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1018A - 세탁 건조기 - Google Patents

세탁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1018A
KR20090081018A KR1020097011890A KR20097011890A KR20090081018A KR 20090081018 A KR20090081018 A KR 20090081018A KR 1020097011890 A KR1020097011890 A KR 1020097011890A KR 20097011890 A KR20097011890 A KR 20097011890A KR 20090081018 A KR20090081018 A KR 20090081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rotary
rotating
warm ai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1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5045B1 (ko
Inventor
히사오 다츠미
신이치로 가와바타
고지 가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90081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00Hand implements for washing purposes, e.g. sticks 
    • D06F5/02Plungers, dollies, pounders, squeezer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수조(3, 116) 및 회전조(4, 128), 상기 회전조의 축 방향 단면에 설치된 회전축(8), 건조 운전시에는 상기 회전조를 저속으로 회전시키고, 탈수 운전시에는 상기 회전조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6, 132), 상기 수조에 설치된 온풍 입구(40, 89, 124)를 통해 상기 수조 내에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 공급 수단(72, 81, 142)을 구비한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온풍 입구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근방까지 연장되는 통풍로(64)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회전축의 주위부에 개구(63, 139)를 가진 덕트 커버(61, 138)를 상기 수조에 설치하고, 또한 상기 회전조 중 상기 회전축의 주위부에 상기 온풍로를 통과한 온풍을 상기 회전조내로 인도하기 위한 도입로(66)를 설치하고, 상기 도입로 중 상기 덕트 커버와 대향하는 단부의 외부 둘레에 상기 덕트 커버 중 상기 개구의 둘레부를 향해 연장되는 시일 부재(68, 140, 152)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탁 건조기, 회전조, 시일부재

Description

세탁 건조기{WASHER-DRYER}
본 발명은 건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한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서는 수조의 외면부에 온풍 발생 장치가 고정되고, 상기 온풍 발생 장치가 발생시키는 온풍을 수조를 통해 회전조 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온풍의 공급구는 수조의 양 단부 중 개구부를 가진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는 상기 회전조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부나 상기 회전조를 구동하는 모터 등이 설치된 수조의 타단부와 달리 수조의 개구 단부쪽이 회전조로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해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회전조와 수조 사이에는 탈수시에 고속 회전되는 회전조와 수조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 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조 내에 수용된 세탁물량이 많은 경우나, 세탁물의 건조가 진행되어 세탁물의 부피가 커지는 경우 등, 회전조 내의 공기 저항이 클 때에는 온풍 공급구로부터 수조 내로 공급된 온풍의 대부분이 회전조와 수조 사이의 공간으로 향해, 건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회전조의 개구 단부에 수조와 회전조 사이를 폐쇄하는 벽 부재를 설 치하고, 건조 공정시에 수조와 회전조 사이의 공간에 온풍이 향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세탁 건조기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8683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벽 부재는 회전조가 저속으로 회전하는 건조 공정시에는 기립하여 수조와 접촉하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탈수 공정시에는 탄성 변형되어 수조로부터 이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회전조의 개구 단부는 회전축이 설치되어 있는 단부에 비해 고속 회전시에 5~10mm 정도 요동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벽 부재를 크게 하여 수조와 회전조와의 공간을 거의 완전히 폐쇄하도록 구성하면 고속 회전시에 상기 벽 부재가 수조와 접촉된다. 따라서, 벽 부재를 작게 하지 않을 수 없고, 건조 운전시에 수조와 회전조 사이의 공간을 충분히 폐쇄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건조 운전시에 수조 내에 공급되는 공기가 수조와 회전조 사이의 공간에 유입되는 것을 거의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세탁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조, 상기 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조, 상기 회전조의 축 방향 단면에 설치된 회전축, 건조 운전시에는 상기 회전조를 저속으로 회전시키고, 탈수 운전시에는 상기 회전조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 및 상기 수조에 설치된 온풍 입구를 통해 상기 수조 내에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 공급 수단을 구비한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온풍 입구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근방까지 연장되는 통풍로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회전축의 주위부에 개구를 가진 덕트 커버를 수조에 설치하며, 또한 상기 회전조 중 상기 회전축의 주위부에 상기 통풍로를 통과한 온풍을 상기 회전조 내로 인도하기 위한 도입로를 설치하고, 상기 도입로 중 상기 덕트 커버와 대향하는 단부의 외주에 상기 덕트 커버 중 상기 개구의 주연부(周緣部)를 향해 연장되는 시일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시일 부재를 상기 회전조가 저속으로 회전할 때는 상기 덕트 커버에 실질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회전조가 고속으로 회전 구동할 때는 상기 덕트 커버와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탁 건조기는 건조 운전시에 온풍 입구로부터 수조 내로 유입된 온풍은 통풍로를 통하여 개구에 이르고, 도입로를 통과하여 회전조 내로 유입된다.
이 때, 통풍로와 도입로의 접속 부분은 시일 부재에 의해 폐쇄되므로 통풍로를 통과한 온풍은 대략 확실히 도입로로 유입된다. 또한, 통풍로의 개구 및 도입로를 회전축의 주위부에 설치하고, 상기 도입로의 외주에 시일 부재를 설치했다.
