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069A -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 - Google Patents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069A
KR20230007069A KR1020210087860A KR20210087860A KR20230007069A KR 20230007069 A KR20230007069 A KR 20230007069A KR 1020210087860 A KR1020210087860 A KR 1020210087860A KR 20210087860 A KR20210087860 A KR 20210087860A KR 20230007069 A KR20230007069 A KR 20230007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oilet bowl
water
inn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8529B1 (ko
Inventor
노규영
노효주
노효리
Original Assignee
노규영
노효주
노효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규영, 노효주, 노효리 filed Critical 노규영
Priority to KR1020210087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529B1/ko
Publication of KR20230007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05Auxiliary or por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는, 변기에 받아진 물 위에 부유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변기의 내주면과 이격된 공간을 갖도록 배치되어 물빠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Toilet Paper for preventing splashing}
본 발명은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에 관한 것으로, 변기를 사용할 때 변기에 받겨져 있는 변기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고, 변기의 측면으로 흐르는 변기물이 아래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쉽게 침몰하지 않도록 한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에 관한 것이다.
좌변기의 경우, 사용자가 대소변을 볼 때 변기물이 튀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위생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주변 환경이 더럽혀져 청소 및 관리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사용자가 일반적인 화장실용 휴지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좌변기의 수면 위에 깔아 놓고 용변을 보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경우 변기의 수면을 효과적으로 커버하지 못하고, 휴지가 금방 수면 아래로 가라앉기 때문에 효과가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변기를 사용할 때 변기에 받겨져 있는 변기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고, 변기의 측면으로 흐르는 변기물이 아래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쉽게 침몰하지 않도록 한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는, 변기에 받아진 물 위에 부유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변기의 내주면과 이격된 공간을 갖도록 배치되어 물빠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중심부에는 대변 또는 소변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본체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각 연장부의 단부는 상기 변기의 내주면과 접하며, 상기 연장부 중 어느 하나인 제1 연장부가 상기 변기의 내주면과 접하는 접점을 제1 접점이라고 하고, 상기 제1 연장부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n 연장부(n은 2 이상의 자연수)가 상기 변기의 내주면과 접하는 접점을 제n 접점이라고 할 때, 서로 인접하는 접점을 연결하는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변기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물빠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본체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각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영역은, 상기 변기의 내주면과 접하며, 상기 각 연장부가 상기 변기의 내주면과 접하는 가장자리를 제외한 상기 연장부 및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변기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물빠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콘 형태로 돌출되어, 뽀족한 단부가 상기 변기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는 공기가 채워진 부력형성부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하면은 사이징(sizing) 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는, 용변을 볼 때 변기에 받겨져 있는 변기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고, 변기의 측면으로 흐르는 변기물이 아래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쉽게 침몰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변기물이 내려 지고, 다시 변기에 물이 받기는 도중에 본 발명의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를 사용하는 경우, 변기물이 다 받기기까지 변기의 측벽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은 상기 시트지의 본체부를 덮치지 않고 상기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의 물빠짐 공간을 통해 아래로 유동하므로 침몰하지 않고 부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용변 완료 후 변기물을 내릴 때 상기 물빠진 공간을 통해 변기물이 하방으로 용이하게 내려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는, 변기의 사용시 변기물의 표면에 부유한 상태를 유지하고, 대변은 절개부를 통해 하방으로 낙하하므로, 냄새의 확산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변기물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을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위생적이므로 감염병에 대한 우려를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남자가 서서 소변을 보는 경우, 물이 튀어 주변을 더럽히는 것을 방지하여, 청소의 부담을 경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변기에 물이 받겨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가 변기물 표면에 깔린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3은 도2의 도2의 A-A 선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도4의 요부를 확대한 도면,
