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0174A -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 - Google Patents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0174A
KR20230010174A KR1020220085261A KR20220085261A KR20230010174A KR 20230010174 A KR20230010174 A KR 20230010174A KR 1020220085261 A KR1020220085261 A KR 1020220085261A KR 20220085261 A KR20220085261 A KR 20220085261A KR 20230010174 A KR20230010174 A KR 20230010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radle
pole
ho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곤
Original Assignee
송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곤 filed Critical 송정곤
Publication of KR20230010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1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등 센서부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승하강 시킬 수 있는 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에 고정 배치되는 폴 상에서 카메라 등 센서부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모터 및 기어를 이용하여 승하강 시킬 수 있는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상에 고정 배치되는 폴 상에서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에 있어서, 센서부가 착탈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거치대와, 상기 폴의 외면 상에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산과 골을 형성하는 레일부와,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부 상에서 회전되어 상기 거치대를 승하강시키는 기어부와,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와 상기 기어부는 상호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Pole system with cradle elevating func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등 센서부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승하강 시킬 수 있는 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에 고정 배치되는 폴 상에서 카메라 등 센서부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모터 및 기어를 이용하여 승하강 시킬 수 있는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외에 설치되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는 카메라 시각을 적절히 확보하기 위하여 높은 장소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CCTV 카메라는 통상 폴(Pole) 시스템에 의해 설치된다.
종래의 CCTV 폴 시스템은 폴 시스템에 부착된 사다리를 이용하여 폴 상부에 있는 카메라에 접근하거나,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폴 상부에 위치한 카메라에 접근하거나, 혹은 폴을 다단으로 접어 카메라를 지상의 낮은 곳으로 내려오게 하여 카메라를 정비하고 점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CCTV 폴 시스템은 사람의 하중까지 고려한 구조물 설계로 구조물의 크기가 클 뿐만 아니라 안전발판 등의 구조물로 인하여 미관을 해치고, 작업자가 높은 곳에 올라가야 하는 위험성과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1728호(2013.07.25. 등록)에서는 카메라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CCTV 폴 시스템을 공지하고 있다.
그러나, 가동부는 권양부의 로프 권치에 의해 승하강이 구현된다는 점에서 가동부의 승하강시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1728호(2013.07.25.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의 승하강을 용이하게 하고,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상에 고정 배치되는 폴 상에서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에 있어서, 센서부가 착탈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거치대와, 상기 폴의 외면 상에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산과 골을 형성하는 레일부와,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부 상에서 회전되어 상기 거치대를 승하강시키는 기어부와,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와 상기 기어부는 상호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상에 고정 배치되는 폴 상에서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에 있어서, 센서부가 착탈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거치대와, 상기 폴의 외면 상에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산과 골을 형성하는 레일부와,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부 상에서 회전되어 상기 거치대를 승하강시키는 기어부와,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과 상기 레일부는 상호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에 의하면, 카메라의 승하강을 용이하게 하고,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제1 기어부(웜기어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제1 기어부(웜기어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제1 기어부(웜기어 어셈블리)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기어부 및 가이드 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상부구조 어셈블리의 전체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상부구조 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상부구조 어셈블리의 폴스탠딩 유닛을 이용하여 폴을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우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상부구조 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모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레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및 도 11(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레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케이블 베어 및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매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거치대에 포함되는 제1 상판, 제2 상판, 제1 하판 및 제2 하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거치대에 포함되는 수직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제1 거치부, 제2 거치부 및 수직재가 조립된 형상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제1 거치부, 제2 거치부 및 수직재가 조립된 형상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거치대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거치대를 도 19의 a 및 b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상기 탄성조정유닛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제1 기어부(웜기어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제1 기어부(웜기어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제1 기어부(웜기어 어셈블리)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기어부 및 가이드 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상부구조 어셈블리의 전체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상부구조 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상부구조 어셈블리의 폴스탠딩 유닛을 이용하여 폴을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우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상부구조 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모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레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및 도 11(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레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케이블 베어 및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매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거치대에 포함되는 제1 상판, 제2 상판, 제1 하판 및 제2 하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거치대에 포함되는 수직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제1 거치부, 제2 거치부 및 수직재가 조립된 형상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제1 거치부, 제2 거치부 및 수직재가 조립된 형상을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거치대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거치대를 도 19의 a 및 b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은 지상에 고정되는 폴(P) 상에서 센서부를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장치이며, 폴(P), 센서부, 거치대(1000), 레일부(2000), 기어부, 상부구조 어셈블리(4000), 모터부(M), 처짐방지 피니언(9100, 9200)을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폴(P)은 지상에 미리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A) 상에 앵커 볼트 등에 의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폴(P)은 중공 공간(Z)을 가지는 8각 기둥형상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 기둥 또는 원 기둥일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폴(P)은 중공 공간(Z)을 가지는 8각 기둥형상임을 전제로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센서부에 포함되는 카메라(C)는 CCTV일 수도 있고, 열상감시장비(Thermal Observation Device)일 수도 있으며, 이외, 자외선 센서, 열센서 등 여러 센서로 대체 가능하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은 카메라(C)가 착탈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거치대(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거치대(1000)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기어부에 의해 상기 폴(P) 상에서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이 구현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레일부(2000)는 상기 폴(P)의 외면 상에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산과 골을 형성한다.
일례로, 상기 레일부(2000)는 상기 폴(P)의 제1 외면에 배치되는 제1 레일부(2100) 및 상기 폴(P)의 상기 제1 외면과 대향하는 외면인 제2 외면에 배치되는 제2 레일부(22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면과 상기 제2 외면은 상호 대향하는 외면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레일부(2100)와 상기 제2 레일부(2200)는 각각 상기 제1 외면과 상기 제2 외면 상에 돌출 배치되어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부(2100)와 상기 제2 레일부(2200)가 각각 측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폴(P) 상에서 돌출 배치됨에 따라 바람으로 인한 와류 형성을 최소화하여 상기 폴(P)이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M)는 상기 거치대(1000)에 연결되며, 상기 기어부가 회전되도록 상기 기어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부(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거치대(1000) 상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부(M)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레일부(200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모터부(M)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레일부(2000) 상에서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거치대(1000)는 상기 폴(P) 상에서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1 레일부(2100) 상에서 회전되는 제1 기어부 및 상기 제2 레일부(2200) 상에서 회전되는 제2 기어부(30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 기어부는 후술하는 웜기어 어셈블리(3000)와 대응된다.
상기 제1 기어부에 해당하는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앞서, 상기 제1 기어부는 상기 제1 레일부(2100)에 치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어부(3000')는 상기 제2 레일부(2200)에 치합될 수 있고,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3000')는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거치대(1000)가 상기 폴(P) 상에서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어, 상기 폴(P)의 측면에 결합된 레일부(2000) 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폴(P)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는 기어하우징(3100), 풀리(3300), 웜축(3400), 웜휠, 동력전달축, 피니언기어 및 베어링(3200)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레일부(2000)는 래크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어하우징(3100)은 상기 거치대(1000)과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웜축(3400), 웜휠, 동력전달축이 배치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와 함께 상기 폴(P)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100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기 풀리(3300)는 상기 모터와 연동되어 상기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한다.
상기 웜축(3400)은 상기 기어하우징(3100)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웜축(3400)의 길이방향과 상기 폴(P)의 길이방향이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웜축(3400)의 회전축과 상기 풀리(3300)의 회전축이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상기 웜축(3400)의 단부에 상기 풀리(3300)가 결합되어, 상기 풀리(33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풀리(3300)의 회전동력이 상기 웜축(3400)에 전달되어 상기 웜축(3400)이 회전한다.
상기 웜휠은 상기 기어하우징(310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웜휠은 상부웜휠(3510) 및 하부웜휠(352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웜휠(3510)은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하며, 제1 상부웜휠(3511)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상부웜휠(3511)은 상기 웜축(340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한다.
상기 하부웜휠(3520)은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하되, 상기 상부웜휠(35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 하부웜휠(3521)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하부웜휠(3521)은 상기 웜축(3400)의 일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상부웜휠(35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한다.
상기 동력전달축은 상기 웜휠의 회전축에 해당하는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웜휠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동력전달축은 상기 제1 상부웜휠(3511) 및 상기 제1 하부웜휠(3521)에 각각 관통결합되는 제1 상부축(3611) 및 제1 하부축(362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상부축(3611) 및 상기 제1 하부축(3621)의 중심부 영역은 상기 기어하우징(3100) 내부에 배치되되, 각각 상기 제1 상부웜휠(3511) 및 상기 제1 하부웜휠(3521)에 결합되며, 일단부와 타단부는 상기 기어하우징(31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기어하우징(3100)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동력전달축과 결합되어 회전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부 피니언기어(3710) 및 하부 피니언기어(37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는 상기 동력전달축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제1 상부기어(3711)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상부기어(3711)는 중심부에 상기 제1 상부축(3611)의 일단부가 관통하여 상기 제1 상부축(3611)과 결합되어, 상기 제1 상부축(361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 상부기어(3711)는 래크기어로 구성된 상기 레일부(2000)에 치합되어 상기 레일부(2000) 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폴(P)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하부 피니언기어(3720)는 상기 동력전달축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제1 하부기어(3721)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하부기어(3721)는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하부기어(3721)의 구동 등의 상세 설명은 상술한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 및 상기 하부 피니언기어(372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 및 상기 하부 피니언기어(3720)가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기어하우징(3100)에 결합된 상기 거치대(1000)가 외력에 의해 비틀리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하우징(3100)에 상기 웜축(3400) 및 상기 동력전달축이 관통하여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베어링(3200)이 개재되며, 상기 베어링(3200)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기어하우징(3100)을 기준으로 상기 동력전달축 및 상기 웜축(3400)이 회전할 때, 상기 기어하우징(3100)이 상기 동력전달축 및 상기 웜축(3400)을 지지하며, 마찰을 최소화하여 상기 기어하우징(3100)을 기준으로 상기 동력전달축 및 상기 웜축(3400)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어하우징(3100)은 상기 거치대(1000)과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웜축(3400), 웜휠, 동력전달축이 배치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와 함께 상기 폴(P)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100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기 풀리(3300)는 상기 모터와 연동되어 상기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한다.