고속 회전시에 회전조가 요동되는 거리는 회전축에 가까울수록 작으므로, 시일 부재의 크기를 덕트 커버와 대략 완전히 접촉하는 크기로 설정해도 고속 회전시에 시일 부재와 덕트 커버를 확실히 이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이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을 드럼식(횡축 회전형) 세탁 건조기에 적용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 건 조기(1)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외부 상자(2), 상기 외부 상자(2) 내에 설치된 원통 형상의 수조(3), 상기 수조(3) 내에 설치된 원통 형상의 회전조(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조(3) 및 회전조(4)는 세탁조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모두 중심축이 후측 하부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수조(3)는 서스펜션(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외부 상자(2)의 저면에 지지되어 있다. 수조(3)의 후단면에는 아우터로터형 브러시리스 DC 모터(6)(구동수단에 상당)가 설치되어 있다. 수조(3)의 후단면의 중앙에는 베어링(7)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7)에 상기 모터(6)의 회전축(8)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8)은 상기 수조(3)의 후단면을 관통하여 수조(3) 내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수조(3)의 후단면 중 베어링(7)의 주위부에 모터(6)의 스테이터(6a)가 고정되어 있다.
회전조(4)의 후단면의 중앙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볼록부(9)가 설치되어 잇고, 상기 볼록부(9)의 주위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고리형상 오목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리형상 오목부(10)에는 다수의 구멍부(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조(4)의 후단면에는 보강 부재(12)가 고정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 부재(12)는 상기 고리형상 오목부(10)의 내주(內周)에 끼워 맞추는 베이스부(13) 및 베이스부(13)의 외주(外周)로부터 방사 형상으로 연장되는 3개의 리브(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브(14)의 선단부는 회전조(3)의 후단부 둘레 테두리에 접촉되어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부(13)의 중앙에는 상기 볼록부(9)의 외주에 끼워 맞추는 원통 형상의 축 장착부(15)가 설치되고, 상 기 축 장착부(15) 및 상기 볼록부(9)에 회전축(8)의 선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모터(6)의 로터(6b)는 상기 회전축(8)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구성에 의해 모터(6)의 로터(6b)와 일체적으로 회전조(4)가 회전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조(4)의 주벽부(周壁部)에는 통수구멍 및 통기구멍으로서 기능하는 다수의 구멍(16)이 설치되고, 상기 주벽부의 내부에는 복수의 배플(1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조(3)의 후측 하부에는 배수구(18)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18)에는 세탁 배수관(19)을 통해 배수 호스(20)가 연결되어 있다. 세탁 배수관(19)과 배수 호스(20)의 연결 부분에는 세탁용 배수 밸브(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부 상자(2)의 전면(前面)(도 1에 있어서 좌측면)에는 세탁물을 출입하기 위한 개구(22) 및 상기 개구(22)를 개폐하는 덮개(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조(3) 및 회전조(4)의 전단면에는 상기 개구(22)에 대응하는 개구(24, 2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외부 상자(2)의 개구(22) 및 수조(3)의 개구(24)는 벨로즈(2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외부 상자(2) 내의 상부의 후부에는 급수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 급수 장치(2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부 상자(2) 내의 상부의 전부에는 세제 투입기(28)가 배치되어 있다. 세제 투입기(28)와 급수 장치(27)는 급수 호스(29)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외부 상자(2) 내 중 상기 수조(3)의 하부에는 통기 덕트(3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통기 덕트(30) 내의 후단부에는 송풍 팬(31)이 배치되고, 상기 통 기 덕트(30) 내의 전부 및 도중부에는 증발기(32) 및 응축기(3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부 상자(2) 내의 하부에는 상기 증발기(32) 및 응축기(33)와 함께 히트펌프를 구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압축기 및 캐필러리 튜브가 설치되어 있다. 증발기(32), 응축기(33), 압축기 및 캐필러리 튜브는 냉매 유통 파이프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압축기가 구동됨으로써 냉매가 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기 덕트(30)의 후단면에는 송풍 팬(31)을 구동하는 팬 모터(38)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통기 덕트(30) 내의 전단부에는 린트 필터(39)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린트 필터(39)는 외부 상자(2)의 전면 하부의 개구(2a)를 통해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조(3)의 후면부의 상부에는 온풍 입구(40)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전면부의 상부에는 온풍 출구(4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통기 덕트(30)의 후단부의 상부와 상기 온풍 입구(40)는 급기 덕트(42)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통기 덕트(30)의 전단부의 상부와 상기 온풍 출구(41)는 배기 덕트(43)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팬모터(38)가 구동되면 송풍 팬(31)의 송풍 작용에 의해 수조(3) 및 회전조(4) 내의 공기가 온풍 출구(41)로부터 배기 덕트(43) 내로 흡입되어 통기 덕트(30)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통기 덕트(30) 내의 증발기(32), 응축기(33)를 통과한 후, 급기 덕트(42)를 통해 온풍 입구(40)로부터 수조(3) 내로 토출된다. 따라서, 통기 덕트(30), 히트 펌프(34), 송풍 팬(31), 팬 모터(38) 등으로 온풍 공급 수단으로서의 온풍 공급 장치(72)가 구성된다.
또한, 통기 덕트(30)의 저부 중 증발기(32) 보다도 전방 부분은 한단 내려가 있고, 그 한단 내려간 부분에 드레인구(4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통기 덕트(30) 중 증발기(32)와 응축기(33) 사이의 부분은 증발기(32)로부터 응축기(33)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상기 드레인구(44)에는 제습 배수관(45)을 통해 배수 호스(20)가 접속되어 있다. 제습 배수관(45)과 배수 호스(20)의 접속 부분에는 제습용 배수 밸브(46)가 설치되어 있다.
