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2343A - 전장상자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전장상자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2343A
KR20230012343A KR1020210093088A KR20210093088A KR20230012343A KR 20230012343 A KR20230012343 A KR 20230012343A KR 1020210093088 A KR1020210093088 A KR 1020210093088A KR 20210093088 A KR20210093088 A KR 20210093088A KR 20230012343 A KR20230012343 A KR 20230012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refrigerator
housing cover
hous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호
황인용
서용만
신연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3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2343A/ko
Priority to PCT/KR2022/008841 priority patent/WO2023287050A1/ko
Publication of KR20230012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2343A/ko
Priority to US18/388,039 priority patent/US2024006873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전장상자 및 이를 포함한 냉장고가 개시된다. 냉장고는 본체,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 본체의 후측에 위치되고, 전장품을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 바디 및 하우징 바디의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하우징 바디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고, 하우징 바디는 하우징 커버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고, 하우징 커버는, 리브와 대응되도록 하우징 커버에 형성되어, 하우징 커버에 충격이 가해질 때 리브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장상자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NTROL BOX AND REFRIGERATOR WITH THE SAME}
본 개시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후면에 결합되는 전장상자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마련되며, 전면이 개방된 본체와 본체의 전면의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도어 및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의 냉기공급장치 등을 구동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전장품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기판, 콘덴서, 캐패시터 등이 전장품에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전장품은 전장상자에 수용된다. 전장상자는 전장품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뿐 아니라, 전장품을 한 곳에 모아두어 관리가 편하게 하도록 한다.
전장상자는 일반적으로 냉장고 본체의 외면에 부착된다. 전장상자는 외부에 노출된 부분이기 때문에 냉장고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전장상자에 충격이 가해질 염려가 있다. 전장상자에 충격이 가해지면, 전장상자 내부에 수용된 전장품에 충격이 전달되어 전장품이 기능을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전장상자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전장품에 그 충격이 전달되지 않거나, 충격을 적게 전달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전장상자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전장품에 가해질 충격이 분산되는 리브 및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전장상자의 리브 및 접촉돌기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어서, 냉장고의 진동에도 불구하고 소음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하우징 커버가 복수의 엠보싱부를 가지면서 하우징 커버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하우징 커버의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본체의 후측에 위치되고, 전장품을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 바디로, 상기 하우징 바디의 내부를 향하는 내면과 상기 내면의 반대측의 외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바디 및 상기 하우징 바디의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 바디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바디는 상기 하우징 커버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리브와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 커버에 내면에 형성되는 접촉돌기로, 상기 하우징 커버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리브와 접촉하도록 상기 리브를 향해 돌출되는 접촉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와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하우징 바디 내에 수용된 전장품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브와 상기 접촉돌기는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접촉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 커버의 외면에 형성되는 리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하우징 바디를 향하는 방향의 끝단이 라운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하우징 바디가 상기 냉장고 후면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리브의 높이가 상기 냉장고 후면에 대해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리브와 상기 접촉돌기의 접촉에 따라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면에 리세스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 커버의 외면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부는 상기 전장품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엠보싱부,상기 제1 엠보싱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엠보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부의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부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을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는 상기 전장품이 배치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수용공간의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접촉부와 마주하는 접촉단을 포함하고, 상기 리브의 접촉단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사상에 따르면 전장상자는 전장품을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 바디로, 상기 하우징 바디의 내부를 향하는 내면과 상기 내면의 반대측의 외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바디 및 상기 하우징 바디의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 바디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바디는 상기 하우징 커버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리브와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 커버에 내면에 형성되는 접촉돌기로, 상기 하우징 커버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리브와 접촉하도록 상기 리브를 향해 돌출되는 접촉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와 상기 접촉부는 상기 하우징 바디 내에 수용된 전장품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브와 상기 접촉부는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접촉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 커버의 외면에 형성되는 리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하우징 바디가 상기 냉장고 후면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리브의 높이가 상기 냉장고 후면에 대해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면에 리세스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 커버의 외면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의 전장상자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전장상자 내부에 수용된 전장품에 전달될 충격이 감소될 수 있다.
