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549A - 키네틱 루버 유닛, 키네틱 루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장치 - Google Patents

키네틱 루버 유닛, 키네틱 루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549A
KR20230013549A KR1020210094430A KR20210094430A KR20230013549A KR 20230013549 A KR20230013549 A KR 20230013549A KR 1020210094430 A KR1020210094430 A KR 1020210094430A KR 20210094430 A KR20210094430 A KR 20210094430A KR 20230013549 A KR20230013549 A KR 20230013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unit
kinetic
frame
louv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1843B1 (ko
Inventor
권성태
Original Assignee
(주)이지위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위드 filed Critical (주)이지위드
Priority to KR1020210094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843B1/ko
Publication of KR20230013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4Grid-like or open-work ceilings, e.g. lattice type box-like modules, acoustic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0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Blinds (AREA)

Abstract

키네틱 루버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키네틱 루버 유닛은, 건물의 천장에 지지되도록 천장 근방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루버 프레임부;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연결되는 일단부위가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연결되는 제2 루버 프레임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 상기 제2 루버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상기 제2 루버 프레임부의 힌지연결부를 승하강 구동하되, 개별적으로 승하강 구동을 제어 가능한 승하강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댐퍼, 제1 및 제2 접촉지지부를 마련함으로써 지진이나 기타 요인에 의해 건축물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진동이 키네틱 루버 모듈로 전달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키네틱 루버 유닛, 키네틱 루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장치{kinetic louver unit, kinetic louver module, and kinetic louve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기획된 다양한 모션을 연출할 수 있는 키네틱 루버 유닛, 키네틱 루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키네틱 아트(Kinetic Art)는 움직임을 본질로 한 예술이다. 키네틱 아트는 정지된 조각에 기계공학적 움직임을 부여하여 공기의 흐름이나 모터에 의해 동력을 얻는 기계 조작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최근 비디오 아트, 레이저 아트, 홀로그래피 등 첨단기술과 융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무한히 발전하고 있는 예술 장르이다.
키네틱 아트는 움직이는 예술 작품으로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소재와 빛의 효과에 따라 움직임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타 장르의 미디어 아트와 결합하여 광고, 브랜드 홍보, 전시회, 공공조형물, 공연 등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키네틱 아트 장치의 움직임은 대부분 키네틱 아트를 제작하는 작가에 의해 조절되거나 프로그램을 통해 제어되며, 이를 위해 작가 또는 개발자가 움직임을 설계하게 된다.
이러한 키네틱 아트 장치는 다양한 분야의 장소에 설치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현재 일 예로 건물의 루버(louver)에 적용되어 사람들에게 동적인 심미감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사람들의 점차 상승하는 심미감 획득 기대치를 충족하기 위해서, 현재보다 높은 자유도의 키네틱 모션을 제공할 수 있는 키네틱 아트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데, 키네틱 아트 장치는 모션 변동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들의 특성상 더욱 높은 자유도의 키네틱 모션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모션부와 모션부의 움직임을 구동하는 구동부의 결합구조가 상당히 복잡해질 수 밖에 없고 제작비용 또한 급격히 상승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비용 상승이 크게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일정이상 더 상승한 자유도를 갖는 키네틱 모션을 연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개발하여 이를 제안하는 바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02661호 (2014.06.03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잡한 구조를 추가하여 제조 비용 상승이 크게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존보다 충분히 높은 자유도의 키네틱 모션을 제공할 수 있는 키네틱 루버 유닛, 키네틱 루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천장 근방에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루버 프레임부;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연결되는 일단부위가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연결되는 제2 루버 프레임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 상기 제2 루버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상기 제2 루버 프레임부의 힌지연결부를 승하강 구동하되, 개별적으로 승하강 구동을 제어 가능한 승하강 구동부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승하강 구동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와 상기 제1 와이어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와이어 권취부를 갖는 제1 승하강 구동부;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2 루버 프레임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2 루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와이어 권취부를 갖는 제2 승하강 구동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 루버 프레임부의 힌지 연결부분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루버 프레임부의 힌지 연결부분에 연결되는 제3 와이어와 상기 제3 와이어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3 와이어 권취부를 갖는 제3 승하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제2 루버 프레임부는 각각, 일정이상의 길이를 갖는 루버 프레임; 상기 루버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led; 및 상기 루버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led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승하강 구동부는,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제2 루버 프레임부의 복수의 led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발광제어부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원공급 및 통신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와이어 권취부는, 상기 제3 와이어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시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원공급 및 통신선을 동시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할 수 있다.