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675A - 한글 모음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한글 모음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675A
KR20230014675A KR1020220168236A KR20220168236A KR20230014675A KR 20230014675 A KR20230014675 A KR 20230014675A KR 1020220168236 A KR1020220168236 A KR 1020220168236A KR 20220168236 A KR20220168236 A KR 20220168236A KR 20230014675 A KR20230014675 A KR 20230014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vowels
entered
small
continuous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8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주
Original Assignee
김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주 filed Critical 김기주
Priority to KR1020220168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4675A/ko
Publication of KR20230014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6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ㅣ', '점(.)', 'ㅡ '을 이용하여 모든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일반적인 천지인 방식에 있어서,
자음이 입력된 후에
'ㅣ', '점(.)', 'ㅡ ' 중 어느 하나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예:자음, 공백, 특수문자, 아무것도 입력되지 않음)이 입력되는 경우에
'ㅣ', '점(.)', 'ㅡ ' 중 어느 하나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또는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또는 큰 가로긋기(ㅡ)을 이용하여 모든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방식에 있어서,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또는 큰 가로긋기(ㅡ) 중 어느 하나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경우에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또는 큰 가로긋기(ㅡ) 중 어느 하나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Description

한글 모음 입력 방법{hangeul inputting method in appliances}
기계 또는 전자장치에서 한글 모음 입력방법
쿼티자판, 2벌식자판 또는 3벌식 자판을 제외한 4행3열의 자판 등의 소형자판에서, 한글모음을 입력하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식은 천지인 방식이다.
천지인 방식이란 큰 세로긋기(ㅣ), 점(.), 큰 가로긋기(ㅡ)을 이용하여 모든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방식이다.(또는 'ㅣ', '점(.)', 'ㅡ '을 이용하여 모든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방식이라고도 할 수 있다.)
천지인 방식으로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은 따로 설명하지 않아도 한국사람의 거의 대부분은 아는 방식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겠다.
천지인 방식이 한글 창제원리를 그대로 적용하였고, 일반적인 필기 입력 방법과 흡사하여 쉽다고는 하지만, 일반적인 필기 입력방법과 완전히 똑같지는 않아서, 처음 접한 사람은 약간의 공부가 필요하며, 전자장치에서 처리하는 과정이 사용자의 실제 입력의도와는 다르게 표시되면서 입력이 되므로, 초보자, 특히 노인들은 일부 모음에 대해서는, 따로 입력방법을 가르쳐 주지 않으면 입력하지 못하는 모음들도 있으므로, 반드시 쉽다고만은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도1과 같은 삼성전자 스마트폰에 탑재된 천지인 방식을 사용할 때,
예를 들어,
‘거’를 입력할 때나 ‘고’를 입력할 때나,
마지막 자소인 ‘ㅣ’또는 ‘ㅡ’를 입력하기 직전에는,
‘ㄱ.’(=ㄱ과 점 1개)로 똑같이 표시되어 버리므로 혼동된다. 또,
‘겨’를 입력할 때나 ‘교’를 입력할 때나,
마지막 자소인 ‘ㅣ’또는 ‘ㅡ’를 입력하기 직전에는,
‘ㄱ ‥’(=ㄱ과 점 2개)로 똑같이 표시되어 버리므로 혼동된다. 또,
‘궈’를 입력할 때에도,
마지막 자소인 ‘ㅣ’를 입력하기 직전에는 ‘규’로 표시되어 있다가, 마지막 자소인 ‘ㅣ’를 입력하면 ‘규’가 ‘궈’로 바뀌면서 표시되기 때문에, ‘규’로 표시되어 있을 시점에는 사용자는 자기가 잘못 입력한 것 아닌가 하는 혼동을 하기도 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모두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원에서는
상기와 같은 상황을 포함한 혼동되는 상황을 회피하기 위하여, 천지인 방식에서의 점(.)이라는 글쇠를 ,
작은가로긋기(­)와 작은세로긋기(i)라는 글쇠로 분리되어 사용되는 것을 추구한다.
즉, 본원은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라는 글쇠가 사용되어 한글모음이 입력되는 방식이다.
그러면서,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가 2번 연속 입력되어, 2타로, 천지인 방식에서는 3타가 필요한 ‘ㅑ,ㅕ,ㅛ,ㅠ’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 등의 효과적인 방법도 도출할 수 있다.
종래의 천지인 방식에서의 모음 입력방법의 어려운 점, 혼동되는 점이
천지인 방식에서의 점(.)이라는 글쇠를 , 작은가로긋기(­)와 작은세로긋기(i)라는 글쇠로 분리하여 사용되어 해결되고,
그러면서,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가 2번 입력되어즉, 2타로, 천지인 방식에서는 3타가 필요한 ‘ㅑ,ㅕ,ㅛ,ㅠ’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 등의 효과적인 방법도 도출하고자 한다.
.
종래의 천지인 방식에서의 모음 입력방법의 어려운 점, 혼동되는 점이 천지인 방식에서의 점(.)이라는 글쇠를 , 작은 가로긋기(­)와 작은세로긋기(i)라는 글쇠로 분리하여 사용되어 해결되고,
그러면서,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가 2번 입력되어, 즉, 2타로, 천지인 방식에서는 3타가 필요한 ‘ㅑ,ㅕ,ㅛ,ㅠ’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 등의 효과적인 방법도 도출된다.
도1 : 종래의 천지인 자판
도2~도17: 본원의 발명이 적용된 자판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
도면을 제외한 본 출원서 전체에서 작은 세로긋기는 영문 소문자 'i'로 표현한다. 전자출원 소프트웨어인 K-EDITOR 의 특수문자 표에서는 작은 세로긋기용으로 사용할 마땅한 특수문자가 없기 때문이다.