도6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변기에 물이 받겨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가 변기물 표면에 깔린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3은 도2의 도2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변기(1)에 채워진 물(변기물)이 용변을 볼 때 튀기지 않도록 하는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에 관한 것이다. 변기(1)로 낙하하는 용변이 변기물(2)과 충돌하면 상기 변기물(2)이 위로 솟구쳐 오르게 된다. 물체가 수면에 부딪히면 떨어진 지점의 수면은 아래로 내려가면서 움푹 파이게 되고, 주변의 변기물(2)은 아래로 내려간 수면을 채우기 위해서 중심측으로 모이면서 서로 부딪혀 물이 솟구쳐 오르게 된다(소위 왕관현상라 함). 용변과 같은 물체가 떨어지면서 수면과 충돌할 때의 충돌에너지는 복압, 낙하높이, 용변의 무게, 중력 등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변이 수면에 충돌할 때 물이 솟구쳐 튀기는 현상을 억제하는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지는 펄프를 이용하여 종이재질로 이루어지며, 변기물에 의해 풀림이 용이하도록 제조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는, 변기(1)에 받아진 물 위에 부유하는 본체부(1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의 가장자리가 상기 변기(1)의 내주면과 이격된 공간을 갖도록 배치되어 물빠짐 공간(S)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부(10)가 상기 변기물(2)의 표면에 부유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용변을 볼 때 물튀김이 방지되고, 상기 본체부(10)의 가장자리는 변기(1)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상기 변기물이 아래로 용이하게 흘러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변기물이 내려 지고, 다시 변기에 물이 받기는 도중에 본 발명의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를 변기물의 표면에 깔아서 사용하는 경우, 변기물이 다 받기기까지 변기(1)의 측벽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은 상기 시트지의 본체부(10)를 덮치지 않고 상기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의 물빠짐 공간(S)을 통해 아래로 유동하므로 침몰하지 않고 부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용변 완료 후 변기물을 내릴 때 상기 물빠짐 공간(S)을 통해 변기물이 하방으로 용이하게 내려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절개부(20), 연장부(30), 및 부력형성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중심부에 대변 또는 소변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된 부분이다. 절개부(20)로 낙하하는 용변은 그 무게에 의해 절개부(20)를 관통하여 떨어지고, 상기 절개부(20)는 표면장력과 부력에 의해 다시 변기물(2)의 표면에 부유하는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용변이 절개부(20)를 통해 낙하할 때, 본체부(10)는 변기물(2)의 표면을 덮어 부유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변기물(2)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개부(20)는 "+"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절개부(20)의 형태는 상기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장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가장자리에서 그 외측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10)로부터 콘 형태로 돌출된다. 상기 연장부(30)의 단부는 상기 변기(1)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10)의 꼭지점과 인접한 연장부(10)의 꼭지점을 연결하는 가장자리는 상기 변기(1)의 중심측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연장부(30) 및 본체부(10)의 가장자리와 상기 변기(1)의 내주면이 이격되어 형성하는 공간은 물빠짐 공간(S)을 형성한다.
상기 부력형성부(4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기가 채워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의 상면(11)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부력형성부(40)는 상기 본체의 상면(11)에 다수 형성되어서 상기 본체부(10)가 상기 변기물(2)의 표면에 부유하는 부력을 더욱 증대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력형성부(40)는 상기 본체부(10)에 엠보싱 처리되어 일체로 형성되어서, 본체부(10)가 변기물(2)의 표면에 안착되면 그 내부에 공기가 채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형성부(40)의 형상은 대략적으로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0)의 하면(12)은 사이징(sizing) 처리된다. 상기 사이징 처리는 본체부(10)의 하면(12)에 소수성 물질을 함침시키거나 코팅하여 물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 것이며, 상기 본체부(10)의 하면(12)이 사이징 처리되어 상기 본체부(10)의 부력이 극대화되며, 상기 본체부(10)는 물을 천천히 흡수하게 된다. 