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8147A -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구현 방법 및 관련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구현 방법 및 관련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8147A
KR20230008147A KR1020227041394A KR20227041394A KR20230008147A KR 20230008147 A KR20230008147 A KR 20230008147A KR 1020227041394 A KR1020227041394 A KR 1020227041394A KR 20227041394 A KR20227041394 A KR 20227041394A KR 20230008147 A KR20230008147 A KR 20230008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witching
action frame
durat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 이
케시옹 유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8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8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carrier sensing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출원은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관련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방법은 Wi-Fi 통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방법은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1 액션 프레임을 제 1 채널을 통해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여기서 제 1 액션 프레임은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반송한다. 그 다음에,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는 둘 모두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 의해 표시된 동일한 채널로 스위칭하여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방법에 따르면,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설정하는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구현 방법 및 관련 디바이스
본 출원은 2020년 4월 30일자로 중국 국가지식재산관리국에 출원된 "METHOD FOR IMPLEMENTING WI-FI PEER-TO-PEER SERVICE AND RELATED DEVICE"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2010365426.2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중국 출원은 그 전체가 본 출원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Wi-Fi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관련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Wi-Fi 피어 투 피어(Wi-Fi Peer-to-Peer, Wi-Fi P2P)는 Wi-Fi 통신 기술의 분야에서 Wi-Fi 디바이스 간의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지원하는 기술이다. Wi-Fi P2P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2개 이상의 Wi-Fi 디바이스가 연결된 후에, 소규모(small-range) 네트워크 아키텍처(P2P 네트워크, P2P 그룹이라고도 함)가 형성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없이 상호 통신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P2P 기술은 이동 전화로부터 스마트 텔레비전으로의 미러링 프로젝션(mirroring projection), 이동 전화 간의 파일 전송 또는 이동 전화에 의한 스마트 가전 제품의 제어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두 디바이스가 처음에 Wi-Fi P2P를 사용하여 연결을 설정할 때, 하나의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채널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두 디바이스는 동시에 채널 스캐닝을 수행해야 한다(예를 들어, 채널 1/6/11을 스캔해야 한다). 채널 스캐닝은 일반적으로 시간이 오래 걸린다. 피어 투 피어 서비스를 설정하는 효율성을 개선하는 방법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해결되어야 할 시급한 과제이다.
본 출원은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를 설정하는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제 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Wi-Fi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며, Wi-Fi 통신 시스템은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방법은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1 액션 프레임을 제 1 채널을 통해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여기서 제 1 액션 프레임은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반송하고,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은 것: 제 2 채널의 채널 정보, 스위칭 모드 정보 및 이중 대역 적응 동시(dual band adaptive concurrent)(DBAC) 모드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한다. 제 2 디바이스는 제 1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고,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 2 채널로 스위칭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 2 채널로 스위칭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2 채널을 통해 제 2 디바이스와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설정하는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Wi-Fi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AP)를 더 포함하고, AP,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는 제 1 채널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즉시 스위칭 모드(immediate switching mode)를 포함하며, 즉시 스위칭 모드는 제 2 디바이스에게 제 1 액션 프레임에 응답하여 제 2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지연된 스위칭 모드(delayed switching mode) 및 지연된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연장 시간(extension time)을 포함하며, 지연된 스위칭 모드 및 연장 시간은 제 2 디바이스에게 연장 시간의 지연 후에 제 2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영구 스위칭 모드(permanent switching mode)를 포함하며, 영구 스위칭 모드는 제 2 디바이스에게 제 2 채널 및 제 1 채널을 계속 청취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2 액션 프레임을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여기서 제 2 액션 프레임은 제 2 디바이스에게 제 1 채널로 다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2 디바이스는 제 2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고, 제 2 액션 프레임에 기초하여 제 1 채널로 스위칭한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fixed-duration switching mode) 및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스위칭 지속기간(switching duration)을 포함하며,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 및 스위칭 지속기간은 제 2 디바이스에게 제 2 채널로 스위칭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 스위칭 지속기간 후에 다시 제 1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DBAC 슬롯 할당 비율(DBAC slot allocation ratio) 및 스케줄링 주기성(scheduling periodicity)을 포함하고, DBAC 슬롯 할당 비율은 하나의 스케줄링 주기성에서 제 2 디바이스가 제 1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 대 제 2 디바이스가 제 2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의 비율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스케줄링 주기성은 연속적인 제 1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시간과 제 2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시간의 합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제 2 디바이스는 DBAC 슬롯 할당 비율 및 스케줄링 주기성에 기초하여 제 1 채널 및 제 2 채널을 청취한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2 채널의 채널 정보는 제 2 채널의 채널 식별자 및 주파수 대역폭을 포함하고, 주파수 대역폭은 20 M 미만이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디바이스가 제 1 액션 프레임을 제 1 채널을 통해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한다는 것은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1 액션 프레임을 제 1 채널 상에서 브로드캐스트한다. 브로드캐스트 방식에서, 제 1 액션 프레임은 RTS/CTS를 기다리지 않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에서 모든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직접 송신 및 수신될 수 있으므로,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설정하는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제 2 채널의 채널 식별자 및 주파수 대역폭을 포함하고,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가 현재 위치한 환경에서 사용된 통신 채널을 결정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사용된 통신 채널에 기초하여 제 2 채널의 채널 식별자 및 주파수 대역폭을 결정하며, 여기서 제 2 채널과 사용된 통신 채널 사이에는 중첩하는 주파수 대역이 없거나, 또는 제 2 채널은 사용된 통신 채널에서 가장 유휴한 채널이거나, 또는 제 2 채널은 사용된 통신 채널에서 통신 품질이 가장 좋은 채널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의 통신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스위칭 모드 정보 및 DBAC 모드 정보를 포함하고, 스위칭 모드 정보는 제 2 디바이스가 제 2 채널로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방식 및/또는 스위칭 지속기간을 포함하고, DBAC 모드 정보는 DBAC 슬롯 할당 비율 및/또는 스케줄링 주기성을 포함한다.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의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스위칭 모드 정보 및 DBAC 모드 정보를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의 통신 요구사항이 충족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키를 미리 저장하고, 제 1 액션 프레임은 제 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수신 디바이스가 제 1 액션 프레임에 응답하여 오동작을 수행하는 문제가 회피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2 디바이스가 제 1 액션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2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키에 기초하여 제 1 액션 프레임을 파싱하여,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제 2 디바이스는 확인응답(ACK)을 제 1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여기서 ACK는 제 1 액션 프레임에 대한 응답이고, ACK는 제 2 디바이스가 파싱을 통해 제 1 액션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획득했다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ACK를 수신한다. 제 1 디바이스가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 2 채널로 스위칭하는 것은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 및 ACK에 기초하여 제 2 채널로 스위칭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가 파싱을 통해 제 1 액션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획득하는지를 결정하여,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를 구현하는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디바이스가 제 1 액션 프레임을 제 1 채널을 통해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기 전에,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가 현재 위치한 환경에서 사용된 통신 채널을 결정한다. 제 1 디바이스가 제 3 채널이 있다고 결정할 때, 제 1 디바이스는 제 3 채널을 통해 셀프(self)-CTS 패킷을 송신하며, 여기서 제 3 채널은 사용된 통신 채널 중 하나이고, 제 3 채널과 제 2 채널 사이에는 중첩하는 주파수 대역이 있고, 셀프-CTS 패킷은 셀프-CTS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가 셀프-CTS 패킷에 의해 선언된 채널 점유 시간 내에 묵음 상태(silent)로 남아 있을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의 통신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디바이스가 셀프-CTS 패킷을 제 3 채널을 통해 송신하기 전에,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가 높은 우선순위 서비스인 것을 결정한다. 셀프-CTS 패킷의 송신은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다른 통신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셀프-CTS 패킷은 높은 우선순위 서비스가 수행되기 전에 선택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성공적으로 액세스되었던 AP의 이력 정보를 저장하며, 제 3 채널을 제공하는 AP에 관한 정보는 이력 정보에 포함된다. 정보 보안을 위해, 단말 디바이스는 액세스되지 않았던 AP 채널에 대한 제어 권한이 없을 수 있다. 셀프-CTS 패킷이 액세스되지 않았던 AP 채널 상에서 송신되면, 다른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Wi-Fi 네트워크는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제 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제 2 디바이스는 제 1 채널을 통해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며, 여기서 제 1 액션 프레임은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반송하고,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은 것: 제 2 채널의 채널 정보, 스위칭 모드 정보 및 DBAC 모드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한다. 제 2 디바이스는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 2 채널로 스위칭한다. 제 2 디바이스는 제 2 채널을 통해 제 1 디바이스와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수행한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즉시 스위칭 모드(immediate switching mode)를 포함하며, 즉시 스위칭 모드는 제 2 디바이스에게 제 1 액션 프레임에 응답하여 제 2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지연된 스위칭 모드(delayed switching mode) 및 지연된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연장 시간(extension time)을 포함하며, 지연된 스위칭 모드 및 연장 시간은 제 2 디바이스에게 연장 시간의 지연 후에 제 2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영구 스위칭 모드(permanent switching mode)를 포함하며, 영구 스위칭 모드는 제 2 디바이스에게 제 2 채널 및 제 1 채널을 계속 청취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2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며, 여기서 제 2 액션 프레임은 제 2 디바이스에게 제 1 채널로 다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2 디바이스는 제 2 액션 프레임에 기초하여 제 1 채널로 스위칭한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fixed-duration switching mode) 및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스위칭 지속기간(switching duration)을 포함하며,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 및 스위칭 지속기간은 제 2 디바이스에게 제 2 채널로 스위칭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 스위칭 지속기간 후에 다시 제 1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DBAC 슬롯 할당 비율(DBAC slot allocation ratio) 및 스케줄링 주기성(scheduling periodicity)을 포함하고, DBAC 슬롯 할당 비율은 하나의 스케줄링 주기성에서 제2 디바이스가 제 1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 기간 대 제 2 디바이스가 제2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 기간의 비율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스케줄링 주기성은 연속적인 제1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시간과 제2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시간의 합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2 디바이스는 DBAC 슬롯 할당 비율 및 스케줄링 주기성에 기초하여 제 1 채널 및 제 2 채널을 청취한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채널의 채널 정보는 제2 채널의 채널 식별자 및 주파수 대역폭을 포함하고, 주파수 대역폭은 20 M 미만이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액션 프레임은 제 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다.
제 2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2 디바이스가 제 1 채널을 통해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액션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2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키에 기초하여 제 1 액션 프레임을 파싱하여,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제 2 디바이스는 확인응답(ACK)을 제 1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여기서 ACK는 제 1 액션 프레임에 대한 응답이고, ACK는 제 2 디바이스가 파싱을 통해 제 1 액션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획득했다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제 2 디바이스는 제 1 액션 프레임을 제 1 채널을 통해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여기서 제 1 액션 프레임은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반송하고,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은 것: 제 2 채널의 채널 정보, 스위칭 모드 정보 및 이중 대역 적응 동시(DBAC) 모드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 2 채널로 스위칭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2 채널을 통해 제 2 디바이스와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수행한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즉시 스위칭 모드(immediate switching mode)를 포함하며, 즉시 스위칭 모드는 제 2 디바이스에게 제 1 액션 프레임에 응답하여 제 2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지연된 스위칭 모드(delayed switching mode) 및 지연된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연장 시간(extension time)을 포함하며, 지연된 스위칭 모드 및 연장 시간은 제 2 디바이스에게 연장 시간의 지연 후에 제 2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영구 스위칭 모드(permanent switching mode)를 포함하며, 영구 스위칭 모드는 제 2 디바이스에게 제 2 채널 및 제 1 채널을 계속 청취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2 액션 프레임을 제 2 채널을 통해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여기서 제 2 액션 프레임은 제 2 디바이스에게 제 1 채널로 다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fixed-duration switching mode) 및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스위칭 지속기간(switching duration)을 포함하며,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 및 스위칭 지속기간은 제 2 디바이스에게 제 2 채널로 스위칭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 스위칭 지속기간 후에 다시 제 1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DBAC 슬롯 할당 비율(DBAC slot allocation ratio) 및 스케줄링 주기성(scheduling periodicity)을 포함하고, DBAC 슬롯 할당 비율은 하나의 스케줄링 주기성에서 제 2 디바이스가 제 1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 대 제 2 디바이스가 제 2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의 비율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스케줄링 주기성은 연속적인 제 1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시간과 제 2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시간의 합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2 채널의 채널 정보는 제 2 채널의 채널 식별자 및 주파수 대역폭을 포함하고, 주파수 대역폭은 20 M 미만이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디바이스가 제 1 액션 프레임을 제 1 채널을 통해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한다는 것은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1 액션 프레임을 제 1 채널 상에서 브로드캐스트한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제 2 채널의 채널 식별자 및 주파수 대역폭을 포함하고,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가 현재 위치한 환경에서 사용된 통신 채널을 결정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사용된 통신 채널에 기초하여 제 2 채널의 채널 식별자 및 주파수 대역폭을 결정하며, 여기서 제 2 채널과 사용된 통신 채널 사이에는 중첩하는 주파수 대역이 없거나, 또는 제 2 채널은 사용된 통신 채널에서 가장 유휴한 채널이거나, 또는 제 2 채널은 사용된 통신 채널에서 통신 품질이 가장 좋은 채널이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스위칭 모드 정보 및 DBAC 모드 정보를 포함하고, 스위칭 모드 정보는 제 2 디바이스가 제 2 채널로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방식 및/또는 스위칭 지속기간을 포함하고, DBAC 모드 정보는 DBAC 슬롯 할당 비율 및/또는 스케줄링 주기성을 포함한다.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의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스위칭 모드 정보 및 DBAC 모드 정보를 결정한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키를 미리 저장하고, 제 1 액션 프레임은 제 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ACK를 수신하며, 여기서 ACK는 제 1 액션 프레임에 대한 응답이고, ACK는 제 2 통신 디바이스가 파싱을 통해 제 1 액션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획득했다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1 디바이스가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 2 채널로 스위칭한다는 것은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 및 ACK에 기초하여 제 2 채널로 스위칭한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디바이스가 제 1 액션 프레임을 제 1 채널을 통해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기 전에,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가 현재 위치한 환경에서 사용된 통신 채널을 결정한다. 제 1 디바이스가 제 3 채널이 있다고 결정할 때, 제 1 디바이스는 제 3 채널을 통해 셀프(self)-CTS 패킷을 송신하며, 여기서 제 3 채널은 사용된 통신 채널 중 하나이고, 제 3 채널과 제 2 채널 사이에는 중첩하는 주파수 대역이 있고, 셀프-CTS 패킷은 셀프-CTS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가 셀프-CTS 패킷에 의해 선언된 채널 점유 시간 내에 묵음 상태(silent)로 남아 있을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디바이스가 셀프-CTS 패킷을 제 3 채널을 통해 송신하기 전에,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가 높은 우선순위 서비스라는 것을 결정한다.