냉장고의 진동에 의하여 리브와 접촉돌기가 부딪히는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냉장고의 전장상자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복수의 엠보싱부로 인하여 하우징 커버의 충격에 의한 변화량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본체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냉장고의 전장상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장상자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냉장고 전장상자의 하우징 커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냉장고 전장상자의 하우징 바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냉장고 전장상자의 A-A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전장상자에서 하우징 바디만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하우징 바디가 냉장고 본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하우징 바디에 하우징 커버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하 방향",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본체(10), 식품을 저장하도록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20)과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냉기공급장치(미도시)를 통해 토출되는 냉기를 생성하도록 압축기(미도시), 응축기(미도시), 팽창기(미도시) 및 증발기(미도시)로 이루어진 냉동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20)은 상부 저장실(21)과, 하부 저장실(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저장실(21)은 냉장실일 수 있으며, 하부 저장실(22)은 냉동실일 수 있다.
상부 저장실(21)과 하부 저장실(22)은 각각 식품을 출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개방된 전면은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부 저장실(21)과 하부 저장실은 한 쌍의 회전 개폐식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즉, 회전 개폐식 도어(30)는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발명은 냉장실이 한 쌍의 도어(30)에 의해 개폐되며 냉동실은 한 개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프렌치 타입(French type) 냉장고,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냉장고, 냉동실이 냉장실 위에 배치되는 탑 마운팅 타입(top mounting type) 냉장고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냉장고에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본체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본체(10)는 대략 박스의 형상을 갖고, 내부에 저장실(20)이 형성되는 내상(40)과, 내상(40) 외측에 결합되어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50)과 저장실(20)을 단열하도록 내상(40)과 외상(50)의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60, 도 11)로 구성될 수 있다.
내상(40)은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고, 외상(50)은 철판 재료를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단열재(60, 도 11)로는 발포 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고, 내상(40)과 외상(50)을 조립한 후에 내상(40)과 외상(50)의 사이에 발포 우레탄 액을 주입 및 발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외상(50)은 냉장고(1)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판(51)과, 냉장고(1) 측방 외관을 형성하는 양 측면판들(52, 53)과, 바닥판(54)과, 냉장고(1)의 후방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판(1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판(51)과, 양 측면판들(52, 53)과 후면판(11a)은 각각 대체로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면판(51)과, 양 측면판들(52, 5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는 달리 양 측면판들(52, 53)과 바닥판(54)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면판(51)이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전장상자(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상자(100)는 냉장고(1)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전장품이 수용될 수 있다. 전장품에는 PCB(Printed Circuit Board), 캐패시터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전장품은 충격을 받는 경우 기능이 줄어들거나,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전장상자(100)는 그에 수용되는 전장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대신하여 받음으로써, 전장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장상자(100)는 냉장고(1)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장상자(100)는 냉장고(1)의 후면(11)을 형성하는 후면판(11a)에 위치할 수 있다. 전장상자(100)는 냉장고(1)의 외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냉장고(1) 외부에서 오는 충격을 쉽게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전장상자(100)가 수용하는 전장품도 쉽게 충격을 받을 수 있게 될 수 있다.
전장상자(100)에 충격이 가해지면 내부의 전장품에 충격이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이렇게 내부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 외에도, 전장품을 둘러싸고 있는 전장상자(100)의 변형에 의하여 전장품과 접촉이 일어날 수 있다. 전장품과 전장상자(100)가 접촉이 일어나는 경우 전장품은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장상자(100)는 전장상자(10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그 충격을 분산하여 전장상자(100)의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전장품에 전달되는 충격을 줄이는 구조가 필요하다.
