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9590A - 외기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결로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외기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결로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9590A
KR20230009590A KR1020210090166A KR20210090166A KR20230009590A KR 20230009590 A KR20230009590 A KR 20230009590A KR 1020210090166 A KR1020210090166 A KR 1020210090166A KR 20210090166 A KR20210090166 A KR 20210090166A KR 20230009590 A KR20230009590 A KR 20230009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guide pipe
frame
air control
guid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태연
Original Assignee
원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태연 filed Critical 원태연
Priority to KR1020210090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9590A/ko
Publication of KR20230009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Abstract

본 발명은 외기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결로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에 의해 의해 유리부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높은 효율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외기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결로 방지 구조{External air control device and window condensation preven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에 의해 의해 유리부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높은 효율로 방지할 수 있는 외기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결로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건축물의 외부와 내부를 격리하는 것으로서, 건축물 내부의 단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창문은 단열성을 높이기 위하여 이중창을 적용하여 실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창문의 유리는 단열과 소음차단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최근에는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85061호 등으로 제안된 복층유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중창 또는 복층 유리로 창문을 시공하여도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가 높고 내부의 습도가 높을 경우 창문에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8506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에 의해 의해 유리부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높은 효율로 방지할 수 있는 외기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결로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표면에 형성된 통기구를 통해 외기를 배출 또는 흡입하는 블로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부가 내측에 구비된 프레임에 설치되는 상기 외기 제어장치;를 이용한 창호 결로 방지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리부 주변의 외기를 흡입 또는 유리부로 외기를 배출하는 블로워부를 통해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유리부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높은 효율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외기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제 1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프레임에 설치된 창호 결로 방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위치고정부의 제 1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5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제 1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유리부로 외기를 배출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제 1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유리부 주변의 외기를 흡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외기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 2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프레임에 설치된 창호 결로 방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는 제 2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유리부로 외기를 배출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5는 제 1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유리부 주변의 외기를 흡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외기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외기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평면도이고,
도 20은 도 18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평면도이고,
도 22 내지 도 32는 도 19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3 및 도 34는 위치고정부의 제 2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5 및 도 36은 위치고정부의 제 3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7 및 도 38은 위치고정부의 제 4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9는 본 발명인 외기 제어장치가 프레임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0 내지 도 4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인 외기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3은 제 5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프레임에 설치된 창호 결로 방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4 및 도 45는 도 43의 E - E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6은 제 5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유리부로 외기를 배출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7은 제 5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유리부 주변의 외기를 흡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인 외기 제어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9는 도 48의 F - F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0은 도 48의 G - G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1은 보조가이드라인과 연결된 팬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2는 제 6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유리부로 외기를 배출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3은 제 6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유리부 주변의 외기를 흡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4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외기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인 외기 제어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표면에 형성된 통기구(124)를 통해 외기를 배출 또는 흡입하는 블로워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는 제 1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프레임에 설치된 창호 결로 방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위치고정부의 제 1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5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블로워부(10)는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 건축물의 실내에 위치하도록 건축물의 벽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실내 환기용도, 실내 냉난방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른예로,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호의 프레임(3)에 설치되어 창호의 프레임(3)의 내측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창틀(31)의 내측에 구비된 상태로 유리부(32)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 결로 방지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기 제어장치를 유리 결로 방지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외기 제어장치는 실내에 위치하도록 일예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창 구조의 창호의 프레임(3)의 전측부에 거치형으로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거나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기 제어장치는 상기 프레임(3) 주변의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유리부(32)의 외면방향으로 배출하거나 상기 유리부(32) 주변의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프레임(3) 주변 외부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외기 제어장치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중창 구조의 창호의 프레임(3)의 내측 중간부에 삽입식으로 분리가능하게 삽입설치 또는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전후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의 외면방향으로 외기를 배출하거나 상기 유리부(32) 주변의 