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0319A -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0319A
KR20230010319A KR1020210090724A KR20210090724A KR20230010319A KR 20230010319 A KR20230010319 A KR 20230010319A KR 1020210090724 A KR1020210090724 A KR 1020210090724A KR 20210090724 A KR20210090724 A KR 20210090724A KR 20230010319 A KR20230010319 A KR 20230010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ounting device
stanchion
mounting
stanch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선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0319A/ko
Priority to US17/496,088 priority patent/US11584283B2/en
Priority to CN202111228553.9A priority patent/CN115610299A/zh
Publication of KR20230010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3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62D31/025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having modular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6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 B62D27/065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eadily releasable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운행 중 스탠션 파이프와 마운팅 장치 사이에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의 정숙성 및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스탠션 파이프의 마운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탠션 파이프의 상단부를 차체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마운팅하는 상부 마운팅 장치; 및 스탠션 파이프의 하단부를 차체 하부에 상하 유동 가능하게 마운팅하는 하부 마운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마운팅 장치는, 상기 차체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제1 마운팅 브라켓; 및 상기 스탠션 파이프의 상단부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마운팅 브라켓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는 나사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Mounting device for stanchion pip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탠션 파이프를 버스 차체의 플로어와 루프에 결합하여 마운팅하는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승객 수송을 목적으로 하는 버스의 내부에는 승객 안전을 위해 실내 기둥 구조물의 일종인 스탠션 파이프(stanchion pipe)가 설치되어 있다. 스탠션 파이프는 버스의 출입구 내측이나 실내 통로 등에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고, 버스 차체의 플로어(floor)와 루프(roof)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스탠션 파이프는 하단부와 상단부가 각각 차체의 플로어와 루프에 마운팅되며, 전체가 수직방향으로 길게 세워지도록 연장된 구조로 설치되거나, 전체 중 일부, 예를 들어 상부 구간의 일부는 경사방향으로, 나머지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탠션 파이프는 차체의 외형 유지를 위한 기둥 구조물 및 승객의 안전을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하며, 실내 통로에 서있거나 지나는 승객의 안전을 위해 복수 개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상의 버스 차체에서 플로어와 루프 사이의 높이가 제조 산포에 의해 공차가 있을 수 있는데, 스탠션 파이프의 조립 시 높이 공차를 흡수할 수 있도록 스탠션 파이프는 차체의 플로어 및 루프에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마운팅된다. 즉, 스탠션 파이프의 양측 단부가 차체(플로어와 루프)에 마운팅됨에 있어 마운팅 장치에 의해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마운팅되는 것이다.
또한, 버스와 같은 대형 차체 구조물의 경우, 주행 중 노면 굴곡에 따라 플로어와 루프 등이 탄성 변형되고, 이러한 차체의 탄성 변형에 연동하여 스탠션 파이프의 양측 단부를 마운팅하기 위해 플로어와 루프에 각각 설치된 두 마운팅 장치(또는 플로어와 루프) 간에 상대적 변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이 공차를 흡수할 목적 외에도, 스탠션 파이프의 단부를 마운팅 장치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하거나, 또는 마운팅 장치를 차체에 슬라이딩 및 유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차체의 탄성 변형 시 상기와 같은 상대적 변위 발생을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탠션 파이프의 상부 마운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은 스탠션 파이프의 상단부가 상부 마운팅 장치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마운팅 브라켓(2)의 파이프 형상부(3)에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가 고정 결합되는데, 상부 마운팅 브라켓(2)의 파이프 형상부(3) 내측으로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파이프 형상부(3)와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 양측을 관통하도록 복수 개의 스크류(4)를 체결함으로써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와 파이프 형상부(3)가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부 마운팅 브라켓(2)의 상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장방형 개방 구조의 홀(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마운팅 브라켓(2)의 상부가 상기 홀(2a)을 통해 루프의 결합부(미도시)에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별개로 미도시된 하부 마운팅 장치가 차체의 플로어에 고정된 상태에서 스탠션 파이프의 하단부가 하부 마운팅 장치에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마운팅된다. 