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1828B1 - 티켓 중개 서버 및 그를 이용한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티켓 중개 서버 및 그를 이용한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1828B1
KR102371828B1 KR1020200005387A KR20200005387A KR102371828B1 KR 102371828 B1 KR102371828 B1 KR 102371828B1 KR 1020200005387 A KR1020200005387 A KR 1020200005387A KR 20200005387 A KR20200005387 A KR 20200005387A KR 102371828 B1 KR102371828 B1 KR 102371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information
terminal
brokerage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1988A (ko
Inventor
김진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켓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켓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켓랩
Priority to KR1020200005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828B1/ko
Publication of KR20210091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켓 중개 서버 및 그를 이용한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판매자 단말 또는 구매자 단말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소정의 웹사이트에 접속함에 따라 발생되는 티켓 중개 서버의 접근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 또는 구매자 단말에 스마트 티켓의 판매 및 구매를 위한 티켓 중개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티켓 중개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스마트 티켓의 티켓 식별 정보, 판매 가격 정보, 판매자 정보를 포함한 티켓판매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티켓 중개 페이지를 통해 상기 티켓 중개 페이지에 판매 등록된 하나 이상의 스마트 티켓에 대해 결제완료정보가 수신되면, 구매한 스마트 티켓의 티켓 식별 정보, 구매 가격 정보, 구매자 정보를 포함한 티켓구매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티켓 식별 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판매자 정보를 상기 구매자 정보로 갱신한 스마트 티켓을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로 상기 티켓 식별 정보에 해당되는 스마트 티켓의 사용 불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일 수 있다.

Description

티켓 중개 서버 및 그를 이용한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TICKET MEDIATION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ATION SERVICE OF SMART TICKET USING IT}
본 발명은 스마트 티켓 또는 실물 티켓의 중개 거래, 좌석 교환을 포함한 티켓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티켓 중개 서버 및 그를 이용한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 등을 관람하고자 할 때, 공연 티켓 등을 미리 발급받아 소지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런데, 공연 당일에 티켓 소지자에게 사정이 생겨 티켓 소지자가 공연 등을 참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티켓 소지자는 기 발급받은 공연 티켓의 환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환불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으며, 티켓을 환불받을 수 있는 환불처가 제한될 수도 있다.
또한, 티켓 소지자는 자신이 소지한 티켓을 타인에게 양도할 수도 있다. 하지만, 타인이 먼 곳에 거주하고 있는 경우, 티켓 소지자는 타인을 직접 만나서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티켓을 건네주어야 하므로 많은 불편이 따른다.
타인의 경우에도, 티켓을 양수하기 위해, 먼 곳까지 이동을 해야 하는 불편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기 발급받은 공연 티켓 등에 대한 거래가 활성화되지 않게 된다.
또한, 개인 간에 티켓을 거래하는 경우에는 거래 안정성이 문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켓 구매자는 티켓의 구매 대금을 판매자에게 선입금 해 주었는데, 판매자(티켓 소지자)는 티켓을 양도하기로 한 약속 장소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우편 등으로 티켓을 보내주기로 약속한 후에, 티켓을 보내주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기 발급받은 티켓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타인에게 양도할 수 있는 시스템의 도입이 절실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티켓이나 실물 티켓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판매 및 구매할 수 있고, 구매자와 판매자간에 동일한 이벤트에 대해 상호 좌석을 변경할 수 있도록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에 대한 통합 처리를 수행하는 티켓 중개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판매자 단말 또는 구매자 단말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소정의 웹사이트에 접속함에 따라 발생되는 티켓 중개 서버의 접근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 또는 구매자 단말에 티켓의 판매 및 구매를 위한 티켓 중개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티켓 중개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티켓의 티켓 식별 정보, 판매 가격 정보, 판매자 정보를 포함한 티켓판매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티켓 중개 페이지를 통해 상기 티켓 중개 페이지에 판매 등록된 하나 이상의 티켓에 대해 결제완료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구매한 티켓의 티켓 식별 정보, 구매 가격 정보, 구매자 정보를 포함한 티켓구매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티켓 식별 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판매자 정보를 상기 구매자 정보로 갱신한 티켓을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로 상기 티켓 식별 정보에 해당되는 티켓의 사용 불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티켓에 대한 이벤트를 주관하는 이벤트 제공 서버로 상기 티켓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된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티켓을 