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756A -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756A
KR20230011756A KR1020210092399A KR20210092399A KR20230011756A KR 20230011756 A KR20230011756 A KR 20230011756A KR 1020210092399 A KR1020210092399 A KR 1020210092399A KR 20210092399 A KR20210092399 A KR 20210092399A KR 20230011756 A KR20230011756 A KR 20230011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terminal
inspection
smar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광
Original Assignee
드림 메이커 엔터테인먼트 리미티드(영업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림 메이커 엔터테인먼트 리미티드(영업소) filed Critical 드림 메이커 엔터테인먼트 리미티드(영업소)
Priority to KR1020210092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1756A/ko
Publication of KR20230011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1/00Apparatus for validating or cancelling issued ti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사용자단말이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한 상태로 검표단말이 위치한 검표구역에 입장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검표단말로부터 검표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메인서버로 상기 검표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스마트티켓정보를 전송하여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검표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스마트티켓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스마트 티켓을 검증하여 검증결과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검증결과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검증결과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검표단말은 비콘단말로 구성되며, 상기 기 설정된 화면은 검표원이 확인할 수 있는 소정의 이미지 또는 소정의 색상으로 구성되는 것인,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METHOD FOR SMART TICKET CHECKING SYSTEM BY USING BEACON-BASED CHECKER TERMINAL}
본 발명은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하여 공연에 입장하는 관객 소유의 사용자단말에 대하여 보다 편리한 검표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영화관, 공연장, 전람회장 또는 운동경기장 등 입장 티켓이 활용되는 분야에서 온라인 티현재 영화관, 공연장, 전람회장 또는 운동경기장 등 입장 티켓이 활용되는 분야에서 온라인 티켓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면, 구매자가 티켓 예매를 할 경우, 티켓 구입 매수와 상관없이 하나의 주문에 대하여 부여된 예매 번호를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 단말에 단문 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의 형태로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에 예매 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저장하거나, 이 메일(E-mail)로 수신된 전자 티켓 형태로 저장한 후 이들을 이용하여 현장 발권으로 티켓을 발급받아 보관하거나 사용하는 실정이다. 즉, 온라인 티켓 예매시스템을 이용하더라도 현장 발권을 통해 티켓을 장당 출력하여 현장 직원에게 확인을 받고 입장하는 구조이다.
티켓을 구매한 사용자 입장에서는 온라인 예매 시스템을 통해 티켓을 예매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 미리 도착하여 무인 발권기 또는 발권창구를 통해 입장 티켓을 발권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철도 승차권과 같은 일부 분야에서는 홈 티켓 발권과 같이 사용자가 집에서 프린터를 이용하여 티켓을 발권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기도하지만, 티켓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데에 많은 노력이 소요되고, 사용자가 이러한 기능에 부합하는 프린터를 구비해야 한다는 제약 사항이 있다.
종이티켓을 이용하여 이벤트 장소에 입장할 경우, 위조 및 변조 티켓이 많아 정상 티켓 구매자들의 피해가 발생하고, 종이 티켓의 분실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티켓 분실 시 재 발권 받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연기획사, 스포츠 경기 구단 등의 이벤트를 주최하는 이벤트 제공자 입장에서는 이벤트 장소에 현장 발권기나 발권창구를 운영하는 데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요되고, 위조 및 변조 방지 기능이 부여되거나 전자적 인식이 가능한 티켓을 제공하는 데에도 많은 비용과 노력이 소요된다. 이러한 비용과 노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나 이미지를 티켓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미지의 복사와 전달이 용이한 스마트 폰의 특성상 티켓의 무단 복제 및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전자 티켓을 영화관, 공연장, 전람회장 또는 운동경기장 등의 게이트에서 확인하고 입장을 허가하는 과정에서도 게이트마다 검표원이 티켓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므로 이벤트 장소의 규모에 따라 검표원 인력이 충원되어야 하고, 입장 대기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위조 및 변조된 티켓의 사용을 검표원이 확인할 수가 없어 불법 입장자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티켓 구매자는 티켓의 현장 발권, 입장 대기 또는 불법 입장자 등의 이유로 시간이나 관람 등에 피해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코드 티켓 등의 전자 티켓은 현장상황에 따라 바코드티켓을 기초로 현장에서 다시 종이 티켓을 발권하여 입장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바코드 티켓 인식 키오스크가 있으면 바로 입장 가능하지만 이벤트 장소에 키오스크가 없는 경우에 바코드 티켓 인식용 키오스크를 설치하거나 무선PDA 등을 구입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회원 가입 절차 없이 사용자의 고유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간단히 스마트 티켓을 구매할 수 있고, 해당 스마트 티켓에 대한 입장 검표, 할인, 위조 및 변조 방지, 선물하기 등의 모든 티켓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스마트 티켓을 소지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을 휴대하고 해당 스마트 티켓의 공연에 입장할 때, 검표단말을 통하여 사용자단말의 화면에 식별이 용이한 화면을 출력하여, 원활한 입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메인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은, (a) 