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145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145A
KR20220056145A KR1020210143974A KR20210143974A KR20220056145A KR 20220056145 A KR20220056145 A KR 20220056145A KR 1020210143974 A KR1020210143974 A KR 1020210143974A KR 20210143974 A KR20210143974 A KR 20210143974A KR 20220056145 A KR20220056145 A KR 20220056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ub
detergent
drum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국배
김대현
김우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56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145A/ko
Priority to PCT/KR2022/01527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75205A1/ko
Priority to CN202280028090.8A priority patent/CN117203388A/zh
Priority to EP22887408.7A priority patent/EP431023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대상이 저장되는 드럼;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부; 상기 세제저장부로 물을 공급하는 저장부 급수관; 상기 세제저장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터브 연결관;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터브 급수관; 상기 터브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수구; 상기 배수구에 연결된 배수펌프;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대상물(의류 등)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세탁기, 건조대상물(젖은 의류 등)에서 물을 제거하는 건조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세탁이 가능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 상기 터브로 공급될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세제저장부는 상기 급수부가 제공하는 물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된 것이 있었다. 상술한 구조의 세제저장부는 상기 급수부가 제공하는 유로가 상기 세제저장부를 거쳐 급수원과 상기 터브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므로, 상기 급수부의 작동 시 물과 세제를 함께 터브로 공급 가능했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배수부는 터브의 외부에 위치하는 배수펌프,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배수펌프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 상기 배수펌프에서 배출되는 물을 하수구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을 포함하도록 구비되었다.
상술한 구조의 세제저장부 및 배수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는 터브로 공급된 세제를 물에 용해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터브 내부에 수류를 형성함으로써 세제를 물에 용해시킬 수 있는데, 상기 급수부의 작동으로 물과 세제가 상기 터브로 함께 공급되면, 상기 터브로 투입된 세제 중 일부가 상기 제1배수관으로 배출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 경우, 드럼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1배수관으로 이동한 세제(터브에서 배출된 세제)는 다시 터브로 유입되기 어렵기 때문에,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세제를 물에 용해시키기 어려운 문제, 적정량의 세제를 투입했음에도 세탁이 잘되지 않는 문제(세탁에 많은 세제가 요구되는 문제) 등이 있었다.
본 출원은 세제부족에 의한 세탁성능 저하를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세제의 용해가 용이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대상이 저장되는 드럼;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부; 상기 세제저장부로 물을 공급하는 저장부 급수관; 상기 세제저장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터브 연결관;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터브 급수관; 상기 터브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수구; 상기 배수구에 연결된 배수펌프;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터브 급수관을 통해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단계; 상기 물공급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저장부 급수관을 통해 상기 터브로 세제 및 물을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 및 상기 세제공급단계의 완료 후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대상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세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의 최하점보다 낮은 수위로 설정된 제1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위는 상기 배수구가 잠기는 수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의 최하점과 상기 배수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터브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수위는 상기 히터가 잠기는 수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의 최하점보다 높게 설정된 제2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세제공급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어 상기 드럼에 저장된 세탁대상의 양을 감지하는 포량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수위는 상기 드럼에 저장된 세탁대상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세제공급단계의 완료 후 상기 세탁단계의 개시 전 실행되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터브 내부의 세제를 용해하는 용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대상이 수용되는 드럼; 서로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며 세제가 저장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 및 제2챔버; 상기 제1챔버로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관; 상기 제2챔버로 물을 공급하는 제2급수관;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터브 연결관; 상기 터브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수구; 상기 배수구에 연결된 배수펌프;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급수관과 상기 제2급수관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 중 세제가 저장되지 않은 챔버를 통해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단계; 상기 물공급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 중 세제가 저장된 챔버를 통해 물과 세제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 