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제2 루버 프레임부는 각각, 상기 루버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led의 발광 빛을 확산하는 광확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제2 루버 프레임부는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접거나 펼침 가능하도록 인접하게 배치된 서로간에 길이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단위 루버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루버 프레임부는 각각,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된 서로간에 길이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단위 루버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단위 루버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루버 프레임은 각각 내부가 관통된 타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위 루버 프레임은 각각, 내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면에는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되고, 내면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홈에 대응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가이드돌기가 연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단위 루버 프레임은, 내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제2 루버 프레임부의 각각의 일단인 힌지 연결부 근방에 위치하는 단위 루버 프레임으로부터 타단에 위치하는 단위 루버 프레임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천장 근방에 마련되는 모듈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모듈 지지 프레임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설치되는 키네틱 루버 유닛을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키네틱 루버 유닛의 각각의 상기 제2 루버 프레임부의 힌지연결부를 서로 연결하여 동시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천장 벽면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고정 설치되어 외부 진동을 흡수 가능한 복수의 댐퍼; 상기 각각의 댐퍼 하측에 일체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1 접촉지지부; 제10항에 따른 키네틱 루버 모듈; 및 상기 키네틱 루버 모듈의 상기 모듈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복수의 제1 접촉지지부와 결합되는 복수의 제2 접촉지지부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모듈 지지 프레임을 건물의 천장과 바닥 사이에서 승하강시킬 수 있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접촉지지부는 상기 승강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접촉지지부와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접촉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접촉지지부에는 각각 서로간의 정위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정위치결합유도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정위치결합유도부는, 상기 제2 접촉지지부에 마련되는 원뿔 형상의 제1 결합돌기 또는 제1 결합홈; 및 상기 제1 결합돌기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접촉지지부에 마련되는 원뿔 형상의 제2 결합홈, 또는 상기 제1 결합홈에 삽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접촉지지부에 마련되는 원뿔 형상의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키네틱 루버 유닛, 키네틱 루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장치에 의하면, 댐퍼, 제1 및 제2 접촉지지부를 마련함으로써 지진이나 기타 요인에 의해 건축물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진동이 키네틱 루버 모듈로 전달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촉지지부가 제1 접촉지지부와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키네틱 루버 모듈의 수리 및 부품교체 등이 필요한 경우 키네틱 루버 모듈을 지상으로 하강시켜 작업자가 지상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 중 안전사고방지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접촉지지부와 제2 접촉지지부에 각각 서로간의 정위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정위치결합유도부를 마련함으로써, 제1 접촉지지부와 제2 접촉지지부의 정위치 결합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제2 루버 프레임부 사이에 힌지연결부를 마련하고 제1 내지 제3 승강 구동부의 구동을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기존보다 월등히 높은 자유도의 키네틱 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제2 루버 프레임부가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접거나 펼침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특히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제2 루버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위 루버 프레임이 일측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타원형상의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자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점차 감소시켜 특히 자유단부의 하방 처짐이 발생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약화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승하강 구동부가 전원공급 및 통신선을 포함함으로써, 제1 승하강 구동부와 제2 승하강 구동부가 각각 전원공급 및 통신선을 포함하는 구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1 승하강 구동부와 제2 승하강 구동부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ed 발광을 한층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a)는 도 2의 우측면도이고 도 3(b)는 연결축이 