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406A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406A
KR20230014406A KR1020210095709A KR20210095709A KR20230014406A KR 20230014406 A KR20230014406 A KR 20230014406A KR 1020210095709 A KR1020210095709 A KR 1020210095709A KR 20210095709 A KR20210095709 A KR 20210095709A KR 20230014406 A KR20230014406 A KR 20230014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water level
steam generator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진
제해윤
이만석
윤주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5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4406A/ko
Publication of KR20230014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06F39/00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배출되는 스팀을 상기 의류수용부로 공급하는 스팀유로, 급수펌프, 물이 저장되며 상기 급수펌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급수탱크, 상기 스팀발생기와 상기 급수펌프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상기 스팀발생기와 급수원을 연결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본 출원은 상기 의류수용부로 스팀의 공급을 요청하는 스팀공급명령을 입력받는 제어명령 확인단계; 상기 급수탱크를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로 물을 공급하는 제1모드가 급수모드로 설정돼 있으면,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기준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급수펌프를 작동시키는 펌프제어단계; 상기 급수원을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로 물을 공급하는 제2모드가 급수모드로 설정돼 있으면,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급수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제어단계; 및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스팀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스팀공급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 대상물, 또는 건조 대상물)를 세탁하는 세탁기, 건조하는 건조기, 및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실행 가능한 장치의 총칭이다.
세탁기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세탁드럼, 상기 세탁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세탁 구동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건조기는 의류가 저장되는 건조드럼, 상기 건조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건조 구동부), 및 상기 건조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세탁 구동부는 터브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터브를 관통하여 세탁드럼과 로터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반면, 건조 구동부는 모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된 풀리, 상기 풀리의 회전운동을 상기 건조드럼에 연결하는 벨트(동력전달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세탁 구동부는 모터의 회전축이 세탁드럼과 로터를 연결시키도록 구비된다. 의류의 세탁이나 탈수를 위해서는, 세탁 구동부가 세탁드럼의 회전수를 높게 제어하거나 세탁드럼의 회전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데, 모터의 회전축이 세탁드럼과 로터를 직접 연결하도록 구비되면 세탁드럼의 회전수 및 회전방향을 쉽게 제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종래 건조 구동부는 벨트 등의 동력전달부가 건조드럼과 모터의 회전축을 연결시키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건조기는 건조드럼의 회전수를 높게 유지할 필요성이나 건조드럼의 회전방향을 변경할 필요성이 낮기 때문에, 벨트 등의 동력전달부를 통해 건조드럼을 회전시켜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건조드럼의 회전수 및 회전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면, 건조드럼 내부에서 의류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건조기 역시 건조 시간의 단축 및 건조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종래 세탁기 중에는 로터의 회전수를 감속하여 드럼에 전달하는 구동부(감속기 및 모터)가 구비된 것이 있다(공개번호 10-2004-0071426). 감속기 및 모터가 구비된 종래 세탁기는 모터의 스테이터 및 감속기가 각각 터브에 고정되는 방식이었다. 즉, 종래 세탁기에 구비된 스테이터는 감속기에 직접 고정된 구조가 아니라 터브에 고정된 구조였다(스테이터의 진동폭과 감속기의 진동폭이 다를 수 있는 구조). 상술한 구조의 구동부는 터브와 드럼의 진동 시 로터에 연결된 입력축과 드럼에 연결된 출력축의 동심도 유지, 및 스테이터와 로터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쉽지 않은 구조였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에는 드럼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가 구비된 것이 있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스팀발생기는 의류처리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급수탱크를 통해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되거나,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구비된 급수원(수도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되었다.
본 출원은 급수탱크를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수도시설 등의 급수원으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 받을 수도 있는 스팀발생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급수탱크를 통해 스팀발생기에 물이 공급되는지, 급수원을 통해 스팀발생기에 물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스스로 판단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기 설정된 급수방식을 스스로 변경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로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드럼에 전달하되, 상기 로터의 회전중심과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의 동심(concentricity) 유지가 유리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배출되는 스팀을 상기 의류수용부로 공급하는 스팀유로, 급수펌프, 물이 저장되며 상기 급수펌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급수탱크, 상기 스팀발생기와 상기 급수펌프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상기 스팀발생기와 급수원을 연결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본 출원은 상기 의류수용부로 스팀의 공급을 요청하는 스팀공급명령을 입력받는 제어명령 확인단계; 상기 급수탱크를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로 물을 공급하는 제1모드가 급수모드로 설정돼 있으면,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기준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급수펌프를 작동시키는 펌프제어단계; 상기 급수원을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로 물을 공급하는 제2모드가 급수모드로 설정돼 있으면,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급수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제어단계; 및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스팀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스팀공급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급수모드가 상기 제1모드로 설정돼 있고, 상기 스팀공급단계가 기 설정된 공급시간동안 실행되면, 상기 급수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스팀발생기에 재급수하는 재급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모드가 상기 제2모드로 설정돼 있고, 상기 스팀공급단계가 기 설정된 공급시간동안 실행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급수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스팀발생기에 재급수하는 재급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펌프가 기 설정된 제1기준시간동안 작동되었거나 상기 급수밸브가 기 설정된 제2기준시간동안 작동되었음에도, 상기 스팀발생기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방법은 급수오류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알림단계; 및 상기 스팀공급명령의 실행을 취소하는 취소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준시간은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 시 비어있는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수위센서가 감지 가능한 최고수위에 도달하는 시간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기준시간은 상기 급수밸브의 작동 시 비어있는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수위센서가 감지 가능한 최고수위에 도달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알림단계가 실행된 횟수의 누적 값을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어명령 확인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저장단계에 저장된 누적 값을 기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는 비교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제어단계 및 상기 밸브제어단계는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누적 값이 상기 기준 값 미만일 때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누적 값이 상기 기준 값과 동일하면, 상기 급수펌프를 작동시키는 제1급수부 제어단계;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의 진행 중 상기 수위센서가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하는 제1수위감지단계;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의 진행 중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변경되지 않으면,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급수관을 개방하는 제2급수부 제어단계;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의 진행 중 상기 수위센서가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하는 제2수위감지단계; 및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의 진행 중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1모드를 상기 급수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의 진행 중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2모드를 상기 급수모드로 설정하는 급수모드 설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가 상기 제1기준시간동안 실행되었음에도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가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가 상기 제2기준시간동안 실행되었음에도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급수밸브의 작동을 종료하고 상기 스팀공급명령을 취소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단계는 상기 급수모드 설정단계의 완료 후 개시될 수 있다.
