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697Y1 -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697Y1
KR200414697Y1 KR2020050034780U KR20050034780U KR200414697Y1 KR 200414697 Y1 KR200414697 Y1 KR 200414697Y1 KR 2020050034780 U KR2020050034780 U KR 2020050034780U KR 20050034780 U KR20050034780 U KR 20050034780U KR 200414697 Y1 KR200414697 Y1 KR 2004146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air
unit
ventilator
pollution
heat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7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소기
Original Assignee
강소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소기 filed Critical 강소기
Priority to KR20200500347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6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6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6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uzzy System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오염원의 농도를 검출하여 표시하고 그에 따라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를 환기시키는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환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검출하기 위한 오염 검출부, 상기 오염 검출부에서 검출된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열회수 환기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키조작부, 상기 키조작부에서 발생되는 구동 명령 신호를 열회수 환기장치로 송신하고 열회수 환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정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상기 오염 검출부, 표시부, 키조작부 및 송/수신부간의 상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환기장치, 상기 구동/정지 신호를 송신하고 냉장고 환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명령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실내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검출부, 급기구, 급기팬, 배기구 및 배기팬과 연동되어 실내공기의 배출 및 실외공기의 흡입을 수행하기 위한 모터 구동부,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송/수신부, 온도 검출부, 전원부 및 모터 구동부간의 상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열회수 환기장치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냉장고 환기장치에 구비된 검출수단에 의해 실내공기의 오염원 예시적으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검출하고 표시수단에 실시간으로 오염도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항상 실내공기의 오염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오염 상태에 따라 키조작수단을 통해 오염된 실내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실내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회수 환기장치, 냉장고 환기장치, 검출센서, 이산화탄소

Description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 System for freshening the air in the room }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내공기 환기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구성에 따른 냉장고 환기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구성에 따른 열회수 환기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냉장고 환기장치 110 : 열회수 환기장치
200, 300 : 제어부 210, 310 : 송/수신부
220 : 표시부 230 : 오염 검출부
240 : 키조작부 320 : 전원부
330 : 모터 구동부 331 : 급기구
332 : 급기팬 333 : 배기구
334 : 배기팬 340 : 온도검출부
본 고안은 실내공기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검출하여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는 실내공기 환기장치 및 그를 이용한 환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주방이나 거실 또는 사무실 내의 밀폐된 공간에서 공기의 흐름은 정지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밀폐된 공간에서 사람이 각종 작업이나 업무 등을 수행하면 시간이 경과함에 이산화탄소(CO2)의 농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실내의 공기 오염도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공기 오염도가 높은 실내 공간에서 사람이 장시간 각종 작업이나 업무를 수행하게 되면 호흡기 장애 등과 같은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신축한 아파트나 건물의 경우 실내에 설치된 건축자재 또는 내장재 등에서 방출되는 화학성분의 유해물질로 인하여 실내공기가 오염되어 사람이 장시간 각종 작업이나 업무를 수행하는 동안 호흡기 장애 등과 같은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사람에게 유해한 실내공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면서 실외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환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실내에 설치된 환기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환기시키는 경우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동시에 실외공기를 실내로 흡입시 발생되는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외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실내온도에 맞추도록 열교환 되는는 열회수 환기장치가 부가적으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열회수 환기장치의 경우 일반적으로 스위치의 온(On) 또는 오프(Off) 및 타이머에 의해 가동되거나 중지된다.
그리고 실내공기의 오염을 검출하여 환기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오염 감지센서를 환기장치의 급기구 또는 배기구 본체에 부착된 일체형, 벽의 소정의 위치에 매립 설치된 제어기와 함께 설치되는 분리 형태의 공기 환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내공기 오염의 주원인인 이산화탄소(CO2)의 경우 비중이 1.529로 공기보다 무거워 바닥에 깔리는 특성이 있는 바, 일체형 혹은 분리형의 실내공기 환기장치로는 오염 검출 센서가 설치되는 위치의 특성상 실내의 정확한 공기 오염 여부를 검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실내의 소정 장소에 설치되는 냉장고의 특정 부위에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 오염도를 검출해서 표시하는 동시에, 이렇게 검출된 공기 오염도에 따라 분리 설치된 열회수 환기장치를 구동시켜 실내공기의 배출 및 실외공기의 흡입을 수행하는 실내공기 환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검출하기 위한 오염 검출부, 상기 오염 검출부에서 검출된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열회수 환기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키조작부, 상기 키조작부에서 발생되는 구동 명령 신호를 열회수 환기장치로 송신하고 열회수 환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정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상기 오염 검출부, 표시부, 키조작부 및 송/수신부간의 상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환기장치, 상기 구동/정지 신호를 송신하고 냉장고 환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명령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실내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검출부, 급기구, 급기팬, 배기구 및 배기팬과 연동되어 실내공기의 배출 및 실외공기의 흡입을 수행하기 위한 모터 구동부,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송/수신부, 온도 검출부, 전원부 및 모터 구동부간의 상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열회수 환기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내공기 환기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에 따른 냉장고 환기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실내공기 환기시스템에 따른 열회수 환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공기 환기시스템은 냉장고 환기장치(100)와 열회수 환기장치(110)로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 환기장치(100)는 제어부(200), 송/수신부(210), 표시부(220), 오염 검출부(230), 키조작부(240)로 구성된다.