(원래는, 작은 가로긋기 표시용 기호는 도2에서 도17의 버튼 중에서 숫자 2가 표기된 버튼에 표시된 기호를 사용하려고 했고, 작은 세로긋기 표시용 기호는 에서 도2에서 도17의 버튼 중에서 숫자 3이 표기된 버튼에 표시된 기호를 사용하려고 했었다. 그래서, 본원 전체의 내용에 있어서, 작은 세로긋기 표시용 기호로써 영문 소문자 'i'로 표현된 것은 도2에서 도17의 버튼 중에서 숫자 3이 표기된 버튼에 표시된 기호로 바꾸어 생각하면 더욱 쉽게 본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
본원은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를 사용하여 한글 모음을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모음 10개와 복모음 11개를 입력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그 방법을 설명해 보겠다.
먼저, 단모음 10개에 대한 입력 예이다.
ㅏ = ㅣ + ­
ㅑ = ㅣ + ­ + ­
ㅓ = ­ + ㅣ
ㅕ = ­ + ­ + ㅣ
ㅗ = i + ㅡ
ㅛ = i + i + ㅡ
ㅜ = ㅡ + i
ㅠ = ㅡ + i + i
ㅡ = ㅡ
ㅣ = ㅣ
다음은 복모음 11개에 대한 입력 예이다.
ㅐ = ㅣ + ­ + ㅣ
ㅒ = ㅣ + ­ + ­ + ㅣ
ㅔ = ­ + ㅣ ㅣ
ㅖ = ­ + ­ + ㅣ+ ㅣ
ㅚ = i + ㅡ + ㅣ
ㅘ = i + ㅡ + ㅣ + ­
ㅙ = i + ㅡ + ㅣ + ­ + ㅣ
ㅟ = ㅡ + i + ㅣ
ㅝ = ㅡ + i + ­ + ㅣ
ㅞ = ㅡ + i + ­ + ㅣ + ㅣ
ㅢ = ㅡ + ㅣ
상기에서
‘ㅙ = i + ㅡ + ㅣ + ­ + ㅣ’를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작은 세로긋기(i)가 입력된 후에,
큰 가로긋기(ㅡ)가 입력되고,
큰 세로긋기(ㅣ)가 입력되고,
작은 가로긋기(­)가 입력되고,
큰 세로긋기(ㅣ)가 입력되면
‘ㅙ’가 입력된다는 것이다.
나머지 모음에 대한 입력방법에 대한 것은 바로 위의 ‘ㅙ’를 입력하는 상세 설명을 참조하면 금방 알 수 있고, 참조하지 않고서도 한글 사용자라면 그냥 알 수 있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하지 않겠다.
이제,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의 자판 배치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자.
도2, 도3, 도4, 도5, 도6, 도7, 도8, 도9, 도10, 도11, 도12, 도13, 도14, 도15, 도16, 도17 에는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가 배정되어 있는데,
큰 세로긋기(ㅣ)는 숫자 1 이 표시되어 있는 버튼에 배정되어 있고,
작은 가로긋기(­)는 숫자 2 가 표시되어 있는 버튼에 배정되어 있고,
작은 세로긋기(i)는 숫자 3 이 표시되어 있는 버튼에 배정되어 있고,
큰 가로긋기(ㅡ)는 숫자 4 가 표시되어 있는 버튼에 배정되어 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2, 도3, 도6과 같은 자판에서는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가 맨 윗행에 모두 배정되어 있고,
도8, 도9, 도12와 같은 자판에서는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가 맨 위로 부터 2번째 행에 모두 배정되어 있고,
도4, 도5, 도7과 같은 자판에서는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가 맨 오른쪽 열에 모두 배정되어 있고,
도10, 도11, 도13과 같은 자판에서는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가 맨 오른쪽 열로부터 2번째 열에 모두 배정되어 있다.
즉,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는
자판의 여러 행 중 어느 한 행에 모두 배정될 수 도 있고,
자판의 여러 열 중 어느 한 열에 모두 배정될 수 도 있다.
그리고, 도2, 도3과 같은 자판처럼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가 자판의 여러 행 중 어느 한 행(예 : 맨 윗행)에 모두 배정되어 있고,
나머지 글자버튼들은 3행 3열의 배열 안에 포함될 수 있도록 배정될 수도 있고,
또는
도6과 같은 자판처럼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가 여러 행 중 어느 한 행(예 : 맨 윗행)에 모두 배정되어 있고,
나머지 글자버튼들은 3행 4열의 배열 안에 포함될 수 있도록 배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4, 도5와 같은 자판처럼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가 여러 열 중 어느 한 열(예 : 맨 오른쪽 열)에 모두 배정되어 있고,
나머지 글자 버튼들은 4행 2열의 배열 안에 포함될 수 있도록 배정될 수도 있고,
또는
도16, 도17과 같은 자판처럼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가 여러 열 중 어느 한 열(예 : 맨 오른쪽 열)에 모두 배정되어 있고,
나머지 글자 버튼들은 3행 3열의 배열 안에 포함될 수 있도록 배정될 수도 있다.
또는 도14와 같이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가
자판의 여러 행 중 어느 2개 행에 걸쳐서 모두 배정될 수 도 있고,
또는 도15와 같이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가
자판의 여러 열 중 어느 2개 열에 걸쳐서 모두 배정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자음이 입력된 후에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 중 어느 하나가 2번 연속 입력되면,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 중 어느 하나가 2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의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음이 입력된 후에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또는 큰 가로긋기(ㅡ) 중 어느 하나가 2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예:자음, 공백, 특수문자, 아무것도 입력되지 않음)이 입력되는 경우에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또는 큰 가로긋기(ㅡ) 중 어느 하나가 2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될 수도 있다.
