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0885A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0885A
KR20200110885A KR1020190030357A KR20190030357A KR20200110885A KR 20200110885 A KR20200110885 A KR 20200110885A KR 1020190030357 A KR1020190030357 A KR 1020190030357A KR 20190030357 A KR20190030357 A KR 20190030357A KR 20200110885 A KR20200110885 A KR 20200110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tub
detergent
tim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효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0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0885A/ko
Publication of KR20200110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08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7/306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의 최하단이 물에 잠기는 수위까지 급수부가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세제공급부에 저장된 세제를 터브에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 및 드럼의 회전을 통해 터브 내부에 수류를 발생시킴으로써 터브에 공급된 세제를 용해하는 세제용해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Machin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 및 건조를 모두 수행 가능한 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에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터브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 터브 내부의 물을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들은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터브에 물이 공급될 때 상기 세제공급부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터브로 공급한다. 상기 세제공급부에 저장되는 세제는 분말 세제인 경우가 많고, 의류처리장치의 성능에 있어 분말 세제를 물에 잘 용해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분말 세제가 용해되지 않은 상태에서 세탁을 진행하면, 세탁 성능이 저하될 위험이 커질 뿐 아니라 세탁이 완료된 뒤 세제가 의류에 잔류하게 될 가능성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세제의 용해시간을 단축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제의 용해도를 높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회전수와 회전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르게 설정된 모션들을 실행하는 단계(모션실행단계)를 통해, 터브에 공급된 세제의 용해시간을 단축하고, 세제의 용해도를 높이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물이 저장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터브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드럼의 최하단이 물에 잠기는 수위까지 상기 급수부가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세제공급부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터브에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 및 상기 드럼의 회전을 통해 상기 터브 내부에 수류를 발생시켜 상기 터브에 공급된 세제를 용해하는 세제용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용해단계는 상기 구동부가 기 설정된 제1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1모션실행단계; 및 상기 구동부가 상기 제1회전수와 다른 제2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2모션실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모션실행단계는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모션실행단계는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모션실행단계는 상기 드럼을 반시계방향 회전과 시계방향 회전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모션실행단계는 상기 드럼을 반시계방향 회전과 시계방향 회전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모션실행단계는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모션실행단계는 상기 제1모션실행단계에 설정된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모션실행단계와 상기 제2모션실행단계는 순차적으로 실행되되 2회 이상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가열하도록 구비된 히터를 작동시켜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단계는 상기 세제용해단계의 진행 중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모션실행단계는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기 설정된 제1시간 동안 공급하는 전력공급단계; 및 기 설정된 제2시간 동안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차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시간은 상기 제2시간의 3배보다 짧은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모션실행단계는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기 설정된 제3시간 동안 공급하는 전력공급단계; 및 기 설정된 제3시간 동안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차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시간은 상기 제4시간의 3배보다 짧은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시간과 상기 제3시간은 동일하게 설정되고, 상기 제2시간과 상기 제4시간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수는 상기 제2회전수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제의 용해시간을 단축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제의 용해도를 높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제1모션실행단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3),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5)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전방패널(11)을 포함하는데, 상기 전방패널(11)에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13), 및 상기 투입구(13)를 개폐하는 도어(1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터브 바디(21)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터브 바디의 전방면에는 터브 투입구(23)가 구비된다. 상기 터브 투입구(23)는 절연부(4)를 통해 상기 투입구(13)에 연결되는데, 상기 절연부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3)와 상기 터브 투입구(23)를 연결하는 절연바디(4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는 터브 지지부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 지지부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중 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상부에 위치된 영역을 상기 캐비닛(1)에 고정하는 스프링(25), 상기 터브 바디(21)의 원주면 중 드럼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하부에 위치된 영역을 캐비닛(1)에 고정하는 댐퍼(26)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의 최하단에는 터브 바디 내부의 물을 수집하는 챔버(2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챔버 내부에는 히터(29)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29)에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터브 바디 내부의 물은 가열된다.
상기 드럼(3)은 터브 바디(2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드럼 바디(31)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 바디(3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드럼 바디(31)의 원주면, 전방면 및 후방면에는 상기 드럼 바디 내부를 터브 바디 내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관통홀(3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드럼 바디(3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투입구(11)를 향하는 면(드럼의 전방면)에는 드럼 투입구(33)가 구비된다.