사용자단말이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한 상태로 검표단말이 위치한 검표구역에 입장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검표단말로부터 검표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메인서버로 상기 검표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스마트티켓정보를 전송하여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검표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스마트티켓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스마트 티켓을 검증하여 검증결과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검증결과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검증결과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검표단말은 비콘단말로 구성되며, 상기 기 설정된 화면은 검표원이 확인할 수 있는 소정의 이미지 또는 소정의 색상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검표구역은 하나 이상 설치되며, 각 검표구역마다 검표단말이 구비되며, 상기 검표단말은 상기 사용자단말과 일대일 또는 일대 다수의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검표구역은 티켓종류 또는 입장구역 검증을 위한 제1검표구역, 및 상기 제 1 검표구역보다 공연장 내부에 설치되며 스마트티켓 사용처리를 위한 제2검표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검표구역 및 상기 제2검표구역은 각각 제1검표단말, 제2검표단말이 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티켓종류는 할인티켓, 이벤트티켓 중 어느 하나의 티켓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검표단말의 검표단말식별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검표단말과 대응하는 공연장 구역을 확인하는 단계; (c-2) 상기 스마트티켓정보에 포함된 입장구역정보와 상기 확인된 공연장 구역이 서로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단계는, (d-1)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스마트티켓정보와 상기 메인서버에 기 저장된 티켓판매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d-2) 상기 스마트티켓정보와 대응되는 티켓판매정보가 검색되는 경우,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사용처리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처리확인 신호는 스마트티켓이 사용처리가 완료되어 재사용이 불가함을 나타내는 식별표시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인,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
또한, 제3검표구역은 공연장 내의 객석에 설치되고, 복수의 제3검표단말이 상기 공연장 내부의 객석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3검표단말이 상기 메인서버의 명령에 따라 상기 공연장 내부에 위치한 복수의 상기 사용자단말로 소정 영상이나 색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군집화된 사용자 단말에서 특정한 메시지, 색상, 그림 및 동영상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화면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사용자단말에 상기 검증결과신호 및 사용처리확인신호 별로 매칭된 매칭테이블 내에 기 저장된 메시지, 색상, 그림 및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메인서버는,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a) 사용자단말이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한 상태로 검표단말이 위치한 검표구역에 입장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검표단말로부터 검표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메인서버로 상기 검표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스마트티켓정보를 전송하여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검표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스마트티켓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스마트 티켓을 검증하여 검증결과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검증결과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검증결과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검표단말은 비콘단말로 구성되며, 상기 기 설정된 화면은 검표원이 확인할 수 있는 소정의 이미지 또는 소정의 색상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회원 가입 절차 없이 사용자의 고유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간단히 스마트 티켓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고, 스마트 티켓에 실시간 변화하는 인증패턴정보를 이용하여 불법티켓을 쉽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장비 없이도 쉽게 스마트 티켓에 대한 입장 검표, 할인, 위조 및 변조 방지, 티켓 취소, 선물하기 등의 모든 티켓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단말의 화면을 통해 해당 공연의 스마트 티켓의 유효성 여부를 파악하기 용이하고, 어떠한 종류의 할인을 받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공연장 내에서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통한 사용자단말의 카드섹션 및 응원도구 대체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티켓의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티켓을 설명하는 예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티켓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표 단말에 의한 입장 검표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의한 스마트 티켓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에 대한 구조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사용자단말의 화면에 사용처리표시가 표시되는 것에 관한 예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은 휴대성 및 이동성이 보장된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단말 또는 서버 등에 접속할 수 있는 PC 등의 유선 통신 장치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티켓의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티켓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스마트 티켓의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이벤트 제공 서버(200), 티켓 판매 서버(300), 티켓 관리 서버(400), 검표 단말(500)을 포함한다.
