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951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951B1
KR101461951B1 KR1020080040591A KR20080040591A KR101461951B1 KR 101461951 B1 KR101461951 B1 KR 101461951B1 KR 1020080040591 A KR1020080040591 A KR 1020080040591A KR 20080040591 A KR20080040591 A KR 20080040591A KR 101461951 B1 KR101461951 B1 KR 10146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frames
frame
washing machine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4776A (ko
Inventor
조인호
김보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0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951B1/ko
Priority to EP08020183.3A priority patent/EP2063012B1/en
Priority to US12/292,561 priority patent/US8341981B2/en
Priority to RU2008145899/12A priority patent/RU2396386C1/ru
Priority to CN2008101779277A priority patent/CN101440562B/zh
Priority to AU2008249164A priority patent/AU2008249164B2/en
Priority to BRPI0900986-8A priority patent/BRPI0900986B1/pt
Priority to CA2664029A priority patent/CA2664029C/en
Publication of KR20090114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4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1Arrangements for transporting, moving, or setting washing machines; Protective arrangements for use during transpor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Abstract

본 발명은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내에 제공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 및 드럼과 같이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들을 수용하는 제 1 공간을 제공하는 제 1 캐비닛; 부가적인 기능을 위한 장치를 수용하는 제 2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캐비닛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캐비닛; 및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을 격리하는 단일의 격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캐비닛은 이의 전,후방부 및 양 측면부중 서로 대향되는 두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직사각 형상을 갖는 제 1 및 제 2 프레임을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세탁기, 캐비닛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탁기의 캐비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을 세제와 기계적 마찰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사용자가 세탁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보조장치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장치는 세탁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보조장치들은 상기 세탁기에 독립적인 장치로서 설계 및 제조된다. 따라서, 이러한 독립적인 보조장치를 세탁기에 설치하는 것은 많은 작업을 요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장치가 설치된 세탁기는 좋은 외관을 갖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생산성과 향상된 외관을 갖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내에 제공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 및 드럼과 같이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들을 수용하는 제 1 공간을 제공하는 제 1 캐비닛; 부가적인 기능을 위한 장치를 수용하는 제 2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캐비닛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캐비닛; 및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을 격리하는 단일의 격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캐비닛은 이의 전,후방부 및 양 측면부중 서로 대향되는 두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직사각 형상을 갖는 제 1 및 제 2 프레임을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2 캐비닛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캐비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측부에 결합되는 사이드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프레임은 채널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은 바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결합부 에 제공되며, 서로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위치시키는 위치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 1 위치결정공;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 2 위치결정공; 및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공들이 정렬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공을 관통하는 위치결정 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결정 핀은 상기 세탁기를 지지하는 레그를 상기 제 2 캐비닛에 장착시키는 홀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은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세탁기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패널은 이의 하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에서 일체화된 제 1 및 제 2 캐비닛은 사용자에게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세탁기 제작에 요구되는 소재 및 공정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캐비닛은 제 1 및 제 2 프레임만으로 구성되면서도 최소한의 소재 및 공정을 이용하여 적절한 구조적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한다. 따라서, 세탁기 제작시 생산성이 증가되며, 완성된 세탁기는 향상된 외관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일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도어가 세탁기의 전방부에 설치된 프론트 로딩 세탁기를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설명될 동일한 기술적 사상이 특별한 변경없이 도어가 세탁기의 상단부에 설치된 탑 로딩 세탁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캐비닛의 구성요소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1)는 메인 바디를 형성하는 제 1 캐비닛(100)을 갖는다. 상기 제 1 캐비닛(100)은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사이드 패널들(side panel) 및 리어 패널(rear panel)를 갖는 몸체(11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10)은 그 내부에 제 1 공간(100a)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 1 공간(100a)내에는 세탁물을 세탁하도록 구성된 장치들이 수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공간(100a)내에 세탁수를 수용하기 위해 터브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터브 내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드럼의 회전을 위해 상기 터브 후방 또는 아래에 동력장치들이 설치된다.
