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0173A -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 - Google Patents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0173A
KR20230010173A KR1020220085260A KR20220085260A KR20230010173A KR 20230010173 A KR20230010173 A KR 20230010173A KR 1020220085260 A KR1020220085260 A KR 1020220085260A KR 20220085260 A KR20220085260 A KR 20220085260A KR 20230010173 A KR20230010173 A KR 20230010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radle
pole
uni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곤
Original Assignee
송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곤 filed Critical 송정곤
Publication of KR20230010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등 센서부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승하강 시킬 수 있는 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에 고정 배치되는 폴 상에서 카메라 등 센서부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모터 및 기어를 이용하여 승하강 시킬 수 있는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상에 고정 배치되는 폴 상에서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에 있어서, 센서부가 착탈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거치대와, 상기 폴의 외면 상에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산과 골을 형성하는 레일부와,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부 상에서 회전되어 상기 거치대를 승하강시키는 기어부와,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어부는 2개 이상의 피니언기어와, 상기 2개 이상의 피니언기어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는 2개 이상의 구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구동기어 중 하나의 구동기어에 상기 모터부의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Pole system with cradle elevating func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등 센서부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승하강 시킬 수 있는 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에 고정 배치되는 폴 상에서 카메라 등 센서부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모터 및 기어를 이용하여 승하강 시킬 수 있는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외에 설치되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는 카메라 시각을 적절히 확보하기 위하여 높은 장소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CCTV 카메라는 통상 폴(Pole) 시스템에 의해 설치된다.
종래의 CCTV 폴 시스템은 폴 시스템에 부착된 사다리를 이용하여 폴 상부에 있는 카메라에 접근하거나,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폴 상부에 위치한 카메라에 접근하거나, 혹은 폴을 다단으로 접어 카메라를 지상의 낮은 곳으로 내려오게 하여 카메라를 정비하고 점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CCTV 폴 시스템은 사람의 하중까지 고려한 구조물 설계로 구조물의 크기가 클 뿐만 아니라 안전발판 등의 구조물로 인하여 미관을 해치고, 작업자가 높은 곳에 올라가야 하는 위험성과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1728호(2013.07.25. 등록)에서는 카메라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CCTV 폴 시스템을 공지하고 있다.
그러나, 가동부는 권양부의 로프 권치에 의해 승하강이 구현된다는 점에서 가동부의 승하강시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1728호(2013.07.25.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의 승하강을 용이하게 하고,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상에 고정 배치되는 폴 상에서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에 있어서, 센서부가 착탈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거치대와, 상기 폴의 외면 상에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산과 골을 형성하는 레일부와,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부 상에서 회전되어 상기 거치대를 승하강시키는 기어부와,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어부는 2개 이상의 피니언기어와, 상기 2개 이상의 피니언기어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는 2개 이상의 구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구동기어 중 하나의 구동기어에 상기 모터부의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에 의하면, 카메라의 승하강을 용이하게 하고,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제1 기어부(웜기어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제1 기어부(웜기어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제1 기어부(웜기어 어셈블리)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기어부 및 가이드 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면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상부구조 어셈블리의 전체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상부구조 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상부구조 어셈블리의 폴스탠딩 유닛을 이용하여 폴을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우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상부구조 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모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레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및 도 11(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레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케이블 베어 및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매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처짐방지 피니언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처짐방지 롤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제1 기어부(웜기어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제1 기어부(웜기어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제1 기어부(웜기어 어셈블리)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기어부 및 가이드 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상부구조 어셈블리의 전체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상부구조 어셈블리의 제1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상부구조 어셈블리의 폴스탠딩 유닛을 이용하여 폴을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우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상부구조 어셈블리의 제2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모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레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및 도 11(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레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케이블 베어 및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매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은 지상에 고정되는 폴(P) 상에서 센서부를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장치이며, 폴(P), 센서부, 거치대(1000), 레일부(2000), 기어부, 상부구조 어셈블리(4000), 모터부(M), 처짐방지 피니언(9100a, 9200a)을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폴(P)은 지상에 미리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A) 상에 앵커 볼트 등에 의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폴(P)은 중공 공간(Z)을 가지는 8각 기둥형상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 기둥 또는 원 기둥일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폴(P)은 중공 공간(Z)을 가지는 8각 기둥형상임을 전제로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센서부에 포함되는 카메라(C)는 CCTV일 수도 있고, 열상감시장비(Thermal Observation Device)일 수도 있으며, 이외, 자외선 센서, 열센서 등 여러 센서로 대체 가능하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은 카메라(C)가 착탈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거치대(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거치대(1000)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기어부에 의해 상기 폴(P) 상에서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이 구현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레일부(2000)는 상기 폴(P)의 외면 상에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산과 골을 형성한다.
일례로, 상기 레일부(2000)는 상기 폴(P)의 제1 외면에 배치되는 제1 레일부(2100) 및 상기 폴(P)의 상기 제1 외면과 대향하는 외면인 제2 외면에 배치되는 제2 레일부(22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면과 상기 제2 외면은 상호 대향하는 외면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레일부(2100)와 상기 제2 레일부(2200)는 각각 상기 제1 외면과 상기 제2 외면 상에 돌출 배치되어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일부(2100)와 상기 제2 레일부(2200)가 각각 측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폴(P) 상에서 돌출 배치됨에 따라 바람으로 인한 와류 형성을 최소화하여 상기 폴(P)이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M)는 상기 거치대(1000)에 연결되며, 상기 기어부가 회전되도록 상기 기어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부(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거치대(1000) 상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부(M)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레일부(200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모터부(M)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레일부(2000) 상에서 상기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거치대(1000)는 상기 폴(P) 상에서 상기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1 레일부(2100) 상에서 회전되는 제1 기어부 및 상기 제2 레일부(2200) 상에서 회전되는 제2 기어부(30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 기어부는 후술하는 웜기어 어셈블리(3000)와 대응된다.