외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외기 제어장치가 반드시 단창 구조의 창호의 상기 프레임(3) 또는 이중창 구조의 창호의 상기 프레임(3)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개폐가 되지 않는 붙박이창인 고정창 구조의 창호의 프레임(3) 등에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종류의 창호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블로워부(10)는 제 1실시예로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가이드부재(120)와 팬부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상부에 외기가 통과하는 통기구(124)가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부재(140)는 컴퓨터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저소음 쿨링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제 1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유리부로 외기를 배출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프레임(3) 주변의 외기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팬부재(140)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내측으로 공급되어 상기 통기구(124)를 통해 상기 통기구(124) 주변 외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의 외면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9는 제 1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유리부 주변의 외기를 흡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는, 상기 유리부(32) 주변의 외기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팬부재(140)에 의해 상기 통기구(124)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내측으로 흡입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일측 외부방향 및 타측 외부방향으로 각각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팬부재(14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20)와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고,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타측은 폐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팬부재(14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20)와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고,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일측은 폐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팬부재(14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일측과 타측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123)의 일측방향에 구비되는 상기 팬부재(140)와 상기 가이드관(123)의 일측 사이 및 상기 가이드관(123)의 타측방향에 구비되는 상기 팬부재(140)와 상기 가이드관(123)의 타측 사이에는 상기 팬부재(140) 및 상기 가이드관(123)과 연통되는 보조케이스(140a)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케이스(140a)의 내부 상측 또는 후술할 펠티어소자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20)는 상기 프레임(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는 가이드관(1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123)의 상부에 상기 통기구(124)가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관(123)의 상부에는 동일한 내경크기를 갖는 원형 형상 등의 상기 통기구(124)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겠으나, 상기 펠티어소자에 의해 상기 유리부(32)로 고온의 온풍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팬부재(140)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상기 유리부(32) 외면 부위에 공급되는 온풍의 온도저하를 최소화하여 상기 유리부(32)의 외면 전체에 균일한 온도의 온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 각각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은 상기 흡입팬(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커질 수 있고,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의 좌우폭이 커질수록 점차 많은 양의 온풍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팬부재(140)가 상기 가이드관(123)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관(123)의 일측에 설치된 경우, 상기 가이드관(123)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의 좌우폭은 상기 가이드관(12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질 수 있다.
상기 팬부재(140)가 상기 가이드관(123)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관(123)의 타측에 설치된 경우, 상기 가이드관(123)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의 좌우폭은 상기 가이드관(123)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질 수 있다.
상기 팬부재(140)가 상기 가이드관(123)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관(123)의 일측과 타측 모두에 설치된 경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관(123)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관(123)의 상부 일측 부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의 좌우폭은 상기 가이드관(123)의 일측에서 중간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질 수 있고, 상기 가이드관(123)의 상부 타측 부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의 좌우폭은 상기 가이드관(123)의 타측에서 중간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외기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 2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프레임에 설치된 창호 결로 방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블로워부(10)는 제 2실시예로, 상기 가이드부재(120)와 상기 팬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이드부재(120)는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보조가이드관(121), 타측보조가이드관(122) 및 상기 가이드관(1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일측보조가이드관(121)은 실내에 위치하도록 단창 구조의 창호의 프레임(3)의 전측부 내부 일측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보조가이드관(121)의 상부 일측은 상기 프레임(3)의 상부 일측을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3)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일측보조가이드관(121)과 연통되는 상기 팬부재(140)가 볼트고정, 피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일측보조가이드관(121)의 상부 일측과 상기 팬부재(140) 사이에 상기 일측보조가이드관(121) 및 상기 팬부재(140)와 연통되는 상기 보조케이스(140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측보조가이드관(122)은 실내에 위치하도록 단창 구조의 창호의 프레임(3)의 전측부 내부 타측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보조가이드관(122)의 상부 일측의 반대측인 상부 타측은 상기 프레임(3)의 상부 타측을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3)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의 타측 상부에도 상기 타측보조가이드관(122)과 연통되는 상기 팬부재(140)가 볼트고정, 피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타측보조가이드관(122)의 상부 타측과 상기 팬부재(140) 사이에도 상기 타측보조가이드관(122) 및 상기 팬부재(140)와 연통되는 상기 보조케이스(140a)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가이드관(123)은 상기 일측보조가이드관(121) 및 상기 타측보조가이드관(122)과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보조가이드관(121)의 하부와 상기 타측보조가이드관(122)의 하부 사이에 수평연장형성되어 단창 구조의 창호의 프레임(3)의 전측부 내부 하측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도 14는 제 2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유리부로 외기를 배출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프레임(3) 주변의 외기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팬부재(140)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일측보조가이드관(121)의 내부, 타측보조가이드관(122)의 내부 및 가이드관(123)의 내부로 순차적으로 공급된 후 상기 통기구(124)를 상기 통기구(124) 주변 외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의 외면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5는 제 1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유리부 주변의 외기를 흡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는, 상기 유리부(32) 주변의 외기는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팬부재(140)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가이드관(123)의 통기구(124)를 통해 상기 가이드관(123)의 내측으로 흡입되어 상기 일측보조가이드관(121)의 내부와 상기 타측보조가이드관(122)의 내부를 각각 통과하면서 상기 일측보조가이드관(121)의 상부 외부방향 및 상기 타측보조가이드관(122)의 상부 외부방향으로 각각 배출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외기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블로워부(10)는 제 3실시예로, 상기 가이드부재(120)와 상기 팬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프레임(3)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관(123)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관(123)은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가이드관(123)은 