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4405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405A
KR20230014405A KR1020210095708A KR20210095708A KR20230014405A KR 20230014405 A KR20230014405 A KR 20230014405A KR 1020210095708 A KR1020210095708 A KR 1020210095708A KR 20210095708 A KR20210095708 A KR 20210095708A KR 20230014405 A KR20230014405 A KR 20230014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ipe
fixing
drain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이석
진동현
이만석
윤주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5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4405A/ko
Publication of KR20230014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4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유로, 및 상기 배기유로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는 공급유로가 구비된 유로부; 상기 유로부 내부에 구비된 팬, 상기 유로부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흡열부, 및 상기 유로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부가 구비된 열교환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수탱크, 상기 흡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배출되는 물이 저장되는 집수챔버, 상기 집수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배수탱크로 안내하는 배수관, 및 상기 집수챔버 내부의 물이 상기 배수관을 따라 이동하게 하는 배수펌프가 구비된 배수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탱크에서 누수된 물을 저장하고 상기 집수챔버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된 회수챔버, 및 상기 회수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집수챔버로 안내하는 회수관이 구비된 회수부; 및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고정바디, 상기 회수관을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하는 제1연결관, 및 상기 배수관을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하는 제2연결관이 구비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또는 의류의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장치의 총칭이다.
의류의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순환유로, 상기 드럼에서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제1열교환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 상기 제2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이동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
상술한 구조의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물(응축수)이 배출된다.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는 집수챔버에 저장되고, 상기 집수챔버에 저장된 물은 배수관을 통해 배수탱크에 저장되었다. 한편,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에서 배출되는 물의 양이 많으면, 응축수가 상기 배수탱크에서 의류처리장치 내부로 누수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의류처리장치에는 상기 배수탱크에서 누수되는 응축수를 집수챔버로 안내하는 회수관이 구비된 것이 있었다.
본 출원은 집수챔버에 저장된 응축수를 배수탱크로 안내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탱크에서 누수되는 물을 상기 집수챔버로 안내하는 회수관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건조대상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유로, 및 상기 배기유로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는 공급유로가 구비된 유로부; 상기 유로부 내부에 구비된 팬, 상기 유로부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흡열부, 및 상기 유로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부가 구비된 열교환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수탱크, 상기 흡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배출되는 물이 저장되는 집수챔버, 상기 집수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배수탱크로 안내하는 배수관, 및 상기 집수챔버 내부의 물이 상기 배수관을 따라 이동하게 하는 배수펌프가 구비된 배수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탱크에서 누수된 물을 저장하고 상기 집수챔버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된 회수챔버, 및 상기 회수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집수챔버로 안내하는 회수관이 구비된 회수부; 및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고정바디, 상기 회수관을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하는 제1연결관, 및 상기 배수관을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하는 제2연결관이 구비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회수관은 상기 회수챔버와 상기 제1연결관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1회수관; 및 상기 제1연결관의 배출구와 상기 집수챔버를 연결하는 제2회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집수챔버와 상기 제2연결관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 및 상기 제2연결관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배수탱크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회수관과 상기 제2회수관은 상기 제1연결관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배수관과 상기 제2배수관은 상기 제2연결관을 통해 서로 연결되었음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회수관의 원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제2회수관의 원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호스 커버; 일단은 상기 호스 커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호스 커버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커버 연결바디; 및 상기 호스 커버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하는 커버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 커버는 상기 제1회수관을 상기 제1연결관의 유입구 방향으로 가압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2회수관을 상기 제1연결관의 배출구 방향으로 가압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호스 커버는 C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호스 커버는 상기 커버 연결바디가 고정되는 커버 베이스; 상기 커버 베이스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연장판; 및 상기 커버 베이스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2연장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부는 상기 커버 베이스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1연장판에서 돌출된 커버 고정돌기; 상기 커버 고정돌기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커버 고정홀; 및 상기 커버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 고정돌기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하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고정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커버 고정돌기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고정돌기; 및 상기 커버 고정돌기가 상기 바디 고정돌기에 안착하면, 상기 커버 고정홀에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 고정돌기에 구비된 바디 고정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바디 고정돌기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 고정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커버 고정홀의 위치와 상기 바디 고정홀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장착홀; 및 상기 고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는 위치설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배수관의 원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제2배수관의 원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호스 커버; 일단은 상기 호스 커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호스 커버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커버 연결바디; 및 상기 호스 커버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하는 커버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 커버는 상기 제1배수관을 상기 제2연결관의 유입구 방향으로 가압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2배수관을 상기 제2연결관의 배출구 방향으로 가압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집수챔버에 저장된 응축수를 배수탱크로 안내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탱크에서 누수되는 물을 상기 집수챔버로 안내하는 회수관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도 1과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건조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와 