도 9는 배수 호스(20)와 세탁 배수관(19) 및 제습 배수관(45)의 연결 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용 배수 밸브(21) 및 제습용 배수 밸브(46)는 모두 전동 조작 밸브(벨로즈 밸브)로 구성되어 있고, 하단부에 밸브구를 구비한 통 형상의 밸브 본체(51), 상기 밸브 본체(51) 내에 배치되어 상기 밸브구를 개폐하는 벨로즈(52), 상기 벨로즈(52) 내에 고정된 중공 형상의 밸브봉(53), 상기 밸브봉(53)의 외주에 배치된 복귀 스프링(54), 및 상기 밸브봉(53) 내에 배치된 인장 코일 스프링(5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55)의 상단부는 구동 수단으로서의 기어드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어드 모터가 구동됨으로써 대응하는 배수 밸브의 벨로즈(52)가 복귀 스프링(54)에 저항하여 상하 이동한다. 그 결과, 세탁용 배수 밸브(21), 제습용 배수 밸브(46)가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회전조(4)의 후단부의 구멍부(11)와 온풍 입구(40) 사이에 설치된 온풍 취입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3)의 후단부의 전면에는 덕트 커버(6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덕트 커버(61)는 온풍 입구(40)의 주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직선 부(61a)와 베어링(7)의 주위부에 위치하는 고리형상부(61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덕트 커버(61)의 외주연부에는 전체에 걸쳐 플랜지(6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62)가 수조(3)의 후단부의 전면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이 때, 회전축(8)은 상기 고리형상부(61b)의 내주연부로부터 이간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8)과 고리형상부(61b) 사이에 연통구(63)(개구에 상당)가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수조(3)의 후단부와 덕트 커버(61) 사이에는 온풍 입구(40)로부터 연통구(63)를 향해 연장되는 통풍로(64)가 형성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부재(12)의 베이스부(13) 중 축 장착부(15)와 상기 베이스부(13)의 주벽부(周壁部) 사이에는 방사 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 예를 들면 16개의 핀(6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인접하는 핀(65)과 핀(65) 사이에는 대략 부채꼴 형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16개의 부채꼴 형상의 공간 중 절반은 전후 양 단부가 개구되어 있고 도입로(66)로 되어 있다. 나머지 절반 공간은 전단부는 개구되어 있지만 후단부는 폐쇄되어 있다. 전후 양 단부가 개구된 공간(도입로(66))과 후단부가 폐쇄되어 있는 공간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3)의 후단부 외주에는 계단부(6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계단부(67)에는 고리형상 시일 부재(68)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시일 부재(68)는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상부(69), 통형상부(69)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립부(70), 상기 립부(70)의 선단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웨이트부(71)로 구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68)는 립 부(70) 및 웨이트부(71)를 후측을 향해 통형상부(69)를 베이스부(13)의 계단부(67)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보강 부재(12)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조(4)가 회전 구동되면 웨이트부(71)에 원심력이 가해진다. 원심력의 크기는 웨이트부(71)의 질량, 회전조(4)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웨이트부(71)까지의 거리, 회전조(4)의 회전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회전조(4)의 회전 속도가 커지면 그에 따라 웨이트부(71)에 가해지는 원심력이 커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조(4)가 저속으로 회전하는 세탁 공정 및 건조 공정시에는 립부(70)는 자신의 강성에 의해 기립하고, 덕트 커버(61) 중 통기구(63)의 둘레 테두리 부근에 거의 접촉한다. 또한, 회전조(4)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탈수공정시는 웨이트부(71)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립부(70)는 직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덕트 커버(61)로부터 이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립부(70)가 덕트 커버(61)로부터 이간된 상태를 도 10에 도시한다.
계속해서, 상기 구성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세탁 건조기(1)는 표준적인 운전 코스가 개시되면 세탁 공정, 탈수 공정, 및 건조 공정이 차례로 실행된다. 세탁 공정은 급수 장치(27)가 구동되어 수조(3) 내로 급수되는 동작이 실시된다. 그리고, 수조(3) 내에 소정량의 물이 급수되면 모터(6)가 구동되어 회전조(4)가 정역 방향으로 저속으로 회전된다. 이 때, 시일 부재(68)의 웨이트부(71)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작으므로 립부(70)는 탄성 변형되지 않고, 덕트 커버(61)와 접촉 상태에 있다.
탈수 공정은 수조(3) 내의 물을 배출한 후, 회전조(4)를 고속으로 한 방향으 로 회전시키는 동작이 실시된다. 이 때문에 회전조(4) 내의 세탁물은 회전조(4)의 주벽부 내면에 부착된 상태로 회전되고, 원심 탈수된다. 이 때, 웨이트부(71)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크므로 립부(70)는 탄성 변형되고, 덕트 커버(61)로부터 이간된다(도 10 참조). 이 때문에 시일 부재(68)가 마모되는 것 및 시일 부재(68)와 덕트 커버(61)가 접촉하는 것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건조 공정에서는 회전조(4)를 정역 방향으로 저속으로 회전시키면서 회전조(4) 내에 온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하는 동작이 실시된다. 즉, 팬모터(38)의 구동이 개시되고, 송풍팬(31)의 송풍 작용에 의해 수조(3) 내의 공기가 온풍 출구(41)로부터 배기 덕트(43)를 거쳐 통기 덕트(30) 내로 유입된다.