생략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장치에서 키네틱 루버 모듈이 승하강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장치에서 키네틱 루버 모듈의 다양한 키네틱 모션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일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유닛에서 제1 루버 프레임부 또는 제2 루버 프레임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유닛에서 단위 루버 프레임, 연결 브래킷 사이에 led, 광확산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유닛의 제1 루버 프레임부 또는 제2 루버 프레임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유닛의 제1 루버 프레임부 또는 제2 루버 프레임부가 길이방향으로 절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유닛의 제1 루버 프레임부 또는 제2 루버 프레임부에서 단위 루버 프레임부가 이웃하는 다른 단위 루버 프레임부로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유닛에서 단위 루버 프레임이 이웃하는 단위 루버 프레임 내측으로 삽입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유닛의 다양한 키네틱 모션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유닛에서 제3 와이어 권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유닛, 키네틱 루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장치는 건축물의 실내 천장에 마련되어 다이나믹한 시각적 움직임과 색상의 변화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동적인 움직임 연출을 위한 키네틱 장치에 비해 더욱 자유도(DOF, degree of freedom) 높은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장치(1000)는 키네틱 루버 모듈을 천장 근방에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댐퍼(1100), 제1 접촉지지부(1110), 키네틱 루버 모듈(1200), 제2 접촉지지부(1120) 및 승강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먼저, 댐퍼(1100)는 외부 진동을 흡수 가능한 것으로서, 건물의 천장 벽면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고정 설치된다. 댐퍼(1100)는 지진이나 주변공사 등의 요인에 의해 건축물의 기둥, 천장 등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진동을 흡수하여 키네틱 루버 모듈(12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댐퍼(1100)는 스프링 구조, 유공압 실린더 구조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제1 접촉지지부(1110)는 복수로 마련되며 각각의 댐퍼(1100) 하측에 일체로 마련된다. 제1 접촉지지부(1110)는 댐퍼(1100)를 통해 일정이상 상쇄된 진동이 제2 접촉지지부(1120)로 전달되는 것을 일정부분 추가 보완해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진동전달 저감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키네틱 루버 모듈(1200)은 후술하는 복수의 키네틱 루버 유닛의 배열,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하나의 키네틱 루버 모듈(12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10개 전후의 키네틱 루버 유닛이 배열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건축물의 천장 근방에는 이러한 키네틱 루버 모듈(1200)이 설치면적에 대응하도록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데, 이하 설명 및 도면에는 하나의 키네틱 루버 모듈을 예로 하여 설명 및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네틱 루버 모듈(1200)은 모듈 지지 프레임(1210) 및 키네틱 루버 유닛(100)을 포함한다.
모듈 지지 프레임(1210)은 다수의 키네틱 루버 유닛(1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일정이상의 설치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건물의 천장 근방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네틱 루버 유닛(100)은 모듈 지지 프레임(1210)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설치되며, 복수의 키네틱 루버 유닛(100)은 각각 개별적으로 동적인 움직임을 연출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움직임 제어에 따라 서로 동일한 움직임을 나타내도록 연출할수 도 있다. 한편, 복수의 키네틱 루버 유닛(100)은 더욱 다이나믹한 움직임 연출을 위해,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되어 개별적으로 동적인 움직임을 연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별 키네틱 루버 유닛(100)의 후술하는 지지 프레임(110)이 모듈 지지 프레임(121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고, 이와 달리 상기 지지 프레임(110)이 생략된 채 개별 키네틱 루버 유닛(100)의 승하강 구동부(500)가 모듈 지지 프레임(1210)의 하측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키네틱 루버 유닛(100)이 각각 개별적으로 동적인 움직임을 연출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면 더욱 다이나믹한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지만, 키네틱 모션 중 안정성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보다 충분히 자유도 높은 움직임을 제공하면서도 키네틱 루버 모듈(1200)의 키네틱 모션 진행 중 안정성이 저감되는 것을 보완할 수 있는 추가 구조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모듈(1200)은 복수의 키네틱 루버 유닛(100)의 각각의 후술하는 제2 루버 프레임부(300)의 힌지연결부(400)를 서로 연결하여 동시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축(122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축(1220)는 후술하는 복수의 키네틱 루버 유닛의 각각의 힌지연결부(400)을 서로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그 연결방식 및 구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키네틱 루버 모듈(1200)을 기준으로 복수의 키네틱 루버 유닛(100)이 서로 동일한 움직임을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키네틱 루버 유닛(100)의 후술하는 각각의 제1 승하강 구동부(510), 제2 승하강 구동부(520) 및 제3 승하강 구동부(530)는 모두 동일하게 구동한다. 이 경우, 연결축(1220) 외에 복수의 제1 루버 프레임부(200)의 중앙부분과 복수의 제2 루버 프레임부(300)의 중앙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또 다른 연결축(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와 달리 복수의 키네틱 루버 유닛(100)의 후술하는 각각의 제1 승하강 구동부(510), 제2 승하강 구동부(520)를 개별적으로 구동하고, 연결축(1220) 구조가 적용되어 제3 승하강 구동부(530)는 모두 동일하게 구동함으로써, 좀 더 다이나믹한 움직임을 연출할 수 있으며 전자(前者)의 경우보다는 후자(後者)의 경우가 좀 더 자유도 높은 모션 연출을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축(1220)은 생략 가능하고, 제1 승하강 구동부(510), 제2 승하강 구동부(520) 및 제3 승하강 구동부(530)를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하는 경우 더욱 다이나믹한 움직임을 연출 가능하다.