상기 드럼 바디(31)는 구동부(35)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35)는 터브 바디(21)의 배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발생시키는 스테이터(351),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터브 바디(21)의 외부에 위치된 로터(353), 상기 터브 바디(21)의 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로터(353)와 드럼 바디(31)를 연결하는 회전축(35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6)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수부(6)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수 챔버(61), 상기 터브 바디(21)의 물을 상기 배수 챔버(61)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63), 상기 배수 챔버(61)로 유입된 물을 제2배수관(67)으로 이동시키는 배수펌프(6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수관(63)은 상기 터브 바디에 구비된 챔버(27)와 상기 배수 챔버(61)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관(67)은 상기 배수펌프(65)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수단으로, 상기 제2배수관(67)의 최고점은 상기 터브 투입구(23)의 최하단보다 높은 지점을 통과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구비된 세제공급부(5)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케이스(51),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케이스(51)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52), 및 상기 드로워(52)에서 상기 케이스(51)로 배출된 세제를 상기 터브 바디(21)로 안내하는 배출관(5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1) 내부에 수용된 드로워(52)는 전방패널(11)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로워 인출구(미도시)를 통해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52)는 상부면이 개방된 다면체(육면체 등)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드로워의 내부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521), 상기 저장부(521)를 상기 케이스(51)와 연통시키는 세제배출구(52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배출구(523)는 상기 저장부(521)의 후방면이나 바닥면을 관통하는 관통홀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저장부(521)의 바닥면에 구비된 벨 트랩(bell trap)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51)에는 상기 저장부(521)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가 구비되는데, 도 1은 상기 급수부가 상기 케이스(51)의 상부면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의 물을 상기 저장부(521)에 공급하는 급수관(561),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관(561)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급수밸브(56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561)을 통해 세제가 저장된 저장부(521)에 물이 공급되면, 저장부(521) 내부의 세제는 물과 함께 세제배출구(523)를 통해 케이스(51)로 이동한다. 상기 케이스(51)로 배출된 물과 세제는 상기 배출관(53)을 통해 터브 바디(21)로 이동할 것이다.
상기 배출관(53)은 상기 케이스(51)와 상기 절연바디(41)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절연부(4)에는 상기 배출관(53)의 일단이 연결되는 유입관(4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43)과 상기 배출관(53)은 탄성체(고무 등)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43) 및 배출관(53)을 통해 터브의 진동이 케이스(51) 및 전방패널(11)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도 2는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급수부(561, 563)가 터브 바디(21)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S10), 상기 세제공급부(5)에 저장된 세제가 상기 터브 바디(21)에 공급되는 세제공급단계(S30), 및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에 발생하는 수류로 세제를 용해하는 세제용해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단계(S10)에서의 물은 상기 드럼의 최하단이 물에 잠기는 수위 이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상기 드럼(3)과 상기 터브(2) 내부의 물이 접촉할 수 있어야만, 의류에 물이 공급될 수 있고, 상기 드럼(3)의 회전 시 터브 내부에 수류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공급부(5)가 상기 급수관(561)과 배출관(53)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세제공급단계(S30)는 상기 급수단계(S10)가 개시된 후 개시될 것이다. 그러나, 세제공급부(5)가 급수관(561)이 아닌 별도의 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배출관(53)이 아닌 별도의 유로를 통해 터브 바디(21)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세제공급단계(S30)는 상기 급수단계(S10)와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고, 상기 급수단계(S10)보다 먼저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세제용해단계(S50)는 상기 드럼 바디(31)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달리 설정된 제1모션실행단계와 제2모션실행단계를 통해 터브 바디(21)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즉, 상기 세제용해단계(S50)는 상기 구동부(35)가 기 설정된 제1회전수로 상기 드럼 바디(31)을 회전시키는 제1모션실행단계(S51, S53), 및 상기 구동부(35)가 상기 제1회전수와 다른 회전수로 설정된 제2회전수로 상기 드럼 바디(31)을 회전시키는 제2모션실행단계(S55, S5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모션실행단계는 상기 드럼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모션실행단계는 상기 드럼 바디(31)를 시계방향을 따라 제1회전수로로 회전시키는 단계(S51, 도 3 (a)), 및 상기 드럼 바디(31)를 반시계방향을 따라 제1회전수로 회전시키는 단계(S53, 도 3 (b))로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모션실행단계는 상기 제2회전수로 상기 드럼 바디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S55), 및 상기 제2회전수로 상기 드럼 바디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S57)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모션실행단계는 상기 드럼 바디(31)의 반시계방향 회전과 시계방향 회전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모션실행단계는 상기 드럼 바디의 반시계방향 회전과 시계방향 회전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회전수와 상기 제2회전수는 서로 동일하게 설정되지 않으면 충분하므로, 상기 제1회전수는 상기 제2회전수보다 크게 설정될 수도 있고, 작게 설정될 수도 있다. 다만, 두 회전수 중 큰 회전수는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이 터브 바디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의 상부영역까지 이동 가능하게 하는 회전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1모션실행단계(S51, S53)와 제2모션실행단계(S55, S57)는 순차적으로 실행되되 2회 이상 반복해서 실행됨이 바람직하다. 드럼 바디(31)의 회전수 변화 및 회전 방향의 변화가 반복될 수도록 터브 바디(21) 내부에 강한 수류가 형성될 것이기 때문이다(용해시간 단축 및 용해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제1모션실행단계는 상기 드럼 바디(31)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모션실행단계는 상기 제1모션실행단계에 설정된 상기 드럼 바디(3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드럼 바디(31)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제어방법은 상기 세제용해단계(S50)의 진행 중 상기 히터(29)가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단계(S60)를 통해 본 발명은 세제의 용해 시간을 더욱 단축하고, 용해도를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가열단계(S60)는 상기 세제용해단계(S50) 이전에 개시될 수도 있고, 상기 세제용해단계(S50)가 개시된 후 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단계(S60)는 상기 세제용해단계(S50)의 종료 전 종료되거나, 상기 세제용해단계(S50)의 종료시 함께 종료될 수 있다.