상기 티켓 중개 사이트에 판매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티켓에 대한 이벤트를 주관하는 이벤트 제공 서버로 상기 티켓의 판매 등록 결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판매 가격 정보를 상기 티켓의 최초 구매 가격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판매 가격의 상한선으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티켓에 대한 이벤트를 주관하는 이벤트 제공 서버로 상기 티켓의 구매자 단말에 대한 구매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b) 단계는 상기 티켓에 대한 좌석 변경을 위해 좌석교환표시를 스마트 티켓에 추가하여 판매 등록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좌석교환표시가 포함된 스마트 티켓을 선택한 후 자신의 스마트티켓의 티켓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좌석 변경을 요청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판매자 단말과 구매자 단말간에 각각의 티켓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좌석 정보를 서로 교환하기 위한 상호 좌석 교환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된 승인이 완료되면 상호 좌석 교환을 통해 좌석 정보가 갱신된 각각의 스마트 티켓을 상기 판매자 단말과 구매자 단말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e) 상기 티켓별로 판매 또는 구매에 대한 거래 이력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는, 상기 티켓에 대한 이벤트 취소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티켓에 대한 상기 거래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종 구매자 단말에 이벤트 취소에 대한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푸시 알림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 구매자 단말에 해당 티켓에 대한 티켓 반환 서비스 또는 티켓 교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티켓에 대한 이벤트를 주관하는 이벤트 제공 서버에 상기 티켓에 대한 거래 이력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이벤트 제공 서버는 상기 거래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매자 단말 별로 이벤트 관람 횟수를 집계하고, 상기 이벤트 관람 횟수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구매자 단말에 이벤트 혜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실물 티켓의 판매 등록 요청이 접수된 경우에, 상기 티켓 중개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실물 티켓의 티켓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실물 티켓을 판매 등록할 수 있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실물 티켓을 구매한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실물 티켓의 스마트 티켓으로 발급 요청된 경우에, 상기 실물 티켓을 스마트 티켓으로 재발급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실물 티켓을 구매한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실물 티켓의 스마트 티켓으로 발급 요청이 거절된 경우에, 상기 실물 티켓을 상기 구매자 정보에 기초하여 택배 발송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상기 티켓에 대한 티켓 검증을 수행하는 검표 단말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검표 단말이 상기 실물 티켓의 티켓식별정보를 티켓 중개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티켓 중개 서버에서 상기 티켓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티켓의 발급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스마트 티켓의 발급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실물 티켓에 대항 인증불가메시지를 상기 검표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에 대한 통합 처리를 수행하는 티켓 중개 서버에 있어서,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판매자 단말 또는 구매자 단말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소정의 웹사이트에 접속함에 따라 발생되는 티켓 중개 서버의 접근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 또는 구매자 단말에 켓의 판매 및 구매를 위한 티켓 중개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티켓 중개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티켓의 티켓 식별 정보, 판매 가격 정보, 판매자 정보를 포함한 티켓판매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티켓 중개 페이지를 통해 상기 티켓 중개 페이지에 판매 등록된 하나 이상의 티켓에 대해 결제완료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구매한 티켓의 티켓 식별 정보, 구매 가격 정보, 구매자 정보를 포함한 티켓구매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티켓 식별 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판매자 정보를 상기 구매자 정보로 갱신한 티켓을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로 상기 티켓 식별 정보에 해당되는 티켓의 사용 불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별도의 회원 가입 절차 없이 사용자의 개인 정보 또는 단말 식별 정보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간단히 스마트 티켓을 판매 또는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고,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스마트 티켓이나 실물 티켓의 거래 또는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티켓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한 좌석교환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한 실물 티켓의 중개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은 휴대성 및 이동성이 보장된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단말 또는 서버 등에 접속할 수 있는 PC 등의 유선 통신 장치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위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스마트 티켓 또는 티켓에 대한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판매자 단말(100), 구매자 단말(300), 티켓 중개 서버(400), 이벤트 제공 서버(200) 및 검표 단말(500)을 포함한다.