제 3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성공적으로 액세스되었던 AP의 이력 정보를 저장하며, 제 3 채널을 제공하는 AP에 관한 정보는 이력 정보에 포함된다.
제 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가 현재 위치한 환경에서 사용된 통신 채널을 결정한다. 제 1 디바이스가 제 3 채널이 있다고 결정할 때, 제 1 디바이스는 제 3 채널을 통해 셀프-CTS 패킷을 송신하며, 여기서 제 3 채널은 사용된 통신 채널 중 하나이고, 제 3 채널과 제 2 채널 사이에는 중첩하는 주파수 대역이 있고, 제 2 채널은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채널이고, 셀프-CTS 패킷은 셀프-CTS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가 셀프-CTS 패킷에 의해 선언된 채널 점유 시간 내에서 묵음 상태로 남아 있을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4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디바이스가 셀프-CTS 패킷을 제 3 채널을 통해 송신하기 전에,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가 높은 우선순위 서비스라는 것을 결정한다.
제 4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성공적으로 액세스되었던 AP의 이력 정보를 저장하며, 제 3 채널을 제공하는 AP에 관한 정보는 이력 정보에 포함된다.
제 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통신 디바이스가 다음의 동작: 제 1 채널을 통해,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 - 여기서 제 1 액션 프레임은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반송하고,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다음의 것: 제 2 채널의 채널 정보, 스위칭 모드 정보 및 DBAC 모드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함 - 과,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 2 채널로 스위칭하는 것과, 제 2 채널을 통해 제 1 디바이스와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 5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즉시 스위칭 모드를 포함하며, 즉시 스위칭 모드는 통신 디바이스에게 제 1 액션 프레임에 응답하여 제 2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지연된 스위칭 모드(delayed switching mode) 및 지연된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연장 시간(extension time)을 포함하며, 지연된 스위칭 모드 및 연장 시간은 통신 디바이스에게 연장 시간의 지연 후에 제 2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5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영구 스위칭 모드를 포함하며, 영구 스위칭 모드는 통신 디바이스에게 제 2 채널 및 제 1 채널을 계속 청취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통신 디바이스가 또한 다음의 동작: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 - 여기서 제 2 액션 프레임은 통신 디바이스에게 제 1 채널로 다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 과, 제 2 액션 프레임에 기초하여 제 1 채널로 스위칭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 5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 및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스위칭 지속기간을 포함하고,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 및 스위칭 지속기간은 통신 디바이스에게 제 2 채널로 스위칭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 스위칭 지속기간 후에 다시 제 1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5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DBAC 슬롯 할당 비율 및 스케줄링 주기성을 포함하고, DBAC 슬롯 할당 비율은 하나의 스케줄링 주기성에서 통신 디바이스가 제 1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 대 통신 디바이스가 제 2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의 비율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스케줄링 주기성은 연속적인 제 1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시간과 제 2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시간의 합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통신 디바이스가 또한 다음의 동작: DBAC 슬롯 할당 비율 및 스케줄링 주기성에 기초하여 제 1 채널 및 제 2 채널을 청취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 5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2 채널의 채널 정보는 제 2 채널의 채널 식별자 및 주파수 대역폭을 포함하고, 주파수 대역폭은 20 M 미만이다.
제 5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액션 프레임은 통신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다.
제 5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통신 디바이스가 또한 다음의 동작: 통신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키에 기초하여 제 1 액션 프레임을 파싱하여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과, 확인응답(ACK)을 제 1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하며, 여기서 ACK는 제 1 액션 프레임에 대한 응답이고, ACK는 통신 디바이스가 파싱을 통해 제 1 액션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획득했다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6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다른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통신 디바이스가 다음의 동작: 제 1 액션 프레임을 제 1 채널을 통해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 - 여기서 제 1 액션 프레임은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반송하고,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다음의 것: 제 2 채널의 채널 정보, 스위칭 모드 정보 및 이중 대역 적응 동시(DBAC) 모드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함 - 과,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 2 채널로 스위칭하는 것과, 제 2 채널을 통해 제 2 디바이스와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즉시 스위칭 모드를 포함하며, 즉시 스위칭 모드는 제 2 디바이스에게 제 1 액션 프레임에 응답하여 제 2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지연된 스위칭 모드(delayed switching mode) 및 지연된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연장 시간(extension time)을 포함하며, 지연된 스위칭 모드 및 연장 시간은 제 2 디바이스에게 연장 시간의 지연 후에 제 2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영구 스위칭 모드를 포함하며, 영구 스위칭 모드는 제 2 디바이스에게 제 2 채널 및 제 1 채널을 계속 청취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통신 디바이스가 또한 다음의 동작: 제 2 액션 프레임을 제 2 채널을 통해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하며, 여기서 제 2 액션 프레임은 제 2 디바이스에게 제 1 채널로 다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fixed-duration switching mode) 및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스위칭 지속기간(switching duration)을 포함하며,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 및 스위칭 지속기간은 제 2 디바이스에게 제 2 채널로 스위칭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 스위칭 지속기간 후에 다시 제 1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DBAC 슬롯 할당 비율(DBAC slot allocation ratio) 및 스케줄링 주기성(scheduling periodicity)을 포함하고, DBAC 슬롯 할당 비율은 하나의 스케줄링 주기성에서 제 2 디바이스가 제 1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 대 제 2 디바이스가 제 2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의 비율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스케줄링 주기성은 연속적인 제 1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시간과 제 2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시간의 합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2 채널의 채널 정보는 제 2 채널의 채널 식별자 및 주파수 대역폭을 포함하고, 주파수 대역폭은 20 M 미만이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통신 디바이스가 구체적으로 다음의 동작: 제 1 액션 프레임을 제 1 채널 상에서 브로드캐스트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제 2 채널의 채널 식별자 및 주파수 대역폭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통신 디바이스가 또한 다음의 동작: 제 1 디바이스가 현재 위치하는 환경에서 사용된 통신 채널을 결정하는 것과, 사용된 통신 채널에 기초하여 제 2 채널의 채널 식별자 및 주파수 대역폭을 결정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하며, 여기서 제 2 채널과 사용된 통신 채널 사이에는 중첩하는 주파수 대역이 없거나, 또는 제 2 채널은 사용된 통신 채널에서 가장 유휴한 채널이거나, 또는 제 2 채널은 사용된 통신 채널에서 통신 품질이 가장 좋은 채널이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스위칭 모드 정보 및 DBAC 모드 정보를 포함하고, 스위칭 모드 정보는 제 2 디바이스가 제 2 채널로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방식 및/또는 스위칭 지속기간을 포함하고, DBAC 모드 정보는 DBAC 슬롯 할당 비율 및/또는 스케줄링 주기성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통신 디바이스가 또한 다음의 동작: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의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스위칭 모드 정보 및 DBAC 모드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키를 미리 저장하고, 제 1 액션 프레임은 제 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통신 디바이스가 또한 다음의 동작: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ACK를 수신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하며, 여기서 ACK는 제 1 액션 프레임에 대한 응답이고, ACK는 제 2 디바이스가 파싱을 통해 제 1 액션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획득했다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통신 디바이스가 구체적으로 다음의 동작: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 및 ACK에 기초하여 제 2 채널로 스위치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통신 디바이스가 또한 다음의 동작: 제 1 디바이스가 현재 위치하는 환경에서 사용된 통신 채널을 결정하는 것과, 제 3 채널이 있다고 결정할 때, 제 3 채널을 통해 셀프-CTS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하며, 여기서 제 3 채널은 사용된 통신 채널 중 하나이고, 제 3 채널과 제 2 채널 사이에는 중첩하는 주파수 대역이 있고, 셀프-CTS 패킷은 셀프-CTS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가 셀프-CTS 패킷에 의해 선언된 채널 점유 시간 내에서 묵음 상태로 남아 있을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통신 디바이스가 또한 다음의 동작: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가 높은 우선순위 서비스라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 6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성공적으로 액세스된 AP의 이력 정보를 저장하며, 제 3 채널을 제공하는 AP에 관한 정보는 이력 정보에 포함된다.
제 7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통신 디바이스가 다음의 동작: 제 1 디바이스가 현재 위치하는 환경에서 사용된 통신 채널을 결정하는 것과, 제 3 채널이 있다고 결정할 때, 제 3 채널을 통해 셀프-CTS 패킷을 송신하며, 여기서 제 3 채널은 사용된 통신 채널 중 하나이고, 제 3 채널과 제 2 채널 사이에는 중첩하는 주파수 대역이 있고, 제 2 채널은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채널이고, 셀프-CTS 패킷은 셀프-CTS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가 셀프-CTS 패킷에 의해 선언된 채널 점유 시간 내에서 묵음 상태로 남아 있을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7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통신 디바이스가 또한 다음의 동작: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가 높은 우선순위 서비스라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 7 양태와 관련하여,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성공적으로 액세스되었던 AP의 이력 정보를 저장하며, 제 3 채널을 제공하는 AP에 관한 정보는 이력 정보에 포함된다.
제 7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칩을 제공한다. 칩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방법,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또는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고, 컴퓨터 명령어가 통신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통신 디바이스는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방법,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또는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 10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명령어가 통신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통신 디바이스는 제 2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방법, 제 3 양태 또는 제 3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방법, 또는 제 4 양태 또는 제 4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수행해야 하는 두 디바이스 중 하나는 제 1 액션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다른 디바이스에게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통지할 수 있고, 그런 다음 두 디바이스는 모두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 의해 표시된 동일한 채널로 스위칭하여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수행한다. 솔루션에서, 두 디바이스는 모두 채널 스캐닝을 복수 회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설정하는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또는 통상의 기술에서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음은 실시예 또는 통상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Wi-Fi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의 소프트웨어 구조의 블록도이다.
도 2c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액션 프레임의 프레임 포맷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벤더 특정 필드(vendor specific field)의 프레임 포맷의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램프에 의해 프레임을 송신/수신하는 일부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2개 채널을 청취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Wi-Fi P2P 연결을 설정하는 프로세스에서 프레임을 송신/수신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분할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통신 시스템(20)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셀프-CTS 패킷을 송신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상세히 명료하게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는 "또는"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B는 A 또는 B를 나타낼 수 있다.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단지 연관된 객체를 설명하기 위한 연관 관계를 서술할뿐이며, 세 개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과 같은 세 개의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A만 존재, A와 B 둘 다 존재, B만 존재.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복수의"는 둘 이상을 의미한다.
