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7848A -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848A
KR20190037848A KR1020170127600A KR20170127600A KR20190037848A KR 20190037848 A KR20190037848 A KR 20190037848A KR 1020170127600 A KR1020170127600 A KR 1020170127600A KR 20170127600 A KR20170127600 A KR 20170127600A KR 20190037848 A KR20190037848 A KR 20190037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rvice
biometric data
server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Priority to KR1020170127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7848A/ko
Priority to PCT/KR2018/008926 priority patent/WO2019066241A1/ko
Publication of KR20190037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은 챗봇(chatb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서버,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외부 프로그램과 연동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함으로써, 장소에 제약 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로부터 생체 데이터 입력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며, 사용자 입력뿐 아니라, 측정 기기 또는 외부 프로그램으로부터 생체 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함으로써 편의성이 향상된, 고효율, 고성능, 고활용의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HEALTH CAR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챗봇(chatb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 또는 단말기 내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는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고령화, 소득의 증가 및 웰니스(Wellness) 문화의 확산으로 인해, 의료 패러다임이 치료 중심에서 예방 및 관리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헬스 케어(Health Care) 산업이 주목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의료와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이 융합된 스마트 헬스 케어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스마트 헬스 케어 분야는 의료 서비스를 넘어 스포츠 분야, 일상 생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신뢰도 높고 편리한 데이터 수집을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와 결합된 헬스 케어 시스템의 연구가 진행하고 있다.
한편, 기존의 헬스 케어 시스템은 단순히 개인용 의료기기에 통신기능이 결합된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신속한 생체 데이터 측정 및 계산식 산출 기능만을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산출된 결과 데이터의 분석을 위해서는 전문지식이 요구되므로, 별다른 혜택, 또는 도움을 받지 못하고 대다수의 사용자들이 사용을 중지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속하고 정밀한 생체 데이터의 수집을 위한 고정밀의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결과 데이터 분석이 용이한 고성능의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서비스와 연동이 가능한 고활용의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소의 제약 없이 사용이 가능한 고효율의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은, 단말기 또는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고,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 및 핵심 키워드를 수집하는 메신저 서버, 상기 메신저 서버로부터 수집된 생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 상기 메신저 서버로부터 핵심 키워드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 및 외부 서버로부터 표준 데이터를 검색하여 저장하는 제3 저장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분석 및 가공하여, 상기 메신저 서버로 송신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헬스 케어 시스템의 상기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헬스 케어 시스템의 상기 메신저 서버는 챗봇(chatb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신저 서버는 키워드 추출부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메시지(text message)로부터 상기 생체 데이터 및 상기 핵심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입력 서버 및 측정 기기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저장하는 측정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헬스 케어 시스템의 상기 입력 서버는 식단 데이터, 활동량 데이터, 사용자 신체정보 데이터 및 수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서버는 활동량 데이터, 혈압 데이터, 심박 데이터, 스트레스 지수 데이터, 체지방 데이터, 근육량 데이터, 수면 데이터 및 칼로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헬스 케어 시스템의 상기 입력 서버는 단말기 내에 설치된 외부 메신저(messanger) 또는 외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상기 외부 메신저(messanger) 또는 외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헬스 케어 시스템의 상기 키워드 추출부는 자연어 처리 기술에 의해 상기 생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헬스 케어 시스템의 상기 메신저 서버는 챗봇(chatbot) 서비스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사용자에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의 상기 생체 데이터 수집을 유도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헬스 케어 시스템의 상기 측정 기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헬스 케어 시스템의 상기 측정 기기로부터 측정된 생체 데이터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에 의해 상기 측정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헬스 케어 시스템의 상기 제3 저장부는 외부 서버로부터 웹 검색이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표준 데이터는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database), 기상청 데이터베이스(database), 권장 체지방 기준표, 신장별 권장 체중표, 1일 권장 칼로리 기준표, 권장 근력 기준표, 혈압 수치표 및 맥박 수치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헬스 케어 시스템의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사용자의 건강 패턴을 분석하여 건강 생활 코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서비스 제공부, 사용자의 식단 및 체성분을 분석하여 영양 균형에 맞는 건강 식단을 추천해주는 식단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서비스 제공부, 사용자의 체성분 및 활동 패턴을 분석하여 맞춤형의 활동량 증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 서비스 제공부, 상기 생체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전문의의 소견을 들을 수 있는 전문의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4 서비스 제공부 및 건강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요약하는 건강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5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헬스 케어 시스템의 상기 제2 서비스 제공부는 식단 분석 서비스 및 체형 분석 서비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메신저 서버를 실행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생체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생체 