부프레임(223)의 연장방향과 대응되는 진동만을 흡수하거나 소산할 뿐, 그 외 다른 방향의 진동에는 매우 취약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전방프레임(220)은 세탁용적의 한계 뿐만 아니라, 소음진동 및 내구성 측면에서 내구성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도5(b)를 참조하면,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의 인출프레임(310)은 확장프레임(314)과 안착부(313)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되기 때문에, 확장프레임(314)과 안착부(313)의 소성변형 량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313)와 상기 확장프레임(314)을 모두 소성 변형함으로써, 상기 확장프레임(314)을 h 만큼 더 길게 상기 메인프레임(312)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인출프레임(310)의 개구부가 더 확장되어 상기 의류수용부(302,303)의 높이가 확장될 수 있고, 그 결과 세탁용적도 더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확장프레임(314)과 상기 안착부(313)는 내부에 상기 이격공간(A)을 형성하고, 상기 이격공간(A)은 단면이 2차원 도형(예를들어, 4각형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격공간(A)으로 인해, 상기 안착부(313)와 상기 확장프레임(314)으로 전달되는 하중이 분산되어 상기 인출프레임(310) 자체의 내구성이 크게 증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인출프레임(310)으로 전달되는 여러 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도(예를들어, 너비방향, 높이방향, 전후 방향 등) 상기 이격공간(A)이 전부 지지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확장프레임(314)과 상기 안착부(313)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이격공간(A)은 상기 인출프레임(310)으로 전달되는 소음이나 진동을 일정 수준 감쇠 또는 소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출프레임(310)으로 전달된 소음 또는 진동은 상기 이격공간(A) 내부에서 일정 수준 소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확장프레임(314)과 상기 안착부(313)가 지면과 이격되어 있더라도, 진동이 전달되었을 때 진폭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프레임(310)까지 전달되는 진동이 상기 확장프레임(314)로 그대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확장프레임(314)의 강성이나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고, 상기 확장프레임(314)이 소음진동원이 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301a)가 인출입 되는 과정 등, 상기 인출프레임(310)에 전달되는 충격이 상기 이격공간(A) 의해 소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A)을 통해 상기 인출프레임(310)은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의류처리장치의 하중을 가장 많이 전달받는 상기 확장프레임(314)과 상기 안착부(313)에 상기 이격공간(A)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인출프레임(310)의 전체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공간(A)으로 전달된 진동은 상기 확장프레임(314) 및 상기 안착부(313)의 일면을 따라 여러 방향으로 소산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상기 인출프레임(310)의 내진성은 크게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진효과는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가 드로워 타입으로 구비되지 않아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6은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의 제2캐비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의 제2캐비닛은 도3에 도시된 하부패널(340)이 상기 하부프레임(350)으로 교체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메인바디(320), 상기 고정프레임(330) 및 상기 인출프레임(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면 하단 모서리와, 상기 일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메인바디(320), 상기 고정프레임(330) 및 상기 인출프레임(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측면 하단 모서리에 결합되는 하부프레임(35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프레임(350)은 상기 메인바디(320)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350)의 양단은 상기 메인바디(320)의 하부에서 상기 인출프레임(310)과 상기 고정프레임(330)까지 연장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하부프레임(350)은 상기 인출프레임(310)과 상기 고정프레임(330)이 상기 메인바디(320)에 결합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350)은 본체를 이루는 프레임바디(351)와 상기 프레임 바디(351)의 내부에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바디의 강성을 보강하는 프레임비드(3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바디(351)는 상기 제2캐비닛(301)의 외면에서 내부로 향할수록 상기 안착부(313) 또는 상기 확장프레임(314)의 경사를 따라 하부로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로워(301a) 또는 상기 제2구동부(304)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7은 상기 제2캐비닛(301)의 설치구조 변화에 따른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7(a)를 참조하면, 상기 제2캐비닛(301)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패널(340)이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패널(340)의 패널바디(341)는 모서리 마다 상기 지지레그(37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회피하는 회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패널(340)은 상기 구동부(304) 또는 상기 드로워(301a) 내부에 구동부(304)가 설치되는 공간을 노출시키는 구동개방홀(34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부(304)에서 방열되는 열은 상기 제2캐비닛(302)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개방홀(342)로 상기 구동부(304)를 별도로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운송중에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구동부(304)를 지지하여 상기 제2캐비닛(302) 내부의 구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7(b)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프레임(350)은 상기 구동부(304)의 하부와 중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프레임(350)은 상기 제2캐비닛(302)의 양측면을 연결하여, 상기 메인바디(320)의 강성과 형상을 유지하되, 상기 구동부(304)의 직경 전체가 하부로 노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304)에서 발생하는 열이 전부 외부로 발산되어 상기 구동부(304)가 냉각될 수 있으며, 상기 드로워(301a) 등 상기 제2캐비닛(301) 내부에 설치된 구성을 수리 및 교체 할 때 유리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2)

