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828A -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로 이송하며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진단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로 이송하며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진단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828A
KR20230011828A KR1020210092799A KR20210092799A KR20230011828A KR 20230011828 A KR20230011828 A KR 20230011828A KR 1020210092799 A KR1020210092799 A KR 1020210092799A KR 20210092799 A KR20210092799 A KR 20210092799A KR 20230011828 A KR20230011828 A KR 20230011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upply pipe
water
pressure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승철
이동훈
Original Assignee
모승철
이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승철, 이동훈 filed Critical 모승철
Priority to KR1020210092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1828A/ko
Publication of KR20230011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03B37/005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5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4Inspecting the inner surface of hollow bodies, e.g. bo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 장치(100)를 상수도관 내부에서 이송하는 운송 장치는 다중의 팩킹(10)들과 카메라(80)와 조명 및 저장부(90)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 축(1);과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면을 기준으로 다중의 팩킹(10);과
상기 팩킹(10)을 연결축(1)에 고정시키기 위한 팩킹 고정판(20);과
상기 팩킹 고정판(20) 내부에는 복원 성능이 우수한 살대(30);와
상기 팩킹(10)과 결합된 살대(30)가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줄(40);과
상기 연결 축(1)의 일단에는 새들(400, 500) 또는 점검구로 인출할 수 있고, 굴절된 상수도관에서 진행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일단에 물에 뜨는 부표(70);와
견인 및 안내를 하는 전방비상견인줄(60);과
상기 연결 축(1)의 타단에는 후방비상견인줄(50);로 구성되어 있고,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는
수중 카메라(80);와
어두운 관내를 밝혀줄 조명과 전원인 배터리 및 제어부(90);로 구성되어 있고,
촬영된 상수도관 내부를 진단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컨트롤러의 프로그램에서는
수중 카메라(80)에서는 촬영된 동영상과 동시에 실시간 촬영시간이 함께 저장되고, 지상에서는 연결된 후방비상견인줄(50)로 이동 거리와 동시에 실시간으로 시간을 함께 저장하여, 새들(500)을 통해 상수도관 외부로 인출되면 지상에서 실시간으로 기록된 공통 요소인 시간을 매개변수로 동영상과 거리 데이터를 일치시켜 상수도관 내부 상태를 진단하고,
공공시설로 기 설치된 맨홀 내부에 구비된 제수밸브(200,300) 옆의 새들(400,500)로 투입 및 배출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로 이송하며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진단하는 방법으로,
지상에서는 고압수와 고압 에어의 압력과 유량을 조절하여 이송 속도를 조절하고, 지상에서 운용하는 무선 컨트롤러는 위치 확인, 이상 유무 등을 알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상수도관 촬영 방법을 제공하며, 또한, 기 설치된 공공시설인 맨홀 제수밸브 옆의 새들을 활용하여 촬영 장치를 진출. 입할 수 있어서 부대 토목 공사 없이 저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로 이송하며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진단하는 방법 {water pipe shooting apparatus by high pressure water or air and method for diagnosing water pip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수도관 내부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고압수 또는 에어로 이송하며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 및 새들 또는 점검구, 제수밸브를 활용하여 진출입하고, 촬영된 동영상을 분석하여 상수도관 내부의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중, 대형 직경의 상수관로와 하수를 이송하는 하수관로나, 오일이나 가스 등과 같은 각종 유체를 이송하는 관로 등과 같은 각종 유체 수송관로는 설치 후 장시간 동안 사용하게 되면, 노후화되면서 관로 내벽 면에 수돗물, 오일, 가스 등과 같은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이 슬러지로 퇴적되거나 관로 내면이 산화되면서 녹 등이 생성되고, 이들이 경화되어 스케일(Scale)층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종 유체 수송관로의 내면에 이물질의 퇴적에 의해 형성되는 스케일 층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두꺼워지면서 경화되기 때문에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를 하여 유체 압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유체 수송관로에 부착된 스케일 층이 유체에 녹아들게 되어 유체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유체 수송관로를 주기적으로 세척을 해주어야만 한다. 또한, 유체 수송관로의 노후로 인해 발생된 문제는 상하수도관 네트워크의 기능 유지에 큰 지장을 초래함은 물론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는 중대한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상태의 상수도관의 상태를 추정만하여 세척이나 관 교체를 하는 등 불합리한 경우가 발생하고, 아래 설명한 방법 등으로 세척을 진행하기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고 사회적으로도 많은 손실이 생기며 각종 유체 수송관로 내부의 부식생성물과 파손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해 노후 유체 수송관로에 대한 개량공사(교체 또는 갱생)를 실시하게 되는데, 이러한 관로 개량공사에 적용되는 갱생공법에는 관로 내부를 청소하는 세척 및 라이닝이 대표적이다.