본원 전체 내용에 있어서, '모음이 아닌 것'이란 위에서와 같이 '자음, 공백, 특수문자, 아무것도 입력되지 않음'을 예로 들 수 있다.
다음의 보다 상세한 예는
자음이 입력된 후에
큰 세로긋기(ㅣ),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또는 큰 가로긋기(ㅡ) 중 어느 하나가 2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실제로는 이렇게 하여 글자가 입력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다음과 같이 이행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ㅑ, ㅕ, ㅛ, ㅠ’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되는 예 이다.
‘ㅑ, ㅕ, ㅛ, ㅠ’를 입력하기 위한 맨 처음 글쇠를 2번만 입력하여 ‘ㅑ, ㅕ, ㅛ, ㅠ’를 입력하는 것은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종래의 천지인 방식에서는 3타가 필요한 ‘ㅑ, ㅕ, ㅛ, ㅠ’를 2타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자음 + ㅣ + ㅣ+ 모음이 아닌 것'인 상황에서는
‘ㅣ + ㅣ’를 ‘ㅑ’로 대체하여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자면,
‘ㄱ + ㅣ + ㅣ+ ㅅ’으로 타이핑하면 ‘걋’이 입력되고,
‘ㄱ + ㅣ + ㅣ+ 공백’으로 타이핑하면 ‘갸’가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자음 + ­ + ­ + 모음이 아닌 것'인 상황에서는
‘­ + ­ ’를 ‘ㅕ’로 대체하여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자면,
‘ㄱ + ­ + ­ + ㅅ’으로 타이핑하면 ‘겻’이 입력되고,
‘ㄱ + ­ + ­ + 공백’으로 타이핑하면 ‘겨’가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자음 + i + i + 모음이 아닌 것'인 상황에서는
‘i + i ’를 ‘ㅛ’로 대체하여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자면,
‘ㄱ + i + i + ㅅ’으로 타이핑하면 ‘굣’이 입력되고,
‘ㄱ + i + i + 공백’으로 타이핑하면 ‘교’가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자음 + ㅡ + ㅡ + 모음이 아닌 것'인 상황에서는
‘ ㅡ + ㅡ ’를 ‘ㅠ’로 대체하여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자면,
‘ㅇ + ㅡ + ㅡ + ㅅ’으로 타이핑하면 ‘윳’이 입력되고,
‘ㄱ + ㅡ + ㅡ + 공백’으로 타이핑하면 ‘규’가 입력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의 보다 상세한 예는
자음이 입력된 후에
큰 세로긋기(ㅣ),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또는 큰 가로긋기(ㅡ) 중 어느 하나가 2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실제로는 이렇게 하여 글자가 입력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다음과 같이 이행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또는 큰 가로긋기(ㅡ) 중 어느 하나가 2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ㅏ, ㅓ, ㅗ, ㅜ’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되는 예이다.
‘ㅏ, ㅓ, ㅗ, ㅜ’를 입력하기 위한 맨 처음 글쇠만을 2번만 입력하여 ‘ㅏ, ㅓ, ㅗ, ㅜ’를 입력하는 것은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종래의 천지인 방식에서는 서로 다른 버튼을 조작하여 입력하여야 하는 ‘ㅏ, ㅓ, ㅗ, ㅜ’를 동일한 버튼을 조작하여, 손가락 움직이는 거리를 적게 하여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자음 + ㅣ + ㅣ+ 모음이 아닌 것'인 상황에서는
‘ㅣ + ㅣ’를 ‘ㅏ’로 대체하여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자면,
‘ㄱ + ㅣ + ㅣ+ ㅅ’으로 타이핑하면 ‘갓’이 입력되고,
‘ㄱ + ㅣ + ㅣ+ 공백’으로 타이핑하면 ‘가’가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자음 + ­ + ­ + 모음이 아닌 것'인 상황에서는
‘­ + ­ ’를 ‘ㅓ’로 대체하여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자면,
‘ㄱ + ­ + ­ + ㅅ’으로 타이핑하면 ‘것’이 입력되고,
‘ㄱ + ­ + ­ + 공백’으로 타이핑하면 ‘거’가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자음 + i + i + 모음이 아닌 것'인 상황에서는
‘i + i ’를 ‘ㅗ’로 대체하여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자면,
‘ㄱ + i + i + ㅅ’으로 타이핑하면 ‘곳’이 입력되고,
‘ㄱ + i + i + 공백’으로 타이핑하면 ‘고’가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자음 + ㅡ + ㅡ + 모음이 아닌 것'인 상황에서는
‘ ㅡ + ㅡ ’를 ‘ㅜ’로 대체하여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자면,
‘ㄱ + ㅡ + ㅡ + ㅅ’으로 타이핑하면 ‘굿’이 입력되고,
‘ㄱ + ㅡ + ㅡ + 공백’으로 타이핑하면 ‘구’가 입력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자음이 입력된 후에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가 1번 입력되면,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큰 가로긋기(ㅡ)가 1번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의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다음의 보다 상세한 예는
자음이 입력된 후에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중 어느 하나가 1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실제로는 이렇게 하여 글자가 입력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다음과 같이 이행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중 어느 하나가 1번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ㅏ, ㅓ, ㅗ, ㅜ’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되는 예이다.