상기 몸체(110)의 전방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패널(120)이 장착되며, 도어(120a)가 상기 프론트 패널(120)에 설치된다. 상기 몸체(110)의 전방부의 상부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프레임(111)이 설치되며, 도 1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 (140)이 상기 패널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전방부의 하부에는 로어 프레임(112)이 장착되며, 펌프등과 같은 주변장치들이 이러한 로어 프레임(112)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 패널(130)이 설치되며, 상 기 탑 패널(130)에는 세제박스의 덮개(130a)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1)는 상기 제 1 캐비닛(10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2 캐비닛(200)을 갖는다. 상기 제 2 캐비닛(200)은 그 내부에 소정의 제 2 공간(200a)을 형성하며, 부가기능을 위한 장치들이 상기 제 2 공간(200a)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캐비닛(200)은 부가적인 기능을 위해 소정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서랍(250)을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250)의 원할한 인출을 위해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양 측벽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51)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공간(200a)은 악세서리(accessary), 즉 세탁기를 수리하기 위한 공구, 매뉴얼이나 세제, 표백제등을 수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할 때마다 상기 악세서리들을 상기 제 2 공간(200a)에서 꺼낼 수 있다. 만일 상기 서랍(250)이 상기 제 2 공간(200a)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악세서리들은 상기 서랍(250)내에 수용되며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상기 악세서리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제 2 공간(200a)는 보조 세탁장치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세탁장치들은 작은 크기의 세탁물들, 예를 들어 손수건, 양말, 애기 옷들을 세탁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조 세탁장치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보조 터브 및 세탁물을 수용하는 보조 드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작은 세탁물들의 세탁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보조 세탁장치는 상기 제 1 캐비닛(100)내의 주 세탁장치들과 마찬가지로, 작은 세탁물들의 세탁 및 건조에 요구되는 모든 과정들, 즉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과정 들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보조 터브 및 보조 드럼이 눕혀져서 이들의 입구가 세탁기의 전방부를 마주하는 경우, 상기 보조 드럼내에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도어가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전방부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상기 보조 터브 및 드럼이 세워져 설치되는 경우, 이러한 보조 터브 및 드럼은 상기 서랍(250)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상기 서랍(250)을 인출하면, 상기 세워진 보조 드럼의 입구가 노출되며, 이러한 노출된 입구를 통해 세탁물이 상기 보조 드럼내이 투입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상기 서랍(250)을 상기 제 2 캐비닛(200)내에 밀어 넣고, 작은 세탁물들을 위한 소정의 세탁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보조세탁장치는 상기 제 1 캐비닛(100)내의 주 세탁장치가 큰 세탁물을 세탁하는 동안에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세탁물을 동시에 세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세탁장치는 세탁기의 세탁용량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는 동시에 세탁효율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제 2 공간(200a)은 신발이나 세탁된 의류들을 수용할 수 있으며, 별도로 부착된 장치에 의해 열풍이 상기 제 2 공간(200a)에 공급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신발이나 세탁된 의류들도 편리하게는 서랍(250)내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된 열풍에 의해 신발이나 의류는 건조되며 리프레쉬될 수 있다.
상기 제 2 캐비닛(200)은 상기 제 1 캐비닛(100)의 상단 또는 하단(즉 바닥부)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캐비닛(100)의 어느 부위에도 제공될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캐비닛(200)이 상기 제 1 캐비닛(100)의 바닥부 아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2 캐비닛(200)은 상기 제 1 캐비닛(100)을 소정높이로 들 어올리는 받침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상기 제 2 캐비닛의 바닥부에는 상기 세탁기를 지지하기 위해 레그(2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캐비닛(20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사용자에게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보조장치를 수용한다. 만일 상기 제 2 캐비닛(200)이 독립적인 장치를 형성하는 경우, 이와 같은 제 2 캐비닛(200)을 제작하고 다시 상기 제 1 캐비닛(10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제 2 캐비닛(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캐비닛(100)과 일체화된다. 따라서, 일체화된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는 세탁기가 사용자에게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이러한 세탁기에 요구되는 소재 및 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이 서로 독립적인 장치들의 일부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은 각각 이의 하부에 설치되는 레그들을 갖게 된다. 만일 예를 들어,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상부에 상기 제 1 캐비닛(100)을 적층하는 경우, 상기 제 1 캐비닛(100)의 레그들은 불필요하며 적층된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러나,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이 서로 일체화되는 경우, 불필요한 레그에 의해 적층된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의 높이가 증가되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컴팩트해진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100a,200a)은 서로 구별되는 기능을 하는 장치들을 수용하므로, 앞서 설명된 제 1 및 제 2 캐비닛의 구조적 통합에도 불구하고, 이들 공간들은 상기 장치들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는 서로 분리될 필요가 있 다. 