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941B1 -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941B1
KR102106941B1 KR1020190144257A KR20190144257A KR102106941B1 KR 102106941 B1 KR102106941 B1 KR 102106941B1 KR 1020190144257 A KR1020190144257 A KR 1020190144257A KR 20190144257 A KR20190144257 A KR 20190144257A KR 102106941 B1 KR102106941 B1 KR 102106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member
space
movable decorative
fixed decorative
main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은주
Original Assignee
한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은주 filed Critical 한은주
Priority to KR1020190144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3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ovable parts, e.g. pivoting panels, access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3/00Designs characterised by out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실내공간에 마련된 메인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간이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장식부재의 형태가 변화하면서 실내공간의 분위기 및 환경을 보다 미려하고 화려하게 하여 극적인 분위기의 연출이 가능한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실내공간에 마련된 메인 이동통로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분산되게 설치된 고정형 장식부재; 상기 고정형 장식부재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막아주는 형태를 갖도록 메인 이동통로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고, 한쪽 단부가 고정형 장식부재와 제1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메인 이동통로를 따라 분산된 구조를 갖도록 고정형 장식부재에 설치되고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가동형 장식부재; 상기 다수의 가동형 장식부재를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 작동수단; 공간이용자가 메인 이동통로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공간이용자의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가동형 장식부재가 작동하도록 하는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작동신호 발신수단; 및 공간이용자가 메인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작동신호 발신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작동수단을 제어하면서 다수의 가동형 장식부재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Interactive space automatic expression device}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의 천장에 구성되며 공간이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반응하면서 천장 공간의 형태를 변화시켜 극적인 연출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랙티브(interactive)란, '상호간'의 뜻을 지닌 인터(Inter-)와 '활동적'의 뜻을 지닌 액티브(Active)의 합성어로, 상호활동적인, 곧 쌍방향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사용자가 마치 컴퓨터와 대화를 하듯이 입력과 출력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대개는 텍스트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음성인식·음성합성 등도 가능하고, 워드프로세서나 스프레드시트와 같은 프로그램들이 이에 속하며, 인터랙티브 TV나 인터랙티브 무비 및 인터랙티브 완구 등 컴퓨터 이외의 분야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또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이란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사용하여 현실과 유사한 또는 현실과 동떨어진 가상의 공간을 생성하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술에서 파생된 기술 분야로써, 현실공간(Reality)과 가상공간을 일치화시켜, 현실에 가상의 물체를 합성하여 그 합성된 가상의 물체가 원래 현실공간에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그래픽스 기술의 발전으로 현실보다 더 현실 같은 가상공간을 생성하지만, 이질감이 느껴지는 가상현실 기술과는 달리, 증강 현실 기술은 현실공간 위에 가상의 물체를 합성하여 중첩하여 보여주므로, 이질감이 적을 뿐 아니라, 현실공간에서는 얻을 수 없는 부가적인 정보나 가상의 물체를 증강하여 현실공간을 콘텐츠의 목적에 맞는 공간으로 보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오늘날 성인병이 과거 어느 때보다 더 증가하고 있다. 성인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신체 단련의 중요성을 알고 있지만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 때문에 규칙적으로 체육관이나 헬스클럽을 찾아 운동을 하기는 쉽지 않다.
이러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의 해결방안으로 실감형 인터랙티브 콘텐츠가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감형 콘텐츠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를 기반으로 인간의 감각과 인지를 유발하여 실제와 유사한 경험 및 감성을 확장하기 위해서, 스포츠, 오락, 문화, 방송,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보고, 듣고, 만지고, 공감하는 체험형 콘텐츠이며, 특히 사람과 사물, 사람과 가상의 오브젝트가 인터랙션하는 콘텐츠를 '실감형 인터랙티브 콘텐츠'라고 한다.
