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757B1 -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757B1
KR102522757B1 KR1020220015199A KR20220015199A KR102522757B1 KR 102522757 B1 KR102522757 B1 KR 102522757B1 KR 1020220015199 A KR1020220015199 A KR 1020220015199A KR 20220015199 A KR20220015199 A KR 20220015199A KR 102522757 B1 KR102522757 B1 KR 102522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recommendation
recommendation information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훈
Original Assignee
김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훈 filed Critical 김기훈
Priority to KR1020220015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757B1/ko
Priority to KR1020230048033A priority patent/KR20230119614A/ko
Priority to KR1020230048032A priority patent/KR20230119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Abstract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생체 신호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설문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건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권장되는 헬스케어 제품 및 신체 활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HEALTHCARE SERVICE}
본원은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헬스케어란 의료산업과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의 ICT 기술이 융합된 새로운 개념으로, 기존의 치료/병원 중심에서 사용자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방/소비자 중심의 의료기술 분야이다. ICT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기존의 인구집단에 대한 경험과 근거 중심의 의료서비스 패러다임이 사전 예측과 개인 중심인 사용자 맞춤형 정밀의료 및 예측의료로 변화되고 있고, 모바일 환경의 진화와 웨어러블 기기, 센서 등 다양한 IoT 디바이스의 개발은 건강 관련 데이터와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함으로써 맞춤형 예방, 관리를 실현하는 새로운 헬스케어 패러다임으로 변화를 촉진하고 있다.
한편, 서구적인 식습관으로 인해 최근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 질환자와 비만인이 증가하고 있으며, 고령화 사회로 인해 발생하는 노인의 건강문제, 복잡한 사회 현상으로 인한 스트레스 등이 사회적, 경제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부적절한 생활 습관이 개선되지 않아 사람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는 감소하고 있으며, 불필요한 병원의 내원과 의사 및 건강관리사와 단순히 기억에 의존한 진료 대면을 통해 부정확한 처방과 검사로 인해 과도한 의료비가 지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개개인에 대하여 수집되는 건강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 등을 개선할 수 있는 맞춤형 헬스케어 제품 내지 신체 활동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0679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권장되는 헬스케어 제품, 신체 활동 등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생체 신호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설문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건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권장되는 헬스케어 제품 및 신체 활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형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체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헬스케어 제품에 대한 제1추천 정보 및 상기 신체 활동에 대한 제2추천 정보 간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희망하는 건강 상태 개선 방향과 연계된 목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설문 응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헬스케어 제품 및 신체 활동 중 적어도 하나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추천 정보는 복수의 제품 각각에 대한 상기 건강 데이터를 고려한 추천 스코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추천 정보는 복수의 신체 활동 각각에 대한 상기 건강 데이터를 고려한 우선 순위 정보 및 난이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추천 정보에 대응한 사용자의 제품 선택 입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품 선택 입력에 따른 상기 헬스케어 제품의 구매 링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추천 정보에 대응한 사용자의 활동 참여 입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활동 참여 입력에 따른 상기 신체 활동에 대한 스케줄 정보 및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생체 신호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설문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강 데이터를 획득하는 수집부, 상기 건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권장되는 헬스케어 제품 및 신체 활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매칭부 및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기준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형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부는, 상기 체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헬스케어 제품에 대한 제1추천 정보 및 상기 신체 활동에 대한 제2추천 정보 간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가 희망하는 건강 상태 개선 방향과 연계된 목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설문 응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부는, 