상기 웜축(3400)은 상기 기어하우징(3100)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웜축(3400)의 길이방향과 상기 폴(P)의 길이방향이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웜축(3400)의 회전축과 상기 풀리(3300)의 회전축이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상기 웜축(3400)의 단부에 상기 풀리(3300)가 결합되어, 상기 풀리(33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풀리(3300)의 회전동력이 상기 웜축(3400)에 전달되어 상기 웜축(3400)이 회전한다.
상기 웜휠은 상기 기어하우징(310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웜휠은 상부웜휠(3510) 및 하부웜휠(352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웜휠(3510)은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하며, 제1 상부웜휠(3511)과 제2 상부웜휠(35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상부웜휠(3511)은 상기 웜축(340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2 상부웜휠(3512)은 상기 웜축(3400)의 타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 상부웜휠(3511)과 상기 제2 상부웜휠(3512)이 상기 웜축(3400)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웜축(3400)이 회전할 때, 상기 제1 상부웜휠(3511)과 상기 제2 상부웜휠(3512)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하부웜휠(3520)은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하되, 상기 상부웜휠(35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 하부웜휠(3521)과 제2 하부웜휠(35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하부웜휠(3521)은 상기 웜축(3400)의 일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상부웜휠(35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2 하부웜휠(3522)은 상기 웜축(3400)의 타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제2 상부웜휠(35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 하부웜휠(3521)과 상기 제2 하부웜휠(3522)이 상기 웜축(3400)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웜축(340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하부웜휠(3521)과 상기 제2 하부웜휠(3522)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상부웜휠(3511)과 상기 제1 하부웜휠(3521)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동력전달축은 상기 웜휠의 회전축에 해당하는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웜휠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동력전달축은 상기 제1 상부웜휠(3511), 상기 제2 상부웜휠(3512), 상기 제1 하부웜휠(3521) 및 상기 제2 하부웜휠(3522)에 각각 관통결합되는 제1 상부축(3611), 제2 상부축(3612), 제1 하부축(3621) 및 제2 하부축(36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상부축(3611), 상기 제2 상부축(3612), 상기 제1 하부축(3621) 및 상기 제2 하부축(3622)의 중심부 영역은 상기 기어하우징(3100) 내부에 배치되되, 각각 상기 제1 상부웜휠(3511), 상기 제2 상부웜휠(3512), 상기 제1 하부웜휠(3521) 및 상기 제2 하부웜휠(3522)에 결합되며, 일단부와 타단부는 상기 기어하우징(31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기어하우징(3100)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동력전달축과 결합되어 회전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부 피니언기어(3710) 및 하부 피니언기어(37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는 상기 동력전달축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제1 상부기어(3711) 및 제2 상부기어(37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상부기어(3711)는 중심부에 상기 제1 상부축(3611)의 일단부가 관통하여 상기 제1 상부축(3611)과 결합되어, 상기 제1 상부축(361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 상부기어(3711)는 래크기어로 구성된 상기 레일부(2000)에 치합되어 상기 레일부(2000) 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폴(P)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제2 상부기어(3712)는 상기 중심부에 상기 제2 상부축(3612)의 일단부가 관통하여 상기 제2 상부축(3612)과 결합되어, 상기 제2 상부축(3612)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2 상부기어(3712)는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제1 상부기어(3711)가 상기 제1 상부축(3611)의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레일부(2000)과 맞물리며 회전하며 상하로 이동할 때, 상기 기어하우징(3100) 및 기어하우징(3100) 외측에 배치된 카메라(C)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1 상부기어(3711)가 회전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상부기어(3712)가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상부기어(3711)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의 회전을 보조한다.
상기 하부 피니언기어(3720)는 상기 동력전달축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제1 하부기어(3721) 및 제2 하부기어(37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기어(3721)는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하부기어(3722)는 상기 제2 상부기어(3712)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하부기어(3721) 및 상기 제2 하부기어(3722)의 구동 등의 상세 설명은 상술한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와 상기 제2 상부기어(3712)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 및 상기 하부 피니언기어(372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 및 상기 하부 피니언기어(3720)가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기어하우징(3100)에 결합된 상기 거치대(1000)가 외력에 의해 비틀리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하우징(3100)에 상기 웜축(3400) 및 상기 동력전달축이 관통하여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베어링(3200)이 개재되며, 상기 베어링(3200)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기어하우징(3100)을 기준으로 상기 동력전달축 및 상기 웜축(3400)이 회전할 때, 상기 기어하우징(3100)이 상기 동력전달축 및 상기 웜축(3400)을 지지하며, 마찰을 최소화하여 상기 기어하우징(3100)을 기준으로 상기 동력전달축 및 상기 웜축(3400)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부 피니언기어(3710) 및 하부 피니언기어(3720)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모터의 동력이 상기 피니언기어를 거쳐 제1 레일부(2100)로 전달되되, 처짐이나 로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거치대(1000)의 상승 및 하강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동력이 전달된다.
상술한 상기 피니언기어의 예시는 상부 피니언기어(3710) 및 하부 피니언기어(3720)로 2개로 구성되었지만, 상기 피니언기어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이중, 삼중, 사중 피니언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웜축(3440)은 복수개로 구성되되, 상기 풀리(3300)를 기준으로 상하로 배치되는 상부웜축 및 하부웜축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상부웜축 및 상기 하부웜축에 복수개의 피니언기어가 동력을 전달받음으로써 상기 제1 레일부(2100)에 N개의 피니언기어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의 또다른 실시예는 기어하우징(3100), 구동기어, 피니언기어 및 베어링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회전력을 상기 피니언기어로 전달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기어는 제1 구동기어, 제2 구동기어 및 아이들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기어는 단일개로 구성된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와 맞물려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아이들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제2 구동기어는 단일개로 구성된 상기 하부 피니언기어(3720)와 맞물려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아이들기어와 맞물려 회전한다.
즉, 상기 제1 구동기어와 상기 제2 구동기어 사이에 상기 아이들기어가 배치되어, 상기 제1 구동기어와 상기 제2 구동기어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모터는 상기 제1 구동기어, 상기 제2 구동기어 및 상기 아이들기어 중 하나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모터가 상기 제1 구동기어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1 구동기어가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상기 아이들기어와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를 회전시키고, 상기 아이들기어는 상기 제2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구동기어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하부 피니언기어(372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구동기어와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의 사이 및 상기 제2 구동기어와 상기 하부 피니언기어(3720)의 사이에는 추가 아이들기어가 배치되어 맞물려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아이들기어는 상기 피니언기어의 감속비 조정을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 외,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에 포함되는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 기어부(3000')는 상기 제2 레일부(2200) 상에서 회전되는 제2-1 기어부(3100') 및 상기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2-1 기어부(3100')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 레일부(2200) 상에서 회전되는 제2-2 기어부(32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1 기어부(3100')와 상기 제2-2 기어부(3200')는 상기 제2 레일부(2200)와 치합되되 상호 상기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와 상기 제2-1 기어부(3100')는 상호 대향되되 상기 거치대(1000) 상에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하부기어(3721)와 상기 제2-2 기어부(3200')는 상호 대향되되 상기 거치대(1000) 상에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거치대(1000)가 상기 폴(P) 상에서 바람에 의해 비틀리게 흔들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 및 상기 하부 피니언기어(3720), 상기 제2-1 기어부(3100') 및 상기 제2-2 기어부(3200')는 상기 모터부(M)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 및 상기 하부 피니언기어(3720), 상기 제2-1 기어부(3100') 및 상기 제2-2 기어부(3200')는 모두, 하나의 상기 모터부(M)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레일부(2000) 상에서 동일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상부기어(3711) 및 제1 하부기어(3721)는 상기 모터부(M)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상기 제2-1 기어부(3100')는 상기 제1 상부기어(371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상기 제2-2 기어부(3200')는 상기 제1 하부기어(372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1 상부기어(3711) 및 상기 제1 하부기어(3721)은 하나의 상기 모터부(M)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2-1 기어부(3100')는 상기 모터부(M)로부터 직접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이 아닌 상기 제1 상부기어(371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2-2 기어부(3200')도 상기 모터부(M)로부터 직접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이 아닌 상기 제2-1 기어부(31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상기 모터부(M) 만으로도,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높_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제1 상부기어(3711), 상기 제1 하부기어(3721), 상기 제2-1 기어부(3100') 및 상기 제2-2 기어부(3200')가 모두 동일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의 불량으로 인해 상기 모터부(M)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지 못하는 경우라도, 상기 제1 하부기어(3721)이 상기 모터부(M)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2 기어부(3200')로 회전력을 전달 가능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1000)의 승하강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부(M)는 상기 모터(M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회전 기어(M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 회전축(K)은 제1 본체부의 제1 이격 공간(S2)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회전축(K)의 일단은 제1 하판을 관통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제2 회전 기어(M4)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부(M)는 상기 모터 회전축(K)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회전 기어(M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 기어(M4)는 상기 제1 하판으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 돌출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 기어(M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모터 회전축(K)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타이밍 벨트(M3)는 상기 제1 하판의 하측에 돌출 배치되는 상기 제1 회전 기어(M2)와 상기 제2 회전 기어(M4)에 치합되어 상기 제1 회전 기어(M2)의 회전력을 상기 제2 회전 기어(M4)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모터부(M)는 상기 타이밍 벨트(M3)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가압부(M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압부(M5)는 상기 타이밍 벨트(M3)에 접촉되어 상기 타이밍 벨트(M3)를 가압하되 상기 타이밍 벨트(M3)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기어(M2), 상기 제2 회전 기어(M4), 상기 가압부(M5) 및 상기 타이밍 벨트(M3)는 상기 제1 하판의 하측에 돌출 배치됨에 따라, 수리 및 교체가 필요할 시, 작업자는 상기 제1 본체부를 분리하지 않고 용이하게 상기 제1 회전 기어(M2), 상기 제2 회전 기어(M4), 상기 가압부(M5) 및 상기 타이밍 벨트(M3)를 수리 및 교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회전 기어(M2), 상기 제2 회전 기어(M4), 상기 가압부(M5) 및 상기 타이밍 벨트(M3)는 상기 제1 하판의 하측에 돌출 배치됨에 따라, 상기 높_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이격 공간(S2)의 높이를 최소화 할 수 있어, 상기 거치대(1000)의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상부구조 어셈블리(4000)는 상기 폴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폴의 상부를 덮어 상기 폴의 내부공간으로 외부 물질이 들어오거나 또는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폴을 지면으로부터 세울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상부구조 어셈블리(4000)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부구조 어셈블리(4000)의 제1 실시예는 용접플레이트(4100), 덮개플레이트(4200), 피뢰침 연결대(4300), 와이어 결합링(4410), 결합링 고정유닛(4420) 및 폴스탠딩 유닛(4600)을 포함한다.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폴의 상단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폴의 상단과 용접으로 결합되고,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에는 중심홀(4110), 제1 플레이트홀(4120) 및 제1 피뢰침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중심홀(4110)은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상기 중심홀(4110)은 후술하는 결합링 고정유닛(4420)이 배치되고, 이에 대한 상세할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홀(412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와 결합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는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의 상부와 결합되며, 결합링 관통홀(4210), 제2 플레이트홀(4220) 및 제2 피뢰침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링 관통홀(4210)은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후술하는 상기 와이어 결합링(4410)이 관통한다.