외측가이드관(123a)과;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내측에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내측방향으로 인입 및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외측방향으로 인출되는 내측가이드관(123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일측에는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과 연통되는 상기 보조케이스(140a) 및 상기 팬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는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와 연통되는 상기 보조케이스(140a) 및 상기 팬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인 외기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평면도이고, 도 20은 도 18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블로워부(10)는 제 4실시예로, 상기 가이드부재(120)와 상기 팬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이드관(123)은 도 18 내지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과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외측가이드관(123)의 단면형상과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단면형상은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종류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일측방향에 상기 팬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팬부재(140)와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일측 사이에는 상기 팬부재(140) 및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과 각각 연통되는 상기 보조케이스(14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일측과 마주보는 상기 보조케이스(140a)의 측면 부위에 상기 보조케이스(140a)와 연통되는 제 1연결관(140a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관(140a1)의 단면형상은 원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일측과 마주볼 수 있는 상기 일측보조가이드관(121)의 하부 측면부위에도 상기 제 1연결관(140a1)이 상기 일측보조가이드관(121)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일측에는 상기 제 1연결관(140a1)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끼움연결되는 제 1끼움관(123a1)이 상기 제 1연결관(140a1) 및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과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끼움관(123a1)의 단면형상은 원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타측방향에 상기 팬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팬부재(140)와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타측 사이에는 상기 팬부재(140) 및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과 각각 연통되는 상기 보조케이스(14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타측과 마주보는 상기 보조케이스(140a)의 일측에 상기 보조케이스(140a)와 연통되는 제 2연결관(140a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관(140a2)의 단면형상은 원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타측과 마주볼 수 있는 상기 타측보조가이드관(122)의 하부 측면부위에도 상기 제 2연결관(140a2)이 상기 타측보조가이드관(122)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타측에는 상기 제 2연결관(140a2)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끼움연결되는 제 2끼움관(123b1)이 상기 제 2연결관(140a2) 및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와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상부 후측에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32는 도 19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복수의 통기구(124)가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상부 후측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내측에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이 수용될 수 있다.
이로서, 도 22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2)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높낮이 조절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가이드관(123)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의 외면 방향으로 외기를 손실없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는, 도 22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2)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높낮이 조절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가이드관(123)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의 주변 외부의 외기를 보다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관(123)은 사용자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전운동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유리부(32)의 외면방향으로 배출되는 외기의 배출방향 또는 상기 유리부(32) 주변의 외기 흡입방향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복수의 통기구(124)가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상부 전측에 형성된 복수의 통기구(124)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내측에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이 수용될 수도 있다.
이로서, 도 2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2)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높낮이 조절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가이드관(123)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의 외면방향으로도 외기를 손실없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는, 도 2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2)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높낮이 조절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가이드관(123)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 주변 외기를 보다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도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가 각각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가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하부 후측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내측에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이 수용될 수 있다.
이로서, 도 2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2)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높낮이 조절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가이드관(123)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의 외면 방향으로 외기를 손실없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는, 도 2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2)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높낮이 조절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가이드관(123)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 주변 외기를 보다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도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가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하부 전측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내측에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이 수용될 수 있다.
이로서, 도 2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2)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높낮이 조절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가이드관(123)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의 외면방향으로도 외기를 손실없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는, 도 2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2)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높낮이 조절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가이드관(123)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 주변 외기를 보다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한편, 도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전측 외면, 후측 외면 및 하부 외면이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전측 내면, 후측 내면 및 하부 내면에 면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상부 전체가 개방될 수도 있다.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상부 전체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상부에는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개방구(12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개방구(125)가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 모두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내측에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이 수용될 수 있다.