다음,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접촉지지부(1120)는 키네틱 루버 모듈(1200)의 모듈 지지 프레임(1210)의 상측에 복수의 제1 접촉지지부(1110)와 대응 결합되도록 복수로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제2 접촉지지부(1120)는 댐퍼(1100)와 제1 접촉지지부(1110)를 통해 일정이상 상쇄된 진동이 모듈 지지 프레임(12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일정부분 추가 보완해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진동전달 저감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승강부(미도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 지지 프레임(1210)을 건물의 천장과 바닥 사이에서 승하강시키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천장에 고정 설치되어 모듈 승강 와이어(1130)를 감거나 풀면서 모듈 지지 프레임(1210), 즉 키네틱 루버 모듈(1200)을 승강시킬 수 있는 호이스트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키네틱 루버 유닛(100)의 후술하는 제1 루버 프레임부(200), 제2 루버 프레임부(300)의 정상적인 키네틱 모션은 제1 접촉지지부(1110)와 제2 접촉지지부(1120)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진이나 건물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댐퍼(1100)로 인해 키네틱 루버 모듈(1200)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에, 키네틱 루버 모듈(1200)의 수리 및 점검 등이 필요한 경우, 고소 작업의 위험성 해소를 위해 승강부(미도시)는 모듈 승강 와이어(1130)를 풀어 키네틱 루버 모듈(1200)을 지상으로 하강시키며, 이때 제1 접촉지지부(1110)와 제2 접촉지지부(1120) 간의 결합상태는 해제된다. 작업자가 점검, 수리를 완료하면 다시 승강부(미도시)는 모듈 승강 와이어(1130)를 감으면서 키네틱 루버 모듈(1200)을 천장 측으로 상승시키며, 이때 제1 접촉지지부(1110)와 제2 접촉지지부(1120)는 상호 결합상태가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2 접촉지지부(1120)는 승강부(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복수의 제1 접촉지지부(1110)와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부(미도시)를 구동하여 키네틱 루버 모듈(1200)을 지상으로 하강시킴으로써, 키네틱 루버 모듈(1200)과 키네틱 루버 유닛(100)의 수리 및 부품교체 등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지상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 중 안전사고방지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키네틱 루버 모듈(1200)은 모듈 승강 와이어(1130)에 의존해서 승강이 이루어지는바, 전술한 바와 같이 키네틱 루버 모듈(1200)이 지상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다시 천장 측으로 상승 이동하면서 제1 접촉지지부(1110)와 제2 접촉지지부(1120) 간의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상호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보완이 요구된다.
부연하자면, 키네틱 루버 모듈(1200)이 상승하는 동안 좌우, 전후방향으로의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흔들림에 의해 제1 접촉지지부(1110)와 제2 접촉지지부(1120) 간의 결합이 방해될 수 있는바, 상호간을 한층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게 결합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접촉지지부(1110)와 복수의 제2 접촉지지부(1120)에는 각각 서로간의 정위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정위치결합유도부(1150)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정위치결합유도부(1150)는 원뿔 형상의 제1 결합돌기(1151)와 제2 결합홈(1152)을 포함하거나, 원뿔 형상의 제1 결합홈(미도시)과 제2 결합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돌기(1151)는 제1 접촉지지부(1110)를 향해 돌출되도록 제2 접촉지지부(1120)의 마주보는 일면상에 마련된다. 또한, 제2 결합홈(1152)은 제1 결합돌기(1151)가 삽입 가능하도록 제1 접촉지지부(1110)에 마련된다.
따라서, 제1 접촉지지부(1110)와 제2 접촉지지부(1120)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이 연직선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즉 키네틱 루버 모듈(1200)의 흔들림에 의해 연직선상에서 제1 접촉지지부와 제2 접촉지지부의 중심이 서로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제1 결합돌기(1151)의 뾰족한 단부는 제2 결합홈(1152)의 경사면을 따라 제2 결합홈(1152)의 뾰족한 바닥부로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뿔 형상의 제1 결합돌기(1151)와 제2 결합홈(1152) 구조를 통해 제1 접촉지지부와 제2 접촉지지부의 정위치 결합을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정위치결합유도부(1150)는 전술한 구조에서 서로 형성위치가 변경되어 제2 접촉지지부(1120)에 마련되는 원뿔 형상의 제1 결합홈(미도시)과 제1 접촉지지부(1110)에 마련되는 원뿔 형상의 제2 결합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발되는 효과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 키네틱 루버 유닛(1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유닛(100)은 지지 프레임(110), 제1 루버 프레임부(200), 제2 루버 프레임부(300) 및 승하강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110)은 건물의 천장에 지지되도록 천장 근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듈 지지 프레임(1210)에 스크루 마운팅,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모듈 지지 프레임(1210)과 지지 프레임(110)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적용되어 승하강 구동부(500)가 바로 모듈 지지 프레임(12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루버 프레임부(200)는 지지 프레임(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2 루버 프레임부(300)는 마찬가지로 지지 프레임(110)의 하측에 배치되며,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연결되는 일단부위가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연결된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제2 루버 프레임부(300)의 연결 부위에는 상호간의 힌지 회전을 위한 힌지연결부(400)가 마련된다.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제2 루버 프레임부(300)는 후술하는 승하강 구동부(500)를 통해 지지 프레임(110)에 대해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제2 루버 프레임부(300)는 각각, 일정이상의 길이를 갖는 루버 프레임(210), 루버 프레임(210)에 설치되는 복수의 led(220), 루버 프레임(210)에 설치되며 복수의 led(220)로의 전원 공급과 발광 상태를 제어하는 발광제어부(미도시), 루버 프레임(210)에 결합되어 led(220)의 발광 빛을 확산하는 광확산부(230)를 포함한다.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제2 루버 프레임부(300)는 각각 길이변화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도 8과 도 9는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제2 루버 프레임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도시한 것이다.