이로써, 플로어와 루프 사이의 높이 공차가 흡수될 수 있고, 차체의 탄성 변형 시 상, 하부 마운팅 장치 간 상대적 변위가 흡수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탠션 파이프 마운팅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종래의 스탠션 파이프 마운팅 장치에서는 스탠션 파이프의 하단부가 차체 플로어에 고정된 하부 마운팅 장치에 상하로 슬라이딩 및 유동 가능한 구조로 마운팅되고,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가 상부 마운팅 브라켓(2)에 일체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마운팅 브라켓이 루프에 상하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 외주면과 상부 마운팅 브라켓(2)의 파이프 형상부(3) 내주면 사이에는 조립 갭(gap)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마운팅 구조에서는 차량 운행 중 차체의 탄성 변형 및 마운팅 포인트의 변위 발생 시 상부 마운팅 장치에 많은 하중이 작용하고, 특히 스탠션 파이프(1)와 상부 마운팅 장치의 파이프 형상부(3) 간 스크류 체결 부위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스크류(4)가 체결된 스크류 홀(3a)이 변형 및 확공된다. 결국, 차량 주행 중 스크류가 풀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주행 중 상부 마운팅 장치의 파이프 형상부(3)와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 사이에서 조립 갭으로 인한 마찰음과 래틀음(rattle noise)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소음은 스크류 홀(3a)의 확공으로 인해 스크류 체결 부위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주행 정숙성이 우수한 친환경 자동차에서는 승객에게 소음이 더 크게 들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차량 운행 중 스탠션 파이프와 마운팅 장치 사이에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차량의 정숙성 및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스탠션 파이프 마운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탠션 파이프의 상단부를 차체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마운팅하는 상부 마운팅 장치; 및 스탠션 파이프의 하단부를 차체 하부에 상하 유동 가능하게 마운팅하는 하부 마운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마운팅 장치는, 상기 차체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제1 마운팅 브라켓; 및 상기 스탠션 파이프의 상단부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마운팅 브라켓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는 나사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차체 상부가 차체의 루프이고, 상기 차체 하부가 차체의 플로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마운팅 브라켓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체결부가 내측으로 나사 체결되는 파이프 형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차체 상부에 접합되어 고정되는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부에 파이프 형상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에는 원형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부가 체결홀에 삽입된 볼트에 의해 상기 차체 상부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체결부는 스탠션 파이프의 상단부에서 정해진 길이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체결부는 상기 파이프 형상부 내측으로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하부가 파이프 형상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마운팅 장치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출된 나사체결부의 하부 외주면에 파이프 형상부의 끝면을 가압하도록 나사 체결되는 너트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형상부에서 나사산이 형성된 내주면과, 상기 나사체결부에서 나사산이 형성된 외주면 사이에 나사고정제가 도포되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마운팅 장치는, 차체 하부에 고정되는 제2 마운팅 브라켓; 및 상기 제2 마운팅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고 스탠션 파이프의 하단부가 내부에 압입되는 압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마운팅 브라켓에는 스탠션 파이프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마운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재는 원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마운팅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압착부재의 하단부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의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제2 마운팅 브라켓의 마운팅 홀 주위의 하부면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부재는 내측을 향해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탠션 파이프의 하단부가 상기 압착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면, 압착부재의 상기 만곡된 부위에 스탠션 파이프의 하단부가 압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 마운팅 장치에 의하면, 차체 플로어에 고정된 하부 마운팅 장치에 스탠션 파이프의 하단부가 상하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스탠션 파이프의 상단부와 상부 마운팅 장치, 루프 사이가 일체로 결합되어 스탠션 파이프의 상단부가 루프에 완전 고정된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행 중 차체의 탄성 변형 등으로 인한 상, 하 마운팅 포인트의 유동 및 상대적 변위 발생에 대해 차체 플로어에 대한 스탠션 파이프의 상하 유동을 통하여 대응 가능하면서도 스탠션 파이프의 상단부와 마운팅 장치 사이에 발생하던 소음 문제가 해소될 수 있고, 차량의 정숙성 및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마운팅 장치에 스탠션 파이프의 상단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마운팅 장치에 스탠션 파이프의 상단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장치에 의해 스탠션 파이프가 버스 차체의 루프와 플로어 사이에 수직으로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장치에서 상부 마운팅 장치에 스탠션 파이프의 상단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장치에서 상부 마운팅 장치의 너트 링이 체결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장치에서 상부 마운팅 장치의 너트 링이 고정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장치에서 하부 마운팅 장치와 스탠션 파이프의 하단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버스 실내에서 상하로 길게 설치되는 스탠션 파이프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버스 차체의 루프와 플로어에 결합하고 지지하는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 운행 중 