다음의 "제 1" 및 "제 2"라는 용어는 단지 설명 목적으로 의도된 것일뿐이며, 상대적 중요성의 표시나 암시 또는 시사된 기술적 특징의 수량의 암시적 표시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제 1" 또는 "제 2"에 의해 제한되는 특징은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복수의"는 둘 이상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운영 체제와 사용자 간의 상호 작용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중간의 인터페이스이며, 정보의 내부 형태와 사용자에게 수용 가능한 형태 간의 변환을 구현한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자바(Java) 또는 확장 가능 마크업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와 같은 특정 컴퓨터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이다. 인터페이스 소스 코드는 파싱되고 단말 디바이스(300)에서 렌더링되며, 최종적으로는 사용자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콘텐츠, 예를 들면, 이미지, 텍스트 또는 버튼과 같은 콘트롤로서 제시된다. 콘트롤(control)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본 요소이다. 일반적인 콘트롤은 버튼(button), 위젯(widget), 도구 모음(toolbar), 메뉴 모음(menu bar), 텍스트 박스(text box), 스크롤바(scrollbar), 픽처 및 텍스트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에서 콘트롤의 속성 및 콘텐츠는 태그 또는 노드를 사용하여 정의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콘트롤은 XML에서 <Textview>, <ImgView>, 또는 <VideoView>와 같은 노드를 사용하여 정의된다. 하나의 노드는 인터페이스의 하나의 콘트롤 또는 속성에 대응한다. 파싱되고 렌더링된 후에, 노드는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콘텐츠로서 제시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hybrid application)과 같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웹 페이지를 더 포함한다. 페이지라고도 지칭되는 웹 페이지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에 내장된 특수한 콘트롤로 이해될 수 있다. 웹 페이지는 특정 컴퓨터 언어, 예를 들면,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캐스케이딩 스타일 시트(cascading style sheet, CSS) 또는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JS)로 작성된 소스 코드이다. 웹 페이지 소스 코드는 브라우저 또는 브라우저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 웹 페이지 디스플레이 컴포넌트에 의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콘텐츠로서 로딩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웹 페이지에 포함된 특정 콘텐츠도 또한 웹 페이지 소스 코드의 태그 또는 노드를 사용하여 정의된다. 예를 들어, 웹 페이지의 요소 및 속성은 HTML에서 <p>, <img>, <video> 또는 <canvas>를 사용하여 정의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보통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의 형태로 표현되며, 컴퓨터 동작과 관련되고 그래픽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자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 윈도우 또는 콘트롤과 같은 인터페이스 요소일 수 있다.
Wi-Fi 피어 투 피어(Wi-Fi Peer-to-Peer, Wi-Fi P2P)는 Wi-Fi 기술의 분야에서 Wi-Fi 디바이스 간의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지원하는 기술이다. Wi-Fi P2P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Wi-Fi 디바이스 간의 통신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없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P2P 기술은 이동 전화로부터 스마트 텔레비전으로의 미러링 프로젝션(mirroring projection), 이동 전화 간의 파일 전송 또는 이동 전화에 의한 스마트 가전 제품의 제어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에서, Wi-Fi P2P 연결을 구현하기 위해 Wi-Fi 다이렉트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Wi-Fi 다이렉트 기술에서, 통신을 설정해야 하는 두 디바이스는 동시에 채널 스캐닝을 수행한다(예를 들어, 채널 1/6/11을 스캔한다). 디바이스 발견 프로세스에서, 두 디바이스는 먼저 스캔(Scan) 단계에 들어간다. 이 단계에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모든 주파수 대역 상에서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 프레임을 송신한다. 스캔 단계가 완료된 후에, 디바이스는 찾기(Find) 단계로 들어간다. 이 단계에서, 디바이스는 청취(Listen) 상태와 검색(Search)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한다. 디바이스가 찾기 단계에서 검색 상태에 있을 때, 디바이스는 채널 1, 6, 11 상에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송신한다. 디바이스가 찾기 단계에서 청취 상태에 있을 때, 디바이스는 채널 1, 6 및 11 상에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다. 두 디바이스가 동일 채널 상에 있을 때, 디바이스 중 하나에 의해 송신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은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어 디바이스 발견을 구현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채널 스캐닝은 보통 오랜 시간이 걸린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수행해야 하는 두 디바이스 중 하나는 액션(Action)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다른 디바이스에게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통지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두 디바이스는 모두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 의해 표시된 동일한 채널로 스위칭하여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수행한다. 솔루션에서, 두 디바이스는 모두 채널 스캐닝을 복수 회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설정하는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두 디바이스가 Wi-Fi P2P 연결을 설정한다는 것은 두 디바이스가 모두 서비스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동일한 채널로 스위칭하여, 피어 엔티티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구현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두 디바이스가 Wi-Fi 다이렉트 기술을 사용하여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Wi-Fi 통신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Wi-Fi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Wi-Fi 통신 시스템(10)은 단말 디바이스(100), AP 디바이스(200), 홈 디바이스(300) 및 홈 디바이스(400)를 포함할 수 있다.
AP 디바이스(200)는 Wi-Fi 디바이스에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이다. 도 1에서는 무선 라우터가 예로 사용된다. AP 디바이스(200)는 모든 Wi-Fi 디바이스(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100), 홈 디바이스(300) 및 홈 디바이스(400))를 함께 연결하여 이더넷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네트워크 커버리지의 목적을 달성한다.
단말 디바이스(100)는 이동 단말,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또는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이동 단말이 예로 사용된다. 홈 디바이스(300) 및 홈 디바이스(400)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이다. 도 1에서, 홈 디바이스(300)가 스마트 램프이고, 홈 디바이스(400)가 스마트 텔레비전인 예가 사용된다. Wi-Fi 통신 시스템은 다른 홈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마트 냉장고, 스마트 스피커 또는 공기 청정기와 같은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가 있을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100), 홈 디바이스(300) 및 홈 디바이스(400)는 동일한 AP 디바이스(200)에 의해 제공되는 Wi-Fi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응용 시나리오는 전기전자기술자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1b/g/n/ax 프로토콜 표준에 기초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IEEE802.11b/g/n/b/g/n/ax 프로토콜 표준에 기초한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네트워크, IEEE 802.11b/g/n/ax 프로토콜 표준에 기초한 차량 대 사물(Vehicle-to-Everything)(Vehicle-to-X, V2X) 네트워크, IEEE 802.11b/g/n/ax 프로토콜 표준에 기초한 다른 네트워크, 802.11ax에 기초한 차세대 WLAN 네트워크, IEEE 802.11ax 차세대 프로토콜 표준에 기초한 IoT 네트워크, IEEE802.11ax 차세대 프로토콜 표준에 기초한 차량 대 사물 네트워크, IEEE802.11ax 차세대 프로토콜 표준에 기초한 다른 네트워크, 또는 미래 프로토콜 표준에 기초한 다른 WLAN 네트워크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100)는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자 디바이스(10)를 설명한다. 도 2a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전자 디바이스(10)는 프로세서(110),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120), 내부 메모리(121),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인터페이스(130), 충전 관리 모듈(140), 전력 관리 모듈(141), 배터리(142), 안테나 1, 안테나 2, 이동 통신 모듈(150), 무선 통신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스피커(170A), 수신기(170B), 마이크로폰(170C), 헤드셋 잭(170D), 센서 모듈(180), 버튼(190), 모터(191), 표시기(192), 카메라(193), 디스플레이(194) 및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 인터페이스(19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80)은 압력 센서(180A), 자이로 센서(180B), 기압 센서(180C), 자기 센서(180D), 가속도 센서(180E), 거리 센서(180F), 광학 근접 센서(180G), 지문 센서(180H), 온도 센서(180J), 터치 센서(180K), 주변광 센서(180L) 및 골전도 센서(180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10)는 단지 예일 뿐이며, 전자 디바이스(10)는 도 2a에 도시된 것보다 많거나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 구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면에 도시된 컴포넌트는 하나 이상의 신호 프로세싱 및/또는 주문형 집적 회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포함하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모뎀 프로세서,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 ISP), 제어기, 메모리, 비디오 코덱,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및/또는 신경망 프로세싱 유닛(neural network processing unit, NPU)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프로세싱 유닛은 독립적인 컴포넌트일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제어기는 전자 디바이스(10)의 신경 센터(nerve center) 및 커맨드 센터(command center)일 수 있다. 제어기는 명령어 연산 코드 및 시간 시퀀스 신호에 기초한 연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명령어 페치 및 명령어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가 또한 프로세서(1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 내의 메모리는 캐시 메모리이다. 메모리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사용되었거나 또는 주기적으로 사용되는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다시 사용해야 하면,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직접 불러올 수 있다. 이것은 반복적인 액세스를 피하고 프로세서(110)의 대기 시간을 줄여, 시스템 효율성을 개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인터-집적 회로(inter-integrated circuit, I2C) 인터페이스, 인터-집적 회로 사운드(inter-integrated circuit sound, I2S) 인터페이스, 펄스 코드 변조(pulse code modulation, PCM) 인터페이스, 범용 비동기 송수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 인터페이스, 이동 산업 프로세서 인터페이스(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범용 입출력(general-purpose input/output, GPIO) 인터페이스,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인터페이스, 및/또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2C 인터페이스는 양방향 동기화 직렬 버스이며, 직렬 데이터 라인(serial data line, SDA) 및 직렬 클럭 라인(serial clock line, SCL)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I2C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 센서(180K)에 연결되어, 프로세서(110)가 I2C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터치 센서(180K)와 통신하여 전자 디바이스(10)의 터치 기능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I2S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I2S 버스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I2S 버스를 통해 오디오 모듈(170)에 연결되어, 프로세서(110)와 오디오 모듈(170) 간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PCM 인터페이스 또한 오디오 통신을 수행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링하고, 양자화하고, 인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모듈(170)은 PCM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통신 모듈(160)에 연결될 수 있다.
UART 인터페이스는 범용 직렬 데이터 버스이며, 비동기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버스는 양방향 통신 버스일 수 있다. 버스는 직렬 통신과 병렬 통신 사이에서 전송될 데이터를 변환한다.
MIPI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110)를 디스플레이(194) 또는 카메라(193)와 같은 주변 컴포넌트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IPI 인터페이스는 카메라 직렬 인터페이스(camera serial interface, CSI) 및 디스플레이 직렬 인터페이스(display serial interface, DSI) 등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0)는 DSI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194)와 통신하여, 전자 디바이스(10)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한다.
GPIO 인터페이스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GPIO 인터페이스는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GPIO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110)를 카메라(193), 디스플레이(194), 무선 통신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또는 센서 모듈(180) 등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SB 인터페이스(130)는 USB 표준 사양을 따르는 인터페이스이며, 구체적으로 미니 USB 인터페이스, 마이크로 USB 인터페이스 또는 USB 타입-C 인터페이스 등일 수 있다. USB 인터페이스(130)는 전자 디바이스(1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전자 디바이스(10)와 주변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 도시된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 연결 관계는 단지 설명을 위한 예일 뿐이지, 전자 디바이스(10)의 구조에 제한을 두는 것으로 여기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방식과 상이한 인터페이스 연결 방식 또는 복수의 인터페이스 연결 방식의 조합을 대안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충전 관리 모듈(140)은 충전기로부터 충전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충전기는 무선 충전기 또는 유선 충전기일 수 있다. 충전 관리 모듈(140)은 또한 배터리(142)를 충전하면서 전력 관리 모듈(141)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41)은 배터리(142), 충전 관리 모듈(140) 및 프로세서(110)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전력 관리 모듈(141)은 배터리(142) 및/또는 충전 관리 모듈(140)의 입력을 수신하여, 프로세서(110), 내부 메모리(121), 외부 메모리, 디스플레이(194), 카메라(193) 및 무선 통신 모듈(160) 등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자 디바이스(10)의 무선 통신 기능은 안테나 1, 안테나 2, 이동 통신 모듈(150), 무선 통신 모듈(160), 모뎀 프로세서 및 베이스밴드 프로세서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안테나 1 및 안테나 2는 전자기파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디바이스(10)의 각각의 안테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대역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활용을 높이기 위해, 상이한 안테나가 또한 다중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1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다이버시티 안테나로서 다중화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안테나는 튜닝 스위치와 합동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50)은 전자 디바이스(10)에 적용되고 2G/3G/4G/5G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50)은 적어도 하나의 필터, 스위치, 전력 증폭기 및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50)은 안테나 1을 통해 전자기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기파에 대해 필터링 및 증폭과 같은 처리를 수행하며, 전자기파를 복조를 위해 모뎀 프로세서에 전송한다. 이동 통신 모듈(150)은 또한 모뎀 프로세서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증폭하고, 안테나 1을 통한 방사를 위해 신호를 전자기파로 변환할 수 있다.
모뎀 프로세서는 변조기 및 복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변조기는 송신될 저주파 베이스밴드 신호를 중간 고주파 신호로 변조하도록 구성된다. 복조기는 수신된 전자기파 신호를 저주파 베이스밴드 신호로 복조하도록 구성된다. 그런 다음 복조기는 복조를 통해 획득된 저주파 베이스밴드 신호를 처리를 위해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로 전송한다. 저주파 베이스밴드 신호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다음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 전송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오디오 디바이스(스피커(170A) 또는 수신기(170B) 등으로 제한되지 않음)를 통해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194)를 통해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한다.