이로서, 도 2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2)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높낮이 조절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가이드관(123)의 전측방향과 후측방향 모두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의 외면방향으로 외기를 손실없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는, 도 2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2)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높낮이 조절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가이드관(123)의 전측방향과 후측방향 모두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 주변의 외기를 보다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도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개방구(125)가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상부 후측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내측에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이 수용될 수 있다.
이로서, 도 28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2)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높낮이 조절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가이드관(123)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의 외면방향으로도 외기를 손실없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는, 도 28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2)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높낮이 조절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가이드관(123)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 주변의 외기를 보다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도 2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개방구(125)가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상부 전측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내측에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이 수용될 수 있다.
이로서, 도 29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2)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높낮이 조절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가이드관(123)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의 외면방향으로도 외기를 손실없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는, 도 29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2)의 하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높낮이 조절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가이드관(123)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 주변 외기를 보다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도 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개방구(125)가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 모두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내측에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이 수용될 수 있다.
이로서, 도 30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2)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높낮이 조절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가이드관(123)의 전측방향과 후측방향 모두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의 외면방향으로 외기를 손실없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는, 도 30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2)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높낮이 조절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가이드관(123)의 전측방향과 후측방향 모두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 주변 외기를 보다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도 3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개방구(125)가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하부 후측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내측에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이 수용될 수 있다.
이로서, 도 31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2)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높낮이 조절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가이드관(123)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의 외면방향으로도 외기를 손실없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는 도 31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2)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높낮이 조절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가이드관(123)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 주변의 외기를 보다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도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의 개방구(125)가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하부 전측에 형성된 복수의 통기구(124)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측가이드관(123a)의 내측에 상기 내측가이드관(123b)이 수용될 수 있다.
이로서, 도 32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2)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높낮이 조절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가이드관(123)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의 외면방향으로도 외기를 손실없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는, 도 32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리부(32)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높낮이 조절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가이드관(123)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 주변의 외기를 보다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결로가 자주 발생하는 유리부(32)부위로 상기 외기 제어장치를 위치시켜 상기 유리부(32)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더욱 높은 효율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팬부재(140)는 상기 팬부재(140)를 설치하고자 하는 대상물 일예로, 창호의 프레임(3)에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3)에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팬부재(140)를 높낮이 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20)는 상기 팬부재(140)에 구비되는 고정프레임(2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예로,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전측에는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팬부재(140)와 보조케이스(140a)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절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예의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내측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창 구조의 창호의 프레임(3)의 전측부 일측과 전측부 타측이 각각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움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전측과 후측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중창 구조의 창호의 프레임(3)의 일측 내면과 타측 내면에서 각각 이중창 구조의 창호의 프레임(3)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3a)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내측에 이중창 구조의 창호의 프레임(3)의 일측 내면과 타측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프레임(3a)이 각각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움고정될 수 있다.
이중창 구조의 창호의 프레임(3)의 일측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프레임(3a)에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움고정된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팬부재(140)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중창 구조의 창호의 프레임(3)의 타측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프레임(3a)에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움고정된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일측에는 상기 팬부재(140)가 고정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는 위치고정부의 제 2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고정부(20)는 제 2예로,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내측에 구비되는 고무패드 등 다양한 종류의 탄성력을 지닌 고정패드(2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패드(220)는 도 3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창 구조의 창호의 프레임(3)의 전측부 일측과 전측부 타측을 감싼 상태로 단창 구조의 창호의 프레임(3)의 전측부 일측과 전측부 타측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패드(220)는 도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중창 구조의 창호의 프레임(3)의 일측 내면과 타측 내면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3a)을 감싼 상태로 이중창 구조의 창호의 프레임(3)의 가이드프레임(3a)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다.
도 35 및 도 36은 위치고정부의 제 3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고정부(20)는 제 3예로, 상기 고정프레임(210)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230) 또는 피스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고정볼트(230) 또는 피스 등은 도 3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나사결합 또는 관통하여 단창 구조의 창호의 프레임(3)의 전측부 일측과 전측부 타측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밀착고정 또는 관통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230) 또는 피스 등은 도 3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나사결합 또는 관통하여 이중창 구조의 창호의 프레임(3)의 일측 내면과 타측 내면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3a)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밀착고정 또는 관통고정될 수 있다.