또한, 근래에는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주거공간을 포함하여 각종 건물 내에도 각종 인테리어 구조물이 설치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인테리어 구조물은 주택의 거실이나 입구 또는 상점을 포함한 각종 행사장 등의 입구 또는 실내 측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으로 들어설 때 심미감을 높이고, 행사분위기의 극적인 연출을 위한 용도로 설치되고 있으며, 고풍스러움, 화려함, 편안함 등을 느끼도록 선택적으로 장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각종 행사장에 설치되는 종래의 인테리어 구조물은 행사 주인공의 행동과 무관하게 고정된 형태를 갖도록 설치됨에 그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76210호(2011.10.24.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공간에 마련된 메인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간이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장식부재의 형태가 변화하면서 실내공간의 분위기 및 환경을 보다 미려하고 화려하게 하여 극적인 분위기의 연출이 가능한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실내공간에 마련된 메인 이동통로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분산되고, 천장에 매달린 형태로 고정되게 설치된 고정형 장식부재; 상기 메인 이동통로의 좌우 양측에 분산된 고정형 장식부재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막아주는 형태를 갖도록 메인 이동통로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며, 한쪽 단부가 고정형 장식부재와 제1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공간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이루어지되, 메인 이동통로를 따라 분산된 구조를 갖도록 고정형 장식부재에 설치되고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가동형 장식부재; 상기 다수의 가동형 장식부재를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 작동수단; 공간이용자가 메인 이동통로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공간이용자의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가동형 장식부재가 작동하도록 하는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작동신호 발신수단; 및 공간이용자가 메인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작동신호 발신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작동수단을 제어하면서 다수의 가동형 장식부재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장식부재는, 상방향을 향해 호 형상으로 굽어진 다수의 봉이 메인 이동통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채로 결합된 것으로 이루어진 제1고정형 장식부재; 및 하방향을 향해 호 형상으로 굽어진 다수의 봉이 메인 이동통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채로 결합된 것으로 이루어진 제2고정형 장식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고정형 장식부재와 제2고정형 장식부재는 물결모양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장식부재는, 호 형상으로 굽어진 다수의 봉이 메인 이동통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채로 결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고정형 장식부재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되, 제1,2고정형 장식부재 보다 높은 위치에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자세를 갖도록 고정되게 설치된 제3고정형 장식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가동형 장식부재는, 호 형상으로 굽어진 다수의 봉이 메인 이동통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채로 결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2개의 가동형 장식부재가 한조를 이루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실내공간의 천장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와이어를 매개로 가동형 장식부재와 연결되어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주는 동작을 통해 가동형 장식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와이어 권취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신호 발신수단은, 관리자가 수동조작을 통해 작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리모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신호 발신수단은, 가동형 장식부재들의 개수 및 설치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메인 이동통로를 따라 분산되며, 메인 이동통로의 좌우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통해 공간이용자를 감지하는 다수의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신호 발신수단은, 공간이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마련된 RFID 카드와, 상기 RFID 카드에 반응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메인 이동통로를 따라 분산되게 설치된 다수의 RFID 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간을 폐쇄하도록 회전하는 가동형 장식부재가 제한된 범위를 넘어 회전할 때 가동형 장식부재와 고정형 장식부재의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면서 가동형 장식부재의 회전을 물리적으로 억제하도록 상기 고정형 장식부재 또는 가동형 장식부재에 설치된 회전제한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실내공간을 미려하게 해주는 인테리어 장식구조물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특별한 상황에서는 상황에 따른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형태를 바꾸거나 지속적인 움직임을 통해 특정 기능과 요구에 맞춘다. 