한편, 히트 펌프(34)를 구성하는 압축기(35)의 구동이 개시된다. 그 결과, 고온 고압의 냉매가 응축기(33)로 흘러 통기 덕트(30) 내의 공기와 열교환된다. 이에 의해 냉매의 온도는 저하되어 액화되고, 캐필러리 튜브(36)를 통과한 후, 증발기(32)로 유입된다. 캐필러리 튜브(36)를 통과할 때 냉매는 감압되고, 저온 저압의 기액 혼합 상태가 된다. 또한, 응축기(33)와 열교환하여 가열된 공기는 급기 덕트(42)를 통해 온풍 입구(40)로 향하고, 수조(3) 내로 유입된다.
이 때, 회전조(4)의 회전 속도가 작고, 웨이트부(71)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작으므로 립부(70)는 탄성 변형되지 않고 기립 상태에 있다. 따라서, 시일 부재(68)의 립부(70)와 덕트 커버(61)는 접촉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온풍 입구(40)로부터 수조(3) 내의 통풍로(64)로 유입된 공기(온풍)의 대부분은 회전조(4)와 수조(3) 사이의 공간으로 향하지 않고 연통구(63)를 통해 도입로(66)을 향해 구 멍부(11)로부터 회전조(4) 내로 유입된다. 회전조(4) 내로 유입된 온풍은 세탁물의 수분을 빼앗은 후, 온풍 출구(41)로부터 배기 덕트(43)를 거쳐 통기 덕트(21)로 복귀된다.
또한, 증발기(32)로 유입된 저온의 냉매는 통기 덕트(30) 내의 공기와 열교환된다. 이에 의해 배기 덕트(43)를 통해 통기 덕트(30) 내로 유입된 습한 공기는 냉각되고, 공기 중의 수분이 증발기(32)의 표면에 결로된다. 증발기(32)의 표면에 결로된 수분은 드레인구(44)로부터 제습 배수관(45) 내로 배출되고, 배수 호스(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증발기(32)를 통과한 냉매는 온도가 상승하여 압축기(35)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통기 덕트(30)와 회전조(4) 사이를 공기가 순환함으로써 회전조(4) 내의 세탁물은 건조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수조(3)에 설치된 통풍로(64)와 회전조(4)에 설치된 도입로(66) 사이에 시일 부재(68)를 설치하고, 건조 공정시에 회전조(4)가 저속으로 회전 구동될 때는 상기 시일 부재(68)의 립부(70)에 의해 상기 통풍로(64)와 도입로(66) 사이의 갭을 폐쇄하도록 구성했다. 이 때문에 온풍 입구(40)로부터 수조(3) 내로 유입된 온풍의 대부분을 회전조(4) 내로 인도할 수 있고, 건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립부(70)는 탈수 공정시에 회전조(4)가 고속 회전할 때는 원심력에 의해 누워져 덕트 커버(61)로부터 이간된다. 따라서, 립부(70)의 마모나 립부(70)와 덕트 커버(61)가 접촉하는 것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8)의 도입로(66)를 설치하고, 상기 도입로(66) 를 가진 베이스부(13)의 외주에 시일 부재(68)를 설치했다. 회전조(4)가 고속 회전하여 요동될 때의 거리는 회전축(8)의 근방만큼 작다. 따라서, 탈수 공정시에 립부(70)가 덕트 커버(61)와 접촉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조(4)의 고속 회전시에 상기 립부(70)는 회전축(8)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누워져 덕트 커버(61)로부터 이간되도록 구성했다. 이와 같이 축방향으로 누워지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시일 부재(68)의 진원도(眞圓度)가 낮은 경우나, 시일 부재(68)와 회전조(4)의 회전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회전조(4)의 고속 회전시에 시일부재(68)와 덕트 커버(61)를 확실히 이간시킬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히트펌프식 온풍 공급 수단을 대신해서 히터식 온풍 공급 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즉, 수조(3)의 상부에는 온풍 공급 수단으로서의 건조 장치(8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건조 장치(81)는 통기 덕트(82), 상기 통기 덕트(82) 내의 전부(前部)에 배치된 송풍 팬(83), 상기 통기 덕트(82) 내의 중앙부에 배치된 히터(84)를 구비하고 있다. 송풍 팬(83)의 회전축(83a)은 통기 덕트(82)를 관통하여 상기 통기 덕트(82)의 상부에 돌출되어 있고, 통기 덕트(82)의 상면에 배치된 팬 모터(86)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조(3)의 상부 후단에는 온풍 입구(8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기 덕트(82)의 후단부는 상기 온풍 입구(89)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수조의 전단부의 하부에는 온풍 출구(9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기 덕트(82)의 전단부는 배기 덕트(91)를 통해 온풍 출구(90)에 접속되어 있다.