스마트 티켓은 인터넷을 통해 직접 발권할 수 있는 티켓으로서, 창구에서 별도로 발권할 필요가 없는 티켓이다. 이러한 스마트 티켓에 대한 예매, 결제, 입장 검표, 할인, 취소 등의 티켓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티켓의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접속 및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벤트 제공 서버(200), 티켓 판매 서버(300) 및 티켓 관리 서버(400)는 일반적인 의미의 서버용 컴퓨터 본체일 수 있고, 그 외에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제공 서버(200), 티켓 판매 서버(120) 및 티켓 관리 서버(130)는 각각 통신 모듈(미도시), 메모리(미도시), 프로세서(미도시) 및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이벤트 제공 서버(200)는 공연, 전시, 스포츠 경기 등의 이벤트를 주최하는 엔터테인먼트 업체, 스포츠 경기 구단 등이 관리하는 서버로서, 휴대폰이나 TV, PDA, 태블릿 PC, PC, 노트북 PC 및 기타 사용자 단말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티켓 판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일반 티켓의 구매를 위한 티켓 구매 페이지 또는 스마트 티켓 발생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티켓 판매 서버(300)는 인터넷상에 구축된 웹사이트를 통하여 접속 고객 관리, 티켓 예매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이때, 티켓 구매 페이지는 주소, 이름, 나이, 성별, 연락처를 포함한 개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의 입력 페이지, 티켓 예매시 좌석 등급 및 위치를 포함한 좌석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티켓식별정보의 선택 페이지, 이벤트 명칭, 장소 및 시간을 포함한 이벤트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이벤트의 선택 페이지 등을 포함한다.
티켓 판매 서버(300)는 일반 티켓만을 판매하고, 해당 티켓을 구매한 사용자에게는 스마트 티켓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서 입장할 때 활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 티켓 발생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티켓 판매 서버(300)티켓 구매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티켓 식별 정보, 이벤트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티켓 구매 정보를 제공하는 이벤트 제공 서버(200) 또는 티켓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한편, 티켓 판매 서버()는 이벤트 제공 서버()로 티켓 구매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 이벤트 제공 서버()는 티켓 구매 정보를 티켓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티켓 구매 정보에 기초하여 공연이나 스포츠 경기 등의 관람 인원 체크, 타겟 대상 관리, 주요 고객 관리 등에 활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티켓의 인증 패턴 정보는 현재 시간을 패턴값으로 하는 시계 아이콘, 시간별 변화되는 재생 정보를 패턴값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아이콘, 실시간 변화되는 속성값을 패턴값으로 하는 그래픽 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티켓에는 설정된 제한횟수 이내로 입장 횟수를 표시하는 입장제한 아이콘 또는 할인대상을 표시하는 할인인증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티켓은 티켓 배경에 애니메이션을 삽입하여 복제를 방지할 수 있는데, 애니메이션은 공연 또는 회차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시계 아이콘은 현재 시간을 표시하고, 깜빡이는 점멸 동작을 통해 복제 티켓이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입장제한 아이콘은 재입장 가능한 경우에 입장 횟수를 표시하고, 할인인증 아이콘은 증빙자료 제시 후에 검표원을 통해 잠금 해제후에 정상 입장 할 수 있다.
티켓 관리 서버(400)는 검표 단말(500)을 통해 스마트 티켓의 정상 인증이 완료되면, 입장 즉시 티켓 절취 애니메이션이나 이용 완료 스탬프로 표시하여 해당 티켓의 재사용을 방지하도록 한다.
티켓 관리 서버(400)는 티켓 판매 서버(300)로부터 티켓 구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사용자 정보 중 고유 개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페이지를 제공하며, 사용자 인증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고유 개인 정보를 티켓 구매 정보와 매칭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티켓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100)로 티켓 식별 정보를 포함한 스마트 티켓을 제공한다.
티켓 관리 서버(400)는 스마트 티켓의 인증 패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실시간 공유하고, 사용자 입장시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된 스마트 티켓의 인증 패턴 정보에서 패턴 값을 인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패턴 값과 비교함으로써 패턴값이 일치하는 사용자에 한에 입장을 허용하고, 패턴값이 일치하지 않는 사용자를 불법 입장 사용자로 판별하도록 한다.
