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481A - 스팀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스팀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481A
KR20230014481A KR1020210095873A KR20210095873A KR20230014481A KR 20230014481 A KR20230014481 A KR 20230014481A KR 1020210095873 A KR1020210095873 A KR 1020210095873A KR 20210095873 A KR20210095873 A KR 20210095873A KR 20230014481 A KR20230014481 A KR 20230014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let
heater device
recovery chamb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민
서국정
박진현
진종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5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4481A/ko
Priority to PCT/KR2022/007845 priority patent/WO2023003163A1/ko
Publication of KR20230014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481A/ko
Priority to US18/417,877 priority patent/US2024015939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or steam circulating in tubes or duc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06F39/00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22B1/285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the water being fed by a pump to the reservo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스팀 발생 장치가 개시된다. 본 스팀 발생 장치는 제1 유입구, 제2 유입구, 스팀 토출구 및 배수구를 포함하는 회수 챔버, 일단으로 물이 유입되고, 타단이 제1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1 파이프, 일단이 배수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2 파이프 및 제1 및 제2 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는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팀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STEAM GENERATOR AND CLOTHES CAR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구동 효율이 증대되고 컴팩트한 크기를 갖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스팀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팀 발생 장치는, 수조에 수용된 물을 직접 끓여 스팀을 생성하는 수조식 스팀 발생 장치와 펌프를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보일러를 통과시켜 스팀을 생성하는 순간식 스팀 발생 장치로 구분된다.
수조식 스팀 발생 장치는, 큰 크기의 수조를 수용할 충분한 공간을 필요로 하며, 초기 스팀 발생 속도가 느리고, 에너지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순간 스팀 발생 장치는 스팀 발생량이 작고, 보일러의 국부적 냉각에 의한 내구성 문제 및 펌프와 히터의 제어 로직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구동 효율이 증대되고 컴팩트한 크기를 갖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스팀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는, 제1 유입구, 제2 유입구, 스팀 토출구 및 배수구를 포함하는 회수 챔버, 일단으로 물이 유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1 파이프, 일단이 상기 배수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2 파이프 및 상기 제1 및 제2 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는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 장치는, 열을 외측으로 발산하는 열선 부재 및 상기 제1 파이프 및 상기 열선 부재를 일체화시키는 몰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이프 및 상기 열선 부재는 상기 몰딩 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열선 부재는 상기 제1 파이프보다 상기 몰딩 부재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파이프는, 상기 몰딩 부재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열선 부재를 둘러싸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가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딩 부재는 알루미늄, 구리, 금 및 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파이프는 상기 히터 장치의 측면을 감싸는 재 가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 가열 영역은, 상기 제2 파이프의 일단과 연결되는 선단이 상기 히터 장치의 하면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파이프의 타단과 연결되는 후단이 상기 히터 장치의 상면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재 가열 영역은 3도 이상 10도 이하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수 챔버는 상기 히터 장치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는 상기 회수 챔버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회수 챔버의 하면은 상기 배수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수 챔버의 하면은 2도 이상 10도 이하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파이프의 일단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펌프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파이프의 일단으로부터 물을 회수하는 회수 펌프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 발생 장치는, 상기 회수 챔버 및 상기 히터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을 커버하는 단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는, 의류 관리실 및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스팀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 발생 장치는, 제1 유입구, 제2 유입구, 스팀 토출구 및 배수구를 포함하는 회수 챔버, 일단으로 물이 유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1 파이프, 일단 및 타단이 상기 배수구 및 상기 제2 유입구와 각각 연결되는 제2 파이프 및 상기 제1 및 제2 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는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이프는, 상기 히터 장치를 통과하는 제1 나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이프는, 상기 히터 장치를 감싸는 제2 나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나선부를 따라 흐르는 물은 하향으로 흐르고, 상기 제2 나선부를 따라 흐르는 물은 상향으로 흐를 수 있다.
상기 제1 나선부는 상기 제2 나선부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입구, 상기 제2 유입구 및 상기 배수구는 상기 회수 챔버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제1 유입구 및 상기 제2 유입구 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수 챔버는 상기 히터 장치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히터 장치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히터 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의 각 실시 예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설명한 것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부 구성요소는 변경 또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독립적인 장치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가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는 본체(10) 및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의류 관리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고, 의류 관리실(11) 및 기계실(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본체(10)의 의류 관리실(11)을 개폐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은 의류(C)를 수용할 수 있다. 기계실(12)은 의류 관리실(11)의 하측에 배치되어, 의류 관리실(11) 내부의 공기를 가열 또는 제습하는 장치들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팀 발생 장치(1000, 도 2)는 기계실(12)에 배치되고, 의류 관리실(11)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팀 발생 장치(1000)는 기계실(12)로부터 의류 관리실(11)을 향하여 토출 경로(S)를 따라 상측으로 스팀을 토출할 수 있다.