제어부(200)는 송/수신부(210), 표시부(220), 오염 검출부(230) 및 키조작부(240)의 상호 구동에 따른 제어를 담당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부(210)는 키조작부(240)를 통해 입력되는 열환수 환기장치(110)의 구동 명령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열환수 환기장치(11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정지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송/수신부(210)로 적외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외선 방식,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방식 및 블루투스 (Bluetooth)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220)는 오염 검출부(230)로부터 검출되는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나타내도록 구성되는데, 문자, 숫자 또는 그래픽 처리로 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표시부(220)로 LCD 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염 검출부(230)는 실내공기의 오염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실내공기 중의 이산화탄소(CO2)를 검출하는 검출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조작부(240)는 냉장고 환기장치(100)와 연동된 열회수 환기장치(110)를 구동 또는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회수 환기장치(110)는 제어부(300), 송/수신부(310), 전원부(320), 모터 구동부(330), 온도 검출부(340)로 구성되며, 모터 구동부(330)는 급기구(331), 급기팬(332), 배기구(333), 배기팬(334)과 연동된다.
제어부(300)는 송/수신부(310), 전원부(320), 모터구동부(330) 및 온도 검출부(340)간의 상호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부(310)는 구동/정지 신호를 송신하고 냉장고 환기장치(100)로부터 제겅되는 구동 명령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원부(320)는 열회수 환기장치(110)에 구동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데, 된다.
모터 구동부(330)는 급기구(331), 급기팬(332), 배기구(333), 배기팬(334)과 연동되어 실내공기의 배출 및 실외공기의 흡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급기구(331)는 모터 구동부(330)의 구동시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통로로 제공되며, 배기구(333)는 모터 구동부(330)의 구동시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로 제공된다.
급기팬(332)은 모터 구동부(330)의 구동에 따라 실외공기를 실내로 흡입하도록 동작하는 팬으로 제공되며, 배기팬(334)은 모터 구동부(330)의 구동에 따라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동작하는 팬으로 제공된다.
온도 검출부(340)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실내공기가 실외로 배출시 실내의 열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실외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가열에 따른 에너지 절감 등을 위해 구비된다.
상기 구성에 따른 동작 설명은 다음과 같다.
냉장고에 전원이 제공되어 구동됨에 따라 하단의 일측에 구비된 오염 검출부(230)의 검출센서가 구동되어 실내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를 검출한다.
상기 오염 검출부(230)의 검출센서를 통해 검출된 실내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냉장고에 부착된 표시부(220)의 LCD 패널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220)의 LCD 패널을 통해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제어부(200)의 오염도 판단 기준과 비교하여 오염 기준치를 상회하 는 오염도가 표시될 때 키조작부(240)를 통해 열회수 환기장치(110)의 구동을 명령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표시부(220)의 LCD 패널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키조작부(240)의 조작을 통해 열회수 환기장치(110)의 구동을 명령하고 있으나, 제어부(200)에서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파악하여 자동 또는 타이머 형태로 열회수 환기장치(110)를 구동할 수 있다.
전원부(320)를 통해 구동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열회수 환기장치(110)의 송/수신부(310)에서는 상기 냉장고 환기장치(100)의 송/수신부(210)에서 전송된 열회수 환기장치(110)의 구동 명령 신호를 수신한다.
열회수 환기장치(110)의 제어부(300)는 냉장고 환기장치(100)의 송/수신부(210)로부터 전송된 구동 명령 신호에 따라 모터 구동부(330)가 구동한다.
