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750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750B1
KR100512750B1 KR10-2004-0006258A KR20040006258A KR100512750B1 KR 100512750 B1 KR100512750 B1 KR 100512750B1 KR 20040006258 A KR20040006258 A KR 20040006258A KR 100512750 B1 KR100512750 B1 KR 100512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electric component
foam
filling space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8124A (ko
Inventor
한덕호
오제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6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750B1/ko
Publication of KR20050078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14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14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 B65F3/2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with charging pistons, plat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14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 B65F3/2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with charging pistons, plates, or the like
    • B65F3/208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with charging pistons, plates, or the like the charging pistons, plates or the like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05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45Adaptations for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4Garbage trucks, e.g. refuse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발포재충전공간을 두고 결합되는 외부케이싱 및 내부케이싱과, 상기 발포재충전공간에 충전된 단열부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이 상기 발포재충전공간으로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외부케이싱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싱에 결합되어, 다수의 전장부품을 수용하는 전장부품케이싱과; 상기 전장부품케이싱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발포재충전공간으로 상기 단열부 형성을 위한 발포액이 주입될 때 발생되는 발포압에 의해 상기 전자부품케이싱이 변형되는 것을 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발포압으로 인해 전장부품케이싱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포재충전공간으로 발포액 주입시 발생되는 발포압에 의해 전장부품을 수용하는 전장부품케이싱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사이클은,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수령하여 액상으로 응축하는 응축기와, 액화된 냉매를 다시 기화시킴으로써 증발잠열을 이용, 고내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의 연속적인 반복순환으로 이루어진다.
냉장고는, 이러한 냉동사이클을 기초로 냉기를 형성하는 가전기기로써, 비교적 저온을 형성하는 냉동실과 냉동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온을 형성하는 냉장실로 구획된 냉장고본체와, 냉동실 및 냉장실의 전방개구를 개폐하는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냉장고 본체의 후방에는 각종 제어부품들이 수용된 전장상자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장상자의 한예로 공개실용신안 제88-22299호에는 냉장고본체의 후방 발포영역에 설치되며 탄성걸림편이 형성되어 있는 회로기판 고정구를 갖는 전장상자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전장상자를 냉장고에 설치할 때 냉장고 본체를 형성하는 내부케이싱과 외부케이싱 사이에 발포우레탄를 충전하게 되므로, 이때 발생하는 발포압에 의해 전장상자가 변형되면서 전장상자 내부에 수용된 제어부품까지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장상자에 있어서, 냉장고 본체의 후방면을 따라 수분이 흘러내릴 경우 이 수분이 전장상자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구조가 없어 전장상자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면 전장상자 내부에 수용된 부품이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전장상자를 냉장고 본체 후방에 고정하는 구조 또한 간소하게 마련된다면 부품수를 감소시킨다면 제조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포재충전공간으로 발포액 주입시 발생되는 발포압에 의해 전장부품을 수용하는 전장부품케이싱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호 발포재충전공간을 두고 결합되는 외부케이싱 및 내부케이싱과, 상기 발포재충전공간에 충전된 단열부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발포재충전공간으로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외부케이싱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싱에 결합되어, 다수의 전장부품을 수용하는 전장부품케이싱과; 상기 전장부품케이싱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발포재충전공간으로 상기 단열부 형성을 위한 발포액이 주입될 때 발생되는 발포압에 의해 상기 전자부품케이싱이 변형되는 것을 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싱의 후방 외벽면에는 판면을 관통하는 설치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장부품케이싱은 상기 설치구에 삽입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장부품케이싱에는 상기 전장부품의 출입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돌기는 상기 전장부품케이싱의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출입개구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포재충전공간으로 상기 발포액 주입시, 상기 외부케이싱의 둘레 외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케이싱을 지지하는 발포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돌기는 상기 전장부품케이싱의 내벽면과 상기 발포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장부품케이싱에는 복수의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강리브는 격자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장부품케이싱의 내벽면은 만곡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장부품케이싱은 상기 발포재충전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전장부품을 수용하는 전장부품수용부와; 상기 전장부품수용부의 둘레영역을 따라 판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설치구에 인접하게 상기 외부케이싱의 외측으로 노출배치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판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설치구의 둘레판면에 접촉되어 상기 전장부품수용부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수분차단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영역에는 상기 설치구의 둘레판면 중 일영역이 물리는 물림턱이 절취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장부품케이싱의 상기 출입개구를 개폐하는 케이싱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커버는 둘레단부영역에 상기 케이싱커버의 판면에 대해 하향절곡된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개방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 본체의 후방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전장부품케이싱 설치영역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전장부품케이싱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5는 내부케이싱과 외부케이싱의 발포재충전공간으로 발포액을 주입하기 전에 외부케이싱을 발포지지부재로 고정하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발포지지부재에 의해 외부케이싱이 고정된 상태에서 발포재충전공간으로 발포액이 주입된 후에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개략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요부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중간격벽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 냉장실(10) 및 냉동실(20)을 갖는 냉장고본체(1)와, 냉장고본체(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각 냉장실(10) 및 냉동실(20)의 전면개구를 개폐하는 냉장실도어(11) 및 냉동실도어(21)를 포함한다. 각 도어(11, 21)의 내측에는 병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도어가드(13, 23)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냉동실(20)에는 상부에 제빙을 위한 제빙장치가 설치된 제빙실(22)이 구획되어 있고, 제빙실(22)의 하부에는 복수의 냉동실선반장치(27)와 냉동실수납서랍(25)이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실(10)내에는, 상부에 냉장실(10) 내를 구획하는 복수의 냉장실선반장치(17)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복수의 냉장실수납서랍(15)이 설치되어 있다.