‘ㅏ, ㅓ, ㅗ, ㅜ’를 입력하기 위한 맨 처음 글쇠만을 1번만 입력하여 ‘ㅏ, ㅓ, ㅗ, ㅜ’를 입력하는 것은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종래의 천지인 방식에서는 2타가 필요한 ‘ㅏ, ㅓ, ㅗ, ㅜ’를 1타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자음 + ­ + 모음이 아닌 것'인 상황에서는
‘­ ’를 ‘ㅓ’로 대체하여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자면,
‘ㄱ + ­ + ㅅ’으로 타이핑하면 ‘것’이 입력되고,
‘ㄱ + ­ + 공백’으로 타이핑하면 ‘거’가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자음 + i + 모음이 아닌 것'인 상황에서는
‘i ’를 ‘ㅗ’로 대체하여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자면,
‘ㄱ + i + ㅅ’으로 타이핑하면 ‘곳’이 입력되고,
‘ㄱ + i + 공백’으로 타이핑하면 ‘고’가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아니면, ‘ㅏ, ㅓ, ㅗ, ㅜ’를 입력하기 위한 맨 처음 글쇠가 무엇인지는 상관없이 그냥 다음과 같이 규정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앞의 실시예 들에서도 다음의 실시 예처럼, 임의로 규정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자음 + ­ + 모음이 아닌 것'인 상황에서는
‘­ ’를 ‘ㅏ’로 대체하여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자면,
‘ㄱ + ­ + ㅅ’으로 타이핑하면 ‘갓’이 입력되고,
‘ㄱ + ­ + 공백’으로 타이핑하면 ‘가’가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자음 + i + 모음이 아닌 것'인 상황에서는
‘i ’를 ‘ㅜ’로 대체하여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자면,
‘ㄱ + i + ㅅ’으로 타이핑하면 ‘굿’이 입력되고,
‘ㄱ + i + 공백’으로 타이핑하면 ‘구’가 입력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의 보다 상세한 예는
자음이 입력된 후에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중 어느 하나가 1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실제로는 이렇게 하여 글자가 입력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다음과 같이 이행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중 어느 하나가 1번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ㅑ ,ㅕ, ㅛ, ㅠ’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되는 예이다.
‘ㅑ ,ㅕ, ㅛ, ㅠ'를 입력하기 위한 맨 처음 글쇠만을 1번만 입력하여 ‘ㅑ ,ㅕ, ㅛ, ㅠ'를 입력하는 것은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종래의 천지인 방식에서는 3타가 필요한 ‘ㅑ ,ㅕ, ㅛ, ㅠ'를 1타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자음 + ­ + 모음이 아닌 것'인 상황에서는
‘­ ’를 ‘ㅕ’로 대체하여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자면,
‘ㄱ + ­ + ㅅ’으로 타이핑하면 ‘겻’이 입력되고,
‘ㄱ + ­ + 공백’으로 타이핑하면 ‘겨’가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자음 + i + 모음이 아닌 것'인 상황에서는
‘i ’를 ‘ㅛ’로 대체하여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자면,
‘ㄱ + i + ㅅ’으로 타이핑하면 ‘굣’이 입력되고,
‘ㄱ + i + 공백’으로 타이핑하면 ‘교’가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아니면, ‘ㅑ ,ㅕ, ㅛ, ㅠ'를 입력하기 위한 맨 처음 글쇠가 무엇인지는 상관없이 그냥 다음과 같이 규정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앞의 실시예 들에서도 다음의 실시 예처럼, 임의로 규정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자음 + ­ + 모음이 아닌 것'인 상황에서는
‘­ ’를 ‘ㅑ’로 대체하여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자면,
‘ㄱ + ­ + ㅅ’으로 타이핑하면 ‘걋’이 입력되고,
‘ㄱ + ­ + 공백’으로 타이핑하면 ‘갸’가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자음 + i + 모음이 아닌 것'인 상황에서는
‘i ’를 ‘ㅠ’로 대체하여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자면,
‘ㅇ + i + ㅅ’으로 타이핑하면 ‘윳’이 입력되고,
‘ㄱ + i + 공백’으로 타이핑하면 ‘규’가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참고로,
자음이 입력된 후에
큰 세로긋기(ㅣ), 큰 가로긋기(ㅡ) 중 어느 하나가 1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ㅏ, ㅓ, ㅗ, ㅜ ,ㅑ ,ㅕ, ㅛ, ㅠ’ 중 어느 하나로 입력되는 것은 실제로는 구현하는 것은 무리이다.
왜냐하면,
자음이 입력된 후에
큰 세로긋기(ㅣ)가 1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는 늘 존재하는 경우이므로, 큰 세로긋기(ㅣ)는 큰 세로긋기(ㅣ) 그대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큰 가로긋기(ㅡ)가 1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는 늘 존재하는 경우이므로, 큰 세로긋기(ㅡ)는 큰 세로긋기(ㅡ) 그대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하지만, 억지로 라도 다음과 같이 이행되게 할 수도 있다.
'자음 + ㅣ + 모음이 아닌 것'인 상황에서는
‘ㅣ ’를 ‘ㅏ’로 대체하여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자면,
‘ㄱ + ㅣ + ㅅ’으로 타이핑하면 ‘갓’이 입력되고,
‘ㄱ + ㅣ + 공백’으로 타이핑하면 ‘가’가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자음 + ㅡ + 모음이 아닌 것'인 상황에서는
‘ ㅡ ’를 ‘ㅜ’로 대체하여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자면,
‘ㄱ + ㅡ + ㅅ’으로 타이핑하면 ‘굿’이 입력되고,
‘ㄱ + ㅡ + 공백’으로 타이핑하면 ‘구’가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자음 + ㅣ + 모음이 아닌 것'인 상황에서는
‘ㅣ ’를 ‘ㅑ’로 대체하여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자면,
‘ㄱ + ㅣ + ㅅ’으로 타이핑하면 ‘걋’이 입력되고,
‘ㄱ + ㅣ + 공백’으로 타이핑하면 ‘갸’가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자음 + ㅡ + 모음이 아닌 것'인 상황에서는
‘ ㅡ ’를 ‘ㅠ’로 대체하여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자면,
‘ㅇ + ㅡ + ㅅ’으로 타이핑하면 ‘윳’이 입력되고,
‘ㄱ + ㅡ + 공백’으로 타이핑하면 ‘유’가 입력되게 할 수 있다.