다른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의 일체화에 의해 상기 제 1 캐비닛(100)의 바닥부 및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상단부는 서로 인접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2개의 별도의 부재가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상단부와 상기 제 1 캐비닛(100)의 바닥부에 각각 설치되면, 보다 분명한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100a,200a)의 분리 및 보다 향상된 세탁기의 구조적 강도와 강성이 얻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예상되는 장점보다 더 큰 단점인 소재, 공정 및 세탁기 무게의 증가를 가져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단일의 격벽(300)이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단일 격벽(300)은 기본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들이 간섭없이 의도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공간(100a)로부터 상기 제 2 공간(200a)를 격리시킨다. 또한, 구조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사이에 추가적인 격벽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격벽(300)은 상기 제 1 캐비닛(100)의 바닥부를 덮으며 동시에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상단부를 덮는다. 따라서, 상기 격벽(300)은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100a,200a)와 직접 마주하게 된다. 즉, 상기 격벽(300)은 상기 제 1 캐비닛(100)의 일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단일 격벽(300)은 세탁기에 적절한 구조적 강도 및 강성을 부여하면서도 동시에 상기 공간들(100a,200a)를 분리함에 있어서 불필요한 소재 및 공정의 증가를 방지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에 의한 격벽(300)의 공유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의 실질적인 일체화가 달성된다.
또한, 상기 격벽(300)은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들(100a,200a)의 분리, 적절한 구조적 강도 및 강성확보 이외에도 세탁기에 요구되는 부속장치들(accessory)의 장착을 위해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격벽(30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높이로 돌출되는 플랫폼(310)을 가지며, 이러한 플랫폼(310)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 형태의 엣지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플랫폼(310)의 형성으로 인해 상기 격벽(300)은 이의 단면계수를 증가시키는 많은 절곡부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구조적 강도가 증가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플랫폼(31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브라켓 및 홀더(330,340)가 설치되며, 도시된 부재들(330,340)들 이외에도 다른 부재들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브라켓(330)은 상기 터브를 상기 격벽(300)상에 장착시킨다. 정확하게는 상기 브라켓(330)은 상기 터브의 진동을 감쇄하는 댐퍼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홀더(340)는 다양한 부속장치들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세탁기 내부의 전선, 터미널등이 이러한 홀더(3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홀더(3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300)에 고정되는 베이스(341)와 상기 베이스(341)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제 1 및 제 2 암들(342,343)을 포함한다. 상기 전선과 같은 부속장치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암들(342,343)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베이스(341)상에 형성되는 안착부(341a)상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암들(342,343)은 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후크를 가지며, 이들 후크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암들(342,343)사이에 배치된 부속장치가 이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으로, 상기 전선은 상기 제 1 및 제 2 암 들(342,343)에 감길 수도 있으며, 터미널과 같이 소정부피를 갖는 부속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암들(342,343), 정확하게는 이들의 후크부에 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300)은 도 2a에 명확하게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랫폼(310)의 중앙에 형성되는 리세스(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세스(311)는 일차적으로 상기 터브나 드럼으로부터 누수되는 세탁수를 세탁기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예비적으로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세스(311)내에는 상기 누출된 세탁수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300)은 상기 제 1 캐비닛(100)을 지지하는 레그를 장착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300)의 각 코너에는 체결공(35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레그들이 이러한 체결공(35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레그 장착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격벽(300)은 제 2 캐비닛(200)없이 제 1 캐비닛(100)만을 갖는 통상적인 세탁기에도 적용가능하게 되며, 이는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부품의 공용화를 가져온다.
한편,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서도 분리된 측벽 및/또는 후벽을 갖는 제 1 및 제 2 캐비닛들(100,200)을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캐비닛들(100,200)은 서로 일체화된 측벽 및/또는 후벽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들(100,200)은 단일의 측벽 및/또는 후벽만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일 격벽(300)과 마찬가지로 단일의 측벽 및/또는 후벽의 공유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는 더욱 실질적으로 일체화되며, 조립공정 및 소재/부품의 감소도 함께 달성된다.