도 37 및 도 38은 위치고정부의 제 4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고정부(20)는 도 4예로, 도 37 및 도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내측에 도포되는 접착제(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인 외기 제어장치가 프레임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3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호의 프레임(3)의 내측에는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밀부(7)가 수직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기 기밀부(7)는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05027호를 통해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인 외기 제어장치는 창호의 프레임(3), 특히, 일예로, 상기 기밀부(7)가 구비된 상기 창호의 프레임(3)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관(123)은 도 3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호의 상기 프레임(3)의 내측의 유리부(3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밀부(7)의 일측에서 상기 프레임(3)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 및 상기 기밀부(7)의 타측에서 상기 프레임(3)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밀부(7)의 일측에서 상기 프레임(3)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관(123)의 일측은 상기 프레임(3)의 일측을 일정길이로 수평관통하여 상기 프레임(3)의 일측 외면에 볼트고정 또는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고정될 수 있는 상기 팬부재(140) 또는 상기 보조케이스(140a)와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밀부(7)의 타측에서 상기 프레임(3)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된 상기 가이드관(123)의 타측은 상기 프레임(3)의 타측을 일정길이로 수평관통하여 상기 프레임(3)의 타측 외면에 볼트고정 또는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고정될 수 있는 상기 팬부재(140) 또는 상기 보조케이스(140a)와 연통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밀부(7)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1개의 상기 가이드관(123)이 수평구비 및 상기 프레임(3)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1개의 상기 팬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기밀부(7)의 일측과 타측에 2개 이상의 복수의 상기 가이드관(123)이 상기 기밀부(7)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구비 및 상기 프레임(3)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2개이상의 상기 팬부재(140)가 상기 프레임(3)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0 내지 도 4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인 외기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제 5실시예로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블로워부(10)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단, 도 40 및 도 4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5실시예의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블로워부(10)의 가이드관(123)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기 가이드관(123)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팬부재(140)와 상기 보조케이스(140a)가 설치되거나 도 4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기 가이드관(123)의 상부와 하부 모두에 상기 상기 팬부재(140)와 상기 보조케이스(140a)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3은 제 5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프레임에 설치된 창호 결로 방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4 및 도 45는 도 43의 E - 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3 내지 도 4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5실시예의 상기 외기 제어장치는 창호의 프레임(3)의 유리부(3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3)의 내부 일측 또는 내부 타측에 수직구비되거나 상기 프레임(3)의 내부 일측과 내부 타측 모두에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다.
도 4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상태인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이룰 수 있는 가이드관(123)의 상부는 상기 프레임(3)의 상부 일측 또는 상부 타측을 일정길이로 수직관통하거나 상기 프레임(3)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 모두를 일정길이로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팬부재 또는 상기 보조케이스(140a)는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이룰 수 있는 가이드관(123)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프레임(3)의 상부 일측 외면 또는 상부 타측 외면에 볼트고정, 용접고정되거나 상기 프레임(3)의 상부 일측 외면과 상부 타측 외면 모두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4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상태인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이룰 수 있는 가이드관(123)의 하부도 상기 프레임(3)의 하부 일측 또는 하부 타측을 일정길이로 수직관통하거나 상기 프레임(3)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 모두를 일정길이로 수직관통할 수도 있다.
상기 팬부재 또는 상기 보조케이스(140a)는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이룰 수 있는 가이드관(123)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프레임(3)의 하부 일측 외면 또는 하부 타측 외면에 볼트고정, 용접고정되거나 상기 프레임(3)의 하부 일측 외면과 하부 타측 외면 모두에도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6은 제 5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유리부로 외기를 배출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프레임(3) 주변의 외기는 도 4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팬부재(140)에 의해 수직상태인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이룰 수 있는 가이드관(123)의 내부로 공급된 후 상기 통기구(124)를 통해 상기 통기부(124) 주변 외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의 외면방향으로 수평배출될 수 있다.
