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911B1 -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2911B1 KR102472911B1 KR1020200071784A KR20200071784A KR102472911B1 KR 102472911 B1 KR102472911 B1 KR 102472911B1 KR 1020200071784 A KR1020200071784 A KR 1020200071784A KR 20200071784 A KR20200071784 A KR 20200071784A KR 102472911 B1 KR102472911 B1 KR 1024729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module
- user
- user terminal
- self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0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4092 self-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5000018823 dietary intak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06010034464 Peri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01000010603 frozen shoul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83 med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8698 Cognitive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77 caloric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877 cognitiv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86 degenerative chang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4 essential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58 humer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54 physical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323 shoulder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03 tib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 G06Q50/30—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일상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질환체크용 운동학적 평가를 통해 수집된 동작 모니터링 정보와 자가문진 결과 등을 통해 원격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일상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질환체크용 운동학적 평가를 통해 수집된 동작 모니터링 정보와 자가문진 결과 등을 통해 원격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고령화, 소득의 증가 및 웰니스(Wellness) 문화의 확산으로 인해, 의료 패러다임이 점차 치료 중심에서 예방 및 관리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헬스 케어(Health Care) 산업이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의료와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이 융합된 스마트 헬스 케어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스마트 헬스 케어 분야는 의료 서비스를 넘어 스포츠 분야, 일상 생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신뢰도가 높고 편리한 데이터 수집을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와 결합된 헬스 케어 시스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헬스 케어 시스템(90)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7848호(2019.04.08.)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종래의 헬스 케어 시스템(9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W)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말기(91)와, 상기 단말기(91)로부터 수집된 생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93)와, 상기 데이터저장부(93)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 및 가공하여 상기 단말기(91)로 전송하는 서버부(95)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헬스 케어 시스템(90)을 통해 사용자는 단말기(91)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의 실행으로 자신의 보행수, 체온, 심박수, 칼로리 소모량 등의 정보를 제공받았다.
하지만, 종래의 헬스 케어 시스템(90)은 센서 등을 이용해 측정된 수치를 소정의 가공을 통해 보기 좋게 제시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을 뿐이다.
사람들이 피트니스 센터(Fitness Center)를 찾아 개인 트레이닝(Personal Training, PT)를 받는 이유 중 하나는, 트레이너로부터 자신에게 가장 필요한 최적의 운동을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사용자들은 단순히 자신의 신체 상태 정보를 수치를 통해 제공 받는 데에서 벗어나, 자신만을 위한 개인적인 운동 처방 등까지 받고 싶어 한다.
홈 트레이닝과 관련된 콘텐츠의 증가는 이러한 경향을 보여주는 하나의 일 예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홈 트레이닝 관련 콘텐츠 역시, 불특정 다수인을 대상으로 하는바, 각 개인에게 최적화된 운동을 개별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일률적으로 정해진 특정 운동 프로세스를 따라 해당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 모두가 해당 프로세스에 따라 운동을 할 것을 강요하고 있으므로, 각 개인의 신체 상태를 반영한 운동 지도 등이 이루어질 수 없다.
홈 트레이닝 관련 콘텐츠 중에는 신체 부위를 나누어 각 부위를 강화하는 운동에 관한 정보를 업로드해 두고, 각각의 개인이 단련을 원하는 신체 부위와 관련된 콘텐츠를 선택해 운동 지도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현재 자신의 신체 상태를 개인 스스로가 주관적으로 진단을 해 콘텐츠를 선택해야 했으므로, 각 개인의 신체 상태에 최적화된 운동 지도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각 개인의 선택에 의존에 운동 지도가 이루어진다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관련 업계에서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정확하게 체크해, 사용자별로 각 사용자에 맞는 맞춤형 헬스 케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운동학적 평가, 자가문진 등에 의해 굳이 병원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원격으로 정확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일상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질환체크용 운동학적 평가를 통해 수집된 동작 모니터링 정보와 자가문진 결과 등을 통해 원격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단말에 자가문진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자가문진데이터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수신해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병원 등에 가서 의료진과 직접 대면하지 않더라도, 현재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단말에 운동평가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운동평가데이터에 대한 운동데이터를 수신해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보행, 무릎각, 오십견, 디스크, 발목각, 허리각 등의 자가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응답데이터 및 운동데이터를 분석해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모듈을 구성하여, 병원 등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가정 등 일상 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단모듈을 구성해 분석모듈이 생성한 분석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를 자동으로 진단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관리모듈을 구성하여, 진단데이터에 따라 사용자단말에 관리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관리데이터에 대응된 피드백데이터를 받아 사용자의 올바른 이행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일상을 체계적으로 케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단말에 운동처방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운동수행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물리치료사 등과 직접 대면하지 않더라도, 자기에게 필요한 맞춤형 운동을 처방받고, 처방 받은 운동의 정확한 수행 여부를 평가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단말에 복약지도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복약체크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해진 시간에 따라 성실하게 약을 복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단말에 통증지표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통증체크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통증의 정도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며, 기록된 통증을 일별, 주별 등 시계열적으로 관리하여 사용자의 회복 상태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단말에 영양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영양체크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영양 섭취 상태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데이터와 피드백데이터를 비교 분석해 알림데이터를 생성하는 알림모듈을 구성하여, 사용자단말에 운동, 복약, 통증, 영양과 관련된 맞춤형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일상에 맞는 스마트 헬스 케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질환평가데이터를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동작데이터를 수신해 분석하여 모니터링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전문시설 등에 방문하지 않더라도, 가정에서도 운동학적 평가를 받아 자신의 신체에 문제가 있는 질환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단말로부터 동작에 관한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질환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단말에 자가문진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자가문진데이터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수신해 분석하며, 이를 동작에 관한 모니터링데이터와 결합해, 보다 정확한 원격진료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니터링데이터와, 자가문진데이터를 통해, 진료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단말이 전송한 질문데이터를 분석해 그 의도를 파악하고, 그와 