특히, 세척(Pipe cleaning)공법에서 유체의 유체 수송관로 내면에 퇴적된 스케일 층을 제거하기 위한 공법은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세척공법에는 기기를 견인하여 퇴적물을 준설(dredging)하는 스크레이퍼(Scrapers)방식과 고압수를 이용한 워터 제트(Water Jet)방식을 혼합한 공법과, 고압에 의해 폴리피그를 돌진시켜 관내면의 스케일 층을 제거하는 폴리피그(Polly pigs)공법 등이 개발되어 있으며, 이들 공법들은 일반적으로 관 도장(Pipe lining)의 전처리로서 실시한다.
상기에서 제안된 세척 공법들 중에서 스크레이퍼 및 워터제트를 이용한 공법은 먼저 갱생 관로의 직경보다 큰 스크레이퍼에 강철 와이어를 연결하고, 이를 갱생관로 후미로 인출되도록 한 후, 상기 강철 와이어를 일정 속도로 당겨 관로 내벽에 부착된 녹과 스케일 등을 긁어낸다. 다음에 고압펌프에 의한 제공되는 고압수(100kg/㎠~300kg/㎠)를 고압 호스의 선단에 부착된 고압수 분사 노즐을 통하여 관로 내벽으로 분사시켜 스크레이퍼에 의해서 제거된 녹 또는 스케일 등의 잔존물을 관로 외부로 밀어내어 줌으로써 관로 내면의 녹과 스케일을 깨끗하게 제거하는 공법이다.
상기 공법은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녹과 스케일을 제거할 때, 갱생관로보다 구경이 큰 스크레이퍼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녹과 스케일이 많을 경우에는 스크레이퍼를 당기는데 소요되는 압력이 크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제거된 녹과 스케일 등이 스크레이퍼 후미부분에 축적되어 스크레이퍼 자체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녹과 스케일 상태에 따라 크기가 작은 스크레이퍼를 관로 내에 투입하고, 이어 순차적으로 크기가 증가된 스크레이퍼를 관로 내부로 삽입하여 스케일을 제거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크기가 다른 스크레이퍼를 여러 번 교체하면서 세척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세척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스크레이퍼에 의한 관로의 녹과 스케일을 제거 후, 행해지는 워터제트는 노즐이 제트 추진에 의해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노즐이 전진하면서 관로 내에 존재하는 각종 이물질과 스케일을 밀어내면서 관로 내면에 부착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워터제트 과정은 관로 내면의 스케일 제거기능이 아니라 스크래핑 후 관로 내에 떨어진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이 또한 반복적인 작업을 거쳐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크레이퍼와 워터제트를 이용한 세척공법은 수회에 걸친 반복적인 스크레이퍼 및 워터제트 작업을 통하여 세척을 수행하기 때문에 세척 작업이 번거롭고, 세척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법은 관로의 세척이 스크레이퍼가 수용할 수 있는 직경에 한정하므로, 700mm 이상의 대구경 관로의 세척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관로의 내부 벽면에 장기간의 퇴적으로 인해 경화된 스케일 층, 즉 스크레이퍼로 긁어도 제거되지 않는 경화 스케일 층이나 공사장 등에서 유입되어 굳어진 몰탈이나 잘못 시공된 콘크리트 연결관 등은 상기 공법으로는 제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관로 내에 존재하는 스케일 층, 몰탈 덩어리 등과 같은 장애물이 스크레이퍼와 워터 제트기기 자체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준설작업을 계속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관로의 유체 압력으로 이송시키면서 스케일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폴리피그 공법은, 유체 압력의 추진력에 의해 폴리피그가 나선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진하기 때문에, 관내의 스케일 층 제거에 효과적이기는 하나, 이 장치는 소형배관에 적합한 것으로, 통상적인 700mm 이상의 대구경배관에 끼인 스케일 층을 제거하는 공법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지상에서 와이어를 이용하여 유체 수송관로 내부의 세척 장치를 견인하며 세척하는 방식이 채택된 경우, 유체 수송관로의 꺾인 부위나 곡선 부위를 통과할 때 또는 관로와 세척장치 사이에서 마찰이 심하게 발생할 경우 와이어를 통한 견인력만으로는 세척장치의 이송이 어려울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고, 이로 인해 유체 수송관로 내부 세척에 따른 품질 및 시공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체 수송관로의 내벽에는 각종 이물질이 불규칙한 요철 형태로 고착화된 형태를 갖고 있는데, 종래 회전이 없는 세척 장치로는 유체 수송관로 내벽의 세척 상태가 불량하여 세척효과가 감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세척 장치에는 세척과정 중 유체 수송관로 내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큰 부피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세척할 때 발생하는 비교적 큰 부피의 이물질이 세척장치의 몸체 내부가 막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누수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 누수차단목침이 종종 존재하기에 세척장치에 결정적인 재