도 47은 제 5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유리부 주변의 외기를 흡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는, 상기 유리부(32) 주변의 외기가 도 4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팬부재(140)에 의해 수직상태인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이룰 수 있는 가이드관(123)의 통기구(124)를 통해 수직상태인 상기 가이드관(123)의 내부로 흡입된 후 수직 상태인 상기 가이드관(123)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가이드관(123)의 상부 외부방향 또는 하부 외부방향으로 각각 배출되거나 상기 가이드관(123)의 상부 외부방향 및 하부 외부방향 모두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인 외기 제어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9는 도 48의 F - F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제 6실시예로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가이드부재(120)는 도 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가 내측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창호의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이루는 창호의 프레임(3)의 내측면 일측 중간부 또는 내측면 타측 중간부에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가 상기 프레임(3)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이루는 창호의 프레임(3)의 내측면 일측 중간부와 내측면 타측 중간부 모두에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가 상기 프레임(3)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0은 도 48의 G - G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5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이루는 창호의 프레임(3)의 내측면 상부 중간부에도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가 상기 프레임(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이루는 창호의 프레임(3)의 내측면 일측 또는 내측면 타측에는 도 4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팬부재(140)가 통과할 수 있는 개방구(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부재(140)는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이루는 창호의 프레임(3)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개방구(3b)를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이루는 창호의 프레임(3)의 일측 내부 또는 타측 내부에 일정길이로 인입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3)의 일측과 타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51은 보조가이드라인과 연결된 팬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른예로, 도 5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팬부재(140)는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이루는 창호의 프레임(3)의 후측 상부 외면 또는 전측 상부 외면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 중 어느 하나 일예로,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이루는 창호의 프레임(3)의 내측면 상부 중간부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팬부재(140)를 연결하는 보조가이드라인(3c)이 구비될 수 있다.
호스, 파이프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보조가이드라인(3c)의 내측으로는 외기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보조가이드라인(3c)은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이루는 창호의 프레임(3)의 내측면 상부에서 상기 프레임(3)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3a)을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이루는 창호의 프레임(3)의 내측면 상부 중간부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보조가이드라인(3c)의 전측이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가이드라인(3c)의 후측은 상기 팬부재(14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는 보조케이스(140a)의 전측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도 52는 제 6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유리부로 외기를 배출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3은 제 6실시예의 외기 제어장치가 유리부 주변의 외기를 흡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팬부재(140)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이루는 창호의 프레임(3)의 내측으로 공급된 외기는 도 5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통기구(124)를 통과하여 상기 통기구(124) 주변 외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유리부(32)로 배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팬부재(140)에 의해 상기 유리부(32) 주변의 외기가 도 5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통기구(124)를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이루는 창호의 프레임(3)의 내측으로 흡입될 수 있다.
도 54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외기 제어장치는 상기 팬부재(140)가 상기 가이드부재(120)로 유입시키는 외기를 냉각시켜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통기구(124)가 상기 유리부(32)로 냉풍을 배출 및 상기 팬부재(140)가 상기 가이드부재(120)로 유입시키는 외기를 가열시켜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통기구(124)가 상기 유리부(32)로 온풍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펠티어소자(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기 제어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부(40)와, 상기 스위치부(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외기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40)는 상기 제어부(50)에 누름식 버튼,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스위치부(40)를 ON상태로 설정할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외기 제어장치는 전원공급부(5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스위치부(40)를 OFF상태로 설정할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외기 제어장치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외기 제어장치가 작동중지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실내에 배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리부(32) 주변의 실내온도와 실외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는 온도감지부(60)와 상기 유리부(32) 주변의 실내습도값을 감지하는 습도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는 습도감지부(6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60)는 실외로 노출되는 상기 프레임(3)의 후측 외면과 실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프레임(3)의 전측 외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습도감지부(61)는 상기 온도감지부(6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실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프레임(3)의 전측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온도감지부(60)가 감지한 실내온도값과 실외온도값의 온도차에 따라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팬부재(140) 및 상기 펠티어소자(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온도감지부(60) 중 실외로 노출되는 상기 프레임(3)의 후측 외면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온도감지부(60)가 감지한 온도값이 상기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여름철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실외로 노출되는 상기 프레임(3)의 후측 외면과 실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프레임(3)의 전측 외면에 각각 구비된 상기 온도감지부(60)가 각각 감지한 실내온도값과 실외온도값의 온도차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팬부재(140)가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내측으로 외기를 공급 및 및 상기 펠티어소자(30)가 냉기를 발생시키게 됨에 따라 상기 유리부(32)로 냉풍이 공급되어 상기 유리부(32)를 청소 및 상기 유리부(32)에 실내외 온도차에 따른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60) 중 실외로 노출되는 상기 프레임(3)의 후측 외면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온도감지부(60)가 감지한 온도값이 상기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겨울철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실외로 노출되는 상기 프레임(3)의 후측 외면과 실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프레임(3)의 전측 외면에 각각 구비된 상기 온도감지부(60)가 각각 감지한 실내온도값과 실외온도값의 온도차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팬부재(140)가 작동 및 상기 펠티어소자(30)가 열기를 발생시키게 됨에 따라 상기 유리부(32)로 온풍이 공급되어 상기 유리부(32)를 청소 및 상기 유리부(32)에 실내외 온도차에 따른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른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팬부재(140)에 의해 상기 유리부(32) 주변의 외기가 상기 유리부(32)에서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통기구(124) 방향으로 고속으로 강제순환이동하면서 상기 통기구(124)를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내측으로 흡입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외기의 고속 흐름으로 인해 결로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20)이 내측으로 흡입된 외기는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내측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배출 또는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배출되거나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일측 외부방향과 타측 외부방향 모두로 배출될 수 있다.