부연하자면,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제2 루버 프레임부(300)를 길이방향을 따라 절첩시킨 상태로 설치대상 건물로 이송 시킨상태에서, 작업자는 절첩 상태를 해제하여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제2 루버 프레임부(300)를 길이방향으로 펼친 상태에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led(220), 발광제어부(미도시) 및 광확산부(230) 등을 현장에서 조립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 한 쌍의 연결브래킷(255) 사이에 led(220)가 실장된 pcb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240)를 연결하고, 그 상부에 led가 실장된 pcb를 고정 설치하며, 그 상측에 지면을 향해 조사되는 led 발광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광확산부(230)를 고정한다.
여기서, 광확산부(230)는 한 쌍의 연결브래킷(255)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led 빛을 확산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결합방식을 적용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유닛(100)이 설치된 상태에서 광확산부(230)는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제2 루버 프레임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확산부(230)는 광확산 시트, 아크릴, 일면 또는 양면에 빛의 굴절을 위해 복수의 음각/양각 무늬가 각인된 아크릴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
led 발광 면적을 증가시켜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심미적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이러한 지지플레이트(240), led(220), 광확산부(230) 등은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제2 루버 프레임부(300)가 펼쳐진 상태에서 길이방향 전체 구간에 걸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유닛(100)이 건물의 천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제2 루버 프레임부(3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갖지 않으며, 항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제2 루버 프레임부(300)는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접거나 펼침 가능하도록 인접하게 배치된 서로간에 길이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단위 루버 프레임부(25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루버 프레임(210)은 전체 길이를 증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단위 루버 프레임부(25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루버 프레임부(250)는 한 쌍의 단위 루버 프레임(251)과 연결브래킷(255)을 포함하고, 저중량 소재인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천장 프레임에 전달되는 하중을 감소시켜 설치된 상태에서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단위 루버 프레임(251)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된 서로간에 길이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마련되며, 연결브래킷(255)은 한 쌍의 단위 루버 프레임(251)을 연결한다. 이때, 한 쌍의 단위 루버 프레임(251)과 연결브래킷(255)을 서로 연결하도록 별도의 클램프(256)가 추가될 수 있으며, 클램프(256)는 스크루 체결을 통해 결합 가능하다. 연결브래킷(255)이 단위 루버 프레임(251)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 클램프(256)는 생략 가능하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루버 프레임(251)은 각각 내부가 관통된 타원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타원형 단면 구조의 균일한 응력분산 특성으로 인해 복수의 단위 루버 프레임부(250)가 길이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고강도를 유지하면서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단위 루버 프레임부(25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접거나 펼침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제2 루버 프레임부(3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단위 루버 프레임(251)은 인접한 서로간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거나 펼침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 루버 프레임(251)은 각각, 외면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가이드홈(252)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되고, 내면에는 복수의 가이드홈(252)에 대응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가이드돌기(253)가 연속적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홈(252)과 가이드돌기(253) 구조를 통해, 단위 루버 프레임(251)은 설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인접한 다른 단위 루버 프레임 내측으로 슬라이드 삽입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인출되면서 길이 조절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 루버 프레임(251)을 길이방향으로 접어 결국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제2 루버 프레임부(300)의 전체 길이를 감소함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제2 루버 프레임부(300)가 천장 근방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 루버 프레임(251)은 길이방향으로 최대한 펼쳐진 상태를 가지며, 이러한 펼침 상태가 유지된 채로 후술하는 승하강 구동부의 구동에 의한 키네틱 모션이 발생한다.