도 5는 동력전달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출력축과 드럼의 체결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커넥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세탁대상물 또는 건조대상물)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의류수용부(2)로 고온의 건조공기(상온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 실내 공기의 건조도보다 높은 건조도의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 및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패널(17)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의류수용부(2)에 연통하는 투입구(111)가 구비되는데, 상기 투입구(111)는 도어(113)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컨트롤패널(11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패널(115)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의류처리장치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문자나 기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소리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로 구비될 경우 상기 의류수용부(2)는 드럼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로 구비될 경우, 상기 의류수용부(2)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의류수용부(2)가 드럼만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럼(2)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2)은 전방면과 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 상기 드럼 바디(21)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커버(22), 및 상기 드럼 바디(21)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후방커버(2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커버(22)에는 상기 드럼 바디(2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221)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커버(23)에는 외기를 상기 드럼 바디(21)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구(2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21)에는 리프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는 의류가 드럼 내부에서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게 하는 수단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의 건조만을 위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드럼(2)에는 상기 드럼 내부를 드럼의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해 상기 드럼 바디(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럼 관통홀이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술한 드럼(2)은 바디 제1지지부(12)와 바디 제2지지부(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후방커버(23)는 후술할 동력전달부(6)를 통해 상기 바디 제2지지부(1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전방커버(22)는 상기 바디 제1지지부(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바디 제1지지부(12)는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패널(11)과 전방커버(22)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패널(1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은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전방패널(11)과 전방커버(22)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은 지지패널 관통홀(122),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과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연결하는 드럼 연결바디(123),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과 상기 투입구(111)를 연결하는 패널 연결바디(12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은 상기 지지패널(12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11)와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연통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는 상기 지지패널(121)의 후방면(지지패널이 제공하는 공간 중 드럼 투입구를 향하는 면)에 고정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일단은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자유단은 상기 전방커버(22)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 연결바디(123)의 자유단은 상기 드럼 투입구(221)에 삽입될 수도 있고, 상기 드럼 투입구(221)를 형성하는 전방커버(22)의 자유단(드럼 투입구의 가장자리)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는 상기 지지패널(121)의 전방면(지지패널이 제공하는 공간 중 전방패널을 향하는 면)에 고정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의 일단은 상기 지지패널 관통홀(122)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의 타단은 상기 투입구(111)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입구(111)로 공급되는 의류는 상기 패널 연결바디(125), 지지패널 관통홀(122), 드럼 연결바디(123), 및 드럼 투입구(221)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21)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에는 상기 드럼(2)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구에는 필터(127)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127)는 상기 드럼(2)에서 상기 배기구로 이동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여과 가능한 한 어떠한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121)에는 상기 드럼(2)의 처짐을 방지하는 드럼 지지부(12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지지부는 상기 지지패널(121)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 제2지지부(15)는 상기 후방커버(23)와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된 고정패널(151)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고정패널(151)이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되어 의류처리장치(100)의 후방면(캐비닛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모터(5)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동부 장착홈(1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장착홈(152)은 상기 고정패널(151)이 드럼의 후방커버(23)를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드럼(2)을 회전시키는 축(출력축)이 관통하는 고정패널 관통홀(153)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3)은 상기 구동부 장착홈(15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2)이 드럼 바디(21), 상기 드럼 바디에 고정된 전방커버(22), 및 상기 드럼 바디에 고정된 후방커버(23)로 구비되면, 상기 드럼 바디(21)의 개방된 전방면과 후방면이 상기 지지패널(121)과 고정패널(151)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에 비해 드럼의 강성이 높아진다. 드럼의 강성이 높아지면, 드럼의 회전 시 드럼 바디(21)의 변형을 최소화 가능하며, 이는 드럼 바디(21)의 변형 시 드럼 바디와 지지패널 사이의 공간, 드럼 바디와 고정패널 사이의 공간에 의류가 끼이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모터의 부하를 최소화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부(3)는 공기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유로부(31, 32), 상기 유로부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열교환부(3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부는 상기 배기구에 연결된 배기유로(31), 및 상기 배기유로(31)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드럼 바디(21)로 안내하는 공급유로(3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로(31)는 상기 드럼(2)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배기구에 연결된 제1덕트(311), 상기 공급유로(32)에 연결된 제2덕트(312), 상기 제1덕트(311)와 제2덕트(312)를 연결하는 제3덕트(31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덕트(313)는 상기 베이스패널(17)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부(34)는 상기 배기유로(31)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진행 가능한 한 다양한 장치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열교환부(34)가 히트펌프(heat pump)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열교환부(34)는 상기 배기유로(31)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제1열교환기(흡열부, 341), 상기 배기유로(3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열부(3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발열부, 343), 및 상기 드럼(2)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흡열부와 발열부를 순차적으로 거친 뒤 상기 공급덕트(32)로 이동하게 하는 팬(349)을 포함한다.