상기 기준수위는 상기 수위센서가 감지 가능한 최고수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 상기 제1수위감지단계,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 상기 제2수위감지단계, 및 상기 급수모드 설정단계는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의 개시 전 측정된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 미만일 때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누적 값이 상기 기준 값과 동일하면, 상기 급수밸브를 기 설정된 밸브제어 기준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제2급수부 제어단계;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의 완료 후 측정된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급수펌프를 기 설정된 펌프제어 기준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제1급수부 제어단계;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의 진행 중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2모드를 상기 급수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의 진행 중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1모드를 상기 급수모드로 설정하는 급수모드 설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가 상기 펌프제어 기준시간동안 실행되었음에도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을 종료하고 상기 스팀공급명령을 취소할 수 있다.
본 출원은 급수탱크를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수도시설 등의 급수원으로부터 직접 물을 공급 받을 수도 있는 스팀발생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급수탱크를 통해 스팀발생기에 물이 공급되는지, 급수원을 통해 스팀발생기에 물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스스로 판단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기 설정된 급수방식을 스스로 변경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로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드럼에 전달하되, 상기 로터의 회전중심과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의 동심(concentricity) 유지가 유리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과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건조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와 도 5는 동력전달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출력축과 드럼의 체결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스팀발생기 및 급수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세탁대상물 또는 건조대상물)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의류수용부(2)로 고온의 건조공기(상온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 실내 공기의 건조도보다 높은 건조도의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패널(17), 및 의류처리장치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커버 패널(18)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의류수용부(2)에 연통하는 투입구(111)가 구비되는데, 상기 투입구(111)는 도어(113)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컨트롤패널(11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패널(115)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의류처리장치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문자나 기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소리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로 구비될 경우 상기 의류수용부(2)는 드럼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로 구비될 경우, 상기 의류수용부(2)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의류수용부(2)가 드럼만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럼(2)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2)은 전방면과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22), 및 상기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2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커버(22)에는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221)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커버(23)에는 외기를 상기 드럼 바디(21)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구(2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21)에는 리프터(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24)는 의류가 드럼 내부에서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게 하는 수단이다. 상기 리프터(24)는 상기 전방커버(22)에서 후방커버(23)를 향해 연장된 판(board)이, 상기 드럼 바디(21)에서 상기 드럼(2)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드럼의 원주면에서 드럼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만을 위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드럼(2)에는 상기 드럼 내부를 드럼의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드럼 바디(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럼 관통홀이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술한 드럼(2)은 바디 제1지지부(12)와 바디 제2지지부(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후방커버(23)는 후술할 동력전달부(6)를 통해 상기 바디 제2지지부(1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전방커버(22)는 상기 바디 제1지지부(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바디 제1지지부(12)는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패널(11)과 전방커버(22)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패널(1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은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전방패널(11)과 전방커버(22)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은 지지패널 관통홀(122),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과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연결하는 드럼 연결바디(123),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과 상기 투입구(111)를 연결하는 패널 연결바디(12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은 상기 지지패널(12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연통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는 상기 지지패널(121)의 후방면(지지패널이 제공하는 공간 중 드럼 투입구를 향하는 면)에 고정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일단은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자유단은 상기 전방커버(22)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자유단은 상기 드럼 투입구(221)에 삽입될 수도 있고,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형성하는 전방커버(22)의 자유단(드럼 투입구의 가장자리)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는 상기 지지패널(121)의 전방면(지지패널이 제공하는 공간 중 전방패널을 향하는 면)에 고정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의 일단은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의 타단은 상기 투입구(111)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111)로 공급되는 의류는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 지지패널 관통홀(122), 드럼 연결바디(123), 및 드럼 투입구(221)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21)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에는 상기 드럼(2)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126)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구(126)에는 