데이터와 연관된 표준 데이터를 검색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생체 데이터 또는 상기 표준 데이터를 분석하는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결과 데이터에 관련된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중 상기 생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서버 내 생체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측정 서버 내 생체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 상기 생체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중 상기 측정 서버 내 생체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챗봇(chatb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메신저 서버에 의해 요청 데이터가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생체 데이터가 포함된 텍스트 메시지(text message)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중 상기 텍스트 메시지(text message)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시, 상기 텍스트 메시지(text message)가 수신될 경우, 키워드 추출부(1110)에 의해 상기 생체 데이터 및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여 입력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중 상기 텍스트 메시지(text message)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시, 상기 텍스트 메시지(text message)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외부 메신저(messanger) 또는 외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부터 키워드 추출부에 의해 상기 생체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중 상기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건강 생활 코칭 서비스, 식단 추천 서비스, 활동량 증진 서비스, 전문의 연계 서비스 및 건강 정보 제공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은 챗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서버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생체 데이터 입력을 유도함으로써, 고성능의 생체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은 키워드 추출부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메시지로부터 생체 데이터 및 핵심 키워드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고효율의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은 외부 프로그램와 연동되는 메신저 서버에 의해, 용이한 생체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고효율의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은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데이터 저장부 및 서비스 제공부에 의해, 장소의 제약 없이 사용이 가능한 고활용의 헬스 케어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은 측정 기기에 의한 생체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므로, 고정밀한 생체 데이터를 수집이 가능한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은 외부 서비스와 연동되는 서비스 제공부에 의해, 다양한 분석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고효율의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헬스 케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의 데이터 저장부 및 서비스 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부들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부들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부들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중 생체 데이터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헬스 케어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헬스 케어 시스템의 메신저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3은 키워드 추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은 메신저 서버(1000), 데이터 저장부(3000) 및 서비스 제공부(50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신저 서버(1000)는 단말기(P)에 의해 실행되거나 또는 단말기(P) 내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P)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기타 정보통신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메신저 서버(1000)는 챗봇(chatb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챗봇(chatbot) 서비스는 대화형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메시지(text message) 내용에 따라 일정한 형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술일 수 있다.
메신저 서버(1000)는 챗봇(chatbot)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생체 데이터의 입력을 유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메신저 서버(1000)는 설정 시간에 생체 데이터 입력을 권유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시간은 사용자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의 메신저 서버(1000)는 챗봇(chatbot) 서비스에 의한 요청 메시지의 전송으로,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피드백을 유도함으로써, 지속적인 생체 데이터 수집을 유도할 수 있다.
메신저 서버(1000)는 생체 데이터의 저장 루트(root)에 따라, 입력 서버(1100) 및 측정 서버(150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서버(1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메시지(text message)로부터 추출된 생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력 서버(1100)는 키워드 추출부(1110)에 의해 생체 데이터 및 핵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키워드 추출부(1110)는 자연어 처리 기술에 의해, 핵심 키워드 중 생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자연어 처리 기술은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메시지(text message)로부터 일생 생활 언어의 형태와 의미, 대화를 분석하여 주요 내용을 단말기로 처리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술일 수 있으며, 핵심 키워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메시지(Text message) 내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키워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 데이터가 식단 데이터일 경우, 핵심 키워드는 날짜, 식단, 시간, 영양성분, 식당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 데이터가 활동 데이터일 경우, 핵심 키워드는 날짜, 행위, 동작 시간, 활동 장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밖에도, 입력 서버(1110)에 저장된 생체 데이터는 식단 데이터, 활동량 데이터, 체성분 데이터 및 수면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입력 서버(1100)는 단말기(P)에 설치된 외부 프로그램과 연동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서버(1100)는 단말기(P)에 설치된 메신저(messanger, T) 및/또는 기타 헬스 케어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A)와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헬스 케어 시스템의 입력 서버(1100)는 단말기(P) 내 설치된 프로그램들(A, T)과 연동이 가능함으로써, 생체 데이터 수집이 용이하며, 후술될 서비스 제공부(5000)의 서비스 제공 시, 확장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5000)에 의한 서비스 제공은 하기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다.