스탠션 파이프와 마운팅 장치 사이에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차량의 정숙성 및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스탠션 파이프 마운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장치에 의해 스탠션 파이프가 루프와 플로어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도록 마운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장치에서 상부 마운팅 장치에 의해 스탠션 파이프의 상단부가 마운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장치에서 상부 마운팅 장치의 너트 링이 체결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장치에서 상부 마운팅 장치의 너트 링이 고정 체결되고 스탠션 파이프의 상단부가 루프에 마운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 마운팅 구조가 볼트 체결 및 나사 체결 구조에 의해 버스 차체의 루프(5)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는 구조로 변경된다. 반면, 스탠션 파이프(1)의 하단부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는 버스 차체의 플로어(6)에 대해 상하 유동이 가능한 마운팅 구조가 적용된다.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는,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를 차체 루프(차체 상부임)(5)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마운팅하는 상부 마운팅 장치(10)와, 스탠션 파이프(1)의 하단부를 차체 플로어(차체 하부임)(6)에 상하 유동 가능하게 마운팅하는 하부 마운팅 장치(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가 상부 마운팅 장치(10)를 매개로 마운팅되는 차체 부위는 차체 상부로서 루프 패널이 될 수 있다. 또한, 스탠션 파이프(1)의 하단부가 하부 마운팅 장치(20)를 매개로 마운팅되는 차체 부위는 차체 하부로서 플로어 패널이 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마운팅 장치(10)는, 루프(5)(차체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가 나사 체결 구조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제1 마운팅 브라켓(11)을 포함한다.
제1 마운팅 브라켓(11)은, 루프(5)에 중첩되도록 접합되어 고정되는 플레이트부(12)와, 상기 플레이트부(12)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나사 체결되는 파이프 형상부(15)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부(12)는 루프(5)의 표면에 중첩되도록 접합될 수 있게 루프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12)에는 볼트(14)가 통과하도록 삽입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체결홀(13)이 관통 형성된다.
이에 플레이트부(12)가 루프(5)의 표면에 접합된 상태에서 체결홀(13)을 통과하도록 삽입된 각 볼트(14)가 루프에 형성된 체결홀(미도시)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마운팅 브라켓(11)의 플레이트부(12)가 루프(5)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파이프 형상부(15)는 소정의 내경과 외경, 길이를 가지는 원통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플레이트부(12)의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 형상부(15)의 내주면에는 나사산(16)이 형성되고, 이때 나사산(16)은 파이프 형상부(13)의 길이방향 전 구간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부 마운팅 장치(10)는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체결부(1a)를 더 포함한다. 상기 나사체결부(1a)는 스탠션 파이프(1)에 대략 동일 외경을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된 부분이며, 제1 마운팅 브라켓(11)의 파이프 형상부(15) 내측으로 삽입되어 나사 체결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나사 체결를 위해, 나사체결부(1a)는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b)을 가지며, 이러한 나사체결부(1a)는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에서 정해진 길이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주면에 나사산(1b)을 형성하여서 구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결국,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 위치에 형성된 나사체결부(1a)가 제1 마운팅 브라켓(11)의 파이프 형상부(15) 내측으로 삽입되어 나사 체결됨으로써,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가 제1 마운팅 브라켓(11)을 매개로 루프(5)에 일체로 결합 및 고정 지지되는 마운팅 상태가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나사체결부(1a)는 제1 마운팅 브라켓(11)의 파이프 형상부(15) 내측에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측 일부가 파이프 형상부(15) 외측으로 노출되는 구조로 구비된다. 즉, 나사체결부(1a)를 파이프 형상부(15) 내측으로 삽입되어야 하는 필요한 결합 깊이에 비해 더 길게 형성하여, 나사체결부(1a)와 파이프 형상부(15) 간 체결 상태에서 나사체결부(1a)의 하측 일부(하부)가 파이프 형상부(15)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부 마운팅 장치(10)는, 나사체결부(1a)에서 파이프 형상부(15)의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고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인 하부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는 조임 고정용 너트 링(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너트 링(17)은 내주면에 나사산(18)이 형성된 링 형상의 부재로서, 제1 마운팅 브라켓(11)과는 별도로 구비되는 부재이며, 제1 마운팅 브라켓(11)의 파이프 형상부(15)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는 부재이다. 상기 너트 링(17)으로는 강도가 우수한 경질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작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너트 링(17)이 나사체결부(1a)의 하부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어 있는 상태로 너트 링(17) 상측의 나사체결부(1a)가 제1 마운팅 브라켓(11)의 파이프 형상부(15) 내측에 삽입되어 나사 체결된다. 이때, 너트 링(17)의 측면이 파이프 형상부(15)의 하단부 끝면을 압착하여 조여줄 수 있도록 너트 링(17)을 회전시켜 토크 체결한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 위치에 형성된 나사체결부(1a)가 제1 마운팅 브라켓(11)의 파이프 형상부(15)에 내측으로 삽입되어 나사 체결되고 나면, 나사체결부(1a)의 하부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어 있는 너트 링(17)을 회전시킨다.