필터(127)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127)는 상기 드럼(2)에서 상기 배기구(126)로 이동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여과 가능한 한 어떠한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에는 상기 드럼(2)의 처짐을 방지하는 드럼 지지부(12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지지부는 상기 지지패널(121)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 제2지지부(15)는 상기 후방커버(23)와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된 고정패널(151)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고정패널(151)이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되어 의류처리장치(100)의 후방면(캐비닛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모터(5)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동부 장착홈(1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장착홈(152)은 상기 고정패널(151)이 드럼의 후방커버(23)를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는 축(출력축)이 관통하는 고정패널 관통홀(153)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3)은 상기 구동부 장착홈(15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2)이 드럼 바디(21), 상기 드럼 바디에 고정된 전방커버(22), 및 상기 드럼 바디에 고정된 후방커버(23)로 구비되면, 상기 드럼 바디(21)의 개방된 전방면과 후방면이 상기 지지패널(121)과 고정패널(151)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에 비해 드럼의 강성이 높아진다. 드럼의 강성이 높아지면, 드럼의 회전 시 드럼 바디(21)의 변형을 최소화 가능하며, 이는 드럼 바디(21)의 변형 시 드럼 바디와 지지패널 사이의 공간, 드럼 바디와 고정패널 사이의 공간에 의류가 끼이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모터의 부하를 최소화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부(3)는 상기 배기구(126)에 연결된 배기유로(31), 상기 배기유로(31)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드럼 바디(21)로 안내하는 공급유로(32), 및 상기 배기유로(31)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열교환부(3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로(31)는 상기 배기구(126)에 연결된 제1덕트(311), 상기 공급유로(32)에 연결된 제2덕트(312), 상기 제1덕트(311)와 제2덕트(312)를 연결하는 제3덕트(31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13)는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34)는 상기 배기유로(31)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 가능한 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열교환부(34)가 히트펌프(heat pump)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열교환부(34)는 상기 배기유로(31)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1열교환기(흡열부, 341), 상기 배기유로(3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열부(3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발열부, 343), 및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흡열부와 발열부를 순차적으로 거친 뒤 상기 공급덕트(32)로 이동하게 하는 팬(349)을 포함한다.
상기 흡열부(341)와 상기 발열부(343)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348)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냉매는 상기 배기유로(31)의 외부에 위치된 압축기(345)에 의해 상기 냉매관(348)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매관(348)에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347)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의 후방커버(23)에 구비된 공기 유입구(233)는 다수의 홀들이 상기 후방커버(23)의 중심(드럼의 회전중심)을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급유로(32)는 상기 고정패널(151)에 구비되어 상기 제2덕트(3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공급덕트(321), 상기 공급덕트(321) 내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 유입구(233)로 안내하는 제1유로형성부(323) 및 제2유로형성부(32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321)는 상기 고정패널(151)이 상기 후방커버(2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유로(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덕트(321)는 상기 구동부 장착홈(152)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덕트(312)의 배출구는 상기 공급덕트(321)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형성부(323)는 상기 공기 유입구(233)들이 형성하는 링(ring)의 외측 원주면(링의 두 원주면 중 긴 지름을 가진 원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유로형성부(324)는 상기 공기 유입구(233)들이 형성하는 링의 내측 원주면(링의 두 원주면 중 짧은 지름을 가진 원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형성부(323)와 제2유로형성부(324)는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공급덕트(321)에 고정될 수도 있는데, 도 3은 상기 유로형성부들(323, 324)이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유로형성부(323)의 자유단은 상기 공급덕트(321)가 형성하는 유로(링 형상의 유로)의 외측 원주면을 감싸고, 상기 제2유로형성부(324)의 자유단은 상기 공급덕트(321)가 형성하는 유로의 내측 원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유로형성부(323)와 제2유로형성부(324)는 고무나 펠트(felt)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는 상기 구동부 장착홈(152)에 위치하여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는 스테이터(51), 및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52)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로터(52)의 회전운동은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된 동력전달부(6)를 통해 상기 드럼(2)으로 전달되며, 상기 스테이터(51)는 상기 고정패널(151)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상기 스테이터(51)가 상기 동력전달부(6)에 고정되면, 상기 동력전달부(6)에 구비된 입력축(64)과 출력축(65)의 동축도(coaxiality) 유지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드럼의 회전 시 의류처리장치의 진동을 최소화 가능하고, 동력전달부의 내구성 저하를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 장착홈(152)에 위치된 모터(5)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외부 환경에 모터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모터의 내구성 향상 및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모터(5)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동부 커버(1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구동부 커버(19)는 상기 공급덕트(321)도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형상(공급덕트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321)의 외부로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뿐 아니라, 상기 공급덕트(321)에 신체가 접촉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테이터(51)는 중심에 관통홀(코어 관통홀)이 구비된 링 형상의 코어(511), 상기 코어(511)의 외측 원주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지지바(513), 상기 코어 및 지지바를 절연하는 인슐레이터(512), 및 상기 지지바(513)를 감싸도록 구비된 코일(514)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로터(52)는 디스크 형상의 로터 바디(521), 상기 로터 바디(521)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고정패널(515)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스테이터(51)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로터 원주면(522), 및 N극과 S극이 교번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로터 원주면(522)에 고정된 다수의 