상기 제2 플레이트홀(422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홀(4120)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별도의 결합부재가 상기 제1 플레이트홀(4120)과 상기 제2 플레이트홀(4220)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와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뢰침 연결대(4300)는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 상부에 결합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피뢰침 연결대(4300)는 연결대고정부(4310), 연결대(4320) 및 피뢰침(433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대고정부(4310)는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 상부에 결합되며, 별도의 결합부재가 상기 연결대고정부(4310), 상기 제1 피뢰침관통홀 및 상기 제2 피뢰침관통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와 상기 연결대고정부(4310)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대(4320)는 하부가 상기 연결대고정부(4310)와 연결되어,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피뢰침(4330)은 상기 연결대(432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와이어 결합링(4410)은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에 결합되며, 후술하는 폴스탠딩 유닛(4600)과 결합되어 상기 폴을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 결합링(4410)은 결합링 및 링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링은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형성된 홀에 후술하는 폴스탠딩 유닛(4600)이 관통결합되고, 상기 링볼트는 상기 결합링의 하부로부터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2 플레이트홀(4220)을 관통하여 단부영역이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링 고정유닛(4420)은 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링볼트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결합링(4410)이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결합링 고정유닛(4420)의 상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홀(4220)의 하면은 접촉되지 않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와이어 결합링(4410)이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에 형성된 제2 플레이트홀(4220)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폴스탠딩 유닛(4600)은 상기 와이어 결합링(4410)을 관통하여 상기 폴을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밴드(4610), 관통봉(4620) 및 고정줄(463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밴드(4610)는 상기 와이어 결합링(4410)을 관통할 수 있되, 일단에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고정홀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봉(4620)은 바아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관통봉(4620)의 길이는 상기 결합링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봉(4620)은 상기 고정밴드(4610)에 형성된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줄(4630)은 상기 고정밴드(4610)에 형성된 상기 고정홀에 관통결합된다.
이후,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폴스탠딩 유닛(4600)을 이용하여 상기 폴을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폴은 지면과 수평으로, 지면에 누워있는 상태이며, 상기 폴의 상부에는 상기 와이어 결합링(441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링에 상기 고정밴드(4610)를 관통시킨 후, 상기 고정밴드(4610)의 고정홀에 상기 관통봉(4620)이 관통결합되고, 상기 고정홀에 상기 고정줄(4630)이 관통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링의 일측에는 상기 관통봉(4620)이 위치하게 되고, 타측에는 고정줄(4630)이 위치하게 된다.
이후, 외력을 통해 상기 고정줄(4630)을 상기 고정밴드(4610)의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됨에 따라 상기 고정밴드(4610)가 이동하여 상기 관통봉(4620)이 상기 결합링의 일측과 접촉하며 상기 결합링의 일측을 지지하게 되며, 이때, 상기 고정밴드(4610)이 이동은 정지된다.
상기 결합링과 상기 관통봉(4620)이 접촉된 후, 상기 고정줄(4630)을 상기 고정밴드(4610)의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계속 당기게 되면, 상기 폴에 힘이 가해져 상기 폴이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상기 폴이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후, 상기 고정줄(4630)에 외력을 더이상 가하지 않게 되면, 상기 결합링과 상기 관통봉(4620)의 접촉이 해제된 후, 상기 관통봉(4620)이 지면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와이어 결합링(4410)과 상기 폴스탠딩 유닛(4600)의 관통결합이 해제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상부구조 어셈블리(4000')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부구조 어셈블리(4000')의 제2 실시예는 용접플레이트(4100'), 덮개플레이트(4200'), 링연결 바아(4300'), 바아 덮개부(4400'), 와이어 결합링(4500'), 결합링 고정유닛 및 폴스탠딩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폴의 상단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폴의 상단과 용접으로 결합되고,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에는 중심홀(4110') 및 제1 플레이트홀(4120')이 형성된다.
상기 중심홀(4110')은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홀(412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와 결합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는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의 상부와 결합되며, 바아 결합홀(4210') 및 제2 플레이트홀(4220')이 형성된다.
상기 바아 결합홀(4210')은 복수개로 형성되되,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를 중심으로 방사상의 여러방향으로 직선을 따라 복수개 배치된다.
상기 제2 플레이트홀(422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홀(4120')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별도의 결합부재가 상기 제1 플레이트홀(4120')과 상기 제2 플레이트홀(4220')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와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연결 바아(4300')는 십자모양으로 구성되어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의 상면에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바아 형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되어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연결 바아(4300')가 2개로 구성된 경우, 각각의 상기 링연결 바아(4300')는 서로 이루는 각도가 90도가 되도록 십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연결 바아(4300')는 제1 덮개부 홀(4310') 및 결합링 관통홀(42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덮개부 홀(4310')은 상기 링연결 바아(4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부에 복수개의 제1 덮개부 홀(4310')이 형성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결합링 관통홀(4300')은 상기 링 연결바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결합링(4500')이 관통한다.
상기 바아 덮개부(4400')는 상기 링연결 바아(4300')의 상부와 결합되어 상기 링연결 바아(430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며, 상기 바아 덮개부(4400')는 덮개중심부(4410') 및 덮개날개부(4420')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중심부(4410')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링연결 바아(4300')가 교차된 영역의 상면을 덮으며, 상기 덮개날개부(442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덮개중심부(44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되, 상기 링연결 바아(4300')가 위치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 및 형상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덮개날개부(4420')의 길이는 상기 링연결 바아(4300')의 상기 제1 덮개부 홀(4310')이 형성된 영역의 길이로 상기 덮개중심부(4410')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중심부(4410') 및 상기 덮개날개부(4420')에는 상기 제1 덮개부 홀(4310')이 형성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제2 덮개부 홀(4430')이 형성되며, 볼트와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가 상기 제2 덮개부 홀(4430'), 상기 제1 덮개부 홀(4310') 및 상기 바아 결합홀(4210')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바아 덮개부(4400'), 상기 링연결 바아(4300') 및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를 결합시킨다.