상기 세제용해단계(S5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 제어방법은 설정시간이 경과(S70)한 때 상기 세제용해단계(S50)를 종료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모션실행단계와 제2모션실행단계 각각이 상기 드럼 바디(31)를 큰 회전수로 오랫동안 회전시킬수록, 상기 터브 바디(21)에는 강한 수류가 형성될 것이다. 다만, 세제용해단계(S50)와 함께 가열단계(S60)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상기 드럼 바디(31)를 큰 회전수로 오랫동안 회전시키면, 의류처리장치(100)에 과전류가 공급될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제1모션실행단계(S51, S53)에서 구동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과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시간의 비, 제2모션실행단계(S55, S57)에서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시간과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시간의 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즉, 본 발명에 구비된 제1모션실행단계는 기 설정된 제1시간 동안 상기 구동부(35)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공급단계, 및 기 설정된 제2시간 동안 상기 구동부(35)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제1차단단계로 구비되고, 상기 제2모션실행단계는 기 설정된 제3시간 동안 상기 구동부(35)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공급단계, 및 기 설정된 제4시간 동안 상기 구동부(35)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제2차단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시간은 상기 제2시간의 3배보다 작은 시간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3시간은 상기 제4시간의 3배보다 작은 시간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시간과 상기 제3시간은 동일하게 설정되고, 상기 제2시간과 상기 제4시간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는데, 제1시간과 제2시간의 비(제3시간과 제4시간의 비)는 11:4가 일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전방패널
13: 투입구 131: 도어 2: 터브
21: 터브 바디 23: 터브 투입구 25: 스프링
26: 댐퍼 27: 챔버 29: 히터
3: 드럼 31: 드럼 바디 32: 드럼 관통홀
33: 드럼 투입구 35: 구동부 351: 스테이터
353: 로터 355: 회전축 4: 절연부
41: 절연바디 43: 유입관 5: 세제공급부
51: 케이스 52: 드로워 521: 저장부
523: 세제배출구 53: 배출관 561: 급수관
563: 급수밸브 6: 배수부 61: 배수 챔버
63: 제1배수관 65: 배수펌프 67: 제2배수관

Claims (10)

  1. 물이 저장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터브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터브로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최하단이 물에 잠기는 수위까지 상기 급수부가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세제공급부에 저장된 세제를 상기 터브에 공급하는 세제공급단계; 및
    상기 드럼의 회전을 통해 상기 터브 내부에 수류를 발생시켜 상기 터브에 공급된 세제를 용해하는 세제용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용해단계는
    상기 구동부가 기 설정된 제1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1모션실행단계; 및
    상기 구동부가 상기 제1회전수와 다른 제2회전수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2모션실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션실행단계는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모션실행단계는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션실행단계는 상기 드럼을 반시계방향 회전과 시계방향 회전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모션실행단계는 상기 드럼을 반시계방향 회전과 시계방향 회전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션실행단계는 상기 드럼을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모션실행단계는 상기 제1모션실행단계에 설정된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션실행단계와 상기 제2모션실행단계는 순차적으로 실행되되 2회 이상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가열하도록 구비된 히터를 작동시켜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단계는 상기 세제용해단계의 진행 중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션실행단계는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기 설정된 제1시간 동안 공급하는 전력공급단계; 및
    기 설정된 제2시간 동안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차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시간은 상기 제2시간의 3배보다 짧은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션실행단계는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기 설정된 제3시간 동안 공급하는 전력공급단계; 및
    기 설정된 제3시간 동안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차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시간은 상기 제4시간의 3배보다 짧은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간과 상기 제3시간은 동일하게 설정되고, 상기 제2시간과 상기 제4시간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수는 상기 제2회전수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90030357A 2019-03-18 2019-03-18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1108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357A KR20200110885A (ko) 2019-03-18 2019-03-18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357A KR20200110885A (ko) 2019-03-18 2019-03-18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0885A true KR20200110885A (ko) 2020-09-28

Family

ID=7280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357A KR20200110885A (ko) 2019-03-18 2019-03-18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08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5848B1 (en) Drum-type washing machine and tub cleaning method of the same
US9181649B2 (en)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CN108660682A (zh) 洗衣机的控制方法、装置及洗衣机
US20080222818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disentangling clothes in the washing machine
US8978423B2 (en)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machine
JP2005328873A (ja) ドラム式洗濯機
US7596824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30198969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40172A (ko) 세탁기 및 그 탈수 제어방법
JP2005152593A (ja) 洗濯機の脱水運転制御方法
EP2503044B1 (en) A method for performing a washing cycle of sensitive laundry in a washing machine or in a washer-dryer
EP3401433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JP3011636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200110885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09066295A (ja) ドラム式洗濯機
US9187856B2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KR20200110886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14008261B (zh) 控制洗衣机的方法和洗衣机
KR102536866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3613885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laundry treating device
KR20220056146A (ko) 의류처리장치
JP2012228410A (ja) 洗濯機
KR102628101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9243361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2895947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