실외로 노출되는 상기 프레임(3)의 후측 외면과 실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프레임(3)의 전측 외면에 각각 구비된 상기 온도감지부(60)가 각각 감지한 실내온도값과 실외온도값의 온도차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외기 제어장치와 상기 펠티어소자(30)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습도감지부(61)가 감지한 실내습도값과 상기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된 기준습도값에 따라 상기 팬부재(1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습도감지부(61)가 감지한 실내습도값이 기준습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팬부재(140)가 작동하여 상기 유리부(32)로 외기를 공급하게 됨에 따라 상기 유리부(32)에 습도에 따른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습도감지부(61)가 감지한 실내습도값이 기준습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팬부재(140)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외기 제어장치와 상기 펠티어소자(30)의 작동모드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환시키는 수동자동전환스위치부(70)가 상기 제어부(50)에 누름식 버튼,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수동자동전환스위치부(70)가 수동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부(40)를 ON상태로 설정하여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팬부재(140)을 수동작동시킬 수 있고, 이때 상기 펠티어소자(30)는 상기 온도감지부(60)의 상기 온도감지부(60)가 감지한 실내온도값과 실외온도값의 온도차에 따라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수동자동전환스위치부(70)를 수동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부(40)를 OFF상태로 설정할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팬부재(140)와 상기 펠티어소자(30) 모두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수동자동전환스위치부(70)가 자동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온도감지부(60)가 감지한 실내온도값과 실외온도값의 온도차에 따라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팬부재(140)와 상기 펠티어소자(30) 모두를 자동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팬부재(140)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마트폰 등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1);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상기 단말기(1)를 이룰 수 있는 스마트폰의 어플을 실행하여 스마트폰에 화면출력되는 조작키를 통해 상기 제어부(50)로 상기 외기 제어장치의 팬부재(140)의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단말기(1)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외기 제어장치를 제어 및 상기 온도감지부(60)가 감지한 실내온도값과 실외온도값의 온도차에 따라 상기 펠티어소자(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유리부(32) 주변의 외기를 흡입 또는 상기 유리부(32)로 외기를 배출하는 상기 블로워부(10)를 통해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유리부(32)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높은 효율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3; 프레임, 32; 유리부,
10; 블로워부.

Claims (27)

  1. 표면에 형성된 통기구를 통해 외기를 배출 또는 흡입하는 블로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부는 상부에 상기 통기구가 형성되고, 내측으로 공급된 외기가 상기 통기구를 통해 상기 통기구 주변 외부방향으로 배출 또는 상기 통기구를 통해 내측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으로 외기를 공급하여 상기 통기구를 통해 상기 통기구 주변 외부방향으로 외기를 배출 또는 상기 통기구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으로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부방향으로 외기를 배출하는 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부에 상기 통기구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통기구 각각의 좌우폭이 상기 팬부재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커지는 가이드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팬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와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되거나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부에 상기 팬부재가 각각 설치되는 일측보조가이드관 및 타측보조가이드관과;
    상기 일측보조가이드관 및 상기 타측보조가이드관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수직배치되고, 상기 일측보조가이드관 및 상기 타측보조가이드관과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보조가이드관의 하부와 상기 타측보조가이드관의 하부 사이에 수평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통기구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통기구 각각의 좌우폭이 상기 팬부재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커지는 가이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제어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조절을 위해 상기 가이드관은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제어장치.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은 단면형상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가이드관과;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내측에 수용되고, 단면형상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측가이드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 및 상기 내측가이드관의 상부 후측에 각각 복수의 상기 통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가이드관의 복수의 상기 통기구가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상부 전측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통기구와 연통 또는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상부 후측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통기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내측에 상기 내측가이드관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제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복수의 상기 통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가이드관의 복수의 통기구가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하부 전측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통기구와 연통 또는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하부 후측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통기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내측에 상기 내측가이드관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제어장치.
