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3067A - 평판형 라우드스피커 - Google Patents

평판형 라우드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067A
KR20230013067A KR1020227044184A KR20227044184A KR20230013067A KR 20230013067 A KR20230013067 A KR 20230013067A KR 1020227044184 A KR1020227044184 A KR 1020227044184A KR 20227044184 A KR20227044184 A KR 20227044184A KR 20230013067 A KR20230013067 A KR 20230013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sound
stiffness
acoustic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4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로 허거
Original Assignee
소티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티스 아게 filed Critical 소티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013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1Acoustic transducers using travelling bending waves to generate or detect s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5Aspects relating to the positioning and way or means of mounting of exciters to resonant bending wave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프레임 형태의 인클로저, 프레임에 부착된 음향 방출 직사각형 멤브레인 및 멤브레인 반대편에 위치한 전기역학적 진동 자극기를 포함하는 평면 확성기이다. 게다가, 진동 자극기는 직사각형 멤브레인의 평면을 따라 통과하고, 직사각형 멤브레인의 임의의 꼭지점에서 나오고 멤브레인의 꼭지점의 수평으로 반대쪽 꼭지점 2/3 거리에 있는 지점에서 끝나는 특수 라인 내에서 멤브레인에 그 끝 중 하나가 부착된다.

Description

평판형 라우드스피커
본 발명에서 제안된 기술 솔루션은 넓은 스펙트럼의 평판형 라우드스피커(flat loudspeaker)로도 작동할 수 있는 음파 발생기(acoustic wave generator)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방식으로 설계 및 제조된 평판형 라우드스피커는 음향 시스템(acoustic systems)의 성능에서 품질 이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음악 및 음성 녹음의 고품질 재생에 사용할 수 있는 공명 여기막(resonant excitation membrane)이 있는 평면 음향 시스템(flat acoustic system)이다.
콘(cone), 돔(dome), 평판형(flat type) 스피커를 포함하는 기존의 음향기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장치들에는 여러 가지 기본적인 단점이 있다. 가장 필수적인 것 중 하나는 그러한 음향 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에어 매스(air masses)의 부피이다. 그리고 이것은 주파수에 직접적으로 의존하는 위상 변이 및 불일치와 같은 주요 단점을 초래한다.
스피커는 쌍극자 송신기(dipole transmitter )이므로 스피커 전면의 양의 위상(positive phase)과 스피커 뒤의 음의 위상(negative phase)을 일치시켜야 한다.
이것이 바로 스피커 후면에서 위상을 반전시켜 전면 구성 요소에 추가하도록 정확하게 설계된 공기 충전 인클로저(air-filled enclosure)가 사용되는 이유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음향 범위의 특정 주파수 내에서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조정된 음향 시스템을 제공한다. 튜닝 주파수에서 벗어난 경우 위상 변조(phase modulations)가 발생하여 사운드 레코드 재생에 기생 고조파(parasitic harmonics)를 도입하고 위상 특성의 왜곡은 물론 사운드 신호의 진폭 주파수 응답을 변경하는 변조가 발생한다.
이러한 단점이 없는 음향 장치를 만들려는 시도가 알려져 있다. 그 중 공명음방출막(resonating sound-emitting membrane)의 작동원리를 기반으로 한 평판형 라우드스피커(flat-type loudspeaker)가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음향 장치는 인클로저가 필요하지 않으며, 바이폴 오디오 신호 생성 모드, 즉 기본적으로 멤브레인에서 양방향으로 동위상(inphase)을 특징으로 한다. 경험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음향 장치의 유용한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많은 설계 매개변수가 설정되었다. 이러한 매개변수는 러시아 및 국제 특허들에 설명되어 있다. 그 중에는 멤브레인의 너비 대 높이 비례 비율(width to height proportional ratio)의 중요성, 음향 진동 자극기(exciter)의 부착 지점, 멤브레인 부착 방법, 사용되는 액추에이터 유형, 프레임 또는 인클로저 설계, 음향 시스템의 진폭-주파수 응답을 정렬하는 가능한 방법, 및 기타 디자인 기능들의 중요성이 있다.
