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1550A -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1550A
KR20230011550A KR1020210091842A KR20210091842A KR20230011550A KR 20230011550 A KR20230011550 A KR 20230011550A KR 1020210091842 A KR1020210091842 A KR 1020210091842A KR 20210091842 A KR20210091842 A KR 20210091842A KR 20230011550 A KR20230011550 A KR 20230011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dule
customized
prescription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의식
송하나
황소리
송지환
이윤정
권범준
황원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센
Priority to KR1020210091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1550A/ko
Publication of KR20230011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1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66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extracting parameters related to health cond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처방부가 자가문진, 기능평가로 사용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한 뒤 사용자에게 맞는 최적의 맞춤 처방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평소 자신의 건강을 용이하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병원 등을 방문한 후에는 디지털치료부가 맞춤형 치료를 제공해 전문가 처방에 대한 사용자의 지시이행도를 높이도록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ustomized Digital Health Care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처방부가 자가문진, 기능평가로 사용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한 뒤 사용자에게 맞는 최적의 맞춤 처방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평소 자신의 건강을 용이하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병원 등을 방문한 후에는 디지털치료부가 맞춤형 치료를 제공해 전문가 처방에 대한 사용자의 지시이행도를 높이도록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균 수명의 증가, 삶에 대한 인식의 전환 등으로, 인간은 보다 건강한 일상을 영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헬스 케어(Health Care) 산업이 크게 각광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과거에는 개인 스스로가 자신에게 필요한 운동이라고 생각되는 운동을 찾아 수행하거나, 자신의 몸에 맞는 음식을 선별해 섭취하거나, 시간을 정해 영양 보충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약을 챙겨 먹거나, 병원 또는 피트니스 센터 등을 방문해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등의 방법으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에 의할 경우, 자발적인 의사에 의해 건강을 관리하는 것 자체부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스스로의 판단 아래 건강을 위해 한다고 한 행동들이 실제로는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가 하면, 병원이나 피트니스 센터 등을 방문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비되고, 특히나 코로나 바이러스 등의 감염병이 유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공공시설을 방문하는 것 자체가 꺼려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을 활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의 개발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90)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8921호(2017.05.10.)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90)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정보에 의한 건강상태를 포함하는 측정정보를 관리장치로 전송하여 관리장치로부터 맞춤형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디바이스(91)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91)로부터 측정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건강상태와 식습관 패턴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91)로 전송하는 관리장치(93)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91)가 측정한 생체정보 또는 상기 관리장치(93)로부터 받은 맞춤형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사용자 장치(95)를 포함한다.
상기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90)과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헬스 케어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 등을 이용해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해, 분석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상태를 숫자나 그래프 등의 객관적인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센서 기술의 발달로 인해 각종 신체 부위의 상태를 감지하는 것이 용이해졌지만, 종래의 헬스 케어 시스템은 센서에 의해 측정된 수치를 제시하는 정도에 불과했고, 측정된 수치가 정상범위 내에 들어오는지 여부 등만을 안내했으므로, 사용자는 제시된 수치가 의미하는 바를 정확히 알 수 없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 등을 이용해 사용자가 일상 생활을 하는 가운데 심전도, 혈압 등을 측정했어도, 종래 헬스 케어 시스템에 의해 확인할 수 있는 결과는 심장이 일정한 패턴으로 박동하고 있는지 여부나, 측정된 혈압의 수치가 정상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 등에 불과했다.
만일 심장이 일정한 패턴으로 박동하지 않는 경우가 발견되었거나, 혈압의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가 발생했다면,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맞춤형 처방이나 치료가 더욱 중요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헬스 케어 시스템은 이러한 맞춤형 처방이나 치료를 제공하지 못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만으로 그 기능이 제한되었다.
더욱이, 정확한 건강 상태를 진찰하는데 있어는 심박수, 혈압, 관절 가동범위 등과 같은 객관적인 데이터 뿐만 아니라, 현재 개개인이 느끼는 주관적인 불편함, 통증, 기분 등도 고려되어야 할 것인데, 종래의 헬스 케어 시스템은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객관적인 수치만으로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바, 평가의 대상이 되는 요소가 극히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이에 관련 업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객관적인 데이터 뿐만 아니라 주관적인 문진 데이터 등을 종합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체크하고, 사용자에게 맞춤형 처방이나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며, 제공된 처방이나 치료에 대한 사용자의 지시 이행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8921호(2017.05.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가문진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케어 레벨을 결정함으로써, 결정된 사용자의 케어 레벨에 따라 맞춤형 처방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료진의 개입이 없어도 디지털처방부가 자가문진, 기능평가로 사용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한 뒤 사용자에게 맞는 최적의 맞춤 처방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을 용이하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치료부를 통해 의료진의 개입하에 사용자에게 맞춤형 치료가 제공되도록 하여, 병원 등을 방문하기 전에는 디지털처방부에 의해 맞춤형 처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병원 등을 방문한 후에는 디지털치료부에 의해 맞춤형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한 기초문진문항을 제공하여 상기 기초문진문항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으로 자가문진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상태가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초문진문항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특정 증상이 의심되면, 의심되는 증상과 관련된 상세문진문항을 제공함으로써 추가적인 상세문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가문진 재진행시 누적된 데이터를 통해 중복 질문, 공통 질문을 자동으로 생략시켜 문진문항의 수가 최소화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는 자가문진에 들이는 시간을 줄이고, 빠르고 정확하게 사용자의 상태가 파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가문진을 통해 특정 증상이 의심되는 경우, 한 발 들기 등과 같이 기능평가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제공된 가이드를 따라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상 문제가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기능평가를 위한 준비를 알리고, 구체적인 행위를 제시하여 사용자가 제시된 행위를 따라하도록 함으로써, 자가문진을 보완해 사용자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센서데이터, 응답데이터, 음성데이터, 영상데이터를 종합해 사용자의 케어 레벨이 결정되도록 함에 따라, 병원 등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상태가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도록 하고, 정확하게 파악된 사용자의 케어 레벨을 통해 최적의 맞춤형 처방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케어 레벨이 결정되면, 