Figure pat00001
애요인으로 작용한다. 뿐만 아니라, 세척하는 중에 유체 수송관로 내부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없어 세척 장치를 이용하여 유체 수송관로의 내부 상태 즉, 세척상태 등을 정확히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등록특허 공보 10-1674010호인 유체 수송관로 세척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하게 되었다.
각종 유체를 수송시키는 긴 유체 수송관로 중 특정 구간 사이의 유체 수송 관로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유체 수송관로 세척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세척장치 출입구(도입관)를 경사지게 형성을 하다 보니 그 길이(도입 관 장단)가 직각으로 하는 것보다 길고, 설치 후 도입 관을 제거하고 원상 복구할 때 도입 관이 직각으로 되어 있는 것보다 경사지게 되어 있는 것이 비용이 비쌀 수밖에 없으며 기밀도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세척이나 개량 공사에 대한 방법이나 장치는 많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으나, 상수도관 내부를 진단하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상수도관 촬영 장치를 단일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수도관과 직각으로 구성된 새들을 통과하여 상수도관과의 경계면을 자연스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데 고압수 또는 에어의 압력으로 촬영 장치를 이송시키는 방식이 적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 형상이며 다중의 팩킹에 의하여 이송이 이루어지며 조명이 결합된 카메라로 촬영하여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그리고, 기존에 설치된 공공시설인 맨홀 제수밸브 옆의 새들 또는 점검구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촬영 장치에는 촬영된 동영상과 동시에 촬영시간이 함께 저장되고, 외부와 연결된 비상견인줄로 촬영 장치의 이동 거리와 동시에 시간을 함께 저장하여 상기 촬영 장치가 상수도관 외부로 인출되면 실시간으로 기록된 공통 요소인 시간을 매개로 동영상과 거리를 일치시켜 상수도관 내부 상태를 진단한다.
상기 고압의 유체는 고압의 물 또는 압축 공기 2bar내지 5bar 정도의 압력 사양으로 권장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장치는 새들 또는 점검구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며 굴절된 상수도관에서 진행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세척 장치의 전방에 부표와 연결된 견인 및 안내를 하는 비상견인줄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수도관 내부에서 이송하는 운송 장치는 다중의 팩킹(10)들과 카메라(80)와 조명 및 저장부(90)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 축(1);과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면을 기준으로 다중의 팩킹(10);과
상기 팩킹(10)을 연결축(1)에 고정시키기 위한 팩킹 고정판(20);과
상기 팩킹 고정판(20) 내부에는 복원 성능이 우수한 살대(30);와
상기 팩킹(10)과 결합된 살대(30)가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줄(40);과
상기 연결 축(1)의 일단에는 새들(400, 500) 또는 점검구로 인출할 수 있고, 굴절된 상수도관에서 진행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일단에 물에 뜨는 부표(70);와
견인 및 안내를 하는 전방비상견인줄(60);과
상기 연결 축(1)의 타단에는 후방비상견인줄(50);로 구성되어 있고,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는
수중 카메라(80);와
어두운 관내를 밝혀줄 조명과 전원인 배터리 및 제어부(90);로 구성되어 있고,
촬영된 상수도관 내부를 진단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컨트롤러의 프로그램에서는
수중 카메라(80)에서는 촬영된 동영상과 동시에 실시간 촬영시간이 함께 저장되고, 지상에서는 연결된 후방비상견인줄(50)로 이동 거리와 동시에 실시간으로 시간을 함께 저장하여, 새들(500)을 통해 상수도관 외부로 인출되면 지상에서 실시간으로 기록된 공통 요소인 시간을 매개변수로 동영상과 거리 데이터를 일치시켜 상수도관 내부 상태를 진단하고,
공공시설로 기 설치된 맨홀 내부에 구비된 제수밸브(200,300) 옆의 새들(400,500)로 투입 및 배출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로 이송하며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진단하는 방법이다.