여태까지 설명한 것을 요약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자음이 입력된 후에
세로긋기 (ㅣ), 작은 가로긋기 (­), 작은 세로긋기 (i), 또는 큰 가로긋기 (ㅡ) 중 어느 하나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예:자음, 공백, 특수문자, 아무것도 입력되지 않음)이 입력되는 경우에
세로긋기 (ㅣ), 작은 가로긋기 (­), 작은 세로긋기 (i), 또는 큰 가로긋기 (ㅡ) 중 어느 하나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리 될 수도 있다"이다.
위의 요약 정리를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또는 큰 가로긋기(ㅡ) 로 세분화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음이 입력된 후에
세로긋기(ㅣ)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큰 세로긋기(ㅣ)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리 될 수도 있다.
(만약, N값이 2이상인 경우에는 위의 문장에서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라는 조건을 삭제하여서도 무방하다. 왜냐하면, 한글 어법상 큰 세로긋기( ㅣ)만 2번 이상 입력되는 것만으로 구성되는 모음은 없기 때문에 정하기 나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글 어법상 모음 앞에는 당연히 자음이 있어야 하기도 하고, 한글 어법에는 맞지는 않지만, 자음이 없는 상태에서 모음 조합을 구현할 수도 있으므로, 위의 문장에서 " 자음이 입력된 후에"라는 조건까지도 삭제할 수도 있다.
만약, " 자음이 입력된 후에"라는 조건까지도 삭제된 문장을 이해를 돕기 위하여 써보면 다음과 같은데, 다른 경우에도 다음 문장을 보면 쉽게 상황에 맞게 구성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큰 세로긋기(ㅣ)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경우에, 큰 세로긋기(ㅣ)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리 될 수도 있다.")
2. 자음이 입력된 후에
작은 가로긋기(­)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작은 가로긋기(­)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리 될 수도 있다.
(만약, N값이 1이상인 경우에는 위의 문장에서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라는 조건을 삭제하여서도 무방하다. 왜냐하면, 한글 어법상 작은 가로긋기(­)만 1번 이상 입력되는 것만으로 구성되는 모음은 없기 때문에 정하기 나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글 어법상 모음 앞에는 당연히 자음이 있어야 하기도 하고, 한글 어법에는 맞지는 않지만, 자음이 없는 상태에서 모음 조합을 구현할 수도 있으므로, 위의 문장에서 " 자음이 입력된 후에"라는 조건까지도 삭제할 수도 있다. )
3. 자음이 입력된 후에
작은 세로긋기(i)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작은 세로긋기(i)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될 수도 있다.
(만약, N값이 1이상인 경우에는 위의 문장에서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라는 조건을 삭제하여서도 무방하다. 왜냐하면, 한글 어법상 작은 작은 세로긋기( i)만 1번 이상 입력되는 것만으로 구성되는 모음은 없기 때문에 정하기 나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글 어법상 모음 앞에는 당연히 자음이 있어야 하기도 하고, 한글 어법에는 맞지는 않지만, 자음이 없는 상태에서 모음 조합을 구현할 수도 있으므로, 위의 문장에서 " 자음이 입력된 후에"라는 조건까지도 삭제할 수도 있다. )
4. 자음이 입력된 후에
가로긋기(ㅡ)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큰 가로긋기(ㅡ)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리 될 수도 있다.