상기 와이어 결합링(4500')과 상기 결합링 고정유닛은 상기 링연결 바아(4300')에 결합되며, 이는 상술한 상기 상부구조 어셈블리(4000)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 결합링(4410)과 상기 결합링 고정유닛(4420)이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에 결합되는 설명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폴스탠딩 유닛이 상기 와이어 결합링(4500')과 결합 및 결합해제되어 상기 폴을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하는 내용은 상술한 상기 상부구조 어셈블리(4000)의 제1 실시예의 설명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은 상기 거치대(1000)에 연결되며, 상기 거치대(1000)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레일부(2100)의 측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1 가이드 롤러(5100) 및 상기 제2 레일부(2200)의 측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2 가이드 롤러(5200)를 구비하는 가이드 롤러부(5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 롤러부(5000)는 상기 제1 레일부(2100) 및 상기 제2 레일부(2200)의 측면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레일부(2100) 및 상기 제2 레일부(2200)의 측면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거치대(1000)가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가이드 롤러(5100)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제1 본체부 상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레일부(2100)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 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가이드 롤러(5100)는 상기 제1 본체부에 연결되는 제1 롤러축(5130) 및 상기 제1 롤러축(5130) 상에서 회전되며 상기 제1 레일부(2100)의 측면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롤러(5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가이드 롤러(5100)는 상기 폴(P) 상에 돌출 배치된 상기 제1 레일부(2100)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례로, 상기 제2 가이드 롤러(520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 본체부(120)에 연결되는 제2 롤러축(5230) 및 상기 제2 롤러축(5230) 상에서 회전되며 상기 제2 레일부(2200)의 측면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롤러(521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가이드 롤러(5200)는 상기 폴(P) 상에 돌출 배치된 상기 제2 레일부(2200)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5110) 및 상기 제2 롤러(5210)는 상기 폴(P)에 접촉되는 것이 아닌, 상기 폴(P)보다 상대적으로 강성인 각각 상기 제1 레일부(2100) 및 상기 제2 레일부(2200)의 측면에 대향되게 배치됨에 따라 상기 폴(P)의 피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에 의해 상기 거치대(1000)가 상기 폴(P) 상에서 흔들리는 경우, 상기 제1 롤러(5110) 및 상기 제2 롤러(5210)는 각각 상기 제1 레일부(2100) 및 상기 제2 레일부(2200)의 측면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1 레일부(2100) 및 상기 제2 레일부(2200)에 진동이 발생되어 산과 골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레일부(2000)는 몸체부(2110) 및 상기 몸체부(2110)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연장되는 복수 개의 산(2130) 및 상기 산(2130)의 일부가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공간(D)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몸체부(2110)는 상기 폴(P)의 외면 상에 접촉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산(2130)은 상기 몸체부(2110)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웃하는 복수 개의 상기 산(2130) 사이에 골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함입공간(D)은 상기 산(2130)의 일부가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함입공간(D)은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상기 산(2130)이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함입공간(D)은 상기 산(2130)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부(2110)의 적어도 일부가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함입공간(D)은 상기 골 보다 더 함입되어 상기 몸체부(2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산(2130) 또는 상기 골에 안착된 먼지, 이물질 등은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 또는 상기 가이드 롤러부(5000)가 상기 레일부(2000)을 가압함에 따라 진동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함입공간(D)으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입공간(D) 상에는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 상에서 흐르는 윤활유가 저장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함입공간(D)은 상기 높이 방향으로의 레일부(20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함입공간(D)은 상기 중심축(X)을 기준으로 측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먼지와 이물질 등이 상기 레일부(2000)의 상기 중심축(X)의 측 방향에 형성된 상기 함입공간(D) 상에 흡착되어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가 상기 레일부(2000) 상에서 상기 중심축(X)을 따라 회전되는 것에 방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4는 어느 하나의 회전축이 다른 하나의 회전축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 박스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모터 회전축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모터 회전축에 연결된 모터 기어가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상부기어(3711)는 상기 제1 레일부(2100)에 치합되는 제1 기어와 상기 모터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회전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회전축 상에는 상기 모터 기어와 치합되는 제1-1 회전 전달 기어가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모터 회전축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1 회전 전달 기어가 상기 모터 기어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제1 회전축이 회전되어 상기 제1 기어가 상기 제1 레일부(210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매커니즘은 상기 제1 하부기어(3721)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제1 하부기어(3721)도 상기 제1 상부기어(3711)과 병렬적으로 상기 모터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레일부(210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상부기어(3711)는 상기 제1 기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회전축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2 회전 전달 기어 및 상기 제1 회전축의 타 측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3 회전 전달 기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1-2 회전 전달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1 기어부(310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 전달부 및 상기 제1-3 회전 전달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1 기어부(310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 전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 전달부는 제1 동력 회전축, 상기 제1 동력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1-2 회전 전달 기어와 치합하는 제1-1 동력 기어 및 상기 제2-1 기어부(310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2 동력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동력 전달부는 제2 동력 회전축, 상기 제2 동력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1-3 회전 전달 기어와 치합하는 제2-1 동력 기어 및 상기 제2-1 기어부(310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2 동력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1 기어부(3100')는 상기 제2 레일부(2200)에 치합되는 제2 기어, 제2 회전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회전축 상에는 상기 제1-2 동력 기어와 치합되는 제2-1 회전 전달 기어 및 상기 제2-2 동력 기어와 치합되는 제2-2 회전 전달 기어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매커니즘은 상기 제2-2 기어부(3200')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제2-2 기어부(3200')도 병렬적으로 상기 제1 동력 전달부 및 상기 제2 동력 전달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상기 모터 회전축이 상기 제1 상부기어(3711) 및 상기 제1 하부기어(3721)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매커니즘, 상기 제1 상부기어(3711)과 상기 제1 하부기어(3721)이 상기 제1 동력 전달부와 상기 제2 동력 전달부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매커니즘, 상기 제1 동력 전달부와 상기 제2 동력 전달부가 상기 제2-1 기어부(3100')와 상기 제2-2 기어부(320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매커니즘은, 상술한 매커니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전자적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상기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은 상기 폴(P)의 하단에 상기 모터(M1) 또는 상기 카메라(C)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부(E)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E)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모터(M1) 또는 상기 카메라(C)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미 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폴(P)은 상기 중공 공간(Z)을 가질 수 있으며, 상측에 외면의 일부가 관통된 관통구(F)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선은 상기 제어부(E)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중공 공간(Z)에 배치되어 상기 폴(P)의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F)를 통해 상기 폴(P)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폴(P)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모터(M1) 또는 상기 카메라(C)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은 상기 전력선을 포위하며 상기 폴(P)에 설치되는 케이블 베어(Cable veyor, 6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케이블 베어(6000)는 상기 중공 공간(Z)에 배치된 상기 전력선을 따라 상기 관통구(F)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전력선뿐만 아니라 통신선 등을 포위하여 이들을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의 단부는 상기 거치대(1000) 상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의 단부는 상기 거치대(1000) 상에 연결되어 상기 거치대(1000)의 승하강과 연동되어 상기 폴(P) 상에서 승하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의 승하강이 용이하도록 상기 관통구(F) 상에는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의 위치 이동에 의해 회전되는 도르래(미 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은 상기 폴(P)의 외면 상에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외부로 노출된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포위 공간(S4)을 형성하여 측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의 요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부(7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7000)는 상기 제1 레일부(2100) 및 상기 제2 레일부(2200)가 배치되지 않는 상기 폴(P)의 외면 상에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7000)는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을 수용하는 상기 포위 공간(S4)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베어(6000)는 상기 포위 공간(S4) 상에서 상기 높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은 제한되지 않되, 상기 가이드부(7000)에 의해 상기 측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7000)는 전체적으로 C형강의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7000)는 상기 폴(P)의 외면 상에 돌출 배치됨에 따라 상기 레일부(2000)과 마찬가지로 바람에 의해 상기 폴(P)이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7000)는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을 수용함에 따라 바람에 의해 상기 케이블 베어(6000)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베어(6000)에 의해 상기 폴(P)의 피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은 상기 케이블 베어(6000)와 상기 거치대(1000) 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매개부(8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매개부(8000)는 일단이 상기 케이블 베어(60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거치대(1000)에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케이블 베어(6000)와 상기 거치대(1000) 간의 연결을 매개해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베어(6000)가 상기 거치대(1000)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의 위치 이동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이 상기 거치대(1000)에 직접적으로 전달된다는 점에서, 상기 케이블 베어(6000) 또는 상기 거치대(1000)가 파손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매개부(8000)는 상기 케이블 베어(6000)와 상기 거치대(1000) 간의 연결을 매개하여 상기 케이블 베어(6000) 또는 상기 거치대(1000)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매개부(8000)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 합성수지 등의 재질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탈재질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매개부(8000)는 상기 케이블 베어(6000)에 연결되는 제1 매개부(8100) 및 상기 제1 매개부(8100)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거치대(1000)에 연결되는 제2 매개부(82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매개부(8000)는 상기 제1 매개부(8100)와 상기 제2 매개부(8200)가 상호 절곡되어 형성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매개부(8100)는 상기 포위 공간(S4)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매개부(8200)는 상기 포위 공간(S4)으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되어 상기 거치대(100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매개부(8100)는 상기 케이블 베어(6000)에 연결되는 제1-1 매개부(7110) 및 상기 제1-1 매개부(8110)와 상기 제2 매개부(820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1 매개부(8110)보다 폭이 작은 제1-2 매개부(8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1 매개부(8110)는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홀(H7)과 대응되는 제1 매개 체결홀(H8)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매개부(8200)는 상기 거치대(1000)에 연결되는 제2-1 매개부(8210) 및 상기 제2-1 매개부(8210)와 상기 제1-2 매개부(813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1 매개부(8110)보다 폭이 작은 제2-2 매개부(82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1 매개부(8210)는 상기 거치대(1000)에 형성된 체결홀(H10)과 대응되는 제2 매개 체결홀(H9)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거치대(100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2-1 매개부(8210)는 상기 제2-2 매개부(8230)보다 폭이 클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거치대(1000)에 연결되는 상기 제2-1 매개부(8210)의 연결 접촉 면적이 클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상기 거치대(10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2 매개부(8230)는 상기 제1-1 매개부(8110) 및 상기 제2-1 매개부(8210)의 폭 보다 작으며, 상기 가이드부(7000)가 형성하는 절개 부분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7000)에 접촉되지 않고 승하강될 수 있다.
상기 제1 매개부(8100)와 상기 제2 매개부(8200)의 절곡 부분은 상기 제1-2 매개부(8130)와 상기 제2-2 매개부(82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 매개부(8130)와 상기 제2-2 매개부(8230)는 상대적으로 상기 제1-1 매개부(8110)와 상기 제2-1 매개부(8210)보다 폭이 작아 용이하게 형상이 변형되어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9100, 9200)은 상기 거치대(1000)의 하면과 결합되며, 상기 레일부와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9100, 9200)은 2개로 구성되어 각각 상기 제1 레일부(2100) 및 상기 제2 레일부(2200)에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9100, 9200)이 상기 거치대(1000)의 하면과 결합되며, 상기 레일부와 접촉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1000)가 중력에 의해 모터의 동력에 반하여 지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4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거치대(10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1000)는 센서부가 착탈되는 영역을 제공하며, 중심부에 상기 폴(P)이 관통하는 관통공간이 형성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대는 제1 거치부(1000a), 제2 거치부(1000b), 제1 가이드바(1020), 제2 가이드바(1021) 및 수직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거치부(1000a)는 상기 폴(P)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거치부(1000b)는 상기 폴(P)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거치부(1000a)와 상기 제2 거치부(1000b)는 상호 연결됨으로써 상기 폴(P)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거치부(1000a)와 상기 제2 거치부(1000b)와 상기 폴(P)이 마주보는 면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거치부(1000a)는 제1 상판(1016)과 제1 하판(1019)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상판(1016)은 상기 폴(P)의 일측에 배치되어 반원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상판(1016)에는 상기 폴(P)이 관통하도록 제1 관통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관통공간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1 관통공간(1610), 제1-2 관통공간(1620) 및 제1-3 관통공간(16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1 관통공간(1610)은 상기 폴(P)의 일측이 관통하는 영역에 해당하고, 상기 제1-2 관통공간(1620)은 제1 레일부(2100)가 관통하는 영역에 해당하며, 상기 제1-3 관통공간(1630)은 상기 폴(P)에 설치되는 케이블 베어가 관통하는 영역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제1 상판(1016) 상에는 후술하는 수직재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1-1 수직재 삽입홀(1016a~1016u)이 형성되고, 상기 제1-1 수직재 삽입홀(1016a~1016u)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1 하판(1019)은 상기 제1 상판(1016)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폴(P)의 일측에 배치되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하판(1019)에는 상기 폴(P)이 관통하도록 상기 제2 관통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관통공간은 상기 제2-1 관통공간, 제2-2 관통공간 및 제2-3 관통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제2-1 관통공간은 상기 폴(P)의 일측이 관통하는 영역에 해당하고, 상기 제2-2 관통공간은 제1 레일부가 관통하는 영역에 해당하며, 상기 제2-3 관통공간은 상기 폴(P)에 설치되는 케이블 베어가 관통하는 영역에 해당한다.