상기 제1 기어부에 해당하는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앞서, 상기 제1 기어부는 상기 제1 레일부(2100)에 치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어부(3000')는 상기 제2 레일부(2200)에 치합될 수 있고,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3000')는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거치대(1000)가 상기 폴(P) 상에서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어, 상기 폴(P)의 측면에 결합된 레일부(2000) 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폴(P)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는 기어하우징(3100), 풀리(3300), 웜축(3400), 웜휠, 동력전달축, 피니언기어 및 베어링(3200)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레일부(2000)는 래크기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어하우징(3100)은 상기 거치대(1000)과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웜축(3400), 웜휠, 동력전달축이 배치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와 함께 상기 폴(P)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100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기 풀리(3300)는 상기 모터와 연동되어 상기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한다.
상기 웜축(3400)은 상기 기어하우징(3100)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웜축(3400)의 길이방향과 상기 폴(P)의 길이방향이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웜축(3400)의 회전축과 상기 풀리(3300)의 회전축이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상기 웜축(3400)의 단부에 상기 풀리(3300)가 결합되어, 상기 풀리(33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풀리(3300)의 회전동력이 상기 웜축(3400)에 전달되어 상기 웜축(3400)이 회전한다.
상기 웜휠은 상기 기어하우징(310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웜휠은 상부웜휠(3510) 및 하부웜휠(352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웜휠(3510)은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하며, 제1 상부웜휠(3511)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상부웜휠(3511)은 상기 웜축(340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한다.
상기 하부웜휠(3520)은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하되, 상기 상부웜휠(35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 하부웜휠(3521)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하부웜휠(3521)은 상기 웜축(3400)의 일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상부웜휠(35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한다.
상기 동력전달축은 상기 웜휠의 회전축에 해당하는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웜휠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동력전달축은 상기 제1 상부웜휠(3511) 및 상기 제1 하부웜휠(3521)에 각각 관통결합되는 제1 상부축(3611) 및 제1 하부축(362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상부축(3611) 및 상기 제1 하부축(3621)의 중심부 영역은 상기 기어하우징(3100) 내부에 배치되되, 각각 상기 제1 상부웜휠(3511) 및 상기 제1 하부웜휠(3521)에 결합되며, 일단부와 타단부는 상기 기어하우징(31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기어하우징(3100)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동력전달축과 결합되어 회전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부 피니언기어(3710) 및 하부 피니언기어(37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는 상기 동력전달축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제1 상부기어(3711)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상부기어(3711)는 중심부에 상기 제1 상부축(3611)의 일단부가 관통하여 상기 제1 상부축(3611)과 결합되어, 상기 제1 상부축(361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 상부기어(3711)는 래크기어로 구성된 상기 레일부(2000)에 치합되어 상기 레일부(2000) 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폴(P)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하부 피니언기어(3720)는 상기 동력전달축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제1 하부기어(3721)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하부기어(3721)는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하부기어(3721)의 구동 등의 상세 설명은 상술한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 및 상기 하부 피니언기어(372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 및 상기 하부 피니언기어(3720)가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기어하우징(3100)에 결합된 상기 거치대(1000)가 외력에 의해 비틀리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하우징(3100)에 상기 웜축(3400) 및 상기 동력전달축이 관통하여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베어링(3200)이 개재되며, 상기 베어링(3200)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기어하우징(3100)을 기준으로 상기 동력전달축 및 상기 웜축(3400)이 회전할 때, 상기 기어하우징(3100)이 상기 동력전달축 및 상기 웜축(3400)을 지지하며, 마찰을 최소화하여 상기 기어하우징(3100)을 기준으로 상기 동력전달축 및 상기 웜축(3400)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어하우징(3100)은 상기 거치대(1000)과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웜축(3400), 웜휠, 동력전달축이 배치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와 함께 상기 폴(P)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100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상기 풀리(3300)는 상기 모터와 연동되어 상기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한다.
상기 웜축(3400)은 상기 기어하우징(3100)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웜축(3400)의 길이방향과 상기 폴(P)의 길이방향이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웜축(3400)의 회전축과 상기 풀리(3300)의 회전축이 동일선상에 놓이도록 상기 웜축(3400)의 단부에 상기 풀리(3300)가 결합되어, 상기 풀리(33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풀리(3300)의 회전동력이 상기 웜축(3400)에 전달되어 상기 웜축(3400)이 회전한다.