이러한 티켓 관리 서버(400)는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을 티켓 판매 서버(300)에 제공하고,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티켓 판매 서버(300)와 연동하여 티켓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티켓 판매 서버(300)는 자신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100)에 사용자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사용자 인증 페이지를 통해 전화번호, 이메일 등의 고유 개인 정보를 입력하면 별도의 회원가입절차 없이 사용자 인증 및 스마트 티켓을 제공받을 수 있다.
티켓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인증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고유 개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과 연계된 티켓 구매 정보와 매칭하여 정상적으로 정보 매칭이 이루어지면 티켓 식별 정보를 확정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한다. 만일, 티켓 관리 서버(400)는 고유 개인 정보가 티켓 구매 정보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기설정된 횟수의 사용자 재인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고, 사용자 재인증 절차 이후에도 정보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100)로 티켓식별정보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없음을 통보한다.
또한, 티켓 관리 서버(400)는 이벤트 제공 서버(200)로부터 이벤트 정보에 대한 이벤트 취소 정보가 수신되면, 이벤트 정보에 해당하는 스마트 티켓을 보유한 사용자 단말(100)에 이벤트 취소에 대한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 메시지를 전송한 후, 푸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00)에 해당 스마트 티켓에 대한 티켓 반환 서비스 또는 티켓 교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검표 단말(500)은 사용자 단말(1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상에 표시된 스마트 티켓을 인식하여 인식 정보를 티켓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고, 티켓 관리 서버(400)와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인식 정보에서 해당 스마트 티켓의 티켓식별정보 또는 인증 패턴 정보를 추출하여 티켓 검증을 수행한다. 이러한 검표 단말(500)은 스마트폰 등의 통신 단말, 비콘 단말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검표 단말(500)은 스마트 티켓의 티켓 식별 정보를 인식한 후 티켓 관리 서버(400)로부터 해당 티켓식별정보의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입장 허용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검표 단말(500)은 스마트 티켓이 입장제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재입장시 입장제한 아이콘에 입장회차에 대한 숫자 또는 도장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만일, 입장제한 아이콘에 설정된 제한 횟수를 초과하거나, 티켓 관리 서버(400)로부터 티켓 식별 정보의 인증이 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 스마트 티켓이 표시된 사용자 단말(100)에 입장 불가 메시지 또는 재입장 불가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티켓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벤트 제공 서버(200)는 자신이 주최하는 이벤트의 티켓 판매를 티켓 판매 서버(300)에 의뢰하고, 티켓 판매 서버(300)는 웹사이트 상에 해당 이벤트에 대한 예매 서비스를 공지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100)은 티켓 판매 서버(300)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스마트 티켓에 대한 티켓 구매를 신청하면(S1), 티켓 판매 서버(300)는 티켓 구매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한다(S2).
사용자는 티켓 구매 페이지를 통해 고유 개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좌석 선택을 위한 좌석 정보를 포함하는 티켓식별정보, 해당 이벤트의 장소와 시간 등을 지정하기 위한 이벤트 정보를 입력한다(S3).
티켓 판매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 티켓 식별 정보 및 이벤트 정보를 매칭시킨 티켓 구매 정보를 사용자 단말별로 저장하고(S4), 티켓 관리 서버(400)로 사용자 단말(100)의 티켓 구매 정보를 실시간 전송한다(S5).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 티켓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하고(S6), 티켓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사용자 인증 페이지를 전송하며(S7),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인증 페이지에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의 고유 개인 정보를 입력한다(S8). 이때, 고유 개인 정보는 제3자가 쉽게 알아낼 수 있는 이름이나 생년월일 등은 해당되지 않고, 별명이나 직장 등 사용자 정보로 입력하지 않은 정보도 해당될 수 없다.
티켓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인증 페이지를 통해 입력한 고유 개인 정보와 티켓 구매 정보의 사용자 정보를 매칭하고, 사용자 정보 내에 고유 개인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정상적으로 사용자 인증을 완료한다(S9).
티켓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100)로 사용자가 선택한 좌석 정보가 확정된 티켓식별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스마트 티켓의 구매 서비스를 완료한다(S10). 티켓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가 별도의 회원가입 절차 없이 고유 개인 정보 입력만으로 바로 스마트 티켓의 구매가 완료되도록 한다.