스마트 티켓은 인터넷을 통해 직접 발권할 수 있는 티켓으로서, 창구에서 별도로 발권할 필요가 없는 티켓이다. 이러한 스마트 티켓에 대한 예매, 결제, 할인, 취소,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중개, 좌석 교환 등의 티켓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티켓의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접속 및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벤트 제공 서버(200) 및 티켓 중개 서버(400)는 일반적인 의미의 서버용 컴퓨터 본체일 수 있고, 그 외에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벤트 제공 서버(200)와 티켓 중개 서버(400)는 각각 통신 모듈(미도시), 메모리(미도시), 프로세서(미도시) 및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이벤트 제공 서버(200)는 공연, 전시, 스포츠 경기 등의 이벤트를 주최하는 엔터테인먼트 업체, 스포츠 경기 구단 등이 관리하는 서버로서, 휴대폰이나 TV, PDA, 태블릿 PC, PC, 노트북 PC 및 기타 사용자 단말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 제공서버(200)는 인터넷 상에서의 티켓예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매처(EX. 인터파크)가 될 수도 있다.
티켓 중개 서버(400)는 검표 단말(500)을 통해 스마트 티켓의 정상 인증이 완료되면, 입장 즉시 티켓 절취 애니메이션이나 이용 완료 스탬프로 표시하여 해당 티켓의 재사용을 방지하도록 한다.
티켓 중개 서버(400)는 티켓 판매 서버(300)로부터 티켓 구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사용자 정보 중 고유 개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페이지를 제공하며, 사용자 인증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고유 개인 정보를 티켓 구매 정보와 매칭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티켓 중개 서버(40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100)로 티켓 식별 정보를 포함한 스마트 티켓을 제공한다.
티켓 중개 서버(400)는 자신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100)에 사용자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사용자 인증 페이지를 통해 전화번호, 이메일 등의 고유 개인 정보를 입력하면 별도의 회원가입절차 없이 사용자 인증 및 스마트 티켓을 제공받을 수 있다.
티켓 중개 서버(400)는 사용자 인증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고유 개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과 연계된 티켓 구매 정보와 매칭하여 정상적으로 정보 매칭이 이루어지면 티켓 식별 정보를 확정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한다. 만일, 티켓 중개 서버(400)는 고유 개인 정보가 티켓 구매 정보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기설정된 횟수의 사용자 재인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고, 사용자 재인증 절차 이후에도 정보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100)로 티켓식별정보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없음을 통보한다.
또한, 티켓 중개 서버(400)는 이벤트 제공 서버(200)로부터 이벤트 정보에 대한 이벤트 취소 정보가 수신되면, 이벤트 정보에 해당하는 스마트 티켓을 보유한 사용자 단말(100)에 이벤트 취소에 대한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 메시지를 전송한 후, 푸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00)에 해당 스마트 티켓에 대한 티켓 반환 서비스 또는 티켓 교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검표 단말(500)은 사용자 단말(1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상에 표시된 스마트 티켓을 인식하여 인식 정보를 티켓 중개 서버(400)로 전송하고, 티켓 중개 서버(400)와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인식 정보에서 해당 스마트 티켓의 티켓식별정보 또는 인증 패턴 정보를 추출하여 티켓 검증을 수행한다. 이러한 검표 단말(500)은 스마트폰 등의 통신 단말, 비콘 단말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검표 단말(500)은 스마트 티켓의 티켓 식별 정보를 인식한 후 티켓 중개 서버(400)로부터 해당 티켓식별정보의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입장 허용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검표 단말(500)은 스마트 티켓이 입장제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재입장시 입장제한 아이콘에 입장회차에 대한 숫자 또는 도장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만일, 입장제한 아이콘에 설정된 제한 횟수를 초과하거나, 티켓 중개 서버(400)로부터 티켓 식별 정보의 인증이 되지 않은 경우에 해당 스마트 티켓이 표시된 사용자 단말(100)에 입장 불가 메시지 또는 재입장 불가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판매자 단말(100)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소정의 웹사이트에 접속함에 따라 발생되는 티켓 중개 서버(400)의 접근 요청을 수신하고(S1), 판매자 단말(100)에 스마트 티켓의 판매 및 구매를 위한 티켓 중개 페이지를 제공한다(S2).