측정 서버(1500)는 측정 기기(D)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정 기기(D)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수 있으며, 측정된 생체 데이터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에 의해 측정 서버(1500)에 송신될 수 있다.
측정 서버(1500)에 저장된 생체 데이터는 활동량 데이터, 혈압 데이터, 심박 데이터, 스트레스 지수 데이터, 체지방 데이터, 근육량 데이터, 수면 데이터 및 칼로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헬스 케어 시스템의 측정 서버(1500)는 측정 기기로부터 측정된 정밀한 생체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고정밀한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서버(1100) 및 측정서버(1500)로부터 수집된 생체 데이터들은 후술될 데이터 저장부(3000)에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의 데이터 저장부 및 서비스 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 저장부(3000)는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데이터 저장소일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3000)는 제1 저장부(3100), 제2 저장부(3300) 및 제3 저장부(3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장부(3100)는 입력 서버(1100) 및/또는 측정 서버(1500)로부터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체 데이터는 데이터 종류에 따라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저장부(3100)에는 체성분 데이터, 영양 데이터, 심박 데이터, 활동량 데이터 수면 데이터 및 혈압 데이터들이 각각 개별 폴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제2 저장부(3300)는 입력 서버(1100)로부터 송신된 생체 데이터를 제외한 핵심 키워드를 저장할 수 있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핵심 키워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메시지(text message)로부터 사용자의 의도를 담은 키워드일 수 있다. 핵심 키워드는 후술될 제3 저장부(3500)의 데이터 검색 시 사용될 수 있다.
제3 저장부(3500)는 외부 서버로부터 표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표준 데이터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준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데이터는 공공 데이터 API 및/또는 분석 DB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저장부(3500)는 외부 서버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건강 상태 분석 시 요구되는 테이블 또는 사용자의 질문으로부터 추출되는 핵심 키워드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검색하여 제공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5000)는 데이터 저장부(100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를 분석 및/또는 가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비스 제공부 (5000)는 데이터 저장부(3000)에 저장된 데이터들의 패턴 분석, 비교 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환경정보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5000)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맞춤형 건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부들을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제1 서비스 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고, 도 6의 (a) 및 (b)들은 제2 서비스 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며, 도 7은 제3 서비스 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부(5000)는 제1 서비스 제공부(5100), 제2 서비스 제공부(5300), 제3 서비스 제공부(5500), 제4 서비스 제공부(5700) 및 제5 서비스 제공부(59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비스 제공부(5100)는 데이터 저장부(3000)에 저장된 식단 데이터, 활동량 데이터, 수면 데이터 및 체성분 데이터들로부터 섭취 칼로리, 활동량 및 수면 정보를 각각 100점 기준의 점수로 환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건강 생활 코칭 서비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서비스 제공부(5100)는 사용자가 본인의 현재 건강 상태를 쉽게 인지 가능하도록 하며, 생활 지수를 도출한 후 저(低) 평가된 생활 지수의 저조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단기 목표를 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회복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비스 제공부(5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들 내의 자신의 건강 상태의 위치를 가늠할 수 있도록 시각화 함으로써, 생활 지수 향상을 위한 동기 부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2 서비스 제공부(5300)는 데이터 저장부(3000)에 저장된 식단 데이터, 체성분 데이터 및 표준 데이터를 바탕으로, 섭취 음식의 영양정보를 분석하여 섭취한 영양소의 종류와 비율을 알려주고 영양 균형에 맞는 건강 식단을 추천해주는 식단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서비스 제공부(5300)는 계산된 상기 섭취 칼로리 및 활동 칼로리와 데이터 저장부(3000)의 제3 저장부(3500)로부터 전송받은 일별 표준 칼로리량을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적정 칼로리의 식단을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식단에 포함된 음식의 칼로리 정보는 제3 저장부(3500)를 통한 식품영양정보DB와의 연동에 의해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체성분 분석 결과에 따라 부족한 영양소가 포함된 식단을 추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최근 섭취 식단 데이터 및 체성분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맞춤형 식단을 추천할 수 있다.