영구자석(52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로터(52)와 드럼의 후방커버(23)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6)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부(6)는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되는 하우징(H), 상기 하우징(H)의 바닥면(로터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입력축(64), 상기 하우징(H)의 상부면(고정패널이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출력축(65),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축(64)의 회전운동을 상기 출력축(65)으로 전달하는 기어유닛(G)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입력축(64)은 일단은 상기 로터(5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H) 내부에 위치하는 샤프트로 구비되고, 상기 출력축(65)은 일단은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H)의 내부에 위치하는 샤프트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유닛(G)은 상기 하우징(H) 내부에 위치된 입력축(64)의 일단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된 출력축(65)의 일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H)은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2)이 위치된 공간(캐비닛 내부 공간)과 분리된 공간(캐비닛 외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 내부의 열(드럼이나 건조부에서 방출되는 열)이 상기 하우징(H)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동력전달부(6)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입력축(64)은 축 고정부(54)를 통해 상기 로터 바디(5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축 고정부(54)에는 상기 입력축(64)의 일단이 고정되는 축 고정홀(54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65)은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3)에 삽입되어 상기 후방커버(23)에 연결되는데, 상기 후방커버(23)에는 상기 출력축(65)이 고정되는 축 체결부(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65)의 회전 시 상기 후방커버(23)의 중심에 작용하는 응력을 분산하기 위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하우징(H)이 고정되는 전달부 브라켓(6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6)가 고정되는 영역의 강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전달부 브라켓(61)에는 상기 출력축(65)이 관통하는 브라켓 관통홀(61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H)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고정바디(151)를 향하는 면에 개방홀이 구비된 하우징 바디(62), 및 상기 하우징 바디(62)에 고정되어 상기 개방홀을 폐쇄하는 하우징 커버(6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62)는 상기 기어유닛(G)이 장착되는 수용공간(621)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621)은 상기 입력축(64)이 고정되는 하우징 베이스(62a), 및 상기 하우징 베이스(62a)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하우징 커버(63)를 향해 연장되는 하우징 원주면(62b)을 통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바디(62)에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62a)에서 상기 로터(52)를 향해 연장되는 입력축 지지부(625)가 구비되는데, 상기 입력축 지지부(625)는 상기 하우징 바디(62)를 관통하는 입력축 관통홀(626)을 감싸는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축 관통홀(626)에 삽입된 상기 입력축(64)은 입력축 베어링(628, 629)을 통해 상기 입력축 지지부(62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입력축 베어링)은 상기 입력축 지지부(625)에 고정된 입력축 제1베어링(628), 및 상기 입력축 관통홀(626)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입력축 제1베어링(628)과 상기 로터(52) 사이에 위치하는 입력축 제2베어링(629)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63)는 상기 하우징 바디(62)에 구비된 개방홀을 개폐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5는 상기 하우징 커버(63)가 디스크 형상의 커버 바디(631)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 커버(63)는 상기 하우징 원주면(62b)에 구비된 커버 고정판(623)을 통해 상기 하우징 바디(62)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63)는 상기 커버 바디(6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출력축 관통홀(632), 상기 커버 바디(631)에서 상기 고정패널(151)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출력축 관통홀(632)를 감싸는 파이프 형상의 출력축 지지부(6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 지지부(635)에는 상기 출력축(65)을 상기 출력축 관통홀(63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출력축 베어링(638, 63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 베어링은 상기 출력축 지지부(635)에 고정되어 상기 출력축 관통홀(631) 내부에 위치하는 출력축 제1베어링(638) 및 출력축 제2베어링(639)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63)에는 상기 스테이터(51)가 고정되는 장착부(637)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637)는 상기 커버 바디(631)의 원주면을 따라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테이터(51)는 상기 인슐레이터(512)와 장착부(637)를 연결하는 볼트를 통해 상기 하우징(H)에 고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H)은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되고, 상기 스테이터(51)는 상기 장착부(637)를 통해 상기 하우징(H)에 고정되며, 상기 로터(52)는 입력축(64)을 통해 상기 하우징(H)에 고정된다. 상기 스테이터(51) 및 로터(52)는 상기 하우징(H)에 고정되므로(스테이터 및 로터는 하우징과 함께 진동하므로), 상기 입력축(64)과 출력축(65)의 동축도(coaxiality)가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기어유닛(G)은 상기 하우징 원주면(62b)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621)에 위치하는 링 기어(66), 상기 입력축(64)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621) 내부에 위치하는 주동기어(69), 상기 수용공간(622)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출력축(65)의 타단이 고정된 케이지(67), 상기 케이지(67)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주동기어(69)와 상기 링 기어(66)를 연결하는 종동기어(6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 기어(66, ring gear)는 상기 하우징 원주면(62b)에 고정되는 기어 바디(661), 상기 기어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기어 바디 관통홀(663), 및 상기 기어 바디의 내측 원주면을 따라 구비된 기어 이(665, gear teeth)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지(67)는 상기 기어 바디 관통홀(663)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출력축(65)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베이스(671), 상기 기어 바디 관통홀(663) 내부에 위치하며 중앙에 베이스 관통홀(673)이 구비된 제2베이스(672), 및 상기 제1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를 연결하며 상기 종동기어(68)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연결축(67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65)은 상기 제1베이스(671)에 고정되므로, 상기 출력축(65)의 회전 여부는 상기 케이지(67)의 회전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종동기어(68)는 상기 연결축(67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다수의 기어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면은 상기 종동기어가 제1종동기어(681), 제2종동기어(682), 및 제3종동기어(68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입력축(64)은 상기 베이스 관통홀(673)에 삽입되어 상기 출력축(65)과 동축을 형성하며, 상기 주동기어(69)에 구비된 기어 이는 상기 종동기어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종동기어들(682, 682, 683)의 기어 이에 맞물린다.