및 상기 세제공급단계의 완료 후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대상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세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의 최하점보다 낮은 수위로 설정된 제1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위는 상기 배수구가 잠기는 수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의 최하점보다 높은 수위로 설정된 제2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대상이 수용되는 드럼;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부; 상기 세제저장부와 급수원을 연결하는 저장부 급수관; 상기 세제저장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터브 연결관; 상기 터브와 상기 급수원을 연결하는 터브 급수관; 상기 터브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수구; 및 상기 배수구에 연결된 배수펌프;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터브 급수관을 통해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단계; 상기 물공급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저장부 급수관을 통해 물과 세제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 및 상기 세제공급단계의 완료 후,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대상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세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의 최하점보다 낮은 수위로 설정된 제1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의 최하점보다 높은 수위로 설정된 제2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세제부족에 의한 세탁성능 저하를 방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세제의 용해가 용이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세제저장부 및 급수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세제저장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와 도 5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하여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대상(의류 등)이 저장되는 드럼(7)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의 일면에는 의류가 출입하는 투입구(11)가 구비되는데, 도 1은 상기 투입구(11)가 캐비닛의 전방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투입구(11)는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도어(13)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 중 상기 투입구(11)의 상부공간 또는 하부공간에는 컨트롤패널(15)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패널(15)에는 입력부(151) 및 표시부(1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51)는 제어부(미도시)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153)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의 표시,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 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바디(21), 상기 터브 바디(21)를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하는 터브 지지부(22, 2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면(투입구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된 면)에 터브 투입구(2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지지부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하부영역(터브 투입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하부에 위치된 영역)을 상기 캐비닛(1)에 연결하는 댐퍼(22), 및 상기 터브 바디(21)의 상부영역을 상기 캐비닛(1)에 연결하는 스프링(2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11)와 상기 터브 투입구(211)는 가스켓(24)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24)은 상기 투입구(11)로 공급되는 의류를 상기 터브 투입구(211)로 안내할 뿐 아니라, 상기 터브 바디(21)의 진동이 상기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주름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의 내부에는 히터(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25)는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수단이며, 상기 터브 바디(21)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7)의 바닥면과 상기 터브(2)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는 급수부(3)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4)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수부(4)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수구(213)를 배수펌프(43)와 연결하는 제1배수관(41), 상기 배수펌프(43)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4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213)는 상기 터브 바디(21) 중 가장 낮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히터(25)는 상기 드럼(7)의 바닥면과 상기 배수구(213)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의 양은 감지부(8)를 통해 판단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8)는 제1배수관(41)에서 상기 캐비닛(1)의 상부면을 향해 연장되는 연통관(81), 상기 연통관 내부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센서(8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통관(81)의 자유단(센서가 고정되는 연통관의 일단)은 상기 터브 바디(21)에 설정된 최고수위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7)은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에 위치하여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바디(71), 및 상기 드럼 바디(71)를 회전시키는 구동부(7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2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 바디의 일면(터브 투입구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된 면)에 구비된 드럼 투입구(71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3)가 상기 투입구(11)를 개방하면, 사용자는 상기 투입구(11), 터브 투입구(211), 및 드럼 투입구(711)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71)로 의류를 투입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드럼 바디(21)에는 다수의 연통홀(712)이 구비된다. 