의류 관리실(11)에 수용되는 의류(C)는 기계실(12)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및 스팀에 의해 먼지 또는 이물질이 제거되며, 의류(C)에 베인 냄새가 제거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히터 장치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발생 장치(1000)는 회수 챔버(100), 제1 파이프(200), 제2 파이프(300) 및 히터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수 챔버(100)는 제1 유입구(110), 제2 유입구(120), 스팀 토출구(130) 및 배수구(1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수 챔버(100)는 기체 상태의 스팀 및 액체 상태의 물을 내부 공간에 수용할 수 있다.
회수 챔버(100)내에 수용되는 액체 상태의 물은 자중에 의해 배수구(140)를 통해 회수 챔버(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파이프(200)는 일단(201)으로 물이 유입되고, 타단(202)이 제1 유입구(1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파이프(300)는 일단(301)이 배수구(140)와 연결되고, 타단(302)이 제2 유입구(1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파이프(200, 300)는 STS(Stainless Steel), 알루미늄, 동, 구리,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히터 장치(400)는 제1 및 제2 파이프(200, 300)를 따라 이동하는 물을 가열시킬 수 있다.
제1 파이프(200)의 일단(201)으로 유입되는 물은 히터 장치(400)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으로 상변화할 수 있다. 이후, 제1 파이프(200) 내의 스팀은 제1 파이프(200)의 타단(202) 및 회수 챔버(100)의 제1 유입구(110)를 통해 회수 챔버(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스팀은 회수 챔버(100)의 스팀 토출구(130)를 통하여 회수 챔버(10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스팀 토출구(130)는 회수 챔버(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밀도가 작은 스팀이 스팀 토출구(130)를 통하여 토출 경로(S)를 따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회수 챔버(100)는 히터 장치(40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파이프(200, 300) 중 히터 장치(400)와 인접한 부분에서 상변화되는 저밀도의 스팀은 상측의 회수 챔버(100)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1 파이프(200)를 통하여 이동하는 물 중 일부는 상변화가 되지 않고 액상으로 제1 유입구(110)를 통하여 회수 챔버(1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여 저류될 수 있다. 이 때, 회수 챔버(100)의 내부 공간에 저류된 물은 상변화 직전 상태의 고온일 수 있다.
회수 챔버(100)의 내부 공간에 저류된 고온의 물은 자중에 의하여 배수구(140)를 통해 제2 파이프(300)의 일단(30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제2 파이프(300)를 따라 이동하는 고온의 물은 히터 장치(400)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으로 용이하게 상변화될 수 있다.
즉, 제1 파이프(200)를 따라 이동하면서 미처 상변화되지 못한 고온의 물도, 제2 파이프(3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조금만 재 가열되어도 스팀으로 상변화되므로, 스팀 발생 장치(1)의 스팀 발생 효율이 증대되고 종래의 순간식 스팀 발생 장치보다 스팀 발생량이 증가할 수 있다.
히터 장치(400)는 열선 부재(410) 및 몰딩 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열선 부재(410)는 열을 외측으로 발산할 수 있다. 몰딩 부재(420)는 제1 파이프(200) 및 열선 부재(410)를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 장치(400)는 파이프와 열선 사이의 체결 및 고정 구조가 생략되므로, 전체적으로 슬림화될 수 있으며 기계실(12) 내부에 추가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몰딩 부재(420)는 다이 캐스팅(die casting) 공법에 의하여 제1 파이프(200) 및 열선 부재(410)를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열선 부재(410)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시즈 히터(sheathe heate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몰딩 부재(420)는 알루미늄, 구리, 금 및 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몰딩 부재(420)는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열선 부재(410)로부터 제1 파이프(200)로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파이프(200) 및 열선 부재(410)는 몰딩 부재(420)를 관통할 수 있다. 열선 부재(410)는 제1 파이프(200)보다 몰딩 부재(4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선 부재(410)로부터 발생한 열은 열선 부재(410)보다 외측에 배치된 제1 파이프(200)로 몰딩 부재(420)를 통하여 손실 없이 이동할 수 있다.