상기 웜휠은 상기 기어하우징(310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웜휠은 상부웜휠(3510) 및 하부웜휠(352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웜휠(3510)은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하며, 제1 상부웜휠(3511)과 제2 상부웜휠(35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상부웜휠(3511)은 상기 웜축(3400)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2 상부웜휠(3512)은 상기 웜축(3400)의 타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 상부웜휠(3511)과 상기 제2 상부웜휠(3512)이 상기 웜축(3400)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웜축(3400)이 회전할 때, 상기 제1 상부웜휠(3511)과 상기 제2 상부웜휠(3512)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하부웜휠(3520)은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하되, 상기 상부웜휠(35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 하부웜휠(3521)과 제2 하부웜휠(35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하부웜휠(3521)은 상기 웜축(3400)의 일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상부웜휠(35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2 하부웜휠(3522)은 상기 웜축(3400)의 타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제2 상부웜휠(35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웜축(3400)과 맞물려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 하부웜휠(3521)과 상기 제2 하부웜휠(3522)이 상기 웜축(3400)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웜축(340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 하부웜휠(3521)과 상기 제2 하부웜휠(3522)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상부웜휠(3511)과 상기 제1 하부웜휠(3521)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동력전달축은 상기 웜휠의 회전축에 해당하는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웜휠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동력전달축은 상기 제1 상부웜휠(3511), 상기 제2 상부웜휠(3512), 상기 제1 하부웜휠(3521) 및 상기 제2 하부웜휠(3522)에 각각 관통결합되는 제1 상부축(3611), 제2 상부축(3612), 제1 하부축(3621) 및 제2 하부축(36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상부축(3611), 상기 제2 상부축(3612), 상기 제1 하부축(3621) 및 상기 제2 하부축(3622)의 중심부 영역은 상기 기어하우징(3100) 내부에 배치되되, 각각 상기 제1 상부웜휠(3511), 상기 제2 상부웜휠(3512), 상기 제1 하부웜휠(3521) 및 상기 제2 하부웜휠(3522)에 결합되며, 일단부와 타단부는 상기 기어하우징(31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기어하우징(3100)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동력전달축과 결합되어 회전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부 피니언기어(3710) 및 하부 피니언기어(37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는 상기 동력전달축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제1 상부기어(3711) 및 제2 상부기어(37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상부기어(3711)는 중심부에 상기 제1 상부축(3611)의 일단부가 관통하여 상기 제1 상부축(3611)과 결합되어, 상기 제1 상부축(361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 상부기어(3711)는 래크기어로 구성된 상기 레일부(2000)에 치합되어 상기 레일부(2000) 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폴(P)을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제2 상부기어(3712)는 상기 중심부에 상기 제2 상부축(3612)의 일단부가 관통하여 상기 제2 상부축(3612)과 결합되어, 상기 제2 상부축(3612)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2 상부기어(3712)는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상기 제1 상부기어(3711)가 상기 제1 상부축(3611)의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레일부(2000)과 맞물리며 회전하며 상하로 이동할 때, 상기 기어하우징(3100) 및 기어하우징(3100) 외측에 배치된 카메라(C)의 무게에 의해 상기 제1 상부기어(3711)가 회전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상부기어(3712)가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상부기어(3711)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의 회전을 보조한다.
상기 하부 피니언기어(3720)는 상기 동력전달축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제1 하부기어(3721) 및 제2 하부기어(37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기어(3721)는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하부기어(3722)는 상기 제2 상부기어(3712)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하부기어(3721) 및 상기 제2 하부기어(3722)의 구동 등의 상세 설명은 상술한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와 상기 제2 상부기어(3712)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 및 상기 하부 피니언기어(372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 및 상기 하부 피니언기어(3720)가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기어하우징(3100)에 결합된 상기 거치대(1000)가 외력에 의해 비틀리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하우징(3100)에 상기 웜축(3400) 및 상기 동력전달축이 관통하여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베어링(3200)이 개재되며, 상기 베어링(3200)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기어하우징(3100)을 기준으로 상기 동력전달축 및 상기 웜축(3400)이 회전할 때, 상기 기어하우징(3100)이 상기 동력전달축 및 상기 웜축(3400)을 지지하며, 마찰을 최소화하여 상기 기어하우징(3100)을 기준으로 상기 동력전달축 및 상기 웜축(3400)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니언기어가 상부 피니언기어(3710) 및 하부 피니언기어(3720)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모터의 동력이 상기 피니언기어를 거쳐 제1 레일부(2100)로 전달되되, 처짐이나 로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거치대(1000)의 상승 및 하강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동력이 전달된다.
상술한 상기 피니언기어의 예시는 상부 피니언기어(3710) 및 하부 피니언기어(3720)로 2개로 구성되었지만, 상기 피니언기어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이중, 삼중, 사중 피니언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웜축(3440)은 복수개로 구성되되, 상기 풀리(3300)를 기준으로 상하로 배치되는 상부웜축 및 하부웜축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상부웜축 및 상기 하부웜축에 복수개의 피니언기어가 동력을 전달받음으로써 상기 제1 레일부(2100)에 N개의 피니언기어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의 또다른 실시예는 기어하우징(3100), 구동기어, 피니언기어 및 베어링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회전력을 상기 피니언기어로 전달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기어는 제1 구동기어, 제2 구동기어 및 아이들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기어는 단일개로 구성된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와 맞물려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아이들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제2 구동기어는 단일개로 구성된 상기 하부 피니언기어(3720)와 맞물려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아이들기어와 맞물려 회전한다.
즉, 상기 제1 구동기어와 상기 제2 구동기어 사이에 상기 아이들기어가 배치되어, 상기 제1 구동기어와 상기 제2 구동기어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모터는 상기 제1 구동기어, 상기 제2 구동기어 및 상기 아이들기어 중 하나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모터가 상기 제1 구동기어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1 구동기어가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상기 아이들기어와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를 회전시키고, 상기 아이들기어는 상기 제2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구동기어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하부 피니언기어(372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구동기어와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의 사이 및 상기 제2 구동기어구동기어 피니언기어(3720)의 사이에는 추가 아이들기어가 배치되어 맞물려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아이들기어는 상기 피니언기어의 감속비 조정을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 외,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에 포함되는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 기어부(3000')는 상기 제2 레일부(2200) 상에서 회전되는 제2-1 기어부(3100') 및 상기 높이 방향으로 상기 제2-1 기어부(3100')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 레일부(2200) 상에서 회전되는 제2-2 기어부(32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1 기어부(3100')와 상기 제2-2 기어부(3200')는 상기 제2 레일부(2200)와 치합되되 상호 상기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와 상기 제2-1 기어부(3100')는 상호 대향되되 상기 거치대(1000) 상에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하부기어(3721)와 