도 4a-4b는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의 각 조립단계별 어셈블리들의 사시도들이며, 각 조립단계별로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본 어셈블리들을 보여준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상단부에 상기 격벽(300)이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격벽(300)이 먼저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상단부에 올려진다. 이 후, 상기 격벽(300)의 엣지부(320)와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상단부의 가장자리가 체결부재(1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격벽(300)은 구조적인 관점에서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상단부가 아닌 상기 제 1 캐비닛(100)의 바닥부에 먼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캐비닛(100)은 상기 제 2 캐비닛(200)에 비해 도시된 바와 같이 훨씬 큰 부피를 갖는다. 만일 상기 격벽(300)이 상기 제 1 캐비닛(100)과 예비적인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경우, 이와 같은 예비 어셈블리는 증가된 부피 및 무게로 인해 작업자가 다루기에 불편하다. 따라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캐비닛(200)과 상기 격벽(300)이 예비 어셈블리를 형성하는 것이 작업자의 편의를 고려할 때 더 유리하다.
이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캐비닛(100)과 상기 예비 어셈블리(200,300)가 둘 다 뒤집혀진 상태로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캐비닛(100)이 먼저 뒤집혀지고 난후, 뒤집힌 제 1 캐비닛(100)의 바닥부상에 마찬가지로 뒤집혀진 상기 예비 어셈블리(200,300)가 놓여진다. 통상적인 조립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 1 캐비닛(100)과 상기 예비 어셈블리(200,300)를 뒤집지 않고, 상기 제 1 캐비닛(100)이 상기 예비 어셈블리(200,300)의 상단면에 조립을 위해 올려진다. 이러한 경우, 체결부재는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A)를 따라 상기 제 1 캐비닛(100) 및 예비 어셈블리(200,300)를 결합한다. 그러나, 상기 제 1 캐비닛(100)은 실질적으로 큰 높이(A)의 측벽을 가지므로,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부재를 체결하기에 불편하다. 반면, 상기 예비 어셈블리(200,300)은 상기 높이(A)보다 적은 높이(B)를 갖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하기에 용이하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제 1 캐비닛(100) 및 예비 어셈블리(200,300) 둘 다가 뒤집혀지는 것이 작업자가 이들을 서로 체결하는 데 있어서 편리하다.
상기 제 1 캐비닛(100) 및 예비 어셈블리(200,300)의 배치가 완료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캐비닛(100)과 예비 어셈블리(200,300)은 체결부재(10)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된다. 실제적으로 도 4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예비 어셈블리(200,300)은 상기 제 1 캐비닛(100)의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플랜지(100a)에 체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10)는 방향(B)를 따라 상기 제 1 캐비닛(100) 및 예비 어셈블리(200,300)를 결합한다. 즉, 상기 체결부재(10)는 상기 제 2 캐비닛(200), 상기 격벽(300) 및 제 1 캐비닛(100)의 순서로 이들을 관통한다. 이후, 서로 결합된 제 1 캐비닛(100) 및 어셈블리(200,300)은 다시 뒤집혀지고 이러한 완성된 캐비닛 구조물에 다른 장치들이 장착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4a-4c에 따른 조립방법은 작업자가 편리하고 용이하게 캐비닛을 조립하게 하며, 이에 따라 세탁기 제조시의 생산성이 실질적으로 증가된다.