특정된 사용자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운동처방, 복약처방, 교육처방, 습관개선처방, 영양처방, 주기문진처방, 심리처방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상태 변화를 분석하고 심리적 불안이 감지될 경우 안내 팝업, 푸시 메시지 등의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해 관리함으로써, 코로나 장기화 등으로 심리적 불안, 우울증 등을 호소하는 사용자의 마음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버가 전문가 단말과 통신 연결이 되어 전문가가 서버에 전문가 데이터를 입력하면, 입력된 전문가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춤형 치료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문가의 처방에 대한 사용자의 지시이행도를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처방부에 의해 맞춤형 처방이 제공되고 있더라도, 사용자가 병원 등을 방문한 후에는 전문가의 처방에 우선 순위를 두어, 상기 전문가의 처방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춤형 치료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시이행관리부를 구성해 디지털처방부에 의한 맞춤형 처방 또는 디지털치료부에 의한 맞춤형 치료에 대한 사용자의 지시이행도를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디지털처방부에 의한 맞춤형 처방 또는 디지털치료부에 의한 맞춤형 치료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을 경우, 이러한 상황을 사용자측 이외의 전문가 단말이나, 보호자 단말에 보고함으로써, 사용자의 지시이행도가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낮은 지시이행도를 보고 받은 전문가 단말이나 보호자 단말이 서버부에 데이터를 전송하면 서버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이행독려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원격지에 있는 전문가나 보호자가 사용자의 지시이행을 독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데이터를 수신해 분석하는 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부는, 자가문진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자가문진부와,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 케어 레벨을 결정하는 케어레벨결정부와, 결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따라 맞춤형 처방을 제공하는 디지털처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자가문진부는,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기초문진문항을 추출해 전송하는 기초문진모듈과, 상기 기초문진문항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모듈과, 상기 상태판단모듈에 의한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상세문진문항을 추출해 전송하는 상세문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세문진모듈은, 상기 기초문진문항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분석해 의심되는 증상을 특정하는 의심증상특정모듈과, 상기 의심증상특정모듈에 의해 특정된 증상에 대한 상세문진문항을 추출하는 상세문항추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자가문진부는, 재문진시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관련 데이터로 확인이 가능한 문항을 제거해 문진문항의 수를 최소화하는 문진문항최적화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은, 상기 의심증상특정모듈과 연결되어, 특정된 증상을 확인하기 위한 기능평가를 안내하는 기능평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기능평가부는, 사용자측에 기능평가를 위한 준비를 알리는 준비알림모듈과, 사용자측에 기능평가를 위한 구체적인 행위를 제시하는 행위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케어레벨결정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센서데이터를 분석하는 센서데이터분석모듈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응답데이터를 분석하는 문진데이터분석모듈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음성데이터를 분석하는 음성데이터분석모듈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는 영상데이터분석모듈과, 상기 센서데이터분석모듈, 상기 문진데이터분석모듈, 상기 음성데이터분석모듈 및 상기 영상데이터분석모듈과 연결되어, 분석된 데이터를 종합해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을 결정하는 케어레벨선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디지털처방부는, 특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측에 맞춤형 운동 처방을 제공하는 운동처방모듈, 특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측에 맞춤형 복약 처방을 제공하는 복약처방모듈, 특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측에 맞춤형 교육 처방을 제공하는 교육처방모듈, 특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측에 맞춤형 습관개선 처방을 제공하는 습관개선처방모듈, 특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측에 맞춤형 영양 처방을 제공하는 영양처방모듈, 특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측에 정기적인 문진 수행을 알리는 주기문진처방모듈 및 특정된 상기 사용자의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측에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심리처방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은, 입력된 전문가 처방에 따라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디지털치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디지털치료부는, 전문가 처방 입력시 상기 디지털처방부의 맞춤형 처방을 상기 맞춤형 치료로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디지털치료부는, 전문가 단말과 통신 연결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전문가통신모듈과, 일측은 상기 전문가통신모듈과 연결되고 타측은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관련 데이터를 전문가 단말에 전송하는 사용자데이터전송모듈과, 상기 전문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전문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문가데이터수신모듈과, 상기 전문가데이터수신모듈이 수신한 상기 전문가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디지털치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처방부에 의한 맞춤형 처방 또는 상기 디지털치료부에 의한 맞춤형 치료를 사용자가 얼마나 충실히 따르고 있는지를 관리하는 지시이행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지시이행관리부는, 사용자의 지시 이행 정도를 평가하는 지시이행도평가모듈과, 상기 지시이행도평가모듈과 연결되어 평가된 상기 지시 이행 정도가 기준치 이하일 때 사용자측 이외에 사용자의 지시 이행 상황을 보고하는 이행상황보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지시이행도평가모듈은, 사용자의 운동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운동체크모듈, 사용자의 복약 여부를 확인하는 복약체크모듈, 사용자의 교육 이수 여부를 확인하는 교육체크모듈, 사용자의 통증 정도를 확인하는 통증체크모듈, 사용자의 영양 섭취 상태를 확인하는 영양체크모듈 및 사용자의 자가 문진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문진체크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지시이행관리부는, 상기 이행상황보고모듈로부터 사용자의 지시 이행 상황을 보고받은 사용자측 이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해 사용측에 이행독려데이터를 전송하는 이행독려알림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가문진부가 자가문진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자가문진단계와, 상기 자가문진단계 이후에, 케어레벨결정부가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 케어 레벨을 결정하는 케어레벨결정단계와, 상기 케어레벨결정단계 이후에, 디지털처방부가 결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따라 맞춤형 처방을 제공하는 디지털처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자가문진단계는, 기초문진모듈이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기초문진문항을 추출해 전송하는 기초문진단계와, 상기 기초문진단계 이후에, 상태판단모듈이 상기 기초문진문항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단계와, 상기 상태판단단계 이후에, 상세문진모듈이 상기 상태판단모듈에 의한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상세문진문항을 추출해 전송하는 상세문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상세문진단계는, 의심증상특정모듈이 상기 기초문진문항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분석해 의심되는 증상을 특정하는 의심증상특정단계와, 상기 의심증상특정단계 이후에, 상세문항추출모듈이 상기 의심증상특정모듈에 의해 특정된 증상에 대한 상세문진문항을 추출하는 상세문항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자가문진단계는, 문진문항최적화모듈이 재문진시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관련 데이터로 확인이 가능한 문항을 제거해 문진문항의 수를 최소화하는 문진문항최적화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방법은, 상기 의심증상특정단계 이후에, 기능평가부가 상기 의심증상특정모듈과 연결되어, 특정된 증상을 확인하기 위한 기능평가를 안내하는 기능평가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방법은, 디지털치료부가 입력된 전문가 처방에 따라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디지털치료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디지털치료부는, 전문가 처방 입력시 상기 디지털처방부의 맞춤형 처방을 상기 맞춤형 치료로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방법은, 상기 디지털처방단계 또는 상기 디지털치료단계 이후에, 지시이행관리부가 상기 디지털처방부에 의한 상기 맞춤형 처방 또는 상기 디지털치료부에 의한 상기 맞춤형 치료를 사용자가 얼마나 충실히 따르고 있는지를 관리하는 지시이행관리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지시이행관리단계는, 