판매자 단말(100)이 티켓 중개 페이지를 통해 스마트 티켓의 티켓 식별 정보, 판매 가격 정보, 판매자 정보를 포함한 티켓판매정보를 입력하면, 티켓판매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3). 판매자 단말(100)은 판매 가격 정보를 스마트 티켓의 최초 구매 가격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판매 가격의 상한선을 제한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티켓의 최초 구매 가격은 티켓 판매 사이트 또는 이벤트 제공 서버(200)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티켓 중개 서버(400)는 이벤트 제공 서버(200)로 스마트 티켓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이벤트 제공 서버(200)로부터 요청된 인증이 확인되면 스마트 티켓을 티켓 중개 사이트에 판매 등록한다(S4). 그리고, 티켓 중개 서버(400)는 스마트 티켓의 티켓식별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스마트 티켓이 양도를 위한 목적으로 티켓 중개 페이지에 판매 등록되었음을 알리는 스마트 티켓의 판매 등록 결정 정보를 이벤트 제공 서버(200)로 제공한다.
한편, 티켓 중개 서버(400)는 구매자 단말(300)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소정의 웹사이트에 접속함에 따라 발생되는 티켓 중개 서버(400)의 접근 요청을 수신하고(S5), 구매자 단말(300)에 티켓 중개 페이지를 제공한다(S6).
구매자 단말(300)은 티켓 중개 페이지를 통해 판매 등록된 스마트 티켓의 판매 리스트를 확인하고, 자신이 원하는 이벤트의 스마트 티켓을 선택한 후 스마트 티켓에 대해 결제 완료를 수행하여 구매 결정을 완료하고(S7), 티켓 중개 서버(400)는 구매자 단말(300)의 결제 완료 정보를 수신한다(S8).
티켓 중개 서버(400)는 해당 스마트 티켓의 티켓 식별 정보, 구매 가격 정보, 구매자 정보(개인 정보, 단말 식별 정보를 포함)를 포함한 티켓구매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구매가 완료된 스마트 티켓의 티켓 식별 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판매자 정보를 구매자 정보로 갱신한다(S9).
티켓 중개 서버(400)는 구매자 정보로 갱신된 스마트 티켓을 구매자 단말(300)에 전송한다(S10). 티켓 중개 서버(400)는 이벤트 제공 서버(200)로 스마트 티켓의 구매자 단말(300)에 대한 구매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티켓 중개 서버(400)는 판매자 단말(100)에 티켓 식별 정보에 해당되는 스마트 티켓이 판매가 완료되었으므로 사용 불가 정보를 전송한다(S11).
스마트 티켓은 무단 사용 및 복제를 방지하기 위해 인증 패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인증 패턴 정보에는 현재 시간을 패턴값으로 하는 시계 아이콘, 시간별 변화되는 재생 정보를 패턴값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아이콘, 실시간 변화되는 속성값을 패턴값으로 하는 그래픽 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티켓은 티켓 배경에 애니메이션을 삽입하여 복제를 방지할 수 있는데, 애니메이션은 공연 또는 회차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시계 아이콘은 현재 시간을 표시하고, 깜빡이는 점멸 동작을 통해 복제 티켓이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티켓 중개 서버(400)는 판매완료, 유효기간경과, 사용불가 등의 텍스트나 아이콘 등의 식별표시로 사용불가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단계 S1 내지 S1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한 좌석교환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티켓 중개 서버(400)는 티켓 중개 페이지를 통해 스마트 티켓의 판매, 구매뿐만 아니라 좌석교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판매자 단말(100)은 티켓 중개 페이지를 통해 좌석교환을 신청하고(S31), 스마트 티켓에 대한 좌석 변경이 가능함을 알리는 좌석교환표시를 스마트 티켓에 추가하여 판매 등록한다(S32).