나아가, 충격을 받은 전장상자(100)는 변형이 작게 일어나는 것이 필요하다. 변형이 심하게 일어나는 경우, 그 변형에 의하여 전장상자(100)의 내부에 수용된 전장품과 닿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의하여 전장상자(100)는 수용된 전장품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어 형성되게 된다. 소정의 이격거리를 둠으로써, 전장상자(100)에 충격이 가해져 전장상자(100)가 변형이 일어난다 하더라도, 전장품에 전장상자(100)의 변형된 부분이 닿지 않게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이격거리를 둘 경우에 냉장고(1)의 후면(11)으로 전장상자(100)가 돌출될 수 있다. 냉장고(1)의 경우 벽과의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설치가 되게 된다. 특히 최근의 가전은 빌트인(Built-in)으로 배치되는 경우가 많아, 냉장고(1)가 위치할 공간이 한정적으로 주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냉장고(1)가 위치하는 공간에 맞추어 냉장고(1)의 크기를 설계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만약 냉장고(1) 후면(11)에 돌출된 전장상자(100)가 있는 경우, 돌출된 부분을 고려하여 냉장고(1)의 크기를 설계해야 한다. 돌출된 전장상자(100)의 부분이 더 많이 돌출되면 돌출될수록, 냉장고(1) 저장실(20)의 깊이는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전장상자(100)가 냉장고(1)의 후면(11)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적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냉장고(1)의 저장실(20)의 공간을 크게 설계하는 측면에서는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냉장고의 전장상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상자(100)는 하우징 바디(200)와 하우징 커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200)의 일측과 하우징 커버(300)는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300)는 금속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라스틱으로 하우징 커버(300)를 구성할 때보다, 더 강한 강도를 가지게 될 수 있다. 더 강한 강도를 가지는 경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하우징 커버(300)의 변형량이 보다 작기 때문에, 전장품과 하우징 커버(300)간의 이격거리를 줄일 수 있다.
하우징 커버(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엠보싱부(310)와 접촉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장상자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200)는 일측이 개방될 수 있다. 전장품은 하우징 바디(20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하우징 바디(20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 바디(200)는 전장품으로 직접적인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200)는 전장품이 들어가는 위치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구획이 나누어질 수 있다. 전장품이 들어가는 위치를 수용공간(230)이라 할 수 있다. 수용공간(230)의 주변을 따라 가이드(22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220)는 냉장고(1)가 이동하거나 전장상자(100)가 움직이는 경우, 전장품이 해당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게 하여 전장품끼리 부딪히지 않게 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300)는 하우징 바디(200)의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하우징 바디(20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장품은 하우징 바디(200)와 하우징 커버(300)에 둘러쌓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300)는 엠보싱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엠보싱부(310)는 하우징 바디(20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엠보싱부(310)는 하우징 바디(200)를 향하는 하우징 커버의 내면(301)에 형성되는 엠보싱 리세스(316, 도 8), 하우징 커버(300)의 외면(302)에 형성되는 엠보싱 돌출부(317, 도 8)를 포함할 수 있다. 엠보싱 돌출부(317, 도 8)는 끝단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엠보싱 돌출부(317, 도 8)의 끝단이 평평하게 형성됨으로써,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전장상자(100)가 냉장고(1)의 후면(11)을 향해 돌출되는 정도가 줄어들 수 있다.
하우징 커버(300)는 금속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커버(300)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은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을 기초로 생각하였을 때, 위에서 살핀 것과 같은 구조의 엠보싱을 형성하는 것이 공정에 있어서 용이하다고 볼 수 있다.