상기 목표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헬스케어 제품 및 신체 활동 중 적어도 하나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추천 정보에 대응한 사용자의 제품 선택 입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품 선택 입력에 따른 상기 헬스케어 제품의 구매 링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하는 구매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추천 정보에 대응한 사용자의 활동 참여 입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활동 참여 입력에 따른 상기 신체 활동에 대한 스케줄 정보 및 가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표시하는 활동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권장되는 헬스케어 제품, 신체 활동 등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의 체형 특성을 고려한 헬스케어 제품, 신체 활동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추천 헬스케어 제품의 구매 링크와 신체 활동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헬스케어 서비스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가 목표하는 건강 상태 개선 방향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헬스케어 제품, 신체 활동 등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건강 상태 개선 방향과 연계된 목표 정보를 선택하도록 사용자 단말에 표출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권장되는 헬스케어 제품을 포함하는 추천 정보가 표출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권장되는 신체 활동을 포함하는 추천 정보가 표출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추천 정보에 대응하여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구매 링크 정보와 가이드 정보가 제공되는 프로세스에 대한 세부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시스템(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이하, '서비스 제공 장치(100)'라 한다.), 사용자 단말(200), 측정 디바이스(300) 및 사용자 DB(40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측정 디바이스(300) 및 사용자 DB(400) 상호간은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측정 디바이스(300)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생체 신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면, 손목, 피부 등)에 장착 또는 부착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측정 디바이스(300)로부터 주기적으로 생체 신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생체 신호 정보를 고려하여 헬스케어 제품, 신체 활동 등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자 DB(400)는 본원에서 개시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한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영위하는 사용자의 개인화된 사용자 정보, 건강 데이터, 체형 데이터 등을 수집하여 사용자 별로 저장하는 스토리지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DB(400)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사용자 별로 제공된 헬스케어 제품, 신체 활동 등의 추천 이력, 추천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헬스케어 제품에 대한 구매 정보에 접근한 이력, 실제 구매 이력, 신체 활동 참여 이력 등을 저장 및 관리하는 스토리지 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DB(400)는 본원에서 개시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연동하는 타 헬스케어 서비스와 연계되어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DB(400)가 각 사용자의 헬스 데이터(예를 들면, 인바디 데이터 등)를 수집 및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인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기 구축된 사용자 DB(400)로부터 사용자 각각의 건강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에 부합하는 헬스케어 제품, 신체 활동 등에 대한 맞춤형 추천 정보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체적인 기능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생체 신호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설문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또는 부착된 측정 디바이스(300)로부터 생체 신호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는 방식으로 건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에 대한 생체 신호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별도의 스토리지인 사용자 DB(400)로부터 주기적으로 생체 신호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건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자의 인적 사항, 신체 건강, 정신 건강, 생활 패턴, 질환 유무, 목표 개선 사항 등을 응답할 수 있도록 기 생성된 설문 데이터를 제공하고, 설문 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가 응답한 설문 응답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여 건강 데이터로서 활용할 수 있다.
