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964A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964A
KR20110018964A KR1020090076458A KR20090076458A KR20110018964A KR 20110018964 A KR20110018964 A KR 20110018964A KR 1020090076458 A KR1020090076458 A KR 1020090076458A KR 20090076458 A KR20090076458 A KR 20090076458A KR 20110018964 A KR20110018964 A KR 20110018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light emitting
air condition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시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to KR1020090076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8964A/ko
Publication of KR20110018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의 상태에 따라 발광부의 밝기 및 색상이 조절되어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외부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흡입 및 토출시키는 송풍기;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흡입된 공기를 열변환시키는 열교환부; 상기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와 마주하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가 작동될 경우 발광되는 발광부;를 포함한다.
공기조화장치, 발광, 밝기, 색상, 센서, 살균, 살균램프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하우징 내부 또는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발광부를 구비하고 공기조화장치의 작동상태에 따라 밝기 및 색상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는 건물의 벽면 또는 천정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열변환시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태로 실내 공기를 유지시킨다.
그러나, 종래 공기조화장치는 실내 공기의 열변환시 발생되는 수증기가 증발 기에 잔류하게 되고, 작동이 정지될 경우 잔류된 수증기에 의해 세균이 번식함으로써 위생에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열교환수단 일측에 살균램프를 장착하여 세균 등의 번식을 방지하며, 하우징의 토출구 주변 또는 하우징 외측 어느 일면에 상기 살균램프의 작동상태 또는 공기조화장치의 작동상태를 밝기 및 색상의 변화로 표시하기 위한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기조화장치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외부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흡입 및 토출시키는 송풍기;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흡입된 공기를 열변환시키는 열교환부; 상기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와 마주하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가 작동될 경우 발광되는 발광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열교환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살균램프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와 마주하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의 빛을 토출구 외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사용자의 설정상태에 따라 밝기 및 색상이 조절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사용자의 설정상태는 온도, 풍량, 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습도 또는 풍량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온도, 습도 또는 풍량에 의해 밝기 또는 색상이 조절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공기조화장치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외부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흡입 및 토출시키는 송풍기;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흡입된 공기를 열변환시키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의 어느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살균램프; 상기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살균램프의 동작상태 및 사용자의 설정상태에 따라 밝기 및 색상이 조절되는 표시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와 마주하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가 작동될 경우 발광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열교환수단 일측에 살균램프를 장착하여 세균 등의 번식을 방지함에 따라, 건물의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하우징의 토출구 주변 또는 적어도 하 우징 외측 어느 일면에 상기 살균램프의 작동상태 또는 공기조화장치의 작동상태를 밝기 및 색상의 변화로 표시하기 위한 발광부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공기조화기의 작동상태 및 살균램프의 작동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구조 및 그 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련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 실시예
이하, 관련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에 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우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 치(100)는 하우징(110), 흡입구(120), 토출구(130), 열교환부(140) 및 송풍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 또는 상면에 개방된 흡입구(120)와 하면 또는 양측면에 토출구(13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20)는 공기조화장치(100)가 설치되는 건물의 공기를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시키며, 상기 토출구(130)는 상기 공기조화장치(100)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킨다.
상기 하우징(110)은 그 내부에 상기 흡입된 건물의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기 위한 열교환부(140)와 하우징(110) 내부로 건물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송풍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교환부(140)는 상기 공기조화장치(100)가 동작 될 경우 내부로 유입되는 건물의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데, 상기 공기의 냉각 또는 가열시 하우징 내부에 수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장치(100)의 동작이 정지될 경우 상기 발생된 수증기는 응축되어 열교환부(140)의 표면에 물방울로 맺히게 되며, 장시간 공기조화기를 가동하지 않을 경우 상기 열교환부(140) 표면에 맺힌 물방울에 세균 등이 번식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할 경우, 열교환부(140)에 번식된 세균 등에 의하여 사용자의 호흡기 관련 질환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는 상기 열교환부(140)의 어느 일측에 살균램프(160)를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살균램프(160)는 상기 공기조화장치(100)가 가동될 때에는 작동 되지 않으며, 공기조화장치(100)의 가동이 중지된 소정시간 이후에 작동되어 상기 열교환부(140) 표면에 발생되는 세균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장치(100)의 구동시 상기 토출구(130)의 일측에 장착된 개폐부(135)의 일측이 도시한 "A" 방향으로 이동하여 토출구(130)를 열리게 함으로써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구(130)의 어느 일측에 발광부(17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130)의 일단에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습도 및 풍량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170a)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부(170a)는 공기조화장치(100) 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미도시함)와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센서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부(170)는 상기 토출구(13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개폐부(135)와 마주하는 측면에 설치된다. 그 이유는 상기 개폐부(135)가 "A"방향으로 이동되어 토출구(130)가 오픈 될 경우, 상기 오픈 된 토출구(130)를 통해 상기 발광부(170)로부터의 빛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170)의 빛을 효과적으로 공기조화장치(100)의 외부로 발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발광부(170)가 장착된 위치와 마주하는 하우징(110) 내측에 반사수단(18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수단(180)은 상기 발광부(170)로부터의 빛이 토출구(130) 방향으로 굴절될 수 있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발광부(170)는 공기조화장치(100)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마이 컴(미도시함)과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밝기 또는 색상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조화장치(100)와 별도로 독립적으로 장착된 감지부(170a)로부터 감지된 센싱값들을 읽어와 밝기 또는 색상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풍량모드가 "강"으로 설정될 경우 밝기가 최상의 밝기로 조절되고, 설정온도가 시원한 온도인 18℃일 경우 차가운 빛인 파랑계열의 색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과 독립적으로 상기 감지부(170a)로부터 감지된 센싱값들에 의해 동작될 경우,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이 약해질 경우 발광부(170)의 밝기가 낮아지며,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을 경우 따뜻한 느낌의 노랑계열의 색상으로 조절되어 발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0)는 하우징(110) 내부의 열교환부(140) 어느 일측에 살균램프(160)를 장착함으로써, 공기조화장치(100)에서 발생될 수 있는 세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조화장치(100)의 운전상태 및 공기조화장치(10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습도, 풍량을 감지하여 빛의 밝기 또는 색상을 조절할 수 있는 발광부(170)를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공기조화장치(100)의 운전모드 또는 토출되는 공기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2 실시예
이하, 관련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200)는 하우징(210), 흡입구(220), 토출구(230), 열교환부(240), 송풍기(250), 살균램프(260) 및 표시발광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발광부(290)는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하우징(210)의 하단 또는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발광부(290)는 상기 살균램프(260)의 동작상태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살균램프(260)는 공기조화장치(200)의 동작이 완료되어 동작을 멈출 경우 상기 열교환부(240)에 발생될 수 있는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작한다. 이때, 상기 토출구(230)는 공기조화장치(200)의 동작 멈춤에 의해 닫히게 됨에 따라 살균램프(260)의 동작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없는 바,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면에 구비된 표시발광부(290)에서 기 설정된 색상 또는 밝기로 발광되어 살균램프(260)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발광부(290)는 살균램프(260)의 동작상태의 표시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조화장치(200)의 운전 중, 공기조화장치(200)의 운전상태에 따라 기 설정된 색상 또는 밝기로 발광됨으로써, 공기조화장치(200)의 현재 운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200)는 토출구(230) 내측에 발광부(270)와 감지부(270a)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부(270)는 상기 공기조화장치(200)의 운전상태 또는 사용자의 설정상태에 따라 색상 또는 밝기가 조절되어 발광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부(270a)에 의해 감지된 토출 공기의 온도, 습도 및 풍량에 따라 색상 또는 밝기가 조절되어 발광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표시발광부(290)는 상기 공기조화장치(200)가 운전 중일 경우, 상기 발광부(270)와 동일한 색상 또는 밝기로 발광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조화장치(200)의 운전이 중지되어 살균램프(260)가 동작될 경우 살균램프(260) 만을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200)는 동작 중일 경우 표시발광부(290) 또는 발광부(270)를 통해 현재 공기조화장치(200)의 운전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 공기조화장치(200)의 운전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운전이 중지되고 살균램프(260)에 의한 소독 중일 경우 표시발광부(290)를 통해 살균램프(260)의 동작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하우징 120 : 흡입구
130 : 토출구 135 : 개폐부
140 : 열교환부 150 : 송풍기
160 : 살균램프 170 : 발광부
190 : 표시발광부