엠보싱부(310)가 하우징 커버(300)에 형성되는 경우 하우징 커버(300)의 강도가 올라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엠보싱부(310)가 형성된 하우징 커버(3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엠보싱부(310)가 없었을 때 보다 변형의 정도가 적을 수 있다. 따라서 엠보싱부(310)가 포함된 하우징 커버(300)는 엠보싱부(310)가 포함되지 않는 하우징 커버(300)보다 전장품까지의 이격거리가 더 적게 필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엠보싱부(310)가 포함된 하우징 커버(300)는 냉장고(1) 본체(10) 후면(11)에 결합되어도 냉장고(1) 본체(10) 후면(11)으로부터 더 적게 돌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엠보싱부(310)가 포함된 하우징 커버(30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저장실(20)의 공간을 더 넓게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하우징 커버(300)는 단일한 엠보싱부(310)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복수의 엠보싱부(3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우징 커버(300)가 복수의 엠보싱부(310)를 포함하는 경우, 단일한 엠보싱부(310)를 포함할 때보다 강도가 더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엠보싱부(31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단일한 엠보싱부(310)를 포함하는 경우보다 냉장고(1) 후면(11)으로 전장상자(100)가 돌출되지 않을 수 있고, 저장실(20)의 공간을 더 넓게 마련할 수 있다.
복수의 엠보싱부(310)는 하우징 커버(300)의 베이스면(315)에 대해 단차를 형성하는 제1 엠보싱부(311), 제1 엠보싱부(311)보다 높은 단차를 형성하는 제2 엠보싱부(312), 제2 엠보싱부(312)보다 높은 단차를 형성하는 제3 엠보싱부(313), 제3 엠보싱부(313)보다 높은 단차를 형성하는 제4 엠보싱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4 엠보싱부(314)까지 설명하는 것으로 예를 들고 있지만, 더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엠보싱부(31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엠보싱부(311)는 하우징 커버(300)의 베이스면(315)으로부터 소정거리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엠보싱부(311)는 하우징 커버(300)의 테두리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부터 돌출이 있을 수 있다.
제2 엠보싱부(312)는 제1 엠보싱부(311)의 테두리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부터 돌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엠보싱부(312)는 제1 엠보싱부(311)의 돌출면을 기초로 하우징 바디(20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더 돌출이 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3 엠보싱부(313)는 제2 엠보싱부(312)의 돌출면을 기초로 하우징 바디(20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고, 제4 엠보싱부(314)는 제3 엠보싱부(313)의 돌출면을 기초로 하우징 바디(20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제1 엠보싱부(311) 보다 제4 엠보싱부(314)가 하우징 바디(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제1 엠보싱부(311) 내지 제4 엠보싱부(314)는 하우징 바디(200) 내부에 수용된 전장품의 높이 및 위치에 따라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높이가 높은 전장품이 하우징 바디(200)에 수용된 경우, 그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하우징 커버(300)는 더 높은 높이의 엠보싱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높은 높이를 갖는 전장품과 하우징 커버(300) 사이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형성하여 전장품을 충격으로부터 보다 잘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200)는 하우징 커버(3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2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300)는 리브(21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하우징 커버(300)에 충격이 가해질 때 리브(210)와 접촉하는 접촉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210)와 접촉부(320)는 전장상자(1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접촉하여 전장상자(100)에 가해진 충격을 분산하여 줄 수 있다. 따라서 전장품에 가해지는 충격은 줄어들 수 있다.
참고적으로, 하우징 커버(300)는 금속의 재질일 수 있기 때문에, 접촉돌기와 리브가 접촉함에 따라 접촉돌기는 조금씩 변형이 일어날 수는 있다.
리브(210)와 접촉부(320)에 관하여는 이하 자세히 살펴본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냉장고 전장상자의 하우징 커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냉장고 전장상자의 하우징 바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2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촉부(320)가 마련될 수 있다.
리브(210)의 위치는 전장부품의 주변에 마련될 수 있다. 전장상자(100)의 국소부분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충격이 가해지는 부분의 주위에 있는 리브(210)와 접촉부(320)에 먼저 충격이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충격이 가해지는 부분의 주위에 있는 전장품은 충격을 덜 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장품은 수용공간(230)에 수용되기 때문에, 리브(210)의 위치는 수용공간(230)의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리브(210)는 접촉부(320)와 마주하는 접촉단(211)을 포함할 수 있다. 리브(210)의 접촉단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211a), 제1 부분(211a)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211b)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접촉단의 형상은 L자, T자, ㄷ자형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 리브(210)의 접촉단이 단일한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경우보다 리브(210)의 강도가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충격에 의하여 리브(210)가 파손될 염려가 줄어들 수 있다.