상기 연통홀(712)은 상기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21)에는 리프터(7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713)는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의류가 드럼 바디(71) 내부에서 상승과 낙하를 반복하게 하는 수단으로, 상기 드럼 바디(21)의 원주면에서 상기 드럼 바디(21)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된 판(board)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74)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후방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741),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742), 상기 터브 바디(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71)와 상기 로터(742)를 연결하는 회전축(74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세제저장부(5)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수부(3)는 상기 세제저장부(5)로 물을 공급하는 저장부 급수관(31, 제1연결관), 및 상기 세제저장부(5)에서 배출되는 물과 세제를 상기 터브 바디(21)로 안내하는 터브 연결관(32, 제2연결관)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급수관(31)은 급수원과 상기 세제저장부(5)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저장부 급수관 밸브(34)를 통해 개폐가 제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급수부(3)는 급수원과 상기 터브 바디(21)를 직접 연결함으로서 세제가 포함되지 않은 물을 상기 터브 바디(21)로 공급하는 터브 급수관(33)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급수관(33)은 터브 급수관 밸브(331, 제3밸브)를 통해 개폐가 제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저장부(5)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 하우징(52), 상기 하우징(52)에서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로워(51),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드로워(51)로 물을 공급하는 노즐(54)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2)에는 하우징 배출구(53)가 구비되며, 상기 터브 연결관(32)은 상기 하우징 배출구(53, 도 1 참고)와 상기 가스켓(24)을 연결하는 유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연결관(32)의 일단에는 상기 터브 연결관(32) 내부의 물을 상기 드럼 투입구(711)가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32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51)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다수의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은 상기 드로워(51)에 제1챔버(511), 제2챔버(512), 및 제3챔버(513)가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챔버는 서로 분리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511) 내부의 세제는 제1챔버 배출구(514)를 통해 상기 하우징(52)으로 배출되고, 상기 제2챔버(512)의 세제는 제2챔버 배출구(515)를 통해 상기 하우징(52)으로 배출되며, 상기 제3챔버(513)의 세제는 제3챔버 배출구(516)를 통해 상기 하우징(52)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면은 상기 제1챔버 배출구(514)와 제2챔버 배출구(515)는 상기 드로워(51)를 관통하는 관통홀로 구비되고, 상기 제3챔버 배출구(516)는 사이펀 유로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노즐(54)은 물의 이동경로(543, 544, 545)가 구비된 노즐바디(541), 및 상기 노즐바디(541)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경로를 밀폐하는 커버(54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바디(541)에는 상기 제1챔버(511)로 물을 공급하는 제1유로(543), 상기 제2챔버(512)로 물을 공급하는 제2유로(544), 및 상기 제3챔버(513)로 물을 공급하는 제3유로(5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바디(541)에는 제1유로(543)에 물을 공급하는 제1유로 급수구(543a), 및 상기 제2유로(544)에 물을 공급하는 제2유로 급수구(54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 급수구(543a)와 상기 제2유로 급수구(544a)가 동시에 물을 분사할 경우, 각 급수구(543a, 544a)에서 분사된 물이 서로 충돌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로 급수구(543a)와 상기 제2유로 급수구(544a)는 V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543)는 상기 노즐바디(541)의 일면에 구비된 제1유로 급수구(543a)에서 상기 제1챔버(511)의 상부면을 향해 연장된 홈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유로(544)는 상기 노즐바디(541)의 일면에 구비된 제2유로 급수구(544a)에서 상기 제2챔버(512)의 상부면을 향해 연장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 급수구(543a)와 상기 제2유로 급수구(544a)가 V자 형태로 배치되면 상기 제1유로(543)와 상기 제2유로(544)는 하나의 교차점을 가지게 되는데, 상기 제3유로(545)는 상기 두 유로(543, 544)의 교차점에서 상기 제3챔버(513)의 상부면을 향해 연장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유로(545)의 급수구(545a, 제3유로 급수구)는 상기 제1유로(543)와 제2유로(544)의 교차점에 형성될 것이다.
상기 제1유로(543) 내부의 물은 제1유로 배출구(543b)를 통해 상기 제1챔버(511)에 공급되고, 상기 제2유로(544) 내부의 물은 제2유로 배출구(544b)를 통해 상기 제2챔버(512)에 공급된다.
상기 제1유로 배출구(543b)는 상기 노즐바디(541)를 관통하여 상기 제1유로(543)와 제1챔버(511)를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유로 배출구(544b)는 상기 노즐바디(541)를 관통하여 상기 제2유로(544)와 상기 제2챔버(512)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유로(545)의 물은 제3유로 배출구(545b)를 통해 상기 제3챔버(513)에 공급되는데, 상기 제3유로 배출구(545b)는 상기 노즐바디(541)를 관통하여 상기 제3유로(545)와 상기 제3챔버(513)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543), 제2유로(544), 및 제3유로(545)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비되면, 상기 저장부 급수관(31)은 급수원과 상기 제1유로 급수구(543a)를 연결하는 제1급수관(311), 상기 급수원과 상기 제2유로 급수구(544a)를 연결하는 제2급수관(31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부 급수관 밸브(34)는 상기 제1급수관(311)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밸브(341), 및 상기 제2급수관(312)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밸브(34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급수관(311)은 개방되고 상기 제2급수관(312)은 폐쇄되면, 물은 상기 제1유로(543)를 통해 상기 제1챔버(511)로만 공급될 것이다. 반대로, 상기 제1급수관(311)은 폐쇄되고 상기 제2급수관(312)은 개방되면, 물은 상기 제2유로(544)를 통해 상기 제2챔버(512)로만 공급될 것이다. 한편, 두 급수관(311, 312)이 동시에 개방되면, 물은 상기 제3유로(545)를 통해 상기 제3챔버(513)로만 공급될 것이다.