Claims (9)

  1.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외부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흡입 및 토출시키는 송풍기;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흡입된 공기를 열변환시키는 열교환부;
    상기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와 마주하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기가 작동될 경우 발광되는 발광부;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살균램프가 구비된 공기조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와 마주하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부의 빛을 토출구 외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수단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사용자의 설정상태에 따라 밝기 및 색상이 조절되는 공기조 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설정상태는 온도, 풍량, 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치인 공기조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습도 또는 풍량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온도, 습도 또는 풍량에 의해 밝기 또는 색상이 조절되는 공기조화장치.
  8.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외부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흡입 및 토출시키는 송풍기;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흡입된 공기를 열변환시키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의 어느 일측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살균램프;
    상기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살균램프의 동작상태 및 사용자의 설정상태에 따라 밝기 및 색상이 조절되는 표시발광부;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와 마주하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가 작동될 경우 발광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090076458A 2009-08-19 2009-08-19 공기조화장치 KR20110018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458A KR20110018964A (ko) 2009-08-19 2009-08-19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458A KR20110018964A (ko) 2009-08-19 2009-08-19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964A true KR20110018964A (ko) 2011-02-25

Family

ID=43776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458A KR20110018964A (ko) 2009-08-19 2009-08-19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89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119A (ko) * 2014-06-18 201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028924A (ko) * 2020-03-10 2020-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11783A (ko) 2021-02-02 2022-08-10 주식회사 에프앤티이노베이션 흡입공기 살균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119A (ko) * 2014-06-18 201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028924A (ko) * 2020-03-10 2020-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11783A (ko) 2021-02-02 2022-08-10 주식회사 에프앤티이노베이션 흡입공기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6678B2 (en) Air conditioner
US8584481B2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KR101936635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2009008191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10333005A1 (en) Air treatment device
JP2014159908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2004150679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10018964A (ko) 공기조화장치
JP2007127361A (ja) ショーケースの温度制御装置
US20150056911A1 (en) System for damper activation notification
KR100750256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18012860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0181610A1 (zh) 厨房空调一体机
KR20070050565A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팬제어방법
JP2006234345A (ja) 換気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WO2020181609A1 (zh) 厨房空调一体机
WO2020155403A1 (zh) 厨房空调一体机
JP2009058220A (ja) 空気調和方法及び空気調和機
KR100441088B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환기 시스템
JP2020024060A (ja) 空気処理装置
JP2014043997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20190041083A1 (en) Air-conditioning system
KR2004011041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공기감지장치
JP6417102B2 (ja) 結露検出装置
KR102432316B1 (ko) 살균기능을 가지는 창문형 에어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