참고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체 신호 정보 및 설문 응답 정보 중 어느 하나 만을 포함하는 건강 데이터가 획득되는 경우에도 후술하는 추천 정보를 생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나, 획득된 생체 신호 정보 또는 설문 응답 정보에 비추어 사용자의 신체 건강, 정신 건강, 생활 패턴 등이 미리 설정된 수준을 벗어나는 악화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보다 정밀한 사용자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누락된 정보를 우선적으로 획득한 후 생체 신호 정보 및 설문 응답 정보를 모두 고려하여 추천 정보를 생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상태가 미리 설정된 수준을 벗어나는 악화된 상태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획득된 생체 신호 정보의 수치 범주가 해당 사용자의 인적 사항(연령, 성별 등)을 고려하여 비이상적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사용자의 체중이 위험군에 해당하거나 사용자의 설문 응답 정보에 비추어 판단되는 사용자의 정신 건강 상태가 우울감이 과도한 것으로 평가되는 등 부정적인 패턴을 보이는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기준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체형 데이터를 포함하는 건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기 저장된 이미지 또는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 모듈(미도시)을 통해 실시간 촬영되는 사용자의 신체를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를 제공하여 줄 것을 사용자 단말(200)에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된 기준 이미지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체형 특성을 추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물의 신체를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로부터 특정 기준점을 탐색하고, 탐색된 기준점에 따라 이미지에 반영된 신체 부위의 유형 및 규격 특성을 수치화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영상 분석 모델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본원에서 개시하는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에 새로이 참여하게 되면(예를 들면,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의 최초 계정 등록 시점 등), 사용자의 신체를 전체적으로 촬영한 기준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여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신된 기준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드러날 수 있는 영역(예를 들면, 안면 영역, 이미지 내 텍스트 데이터 등)에 대한 비식별화 처리(예를 들면, 마스킹 처리 등)를 수행함으로써 기준 이미지가 체형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위한 목적으로 한정적으로 사용되도록 하여 각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건강 상태 개선 방향과 연계된 목표 정보를 포함하는 설문 응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건강 상태 개선 방향과 연계된 목표 정보를 선택하도록 사용자 단말에 표출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자가 희망하는 건강 상태 개선 방향과 연계된 목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 영역(A)이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희망하는 건강 상태 개선 방향은 '군살 제거', '근육 증가', '슬림 라인', '기초대사량 증가'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획득된 생체 신호 정보, 설문 응답 정보, 체형 데이터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건강 상태 개선 방향에 대한 사용자 입력 영역(A)에 포함되는 선택 목록의 내용과 각 항목의 표출 순서를 사용자에 따라 개인화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생체 신호 정보, 설문 응답 정보, 체형 데이터 등에 비추어 비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사용자에 대하여 표출되는 선택 목록에는 '군살제거', '슬림라인' 등과 같이 다이어트와 연계된 항목이 포함되며, 다른 항목 대비 우선하여 표출 순서가 결정되는 반면, 생체 신호 정보, 설문 응답 정보, 체형 데이터 등에 비추어 저체중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사용자에 대하여 표출되는 선택 목록에는 '기초 대사량 증가', '벌크업' 등과 같이 체중 증량과 연계된 항목이 포함되며, 다른 항목 대비 우선하여 표출 순서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체 신호 정보, 설문 응답 정보, 체형 데이터 등에 비추어 수면, 활동 패턴 등이 불규칙적으로 평가되는 사용자에 대하여 표출되는 선택 목록에는 '생활패턴 개선', '일주기리듬 개선' 등의 항목이 포함되며, 다른 항목 대비 우선하여 표출 순서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희망하는 건강 상태 개선 방향은 해당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포함하도록 촬영된 전술한 기준 이미지 상에서 사용자가 개선하고자 하는 부위(예를 들면, 다이어트 하고 싶은 부위 등)에 대응되는 영역을 국부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이미지를 표출하는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가 옆구리 부위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가 희망하는 건강 상태 개선 방향이 '옆구리살 다이어트'에 부합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후술하는 추천 정보에 포함될 헬스케어 제품 내지 신체 활동의 유형이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집된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권장되는 헬스케어 제품 및 신체 활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성된 추천 정보를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헬스케어 제품은 비타민, 오메가3, 밀크씨슬, 효소 식품, 식이조절 제품, 체중조절 식품, 고객 맞춤형 도시락/식단 등의 건강기능식품을 폭넓게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체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헬스케어 제품에 대한 제1추천 정보 및 신체 활동에 대한 제2추천 정보 간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대적으로 마른 체형으로 분석된 사용자에 대하여는 추천 정보가 표출되는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1추천 정보가 제2추천 정보 대비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추천 정보 간 순서가 결정되거나 제1추천 정보가 차지하는 영역이 제2추천 정보가 차지하는 영역이 넓게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대적으로 체중 감량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된 사용자에 대하여는 추천 정보가 표출되는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2추천 정보가 제1추천 정보 대비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추천 정보 간 순서가 결정되거나 제2추천 정보가 차지하는 영역이 제1추천 정보가 차지하는 영역이 