상기 흡열부(341)와 상기 발열부(343)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냉매의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348)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냉매는 상기 배기유로(31)의 외부에 위치된 압축기(345)에 의해 상기 냉매관(348)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매관(348)에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347)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럼의 후방커버(23)에 구비된 공기 유입구(233)는 다수의 홀들이 상기 후방커버(23)의 중심(드럼의 회전중심)을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급유로(32)는 상기 고정패널(151)에 구비되어 상기 제2덕트(3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공급덕트(321), 상기 공급덕트(321) 내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 유입구(233)로 안내하는 제1유로형성부(323) 및 제2유로형성부(32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321)는 상기 고정패널(151)이 상기 후방커버(2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유로(공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덕트(321)는 상기 구동부 장착홈(152)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덕트(312)의 배출구는 상기 공급덕트(321)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형성부(323)는 상기 공기 유입구(233)들이 형성하는 링(ring)의 외측 원주면(링의 두 원주면 중 긴 지름을 가진 원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유로형성부(324)는 상기 공기 유입구(233)들이 형성하는 링의 내측 원주면(링의 두 원주면 중 짧은 지름을 가진 원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형성부(323)와 제2유로형성부(324)는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공급덕트(321)에 고정될 수도 있는데, 도 3은 상기 유로형성부들(323, 324)이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유로형성부(323)의 자유단은 상기 공급덕트(321)가 형성하는 유로(링 형상의 유로)의 외측 원주면을 감싸고, 상기 제2유로형성부(324)의 자유단은 상기 공급덕트(321)가 형성하는 유로의 내측 원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유로형성부(323)와 제2유로형성부(324)는 고무나 펠트(felt)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2)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는 상기 구동부 장착홈(152)에 위치하여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는 스테이터(51), 및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52)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로터(52)의 회전운동은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된 동력전달부(6)를 통해 상기 드럼(2)으로 전달되며, 상기 스테이터(51)는 상기 고정패널(151) 또는 상기 동력전달부(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된다.
상기 스테이터(51)가 상기 동력전달부(6)에 고정되면, 상기 동력전달부(6)에 구비된 입력축(64)과 출력축(65)의 동축도(coaxiality) 유지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드럼의 회전 시 의류처리장치의 진동을 최소화 가능하고, 동력전달부의 내구성 저하를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 장착홈(152)에 위치된 모터(5)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외부 환경에 모터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모터의 내구성 향상 및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모터(5)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 패널(1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 패널(18)는 상기 공급덕트(321)도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형상(공급덕트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321)의 외부로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할 뿐 아니라, 상기 공급덕트(321)에 신체가 접촉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테이터(51)는 중심에 관통홀(코어 관통홀)이 구비된 링 형상의 코어(511), 상기 코어(511)의 외측 원주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지지바(513), 상기 코어 및 지지바를 절연하는 인슐레이터(512), 및 상기 지지바(513)를 감싸도록 구비된 코일(514)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로터(52)는 디스크 형상의 로터 바디(521), 상기 로터 바디(521)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고정패널(515)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스테이터(51)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로터 원주면(522), 및 N극과 S극이 교번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로터 원주면(522)에 고정된 다수의 영구자석(52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로터(52)와 드럼의 후방커버(23)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6)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부(6)는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되는 하우징(H), 상기 하우징(H)의 바닥면(로터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입력축(64), 