추가적으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루버 프레임(251)은,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제2 루버 프레임부(300)의 각각의 일단인 힌지연결부(400) 근방에 위치하는 단위 루버 프레임으로부터 타단에 위치하는 단위 루버 프레임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제2 루버 프레임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위 루버 프레임(251)은 상기 일단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타원형상의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네틱 루버 유닛(100)이 천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제2 루버 프레임부(300)의 형상이 힌지연결부(400)를 기준으로 자유단부(최외곽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결국 자유단부로 갈수록 자중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점차 감소시켜 특히 자유단부의 하방 처짐이 발생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약화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덧붙이자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1 와이어(511)와 제2 와이어(521)가 대략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제2 루버 프레임부(300)의 중앙 영역을 지지한다고 가정했을때, 이와 같이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포인트와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제2 루버 프레임부의 자유단부 사이의 구간은 일종의 캔틸레버(cantilever) 보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캔틸레버 보의 특성상 자유단부의 처짐이 다른 구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할 수 밖에 없는바,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유단부로 갈수록 자중을 점차 감소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여 자유단부의 하방 처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6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하강 구동부(500)는 지지 프레임(110)에 대해 제1 및 제2 루버 프레임부(200,300)를 지지하면서 승하강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승하강 구동부(500)는 제1 승하강 구동부(510), 제2 승하강 구동부(520) 및 제3 승하강 구동부(530)를 포함한다.
제1 승하강 구동부(510)는 지지 프레임(110)과 제1 루버 프레임부(200) 사이를 연결하며, 제1 루버 프레임부(200)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511)와 제1 와이어(511)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며 지지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제1 와이어 권취부(512)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제2 승하강 구동부(520)는 지지 프레임(110)과 제2 루버 프레임부(300) 사이를 연결하며, 제2 루버 프레임부(300)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521)와 제2 와이어(521)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며 지지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제2 와이어 권취부(522)를 갖는다.
또한, 제3 승하강 구동부(530)는 지지 프레임(110)과 제1 및 제2 루버 프레임부(200,300)의 힌지 연결부분, 즉 힌지연결부(400) 사이를 연결하며, 힌지연결부(400)에 연결되는 제3 와이어(531)와 제3 와이어(531)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며 지지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제3 와이어 권취부(532)를 갖는다.
여기서,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제2 루버 프레임부(300)의 어느 하나의 단위 루버 프레임부(250), 힌지연결부(400)에는 각각 제1 와이어(511), 제2 와이어(521) 및 제3 와이어(531)를 연결할 수 있도록 별도의 걸림고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와이어 권취부(512,522,532)는 각각 제1 내지 제3 와이어가 권취 가능한 윈치드럼(미도시)과 윈치드럼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서보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승하강 구동부(510)는 제1 루버 프레임부(200)의 승하강을 제어하고, 제2 승하강 구동부(520)는 제2 루버 프레임부(300)의 승하강을 제어하며, 제3 승하강 구동부(530)는 힌지연결부(400)의 승하강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승하강 구동부(510,520,530)의 구동 제어는 개별적으로(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와이어 권취부(512,522,532)의 각각의 서보모터(미도시)의 rpm, 정역 회전방향 제어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및 제2 루버 프레임부의 키네틱 모션 자유도를 월등히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제2 루버 프레임부(300)가 힌지연결부(400)를 통해 상호 힌지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더불어 제1 내지 제3 승하강 구동부(510,520,530)의 개별적인 승강 제어를 통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제2 루버 프레임부(300)의 다양한 키네틱 움직임을 연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제2 루버 프레임부(300)는 지면으로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기 위한 led(220)를 포함하고 있는바, led 발광을 위한 전원공급과 발광 제어를 위해 발광제어부(미도시)로의 전원 인가 및 제어선 연결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도 6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승하강 구동부(530)는 제1 루버 프레임부(200)와 제2 루버 프레임부(300)의 복수의 led(220)로 전원을 공급하고 발광제어부(미도시)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원공급 및 통신선(538)을 더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전원공급 및 통신선(538)이 지지 프레임(110)의 대략 중앙 위치에서 힌지연결부(400) 측으로 연결되도록 한 후 제1 및 제2 루버 프레임부(200,300)에 각각 마련된 발광제어부(미도시)를 향해 양측으로 분기되어 공급되는 구조를 적용한다.