냉장고본체(1)는 외관을 형성하는 거의 사각통형상의 외부케이싱(5)과, 외부케이싱(5)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며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106)에 의해 좌우 한 쌍의 냉각실(10,20)을 형성하는 내부케이싱(3)을 갖는다. 그리고, 외부케이싱(5)과 내부케이싱(3)의 사이공간은 발포재충전공간으로 이 발포재충전공간에는 발포우레탄 등의 발포액이 충전되고 이 발포액이 건조됨에 따라 각 냉각실에 수용된 음식물과 외기 온도와의 단열유지를 위한 단열부(50)가 형성된다.
한편, 냉장고본체(1)의 후방에는 하측에 배치되어 압축기를 포함한 각종 부품이 설치되어 있는 기계실(7)과, 기계실(7) 상측에 배치되어 내부에 전장부품이 수용된 전장부품케이싱(30)이 마련되어 있다.
전장부품케이싱(30)은 일측에 전장부품의 출입개구(32)가 형성된 사각 상자형상으로, 외부케이싱(5)의 후방 판면에 관통형성된 설치구(9)에 삽입결합되며, 전장부품케이싱(30)의 출입개구(32)는 케이싱커버(31)에 의해 개폐된다.
전장부품케이싱(30)은 설치구(9)를 통해 발포재충전공간으로 삽입되어 다수의 전장부품을 수용하는 전장부품수용부(33)와, 전장부품수용부(33)의 둘레영역을 따라 판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설치구(9)에 인접하게 외부케이싱(5)의 외측으로 노출배치되는 플랜지부(34)를 포함한다.
플랜지부(34)는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구(9)에 인접한 외부케이싱(5)의 외측판면에서 함몰형성된 함몰부(8)에 접촉배치되며, 플랜지의 일측은 스크루(36)에 의해 외부케이싱(5)에 고정되고 타측은 이 플랜지부(34)의 일측영역에 절취형성되어 설치구(9)의 둘레판면에 물리는 물림턱(35)에 의해 외부케이싱(5)에 고정된다.
전장부품수용부(33)는 설치구(9)를 통해 발포재충전공간으로 삽입되어 이 발포재충전공간으로 주입된 발포액이 건조됨에 따라 외부케이싱(5)에 고정되는데, 이렇게 발포재충전공간으로 발포액이 주입될 시 발생되는 발포압에 의해 발포재충전공간으로 삽입된 전장부품수용부(33)의 바닥면(40)이 변형되는 것을 저지하는 변형방지수단이 전장부품수용부(33)에 마련되어 있다.
변형방지수단은 만곡형성된 전장부품수용부(33)의 바닥면(40)과, 전장부품수용부(33)의 바닥면(40)으로부터 출입개구(32)를 향해 상향돌출된 보강돌기(41)와, 보강돌기(41)에 대향배치되도록 전장부품수용부(33)의 바닥면(40)으로부터 발포재충전공간을 향해 돌출형성된 격자형상의 보강리브(42)를 포함한다.
만곡형성된 전장부품수용부(33)의 바닥면(40)은 수직하중으로 작용하는 발포압에 저항하여 변형을 방지하며, 보강리브(42)는 격자형상으로 복수의 지지점이 형성되어 발포압에 대한 변형을 방지한다.
또한 발포재충전공간으로 발포액 주입시 발포압에 의해 외부케이싱(5)이 변형되지 않도록 외부케이싱(5)의 둘레 외측면에 발포지지부재(43)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렇게 발포지지부재(43)가 외부케이싱(5)의 외측면에 설치되었을 때 보강리브(42)가 발포지지부재(43)와 전장부품수용부(33)의 바닥면(40) 사이에 개재되어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즉, 발포지지부재(43)와 전장부품수용부(33)의 바닥면(40) 사이에 개재된 보강돌기(41)는 발포재충전공간으로 발포액이 주입될 때 A방향으로 작용하는 발포압을 감쇠시켜 변형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전장부품수용부(33) 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분유입방지수단을 더 포함한다.