상기 하우징(H)의 상부면(고정패널이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출력축(65),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축(64)의 회전운동을 상기 출력축(65)으로 전달하는 기어유닛(G)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입력축(64)은 일단은 상기 로터(5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H) 내부에 위치하는 샤프트로 구비되고, 상기 출력축(65)은 일단은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H)의 내부에 위치하는 샤프트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유닛(G)은 상기 하우징(H) 내부에 위치된 입력축(64)의 일단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된 출력축(65)의 일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H)은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2)이 위치된 공간(캐비닛 내부 공간)과 분리된 공간(캐비닛 외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닛 내부의 열(드럼이나 건조부에서 방출되는 열)이 상기 하우징(H)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동력전달부(6)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입력축(64)은 축 고정부(54)를 통해 상기 로터 바디(5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축 고정부(54)에는 상기 입력축(64)의 일단이 고정되는 축 고정홀(541)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65)은 상기 고정패널 관통홀(153)에 삽입되어 상기 후방커버(23)에 연결되는데, 상기 후방커버(23)에는 상기 출력축(65)이 고정되는 축 체결부(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65)의 회전 시 상기 후방커버(23)의 중심에 작용하는 응력을 분산하기 위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하우징(H)이 고정되는 전달부 브라켓(6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6)가 고정되는 영역의 강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전달부 브라켓(61)에는 상기 출력축(65)이 관통하는 브라켓 관통홀(61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H)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고정바디(151)를 향하는 면에 개방홀이 구비된 하우징 바디(62), 및 상기 하우징 바디(62)에 고정되어 상기 개방홀을 폐쇄하는 하우징 커버(6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62)는 상기 기어유닛(G)이 장착되는 수용공간(621)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621)은 상기 입력축(64)이 고정되는 하우징 베이스(62a), 및 상기 하우징 베이스(62a)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하우징 커버(63)를 향해 연장되는 하우징 원주면(62b)을 통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바디(62)에는 상기 하우징 베이스(62a)에서 상기 로터(52)를 향해 연장되는 입력축 지지부(625)가 구비되는데, 상기 입력축 지지부(625)는 상기 하우징 바디(62)를 관통하는 입력축 관통홀(626)을 감싸는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축 관통홀(626)에 삽입된 상기 입력축(64)은 입력축 베어링(628, 629)을 통해 상기 입력축 지지부(62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입력축 베어링)은 상기 입력축 지지부(625)에 고정된 입력축 제1베어링(628), 및 상기 입력축 관통홀(626)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입력축 제1베어링(628)과 상기 로터(52) 사이에 위치하는 입력축 제2베어링(629)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63)는 상기 하우징 바디(62)에 구비된 개방홀을 개폐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5는 상기 하우징 커버(63)가 디스크 형상의 커버 바디(631)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 커버(63)는 상기 하우징 원주면(62b)에 구비된 커버 고정판(623)을 통해 상기 하우징 바디(62)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63)는 상기 커버 바디(6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출력축 관통홀(632), 상기 커버 바디(631)에서 상기 고정패널(151)을 향해 연장되되 상기 출력축 관통홀(632)를 감싸는 파이프 형상의 출력축 지지부(6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 지지부(635)에는 상기 출력축(65)을 상기 출력축 관통홀(63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출력축 베어링(638, 63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 베어링은 상기 출력축 지지부(635)에 고정되어 상기 출력축 관통홀(631) 내부에 위치하는 출력축 제1베어링(638) 및 출력축 제2베어링(639)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63)에는 상기 스테이터(51)가 고정되는 장착부(637)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637)는 상기 커버 바디(631)의 원주면을 따라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테이터(51)는 상기 인슐레이터(512)와 장착부(637)를 연결하는 볼트를 통해 상기 하우징(H)에 고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H)은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되고, 상기 스테이터(51)는 상기 장착부(637)를 통해 상기 하우징(H)에 고정되며, 상기 로터(52)는 입력축(64)을 통해 상기 하우징(H)에 고정된다. 상기 스테이터(51) 및 로터(52)는 상기 하우징(H)에 고정되므로(스테이터 및 로터는 하우징과 함께 진동하므로), 상기 입력축(64)과 출력축(65)의 동축도(coaxiality)가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하다.