넓게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헬스케어 제품에 대한 제1추천 정보 및 신체 활동에 대한 제2추천 정보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정보를 설문 응답 정보로서 수신하고, 수신된 선호도 정보에 기반하여 추천 정보가 표출되는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추천 정보간의 우선 순위 내지 표출 영역의 크기 등을 가변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된 추천 정보에 대응하여 인가되는 사용자의 제품 선택 입력 및 활동 참여 입력의 간의 인가 비율을 고려하여 추천 정보가 표출되는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추천 정보간의 우선 순위 내지 표출 영역의 크기 등을 가변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헬스케어 제품에 대한 추천 정보에 대한 반응으로서 해당 제품을 실제 구매하거나 해당 제품의 구매 링크에 접근하는 빈도가 추천된 신체 활동에 대한 참여 빈도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이는 사용자에 대하여는 추천 정보가 표출되는 인터페이스 상에서 제1추천 정보가 제2추천 정보 대비 우선하여 노출되도록 추천 정보 간 순서가 결정되거나 제1추천 정보가 차지하는 영역이 제2추천 정보가 차지하는 영역이 넓게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권장되는 헬스케어 제품을 포함하는 추천 정보가 표출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제1추천 정보는 복수의 제품 각각에 대한 건강 데이터를 고려한 추천 스코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제품(도 3의 A) 각각에 대하여 파악된 성분, 효능 등에 대한 제품 특성 데이터와 해당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의 부합 여부를 수치화하여 복수의 제품 각각에 대한 추천 스코어를 산출(도 3의 B)하고, 산출된 추천 스코어의 순위를 고려하여 제1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품에 대한 정보의 표출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사용자가 기 구매한 이력이 존재하는 제품이 추천 정보로서 포함된 경우, 해당 제품의 구매 이력에 대한 정보를 추천 스코어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도 3의 C).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과거 추천 정보 이력이 존재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과거 추천 정보 제공 시 분석에 사용되었던 건강 데이터 대비 현재 시점의 제품 추천에 사용되는 건강 데이터의 변화를 고려하여 제1추천 정보에 새롭게 포함된 제품이 존재하면, 해당 제품이 신규 추천 상품임을 안내하는 정보(도 3의 '신규 추천 상품')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추천 정보에 대응한 사용자의 제품 선택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 선택 입력은 도 3에 도시된 제1추천 정보 표시 인터페이스 상에서 해당 제품의 식별 영역(도 3의 A)를 클릭/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인가된 제품 선택 입력에 따른 헬스케어 제품의 구매 링크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권장되는 신체 활동을 포함하는 추천 정보가 표출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고려하여 추천되는 복수의 신체 활동 각각에 대한 건강 데이터를 고려한 우선 순위 정보 및 난이도 정보를 포함하는 제2추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복수의 신체 활동 중 추천도(부합도)가 가장 높은 순서대로 각 신체 활동에 대한 정보가 우선하여 표시(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상단에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추천 정보에 대응한 사용자의 활동 참여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면, 활동 참여 입력에 따른 신체 활동에 대한 스케줄 정보 및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천 신체 활동에 대한 가이드 정보는 해당 신체 활동을 사용자가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 가이드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제2추천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에는 각 신체 활동의 식별 정보(도 4의 A), 해당 신체 활동에 대한 사용자의 기 참여 이력(도 4의 B), 해당 신체 활동에 대한 1회 참여시 소요되는 예상 시간 정보(도 4의 C), 해당 신체 활동에 대한 난이도 정보(도 4의 D)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수집부(110), 매칭부(120), 출력부(130), 구매 정보 제공부(140) 및 활동 가이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110)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생체 신호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설문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집부(110)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110)는 수신한 기준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체형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집부(110)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건강 상태 개선 방향과 연계된 목표 정보를 포함하는 설문 응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매칭부(120)는 획득한 건강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권장되는 헬스케어 제품 및 신체 활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칭부(120)는 사용자에 대하여 분석된 체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헬스케어 제품에 대한 제1추천 정보 및 신체 활동에 대한 제2추천 정보 간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칭부(120)는 복수의 제품 각각에 대한 건강 데이터를 고려한 추천 스코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1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신체 활동 각각에 대한 건강 데이터를 고려한 우선 순위 정보 및 난이도 정보를 포함하는 제2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칭부(120)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건강 상태 개선 방향과 연계된 목표 정보를 고려하여 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헬스케어 제품 및 신체 활동 중 적어도 하나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생성된 