한편, 일체화된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에 있어서, 만일 간격이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의 측벽들 사이에 존재하면, 이물질이 상기 간격에 끼이거나 상기 간격을 통해 상기 세탁기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간격은 세탁기 외관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이 서로 분리되게 보이게 만들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은 추가적으로 이러한 간격을 제거하도록 설계되며, 이와 관련된 구조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다. 도 5a는 도 2b의 I-I선을 따라 얻어진 부분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점선으로 표시된 A부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사이에는 상기 격벽(300)이 개재되므로, 구조적 변경없이는 상기 격벽(300)의 두께만큼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의 측벽사이에 간격이 필연적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측벽들사이에 간격이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중 어느 하나에 상기 개재되는 격벽(300), 적어도 결합부위인 엣지부(320)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 둘 다가 상기 격벽(300)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구조들을 가질 수 있으나, 이는 생산공정의 증가를 가져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앞선 도 4a-4c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캐비닛(200)과 상기 격벽(300)이 예비 어셈블리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 캐비닛(100)과의 결합에 앞서서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격벽(300)의 두께를 수용하는 구조는 상기 제 2 캐비닛(200)에 형성 되는 것이 조립공정 측면에서 유리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와 같은 수용구조로써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이의 측벽으로부터 안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41)를 갖는다. 상기 플랜지(241)는 상기 격벽(300), 정확하게는 엣지부(320)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241)는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측벽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깊이, 즉 상기 격벽(300)의 두께와 같거나 큰 깊이로 아랫방향으로 함몰된다. 상기 플랜지(241)상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격벽(300), 정확하게는 엣지부(320)의 상부표면은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측벽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플랜지(241)에 의한 격벽(300) 두께의 흡수로 인해, 상기 격벽(300)의 상부표면은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측벽의 상단보다 아래에 배치되거나 상기 2 캐비닛(200)의 측벽의 상단과 동일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캐비닛(100)은 이의 측벽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격벽(300) 및 제 2 캐비닛(200)과 결합되는 플랜지(110a)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110a)를 추가적인 구조변경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격벽(300)의 상부표면, 정확하게는 엣지부(320)의 상부표면은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측벽의 상단과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110a)가 상기 격벽(300)상에 장착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의 측벽들의 서로 마주하는 끝단면들과 상기 격벽(300)의 상부 표면은 도 5b에 점선으로 도시된 동일 평면 (common plane)(S)상에 배치된다. 즉, 상기 격벽의 엣지부(320)의 상부표면은 상기 제 1 캐비닛(100)의 측벽의 하단면과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측벽의 상단면과 동일평 면(S)상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어떠한 간격도 개재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의 측벽들의 서로 마주하는 끝단들은 전체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캐비닛들(100,200)의 측벽들 사이에는 동일평면(S)에 포함되는 단일의 경계선만이 형성된다. 따라서, 간격의 제거에 의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사이에 끼이거나 세탁기 내부로 들어가지 못한다. 또한, 단일의 경계선은 세탁기의 외관을 향상시키며,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세탁기가 단일의 캐비닛을 갖는 것으로 인식하게 만들 수 있다.
상기 플랜지(241)에 추가적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측벽은 체결부재들(20)의 끝단부들을 덮는 커버(242)를 갖는다. 상기 체결부재들(20)은 앞서 설명된 브라켓(330) 및 홀더(340)와 같은 부속장치들을 상기 격벽(300)에 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버(242)는 제 1 및 제 2 커버(242a,24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커버(242a)는 수평하게 연장되며 상기 체결부재(20)의 끝단부의 바닥면을 덮는다. 이러한 제 1 커버(242a)는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측벽으로부터 직접 연장될 수 있으나, 상기 플랜지(241)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이 생산공정 및 소재의 절감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커버(242b)는 상기 제 1 커버(242a)로부터 위쪽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체결부재(20)의 끝단부의 측부를 덮는다. 이와 같은 커버(242)로 인해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상기 체결부재(242)의 노출된 끝단부에 의해 다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의 일체화로 인해, 상기 제 2 캐비닛(200)은 독립적인 장치의 캐비닛과 비교할 때 기본적인 구조적 강도 및 강성을 만족시키는 데 있어서, 상대적으로 적은 숫자의 구성요소만을 요구된다. 예를 들어, 상기 격벽(300) 및 제 1 캐비닛(100)의 바닥부 구조에 의해 상기 제 2 캐비닛(200)은 이의 상부 구조를 확보하기 위해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서랍(250)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서랍(250)은 상기 격벽(300)과 유사하게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바닥면을 폐쇄하는 부재들을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캐비닛(200)은 세탁기의 기본적인 구조강도 및 강성만을 만족시키는 최소한의 구조만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가 도 6a 및 도 6b에 상세하게 도시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세탁기의 제 2 캐비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6b는 제 2 캐비닛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캐비닛(200)은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은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전,후방부 및 양 측면부중 서로 대향되는 두 부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은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서로 대향되는 전,후방부에 각각 배치되거나, 서로 대향되는 양측면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미 상기 격벽(200) 및 제 1 캐비닛(100)의 측벽들은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상부구조 및 이에 요구되는 구조적 강도 및 강성을 제공한다. 동시에 상기 격벽(200) 및 제 1 캐비닛(100)의 측벽들은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측부의 일부 및 이러한 부분적인 측부구조에 요구되는 강도 및 강성도 제공한다. 이러한 이유로, 바람직하 게는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만이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 및 강성을 위한 프레임 구조로써 상기 양 측면부 대신에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전 후방에 각각 설치된다.