도 12는 배기 덕트(91)를 전방에서 본 도면이다. 배기 덕트(91)는 수조(3)의 개구(24)를 따르도록 만곡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복수의 구멍(92a)을 가진 주수관(注水管)(9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수관(92)는 급수 장치(27)로부터 연장되는 주수 호스(93)가 접속되어 있고, 급수 장치(27)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샤워 상태의 물을 배기 덕트(91) 내로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회전조(2)의 후단부의 구멍부(11)와 온풍 입구(89) 사이에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온풍 취입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상자(2) 내의 하부에는 배수 펌프(94)가 설치되어 있다. 수조(3)의 배수구(18)는 배수관(95)을 통해 배수 펌프(9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배수 펌프(94)에는 배수 호스(20)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건조 동작이 실행된다. 즉, 모터(6)에 의해 회전조(4)가 저속 회전되고, 또한 히터(84) 및 팬모터(86)의 구동이 개시된다. 또한, 급수 장치(27)로부터 주수관(92)을 통해 배기 덕트(91) 내로 주수된다. 그 결과, 송풍 팬(83)의 송풍 작용에 의해 수조(3) 내의 공기가 온풍 출구(90)로부터 배기 덕트(91)를 거쳐 통기 덕트(82) 내로 유입되고, 히터(84)에 의해 가열된 후, 온풍 입구(89)로부터 수조(3) 내로 유입된다.
이 때, 회전조(4)의 회전 속도가 작고, 웨이트부(71)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작으므로 립부(70)는 탄성 변형되지 않고 기립 상태에 있다. 따라서, 시일 부재(68)의 립부(70)와 덕트 커버(61)는 접촉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온풍 입구(89)로부터 수조(3) 내의 통풍로(64)로 유입된 공기(온풍)의 대부분은 회전조(4)와 수조(3) 사이의 공간으로 향하지 않고 연통구(63)를 통해 도입로(66)를 향하여 구멍부(11)로부터 회전조(4) 내로 유입된다.
회전조(4) 내로 유입된 온풍은 세탁물의 수분을 빼앗은 후, 온풍 출구(90)로부터 배기 덕트(91)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주수관(92)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의해 냉각 및 응축됨으로써 제습된 후, 송풍 팬(83) 및 히터(84)를 통과하여 회전조(4) 내로 복귀된다. 이와 같은 공기의 순환에 의해 회전조(4) 내의 세탁물은 건조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2 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또한, 제 2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제 3 실시예는 온풍 취입 구조 중 회전조(4)의 후단부에 설치된 고리형상 오목부의 구성이 제 2 실시예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상 오목부(101)는 상기 고리형상 오목부(10) 보다도 대직경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주벽부에 복수의 개구(10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리형상 오목부(101)의 직경 크기는 회전조(4)의 직경 크기의 약 5분의 3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개구(102)는 구멍부(11)(도 1 참조)를 대신해서 설치된 것이고, 상기 구성에 의해 건조 공정시에 온풍 입구(89)로부터 수조(3) 내의 온풍로(64)로 유입되고, 연 통구(63) 및 도입로(66)를 통과한 공기는 개구(102)로부터 회전조(4) 내로 유입된다.
이 때, 회전조(4)가 회전하고, 또한 개구(102)가 고리형상 오목부(101)의 주벽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개구(102)로부터 회전조(4) 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회전조(4)의 주벽부를 향해 확산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고리형상 오목부(101) 및 개구(102)가 확산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탈수 공정에서는 회전조(4)의 주벽부 내면에 세탁물이 부착된 상태로 원심 탈수되므로 세탁물의 대부분은 회전조(4)의 주벽부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회전조(4) 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회전조(4)의 주벽부를 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세탁물을 더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또한, 고리형상 오목부(101)의 주벽부에 개구(102)를 설치하면, 원심력에 의해 공기가 회전조(4) 내로 유입되기 쉬워지고, 회전조(4)와 통기 덕트(82) 사이를 순환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된다. 이 점에서도 건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3 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또한, 제 3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제 4 실시예에서는 고리형상 오목부(101)의 후면에 확산판(103)을 장착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리형상 오목부(101), 개구(102), 및 확산판(103)으로 확산 수단이 구성된다. 상기 확산판(103)은 볼록부(9)의 주위부에 방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회전조(4)의 회전, 즉 고리형상 오목부(101)의 회전에 따라 송풍팬으로서 기 능한다. 따라서, 건조 공정시에 개구(102)로부터 회전조(4)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3 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또한, 제 3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제 5 실시예에서는 배플(17)에 통기구(104)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고리형상 오목부(101)와 상기 배플(17)을 온풍 우회로(105)에 의해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건조 공정 시에 온풍 입구(89)로부터 통풍로(64), 연통구(63)를 거쳐 도입로(66)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개구(102)로부터 회전조(4) 내로 유입되고, 나머지 공기는 온풍 우회로(105)를 거쳐 통기구(104)로부터 회전조(4) 내로 유입된다. 이 때문에 회전조(4)의 주벽부 내면에 달라붙은 세탁물에 대해 내외 양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5 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또한, 제 5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제 6 실시예에서는 회전조(4)의 주벽부에 설치된 구멍(16)의 배치가 제 5 실시예와 다르다. 즉,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2 개의 구멍(16)의 설치 간격(피치)이 축 방향 전방을 향해 서서히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회전조(4)의 주벽부의 단위 면적당 구멍(16)의 수, 바꿔 말하면 구멍의 개구 면적이 축 방향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해 서서히 증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고리형상 오목부(101)의 개구(102)나 배플(17)의 통기구(104)를 통해 회전조(4) 내로 공급된 온 풍은 회전조(4)의 개구(25)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구멍(16)을 통해 회전조(4)와 수조(3) 사이의 공간으로 유출된 후, 온풍 출구(90)로부터 배기 덕트(91)로 배출된다. 따라서, 회전조(4) 내로의 온풍의 유입구(개구(102)나 통기구(104)) 근방에 대부분의 구멍(16)이 존재하면 회전조(4) 내로 유입된 온풍은 세탁물의 건조에 거의 기여하지 않고 회전조(4)와 수조(3) 사이의 공간으로 유출된다. 한편, 온풍 출구(90) 부근에서는 회전조(4) 내로 유입된 온풍을 효율적으로 배기 덕트(91)로 배출하므로, 가능한한 대부분의 온풍을 회전조(4)와 수조(3) 사이의 공간으로 유출시킬 필요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구멍(16)의 피치가 축방향 전방을 향해 서서히 좁아지도록 구성했으므로 회전조(4) 내로 공급된 온풍 중 세탁물의 건조에 기여하는 온풍의 양을 늘릴 수 있고, 또한, 회전조(4) 내로 공급된 온풍을 효율적으로 온풍 출구(90)로부터 배기 덕트(91)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을 종축 회전형 세탁 건조기에 적용한 제 7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세탁 건조기(111)는 외부 상자(112)와, 상기 외부 상자(112)의 상부에 설치된 중공(中空) 형상의 탑 커버(11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탑 커버(113)의 중앙부에는 세탁물 출입구(1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탁물 출입구(114)는 2개로 접히는 것이 가능한 외부 덮개(115)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외부 덮개(115)는 그 주위부에 복수의 절개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세탁물 출입구(114)를 폐쇄할 때 상기 외부 덮개(115)의 주위에 틈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틈에 의해 세탁기 본체(111)의 통기성이 확보되고 있다.