(만약, N값이 2이상인 경우에는 위의 문장에서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라는 조건을 삭제하여서도 무방하다. 왜냐하면, 한글 어법상 큰 가로긋기( ㅡ)만 2번 이상 입력되는 것만으로 구성되는 모음은 없기 때문에 정하기 나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글 어법상 모음 앞에는 당연히 자음이 있어야 하기도 하고, 한글 어법에는 맞지는 않지만, 자음이 없는 상태에서 모음 조합을 구현할 수도 있으므로, 위의 문장에서 " 자음이 입력된 후에"라는 조건까지도 삭제할 수도 있다. )
만약, 위의 요약 정리에서 N값이 1인 경우에 있어서 가장 추천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자음이 입력된 후에
큰 세로긋기(ㅣ)가 1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큰 세로긋기(ㅣ)가 1번 입력되는 것이,
'ㅣ'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2. 자음이 입력된 후에
작은 가로긋기(­)가 1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작은 가로긋기(­)가 1번 입력되는 것이,
'ㅓ'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3. 자음이 입력된 후에
작은 세로긋기(i)가 1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작은 세로긋기(i)가 1번 입력되는 것이,
'ㅗ'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4. 자음이 입력된 후에
큰 가로긋기(ㅡ)가 1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큰 가로긋기(ㅡ)가 1번 입력되는 것이,
'ㅡ'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만약, 위의 요약 정리에서 N값이 2인 경우에 있어서 가장 추천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자음이 입력된 후에
큰 세로긋기(ㅣ)가 2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큰 세로긋기(ㅣ)가 2번 입력되는 것이,
'ㅏ'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2. 자음이 입력된 후에
작은 가로긋기(­)가 2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작은 가로긋기(­)가 2번 입력되는 것이,
'ㅓ'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3. 자음이 입력된 후에
작은 세로긋기(i)가 2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작은 세로긋기(i)가 2번 입력되는 것이,
'ㅗ'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4. 자음이 입력된 후에
큰 가로긋기(ㅡ)가 2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큰 가로긋기(ㅡ)가 2번 입력되는 것이,
'ㅜ'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만약, 위의 요약 정리에서 N값이 3인 경우에 있어서 가장 추천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자음이 입력된 후에
큰 세로긋기(ㅣ)가 3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큰 세로긋기(ㅣ)가 3번 입력되는 것이,
'ㅑ'(또는 '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2. 자음이 입력된 후에
작은 가로긋기(­)가 3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작은 가로긋기(­)가 3번 입력되는 것이,
'ㅕ'(또는 'ㅔ')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3. 자음이 입력된 후에
작은 세로긋기(i)가 3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작은 세로긋기(i)가 3번 입력되는 것이,
'ㅚ'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4. 자음이 입력된 후에
큰 가로긋기(ㅡ)가 3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큰 가로긋기(ㅡ)가 3번 입력되는 것이,
'ㅟ'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만약, 위의 요약 정리에서 N값이 4인 경우에 있어서 가장 추천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자음이 입력된 후에
큰 세로긋기(ㅣ)가 4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큰 세로긋기(ㅣ)가 4번 입력되는 것이,
'ㅒ')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2. 자음이 입력된 후에
작은 가로긋기(­)가 4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작은 가로긋기(­)가 4번 입력되는 것이,
'ㅖ')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3. 자음이 입력된 후에
작은 세로긋기(i)가 4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작은 세로긋기(i)가 4번 입력되는 것이,
'ㅘ'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4. 자음이 입력된 후에
큰 가로긋기(ㅡ)가 4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큰 가로긋기(ㅡ)가 4번 입력되는 것이,
'ㅝ'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만약, 위의 요약 정리에서 N값이 5인 경우에 있어서 가장 추천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자음이 입력된 후에
큰 세로긋기(ㅣ)가 5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큰 세로긋기(ㅣ)가 5번 입력되는 것이,
'ㅒ')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2. 자음이 입력된 후에
작은 가로긋기(­)가 5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작은 가로긋기(­)가 5번 입력되는 것이,
'ㅖ')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3. 자음이 입력된 후에
작은 세로긋기(i)가 5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작은 세로긋기(i)가 5번 입력되는 것이,
'ㅙ'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4. 자음이 입력된 후에
큰 가로긋기(ㅡ)가 5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큰 가로긋기(ㅡ)가 5번 입력되는 것이,
'ㅞ'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그리고, 도1과 같이 'ㅣ', '점(.)', 'ㅡ '을 이용하여 모든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일반적인 천지인 방식에도 위에서 개념을 적용할 수도 있다.
"자음이 입력된 후에
'ㅣ', '점(.)', 'ㅡ ' 중 어느 하나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예:자음, 공백, 특수문자, 아무것도 입력되지 않음)이 입력되는 경우에
'ㅣ', '점(.)', 'ㅡ ' 중 어느 하나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될 수도 있다"이다.
위의 일반적인 천지인 방식에 대한 요약 정리를 'ㅣ', '점(.)', 'ㅡ ' 로 세분화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음이 입력된 후에
'ㅣ'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ㅣ'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될 수도 있다.
(만약, N값이 2이상인 경우에는 위의 문장에서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라는 조건을 삭제하여서도 무방하다. 왜냐하면, 한글 어법상 'ㅣ'만 2번 이상 입력되는 것만으로 구성되는 모음은 없기 때문에 정하기 나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글 어법상 모음 앞에는 당연히 자음이 있어야 하기도 하고, 한글 어법에는 맞지는 않지만, 자음이 없는 상태에서 모음 조합을 구현할 수도 있으므로, 위의 문장에서 " 자음이 입력된 후에"라는 조건까지도 삭제할 수도 있다. )
2. 자음이 입력된 후에
'점(.)'이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점(.)'이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될 수도 있다.
(만약, N값이 1이상인 경우에는 위의 문장에서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라는 조건을 삭제하여서도 무방하다. 왜냐하면, 한글 어법상 '점(.)'만 1번 이상 입력되는 것만으로 구성되는 모음은 없기 때문에 정하기 나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글 어법상 모음 앞에는 당연히 자음이 있어야 하기도 하고, 한글 어법에는 맞지는 않지만, 자음이 없는 상태에서 모음 조합을 구현할 수도 있으므로, 위의 문장에서 " 자음이 입력된 후에"라는 조건까지도 삭제할 수도 있다. )
3. 자음이 입력된 후에
'ㅡ '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ㅡ '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리 될 수도 있다.