즉, 상기 제1 상판(1016)과 상기 제1 하판(1019)의 형상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수직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폴(P)의 일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하판(1019) 상에는 후술하는 수직재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1-2 수직재 삽입홀(1019a~1019u)이 형성되고, 상기 제1-2 수직재 삽입홀(1019a~1019u)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2 거치부(1000b)는 제2 상판(1017)과 제2 하판(1018)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상판(1017)은 상기 폴(P)의 타측에 배치되어 반원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 상판(1017)에는 상기 폴(P)이 관통하도록 제3 관통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3 관통공간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3-1 관통공간 및 제3-2 관통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제3-1 관통공간은 상기 폴(P)의 타측이 관통하는 영역에 해당하고, 상기 제3-2 관통공간은 제2 레일부(2200)가 관통하는 영역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제2 상판(1017) 상에는 후술하는 수직재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1 수직재 삽입홀(1017a~1017w)이 형성되고, 상기 제2-1 수직재 삽입홀(1017a~1017w)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2 하판(1018)은 상기 제2 상판(1017)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폴(P)의 타측에 배치되어 반원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하판(1018)에는 상기 폴(P)이 관통하도록 상기 제4 관통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4 관통공간은 상기 제4-1 관통공간 및 제4-2 관통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제4-1 관통공간은 상기 폴(P)의 일측이 관통하는 영역에 해당하고, 상기 제4-2 관통공간은 제2 레일부(2200)가 관통하는 영역에 해당한다.
즉, 상기 제2 상판(1017)과 상기 제2 하판(1018)의 형상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수직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폴(P)의 타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하판(1018) 상에는 후술하는 수직재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2 수직재 삽입홀(1018a~1018t)이 형성되고, 상기 제2-2 수직재 삽입홀(1018a~1018t)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제1 가이드바(1020)는 상기 제1 상판(1016)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폴(P)이 관통하는 영역을 보호하며, 상기 제1 가이드바(1020)의 형상은 상기 제1 상판(1016)의 상부 중 상기 제2 상판(1017)과 마주보는 방향의 라인을 따라 상기 제1 상판(1016)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가이드바(1021)는 상기 제2 상판(1017)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폴(P)이 관통하는 영역을 보호하며, 상기 제2 가이드바(1021)의 형상은 상기 제2 상판(1017)의 상부 중 상기 제1 상판(1016)과 마주보는 방향의 라인을 따라 상기 제2 상판(1017)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재는 상기 제1 상판(1016)과 상기 제1 하판(1019), 제2 상판(1017)과 제2 하판(1018)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상판(1016), 제1 하판(1019), 제1 상판(1016), 제2 하판(1018)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상판(1016), 제1 하판(1019), 제1 상판(1016), 제2 하판(1018)에 끼움결합된 후 용접되어 일체화 됨으로써, 상기 제1 상판(1016)과 상기 제1 하판(1019)을 결합시키고, 제2 상판(1017)과 제2 하판(1018)을 결합시킨다.
상기 여기서 상기 제1-1 동력전달축은 상기 제1 상부축(3611)이고, 상기 제1-3 동력전달축(L1-3)은 상기 제2-1 기어부(3100')의 중심부에 결합된 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재는 제1 수직재(1001) 내지 제15 수직재(1015)를 포함하며, 각각의 수직재에 대한 설명하면 제1 거치부(1000a)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수직재(1001)는 사각 평판으로 형성되며, 제1-1 삽입돌기(1001a), 제1-2 삽입돌기(1001e), 제1-3 삽입돌기(1001f), 제1 돌기삽입홀(1001d), 제1-1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1j), 제1-2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1h), 제1-1 동력전달축 관통홀(1001g), 제1-2 동력전달축 관통홀(1001i)을 포함한다.
상기 제1-1 삽입돌기(1001a)는 상기 제1 수직재(100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1 수직재 삽입홀(1016u)에 삽입되고, 상기 제1-2 삽입돌기(1001e)는 상기 제1 수직재(100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2 수직재 삽입홀(1019u)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1 삽입돌기(1001a)와 상기 제1-2 삽입돌기(1001e)가 각각 상기 제1-1 수직재 삽입홀(1016u) 및 상기 제1-2 수직재 삽입홀(1019u)에 삽입된 후, 상기 제1 수직재(1001), 상기 제1 상판(1016) 및 제2 상판(1017)을 용접하여 일체화 시킨다.
상기 제1-3 삽입돌기(1001f)는 상기 제1 수직재(1001)의 타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1-1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1j)은 상기 제1 수직재(1001)의 중심부 영역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며,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직재(1001)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일렬로 배치되되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1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1j)은 후술하는 제1 탄성조정유닛(PS1)이 관통한다.
상기 제1-2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1h)은 상기 제1 수직재(1001)의 중심부 영역을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직재(1001)의 길이방향으로 중심영역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제2 탄성조정유닛(PS2)이 관통한다.
상기 제1-1 동력전달축 관통홀(1001g)은 상기 제1 수직재(1001)의 중심부 영역을 기준을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2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1h)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2 동력전달축(L1-2) 또는 제1-4 동력전달축(L1-4)이 관통하며, 상기 제1-2 동력전달축(L1-2)은 제1-1 동력전달축(361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3 동력전달축(L1-3)으로 전달하는 축이며, 또는 제1-4 동력전달축(L1-4)은 제1-3 동력전달축(L1-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1 동력전달축(3611)으로 전달하는 축이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1-2 동력전달축 관통홀(1001i)은 상기 제1 수직재(1001)의 중심부 영역을 기준을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2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1h)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2 동력전달축(L2-2) 또는 제2-4 동력전달축(L2-4)이 관통하며, 상기 제2-2 동력전달축(L2-2)은 제2-1 동력전달축(362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2-3 동력전달축(L2-3)으로 전달하는 축이며, 또는 제2-4 동력전달축(L2-4)은 제2-3 동력전달축(L2-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2-1 동력전달축(3621)으로 전달하는 축이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상기 제1 수직재(1001)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1 상판(1016) 및 제2 상판(1017)과 상기 수직재들의 조립을 위해 공구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작업홀(1001b, 1001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삽입홀(1001d)은 상기 제1-1 동력전달축 관통홀(1001g)과 상기 작업홀(1001b, 1001c) 사이 및 상기 제1-2 동력전달축 관통홀(1001i)과 상기 작업홀(1001b, 1001c)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직재(1002)가 삽입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2 수직재(1002)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상기 제1 수직재(1001)는 상기 제1 상판(1016)과 상기 제2 하판(1018) 사이에 2개가 개재되되, 각각의 제1 수직재(1001)는 상기 제2 거치부(1000b)와 마주보는 2개의 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수직재(1001)의 일측은 상기 제1 거치부(1000a)의 외곽쪽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1 거치부(1000a)의 중심부 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상판(1016)과 상기 제2 하판(1018)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1 수직재(1001)는 결합되는 영역에 따라 제1-1 수직재 내지 제1-4 수직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1 수직재는 상기 제1 상판(1016)과 상기 제1 하판(1019)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2 수직재는 상기 제1 상판(1016)과 상기 제1 하판(1019)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1 수직재는 상기 제2 상판(1017)과 상기 제2 하판(1018)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2-2 수직재는 상기 제2 상판(1017)과 상기 제2 하판(1018)의 타측에 결합된다.
상기 제2 수직재(1002)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1 삽입돌기(1002a), 제2-2 삽입돌기(1002b), 제2-3 삽입돌기(1003d), 작업홀, 제2-1 돌기 삽입홀(1002e), 제2-2 돌기 삽입홀(1002f)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2 수직재(1002)는 상술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 수직재(1002)의 일측은 상면과 하면이 각각 상기 제1 상판(1016)과 상기 제2 상판(1017)에 접촉되며, 상기 제2 수직재(1002) 일측의 타측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2 수직재(1002)의 타측은 상기 제1 상판(1016)만 접촉된다.
상기 제2-1 삽입돌기(1002a)는 상기 제2 수직재(100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1 수직재 삽입홀(1016b~1016d, 1016q~1016s)에 삽입되고, 상기 제2-2 삽입돌기(1002b)는 상기 제2 수직재(1002)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술한 상기 제1 수직재(1001)의 상기 제1 돌기삽입홀(1001d) 삽입되며, 상기 제2-3 삽입돌기(1003d)는 상기 제2 수직재(1002)의 일측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1 수직재 삽입홀(1019b, 1019t)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2-1 삽입돌기(1002a)와 상기 제2-3 삽입돌기(1003d)가 각각 상기 제1-1 수직재 삽입홀(1016b~1016d, 1016q~1016s) 및 상기 제1-2 수직재 삽입홀(1019b, 1019t)에 삽입된 후, 상기 제1 수직재(1001), 상기 제1 상판(1016) 및 제2 상판(1017)을 용접하여 일체화 시키며, 상기 제2-2 삽입돌기(1002b)가 상기 제1 수직재(1001)의 상기 제1 돌기삽입홀(1001d) 삽입된후, 상기 제1 수직재(1001)와 상기 제2 수직재(1002)를 용접하여 일체화시킨다.