제3 서비스 제공부(5500)는 데이터 저장부(3000)에 저장된 활동량 데이터 및 체성분 데이터들로부터 현재 사용자에게 맞는 활동 가이드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활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미니게임 형식의 활동량 증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3 서비스 제공부(5500)는 섭취 칼로리 대비 일별 표준 칼로리를 비교함으로써, 섭취 칼로리가 표준 칼로리를 초과할 경우, 초과 칼로리량을 소모하기 위한 적정 액티비티(Activity)를 제안할 수 있다. 이때, 적정 액티비티(Activity)는 제3 저장부(3500)에 의해 검색되어 저장된 운동별 칼로리 소모량 테이블 및 기상청DB를 참조하여, 야외 상황을 고려한 최적의 종목으로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체성분 데이터를 바탕으로 초과 칼로리량을 소모하기 위한 적정 액티비티(Activity)의 제안 시, 신체 부위 별 밸런스(balance) 및 난이도를 고려한 맞춤형 액티비티(Activity)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서비스 제공부(5300) 및 제3 서비스 제공부(5500)에서 사용되는 표준 칼로리는 사용자로부터 설정되는 설정 칼로리로 대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은 체형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건강 유지를 목적으로한 사용자뿐 만 아니라, 다이어트를 목적으로 하는 사용자들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4 서비스 제공부(5700)는 데이터 저장부(30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전문의의 소견을 들을 수 있는 전문의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5 서비스 제공부(5900)는 데이터 저장부(3000)의 제3 저장부(3500)에 의해 검색된 최신 건강 뉴스 또는 이슈를 수집 및/또는 요약하여 제공하는 건강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부(5000)로부터 산출된 결과 데이터들은 앞서 설명된 데이터 저장부(3000)와 마찬가지로,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은 장소에 제약 없이 글로벌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은 앞서 개시된 제1 내지 제5서비스 제공부(5100, 5300, 5500, 5700, 5900)뿐 만 아니라, 다양한 생체 데이터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모든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상술하겠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헬스 케어 시스템이 작동될 수 있다. 헬스 케어 시스템은 단말기 내 메신저 서버(1000)의 실행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S1000).
이후, 생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2000).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생체 데이터 수집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중 생체 데이터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메신저 서버(1000)는 측정 서버(1500)로부터 생체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100).
일 실시예에 따라, 측정 서버(1500) 내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상기 생체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3000)에 저장할 수 있다(S2110). 이후, 메신저 서버(1000)는 후술될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정 서버(1500) 내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와 동일한 순서로 생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측정 서버(1500) 내 적어도 하나의 생체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챗봇(chatbot) 서비스에 의해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S2200). 이때,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하고자 하는 생체 데이터가 포함된 피드백 메시지(feedback massage)를 유도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포함한 피드백 메시지(feedback massage)가 수신될 경우(S2200), 키워드 추출부(1110)에 의해 상기 피드백 메시지(feedback massage)로부터 핵심 키워드 및 생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2300). 이때, 키워드 추출부(1110)는 자연어 처리 기술에 의해 생체 데이터 및 핵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포함한 피드백 메시지(feedback massage)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S2110), 키워드 추출부(1110)에 의해 단말기 내 설치된 외부 프로그램으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및 핵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S2310). 이때, 외부 프로그램은 외부 메신저(messager, T) 및/또는 외부 헬스 케어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A)일 수 있다.