(만약, N값이 2이상인 경우에는 위의 문장에서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라는 조건을 삭제하여서도 무방하다. 왜냐하면, 한글 어법상 'ㅡ '만 2번 이상 입력되는 것만으로 구성되는 모음은 없기 때문에 정하기 나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글 어법상 모음 앞에는 당연히 자음이 있어야 하기도 하고, 한글 어법에는 맞지는 않지만, 자음이 없는 상태에서 모음 조합을 구현할 수도 있으므로, 위의 문장에서 " 자음이 입력된 후에"라는 조건까지도 삭제할 수도 있다. )
만약, 위의 일반적인 천지인 방식에 대한 요약 정리에서 N값이 1인 경우에 있어서 가장 추천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자음이 입력된 후에
'ㅣ'가 1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ㅣ'가 1번 입력되는 것이,
'ㅣ'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2. 자음이 입력된 후에
'점(.)'이 1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점(.)'이 1번 입력되는 것이,
'ㅏ'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3. 자음이 입력된 후에
'ㅡ '가 1번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ㅡ '가 1번 입력되는 것이,
'ㅡ'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만약, 위의 일반적인 천지인 방식에 대한 요약 정리에서 N값이 2인 경우에 있어서 가장 추천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자음이 입력된 후에
'ㅣ'가 1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ㅣ'가 2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ㅗ'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2. 자음이 입력된 후에
'점(.)'이 2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점(.)'이 2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ㅓ'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3. 자음이 입력된 후에
'ㅡ '가 2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ㅡ '가 2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ㅜ'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만약, 위의 일반적인 천지인 방식에 대한 요약 정리에서 N값이 3인 경우에 있어서 가장 추천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자음이 입력된 후에
'ㅣ'가 3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ㅣ'가 3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ㅚ'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2. 자음이 입력된 후에
'점(.)'이 3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점(.)'이 3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ㅒ'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3. 자음이 입력된 후에
'ㅡ '가 3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ㅡ '가 3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ㅟ'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만약, 위의 일반적인 천지인 방식에 대한 요약 정리에서 N값이 4인 경우에 있어서 가장 추천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자음이 입력된 후에
'ㅣ'가 4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ㅣ'가 4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ㅘ'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2. 자음이 입력된 후에
'점(.)'이 4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점(.)'이 4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ㅖ'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3. 자음이 입력된 후에
'ㅡ '가 4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ㅡ '가 4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ㅝ'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만약, 위의 일반적인 천지인 방식에 대한 요약 정리에서 N값이 5인 경우에 있어서 가장 추천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1. 자음이 입력된 후에
'ㅣ'가 5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ㅣ'가 5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ㅙ'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2. 자음이 입력된 후에
'점(.)'이 5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점(.)'이 5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ㅖ'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3. 자음이 입력된 후에
'ㅡ '가 5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ㅡ '가 5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ㅞ'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됨.
여태까지 설명한 방법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자음의 배치는 자판 및 글자 배정 등에 있어서 아무것이든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적용되는 기기는 기계적인 장치인건 전자적인 장치인건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다.
그래서, 물리적인 키보드를 가진 장치, 터치스크린 키보드를 가진 장치, 레이저 키보드를 가진 장치, 홀로그램 키보드를 가진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자판의 형식에도 상관이 적용할 수 있다.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또는 큰 가로긋기(ㅡ) 용 기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본원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도면에 표시된 기호와 다른 기호(예: '·', '‥' , '*', '#', '♥')로 버튼에 표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

Claims (40)

  1.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장치에서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에 있어서,
    작은 가로긋기(­), 또는 작은 세로긋기(i) 용 기호가 배정된 버튼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되게 사용되어 한글 모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장치에서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에 있어서,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와 큰 가로긋기(ㅡ) 용 기호가 배정된 버튼만 사용되어 다음의 한글 모음 21개 모두가 입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한글 모음 21개 :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제1항에 있어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장치에서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에 있어서,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또는 큰 가로긋기(ㅡ) 용 기호가 배정되어 있는 버튼만 사용되어 다음의 한글 모음 18 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입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한글 모음 18개 :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3. 제2항에 있어서,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와 큰 가로긋기(ㅡ) 용 기호가 자판의 어느 한 행에만 배정되어 있는 자판을 통하여 한글 모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와 큰 가로긋기(ㅡ) 용 기호가 자판의 맨 위 행에만 배정되어 있는 자판을 통하여 한글 모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음 버튼들은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와 큰 가로긋기(ㅡ) 용 기호가 배정된 영역외부에 있는
    3행 3열의 배열 안에 포함될 수 있도록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음 버튼들은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와 큰 가로긋기(ㅡ) 용 기호가 배정된 영역외부에 있는
    3행 4열의 배열 안에 포함될 수 있도록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와 큰 가로긋기(ㅡ) 용 기호가 자판의 어느 한 열에만 배정되어 있는 자판을 통하여 한글 모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와 큰 가로긋기(ㅡ) 용 기호가 자판의 맨 위 행에만 배정되어 있는 자판을 통하여 한글 모음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음 버튼들은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와 큰 가로긋기(ㅡ) 용 기호가 배정된 영역외부에 있는
    3행 3열의 배열 안에 포함될 수 있도록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음 버튼들은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와 큰 가로긋기(ㅡ) 용 기호가 배정된 영역외부에 있는
    3행 4열의 배열 안에 포함될 수 있도록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
  12. .
  13. .
  14. .