무선 통신 모듈(160)은 전자 디바이스(10)에 적용되고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예를 들어, 무선 충실도(wireless fidelity,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BT), 글로벌 항법 위성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주파수 변조(frequency modulation, FM), 근거리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및 적외선(infrared, IR) 기술 등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에서, 안테나 1은 이동 통신 모듈(150)에 연결되고 안테나 2는 무선 통신 모듈(160)에 연결되어, 전자 디바이스(10)가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및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통신 기술은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일반 패킷 라디오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분할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ime-divisio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SCDMA),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BT, GNSS, WLAN, NFC, FM 및/또는 IR 기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는 GPU, 디스플레이(194)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한다. GPU는 이미지 처리를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이며, 디스플레이(194)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연결한다. GPU는 수학적 및 기하학적 계산을 수행하고 이미지를 렌더링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10)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실행하여 디스플레이 정보를 생성 또는 변경하는 하나 이상의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94)는 이미지 및 비디오 등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194)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능동 매트릭스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플렉서블 발광 다이오드(flexible light emitting diode, FLED), 미니 LED, 마이크로 LED, 마이크로 OLED, 또는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QLED)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는 하나 또는 N개의 디스플레이(19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전자 디바이스(10)는 ISP, 카메라(193), 비디오 코덱, GPU, 디스플레이(194),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등을 통해 촬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ISP는 카메라(193)에 의해 피드백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촬영 중에, 셔터가 눌려지고, 광이 렌즈를 통해 카메라의 감광성 요소에 전달된다. 광학 신호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며, 카메라의 감광성 요소가 처리를 위해 전기 신호를 ISP에 전달하여, 전기 신호를 가시적 이미지로 변환한다.
카메라(193)는 정적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캡처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는 하나 또는 N개의 카메라(19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디지털 이미지 신호 이외에 다른 디지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가 주파수를 선택할 때,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는 주파수 에너지에 대해 푸리에 변환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비디오 코덱은 디지털 비디오를 압축하거나 압축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디바이스(10)는 하나 이상의 형태의 비디오 코덱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자 디바이스(10)는 비디오를 복수의 코딩 포맷, 예를 들어, 동화상 전문가 그룹(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1, MPEG-2, MPEG-3, 및 MPEG-4으로 재생하거나 녹화할 수 있다.
NPU는 신경망(neural-network, NN) 컴퓨팅 프로세서이다. NPU는 이미지 인식, 얼굴 인식, 음성 인식 및 텍스트 이해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10)의 지능적 인식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120)는 외부 메모리 카드, 예를 들어, 마이크로 SD 카드에 연결되어, 전자 디바이스(10)의 저장 용량을 확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메모리 카드는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프로세서(110)와 통신하여 데이터 저장 기능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음악 및 비디오와 같은 파일은 외부 저장 카드에 저장된다.
내부 메모리(121)는 컴퓨터 실행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내부 메모리(121)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전자 디바이스(10)의 다양한 기능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내부 메모리(121)는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 체제 및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를 들어, 사운드 재생 기능 또는 이미지 재생 기능)에 의해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은 전자 디바이스(10)의 사용 중에 생성되는 데이터(이를테면 오디오 데이터, 전화번호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는 오디오 모듈(170), 스피커(170A), 수신기(170B), 마이크로폰(170C), 헤드셋 잭(170D),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등을 통해 음악 재생 및 녹음과 같은 오디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디지털 오디오 정보를 출력을 위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거나, 또한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을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오디오 모듈(170)은 또한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고 디코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라우드스피커"라고도 하는 스피커(170A)는 오디오 전기 신호를 사운드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디바이스(10)는 스피커(170A)를 통해 음악을 청취하거나 또는 핸즈프리 통화를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어피스(earpiece)"라고도 하는 수신기(170B)는 오디오 전기 신호를 사운드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디바이스(10)를 이용함으로써 전화를 받거나 또는 음성 정보가 수신될 때, 수신기(170B)는 사람의 귀에 가까이 대어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마이크(mike)" 또는 "마이크(mic)"라고도 하는 마이크로폰(170C)은 사운드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전화를 걸거나 음성 메시지를 송신할 때, 사용자는 사용자의 입을 통해 마이크로폰(170C)에 가까이 소리를 내어, 사운드 신호를 마이크로폰(170C)에 입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170C)이 전자 디바이스(10)에 배치될 수 있다.
헤드셋 잭(170D)은 유선 헤드셋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헤드셋 잭(170D)은 USB 인터페이스(130)일 수 있거나, 또는 3.5 mm 개방형 이동 단말 플랫폼(open mobile terminal platform, OMTP) 표준 인터페이스 또는 미국 셀룰러 통신 산업 협회(cellular telecommunications industry association of the USA, CTIA) 표준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압력 센서(180A)는 압력 신호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압력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력 센서(180A)는 디스플레이(19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80B)는 전자 디바이스(10)의 동작 자세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 개의 축(즉, x, y, z 축)을 중심으로 전자 디바이스(10)의 각속도는 자이로스코프 센서(180B)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80B)는 촬영 동안 흔들림 보정(image stabilization)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80B)는 또한 내비게이션 시나리오 및 체성 게임(somatic game) 시나리오에서 사용될 수 있다.
기압 센서(180C)는 기압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는 기압 센서(180C)에 의해 측정된 기압 값에 기초하여 고도를 계산하여, 위치 설정 및 내비게이션을 지원한다.
자기 센서(180D)는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한다. 전자 디바이스(10)는 자기 센서(180D)를 통해 플립 커버의 개방과 폐쇄를 검출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80E)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보통 3축 상에서) 다양한 방향의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으며, 전자 디바이스(100)가 정지해 있을 때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80E)는 또한 전자 디바이스의 자세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테면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만보계에서 사용된다.
거리 센서(180F)는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디바이스(10)는 적외선 방식 또는 레이저 방식으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광학 근접 센서(180G)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 및 광학 검출기, 예를 들면 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함으로써 적외선을 방출한다. 전자 디바이스(10)는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함으로써 인근의 물체로부터 적외선 반사광을 검출한다.
주변광 센서(180L)는 주변광 밝기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디바이스(10)는 감지된 주변광 밝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94)의 밝기를 적응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지문 센서(180H)는 지문을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디바이스(10)는 수집된 지문의 특징을 이용함으로써 지문 기반 잠금해제, 애플리케이션 잠금 접근, 지문 기반 이미지 촬영 및 지문 기반 전화 받기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온도 센서(180J)는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는 온도 센서(180J)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기초하여 온도 처리 정책을 실행한다.
터치 센서(180K)는 "터치 패널"이라고도 한다. 터치 센서(180K)는 디스플레이(194)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터치 센서(180K)와 디스플레이(194)는 터치 스크린을 구성한다. 터치 센서(180K)는 터치 센서에서 또는 그 가까이에서 수행되는 터치 동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터치 센서는 검출된 터치 동작을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전달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이벤트의 유형은 탭 이벤트, 더블-탭 이벤트, 길게 누르기(touch-and-hold) 이벤트, 누르기(가압 터치(force touch)) 이벤트, 또는 드래그 이벤트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94)를 통해 터치 동작과 관련된 시각적 출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180K)는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194)의 위치와 상이한 위치에서 전자 디바이스(10)의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골전도 센서(180M)는 진동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골전도 센서(180M)는 사람의 성대 부분의 진동 뼈의 진동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골전도 센서(180M)는 또한 사람의 맥박과 접촉하여 혈압 박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버튼(190)은 전원 버튼 및 볼륨 버튼 등을 포함한다. 버튼(190)은 기계식 버튼일 수 있거나, 또는 터치 버튼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버튼 입력을 수신하고, 전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버튼 신호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모터(191)는 진동 프롬프트를 생성할 수 있다. 모터(191)는 착신 호 진동 프롬프트 및 터치 진동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촬영 및 오디오 재생) 상에서 수행되는 터치 동작은 상이한 진동 피드백 효과에 대응할 수 있다.
표시기(192)는 표시등(indicator light)일 수 있고, 충전 상태 및 전력 변동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메시지, 부재중 전화 및 알림 등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IM 카드 인터페이스(195)는 SIM 카드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SIM 카드는 SIM 카드 인터페이스(195)에 삽입되거나 또는 SIM 카드 인터페이스(195)로부터 분리되어, 전자 디바이스(10)와의 접촉 또는 그로부터의 분리를 구현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는 하나 또는 N개의 카드 인터페이스(193)를 지원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SIM 카드 인터페이스(195)는 나노 SIM 카드, 마이크로 SIM 카드, 및 SIM 카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는 eSIM, 즉, 임베디드 SIM 카드를 사용한다. eSIM 카드는 전자 디바이스(10)에 내장될 수 있으며, 전자 디바이스(10)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전자 디바이스(10)의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계층형 아키텍처, 이벤트 기반(event-driven) 아키텍처, 마이크로커널 아키텍처,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또는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계층형 아키텍처를 갖는 안드로이드 시스템은 전자 디바이스(10)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서술하는 예로서 사용된다.
도 2b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10)의 소프트웨어 구조의 블록도이다.
계층형 아키텍처에서, 소프트웨어는 여러 계층으로 나누어지며, 각각의 계층에는 명확한 역할과 태스크가 있다. 계층은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드로이드 시스템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애플리케이션 계층,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 안드로이드 런타임(Android runtime) 및 시스템 라이브러리, 및 커널 계층의 4개의 계층으로 나누어진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일련의 애플리케이션 패키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패키지는 카메라, 갤러리, 캘린더, 전화, 지도, 내비게이션, WLAN, 블루투스, 음악, 비디오 및 메시지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및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를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은 일부 미리 정의된 기능을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은 윈도우 관리자, 콘텐츠 제공자, 뷰 시스템, 전화 관리자, 자원 관리자, 및 알림 관리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관리자는 윈도우 프로그램을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윈도우 관리자는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획득하고, 상태 표시줄(status bar)이 있는지를 결정하고, 화면 잠금을 수행하며, 스크린샷을 찍을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는 데이터를 저장 및 획득하여, 데이터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데이터는 비디오, 이미지, 오디오, 발신 및 수신 통화, 검색 이력과 북마크, 및 전화번호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뷰 시스템은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콘트롤 및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컨트롤과 같은 시각적 콘트롤을 포함한다. 뷰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알림 아이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텍스트 디스플레이 뷰 및 이미지 디스플레이 뷰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화 관리자는 전자 디바이스(10)의 통신 기능, 예를 들면, (통화 응답 또는 거절을 포함하는) 통화 상태의 관리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자원 관리자는 로컬화된 문자열, 아이콘, 사진, 레이아웃 파일, 비디오 파일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다양한 자원을 제공한다.
알림 관리자는 애플리케이션이 알림 정보를 상태 표시줄에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며, 알림 유형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정보는 사용자 상호작용 없이 짧은 일시 중지 후에 자동으로 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관리자는 다운로드 완료를 알리고 메시지 알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알림 관리자는 대안적으로 시스템의 상단 상태 표시줄에 그래프 또는 스크롤 바 텍스트 형태로 나타나는 알림, 예를 들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알림, 또는 화면상에서 대화창의 형태로 나타나는 알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정보는 상태 표시줄에서 프롬프트되거나, 프롬프트 톤이 발생되거나, 스마트 폰이 진동하거나, 또는 표시등이 깜박인다.
안드로이드 런타임은 커널 라이브러리 및 가상 머신을 포함한다. 안드로이드 런타임은 안드로이드 시스템의 스케줄링 및 관리를 담당한다.
커널 라이브러리는 두 부분: 자바 언어로 호출해야 하는 함수 및 안드로이드의 코어 라이브러리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및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은 가상 머신에서 실행된다. 가상 머신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및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에 있는 자바 파일을 바이너리 파일로서 실행한다. 가상 머신은 객체 수명주기 관리, 스택 관리, 스레드 관리, 보안 및 예외 관리, 가비지 수집(garbage collection)과 같은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 라이브러리는 복수의 기능 모듈, 예를 들어, 표면 관리자(surface manager), 미디어 라이브러리(Media Library), 3차원(three-dimensional)(3D) 그래픽 프로세싱 라이브러리(예를 들어, OpenGL ES), 및 2차원(two-dimensional)(2D) 그래픽 엔진(예를 들어, SGL)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 관리자는 디스플레이 서브시스템을 관리하고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 2D 및 3D 계층의 융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미디어 라이브러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복수의 오디오와 비디오 포맷 및 정적 이미지 파일의 재생 및 기록을 지원한다. 미디어 라이브러리는 복수의 오디오 및 비디오 인코딩 포맷, 예를 들면, MPEG-4, G.264, MP3, AAC, AMR, JPG 및 PNG를 지원할 수 있다.
3차원 그래픽 처리 라이브러리는 3차원 그래픽 드로잉, 이미지 렌더링, 합성 및 계층 처리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2D 그래픽 엔진은 2D 드로잉을 위한 드로잉 엔진이다.