권장되는 기술과 방법은 특허마다 크게 다르다. 실제로 적용하려고 할 때 필요한 음질을 보장하는 데 많은 어려움에 직면한다. 위에서 언급한 모든 디자인 기능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은 설명되지 않고 무시된다. 다른 매개변수에 영향을 주지 않고, 그것이 또 다른 매개변수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한 매개변수를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많은 특허에 설명된 디자인 기능은 실제로 적용 가능한 것보다 잠재적으로 가능할 가능성이 더 높다. 즉, 이 조합 또는 저 조합을 시도할 것인가, 이 비례 또는 저 비례를 사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으로 압축되지만 그러나 그것이 완전히 합리적인 실용성에 의해 결정되므로 그들 중 어느 것이 유용한 음향 효과를 생성할 것인 것인가는 아무도 모른다.
라우드스피커에는 다양한 디자인의 음향 방출 멤브레인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국제특허공개 WO95/31805는 태블릿 컴퓨터 케이스의 플라스틱 요소를 소리 방출 멤브레인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멤브레인의 특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예: 이러한 패널의 허니컴 구조, 강화 섬유 또는 스페이서 및 쉘을 덮는 인터레이싱 또는 특정 복합 다층 요소에서 코어에 적용되는 시트로서 각 사이드에서 서로 다르게 배향되거나 상대적으로 경사진 그레인(grain)을 포함하거나 각 면에 여러 층의 형태로 구성됨)를 설명하는 러시아 연방 특허 제2692096호는 공간에서 구부러진 허니컴 구조 멤브레인의 사용을 가정한다.
러시아 연방 특허 제2427100호는 유리, 목재 또는 플라스틱을 멤브레인 바디로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미국 특허 US 3779336A는 과립형 폴리스티렌을 멤브레인으로 성형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모든 재료의 매개변수는 멤브레인의 물리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라우드스피커 자체의 기하학적 매개변수를 참조하지 않고 단순히 이러한 재료로 멤브레인을 제조하는 것은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의 사운드 재생 품질을 향상시키지 못한다.
본 발명에 가장 가까운 것은 2001년 12월 18일자 Henry Azim의 특허 US 6,332,029에 설명된 장치이다. 그것은 굴곡 공명 모드 원리(flexural resonance modes principle)로 작동하는 멤브레인에 부착된 특수한 장소 반대편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음향 진동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평평한 멤브레인이 있는 음향 장치를 설명한다. 또한 패널 영역 내 음향 진동 자극기 부착에 유리한 비율을 제공한다. 여러 값이 제공된다. 예: 3\7, 4\9 및 5\13로서, 각 모서리에서 24개의 가능한 조합을 제공한다. 즉, 자극기(exciter) 부착의 여러 위치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그러한 비율의 사용이 음향 시스템의 최대 사운드 재생 품질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결과는 음향 시스템의 사운드 재생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결과는 지지 프레임 형태의 인클로저, 프레임에 부착된 사운드 방출 직사각형 멤브레인 및 멤브레인 반대편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역학적 진동 자극기를 포함하는 평판형 라우드스피커(flat loudspeaker)에 의해 달성된다.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진동 자극기(vibration exciter)가 그것의 한쪽 끝으로서 상기 멤브레인의 평면을 따라 지나고, 상기 멤브레인의 임의의 꼭지점에서 나오고, 상단(top)으로부터 수평으로 상기 멤브레인 반대쪽 사이드에서 상기 멤브레인의 수평 사이드의 반대쪽 꼭지점 2/3 거리에 위치한 한 지점에서 끝나는 특수 라인 내에서 상기 멤브레인에 부착되며, 상기 멤브레인은 허니컴 필러, 양면에서 상기 허니컴 구조에 접착된 표면 레이어로 만들어지고, 폴리우레탄 프라이머 polyurethane primers) 및 바니시(varnishes) 기반의 안정화 함침 용액(impregnating solution)이 표면층을 덮는다.
폴리우레탄 프라이머 및 바니시에 기반한 안정화 함침 용액 층을 추가 아크릴 폴리머 층으로 덮을 수도 있다.