예를들어, 결혼식 등의 행사 진행시에는 신랑이나 신부 등과 같은 행사 주인공이 메인 이동통로를 따라 실내공간으로 걸어 들어가거나 행사를 마치고 걸어 나올 때 마치 아치교가 열리듯 순차적이면서 입체적으로 가동형 장식부재가 개폐 작동되게 함으로써, 실내공간의 분위기 및 환경을 보다 미려하고 화려하며 다른 분위기를 연출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가동형 장식부재가 공간을 폐쇄하도록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가동형 장식부재가 공간을 개방하도록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가동형 장식부재의 일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가동형 장식부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제어하는 회로의 블록 구성도,
도 6 은 메인 이동통로에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 은 메인 이동통로에 RFID 리더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가동형 장식부재가 공간을 폐쇄하도록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가동형 장식부재가 공간을 개방하도록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가동형 장식부재의 일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가동형 장식부재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제어하는 회로의 블록 구성도를, 도 6은 메인 이동통로에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 7은 메인 이동통로에 RFID 리더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는 고정형 장식부재(100), 가동형 장식부재(200), 작동수단(300), 작동신호 발신수단(400), 제어부(500)로 구성되며, 실내공간의 바닥과 천장의 사이에서 공중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인테리어 구조물의 기능을 수행하고, 결혼식과 같은 행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공간이용자가 메인 이동통로(P)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걸어 들어가거나 걸어 나올 때 마치 아치교가 열리듯 다수의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작동하면서 극적인 행사분위기의 연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공간이용자는 실내공간 안에서 메인 이동통로(P) 위를 이동하는 사람으로, 상기 실내공간이 결혼식장인 경우 공간이용자는 행사의 주인공인 신랑과 신부가 해당될 수 있다.
상기 고정형 장식부재(100)는 실내공간에 마련된 메인 이동통로(P)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분산되고, 천장에 매달린 형태로 고정되게 설치되어 장식효과를 나타내면서 가동형 장식부재(200)를 지지하는 것으로, 제1고정형 장식부재(110)와 제2고정형 장식부재(120) 및 제3고정형 장식부재(130)로 구성된다.
상기 제1고정형 장식부재(110)는 상방향을 향해 호 형상으로 굽어진 다수의 봉이 메인 이동통로(P)와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채로 결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실내공간의 천장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게 설치된 와이어나 장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실내공간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일정 높이에 매달린 형태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고정형 장식부재(110)는 일정한 지름과 길이를 갖는 봉을 일정한 곡률의 호 형상으로 굽어지게 가공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봉을 준비하고, 준비된 다수의 봉을 나란하게 배치하되, 봉과 봉의 사이에 미도시된 스페이서를 배치한 상태에서 다수의 봉 및 스페이서를 관통하는 봉 형태의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다수의 봉을 결속시킨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고정형 장식부재(110)는 호 형상으로 굽어진 봉이 상방향으로 볼록한 자세를 갖고, 다수의 봉이 메인 이동통로(P)와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수평한 자세를 갖도록 고정수단에 의해 실내공간의 천장에 매달린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제1고정형 장식부재(110)는 하나가 메인 이동통로(P)를 따라 길게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짧은 길이로 제작된 다수의 제1고정형 장식부재(110)가 메인 이동통로(P)를 따라 분산된 구조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3에는 일정한 길이로 제작된 다수의 제1고정형 장식부재(110)가 분산된 구조로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고정형 장식부재(120)는 하방향을 향해 호 형상으로 굽어진 다수의 봉이 메인 이동통로(P)와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채로 결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실내공간의 천장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게 설치된 와이어나 장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제1고정형 장식부재(110)의 이웃한 위치에서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고정형 장식부재(120)는 제1고정형 장식부재(110)와 마찬가지로 호 형상으로 굽어진 다수의 봉을 준비하고, 준비된 봉과 봉의 사이에 스페이서를 배치한 상태에서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다수의 봉을 결속시킨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고정형 장식부재(110) 보다 메인 이동통로(P)에 근접한 곳에서 제1고정형 장식부재(110)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되, 제1고정형 장식부재(110)와 함께 물결 모양을 형성하도록 제1고정형 장식부재(110)와 연결된다.