이때, 티켓 관리 서버(400)는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스마트 티켓의 인증 패턴 정보의 패턴값을 사용자 단말(100)과 공유하여 스마트 티켓이 위조 및 변조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S11). 인증 패턴 정보가 시계 아이콘인 경우, 시계 아이콘은 현재 시간 점멸 동작으로 검표원이 현재 시간과 점멸 동작을 확인하여 스마트 티켓의 진위 여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고, 애니메이션 아이콘인 경우 애니메이션이 배경 화면이나 포인트 화면으로 계속 재생되도록 하여 검표원이 스마트 티켓의 진위 여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시계 아이콘과 애니메이션 아이콘은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0초)마다 다른 패턴으로 바뀌도록 패턴값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인증 패턴 정보가 바코드나 QR 코드 등의 그래픽 코드인 경우에, 제3자가 그래픽 코드에 대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불법 입장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티켓 관리 서버(400)는 그래픽 코드의 속성값이 실시간 변화되도록 하고, 실시간 변화되는 속성값을 티켓 관리 서버(400)와 사용자 단말(100)이 공유한다. 따라서, 제3자가 그래픽 코드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입장하고자 할 경우, 티켓 관리 서버(400)는 검표 단말(500)을 통해 인식한 그래픽 코드의 속성값과 티켓 관리 서버(400)에 저장된 그래픽 코드의 속성값을 비교하여 서로 불일치하면 해당 티켓이 부정티켓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제공한다.
티켓 관리 서버(400)는 스마트 티켓의 설정 메뉴 중 인증 패턴 정보의 전환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검표 단말(500)이 입장 검표가 가능하도록 시계 아이콘, 애니메이션 아이콘, 그래픽 코드 중 어느 하나로 실시간 전환이 가능하고, 하나의 스마트 티켓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증 패턴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스마트 티켓 구매 후에 스마트 티켓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이 보유한 스마트 티켓을 확인할 수 있고, 선물하기 기능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서 친구의 전화번호 등 친구의 고유 개인 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스마트 티켓이 친구의 단말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전송된 스마트 티켓은 친구의 단말과 연계하여 티켓식별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티켓 관리 서버(400)는 이벤트 제공 서버(200)로부터 이벤트 취소 정보가 수신되면, 스마트 티켓을 보유한 각 사용자 단말(100)로 푸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이벤트가 취소됨을 공지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티켓 반환 또는 티켓 교환 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도 3의 단계 S1 내지 S1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시예에 따른 검표 단말에 의한 입장 검표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의한 스마트 티켓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벤트 장소에 입장할 때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스마트 티켓을 출력하여 검표원에게 보여준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 검표 단말(500) 및 티켓 관리 서버(400)는 스마트티켓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로 연동할 수 있다.
검표 단말(500)이 비콘 단말인 경우에 스마트 티켓이 표시된 사용자 단말(100)을 블루투스 기반으로 인식하게 되고, 사용자 단말(100)은 티켓 관리 서버(400)로 티켓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접속한다. 이때, 인증패턴정보는 시계 아이콘과 그래픽 코드(QR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검표원은 시계 아이콘을 통해 표시된 현재 시간과 깜빡임 동작을 통해 복제 티켓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검표 단말(500)을 통해 그래픽 코드를 인식한 후 그래픽 코드의 속성값(유효시간)을 티켓 관리 서버(400)에 저장된 속성값과 비교하여 해당 그래픽 코드가 유효한 코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티켓 관리 서버(400)는 티켓식별정보를 통해 스마트 티켓의 인증이 완료되면 스마트 티켓의 입장제한 아이콘에 입장 스탬프가 생성되도록 하지만, 스마트 티켓의 인증이 안될 경우에 사용자 단말(100)에 인증 불가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이벤트 장소에서 퇴장과 입장을 반복할 경우에, 스마트 티켓의 입장제한 아이콘에 제한 횟수가 설정되고, 검표 단말(500)을 통해 입장이 인식될 때마다 스마트 티켓의 입장제한 아이콘에 몇회 입장인지 재입장 횟수를 숫자 또는 스탬프로 표시한다. 티켓 관리 서버(400)는 검표 단말(500)을 통해 사용자가 재입장시 제한횟수를 초과함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100)의 스마트 티켓 상에 재입장 불가라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티켓 판매 서버(300)에서 입장제한과 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 스마트 티켓에 표시된 입장제한 아이콘과 할인인증 아이콘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검표원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입장제한 표시와 할인인증표시를 확인하여 일반 스마트 티켓과 다르다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검표원에게 스마트 티켓의 할인인증 아이콘을 제시하고, 검표원의 검표 단말(500)을 통해 할인인증 아이콘의 잠금 해제 후에 정상 입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 예에 