지시이행도평가모듈이 사용자의 지시 이행 정도를 평가하는 지시이행도평가단계와, 상기 지시이행도평가단계 이후에, 이행상황보고모듈이 상기 지시이행도평가모듈과 연결되어 평가된 상기 지시 이행 정도가 기준치 이하일 때 사용자측 이외에 사용자의 지시 이행 상황을 보고하는 이행상황보고단계와, 상기 이행상황보고단계 이후에, 이행독려알림모듈이 상기 이행상황보고모듈로부터 사용자의 지시 이행 상황을 보고받은 사용자측 이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해 사용측에 이행독려데이터를 전송하는 이행독려알림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자가문진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케어 레벨을 결정함으로써, 결정된 사용자의 케어 레벨에 따라 맞춤형 처방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의료진의 개입이 없어도 디지털처방부가 자가문진, 기능평가로 사용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한 뒤 사용자에게 맞는 최적의 맞춤 처방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을 용이하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치료부를 통해 의료진의 개입하에 사용자에게 맞춤형 치료가 제공되도록 하여, 병원 등을 방문하기 전에는 디지털처방부에 의해 맞춤형 처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병원 등을 방문한 후에는 디지털치료부에 의해 맞춤형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한 기초문진문항을 제공하여 상기 기초문진문항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으로 자가문진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상태가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기초문진문항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특정 증상이 의심되면, 의심되는 증상과 관련된 상세문진문항을 제공함으로써 추가적인 상세문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자가문진 재진행시 누적된 데이터를 통해 중복 질문, 공통 질문을 자동으로 생략시켜 문진문항의 수가 최소화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는 자가문진에 들이는 시간을 줄이고, 빠르고 정확하게 사용자의 상태가 파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자가문진을 통해 특정 증상이 의심되는 경우, 한 발 들기 등과 같이 기능평가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제공된 가이드를 따라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상 문제가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기능평가를 위한 준비를 알리고, 구체적인 행위를 제시하여 사용자가 제시된 행위를 따라하도록 함으로써, 자가문진을 보완해 사용자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센서데이터, 응답데이터, 음성데이터, 영상데이터를 종합해 사용자의 케어 레벨이 결정되도록 함에 따라, 병원 등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상태가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도록 하고, 정확하게 파악된 사용자의 케어 레벨을 통해 최적의 맞춤형 처방이 제공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케어 레벨이 결정되면, 특정된 사용자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운동처방, 복약처방, 교육처방, 습관개선처방, 영양처방, 주기문진처방, 심리처방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사용자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상태 변화를 분석하고 심리적 불안이 감지될 경우 안내 팝업, 푸시 메시지 등의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해 관리함으로써, 코로나 장기화 등으로 심리적 불안, 우울증 등을 호소하는 사용자의 마음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서버가 전문가 단말과 통신 연결이 되어 전문가가 서버에 전문가 데이터를 입력하면, 입력된 전문가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춤형 치료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문가의 처방에 대한 사용자의 지시이행도를 높이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처방부에 의해 맞춤형 처방이 제공되고 있더라도, 사용자가 병원 등을 방문한 후에는 전문가의 처방에 우선 순위를 두어, 상기 전문가의 처방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춤형 치료가 제공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시이행관리부를 구성해 디지털처방부에 의한 맞춤형 처방 또는 디지털치료부에 의한 맞춤형 치료에 대한 사용자의 지시이행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디지털처방부에 의한 맞춤형 처방 또는 디지털치료부에 의한 맞춤형 치료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을 경우, 이러한 상황을 사용자측 이외의 전문가 단말이나, 보호자 단말에 보고함으로써, 사용자의 지시이행도가 높아지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낮은 지시이행도를 보고 받은 전문가 단말이나 보호자 단말이 서버부에 데이터를 전송하면 서버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이행독려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원격지에 있는 전문가나 보호자가 사용자의 지시이행을 독려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서버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자가문진부와 기능평가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케어레벨결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디지털케어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지시이행관리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본 발명인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1)은 사용자에게 맞춤형 처방 또는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여, 평소에는 맞춤형 처방을 통해 사용자가 건강을 유지, 관리 할 수 있도록 하고, 병원 방문 등을 한 후에는 의사 등의 전문가가 처방한 대로 맞춤형 치료를 제공해 사용자가 전문가 처방을 잘 따르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지시이행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1)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러한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1)은, 서버부(10), 데이터저장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부(10)는, 데이터를 수신해 분석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부(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U), 보호자 단말(G), 전문가 단말(D)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 단말(U)로부터 상기 서버부(10)로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가 분석되어 분석된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U)뿐만 아니라 보호자 단말(G), 전문가 단말(D) 측에도 공유될 수 있다.
도 3은 서버부(10)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러한 상기 서버부(10)는, 자가문진부(11), 기능평가부(12), 케어레벨결정부(13), 디지털케어부(14), 지시이행관리부(15)를 포함한다.
상기 자가문진부(11)는, 자가문진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병원 등을 방문할 경우, 의사 등의 전문가로부터 문진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문진을 굳이 병원 등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상기 서버부(10)의 자가문진부(11)를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불편, 병원 등을 방문해 긴 대기시간을 인내해야하는 불편 등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자가문진부(11)를 통해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의 상태가 용이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맞춤형 처방을 내릴 수 있다. 상기 자가문진부(11)는 사용자의 건강, 회복 추이 등을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반복 활성화될 수 있다.
도 4는 자가문진부(11)와 기능평가부(12)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4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자가문진부(11)는, 기초문진모듈(111), 상태판단모듈(112), 상세문진모듈(113), 문진문항최적화모듈(114)을 포함한다.
상기 기초문진모듈(111)은,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저장부(30)에서 기초문진문항을 추출해 사용자 단말(U) 측으로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서버부(1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U) 내에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을 설치한 뒤, 회원 가입시 입력한 정보로 볼 수 있다.
상기 상태판단모듈(112)은, 상기 기초문진문항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상태판단모듈(112)에 의하면 1차적인 기초문진을 통해 사용자의 정상/비정상 여부가 확인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지극히 정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후술할 상세문진을 진행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다만, 사용자에게 정상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의심된다면 후술할 상세문진이 진행된다.
상기 상세문진모듈(113)은, 상기 상태판단모듈(112)에 의한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데이터저장부(30)에서 상세문진문항을 추출해 사용자 단말(U) 측으로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세문진모듈(113)은 사용자에게 어떠한 증상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 활성화되는 것으로, 이러한 의심을 확실하기 위해 추가적인 문진을 진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상세문진모듈(113)은, 의심증상특정모듈(1131), 상세문항추출모듈(1132)을 포함한다.
