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415A -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415A
KR20230013415A KR1020210094132A KR20210094132A KR20230013415A KR 20230013415 A KR20230013415 A KR 20230013415A KR 1020210094132 A KR1020210094132 A KR 1020210094132A KR 20210094132 A KR20210094132 A KR 20210094132A KR 20230013415 A KR20230013415 A KR 20230013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omposition
hydrochloride
mig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지상희
김은혜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94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3415A/ko
Publication of KR20230013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62Stem cells
    • C12N5/0663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BM-MS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999Small molecul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Immu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sychiatr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할로판트린 염산 또는 디페니돌 염산을 포함하는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중간엽 줄기세포의 이동을 촉진시켜 중간엽 줄기세포의 이식을 통한 치료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ducing migr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본 발명은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할로판트린 염산 또는 디페니돌 염산을 포함하는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 몸에 존재하는 세포 중 다양한 유형의 세포 형태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세포가 ‘줄기세포’이다. 성체 줄기세포(Adult Stem Cell)은 다 자란 성체 즉 사람의 혈액, 지방, 골수, 신경, 근육, 피부, 탯줄혈액(제대혈), 태반 등에 존재하는 줄기세포를 말하며, 성체 줄기세포에는 조혈모세포(조혈 줄기세포), 중간엽 줄기세포, 신경 줄기세포 등이 있다. 이 중,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는 다분화능을 가진 기질세포(가슴샘이나 골수 등의 기관에서 그 기능을 담당하는 세포나 조직(유조직)에 둘러싸고 지탱하는 세포)로 조골세포(뼈 세포), 연골세포, 근육세포, 지방세포(골수 지방 조직을 만드는 지방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 (Ankrum 등, 2014).
중간엽 줄기세포는 골수, 혈액, 제대혈과 지방 등과 같은 다양한 조직들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으며, 시험관내 배양 조건에서 대량 증식이 가능하여 윤리적인 문제없이 세포 치료제의 원료 세포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들을 갖고 있다. 또한, 이들은 손상된 조직 및 염증 부위로 이동할 수 있는 지향성(tropism)을 갖고 있어서 상처 치유에 도움을 주며, 여러 조건에서 면역억제 특성을 보인다.
한편, 중간엽 줄기세포는 백혈구와 같은 혈액세포들보다 손상 조직 및 염증 부위로 이동하는 능력이 미약한 편이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손상 조직 및 염증 부위로 이동하는 지향성을 가지고 있으나 이를 위한 핵심적인 부착인자(adhesion ligands)와 케모카인 (chemokine) 수용체들은 상대적으로 소량 발현하고 있으며, 이들마저도 대량 증식을 위한 시험관 내 배양을 하는 동안 점차로 잃어버린다고 보고되었다 (Rombouts 등, 2003). 이들의 고발현을 유도하는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었으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해당 유전자들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벡터로 바이러스 시스템을 사용하여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에 적용하기 힘들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3-0085863호에는 콜로니 자극인자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중간엽 줄기세포를 자극, 증식시키고 CXCR4, SDF-1에 의해 조절되는 중간엽 줄기세포의 이동 유도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229819호에는 β-픽스(PIX) 유전자를 포함하는 유전자 전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줄기세포 이동성 개선용 조성물, β-픽스(PIX) 유전자의 발현량을 측정함으로서 줄기세포 이동성을 예측하는 방법 및 줄기세포의 이동성을 개선시키는 신경질환 치료 보조제의 스크리닝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2025474호에는 에티오나마이드(ethionamide)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이동성 향상용 배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466811호에는 손상된 조직 치료용 이식 조성물 및 손상된 조직 부위로 치료용 세포의 인 비보 이동 유도방법으로, 화학주성인자(예컨대, IL-8 또는 MIP-3α)와 반응시킨 생분해성 지지체를 손상된 위치(예컨대, 관절연골 또는 피부)에 이식하여 조직 재생을 위한 세포의 호밍을 유도/촉진함으로써 손상된 조직을 치료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63696호에는 환자의 혈소판들로 혈소판 용해물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세포 성장 배지를 제조하고, 여기에 중간엽 줄기세포를 증식시키는 점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본 발명의 구성과 차이가 있으며, 비용과 효과면에서도 중간엽 줄기세포의 이동을 촉진하는 본 발명과 차이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85863호, 중간엽 줄기세포의 이동 유도용 조성물, 2013. 07. 30.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229819호, 줄기세포 이동성 개선용 조성물, 2013. 01. 30.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2025474호, 에티오나마이드를 이용한 줄기세포 이동성 향상 방법, 2007. 03. 13.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466811호, 줄기세포의 인 비보(in vito) 이동 유도방법, 2014. 11. 24.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2010-0063696호, 중간엽 줄기세포의 최적 증식 및 이식을 위한 방법 및 조성, 2010. 06. 11. 공개
James A Ankrum, Joon Faii Ong 2, Jeffrey M Karp, Mesenchymal stem cells: immune evasive, not immune privileged, Nat Biotechnol. 2014, Mar;32(3):252-60. Mark F. Pittenger et al., Multilineage Potential of Adult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1999, Science 284, 143 R. J. Deans, A. B. Moseley, Mesenchymal stem cells: biology and potential clinical uses, 2000, Exp Hematol. Aug;28(8):875-84. W. J. C. Rombouts, R E Ploemacher, Primary murine MSC show highly efficient homing to the bone marrow but lose homing ability following culture, Leukemia. 2003 Jan;17(1):160-70.