추천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구매 정보 제공부(140)는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된 추천 정보에 대응한 사용자의 제품 선택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구매 정보 제공부(140)는 사용자의 제품 선택 입력에 따른 헬스케어 제품의 구매 링크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활동 가이드부(150)는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된 추천 정보에 대응한 사용자의 활동 참여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활동 가이드부(150)는 사용자의 활동 참여 입력에 따른 신체 활동에 대한 스케줄 정보 및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수집부(110)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생체 신호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설문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1에서 수집부(110)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1에서 수집부(110)는 수신한 기준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체형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1에서 수집부(110)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건강 상태 개선 방향과 연계된 목표 정보를 포함하는 설문 응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 매칭부(120)는 획득한 건강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권장되는 헬스케어 제품 및 신체 활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2에서 매칭부(120)는 사용자에 대하여 분석된 체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헬스케어 제품에 대한 제1추천 정보 및 신체 활동에 대한 제2추천 정보 간의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2에서 매칭부(120)는 복수의 제품 각각에 대한 건강 데이터를 고려한 추천 스코어 정보를 포함하는 제1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2에서 매칭부(120)는 복수의 신체 활동 각각에 대한 건강 데이터를 고려한 우선 순위 정보 및 난이도 정보를 포함하는 제2추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12에서 매칭부(120)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건강 상태 개선 방향과 연계된 목표 정보를 고려하여 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헬스케어 제품 및 신체 활동 중 적어도 하나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3에서 출력부(130)는 생성된 추천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3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7은 추천 정보에 대응하여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구매 링크 정보와 가이드 정보가 제공되는 프로세스에 대한 세부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구매 링크 정보와 가이드 정보가 제공되는 프로세스는 앞서 설명된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7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141에서 구매 정보 제공부(140)는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된 추천 정보에 대응한 사용자의 제품 선택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51에서 구매 정보 제공부(140)는 단계 S141을 통해 인가된 제품 선택 입력에 따른 헬스케어 제품의 구매 링크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42에서 활동 가이드부(150)는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된 추천 정보에 대응한 사용자의 활동 참여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52에서 활동 가이드부(150)는 단계 S142를 통해 인가된 활동 참여 입력에 따른 신체 활동에 대한 스케줄 정보 및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41 내지 S152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시스템
100: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110: 수집부
120: 매칭부
130: 출력부
140: 구매 정보 제공부
150: 활동 가이드부
200: 사용자 단말
300: 측정 디바이스
400: 사용자 DB
20: 네트워크

Claims (8)

  1.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생체 신호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설문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건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권장되는 헬스케어 제품 및 신체 활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건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준 이미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드러날 수 있는 미리 설정된 영역에 대한 비식별화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형 데이터를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가 희망하는 건강 상태 개선 방향과 연계된 목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 영역이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생체 신호 정보, 상기 설문 응답 정보 및 상기 체형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영역에 포함되는 선택 목록의 내용 및 표출 순서를 상기 사용자에 따라 개인화하고, 상기 사용자가 희망하는 건강 상태 개선 방향과 연계된 목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설문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희망하는 건강 상태 개선 방향은,
    상기 기준 이미지 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개선하고자 하는 부위에 대응되는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설정되고,