이때, 나사체결부(1a)의 외주면과 너트 링(17)의 내주면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1b,18) 간 맞물림 결합 상태에서, 너트 링(17)이 회전될 경우, 너트 링(17)은 나사체결부(1a)의 길이방향을 따라 도면상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너트 링(12)이 일정량 이상 상측으로 이동되고 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 링(17)의 측면이 파이프 형상부(15)의 하단부 끝면을 압착하여 조이게 된다. 결국, 너트 링(17)에 힘을 가하여 회전시키는 토크 체결을 완료한 경우, 너트 링(17)이 파이프 형상부(15)의 하단부 끝면을 일정 수준 이상의 힘으로 가압한 상태가 되어, 스탠션 파이프(1) 및 나사체결부(1a) 전체가 제1 마운팅 브라켓(11)의 파이프 형상부(15)에서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체결부(1a)를 제1 마운팅 브라켓(11)의 파이프 형상부(15) 내측으로 필요한 깊이만큼 나사 체결하고, 이어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부(15)의 하단부 끝면을 압착 및 조여줄 때까지 너트 링(17)을 회전시켜 고정 체결한다. 물론, 너트 링(17)의 고정 체결 전에, 나사체결부(1a)를 파이프 형상부(15)에 나사 체결할 때에는, 나사체결부(1a)를 파이프 형상부(15) 내측으로 삽입한 뒤 스탠션 파이프(1) 전체를 회전시켜 나사 체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탠션 파이프(1) 전체를 회전시켜 나사체결부(1a)를 파이프 형상부(15) 내측으로 필요한 깊이만큼 나사 체결하고 나면, 파이프 형상부(15)의 하단부 끝면을 일정 수준 이상의 힘으로 압착 및 조여줄 때까지 너트 링(17)을 회전시켜 도 4의 상태가 되도록 고정 체결하게 된다. 이렇게 너트 링(17)이 고정 체결된 상태에서 스탠션 파이프(1)는 제1 마운팅 브라켓(11)에서 회전되지 않고 완전히 고정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각 나사산(16,1b)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부(15)의 내주면과 나사체결부(1a)의 외주면 사이에는 양측 간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고정수단(19)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19)으로는 나사고정제가 사용될 수 있고, 나사고정제로서 공지의 록 타이트(lock tight)가 사용될 수 있다.
록 타이트의 사용 시 나사체결부(1a)의 나사 체결 전에 록 타이트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체결부(1a)의 외주면에 미리 도포한 뒤, 나사체결부(1a)를 파이프 형상부(15)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나사 체결한다. 이때, 너트 링(17)이 나사 체결되는 부위를 포함하여 나사체결부(1a) 전체에 록 타이트를 도포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하부 마운팅 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 장치에서 하부 마운팅 장치와 스탠션 파이프의 하단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하부 마운팅 장치(20)는, 버스 차체의 플로어(차체 하부)(6)에 고정되는 제2 마운팅 브라켓(21), 및 상기 제2 마운팅 브라켓(21)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고 스탠션 파이프(1)의 하단부가 내부에 압입되는 압착부재(24)를 포함한다.