상기 기어유닛(G)은 상기 하우징 원주면(62b)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621)에 위치하는 링 기어(66), 상기 입력축(64)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621) 내부에 위치하는 주동기어(69), 상기 수용공간(622)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출력축(65)의 타단이 고정된 케이지(67), 상기 케이지(67)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주동기어(69)와 상기 링 기어(66)를 연결하는 종동기어(6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 기어(66, ring gear)는 상기 하우징 원주면(62b)에 고정되는 기어 바디(661), 상기 기어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기어 바디 관통홀(663), 및 상기 기어 바디의 내측 원주면을 따라 구비된 기어 이(665, gear teeth)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지(67)는 상기 기어 바디 관통홀(663)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출력축(65)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1베이스(671), 상기 기어 바디 관통홀(663) 내부에 위치하며 중앙에 베이스 관통홀(673)이 구비된 제2베이스(672), 및 상기 제1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를 연결하며 상기 종동기어(68)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연결축(67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축(65)은 상기 제1베이스(671)에 고정되므로, 상기 출력축(65)의 회전 여부는 상기 케이지(67)의 회전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종동기어(68)는 상기 연결축(67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다수의 기어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면은 상기 종동기어가 제1종동기어(681), 제2종동기어(682), 및 제3종동기어(68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입력축(64)은 상기 베이스 관통홀(673)에 삽입되어 상기 출력축(65)과 동축을 형성하며, 상기 주동기어(69)에 구비된 기어 이는 상기 종동기어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종동기어들(682, 682, 683)의 기어 이에 맞물린다.
상기 출력축(65)의 회전 시 상기 후방커버(23)의 중심에 작용하는 응력을 분산하기 위해(후방커버의 내구성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출력축(65)은 축 체결부(25)를 통해 상기 드럼의 후방커버(23)에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커버(23)에는 후방커버 관통홀(231)이 구비되고, 상기 축 체결부(25)는 상기 후방커버(23)에 고정되어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 체결부(25)에는 상기 출력축(65)이 삽입되는 체결부 관통홀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 관통홀(251)에 삽입된 출력축(65)은 너트(251)를 통해 상기 축 체결부(25)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출력축의 원주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술한 축 체결부(25)가 드럼(2) 내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체결부 커버(2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 커버(27)는 상기 후방커버 관통홀(231)을 폐쇄하고 상기 축 체결부(25)의 노출을 방지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 커버(27)는 볼트(271)를 통해 상기 출력축(65)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부 커버(27)에는 상기 볼트(273)가 삽입되는 커버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출력축(65)의 일단에는 상기 볼트(271)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동력전달부(6)의 작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로터(52)의 회전 시 입력축(64)이 회전한다. 상기 입력축(64)에 의해 주동기어(69)가 회전하면, 상기 주동기어(69)에 맞물린 종동기어들(681, 682, 683)도 회전한다. 상기 종동기어들(681, 682, 683)은 상기 하우징 바디(62)에 고정된 상기 링 기어(66)에 맞물린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종동기어(68)의 회전 시 상기 케이지(67) 및 출력축(65)이 회전하며, 상기 출력축(65)에 고정된 상기 드럼(2)도 회전할 것이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열교환부(34)의 작동 시 상기 흡열부(341)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배출되는 물(응축수)의 처리를 위한 배수부(7)가 필요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부(7)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수탱크(71), 상기 흡열부(341)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배출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집수챔버(72), 상기 집수챔버(72) 내부의 물을 상기 배수탱크(71)로 안내하는 배수관(74), 및 상기 집수챔버(72) 내부의 물이 상기 배수관(74)을 따라 이동하게 하는 배수펌프(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7)는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저장바디(711), 상기 저장바디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유입구(71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712)는 상기 배수관(74)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저장바디(711) 내부로 유입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저장바디(711)가 캐비닛(1)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전방패널(11)과 지지패널(121)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인출홀(1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711)에 저장된 물은 상기 유입구(712)를 통해 배수될 수 있는데, 상기 유입구(712)를 통한 배수가 용이하도록 상기 저장바디(711)에는 연통홀(71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챔버(72)는 상기 흡열부(34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은 상기 집수챔버(72)가 상기 배기유로(31)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흡열부(341) 및 발열부(343)가 물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집수챔버(72) 내부에는 상기 흡열부(341)와 발열부(343)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탱크(71)에 저장된 물이 상기 유입구(712)나 연통홀(713)을 통해 