이와 같이 제3 승하강 구동부(530)가 전원공급 및 통신선(538)을 포함하는 구조는, 제1 승하강 구동부(510)와 제2 승하강 구동부(520)가 각각 전원공급 및 통신선을 포함하는 구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1 승하강 구동부(510)와 제2 승하강 구동부(520)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led 발광을 한층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3 승하강 구동부(530), 구체적으로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해 힌지연결부(400)는 연속적으로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바, 이러한 힌지연결부(400)의 승하강 움직임에 대응하도록 전원공급 및 통신선(538)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만약, 제3 와이어(531)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 동작과 대응하지 않도록(일치하지 않도록) 전원공급 및 통신선(538)의 공급이 이루어진다면 전원공급 및 통신선(538)의 단선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와이어 권취부(532)가 제3 와이어(531)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시 이에 대응하도록 전원공급 및 통신선(538)을 동시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와이어 권취부(532)는 제3 와이어(531)가 권취 가능한 윈치드럼(534)과 윈치드럼(534)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3 와이어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서보모터(535)를 포함한다. 여기에 더해, 서보모터(535)의 회전축에는 윈치드럼(534)과 동시에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보조 윈치드럼(536)이 마련되며, 전원공급 및 통신선(538)은 보조 윈치드럼(536)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된다. 따라서, 서보모터(535)의 정역 회전에 따라 제3 와이어(531)와 전원공급 및 통신선(538)은 동시에 동일한 속도로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키네틱 루버 유닛 110: 지지 프레임
200: 제1 루버 프레임부 210: 루버 프레임
220: led 230: 광확산부
250: 단위 루버 프레임부 251: 단위 루버 프레임
252: 가이드홈 253: 가이드돌기
255: 연결브래킷 256: 클램프
300: 제2 루버 프레임부 400: 힌지연결부
500: 승하강 구동부 510: 제1 승하강 구동부
511: 제1 와이어 520: 제2 승하강 구동부
521: 제2 와이어 530: 제3 승하강 구동부
531: 제3 와이어 532: 제3 와이어 권취부
534: 윈치드럼 535: 서보모터
536: 보조 윈치드럼 538: 전원공급 및 통신선
1000: 키네틱 루버 장치 1100: 댐퍼
1110: 제1 접촉지지부 1120: 제2 접촉지지부
1130: 모듈 승강 와이어 1150: 정위치결합유도부
1151: 제1 결합돌기 1152: 제2 결합홈
1200: 키네틱 루버 모듈 1210: 모듈 지지 프레임
1220: 연결축

Claims (14)

  1. 천장 근방에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루버 프레임부;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연결되는 일단부위가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연결되는 제2 루버 프레임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 상기 제2 루버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상기 제2 루버 프레임부의 힌지연결부를 승하강 구동하되, 개별적으로 승하강 구동을 제어 가능한 승하강 구동부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구동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와 상기 제1 와이어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와이어 권취부를 갖는 제1 승하강 구동부;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2 루버 프레임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2 루버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와이어 권취부를 갖는 제2 승하강 구동부; 및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 루버 프레임부의 힌지 연결부분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루버 프레임부의 힌지 연결부분에 연결되는 제3 와이어와 상기 제3 와이어를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3 와이어 권취부를 갖는 제3 승하강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제2 루버 프레임부는 각각,
    일정이상의 길이를 갖는 루버 프레임;
    상기 루버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led; 및
    상기 루버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led의 발광을 제어하는 발광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승하강 구동부는,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제2 루버 프레임부의 복수의 led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발광제어부와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원공급 및 통신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와이어 권취부는, 상기 제3 와이어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시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원공급 및 통신선을 동시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제2 루버 프레임부는 각각,
    상기 루버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led의 발광 빛을 확산하는 광확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제2 루버 프레임부는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접거나 펼침 가능하도록 인접하게 배치된 서로간에 길이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단위 루버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루버 프레임부는 각각,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된 서로간에 길이방향으로 절첩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단위 루버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단위 루버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루버 프레임은 각각 내부가 관통된 타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유닛.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루버 프레임은 각각, 내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면에는 서로 이격되게 복수의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되고, 내면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홈에 대응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가이드돌기가 연속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유닛.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루버 프레임은,
    내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루버 프레임부와 제2 루버 프레임부의 각각의 일단인 힌지 연결부 근방에 위치하는 단위 루버 프레임으로부터 타단에 위치하는 단위 루버 프레임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유닛.
  10. 천장 근방에 마련되는 모듈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모듈 지지 프레임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설치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키네틱 루버 유닛을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네틱 루버 유닛의 각각의 상기 제2 루버 프레임부의 힌지연결부를 서로 연결하여 동시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모듈.