상기 출력축(65)의 회전 시 상기 후방커버(23)의 중심에 작용하는 응력을 분산하기 위해(후방커버의 내구성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출력축(65)은 축 체결부(25)를 통해 상기 드럼의 후방커버(23)에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커버(23)에는 후방커버 관통홀(231)이 구비되고, 상기 축 체결부(25)는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되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 체결부(25)에는 상기 출력축(65)이 삽입되는 체결부 관통홀(251)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 관통홀(251)에 삽입된 출력축(65)은 너트(252)를 통해 상기 축 체결부(25)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출력축의 원주면에는 나사산(651)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술한 축 체결부(25)가 드럼(2) 내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체결부 커버(2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 커버(27)는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을 폐쇄하고 상기 축 체결부(25)의 노출을 방지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 커버(27)는 볼트(273)를 통해 상기 출력축(65)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부 커버(27)에는 상기 볼트(273)가 삽입되는 커버 관통홀(271)이 구비되고, 상기 출력축(65)의 일단에는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홈(6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동력전달부(6)의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로터(52)의 회전 시 입력축(64)이 회전한다. 상기 입력축(64)에 의해 주동기어(69)가 회전하면, 상기 주동기어(69)에 맞물린 종동기어들(681, 682, 683)도 회전한다. 상기 종동기어들(681, 682, 683)은 상기 하우징 바디(62)에 고정된 상기 링 기어(66)에 맞물린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종동기어(68)의 회전 시 상기 케이지(67) 및 출력축(65)이 회전하며, 상기 출력축(65)에 고정된 상기 드럼(2)도 회전할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스팀발생기(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7)는 상기 드럼(2)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저장바디(71),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72), 및 상기 저장부(72)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7)는 급수부(8, 9)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데, 도 7은 상기 급수부가 제1급수부(8) 및 제2급수부(9)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급수부(8)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급수탱크를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7)에 물을 공급하는 수단이고, 상기 제2급수부(9)는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구비된 급수원(수도시설 등)을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7)에 물을 공급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2급수부(9)는 상기 저장바디(71)와 급수원(S, 도 2 참고)을 연결하는 급수관(91),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관(91)의 개폐를 제어하는 급수밸브(9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71)에는 상기 저장부(72)에 연결되는 공급구(제2공급구, 75)가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급수관(91)은 상기 제2공급구(75)와 급수원을 연결하는 호스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부(8)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장착바디(81), 상기 장착바디(81)에 구비된 급수펌프(83), 상기 급수펌프(8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물이 저장되는 급수탱크(82), 상기 급수펌프(83)와 상기 저장부(72)를 연결하는 연결관(8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바디(81)는 상기 급수탱크(82)가 수용되는 제1챔버(811), 상기 급수펌프(83)가 고정되는 제2챔버(81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811)와 제2챔버(812)는 격벽(813)을 통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격벽(813)에는 두 챔버를 연결하는 격벽 관통홀(814)이 구비되고, 상기 급수펌프(83)는 펌프 공급관(831)을 통해 상기 격벽 관통홀(814)에 연결된다.
상기 급수탱크(82)는 물이 저장 가능하고, 상기 제1챔버(811)에 착탈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급수탱크(82)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급수탱크(82)의 일면에는 급수탱크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탱크 공급구가 구비되고, 상기 탱크 공급구는 리드(822)를 통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82) 내부의 물은 탱크 배출구(821)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탱크 배출구(821)는 상기 급수탱크(82)가 상기 제1챔버(811)에 삽입된 때 상기 격벽 관통홀(814)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탱크 배출구(821)가 상기 격벽 관통홀(814)에 삽입된 때 상기 급수탱크(82) 내부의 물이 상기 펌프 공급관(831)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탱크 배출구(821)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격벽 관통홀(814)에는 상기 체크밸브를 개방하는 액추에이터(8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82)가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패널(18)에는 커버패널 관통홀(18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펌프(83)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연결관(85)을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7)로 공급된다. 즉, 상기 저장바디(71)에는 상기 저장부(72)에 연결되는 공급구(제1공급구, 74)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관(85)은 상기 급수펌프(83)의 배출구와 상기 제1공급구(74)를 연결하는 호스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7)는 스팀유로(76)를 통해 상기 드럼(2) 내부로 스팀을 공급한다. 상기 스팀유로(76)는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에 구비된 스팀공급구(763), 상기 저장바디(71)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부(72)에 연결된 스팀배출구(761), 및 상기 스팀배출구(761)와 스팀공급구(763)을 연결하는 스팀공급관(76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72) 내부의 수위는 수위센서(79)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79)는 전원에 연결된 다수의 전도체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수위센서(79)가 상기 저장부(72)의 상부면에서 바닥면을 향해 연장된 제1전도체(791), 및 상기 제1전도체와 다른 길이의 제2전도체(792)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저장부(72)에 물이 공급되어 상기 제1전도체(791)의 자유단과 상기 제2전도체(792)의 자유단이 모두 물에 잠기면, 두 전도체(791, 792)가 연결된 회로가 닫히게 된다. 제어부는 상기 두 전도체가 구비된 회로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저장부(72) 내부의 수위가 상기 제2전극(792)의 자유단의 높이 이상임을 알 수 있다.