상기 제2-2 기어부(3200')는 상호 대향되되 상기 거치대(1000) 상에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거치대(1000)가 상기 폴(P) 상에서 바람에 의해 비틀리게 흔들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 및 상기 하부 피니언기어(3720), 상기 제2-1 기어부(3100') 및 상기 제2-2 기어부(3200')는 상기 모터부(M)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피니언기어(3710) 및 상기 하부 피니언기어(3720), 상기 제2-1 기어부(3100') 및 상기 제2-2 기어부(3200')는 모두, 하나의 상기 모터부(M)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레일부(2000) 상에서 동일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상부기어(3711) 및 제1 하부기어(3721)는 상기 모터부(M)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상기 제2-1 기어부(3100')는 상기 제1 상부기어(371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상기 제2-2 기어부(3200')는 상기 제1 하부기어(372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1 상부기어(3711) 및 상기 제1 하부기어(3721)은 하나의 상기 모터부(M)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2-1 기어부(3100')는 상기 모터부(M)로부터 직접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이 아닌 상기 제1 상부기어(371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2-2 기어부(3200')도 상기 모터부(M)로부터 직접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이 아닌 상기 제2-1 기어부(31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상기 모터부(M) 만으로도,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높이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제1 상부기어(3711), 상기 제1 하부기어(3721), 상기 제2-1 기어부(3100') 및 상기 제2-2 기어부(3200')가 모두 동일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만약 상기 제1 상부기어(3711)의 불량으로 인해 상기 모터부(M)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지 못하는 경우라도, 상기 제1 하부기어(3721)이 상기 모터부(M)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2 기어부(3200')로 회전력을 전달 가능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1000)의 승하강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부(M)는 상기 모터(M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회전 기어(M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 회전축(K)은 제1 본체부의 제1 이격 공간(S2)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회전축(K)의 일단은 제1 하판을 관통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제2 회전 기어(M4)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부(M)는 상기 모터 회전축(K)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회전 기어(M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 기어(M4)는 상기 제1 하판으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 돌출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 기어(M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모터 회전축(K)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타이밍 벨트(M3)는 상기 제1 하판의 하측에 돌출 배치되는 상기 제1 회전 기어(M2)와 상기 제2 회전 기어(M4)에 치합되어 상기 제1 회전 기어(M2)의 회전력을 상기 제2 회전 기어(M4)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모터부(M)는 상기 타이밍 벨트(M3)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가압부(M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압부(M5)는 상기 타이밍 벨트(M3)에 접촉되어 상기 타이밍 벨트(M3)를 가압하되 상기 타이밍 벨트(M3)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기어(M2), 상기 제2 회전 기어(M4), 상기 가압부(M5) 및 상기 타이밍 벨트(M3)는 상기 제1 하판의 하측에 돌출 배치됨에 따라, 수리 및 교체가 필요할 시, 작업자는 상기 제1 본체부를 분리하지 않고 용이하게 상기 제1 회전 기어(M2), 상기 제2 회전 기어(M4), 상기 가압부(M5) 및 상기 타이밍 벨트(M3)를 수리 및 교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회전 기어(M2), 상기 제2 회전 기어(M4), 상기 가압부(M5) 및 상기 타이밍 벨트(M3)는 상기 제1 하판의 하측에 돌출 배치됨에 따라, 상기 높이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이격 공간(S2)의 높이를 최소화 할 수 있어, 상기 거치대(1000)의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상부구조 어셈블리(4000)는 상기 폴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폴의 상부를 덮어 상기 폴의 내부공간으로 외부 물질이 들어오거나 또는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폴을 지면으로부터 세울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상부구조 어셈블리(4000)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부구조 어셈블리(4000)의 제1 실시예는 용접플레이트(4100), 덮개플레이트(4200), 피뢰침 연결대(4300), 와이어 결합링(4410), 결합링 고정유닛(4420) 및 폴스탠딩 유닛(4600)을 포함한다.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폴의 상단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폴의 상단과 용접으로 결합되고,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에는 중심홀(4110), 제1 플레이트홀(4120) 및 제1 피뢰침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중심홀(4110)은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상기 중심홀(4110)은 후술하는 결합링 고정유닛(4420)이 배치되고, 이에 대한 상세할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홀(412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와 결합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는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의 상부와 결합되며, 결합링 관통홀(4210), 제2 플레이트홀(4220) 및 제2 피뢰침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링 관통홀(4210)은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후술하는 상기 와이어 결합링(4410)이 관통한다.
상기 제2 플레이트홀(422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홀(4120)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별도의 결합부재가 상기 제1 플레이트홀(4120)과 상기 제2 플레이트홀(4220)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와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뢰침 연결대(4300)는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 상부에 결합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피뢰침 연결대(4300)는 연결대고정부(4310), 연결대(4320) 및 피뢰침(433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대고정부(4310)는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 상부에 결합되며, 별도의 결합부재가 상기 연결대고정부(4310), 상기 제1 피뢰침관통홀 및 상기 제2 피뢰침관통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와 상기 연결대고정부(4310)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대(4320)는 하부가 상기 연결대고정부(4310)와 연결되어,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피뢰침(4330)은 상기 연결대(432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와이어 결합링(4410)은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에 결합되며, 후술하는 폴스탠딩 유닛(4600)과 결합되어 상기 폴을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 결합링(4410)은 결합링 및 링볼트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링은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부에 형성된 홀에 후술하는 폴스탠딩 유닛(4600)이 관통결합되고, 상기 링볼트는 상기 결합링의 하부로부터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2 플레이트홀(4220)을 관통하여 단부영역이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링 고정유닛(4420)은 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링볼트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결합링(4410)이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결합링 고정유닛(4420)의 상면과 상기 제2 플레이트홀(4220)의 하면은 접촉되지 않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와이어 결합링(4410)이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에 형성된 제2 플레이트홀(4220)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폴스탠딩 유닛(4600)은 상기 와이어 결합링(4410)을 관통하여 상기 폴을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밴드(4610), 관통봉(4620) 및 고정줄(463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밴드(4610)는 상기 와이어 결합링(4410)을 관통할 수 있되, 일단에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고정홀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봉(4620)은 바아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관통봉(4620)의 길이는 상기 결합링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봉(4620)은 상기 고정밴드(4610)에 형성된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줄(4630)은 상기 고정밴드(4610)에 형성된 상기 고정홀에 관통결합된다.