제2 마운팅 브라켓(21)의 하단부는 플로어(6)의 상면에 접촉 및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복수의 위치에 형성된 볼트체결부(미도시)의 내측으로 볼트(미도시)가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플로어(6)의 체결홀(미도시)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마운팅 브라켓(21)이 차체 플로어(6)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제2 마운팅 브라켓(21)의 중앙부에는 스탠션 파이프(1)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마운팅 홀(22)이 상하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마운팅 홀(22)의 내측에 압착부재(23)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압착부재(23) 하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의 플랜지부(2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23a)는 제2 마운팅 브라켓(21)의 마운팅 홀(22) 주위의 하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이로써, 압착부재(23)가 제2 마운팅 브라켓(21)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이렇게 압착부재(23)가 제2 마운팅 브라켓(21)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내부로 압입된 스탠션 파이프(1)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부재(23)는 원통형의 파이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파이프 형상의 내측을 향해 만곡된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 및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스탠션 파이프(1)의 하단부가 압착부재(23)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압착부재(23)의 내측을 향해 만곡된 부위에서 스탠션 파이프(1)의 하단부가 압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스탠션 파이프(1)의 설치 시에는, 먼저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 위치에 형성된 나사체결부(1a)의 외주면에 너트 링(17)과 제1 마운팅 브라켓(11)의 파이프 형상부(15)를 나사 체결한다. 또한, 스탠션 파이프(1)의 하단부에는 하부 마운팅 장치(20)를 결합한다. 이때, 하부 마운팅 장치(20)의 압착부재(23) 내부에 스탠션 파이프(1)의 하단부가 압입된 상태가 되도록 결합한다.
이어 스탠션 파이프(1)를 수직으로 세워서 스탠션 파이프의 하단부에 결합된 하부 마운팅 장치(20)의 제2 마운팅 브라켓(21)을 플로어(6) 상면에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하고,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부 마운팅 장치(10)의 제1 마운팅 브라켓(11)을 루프(5)의 표면에 볼트(14)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어 루프(5)에 제1 마운팅 브라켓(11)이 고정된 상태에서 나사체결부(1a)가 제1 마운팅 브라켓(11)의 파이프 형상부(15) 내측에서 회전될 수 있게 스탠션 파이프(1) 전체를 회전시킨다. 이때, 스탠션 파이프(1)의 하단부는 하부 마운팅 장치(20)의 압착부재(23)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이며, 나사체결부(1a)가 제1 마운팅 브라켓(11)의 파이프 형상부(15) 내측에 정해진 깊이만큼 삽입될 때까지 스탠션 파이프(1) 전체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스탠션 파이프(1) 전체를 회전시키면 스탠션 파이프가 축방향 이동하여 스탠션 파이프의 상하 변위가 조정될 수 있으며, 결국 플로어(6) 및 하부 마운팅 장치(20)와 루프(5) 및 상부 마운팅 장치(10) 사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의 갭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어 나사체결부(1a)가 파이프 형상부(15) 내측에 정해진 깊이만큼 삽입되어 결합되고 나면, 너트 링(17)을 나사체결부(1a)에서 회전시켜 상측으로 이동시키며, 너트 링(17)이 파이프 형상부(15)의 하단부 끝면을 일정 수준 이상의 힘으로 압착하여 조여줄 때까지 너트 링(17)을 회전시켜 고정 체결한다.