또한, 상기 제2 수직재(1002)의 일측 및 타측에는 상기 제1 상판(1016) 및 제2 상판(1017)과 상기 수직재들의 조립을 위해 공구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2개의 작업홀(1002c, 1002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1 돌기 삽입홀(1002e)은 상기 제2 수직재(1002)의 타측의 단부 영역의 하측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일정간격 파여진 홈으로, 후술하는 제4 수직재(1004)가 끼워지며, 상기 제2-2 돌기 삽입홀(1002f)은 상기 제2 수직재(1002)에 형성된 2개의 작업홀(1002c, 1002d)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3 수직재(1003)가 삽입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2 수직재(1002)는 상기 제1 상판(1016)과 상기 제2 하판(1018) 사이에 2개가 개재되되, 상기 제2 수직재(1002) 각각은 상기 제1 수직재(1001) 각각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 수직재(1002)의 일측은 상기 제1 수직재(1001)와 접촉되며, 상기 제2 수직재(1002)의 타측은 상기 제1 거치부(1000a)의 가장자리 영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상판(1016)과 상기 제2 하판(1018)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3 수직재(1003)는 상기 제1 수직재(1001)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수직재(1002)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제1 상판(1016)을 기준으로 상기 제1-1 관통공간(1610)과 접촉하며, 타측은 상기 제2 수직재(1002)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3 수직재(1003)는 사각 평판으로 형성되고, 제3-1 삽입돌기(1003a), 제3-2 삽입돌기(1003b), 제3-3 삽입돌기(1003c), 제3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3g), 제3-1 동력전달축 관통홀(1003d), 제3-2 동력전달축 관통홀(1003e), 제3 돌기삽입홀(1003f)을 포함한다.
상기 제3-1 삽입돌기(1003a)는 상기 제3 수직재(1003)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1 수직재 삽입홀(1016e)에 삽입되고, 상기 제3-2 삽입돌기(1003b)는 상기 제3 수직재(1003)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수직재(1002)에 형성된 상기 제2-2 돌기 삽입홀(1002f)에 삽입되며, 상기 제3-3 삽입돌기(1003c)는 상기 제3 수직재(1003)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2 수직재 삽입홀(1019d)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3-1 삽입돌기(1003a), 상기 제3-2 삽입돌기(1003b) 및 상기 상기 제3-3 삽입돌기(1003c)가 각각 상기 제1 상판(1016), 제2 상판(1017) 및 상기 제2 수직재(1002)에 삽입되어 결합된 후, 이를 용접하여 일체화 시킨다.
상기 제3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3g)은 상기 제3 수직재(1003)의 길이방향으로 중심영역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제2 탄성조정유닛(PS2)이 관통한다.
상기 제3-1 동력전달축 관통홀(1003d)은 상기 제3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3g)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2 동력전달축(L1-2) 또는 제1-4 동력전달축(L1-4)이 관통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3-2 동력전달축 관통홀(1003e)은 상기 제3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3g)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2 동력전달축(L2-2) 또는 제2-4 동력전달축(L2-4)이 관통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3 돌기삽입홀(1003f)은 상기 제3 수직재(1003)의 일측에 배치되고,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3 수직재(1003)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일렬로 배치되되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5 수직재(1005)가 삽입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제5 수직재(1005)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상기 제4 수직재(1004)는 상기 제1 수직재(1001)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수직재(1002)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3 수직재(1003)보다 상기 제1 거치부(1000a)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며, 일측은 후술하는 제5 수직재(1005)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 거치부(1000b)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4 수직재(1004)는 제4-1 삽입돌기(1004a), 제4-2 삽입돌기(1004e), 제4-3 삽입돌기(1004f), 제4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4h), 제4-1 동력전달축 관통홀(1004c), 제4-2 동력전달축 관통홀(1004d), 제4 돌기삽입홀(1004b)을 포함한다.
상기 제4-1 삽입돌기(1004a)는 상기 제4 수직재(1004)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1 수직재 삽입홀(1016a, 1016f, 1016o, 1016t)에 삽입되고, 상기 제4-2 삽입돌기(1004e)는 상기 제4 수직재(1004)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5 수직재(1005)에 삽입되며, 상기 제4-3 삽입돌기(1004f)는 상기 제4 수직재(1004)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2 수직재 삽입홀(1019a, 1019c, 1019s)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4-1 삽입돌기(1004a), 상기 제4-2 삽입돌기(1004e) 및 상기 상기 제4-3 삽입돌기(1004f)가 각각 상기 제1 상판(1016), 제2 상판(1017) 및 상기 제5 수직재(1005)에 삽입되어 결합된 후, 이를 용접하여 일체화 시킨다.
상기 제4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4h)은 상기 제4 수직재(1004)의 길이방향으로 중심영역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제2 탄성조정유닛(PS2)이 관통한다.
상기 제4-1 동력전달축 관통홀(1004c)은 상기 제4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4h)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2 동력전달축(L1-2) 또는 제1-4 동력전달축(L1-4)이 관통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4-2 동력전달축 관통홀(1004d)은 상기 제4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4h)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2 동력전달축(L2-2) 또는 제2-4 동력전달축(L2-4)이 관통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4 돌기삽입홀(1004b)은 상기 제4 수직재(1004)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수직재(1002)의 상기 제2-1 돌기 삽입홀(1002e)과 상하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4 수직재(1004)의 타측에는 상기 제1 상판(1016) 및 제2 상판(1017)과 상기 수직재들의 조립을 위해 공구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작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수직재(1004)는 결합되는 영역에 따라 제4-1 수직재 내지 제4-3 수직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1 수직재는 상기 제1 상판(1016)과 상기 제1 하판(1019)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1 수직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4-2 수직재는 상기 제2 상판(1017)과 상기 제2 하판(1018)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3 수직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2 수직재는 상기 제2 상판(1017)과 상기 제2 하판(1018)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4 수직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상기 제1-4 수직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4 수직재(1004)를 대체하는 수직재는 제10 수직재(1010)이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5 수직재(1005)는 일측은 상기 제3 수직재(1003)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제1 거치부(1000a)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5 수직재(1005)는 제5-1 삽입돌기(1005a), 제5-2 삽입돌기(1005b), 제5-3 삽입돌기(1005g), 제5-1 동력전달축 관통홀(1005d), 제5-2 동력전달축 관통홀(1005e), 제5-1 돌기삽입홀(1005c) 및 제5-2 돌기삽입홀(1005f)을 포함한다.
상기 제5-1 삽입돌기(1005a)는 상기 제5 수직재(1005)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1 수직재 삽입홀(1016i, 1016h, 1016n, 1016m)에 삽입되고, 제5-2 삽입돌기(1005b)는 상기 제4 수직재(1004)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3 수직재(1003)의 제3 돌기삽입홀(1003f)에 삽입되며, 상기 제5-3 삽입돌기(1005g)는 상기 제5 수직재(1005)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2 수직재 삽입홀(1019e, 1019f, 1019n, 1019p)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5-1 삽입돌기(1005a), 상기 제5-2 삽입돌기(1005b) 및 상기 상기 제5-3 삽입돌기(1005g)가 각각 상기 제1 상판(1016), 제2 상판(1017) 및 상기 제3 수직재(1003)에 삽입되어 결합된 후, 이를 용접하여 일체화 시킨다.
상기 제5-1 동력전달축 관통홀(1005d)은 상기 제5 수직재(1005)의 일측 상부영역에 배치되고, 제1-1 동력전달축(3611) 또는 제1-3 동력전달축(L1-3)이 관통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5-2 동력전달축 관통홀(1005e)은 상기 제5 수직재(1005)의 일측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제2-1 동력전달축(3621) 또는 제2-3 동력전달축(L2-3)이 관통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5-1 돌기삽입홀(1005c)은 상기 제5 수직재(1005)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6 수직재(1006) 또는 제7 수직재(1007)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제5-2 돌기삽입홀(1005f)은 상기 제5-1 동력전달축 관통홀(1005d) 및 상기 제5-2 동력전달축 관통홀(1005e)의 타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6 수직재(1006) 및 제7 수직재(1007)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6 수직재(1006)는 제2 거치부(1000b)에 결합되고 상기 제7 수직재(1007)는 제1 거치부(1000a)에 결합된다.
먼저, 제6 수직재(1006)는 제6-1 삽입돌기(1006a), 제6-2 삽입돌기(1006c), 제6-3 삽입돌기(1006d), 제6-4 삽입돌기(1006b) 및 케이블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6-1 삽입돌기(1006a)는 상기 제6 수직재(1006)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1 수직재 삽입홀(1017i, 1017n)에 삽입되고, 제6-2 삽입돌기(1006c)는 상기 제6 수직재(1006)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후술하는 제9 수직재(1009)에 결합되고, 상기 제6-3 삽입돌기(1006d)는 상기 제6 수직재(1006)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2 수직재 삽입홀(1018i, 1018m)에 삽입되며, 제6-4 삽입돌기(1006b)는 상기 수직재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5-1 돌기삽입홀(1005c)에 결합된다.
상기 케이블홀(1006e)은 상기 제6 수직재(1006)의 중심부 영역에 형성되며, 케이블 및 이외 전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7 수직재(1007)는 제7-1 삽입돌기(1007a), 제7-2 삽입돌기(1007c), 제7-3 삽입돌기(1007d), 제7-4 삽입돌기(1007b) 및 케이블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7-1 삽입돌기(1007a)는 상기 제7 수직재(1007)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1 수직재 삽입홀(1016g, 1016j)에 삽입되고, 제7-2 삽입돌기(1007c)는 상기 제7 수직재(1007)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5-1 돌기삽입홀(1005c)에 결합되고, 상기 제7-3 삽입돌기(1007d)는 상기 제7 수직재(1007)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2 수직재 삽입홀(1019g, 1019m)에 삽입되며, 제7-4 삽입돌기(1007b)는 상기 수직재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5-1 돌기삽입홀(1005c)에 결합된다.
상기 케이블홀(1007e)은 상기 제7 수직재(1007)의 중심부 영역에 형성되며, 케이블 및 이외 전기 부재가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8 수직재(1008)는 단일개로 구성되며, 제1 거치부(1000a)에만 결합되고, 일측은 상기 제2 수직재(1002)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제1-3 관통공간(1630) 및 상기 제2-3 관통공간 방향에 배치된다.
상기 제8 수직재(1008)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수직재는 상술한 제3 수직재(1003)이며, 이때, 상기 제1 상판(1016) 및 제2 상판(1017)에 형성된 상기 제1-3 관통공간(1630) 및 상기 제2-3 관통공간으로 인하여, 해당 영역에 결합되는 수직재의 폭이 좁아져야 하므로, 상기 제1-3 관통공간(1630) 및 상기 제2-3 관통공간과 인접한 영역에 상기 제3 수직재(1003)를 대체하는 제8 수직재(1008)를 배치한다.