상술한 구조의 스팀발생기(7)는 상기 히터(73)의 작동 시, 스팀이 상기 스팀공급관(762)을 통해 상기 드럼(2) 내부로 공급될 뿐 아니라, 상기 연결관(85)을 통해 상기 급수펌프(83)로 공급될 수도 있다. 스팀이 상기 급수펌프(83)로 공급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연결관(85)에는 연결관 밸브(8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 밸브(86)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연결관(85)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2)으로 스팀의 공급을 요청하는 스팀공급명령을 사용자가 입력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명령 확인단계(S1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명령 확인단계(S10)는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패널(115)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스팀공급명령을 입력했는지 여부를 제어부(미도시)가 판단하는 과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스팀공급명령이 입력되면(S10), 상기 제어방법은 급수모드가 제어부 또는 기타의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 상기 급수모드는 제1모드와 제2모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모드는 상기 제1급수부(8)를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7)에 물을 공급하는 모드로 설정되고, 상기 제2모드는 상기 제2급수부(9)를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7)에 물을 공급하는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모드판단단계(S12)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급수모드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스팀발생기(7)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잔류량 감지단계(S13)를 진행한다. 상기 잔류량 감지단계(S13)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위센서(79)가 포함된 회로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72) 내부의 수위를 판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7) 내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기준수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73)를 작동시켜 상기 드럼(2)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단계(S50)를 진행한다. 상기 스팀공급단계(S50)에서 상기 연결관 밸브(86)는 상기 연결관(85)을 폐쇄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수위는 상기 수위센서(79)가 감지 가능한 최고수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단계(S50)는 기 설정된 공급시간동안 상기 히터(73)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공급시간은 상기 저장부(72) 내부의 수위가 상기 제1전도체(791)의 자유단보다 낮아지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스팀공급단계(S50)는 상기 수위감지부(79)가 수위를 감지하지 못할 때까지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스팀공급단계가 완료되면(S51),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스팀발생기(7)로 물을 공급하는 재급수단계(S60)를 진행할 수 있다. 추후 다시 상기 스팀발생기(7)를 작동할 때 급수과정(S30, S40)의 진행없이 상기 히터(73)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재급수단계(S60)는 급수모드에 따라 달리 제어된다. 즉, 상기 급수모드가 상기 제1모드로 설정돼 있다면, 상기 재급수단계는 상기 급수펌프(83)를 작동시켜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과정(S61)을 실행한다. 그러나, 상기 급수모드가 상기 제2모드로 설정돼 있다면, 상기 재급수단계(S60)는 상기 급수밸브(92)를 작동시켜 상기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과정(S62)을 실행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잔류량 감지단계(S13)에서 측정된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급수단계(S30, S40)를 진행한다.
상기 급수단계는 의류처리장치에 설정된 급수모드에 따라 펌프제어단계(S30)와 밸브제어단계(S40)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과정이다.
상기 펌프제어단계(S30)는 상기 급수모드가 제1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실행되고, 상기 밸브제어단계(S40)는 상기 급수모드가 제2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실행된다.
상기 펌프제어단계(S30)는 상기 스팀발생기(7)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급수펌프(83)를 작동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밸브제어단계(S40)는 상기 스팀발생기(7)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급수밸브(92)를 작동시키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단계(S30, S40)의 개시 전 상기 제어방법은 사용자에게 급수단계가 실행 중임을 통지하는 급수알림단계(S14)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급수알림단계(S14)는 상기 컨트롤패널(115)에 구비된 표시부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펌프제어단계(S30)와 밸브제어단계(S40)는 상기 스팀발생기(7) 내부의 수위가 기준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실행되어야 하지만, 상기 급수펌프(83)나 상기 급수밸브(92)가 고장난 경우를 고려할 때, 상기 펌프제어단계(S30)의 최대 실행시간은 제1기준시간(펌프제어 기준시간)으로 설정되고, 상기 밸브제어단계(S40)의 최대 실행시간은 제2기준시간(밸브제어 기준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펌프제어단계와 상기 밸브제어단계는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기준수위에 도달하거나, 상기 급수펌프(83)나 급수밸브(92)의 작동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종료된다(S41).
상기 제1기준시간은 비어있는 상기 스팀발생기(7) 내부의 수위가 상기 수위센서(79)가 감지 가능한 최고수위에 도달하기 위해 상기 급수펌프(83)가 작동해야 하는 시간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기준시간은 비어있는 상기 스팀발생기(7) 내부의 수위가 상기 수위센서(79)가 감지 가능한 최고수위에 도달하기 위해 상기 급수밸브(92)가 작동해야 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급수펌프(83)가 상기 제1기준시간동안 작동(S30)되었거나 상기 급수밸브(92)가 상기 제2기준시간동안 작동(S40)되었음에도, 상기 스팀발생기(7)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S41)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급수오류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알림단계(S80)를 진행한다. 상기 알림단계(S80)는 상기 컨트롤패널(115)에 구비된 표시부에 문자나 기호를 표시하거나, 소리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알림단계(S80)의 진행 시, 상기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입력한 스팀공급명령의 실행을 취소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S90, 취소단계). 상기 급수단계(S30, S40)의 완료를 기다림으로 인해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건조시간 또는 세탁시간의 증가를 방지).