관련된 데이터를 찾아 사용자단말 측에 답변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단말 측에서 궁금해 하는 것에 대한 응답을 빠르게 자동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질문데이터와 답변데이터를 종합해 높은 수준의 원격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하는 서버부와,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일상을 관리하는 스마트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관리부는, 저장부의 자가문진저장모듈로부터 자가문진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자가문진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자가문진데이터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자가문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관리부는, 저장부의 운동평가저장모듈로부터 운동평가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운동평가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운동평가데이터에 대한 운동데이터를 수신하는 자가진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관리부는, 상기 자가문진모듈 및 상기 자가진단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응답데이터 및 상기 운동데이터를 분석해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관리부는, 상기 분석모듈과 연결되어, 생성된 상기 분석데이터에 따라 저장부의 진단저장모듈로부터 진단데이터를 추출하는 진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관리부는, 상기 진단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진단데이터에 따라 저장부의 관리저장모듈로부터 관리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관리데이터에 대한 피드백데이터를 수신해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사용자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관리모듈은, 상기 진단데이터에 따라 관리저장모듈의 운동정보저장모듈로부터 사용자에게 필요한 운동에 관한 운동처방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운동처방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운동처방데이터에 대한 운동수행데이터를 수신해 사용자의 운동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운동체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관리모듈은, 상기 진단데이터에 따라 관리저장모듈의 복약정보저장모듈로부터 사용자가 복용해야할 약에 관한 복약지도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복약지도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복약지도데이터에 대한 복약체크데이터를 수신해 사용자의 복약여부를 확인하는 복약체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관리모듈은, 상기 진단데이터에 따라 관리저장모듈의 통증정보저장모듈로부터 통증지표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통증지표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통증지표데이터에 대한 통증체크데이터를 수신해 사용자의 통증정도를 확인하는 통증체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관리모듈은, 상기 진단데이터에 따라 관리저장모듈의 영양정보저장모듈로부터 영양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영양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영양데이터에 대한 영양체크데이터를 수신해 사용자의 영양 섭취 상태를 확인하는 영양체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관리부는, 상기 사용자관리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관리데이터와 상기 피드백데이터를 비교 분석해 알림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알림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하는 서버부와,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부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질환을 판단하고 판단된 질환에 따라 원격진료를 수행하는 스마트진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진료부는, 저장부의 질환평가저장모듈로부터 질환평가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질환평가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질환평가데이터에 대한 동작데이터를 수신해 분석하여 모니터링데이터를 생성하는 질환체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진료부는, 상기 질환체크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작모니터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진료부는, 저장부의 자가문진저장모듈로부터 자가문진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자가문진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자가문진데이터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자가문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진료부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질문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질문데이터를 분석해 저장부의 답변저장모듈로부터 답변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챗봇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진료부는, 상기 동작모니터링모듈, 상기 자가문진모듈 및 상기 챗봇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모니터링데이터, 상기 응답데이터, 상기 질문데이터 및 상기 답변데이터를 분석하고, 저장부의 진료저장모듈로부터 진료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원격진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서버부는, 사용자에게 착용된 운동정보수집수단이 생성하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일상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질환체크용 운동학적 평가를 통해 수집된 동작 모니터링 정보와 자가문진 결과 등을 통해 원격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에 자가문진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자가문진데이터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수신해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병원 등에 가서 의료진과 직접 대면하지 않더라도, 현재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알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에 운동평가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운동평가데이터에 대한 운동데이터를 수신해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보행, 무릎각, 오십견, 디스크, 발목각, 허리각 등의 자가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응답데이터 및 운동데이터를 분석해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모듈을 구성하여, 병원 등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가정 등 일상 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진단모듈을 구성해 분석모듈이 생성한 분석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를 자동으로 진단 내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관리모듈을 구성하여, 진단데이터에 따라 사용자단말에 관리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관리데이터에 대응된 피드백데이터를 받아 사용자의 올바른 이행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일상을 체계적으로 케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에 운동처방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운동수행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물리치료사 등과 직접 대면하지 않더라도, 자기에게 필요한 맞춤형 운동을 처방받고, 처방 받은 운동의 정확한 수행 여부를 평가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에 복약지도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복약체크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정해진 시간에 따라 성실하게 약을 복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에 통증지표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통증체크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통증의 정도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며, 기록된 통증을 일별, 주별 등 시계열적으로 관리하여 사용자의 회복 상태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에 영양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영양체크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영양 섭취 상태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관리데이터와 피드백데이터를 비교 분석해 알림데이터를 생성하는 알림모듈을 구성하여, 사용자단말에 운동, 복약, 통증, 영양과 관련된 맞춤형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일상에 맞는 스마트 헬스 케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질환평가데이터를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동작데이터를 수신해 분석하여 모니터링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전문시설 등에 방문하지 않더라도, 가정에서도 운동학적 평가를 받아 자신의 신체에 문제가 있는 질환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로부터 동작에 관한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질환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에 자가문진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자가문진데이터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수신해 분석하며, 이를 동작에 관한 모니터링데이터와 결합해, 보다 정확한 원격진료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모니터링데이터와, 자가문진데이터를 통해, 진료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이 전송한 질문데이터를 분석해 그 의도를 파악하고, 그와 관련된 데이터를 찾아 사용자단말 측에 답변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단말 측에서 궁금해 하는 것에 대한 응답을 빠르게 자동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질문데이터와 답변데이터를 종합해 높은 수준의 원격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헬스 케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블럭도.