한편, 제2고정형 장식부재(120)를 구성하는 봉의 한쪽 단부는 제1고정형 장식부재(110)를 구성하는 봉의 사이사이로 삽입되어 제1고정형 장식부재(110)와 제2고정형 장식부재(120)의 단부가 서로 일정부분 겹쳐진 상태에서 제1,2고정형 장식부재(110,12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봉 형태의 결속부재에 의해 제1,2고정형 장식부재(110,120)가 서로 연결된 채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고정형 장식부재(120)는 제1고정형 장식부재(110)와 마찬가지로 하나가 메인 이동통로(P)를 따라 길게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짧은 길이로 제작된 다수의 제2고정형 장식부재(120)가 메인 이동통로(P)를 따라 분산된 구조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고정형 장식부재(110)와 제2고정형 장식부재(120)는 실내공간에 마련된 메인 이동통로(P)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서 메인 이동통로(P)를 따라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메인 이동통로(P)의 좌측에 설치된 고정형 장식부재(100)와 우측에 설치된 고정형 장식부재(100)의 사이에는 고정형 장식부재(100)가 위치하지 않은 빈 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제3고정형 장식부재(130)는 공간(S)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고정형 장식부재(100)의 장식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으로, 하방향을 향해 호 형상으로 굽어지게 형성된 다수의 봉의 사이에 미도시된 스페이서를 삽입한 상태에서 봉 형태의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다수의 봉을 결합시킨 것으로 이루어지되, 2개의 제3고정형 장식부재(130)가 한 조를 이루면서 서로 마주하며,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자세를 갖도록 와이어나 장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천장에 매달린 채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3고정형 장식부재(130)는 공간(S) 상에 위치하되, 제1,2고정형 장식부재(110,120)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메인 이동통로(P)를 따라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동형 장식부재(200)는 고정형 장식부재(100)에 의해 메인 이동통로(P)의 수직 상부에 형성된 공간(S)을 공간이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개폐하면서 극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으로, 호 형상을 갖도록 굽어지게 가공된 다수의 봉의 사이에 미도시된 스페이서를 삽입한 상태에서 봉 형태의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다수의 봉을 결합시킨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형 장식부재(100)에 근접한 한쪽 단부가 수평한 자세의 제1축(210)을 매개로 고정형 장식부재(10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제1축(2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공간(S)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즉, 가동형 장식부재(200)를 구성하는 봉의 한쪽 단부는 제2고정형 장식부재(120)를 구성하는 봉의 사이사이로 삽입되어 가동형 장식부재(200)와 제2고정형 장식부재(120)가 일정부분 겹쳐지며, 이처럼 겹쳐진 부분을 제1축(210)이 관통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가동형 장식부재(200)를 회전 가능한 구조로 제2고정형 장식부재(120)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가동형 장식부재(200)는, 2개의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한조를 이루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공간(S)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한조를 구성하는 2개의 가동형 장식부재(200) 중 하나는 메인 이동통로(P)의 좌측에 설치된 고정형 장식부재(10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메인 이동통로(P)의 우측에 설치된 고정형 장식부재(10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또한, 가동형 장식부재(200)는 다수개가 메인 이동통로(P)를 따라 분산된 구조를 갖도록 고정형 장식부재(100)에 설치되어 메인 이동통로(P) 상에서 이동하는 공간이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회전하면서 공간(S)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수단(300)은 다수의 가동형 장식부재(200)를 공간이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회전시키는 것으로, 실내공간의 천장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와이어를 통해 가동형 장식부재(200)와 연결된 다수의 권취기(300`)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권취기(300`)는 모터(310)와, 상기 모터(310)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320)와, 상기 풀리(320)에 감긴 와이어(3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330)는 가동형 장식부재(200)의 자유단측 단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310)의 작동에 의해 풀리(320)가 회전하면서 와이어(330)를 감을 경우 와이어(330)에 의해 가동형 장식부재(200)의 자유단측 단부가 상부로 당겨지게 되므로, 가동형 장식부재(200)는 공간(S)을 개방하도록 위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풀리(32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330)를 풀어줄 경우 가동형 장식부재(200)는 공간(S)을 폐쇄하도록 아래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수단(300)을 구성하는 권취기(300`)는 각각의 가동형 장식부재(200)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가동형 장식부재(20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권취기(300`)가 실내공간의 천장에 분산되게 설치된다.