상기 제8 수직재(1008)는 제8-1 삽입돌기(1008a), 제8-2 삽입돌기(1008b), 제8-3 삽입돌기(1008d), 제8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8g), 제8-1 동력전달축 관통홀(1008e), 제8-2 동력전달축 관통홀(1008f), 제8 돌기삽입홀(1008c)을 포함한다.
상기 제8-1 삽입돌기(1008a)는 상기 제8 수직재(1008)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1 수직재 삽입홀(1016p)에 삽입되고, 상기 제8-2 삽입돌기(1008b)는 상기 제8 수직재(1008)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 수직재(1002)에 형성된 상기 제2-2 돌기 삽입홀(1002f)에 삽입되며, 상기 제8-3 삽입돌기(1008d)는 상기 제8 수직재(1008)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1-2 수직재 삽입홀(1019q)에 삽입된다.
상기 제8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8g)은 상기 제3 수직재(1003)의 길이방향으로 중심영역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제2 탄성조정유닛(PS2)이 관통한다.
상기 제8-1 동력전달축 관통홀(1008e)은 상기 제8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8g)의 상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후술하는 제1-4 동력전달축(L1-4)이 관통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8-2 동력전달축 관통홀(1008f)은 상기 제8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8g)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후술하는 제2-4 동력전달축(L2-4)이 관통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8 돌기삽입홀(1008c)은 상기 제8 수직재(1008)의 일측에 배치되고,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8 수직재(1008)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일렬로 배치되되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9 수직재(1009)가 삽입된다.
상기 제9 수직재(1009)는 상기 제5 수직재(1005)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8 수직재(1008)와 결합되며, 상기 제9 수직재(1009)는 제9-1 삽입돌기(1009a), 제9-2 삽입돌기(1009b), 제9-3 삽입돌기(1009j), 제9-1 동력전달축 관통홀(1009e), 제9-2 동력전달축 관통홀(1009f), 제9-1 돌기삽입홀(1009c) 및 제9-2 돌기삽입홀(1009n, 1009g, 1009i)을 포함하며, 각각은 제5-1 삽입돌기(1005a), 제5-2 삽입돌기(1005b), 제5-3 삽입돌기(1005g), 제5-1 동력전달축 관통홀(1005d), 제5-2 동력전달축 관통홀(1005e), 제5-1 돌기삽입홀(1005c) 및 제5-2 돌기삽입홀(1005f)와 대응된다.
이때, 상기 제9-2 삽입돌기(1009b)는 상기 제8 수직재(1008) 및 제10 수직재(1010)와 결합된다.
상기 제10 수직재(1010)는 상기 제4 수직재(1004)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4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4h)에 대응되는 제10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10h)이 형성되고, 이외 구성은 상기 제4 수직재(1004)에 포함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1 수직재(1011)는 상기 제1 수직재(1001) 중 일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한쪽 측면에 제11 삽입돌기(1011a)가 형성되고, 상기 제11 삽입돌기(1011a)는 상술한 제1 제1-3 삽입돌기(1001f)과 결합되어 상하부로 상기 제1 상판(1016) 및 상기 제2 상판(1017)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수직채의 일측면이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2 수직재(1012) 및 제13 수직재(1013)는 상기 제2 거치부(1000b)만 결합되는 구조로, 제1-3 동력전달축(L1-3) 및 제2-3 동력전달축(L2-3)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2 수직재(1012)는 2개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거치부(1000b)에 결합된 2개의 상기 제5 수직재(1005) 사이에 배치되고, ㄱ자형상의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2-1 수직재(1012a) 및 제12-2 수직재(1012b)를 포함단다.
상기 제12-1 수직재(1012a)는 상기 제5 수직재(1005)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2-1 동력전달축 삽입홀(1012a1) 및 제12-2 동력전달축 삽입홀(1012a2)을 포함한다.
상기 제12-1 동력전달축 삽입홀(1012a1)은 제1-3 동력전달축(L1-3)을 지지하여 상기 제1-3 동력전달축(L1-3)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제12-2 동력전달축 삽입홀(1012a2) 제1-3 동력전달축(L1-3)을 지지하여 상기 제2-3 동력전달축(L2-3)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제12-2 수직재(1012b)는 상기 제12-1 수직재(1012a)의 일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5 수직재(1005)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이때, 2개로 구성된 상기 제12 수직재(1012)는 상기 제12-2 수직재(1012b)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12-2 수직재(1012b)는 상기 제13 수직재(1013)와의 용접을 위해 형성된 영역이며, 상기 제13 수직재(1013)의 일측 및 타측은 2개의 상기 제12 수직재(1012)에 형성된 상기 제12-2 수직재(1012b)와 결합되어, 상기 제12 수직재(1012)를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13 수직재(1013)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13-1 삽입돌기(1013a) 및 제13-3 삽입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3-1 삽입돌기(1013a) 및 상기 제13-3 삽입돌기는 상기 제1-2 수직재 삽입홀(1017m)에 삽입되고, 상기 제2-2 수직재 삽입홀(1018l)에 삽입된다.
상기 제14 수직재(1014)는 상기 제5 수직재(1005)의 상기 제5-2 돌기삽입홀(1005f)의 타측에 결합되며, 제14-1 동력전달축 삽입홀(1014a) 및 제14-2 동력전달축 삽입홀(1014b)이 형성되며, 각각에 상기 제2 상부축(3612) 및 상기 제2 하부축(3522)이 관통한다.
상기 제15 수직재(1015)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하판(1019) 및 제2 하판(1018)에 결합되며, 상술한 처짐방지 피니언(9100, 9200)이 결합된다.
상기 제2 거치부(1000b)에 결합되는 수직재는 상기 제1 내지 제6 수직재(1001~1006), 제12 수직재(1012) 및 제13 수직재(1013)만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거치부(1000b)에 결합되는 상기 제1 내지 제6 수직재(1001~1006)에 관한 설명은 상기 제1 거치부(1000a)에 결합되는 제1 내지 제6 수직재(1006)와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탄성조정유닛은 상기 거치대(1000)가 폴(P)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할 때, 상기 폴(P)의 직진도를 정확하게 맞출 수 없으므로,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기 레일부에 맞물려 회전하여 록킹 없이 상기 거치대(100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대가 상기 폴과 상호 탄력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탄성조정유닛의 제1 실시예는 상기 제1 거치부(1000a) 및 제2 거치부(1000b)를 결합시키되, 상기 제1 거치부(1000a)와 상기 제2 거치부(1000b)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조정유닛은 제1 탄성조정유닛(PS1) 및 제2 탄성조정유닛(PS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탄성조정유닛(PS1)은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제1-1 수직재와 상기 제1-3 수직재를 동시에 관통하고, 상기 제1-2 수직재 및 상기 제1-4 수직재를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제1 거치부(1000a)와 상기 제2 거치부(1000b)를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제1 탄성조정유닛(PS1)은 상기 제1 거치부(1000a)와 상기 제2 거치부(1000b)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탄성조정유닛(PS1)은 제1 스프링거치축(PS1a), 제1 압축스프링(PS1b) 및 제1 가변 압축 스프링 볼트(PS1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프링거치축(PS1a)은 상기 제1-1 수직재와 상기 제1-3 수직재에 형성된 상기 제1-1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1j)을 동시에 관통하고, 상기 제1-2 수직재 및 상기 제1-4 수직재에 형성된 상기 제1-1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1j)을 동시에 관통한다.
이때, 상기 제1 스프링거치축(PS1a)의 양단의 중심부에는 제1 가변 압축 스프링 볼트(PS1c)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결합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압축스프링(PS1b)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스프링 거치축의 양단부의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1 가변 압축 스프링 볼트(PS1c)는 상기 제1 스프링 거치축 양단에 결합되며, 구체적으로 헤드부 및 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결합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연결되며, 직경은 상기 제1 스프링거치축(PS1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가변 압축 스프링 볼트(PS1c)가 상기 제1 스프링 거치축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압축스프링(PS1b)이 상기 제1 스프링 거치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제1 압축스프링(PS1b)은 상기 제1-1 수직재와 상기 헤드부 사이, 상기 제1-2 수직재와 상기 헤드부 사이, 상기 제1-3 수직재와 상기 헤드부 사이, 상기 제1-4 수직재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거치부(1000a)와 상기 제2 거치부(1000b) 사이의 거리를 조정한다.
상기 제2 탄성조정유닛(PS2)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1 거치부(1000a)와 상기 제2 거치부(1000b)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탄성조정유닛(PS2)은 제2 스프링거치축, 제2 압축스프링 및 제2 가변 압축 스프링 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스프링거치축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스프링거치축 각각은 상기 제4-1 수직재에 형성된 제4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4h), 상기 제3 수직재(1003)에 형성된 상기 제3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3g), 제1-1 수직재에 형성된 제1-2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1h), 제1-3 수직재에 형성된 제1-2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1h), 상기 제3 수직재(1003)에 형성된 상기 제3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3g) 및 상기 제4-2 수직재에 형성된 제4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4h)을 순차적으로 동시에 관통하며, 상기 제10 수직재(1010)에 형성된 제10 스프링거치축 관통홀, 상기 제8 수직재(1008)에 형성된 상기 제8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8g), 제1-2 수직재에 형성된 제1-2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1h), 제1-4 수직재에 형성된 제1-2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1h), 상기 제3 수직재(1003)에 형성된 상기 제3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3g) 및 상기 제4-4 수직재에 형성된 제4 스프링거치축 관통홀(1004h)을 순차적으로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제1 거치부(1000a)와 상기 제2 거치부(1000b)를 연결시킨다.