구매자 단말(300)은 티켓 중개 페이지를 통해 좌석교환표시가 포함된 스마트 티켓을 선택한 후 자신의 스마트티켓의 티켓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좌석 변경을 요청한다(S33, S34).
티켓 중개 서버(400)는 판매자 단말(100)과 구매자 단말(300)간에 각각의 티켓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판매자 정보와 구매자 정보를 서로 교환하여 상호 좌석 교환에 대한 승인을 요청한다(S35). 구매자 단말(300)과 판매자 단말(100)로부터 요청된 승인이 완료되면, 판매자 단말(100)이 소지한 스마트 티켓의 티켓식별정보와 구매자 단말(300)이 소지한 스마트 티켓의 티켓식별정보에서 서로 좌석정보를 교환하고, 교환된 좌석 정보로 갱신된 스마트 티켓을 판매자 단말(100)과 구매자 단말(300)에 각각 전송한다(S36).
티켓 중개 서버(400)는 좌석 변경된 스마트 티켓에 대해 갱신된 구매자 정보와 판매자 정보를 이벤트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서로 선호하는 좌석의 위치가 다르다 보니 많은 트래픽이 집중되는 공연의 경우, 구매자들은 일단 좌석의 위치보다는 좌석 확보가 중요하다 보니 일단은 티켓을 확보하, 원하는 좌석의 티켓의 나올 경우에, 새롭게 티켓을 구매하고 기존 티켓을 취소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 경우, 기존에는 티켓 취소를 위해 취소수수료 등의 패널티를 물어야 하고, 구매자가 선호하는 티켓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1차 시장에서 예매수수료 및 배송료를 내야 하고, 2차 시장에서 비싼 가격에 구매를 해야 한다.
이런 비용을 최소화 하기 위해,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한 좌석교환 과정에서는 스마트 티켓의 정보를 공유하고, 좌석 교환을 원하는 사용자들끼리 서로 티켓을 교환하도록 하며, 좌석 등급에 따른 차액의 경우에 결제를 통해 정산받을 수 있도록 한다.
종이 티켓, 모바일 티켓 등의 실물 티켓의 경우에는 처음 발행이 되고 나면 발행된 내용은 바뀌지 않기 때문에 최초 정보 그대로 거래를 해야 하지만, 스마트티켓의 경우에는 티켓의 정보를 이벤트 발생 시마다 업데이트 해줄 수 있기 때문에 좌석 교환, 좌석 등급에 따른 차액 결제 등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티켓 중개 서버(400)는 스마트 티켓별로 판매 또는 구매에 대한 거래 이력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따라서, 이벤트 제공 서버(200)는 티켓 중개 서버(400)를 통해 거래 이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좌석별로 좌석에 대한 티켓 판매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벤트 제공 서버(200)는 스마트 티켓에 대한 이벤트 취소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스마트 티켓에 대한 거래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종 구매자 단말에 이벤트 취소에 대한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최종 구매자 단말에게 해당 스마트 티켓에 대한 티켓 반환 서비스 또는 티켓 교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제공 서버(200)는 거래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매자 단말 별로 이벤트 관람 횟수를 집계하고, 이벤트 관람 횟수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구매자 단말에 해당 이벤트와 관련된 상품 판매 정보, SNS 채널 개설 정보, 공지 메시지 정보, 선물추첨 응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벤트 혜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제공 서버(200)는 특정 공연에 대한 관람 횟수를 최종 구매자 단말별로 식별할 수 있다. BTS의 2019년에 발생된 공연중 부산 공연, 서울 공연을 관람한 구매자 단말을 식별할 수 있고, 공연 관람 횟수가 임계값 이상인 구매자 단말에 아티스트 굿즈 판매, 아티스트와 소통할 수 있는 SNS 채널 개설, 아티스트의 소속사의 공지 메시지, 선물추첨 응모 기회 등의 이벤트 혜택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구매자 단말은 티켓 중개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자신의 마이페이지를 통해 해당 아티스트와의 히스토리(티켓구매 히스토리, 아스트와의 소통 히스토리 등)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한 실물 티켓의 중개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티켓 중개 서버(400)는 스마트 티켓 뿐만 아니라 실물 티켓(종이 티켓 등)에 대한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티켓 중개 서버(400)는 티켓 중개 페이지를 통해 판매자 단말(100)로부터 실물 티켓의 판매 등록 요청이 접수되면(S41), 판매자 단말(100)로부터 실물 티켓의 티켓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실물 티켓을 판매 등록한다(S42).