상기 사이징 처리는 공지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용변을 보기 전에,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를 변기(1)에 채워진 변기물(2)의 표면에 깔아서 띄울 수 있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는 상기 변기물(2)의 표면의 상당 부분을 커버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10)로부터 상기 변기(1)의 내주면 쪽으로 연장되는 상기 연장부(30)는, 상기 본체부(10)와 함께 상기 변기물(2)의 표면의 나머지 부분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30)는 콘 형태로 돌출되며, 각 연장부(30)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외곽선은 다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대략적으로 별 모양을 이룬다. 상기 연장부(30)가 돌출 형성되면서 다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그 둘레의 길이가 길게 확보되어 변기물(2)과의 표면장력이 증가하므로, 본체부(10) 및 연장부(30)는 변기물(1)의 표면에 부유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대변을 보는 경우, 상기 본체부(10) 및 연장부(30)에 의해 대변이 변기물(2)에 직접적으로 충돌하지 않으므로, 변기물(2)이 엉덩이로 튀어 오르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본체부(10) 및 연장부(30)가 상기 변기물(2)의 표면의 상당 부분을 덮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변기물(2)의 튀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앞선 사용자가 변기물을 내린 후 후속적으로 변기를 사용하는 경우, 다시 변기에 물이 받기는 도중에 본 발명의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를 변기물의 표면에 깔아서 사용하는 경우, 변기물이 다 받기기까지 변기(1)의 측벽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은 상기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의 물빠짐 공간(S)을 통해 아래로 유동하므로 본체부(10) 및 연장부(30)를 덮치지 않으므로, 시트지가 침몰하지 않고 부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대변을 본 후 물을 내릴 때, 변기(1)의 수조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상기 물빠짐 공간(S)으로 효과적으로 흘러 내릴 수 있으므로, 변기물(2)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대변은 절개부(20)를 통해 하방으로 낙하하고, 상기 절개부(20)가 벌어졌다가 상기 대변이 통과한 후 다시 원상으로 복귀한다.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연장부(30)는 지속적으로 변기물(2)의 표면을 덮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대변의 냄새가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소변을 보는 경우에도, 소면이 직접적으로 변기물(2)을 타격하여 변기물(2)이 튀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변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청소의 부담을 줄여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최근 코로나와 같은 감염병의 확산에 따른 우려가 증대되는 상황에서, 공중화장실 등을 청결하고 쾌적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지에 항균제 또는 방향제를 첨가하는 경우, 용변시 균의 확산을 방지하고, 대소변의 냄새를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4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를 도시한다. 도5 내지 도8에 있어서, 도2 내지 도3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4는 본체부(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30)의 단부가 상기 변기(1)의 내주면과 접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장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 마련되고, 각 연장부(30)는 상기 본체부(10)로부터 콘 형태로 돌출되며, 뽀족한 단부가 상기 변기(1)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이때, 상기 변기물(2)의 표면장력에 의해서 상기 연장부(30)의 단부는 상기 변기(1)의 내주면에 부착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30)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외곽선은 다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그 둘레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므로, 본체부(10) 및 연장부(30)의 표면장력이 증가하여 쉽게 침몰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연장부(30)의 단부와 상기 변기(1)의 내주면이 접촉하는 접점은,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 접점과 인접하는 접점을 연결하는 가장자리는 상기 변기(1)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변기물이 배출되는 물빠짐 공간(S)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부(30) 중 어느 하나를 제1 연장부(31)라 하고, 상기 제1 연장부(31)가 상기 변기(1)의 내주면과 접하는 접점을 제1 접점(P1)이라고 하고, 상기 제1 연장부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n 연장부(n은 2 이상의 자연수)가 상기 변기(1)의 내주면과 접하는 접점을 제n 접점이라고 할 때, 서로 인접하는 접점을 연결하는 가장자리는 상기 변기(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물빠짐 공간(S)을 형성한다.
즉, 제1 접점(P1) 내지 제n 접점은 상기 변기(1)의 내주면에 표면장력에 의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본체부(10)가 변기물(2)의 표면에 지속적으로 부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물빠짐 공간(S)은 상기 본체부(10)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가 마련되므로, 상기와 같이 변기물(2)이 받겨지는 중 또는 용변 후 물내림 시 변기물(2)의 배출을 원할하게 한다.