따르는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추가 실시 예에 따르는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은 메인서버(600), 사용자단말(100) 및 검표단말(5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메인서버(600)는 일반적인 의미의 서버용 컴퓨터 본체일 수 있고, 그 외에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서버(600)는 통신 모듈, 메모리, 프로세서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인서버(600)는 상기 이벤트 제공 서버(200), 티켓 판매 서버(300), 티켓 관리 서버(400)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메인서버(600)는 이벤트 제공 서버(200), 티켓 판매 서버(300), 티켓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메인서버(600)는 행사장에 비치된 각 검표단말(500) 별로 대응하는 검표단말식별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100)로부터 검표단말식별정보 및 스마트티켓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 티켓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결과신호를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100)은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휴대폰이나 TV, PDA, 태블릿 PC, PC 및 노트북 PC를 포함하는 일체의 전자통신 장치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검표단말(500)은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을 지원하는 비콘(Beacon) 기반의 장치로써, 사용자단말(10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여 사용자단말(100)로 검표단말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500)은 통상의 IoT 산업분야에서 활용되는 블루투스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스마트 티켓을 구매한 관객은 사용자단말(100)의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한 상태로 검표단말(500)이 위치한 제1검표구역을 통과한다. 본 명세서에서 검표구역은 제1검표구역, 제2검표구역 및 제3검표구역을 포함하며, 각 검표구역의 순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관객이 제1검표구역, 제2검표구역 및 제3검표구역 순으로 통과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제1검표구역에 비치되는 검표단말(500)은 제1검표단말이며, 검표단말(500)은 블루투스 통신을 기반으로 복수의 사용자단말(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검표단말(500)은 각각의 사용자단말(100)과 1:1로 매칭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검표단말(500)은 사용자단말(100)과 1:다(多)로 통신을 수행할수도 있다.
검표단말(500)은 사용자단말(100)로 검표단말식별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여러 명의 관객이 일사불란하게 섞여서 지나가더라도 검표단말(500)은 복수의 사용자단말(100)을 인식하는 데에 어려움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제1검표구역은 지하철개찰구 지나가는 방식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검표구역은 티켓검증 구역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연장의 A구역으로 입장하는 게이트에 제1 검표구역이 설치되는 경우, 검표단말(500)은 사용자단말(100)의 스마트 티켓이A구역으로 입장해야 하는 티켓이 맞는지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추가 실시 예에 따르면, 스마트 티켓에 장애인할인 및 정상쿠폰 할인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해당 티켓이 장애인할인이 맞는지, 정상쿠폰 할인이 맞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제1검표구역의 검표단말(500)로부터 검표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단말(100)은 메인서버(600)로 검표단말식별정보 및 좌석정보와 공연정보를 포함하는 스마트티켓정보를 전송하여 스마트 티켓에 대한 검증을 요청한다.
메인서버(600)는 스마트티켓정보 및 상기 검표단말식별정보와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정보를 송신한 사용자단말(100)의 스마트 티켓을 검증하고, 검표단말(500)의 검표단말식별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검표단말(500)이 해당 검표구역에 배치되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어서, 스마트 티켓이 해당 검표구역 내의 좌석이 맞는지 확인한 뒤, 검증결과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100)로 전송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메인서버(600)는 검표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스마트티켓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 티켓을 검증하여 검증결과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인서버(600)는 검표단말(500)의 검표단말식별정보를 참조하여 해당검표단말이 A구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스마트 티켓 역시 A구역의 좌석이 맞는지 확인하여, 확인된 경우 A구역으로 입장할 수 있다라는 검증결과신호를 사용자단말(1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100)은 메인서버(600)로부터 검증결과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검표구역에서 검증이 이루진 사용자단말(100)의 스마트 티켓은 소정의 화면으로 변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연장 내부의 각 구역 별로 기 설정된 구역 식별자 또는 장애인할인 및 정상쿠폰할인 별로 기 설정된 할인정보 식별자가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제2 검표구역은 스마트 티켓사용처리를 하기 위한 구역일 수 있다.