  12. 건물의 천장 벽면에 서로 이격되게 복수로 고정 설치되어 외부 진동을 흡수 가능한 복수의 댐퍼;
    상기 각각의 댐퍼 하측에 일체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1 접촉지지부;
    제10항에 따른 키네틱 루버 모듈; 및
    상기 키네틱 루버 모듈의 상기 모듈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복수의 제1 접촉지지부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제2 접촉지지부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지지 프레임을 건물의 천장과 바닥 사이에서 승하강시킬 수 있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접촉지지부는 상기 승강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접촉지지부와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제1 접촉지지부와 상기 복수의 제2 접촉지지부에는 각각 서로간의 정위치 결합을 유도하기 위한 정위치결합유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위치결합유도부는,
    상기 제2 접촉지지부에 마련되는 원뿔 형상의 제1 결합돌기 또는 제1 결합홈; 및
    상기 제1 결합돌기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접촉지지부에 마련되는 원뿔 형상의 제2 결합홈, 또는 상기 제1 결합홈에 삽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접촉지지부에 마련되는 원뿔 형상의 제2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네틱 루버 장치.









KR1020210094430A 2021-07-19 2021-07-19 키네틱 루버 유닛, 키네틱 루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장치 KR102551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430A KR102551843B1 (ko) 2021-07-19 2021-07-19 키네틱 루버 유닛, 키네틱 루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430A KR102551843B1 (ko) 2021-07-19 2021-07-19 키네틱 루버 유닛, 키네틱 루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549A true KR20230013549A (ko) 2023-01-26
KR102551843B1 KR102551843B1 (ko) 2023-07-05

Family

ID=85110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430A KR102551843B1 (ko) 2021-07-19 2021-07-19 키네틱 루버 유닛, 키네틱 루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8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661B1 (ko) 2013-03-04 2014-06-0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키네틱 미디어 구현용 표면 모듈 및 그 구조물
KR20170133741A (ko) * 2016-05-26 2017-12-0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다용도 스마트 조명 장치
KR20190008457A (ko) * 2017-07-13 2019-01-24 정연진 안전 제동 기능을 갖는 승하강식 조명장치
KR102106941B1 (ko) * 2019-11-12 2020-05-28 한은주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661B1 (ko) 2013-03-04 2014-06-0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키네틱 미디어 구현용 표면 모듈 및 그 구조물
KR20170133741A (ko) * 2016-05-26 2017-12-0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다용도 스마트 조명 장치
KR20190008457A (ko) * 2017-07-13 2019-01-24 정연진 안전 제동 기능을 갖는 승하강식 조명장치
KR102106941B1 (ko) * 2019-11-12 2020-05-28 한은주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843B1 (ko)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8493B2 (ja) 複合昇降ステージ
JP6524177B2 (ja) 視覚的に透明な可撓性支持部材を有する飛行プラットフォーム
CN102232047A (zh) 用于电梯设备的井体
CN103243938A (zh) 一种舞台结构
KR20070078521A (ko) 승강구동식 조명타워
KR100965742B1 (ko) 음향 반사판을 겸한 이동형 조명브리지
KR102551843B1 (ko) 키네틱 루버 유닛, 키네틱 루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장치
KR101416795B1 (ko) 연등 리프팅 장치
CN215101727U (zh) 一种建筑工程用升降装置
KR101583611B1 (ko) 벽부 승강 조명시스템
KR20110035116A (ko) 가변 슬라이드장치가 구비된 방음벽
KR200497469Y1 (ko) 천장 구조물 설치용 리프팅 장치
JP4453109B1 (ja) 巻取式ウインチを用いたワイヤロープ等の紐状体の移動システム及び移動装置
KR101872394B1 (ko) 스마트 가변형 광원 표출 장치
KR102551845B1 (ko) 키네틱 구조물의 추락방지장치
JP2010235261A (ja) 車両持ち上げ装置および巻上げ機
KR102567399B1 (ko) 키네틱 루버 모듈의 전원공급장치
KR20220021625A (ko) 교량 작업차
KR100423999B1 (ko) 무대용 음향반사판의 각도조절장치
JP4631990B1 (ja) ネット又はシート等の吊張体の吊張/収納システム
KR20130018463A (ko)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교량
KR200264991Y1 (ko) 무대설비
CN214890805U (zh) 一种植物灯升降机构
CN219222295U (zh) 一种新型led投射灯
CN220834104U (zh) 一种蹦极模拟极限运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