허니컴 필러는 종이, 아라미드 섬유, 알루미늄 또는 비중이 낮은 기타 금속으로 구성된 재료로 만들어진다.
게다가, 직사각형 멤브레인은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둘레 주위에 플랜징(flanging)을 특징으로 해야 한다.
멤브레인의 강성(stiffness)이 상이한 방향들에서 균일하면 멤브레인의 장변(long side)과 단변(short side)의 비율은 9/5이다.
멤브레인의 강성이 상이한 방향들에서 불균일하고 멤브레인의 장변과 단변의 비율이 9k/5인 경우 k는 멤브레인의 세로 방향(longitudinal direction) 강성 대 멤브레인 가로 방향(transverse direction) 강성의 비율이다.
또한, 소리를 방출하는 직사각형 멤브레인은 멤브레인 둘레에 위치한 폼 테이프(foam tape)를 사용하여 지지 프레임에 부착해야 한다.
본 발명은 하기 도면으로 설명된다.
도 1은 제안된 평판형 라우드스피커의 개요를 보여준다.
도 2, 3은 제안된 평판형 라우드스피커의 주요 요소들을 보여준다.
도 4는 음향 방출 멤브레인의 평면 내에서 최소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음향 진동 자극기를 배치하는 것이 권장되는 특수(적색) 라인의 위치를 보여준다.
도 5는 소리 방출 멤브레인의 구조적 단면을 보여준다.
부재번호는 다음을 나타낸다.
1. 소리 방출 멤브레인.
2.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패널 끝의 가장자리.
3. 멤브레인을 인클로저에 고정하는 폼 테이프.
4. 프레임.
5. 장착 스트랩.
6, 6.1-6.5. 전기역학적 음향 진동 자극기.
7. 증폭기 연결 단자.
8. 허니컴 필러.
9. 커버링 페이퍼.
10. 폴리우레탄 프라이머 및 바니시 기반 함침 용액,
11. 아크릴 폴리머.
수많은 실용적 연구의 결과로서,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소비자 특성을 가진 음향 시스템을 만드는 데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여러 기술 솔루션을 제안한다. 이는 특정 물리적 장치에서 구현되며 긍정적인 음향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 솔루션을 적용하는 방법론이다.
이 장치는 지지 프레임(4)(도 2 참조)으로 구성되며, 이는 진동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향 진동을 생성하고 그것을 공기 중에 전달하도록 의도된 멤브레인(1)인 진동 자극기로부터 패널의 가장 자리에 도달한 벤딩 파동(bending wave)에 대한 지렛대(fulcrum) 역할을 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큰 비탄성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져야 한다. 이러한 멤브레인의 표면에서 재현 가능한 주파수의 다른 범위와 관련된 구역(zone)이 변조되지만, 이들 구역 자체는 멤브레인의 전체 영역에 걸쳐 분산된다. 적어도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전기역학적 진동 자극기(6)는 멤브레인 반대편에 위치하며, 멤브레인의 평면을 따라 지나가는 특수 라인(도 4 참조) 내에서 그것들의 한쪽 끝이 멤브레인에 부착된다. 유연한 전도성 전선, 증폭기 연결 단자(7)가 구비된다(도 2 참조).
평판형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의 최종 음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설계 매개변수 중 하나는 음향 방출 멤브레인의 종횡비(aspect ratio)이다.
즉, 장변의 단변에 대한 비율이다. 이러한 멤브레인의 바람직한 종횡비는 적어도 장변의 9개 부분과 단변의 5개 부분으로 실험적으로 확립되었다. 이 비율의 매개 변수 편차가 가능하다. 멤브레인의 강성이 상이한 방향들에서 불균일한 경우. 이 경우 9/5의 종횡비를 k 인자(factor)로 조정해야 한다. k 인자는 멤브레인의 횡방향 강성에 대한 종방향의 멤브레인 강성 사이의 백분율 차이를 정의한다. 따라서 멤브레인의 강성이 횡방향보다 종방향에서 k% 더 높으면 비율은 9k\5가 된다.