누수될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회수부(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수부(8)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탱크(71)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바디(81), 상기 지지바디(81)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탱크(71)에서 누수된 물이 저장되는 회수챔버(82), 및 상기 회수챔버(82) 내부의 물을 상기 집수챔버(72)로 안내하는 회수관(83, 84)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81)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배수탱크(71)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바디(81)의 일면은 상기 인출홀(19)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회수챔버(82)는 상기 집수챔버(72)보다 높은 지점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중력에 의해 상기 회수챔버(82) 내부의 물이 상기 집수챔버(72)로 이동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면은 상기 회수챔버(82)는 상기 드럼(2)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집수챔버(72)는 상기 드럼(2)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 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배수관(74)과 상기 회수관(83, 84)의 조립이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배수관(74)과 회수관(83, 84)은 커넥터(9)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9)는 상기 고정패널(151)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커버 패널(18)에 고정될 수도 있는데, 도면은 상기 커넥터(9)가 상기 커버 패널(18)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9)는 상기 커버 패널(18)을 통해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는 고정바디(91), 상기 회수관(83, 84)을 상기 고정바디(91)에 고정하는 제1연결관(92), 및 상기 배수관(74)을 상기 고정바디(91)에 고정하는 제2연결관(9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91)는 상기 제1연결관(92)과 제2연결관(93)이 고정되는 공간을 형성 가능한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연결관(92)과 제2연결관(93)은 물이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파이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결관(92)은 제1연결관 유입구(921)와 제1연결관 배출구(922)가 구비된 파이프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관(93)은 제2연결관 유입구(931)와 제2연결관 배출구(932)가 구비된 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디(91)는 바디 고정부(95)를 통해 상기 커버 패널(18)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고정부(95)는 상기 고정바디(91)에서 돌출된 바디 고정돌기(951), 상기 바디 고정돌기(95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바디 고정홀(95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패널(18)에 고정되는 볼트(946)가 상기 바디 고정홀(952)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바디(91)는 상기 커버 패널(18)에 고정될 것이다.
상기 커넥터(9)의 고정 위치를 조립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바디(91)에는 위치설정돌기(911)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패널(18)에는 상기 위치설정돌기(911)가 삽입되는 장착홈 또는 장착홀(183)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수관(83, 84)은 상기 회수챔버(82)와 상기 제1연결관의 유입구(921)를 연결하는 제1회수관(83), 및 상기 제1연결관의 배출구(922)와 상기 집수챔버(82)를 연결하는 제2회수관(84)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74)은 상기 집수챔버(72)와 상기 제2연결관의 유입구(931)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741), 및 상기 제2연결관의 배출구(932)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배수탱크(71)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74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73)가 상기 집수챔버(72)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경우, 상기 제1배수관(741)은 상기 배수펌프(73)의 배출구와 상기 제2연결관 유입구(921)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2배수관(742)의 일단에는 상기 배수탱크의 유입구(712)로 물을 배출하는 노즐(74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743)은 상기 저장바디(711)가 상기 지지바디(81)에 삽입된 때 상기 유입구(71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바디(81)에 고정될 수 있다.
조립이나 수리의 용이성을 고려할 때 상기 커넥터(9)는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배수관(74) 및 회수관(83, 84)의 내구성을 고려할 때 상기 배수관 및 회수관은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되는 영역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패널(151)에는 상기 제2회수관(84)과 제1배수관(741)이 관통하는 호스 제1관통홀, 및 상기 제1회수관(83)과 제2배수관(742)이 관통하는 호스 제2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 패널(18)에는 제2회수관(84)과 제1배수관(741)이 관통하는 커버패널 제1관통홀(181), 및 상기 제1회수관(83)과 제2배수관(742)이 관통하는 커버패널 제2관통홀(182)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9)를 통해 회수관(83, 84)과 배수관(74)이 상기 커버 패널(18)에 고정된 경우, 조립이나 수리 시 어떤 연결관(92, 93)이 상기 회수관(83, 84)에 연결되었고, 어떤 연결관(92, 93)이 상기 배수관(74)에 연결되었는지 작업자가 쉽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커넥터(9)에는 상기 배수관(74)과 회수관(83, 84)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9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제1회수관(83)과 제2회수관(84)은 상기 제1연결관(92)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배수관(741)과 제2배수관(742)은 상기 제2연결관(93)을 통해 서로 연결되었음을 표시하는 표시부(9)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즉, 도 7의 표시부(9)는 상기 회수관(83, 84)이 어느 연결관(92, 93)에 연결된 상태인지 표시함으로써, 배수관(74)이 연결된 연결관의 위치도 작업자가 알 수 있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표시부(94)는 상기 제1회수관(83)의 원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제2회수관(84)의 