또한, 도4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체부(10)에 의한 변기물 튀김 방지 효과, 냄새 확단 차단효과, 절개부(20)를 통한 용변의 낙하 및 냄새 확산 방지효과, 부력형성부(40)에 의한 부력 극대화 효과를 그대로 제공할 수 있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30)는 제1 연장부(31) 내지 제8 연장부(38)가 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n 연장부에서 n은 8인 자연수로 주어진 경우이다. 따라서, 상기 변기(1)의 내주면과 상기 연장부(30)가 접하는 접점은 제1 접점(P1) 내지 제8 접점(P8)으로 8개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n은 변기의 형태 또는 크기 등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각 연장부 사이에는 물빠짐 공간(S)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연장부(31)와 제2 연장부(32) 사이, 상기 제2 연장부(32)와 제3 연장부(33) 사이, 상기 제3 연장부(33)와 제4 연장부(34) 사이,상기 제4 연장부(34)와 제5 연장부(35) 사이, 상기 제5 연장부(35)와 제6 연장부(36) 사이, 상기 제6 연장부(36)와 제7 연장부(37) 사이, 및 상기 제7 연장부(37)와 제8 연장부(38) 사이에는 각각 물빠짐 공간(S)이 형성된다.
도6은 각 연장부(30)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영역이 변기(1)의 내주면과 접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부(30)가 본체부(10)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도4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더 길게 형성되고, 따라서 상기 연장부(30)의 소정의 영역이 상기 변기(1)의 내주면에 접하게 된다.
연장부(30)의 소정의 영역이 변기(1)의 내주면과 접하므로, 연장부(30)와 변기(1)의 내주면과의 표면장력이 증가하여 상기 본체부(10) 및 연장부(30)는 변기물(2)의 표면에 잘 부유하고, 쉽게 침몰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물빠짐 공간(S)을 구비하고, 상기 물빠진 공간(S)에 의한 작용 내지 효과는 그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6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체부(10)에 의한 변기물 튀김 방지 효과, 냄새 확단 차단효과, 절개부(20)를 통한 용변의 낙하 및 냄새 확산 방지효과, 부력형성부(40)에 의한 부력 극대화 효과를 그대로 제공할 수 있다.
도7은 본체부(10)의 가장자리가 변기(1)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배치되어 물빠짐 공간(S)을 형성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0)는 그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별도의 연장부(30)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에는 절개부(20) 및 부력형성부(40)를 형성될 수 있음은 도2의 실시예와 동일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0)의 외형은 대략적으로 타원형으로 형성되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7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체부(10)에 의한 변기물 튀김 방지 효과, 물빠짐 효과, 냄새 확단 차단효과, 절개부(20)를 통한 용변의 낙하 및 냄새 확산 방지효과, 부력형성부(40)에 의한 부력 극대화 효과를 그대로 제공할 수 있다.