이러한 유형의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있어 또 다른 중요한 매개변수는 멤브레인 영역 내 자극기의 위치이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US 6,332,029 특허는 패널 영역 내 음향 진동 자극기에 대한 다수의 바람직한 장착 비율을 설명한다. 상기 특허는 여러 가지 값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3\7, 4\9 및 5\13로서, 각 모서리에서 24개의 가능한 조합을 제공한다. 즉, 자극기 부착의 여러 위치가 제안된다.
본 발명자는 그러한 비율의 사용이 음향 시스템의 최대 사운드 재생 품질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수많은 실제 실험을 통해 소리-방출 멤브레인의 평면을 따라 통과하는 특수 EB 라인(도 4 참조)이 설정되었으며, 그 안에 음향 진동 자극기 또는 그것들이 여러 개 설치되어야 한다. 자극기의 회전축의 지점은 특수 라인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특수 라인 근처에 설치된 자극기 회로의 전면 돌출부를 가로지른다. 따라서 점 A, B, C, D로 표시되는 각도를 갖는 소리 방출 멤브레인의 경우 자극기 부착의 특수한 "적색" 라인이 점 B에서 점 E로 전달된다. 차례로 E는 그것이 DE \ EC = 1 \ 2의 비율로 DC 선분을 나누는 멤브레인의 DC 사이드 상의 점이다. EB 라인 내에 하나 이상의 진동 자극기를 설치할 수 있다(도 6 참조). 이러한 라인 내에 하나의 음향 진동 자극기가 있는 기술 솔루션의 경우, 다음 비율에 따라 X 지점을 결정해야 한다: EB / XB = 1.62. 이러한 라인 내에서 여러 가지 자극기를 사용하기 위해 첫 번째 자극기 6.1(도 6 참조)의 부착 지점을 정의하는 지점 X에서 많은 자극기 사이의 거리가 가능한 작게 6.2, 6.3, 6.4가 되도록 지점 B 방향으로 장착된다. 또한 고주파수 범위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된 음향 진동 자극기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6.5, 도 6 참조). 이러한 자극기는 하나 이상의 광대역 신호 자극기(broadband signal exciters)와 별도로 장착되지만 특수한 "적색" EB 라인, 바람직하게는 모서리 B 근처에 장착된다.
당연히 적색 EB 라인은 멤브레인의 대칭축을 따라 대칭적으로 반사될 수 있으므로 그 작용은 AF 라인, DH 라인 및 CG 라인으로 동일하게 확장된다(도 4 참조).
멤브레인 영역 내에서 자극기 소스의 부착을 가정하고 멤브레인 영역 내 특수 라인 형태로 제안된 기술 솔루션의 장점은 멤브레인 영역 내에서 공진 변조(resonant modulations)의 최적 분포를 보장하는 것이며, 이는 다시 진폭-주파수 응답의 균일성, 스피커 시스템 작동으로 인한 총 왜곡량과 밀접하게 관련된 사운드 자연성, 위상 편이 감소는 물론, 이러한 시스템 작동 시 최대 주파수 범위 보장하는 것이다.
유리한 음향 효과를 직접적으로 보장하는 또 다른 중요한 매개변수는 멤브레인이다.
수많은 실제 연구 결과 소리 방출 공진형 멤브레인에 대한 최적의 설계 솔루션을 식별하게 되었다(도 5 참조). 이러한 멤브레인은 종이, 아라미드 섬유, 알루미늄 또는 비밀도(specific density)가 낮은 다른 금속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구성된 허니컴 구조인 허니컴 필러(8)로 구성된다. 그것은 반복되는 진동 벤딩 발진(vibration bending oscillations)을 견딜 수 있는 접착제 조성물로 양면의 허니컴 구조에 접착된 표면층(9)의 시트를 포함한다. 피복재(covering material)로서 면적 1제곱미터당 밀도가 30 내지 125g인 종이(9)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된다. 다음으로 피복지(covering paper)(9)를 함침하는 폴리우레탄 프라이머 및 바니시 기반 안정화 함침 용액(10). 필요한 경우, 광물 및 유기 물질(석영, 호두 껍질, 쌀 및 왕겨 등)의 미크론-스케일 분쇄를 포함하는 아크릴 중합체 레이어(11)가 사용된다.