상기 의심증상특정모듈(1131)은, 상기 기초문진문항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분석해 의심되는 증상을 특정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를 위해 후술할 데이터저장부(30)에는 기초문진문항에 대한 응답에 따라 사용자가 가질 수 있는 증상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의심증상특정모듈(1131)은 데이터저장부(30)에 기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에게 의심되는 증상을 특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세문항추출모듈(1132)은, 상기 의심증상특정모듈(1131)에 의해 특정된 증상에 대한 상세문진문항을 데이터저장부(30)로부터 추출하는 구성을 말한다. 후술할 데이터저장부(30)에는 증상별 문진문항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바, 상기 의심증상특정모듈(1131)에 의해 증상이 특정되면, 상기 상세문항추출모듈(1132)이 특정된 증상과 관련된 문진문항을 데이터저장부(30)로부터 추출해 사용자 단말(U) 측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문진문항최적화모듈(114)은, 재문진시 데이터저장부(30)에 저장된 사용자 관련 데이터로 확인이 가능한 문항을 제거해 문진문항의 수를 최소화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자가문진부(11)에 의한 문진은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상태가 호전되는지 등을 판단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재문진시마다 불필요한 문진문항이 반복되어 제공될 경우, 문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정작 필요한 문진문항에 대한 답변을 소홀히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문진문항최적화모듈(114)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상태 변화, 추이 등을 점검하기 위해 필요한 문진문항은 남겨두고, 그렇지 않은 문진문항이나 데이터저장부(30)에 기록이 되어 있어 별도의 질문이 필요없는 문진문항 등이 자동으로 선별되어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문진문항최적화에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이 이용되어 학습에 의해 생성된 모델에 의해 문진문항의 최적화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기능평가부(12)는, 상기 의심증상특정모듈(1131)과 연결되어, 특정된 증상을 확인하기 위한 기능평가를 안내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의심증상특정모듈(1131)에 의해 사용자가 가지고 있을 것으로 의심되는 증상은 오로지 자가문진을 통해서만 추측이 되고 있는바, 이러한 예측에 신뢰성을 부여하고자, 상기 기능평가부(12)를 구성해 사용자에게 의심 증상을 확인하기 위한 특정 동작 등을 취해보라고 안내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기능평가부(12)는, 준비알림모듈(121), 행위제시모듈(122)을 포함한다.
상기 준비알림모듈(121)은, 사용자측에 기능평가를 위한 준비를 알리는 구성을 말한다. 예를 들어, 무릎 트래커를 착용한 뒤 보행 동작을 확인하고자 한다면, 상기 준비알림모듈(121)은 사용자 단말(U)에 무릎 트래커를 준비하고 무릎을 중심으로 경골과 대퇴골측에 각각 준비된 무릎 트래커를 착용하라는 안내 메시지를 보낼 수 있게 된다.
상기 행위제시모듈(122)은, 사용자측에 기능평가를 위한 구체적인 행위를 제시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데이터저장부(30)에 저장된 영상, 메시지 등을 추출해 사용자 단말(U)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자 단말(U)에 출력되는 콘텐츠를 보고 해당 동작을 따라해 볼 것을 제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무릎 트래커를 착용한 자가 바닥에 누워 무릎을 굽히는 동작을 취하는 영상이 제공되었다면, 사용자가 이러한 영상 속 동작을 따라하는 과정에서 트래커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가 상기 서버부(10)에 전송되어 분석됨으로써 사용자의 무릎 상태는 보다 객관적으로 확인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어레벨결정부(13)는,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 케어 레벨을 결정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은 정상, 경증, 중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을 통해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최적의 맞춤형 처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어레벨결정부(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데이터분석모듈(131), 문진데이터분석모듈(132), 음성데이터분석모듈(133), 영상데이터분석모듈(134), 케어레벨선정모듈(135)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데이터분석모듈(131)은, 사용자 단말(U)로부터 수신한 센서데이터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상기 센서데이터에는 트래커, 스마트기기 등을 통해 측정될 수 있는 보행패턴, 관절가동범위, 심전도, 혈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예를 들자면, 무릎 트래커를 착용한 상태로 바닥에 누워 무릎을 굽히는 동작을 취할 경우, 상기 센서데이터는 이러한 동작을 취하는 과정에서 측정되는 무릎 굽힘각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문진데이터분석모듈(132)은, 사용자 단말(U)로부터 수신한 응답데이터를 분석하는 구성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자가문진부(11)를 통해 사용자 스스로의 자가문진이 가능해지는바, 상기 문진데이터분석모듈(132)은 사용자 측에 전송된 문진문항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수신해 분석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문진데이터분석모듈(132)에 의하면 문진 문항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분석해 우울 정도 등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코로나 장기화 등으로 인해 심리적 불안, 우울증 등을 호소하는 사람이 증가하면서 마음 건강 관리가 필요한 추세에 있는바,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여 후술할 디지털처방부(141)에 의한 사용자의 심리를 맞춤 케어 할 수 있다.
상기 음성데이터분석모듈(133)은, 사용자 단말(U)로부터 수신한 음성데이터를 분석하는 구성을 말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측에 말을 시켜 사용자의 음성을 측정해 목소리의 크기, 발음의 정확성 등을 비교하여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도 있는바, 상기 음성데이터분석모듈(133)은 케어 레벨을 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U)로부터 전송된 음성데이터를 수신해 분석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의 높낮이 크기, 단어의 변화, 정확성 등을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영상데이터분석모듈(134)은, 사용자 단말(U)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얼굴, 표정, 움직임 등을 측정하여, 피부색의 비교, 표정 변화, 움직임의 변화 등을 파악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케어레벨선정모듈(135)은, 상기 센서데이터분석모듈(131), 상기 문진데이터분석모듈(132), 상기 음성데이터분석모듈(133) 및 상기 영상데이터분석모듈(134)과 연결되어, 분석된 데이터를 종합해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을 결정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수식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
Figure pat00003
: 운동목적변수,
Figure pat00004
: 복약목적변수,
Figure pat00005
: 교육목적변수,
Figure pat00006
: 습관개선목적변수,
Figure pat00007
: 영양목적변수,
Figure pat00008
: 센서데이터,
Figure pat00009
: 자가문진데이터,
Figure pat00010
: 음성데이터,
Figure pat00011
: 영상데이터,
Figure pat00012
: 시계열 변화율,
Figure pat00013
: 예후영향 변수중요도,
Figure pat00014
: 다중질환 종류,
Figure pat00015
: 위험도 레벨 분류,
Figure pat00016
: 기타)
상기 디지털케어부(14)는, 사용자 단말(U)에 맞춤형 처방을 제공하거나,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본 명세서에서 케어는 처방과 치료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사용자의 일상은 상기 디지털케어부(14)에 의해 관리되는바,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케어부(14)의 지시에 따라 행동하게 되면서, 사용자는 보다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고, 수술 등을 받은 경우 보다 빠른 회복이 가능해 진다.
도 6은 디지털케어부(14)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러한 상기 디지털케어부(14)는, 디지털처방부(141), 디지털치료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처방부(141)는, 결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따라 맞춤형 처방을 제공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디지털처방부(141)는 일측이 전술한 상기 케어레벨결정부(13)에 연결이 되고, 타측이 후술할 데이터저장부(30)에 연결이 되어, 상기 케어레벨결정부(13)에서 케어 레벨이 특정된 경우, 케어 레벨별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저장부(30)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해 사용자에게 알맞은 맞춤형 처방을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상기 디지털처방부(14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처방모듈(1411), 복약처방모듈(1412), 교육처방모듈(1413), 습관개선처방모듈(1414), 영양처방모듈(1415), 주기문진처방모듈(1416), 심리처방모듈(1417)을 포함한다.