원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호스 커버(941), 일단은 상기 호스 커버(94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바디(91)에 고정되어 상기 호스 커버(941)의 회전축(R)을 형성하는 커버 연결바디(942), 및 상기 호스 커버(941)를 상기 커버 패널(18)에 고정하는 커버 고정부(94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9의 호스 커버(941)는 상기 제1회수관(83)의 원주면 중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호스 커버(941)는 대략 C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호스 커버(941)는 상기 커버 연결바디(942)가 고정되는 커버 베이스(941a), 상기 커버 베이스(941a)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연장판(941b), 및 상기 커버 베이스(941a)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2연장판(941c)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부(943)는 상기 커버 베이스(941a)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1연장판(941b)에서 돌출된 커버 고정돌기(944), 상기 커버 고정돌기(944)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커버 고정홀(945), 및 상기 커버 고정홀(945)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 패널(18)에 고정되는 볼트(946)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9)는 하나의 볼트(946)를 통해 상기 커버 고정부(943) 및 상기 바디 고정부(95)를 상기 커버 패널(18)에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디 고정돌기(951)는 상기 커버 고정돌기(944)의 안착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바디 고정홀(952)은 상기 커버 고정돌기(944)가 상기 바디 고정돌기(951)에 안착된 때 상기 커버 고정홀(945)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바디 고정홀(952)과 커버 고정홀(945)의 정렬이 용이하도록, 상기 커넥터(9)에는 스토퍼(95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953)는 상기 바디 고정돌기(951)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 고정돌기(944)의 이동을 제한하는 수단으로, 상기 커버 고정돌기(944)가 상기 바디 고정돌기(951)에 안착한 때 상기 커버 고정홀(945) 위치와 상기 바디 고정홀(952)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표시부(94)는 상기 제1회수관(83)이 상기 제1연결관 유입구(92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2회수관(84)이 상기 제1연결관 배출구(922)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호스 커버(941)는 상기 제1회수관(83)을 상기 제1연결관의 유입구(921) 방향으로 가압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2회수관(84)을 상기 제1연결관의 배출구(922) 방향으로 가압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표시부(94)는 상기 제1배수관(741)이나 제2배수관(742)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배수관(741)의 원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제2배수관(742)의 원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호스 커버, 일단은 상기 호스 커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호스 커버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커버 연결바디, 및 상기 호스 커버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하는 커버 고정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표시부는 상기 배수관(741, 742)이 제2연결관(93)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호스 커버는 상기 제1배수관(741)을 상기 제2연결관의 유입구(931) 방향으로 가압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2배수관(742)을 상기 제2연결관의 배출구(932) 방향으로 가압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전방패널
12: 바디 제1지지부 121: 지지패널 122: 지지패널 관통홀
123: 드럼 연결바디 125: 패널 연결바디 15: 바디 제2지지부
151: 고정패널 154: 호스 제1관통홀 155: 호스 제2관통홀
152: 구동부 장착홈 153: 고정패널 관통홀 17: 베이스패널
18: 커버 패널 181: 커버패널 제1관통홀 182: 커버패널 제2관통홀
183: 장착홀 19: 인출홀 2: 드럼
21: 드럼 바디 22: 전방커버 221: 드럼 투입구
23: 후방커버 231: 후방커버 관통홀 233: 공기 유입구
25: 축 체결부 27: 체결부 커버 3: 건조부
31: 배기유로 32: 공급유로 321: 공급덕트
323: 제1유로형성부 324: 제2유로형성부 34: 열교환부
5: 모터 6: 동력전달부 62: 하우징 바디
621: 수용공간 623: 커버 고정판 625: 입력축 지지부
63: 하우징 커버 631: 커버 바디 632: 출력축 관통홀
635: 출력축 지지부 64: 입력축 65: 출력축
66: 링 기어 67: 케이지 68: 종동기어
69: 주동기어 7: 배수부 71: 배수탱크
711: 저장바디 712: 유입구 713: 연통홀
72: 집수챔버 73: 배수펌프 741: 제1배수관
742: 제2배수관 743: 노즐 8: 회수부
81: 지지바디 82: 회수챔버 83: 제1회수관
84: 제2회수관 9: 커넥터 91: 고정바디
911: 위치설정돌기 92: 제1연결관 921: 제1연결관 유입구
922: 제1연결관 배출구 93: 제2연결관 931: 제2연결관 유입구
932: 제2연결관 배출구 94: 표시부 941: 호스 커버
941a: 커버 베이스 941b: 제1연장판 941c: 제2연장판
942: 커버 연결바디 943: 커버 고정부 944: 커버 고정돌기
945: 커버 고정홀 946: 볼트 95: 바디 고정부
951: 바디 고정돌기 952: 바디 고정홀 953: 스토퍼

Claims (13)

  1.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건조대상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유로, 및 상기 배기유로 내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안내하는 공급유로가 구비된 유로부;
    상기 유로부 내부에 구비된 팬, 상기 유로부로 유입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흡열부, 및 상기 유로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열부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부가 구비된 열교환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수탱크, 상기 흡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배출되는 물이 저장되는 집수챔버, 상기 집수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배수탱크로 안내하는 배수관, 및 상기 집수챔버 내부의 물이 상기 배수관을 따라 이동하게 하는 배수펌프가 구비된 배수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탱크에서 누수된 물을 저장하고 상기 집수챔버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된 회수챔버, 및 상기 회수챔버 내부의 물을 상기 집수챔버로 안내하는 회수관이 구비된 회수부; 및