이후,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폴스탠딩 유닛(4600)을 이용하여 상기 폴을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폴은 지면과 수평으로, 지면에 누워있는 상태이며, 상기 폴의 상부에는 상기 와이어 결합링(441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링에 상기 고정밴드(4610)를 관통시킨 후, 상기 고정밴드(4610)의 고정홀에 상기 관통봉(4620)이 관통결합되고, 상기 고정홀에 상기 고정줄(4630)이 관통결합됨으로써 상기 결합링의 일측에는 상기 관통봉(4620)이 위치하게 되고, 타측에는 고정줄(4630)이 위치하게 된다.
이후, 외력을 통해 상기 고정줄(4630)을 상기 고정밴드(4610)의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됨에 따라 상기 고정밴드(4610)가 이동하여 상기 관통봉(4620)이 상기 결합링의 일측과 접촉하며 상기 결합링의 일측을 지지하게 되며, 이때, 상기 고정밴드(4610)이 이동은 정지된다.
상기 결합링과 상기 관통봉(4620)이 접촉된 후, 상기 고정줄(4630)을 상기 고정밴드(4610)의 일측방향에서 타측방향으로 계속 당기게 되면, 상기 폴에 힘이 가해져 상기 폴이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상기 폴이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진 후, 상기 고정줄(4630)에 외력을 더이상 가하지 않게 되면, 상기 결합링과 상기 관통봉(4620)의 접촉이 해제된 후, 상기 관통봉(4620)이 지면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와이어 결합링(4410)과 상기 폴스탠딩 유닛(4600)의 관통결합이 해제된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상부구조 어셈블리(4000')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부구조 어셈블리(4000')의 제2 실시예는 용접플레이트(4100'), 덮개플레이트(4200'), 링연결 바아(4300'), 바아 덮개부(4400'), 와이어 결합링(4500'), 결합링 고정유닛 및 폴스탠딩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폴의 상단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폴의 상단과 용접으로 결합되고,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에는 중심홀(4110') 및 제1 플레이트홀(4120')이 형성된다.
상기 중심홀(4110')은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의 중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홀(412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와 결합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는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의 상부와 결합되며, 바아 결합홀(4210') 및 제2 플레이트홀(4220')이 형성된다.
상기 바아 결합홀(4210')은 복수개로 형성되되,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를 중심으로 방사상의 여러방향으로 직선을 따라 복수개 배치된다.
상기 제2 플레이트홀(422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홀(4120')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별도의 결합부재가 상기 제1 플레이트홀(4120')과 상기 제2 플레이트홀(4220')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용접플레이트(4100')와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링연결 바아(4300')는 십자모양으로 구성되어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의 상면에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바아 형상으로 형성되되,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되어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연결 바아(4300')가 2개로 구성된 경우, 각각의 상기 링연결 바아(4300')는 서로 이루는 각도가 90도가 되도록 십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연결 바아(4300')는 제1 덮개부 홀(4310') 및 결합링 관통홀(42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덮개부 홀(4310')은 상기 링연결 바아(4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부에 복수개의 제1 덮개부 홀(4310')이 형성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결합링 관통홀(4300')은 상기 링 연결바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결합링(4500')이 관통한다.
상기 바아 덮개부(4400')는 상기 링연결 바아(4300')의 상부와 결합되어 상기 링연결 바아(430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며, 상기 바아 덮개부(4400')는 덮개중심부(4410') 및 덮개날개부(4420')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중심부(4410')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링연결 바아(4300')가 교차된 영역의 상면을 덮으며, 상기 덮개날개부(442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덮개중심부(44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되, 상기 링연결 바아(4300')가 위치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 및 형상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덮개날개부(4420')의 길이는 상기 링연결 바아(4300')의 상기 제1 덮개부 홀(4310')이 형성된 영역의 길이로 상기 덮개중심부(4410')로부터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중심부(4410') 및 상기 덮개날개부(4420')에는 상기 제1 덮개부 홀(4310')이 형성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제2 덮개부 홀(4430')이 형성되며, 볼트와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가 상기 제2 덮개부 홀(4430'), 상기 제1 덮개부 홀(4310') 및 상기 바아 결합홀(4210')을 동시에 관통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바아 덮개부(4400'), 상기 링연결 바아(4300') 및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를 결합시킨다.
상기 와이어 결합링(4500')과 상기 결합링 고정유닛은 상기 링연결 바아(4300')에 결합되며, 이는 상술한 상기 상부구조 어셈블리(4000)의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 결합링(4410)과 상기 결합링 고정유닛(4420)이 상기 덮개플레이트(4200)에 결합되는 설명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폴스탠딩 유닛이 상기 와이어 결합링(4500')과 결합 및 결합해제되어 상기 폴을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하는 내용은 상술한 상기 상부구조 어셈블리(4000)의 제1 실시예의 설명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은 상기 거치대(1000)에 연결되며, 상기 거치대(1000)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레일부(2100)의 측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1 가이드 롤러(5100) 및 상기 제2 레일부(2200)의 측면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2 가이드 롤러(5200)를 구비하는 가이드 롤러부(5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 롤러부(5000)는 상기 제1 레일부(2100) 및 상기 제2 레일부(2200)의 측면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레일부(2100) 및 상기 제2 레일부(2200)의 측면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거치대(1000)가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가이드 롤러(5100)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제1 본체부 상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레일부(2100)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 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가이드 롤러(5100)는 상기 제1 본체부에 연결되는 제1 롤러축(5130) 및 상기 제1 롤러축(5130) 상에서 회전되며 상기 제1 레일부(2100)의 측면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롤러(5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가이드 롤러(5100)는 상기 폴(P) 상에 돌출 배치된 상기 제1 레일부(2100)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례로, 상기 제2 가이드 롤러(520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 본체부(120)에 연결되는 제2 롤러축(5230) 및 상기 제2 롤러축(5230) 상에서 회전되며 상기 제2 레일부(2200)의 측면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롤러(521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가이드 롤러(5200)는 상기 폴(P) 상에 돌출 배치된 상기 제2 레일부(2200)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5110) 및 상기 제2 롤러(5210)는 상기 폴(P)에 접촉되는 것이 아닌, 상기 폴(P)보다 상대적으로 강성인 각각 상기 제1 레일부(2100) 및 상기 제2 레일부(2200)의 측면에 대향되게 배치됨에 따라 상기 폴(P)의 피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에 의해 상기 거치대(1000)가 상기 폴(P) 상에서 흔들리는 경우, 상기 제1 롤러(5110) 및 상기 제2 롤러(5210)는 각각 상기 제1 레일부(2100) 및 상기 제2 레일부(2200)의 측면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제1 레일부(2100) 및 상기 제2 레일부(2200)에 진동이 발생되어 산과 골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레일부(2000)는 몸체부(2110) 및 상기 몸체부(2110)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연장되는 복수 개의 산(2130) 및 상기 산(2130)의 일부가 함입되어 형성되는 함입공간(D)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몸체부(2110)는 