더 나아가,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틀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전후방부에 기본적인 강도 및 강성을 부여하면서 상기 제 1 캐비닛(100), 격벽(300) 및 상기 제 1 캐비닛(100)내에 설치되는 장치들을 충분히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의 상부, 측부 및 하부를 구성하는 빔들은 적절한 강도 및 강성을 가지며,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상부, 하부, 측부의 기본적 구조를 형성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만으로도 일체화된 제 2 캐비닛(200)은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위한 구조를 확보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캐비닛(200)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사이에 배치되거나 이들을 연결하는 어떠한 추가적인 프레임을 갖지 않는다. 대신에, 측부의 폐쇄를 위해 사이드 패널(240)만이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의 측부에 장착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사각틀 형상을 가지므로 이들을 하나의 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을 다수개의 부재로 형성하는 것도 생산공정 및 생산 비용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은 서로 결합되는 2개의 부재인 상부 프레임(220)과 하부 프레임(230)으로 이루어진 다. 이러한 상부 프레임(220) 및 하부 프레임(230)은 둘 다 앵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프레임(220)은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의 상부를 형성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어느 한쪽 끝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측부를 형성하는 수직부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230)은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의 하부를 형성하는 수평부재와 상기 상부 프레임(220)의 수평부재와는 반대쪽 끝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다른 하나의 측부를 형성하는 수직부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및 하부 프레임(220,230)이 서로 결합되면, 사각틀 형상의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220,230)은 서로 동일한 크기의 채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220)은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의 상부를 형성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양 끝단으로부터 아랫방향으로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의 측부길이의 절반에 해당하는 길이로 연장되는 수직부재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프레임(230)은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의 하부를 형성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양 끝단으로부터 위쪽방향으로 마찬가지로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의 측부길이의 절반에 해당하는 길이로 연장되는 수직부재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220)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산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220,230)중 어느 하나가 가능한 많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220,230)중 어느 하나가 채널형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그러 나, 후술되는 레그(260)를 이용한 위치결정구조를 고려할 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프레임(220)이 채널형상을 갖도록 제작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230)은 상기 상부 프레임(230)의 하부에 부착되는 단순한 바 형상을 갖도록 제작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부 프레임(220)은 수평하게 연장되며 상부를 형성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양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측부를 형성하는 수직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프레임(220)의 수평부재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300)의 플랫폼(310)의 일부를 덮으며, 이는 구조적으로 도 5b에 도시된 커버(242)와 유사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 프레임(220)의 수평부재는 도 5b의 커버(242)와 동일하게 상기 플랫폼(330)에 결합된 체결부재의 끝단부를 덮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의 끝단부에 의해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22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하부 끝단, 정확하게는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으로부터 안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22)를 가지며, 이러한 플랜지(222)가 실질적으로 상기 하부 프레임(230)과 결합된다. 또한, 도 6b에 명확하게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222)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끝단부(232)내에 삽입된다. 이러한 삽입관계에 의해 상기 하부 프레임(230)은 도 6a에 화살표로 표시되는 방향(C)을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220)의 하단, 즉 플랜지(222)의 내부 표면이 아닌 외부표면상에 부착되며, 이러한 부착은 작업자가 상기 상부 프레임(220)과 하부 프레임(230)의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앞서 설명된 상세한 구조들을 고려할 때,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는 최소한의 소재 및 공정을 이용하여 적절한 구조적 강도 및 강성을 갖는 제 2 캐비닛(200)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조립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은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220,230)을 정확한 결합위치로 위치시키는 위치결정구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결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220)은 상기 플랜지(222)에 형성되는 제 1 위치결정공(221)을 가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230)은 상기 끝단부(232)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위치결정공(221)에 대응되는 제 2 위치결정공(231)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정공(221,231) 둘다를 관통하면서 위치결정핀(262)가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플랜지(222)가 하부 프레임의 끝단부(232)에 삽입된 후, 상기 위치결정핀(262)는 이들 플랜지(222) 및 끝단부(232)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위치결정공(221,231) 둘 다에 삽입된다. 이러한 위치결정핀(262)의 삽입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결정공들(221,231)은 서로 정렬되며, 상기 플랜지(222) 및 끝단부(232)는 정확한 결합위치에 놓인다. 또한 삽입된 위치결정핀(262)은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220,230)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이들을 예비적으로 조립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정확한 결합위치로의 배치 및 예비조립에 의해 작업자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220,230)을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효율이 상승된다.