이후, 메신저 서버(1000) 또는 외부 프로그램으로부터 추출된 생체 데이터 및 핵심키워드는 데이터 저장부(3000)에 저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생체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부(3000)의 제1 저장부(31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핵심 키워드는 데이터 저장부(3000)의 제2 저장부(330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데이터 저장부(3000)는 표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300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부 서버와 연동된 데이터 저장부(3000)의 제3 저장부(3500)에 표준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표준 데이터는 앞서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생체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준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데이터는 공공 데이터 API 및/또는 분석 DB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3000)에 저장된 생체 데이터, 표준 데이터 및 핵심 키워드들은 서비스 제공부(5000)로 송신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부(5000)는 헬스 케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결과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4000). 예를 들어, 결과 데이터는 섭취 칼로리 및 소모 칼로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출된 결과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부(3000)에 저장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5000)는 도출된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5000). 헬스 케어 서비스는 건강 생활 코칭 서비스, 식단 추천 서비스, 활동량 증진 서비스, 전문의 연계 서비스 및 건강 정보 제공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상기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은 챗봇(chatb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서버,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외부 프로그램과 연동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함으로써, 장소에 제약 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로부터 생체 데이터 입력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며, 사용자 입력뿐 아니라, 측정 기기 또는 외부 프로그램으로부터 생체 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함으로써 편의성이 향상된, 고효율, 고성능, 고활용의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메신저 서버 1100; 입력 서버
1110; 키워드 추출부 1500; 측정 서버
3000; 데이터 저장부 3100; 제1 저장부
3300; 제2 저장부 3500; 제3 저장부
5000; 서비스 제공부 5100; 제1 서비스 제공부
5300; 제2 서비스 제공부 5500; 제3 서비스 제공부
5700; 제4 서비스 제공부 5900; 제5 서비스 제공부

Claims (18)

  1. 단말기 또는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고,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 및 핵심 키워드를 수집하는 메신저 서버;
    상기 메신저 서버로부터 수집된 생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 상기 메신저 서버로부터 핵심 키워드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 및 외부 서버로부터 표준 데이터를 검색하여 저장하는 제3 저장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분석 및 가공하여, 상기 메신저 서버로 송신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는 헬스 케어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서버는 챗봇(chatbot) 서비스를 제공하고,
    키워드 추출부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메시지(text message)로부터 상기 생체 데이터 및 상기 핵심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입력 서버 및
    측정 기기로부터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저장하는 측정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서버는 식단 데이터, 활동량 데이터, 사용자 신체정보 데이터 및 수면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서버는 활동량 데이터, 혈압 데이터, 심박 데이터, 스트레스 지수 데이터, 체지방 데이터, 근육량 데이터, 수면 데이터 및 칼로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서버는 단말기 내에 설치된 외부 메신저(messanger) 또는 외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상기 외부 메신저(messanger) 또는 외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부터 생체 데이터를 추출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추출부는 자연어 처리 기술에 의해 상기 생체 데이터를 추출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서버는 챗봇(chatbot) 서비스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사용자에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되,
    상기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의 상기 생체 데이터 수집을 유도하는 메시지인 헬스 케어 시스템.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기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인 헬스 케어 시스템.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기기로부터 측정된 생체 데이터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에 의해 상기 측정 서버에 저장되는 헬스 케어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저장부는 외부 서버로부터 웹 검색이 가능하고,
    상기 표준 데이터는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database), 기상청 데이터베이스(database), 권장 체지방 기준표, 신장별 권장 체중표, 1일 권장 칼로리 기준표, 권장 근력 기준표, 혈압 수치표 및 맥박 수치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헬스 케어 시스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사용자의 건강 패턴을 분석하여 건강 생활 코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서비스 제공부;
    사용자의 식단 및 체성분을 분석하여 영양 균형에 맞는 건강 식단을 추천해주는 식단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서비스 제공부;
    사용자의 체성분 및 활동 패턴을 분석하여 맞춤형의 활동량 증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 서비스 제공부;
    상기 생체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전문의의 소견을 들을 수 있는 전문의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4서비스 제공부; 및
    건강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요약하는 건강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5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비스 제공부는 식단 분석 서비스 및 체형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
  13. 메신저 서버를 실행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생체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생체 데이터와 연관된 표준 데이터를 검색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생체 데이터 또는 상기 표준 데이터를 분석하는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결과 데이터에 관련된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서버 내 생체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측정 서버 내 생체 데이터가 수신될 경우, 상기 생체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서버 내 생체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챗봇(chatb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메신저 서버에 의해 요청 데이터가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생체 데이터가 포함된 텍스트 메시지(text message)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메시지(text message)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시,