커널 계층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의 계층이다. 커널 계층은 적어도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및 센서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본 애플리케이션의 이 실시예에서, 홈 디바이스(300)(또는 홈 디바이스(400))는 전자 디바이스(예로서 전자 디바이스(20)가 사용됨)일 수 있다.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자 디바이스(20)를 설명한다. 도 2c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20)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20)는 프로세서(301), 메모리(302), 무선 통신 모듈(303) 및 전원 공급 장치(30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포넌트는 버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301)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서(301)는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실행하여, 전자 디바이스(20)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특정 구현 동안, 프로세서(301)는 주로 제어기, 산출 유닛 및 레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주로 명령어를 디코딩하고 명령어에 대응하는 연산을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산술 유닛은 주로 고정 소수점 또는 부동 소수점 산술 연산, 시프트 연산 및 로직 연산 등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어드레스 연산 및 어드레스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레지스터는 주로 명령어 실행 중에 임시로 저장되는 레지스터 연산량 및 중간 연산 결과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특정 구현 동안, 프로세서(301)의 하드웨어 아키텍처는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아키텍처, MIPS 아키텍처, ARM 아키텍처, 또는 NP 아키텍처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01)는 무선 통신 프로세싱 모듈(303)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파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신호는 전자 디바이스(10)에 의해 송신된 액션 프레임일 수 있다. 프로세서(301)는 액션 프레임의 파싱 결과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처리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션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전자 디바이스(20)는 확인응답(ACK)을 전자 디바이스(10)로 송신하고, 또는 전자 디바이스(20)는 액션 프레임의 표시에 따라 채널을 스위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01)는 또한 무선 통신 프로세싱 모듈(303)에 의해 송신된 신호,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20)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10)로 송신된 ACK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02)는 프로세서(301)에 연결되며,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복수의 명령어 그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현 동안, 메모리(302)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비휘발성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02)는 또한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통신 프로그램은 전자 디바이스(10)와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프로세싱 모듈(303)은 Wi-Fi 통신 프로세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303)은 전자 디바이스(20)에 WLAN 액세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303)은 또한 전자 디바이스(20)와 전자 디바이스(10) 간의 근거리 데이터 교환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304)은 전자 디바이스(20)에 포함된 각각의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 장치(304)은 배터리, 예를 들어 재충전 가능 배터리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구조는 전자 디바이스(20)에 대해 특정한 제한을 두는 것으로 여기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20)는 도 2c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가질 수 있거나, 둘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컴포넌트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에서 설명된 Wi-Fi 통신 시스템(10), 전자 디바이스(10) 및 전자 디바이스(20)에 기초하여, 다음은 다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Wi-Fi P2P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0)는 단말 디바이스(100)일 수 있거나, 전자 디바이스(20)는 홈 디바이스(300)(스마트 램프)일 수 있거나, 또는 전자 디바이스(20)는 홈 디바이스(400)(스마트 텔레비전)일 수 있다. 이 예에서, 단말 디바이스(100), 홈 디바이스(300)(스마트 램프) 및 홈 디바이스(400)(스마트 텔레비전)는 모두 AP 디바이스(200)에 의해 제공되는 Wi-Fi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AP 디바이스(200)는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1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단말 디바이스(100), 스마트 램프 및 스마트 텔레비전은 모두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1 상에서 청취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00)는 스마트 램프 및 스마트 텔레비전을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는 스마트 램프의 제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콘트롤(301), 콘트롤(302) 및 콘트롤(303)을 포함한다. 콘트롤(301)은 스마트 램프의 온/오프 상태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콘트롤(302)은 스마트 램프의 디스플레이 색상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콘트롤(303)은 스마트 램프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콘트롤(303) 상에서 동작(예를 들어, 탭 동작 또는 더블 탭 동작)을 수행하여 스마트 램프의 색상을 스위칭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Wi-Fi P2P 서비스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와 스마트 램프 사이에 Wi-Fi P2P 연결을 설정하여, 스마트 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송신할 수 있다.
다음은 단말 디바이스와 스마트 램프 간의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101): 단말 디바이스는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1 상에서 제 1 액션 프레임을 송신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액션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송신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액션 프레임은 IEEE 802.11 프로토콜에 명시된 관리 프레임이다. 관리 프레임은 관리 프레임을 수신하는 디바이스를 트리거하여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액션 프레임은 채널 상에서 송신 요청/송신 허락(Request To Send/Clear To Send, RTS/CTS)을 기다리지 않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에서 모든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직접 송신 및 수신될 수 있으므로, Wi-Fi P2P 연결을 설정하는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액션 프레임의 프레임 포맷의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션 프레임은 복수의 필드: 프레임 제어(Frame Control) 필드, 지속기간(Duration) 필드, 3개의 어드레스 필드(DA, SA 및 BSS ID), 시퀀스 제어(sequence control)(Seq-ctl) 필드, 카테고리(Category) 필드, 액션 세부정보(Action details) 필드(액션 서브필드 및 다른 요소(Element)를 포함함, 여기서 요소의 바이트 수량은 가변적이며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음), 및 프레임 체크 시퀀스(frame check sequence, FCS) 필드를 포함한다. 프레임 제어 필드는 프레임 타입(type)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타입 서브필드가 00이면, 프레임이 관리 프레임이라는 것을 표시한다; 타입 서브필드가 01이면. 프레임이 제어 프레임이라는 것을 표시한다; 또는 타입 서브필드가 10이면, 프레임이 데이터 프레임이라는 것을 표시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액션 프레임은 관리 프레임이다. 카테고리(Category) 필드는 액션 프레임의 카테고리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드가 0이면, 액션 프레임이 스펙트럼 관리(spectrum management) 카테고리라는 것을 표시한다; 필드가 1이면, 액션 프레임이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QoS) 카테고리라는 것을 표시한다; 또는 필드가 3이면, 액션 프레임이 블록 확인응답(block acknowledgement)(Block ACK) 카테고리라는 것을 표시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카테고리 필드는 필드가 벤더 특정(Vender specific) 카테고리라는 것을 표시하는 127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액션 프레임은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반송할 수 있다.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채널 정보(예를 들어, 채널, 주파수 대역폭 및 프로토콜 정보), 스위칭 모드 정보(예를 들어, 즉시 스위칭 모드, 지연된 스위칭 모드,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 영구 스위칭 모드, 지연된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연장 시간 및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스위칭 지속기간), 이중 대역 적응 동시(Dual Band Adaptive Concurrent, DBAC) 모드 정보(예를 들어, DBAC 슬롯 할당 비율 및 스케줄링 주기성), 및 ACK 응답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벤더 특정 필드의 프레임 포맷의 개략도이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벤더 특정 필드는 다른 필드, 예를 들어, 코딩 타입(Coding type) 필드,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MCS) 필드, 테일(Tail) 필드 및 패딩(Padding)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벤더 특정 필드에 포함된 복수의 필드의 시퀀스는 대안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벤더 특정 필드는 하나 이상의 값 필드, 예를 들어 2개의 값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필드의 포맷 정의에 대해서는 표 1 및 표 2를 참조한다.
예를 들어, 표 1은 벤더 특정 필드의 실행 가능한 포맷 정의를 보여준다.
바이트 수량 1 3 1 1 1 가변(0 내지 250)
필드 카테고리 OUI(벤더 식별자) Diag Seq(메시지 시퀀스 번호) 타입
(type)
길이
(length)

(attribute)
127 벤더에 의해 명시된 값(또는 미리 설정된 값으로 지칭됨) 디폴드로 0(또는 다른 값) 4(또는 다른 값) 값 필드의 길이 값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표 2를 참조
예를 들어, 표 2는 벤더 특정 필드의 실행 가능한 포맷 정의를 보여준다.
필드 SubType SubLength SubValue 1 SubValue 2 SubValue 3 SubValue 4
바이트 수량 1 1 1 1 1
값(정의) 1 (채널 정보) 3 채널 1/2/5/10 (주파수 대역폭) b/g/n/ax (프로토콜)
2 (스위칭 모드 정보) 4 1 (즉시 스위칭 모드)
2 (지연된 스위칭 모드)
1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
2 (영구 스위칭 모드)
지연된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연장 시간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스위칭 지속기간
3 (DBAC 모드 정보) 2 DBAC 슬롯 할당 비율 스케줄링 주기성
4 (ACK 응답)
다음은 표 2의 내용을 추가로 설명한다. 서브타입(subtype) 필드는 서브타입 필드에 대응하는 값 필드의 타입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타입은 채널 정보, 스위칭 모드, DBAC 모드 및 ACK 응답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서브타입 필드의 값이 1일 때, 값 필드의 타입은 채널 정보이다. 서브타입 필드의 값이 2일 때, 값 필드의 타입은 스위칭 모드이다. 서브타입 필드의 값이 3일 때, 값 필드의 타입은 DBAC 모드이다. 서브타입 필드의 값이 4일 때, 값 필드의 타입은 ACK이다. 선택적으로, 전술한 값은 단지 예일 뿐이며, 다른 값 설정 방식, 예를 들어, 00, 01, 10, 및 11 또는 01, 02, 03 및 04이 있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값 필드는 다른 타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길이(sublength) 필드는 액션 프레임의 길이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타입 필드의 값이 1일 때, 값 필드의 타입은 채널 정보이고, 값 필드는 3개의 서브값 필드를 포함하고, 서브길이 필드의 값은 3이다. 표에서 서브값 필드는 단지 예일 뿐이며, 서브값 필드는 요구사항에 따라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서브길이 필드의 값은 서브값 필드의 길이에 따라 변경된다.
서브값(subvalue) 필드는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타입 필드의 값이 1일 때, 값 필드의 타입은 채널 정보이다. 서브값 1의 값은 수신 디바이스가 스위칭하는 채널(그의 값은 Wi-Fi 표준 채널에 기초하여 설정됨)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4는 채널 4를 나타내고, 6은 채널 6을 나타내며, 11은 채널 11을 나타낸다. 서브값 2의 값은 수신 디바이스가 스위칭하는 채널에 의해 점유된 주파수 대역폭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1은 주파수 대역폭이 1M인 것을 나타내고, 2는 주파수 대역폭이 2M인 것을 나타내고, 5는 주파수 대역폭이 5M인 것을 나타내며, 10은 주파수 대역폭이 10M인 것을 나타낸다. 서브값 3의 값은 WLAN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b는 IEEE802.11b 프로토콜을 나타내고, g는 IEEE802.11g 프로토콜을 나타내고, n은 IEEE802.11n 프로토콜을 나타내며, ax는 IEEE802.11ax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다른 예를 들면, 서브타입 필드의 값이 2일 때, 값 필드의 타입은 스위칭 모드이다. 서브값 1의 값은 스위칭 방식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1은 즉시 스위칭 모드를 나타내고, 2는 지연된 스위칭 모드를 나타낸다. 서브값 2의 값은 스위칭 지속기간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1은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이것은 스위칭 지속기간이 미리 설정된 값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음)를 나타내고, 2는 영구 스위칭 모드(이것은 다음 액션 프레임이 수신되기 전에 Wi-Fi P2P 연결이 항상 유지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음)를 나타낸다. 서브값 3의 값은 지연된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연장 시간, 예를 들어 1(분), 5(밀리초) 또는 2(시간)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서브값 4의 값은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스위칭 지속기간, 예를 들어 5(분) 또는 20(분)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램프에 의해 프레임을 송신/수신하는 일부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 제 1 액션 프레임에 포함된 채널 정보는 10M 주파수 대역폭 및 채널 6이며, 스위칭 모드 정보는 즉시 스위칭 모드 및 영구 스위칭 모드이다. 제 2 액션 프레임에 포함된 채널 정보는 20M 주파수 대역폭 및 채널 1이며, 스위칭 모드 정보는 즉시 스위칭 모드 및 영구 스위칭 모드이다. 스마트 램프가 제 1 액션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스마트 램프는 단말 디바이스에 ACK를 송신한다. 그 다음에 스마트 램프는 제 1 액션 프레임에 의해 표시된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으로 모드를 즉시 스위칭한다. 다음으로, 스마트 램프는 제 1 액션 프레임에 의해 표시된 DBAC 모드에 따라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 및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1을 청취한다. 제 2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에, 스마트 램프는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 및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1을 계속 청취한다. 제 2 액션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스마트 램프는 단말 디바이스에 ACK를 송신한다. 그 다음에 스마트 램프는 제 2 액션 프레임에 의해 표시된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1로 모드를 즉시 스위칭한다. 다음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기 전에, 스마트 램프는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1을 계속 청취하고,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을 청취하지 않는다.