이외, 상기 제2 압축스프링 및 제2 가변 압축 스프링 볼트은 상술한 제1 압축스프링(PS1b) 및 제1 가변 압축 스프링 볼트(PS1c)와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하여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피니언기어가 상기 레일부에 바르게 치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압축스프링의 탄성을 통하여 상기 제1 거치부(1000a)와 상기 제2 거치부(1000b) 사이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기 레일부에 바르게 치합되어 상기 레일부를 기준으로 상기 피니언기어가 문제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조정유닛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탄성조정유닛은 상기 제1 거치부(1000a)와 상기 제2 거치부(1000b) 사이, 즉, 상기 제1 거치부(1000a)에 결합된 제1 수직재(1001)와 상기 제2 거치부(1000b)에 결합된 제1 수직재(1001) 사이에 개재되되, 고무나 탄성패드와 같이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거치부(1000a)와 상기 제2 거치부(1000b)사이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기 레일부에 바르게 치합되어 상기 레일부를 기준으로 상기 피니언기어가 문제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조정유닛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탄성조정유닛은 상기 폴(P)과 상기 레일부(2000) 사이에 개재되되, 고무나 탄성패드와 같이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거치대(1000)가 상기 폴(P)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기 레일부에 바르게 치합되어 상기 레일부를 기준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가 록킹 등과 같은 문제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폴(P)과 상기 레일부(2000) 사이의 길이를 조정한다.
이때, 상기 거치대(10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거치부(1000a)와 상기 제2 거치부(1000b)로 구분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폴(P)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탄성조정유닛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상판(1016), 상기 제1 하판(1019), 상기 제2 상판(1017) 및 상기 제2 하판(1018)에 형성된 수직재 삽입홀에 상기 수직재 각각에 형성된 삽입돌기가 삽입됨으로써 결합될 때, 상기 탄성조정유닛은 상기 수직재 삽입홀과 상기 삽입돌기 사이에 개재되되, 고무나 탄성패드와 같이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상판(1016), 상기 제1 하판(1019), 상기 제2 상판(1017) 및 상기 제2 하판(1018)을 기준으로 상기 수직재들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피니언기어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거치대(1000)가 상기 폴(P)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기 레일부에 바르게 치합되어 상기 레일부를 기준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가 록킹 등과 같은 문제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대(10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거치부(1000a)와 상기 제2 거치부(1000b)로 구분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폴(P)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탄성조정유닛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탄성조정유닛은 상기 기어하우징(3100)과 상기 거치대(1000)가 결합되는 영역, 즉, 상기 기어하우징(3100)의 상하면과, 상기 기어하우징(3100)의 상하면이 삽입되도록 상기 상판 및 하판에 형성되는 별도의 하우징 삽입홀 사이에 개재된다.
즉, 상기 하우징 삽입홀에 상기 기어하우징의 상하면이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 삽입홀과 상기 기어하우징의 상하면이 마주보는 면에 상기 탄성조정유닛이 개재되되, 고무나 탄성패드와 같이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거치대를 기준으로 상기 기어하우징의 위치가 수평방향으로 가변됨으로써 상기 피니언기어의 위치가 이동하여, 상기 거치대(1000)가 상기 폴(P)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기 레일부에 바르게 치합되어 상기 레일부를 기준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가 록킹 등과 같은 문제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거치대(10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거치부(1000a)와 상기 제2 거치부(1000b)로 구분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폴(P)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상기 탄성조정유닛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도 21을 참조하여 상기 탄성조정유닛(PS)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탄성조정유닛(PS)의 제6 실시예를 설명하기 앞서, 상기 탄성조정유닛(PS)의 제6 실시예가 적용되는 제1 상판(1016), 제1 하판(1019), 제2 상판(1017)과 제2 하판(1018)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상판(1016), 상기 제1 하판(1019), 상기 제2 상판(1017) 및 상기 제2 하판(1018)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반원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상판(1016), 상기 제1 하판(1019), 상기 제2 상판(1017) 및 상기 제2 하판(1018)이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탄성조정유닛(PS)의 제6 실시예가 결합되는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도번부호 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는 상기 제1 상판(1016), 상기 제1 하판(1019), 상기 제2 상판(1017) 및 상기 제2 하판(1018) 중 상술한 제1 수직재(1001)가 결합되는 면으로부터 상기 제1 상판(1016), 상기 제1 하판(1019), 상기 제2 상판(1017) 및 상기 제2 하판(1018)과 수직하게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상판(1016) 및 상기 제2 상판(1017)에 형성된 상기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는 각각 제1-1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1016') 및 제2-1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1017')로, 제1-1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1016') 및 제2-1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1017')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하판(1019) 및 상기 제2 하판(1018)에 형성된 상기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는 각각 제1-2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1019') 및 제2-2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1018')로, 제1-2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1019') 및 제2-2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1018')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탄성조정유닛(PS)은 상기 제1-1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1016') 및 상기 제2-1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1017')의 사이와, 상기 제1-2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1019') 및 상기 제2-2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1018') 사이에 개재된다.
이때, 제1-1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1016'), 제2-1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1017'), 제1-2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1019') 및 제2-2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1018')에는 상기 탄성조정유닛(PS)이 관통할 수 있는 탄성조정유닛 관통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1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기(1016') 및 상기 제2-1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1017')의 사이와, 상기 제1-2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1019') 및 상기 제2-2 탄성조정유닛 결합돌기(1018') 사이의 마주보는 면에 상기 탄성조정유닛(PS)이 개재되되, 고무나 탄성패드와 같이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거치대를 기준으로 상기 기어하우징의 위치가 수평방향으로 가변됨으로써 상기 피니언기어의 위치가 이동하여, 상기 거치대(1000)가 상기 폴(P)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기 레일부에 바르게 치합되어 상기 레일부를 기준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가 록킹 등과 같은 문제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상기 탄성조정유닛의 제1 내지 제6 실시예는 단독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상기 피니언기어의 갯수, 크기, 무게, 상기 거치대의 크기, 무게, 상기 폴의 길이에 따라 복수개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P: 폴
C: 카메라
1000: 거치대
1000a: 제1 거치부
1000b: 제2 거치부
1001~1015: 수직재
1016: 제1 상판
1017: 제2 상판
1019: 제1 하판
1018: 제2 하판
1020: 제1 가이드바
1021: 제2 가이드바
2000: 레일부
3000: 웜기어 어셈블리
3100: 기어하우징
3200: 베어링
3300: 풀리
3400: 웜축
3510: 상부웜휠
3511: 제1 상부웜휠
3512: 제2 상부웜휠
3520: 하부웜휠
3521: 제1 하부웜휠
3522: 제2 하부웜휠
3611: 제1 상부축
3612: 제2 상부축
3621: 제1 하부축
3622: 제2 하부축
3710: 상부 피니언기어
3711: 제1 상부기어
3712: 제2 상부기어
3720: 하부 피니언기어
3721: 제1 하부기어
3722: 제2 하부기어
4000, 4000': 상부구조 어셈블리
4100, 4100': 용접플레이트
4110, 4110': 중심홀
4120, 4120': 제1 플레이트홀
4200, 4200': 덮개플레이트
4210, 4330': 결합링 관통홀
4210': 바아 결합홀
4220, 4220': 제2 플레이트홀
4300: 피뢰침 연결대
4310: 연결대고정부
4320: 연결대
4330: 피뢰침
4410, 4500': 와이어 결합링
4420: 결합링 고정유닛
4300': 링연결 바아
4310': 제1 덮개부 홀
4400': 바아 덮개부
4410'; 덮개중심부
4420': 덮개날개부
4430': 제2 덮개부 홀
4600: 폴스탠딩 유닛
4610: 고정밴드
4620: 관통봉
4630: 고정줄
5000: 가이드 롤러부
6000: 케이블 베어
7000: 가이드부
8000: 매개부
9100, 9200: 처짐방지 피니언
PS1: 제1 탄성조정유닛
PS2: 제2 탄성조정유닛

Claims (2)

  1. 지상에 고정 배치되는 폴 상에서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에 있어서,
    센서부가 착탈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거치대;
    상기 폴의 외면 상에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산과 골을 형성하는 레일부;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부 상에서 회전되어 상기 거치대를 승하강시키는 기어부; 및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와 상기 기어부는 상호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
  2. 지상에 고정 배치되는 폴 상에서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에 있어서,
    센서부가 착탈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거치대;
    상기 폴의 외면 상에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산과 골을 형성하는 레일부;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부 상에서 회전되어 상기 거치대를 승하강시키는 기어부; 및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과 상기 레일부는 상호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
KR1020220085261A 2021-07-09 2022-07-11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 KR202300101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90465 2021-07-09
KR1020210090465 2021-07-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174A true KR20230010174A (ko) 2023-01-18

Family

ID=85106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261A KR20230010174A (ko) 2021-07-09 2022-07-11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017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728B1 (ko) 2010-12-17 2013-07-31 김응욱 카메라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cctv 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728B1 (ko) 2010-12-17 2013-07-31 김응욱 카메라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cctv 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835B1 (ko)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US20060265805A1 (en) Lift bed
CN1782317B (zh) 用于可滑动分隔元件的驱动设备、驱动组件以及分隔元件
KR20230010174A (ko)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
DE202005002411U1 (de) Gestell zur Lagerung von Solarmodulen
KR102317886B1 (ko)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
KR102317887B1 (ko)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
WO2007013827A1 (en) Telescopic screw lift, especially for lifting a flat tv screen from the furniture container into a display position
WO2010130727A1 (de) Ausrichtbares fundamentsystem für solarpaneele
CN106660639B (zh) 登机桥的圆形建筑高度调整装置
CN107728254A (zh) 一种光缆高空熔接装置
US11744753B2 (en) Transmission device of hospital bed
DE102006036149A1 (de) Nachführbare Anlage für Solarmodule
KR102313526B1 (ko)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
KR102317885B1 (ko)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
KR102082432B1 (ko) 골프공 티업장치
CN206602490U (zh) 用于太阳能光伏组件的倾角调节装置
LT6511B (lt) Lengvai išlaikantis energijos tiekimo sąsają įrenginys
KR20230010173A (ko)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
CN217079584U (zh) 一种可调平的平台网架
DE202014103145U1 (de) Beleuchtung für einen Fahnenmast und Energiezuführungsvorrichtung
EP2999930B1 (de) Sonnen-nachführvorrichtung für solarmodule mit elastischen bzw. federnden pseudogelenken
CN220599444U (zh) 一种市政工程多功能围栏
CN1302053A (zh) 垂幕张挂台及固定装置
CN220986835U (zh) 一种便于调节的植物攀爬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