상기 작동신호 발신수단(400)은 공간이용자가 메인 이동통로(P)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공간이용자의 위치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작동하도록 하는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유선 또는 각종 무선송신수단을 통해 제어부(500)로 작동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작동신호 발신수단(40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는 제어부(500)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유선 리모컨으로, 이 유선 리모컨은 행사 진행자(또는 관리자) 등이 휴대하고 있다가 메인 이동통로(P)를 이동하는 공간이용자의 위치에 따라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공간이용자의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회전하도록 하는 작동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신호 발신수단(400)에 대한 다른 예로는 무선 리모컨으로, 이 무선 리모컨은 행사 진행자(또는 관리자)는 물론 보조 진행자(예를 들어 신부 도우미 등)가 휴대하고 있다가 공간이용자의 위치에 따라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또는 공간이용자가 직접 휴대하고 실내공간으로 들어가거나 나가면서 본인의 위치에 따라 수동으로 조작하여, 다수의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순차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신호 발신수단(400)에 대한 또 다른 예로는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발산하고 받아들이는 발광소자(411) 및 수광소자(412)이다.
상기 발광소자(411) 및 수광소자(412)는 가동형 장식부재(200)의 종방향 설치 개수 및 설치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메인 이동통로(P)를 따라 분산되며, 메인 이동통로(P)의 좌우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
이처럼 발광소자(411) 및 수광소자(412)로 이루어진 작동신호 발신수단(400)에 의하면, 공간이용자가 메인 이동통로(P)를 통해 들어오거나 나갈 때 발광소자(411)에서 조사되고 있는 적외선 또는 레이저는 공간이용자로 인해 일시적으로 차단되며, 이때마다 수광소자(412)들이 이를 통해 인체를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송출해 줌으로써 공간이용자의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가동형 장식부재(200)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신호 발신수단(400)에 대한 또 다른 예로는 RFID 카드(421)와, 상기 RFID 카드(421)와 정해진 거리 내에서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무선 송수신 기능을 일체로 구비한 복수의 RFID 리더기(422)이다.
상기 RFID 카드(421)는 공간이용자가 착용하거나 휴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RFID 리더기(422)는 다수개가 메인 이동통로(P)의 일측에서 메인 이동통로(P)를 따라 분산되게 설치되어 메인 이동통로(P)를 따라 이동하는 공간이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작동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제시한 각종 작동신호 발신수단(400)들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횡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설치되어 있는 가동형 장식부재(200)들을 한 쌍씩 순차적으로 열어준 상기 제어부(500)에서 해당 가동형 장식부재(200)들을 다시 닫아 주는 방법으로는, 자체 내에 열림 시간 후 닫힘 시간을 기 설정해 두었다가 특정 위치의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열린 후 정해진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닫히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또 작동신호 발신수단(400)으로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을 채택한 경우에는 행사 진행자나 보조 진행자 또는 행사 주인공 등이 해당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에 구비되어 있는 닫힘 버튼 등을 수동으로 조작시키는 방식을 통해 가동형 장식부재(200)들이 닫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작동신호 발신수단(400)으로 복수 쌍의 적외선 또는 레이저 발광소자(411) 및 수광소자(412)를 채택하였거나, 또는 RFID 카드(421)와 복수의 RFID 리더기(422)를 채택한 경우에는, 공간이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전술한 작동신호 발신수단(400)으로부터 해당 위치의 가동형 장식부재(200)에 대한 작동신호(즉, 열음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위치의 가동형 장식부재(200)를 열어 준 다음, 공간이용자가 메인 이동통로(P)를 통해 더 걸어 들어가거나 걸어 나옴으로 인해 종방향으로 다음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가동형 장식부재(200)에 대한 작동신호(즉, 열음신호)가 입력될 경우 해당 위치의 가동형 장식부재(200)를 열어주고 이전에 열었던 가동형 장식부재(200)는 자동으로 닫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공간이용자가 메인 이동통로(P)를 따라 실내공간으로 입장할 