상기 운동처방모듈(1411)은, 특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측에 맞는 최적의 운동을 후술할 데이터저장부(30)로부터 추출해 사용자 단말(U)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맞춤형 운동 처방을 제공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운동처방모듈(1411)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특정 운동을 하도록 지시하는 알림이 특정 시간에 또는 주기적으로 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건강을 유지 및 개선하는데 필요한 알맞은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단순히 알림 메시지 뿐만 아니라, 영상, 음성 등이 함께 수반될 수 있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U)에 수신된 영상 등을 보면서 처방 받은 운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복약처방모듈(1412)은, 특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측에 맞춤형 복약 처방을 제공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복약처방모듈(1412)에 의하면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약, 영양제 등을 복용하라는 알림을 받게 되는바, 정해진 시간에 맞춰 특정 약을 잊지 않고 복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교육처방모듈(1413)은, 특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측에 맞춤형 교육 처방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교육처방모듈(1413)에 의하면 건강과 관련된 교육 영상 등이 후술할 데이터저장부(30)에서 추출되어 사용자 단말(U)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습관개선처방모듈(1414)은, 특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측에 맞춤형 습관개선 처방을 제공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습관개선처방모듈(1414)에 의하면, 사용자가 기존에 잘못하고 있는 습관들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안내 메시지, 영상, 음성 등의 데이터가 후술할 데이터저장부(30)에서 추출되어 사용자 단말(U)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영양처방모듈(1415)은, 특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측에 맞춤형 영양 처방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영양처방모듈(1415)에 의하면 데이터저장부(30)에 저장된 데이터에서 사용자에게 알맞은 식단 구성, 관절에 좋은 음식 등이 추출되어 사용자 단말(U)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주기문진처방모듈(1416)은, 특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측에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인 문진 수행을 알리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주기문진처방모듈(1416)에 의하면, 사용자의 추이를 관찰하기 위한 재문진이 안내될 수 있는바, 사용자는 안내에 따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자가문진을 다시 수행하게 되고, 수행된 자가문진 결과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맞은 최적의 맞춤형 처방이 재설정될 수 있다. 재문진 과정에서 불필요한 문진문항 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술한 상기 문진문항최적화모듈(114)이 활성화된다.
상기 심리처방모듈(1417)은, 특정된 상기 사용자의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측에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구성을 말한다. 현대 사회에서 심리적 불안, 우울증 등을 호소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는바, 상기 심리처방모듈(1417)은 심리적 불안이 감지될 경우 안내 팝업, 푸시 메시지, 추천 영상 등의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해 사용자의 불안 등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의 심리 상태는 회복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사용자의 심리 상태가 불안정하면 의욕이 없어지고, 이에 따라 운동, 복약 등의 처방 지시에 충실히 따르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심리처방모듈(1417)은 사용자의 이러한 불안을 해소하고 회복을 위한 행동에 동기를 부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디지털처방부(141)가 제공한 운동 처방, 복약 처방 등에 따르도록 함에 따라, 우울증 등의 심리적인 문제를 해소하면서 빠른 회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심리처방모듈(1417)은 사용자의 상태가 의료진의 전문적인 상담이나 진료가 필요한 상태라고 판단될 경우 병원 진료를 권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치료부(142)는, 입력된 전문가 처방에 따라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디지털처방부(141)에 의해 사용자의 일상이 맞춤형 처방에 따라 관리되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병원 등의 방문을 통해 전문가 처방이 서버부(10)에 입력되어 상기 디지털치료부(142)가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디지털처방부(141)의 맞춤형 처방은 상기 맞춤형 치료로 교체될 수 있다. 즉, 본 시스템에서는 상기 디지털처방부(141)에 의한 맞춤형 처방보다 상기 디지털치료부(142)에 의한 맞춤형 치료가 우선하게 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디지털치료부(142)는, 전문가통신모듈(1421), 사용자데이터전송모듈(1422), 전문가데이터수신모듈(1423), 디지털치료모듈(1424)을 포함한다.
상기 전문가통신모듈(1421)은, 전문가 단말(D)과 통신 연결 상태가 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유/무선통신을 이용해 서버부(10)와 상기 전문가 단말(D)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전문가 단말(D)은 사용자 단말(U)과 보호자 단말(G)을 제외한 의료진, 트레이너 등의 전문가 측에서 사용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상기 전문가통신모듈(1421)에 의해 시스템 상의 데이터는 전문가 단말(D)과 공유될 수 있으며, 전문가 단말(D)에서 전송한 데이터가 서버부(10)를 통해 사용자 단말(U)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문가통신모듈(1421)에 의하면 원격지간의 사용자와 전문가가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 가능해 진다.
상기 사용자데이터전송모듈(14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상기 전문가통신모듈(1421)과 연결되고 타측은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30)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저장부(30)에 저장된 사용자 관련 데이터를 전문가 단말(D)에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사용자데이터전송모듈(1422)에 의해 전문가 단말(D)은 원격지에서도 사용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전문가데이터수신모듈(1423)은, 상기 전문가 단말(D)로부터 전송된 전문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병원을 방문했을 때, 사용자를 진찰한 의료진은 사용자를 위한 처방을 내리게 되는데, 이러한 전문가 처방이 상기 전문가데이터수신모듈(1423)을 통해 상기 서버부(10) 상에 입력이 됨으로써, 입력된 전문가 처방에 따라 후술할 디지털치료모듈(1424)에 의해 사용자에게 맞춤형 치료가 안내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치료모듈(1424)은, 상기 전문가데이터수신모듈(1423)이 수신한 상기 전문가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단말(U)에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구성을 말한다. 맞춤형 치료란, 전문가 측에서 내린 전문가 처방을 기초로, 사용자 단말(U)에 운동을 하라고 안내하거나, 복약을 지시하거나, 교육을 하거나, 습관을 개선하기 위한 치료를 제공하거나, 적절한 치료 식단을 제안하거나, 자가문진을 하라고 지시하거나, 심리 치료를 위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등 사용자 치료를 위한 일체의 가이드를 가리킨다.
상기 지시이행관리부(15)는, 상기 디지털처방부(141)에 의한 맞춤형 처방 또는 상기 디지털치료부(142)에 의한 맞춤형 치료를 사용자가 얼마나 충실히 따르고 있는지를 관리하는 구성을 말한다. 즉, 상기 지시이행관리부(15)는 사용자 측의 지시이행도를 관찰하고 이를 사용자 이외의 측에 보고함으로써, 사용자의 지시이행도를 높이는 구성이다. 도 7은 지시이행관리부(15)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러한 상기 지시이행관리부(15)는, 지시이행도평가모듈(151), 이행상황보고모듈(152), 이행독려알림모듈(153)을 포함한다.
상기 지시이행도평가모듈(151)은, 사용자의 지시 이행 정도를 평가하는 구성을 말한다. 사용자의 지시 이행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지시된 맞춤형 처방이나 맞춤형 치료가 무엇인지 특정되어야 하고, 특정된 맞춤형 처방이나 맞춤형 치료에 대한 수행 여부가 파악되어야 하므로, 상기 지시이행도평가모듈(151)은 상기 디지털케어부(14)가 포함하는 구성에 대응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상기 지시이행도평가모듈(151)은, 운동체크모듈(1511), 복약체크모듈(1512), 교육체크모듈(1513), 통증체크모듈(1514), 영양체크모듈(1515), 문진체크모듈(1516)을 포함한다.