도 4는 스마트관리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자가문진모듈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자가진단모듈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진단모듈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사용자관리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사용자관리모듈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스마트진료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질환체크모듈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원격진료모듈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블럭도.
도 4는 스마트관리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자가문진모듈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자가진단모듈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진단모듈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사용자관리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사용자관리모듈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스마트진료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질환체크모듈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원격진료모듈에 의해 사용자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본 발명인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1)은, 사용자단말(U)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일상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질환체크용 운동학적 평가를 통해 수집된 동작 모니터링 정보와 자가문진 결과 등을 통해 원격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케어(Care)란, 사용자 관리와 사용자 진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1)은, 서버부(10), 저장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부(10)는, 사용자단말(U)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하는 구성으로, 상기 서버부(10)는, 사용자에게 착용된 운동정보수집수단(S)이 생성하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U)을 통해 수신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1)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운동정보수집수단(S)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무릎 각도나 보행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대퇴골과 경골에 각각 착용될 수도 있고, 어깨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완골 측에 착용될 수도 있으며, 발목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발등에 착용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구부정한 자세를 측정하기 위해 윗 옷의 옷깃 부위에 착용될 수도 있다.
상기 운동정보수집수단(S)은 사용자단말(U)과 독립적으로 별도 구성되어, 상기 운동정보수집수단(S)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가 사용자단말(U)에 전송되고, 다시 사용자단말(U)을 통해 상기 서버부(10)에 수신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운동정보수집수단(S)이 상기 사용자단말(U)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U)을 소지한 사용자의 움직임이 상기 사용자단말(U) 내부에 형성된 상기 운동정보수집수단(S)에 의해 측정되어 상기 사용자단말(U)을 통해 상기 서버부(10)에 전송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서버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네트워크에 연결이 되어 원격지에 위치한 사용자단말(U)과 통신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타측은 후술할 저장부(30)와 연결되어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부(30)에 저장하거나, 저장부(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버부(10)를 통해 분석된 데이터나 저장부(30)를 통해 추출된 데이터 등은 상기 서버부(10)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U)에 전송되어 사용자단말(U)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서버부(10)는, 스마트관리부(11), 스마트진료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관리부(11)는, 상기 사용자단말(U)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일상을 관리하는 구성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관리부(11)는, 사용자가 자가 문진과 자가 진단을 수행하면, 이를 분석해 사용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에 따라 운동, 복약, 통증, 영양 등의 항목에서 사용자의 일상에 개입해 사용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관리에는, 사용자에게 운동을 하라고 안내하거나, 약을 복용하라고 안내하거나, 통증 정도를 기록하라고 하거나, 섭취한 음식을 체크하라는 등 팝업 메시지를 보내거나 주기적인 시각적 또는 청각적 알람을 제공하는 것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스마트관리부(11)는, 자가문진모듈(111), 자가진단모듈(112), 분석모듈(113), 진단모듈(114), 사용자관리모듈(115), 알림모듈(116)을 포함한다.
상기 자가문진모듈(111)은, 저장부(30)의 자가문진저장모듈(31)로부터 자가문진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U)에 전송하고, 상기 자가문진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U)로부터 상기 자가문진데이터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자가문진모듈(1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0)의 자가문진저장모듈(31)과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자가문진모듈(111)에 의해 사용자단말(U)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자가문진모듈(111)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U)에 관련 문진을 위한 문항들이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문항들의 보기를 선택해 감으로써 자가문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단말(U)에 자가문진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단말(U)로부터 자가문진데이터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수신해 분석함으로써, 사용자는 병원 등에 가서 의료진과 직접 대면하지 않더라도, 현재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알릴 수 있다.