때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고정형 장식부재(10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S)을 개방하고, 공간이용자가 메인 이동통로(P)를 따라 실내공간으로부터 퇴장할 때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고정형 장식부재(10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S)을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작동신호 발신수단(4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다수의 권취기(300`)를 제어하면서 다수의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공간이용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유선 또는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작동신호 발신수단(400)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지며, 다수의 권취기(3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신호 발신수단(400)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다수의 권취기(3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에 있어서, 공간(S)을 폐쇄하도록 회전하는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권취기(300`)의 고장이나 이상동작으로 인하여 제한 범위를 지나 아래쪽 방향으로 회전하려 할 경우, 이를 제한하는 회전제한부재(140)가 고정형 장식부재(100) 또는 가동형 장식부재(200)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제한부재(140)는 제1축(210)의 인접한 위치에서 고정형 장식부재(100)를 구성하는 다수의 봉 또는 가동형 장식부재(200)를 구성하는 다수의 봉을 수평한 자세로써 가로지르는 형태를 갖도록 설치된 봉재로 이루어지며,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제1축(210)을 중심으로 아래쪽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공간(S)을 폐쇄하는 과정에서 가동형 장식부재(200)에 의한 공간(S)의 폐쇄가 완료된 후, 고정형 장식부재(100)와 가동형 장식부재(200)의 사이에 간섭을 유발시킴으로써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아래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제한부재(140)에 의하면, 와이어(330)의 절단이나 권취기(300`)의 고장으로 인해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제한된 범위를 넘어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돌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는 평상시에는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고정형 장식부재(10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S)을 폐쇄하며, 물결 모양의 제1,2고정형 장식부재(110,120) 및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서로 조화되면서 실내공간을 미려하게 해주는 인테리어 구조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결혼식과 같은 행사의 진행시에는 신랑이나 신부 등 행사의 주체인 공간이용자가 메인 이동통로(P)를 따라 실내공간으로 걸어 들어가거나 행사를 마치고 걸어 나올 때 마치 아치교가 열리듯 다수의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공간이용자의 이동에 대응하여 순차적이면서 입체적으로 작동하면서 극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간이용자가 실내공간에 마련된 메인 이동통로(P)를 통해 입장하는 과정에서 작동신호 발신수단(400)이 공간이용자를 감지하여 작동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출력되는 작동신호는 제어부(500)로 전달된다.
제어부(500)는 작동신호가 출력된 작동신호 발신수단(400)의 위치에 대응하는 곳에 위치한 권취기(300`)를 작동시켜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공간(S)을 개방하도록 회전시키게 되며, 가동형 장식부재(200)의 회전은 서로 마주하면서 한조를 구성하는 2개의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공간(S)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간이용자의 감지와 작동신호의 출력과 전송 그리고 권취기(300`)를 이용한 가동형 장식부재(200)의 회전동작은 공간이용자가 메인 이동통로(P)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다른 구간의 가동형 장식부재(200)로 진입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결국 메인 이동통로(P)를 따라 분산되게 배치된 다수의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공간이용자의 이동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회전하면서 공간(S)을 개방하게 된다.
이러한 가동형 장식부재(200)의 동작은 공간이용자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마치 아치교가 열리듯 순차적이면서 입체적으로 개폐 작동되며, 메인 이동통로(P)의 상부에서 다수의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제1,2,3고정형 장식부재(110,120,130)와 어울리며 종 모양 또는 아치형 탑 모양 또는 두 줄로 늘어선 의장대들이 칼을 이용하여 "∧" 형태를 표출하는 것과 같은 형태를 연출하게 된다.