리브(210)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접촉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320)는 엠보싱부(310)의 테두리에 마련될 수 있다. 접촉부(320)도 하우징 커버에서 돌출된 부분이라는 측면에서 엠보싱부(310)와 유사한 측면에 있으므로, 접촉부(320)가 형성됨으로써, 하우징 커버(300)의 강도가 상승할 수 있다.
접촉부(320)는 엠보싱부(310)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접촉부(320)가 엠보싱부(310)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다면, 아래에서 보는 것과 같이, 리브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면서, 전장품과 전장상자(100) 사이에 필요한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접촉부(320)의 돌출방향은 엠보싱부(310)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냉장고 전장상자의 A-A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커버(300)는 하우징 바디(200)의 내부를 향하는 내면(301)과 내면(301)의 반대측인 외면(302)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320)는 리브(210)와 대응되도록 하우징 커버(300)의 내면(301)에 형성되고, 리브(210)를 향해 돌출되는 접촉돌기(3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자세히 서술하겠지만, 리브(210)의 높이는 제한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 커버(300)는 엠보싱부(310)를 갖기 때문에, 리브(210)와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다. 서로 접촉부(320)와 리브(210)는 전장상자(10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접촉하여야 충격이 분산되는 데, 그러한 효과를 가지기 위해서는 리브(210)와 접촉부(320)가 일정거리 이하 가깝게 위치하여야 한다. 이 때, 접촉돌기(321)가 없는 경우에는 리브(210)와 접촉부(320)가 일정거리 이하로 위치할 수 없게 되므로, 이러한 효과를 가지는 데에는 접촉돌기(321)가 필요하다.
접촉부(320)는 접촉돌기(321)에 대응하여 하우징 커버(300)의 외면(302)에 형성되는 리세스(3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300)는 금속 재질일 수 있고, 금속 재질의 경우, 접촉돌기(321)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프레스 공정에 의할 것이라고 한다면, 공정에 의하여 이러한 리세스(322)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접촉부(320)는 하우징 커버(300)의 내면(301)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는 접촉돌기(321)가 마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고, 하우징 커버(300)의 외면(302)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는 리세스(322)가 마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접촉돌기(321)는 끝단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라운드 형상이 될 수도 있다. 접촉돌기(321)의 끝단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리브(210)와의 간격을 조절하기 편하여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하우징 커버(300)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너무 많은 변형은 제품에 크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촉돌기(321)의 끝단을 평평하게 형성하면 크랙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범위에서 접촉돌기(321)의 끝단이 둥글게 형성되는 것도 필요할 수 있다.
리브(210)와 접촉부(320)는 하우징 바디(200)와 하우징 커버(300)가 결합된 때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210)와 접촉부(32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냉장고(1)는 구동 시 진동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리브(210)와 접촉부(320)가 너무 가까우면 진동에 의하여 리브(210)와 접촉부(320)가 닿고 떨어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즉,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브(210)와 접촉부(32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리브(210)와 접촉부(320)가 이격된 거리는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전장상자(10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리브(210)와 접촉부(320)가 닿을 정도의 거리일 수 있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전장상자에서 하우징 바디만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하우징 바디(200)만을 보았을 때, 리브(210)의 높이는 일정 높이로 제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냉장고(1) 본체(10) 후면(11)에 부착되었을 때, 리브(210)가 냉장고(1) 본체(10) 후면(11)을 넘어 돌출되지 않으려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하우징 바디가 냉장고 본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디(200)가 포함하는 리브(210)는 하우징 바디(200)가 냉장고(1) 후면(11)에 결합되었을 때, 냉장고(1) 후면(11)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돌출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살핀 것과 같이, 냉장고(1)의 본체(10)는 내부에 저장실(20)이 형성되는 내상(40)과 내상(40)의 외측에 결합되어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50), 저장실(20)을 단열하도록 내상(40)과 외상(50)의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로 구성될 수 있다.