또한, 티켓 중개 서버(40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매자 단말이 판매 등록된 실물 티켓을 선택한 후 결제를 통해 구매 결정을 하면(S43), 실물 티켓을 구매한 구매자 단말(300)로부터 실물 티켓의 스마트 티켓으로 발급 요청 여부를 문의한다(S44). 구매자 단말(300)이 실물 티켓에 대한 스마트 발급을 요청한 경우에 실물 티켓을 스마트 티켓으로 재발급하여 구매자 단말로 전송한다(S45, S46). 이때, 티켓 중개 서버(400)는 스마트 티켓으로 재발급된 티켓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개인 정보를 구매자 정보로 갱신하고, 이벤트 제공 서버(200)로 갱신된 구매자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나, 티켓 중개 서버(400)는 실물 티켓을 구매한 구매자 단말(300)로부터 실물 티켓의 스마트 티켓으로 발급 요청이 거절된 경우에, 실물 티켓을 구매자 정보에 기초하여 택배 발송할 수 있다(S47).
티켓 중개 서버(4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스마트 티켓에 대한 티켓 검증을 수행하는 검표 단말(500)과 연동하여 이벤트 현장에서 스마트 티켓이나 실물 티켓에 대한 검표를 수행할 수 있다.
검표 단말(500)이 코드정보나 카메라 촬영 등의 티켓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실물 티켓의 티켓식별정보를 티켓 중개 서버(400)로 전송하면, 티켓 중개 서버(400)는 티켓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티켓의 발급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티켓 중개 서버(400)는 스마트 티켓의 발급이 완료된 경우에 실물 티켓에 대한 인증불가메시지를 검표 단말(500)로 전송하지만, 스마트 티켓으로 발급되지 않은 경우에 입장허용 메시지를 검표 단말(500)로 전송한다.
스마트 티켓이나 실물 티켓을 구매한 구매자는 이벤트 장소에 입장할 때 스마트폰 등의 구매자 단말(300)에서 스마트 티켓을 출력하여 검표원에게 보여준다. 이때, 구매자 단말(300), 검표 단말(500) 및 티켓 중개 서버(400)는 스마트티켓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로 연동할 수 있다.