상기 외부 상자(112) 내에는 원통 형상의 수조(116)가 탄성 지지 기구(117)를 통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조(116)의 상면 개구부에는 내부 덮개(118)를 구비한 수조 커버(11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조(116)의 저부에는 배수구(1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수구(120)에는 배수 밸브(121)를 통해 배수 호스(122)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수조(116)의 우측부에는 통기 덕트(1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통기 덕트(123)는 수조(116)의 하부에 설치된 온풍 입구(124)를 통해 상기 수조(116) 내와 연통하고 있다.
상기 수조(116) 내에는 세탁조, 탈수조, 및 건조조로서 기능하는 원통 형상의 회전조(128)가 종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조(128)의 주벽부에는 통수 구멍 및 통기 구멍으로서 기능하는 다수의 구멍(128a)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조(128)의 상단부에는 원고리형상의 밸런서(12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조(128) 내의 저부에는 교반체(1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조(116)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조(128) 및 상기 교반체(130)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기구(1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 기구(131)는 아우터로터형 모터(132)와 상기 모터(132)의 회전을 회전조(118) 및 교반체(13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회전축(133) 및 클러치(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33)은 수조(116)의 저부에 설치된 베어링(134)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회전조(128)의 저부의 하면에는 보강 부재(135)가 고정되어 있다. 회 전조(128)의 저부 및 보강 부재(135) 중 회전축(133)의 주위부에는 각각 개구(136, 137)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조(116)의 저부의 상면에는 덕트 커버(138)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덕트 커버(138)는 상기 덕트 커버(61)(도 1 등 참조)와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으며, 온풍 입구(124)의 주변부로부터 베어링(134)을 향해 연장되는 직선부(38a)와 상기 베어링(134)의 주위부에 위치하는 고리형상부(138b)로 구성되어 있고, 플랜지(138c)를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수조(116)의 저부에 고정되어 있다. 고리형상부(138b)의 내주연부와 회전축(133)은 이간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133)과 고리형상부(138b) 사이에는 연통구(139)(개구에 상당)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으로부터 수조(116)의 저부와 덕트 커버(138) 사이에는 통풍로(141)가 형성된다. 상기 연통구(139)와 상기 개구(136, 137)는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보강 부재(135)의 하면 중 상기 개구(137)의 주연부에는 시일 부재(14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시일 부재(140)는 회전조(128)가 고속 회전함으로써 덕트 커버(138)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간되고, 회전조(128)가 저속 회전 또는 정지함으로써 덕트 커버(138)와 접촉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조(128)의 저부와 수조(116)의 저부 사이에는 온풍 취입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탑 커버(113) 내의 후부에는 온풍 공급 장치(142)(온풍 공급 수단에 상당)나 급수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이 설치되어 있다. 탑 커버(113) 중 상기 온풍 공급 장치(142)의 후부에는 루버 형상의 외기 취입구(14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온풍 공급 장치(142)는 송풍팬(144) 및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는 케이싱(145)과, 상기 케이싱(145)의 전면부에 고정되어 상기 송풍팬(144)을 회전 구동하는 팬모터(14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45)의 전면에는 배기 덕트(14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기 덕트(147)의 하단부에는 자바라 형상의 송풍 덕트(148)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송풍 덕트(148)의 하단부는 상기 통기 덕트(123)의 상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 공정시에 팬모터(146) 및 히터가 구동되면 송풍팬(14)의 송풍 작용에 의해 외기 취입구(143)로부터 외기가 취입된다. 그리고,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온풍화된 후, 배기 덕트(147), 송풍 덕트(148)를 거쳐 온풍 입구(124)로부터 통풍로(141) 내로 온풍이 유입된다. 통풍로(141) 내로 유입된 온풍은 연통구(139) 및 개구(136, 137)를 거쳐 회전조(128) 내로 유입된다.