한편,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알림단계(S80)의 실행 시, 상기 알림단계(S80)가 실행된 횟수의 누적 값을 저장하는 저장단계(S81)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저장단계(S81)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한번 작동하는 동안 상기 알림단계(S80)가 몇회 실행되었는지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다수 회 작동하는 동안 발생한 상기 알림단계(S80)가 실행된 횟수를 모두 더한 값을 저장하는 단계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단계(S81)를 통해 제어부나 기타의 저장장치에 저장된 누적 값은 추후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 시 활용 가능한데, 도 8은 상기 제어명령 확인단계(S10) 이후 누적 값을 기준 값과 비교(S11, 비교단계)하고, 그 결과에 따라 급수모드를 재설정(S20)하는 제어방법을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저장단계(S81)에서 저장된 누적 값이 상기 기준 값 미만이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술한 잔류량 감지단계(S13), 펌프제어단계(S30), 및 밸브제어단계(S40)를 실행한다. 그러나, 상기 저장단계(S81)에서 저장된 누적 값이 상기 기준 값과 같다면, 상기 제어방법은 급수모드를 다시 설정하는 모드 재설정단계(S20)를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드 재설정단계(S20)는 상기 급수펌프(83)를 작동시키는 제1급수부 제어단계(S22),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S22)의 진행 중 상기 수위센서(79)가 상기 스팀발생기(7)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하는 제1수위감지단계(S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수위감지단계(S23)에서 측정된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방법은 제1모드를 급수모드로 설정(S231, 급수모드 설정단계)한 후 상기 스팀공급단계(S50)를 실행한다.
그러나,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S22)가 상기 제1기준시간(펌프제어 기준시간)동안 작동했음에도 상기 스팀발생기(7)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방법은 제2급수부 제어단계(S24)를 실행한다.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S24)는 상기 급수밸브(92)를 제어하여 상기 급수관(91)을 개방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S24)의 실행 중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수위센서(79)를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7)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하는 제2수위감지단계(S25)를 진행한다.
상기 제2수위감지단계(S25)에서 측정된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제2모드를 급수모드로 설정(S251, 급수모드 설정단계)한 후 상기 스팀공급단계(S50)를 실행한다.
그러나,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S24)가 상기 제2기준시간(밸브제어 기준시간)동안 실행되었음에도 상기 스팀발생기(7)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급수밸브(92)의 작동을 종료하고 상기 스팀공급명령을 취소하는 단계(S70)를 실행한다.
상기 스팀공급명령을 취소(S70)할 경우, 상기 제어방법은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알림단계(S26)를 더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모드 재설정단계(S20)는 상기 스팀발생기(7)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 미만인 경우에만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S22)의 실행 전 스팀발생기(7) 내부에 잔류하는 물의 양을 측정하는 초기수위 감지단계(S2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초기수위 감지단계(S21)에서 측정된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와 같으면, 상기 제어방법은 곧바로 상기 스팀공급단계(S50)를 실행한다. 그러나, 상기 초기수위 감지단계(S21)에서 측정된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술한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S22), 상기 제1수위감지단계(S23),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S24), 상기 제2수위감지단계(S25), 및 상기 급수모드 설정단계(S231, S251)를 실행할 수 있다.
도 8의 모드 재설정단계(S20)는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S22)가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S24)보다 먼저 실행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모드 재설정단계는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S24)가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S22)보다 먼저 실행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모드 재설정단계(S20)는 상기 급수밸브를 상기 제2기준시간(밸브제어 기준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제2급수부 제어단계(S24),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의 완료 후 측정된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급수펌프를 기 설정된 제1기준시간(펌프제어 기준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제1급수부 제어단계(S22)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수모드 설정단계(S231, S251)는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S24)의 진행 중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2모드를 상기 급수모드로 설정(S251)하고,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S22)의 진행 중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1모드를 상기 급수모드로 설정(S231)하게 될 것이다.