도8은, 도2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본체부(10)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부(30)의 형태가 라운드진 형태인 것이 상이하다. 도8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장부(30)의 외곽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연장부(30)의 최외측은 상기 변기(1)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도8에 따르면, 도2와 마찬가지로 변기물(2)의 표면을 커버하는 면적을 확대할 수 있으면서도, 물빠짐 공간(S)을 통해 변기물(2)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그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8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체부(10)에 의한 변기물 튀김 방지 효과, 냄새 확단 차단효과, 절개부(20)를 통한 용변의 낙하 및 냄새 확산 방지효과, 부력형성부(40)에 의한 부력 극대화 효과를 그대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본체부 11... 상면
12... 하면 20... 절개부
30... 연장부 40... 부력형성부
1... 변기 2... 변기물
S... 물빠짐 공간

Claims (8)

  1. 변기(1)에 받아진 물 위에 부유하는 본체부(1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의 가장자리는 상기 변기(1)의 내주면과 이격된 공간을 갖도록 배치되어 물빠짐 공간(S)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중심부에는 대변 또는 소변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된 절개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각 연장부(30)의 단부는 상기 변기(1)의 내주면과 접하며,
    상기 연장부(30) 중 어느 하나인 제1 연장부가 상기 변기(1)의 내주면과 접하는 접점을 제1 접점이라고 하고, 상기 제1 연장부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n 연장부(n은 2 이상의 자연수)가 상기 변기(1)의 내주면과 접하는 접점을 제n 접점이라고 할때,
    서로 인접하는 접점을 연결하는 상기 본체부(10)의 가장자리는 상기 변기(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물빠짐 공간(S)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30)는, 상기 본체부(10)로부터 콘 형태로 돌출되어, 뽀족한 단부가 상기 변기(1)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30)는 상기 본체부(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각 연장부(30)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영역은, 상기 변기(1)의 내주면과 접하며,
    상기 각 연장부(30)가 상기 변기(1)의 내주면과 접하는 가장자리를 제외한 상기 연장부(30) 및 상기 본체부(10)의 가장자리는 상기 변기(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물빠짐 공간(S)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상면(11)에는 공기가 채워진 부력형성부(4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하면(12)은 사이징(sizing)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
KR1020210087860A 2021-07-05 2021-07-05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 KR102558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860A KR102558529B1 (ko) 2021-07-05 2021-07-05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860A KR102558529B1 (ko) 2021-07-05 2021-07-05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069A true KR20230007069A (ko) 2023-01-12
KR102558529B1 KR102558529B1 (ko) 2023-07-24

Family

ID=84923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860A KR102558529B1 (ko) 2021-07-05 2021-07-05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5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0269U (ja) * 1999-09-27 2000-07-28 章二 田中 便器汚染防止シ―ト
JP2005248594A (ja) * 2004-03-05 2005-09-15 Kido Toshihiro 洋式水洗便器用跳ね水防止具
JP2020076237A (ja) * 2018-11-07 2020-05-21 佐伯 午郎 便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0269B2 (ja) * 1992-06-30 2000-07-3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部品等のつか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0269U (ja) * 1999-09-27 2000-07-28 章二 田中 便器汚染防止シ―ト
JP2005248594A (ja) * 2004-03-05 2005-09-15 Kido Toshihiro 洋式水洗便器用跳ね水防止具
JP2020076237A (ja) * 2018-11-07 2020-05-21 佐伯 午郎 便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529B1 (ko) 202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417Y1 (ko) 대소변 분리형 좌변기
KR102558529B1 (ko) 변기물 튀김 방지용 시트지
US9968229B2 (en) Hygienic protector, particularly for the collection and separation of human solid excrement
CN105507403A (zh) 一种全自动油封式马桶
JP7289631B2 (ja) 便器シート
JP2015113677A (ja) 尿及び便器洗浄水の飛散防止方法及び水洗式便器
JP2007070995A (ja) リップ付き洋風大便器
CN210002521U (zh) 一种防泼溅的马桶改进结构
JP5303821B2 (ja) 洋式便器
KR20190002981U (ko) 탈부착이 가능한 소변 튐 방지 기구가 마련된 양변기
KR200497982Y1 (ko) 소변기 겸용 좌변기
CN216130300U (zh) 一种便池防溅水浮卫生球
JP2006063549A (ja) 水跳ねを防止する浮き球体水跳ね防止器
CN205421476U (zh) 一种大小便器
KR200224145Y1 (ko) 물 튀김 방지용 매트
CN213682387U (zh) 一种防溅性的触摸智能马桶
US11828053B2 (en) Urine containment and deodorizing device
KR20110034944A (ko) 양변기 좌대
CN113482116A (zh) 一种便池防溅水浮卫生球
JP3101536U (ja) 排便目視検査用受紙
CN107460928A (zh) 防溅水马桶
KR200455900Y1 (ko) 소변기용 탈취제 케이스
JPH0913466A (ja) 水洗便器の水滴跳ね上がり防止方法とそれに用いる浮体および水洗便器
CN206205094U (zh) 一种无臭泡沫洁具
JP2006214264A (ja) 小便飛跳ね軽減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