다중의 팩킹(10)들과 카메라(80)와 조명 및 저장부(90)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 축(1)은 상수도관과 새들(400, 500)에서 90도 굴절된 부분도 통과될 수 있는 유연한 성능이 높고,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에도 상수도관에서 중심을 유지할 수 있는 견고한 성능도 함께 내포할 수 있고 무독성인 실리콘, 우레탄 또는 엘라스토마 등 재질로 구성된다.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면을 기준으로 다중의 팩킹(10)은 고압에도 견디고 무독성이며 내마모성도 우수한 타포린 PVC 재질이나 어닝 재질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복원 성능이 우수한 살대(30)는 팩킹(10)과 결합되어 새들(400, 500)을 통과할 때는 우산처럼 접혔다가 새들을 통과한 이후 상수도관 내부에서는 팩킹(10)과 함께 복원되어야 하는 기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pp) 재질이나 스프링 강판을 열처리하여 우산 살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비상견인줄(50, 60)은 물에서도 녹이 발생하지 않고 내마모성도 우수하고 견인력도 있어야 하는 특성상 스테인레스 와이어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촬영 장치(100)는 기존에 설치된 공공시설인 맨홀 제수밸브(200, 300) 옆의 새들(400, 500) 또는 점검구를 개방하여 투입 및 촬영 작업과 회수를 수행함으로서 다른 공법으로 수행할 경우 필요한 토목, 절단, 연결, 토목 등 부대 작업이 불요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함으로서 이송 속도 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로 이송하며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 촬영 장치(100)는,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의 압력으로 이송시키는 방식을 적용하며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로 이송하는 것을 수행함으로서 친환경적인 방법이며 제반 비용과 단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촬영 장치는 기존에 설치된 공공시설인 맨홀 제수밸브 옆의 새들 또는 점검구를 개방하여 투입 및 촬영 작업과 회수를 수행함으로서 다른 공법으로 수행할 경우 필요한 토목, 절단, 연결, 토목 등 부대 작업이 불요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지상에서는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의 압력과 유량을 조절하여 이송 속도를 조절하고, 지상에서 운용하는 무선 컨트롤러로는 동영상과 위치를 일치시키고, 이상 유무 등을 알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를 이용한 상수도관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를 이용한 상수도관 촬영 장치의 전체적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 촬영 장치가 제수밸브 옆의 새들로 변형되어 투입되고 굴절된 상수도관을 통과되고 다시 제수밸브 옆의 새들로 변형되어 회수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적인 모습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수도관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고 진단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단일 모듈 형상으로 구성되어 이동하면서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 촬영 장치(100)는 단일 형상이며 다중의 팩킹(10)에 의하여 이송이 이루어지며, 조명이 결합된 카메라(80)로 촬영하여 동영상과 거리를 결합하여 상수도관 내부 상태의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장치(100)의 구성들을 보면, 본 발명은 상수도관 내부에서 이송하는 운송 장치는 다중의 팩킹(10)들과 카메라(80)와 조명 및 저장부(90)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 축(1);과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면을 기준으로 다중의 팩킹(10);과
상기 팩킹(10)을 연결축(1)에 고정시키기 위한 팩킹 고정판(20);과
상기 팩킹 고정판(20) 내부에는 복원 성능이 우수한 살대(30);와
상기 팩킹(10)과 결합된 살대(30)가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줄(40);과
상기 연결 축(1)의 일단에는 새들(400, 500) 또는 점검구로 인출할 수 있고, 굴절된 상수도관에서 진행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일단에 물에 뜨는 부표(70);와
견인 및 안내를 하는 전방비상견인줄(60);과
상기 연결 축(1)의 타단에는 후방비상견인줄(50);로 구성되어 있고,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는
수중 카메라(80);와
어두운 관내를 밝혀줄 조명과 전원인 배터리 및 제어부(90);로 구성되어 있고,