본 발명의 목적은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로 처리된 중간엽 줄기세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 전, 배양 중, 또는 배양 후에 중간엽 줄기세포를 제1항의 조성물로 처리한 중간엽 줄기세포를 배양한 조절 배양액(conditioned medium) 및 상기 조절 배양액(conditioned medium)으로부터 분리, 정제된 세포외입자(extracellular vehicles), 유전자 또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줄기세포 (stem cells)”란 적합한 환경 및 자극을 통해 각종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자가증식 (self-renewal) 능력을 갖추고 있는 세포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중간엽 줄기세포 (mesenchymal stem cells, MSC)”란 연골, 뼈, 지방, 골수간질, 근육, 신경 등을 만드는데 원조가 되는 세포를 말한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다분화능 (multipotency)을 가고, 성인에서는 일반적으로 골수에 머물러 있지만 제대, 제대혈, 골수, 지방, 근육, 신경, 피부, 양막, 태반 등 기타 조직 등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는 제대, 제대혈, 골수, 지방, 근육, 신경, 피부, 양막, 태반 조직 유래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유래 조직에 관계없이 중간엽 줄기세포의 일반적인 특징인 중간엽 계열 (mesodermal lineage)의 세포 예컨대, 골, 지방 및 연골 등으로 분화할 수 있는 세포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는 동물 유래의 중간엽 줄기세포를 모두 포함하며, 상기 동물은 손상 조직이 발생하여 본 발명의 중간엽 줄기세포를 통해 치료가 가능한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증상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등의 포유 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할로판트린 염산 또는 디페니돌 염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할로판트린 염산의 화학명은 1,3-디클로로-α-[2-(디부틸아미노)에틸]-6-(트리플루오로메틸)-9-페난트렌-메탄올 염산염(1,3-dichloro-α-[2-(dibutylamino) ethyl]- 6-(trifluoromethyl)-9-phenanthrene-methanol hydrochloride)이며, 항말라리아제로 사용되고 있다.
또는 디페니돌 염산의 화학명은 α, α-디페닐-1-피페리딘부탄올(α, α-diphenyl-1-piperidinebutanol) 로, 메니에르병 및 중이 및 내이 수술과 같은 상태에서 발생하는 말초(미로) 현기증 및 관련 메스꺼움 및 구토의 예방 및 대증 치료에 사용된다. 상기 할로판트린 염산 및 디페니돌 염산은 각각 FDA 승인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은 할로판트린 염산 또는 디페니돌 염산을 포함하는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는 제대, 제대혈, 골수, 지방, 근육, 신경, 피부, 양막 및 태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중간엽 줄기세포일 수 있다.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사람 및 동물의 손상 조직에서 골, 지방 및 연골 등으로 분화함으로써 손상 조직의 치료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은 전체 약학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1~4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3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손상조직 내에 직접 주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1일 당 102~1010 세포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 및 피부 도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은 중간엽 줄기세포의 전처리(preconditioning)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을 중간엽 줄기세포의 전처리(preconditioning)에 사용하는 경우, 중간엽 줄기세포의 생존률을 증가시키고, 중간엽 줄기세포의 이동 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중간엽 줄기세포의 조직 내 주입 시, 중간엽 줄기세포의 생존률 증가 및/또는 이동을 촉진시켜 치료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 전, 배양 중, 또는 배양 후에 중간엽 