  15. 제1항 또는 제2항에에 있어서,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또는 큰 가로긋기(ㅡ) 용 기호가 연속으로 2번 입력되는 것이
    다음의 한글 모음 21개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한글 모음 21개 :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16. 제15항에 있어서,
    큰 세로긋기(ㅣ)용 기호가 연속으로 2번 입력되는 것이
    'ㅏ' 또는 'ㅑ'가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작은 가로긋기(­)용 기호가 연속으로 2번 입력되는 것이
    'ㅓ' 또는 'ㅕ'가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작은 세로긋기(i)용 기호가 연속으로 2번 입력되는 것이
    'ㅗ' 또는 'ㅛ'가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큰 가로긋기(ㅡ)용 기호가 연속으로 2번 입력되는 것이
    'ㅜ' 또는 'ㅠ'가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또는 큰 가로긋기(ㅡ) 용 기호가 1번 입력되는 것이
    다음의 한글 모음 21개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한글 모음 21개 :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21. 제20항에 있어서,
    작은 가로긋기(­)용 기호가 연속으로 1번 입력되는 것이
    'ㅏ', 'ㅑ', 'ㅓ' 또는 'ㅕ'가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작은 세로긋기(i)용 기호가 연속으로 2번 입력되는 것이
    'ㅗ', 'ㅛ', 'ㅜ', 또는 'ㅠ'가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또는 큰 가로긋기(ㅡ)을 이용하여 모든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방식에 있어서,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또는 큰 가로긋기(ㅡ) 중 어느 하나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경우에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또는 큰 가로긋기(ㅡ) 중 어느 하나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큰 세로긋기(ㅣ)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경우에, 큰 세로긋기(ㅣ)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작은 가로긋기(­)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경우에, 작은 가로긋기(­)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작은 세로긋기(i)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경우에, 작은 세로긋기(i)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큰 가로긋기(ㅡ)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경우에, 큰 가로긋기(ㅡ)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ㅣ', '점(.)', 'ㅡ '을 이용하여 모든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일반적인 천지인 방식에 있어서,
    'ㅣ', '점(.)', 'ㅡ ' 중 어느 하나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경우에
    'ㅣ', '점(.)', 'ㅡ ' 중 어느 하나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ㅣ'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경우에, 'ㅣ'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점(.)'이 N번 (연속) 입력되는 경우에, '점(.)'이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28항에 있어서,
    자음이 입력된 후에
    'ㅡ '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ㅡ '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또는 큰 가로긋기(ㅡ)을 이용하여 모든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방식에 있어서,
    자음이 입력된 후에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또는 큰 가로긋기(ㅡ) 중 어느 하나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예:자음, 공백, 특수문자, 아무것도 입력되지 않음)이 입력되는 경우에
    큰 세로긋기(ㅣ), 작은 가로긋기(­), 작은 세로긋기(i), 또는 큰 가로긋기(ㅡ) 중 어느 하나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자음이 입력된 후에
    큰 세로긋기(ㅣ)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큰 세로긋기(ㅣ)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자음이 입력된 후에
    작은 가로긋기(­)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작은 가로긋기(­)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2항에 있어서,
    자음이 입력된 후에
    작은 세로긋기(i)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작은 세로긋기(i)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32항에 있어서,
    자음이 입력된 후에
    큰 가로긋기(ㅡ)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큰 가로긋기(ㅡ)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ㅣ', '점(.)', 'ㅡ '을 이용하여 모든 한글 모음을 입력하는 일반적인 천지인 방식에 있어서,
    자음이 입력된 후에
    'ㅣ', '점(.)', 'ㅡ ' 중 어느 하나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예:자음, 공백, 특수문자, 아무것도 입력되지 않음)이 입력되는 경우에
    'ㅣ', '점(.)', 'ㅡ ' 중 어느 하나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자음이 입력된 후에
    'ㅣ'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ㅣ'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자음이 입력된 후에
    '점(.)'이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점(.)'이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37항에 있어서,
    자음이 입력된 후에
    'ㅡ '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 후에 모음이 아닌 것이 입력되는 경우에, 'ㅡ '가 N번 (연속) 입력되는 것이,
    기본모음 10개(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와 복모음 11개(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 라는 21개 모음 중 어느 1개의 글자로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20168236A 2019-12-06 2022-12-05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20230014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236A KR20230014675A (ko) 2019-12-06 2022-12-05 한글 모음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120A KR20190137762A (ko) 2019-12-06 2019-12-06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1020220168236A KR20230014675A (ko) 2019-12-06 2022-12-05 한글 모음 입력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120A Division KR20190137762A (ko) 2019-12-06 2019-12-06 한글 모음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675A true KR20230014675A (ko) 2023-01-30

Family

ID=690033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120A KR20190137762A (ko) 2019-12-06 2019-12-06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1020220168236A KR20230014675A (ko) 2019-12-06 2022-12-05 한글 모음 입력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120A KR20190137762A (ko) 2019-12-06 2019-12-06 한글 모음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137762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762A (ko)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6041B2 (en) Keyboard layout for mouse or rocker switch text entry
US20120326988A1 (en) Multilingual key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6681518B2 (ja) 文字入力装置
US20130057478A1 (en) Ethiopic computer keyboard
JP5404657B2 (ja) タッチ式文字入力装置及び方法
KR20230014675A (ko)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102459508B1 (ko) 일본어 문자 입력기 및 입력 방법
JP3738066B2 (ja) 画面タッチ式入力装置
KR20150047413A (ko) 버튼에 배정된 특정 그룹 문자 배정 변환 방법
JP5650345B2 (ja) 子音英字キーからの母音英字及び仮名によるフリック操作方法。
JP2022094941A (ja)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文字入力装置
KR101380502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진 전자기기의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장치 및 한글입력방법
KR20190091227A (ko) 한글 모음 입력 방법
CN105373235B (zh) 一种输入变音符号字母的方法
KR20150131662A (ko) 문자입력시 문자 조합 조건 확장
KR20210097686A (ko)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20230128238A (ko) 3d 터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및 문자 수정 방법
KR20140036101A (ko) 한글 모음 입력 방법
WO2023248323A1 (ja)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文字入力装置
KR101171721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27195A (ko) 한글자음 필기인식과 터치인식 조합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20220039662A (ko) 숫자 또는 도메인 입력을 쉽게 하는 키보드
GB2536823A (en) Alphabetical keyboard of computer or mobile phone
KR200289761Y1 (ko) 컴퓨터용 키보드의 자판배열 구조
KR20230123905A (ko) 워드프로세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