건조 공정시는 회전조(128)의 회전 속도가 작으므로 시일 부재(140)는 기립 상태에 있고 덕트 커버(138)와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통풍로(141)로부터 회전조(128) 내로 향하는 온풍은 수조(116)와 회전조(128) 사이의 갭으로 향하지 않고 확실히 회전조(128)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회전조(128) 내로 유입된 온풍은 세탁물과 접촉하여 세탁물의 수분을 빼앗은 후, 회전조(128) 상부의 개구는 수조 커버(119)의 틈을 통해 외부 상자(112) 내로 배출되고, 세탁물 출입구(114)와 외부 덮개(115) 사이의 틈 등으로부터 기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 을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18은 수조(3) 및 회전조(4)의 후단부 중 회전축(8)의 주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덕트 커버(61)의 고리형상부(61b)의 내주연부에 보강부재(12)의 베이스부(13)를 향해 돌출된 고리형상 볼록부(151)를 설치하고 있다.
한편, 베이스부(13)의 계단부(67)에는 고리형상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시일 부재(152)가 장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152)는 시일 부재(68)와 마찬가지로 통형상부(153), 통형상부(153)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립부(154), 상기 립부(154)의 선단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복수의 웨이트부(15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일 부재(152)는 회전조(4)의 회전 속도가 커지고 웨이트부(155)에 가해지는 원심력이 커지면 화살표 A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덕트 커버(61)의 고리형상 볼록부(151)와 직경 방향으로 이간된다. 한편, 회전조(4)의 회전 속도가 작아지고, 웨이트부(155)에 가해지는 원심력이 작을 때는 시일 부재(152)는 자신의 강성에 의해 기립하여 덕트 커버(61)의 고리형상 볼록부(151) 및 그 주위부와 접촉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 공정시의 시일 부재(152)와 덕트 커버(61)의 접촉 면적이 크므로 통풍로(64)와 도입로(66) 사이의 갭을 확실히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건조 공정의 초기는 세탁물의 대부분은 회전조의 주벽부 내면에 달라붙어 있지만, 건조 공정이 진행될수록 세탁물은 팽창되고, 회전조 내의 전체로 퍼진다. 이 때문에 회전조 내의 공기 저항이 커지고, 회전조 내를 공기가 유통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세탁물의 건조가 진행된 건조공정의 도중의 소정 시간, 회전조를 1 내지 복수회, 고속 회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회전조 내에 공기 통로를 만들 수 있으므로, 세탁물의 건조가 진행된 상태에서도 세탁물과 공기(온풍)를 효율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건조 공정시, 시일 부재는 덕트 커버에 대해 완전히 접촉하지 않아도 좋다. 시일 부재의 일부가 덕트 커버로부터 이간되어 있어도 통풍로부터 도입로를 향하는 공기가 회전조와 수조 사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 되고, 이와 같은 상태를 시일 부재는 덕트 커버에 대해 「실질적으로 접촉」해 있는 상태라고 한다.
회전조의 후단판의 고리형상 오목부에는 구멍부 및 개구 양쪽을 설치해도 좋다. 고리형상 오목부의 직경 크기는 적절히 변경해도 좋다. 상기 고리형상 오목부의 직경 크기에 따라서 개구의 위치는 변화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 건조기는 수조 내에 공급된 온풍의 대부분을 회전조 내로 인도할 수 있으므로, 건조 시간의 단축화가 요구되는 가정용 세탁 건조기로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 2는 보강 부재의 전면도,
도 3은 보강 부재의 배면도,
도 4는 도 2의 4-4선을 따르는 보강 부재의 종단 측면도,
도 5는 시일 부재의 평면도,
도 6은 시일 부재의 종단면도,
도 7은 덕트 커버의 사시도,
도 8은 히트펌프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9는 세탁 배수관과 제습 배수관의 합류부 부근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10은 시일 부재가 탄성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도 1 상당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 상당도,
도 12는 배기 덕트의 종단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1 상당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3 상당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3 상당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5 상당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종축 회전형 세탁 건조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종단 정면도,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온풍 취입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 측면도이다.

Claims (7)

  1. 수조(3, 116),
    상기 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조(4, 128),
    상기 회전조의 축방향 단면에 설치된 회전축(8),
    상기 회전축(8)의 상기 회전조와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고, 건조 운전시에는 상기 회전조를 저속으로 회전시키고, 탈수 운전시에는 상기 회전조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6, 132), 및
    상기 수조에 설치된 온풍 입구(40, 89, 124)를 통해 상기 수조 내에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 공급 수단(72, 81, 142)을 구비한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수조와 상기 구동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에 상기 온풍 입구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근방까지 연장되는 통풍로(64)를 구비하고, 또한 중심부를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개구(63, 139)를 구비한 덕트 커버(61, 138),
    상기 개구에 접속되고 중심부를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고 있고, 상기 회전조 중 상기 회전축의 주위부에 설치되어 상기 통풍로를 통과한 온풍을 상기 개구를 경유하여 상기 회전조 내로 인도하기 위한 도입로(66), 및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는 상기 도입로 중 상기 덕트 커버와 대향하는 단부의 외주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 커버 중 상기 개구의 주연부를 향해 연장되는 시일 부재(68, 140, 152)를 구비하고,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회전조에 고정되어 있는 통 형상부(69, 153), 상기 통 형상부로부터 상기 덕트 커버부측으로 기립하는 립부(70, 154) 및 상기 립부의 상기 통 형상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웨이트부(71, 155)를 갖고, 상기 회전조가 저속으로 회전할 때는 상기 립부 자신의 강성에 의해 상기 덕트 커버에 접촉하고, 상기 회전조가 고속으로 회전 구동할 때는 상기 웨이트부에 가해지는 원심력에 의해 상기 덕트 커버와 이간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 공급 수단(72)은 히트 펌프(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68, 140)는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덕트 커버(61, 138)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로(66)로부터 상기 회전조(4) 내로 인도된 온풍을 직경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확산 수단(101, 10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수단(101, 102, 103)은 상기 회전조(4)의 회전에 따라 송풍 작용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4) 내에 설치되며 통기구멍(104)을 가진 중공 형상의 배플(17), 및
    상기 도입로(66)로부터 상기 회전조 내로 인도된 온풍의 일부를 상기 배플 내로 인도하는 온풍 우회로(10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4)의 주벽부에 설치되며 통기용 및 통수용의 다수의 구멍(16)을 구비하고,
    상기 주벽부의 단위 면적당 상기 구멍(16)의 개구 면적은 축방향 양 단부 중 상기 도입로(66)를 가진 한쪽 단부로부터 다른쪽 단부를 향해 서서히 증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 건조기.