검표 단말(500)이 비콘 단말인 경우에 스마트 티켓이 표시된 구매자 단말(300)을 블루투스 기반으로 인식하게 되고, 스마트 티켓에 시계 아이콘 등의 인증 패턴 정보가 포함되거나 그래픽 코드(QR 코드)를 포함된 경우에 검표원은 시계 아이콘을 통해 표시된 현재 시간과 깜빡임 동작을 통해 복제 티켓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검표 단말(500)을 통해 그래픽 코드를 인식한 후 그래픽 코드의 속성값(유효시간)을 티켓 중개 서버(400)에 저장된 속성값과 비교하여 해당 그래픽 코드가 유효한 코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티켓 중개 서버(400)는 티켓식별정보를 통해 스마트 티켓의 인증이 완료되면 스마트 티켓의 입장제한 아이콘에 입장 스탬프가 생성되도록 하지만, 스마트 티켓의 인증이 안될 경우에 구매자 단말(300)에 인증 불가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판매자 단말
200: 이벤트 제공 서버
300: 구매자 단말
400: 티켓 중개 서버
500: 검표 단말

Claims (18)

  1. 티켓에 대한 통합 처리를 수행하는 티켓 중개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판매자 단말 또는 구매자 단말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소정의 웹사이트에 접속함에 따라 발생되는 티켓 중개 서버의 접근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 또는 구매자 단말에 티켓의 판매 및 구매를 위한 티켓 중개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티켓 중개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티켓의 티켓 식별 정보, 판매 가격 정보, 판매자 정보를 포함한 티켓판매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티켓 중개 페이지를 통해 상기 티켓 중개 페이지에 판매 등록된 하나 이상의 티켓에 대해 결제완료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구매한 티켓의 티켓 식별 정보, 구매 가격 정보, 구매자 정보를 포함한 티켓 구매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티켓 식별 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판매자 정보를 상기 구매자 정보로 갱신한 티켓을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로 상기 티켓 식별 정보에 해당되는 티켓의 사용 불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판매 가격 정보를 상기 티켓의 최초 구매 가격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판매 가격의 상한선으로 제한하는 것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티켓에 대한 이벤트를 주관하는 이벤트 제공 서버로 상기 티켓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된 인증이 확인되면 상기 티켓을 상기 티켓 중개 사이트에 판매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티켓에 대한 이벤트를 주관하는 이벤트 제공 서버로 상기 티켓의 판매 등록 결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티켓에 대한 이벤트를 주관하는 이벤트 제공 서버로 상기 티켓의 구매자 단말에 대한 구매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티켓에 대한 좌석 변경을 위해 좌석교환표시를 스마트 티켓에 추가하여 판매 등록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좌석교환표시가 포함된 스마트 티켓을 선택한 후 자신의 스마트티켓의 티켓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좌석 변경을 요청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판매자 단말과 구매자 단말간에 각각의 티켓식별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좌석 정보를 서로 교환하기 위한 상호 좌석 교환에 대한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된 승인이 완료되면 상호 좌석 교환을 통해 좌석 정보가 갱신된 각각의 스마트 티켓을 상기 판매자 단말과 구매자 단말에 각각 전송하는 것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판매자 단말과 구매자 단말간에 상호 좌석 교환시, 좌석 등급에 따른 차액을 결제하도록 하는 것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e) 상기 티켓별로 판매 또는 구매에 대한 거래 이력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티켓에 대한 이벤트 취소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티켓에 대한 상기 거래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종 구매자 단말에 이벤트 취소에 대한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알림 메시지를 통해 수신한 구매자 단말에 해당 티켓에 대한 티켓 반환 서비스 또는 티켓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에 대한 이벤트를 주관하는 이벤트 제공 서버에 상기 티켓에 대한 거래 이력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이벤트 제공 서버는 상기 거래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매자 단말 별로 이벤트 관람 횟수를 집계하고, 상기 이벤트 관람 횟수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구매자 단말에 이벤트 혜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혜택 정보는 해당 이벤트와 관련된 상품 판매 정보, SNS 채널 개설 정보, 공지 메시지 정보, 선물추첨 응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실물 티켓의 판매 등록 요청이 접수된 경우에, 상기 티켓 중개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실물 티켓의 티켓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실물 티켓을 판매 등록하는 것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실물 티켓을 구매한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실물 티켓의 스마트 티켓으로 발급 요청된 경우에, 상기 실물 티켓을 스마트 티켓으로 재발급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실물 티켓을 구매한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실물 티켓의 스마트 티켓으로 발급 요청이 거절된 경우에, 상기 실물 티켓을 상기 구매자 정보에 기초하여 택배 발송하도록 하는 것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상기 티켓에 대한 티켓 검증을 수행하는 검표 단말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검표 단말이 상기 실물 티켓의 티켓식별정보를 티켓 중개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티켓 중개 서버에서 상기 티켓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티켓의 발급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스마트 티켓의 발급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실물 티켓에 대항 인증불가메시지를 상기 검표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17. 티켓에 대한 통합 처리를 수행하는 티켓 중개 서버에 있어서,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a) 판매자 단말 또는 구매자 단말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소정의 웹사이트에 접속함에 따라 발생되는 티켓 중개 서버의 접근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 또는 구매자 단말에 티켓의 판매 및 구매를 위한 티켓 중개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판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티켓 중개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티켓의 티켓 식별 정보, 판매 가격 정보, 판매자 정보를 포함한 티켓판매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상기 티켓 중개 페이지를 통해 상기 티켓 중개 페이지에 판매 등록된 하나 이상의 티켓에 대해 결제완료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구매한 티켓의 티켓 식별 정보, 구매 가격 정보, 구매자 정보를 포함한 티켓 구매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티켓 식별 정보에 매칭되어 있는 판매자 정보를 상기 구매자 정보로 갱신한 티켓을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판매자 단말로 상기 티켓 식별 정보에 해당되는 티켓의 사용 불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판매 가격 정보를 상기 티켓의 최초 구매 가격의 기설정된 범위 이내로 판매 가격의 상한선으로 제한하는 것인,티켓에 대한 통합 처리를 수행하는 티켓 중개 서버.