줄기세포를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로 처리한 중간엽 줄기세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 전, 배양 중, 또는 배양 후에 중간엽 줄기세포를 상기 조성물로 처리한, 중간엽 줄기세포를 배양한 조절 배양액(conditioned medium)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절 배양액(conditioned medium)으로부터 분리, 정제된 세포외입자(extracellular vehicles), 유전자 및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치료 조성물은 치료목적에 따라, 연골세포 (chondrocyte), 골아세포(osteoblast), 지방세포(adipocyte), 근육세포(myocyte), 신경세포(neuron) 및 심근세포로 분화 유도할 수 있으며, 뇌졸중, 다발성 경화증, 파킨슨병을 포함하는 신경질환에 의한 신경 손상, 퇴행성 관절염을 포함하는 연골 손상, 골연화증, 골화석증, 골다공증, 근육 퇴행 위축, 심근경색증, 심근손상, 연골, 피부질환, 피부 이식 수술 후 또는 종양 제거 수술 후 연부조직결손을 치료할 생체 재료 생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염증질환, 난청, 크론병을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시, 중간엽 줄기세포의 이동을 촉진시킴으로써 치료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할로판트린 염산(A) 및 디페니돌 염산(B)의 화학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할로판트린 염산 또는 디페니돌 염산 처리 후, 보이든 챔버에서 이동한 중간엽 줄기세포의 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 실시예 1.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을 촉진하는 화합물 스크리닝>
본 발명자들은 FDA 인허가 받은 약물 3천여종에서 중간엽 줄기세포에 독성없이 이동을 촉진하는 화합물을 하기 기술된 실시예를 통하여 선별하였다.
1.1 할로판트린 염산( Halofantrine hydrochloride)
할로판트린 염산은 말라리아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로, 도 1A에 구조식을 나타내었다.
할로판트린 염산(Halofantrine hydrochloride)의 화학명은 1,3-디클로로-α-[2-(디부틸아미노)에틸]-6-(트리플루오로메틸)-9-페난트렌-메탄올 염산염(1,3-dichloro-α-[2-(dibutylamino) ethyl]- 6-(trifluoromethyl)-9-phenanthrene-methanol hydrochloride)이며, 항말라리아제로 사용되고 있는 FDA 승인된 화합물이다.
1.2 디페니돌 염산( Diphenidol hydrochloride)
디페니돌 염산은 현기증과 메스꺼움을 치료하는 항구토제 및 항현기증제로 사용되는 무스카린성 길항제로, 화학명은 α, α-diphenyl-1-piperidinebutanol이며, 도 1B에 구조식을 나타내었다.
디페니돌 염산(Diphenidol hydrochloride)은 말초성 현기증을 조절하는 진정 작용을 하며, 특정 중추신경계 수용체에 직접적으로 구토 방지 효과를 발휘하며, 디페니돌 염산 역시 FDA 승인된 화합물이다.
< 실시예 2. 인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
인간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human bone marrow-drived mesenchymal stem cell, 이하 MSC 이라 명명함)는 iXCells Biotechnolgies(USA)에서 구매하여 mesenchymal stem cell medium(iXCells Biotechnolgies)를 이용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 실시예 3. 할로판트린 염산 및 디페니돌 염산의 중간엽 줄기세포 생존률에 미치는 효과 확인>
상기 도 1의 할로판트린 염산 및 디페니돌 염산이 중간엽 줄기세포 생존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인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의 세포 생존능력은 CCK-8 (Cell Counting Kit-8) 시약 (LPS solution, Seoul, Korea, #CYT3000)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준비된 인간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는 96웰 플레이트 (Corning, NY, USA, #353072)에 웰 당 2 × 103 개의 세포를 분주하여, 37℃ 및 7%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 후 할로판트린 염산 또는 디페니돌 염산을 처리하였다. 할로판트린 염산 또는 디페니돌 염산 10 μM 을 72시간 동안 각 웰에 처리한 후 10 μL CCK-8을 첨가하여 충분히 색이 변할 정도로 배양하였다. 색이 변한 배지는 Hidex sense microplate reader (Hidex, Turku, Finland, #425-301)를 이용해 450 nm 파장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화하였다. 실험값은 대조군을 100%로 하였을 때 상대적인 %값으로 계산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세 번 이상의 독립적인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처리군 대조군 Halofantrine hydrochloride (10μM) Diphenidol hydrochloride (10μM)