내상(40)은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고, 외상(50)은 철판 재료를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단열재로는 발포 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고, 내상(40)과 외상(50)을 조립한 후에 내상(40)과 외상(50)의 사이에 발포 우레탄 액을 주입 및 발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내상(40)과 외상(50) 사이에 발포 우레탄 액을 주입 및 발포할 경우에는 냉장고(1) 후면(11)을 아래로 하여 발포 우레탄 액을 주입 및 발포하는 기계에 넣게 된다. 이 때 냉장고(1) 후면(11) 아래에는 플레이트를 두어 발포 우레탄 액을 주입할 때 냉장고(1) 후면(11) 부분에 생기는 압력을 견디게 한다. 이 때 냉장고(1) 후면(11)에 균일한 압력이 가해져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냉장고(1)의 내상(40)과 외상(50)의 형상이 일그러질 수 있다.
만약 리브(210)가 본체(10) 후면(11)을 넘어 돌출될 경우에는 발포 우레탄 액을 주입하는 공정 시 냉장고(1) 본체(10) 후면(11)을 지지하는 플레이트가 평판의 형상이 아닌 리브(210)를 수용하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통해, 냉장고(1)가 플레이트에 놓여 졌을 때, 수평을 유지한 태로 발포 우레탄 액을 주입하는 공정을 거칠 수가 있다. 또한 이러한 형상을 통해, 냉장고(1) 후면(11)에 발포 우레탄 액이 가하는 압력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다만, 하우징 커버(300)가 냉장고(1) 본체(10) 후면(11)에 결합되는 위치는 냉장고(1)의 모델마다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리브(210)가 냉장고(1) 본체(10) 후면(11)을 넘어 돌출되는 경우에는 발포 우레탄 액을 주입하는 공정 시 냉장고(1) 본체(10) 후면(11)을 지지하는 플레이트는 냉장고(1)의 모델마다 다른 위치에 리브(210)를 수용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리브(210)가 본체(10) 후면(11)을 넘어 돌출되지 않는다면 발포 우레탄 액을 주입하는 공정 시 본체(10) 후면(11)을 지지하는 플레이트는 냉장고(1) 모델이 달라지더라도 단일하게 평판의 형상을 가진 플레이트로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리브(210)가 본체(10) 후면(11)을 넘어 돌출되지 않는다면 공정의 효율성이 증가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하우징 바디에 하우징 커버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에 발포 우레탄 액 도포가 끝난 후에는 하우징 커버(300)를 하우징 바디(200, 도 11)에 결합한다.
하우징 커버(300)는 냉장고(1) 본체(10) 후면(11)에 돌출되어 결합하기 때문에 이상에서 살핀 효과에 의하여 냉장고(1) 본체(10) 후면(11)을 향해 돌출되는 정도가 줄어들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냉장고
10 : 본체
11 : 냉장고 본체 후면
100 : 전장상자
200 : 하우징 바디
210 : 리브
211 : 접촉단
211a : 제1 부분
211b : 제2 부분
300 : 하우징 커버
301 : 내면
302 : 외면
310 : 엠보싱부
320 : 접촉부
321 : 접촉돌기
322 : 리세스

Claims (19)

  1.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본체의 후측에 위치되고, 전장품을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 바디로, 상기 하우징 바디의 내부를 향하는 내면과 상기 내면의 반대측의 외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바디; 및
    상기 하우징 바디의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 바디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바디는 상기 하우징 커버를 향해 돌출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리브와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 커버에 내면에 형성되는 접촉돌기로, 상기 하우징 커버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리브와 접촉하도록 상기 리브를 향해 돌출되는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와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하우징 바디 내에 수용된 전장품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냉장고.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와 상기 접촉돌기는 이격된 냉장고.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접촉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 커버의 외면에 형성되는 리세스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하우징 바디를 향하는 방향의 끝단이 라운드 형상을 포함하는 냉장고.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하우징 바디가 상기 냉장고 후면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리브의 높이가 상기 냉장고 후면에 대해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리브와 상기 접촉돌기의 접촉에 따라 변형 가능한 냉장고.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면에 리세스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 커버의 외면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부는 상기 전장품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엠보싱부; 상기 제1 엠보싱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엠보싱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부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냉장고.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부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을 돌출되는 냉장고.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는 상기 전장품이 배치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수용공간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냉장고.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접촉부와 마주하는 접촉단을 포함하고,
    상기 리브의 접촉단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냉장고.