도 8에서, 제 1 액션 프레임에 포함된 채널 정보는 10M 주파수 대역폭 및 채널 6이고, 스위칭 모드 정보는 지연된 스위칭 모드 및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이고, 지연된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연장 시간은 1분이며,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스위칭 지속기간은 5분이다. 스마트 램프가 제 1 액션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스마트 램프는 단말 디바이스에 ACK를 송신한다. 1분 후에, 스마트 램프는 제 1 액션 프레임에 의해 표시된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으로 스위칭한다. 다음으로, 스마트 램프는 제 1 액션 프레임에 의해 표시된 DBAC 모드에 따라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 및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1을 청취한다. Wi-Fi P2P 연결이 5분 동안 지속된 후에, 스마트 램프는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1로 다시 스위칭하고,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을 청취하지 않는다.
또한, 제 1 액션 프레임에 포함된 스위칭 모드 정보는 대안적으로 즉시 스위칭 모드 및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 - 여기서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스위칭 지속기간은 미리 설정된 값임 - 일 수 있거나; 또는 지연된 스위칭 모드 및 영구 스위칭 모드 - 여기서 지연된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연장 시간은 미리 설정된 값임 - 일 수 있다. 2개의 방식은 도 7 및 도 8에 설명된 스위칭 방식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subtype 필드의 값이 3일 때, value 필드의 타입은 DABC 모드이다. 서브값 1의 값은 DABC 슬롯 할당 비율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DABC 슬롯 할당 비율은 하나의 스케줄링 주기성에서 수신 디바이스가 스위칭 전에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 대 수신 디바이스가 스위칭 후에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의 비율을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BAC 슬롯 할당 비율이 7:3이면, 이것은 하나의 스케줄링 주기성에서 수신 디바이스가 스위칭 전에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 대 수신 디바이스가 스위칭 후에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의 비율이 7:3이라는 것을 표시한다. DBAC 슬롯 할당 비율은 대안적으로 비율일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DABC 슬롯 할당 비율은 대안적으로 하나의 스케줄링 주기성에서 수신 디바이스가 스위칭 후에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 대 수신 디바이스가 스위칭 전에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의 비율을 표시할 수 있다. 서브값 2의 값은 스케줄링 주기성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스케줄링 주기성은 연속적인 스위칭 전 채널 청취 지속기간과 스위칭 후 채널 청취 지속기간의 합을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 주기성dl 2(분)이면, 스위칭 전 채널 청취 지속기간과 스위칭 후 채널 청취 지속기간의 합이 2(분)이라는 것을 표시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2개 채널을 청취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스위칭 전 채널은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1이고, 스위칭 후 채널은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이고, DBAC 슬롯 할당 비율은 7:3이며, 스케줄링 주기성은 100 밀리초(ms)이다.
다른 예를 들면, subtype 필드의 값이 4일 때, value 필드의 타입은 ACK 응답이다. 이 경우, 벤더 특정 필드는 서브값 필드 및 서브길이 필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액션 프레임에 대한 수신 디바이스의 응답일 수 있고, 수신 디바이스가 파싱을 통해 액션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획득했다는 것을 표시한다.
전술한 값은 단지 예일 뿐이며, 다른 값 설정 방식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서비스 요구사항 및 현재 무선 인터페이스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제 1 액션 프레임에 포함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서 채널 정보를 결정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가 현재 위치하는 환경에서 점유되지 않은 채널 및 주파수 대역폭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환경에서 AP 정보(예를 들어, 채널 및 주파수 대역폭)를 스캔하고, 스캔된 AP 정보에 기초하여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서의 채널 정보가 점유되지 않은 채널 및 주파수인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환경에 있는 모든 채널이 점유되어 있고, 단말 디바이스는 이들 채널로부터 상대적으로 유휴 상태인 채널 및 주파수 대역폭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채널의 통신 품질을 참조하여 채널 및 주파수 대역폭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단말 디바이스는 점유되지 않은(또는 상대적으로 유휴 상태인) 그리고 통신 품질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채널 및 주파수 대역폭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서비스 요구사항을 참조하여 주파수 대역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가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면, 상대적으로 큰 주파수 대역폭이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서비스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주파수 대역폭이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실제 서비스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서 스위칭 모드 정보 및 DBAC 모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가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가 빠르게 채널을 스위칭하도록 해야 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스위칭 모드가 즉시 스위칭 모드라고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서비스가 수신 디바이스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채널을 스위칭하도록 해야 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스위칭 모드가 지연된 스위칭 모드라고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서비스가 스위칭 후에 통신 채널 상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해야 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스위칭 후에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이 DBAC 슬롯 할당 비율에서 상대적으로 큰 비율을 차지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액션 프레임은 암호화된 프레임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어가 필요한 수신 디바이스(즉, 이 예에서는 스마트 램프)에 대응하는 키에 기초하여 액션 프레임을 암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와 하나 이상의 수신 디바이스는 키에 대해 사전에 서로 협상한다. 키와 수신 디바이스 사이에는 대응 관계가 있으며, 상이한 수신 디바이스는 상이한 키에 대응한다.
(S102): 스마트 램프는 제 1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고 제 1 액션 프레임에 응답하여 L2 ACK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L2 ACK는 MAC 계층에 기초한 ACK이며, 수신 디바이스(즉, 스마트 램프)가 제 1 액션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S103): 스마트 램프가 성공적으로 제 1 액션 프레임을 파싱할 때, 스마트 램프는 맞춤형 ACK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램프는 미리 협상된 키를 사용하여 제 1 액션 프레임을 파싱하여, 제 1 액션 프레임에 포함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 1 액션 프레임은 스마트 램프의 키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암호화되기 때문에, 스마트 램프는 파싱을 통해 제 1 액션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맞춤형 ACK는 전술한 내용에서 설명한 subtype 필드의 값이 4라는 값인 액션 프레임일 수 있다. 즉, 맞춤형 ACK는 ACK 응답이며, 스마트 램프가 파싱을 통해 제 1 액션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획득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마트 램프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된 맞춤형 ACK는 암호화된 프레임일 수 있다. 암호화에 사용되는 키는 단말 디바이스와 스마트 램프 사이에서 미리 협의된 키일 수 있다.
(S104): 스마트 램프는 파싱을 통해 획득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채널 스위칭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채널 6, 10M 주파수 대역폭, 즉시 스위칭 모드 또는 영구 스위칭 모드일 수 있다.
(S105): 스마트 텔레비전은 제 1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고 제 1 액션 프레임에 응답하여 L2 ACK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L2 ACK는 스마트 텔레비전이 제 1 액션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한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S106): 스마트 텔레비전은 파싱을 통해 제 1 액션 프레임을 획득할 수 없으며, 제 1 액션 프레임을 폐기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텔레비전은 미리 협상된 키를 사용하여 제 1 액션 프레임을 파싱할 수 있다. 제 1 액션 프레임은 스마트 램프의 키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암호화되기 때문에, 스마트 텔레비전은 파싱을 통해 제 1 액션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획득할 수 없다.
(S107): 단말 디바이스가 스마트 램프에 의해 송신된 맞춤형 ACK를 수신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채널 스위칭을 수행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와 스마트 램프는 둘 다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으로 스위칭하고, 단말 디바이스와 스마트 램프는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 상에서 스마트 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P2P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액션 프레임을 송신한 후에 즉시 채널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제 1 액션 프레임을 송신하고 제 1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한 후에 채널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제 1 액션 프레임이 송신된 후에 제 2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맞춤형 ACK를 수신하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 1 액션 프레임을 다시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N회 동안 제 1 액션 프레임을 다시 송신하려 시도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S108): 단말 디바이스는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 상에서 제어 명령어를 스마트 램프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명령어는 스마트 램프에게 색상을 스위칭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어 명령어일 수 있다.
(S109): 스마트 램프가 제어 명령어를 수신한 후에, 스마트 램프는 제어 명령어에 따라 색상 스위칭을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계(S109) 후에,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10): 단말 디바이스는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 상에서 제 2 제어 액션 프레임을 스마트 램프로 송신할 수 있다.
제 2 액션 프레임은 스마트 램프에게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1로 다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액션 프레임은 암호화된 프레임일 수 있다. 암호화에 사용되는 키는 단말 디바이스와 스마트 램프 사이에서 미리 협의된 키일 수 있다.
(S111): 스마트 램프가 제 2 액션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스마트 램프는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녈 6 상에서 L2 ACK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S112): 스마트 램프는 제 2 액션 프레임에 기초하여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1로 다시 스위칭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 상에서 스마트 램프와 통신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2 액션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스마트 램프는 미리 협상된 키를 사용하여 제 2 액션 프레임을 파싱할 수 있다. 스마트 램프가 제 2 액션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파싱할 때, 스마트 램프는 액션 프레임의 표시에 따라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1로 다시 스위칭하고, 맞춤형 ACK를 단말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맞춤형 ACK는 ACK 응답이며, 스마트 램프가 파싱을 통해 제 2 액션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획득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4에서 설명한 단말 디바이스와 스마트 램프 간의 정보 교환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Wi-Fi P2P 연결을 설정하는 프로세스에서 프레임을 송신/수신하는 흐름도이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1 상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액션 프레임에서 반송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가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를 포함하면, 스마트 램프는 고정 지속기간이 만료될 때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1로 다시 스위칭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에서 설명된 Wi-Fi P2P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에 의한 채널 스캐닝에 의해 야기되는 시간 낭비가 회피될 수 있으므로, 전자 디바이스는 서비스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채널 스위칭을 수행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Wi-Fi P2P 연결을 설정하는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 상에서 스마트 램프와 통신할 때 발생하는 신호 간섭을 줄이고 제어 명령어 패킷 손실을 회피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으로 스위칭하기 전에,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과 중첩하는(또는 인접하다고 하는) 채널 상에서 셀프-CTS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다음은 이 방법을 추가로 설명한다.
통상의 기술에서, 셀프-CTS 패킷은 IEEE802.11g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단말 디바이스와 IEEE802.11b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단말 디바이스 간의 상호 간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응용 시나리오에서, IEEE802.11g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단말 디바이스와 IEEE802.11b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단말 디바이스는 둘 다 WLAN 네트워크에서 존재한다.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두 단말 디바이스는 상이한 물리 계층 변조 기술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IEEE802.11b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단말장치는 CCK 변조 기술을 사용하고, IEEE802.11g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단말장치는 ERP-OFDM 변조 기술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두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의 데이터 전송을 인지할 수 없다. 이 경우, 데이터 패킷이 채널 상에서 충돌하여 패킷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EEE802.11g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전에 채널 상에서 셀프-CTS 패킷을 송신한다. IEEE802.11b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셀프-CTS 패킷을 수신하는 단말 디바이스는 셀프-CTS 패킷에 의해 선언된 채널 점유 시간 내에서 묵음 상태(즉,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음)를 유지하여 두 단말 디바이스의 데이터 패킷이 충돌하는 문제를 회피한다.
Wi-Fi 프로토콜의 메커니즘 및 물리 계층 원리에 따르면, 상이한 Wi-Fi 단말이 동일한 채널 또는 인접한 채널 상에서 신호를 전송하면 간섭이 발생한다. Wi-Fi 프로토콜은 RTS/CTS/백오프 알고리즘/PCF와 같은 메커니즘을 도입하여 간섭 문제를 해결한다. 그러나 이 메커니즘은 동일한 채널/대역폭에서만 효력을 발휘하며 채널 양단에 있는/상이한 대역폭을 사용하는 단말 디바이스 간의 상호 간섭을 해결할 수 없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분할의 개략도이다. 표 3은 2400 MHz 주파수 대역의 WLAN 채널 구성 표이다.