만약, 열선 부재(410)가 제1 파이프(200)보다 몰딩 부재(420)의 외측에 배치된다면, 열선 부재(410)로부터 발생한 열 중 일부는 제1 파이프(200)로 전달되지 못하고, 외부로 무의미하게 발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선 부재(410)와 제1 파이프(200)의 배치 관계에 따르면, 열선 부재(410)로부터 제1 파이프(200)로의 열 전달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제1 파이프(200)는 몰딩 부재(420)에 의해 커버되고, 열선 부재(410)를 둘러싸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가열 영역(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선형의 가열 영역(210)은 열선 부재(410)와 긴 구간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열선 부재(410)로부터 가열 영역(210)으로의 열 전달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제2 파이프(300)는 히터 장치(400)의 측면(401)을 감싸는 재 가열 영역(310)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 장치(400)의 측면(401)은 몰딩 부재(420)의 측면일 수 있다. 즉, 회수 챔버(100)의 배수구(140)로부터 제2 파이프(300)로 이동한 물은 히터 장치(400)와 인접한 재 가열 영역(310)을 통과하면서 스팀으로 상변화될 수 있다.
즉, 제1 파이프(200)는 히터 장치(400)를 통과하는 제1 나선부(S1)를 포함하고, 제2 파이프(300)는 히터 장치(400)를 감싸는 제2 나선부(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나선부(S1)를 따라 흐르는 물은 히터 장치(400)에 의해 1차 가열될 수 있고, 제2 나선부(S2)를 따라 흐르는 물은 히터 장치(400)에 의해 2차 가열될 수 있다.
제2 파이프(300)의 재 가열 영역(310)은 히터 장치(4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나선부(S1)는 제2 나선부(S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 장치(400)로부터 외부로 발산되는 열이 제2 파이프(300)를 따라 이동하는 물을 가열하는 데 재활용되므로, 스팀 발생 장치(1)의 열 전달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제2 파이프(300)의 재 가열 영역(310)은 히터 장치(400)의 측면(401)에 볼트 체결 또는 용접으로 체결될 수 있으나, 체결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 가열 영역(310)의 선단(311)은, 제2 파이프(300)의 일단(301)과 연결되고 히터 장치(400)의 하면(403)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재 가열 영역(310)의 후단(312)은 제2 파이프(300)의 타단(302)과 연결되고 히터 장치(400)의 상면(402)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히터 장치(400)의 상면(402) 및 하면(403)은 각각 몰딩 부재(420)의 상면 및 하면일 수 있다.
제1 나선부(S1)를 따라 흐르는 물은 중력 및 급수 펌프 장치(500)에 의해 하향으로 흐를 수 있다. 제2 나선부(S2)를 따라 흐르는 물은 회수 챔버(100)로부터 낙하하는 물의 가압력 및 상변화에 따른 밀도 변화에 의해 상향으로 흐를 수 있다.
즉, 재 가열 영역(310)은 히터 장치(400)의 전체 높이에 대응되는 긴 구간에서 히터 장치(400)와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히터 장치(400)의 측면(401)으로부터 외부로 발산되는 열을 대부분 전달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 가열 영역(310)은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3도 이상 10도 이하의 각도(a2)로 상향 경사지게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재 가열 영역(310)은 선단(311)으로부터 후단(312)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액상의 물로부터 가열되어 상변화되는 스팀은 밀도가 낮아져 상승하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즉, 재 가열 영역(310)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나선형의 구조를 가짐에 따라, 재 가열 영역(310) 내에서 액상의 물로부터 상변화된 스팀은 역류하지 않고 제2 유입구(120)를 향하여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배수구(140)는 회수 챔버(100)의 하면(150)에 배치되고, 회수 챔버(100)의 하면(150)은 배수구(14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유입구(110), 제2 유입구(120) 및 배수구(140)는 회수 챔버(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배수구(140)는 제1 유입구(110) 및 제2 유입구(120) 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수 챔버(100)에 저류되는 액상의 물은 회수 챔버(100)에 고이지 않고 배수구(140)를 통하여 제2 파이프(300)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수 챔버(100)의 하면(150)은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2도 이상 10도 이하의 각도(a1)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수 챔버(100)에 수용된 액상의 물이 배수구(140)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수 챔버(100)의 하면(150)이 큰 각도로 하향 경사져서 배수구(140)로 물이 과도하게 배출되어 제2 파이프(300)상에서 물이 적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스팀 발생 장치(1000)는, 제1 파이프(200)의 일단(201)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펌프 장치(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 펌프 장치(500)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 수조로부터 제1 파이프(200)의 일단(201)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수조 내에 물을 충전할 수 있다. 급수 펌프 장치(500)는 제1 파이프(200)내의 압력이 1바(bar) 내지 1.5바가 되도록 제1 파이프(200)의 일단(201)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팀 발생 장치(1000)의 프로세서(미도시)는 급수 펌프 장치(500)가 먼저 작동 된 후,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초이내) 후 히터 장치(400)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파이프(200) 내의 물이 충분히 채워진 후 히터 장치(400)가 구동되므로, 과열에 의한 히터 장치(400)의 손상 및 제1 파이프(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스팀 발생 장치(1000)는 온도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히터 장치(400)의 상면(402)과 인접한 곳에 배치되어, 제1 파이프(200)를 따라 이동하는 물 중 히터 장치(400)를 통과한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온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PID 제어 방식으로 기설정된 온도의 스팀이 히터 장치(400)로부터 토출되도록 히터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스팀 발생 장치(1000)는, 제1 파이프(200)의 일단(201)으로부터 물을 회수하는 회수 펌프 장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수 펌프 장치(600)는 물이 회수되는 수조, 제1 파이프(200)의 일단(201)으로부터 수조로 물이 회수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이프(200)의 온도가 60도 이내로 유지되도록 히터 장치(400)를 제어한 상태에서, 급수 펌프 장치(500) 및 회수 펌프 장치(600)를 구동하여, 파이프 내의 스케일(scale)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 스케일링 용액은 회수 펌프 장치(600)의 수조로 배출될 수 있다.