도 5의 레이어(layer) 10과 11은 소리 방출 멤브레인의 탄성-가소성 특성과 진폭-주파수 응답의 최종 톤 균형(사운드 콘텐츠 재생의 신뢰성을 담당하는 매개변수)을 주로 결정한다. 완성된 멤브레인의 최종 질량을 가능한 한 줄이는 것의 중요성도 드러났다. 이는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의 감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른 모든 조건이 같다면, 멤브레인의 질량이 적을수록 펄스 신호 전면의 상승률이 높아진다.
350 - 750g /m2 범위의 완전히 완성된 음향 방출 멤브레인의 실제 밀도는 실용적인 가치가 있다. 멤브레인에는 가장자리 처리도 포함된다. 즉, 전체 멤브레인 둘레에 반원형 스펀지 플랜징(flanging)이 있다.
플랜징은 상대적으로 높은(플라스틱) 비밀도(specific density)와 높은 수준의 가소성(plasticity )을 특징으로 하는 재료로 만들어지며, 이는 그런 재료의 두께에서 진동의 빠른 감쇠(attenuation)에 기여한다. 플랜징(2)(도 2 참조)은 멤브레인 가장자리의 질량을 증가시키고, 음향 영향원에서 멤브레인 가장자리를 향해 동심원으로 발산하는 표면 진행파(surface-traveling wave)를 지지(support)하고, 이 파동을 반대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반사하여 주파수-종속 진폭 버스트(amplitude burst)의 변조된 영역 진동 모드를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허니컴 멤브레인의 내부 구조는 실제 적용 시 두께가 3~7mm가 될 수 있다. 두께 및 강성 매개변수는 멤브레인의 절대 사이즈에 연결되어야 한다. 특정 강성의 멤브레인의 절대 사이즈는 실험 연구에서 밝혀진 계수를 기반으로 권장된다.
위에서 언급한 기술 솔루션 외에도, 멤브레인이 음향 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방식의 중요성을 언급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패널 영역 내에서 진폭 변조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 핵심 매개변수이며, 이는 평판형 라우드스피커의 음향 특성을 완전히 결정한다. 또한 멤브레인을 지지 프레임에 부착하여 표면에서 증가된 진동 진폭 주파수 변조 영역의 최상의 분포를 보장하는 실질적으로 바람직한 방법을 확인했다. 이것은 반개방형 부착형(semi-open attachment typ)으로, 여기서 전체 둘레를 따라 멤브레인의 한쪽면에 폼 테이프(foam tape)가 장착되고, 이는 상기 멤브레인과 지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10mm인 경우가 가장 많다. 이 폼 테이프는 표면-이동 1차 파동을 변환하고 음향 자극 소스에서 발산하여 2차 표면-이동 파동으로 처리할 때 필요한 지지 질량을 제공하기 위해 멤브레인의 끝을 고정하는데(플라스틱 재료로 된 멤브레인 끝의 테두리와 함께). 1차로부터의 2차 표면-이동 파동의 간섭과 함께 패널 내의 증가하는 진폭의 영역을 형성할 것이고, 이는 음향시스템 자체의 효과적인 작동에 핵심적인 것이다. 반개방형 부착 방식은 폼 러버(rubber)의 다른 기능(멤브레인과 지지 프레임 사이의 음향 격리를 제공하여 음질에 큰 영향을 미치고 음향 신호 생성 과정에서 고조파 왜곡을 줄임)의 효과적인 성능에 기여한다.
제안된 기술 솔루션을 사용하면 적은 노동력과 재료 비용으로 하나의 멤브레인 내에서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의 품질 특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동시에 최소한의 음향원을 사용하여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비용과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설계 방법 및 기술 솔루션을 적용하면 전대역 라우드스피커 시스템(full-range loudspeaker system)을 만들 수 있다. 실제로 이것은 컴팩트형(평판형) 장치가 20Hz ~ 20,000Hz 범위에서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전체 사운드 스펙트럼을 생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고조파 왜곡(harmonic distortion) 수준이 최소로 감소하는 동안 실제로 최고 수준의 음향 구현에 대해 말할 수 있다.