제2 검표구역을 지나가는 사용자단말(100)은, 검표단말(500)로부터 검표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단말(100)이 이를 기초로 자신의 스마트티켓정보와 검표단말식별정보를 메인서버(600)로 전송한다.
메인서버(600)는 해당 스마트티켓정보를 참조하여 정상적인 구매티켓이 맞는 판별하고, 정상 구매 티켓인 것으로 판별한 경우, 사용처리확인신호를 관객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사용처리확인신호를 수신한 사용자단말(100)의 화면은 “사용처리 완료”라는 식별자가 표시되거나, 소정의 색상이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사용처리완료 식별자 표시가 동그라미 표시일 때, 사용처리가 확인된 스마트 티켓을 소지한 관객의 사용자단말(100)의 화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자가 표시되게 되고, 식별자가 표시되지 않은 사용자단말(100)은 검표원에 의해 제2검표구역을 통과할 수 없게 된다.
이를 통해, 제2검표구역을 통과하는 관객은 본인 소유의 사용자단말(100)을 통해 쉽게 소지한 스마트 티켓의 유효함을 증명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관객이 제2검표구역을 통과할 때, 해당 검표구역에 배치된 검표 인원이 유효한 스마트 티켓을 소지한 관객과 유효하지 않은 스마트 티켓을 소지한 관객을 육안으로 알아보기에 용이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유효한 스마트 티켓을 소지한 관객의 사용자단말(100)에 녹색 화면을 점멸 표시하도록 설정한 경우, 제2검표구역을 통과하는 관객 중 초록색으로 스마트폰이 깜빡이지 않는 사람은 잘못된 티켓을 소지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해당 관객만을 색출함으로써, 검표과정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제3검표구역은 공연장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검표구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검표단말이 설치되어, 공연장 내에 입장한 사용자단말(100)로 소정 영상이나 색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3검표단말은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설치되어, 공연장 내부의 구획 별 도는 기 설정된 간격마다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공연이 어떠한 그룹과 그룹의 대결에 관한 공연인 경우, 해당 그룹의 응원석에 해당하는 관객석 별로 다른 색상 및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붉은 색으로 대표되는 A팀의 응원석에 입장한 사용자단말(100)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단말(100)의 화면에 붉은 색상과 해당 팀의 앰블럼이 표시되도록 하고, 푸른 색으로 대표되는 B팀의 응원석에 입장한 사용자단말(100)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단말(100)의 화면에 푸른 색상과 해당 팀의 앰블럼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검표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사용자단말(100)은 예술공연 또는 관람 목적의 공연의 경우, 공연장의 아티스트에게 특정한 메시지를 보내거나 색상이나 그림을 보여줄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제3검표단말은 관객과 아티스트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자단말(100)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실제 관람 현장에서 활용되는 카드섹션 또는 응원도구를 활용한 응원 방식을 대체할 수 있다.
도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방법의 수행 순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관객은 공연에 입장하기에 앞서 사용자단말(100)의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하고(S101), 제1검표구역에 입장한다.
검표단말(500)은 검표원의 조작에 의하거나 자동으로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된 사용자단말(100)을 탐색하여 검표단말식별정보를 전송한다(S102).
사용자단말(100)은 수신한 검표단말식별정보와 함께, 스마트티켓정보를 메인서버(600)로 전송한다(S103).
메인서버(600)는 수신한 검표단말식별정보 및 스마트티켓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스마트 티켓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결과신호를 생성한다(S104).