상기 폴(P)의 외면 상에 접촉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산(2130)은 상기 몸체부(2110)로부터 상기 높이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웃하는 복수 개의 상기 산(2130) 사이에 골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함입공간(D)은 상기 산(2130)의 일부가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함입공간(D)은 이웃하는 적어도 2개의 상기 산(2130)이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함입공간(D)은 상기 산(2130)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부(2110)의 적어도 일부가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함입공간(D)은 상기 골 보다 더 함입되어 상기 몸체부(21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산(2130) 또는 상기 골에 안착된 먼지, 이물질 등은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 또는 상기 가이드 롤러부(5000)가 상기 레일부(2000)을 가압함에 따라 진동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함입공간(D)으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입공간(D) 상에는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 상에서 흐르는 윤활유가 저장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함입공간(D)은 상기 높이 방향으로의 레일부(20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함입공간(D)은 상기 중심축(X)을 기준으로 측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먼지와 이물질 등이 상기 레일부(2000)의 상기 중심축(X)의 측 방향에 형성된 상기 함입공간(D) 상에 흡착되어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3000)가 상기 레일부(2000) 상에서 상기 중심축(X)을 따라 회전되는 것에 방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4는 어느 하나의 회전축이 다른 하나의 회전축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 박스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모터 회전축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모터 회전축에 연결된 모터 기어가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상부기어(3711)는 상기 제1 레일부(2100)에 치합되는 제1 기어와 상기 모터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1 회전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회전축 상에는 상기 모터 기어와 치합되는 제1-1 회전 전달 기어가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모터 회전축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1 회전 전달 기어가 상기 모터 기어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제1 회전축이 회전되어 상기 제1 기어가 상기 제1 레일부(210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매커니즘은 상기 제1 하부기어(3721)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제1 하부기어(3721)도 상기 제1 상부기어(3711)과 병렬적으로 상기 모터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레일부(210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상부기어(3711)는 상기 제1 기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회전축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2 회전 전달 기어 및 상기 제1 회전축의 타 측에 연결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3 회전 전달 기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1-2 회전 전달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1 기어부(310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동력 전달부 및 상기 제1-3 회전 전달 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1 기어부(310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 전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 전달부는 제1 동력 회전축, 상기 제1 동력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1-2 회전 전달 기어와 치합하는 제1-1 동력 기어 및 상기 제2-1 기어부(310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2 동력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동력 전달부는 제2 동력 회전축, 상기 제2 동력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제1-3 회전 전달 기어와 치합하는 제2-1 동력 기어 및 상기 제2-1 기어부(310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2 동력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1 기어부(3100')는 상기 제2 레일부(2200)에 치합되는 제2 기어, 제2 회전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회전축 상에는 상기 제1-2 동력 기어와 치합되는 제2-1 회전 전달 기어 및 상기 제2-2 동력 기어와 치합되는 제2-2 회전 전달 기어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매커니즘은 상기 제2-2 기어부(3200')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제2-2 기어부(3200')도 병렬적으로 상기 제1 동력 전달부 및 상기 제2 동력 전달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상기 모터 회전축이 상기 제1 상부기어(3711) 및 상기 제1 하부기어(3721)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매커니즘, 상기 제1 상부기어(3711)과 상기 제1 하부기어(3721)이 상기 제1 동력 전달부와 상기 제2 동력 전달부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매커니즘, 상기 제1 동력 전달부와 상기 제2 동력 전달부가 상기 제2-1 기어부(3100')와 상기 제2-2 기어부(320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매커니즘은, 상술한 매커니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전자적 기능을 구현하는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상기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은 상기 폴(P)의 하단에 상기 모터(M1) 또는 상기 카메라(C)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부(E)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E)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모터(M1) 또는 상기 카메라(C)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미 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폴(P)은 상기 중공 공간(Z)을 가질 수 있으며, 상측에 외면의 일부가 관통된 관통구(F)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선은 상기 제어부(E)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중공 공간(Z)에 배치되어 상기 폴(P)의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F)를 통해 상기 폴(P)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폴(P)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모터(M1) 또는 상기 카메라(C)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은 상기 전력선을 포위하며 상기 폴(P)에 설치되는 케이블 베어(Cable veyor, 6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케이블 베어(6000)는 상기 중공 공간(Z)에 배치된 상기 전력선을 따라 상기 관통구(F)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전력선뿐만 아니라 통신선 등을 포위하여 이들을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의 단부는 상기 거치대(1000) 상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의 단부는 상기 거치대(1000) 상에 연결되어 상기 거치대(1000)의 승하강과 연동되어 상기 폴(P) 상에서 승하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의 승하강이 용이하도록 상기 관통구(F) 상에는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의 위치 이동에 의해 회전되는 도르래(미 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은 상기 폴(P)의 외면 상에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외부로 노출된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포위 공간(S4)을 형성하여 측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의 요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부(7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7000)는 상기 제1 레일부(2100) 및 상기 제2 레일부(2200)가 배치되지 않는 상기 폴(P)의 외면 상에 상기 높이 방향을 따라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7000)는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을 수용하는 상기 포위 공간(S4)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베어(6000)는 상기 포위 공간(S4) 상에서 상기 높이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은 제한되지 않되, 상기 가이드부(7000)에 의해 상기 측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7000)는 전체적으로 C형강의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7000)는 