  1. 상면패널과, 상기 상면패널의 가장자리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측면패널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상기 터브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의 바닥에 고정되는 구동부;로서, 상기 터브의 바닥을 관통하고 상기 드럼에 고정되는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 그리고,
    상기 캐비닛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전방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프레임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프레임;
    상기 상측프레임의 좌측단과 우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 그리고,
    상기 상측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하는 하측프레임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에서 상기 전방프레임의 좌우 방향 중심을 향하여 연장된 연장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측프레임과 상기 연장프레임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프레임의 전후방향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측프레임은 상기 연장리브에 결합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리브에서 하측으로 함몰된 안착홈; 그리고,
    상기 하측프레임에서 돌출되고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이격된 삽입홀; 그리고,
    상기 하측프레임에서 돌출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면에서 함몰되고, 상기 삽입홀 하측에 배치된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돌기는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강화비드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프레임은, 상기 전방프레임의 좌우 방향 중심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파트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프레임은, 상기 경사파트에서 상기 하측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확장파트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하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레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파트는 좌우방향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레그 사이에 위치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프레임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부를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터브와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는 드로워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프레임에서 하측으로 함몰되고, 좌우방향에서 상기 구동축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회피홈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27044260A 2020-05-18 2021-05-18 의류처리장치 KR202300147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025 2020-05-18
KR20200059025 2020-05-18
PCT/KR2021/006247 WO2021235847A1 (ko) 2020-05-18 2021-05-1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723A true KR20230014723A (ko) 2023-01-30

Family

ID=7870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4260A KR20230014723A (ko) 2020-05-18 2021-05-18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83901A1 (ko)
EP (1) EP4155448A4 (ko)
KR (1) KR20230014723A (ko)
CN (1) CN116368271A (ko)
AU (1) AU2021277104A1 (ko)
WO (1) WO20212358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71263A (zh) * 2022-06-30 2023-11-17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一种底座、底座总成、衣物处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4156B2 (ja) * 1997-11-26 2006-02-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
KR200203886Y1 (ko) * 1998-07-02 2000-12-01 윤종용 드럼세탁기의 베이스 플레이트 고정 구조
KR100777278B1 (ko) * 2001-07-11 200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캐비닛과 톱브라켓 고정구조
DE102004022023B3 (de) * 2004-05-03 2005-08-11 Miele & Cie. Kg 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ystems, bestehend aus einer Wäschebehandlungsmaschine und aus einem Sockel
KR101461951B1 (ko) * 2008-04-30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N105624964B (zh) * 2014-10-30 2019-08-2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抽屉式洗涤装置
KR102531720B1 (ko) * 2018-10-24 2023-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10791917B (zh) * 2019-10-10 2022-09-13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55448A1 (en) 2023-03-29
WO2021235847A1 (ko) 2021-11-25
EP4155448A4 (en) 2024-05-29
CN116368271A (zh) 2023-06-30
AU2021277104A1 (en) 2023-02-02
US20230183901A1 (en)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2550B1 (ko) 의류처리장치
US7685848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0765277B1 (ko) 드럼세탁기
KR102568673B1 (ko) 의류처리장치
US8234889B2 (en) Laundry machine
US9670609B2 (en) Auxiliary washing machin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597820B1 (ko) 의류처리장치
US20160369443A1 (en) Laundry machine
US20050172678A1 (en) Pedestal assembly of washing machine
US10801149B2 (en) Washing machine
US20050179347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230014723A (ko) 의류처리장치
US20120056517A1 (en) Washing machine
KR20230015388A (ko) 의류처리장치
KR20070039005A (ko) 드럼세탁기
KR102148656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089991A (ko) 의류처리장치
JP2006204715A (ja) 洗濯機
KR101430464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243410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81749B1 (ko) 드럼세탁기용 댐퍼
KR10228710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20108473A (ko) 세탁기
EP3266924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noise leakage preventing device
KR20230126584A (ko) 건조 겸용 세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