상기 자가진단모듈(112)은, 저장부(30)의 운동평가저장모듈(32)로부터 운동평가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U)에 전송하고, 상기 운동평가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U)로부터 상기 운동평가데이터에 대한 운동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가진단모듈(1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평가모듈(32)과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자가진단모듈(112)에 의해 사용자단말(U)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사용자단말(U)에는 상기 자가진단모듈(112)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단말(U)의 화면을 터치하는 방식 등에 의해 운동평가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운동평가데이터에는 무릎각도측정, 발목각도측정, 보행체크, 어깨각도측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동평가데이터로 무릎각도측정을 선택했다면,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퇴골과 경골측에 운동정보수집수단(S)을 착용한 상태로, 안내에 따라 무릎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발목각도측정을 선택했다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발등에 운동정보수집수단(S)을 착용하고 발목 각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자가진단모듈(112)은, 사용자의 보행, 무릎각, 오십견, 디스크, 발목각, 허리각 등의 자가 진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분석모듈(113)은, 상기 자가문진모듈(111) 및 상기 자가진단모듈(112)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단말(U)로부터 수신된 상기 응답데이터 및 상기 운동데이터를 분석해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석모듈(113)은 저장부(30)의 분석저장모듈(33)과 연결이 되어, 분석에 필요한 분석알고리즘을 제공받을 수 있고, 제공받은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응답데이터 및 상기 운동데이터를 분석해 분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분석데이터는 상기 분석모듈(113)에 의해 사용자단말(U)로 전송되는바, 사용자는 사용자단말(U)을 통해 분석된 결과를 볼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U)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도 7의 결과분석 등의 GUI를 클릭하거나 터치하는 것을 통해 분석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분석모듈(113)에 의하여, 사용자는 병원 등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가정 등 일상 생활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진단모듈(114)은, 상기 분석모듈(113)과 연결되어, 생성된 상기 분석데이터에 따라 저장부(30)의 진단저장모듈(33)로부터 진단데이터를 추출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분석모듈(113)에 의해 분석데이터가 생성되면, 생성된 분석데이터를 상기 진단모듈(114)이 받게 되고, 상기 진단모듈(114)은 저장부(30)의 진단저장모듈(33)과 연결이 되는바, 진단저장모듈(33)에 기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중 생성된 분석데이터와 관련된 진단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자단말(U)에 전송하게 된다. 도 7은 진단모듈(114)에 의해 사용자단말(U)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7은 보행 측정을 통해 수집된 운동데이터를 분석하여 허리 문제, 인지장애 위험, 피로 및 영양 이슈 등의 문제를 진단하고 있다. 상기 진단모듈(114)에 의해, 분석모듈(113)이 생성한 분석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는 자동으로 정확히 진단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용자관리모듈(115)은, 상기 진단모듈(114)과 연결되어, 상기 진단데이터에 따라 저장부(30)의 관리저장모듈(35)로부터 관리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U)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U)로부터 상기 관리데이터에 대한 피드백데이터를 수신해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자가문진모듈(111), 자가진단모듈(112), 분석모듈(113), 진단모듈(114)은 결국, 사용자를 케어하기 위한 전 단계로 사용자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진단 결과가 도출되면, 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관리모듈(115)에 의해 사용자의 일상이 케어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수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상기 사용자관리모듈(115)에 의해 수술후 회복하는 시기에서 굳이 병원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실시간으로 일상이 체계적으로 관리되는바, 사용자의 회복 경과가 좋아지며, 회복 속도는 더욱 빨라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사용자관리모듈(11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0)의 관리저장모듈(35)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사용자관리모듈(115)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8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사용자관리모듈(115)은, 운동체크모듈(1151), 복약체크모듈(1152), 통증체크모듈(1153), 영양체크모듈(1154)을 포함한다.
상기 운동체크모듈(1151)은, 상기 진단데이터에 따라 관리저장모듈(35)의 운동정보저장모듈(351)로부터 사용자에게 필요한 운동에 관한 운동처방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U)에 전송하고, 상기 운동처방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U)로부터 상기 운동처방데이터에 대한 운동수행데이터를 수신해 사용자의 운동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구성을 말한다. 수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는, 성공적인 수술뿐만 아니라, 수술후 적절한 운동을 꾸준히 수행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이때 회복 운동을 위해 불편한 몸을 이끌고 매번 병원이나 물리치료실을 방문하는 것은 여러 면에서 효율적이 못하다. 하지만, 본원발명의 상기 운동체크모듈(1151)에 의하면, 사용자에 따라 맞춤형 운동 처방을 내려주고, 환자가 처방된 운동을 제대로 수행했는지를 사용자단말(U)을 통해 운동정보수집수단(S)이 생성한 운동수행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판단하게 되는바, 사용자가 굳이 병원 등을 찾지 않더라도 사용자에게 1:1 맞춤형 코칭을 해줄 수도 있으며, 회복 운동에 태만한 사용자에게는 알림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운동을 수행할 것을 독려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운동체크모듈(1151)에 의해 처방되는 운동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U)에 GUI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운동정보수집수단(S)을 통해 수집된 운동수행데이터는 저장부(30)의 운동정보저장모듈(351)에 저장되어 관리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저장된 데이터를 환자의 보호자나, 의료진 등이 열람할 수 있어, 환자가 성실히 재활 운동을 수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복약체크모듈(1152)은, 상기 진단데이터에 따라 관리저장모듈(35)의 복약정보저장모듈(352)로부터 사용자가 복용해야할 약에 관한 복약지도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U)에 전송하고, 상기 복약지도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U)로부터 상기 복약지도데이터에 대한 복약체크데이터를 수신해 사용자의 복약여부를 확인하는 구성을 말한다. 