촬영된 상수도관 내부를 진단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컨트롤러의 프로그램에서는
수중 카메라(80)에서는 촬영된 동영상과 동시에 실시간 촬영시간이 함께 저장되고, 지상에서는 연결된 후방비상견인줄(50)로 이동 거리와 동시에 실시간으로 시간을 함께 저장하여, 새들(500)을 통해 상수도관 외부로 인출되면 지상에서 실시간으로 기록된 공통 요소인 시간을 매개변수로 동영상과 거리 데이터를 일치시켜 상수도관 내부 상태를 진단하고,
공공시설로 기 설치된 맨홀 내부에 구비된 제수밸브(200,300) 옆의 새들(400,500)로 투입 및 배출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다중의 팩킹(10)들과 카메라(80)와 조명 및 저장부(90)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 축(1)은 상수도관과 새들(400, 500)에서 90도 굴절된 부분도 통과될 수 있는 유연한 성능이 높고,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에도 상수도관에서 중심을 유지할 수 있는 견고한 성능도 함께 내포할 수 있고 무독성인 실리콘, 우레탄 또는 엘라스토마 등 재질로 구성된다.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면을 기준으로 다중의 팩킹(10)은 고압에도 견디고 무독성이며 내마모성도 우수한 타포린 PVC 재질이나 어닝 재질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복원 성능이 우수한 살대(30)는 팩킹(10)과 결합되어 새들(400, 500)을 통과할 때는 우산처럼 접혔다가 새들을 통과한 이후 상수도관 내부에서는 팩킹(10)과 함께 복원되어야 하는 기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pp) 재질이나 스프링 강판을 열처리하여 우산 살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비상견인줄(50, 60)은 물에서도 녹이 발생하지 않고 내마모성도 우수하고 견인력도 있어야 하는 특성상 스테인레스 와이어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촬영 장치(100)는 기존에 설치된 공공시설인 맨홀 제수밸브 옆의 새들 또는 점검구를 개방하여 투입 및 촬영 작업과 회수를 수행함으로서 다른 공법으로 수행할 경우 필요한 토목, 절단, 연결, 토목 등 부대 작업이 불요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함으로서 이송 속도 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수 또는 에어로 이송하며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도 2의 사례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 촬영 장치(100)는 상수도관에 투입되는 과정에서 우산처럼 팩킹(10)의 모습이 변형되어 맨홀의 제수밸브(200) 옆 새들(400)을 통과하고, 상기 상수도관 촬영 장치(100)는 새들(400)을 통과한 이후에는 살대(30)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여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에 의해 전진하면서 지중물 등으로 인하여 22.5도 또는 45도 굴절된 상수도관을 연결 축(1)이 굴절되면서 진행하며 촬영을 이행하여 외부로 빠져나와야 할 맨홀에 구비된 제수밸브(300) 옆 새들(500)로 우선 물에 뜨는 부표(70)가 인출되고 이어서 전방비상견인줄(60)이 인출되고, 상기 전방비상견인줄(60)을 당겨서 상수도관 촬영 장치(100)을 배출시키는데 이 작업은 투입의 역순 형태로 배출이 이루어진다. 즉, 부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수도관 촬영 장치를 상수도관 내부로 투입하고 촬영하고 배출하는 방법은
맨홀의 제수밸브(200) 옆 새들(400)의 뚜껑을 개방하여 상기 상수도관 촬영 장치(100)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상수도관 촬영 장치(100)에 새들(400)의 뚜껑을 관통한 후방비상견인줄(50)을 체결하고 새들(400) 뚜껑을 닫는 단계;
상기 상수도관 촬영 장치(100)의 조명과 수중 카메라(80)를 작동시키고, 동시에 후방비상견인줄(50)의 거리와 시간을 기록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수밸브(200)를 개방하여 상수도관 내부로 고압수를 투입하며, 상수도관 촬영 장치(100)를 이송시키며 촬영하는 단계;(타단의 제수밸브(300)는 닫고, 새들(500)은 열어둔 상태)
상기 상수도관 촬영 장치(100)의 부표(70) 및 전방비상견인줄(60)을 외부로 빠져나와야 할 맨홀의 제수밸브(300) 옆 새들(500)로 통해 인출하는 단계;
상기 전방비상견인줄(60)을 당겨서 배출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상수도관 출입 및 배출하며 촬영 방법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수도관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고 진단하는 다이어그램으로서,
컨트롤러는 조명과 카메라(80)의 전원을 제어하고 후방비상견인줄(50)의 이동 거리와 촬영 시간을 기록하여 저장하고, 카메라(80)에는 촬영된 동영상과 동시에 촬영시간이 함께 저장되고, 외부와 연결된 후방비상견인줄(50)로 촬영 장치(100)의 이동 거리와 동시에 시간을 함께 기록 저장하여 상기 촬영 장치(100)가 상수도관 외부로 인출되면 실시간으로 기록된 공통 요소인 시간을 매개로 동영상과 거리를 일치시켜 상수도관 내부 상태를 진단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촬영장치 100