생존율 (%) 100 139 105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할로판트린 염산은 139%, 디페니돌 염산은 105%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 실시예 4. 할로판트린 염산 및 디페니돌 염산의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능력에 미치는 효과 확인>
세포 이동능력은 보이든 챔버 (boyden chamber)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준비된 인간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MSC)를 6-웰 플레이트에 2 × 105개 세포/well이 되도록 깔고, 다음날 할로판트린 염산 또는 디페니돌 염산 10 μM을 처리하여 3일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MSC를 떼어내서 50 μL의 0.1% 소태아혈청이 포함된 배지에 5 × 103개의 세포가 포함되도록 준비를 하였다. Boyden 챔버 방법은 8μm pores polycarbonate membrane (neuro probe, MD, USA, #PFB8)을 0.2% 젤라틴 (Merck, MO, USA, #G2625)으로 코팅한 후 건조시켜 사용하였다. Bottom chamber에 각 웰에 10% 소태아혈청이 포함된 배지를 33 uL씩 넣어준 후 젤라틴으로 코팅된 멤브레인을 올리고 top 챔버를 올려 나사로 고정시킨다. Top 챔버의 각 웰에 준비된 MSC(50 uL의 0.1% 소태아혈청이 포함된 배지에 혼합된 5 × 103개 MSC)를 넣어준 후 24시간 동안 5% CO2, 37℃ 조건에서 배양한다. 이후, 멤브레인을 분리하여 바닥쪽으로 이동한 MSC를 Diff Quik (sysmex, kobe, Japan, #38721) 시약을 이용해 염색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이후, 각 군의 세포 수를 확인하였다. 대조군 세포 수를 100%로 두었을 때 상대적인 값을 %로 표기하여 사용하였으며, student t-test 방법으로 통계 처리를 하여, p<0.05 이하일 때 통계적인 유의한 것으로 표기하고 이를 표 2에 나타내었다.
Boyden Chamber 대조군 Halofantrine hydrochloride (10μM) Diphenidol hydrochloride (10μM)
이동한 세포 수 244 281* 293*
대조군 대비 이동한 세포의 수 (%) 100 115* 120*
상기 표 2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할로판트린 염산 및 디페니돌 염산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중간엽 줄기세포의 이동을 각각 15% 및 20% 촉진하였다. 상기와 같은 할로판트린 염산 및 디페니돌 염산의 중간엽 줄기세포의 이동 촉진 활성은 중간엽줄기세포의 손상조직 또는 염증 부위로 이동을 촉진하거나, 관절 연골 또는 피부 등의 이식 후 조직재생을 위한 세포의 이동을 촉진함으로써 손상된 조직을 치료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Claims (6)

  1. 할로판트린 염산 또는 디페니돌 염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엽 줄기세포는 제대, 제대혈, 골수, 지방, 근육, 신경, 피부, 양막 및 태반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조직으로부터 유래된 중간엽 줄기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
  3.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 전, 배양 중, 또는 배양 후에 중간엽 줄기세포를 제1항의 조성물로 처리한 중간엽 줄기세포.
  4. 중간엽 줄기세포의 배양 전, 배양 중, 또는 배양 후에 중간엽 줄기세포를 제1항의 조성물로 처리한 중간엽 줄기세포를 배양한 조절 배양액(conditioned medium).
  5. 제4항의 조절 배양액(conditioned medium)으로부터 분리, 정제된 세포외입자(extracellular vehicles), 유전자 또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조성물은 뇌졸중, 다발성 경화증, 파킨슨병을 포함하는 신경질환에 의한 신경 손상, 퇴행성 관절염을 포함하는 연골 손상, 골연화증, 골화석증, 골다공증, 근육 퇴행 위축, 심근경색증, 심근손상, 연골, 피부질환, 피부 이식 수술 후 또는 종양 제거 수술 후 연부조직결손, 염증질환, 난청, 크론병을 포함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료 조성물.