    상기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체 신호 정보 및 상기 설문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미리 설정된 수준을 벗어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누락된 정보를 우선적으로 획득한 후 상기 생체 신호 정보 및 상기 설문 응답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추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체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헬스케어 제품에 대한 제1추천 정보 및 상기 신체 활동에 대한 제2추천 정보 간의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제1추천 정보는,
    복수의 상기 헬스케어 제품 각각에 대하여 파악된 제품 특성 데이터와 상기 건강 데이터의 부합 여부를 수치화하여 상기 복수의 헬스케어 제품 각각에 대해 산출된 추천 스코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스코어 정보의 순위를 고려하여 상기 제1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헬스케어 제품에 대한 정보의 표출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구매 이력이 존재하는 상기 헬스케어 제품이 상기 제1추천 정보에 포함되면, 상기 구매 이력에 대한 정보가 상기 추천 스코어와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에 제1추천 정보 이력이 존재하고, 상기 제1추천 정보 이력에 대응하는 제1추천 정보를 생성하는데 기초되었던 건강 데이터 대비 상기 제1추천 정보를 생성하는데 기초되는 상기 건강 데이터의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제1추천 정보에 새롭게 포함된 상기 헬스케어 제품이 존재하면, 상기 새롭게 포함된 헬스케어 제품이 신규 추천 상품임을 안내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2추천 정보는,
    복수의 신체 활동 각각에 대한 상기 건강 데이터를 고려한 우선 순위 정보 및 난이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신체 활동 중 추천도가 가장 높은 순서대로 각 신체 활동에 대한 정보가 우선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헬스케어 제품 및 신체 활동 중 적어도 하나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방법.
  5.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되는 생체 신호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설문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건강 데이터를 획득하는 수집부;
    상기 건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권장되는 헬스케어 제품 및 신체 활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매칭부; 및
    상기 추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되,
    상기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기준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기준 이미지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드러날 수 있는 미리 설정된 영역에 대한 비식별화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기준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형 데이터를 도출하고,
    상기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가 희망하는 건강 상태 개선 방향과 연계된 목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 영역이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생체 신호 정보, 상기 설문 응답 정보 및 상기 체형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 영역에 포함되는 선택 목록의 내용 및 표출 순서를 상기 사용자에 따라 개인화하고, 상기 사용자가 희망하는 건강 상태 개선 방향과 연계된 목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설문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희망하는 건강 상태 개선 방향은,
    상기 기준 이미지 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개선하고자 하는 부위에 대응되는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설정되고,
    상기 매칭부는,
    상기 생체 신호 정보 및 상기 설문 응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미리 설정된 수준을 벗어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누락된 정보를 우선적으로 획득한 후 상기 생체 신호 정보 및 상기 설문 응답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추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매칭부는,
    상기 체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헬스케어 제품에 대한 제1추천 정보 및 상기 신체 활동에 대한 제2추천 정보 간의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제1추천 정보는,
    복수의 상기 헬스케어 제품 각각에 대하여 파악된 제품 특성 데이터와 상기 건강 데이터의 부합 여부를 수치화하여 상기 복수의 헬스케어 제품 각각에 대해 산출된 추천 스코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부는,
    상기 추천 스코어 정보의 순위를 고려하여 상기 제1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헬스케어 제품에 대한 정보의 표출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구매 이력이 존재하는 상기 헬스케어 제품이 상기 제1추천 정보에 포함되면, 상기 구매 이력에 대한 정보가 상기 추천 스코어와 함께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에 제1추천 정보 이력이 존재하고, 상기 제1추천 정보 이력에 대응하는 제1추천 정보를 생성하는데 기초되었던 건강 데이터 대비 상기 제1추천 정보를 생성하는데 기초되는 상기 건강 데이터의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제1추천 정보에 새롭게 포함된 상기 헬스케어 제품이 존재하면, 상기 새롭게 포함된 헬스케어 제품이 신규 추천 상품임을 안내하는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2추천 정보는,
    복수의 신체 활동 각각에 대한 상기 건강 데이터를 고려한 우선 순위 정보 및 난이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부는,
    상기 복수의 신체 활동 중 추천도가 가장 높은 순서대로 각 신체 활동에 대한 정보가 우선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상기 목표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추천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헬스케어 제품 및 신체 활동 중 적어도 하나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장치.