상기 폴(P)의 외면 상에 돌출 배치됨에 따라 상기 레일부(2000)과 마찬가지로 바람에 의해 상기 폴(P)이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7000)는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을 수용함에 따라 바람에 의해 상기 케이블 베어(6000)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베어(6000)에 의해 상기 폴(P)의 피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은 상기 케이블 베어(6000)와 상기 거치대(1000) 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매개부(8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매개부(8000)는 일단이 상기 케이블 베어(60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거치대(1000)에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케이블 베어(6000)와 상기 거치대(1000) 간의 연결을 매개해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케이블 베어(6000)가 상기 거치대(1000)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의 위치 이동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이 상기 거치대(1000)에 직접적으로 전달된다는 점에서, 상기 케이블 베어(6000) 또는 상기 거치대(1000)가 파손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매개부(8000)는 상기 케이블 베어(6000)와 상기 거치대(1000) 간의 연결을 매개하여 상기 케이블 베어(6000) 또는 상기 거치대(1000)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매개부(8000)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 합성수지 등의 재질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탈재질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매개부(8000)는 상기 케이블 베어(6000)에 연결되는 제1 매개부(8100) 및 상기 제1 매개부(8100)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거치대(1000)에 연결되는 제2 매개부(82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매개부(8000)는 상기 제1 매개부(8100)와 상기 제2 매개부(8200)가 상호 절곡되어 형성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매개부(8100)는 상기 포위 공간(S4)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매개부(8200)는 상기 포위 공간(S4)으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되어 상기 거치대(100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매개부(8100)는 상기 케이블 베어(6000)에 연결되는 제1-1 매개부(7110) 및 상기 제1-1 매개부(8110)와 상기 제2 매개부(820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1 매개부(8110)보다 폭이 작은 제1-2 매개부(8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1 매개부(8110)는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홀(H7)과 대응되는 제1 매개 체결홀(H8)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케이블 베어(6000)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매개부(8200)는 상기 거치대(1000)에 연결되는 제2-1 매개부(8210) 및 상기 제2-1 매개부(8210)와 상기 제1-2 매개부(813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1 매개부(8110)보다 폭이 작은 제2-2 매개부(82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1 매개부(8210)는 상기 거치대(1000)에 형성된 체결홀(H10)과 대응되는 제2 매개 체결홀(H9)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거치대(100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2-1 매개부(8210)는 상기 제2-2 매개부(8230)보다 폭이 클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거치대(1000)에 연결되는 상기 제2-1 매개부(8210)의 연결 접촉 면적이 클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상기 거치대(10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2 매개부(8230)는 상기 제1-1 매개부(8110) 및 상기 제2-1 매개부(8210)의 폭 보다 작으며, 상기 가이드부(7000)가 형성하는 절개 부분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7000)에 접촉되지 않고 승하강될 수 있다.
상기 제1 매개부(8100)와 상기 제2 매개부(8200)의 절곡 부분은 상기 제1-2 매개부(8130)와 상기 제2-2 매개부(82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 매개부(8130)와 상기 제2-2 매개부(8230)는 상대적으로 상기 제1-1 매개부(8110)와 상기 제2-1 매개부(8210)보다 폭이 작아 용이하게 형상이 변형되어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9100a, 9200a)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9100a, 9200a)의 제1 실시예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기 거치대(1000)의 하면과 결합되며, 상기 레일부의 톱니부와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9100a, 9200a)은 2개로 구성되어 각각 상기 제1 레일부(2100) 및 상기 제2 레일부(2200)에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9100a, 9200a)이 상기 거치대(1000)의 하면과 결합되며, 상기 레일부와 접촉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1000)가 중력에 의해 상기 기어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부의 동력에 반하여 지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카메라(C)가 상기 거치부(1000) 중 일부 영역에만 배치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카메라(C)의 무게로 인하여 상기 거치부(1000) 자체가 받는 하중의 불균형이 발생하여 상기 카메라(C)가 배치된 영역의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9100a, 9200a)이 상기 거치부(1000)의 하부에 결합되어 구동됨으로써 상기 거치부(1000)의 하중 불균형으로 인한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이 상기 제1 레일부(2100) 및 상기 제2 레일부(2200)가 배치된 위치에 모두 배치되었지만, 상기 카메라(C)가 결합된 영역의 레일부에만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9100a, 9200a)의 회전을 감지하는 처짐방지 피니언 감지부(미도시) 및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9100a, 9200a)을 구동시키는 처짐방지 피니언 모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 감지부는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의 구동 및 처짐방지 피니언(9100a, 9200a)의 회전을 모두 감지하며,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의 구동이 정지된 경우,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9100a, 9200a)의 회전 여부,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 감지부의 감지를 기반으로,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 모터부는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9100a, 9200a)이 정지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거치대(1000)가 중력에 의해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9100a, 9200a)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회전 속도와 동일하게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9100a, 9200a)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9100a, 9200a)이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9100a, 9200a)은 상기 거치대(1000)의 상면에 배치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처짐방지 피니언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의 제2 실시예는 상술한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의 제1 실시예와 같이, 상기 거치대(1000)의 하면과 결합되며,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9100a', 9200a')은 2개로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상기 가이드부(7000)의 양측면에는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9100a', 9200a')이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부(7100, 7200)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부(7100, 7200)를 따라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9100a', 9200a')이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1000)가 중력에 의해 지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외,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9100a', 9200a')의 제2 실시예의 상세 설명은 상술한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의 처짐방지 롤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은 상술한 처짐방지 피니언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처짐방지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짐방지 롤러(9100b, 9200b)는 도 15의 도시와 같이, 상기 거치대(1000)의 하면과 결합되며, 상기 레일부의 측면와 접촉하여 회전한다.