KR1020210094132A 2021-07-19 2021-07-19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 KR20230013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132A KR20230013415A (ko) 2021-07-19 2021-07-19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132A KR20230013415A (ko) 2021-07-19 2021-07-19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415A true KR20230013415A (ko) 2023-01-26

Family

ID=85110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132A KR20230013415A (ko) 2021-07-19 2021-07-19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3415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3696A (ko) 2007-07-05 2010-06-11 리제너러티브 사이언시즈, 엘엘씨 중간엽 줄기세포의 최적 증식 및 이식을 위한 방법 및 조성
KR101229819B1 (ko) 2009-10-19 2013-02-08 코아스템(주) 줄기세포 이동성 개선용 조성물
KR20130085863A (ko) 2012-01-20 2013-07-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간엽 줄기세포의 이동 유도용 조성물
KR101466811B1 (ko) 2011-03-08 2014-11-28 테고사이언스 (주) 줄기세포의 인 비보(in vivo) 이동 유도방법
KR102025474B1 (ko) 2017-10-30 2019-09-25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에티오나마이드를 이용한 줄기세포 이동성 향상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3696A (ko) 2007-07-05 2010-06-11 리제너러티브 사이언시즈, 엘엘씨 중간엽 줄기세포의 최적 증식 및 이식을 위한 방법 및 조성
KR101229819B1 (ko) 2009-10-19 2013-02-08 코아스템(주) 줄기세포 이동성 개선용 조성물
KR101466811B1 (ko) 2011-03-08 2014-11-28 테고사이언스 (주) 줄기세포의 인 비보(in vivo) 이동 유도방법
KR20130085863A (ko) 2012-01-20 2013-07-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간엽 줄기세포의 이동 유도용 조성물
KR102025474B1 (ko) 2017-10-30 2019-09-25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에티오나마이드를 이용한 줄기세포 이동성 향상 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ames A Ankrum, Joon Faii Ong 2, Jeffrey M Karp, Mesenchymal stem cells: immune evasive, not immune privileged, Nat Biotechnol. 2014, Mar;32(3):252-60.
Mark F. Pittenger et al., Multilineage Potential of Adult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1999, Science 284, 143
R. J. Deans, A. B. Moseley, Mesenchymal stem cells: biology and potential clinical uses, 2000, Exp Hematol. Aug;28(8):875-84.
W. J. C. Rombouts, R E Ploemacher, Primary murine MSC show highly efficient homing to the bone marrow but lose homing ability following culture, Leukemia. 2003 Jan;17(1):160-7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icinich et al.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mesenchymal stem cells: Cell-& tissue-based therapy
Caplan Why are MSCs therapeutic? New data: new insight
Mansour et al. Osteoclast activity modulates B-cell development in the bone marrow
US20060247195A1 (en) Method of altering cell properties by administering rna
KR102664092B1 (ko) 중간엽 줄기세포 증식 및/또는 이동 촉진용 조성물
KR101669038B1 (ko) 영양막 기저층으로부터 유래된 줄기세포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치료제
WO2017014485A1 (ko) 세포융합능력을 도입한 중간엽줄기세포 및 그 용도
KR101327076B1 (ko) 사람 하비갑개 유래 중간엽 기질세포로부터 연골, 골, 신경세포 또는 지방세포를 분화시키는 방법
KR102053868B1 (ko) 하비갑개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ia et al. Combination of BMSCs‐laden acellular nerve xenografts transplantation and G‐CSF administration promotes sciatic nerve regeneration
KR20230013415A (ko) 중간엽 줄기세포 이동 촉진용 조성물
Liu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urkey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US20020041900A1 (en) Chondrocyte cultures and fractions therefrom
KR101051057B1 (ko) 신경전구세포 또는 줄기세포의 신경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및 방법
KR102669135B1 (ko) 중간엽 줄기세포 증식 및/또는 이동 촉진용 조성물
US20130022582A1 (en) Multipotent nestin-positive cells
Dazert et al. Regeneration of inner ear cells from stem cell precursors—a future concept of hearing rehabilitation?
KR102637401B1 (ko) 레노그라스팀에 의한 줄기세포의 운동신경전구세포로의 유도 및 운동신경세포로의 분화
Pronina et al. Recovery of the organism of poikilothermic hydrobionts using mammalian stem cells.
JP7489016B2 (ja) 骨軟骨修復を誘導する多能性幹細胞
WO2019088547A2 (ko) 엘립티신의 줄기세포의 연골세포로의 분화 유도 용도
CRECAN et al. EQUESTRIAN SYNOVIAL FLUID MESENCHYMAL STEM CELLS, A POTENTIAL EXPERIMENTAL MODEL FOR OSTEOARTICULAR THERAPIES
Horwitz MSC Therapy of Inborn Errors
RU2021134793A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лечения миозита, содержащая выделенные митохондрии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Sharma et al. Current Status of Stem Cell Therapy for Cochlear Hair Re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