따라서, 행사장과 같은 실내공간의 분위기 및 환경을 보다 미려하고 화려하며 심미감 있게 창출 및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고정형 장식부재 110: 제1고정형 장식부재
120: 제2고정형 장식부재 130: 제3고정형 장식부재
140: 회전제한부재 200: 가동형 장식부재
210: 제1축 300: 작동수단
300`: 권취기 330: 와이어
400: 작동신호 발신수단 411: 발광소자
412: 수광소자 421: RFID 카드
422: RFID 리더기 500: 제어부

Claims (9)

  1. 실내공간에 마련된 메인 이동통로(P)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분산되고, 천장에 매달린 형태로 고정되게 설치된 고정형 장식부재(100);
    상기 메인 이동통로(P)의 좌우 양측에 분산된 고정형 장식부재(10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S)을 막아주는 형태를 갖도록 메인 이동통로(P)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며, 한쪽 단부가 고정형 장식부재(100)와 제1축(21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제1축(2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공간(S)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이루어지되, 메인 이동통로(P)를 따라 분산된 구조를 갖도록 고정형 장식부재(100)에 설치되고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가동형 장식부재(200);
    상기 다수의 가동형 장식부재(200)를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 작동수단(300);
    공간이용자가 메인 이동통로(P)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공간이용자의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작동하도록 하는 작동신호를 출력하는 작동신호 발신수단(400); 및
    공간이용자가 메인 이동통로(P)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작동신호 발신수단(4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작동수단(300)을 제어하면서 다수의 가동형 장식부재(20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장식부재(100)는,
    상방향을 향해 호 형상으로 굽어진 다수의 봉이 메인 이동통로(P)와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채로 결합된 것으로 이루어진 제1고정형 장식부재(110); 및
    하방향을 향해 호 형상으로 굽어진 다수의 봉이 메인 이동통로(P)와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채로 결합된 것으로 이루어진 제2고정형 장식부재(120);로 구성되며,
    상기 제1고정형 장식부재(110)와 제2고정형 장식부재(120)는 물결모양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장식부재(100)는,
    호 형상으로 굽어진 다수의 봉이 메인 이동통로(P)와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채로 결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고정형 장식부재(10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위치하되, 제1,2고정형 장식부재(110,120) 보다 높은 위치에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자세를 갖도록 고정되게 설치된 제3고정형 장식부재(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가동형 장식부재(200)는,
    호 형상으로 굽어진 다수의 봉이 메인 이동통로(P)와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채로 결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2개의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한조를 이루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공간(S)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300)은,
    실내공간의 천장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와이어(330)를 매개로 가동형 장식부재(200)와 연결되어 와이어(330)를 감거나 풀어주는 동작을 통해 가동형 장식부재(200)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 다수의 와이어 권취기(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신호 발신수단(400)은,
    관리자가 수동조작을 통해 작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리모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신호 발신수단(400)은,
    가동형 장식부재(200)들의 개수 및 설치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메인 이동통로(P)를 따라 분산되며, 메인 이동통로(P)의 좌우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통해 공간이용자를 감지하는 다수의 발광소자(411) 및 수광소자(4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신호 발신수단(400)은,
    공간이용자가 휴대할 수 있도록 마련된 RFID 카드(421)와, 상기 RFID 카드(421)에 반응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메인 이동통로(P)를 따라 분산되게 설치된 다수의 RFID 리더기(4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S)을 폐쇄하도록 회전하는 가동형 장식부재(200)가 제한된 범위를 넘어 회전할 때 가동형 장식부재(200)와 고정형 장식부재(100)의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면서 가동형 장식부재(200)의 회전을 물리적으로 억제하도록 상기 고정형 장식부재(100) 또는 가동형 장식부재(200)에 설치된 회전제한부재(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