수분유입방지수단은 케이싱커버(31)의 둘레단부영역에서 케이싱커버(31)의 판면에 대해 하향절곡된 날개부(44)와, 플랜지부(34)의 하부판면에 돌출형성된 수분차단리브(45)를 포함한다.
날개부(44)는 함몰부(8)에 형성된 함몰홈(47)의 상측에서 20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수분차단리브(45)는 함몰부(8) 판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접촉되어 수분이 전장부품수용부(33)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수분이동할 수 있는 배수로(46)를 형성하게 된다. 즉, 혹 외부케이싱(5)의 외측판면에 수분이 있을 경우 이 수분이 외부케이싱(5)의 외측판면을 따라 흐르다가 함몰홈(47)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케이싱커버(31)의 테이퍼(taper)면과 접촉하며 외부로 빠르게 배출되고 약간의 잔수는 날개부(44)를 따라 흐르다 수분차단리브(45)와 함몰부(8) 판면이 형성하는 배수로(46)에서 양측으로 흘러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전장부품을 수용한 전장부품케이싱(30)을 외부케이싱(5) 후방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전장부품케이싱(30)의 플랜지부(34)에 형성된 물림턱(35)이 외부케이싱(5)의 설치구(9)에 인접한 함몰부(8)에 물리도록, 외부케이싱(5)의 설치구(9)에 인접한 함몰부(8) 판면을 전장부품케이싱(30)의 플랜지부(34)에 형성된 물림턱(35)으로 슬라이딩 삽입시켜 플랜지부(34)의 일측을 고정하고 플랜지부(34)의 타측은 플랜지부(34)와 함몰부(8)를 관통하는 체결공에 체결되는 스크루(36)에 의해 함몰부(8)에 고정한다.
이에 전장부품케이싱(30)의 전장부품수용부(33)는 설치구(9)를 통해 발포재충전공간 내부로 삽입되고 전장부품케이싱(30)의 플랜지부(34)는 설치부 둘레의 함몰부(8) 상측에 배치되어 외부케이싱(5)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플랜지부(34)의 수분차단리브(45)는 함몰부(8) 판면에 접촉되어 외부케이싱(5)의 외표면에 흐르는 수분이 전장부품수용부(33)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배수로(46)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이렇게 외부케이싱(5)에 전장부품케이싱(30)이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케이싱(5)의 둘레외측판면에 발포지지부재(43)를 설치하여 외부케이싱(5)을 고정하고 외부케이싱(5)과 내부케이싱(3) 사이에 발포재충전공간 내부로 발포액을 주입하게 되면, 발포압이 발생하게 되는데 외부케이싱(5)은 발포지지부재(43)에 의해 지되어 변형되지 않게 된다.
또한 발포액이 주입되는 발포재충전공간 내에 삽입된 전장부품케이싱(30)의 전장부품수용부(33)는 발포지지부재(43)와 전장부품수용부(33) 바닥면(40) 사이에 개재되는 보강돌기(41)와, 전장부품수용부(33)의 바닥면(40)에 형성된 보강리브(42)와, 만곡형성된 전장부품수용부(33)의 바닥면(40)으로 인해 발포재충전공간으로 발포액이 유입 시 큰 발포압이 발생하여도 이 발포압이 감쇠됨에 따라 변형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발포액이 주입되는 발포재충전공간 내에 삽입된 전장부품수용부(33)에 발포지지부재(43)와 전장부품수용부(33) 바닥면(40) 사이에 개재되는 보강돌기(41)와, 전장부품수용부(33)의 바닥면(40)에 형성된 보강리브(42)와, 만곡형성된 전장부품수용부(33)의 바닥면(40)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발포재충전공간으로 발포액이 유입 시 큰 발포압이 발생하여도 이 발포압이 감쇠됨에 따라 전장부품수용부(33)의 바닥면(40)의 변형이 저지된다. 또한 이렇게 전장부품수용부(33)의 바닥면(40)의 변형이 억제됨에 따라 전장부품케이싱(30)의 전장부품수용부(33) 내에 설치된 전장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장부품케이싱(30)의 출입개구(32)를 개폐하는 케이싱커버(31)의 경사진 날개부(44)와 전장부품케이싱(30)의 플랜지부(34)에 형성된 수분차단리브(45)에 의해 전장부품케이싱(30)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수분 침투에 의해 전장부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34)의 물림턱(35)에 의해 전장부품케이싱(30)의 일측이 외부케이싱(5)에 슬라이딩결합되기 때문에 체결부품수가 감소되어 체결작업시간 및 제조코스트가 절감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발포압으로 인해 전장부품케이싱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개방 상태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 본체의 후방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전장부품케이싱 설치영역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전장부품케이싱의 후방 사시도,
도 5는 내부케이싱과 외부케이싱의 발포재충전공간으로 발포액을 주입하기 전에 외부케이싱을 발포지지부재로 고정하는 상태도,
도 6은 도 5의 발포지지부재에 의해 외부케이싱이 고정된 상태에서 발포재충전공간으로 발포액이 주입된 후에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7은 도 6의 요부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본체 3 : 내부케이싱
5 : 외부케이싱 7 : 기계실
9 : 설치구 10 : 냉장실
20 : 냉동실 30 : 전장부품케이싱
31 : 케이싱커버 33 : 전장부품수용부
34 : 플랜지부 41 : 보강돌기
42 : 보강리브 43 : 발포지지부재
44 : 날개부 45 : 수분차단리브
47 : 함몰홈

Claims (11)

  1. 상호 발포재충전공간을 두고 결합되는 외부케이싱 및 내부케이싱과, 상기 발포재충전공간에 충전된 단열부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발포재충전공간으로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외부케이싱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싱에 결합되어, 다수의 전장부품을 수용하는 전장부품케이싱과;