이때 열회수 환기장치(110)의 온도 검출부(340)에서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데 이는 실내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발생하는 실내공기의 열효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실내공기의 열효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배기팬(334)이 구동하고 배기구를 통해 오염된 실내공기가 배출되며 동시에 급기팬(332)이 구동하여 외부공기가 급기구(331)를 통해 흡입된다.
이때, 실내공기와 외부에서 흡입되는 실외공기를 혼합하여 실내에 공급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열효율이 크게 떨어지지 않으면서 실외에서 실내로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가열 등에 발생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모터 구동부(330)를 통해 오염된 실내공기를 배출하고 외부의 실외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실내공기의 환기가 수행되며 냉장고 환기장치(100)의 표시부(220)를 통해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환기방법은 냉장고 환기장치에 구비된 검출수단에 의해 실내공기의 오염원 예시적으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검출하고 표시수단에 실시간으로 오염도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항상 실내공기의 오염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오염 상태에 따라 키조작수단을 통해 오염된 실내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실내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검출하기 위한 오염 검출부, 상기 오염 검출부에서 검출된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열회수 환기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키조작부, 상기 키조작부에서 발생되는 구동 명령 신호를 열회수 환기장치로 송신하고 열회수 환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정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상기 오염 검출부, 표시부, 키조작부 및 송/수신부간의 상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환기장치; 및
    상기 구동/정지 신호를 송신하고 냉장고 환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명령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실내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검출부, 급기구, 급기팬, 배기구 및 배기팬과 연동되어 실내공기의 배출 및 실외공기의 흡입을 수행하기 위한 모터 구동부, 구동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송/수신부, 온도 검출부, 전원부 및 모터 구동부간의 상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열회수 환기장치를 포함하는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검출부는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검출센서를 사용하는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검출부의 검출센서에서 검출되는 실내공기의 오 염원은 이산화탄소(CO2)인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적외선 방식, 무선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는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문자, 숫자 또는 그래픽 처리가 가능한 LCD 패널인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KR2020050034780U 2005-12-09 2005-12-09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KR2004146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780U KR200414697Y1 (ko) 2005-12-09 2005-12-09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780U KR200414697Y1 (ko) 2005-12-09 2005-12-09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664A Division KR20070096084A (ko) 2005-12-09 2005-12-09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환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697Y1 true KR200414697Y1 (ko) 2006-04-24

Family

ID=44481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780U KR200414697Y1 (ko) 2005-12-09 2005-12-09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6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557B1 (ko) 2007-02-08 2007-04-18 주식회사 창성엔지니어링 냉장창고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557B1 (ko) 2007-02-08 2007-04-18 주식회사 창성엔지니어링 냉장창고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811B1 (ko) 창호형 환기장치를 활용한 실내 공기 환기장치 및 환기방법
KR101260564B1 (ko) 창호형 환기장치 및 풍향을 활용한 실내 공기 환기장치 및 환기방법
KR100738227B1 (ko) 이산화탄소농도와 실내온도에 근거한 실내자동환기장치
KR20120106196A (ko) 실내의 환기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2823B1 (ko) 공기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을 통한 환풍기 제어 시스템
KR20100058983A (ko) 지하 구조물의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96084A (ko)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환기방법
KR20120107229A (ko) 공기 청정 및 에너지 저감 시스템
JP6361667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640065B1 (ko) 스마트 에어 케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23646A (ko)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방화문
KR200414697Y1 (ko)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KR100730304B1 (ko) 자연급기와 강제배기를 겸한 환기 유니트 및 제어방법
KR200427025Y1 (ko) 자동 환풍 제어장치
KR101931912B1 (ko) 공기의 유동경로를 변화시키는 환기시스템
KR20070020863A (ko) 실내 공기 환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환기방법
KR101276864B1 (ko) 대기전력을 이용한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환기장치
KR102447165B1 (ko) 각 방 환기 제어시스템
KR200405771Y1 (ko) 실내 공기 환기장치
JP4401189B2 (ja) 空気調和機
KR200409121Y1 (ko) 오염 검출센서를 구비한 전화기 및 그것을 이용하여 실내의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실내 공기 환기장치
KR20210062230A (ko) 양압식 무선제어 환기시스템
KR200458086Y1 (ko) 전열교환기
JP2004012022A (ja)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方法
JPH06185768A (ja) 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