스팀 발생 장치(1000)는, 회수 챔버(100) 및 히터 장치(400)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을 커버하는 단열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열 부재는 제2 파이프(300)의 재 가열 영역(310)의 외면까지 커버할 수 있다. 단열 부재는 슬렌텍스(slentex), 글라스 울(glass wool), 세라믹 울(ceramic wool) 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열이 회수 챔버(100)나 히터 장치(400)의 외부로 전달되지 않으므로, 단열 부재는 회수 챔버(100) 내의 스팀 및 물의 온도를 유지시키며 히터 장치(400)로부터 제1 및 제2 파이프(200, 300)로의 열전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히터 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열선 부재(410)가 제1 파이프(200)의 가열 영역(210)의 내측에 배치되고, 가열 영역(210)은 열선 부재(420)를 둘러싸도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나선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열 영역(210)은 히터 장치(400)의 하면(403)과 인접할 때까지 하강하다가 상승하여 히터 장치(400)의 상면(402)을 관통하고 회수 챔버(100)와 연결될 수 있다. 히터 장치(400)는 제1 파이프(200)가 긴 구간에서 열선 부재(42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술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슬림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파이프(300)는 도 2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히터 장치(400)의 측면(401)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파이프(200), 열선 부재(410) 및 제2 파이프(300)가 Y축 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이프(200)와 열선 부재(410)는 몰딩 부재(420)에 의해 일체화되어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이프(300)는 히터 장치(400)의 외면에 배치되어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제1 파이프(200) 및 제2 파이프(300)는 반드시 나선형의 구조로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수차례 절곡 형성되어 긴 구간에서 열선 부재(410)로부터 높은 효율로 열을 전달받을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의류 관리 장치 100: 회수 챔버
200: 제1 파이프 300: 제2 파이프
400: 히터 장치 500: 급수 펌프 장치
600: 회수 펌프 장치 1000: 스팀 발생 장치

Claims (20)

  1. 제1 유입구, 제2 유입구, 스팀 토출구 및 배수구를 포함하는 회수 챔버;
    일단으로 물이 유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1 파이프;
    일단이 상기 배수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2 파이프; 및
    상기 제1 및 제2 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는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 장치;를 포함하는 스팀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장치는,
    열을 외측으로 발산하는 열선 부재 및
    상기 제1 파이프 및 상기 열선 부재를 일체화시키는 몰딩 부재를 포함하는 스팀 발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 및 상기 열선 부재는 상기 몰딩 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열선 부재는 상기 제1 파이프보다 상기 몰딩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는 스팀 발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는,
    상기 몰딩 부재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열선 부재를 둘러싸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가열 영역을 포함하는 스팀 발생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부재는 알루미늄, 구리, 금 및 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스팀 발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이프는 상기 히터 장치의 측면을 감싸는 재 가열 영역을 포함하는 스팀 발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 가열 영역은,
    상기 제2 파이프의 일단과 연결되는 선단이 상기 히터 장치의 하면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파이프의 타단과 연결되는 후단이 상기 히터 장치의 상면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스팀 발생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 가열 영역은 3도 이상 10도 이하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스팀 발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챔버는 상기 히터 장치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스팀 발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회수 챔버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회수 챔버의 하면은 상기 배수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스팀 발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챔버의 하면은 2도 이상 10도 이하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스팀 발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의 일단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펌프 장치;를 더 포함하는 스팀 발생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의 일단으로부터 물을 회수하는 회수 펌프 장치;를 더 포함하는 스팀 발생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챔버 및 상기 히터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외면을 커버하는 단열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팀 발생 장치.