  18. 제 1 항에 따른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00005387A 2020-01-15 2020-01-15 티켓 중개 서버 및 그를 이용한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371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387A KR102371828B1 (ko) 2020-01-15 2020-01-15 티켓 중개 서버 및 그를 이용한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387A KR102371828B1 (ko) 2020-01-15 2020-01-15 티켓 중개 서버 및 그를 이용한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988A KR20210091988A (ko) 2021-07-23
KR102371828B1 true KR102371828B1 (ko) 2022-03-10

Family

ID=77155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387A KR102371828B1 (ko) 2020-01-15 2020-01-15 티켓 중개 서버 및 그를 이용한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18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4671A (ja) * 2012-02-09 2013-08-22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チケット入札システム、仲介サー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77140A1 (en) * 2014-01-14 2015-07-14 Amadeus S.A.S. Ticket holder-initiated seat changes
KR20150122554A (ko) * 2014-04-22 2015-11-02 주식회사 케이티스포츠 티켓 선물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스마트 티켓 애플리케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티켓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4671A (ja) * 2012-02-09 2013-08-22 Nomura Research Institute Ltd チケット入札システム、仲介サ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988A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59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ecure self payment transactions of retail goods
US10621576B1 (en) Mobile payments using payment tokens
US201503637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ndering virtual currency related services
CN108369700A (zh) 移动支付系统
US20020049914A1 (en) Electronic service system using saf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scheme
CN108122110A (zh) 一种会员信息的确定方法、设备及系统
CN110476398A (zh) 利用接近网络数据的欺骗性无线网络检测
US20210125153A1 (en) Application data integration for automatic data categorizations
KR102371828B1 (ko) 티켓 중개 서버 및 그를 이용한 티켓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US11900476B2 (en) Code generation and tracking for automatic data synchronization in a data management system
KR20210091983A (ko) 스마트 티켓의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20372489B2 (en) Code generation and tracking for automatic data synchronization in a data management system
KR102119383B1 (ko) 간편동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TW201508683A (zh) B2b智慧聯網系統平台及方法
JP6619114B1 (ja) チケッ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Gold Biometrics in education: integrating with the real world
KR20230011756A (ko) 비콘 기반의 검표단말을 이용한 스마트 티켓 검표 시스템 및 방법
US20150052598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icket authorization
KR20240051459A (ko) 블록체인 기반 티켓 예약 서비스 제공 및 무인 검표 방법
KR20220169167A (ko) 광고자리 거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광고자리 거래 방법
KR20240043439A (ko) 점유권 암호화 코드에 의한 호텔과 주택의 숙소 공유화 시스템 기반의 점유권 이전을 위한 도어락
JP2018032161A (ja) 駅ナカ店舗利用システム、画像発行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Balaji et al. MWALLET: A Mobile based E-Ticketing System with Push Technology
TWM470990U (zh) B2b智慧聯網系統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