연결축 1 팩킹 10
팩킹 고정판 20 살대 30
고정줄 40 후방비상견인줄 50
전방비상견인줄 60 부표 70
수중 카메라 80 조명, 배터리 및 제어부 90
제수밸브 200, 300 새들 400, 500

Claims (6)

  1. 상수도관 내부에서 이송하는 운송 장치는
    다중의 팩킹(10)들과 카메라(80)와 조명 및 저장부(90)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 축(1);과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면을 기준으로 다중의 팩킹(10);과
    상기 팩킹(10)을 연결축(1)에 고정시키기 위한 팩킹 고정판(20);과
    상기 팩킹 고정판(20) 내부에는 복원 성능이 우수한 살대(30);와
    상기 팩킹(10)과 결합된 살대(30)가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줄(40);과
    상기 연결 축(1)의 일단에는 새들(400, 500) 또는 점검구로 인출할 수 있고, 굴절된 상수도관에서 진행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일단에 물에 뜨는 부표(70);와
    견인 및 안내를 하는 전방비상견인줄(60);과
    상기 연결 축(1)의 타단에는 후방비상견인줄(50);로 구성되어 있고,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는
    수중 카메라(80);와
    어두운 관내를 밝혀줄 조명과 전원인 배터리 및 제어부(90);로 구성되어 있고,
    촬영된 상수도관 내부를 진단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컨트롤러의 프로그램에서는
    수중 카메라(80)에서는 촬영된 동영상과 동시에 실시간 촬영시간이 함께 저장되고, 지상에서는 연결된 후방비상견인줄(50)로 이동 거리와 동시에 실시간으로 시간을 함께 저장하여, 새들(500)을 통해 상수도관 외부로 인출되면 지상에서 실시간으로 기록된 공통 요소인 시간을 매개변수로 동영상과 거리 데이터를 일치시켜 상수도관 내부 상태를 진단하고, 공공시설로 기 설치된 맨홀 내부에 구비된 제수밸브(200,300) 옆의 새들(400,500)로 투입 및 배출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로 이송하며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진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다중의 팩킹(10)들과 카메라(80)와 조명 및 저장부(90)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 축(1)은 상수도관과 새들(400, 500)에서 90도 굴절된 부분도 통과될 수 있는 유연한 성능이 높고,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에도 상수도관에서 중심을 유지할 수 있는 견고한 성능도 함께 내포할 수 있고 무독성인 실리콘, 우레탄 또는 엘라스토마 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로 이송하며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진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면을 기준으로 다중의 팩킹(10)은 고압에도 견디고 무독성이며 내마모성도 우수한 타포린 PVC 재질이나 어닝 재질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로 이송하며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진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성능이 우수한 살대(30)는 팩킹(10)과 결합되어 새들(400, 500)을 통과할 때는 우산처럼 접혔다가 새들을 통과한 이후 상수도관 내부에서는 팩킹(10)과 함께 복원되어야 하는 기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pp) 재질이나 스프링 강판을 열처리하여 우산 살대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로 이송하며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진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견인줄(50, 60)은 물에서도 녹이 발생하지 않고 내마모성도 우수하고 견인력도 있어야 하는 특성상 스테인레스 와이어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로 이송하며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진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수도관 내부로 투입하고 촬영하고 배출하는 방법은
    맨홀의 제수밸브(200) 옆 새들(400)의 뚜껑을 개방하여 상기 상수도관 촬영 장치(100)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상수도관 촬영 장치(100)에 새들(400)의 뚜껑을 관통한 후방비상견인줄(50)을 체결하고 새들(400) 뚜껑을 닫는 단계;