상기 운동체크모듈(1511)은, 사용자의 운동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구성으로, 제공된 운동 처방 또는 운동 치료에 대해 사용자가 해당 운동을 수행하였는지를 묻고, 그 물음에 사용자가 답하도록 알림 메시지 등을 사용자 단말(D)에 전송할 수 있다. 물음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은 후술할 데이터저장부(30)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복약체크모듈(1512)은, 사용자의 복약 여부를 확인하는 구성으로, 상기 복약체크모듈(1512)에 의하면 제공된 복약 처방 또는 복약 치료에 대해 사용자가 제때 약을 복용하였는지를 묻고, 그 물음에 사용자가 답하도록 하는 알림 메시지 등이 사용자 단말(D)에 전송된다.
상기 교육체크모듈(1513)은, 사용자의 교육 이수 여부를 확인하는 구성으로, 교육을 위한 동영상 시청 등을 하였는지 사용자에게 묻고, 사용자가 이에 답할 수 있도록 하는 알림 메시지 등을 사용자 단말(D)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통증체크모듈(1514)은, 사용자의 통증 정도를 확인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느끼는 현재의 통증 정도가 체크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D)에 알림 메시지 등을 전송한다. 체크된 사용자의 통증 정도는 날짜, 시간 별로 후술할 데이터저장부(30)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상기 영양체크모듈(1515)은, 사용자의 영양 섭취 상태를 확인하는 구성으로, 사용자 단말(D)에 섭취한 음식 등을 기재할 수 있는 알림 메시지 등을 전송해 사용자의 식단이 일자별로 체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문진체크모듈(1516)은, 사용자의 자가 문진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구성으로, 사용자 단말(D)에 자가문진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알림 메시지 등을 전송해 사용자가 알림 메시지 등을 통해 자가문진 수행 여부를 체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행상황보고모듈(152)은, 상기 지시이행도평가모듈(151)과 연결되어 평가된 상기 지시 이행 정도가 기준치 이하일 때 사용자측 이외에 사용자의 지시 이행 상황을 보고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이행상황보고모듈(152)은 사용자가 디지털처방부에 의한 맞춤형 처방 또는 디지털치료부에 의한 맞춤형 치료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을 경우, 이러한 상황이 사용자측 이외의 전문가 단말(D)이나, 보호자 단말(G)에 보고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심리적 압박을 주어 사용자의 지시이행도가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행독려알림모듈(153)은, 상기 이행상황보고모듈(152)로부터 사용자의 지시 이행 상황을 보고받은 사용자측 이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해 사용측에 이행독려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사용자의 낮은 지시이행도를 보고 받은 전문가 단말(D)이나 보호자 단말(G)이 서버부(10)에 데이터를 전송하면 서버부(10)를 통해 사용자 단말(U)에 이행독려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원격지에 있는 전문가나 보호자가 사용자의 지시이행을 독려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행독려데이터는 팝업 메시지, 동영상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저장부(30)는, 상기 서버부(10)와 연결되어 서버부(10)에 수신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거나, 기저장된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다가 상기 서버부(10)의 요청에 의해 저장 중인 데이터를 제공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데이터저장부(30)가 상기 서버부(10)와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서버부(10)와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데이터저장부(30)가 반드시 이렇게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서버부(10)의 내측에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방법(S1)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8을 참고하여,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방법(S1)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중복된 서술을 피하고자 전술한 내용에 관해서는 그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하였다.
상기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방법(S1)은, 자가문진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케어 레벨을 결정함으로써, 결정된 사용자의 케어 레벨에 따라 맞춤형 처방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방법(S1)은, 자가문진단계(S10), 기능평가단계(S20), 케어레벨결정단계(S30), 디지털케어단계(S40), 지시이행관리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자가문진단계(S10)는, 상기 자가문진부(11)가 자가문진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러한 상기 자가문진단계(S10)는, 기초문진단계(S11), 상태판단단계(S12), 상세문진단계(S13), 문진문항최적화단계(S14)를 포함한다.
상기 기초문진단계(S11)는, 상기 기초문진모듈(111)이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기초문진문항을 상기 데이터저장부(30)로부터 추출해 사용자 단말(U)에 전송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회원 가입시 사용자 측에서 입력한 정보로 봄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한 기초문진문항을 제공하여 상기 기초문진문항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으로 자가문진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상태가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태판단단계(S12)는, 상기 기초문진단계(S11) 이후에, 상기 상태판단모듈(112)이 상기 기초문진문항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상세문진단계(S13)는, 상기 상태판단단계(S12) 이후에, 상기 상세문진모듈(113)이 상기 상태판단모듈(112)에 의한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상세문진문항을 추출해 전송하는 단계를 말한다. 기초문진문항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특정 증상이 의심되면, 의심되는 증상과 관련된 상세문진문항을 제공함으로써 추가적인 상세문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상세문진단계(S13)는, 의심증상특정단계(S131), 상세문항추출단계(S132)를 포함한다.
상기 의심증상특정단계(S131)는, 의심증상특정모듈(1131)이 상기 기초문진문항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분석해 의심되는 증상을 특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상세문항추출단계(S132)는, 상기 의심증상특정단계(S131) 이후에, 상세문항추출모듈(1132)이 상기 의심증상특정모듈(1131)에 의해 특정된 증상에 대한 상세문진문항을 추출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문진문항최적화단계(S14)는, 문진문항최적화모듈(114)이 재문진시 상기 데이터저장부(30)에 저장된 사용자 관련 데이터로 확인이 가능한 문항을 제거해 문진문항의 수를 최소화하는 단계를 말한다. 자가문진 재진행시 누적된 데이터를 통해 중복 질문, 공통 질문을 자동으로 생략시켜 문진문항의 수가 최소화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는 자가문진에 들이는 시간을 줄이고, 빠르고 정확하게 사용자의 상태가 파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능평가단계(S20)는, 상기 의심증상특정단계(S131) 이후에, 기능평가부(12)가 상기 의심증상특정모듈(1131)과 연결되어, 특정된 증상을 확인하기 위한 기능평가를 안내하는 단계를 말한다. 자가문진을 통해 특정 증상이 의심되는 경우, 한 발 들기 등과 같이 기능평가를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제공된 가이드를 따라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상 문제가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능평가단계(S20)에서는 사용자에게 기능평가를 위한 준비를 알리고, 구체적인 행위를 제시하여 사용자가 제시된 행위를 따라하도록 함으로써, 자가문진을 보완해 사용자의 상태가 보다 정확히 파악될 수 있다.