    상기 텍스트 메시지(text message)가 수신될 경우, 키워드 추출부(1110)에 의해 상기 생체 데이터 및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여 입력 서버에 저장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메시지(text message)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시,
    상기 텍스트 메시지(text message)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외부 메신저(messanger) 또는 외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부터 키워드 추출부에 의해 상기 생체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 서버에 저장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건강 생활 코칭 서비스, 식단 추천 서비스, 활동량 증진 서비스, 전문의 연계 서비스 및 건강 정보 제공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헬스 케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70127600A 2017-09-29 2017-09-29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90037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600A KR20190037848A (ko) 2017-09-29 2017-09-29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PCT/KR2018/008926 WO2019066241A1 (ko) 2017-09-29 2018-08-07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600A KR20190037848A (ko) 2017-09-29 2017-09-29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848A true KR20190037848A (ko) 2019-04-08

Family

ID=65903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600A KR20190037848A (ko) 2017-09-29 2017-09-29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37848A (ko)
WO (1) WO2019066241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7566A (ko) 2019-08-28 2021-03-11 주식회사 에버닌 무릎 헬스 케어 시스템
KR20210108604A (ko) * 2020-02-26 2021-09-03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사증후군의 자가관리 지원 서비스 제공시스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210154608A (ko)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에버닌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KR20220159806A (ko) * 2021-05-26 2022-12-05 주식회사 그리다소프트 사용자 건강검진 내역과 챗봇을 활용한 사용자 맞춤 헬스케어 서비스 및 그 방법
KR102522757B1 (ko) * 2022-02-07 2023-04-17 김기훈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1918346B2 (en) 2019-08-12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pulmonary condition assessment
KR102662060B1 (ko) * 2023-05-19 2024-04-30 주식회사 엘에이치생활건강 인공지능 기반 능동형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633B1 (ko) * 2007-07-03 2009-09-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9357921B2 (en) * 2009-10-16 2016-06-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Wearable health monitoring system
KR101231904B1 (ko) * 2011-05-22 2013-02-08 주식회사 머글 스마트 슈즈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KR101775490B1 (ko) * 2015-12-11 2017-09-06 (주)이든이노베이션 케릭터와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건강정보를 입력받고 설명하는 대화형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KR20170084790A (ko) * 2016-01-13 2017-07-21 주식회사 테크인모션 음성 인식 기반의 건강 관리 앱을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8346B2 (en) 2019-08-12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pulmonary condition assessment
KR20210027566A (ko) 2019-08-28 2021-03-11 주식회사 에버닌 무릎 헬스 케어 시스템
KR20210108604A (ko) * 2020-02-26 2021-09-03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사증후군의 자가관리 지원 서비스 제공시스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210154608A (ko)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에버닌 디지털 헬스 케어 시스템
KR20220159806A (ko) * 2021-05-26 2022-12-05 주식회사 그리다소프트 사용자 건강검진 내역과 챗봇을 활용한 사용자 맞춤 헬스케어 서비스 및 그 방법
KR102522757B1 (ko) * 2022-02-07 2023-04-17 김기훈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662060B1 (ko) * 2023-05-19 2024-04-30 주식회사 엘에이치생활건강 인공지능 기반 능동형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66241A1 (ko)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7848A (ko)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N103646366B (zh) 一种互动式自主健康管理系统和方法
US20180240027A1 (en) Systems and techniques for identifying and exploiting relationships between media consumption and health
JP6412429B2 (ja) 栄養摂取量のユーザ特異的な調整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9074867A (zh) 用于提供汇总和连续学习以改善健康结果的系统和方法
Miller et al. A needs assessment, development, and formative evaluation of a health promotion smartphone application for college students
CN107705834A (zh) 一种基于循环神经网络的饮食推荐系统
KR102137076B1 (ko) 스포츠 수강이력관리를 이용한 맞춤형 스포츠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141261A (ko) 개인의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KR101592021B1 (ko) 개인화된 임신, 출산, 산후조리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10088233A (ko) 원격 의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의료 시스템
KR100773107B1 (ko) 온라인을 통한 사용자 목표 단계별 휘트니스 관리시스템
Waltner et al. Personalized dietary self-management using mobile vision-based assistance
CN107658001A (zh) 一种家庭用油健康管理方法和系统
KR102583636B1 (ko) 칼로리를 고려한 사용자 맞춤형 샐러드 메뉴 추천 방법
KR20210052122A (ko) 사용자 맞춤형 식품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73042A (ko) 사용자 건강습관정보 수집을 통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CN114912005A (zh) 运动推荐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335374B1 (ko) 헬스케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10028765A (ko)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건강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52123A (ko) 사용자 맞춤형 식품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20190072137A (ko) 건강관리 프로그램 제공방법
JP6799403B2 (ja) 健康指導支援装置、健康指導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85145B2 (ja) 生活支援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Suh et al. Machine learning-based adaptive wireless interval training guida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