    상기 전장부품케이싱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발포재충전공간으로 상기 단열부 형성을 위한 발포액이 주입될 때 발생되는 발포압에 의해 상기 전자부품케이싱이 변형되는 것을 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싱의 후방 외벽면에는 판면을 관통하는 설치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장부품케이싱은 상기 설치구에 삽입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품케이싱에는 상기 전장부품의 출입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돌기는 상기 전장부품케이싱의 내벽면으로부터 상기 출입개구를 향해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충전공간으로 상기 발포액 주입시, 상기 외부케이싱의 둘레 외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케이싱을 지지하는 발포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돌기는 상기 전장부품케이싱의 내벽면과 상기 발포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품케이싱에는 복수의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격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품케이싱의 내벽면은 만곡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품케이싱은
    상기 발포재충전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전장부품을 수용하는 전장부품수용부와;
    상기 전장부품수용부의 둘레영역을 따라 판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설치구에 인접하게 상기 외부케이싱의 외측으로 노출배치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하부판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설치구의 둘레판면에 접촉되어 상기 전장부품수용부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수분차단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영역에는 상기 설치구의 둘레판면 중 일영역이 물리는 물림턱이 절취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품케이싱의 상기 출입개구를 개폐하는 케이싱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커버는 둘레단부영역에 상기 케이싱커버의 판면에 대해 하향절곡된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4-0006258A 2004-01-30 2004-01-30 냉장고 KR100512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258A KR100512750B1 (ko) 2004-01-30 2004-01-30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258A KR100512750B1 (ko) 2004-01-30 2004-01-30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124A KR20050078124A (ko) 2005-08-04
KR100512750B1 true KR100512750B1 (ko) 2005-09-07

Family

ID=37265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258A KR100512750B1 (ko) 2004-01-30 2004-01-30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2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990B1 (ko) 2006-11-13 2007-09-1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257A (ko) * 2018-12-12 2020-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및 냉장고
KR20230012343A (ko) * 2021-07-15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장상자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990B1 (ko) 2006-11-13 2007-09-1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124A (ko) 2005-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5604B2 (en) Refrigerator
US9080808B2 (en) Refrigerator
KR20130105065A (ko) 냉장고
KR20140060431A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KR20140060145A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KR101998566B1 (ko) 냉장고
US20200200466A1 (en) Refrigerator
KR100512750B1 (ko) 냉장고
KR20050022690A (ko)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작동구조
JP2007064497A (ja) 冷却貯蔵庫
KR100274502B1 (ko) 냉장고의 부압제거장치
KR100549078B1 (ko) 냉장고
KR100596524B1 (ko) 냉장고
KR100376833B1 (ko) 김치저장고의 기계실 커버 체결부 구조
JP7079063B2 (ja) 冷蔵庫
KR100656395B1 (ko) 냉장고의 핫 파이프 설치구조
KR100568202B1 (ko) 냉장고
KR102094335B1 (ko) 압축기의 컨트롤박스
KR100700616B1 (ko) 빌트인 타입 냉장고의 힌지커버구조
KR100495628B1 (ko) 냉장고
KR200295386Y1 (ko) 김치냉장고
KR20210089534A (ko) 냉장고
KR200463566Y1 (ko) 냉장고
KR19990041306U (ko) 냉장고의 드레인 히터 조립체
KR100245926B1 (ko) 다단계 자동 닫힘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