이것은 주로 소리-방출 멤브레인 영역에 걸쳐 진동 진폭의 주파수-종속 버스트 영역의 올바른 분포의 프로세스를 제어하도록 설계된 위에서 설명한 기술적 솔루션 때문이다. 주파수 응답 그래프에 직선과의 편차가 최소화된 선으로 반영된 정확한 분포는 넓은 범위에서 사운드 생성의 "도플러 효과" 감소와 같은 유용한 음향 효과를 구현한다. 이 유해한 현상은 하나의 스피커에 의해 서로 다른 주파수가 동시에 생성될 때 더 높은 진폭의 낮은 주파수가 더 낮은 진폭을 가진 더 높은 주파수의 캐리어가 된다는 사실로 인해 청취자에게 왜곡이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결과적으로, 고주파 구성 요소가 청취자에게 접근하고 차례로 멀어지면서 "트레몰로(tremolo)" 효과, 사운드 지터(sound jitter) 형태의 왜곡이 발생한다.

Claims (7)

  1.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인클로저, 상기 프레임에 부착된 음향-방출 직사각형 멤브레인 및 상기 멤브레인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역학적 진동 자극기(exciter)를 포함하는 평판형 라우드스피커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역학적 진동 자극기(vibration exciter)가 그것의 한쪽 끝으로서 상기 멤브레인의 평면을 따라 지나고, 상기 멤브레인의 임의의 꼭지점에서 나오고, 상단(top)으로부터 수평으로 상기 멤브레인 반대쪽 사이드에서 상기 멤브레인의 수평 사이드의 반대쪽 꼭지점 2/3 거리에 위치한 한 지점에서 끝나는 특수 라인 내에서 상기 멤브레인에 부착되며, 상기 멤브레인은 허니컴 필러로 만들어지고, 표면 레이어(surface layer)가 양면에서 상기 허니컴 구조에 접착되고, 폴리우레탄 프라이머 및 바니시 기반의 안정화 함침 용액이 상기 표면 레이어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라우드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프라이머 및 바니시를 기반으로 하는 안정화 함침 용액의 레이어들에 추가로 적용된 아크릴 중합체 층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라우드스피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니컴 필러가 종이, 아라미드 섬유, 알루미늄 또는 낮은 비밀도(specific density)를 갖는 기타 금속으로 구성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라우드스피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멤브레인의 둘레(perimeter)를 플랜징(flang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라우드스피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이한 방향들에서 균일한 멤브레인 강성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멤브레인의 장변 대 단변의 비율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라우드스피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이한 방향들에서 불균일한 멤브레인 강성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멤브레인의 장변 대 단변의 비율은 9k/5이고, 여기서 k는 상기 멤브레인의 종방향(longitudinal direction) 강성(stiffness)과 상기 멤브레인의 횡방향(transverse direction)강성도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라우드스피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의 둘레 주위에 위치한 폼 테이프(foam tape)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에 부착된 상기 음향-방출 직사각형 멤브레인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형 라우드스피커.