꾸준히 약을 복용해야하는 환자의 경우, 제 시간에 약을 복용하는 것을 잊는 경우가 잦을 수 있는바, 상기 복약체크모듈(1152)은 사용자의 복약 정보를 통해 해당 시간이 되었을 때 사용자단말(U)에 복약 알람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U)로부터 복약체크데이터를 수신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을 복용했는지 여부를 기록해 저장한다. 이러한 기록들은 복약정보저장모듈(352)에 저장이 되어 관리 되는바, 사용자가 정해진 시간에 따라 성실하게 약을 복용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남게 된다. 이러한 자료는 환자뿐만 아니라, 환자의 보호자나, 의사 등도 열람을 할 수 있어 환자가 약을 제 때 잘 복용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증체크모듈(1153)은, 상기 진단데이터에 따라 관리저장모듈(35)의 통증정보저장모듈(353)로부터 통증지표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U)에 전송하고, 상기 통증지표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U)로부터 상기 통증지표데이터에 대한 통증체크데이터를 수신해 사용자의 통증정도를 확인하는 구성을 말한다. 통증지표데이터는 사용자 측에서 통증의 정도를 0에서부터 10까지 정량적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통증이 전혀 없는 경우에는 통증 수치를 '0'으로, 최고로 격렬한 통증의 경우에는 통증 수치를 '10'으로 기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이 느끼는 통증을 체크한 통증체크데이터는 상기 통증체크모듈(1153)을 통해, 저장부(30)의 통증정보저장모듈(353)에 저장되며, 이러한 저장된 통증 관련 정보를 의료진이나 보호자 등이 열람을 할 수 있어, 사용자의 상태를 제3자가 원격지에서도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증체크모듈(1153)에 의해 기록된 통증은 일별, 주별 등 시계열적으로 관리되어 사용자의 회복 상태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영양체크모듈(1154)은, 상기 진단데이터에 따라 관리저장모듈(35)의 영양정보저장모듈(354)로부터 영양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U)에 전송하고, 상기 영양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U)로부터 상기 영양데이터에 대한 영양체크데이터를 수신해 사용자의 영양 섭취 상태를 확인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영양체크모듈(1154)은, 사용자의 상태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영양소에 관한 데이터를 추출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U)에 전송하게 되는데, 상기 영양데이터에는 사용자가 섭취해야하는 음식에 관한 정보만이 나타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섭취를 피해야하는 음식에 관한 정보만이 나타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제한없이 수많은 음식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을 체크하거나 기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영양체크모듈(1154)은 사용자가 체크 또는 기록한 영양체크데이터를 수신해 저장부(30)의 영양정보저장모듈(354)에 저장을 하게 되고, 이러한 영양 정보는 보호자나 의사 등도 열람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영양체크모듈(1154)을 통해 사용사의 영양 섭취 상태는 체계적으로 기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알림모듈(116)은, 상기 사용자관리모듈(115)과 연결되어, 상기 관리데이터와 상기 피드백데이터를 비교 분석해 알림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단말(U)에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관리데이터에는 운동처방데이터, 복약지도데이터, 통증지표데이터, 영양데이터 등이 포함되고, 상기 피드백데이터에는 운동수행데이터, 복약체크데이터, 통증체크데이터, 영양체크데이터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에게 맞춤형 운동이 처방된 경우, 상기 알림모듈(116)은 운동처방데이터와 그에 대한 사용자단말(U)로부터 수신된 운동수행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처방된 운동을 제대로 수행했는지 여부를 비교 분석해, 운동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았다면, 운동을 제대로 수행하라는 격려 알림을 보내거나, 운동을 제대로 수행했다면 이를 칭찬하는 알림을 보낼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복약지도데이터와 복약체크데이터를 비교 분석해 제 시간에 약을 복용할 것 알리거나, 꾸준히 약을 잘 복용하고 있다는 알림을 보낼 수도 있다. 또한, 통증지표데이터와 통증체크데이터를 비교해, 통증이 심해지고 있으니 병원을 방문하라는 알림을 보내거나, 회복 경과가 좋다는 알림을 보낼 수도 있고, 영양데이터와 영양체크데이터를 비교해, 필수 영양소의 섭취가 부족하니 특정 영양소의 섭취를 늘리라는 알림을 보내거나, 몸에 좋지 않는 영양의 섭취를 줄이라고 하거나, 균형 잡힌 영양 섭취가 계속되고 있으니 이를 유지하라는 알림을 보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림모듈(116)에 의한 알림은 시각 및/또는 청각적인 메시지의 형태로 사용자단말(U)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진료부(13)는, 사용자단말(U)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질환을 판단하고 판단된 질환에 따라 원격진료를 수행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스마트진료부(13)는, 질환평가데이터를 사용자단말(U)에 전송하고, 사용자단말(U)로부터 동작데이터를 수신해 분석하여 모니터링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전문시설 등에 방문하지 않더라도, 가정에서도 운동학적 평가를 받아 자신의 신체에 문제가 있는 질환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어에는 관리와 진료의 개념이 모두 포함되며, 상기 스마트관리부(11)에 의해 사용자의 관리가 이루어졌다면, 상기 스마트진료부(13)에 의해서는 사용자의 진료가 가능해 진다. 도 10은 스마트진료부(13)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러한 상기 스마트진료부(13)는, 질환체크모듈(131), 동작모니터링모듈(132), 자가문진모듈(133), 챗봇모듈(134), 원격진료모듈(135)을 포함한다.
상기 질환체크모듈(131)은, 저장부(30)의 질환평가저장모듈(35)로부터 질환평가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U)에 전송하고, 상기 질환평가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U)로부터 상기 질환평가데이터에 대한 동작데이터를 수신해 분석하여 모니터링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을 말한다. 예를 들어, 오십견은 어깨 관절의 윤활 주머니가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면서 염증을 유발하는 질병을 말하는데, 환자가 병원을 방문했을 때, 의사는 오십견 질환을 확인할 수 있는 동작을 환자에게 취해보라고 하고, 이때 환자가 제대로된 동작을 하지 못할 경우, 오십견 질환이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결국, 질환 진단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고 수행된 동작의 정확한 체크가 가능하다면, 해당 질환이 있는지 여부를 굳이 병원 등에 가지 않더라도 확인할 수 있는바, 본원발명은 상기 질환체크모듈(131)을 구성해 가정 등에서도 사용자의 질환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위해 상기 질환체크모듈(131)은 저장부(30)의 질환평가저장모듈(36)과 연결이 되어 질환 평가를 위한 데이터를 사용자단말(U)에 전송하고, 사용자가 신체에 운동정보수집수단(S)을 착용하고 특정 동작을 취했을 때의 어깨 각도 등을 사용자단말(U)로부터 수신해 분석하게 된다.