만약,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S22)가 상기 제1기준시간동안 실행되었음에도 상기 스팀발생기(7)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상기 급수펌프(83)의 작동을 종료하고 상기 스팀공급명령을 취소하는 단계(S70)를 실행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전방패널
12: 바디 제1지지부 121: 지지패널 122: 지지패널 관통홀
123: 드럼 연결바디 125: 패널 연결바디 15: 바디 제2지지부
151: 고정패널 18: 커버 패널 181: 커버패널 관통홀
19: 구동부 커버 2: 드럼 21: 드럼 바디
22: 전방커버 221: 드럼 투입구 23: 후방커버
233: 공기 유입구 25: 축 체결부 27: 체결부 커버
3: 건조부 31: 배기유로 32: 공급유로
34: 열교환부 5: 모터 51: 스테이터
52: 로터 54: 축 고정부 6: 동력전달부
62: 하우징 바디 621: 수용공간 625: 입력축 지지부
63: 하우징 커버 631: 커버 바디 635: 출력축 지지부
64: 입력축 65: 출력축 66: 링 기어
67: 케이지 68: 종동기어 69: 주동기어
7: 스팀발생기 71: 저장바디 72: 저장부
73: 히터 74: 제1공급구 75: 제2공급구
76: 스팀유로 761: 스팀배출구 762: 스팀공급관
763: 스팀공급구 79: 수위센서 8: 제1급수부
81: 장착바디 811: 제1챔버 812: 제2챔버
813: 격벽 814: 격벽 관통홀 815: 액추에이터
82: 급수탱크 821: 탱크 배출구 83: 급수펌프
831: 펌프 공급관 85: 연결관 86: 연결관 밸브
9: 제2급수부 91: 급수관 92: 급수밸브

Claims (15)

  1.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배출되는 스팀을 상기 의류수용부로 공급하는 스팀유로, 급수펌프, 물이 저장되며 상기 급수펌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급수탱크, 상기 스팀발생기와 상기 급수펌프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상기 스팀발생기와 급수원을 연결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류수용부로 스팀의 공급을 요청하는 스팀공급명령을 입력받는 제어명령 확인단계;
    상기 급수탱크를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로 물을 공급하는 제1모드가 급수모드로 설정돼 있으면,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기준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급수펌프를 작동시키는 펌프제어단계;
    상기 급수원을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로 물을 공급하는 제2모드가 급수모드로 설정돼 있으면,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급수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제어단계; 및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스팀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스팀공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모드가 상기 제1모드로 설정돼 있고, 상기 스팀공급단계가 기 설정된 공급시간동안 실행되면, 상기 급수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스팀발생기에 재급수하는 재급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모드가 상기 제2모드로 설정돼 있고, 상기 스팀공급단계가 기 설정된 공급시간동안 실행되면, 상기 급수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스팀발생기에 재급수하는 재급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펌프가 기 설정된 제1기준시간동안 작동되었거나 상기 급수밸브가 기 설정된 제2기준시간동안 작동되었음에도, 상기 스팀발생기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급수오류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알림단계; 및
    상기 스팀공급명령의 실행을 취소하는 취소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시간은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 시 비어있는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수위센서가 감지 가능한 최고수위에 도달하는 시간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기준시간은 상기 급수밸브의 작동 시 비어있는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수위센서가 감지 가능한 최고수위에 도달하는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단계가 실행된 횟수의 누적 값을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 확인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저장단계에 저장된 누적 값을 기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는 비교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제어단계 및 상기 밸브제어단계는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누적 값이 상기 기준 값 미만일 때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 값이 상기 기준 값과 동일하면, 상기 급수펌프를 작동시키는 제1급수부 제어단계;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의 진행 중 상기 수위센서가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하는 제1수위감지단계;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의 진행 중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변경되지 않으면, 상기 급수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급수관을 개방하는 제2급수부 제어단계;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의 진행 중 상기 수위센서가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하는 제2수위감지단계; 및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의 진행 중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1모드를 상기 급수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의 진행 중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2모드를 상기 급수모드로 설정하는 급수모드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가 상기 제1기준시간동안 실행되었음에도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가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가 상기 제2기준시간동안 실행되었음에도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급수밸브의 작동을 종료하고 상기 스팀공급명령을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단계는 상기 급수모드 설정단계의 완료 후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수위는 상기 수위센서가 감지 가능한 최고수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 상기 제1수위감지단계,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 상기 제2수위감지단계, 및 상기 급수모드 설정단계는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의 개시 전 측정된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 미만일 때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 값이 상기 기준 값과 동일하면, 상기 급수밸브를 기 설정된 밸브제어 기준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제2급수부 제어단계;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의 완료 후 측정된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급수펌프를 기 설정된 펌프제어 기준시간동안 작동시키는 제1급수부 제어단계;
    상기 제2급수부 제어단계의 진행 중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2모드를 상기 급수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의 진행 중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1모드를 상기 급수모드로 설정하는 급수모드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급수부 제어단계가 상기 펌프제어 기준시간동안 실행되었음에도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상기 급수펌프의 작동을 종료하고 상기 스팀공급명령을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10095709A 2021-07-21 2021-07-2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30014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709A KR20230014406A (ko) 2021-07-21 2021-07-2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709A KR20230014406A (ko) 2021-07-21 2021-07-2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406A true KR20230014406A (ko) 2023-01-30

Family

ID=85106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709A KR20230014406A (ko) 2021-07-21 2021-07-21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44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843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spin-drying operation of washing apparatus
EP4123075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230014406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3001440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056145A (ko) 의류처리장치
EP3613885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laundry treating device
KR20220056146A (ko) 의류처리장치
JP2006223452A (ja) ドラム式洗濯機
EP4394113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230014405A (ko) 의류처리장치
KR102248075B1 (ko)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4394114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EP4394112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EP3964636A1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KR20230063841A (ko) 의류처리장치
KR20100037448A (ko) 세탁물 처리기기
US20230145979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U2022383620A1 (en)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KR2023006346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69739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03182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69740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40092839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110885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16137091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