메인서버(600)는 검증결과신호를 사용자단말로 전송하고(S105), 사용자단말(100)은 수신한 검증결과신호에 매칭되는 기 설정된 화면을 출력한다(S106).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티켓의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단말
200: 이벤트 제공 서버
300: 티켓 판매 서버
400: 티켓 관리 서버
500: 검표 단말
600: 메인서버

Claims (9)

  1. 메인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단말이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한 상태로 검표단말이 위치한 검표구역에 입장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검표단말로부터 검표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메인서버로 상기 검표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스마트티켓정보를 전송하여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검표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스마트티켓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스마트 티켓을 검증하여 검증결과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검증결과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검증결과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검표단말은 비콘단말로 구성되며, 상기 기 설정된 화면은 검표원이 확인할 수 있는 소정의 이미지 또는 소정의 색상으로 구성되는 것인,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표구역은 하나 이상 설치되며,
    각 검표구역마다 검표단말이 구비되며,
    상기 검표단말은 상기 사용자단말과 일대일 또는 일대 다수의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인,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표구역은 티켓종류 또는 입장구역 검증을 위한 제1검표구역, 및 상기 제1검표구역보다 공연장 내부에 설치되며 스마트티켓 사용처리를 위한 제2검표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검표구역 및 상기 제2검표구역은 각각 제1검표단말, 제2검표단말이 비치되는 것인,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종류는 할인티켓, 이벤트티켓 중 어느 하나의 티켓을 나타내는 것인,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검표단말의 검표단말식별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검표단말과 대응하는 공연장 구역을 확인하는 단계;
    (c-2) 상기 스마트티켓정보에 포함된 입장구역정보와 상기 확인된 공연장 구역이 서로 매칭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d-1)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스마트티켓정보와 상기 메인서버에 기 저장된 티켓판매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d-2) 상기 스마트티켓정보와 대응되는 티켓판매정보가 검색되는 경우,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로 사용처리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처리확인 신호는 스마트티켓이 사용처리가 완료되어 재사용이 불가함을 나타내는 식별표시가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인,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제3검표구역은 공연장 내의 객석에 설치되고, 복수의 제3검표단말이 상기 공연장 내부의 객석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3검표단말이 상기 메인서버의 명령에 따라 상기 공연장 내부에 위치한 복수의 상기 사용자단말로 소정 영상이나 색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군집화된 사용자 단말에서 특정한 메시지, 색상, 그림 및 동영상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인,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화면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사용자단말에 상기 검증결과신호 및 사용처리확인신호 별로 매칭된 매칭테이블 내에 기 저장된 메시지, 색상, 그림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것인,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
  9.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메인서버에 있어서,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메인서버에 있어서,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a) 사용자단말이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한 상태로 검표단말이 위치한 검표구역에 입장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검표단말로부터 검표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하고, 메인서버로 상기 검표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스마트티켓정보를 전송하여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메인서버가 상기 검표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스마트티켓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스마트 티켓을 검증하여 검증결과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검증결과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검증결과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검표단말은 비콘단말로 구성되며, 상기 기 설정된 화면은 검표원이 확인할 수 있는 소정의 이미지 또는 소정의 색상으로 구성되는 것인,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메인서버.
KR1020210092399A 2021-07-14 2021-07-14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11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399A KR20230011756A (ko) 2021-07-14 2021-07-14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399A KR20230011756A (ko) 2021-07-14 2021-07-14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756A true KR20230011756A (ko) 2023-01-25

Family

ID=85109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399A KR20230011756A (ko) 2021-07-14 2021-07-14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17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2670B2 (en) Identification verification system
US101277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ticket validation using proximity detection for two or more tickets
US98814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ticket validation using proximity detection
WO2021132483A1 (ja) アプリケーション連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連携システム
US201900191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sual validation of electronic tickets and payment for an additional item
US201501424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ticket validation using proximity detection
JP6585783B2 (ja) 売り場の内部通信網基盤の決済システム、売り場の内部通信網基盤の決済機能を含む移動端末、売り場の内部通信網基盤の決済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これ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
US201602600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access rights
US20130041776A1 (en) Cash pay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TW201349144A (zh) 電子票券防偽系統與方法
JP2021051585A (ja) 電子チケット管理方法及び電子チケット管理プログラム
WO2019116492A1 (ja) チケット有効性確認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760890B2 (en) Permission management apparatus and permission management method
US10129266B2 (en) Identity information systems and methods
KR20210091983A (ko) 스마트 티켓의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066690A1 (en) Car park control system using a third-party system
US202202226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sual validation of electronic tickets and payment for an additional item
KR20230011756A (ko)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
US20220270423A1 (en) Identity-based enablement of event access control
JP7330814B2 (ja) 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KR102371828B1 (ko) 티켓 중개 서버 및 그를 이용한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6058053A (ja) イベントチケット管理システム
JP2003167972A (ja) チケット予約管理方法とその装置、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チケット予約確認方法
KR20200079931A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전자티켓 발권 검증 방법
WO2024095376A1 (ja) サーバ装置、システム、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