  15. 의류 관리실 및 기계실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기계실에 배치되고, 상기 의류 관리실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스팀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 발생 장치는,
    제1 유입구, 제2 유입구, 스팀 토출구 및 배수구를 포함하는 회수 챔버,
    일단으로 물이 유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1 파이프,
    일단이 상기 배수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유입구와 연결되는 제2 파이프, 및
    상기 제1 및 제2 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는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 장치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는, 상기 히터 장치를 통과하는 제1 나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이프는, 상기 히터 장치를 감싸는 제2 나선부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선부를 따라 흐르는 물은 하향으로 흐르고,
    상기 제2 나선부를 따라 흐르는 물은 상향으로 흐르는, 의류 관리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선부는 상기 제2 나선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의류 관리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구, 상기 제2 유입구 및 상기 배수구는 상기 회수 챔버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구는 상기 제1 유입구 및 상기 제2 유입구 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의류 관리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챔버는 상기 히터 장치 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의류 관리 장치.
KR1020210095873A 2021-07-21 2021-07-21 스팀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KR20230014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873A KR20230014481A (ko) 2021-07-21 2021-07-21 스팀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PCT/KR2022/007845 WO2023003163A1 (ko) 2021-07-21 2022-06-02 스팀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US18/417,877 US20240159391A1 (en) 2021-07-21 2024-01-19 Steam generator and clothes care apparatus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873A KR20230014481A (ko) 2021-07-21 2021-07-21 스팀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481A true KR20230014481A (ko) 2023-01-30

Family

ID=8498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873A KR20230014481A (ko) 2021-07-21 2021-07-21 스팀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59391A1 (ko)
KR (1) KR20230014481A (ko)
WO (1) WO202300316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8102A (ja) * 1995-12-21 1997-07-11 Miura Co Ltd 誘導加熱式蒸気発生器
AU2002319908A1 (en) * 2002-07-05 2004-01-23 Polti S.P.A. Equipment for steam generation for household appliance
KR100704337B1 (ko) * 2005-07-19 2007-04-10 전치문 스팀발생을 위한 재가열 히팅장치
CN101956970B (zh) * 2010-10-08 2013-06-26 晶辉科技(深圳)有限公司 蒸汽发生装置及其控制方法、家用电蒸箱
KR20180133365A (ko) * 2018-12-06 2018-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59391A1 (en) 2024-05-16
WO2023003163A1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356B1 (ko) 조리기기
CN1890510B (zh) 换热器及具有该换热器的清洗装置
CN101213408B (zh) 流体加热装置及具有该流体加热装置的洗净装置
CN101180425A (zh) 洗衣机
RU2008134718A (ru) Парогенератор и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с ним
KR200430701Y1 (ko) 순간가열식 전기 보일러
KR20100054148A (ko) 물 예열 섹션을 갖는 보일러
KR20230014481A (ko) 스팀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KR20060118822A (ko) 스크류관을 내장한 전기온수장치
ATE273411T1 (de) Wasserführendes haushaltgerät
EP1774224A1 (en) Steaming device, particularly for electric household appliances
KR101196940B1 (ko) 전기 보일러
KR101868671B1 (ko) 식기세척기를 이용한 온수 공급장치
KR200442500Y1 (ko) 전기 스팀보일러
GB2090963A (en) Solar powered heating apparatus
CN209484564U (zh) 一种电加热蒸汽发生器
KR102111885B1 (ko) 온수 매트용 온수 공급장치
CN213507704U (zh) 一种蒸汽发生器及其挂烫机
KR200265356Y1 (ko) 순환매체로 오일을 이용한 전기보일러
KR20070101608A (ko) 스팀 청소기의 스팀 발생 장치
TWM544612U (zh) 電熱水器
CN214172535U (zh) 一种新型水循环半导体电锅炉
KR102490846B1 (ko) 스팀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
CN211600647U (zh) 一种可拆分的蒸汽发生器
KR100693737B1 (ko) 보일러의 열교환기 유로 형성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