  8.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은 단면형상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가이드관과;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내측에 수용되고, 단면형상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측가이드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복수의 상기 통기구가 형성 및 상기 내측가이드관의 상부에 상기 내측가이드관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가이드관의 개방구가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통기구 모두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내측에 상기 내측가이드관이 수용되거나 상기 내측가이드관의 개방구가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상부 전측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통기구 또는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상부 후측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통기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내측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제어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복수의 상기 통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가이드관의 개방구가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배출공 모두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내측에 상기 내측가이드관이 수용되거나 상기 내측가이드관의 개방구가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하부 전측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통기구 또는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하부 후측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통기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외측가이드관의 내측에 상기 내측가이드관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제어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팬부재를 설치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상기 팬부재를 위치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제어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팬부재에 구비되고, 내측에 설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끼움고정되는 고정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제어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설치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감싼 상태로 설치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밀착고정되는 고정패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제어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에 나사결합되어 설치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고정되는 고정볼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제어장치.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을 통과하는 외기를 냉각시켜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부방향으로 냉풍이 배출 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을 통과하는 외기를 가열시켜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부방향으로 온풍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펠티어소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제어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팬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팬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제어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부의 감지온도값 및 상기 습도감지부의 습도감지값에 따라 상기 팬부재와 상기 펠티어소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제어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팬부재와 상기 펠티어소자의 작동모드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환시키는 수동자동전환스위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제어장치.
  1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팬부재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팬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제어장치.
  19. 유리부가 내측에 구비된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 1항의 외기 제어장치;를 이용한 창호 결로 방지 구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제어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거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방지 구조.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제어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방지 구조.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제어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방지 구조.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제어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수직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방지 구조.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상기 통기구가 복수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방지 구조.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 일측 또는 내측면 타측에 복수의 상기 통기구가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 일측과 내측면 타측 모두에 복수의 상기 통기구가 상기 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방지 구조.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 상부에 복수의 상기 통기구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방지 구조.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구비되는 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상기 통기구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팬부재를 연결하는 보조가이드라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 결로 방지 구조.
KR1020210090166A 2021-07-09 2021-07-09 외기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결로 방지 구조 KR20230009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166A KR20230009590A (ko) 2021-07-09 2021-07-09 외기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결로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166A KR20230009590A (ko) 2021-07-09 2021-07-09 외기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결로 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590A true KR20230009590A (ko) 2023-01-17

Family

ID=85111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166A KR20230009590A (ko) 2021-07-09 2021-07-09 외기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결로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95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061Y1 (ko) 2017-03-24 2017-11-23 김용태 단열, 방음 및 방범용 복층유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061Y1 (ko) 2017-03-24 2017-11-23 김용태 단열, 방음 및 방범용 복층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332B1 (ko) 환기 및 열 회수기능을 갖는 창호
JP6216778B2 (ja) ドアシールシステム
CN103175279A (zh) 幕墙强制通风器
CN207196695U (zh) 一种空调器室内机及空调器
KR20230009590A (ko) 외기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호 결로 방지 구조
KR101470317B1 (ko) 냉난방장치가 장착되는 옥외 부스
KR20160008279A (ko) 방범 기능 및 제습 기능이 구비된 공기 순환형 환풍장치
KR20210020806A (ko) 일체형 차세대 창문 시스템
KR102159867B1 (ko) 창틀용 환풍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조립체
JP2005098573A (ja) 換気装置
KR102655650B1 (ko) 이중 창호용 수분 제거 장치
JP3633798B2 (ja) 窓枠サッシ用換気扇
CN212431218U (zh) 一种室外壳体一体式自然通风器
KR20110018964A (ko) 공기조화장치
KR101939686B1 (ko) IoT를 이용한 창호 일체형 기계환기 장치 제어시스템
KR20170079558A (ko) 환풍 장치
CN202419843U (zh) 幕墙强制通风器
KR101886409B1 (ko) 먼지 차단기능이 있는 외기취입장치
KR100628794B1 (ko) 베란다 설치용 공기 청정기의 설치 구조 및 이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청정 방법
RU95078U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иточной вентиляции
KR200414697Y1 (ko)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KR101329302B1 (ko) 창틀의 통풍장치
KR102252414B1 (ko) 선풍기의 창문 설치 구조체
CN214841533U (zh) 一种空调温控面板显示装置
WO2010119352A2 (en) Thermoinsulated w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