채널 중심 주파수(MHz) 채널 저주파/고주파
1 2412 2401/2423
2 2417 2406/2428
3 2422 2411/2433
4 2427 2416/2438
5 2432 2421/2443
6 2437 2426/2448
7 2442 2431/2453
8 2447 2436/2458
9 2452 2441/2463
10 2457 2446/2468
11 2462 2451/2473
12 2467 2456/2478
13 2472 2461/2483
도 11 및 표 3을 참조하면, 인접한 채널/주파수 대역폭이 상이한 채널 상의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간섭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통신 시스템(20)의 개략도이다. 통신 시스템(20)은 AP 디바이스(500), AP 디바이스(800), AP 디바이스(900), 홈 디바이스(600), 단말 디바이스(700) 및 단말 디바이스(1000)를 포함한다. AP 디바이스(500)는 홈 디바이스(600)를 위한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11(2451-2473)을 제공한다. AP 디바이스(800)는 단말 디바이스(700)를 위한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2427-2447)을 제공한다. AP 디바이스(900)는 단말 디바이스(1000)를 위한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4(2417-2437)을 제공한다.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2427-2447)의 주파수 도메인 범위는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4(2417-2437)의 주파수 도메인 범위와 중첩하며, 단말 디바이스(700)와 단말 디바이스(1000)는 서로 간섭할 수 있다.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11(2451-2473)의 주파수 도메인 범위는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2427-2447)의 주파수 도메인 범위 또는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4(2417-2437)의 주파수 도메인 범위와 중첩하지 않고, 홈 디바이스(600)와 단말 디바이스(1000)는 서로 간섭하지 않으며, 홈 디바이스(600)와 단말 디바이스(700)는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Wi-Fi P2P 연결 통신의 신뢰성을 개선하고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 패킷 손실을 회피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으로 스위칭하기 전에,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과 중첩하는(또는 인접하는이라 함) 채널 상에서 셀프-CTS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중첩하는 채널은 주파수 범위가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의 주파수 범위와 중첩하는 채널, 예를 들어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4(2417-2437)이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방법의 단계(S107) 전에, 단말 디바이스는 Wi-Fi P2P 통신에 사용된 채널(예를 들어,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과 중첩하는 채널이 환경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과 중첩하는 채널이 있다고 결정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중첩하는 채널 상에서 셀프-CTS 패킷을 송신한다. 셀프-CTS 패킷은 셀프-CTS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가 셀프-CTS 패킷에 의해 선언된 채널 점유 시간 내에서 묵음 상태로 남아 있을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 다음에 단말 디바이스는 단계(S107)를 수행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과 중첩하는 채널이 있다고 결정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바로 단계(S107)를 수행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주기성에 기초하여) 환경에서 AP 정보(예를 들어, 채널 및 주파수 대역폭)를 스캔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AP 정보 및 Wi-Fi P2P 통신에 사용된 채널에 기초하여 중첩하는 채널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스캐닝을 통해 획득한 사용된 채널은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4,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 및 4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36이다. Wi-Fi P2P 통신에 사용된 채널은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이다. 이 경우, 결정된 중첩하는 채널은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4 및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가 환경에서 중첩된 채널을 결정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는 서비스(즉, Wi-Fi P2P 연결 후에 실행되어야 하는 서비스)가 높은 우선순위 서비스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가 높은 우선순위 서비스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중첩된 채널을 확정한다. 서비스가 높은 우선순위 서비스가 아니면, 단말 디바이스는 셀프-CTS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지 않는다. 높은 우선순위 서비스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우선순위 서비스는 지연이나 통신 품질에 대한 요구사항이 상대적으로 높은 서비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우선순위 서비스는 동기적 오디오/비디오 재생 서비스, 오디오/비디오 통화 서비스 또는 프로젝션 시나리오의 게임 제어 서비스일 수 있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셀프-CTS 패킷을 송신하는 흐름도이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절차에 대해서는 단계(S201) 내지 단계(S204)의 내용을 참조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모든 중첩된 AP 채널 상에서 셀프-CTS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되었던 중첩된 AP 채널 상에서만 셀프-CTS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정보 보안을 위해, 단말 디바이스는 액세스되지 않았던 AP 채널에 대한 제어 권한이 없을 수 있다. 셀프-CTS 패킷이 액세스되지 않았던 AP 채널 상에서 송신되면, 다른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Wi-Fi 네트워크는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스캔될 필요가 있는 AP 채널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복수의 AP 채널에 대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기입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정보가 미리 저장된 중첩된 AP 채널 상에서 셀프-CTS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Wi-Fi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S301): 제 1 디바이스는 제 1 액션 프레임을 제 1 채널을 통해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제 1 액션 프레임은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반송하고,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은 것: 제 2 채널의 채널 정보, 스위칭 모드 정보 및 이중 대역 적응 동시(DBAC) 모드 정보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대응하는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한다. 제 1 디바이스는 도 1의 단말 디바이스(100)일 수 있고, 제 2 디바이스는 도 1의 홈 디바이스(300)일 수 있으며, 제 1 채널은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액션 프레임에 대해서는 도 5에 대응하는 내용의 설명을 참조한다.
(S302): 제 2 디바이스는 제 1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고,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 2 채널로 스위칭한다.
예를 들어, 제 2 스위칭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도 2에 대응하는 내용의 설명을 참조한다. 제 2 채널은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일 수 있다.
(S303): 제 1 디바이스는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 2 채널로 스위칭한다.
(S304): 제 1 디바이스는 제 2 채널을 통해 제 2 디바이스와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는 단말 디바이스(100)가 색상 스위칭을 수행하도록 홈 디바이스(300)(스마트 램프)를 제어하는 도 4에 대응하는 실시예에서 설명된 서비스일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Wi-Fi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AP)를 더 포함하고, AP,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는 제 1 채널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예를 들어, AP는 도 1의 AP 디바이스(200)일 수 있다. AP 디바이스(200), 단말 디바이스(100) 및 홈 디바이스(300)(스마트 램프)는 모두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1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즉시 스위칭 모드를 포함하며, 즉시 스위칭 모드는 제 2 디바이스에게 제 1 액션 프레임에 응답하여 제 2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즉시 스위칭 파라미터의 방식에 대해서는 도 7에 대응하는 내용의 설명을 참조한다. 제 2 채널은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일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지연된 스위칭 모드 및 지연된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연장 시간을 포함하며, 지연된 스위칭 모드 및 연장 시간은 제 2 디바이스에게 연장 시간의 지연 후에 제 2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지연된 스위칭 모드의 방식에 대해서는 도 8에 대응하는 내용의 설명을 참조한다. 제 2 채널은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일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영구 스위칭 모드를 포함하며, 영구 스위칭 모드는 제 2 디바이스에게 제 2 채널 및 제 1 채널을 계속 청취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2 액션 프레임을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여기서 제 2 액션 프레임은 제 2 디바이스에게 제 1 채널로 다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2 디바이스는 제 2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고, 제 2 액션 프레임에 기초하여 제 1 채널로 스위칭한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 스위칭 모드의 방식에 대해서는 도 7에 대응하는 내용의 설명을 참조한다. 제 2 채널은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일 수 있고, 제 1 채널은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1일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 및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스위칭 지속기간을 포함하며,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 및 스위칭 지속기간은 제 2 디바이스에게 제 2 채널로 스위칭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 스위칭 지속기간 후에 다시 제 1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의 방식에 대해서는 도 8에 대응하는 내용의 설명을 참조한다. 제 2 채널은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일 수 있고, 제 1 채널은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1일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DBAC 슬롯 할당 비율 및 스케줄링 주기성을 포함하고, DBAC 슬롯 할당 비율은 하나의 스케줄링 주기성에서 제 2 디바이스가 제 1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 대 제 2 디바이스가 제 2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의 비율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스케줄링 주기성은 연속적인 제 1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시간과 제 2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시간의 합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2 디바이스는 DBAC 슬롯 할당 비율 및 스케줄링 주기성에 기초하여 제 1 채널 및 제 2 채널을 청취한다.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채널 및 제 2 채널을 청취하는 개략도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한다. DBAC 슬롯 할당 비율은 7:3이고, 스케줄링 주기성은 100 ms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 2 채널의 채널 정보는 제 2 채널의 채널 식별자 및 주파수 대역폭을 포함하고, 주파수 대역폭은 20 M 미만이다. 예를 들어, 제 2 채널의 채널 식별자는 6일 수 있고, 제 2 채널의 주파수 대역폭은 10M일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디바이스가 제 1 액션 프레임을 제 1 채널을 통해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방식은 다음의 것일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1 액션 프레임을 제 1 채널 상에서 브로드캐스트한다. 브로드캐스트 방식에서, 제 1 액션 프레임은 RTS/CTS를 기다리지 않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채널 상에서 모든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직접 송신 및 수신될 수 있으므로,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설정하는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제 2 채널의 채널 식별자 및 주파수 대역폭을 포함하고,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가 현재 위치한 환경에서 사용된 통신 채널을 결정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사용된 통신 채널에 기초하여 제 2 채널의 채널 식별자 및 주파수 대역폭을 결정하며, 여기서 제 2 채널과 사용된 통신 채널 사이에는 중첩하는 주파수 대역이 없거나, 또는 제 2 채널은 사용된 통신 채널에서 가장 유휴한 채널이거나, 또는 제 2 채널은 사용된 통신 채널에서 통신 품질이 가장 좋은 채널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의 통신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스위칭 모드 정보 및 DBAC 모드 정보를 포함하고, 스위칭 모드 정보는 제 2 디바이스가 제 2 채널로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방식 및/또는 스위칭 지속기간을 포함하고, DBAC 모드 정보는 DBAC 슬롯 할당 비율 및/또는 스케줄링 주기성을 포함한다.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의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스위칭 모드 정보 및 DBAC 모드 정보를 결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의 통신 요구사항이 충족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키를 미리 저장하고, 제 1 액션 프레임은 제 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수신 디바이스가 제 1 액션 프레임에 응답하여 오동작을 수행하는 문제가 회피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 2 디바이스가 제 1 액션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2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키에 기초하여 제 1 액션 프레임을 파싱하여,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제 2 디바이스는 확인응답(ACK)을 제 1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여기서 ACK는 제 1 액션 프레임에 대한 응답이고, ACK는 제 2 디바이스가 파싱을 통해 제 1 액션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획득했다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ACK를 수신한다. 제 1 디바이스가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 2 채널로 스위칭한다는 것은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 및 ACK에 기초하여 제 2 채널로 스위칭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가 파싱을 통해 제 1 액션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획득하는지를 결정하여,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를 구현하는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디바이스가 제 1 액션 프레임을 제 1 채널을 통해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기 전에,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가 현재 위치한 환경에서 사용된 통신 채널을 결정한다. 제 1 디바이스가 제 3 채널이 있다고 결정할 때, 제 1 디바이스는 제 3 채널을 통해 셀프(self)-CTS 패킷을 송신하며, 여기서 제 3 채널은 사용된 통신 채널 중 하나이고, 제 3 채널과 제 2 채널 사이에는 중첩하는 주파수 대역이 있고, 셀프-CTS 패킷은 셀프-CTS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가 셀프-CTS 패킷에 의해 선언된 채널 점유 시간 내에 묵음 상태(silent)로 남아 있을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100)일 수 있고, 제 2 채널은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일 수 있고, 제 3 채널은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4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00)는 1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6으로 스위칭하기 전에 20M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채널 4 상에서 셀프-CTS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의 통신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디바이스가 셀프-CTS 패킷을 제 3 채널을 통해 송신하기 전에, 방법은 다음의 것을 더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는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가 높은 우선순위 서비스라는 것을 결정한다. 높은 우선순위 서비스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우선순위 서비스는 지연이나 통신 품질에 대한 요구사항이 상대적으로 높은 서비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우선순위 서비스는 동기적 오디오/비디오 재생 서비스, 오디오/비디오 통화 서비스 또는 프로젝션 시나리오의 게임 제어 서비스일 수 있다. 셀프-CTS 패킷의 송신은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다른 통신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셀프-CTS 패킷은 높은 우선순위 서비스가 수행되기 전에 선택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 1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성공적으로 액세스되었던 AP의 이력 정보를 저장하며, 제 3 채널을 제공하는 AP에 관한 정보는 이력 정보에 포함된다. 정보 보안을 위해, 단말 디바이스는 액세스되지 않았던 AP 채널에 대한 제어 권한이 없을 수 있다. 셀프-CTS 패킷이 액세스되지 않았던 AP 채널 상에서 송신되면, 다른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Wi-Fi 네트워크는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고, 컴퓨터 명령어가 통신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통신 디바이스는 전술한 내용에서 설명된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고, 컴퓨터 명령어가 통신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통신 디바이스는 전술한 내용에서 설명된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포함하고, 명령어가 통신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통신 디바이스는 전술한 내용에서 설명된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를 포함하고, 명령어가 통신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통신 디바이스는 전술한 내용에서 설명된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는 칩을 제공한다. 칩은 통신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칩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술한 내용에서 설명된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는 칩을 제공한다. 칩은 통신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칩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술한 내용에서 설명된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가 전술한 실시예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때, 전술한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한다. 컴퓨터 명령어가 컴퓨터에 로드되어 실행될 때, 본 출원의 절차 또는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생성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어는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또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라디오 또는 마이크로파) 방식으로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매체를 통합하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예를 들면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DVD), 또는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 State Drive)) 등일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특정 구현일 뿐이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파악되는 어떠한 변형이나 대체이든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의 보호 범위의 대상이 될 것이다.