각 챔버(511, 512, 513)로 공급된 물은 각 챔버에 구비된 챔버 배출구(514, 515, 516)를 통해 상기 하우징(52)으로 이동하며, 상기 하우징(52) 내부의 물은 상기 터브 연결관(32)을 통해 터브 바디(21)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도 4는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제어방법은 상기 터브(2)로 물만을 공급하는 물공급단계(S10), 상기 물공급단계의 완료 후 상기 터브(2)로 세제 및 물을 함께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S40), 및 상기 세제공급단계의 완료 후 상기 드럼(7)을 회전시켜 세탁대상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세탁단계(S80)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단계(S10)는 세제가 포함되지 않은 물을 터브(2)에 공급하는 단계로,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터브 급수관 밸브(331)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 급수관(33)을 개방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공급단계(S10)는 상기 세제저장부(5)에 구비된 3개의 챔버(511, 512, 513) 중 세제가 저장되지 않은 챔버를 통해 상기 터브(2)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물공급단계(S10)는 상기 드로워(51)에 구비된 상기 제1챔버(511), 제2챔버(512), 및 제3챔버(513) 중 세제가 저장되지 않은 챔버를 통해 상기 터브(2)로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밸브(341) 및 제2밸브(342)를 제어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챔버(511)에 세제가 저장된 상태라면, 상기 물공급단계(S10)는 상기 제2밸브(342)를 작동시켜 상기 제2유로(544)로만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밸브(341) 및 제2밸브(342)를 모두 작동시켜 상기 제3유로(545)로만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512)에 세제가 저장된 상태라면, 상기 물공급단계(S10)는 상기 제1밸브(341)를 작동시켜 상기 제1유로(543)로만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밸브(341) 및 제2밸브(342)를 모두 작동시켜 상기 제3유로(545)로만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3챔버(513)에 세제가 저장된 상태라면, 상기 물공급단계(S10)는 상기 제1밸브(341)를 작동시켜 상기 제1유로(543)로만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밸브(342)를 작동시켜 상기 제2유로(544)로만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어느 챔버에 세제가 저장되었고 어느 챔버가 비었는지 여부는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51)를 통해 입력하는 정보에 의해 판단될 수도 있고, 상기 세제저장부(5)에 구비되어 각 챔버(511, 512, 513)에 세제가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물공급단계(S10)는 상기 터브(2) 내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제1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된다(S20).
상기 물공급단계(S10)는 상기 세제공급단계(S40)를 통해 공급되는 세제가 상기 배수구(213)를 통해 상기 제1배수관(41)으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과정(배수구에 물장벽을 형성하는 과정)이므로, 상기 제1수위는 상기 배수구(213)가 노출되지 않게 하는 수위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5 (a)는 상기 제1수위가 상기 배출구(213)보다 높고 상기 드럼(7)의 최하점보다 낮은 수위(L2)로 설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에 히터(25)가 구비된 경우라면, 상기 제1수위는 상기 히터(25)가 잠기는 수위(L1)로 설정될 수도 있다. 세제의 용해를 촉진하기 위해, 상기 물공급단계(S10)의 완료 후 상기 히터(25)를 작동시켜 물을 가열하는 단계가 개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 (a)는 상기 물공급단계(S10)가 상기 터브 급수관(33)을 통해 진행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물공급단계(S10)는 상기 세제저장부(5)의 비어있는 챔버(511, 512, 513)를 통해 터브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수위가 상기 제1수위에 도달했는지 여부(S20)는 상기 감지부(8)를 통해 진행되며, 상기 감지부(8)가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우수위가 상기 제1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물공급단계는 종료(S30)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제공급단계(S40)는 상기 물공급단계가 종료(S30)된 때 개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단계(S40)는 상기 세제저장부(5)에 저장된 세제를 물과 함께 상기 터브 바디(21)로 공급하는 단계이며, 상기 저장부 급수관(311, 312)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진행된다.