    상기 캐비닛에 고정되는 고정바디, 상기 회수관을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하는 제1연결관, 및 상기 배수관을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하는 제2연결관이 구비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관은 상기 회수챔버와 상기 제1연결관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1회수관; 및 상기 제1연결관의 배출구와 상기 집수챔버를 연결하는 제2회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집수챔버와 상기 제2연결관의 유입구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 및 상기 제2연결관의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배수탱크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수관과 상기 제2회수관은 상기 제1연결관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배수관과 상기 제2배수관은 상기 제2연결관을 통해 서로 연결되었음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회수관의 원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제2회수관의 원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호스 커버;
    일단은 상기 호스 커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호스 커버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커버 연결바디; 및
    상기 호스 커버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하는 커버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커버는 상기 제1회수관을 상기 제1연결관의 유입구 방향으로 가압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2회수관을 상기 제1연결관의 배출구 방향으로 가압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커버는 C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커버는 상기 커버 연결바디가 고정되는 커버 베이스; 상기 커버 베이스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연장판; 및 상기 커버 베이스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2연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고정부는
    상기 커버 베이스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1연장판에서 돌출된 커버 고정돌기;
    상기 커버 고정돌기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커버 고정홀; 및
    상기 커버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 고정돌기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에서 연장되며 상기 커버 고정돌기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바디 고정돌기; 및
    상기 커버 고정돌기가 상기 바디 고정돌기에 안착하면, 상기 커버 고정홀에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 고정돌기에 구비된 바디 고정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고정돌기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 고정돌기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커버 고정홀의 위치와 상기 바디 고정홀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지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장착홀; 및
    상기 고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는 위치설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배수관의 원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거나, 상기 제2배수관의 원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호스 커버;
    일단은 상기 호스 커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호스 커버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커버 연결바디; 및
    상기 호스 커버를 상기 캐비닛에 고정하는 커버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커버는 상기 제1배수관을 상기 제2연결관의 유입구 방향으로 가압하는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제2배수관을 상기 제2연결관의 배출구 방향으로 가압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10095708A 2021-07-21 2021-07-21 의류처리장치 KR202300144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708A KR20230014405A (ko) 2021-07-21 2021-07-21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708A KR20230014405A (ko) 2021-07-21 2021-07-21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405A true KR20230014405A (ko) 2023-01-30

Family

ID=8510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708A KR20230014405A (ko) 2021-07-21 2021-07-21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44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1456B1 (en) Washing machine including a drying function
EP3015590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compressor
KR102365080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081018A (ko) 세탁 건조기
KR2023001440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1440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20220251765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1920287B2 (en) Clothes dryer configured for motor cooling
US2022025176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063841A (ko) 의류처리장치
US2022025176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403987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2025177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4941234B (zh) 衣物处理装置
KR20230063467A (ko) 의류처리장치
CN117858989A (zh) 衣物处理装置
EP4227458A1 (en)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N114908519B (zh) 衣物处理装置
KR10186166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14406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14523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45241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