Claims (37)

  1.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Wi-Fi 통신 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Wi-Fi 통신 시스템은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액션 프레임을 제 1 채널을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액션 프레임은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반송하고,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제 2 채널의 채널 정보, 스위칭 모드 정보, 및 이중 대역 적응 동시(dual band adaptive concurrent)(DBAC) 모드 정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함 - 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채널로 스위칭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채널로 스위칭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채널을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Wi-Fi 통신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를 더 포함하고, 상기 AP, 상기 제 1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채널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즉시 스위칭 모드(immediate switching mode)를 포함하며, 상기 즉시 스위칭 모드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제 1 액션 프레임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지연된 스위칭 모드(delayed switching mode) 및 상기 지연된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연장 시간(extension time)을 포함하며, 상기 지연된 스위칭 모드 및 상기 연장 시간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연장 시간의 지연 후에 상기 제 2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영구 스위칭 모드(permanent switching mode)를 포함하며, 상기 영구 스위칭 모드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제 2 채널 및 상기 제 1 채널을 계속 청취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액션 프레임을 상기 제 2 채널을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액션 프레임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제 1 채널로 다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 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액션 프레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채널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fixed-duration switching mode) 및 상기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스위칭 지속기간(switching duration)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 및 상기 스위칭 지속기간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제 2 채널로 스위칭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 상기 스위칭 지속기간 후에 다시 상기 제 1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DBAC 슬롯 할당 비율(DBAC slot allocation ratio) 및 스케줄링 주기성(scheduling periodicity)을 포함하고, 상기 DBAC 슬롯 할당 비율은 하나의 스케줄링 주기성에서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 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의 비율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스케줄링 주기성은 연속적인 상기 제 1 채널을 청취하는 상기 지속시간과 상기 제 2 채널을 청취하는 상기 지속시간의 합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DBAC 슬롯 할당 비율 및 상기 스케줄링 주기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채널 및 상기 제 2 채널을 청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채널의 상기 채널 정보는 상기 제 2 채널의 채널 식별자 및 주파수 대역폭을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폭은 20 M 미만인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액션 프레임을 제 1 채널을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액션 프레임을 상기 제 1 채널 상에서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상기 제 2 채널의 상기 채널 식별자 및 상기 주파수 대역폭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현재 위치한 환경에서 사용된 통신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된 통신 채널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채널의 상기 채널 식별자 및 상기 주파수 대역폭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2 채널과 상기 사용된 통신 채널 사이에는 중첩하는 주파수 대역이 없거나, 또는 상기 제 2 채널은 상기 사용된 통신 채널에서 가장 유휴한 채널이거나, 또는 상기 제 2 채널은 상기 사용된 통신 채널에서 통신 품질이 가장 좋은 채널임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상기 스위칭 모드 정보 및 상기 DBAC 모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모드 정보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채널로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방식 및/또는 스위칭 지속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DBAC 모드 정보는 상기 DBAC 슬롯 할당 비율 및/또는 상기 스케줄링 주기성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의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칭 모드 정보 및 상기 DBAC 모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키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제 1 액션 프레임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상기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상기 키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액션 프레임을 파싱하여,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확인응답(ACK)을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ACK는 상기 제 1 액션 프레임에 대한 응답이고, 상기 ACK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파싱을 통해 상기 제 1 액션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획득했다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 와,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ACK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채널로 스위칭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 및 상기 ACK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채널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액션 프레임을 제 1 채널을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현재 위치한 상기 환경에서 상기 사용된 통신 채널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제 3 채널이 있다고 결정할 때,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3 채널을 통해 셀프(self)-CTS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 3 채널은 상기 사용된 통신 채널 중 하나이고, 상기 제 3 채널과 상기 제 2 채널 사이에는 중첩하는 주파수 대역이 있고, 상기 셀프-CTS 패킷은 상기 셀프-CTS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가 상기 셀프-CTS 패킷에 의해 선언된 채널 점유 시간 내에서 묵음 상태(silent)로 남아 있을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셀프-CTS 패킷을 상기 제 3 채널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가 높은 우선순위 서비스라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성공적으로 액세스되었던 AP의 이력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 3 채널을 제공하는 AP에 관한 정보는 상기 이력 정보에 포함되는
    방법.
  17.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채널을 통해,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액션 프레임은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반송하고,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제 2 채널의 채널 정보, 스위칭 모드 정보 및 DBAC 모드 정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함 - 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채널로 스위칭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채널을 통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즉시 스위칭 모드(immediate switching mode)를 포함하며, 상기 즉시 스위칭 모드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제 1 액션 프레임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지연된 스위칭 모드(delayed switching mode) 및 상기 지연된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연장 시간(extension time)을 포함하며, 상기 지연된 스위칭 모드 및 상기 연장 시간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연장 시간의 지연 후에 상기 제 2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영구 스위칭 모드(permanent switching mode)를 포함하며, 상기 영구 스위칭 모드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제 2 채널 및 상기 제 1 채널을 계속 청취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채널을 통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2 액션 프레임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제 1 채널로 다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 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액션 프레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채널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fixed-duration switching mode) 및 상기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스위칭 지속기간(switching duration)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 및 상기 스위칭 지속기간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게 상기 제 2 채널로 스위칭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 상기 스위칭 지속기간 후에 다시 상기 제 1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DBAC 슬롯 할당 비율(DBAC slot allocation ratio) 및 스케줄링 주기성(scheduling periodicity)을 포함하고, 상기 DBAC 슬롯 할당 비율은 하나의 스케줄링 주기성에서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 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의 비율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스케줄링 주기성은 연속적인 상기 제 1 채널을 청취하는 상기 지속시간과 상기 제 2 채널을 청취하는 상기 지속시간의 합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DBAC 슬롯 할당 비율 및 상기 스케줄링 주기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채널 및 상기 제 2 채널을 청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채널의 상기 채널 정보는 상기 제 2 채널의 채널 식별자 및 주파수 대역폭을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폭은 20 M 미만인
    방법.
  24. 제 17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션 프레임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제 1 채널을 통해,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상기 키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액션 프레임을 파싱하여,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확인응답(ACK)을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 - 상기 ACK는 상기 제 1 액션 프레임에 대한 응답이고, 상기 ACK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파싱을 통해 상기 제 1 액션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획득했다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6.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제 1 채널을 통해,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1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는 동작 - 상기 제 1 액션 프레임은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반송하고,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제 2 채널의 채널 정보, 스위칭 모드 정보 및 DBAC 모드 정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함 - 과,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채널로 스위칭하는 동작과,
    상기 제 2 채널을 통해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통신 디바이스.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즉시 스위칭 모드(immediate switching mode)를 포함하며, 상기 즉시 스위칭 모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게 상기 제 1 액션 프레임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디바이스.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지연된 스위칭 모드(delayed switching mode) 및 상기 지연된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연장 시간(extension time)을 포함하며, 상기 지연된 스위칭 모드 및 상기 연장 시간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게 상기 연장 시간의 지연 후에 상기 제 2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디바이스.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영구 스위칭 모드(permanent switching mode)를 포함하며, 상기 영구 스위칭 모드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게 상기 제 2 채널 및 상기 제 1 채널을 계속 청취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또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 2 액션 프레임을 수신하는 동작 - 상기 제 2 액션 프레임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게 상기 제 1 채널로 다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 과,
    상기 제 2 액션 프레임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채널로 스위칭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통신 디바이스.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fixed-duration switching mode) 및 상기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에 대응하는 스위칭 지속기간(switching duration)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지속기간 스위칭 모드 및 상기 스위칭 지속기간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게 상기 제 2 채널로 스위칭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 상기 스위칭 지속기간 후에 다시 상기 제 1 채널로 스위칭할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디바이스.
  31.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는 DBAC 슬롯 할당 비율(DBAC slot allocation ratio) 및 스케줄링 주기성(scheduling periodicity)을 포함하고, 상기 DBAC 슬롯 할당 비율은 하나의 스케줄링 주기성에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 대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채널을 청취하는 지속기간의 비율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스케줄링 주기성은 연속적인 상기 제 1 채널을 청취하는 상기 지속시간과 상기 제 2 채널을 청취하는 상기 지속시간의 합을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또한,
    상기 DBAC 슬롯 할당 비율 및 상기 스케줄링 주기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채널 및 상기 제 2 채널을 청취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통신 디바이스.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채널의 상기 채널 정보는 상기 제 2 채널의 채널 식별자 및 주파수 대역폭을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폭은 20 M 미만인
    통신 디바이스.
  33. 제 26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션 프레임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되는
    통신 디바이스.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여,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또한,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상기 키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액션 프레임을 파싱하여, 상기 채널 스위칭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동작과,
    확인응답(ACK)을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동작 - 상기 ACK는 상기 제 1 액션 프레임에 대한 응답이고, 상기 ACK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가 파싱을 통해 상기 제 1 액션 프레임을 성공적으로 수신하고 획득했다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됨 - 을 수행하도록 하는
    통신 디바이스.
  35.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칩으로서,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 17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칩.
  36.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명령어가 통신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제 17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7.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가 통신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제 17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27041394A 2020-04-30 2021-04-25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구현 방법 및 관련 디바이스 KR202300081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365426.2 2020-04-30
CN202010365426.2A CN111641979B (zh) 2020-04-30 2020-04-30 一种Wi-Fi点对点业务的实现方法以及相关设备
PCT/CN2021/089661 WO2021218864A1 (zh) 2020-04-30 2021-04-25 一种Wi-Fi点对点业务的实现方法以及相关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8147A true KR20230008147A (ko) 2023-01-13

Family

ID=7233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394A KR20230008147A (ko) 2020-04-30 2021-04-25 Wi-fi 피어 투 피어 서비스 구현 방법 및 관련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69398A1 (ko)
EP (1) EP4132098A4 (ko)
KR (1) KR20230008147A (ko)
CN (1) CN111641979B (ko)
WO (1) WO20212188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97182B2 (en) * 2010-08-11 2014-11-25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ting informatio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channel state using same
CN111641979B (zh) * 2020-04-30 2021-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Wi-Fi点对点业务的实现方法以及相关设备
CN114339897A (zh) * 2020-09-30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发送方法、电子设备、芯片系统及存储介质
CN113709555B (zh) * 2021-08-27 2023-03-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无线视频连接方法、装置以及系统
CN115967996A (zh) * 2021-10-11 2023-04-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灵活以太的时隙资源配置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5988643A (zh) * 2021-10-14 2023-04-18 荣耀终端有限公司 WiFi P2P连接方法、电子设备和介质
CN114598414B (zh) * 2022-05-09 2022-09-27 荣耀终端有限公司 时间片的配置方法和电子设备
CN114980235B (zh) * 2022-07-29 2022-12-09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7683B2 (en) * 2005-11-03 2011-12-1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peer-to-peer communication between stations within a basic service set
US9173218B2 (en) * 2010-11-02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Protocols for enabling mode 1 and mode 2 devices in TV white space networks
US10064224B2 (en) * 2012-09-28 2018-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wireless fidelity direct (WFD) connection in a WFD network environment
CA2890323C (en) * 2012-11-05 2018-1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arching for or advertising service in direct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US9998535B2 (en) * 2014-05-02 2018-06-12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multiple peer-to-peer networks
CN104469958B (zh) * 2014-12-31 2018-07-31 华为技术有限公司 双频通信的方法和wlan设备
US10531307B2 (en) * 2016-02-29 2020-01-07 Apple Inc. Mechanisms for LAA/LTE-U detection to mitigate impact on Wi-Fi performance
EP3493596B1 (en) * 2016-08-10 2020-07-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nd switching channel, wireless access point and system
US11140590B2 (en) * 2016-11-15 2021-10-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ling neighbour relationships
CN108243484B (zh) * 2016-12-26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局域网中的接入方法、接入点ap和站点sta
CN108471630B (zh) * 2018-06-12 2022-06-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速率调整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CN109743712A (zh) * 2018-12-29 2019-05-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11641979B (zh) * 2020-04-30 2021-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Wi-Fi点对点业务的实现方法以及相关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41979A (zh) 2020-09-08
WO2021218864A1 (zh) 2021-11-04
EP4132098A4 (en) 2023-08-23
EP4132098A1 (en) 2023-02-08
CN111641979B (zh) 2021-12-03
US20230069398A1 (en)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132098A1 (en) Implementation method for wi-fi peer-to-peer service and related device
US11683850B2 (en) Bluetooth reconnectio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EP4109891A1 (en) Device intera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WO2020143380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电子设备
WO2021082829A1 (zh) 蓝牙连接方法及相关装置
WO2020132818A1 (zh) 无线短距离音频共享方法及电子设备
WO2022083386A1 (zh) 投屏方法、系统及电子设备
CN111800240B (zh) 信息传输方法、装置、终端、设备及介质
JP7234379B2 (ja) スマートホームデバイスによってネットワーク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関連するデバイス
KR102491006B1 (ko) 데이터 송신 방법 및 전자 기기
WO2021179990A1 (zh) 一种应用服务器的访问方法及终端
EP4310663A1 (en) Method for adjusting screen projection display parameters
KR20220047358A (ko) 통화 방법 및 장치
KR102524305B1 (ko) 연결 구축 방법 및 단말 장치
WO2022042637A1 (zh) 一种蓝牙数据传输方法及相关装置
CN113645608A (zh) 数据传输方法和数据传输装置
WO2022218196A1 (zh) 发射功率控制方法及相关设备
WO2022267917A1 (zh) 蓝牙通信方法及系统
WO2022188813A1 (zh) 蓝牙通信方法、系统及电子设备
WO2024067170A1 (zh) 设备管理方法及电子设备
WO2021228080A1 (zh) 信息传输、harq-ack码本的生成、传输方法及设备
EP4354917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15250492A (zh) 通信资源调度方法和电子设备
CN115150897A (zh) 通信资源协作方法及电子设备
CN114697960A (zh) 一种连接外部摄像头的方法及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