더 나아가, 상기 위치결정구조는 세탁기를 지지하는 레그(260)와 상기 위치결정핀(262)를 공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결정핀(262)는 상기 레그(260)의 일 부가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결정핀(262)은 상기 레그(260)를 제 2 캐비닛(200)에 장착시키는 홀더로써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그(260)는 로드(rod)(261a)를 갖는 몸체(261)로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결정핀, 즉 홀더(262)는 상기 로드(261a)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몸체(261)을 제 2 캐비닛(200)에 장착시킨다. 예를 들어, 이들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로드(261a)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261)의 내면에는 상기 로드(261a)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부품의 공유에 의해 상기 제 2 캐비닛(200)의 부품의 갯수는 실질적으로 감소하며, 또한 단일의 작업에 의해 레그(260)의 체결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220,230)의 결합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 2 캐비닛(200)의 구조는 생산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랜지(220,230)는 도 6a 및 도 6b 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한 쌍의 제 1 및 제 2 위치결정공(221,231)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 1 위치결정공(221)은 상기 상부 프레임, 정확하게는 상기 플랜지(222)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 2 위치결정공(231)은 상기 한 쌍의 제 1 위치결정공(221)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플랜지의 끝단부(232)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한쌍의 위치결정공들(222,232)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플랜지(220,230)가 제 2 캐비닛(200)의 전방 및 후방중 어느 곳에 배치된다 하더라도 상술된 위치결정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위치결정구조의 호환성은 더 나아가 상기 동일한 형상의 상부 및 하부 플랜지(220,230)에 의해 제 1 및 제 2 프레임 (210a,210b) 둘 다가 제작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이유들로, 부품종류가 감소되므로, 조립공정 또한 단순화되고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210a,210b)은 이의 하부, 즉 하부 플랜지(230)에 형성되는 손잡이(233)을 갖는다. 상기 손잡이(233)은 상기 하부 플랜지(230)에 형성되는 개구부(233a)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구부(233a)내에 사용자 또는 작업자는 손가락을 집어넣어 세탁기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233)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233a)의 가장자리에는 파지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파지구조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233a)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부(233b)로 이루어진다. 만일 상기 연장부(233b)가 상기 개구부(233a)의 안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경우, 이러한 연장부(233b)는 파지구조로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233b)는 상기 개구부(233a)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233)와 유사하게, 상기 사이드 패널(240)의 하단에도 손잡이(244)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233,244)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세탁기를 손쉽게 이동시킬 있으며, 작업자도 조립작업중에 제 2 캐비닛(200) 또는 서로 일체화된 제 1 및 제 2 캐비닛(100,2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작업중에 체결부재 및 공구는 상기 손잡이들(233,244)들을 통해 체결부에 용이하게 접근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세탁기의 캐비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세탁기의 캐비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세탁기의 캐비닛의 격벽상에 장착되는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4c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캐비닛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도 2b의 I-I선을 따라 얻어진 부분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부분 확대도;
도 6a는 본 발명의 세탁기의 제 2 캐비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6b는 제 2 캐비닛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의 결합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Claims (22)

  1.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내에 제공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터브 및 드럼과 같이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들을 수용하는 제 1 공간을 제공하는 제 1 캐비닛;
    부가적인 기능을 위한 장치를 수용하는 제 2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 1 캐비닛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캐비닛; 및
    상기 제 1 및 제 2 캐비닛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제 1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을 격리하는 단일의 격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캐비닛은 이의 전,후방부 및 양 측면부중 서로 대향되는 두 부분에 각각 배치되며, 직사각 형상을 갖는 제 1 및 제 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은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은 상기 제 2 캐비닛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캐비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측부에 결합되는 사이드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캐비닛은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사이에 개재되는 추가적인 프레임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은 둘 다 앵글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은 둘 다 동일한 크기의 채널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은 채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채널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프레임은 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단일격벽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들의 끝단부들을 덮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이의 하부 끝단으로부터 안쪽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과 결합되는 플랜지를 갖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하부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결합부에 제공되며, 서로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위치시키는 위치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 1 위치결정공;