상기 동작모니터링모듈(132)은, 상기 질환체크모듈(131)과 연결되어 상기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집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11은 질환체크모듈(131)에 의해 사용자단말(U)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질환이 있음을 판명 내리기 위해서는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동작을 취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질환체크모듈(131)이 생성한 모니터링데이터는 상기 동작모니터링모듈(132)에 수집되게 되고, 수집된 모니터링데이터는 저장부(30)의 동작저장모듈(37)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렇게 수집된 모니터링데이터는 후술할 자가문진에 의한 응답데이터, 질문데이터, 답변데이터와 결합되어 원료 진료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자가문진모듈(133)은, 저장부(30)의 자가문진저장모듈(31)로부터 자가문진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U)에 전송하고, 상기 자가문진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U)로부터 상기 자가문진데이터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자가문진모듈(133)은 상기 스마트관리부(11)의 자가문진모듈(111)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0)의 자가문진저장모듈(31)과 연결되어, 상기 자가문진저장모듈(31)로부터 자가문진 항목을 추출해 사용자단말(U)에 전달할 수 있고, 해당 문진 항목에 대한 사용자단말(U)의 응답을 수집해 자가문진저장모듈(31)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챗봇모듈(134)은, 상기 사용자단말(U)로부터 질문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질문데이터를 분석해 저장부(30)의 답변저장모듈(36)로부터 답변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U)에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챗봇모듈(134)을 구성해, 사용자단말(U)이 전송한 질문데이터를 분석해 그 의도를 파악하고, 그와 관련된 데이터를 찾아 사용자단말(U) 측에 답변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단말(U) 측에서 궁금해 하는 것에 대한 응답을 빠르게 자동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질문데이터와 답변데이터를 종합해 높은 수준의 원격진료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챗봇모듈(134)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0)의 답변저장모듈(38)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원격진료모듈(135)은, 상기 동작모니터링모듈(132), 상기 자가문진모듈(133) 및 상기 챗봇모듈(134)과 연결되어, 상기 모니터링데이터, 상기 응답데이터, 상기 질문데이터 및 상기 답변데이터를 분석하고, 저장부(30)의 진료저장모듈(37)로부터 진료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U)에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원격진료모듈(135)에 의하면, 사용자는 병원 등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시스템 상에서 안내하는 질환 체크 동작에 따라 동작을 취해 동작에 관한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하고, 문진표에 대한 자가 문진을 수행하며,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을 자유롭게 주고 받음으로써,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질환에 대한 정확한 진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실제 병원 등을 방문해 의료진으로부터 진료를 받는 것과 동일한 진료 행위를 원격으로 받게 되며, 병원에서 오랜 시간 자신의 차례가 올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고,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진료를 받아볼 수 있다. 도 12는 원격진료모듈(135)에 의해 사용자단말(U)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는 오십견 질환에 대한 진료 결과를 도 12에 나타난 화면과 같이 받아볼 수 있다.
상기 저장부(30)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부(10)와 연결된다. 사용자단말(U)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들은 상기 서버부(10)로 수신되어 상기 저장부(3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단말(U) 뿐만 아니라, 보호자나 의료진 단말이 상기 서버부(10)를 통해 상기 저장부(30)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열람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버부(10)는 상기 저장부(30)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U)은 물론, 보호자, 의료진 단말 등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사용자와 관련 있는 자들, 예를 들어, 보호자, 배우자, 가족, 의료진 등이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30)는, 자가문진저장모듈(31), 운동평가저장모듈(32), 분석저장모듈(33), 진단저장모듈(34), 관리저장모듈(35), 질환평가저장모듈(36), 답변저장모듈(37), 진료저장모듈(39)을 포함한다.
상기 자가문진저장모듈(31)은, 자가문진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스마트관리부(11)의 자가문진모듈(111)과 연결되어 상기 자가문진모듈(111)에 자가문진데이터를 제공하고, 사용자단말(U)로부터 상기 자가문진모듈(111)에 수신된 응답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자가문진데이터는 앞서 설명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U)에 문진 문항을 제공하기 위한 관련 데이터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운동평가저장모듈(32)은, 운동평가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어 상기 스마트관리부(11)의 자가진단모듈(112)과 연결되어 상기 자가진단모듈(112)에 운동평가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단말(U)로부터 상기 자가진단모듈(112)에 수신된 운동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운동평가데이터는 예를 들어, 무릎각도를 측정하거나, 발목각도를 측정하거나, 보행을 측정하거나, 어깨 각도를 측정하는 등, 사용자단말(U)에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각종 데이터들을 의미한다.
상기 분석저장모듈(33)은, 상기 분석모듈(113)과 연결된 구성으로, 분석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있어 상기 분석모듈(113)에 분석알고리즘을 제공하고, 상기 분석모듈(113)에 의한 분석데이터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사용자단말(U)을 통해 분석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진단저장모듈(34)은, 상기 진단모듈(114)과 연결되며, 진단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진단모듈(114)의 요청이 있으면, 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진단데이터는,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과 관련된 데이터 모두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저장모듈(35)은, 상기 사용자관리모듈(115)과 연결되는 구성으로, 관리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관리모듈(115)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관리데이터를 상기 사용자관리모듈(115)에 전송한다. 이러한 상기 관리저장모듈(35)은, 운동정보저장모듈(351), 복약정보저장모듈(352), 통증정보저장모듈(353), 영양정보저장모듈(354)을 포함한다.
상기 운동정보저장모듈(351)은, 운동처방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운동체크모듈(1151)과 연결되어, 상기 운동체크모듈(1151)의 요청이 있으면, 저장된 운동처방데이터를 상기 운동체크모듈(1151)에 제공하는 구성을 말한다. 또한 상기 운동정보저장모듈(351)은, 상기 운동체크모듈(1151)이 사용자단말(U)로부터 수신한 운동수행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이외의 제3자가 상기 운동정보저장모듈(351)에 저장된 데이터를 열람함으로써, 사용자가 회복을 위한 운동을 꾸준히 수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리치료사 등은 환자의 상태에 맞게 상기 운동처방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사용자단말(U)에 제공되는 운동 내용을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복약정보저장모듈(352)은, 복약지도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복약체크모듈(1152)과 연결되어, 상기 복약체크모듈(1152)의 요청시 저장하고 있던 복약지도데이터를 제공해주는 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약체크모듈(1152)은 사용자단말(U)로부터 복약체크데이터를 수신하는바, 수신된 복약체크데이터는 상기 복약정보저장모듈(352)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의료진 등은 상기 복약정보저장모듈(352)을 업데이트해 상기 복약지도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도 있고, 상기 복약정보저장모듈(352)에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해, 환자의 복약 상태를 점검할 수도 있다.