KR1020227044184A 2020-06-16 2020-08-17 평판형 라우드스피커 KR202300130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20119926 2020-06-16
RU2020119926A RU2743892C1 (ru) 2020-06-16 2020-06-16 Плоский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ь
PCT/IB2020/057718 WO2021255510A1 (ru) 2020-06-16 2020-08-17 Плоский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067A true KR20230013067A (ko) 2023-01-26

Family

ID=73139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4184A KR20230013067A (ko) 2020-06-16 2020-08-17 평판형 라우드스피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49295B2 (ko)
EP (1) EP4167594A1 (ko)
JP (1) JP2023531612A (ko)
KR (1) KR20230013067A (ko)
CN (1) CN115699808A (ko)
RU (1) RU2743892C1 (ko)
WO (1) WO2021255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8318B1 (en) * 2023-03-02 2023-09-12 Flatvox Fzc Llc Headphone and headset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9336A (en) 1972-06-27 1973-12-18 J Bertagni Diaphragm for sound transducer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t
US5828768A (en) 1994-05-11 1998-10-27 Noise Cancellation Technologies, Inc. Multimedia personal computer with active noise reduction and piezo speakers
KR100443204B1 (ko) * 1995-09-02 2004-10-26 뉴 트랜스듀서스 리미티드 관성진동트랜스듀서
KR100298303B1 (ko) * 1997-04-29 2001-10-24 이수석 음향장치용코운형진동판제조방법
JP4614534B2 (ja) * 1998-07-03 2011-01-19 ニュー トランスデューサーズ リミテッド 共振パネル形状ラウドスピーカ
US20030081800A1 (en) * 2001-10-31 2003-05-01 Michael Klasco Flat panel sound radiator with supported exciter and compliant surround
DE102006049030B3 (de) * 2006-10-13 2008-04-30 Airbus Deutschland Gmbh Lautsprechersystem für Flugzeugkabine
DE102007003165A1 (de) 2007-01-22 2008-07-24 Siemens Ag Flächenlautsprecher sowie Verfahren zur Einstellung des Schwingverhaltens eines Schwingsystems
DE102007030811A1 (de) * 2007-04-26 2008-11-06 Airbus Deutschland Gmbh Flachlautsprecher
RU2456764C2 (ru) * 2008-01-04 2012-07-20 Эйрбас Оперэйшнз Гмбх Осциллятор для плоского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я, плоский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ь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оснащенное таким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ем
DE102009048000A1 (de) * 2009-10-01 2011-09-15 Bayer Materialscience Ag Verbundwerkstoff aus offenzelligem Hartschaum
JP5668233B1 (ja) 2014-03-26 2015-02-12 株式会社サウンドファン 万能スピーカ
DE102014112962A1 (de) * 2014-09-09 2016-03-10 Ceratec Audio Design Gmbh Flächenlautsprech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erartigen Flächenlautsprechers
US9660596B2 (en) * 2015-01-23 2017-05-23 Tectonic Audio Labs Audio transducer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DE102015104478B4 (de) * 2015-03-25 2021-05-27 Bruno Winter Flachlautsprecher
KR102612609B1 (ko) * 2017-12-29 2023-12-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6744190A (zh) * 2019-06-17 2023-09-12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31612A (ja) 2023-07-25
US20220345821A1 (en) 2022-10-27
EP4167594A1 (en) 2023-04-19
US11849295B2 (en) 2023-12-19
CN115699808A (zh) 2023-02-03
RU2743892C1 (ru) 2021-03-01
WO2021255510A1 (ru)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9334B1 (ko) 음향장치
US4283606A (en) Coaxial loudspeaker system
US3816672A (en) Sound reproduction system
US4357490A (en) High fidelity loudspeaker system for aurally simulating wide frequency range point source of sound
US20170264998A1 (en) Acoustic diffusion generator
US3424873A (en) Coherent-sound loudspeaker
FI94203C (fi) Kaiutin
JP2006502657A (ja) 指向特性を改善した音響再生装置
KR20230013067A (ko) 평판형 라우드스피커
US4905788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s
US4147229A (en) Vibratile mode speaker cabinet
WO2003084286A1 (fr) Dispositif sonore
JP2008310055A (ja) 楽音装置並びに楽音装置の生産方法及び改造方法
JP2001078285A (ja) スピーカ装置
CN207744135U (zh) 一种阵列高音频音箱
US6334505B1 (en) Optimum edges for speakers and musical instruments
JP4210718B2 (ja) 響胴放射型スピーカ
JP6883816B2 (ja) 筒状スピーカー構造、スピーカー装置、オーディオシステム、スピーカー装置製造方法、およびスピーカー装置改造方法
US11758318B1 (en) Headphone and headset comprising the same
RU2744773C1 (ru) Акус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лучения поперечной звуковой волны в газовой среде
CN220823275U (zh) 一种声学装置
KR102215716B1 (ko) 음향재생기능을 갖는 패널
KR102252696B1 (ko) 음향재생기능을 갖는 패널
RU2746715C1 (ru) Плоский низкочастотный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ь
KR102079521B1 (ko) 진동자 스피커 유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