KR1020097011890A 2004-11-30 2005-10-26 세탁 건조기 KR100935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46204A JP2006149760A (ja) 2004-11-30 2004-11-30 洗濯乾燥機
JPJP-P-2004-346204 2004-11-30
PCT/JP2005/019700 WO2006059440A1 (ja) 2004-11-30 2005-10-26 洗濯乾燥機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202A Division KR20070073913A (ko) 2004-11-30 2005-10-26 세탁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018A true KR20090081018A (ko) 2009-07-27
KR100935045B1 KR100935045B1 (ko) 2009-12-31

Family

ID=365648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202A KR20070073913A (ko) 2004-11-30 2005-10-26 세탁 건조기
KR1020097011890A KR100935045B1 (ko) 2004-11-30 2005-10-26 세탁 건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202A KR20070073913A (ko) 2004-11-30 2005-10-26 세탁 건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06149760A (ko)
KR (2) KR20070073913A (ko)
CN (1) CN100595365C (ko)
DE (1) DE112005002904B4 (ko)
TW (1) TW200632178A (ko)
WO (1) WO20060594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3225B2 (ja) * 2006-10-23 2012-03-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乾燥機
JP4804517B2 (ja) * 2008-09-30 2011-11-02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CN102277708B (zh) * 2011-07-01 2016-05-18 佛山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具有烘干功能洗衣机的内外筒结构
CN104018318A (zh) * 2013-02-28 2014-09-03 海尔集团技术研发中心 干洗机
CN111850930B (zh) * 2019-04-08 2023-05-12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烘干功能的洗衣机
KR102366464B1 (ko) * 2020-04-21 2022-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3919665A1 (en) * 2020-06-03 2021-12-08 Haier Deutschland GmbH Dryer for drying laundry and method of operating a dryer
US11846059B2 (en) * 2021-01-04 2023-12-19 Whirlpool Corporation Controlling process air bypass around the drum in combo wash-dr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024157B (it) * 1974-12-18 1978-06-20 Smeg Elettrodonestici S P A Macchina lavabiaucheria con dispositivo asciugatore
IT1230878B (it) * 1989-06-20 1991-11-08 Candy Ind Spa Perfezionamento alle macchine lavabiancheria del tipo lava asciuga.
JP2517117B2 (ja) * 1989-07-26 1996-07-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3321945B2 (ja) * 1993-12-24 2002-09-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衣類乾燥機
JPH08243290A (ja) * 1995-03-14 1996-09-24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KR0133277Y1 (ko) * 1995-12-30 1999-04-15 배순훈 하부송풍식 건조세탁기
JP2004008683A (ja) * 2002-06-11 2004-01-15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JP2004188061A (ja) * 2002-12-13 2004-07-08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JP3812535B2 (ja) * 2002-12-18 2006-08-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衣類乾燥機及び衣類洗濯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05002904T5 (de) 2008-03-27
CN100595365C (zh) 2010-03-24
TW200632178A (en) 2006-09-16
KR20070073913A (ko) 2007-07-10
DE112005002904B4 (de) 2011-06-22
CN101065532A (zh) 2007-10-31
WO2006059440A1 (ja) 2006-06-08
JP2006149760A (ja) 2006-06-15
KR100935045B1 (ko) 200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6782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935045B1 (ko) 세탁 건조기
KR101349844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EP3360999A1 (en) Drying apparatus and washing and drying machine including same
WO2007060796A1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US20060086001A1 (en) Washing machine combined with dryer
US20060260367A1 (en)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US20080245113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437790B1 (ko) 건조세탁기
JP5599280B2 (ja) 洗濯乾燥機
JP2020018915A (ja) 衣類乾燥機
KR101245138B1 (ko) 드럼세탁기
JP7287927B2 (ja) 洗濯乾燥機
KR101192000B1 (ko) 드럼 세탁기
WO2022070457A1 (ja) 送風機およびこれを備えた洗濯機
KR20060095724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역수압방지 구조
JP2007061548A (ja) 洗濯乾燥機
JP2007082862A (ja) 洗濯乾燥機
JP2014140438A (ja) 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