상기 통증정보저장모듈(353)은, 상기 통증체크모듈(1153)과 연결되는 구성으로, 통증지표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통증체크모듈(1153)의 요청이 있으며, 저장하고 있던 통증지표데이터를 제공해 준다. 또한, 상기 통증체크모듈(1153)이 사용자단말(U)로부터 통증체크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통증체크데이터를 저장해 통증에 관한 시계열적 변화 양상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의사 등은 상기 통증정보저장모듈(353)에 기록된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환자의 회복 추이를 원격에서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영양정보저장모듈(354)은, 상기 영양체크모듈(1154)와 연결이 되며, 영양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영양체크모듈(1154)의 요청에 따라 저장하고 있던 영양데이터를 제공하는 구성을 말한다. 또한, 이러한 영양데이터에 대한 사용자단말(U)의 피드백데이터인 영양체크데이터가 상기 영양체크모듈(1154)에 수신이 되면, 이 데이터를 저장하게 되는바, 사용자의 식단을 관리하는 자 등은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해 사용자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식단을 제안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잘못된 식습관을 고쳐 바로잡을 수도 있다.
상기 질환평가저장모듈(36)은, 질환평가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구성으로, 상기 스마트진료부(13)의 질환체크모듈(131)과 연결된다. 상기 질환체크모듈(131)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질환평가저장모듈(36)은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가운데 특정 질환평가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에게 오십견 질환이 있는지 확인하고 싶어할 경우, 상기 질환평가저장모듈(36)은 오십견을 평가하기 위한 도 11과 같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동작저장모듈(37)은, 상기 동작모니터링모듈(132)에 연결이 되어 상기 동작모니터링모듈(132)에 수집된 모니터링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동작저장모듈(37)에 저장된 모니터링데이터는 원료 진료를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답변저장모듈(38)은, 질문데이터에 대한 답변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구성으로, 상기 챗봇모듈(134)과 연결되어 상기 챗봇모듈(134)에 수신된 질문데이터에 대응되는 답변을 상기 챗봇모듈(134)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단말(U)이 전송한 질문에 대한 자동 답변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진료저장모듈(39)은, 상기 스마트진료부(13)의 원격진료모듈(135)과 연결되는 구성으로, 진료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원격진료모듈(135)에 의해 상기 모니터링데이터, 상기 응답데이터, 상기 질문 및 답변데이터가 분석이 되면, 상기 원격진료모듈(135)이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정보를 상기 진료저장모듈(39)에 요청하게 되고, 상기 진료저장모듈(39)은 저장된 데이터 가운데, 상기 원격진료모듈(135)이 요청한 데이터를 제공해 상기 사용자단말(U)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10: 서버부
11: 스마트관리부
111: 자가문진모듈
112: 자가진단모듈
113: 분석모듈
114: 진단모듈
115: 사용자관리모듈
1151: 운동체크모듈
1152: 복약체크모듈
1153: 통증체크모듈
1154: 영양체크모듈
116: 알림모듈
13: 스마트진료부
131: 질환체크모듈
132: 동작모니터링모듈
133: 자가문진모듈
134: 챗봇모듈
135: 원격진료모듈
30: 저장부
31: 자가문진저장모듈
32: 운동평가저장모듈
33: 분석저장모듈
34: 진단저장모듈
35: 관리저장모듈
351: 운동정보저장모듈
352: 복약정보저장모듈
353: 통증정보저장모듈
354: 영양정보저장모듈
36: 질환평가저장모듈
37: 동작저장모듈
38: 답변저장모듈
39: 진료저장모듈
10: 서버부
11: 스마트관리부
111: 자가문진모듈
112: 자가진단모듈
113: 분석모듈
114: 진단모듈
115: 사용자관리모듈
1151: 운동체크모듈
1152: 복약체크모듈
1153: 통증체크모듈
1154: 영양체크모듈
116: 알림모듈
13: 스마트진료부
131: 질환체크모듈
132: 동작모니터링모듈
133: 자가문진모듈
134: 챗봇모듈
135: 원격진료모듈
30: 저장부
31: 자가문진저장모듈
32: 운동평가저장모듈
33: 분석저장모듈
34: 진단저장모듈
35: 관리저장모듈
351: 운동정보저장모듈
352: 복약정보저장모듈
353: 통증정보저장모듈
354: 영양정보저장모듈
36: 질환평가저장모듈
37: 동작저장모듈
38: 답변저장모듈
39: 진료저장모듈
Claims (18)
- 사용자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하는 서버부와,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일상을 관리하는 스마트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관리부는, 저장부의 자가문진저장모듈로부터 자가문진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자가문진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자가문진데이터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자가문진모듈과, 저장부의 운동평가저장모듈로부터 운동평가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운동평가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운동평가데이터에 대한 운동데이터를 수신하는 자가진단모듈과, 상기 자가문진모듈 및 상기 자가진단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응답데이터 및 상기 운동데이터를 분석해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모듈과, 상기 분석모듈과 연결되어, 생성된 상기 분석데이터에 따라 저장부의 진단저장모듈로부터 진단데이터를 추출하는 진단모듈과, 상기 진단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진단데이터에 따라 저장부의 관리저장모듈로부터 관리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관리데이터에 대한 피드백데이터를 수신해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사용자관리모듈과, 상기 사용자관리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관리데이터와 상기 피드백데이터를 비교 분석해 알림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알림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진단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일상을 케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관리모듈은, 상기 진단데이터에 따라 관리저장모듈의 운동정보저장모듈로부터 사용자에게 필요한 운동에 관한 운동처방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운동처방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운동처방데이터에 대한 운동수행데이터를 수신해 사용자의 운동 수행 여부를 확인하는 운동체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관리모듈은, 상기 진단데이터에 따라 관리저장모듈의 복약정보저장모듈로부터 사용자가 복용해야할 약에 관한 복약지도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복약지도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복약지도데이터에 대한 복약체크데이터를 수신해 사용자의 복약여부를 확인하는 복약체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관리모듈은, 상기 진단데이터에 따라 관리저장모듈의 통증정보저장모듈로부터 통증지표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통증지표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통증지표데이터에 대한 통증체크데이터를 수신해 사용자의 통증정도를 