KR1020190144257A 2019-11-12 2019-11-12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 KR102106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257A KR102106941B1 (ko) 2019-11-12 2019-11-12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257A KR102106941B1 (ko) 2019-11-12 2019-11-12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941B1 true KR102106941B1 (ko) 2020-05-28

Family

ID=70920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257A KR102106941B1 (ko) 2019-11-12 2019-11-12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9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789B1 (ko) * 2020-12-30 2022-03-04 한은주 웨이브형 인터렉티브 공간 가변 시스템
KR102370788B1 (ko) * 2020-12-30 2022-03-04 한은주 인터렉티브 공간 가변 시스템
KR20230013549A (ko) * 2021-07-19 2023-01-26 (주)이지위드 키네틱 루버 유닛, 키네틱 루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878U (ko) * 2007-08-23 2009-02-26 신수영 개폐형 아케이드
KR20090007548U (ko) * 2008-01-22 2009-07-27 신수영 개방형 아케이드용 환기 장치
KR100965742B1 (ko) * 2007-10-19 2010-06-24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음향 반사판을 겸한 이동형 조명브리지
KR101076210B1 (ko) 2010-07-13 2011-10-24 원광석 인테리어 구조물
KR101514016B1 (ko) * 2014-08-29 2015-04-23 조순자 캐노피형 어닝
KR20170136827A (ko) * 2016-06-02 2017-12-12 최승석 이동체에 집중 조사가 가능한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878U (ko) * 2007-08-23 2009-02-26 신수영 개폐형 아케이드
KR100965742B1 (ko) * 2007-10-19 2010-06-24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음향 반사판을 겸한 이동형 조명브리지
KR20090007548U (ko) * 2008-01-22 2009-07-27 신수영 개방형 아케이드용 환기 장치
KR101076210B1 (ko) 2010-07-13 2011-10-24 원광석 인테리어 구조물
KR101514016B1 (ko) * 2014-08-29 2015-04-23 조순자 캐노피형 어닝
KR20170136827A (ko) * 2016-06-02 2017-12-12 최승석 이동체에 집중 조사가 가능한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789B1 (ko) * 2020-12-30 2022-03-04 한은주 웨이브형 인터렉티브 공간 가변 시스템
KR102370788B1 (ko) * 2020-12-30 2022-03-04 한은주 인터렉티브 공간 가변 시스템
KR20230013549A (ko) * 2021-07-19 2023-01-26 (주)이지위드 키네틱 루버 유닛, 키네틱 루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장치
KR102551843B1 (ko) * 2021-07-19 2023-07-05 (주)이지위드 키네틱 루버 유닛, 키네틱 루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네틱 루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6941B1 (ko) 인터랙티브 공간 자동 표출장치
WO2021211798A1 (en) Interaction between an enclosure and one or more occupants
US20180043247A1 (en) Mapping arena movements into a 3-d virtual world
US10933317B2 (en) Near real-time augmented reality video gaming system
CN106662926A (zh) 普适计算环境中的姿势交互的系统和方法
JP702041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9032744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23123551A (ja) 対話型アニメキャラクターヘッドステム及び方法
WO2021106737A1 (ja) 空間演出方法、プログラム、及び空間演出システム
JPH0773338A (ja) 視覚を中心とした擬似体験装置
JP2016529422A (ja) ルーム編制システム
US202200444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a two-dimensional floor plan into an interactable three-dimensional simulation
US117335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anced interactive experiences
KR20200074557A (ko) 음성/동작인식 적용한 건축공간 가상현실 시스템
KR20110006466A (ko) 대형박물관용 가상현실 수족관장치
EP3073190B1 (en) Ornament mechanism, and ornament, sports equipment, and amusement equipment using same
CN106094941B (zh) 一种改变室内场景的方法与系统
JP2022092073A (ja) 戸パネル及びこれを備えた戸装置
KR20110006465A (ko) 휴대폰과 연계되는 대형박물관용 가상현실 수족관장치
Schwartz A testing ground for interactivity
JP7439310B2 (ja) 仮想現実空間提供システムおよび仮想現実空間の提供方法
JP7082165B2 (ja) プログラム、方法、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
Collins et al. Experimental game interactions in a cave automatic virtual environment
JP2018201247A (ja) 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7199238A (ja) 仮想空間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