    상기 상수도관 촬영 장치(100)의 조명과 수중 카메라(80)를 작동시키고, 동시에 후방비상견인줄(50)의 거리와 시간을 기록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수밸브(200)를 개방하여 상수도관 내부로 고압수를 투입하며, 상수도관 촬영 장치(100)를 이송시키며 촬영하는 단계;(타단의 제수밸브(300)는 닫고, 새들(500)은 열어둔 상태)
    상기 상수도관 촬영 장치(100)의 부표(70) 및 전방비상견인줄(60)을 외부로 빠져나와야 할 맨홀의 제수밸브(300) 옆 새들(500)로 통해 인출하는 단계;
    상기 전방비상견인줄(60)을 당겨서 배출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로 이송하며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진단하는 방법.
KR1020210092799A 2021-07-14 2021-07-14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로 이송하며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진단하는 방법 KR20230011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799A KR20230011828A (ko) 2021-07-14 2021-07-14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로 이송하며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진단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799A KR20230011828A (ko) 2021-07-14 2021-07-14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로 이송하며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진단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828A true KR20230011828A (ko) 2023-01-25

Family

ID=85109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799A KR20230011828A (ko) 2021-07-14 2021-07-14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로 이송하며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진단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18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0901B1 (ko) 세척브러쉬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JP6441568B2 (ja) 管路清掃装置
CN107859141B (zh) 一种用于核电厂的污水站上游污水管道的改造方法
KR100934943B1 (ko) 견인 흡입식 관로 준설공법
KR101030055B1 (ko) 상하수도관 내부의 수분 및 퇴적물 준설장치 및 공법
US9744572B2 (en) Apparatus for removing solids from sewers
KR101811277B1 (ko) 구형상의 상수도관 세척장치
JP2014114653A (ja) ロボット利用埋設管工事用装置
KR20080013647A (ko) 쓰레기 배출관 청소용 로봇
JP5406458B2 (ja) 管内清掃方法
KR20230011828A (ko) 고압수 또는 고압 에어로 이송하며 상수도관 내부를 촬영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진단하는 방법
JP2021070976A (ja) 管路洗浄システム及び管路洗浄方法
JP2011101847A (ja) 水道管内面の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AU731591B2 (en) Pipeline cleaning
KR100798931B1 (ko) 옥내 급수관을 위한 반자동형 배관 탐사 장치
US5267616A (en) Process for running scrapers, particularly for subsea petroleum well lines
KR100847227B1 (ko) 피그를 이용한 배관 내면의 세정방법 및 그 장치
US20140290697A1 (en) Method for Testing and Cleaning a Pipeline
CN110026395A (zh) 旧管道非开挖修复中旧管道内壁清理设备及清管方法
GB246677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the interior of a pipe
KR20220123777A (ko) 고압수로 이송하며 정회전, 및 역회전 브러쉬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 방법
RU2689629C2 (ru) Способ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внутренней поверхност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их трубопроводов нефте- 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перекачивающих станций
KR20220169302A (ko) 고압수 및 에어로 이송 및 회전하는 브러쉬로 상수도관 내부를 세척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 방법
KR102580398B1 (ko) 팽창 튜브를 이용한 관 세척 및 조사 장치
KR100690956B1 (ko)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