  8. 삭제
KR1020220015199A 2022-02-07 2022-02-07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22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199A KR102522757B1 (ko) 2022-02-07 2022-02-07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230048033A KR20230119614A (ko) 2022-02-07 2023-04-12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230048032A KR20230119613A (ko) 2022-02-07 2023-04-12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199A KR102522757B1 (ko) 2022-02-07 2022-02-07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032A Division KR20230119613A (ko) 2022-02-07 2023-04-12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230048033A Division KR20230119614A (ko) 2022-02-07 2023-04-12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757B1 true KR102522757B1 (ko) 2023-04-17

Family

ID=8612827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199A KR102522757B1 (ko) 2022-02-07 2022-02-07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230048032A KR20230119613A (ko) 2022-02-07 2023-04-12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230048033A KR20230119614A (ko) 2022-02-07 2023-04-12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032A KR20230119613A (ko) 2022-02-07 2023-04-12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230048033A KR20230119614A (ko) 2022-02-07 2023-04-12 사용자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227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33401A (ja) * 2011-11-15 2014-12-11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ダイエット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90037848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066405A (ko) * 2018-11-30 2020-06-1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신체 모델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10053026A (ko) *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와이즈셀렉션 건강기능식품과 영양성분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35374B1 (ko) * 2021-05-31 2021-12-06 주식회사 써클인컴퍼니 헬스케어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33401A (ja) * 2011-11-15 2014-12-11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ダイエット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90037848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헬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00066405A (ko) * 2018-11-30 2020-06-10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신체 모델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10053026A (ko) *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와이즈셀렉션 건강기능식품과 영양성분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35374B1 (ko) * 2021-05-31 2021-12-06 주식회사 써클인컴퍼니 헬스케어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613A (ko) 2023-08-16
KR20230119614A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eenwood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reviews evaluating technology-enabled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and support
Litchman et al. Twitter analysis of# OpenAPS DIY artificial pancreas technology use suggests improved A1C and quality of life
Knofczynski et al. Sample sizes when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for prediction
Manson et al.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a fresh look at its high toll
Leigh et al. Physician wages across specialties: informing the physician reimbursement debate
Cunningham et al. Ability to obtain medical care for the uninsured: how much does it vary across communities?
Locke et al. Optimizing patient/caregiver satisfaction through quality of communication in the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Waki et al. DialBetics with a multimedia food recording tool, FoodLog: smartphone-based self-management for type 2 diabetes
Soliman et al. Understanding perceived barriers of minority medical students pursuing a career in dermatology
An et al. A randomized trial of a pay-for-performance program targeting clinician referral to a state tobacco quitline
Scourboutakos et al. Restaurant meals: Almost a full day’s worth of calories, fats, and sodium
Mehta et al. Association of patient case-mix adjustment, hospital process performance rankings, and eligibility for financial incentives
Deaton On death and money: history, facts, and explanations
US20160171180A1 (en) Incentivized wellness behavior modification
WO20162008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virtual clinical trial self-recruitment marketplace for patients based on behavioral stratification, patient engagement and patient management during clinical trials using behavioral analytics, gamification and cognitive techniques
Johnson et al. Sodium content of lunchtime fast food purchases at major US chains
US20190005201A1 (en) Cognitive diabetic regulator
US20220084646A1 (en) Digital therapeutic systems and methods
KR20120108543A (ko) 대사증후군을 위한 맞춤형 통합 스마트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
Nguyen et al. Social risk adjustment of quality measures for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a commercially insured US population
Jung Digital health care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ghbali-Zarch et al. A Markov decision process for modeling adverse drug reactions in medication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Whittemore et al. An umbrella review of text message programs fo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Pittoli et al. An intelligent system for prognosis of noncommunicable diseases’ risk factors
Flores et al. Major depressive episode severity among adults from marginalized racial and ethnic backgrounds in the 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