이와 같이 너트 링(17)의 고정 체결이 이루어지고 나면, 너트 링(17)이 나사체결부(1a)에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너트 링(17)의 측면이 파이프 형상부(15)의 하단부 끝면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한편, 나사체결부(1a)에 대해서는 나사 체결된 너트 링(17)이 하측으로 힘을 작용시키므로, 제1 마운팅 브라켓(11)의 파이프 형상부(15)와 나사체결부(1a)가 큰 체결력으로 나사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나사체결부(1a)에 도포된 록 타이트(나사고정제)(19)에 의해 스탠션 파이프(1)와 제1 마운팅 브라켓(11)의 파이프 형상부(15)는 상대 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일체로 고정되므로, 양측 간에 슬라이딩이나 유동, 마찰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너트 링(17)이 고정 체결된 상태일 때, 스탠션 파이프(1)는 상단부가 상부 마운팅 장치(10)에서 회전 구속된 상태, 즉 상부 마운팅 장치(10)의 제1 마운팅 브라켓(11)에서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렇게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가 차체에 고정된 상태인 반면, 스탠션 파이프(1)의 하단부는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하부 마운팅 장치(20)의 압착부재 내에 압입된 상태로 상하 유동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스탠션 파이프(1)가 차체에 마운팅 된 상태에서, 스탠션 파이프(1)의 하단부는 차체의 플로어(6)에 고정된 하부 마운팅 장치(20)에서 상하 유동 가능한 반면, 이렇게 하부 마운팅 장치(20)에서 스탠션 파이프(1)의 상하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는 상기한 상부 마운팅 장치(10)에 의해 슬라이딩 및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차체 루프(5)에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스탠션 파이프(1)의 설치 시 회전으로 스탠션 파이프(1)의 상하 이동 및 조정이 가능하고, 너트 링(17)의 고정 체결이 완료되면, 스탠션 파이프(1)는 회전이 불가하도록 구속되지만 플로어(6) 및 하부 마운팅 장치(20)를 상대로는 변위 이동 및 상하 유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부 마운팅 장치(10)와 스탠션 파이프(1)의 상단부 위치에 형성된 나사체결부(1a) 사이가 대면적 접촉 및 큰 체결력으로 결합되므로 차량 운행 중 스탠션 파이프(1)의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부품 변형이나 갭 발생 등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마운팅 브라켓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긴 장방형 개방 구조의 홀(2a)을 이용하여 조립 공차를 흡수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스탠션 파이프(1)의 하단부와 하부 마운팅 장치(20) 간 상대 변위 및 유동으로 조립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마운팅 브라켓(11)에 볼트(14)가 체결되는 홀로 원형의 체결홀(13)이 이용될 수 있고, 원형의 체결홀을 통해 볼트 체결이 가능하므로 장착부 강성 증대, 장착부 외관 향상, 내구 향상 등이 가능하다. 더욱이 나사체결부(1a)에서의 풀림을 방지하는 너트 링(17) 또한 강성 증대 및 내구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장치에 의하면, 차체 플로어에 고정된 하부 마운팅 장치에 스탠션 파이프의 하단부가 상하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스탠션 파이프의 상단부와 상부 마운팅 장치, 루프 사이가 일체로 결합되어 스탠션 파이프의 상단부가 루프에 완전 고정된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행 중 차체의 탄성 변형 등으로 인한 상, 하 마운팅 포인트의 유동 및 상대적 변위 발생에 대해 차체 플로어에 대한 스탠션 파이프의 상하 유동을 통하여 대응 가능하면서도 스탠션 파이프의 상단부와 마운팅 장치 사이에 발생하던 소음 문제가 해소될 수 있고, 차량의 정숙성 및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스탠션 파이프
1a : 나사체결부
1b : 나사산
5 : 루프
6 : 플로어
10 : 상부 마운팅 장치
11 : 제1 마운팅 브라켓
12 : 플레이트부
13 : 체결홀
14 : 볼트
15 : 파이프 형상부
16 : 나사산
17 : 너트 링
18 : 나사산
19 : 나사고정제
20 : 하부 마운팅 장치
21 : 제2 마운팅 브라켓
22 : 마운팅 홀
23 : 압착부재
23a : 플랜지부

Claims (11)

  1. 스탠션 파이프의 상단부를 차체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마운팅하는 상부 마운팅 장치; 및
    스탠션 파이프의 하단부를 차체 하부에 상하 유동 가능하게 마운팅하는 하부 마운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마운팅 장치는,
    상기 차체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제1 마운팅 브라켓; 및
    상기 스탠션 파이프의 상단부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마운팅 브라켓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는 나사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체 상부가 차체의 루프이고, 상기 차체 하부가 차체의 플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운팅 브라켓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체결부가 내측으로 나사 체결되는 파이프 형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차체 상부에 접합되어 고정되는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부에 파이프 형상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에는 원형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부가 체결홀에 삽입된 볼트에 의해 상기 차체 상부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겻을 특징으로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결부는 스탠션 파이프의 상단부에서 정해진 길이에 해당하는 부분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결부는 상기 파이프 형상부 내측으로 나사 체결된 상태에서 하부가 파이프 형상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 마운팅 장치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출된 나사체결부의 하부 외주면에 파이프 형상부의 끝면을 가압하도록 나사 체결되는 너트 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형상부에서 나사산이 형성된 내주면과, 상기 나사체결부에서 나사산이 형성된 외주면 사이에 나사고정제가 도포되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마운팅 장치는,