확인하는 통증체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관리모듈은, 상기 진단데이터에 따라 관리저장모듈의 영양정보저장모듈로부터 영양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영양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영양데이터에 대한 영양체크데이터를 수신해 사용자의 영양 섭취 상태를 확인하는 영양체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의 질환을 판단하고 판단된 질환에 따라 원격진료를 수행하는 스마트진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진료부는, 저장부의 질환평가저장모듈로부터 질환평가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질환평가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질환평가데이터에 대한 동작데이터를 수신해 분석하여 모니터링데이터를 생성하는 질환체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진료부는, 상기 질환체크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집하는 동작모니터링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진료부는, 저장부의 자가문진저장모듈로부터 자가문진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자가문진데이터를 전송받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자가문진데이터에 대한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자가문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진료부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질문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질문데이터를 분석해 저장부의 답변저장모듈로부터 답변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챗봇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진료부는, 상기 동작모니터링모듈, 상기 자가문진모듈 및 상기 챗봇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모니터링데이터, 상기 응답데이터, 상기 질문데이터 및 상기 답변데이터를 분석하고, 저장부의 진료저장모듈로부터 진료데이터를 추출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전송하는 원격진료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 제1항, 제7항 내지 제9항, 제10항 및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부는, 사용자에게 착용된 운동정보수집수단이 생성하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1784A KR102472911B1 (ko) | 2020-06-12 | 2020-06-12 |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1784A KR102472911B1 (ko) | 2020-06-12 | 2020-06-12 |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4608A KR20210154608A (ko) | 2021-12-21 |
KR102472911B1 true KR102472911B1 (ko) | 2022-12-05 |
Family
ID=79165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1784A KR102472911B1 (ko) | 2020-06-12 | 2020-06-12 |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291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2278B1 (ko) | 2022-06-28 | 2023-08-29 | 주식회사 원포유 | 센서 플랫폼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1466B1 (ko) * | 2010-01-19 | 2012-08-08 | (주)내안플러스 | 휴대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 |
KR101723849B1 (ko) * | 2014-12-23 | 2017-04-06 | 이희섭 | 사용자 맞춤형 운동 콘텐츠 제공 방법 |
KR20180112429A (ko) * | 2017-04-04 | 2018-10-12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문진데이터를 기초로 한 맞춤형 건강관리시스템 |
KR20190037848A (ko) | 2017-09-29 | 2019-04-08 |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
2020
- 2020-06-12 KR KR1020200071784A patent/KR102472911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4608A (ko) | 2021-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16664B1 (ko) | 온라인 기반의 건강 관리 방법 및 장치 | |
JP4813058B2 (ja) | 人間の生理学的及びコンテキスト情報を検知、受信、導出及び表示する装置 | |
Bergmann et al. | Body-worn sensor design: what do patients and clinicians want? | |
US8870766B2 (en) | Apparatus for providing derived glucose information utilizing non-invasive physiological sensors | |
JP5273893B2 (ja) | 健康及び壮健状態をモニターするシステム | |
US20060183980A1 (en) | Mental and physical health status monitoring, analyze and automatic follow up methods and its application on clothing | |
Teller | A platform for wearable physiological computing | |
CN107106053A (zh) | 用于诊断和验证患者治疗和结果的自动功能测量的方法和装置 | |
US20180060518A1 (en) | Electronic community medical marijuana network | |
KR20110112901A (ko) |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 |
US20180301211A1 (en) | Electronic community medical marijuana network | |
Kajornkasirat et al. | Smart health monitoring system with IoT | |
Bendtsen | Communicating with the minimally conscious: Ethical implications in end-of-life care | |
CN112863679A (zh) | 健康管理小屋用控制系统 | |
Felizardo et al. | E-Health: Current status and future trends | |
Dolicanin et al. | Handbook of research on democratic strategies and citizen-centered E-government services | |
KR20240127917A (ko) | 맞춤형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2472911B1 (ko) |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 |
US11848096B2 (en) | Home visit assessment and decision support system | |
Elkefi | Supporting patients’ workload through wearable devices and mobile health application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 |
KR20230016761A (ko) | 맞춤형 건강 관리 시스템 | |
KR101808836B1 (ko) | 학습 장치, 학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학습 방법 | |
Abeltino et al. | Digital applications for diet monitoring, planning, and precision nutrition for citizens and professionals: a state of the art | |
KR20210135406A (ko) | 원격 의료 상담 시스템 | |
Rajaseskaran et al. | IoT-Based Health Services Framework for Endless Ailment Administration at Remote Area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