  14. 전장품을 수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 바디로, 상기 하우징 바디의 내부를 향하는 내면과 상기 내면의 반대측의 외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바디; 및
    상기 하우징 바디의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상기 하우징 바디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바디는 상기 하우징 커버를 향해 돌출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리브와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 커버에 내면에 형성되는 접촉돌기로, 상기 하우징 커버에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리브와 접촉하도록 상기 리브를 향해 돌출되는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전장상자.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와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하우징 바디 내에 수용된 전장품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전장상자.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와 상기 접촉돌기는 이격된 전장상자.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접촉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 커버의 외면에 형성되는 리세스를 더 포함하는 전장상자.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하우징 바디가 상기 냉장고 후면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리브의 높이가 상기 냉장고 후면에 대해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전장상자.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우징 커버의 내면에 리세스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 커버의 외면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부를 포함하는 전장상자.
KR1020210093088A 2021-07-15 2021-07-15 전장상자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3001234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088A KR20230012343A (ko) 2021-07-15 2021-07-15 전장상자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CT/KR2022/008841 WO2023287050A1 (ko) 2021-07-15 2022-06-22 전장상자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8/388,039 US20240068738A1 (en) 2021-07-15 2023-11-08 Control box and refrigerator including a control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088A KR20230012343A (ko) 2021-07-15 2021-07-15 전장상자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2343A true KR20230012343A (ko) 2023-01-26

Family

ID=84919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088A KR20230012343A (ko) 2021-07-15 2021-07-15 전장상자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68738A1 (ko)
KR (1) KR20230012343A (ko)
WO (1) WO202328705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1165U (ko) * 1977-07-15 1979-02-10
JPS555088U (ko) * 1978-06-26 1980-01-14
KR100512750B1 (ko) * 2004-01-30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JP6797091B2 (ja) * 2017-09-20 2020-12-09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冷蔵庫及びこの製造方法
KR102209765B1 (ko) * 2019-11-26 2021-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68738A1 (en) 2024-02-29
WO2023287050A1 (ko)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6022B2 (en) Refrigerator
US9702614B2 (en) Refrigerator
US9279609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ner door thereof
US20140132146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ner door thereof
KR102028014B1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US20160178274A1 (en) Refrigerator
US9791197B2 (en) Refrigerator with rear panel for accommodating water hose
US9444157B2 (en) Connect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CN108700369B (zh) 冰箱
JP3370956B2 (ja) 冷蔵庫
AU2018206195A1 (en) Refrigerator
KR20230012343A (ko) 전장상자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1692761B2 (en) Refrigerator
CN116097053A (zh) 冷藏库
CN216716683U (zh) 储物柜
US11976875B2 (en) Refrigerator
JP3705032B2 (ja) 冷蔵庫
JP7436402B2 (ja) 冷蔵庫
US11353258B2 (en) Refrigerator
CN220689472U (zh) 一种冰箱
KR102516834B1 (ko) 냉장고
JP7106205B2 (ja) 冷却貯蔵庫
KR200375929Y1 (ko) 냉장고의 밑판
KR20180066497A (ko) 냉장고
KR100495628B1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