    차체 하부에 고정되는 제2 마운팅 브라켓; 및
    상기 제2 마운팅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고 스탠션 파이프의 하단부가 내부에 압입되는 압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운팅 브라켓에는 스탠션 파이프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마운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재는 원통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마운팅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압착부재의 하단부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의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부가 제2 마운팅 브라켓의 마운팅 홀 주위의 하부면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재는 내측을 향해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탠션 파이프의 하단부가 상기 압착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면, 압착부재의 상기 만곡된 부위에 스탠션 파이프의 하단부가 압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
KR1020210090724A 2021-07-12 2021-07-12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 KR20230010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724A KR20230010319A (ko) 2021-07-12 2021-07-12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
US17/496,088 US11584283B2 (en) 2021-07-12 2021-10-07 Pipe stanchion mounting structure
CN202111228553.9A CN115610299A (zh) 2021-07-12 2021-10-21 管支柱安装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724A KR20230010319A (ko) 2021-07-12 2021-07-12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319A true KR20230010319A (ko) 2023-01-19

Family

ID=84799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724A KR20230010319A (ko) 2021-07-12 2021-07-12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84283B2 (ko)
KR (1) KR20230010319A (ko)
CN (1) CN115610299A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8204A (en) * 1983-09-21 1985-02-12 Warner Stanley H Adjustable position physical support system
HU194102B (en) * 1985-05-03 1988-01-28 Latszereszeti Eszkoezoek Gyara Sight-testing ambulance bus
US5791634A (en) * 1996-10-18 1998-08-11 Brown; S. Scott Support rail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5826847A (en) * 1997-06-30 1998-10-27 Warner; Stanley H. Telescoping pole with quick length adjustment
US6082879A (en) * 1999-03-23 2000-07-04 Myburgh; Herman Combination light fixture/HVAC duct/advertising card holder for mass transit vehicles
US6131979A (en) * 1999-04-26 2000-10-17 Mcghee; Demaris A. Van hand rail
US6350048B1 (en) * 2000-02-03 2002-02-26 William H. Stanton Passenger lighting system for mass transit vehicle
US20020134976A1 (en) * 2000-11-10 2002-09-26 Swartz Irving R. Kit for rail assembly
US7971835B2 (en) * 2009-02-10 2011-07-05 I.D. Systems, Inc. Adjustable cable-concealing universal mounts
GB201318322D0 (en) * 2013-10-16 2013-11-27 Alexander Dennis Ltd Bus hand pole
CN208997476U (zh) * 2018-10-26 2019-06-18 重庆埃力森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管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610299A (zh) 2023-01-17
US20230010308A1 (en) 2023-01-12
US11584283B2 (en)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6795B2 (en)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
US5975505A (en) Mount insulator
US4879785A (en) Swivel bearing for a door-holding rod for a door-hold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JP2013544707A (ja) ドアまたはフラップヒンジまたは他のエレメントを、上記ドアまたは上記フラップに対して、または、自動車の車体に対して締結する装置
US8881877B2 (en) Vibration damper
KR20230010319A (ko) 차량의 스탠션 파이프용 마운팅 장치
JP2018071602A (ja) アッパサポート用の下クッションゴム
JP2008019992A (ja) 防振装置
JP2017149406A (ja) 車両用ドアインパクトビーム
CN105890267A (zh) 冰箱
KR101575465B1 (ko) 마운팅 유닛
CN114645922A (zh) 在车辆内安放构件的装置和包括该装置的车辆或车辆部件
KR101966943B1 (ko) 엔진마운팅 인슐레이터와 차체멤버의 조립장치
US6033028A (en) Attachment device and a vehicle seat including such a device
CN220785934U (zh) 一种模块化快速装配挡泥板支架总成
CN115163744B (zh) 一种固定减震装置及其安装方法
KR20230150586A (ko) 자동차 조향장치용 모터의 검사를 위한 멀티 체결구조
JP3566189B2 (ja) 外装板の取付金具
SU116408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оконного стекла кабин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20549016U (zh) T-Box组件和车辆
KR102496813B1 (ko) 차량용 푸시 너트
KR20050067118A (ko)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완충기
CN117145848A (zh) 用于补偿两个待相连的构件之间的公差的装置
KR101601437B1 (ko) 마운팅 장치
CN115574041A (zh) 减振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