즉, 상기 세제급단계(S40)는 상기 드로워(51)에 구비된 상기 제1챔버(511), 제2챔버(512), 및 제3챔버(513) 중 세제가 저장된 챔버로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밸브(341)와 제2밸브(342)를 제어하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챔버(511)에 세제가 저장된 상태라면, 상기 세제공급단계(S40)는 상기 제1밸브(341)를 작동시켜 상기 제1유로(543)로만 물을 공급하는 과정이 될 것이고, 상기 제2챔버(512)에 세제가 저장된 상태라면 상기 제2밸브(342)를 작동시켜 상기 제2유로(544)로만 물을 공급하는 과정이 될 것이며, 상기 제3챔버(513)에 세제가 저장된 상태라면 상기 제1밸브(341) 및 제2밸브(342)를 모두 작동시켜 상기 제3유로(545)로만 물을 공급하는 과정이 될 것이다.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제공급단계(S40)는 상기 드럼 바디(71)의 최하점보다 높게 설정된 제2수위(L3)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S50). 상기 드럼 바디(71) 내부의 의류로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수위는 상기 드럼 바디(71)에 투입된 의류의 양(세탁대상의 양, 포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세제공급단계(S40)의 개시 전 진행되어 상기 드럼(7)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감지하는 포량판단단계(S15)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포량판단단계(S15)는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드럼(7)을 기 설정된 기준각도까지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스테이터(741)에 공급된 전류량 등을 근거로 포량을 판단하는 방법, 또는 상기 스테이터(741)에 기 설정된 양의 전력을 공급한 뒤 상기 드럼의 회전각도를 측정함으로써 포량을 판단하는 방법이 일례가 될 것이다. 다만, 상기 제2수위(L2)는 상기 드럼(7)에 저장된 세탁대상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바디(21)의 수위가 상기 제2수위(L3)에 도달(S50)하면, 세제 및 물을 터브로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S40)는 종료된다(S60).
상기 세탁단계(S80)는 상기 세제공급단계(S40)의 완료되면 개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단계(S80)는 상기 구동부(74)를 제어하여 상기 드럼(7)을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단계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세탁단계(S80)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은 시계방향으로만 설정되거나, 반시계방향으로만 설정될 수도 있다.
이물질이 의류에서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세탁단계(S80)의 개시 전 세제를 물에 용해하는 용해단계(S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해단계(S70)는 상기 세탁단계에 설정된 회전수보다 낮은 회전수로 상기 드럼(7)을 회전시키는 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해단계(S70)에서 상기 드럼은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두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용해단계(S70)는 상기 상기 드럼의 회전과 함께 상기 히터(25)를 작동시켜 물을 가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제어방법은 상기 물공급단계(S10)를 통해 상기 세제공급단계(S40)에서 공급되는 세제가 상기 배수구(213)를 통해 상기 제1배수관(41)으로 배출될 가능성을 최소화함으로써, 세제 부족에 의한 세탁성능 저하 방지를 막을 수 있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의 구조, 및 제어방법은 실시예에 관한 것이므로,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2: 터브
21: 터브 바디 211: 터브 투입구 213: 배수구
3: 급수부 31: 저장부 급수관 311: 제1급수관
312: 제2급수관 34: 저장부 급수관 밸브 341: 제1밸브
342: 제2밸브 32: 터브 연결관 321: 가이드
33: 터브 급수관 331: 터브 급수관 밸브 4: 배수부
41: 제1배수관 42: 제2배수관 43: 배수펌프
5: 세제저장부 51: 드로워 511: 제1챔버
512: 제2챔버 513: 제3챔버 514: 제1챔버 배출구
515: 제2챔버 배출구 516: 제3챔버 배출구 52: 하우징
53: 하우징 배출구 54: 노즐 541: 노즐바디
542: 커버 543: 제1유로 543a: 제1유로 급수구
543b: 제1유로 배출구 544: 제2유로 544a: 제2유로 급수구
544b: 제2유로 배출구 545: 제3유로 545a: 제3유로 급수구
545b: 제3유로 배출구 7: 드럼 71: 드럼 바디
711: 드럼 투입구 712: 연통홀 713: 리프터
74: 구동부 741: 스테이터 742: 로터
743: 회전축 8: 감지부 81: 연통관
82: 센서

Claims (14)

  1.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대상이 저장되는 드럼;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부; 상기 세제저장부로 물을 공급하는 저장부 급수관; 상기 세제저장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터브 연결관;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터브 급수관; 상기 터브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수구; 상기 배수구에 연결된 배수펌프;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브 급수관을 통해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단계;
    상기 물공급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저장부 급수관을 통해 상기 터브로 세제 및 물을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 및
    상기 세제공급단계의 완료 후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대상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세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의 최하점보다 낮은 수위로 설정된 제1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위는 상기 배수구가 잠기는 수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최하점과 상기 배수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터브에 고정되어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수위는 상기 히터가 잠기는 수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의 최하점보다 높게 설정된 제2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어 상기 드럼에 저장된 세탁대상의 양을 감지하는 포량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수위는 상기 드럼에 저장된 세탁대상의 양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단계의 완료 후 상기 세탁단계의 개시 전 실행되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터브 내부의 세제를 용해하는 용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대상이 수용되는 드럼; 서로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며 세제가 저장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 및 제2챔버; 상기 제1챔버로 물을 공급하는 제1급수관; 상기 제2챔버로 물을 공급하는 제2급수관;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터브 연결관; 상기 터브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수구; 상기 배수구에 연결된 배수펌프;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급수관과 상기 제2급수관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 중 세제가 저장되지 않은 챔버를 통해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단계;