    상기 하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 2 위치결정공; 및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공들이 정렬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공을 관통하는 위치결정 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이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위치결정공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한쌍의 제 1 위치결정공에 대응하도록 이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제 2 위치결정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핀은 상기 세탁기를 지지하는 레그를 상기 제 2 캐비닛에 장착시키는 홀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은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세탁기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며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그 내부에 삽입되게 하는 개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파지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구조는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구조는 상기 개구부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패널은 이의 하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80040591A 2007-11-21 2008-04-30 세탁기 KR101461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591A KR101461951B1 (ko) 2008-04-30 2008-04-30 세탁기
EP08020183.3A EP2063012B1 (en) 2007-11-21 2008-11-19 Washing machine
US12/292,561 US8341981B2 (en) 2007-11-21 2008-11-20 Washing machine
RU2008145899/12A RU2396386C1 (ru) 2007-11-21 2008-11-20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CN2008101779277A CN101440562B (zh) 2007-11-21 2008-11-21 洗衣机
AU2008249164A AU2008249164B2 (en) 2007-11-21 2008-11-21 Washing machine
BRPI0900986-8A BRPI0900986B1 (pt) 2008-04-30 2009-04-13 Máquina de lavar
CA2664029A CA2664029C (en) 2008-04-30 2009-04-23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591A KR101461951B1 (ko) 2008-04-30 2008-04-30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4776A KR20090114776A (ko) 2009-11-04
KR101461951B1 true KR101461951B1 (ko) 2014-11-14

Family

ID=41255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591A KR101461951B1 (ko) 2007-11-21 2008-04-30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61951B1 (ko)
BR (1) BRPI0900986B1 (ko)
CA (1) CA2664029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429A (ko) * 2018-10-24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1235847A1 (ko) * 2020-05-18 202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1120A1 (en) * 2005-12-30 2007-07-05 Tomasi Donald M Non-tumble clothes dryer
KR100822153B1 (ko) * 2007-06-04 2008-04-16 전영환 세탁기용 받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1120A1 (en) * 2005-12-30 2007-07-05 Tomasi Donald M Non-tumble clothes dryer
KR100822153B1 (ko) * 2007-06-04 2008-04-16 전영환 세탁기용 받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429A (ko) * 2018-10-24 2020-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31720B1 (ko) 2018-10-24 2023-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1235847A1 (ko) * 2020-05-18 202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64029A1 (en) 2009-10-30
BRPI0900986A2 (pt) 2010-04-06
KR20090114776A (ko) 2009-11-04
BRPI0900986B1 (pt) 2019-06-18
CA2664029C (en) 201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950B1 (ko) 세탁기
EP2063013B1 (en) Washing machine
AU2008249164B2 (en) Washing machine
EP2063014B1 (en) Washing machine
CN101440562B (zh) 洗衣机
JP7254844B2 (ja) 衣類処理装置
KR100925735B1 (ko) 서포터, 이를 구비한 키높이 수납장 및 의류처리장치
EP1424429B1 (en) Washing machine with special cabinet construction
AU2006221219B2 (en) Washing machine
US20100201236A1 (en) Supporter and pedestal and washing/dry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461951B1 (ko) 세탁기
KR20050114362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KR101435836B1 (ko) 세탁기
RU2402653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RU2402654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KR100784714B1 (ko) 세탁기 상부판 고정 장치
KR20060120936A (ko) 세정 장치
CN115110271A (zh) 衣物处理设备的箱体及洗烘一体设备
RU2363787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KR20050102328A (ko) 드럼세탁기
KR20040085521A (ko) 세탁 장치의 받침대 마운팅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