즉, 도 15의 (a)에서 점선표시된 영역에 대하여, X방향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도 15의 (b)와 같이, 상기 처짐방지 롤러(9100b, 9200b)는 상기 레일부(2000)의 양측면에 접촉하여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1000)가 중력에 의해 지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처짐방지 롤러(9100b, 9200b)의 회전을 감지하는 처짐방지 롤러 감지부(미도시) 및 상기 처짐방지 롤러(9100b, 9200b)을 구동시키는 처짐방지 롤러 모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짐방지 롤러 감지부는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의 구동 및 처짐방지 롤러(9100b, 9200b)의 회전을 모두 감지하며, 상기 웜기어 어셈블리의 구동이 정지된 경우, 상기 처짐방지 롤러(9100b, 9200b)의 회전 여부,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처짐방지 롤러 감지부의 감지를 기반으로, 상기 처짐방지 롤러 모터부는 상기 처짐방지 롤러(9100b, 9200b)가 정지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거치대(1000)가 중력에 의해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처짐방지 롤러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처짐방지 롤러(9100b, 9200b)의 회전 방향과 반대로 회전 속도와 동일하게 상기 처짐방지 롤러(9100b, 9200b)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처짐방지 롤러(9100b, 9200b)이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처짐방지 롤러(9100b, 9200b)는 상기 거치대(1000)의 상면에 배치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레일부(2000)의 양측면도 톱니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2000)의 양측면에 상기 처짐방지 피니언(미도시)이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상기 거치부의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P: 폴
C: 카메라
1000: 거치대
2000: 레일부
3000: 웜기어 어셈블리
3100: 기어하우징
3200: 베어링
3300: 풀리
3400: 웜축
3510: 상부웜휠
3511: 제1 상부웜휠
3512: 제2 상부웜휠
3520: 하부웜휠
3521: 제1 하부웜휠
3522: 제2 하부웜휠
3611: 제1 상부축
3612: 제2 상부축
3621: 제1 하부축
3622: 제2 하부축
3710: 상부 피니언기어
3711: 제1 상부기어
3712: 제2 상부기어
3720: 하부 피니언기어
3721: 제1 하부기어
3722: 제2 하부기어
4000, 4000': 상부구조 어셈블리
4100, 4100': 용접플레이트
4110, 4110': 중심홀
4120, 4120': 제1 플레이트홀
4200, 4200': 덮개플레이트
4210, 4330': 결합링 관통홀
4210': 바아 결합홀
4220, 4220': 제2 플레이트홀
4300: 피뢰침 연결대
4310: 연결대고정부
4320: 연결대
4330: 피뢰침
4410, 4500': 와이어 결합링
4420: 결합링 고정유닛
4300': 링연결 바아
4310': 제1 덮개부 홀
4400': 바아 덮개부
4410'; 덮개중심부
4420': 덮개날개부
4430': 제2 덮개부 홀
4600: 폴스탠딩 유닛
4610: 고정밴드
4620: 관통봉
4630: 고정줄
5000: 가이드 롤러부
6000: 케이블 베어
7000: 가이드부
8000: 매개부
9100a, 9200a, 9100a', 9200a': 처짐방지 피니언
9100b, 9200b: 처짐방지 롤러

Claims (1)

  1. 지상에 고정 배치되는 폴 상에서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에 있어서,
    센서부가 착탈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거치대;
    상기 폴의 외면 상에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산과 골을 형성하는 레일부;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며, 상기 레일부 상에서 회전되어 상기 거치대를 승하강시키는 기어부; 및
    상기 거치대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어부는,
    2개 이상의 피니언기어; 및
    상기 2개 이상의 피니언기어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는 2개 이상의 구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구동기어 중 하나의 구동기어에 상기 모터부의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
KR1020220085260A 2021-07-09 2022-07-11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 KR202300101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90464 2021-07-09
KR1020210090464 2021-07-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173A true KR20230010173A (ko) 2023-01-18

Family

ID=8510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260A KR20230010173A (ko) 2021-07-09 2022-07-11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01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728B1 (ko) 2010-12-17 2013-07-31 김응욱 카메라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cctv 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728B1 (ko) 2010-12-17 2013-07-31 김응욱 카메라의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cctv 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5687B1 (en) Lifting apparatus for highly mounted equipment
JP7017379B2 (ja) ヘリコプターのローター変速機
US20110245031A1 (en) Bogie plate for wind turbine
JP2016523214A5 (ko)
KR102466049B1 (ko) 타워작업용 곤돌라
KR20230010173A (ko)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
US5452774A (en) Endless roller chain drive with interlocking traction rail
KR20230010162A (ko)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
KR102317885B1 (ko)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
US20100258254A1 (en) Roller door and a drive assembly for a roller door
KR100990238B1 (ko) 나선홈을 이용한 구름마찰 구동방식 텔레스코픽 마스트장치
WO2012076397A1 (de) Winde, insbesondere seildurchlaufwinde
FI93202B (fi) Kuorman nostojärjestelmä
CA3063378C (en) Transmission assembly, power unit and lifting cabinet
JP2019078083A (ja) 水門開閉装置
KR101064294B1 (ko) 안테나 폴의 작동 구조
KR101647766B1 (ko) 승강형 cctv 카메라 시스템
CN115418946A (zh) 清洁机器人
CN213171237U (zh) 一种建筑工程用物料提升装置
KR102187619B1 (ko) 감시카메라 옥외용 리프터
KR101182964B1 (ko) 레일기둥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US20060042762A1 (en) Reverse-stop mechainsm of curtain
KR102322601B1 (ko) 중공형 축이 구비된 감속기 시스템
KR20230010174A (ko) 거치대 승하강 기능을 갖는 폴 시스템
CN111675164A (zh) 可自动升降的载重装置及应用其的幕墙机器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