상기 케어레벨결정단계(S30)는, 상기 자가문진단계(S10) 이후에, 상기 케어레벨결정부(13)가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 케어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케어레벨결정단계(S30)는 센서데이터, 응답데이터, 음성데이터, 영상데이터를 종합해 사용자의 케어 레벨이 결정되도록 함에 따라, 병원 등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상태가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도록 하고, 정확하게 파악된 사용자의 케어 레벨을 통해 최적의 맞춤형 처방이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 디지털케어단계(S40)는, 사용자 단말(U)에 맞춤형 처방을 제공하거나,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말한다. 사용자의 케어 레벨이 결정되면, 특정된 사용자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운동처방, 복약처방, 교육처방, 습관개선처방, 영양처방, 주기문진처방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디지털처방만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디지털케어부(14)는 사용자에게 병원을 방문하도록 안내할 수도 있으며, 이때 데이터저장부(30)에 저장된 연계 병원이 추천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디지털케어단계(S40)는, 디지털처방단계(S41), 디지털치료단계(S42)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처방단계(S41)는, 상기 케어레벨결정단계(S30) 이후에, 상기 디지털처방부(141)가 결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따라 맞춤형 처방을 제공하는 단계를 말한다. 의료진의 개입이 없어도 상기 디지털처방부(141)가 자가문진, 기능평가로 사용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한 뒤 사용자에게 맞는 최적의 맞춤 처방을 제공하는바, 사용자는 자신의 건강을 용이하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지털치료단계(S42)는, 디지털치료부(142)가 입력된 전문가 처방에 따라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단계를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지털치료부(142)는 전문가 처방 입력시 상기 디지털처방부(141)의 맞춤형 처방을 상기 맞춤형 치료로 교체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지털처방부(141)에 의해 맞춤형 처방이 제공되고 있더라도, 사용자가 병원 등을 방문한 후에는 전문가의 처방에 우선 순위를 두어, 상기 전문가의 처방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춤형 치료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디지털치료부(142)를 통해 의료진의 개입하에 사용자에게 맞춤형 치료가 제공되도록 하여, 병원 등을 방문하기 전에는 상기 디지털처방부(141)에 의해 맞춤형 처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병원 등을 방문한 후에는 상기 디지털치료부(142)에 의해 맞춤형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서버부(10)가 전문가 단말(D)과 통신 연결이 되어 전문가가 서버부(10)에 전문가 데이터를 입력하면, 입력된 전문가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춤형 치료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문가의 처방에 대한 사용자의 지시이행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지시이행관리단계(S50)는, 상기 디지털처방단계(S41) 또는 상기 디지털치료단계(S42) 이후에, 상기 지시이행관리부(15)가 상기 디지털처방부(141)에 의한 상기 맞춤형 처방 또는 상기 디지털치료부(142)에 의한 상기 맞춤형 치료를 사용자가 얼마나 충실히 따르고 있는지를 관리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러한 상기 지시이행관리단계(S50)는, 지시이행도평가단계(S51), 이행상황보고단계(S52), 이행독려알림단계(S53)를 포함한다.
상기 지시이행도평가단계(S51)는, 지시이행도평가모듈(151)이 사용자의 지시 이행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이행상황보고단계(S52)는, 상기 지시이행도평가단계(S51) 이후에, 이행상황보고모듈(152)이 상기 지시이행도평가모듈(151)과 연결되어 평가된 상기 지시 이행 정도가 기준치 이하일 때 사용자측 이외에 사용자의 지시 이행 상황을 보고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기준치는 상기 데이터저장부(30)에 사전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행독려알림단계(S53)는, 상기 이행상황보고단계(S52) 이후에, 이행독려알림모듈(153)이 상기 이행상황보고모듈(152)로부터 사용자의 지시 이행 상황을 보고받은 사용자측 이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해 사용측에 이행독려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10: 서버부
11: 자가문진부
111: 기초문진모듈
112: 상태판단모듈
113: 상세문진모듈
1131: 의심증상특정모듈
1132: 상세문항추출모듈
114: 문진문항최적화모듈
12: 기능평가부
121: 준비알림모듈
122: 행위제시모듈
13: 케어레벨결정부
131: 센서데이터분석모듈
132: 문진데이터분석모듈
133: 음성데이터분석모듈
134: 영상데이터분석모듈
135: 케어레벨선정모듈
14: 디지털케어부
141: 디지털처방부
1411: 운동처방모듈
1412: 복약처방모듈
1413: 교육처방모듈
1414: 습관개선처방모듈
1415: 영양처방모듈
1416: 주기문진처방모듈
1417: 심리처방모듈
142: 디지털치료부
1421: 전문가통신모듈
1422: 사용자데이터전송모듈
1423: 전문가데이터수신모듈
1424: 전문가데이터전송모듈
15: 지시이행관리부
151: 지시이행도평가모듈
1511: 운동체크모듈
1512: 복약체크모듈
1513: 교육체크모듈
1514: 통증체크모듈
1515: 영양체크모듈
1516: 문진체크모듈
152: 이행상황보고모듈
153: 이행독려알림모듈
30: 데이터저장부
S1: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방법
S10: 자가문진단계
S11: 기초문진단계
S12: 상태판단단계
S13: 상세문진단계
S131: 의심증상특정단계
S132: 상세문항추출단계
S14: 문진문항최적화단계
S20: 기능평가단계
S30: 케어레벨결정단계
S40: 디지털케어단계
S41: 디지털처방단계
S42: 디지털치료단계
S50: 지시이행관리단계
S51: 지시이행도평가단계
S52: 이행상황보고단계
S53: 이행독려알림단계

Claims (24)

  1. 데이터를 수신해 분석하는 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부는,
    자가문진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자가문진부와,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 케어 레벨을 결정하는 케어레벨결정부와,
    결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따라 맞춤형 처방을 제공하는 디지털처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문진부는,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기초문진문항을 추출해 전송하는 기초문진모듈과, 상기 기초문진문항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모듈과, 상기 상태판단모듈에 의한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상세문진문항을 추출해 전송하는 상세문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문진모듈은, 상기 기초문진문항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분석해 의심되는 증상을 특정하는 의심증상특정모듈과, 상기 의심증상특정모듈에 의해 특정된 증상에 대한 상세문진문항을 추출하는 상세문항추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문진부는, 재문진시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관련 데이터로 확인이 가능한 문항을 제거해 문진문항의 수를 최소화하는 문진문항최적화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은, 상기 의심증상특정모듈과 연결되어, 특정된 증상을 확인하기 위한 기능평가를 안내하는 기능평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평가부는, 사용자측에 기능평가를 위한 준비를 알리는 준비알림모듈과, 사용자측에 기능평가를 위한 구체적인 행위를 제시하는 행위제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레벨결정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센서데이터를 분석하는 센서데이터분석모듈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응답데이터를 분석하는 문진데이터분석모듈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음성데이터를 분석하는 음성데이터분석모듈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는 영상데이터분석모듈과, 상기 센서데이터분석모듈, 상기 문진데이터분석모듈, 상기 음성데이터분석모듈 및 상기 영상데이터분석모듈과 연결되어, 분석된 데이터를 종합해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을 결정하는 케어레벨선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처방부는, 특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측에 맞춤형 운동 처방을 제공하는 운동처방모듈, 특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측에 맞춤형 복약 처방을 제공하는 복약처방모듈, 특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측에 맞춤형 교육 처방을 제공하는 교육처방모듈, 특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측에 맞춤형 습관개선 처방을 제공하는 습관개선처방모듈, 특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측에 맞춤형 영양 처방을 제공하는 영양처방모듈, 특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측에 정기적인 문진 수행을 알리는 주기문진처방모듈 및 특정된 상기 사용자의 케어 레벨에 기반하여 사용자측에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기 