    상기 물공급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 중 세제가 저장된 챔버를 통해 물과 세제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 및
    상기 세제공급단계의 완료 후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대상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세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의 최하점보다 낮은 수위로 설정된 제1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위는 상기 배수구가 잠기는 수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의 최하점보다 높은 수위로 설정된 제2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대상이 수용되는 드럼;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부; 상기 세제저장부와 급수원을 연결하는 저장부 급수관; 상기 세제저장부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터브 연결관; 상기 터브와 상기 급수원을 연결하는 터브 급수관; 상기 터브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수구; 및 상기 배수구에 연결된 배수펌프;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브 급수관을 통해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단계;
    상기 물공급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저장부 급수관을 통해 물과 세제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 및
    상기 세제공급단계의 완료 후,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대상에서 이물질을 분리하는 세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의 최하점보다 낮은 수위로 설정된 제1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단계는 상기 드럼의 최하점보다 높은 수위로 설정된 제2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10143974A 2020-10-27 2021-10-26 의류처리장치 KR20220056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5275 WO2023075205A1 (ko) 2020-10-27 2022-10-11 의류처리장치
CN202280028090.8A CN117203388A (zh) 2020-10-27 2022-10-11 衣物处理装置
EP22887408.7A EP4310239A1 (en) 2020-10-27 2022-10-11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200 2020-10-27
KR20200140200 2020-10-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145A true KR20220056145A (ko) 2022-05-04

Family

ID=8158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974A KR20220056145A (ko) 2020-10-27 2021-10-26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10239A1 (ko)
KR (1) KR20220056145A (ko)
CN (1) CN117203388A (ko)
WO (1) WO20230752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205A1 (ko) * 2020-10-27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9690B1 (ko) * 1997-10-27 2000-03-15 구자홍 드럼세탁기의급수장치
KR101041081B1 (ko) * 2007-02-28 2011-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의 세탁제어방법
JP5799199B2 (ja) * 2011-02-23 2015-10-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1222569B1 (ko) * 2011-12-26 201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세탁제어방법
KR102459589B1 (ko) * 2018-01-05 2022-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220056145A (ko) * 2020-10-27 2022-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205A1 (ko) * 2020-10-27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5205A1 (ko) 2023-05-04
CN117203388A (zh) 2023-12-08
EP4310239A1 (en) 202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0561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CN101187124B (zh) 洗衣机
US20060236468A1 (en) Washing machine having rinse agent dispen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40841B1 (ko) 스팀 세탁 방법
JP2008206966A (ja) 洗濯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457163B1 (ko) 세탁기 및 그 헹굼 제어방법
KR20180057838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5614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56146A (ko) 의류처리장치
KR102634078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11945392B (zh) 排水泵及包括其的衣物处理装置
JP7085420B2 (ja) 洗濯機
KR102437949B1 (ko)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EP3613885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laundry treating device
JP2010264103A (ja) 洗濯機
KR20190028036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17079962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183151B1 (ko) 드럼 세탁기의 급수장치
KR102461472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11056112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20009603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12029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060136160A (ko) 드럼 세탁기의 급수장치
KR20230014406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19043972A1 (ja) ドラム式洗濯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