위한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심리처방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은, 입력된 전문가 처방에 따라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디지털치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치료부는, 전문가 처방 입력시 상기 디지털처방부의 맞춤형 처방을 상기 맞춤형 치료로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치료부는, 전문가 단말과 통신 연결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전문가통신모듈과, 일측은 상기 전문가통신모듈과 연결되고 타측은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저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관련 데이터를 전문가 단말에 전송하는 사용자데이터전송모듈과, 상기 전문가 단말로부터 전송된 전문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문가데이터수신모듈과, 상기 전문가데이터수신모듈이 수신한 상기 전문가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디지털치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처방부에 의한 맞춤형 처방 또는 상기 디지털치료부에 의한 맞춤형 치료를 사용자가 얼마나 충실히 따르고 있는지를 관리하는 지시이행관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이행관리부는, 사용자의 지시 이행 정도를 평가하는 지시이행도평가모듈과, 상기 지시이행도평가모듈과 연결되어 평가된 상기 지시 이행 정도가 기준치 이하일 때 사용자측 이외에 사용자의 지시 이행 상황을 보고하는 이행상황보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이행도평가모듈은, 사용자의 운동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운동체크모듈, 사용자의 복약 여부를 확인하는 복약체크모듈, 사용자의 교육 이수 여부를 확인하는 교육체크모듈, 사용자의 통증 정도를 확인하는 통증체크모듈, 사용자의 영양 섭취 상태를 확인하는 영양체크모듈 및 사용자의 자가 문진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문진체크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이행관리부는, 상기 이행상황보고모듈로부터 사용자의 지시 이행 상황을 보고받은 사용자측 이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해 사용측에 이행독려데이터를 전송하는 이행독려알림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16. 자가문진부가 자가문진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자가문진단계와,
    상기 자가문진단계 이후에, 케어레벨결정부가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 케어 레벨을 결정하는 케어레벨결정단계와,
    상기 케어레벨결정단계 이후에, 디지털처방부가 결정된 상기 사용자 케어 레벨에 따라 맞춤형 처방을 제공하는 디지털처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문진단계는, 기초문진모듈이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기초문진문항을 추출해 전송하는 기초문진단계와, 상기 기초문진단계 이후에, 상태판단모듈이 상기 기초문진문항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단계와, 상기 상태판단단계 이후에, 상세문진모듈이 상기 상태판단모듈에 의한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상세문진문항을 추출해 전송하는 상세문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문진단계는, 의심증상특정모듈이 상기 기초문진문항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분석해 의심되는 증상을 특정하는 의심증상특정단계와, 상기 의심증상특정단계 이후에, 상세문항추출모듈이 상기 의심증상특정모듈에 의해 특정된 증상에 대한 상세문진문항을 추출하는 상세문항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문진단계는, 문진문항최적화모듈이 재문진시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 관련 데이터로 확인이 가능한 문항을 제거해 문진문항의 수를 최소화하는 문진문항최적화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방법은, 상기 의심증상특정단계 이후에, 기능평가부가 상기 의심증상특정모듈과 연결되어, 특정된 증상을 확인하기 위한 기능평가를 안내하는 기능평가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방법은, 디지털치료부가 입력된 전문가 처방에 따라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디지털치료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치료부는, 전문가 처방 입력시 상기 디지털처방부의 맞춤형 처방을 상기 맞춤형 치료로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방법은, 상기 디지털처방단계 또는 상기 디지털치료단계 이후에, 지시이행관리부가 상기 디지털처방부에 의한 상기 맞춤형 처방 또는 상기 디지털치료부에 의한 상기 맞춤형 치료를 사용자가 얼마나 충실히 따르고 있는지를 관리하는 지시이행관리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이행관리단계는, 지시이행도평가모듈이 사용자의 지시 이행 정도를 평가하는 지시이행도평가단계와, 상기 지시이행도평가단계 이후에, 이행상황보고모듈이 상기 지시이행도평가모듈과 연결되어 평가된 상기 지시 이행 정도가 기준치 이하일 때 사용자측 이외에 사용자의 지시 이행 상황을 보고하는 이행상황보고단계와, 상기 이행상황보고단계 이후에, 이행독려알림모듈이 상기 이행상황보고모듈로부터 사용자의 지시 이행 상황을 보고받은 사용자측 이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해 사용측에 이행독려데이터를 전송하는 이행독려알림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방법.
KR1020210091842A 2021-07-13 2021-07-13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11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842A KR20230011550A (ko) 2021-07-13 2021-07-13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842A KR20230011550A (ko) 2021-07-13 2021-07-13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550A true KR20230011550A (ko) 2023-01-25

Family

ID=8510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842A KR20230011550A (ko) 2021-07-13 2021-07-13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155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8921A (ko) 2015-10-27 2017-05-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식습관 패턴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8921A (ko) 2015-10-27 2017-05-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식습관 패턴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664B1 (ko) 온라인 기반의 건강 관리 방법 및 장치
Bergmann et al. Body-worn sensor design: what do patients and clinicians want?
US7967749B2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rules
US20060183980A1 (en) Mental and physical health status monitoring, analyze and automatic follow up methods and its application on clothing
KR101141425B1 (ko)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US20110053128A1 (en) Automated patient monitoring and counseling system
KR102439807B1 (ko) 치매 환자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9518731A (ja) 慢性疾患の目標管理
CN110544533A (zh) 依据医嘱进行健康监控的系统
CN112466423A (zh) 智能慢病健康管理方法及系统
Moreno-Alsasua et al. Primary prevention of asymptomatic cardiovascular disease using physiological sensors connected to an iOS app
US20140297300A1 (en) Diseas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ebster et al. Predicting cognitive states from wearable recordings of autonomic function
KR20210108604A (ko) 대사증후군의 자가관리 지원 서비스 제공시스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2472911B1 (ko)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KR20230011550A (ko)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06919A (ko) 환자의 신체 및 심리 상태를 융합 기반으로 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Omar et al. Wellness management through Web-based programmes
WO2022272057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ental health assessment
KR101808836B1 (ko) 학습 장치, 학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학습 방법
KR20230016761A (ko) 맞춤형 건강 관리 시스템
CN113454675A (zh) 医学教学系统及其使用方法、医学教学设备、计算机介质
US202401491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gitally-based musculoskeletal rehabilitation therapy
WO2023007593A1 (ja) 情報収集方法、情報収集装置、および携帯端末の情報共有方法
US20220409050A1 (en) Clinical monitoring of patient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