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7063A -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회로, 및 노이즈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회로, 및 노이즈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7063A
KR20230007063A KR1020210087849A KR20210087849A KR20230007063A KR 20230007063 A KR20230007063 A KR 20230007063A KR 1020210087849 A KR1020210087849 A KR 1020210087849A KR 20210087849 A KR20210087849 A KR 20210087849A KR 20230007063 A KR20230007063 A KR 20230007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reference voltage
voltage
data
driv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윤
탁정현
김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to KR1020210087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7063A/ko
Priority to CN202210769862.5A priority patent/CN115588399A/zh
Priority to US17/857,501 priority patent/US11676519B2/en
Publication of KR20230007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2Filtering of noise external to the device and not generated by digitiser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2Test circuits or failure detection circuits included in a display system, as permanent part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8Details of image data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line driver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4Use of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for display data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전송 라인의 포지티브 라인과 네거티브 라인 사이에서 공통 모드 전압을 센싱하고, 공통 모드 전압을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전송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회로, 및 노이즈 검출 방법{DISPLAY APPARATUS, NOISE DETECTION CIRCUIT FOR A DISPLAY SIGNAL, AND NOISE DECTION METHOD}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회로 및 노이즈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가 진전되면서 정보를 시각화할 수 있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액정디스플레이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장치, PDP(Plasma Display Panel)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최근까지 개발되었거나 개발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고해상 이미지를 적절히 표시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한편, LED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방식과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이 있다. PAM 방식은 화소의 계조값에 대응되는 아날로그전압을 화소로 공급하고, 아날로그전압에 따라 화소로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다르게 제어하는 방식이며. PWM 방식은 화소의 계조값에 따라 화소로 공급되는 전류의 시간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며, 각 화소에 포함된 발광 다이오드(예: LED)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함으로써 원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원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컨트롤러(예: 타이밍 컨트롤러(T-CON))로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적절한 포맷의 데이터(예: RGB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구동 회로(예: 소스 드라이버(source driver IC)(SD-IC)로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 회로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각 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전압을 각 화소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효과적이고 빠른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저전압 차등 신호(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 LVDS) 전송 라인을 통해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전압 차등 신호 전송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noise)(예컨대, 폰 노이즈(phone noise))에 의한 간섭이 야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저전압 차등 신호 전송 라인 근처에 스마트 폰 등이 위치하고, 상기 스마트 폰을 통해 통화를 하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스마트 폰에서 송수신되는 고주파 신호(예컨대, 수 GHz 내지 수십 GHz 대역의 신호)가 상기 저전압 차등 신호 전송 라인 상에 간섭을 야기하여 영상 데이터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불량이 발생한 영상 데이터에 의해 화면을 출력함으로써 화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일 측면에서, 컨트롤러(예: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데이터 구동 회로(예: SD-IC)로 연결되는 저전압 차등 신호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검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회로, 및 노이즈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라인을 통해 복수의 화소들이 배치되는 패널의 각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 회로; 및 입력된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는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제2 영상 데이터를 저전압 차등 신호(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 LVDS) 전송 라인을 통해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로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는,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된 상기 LVDS 전송 라인의 포지티브 라인과 네거티브 라인 사이에서 LVDS의 공통 모드 전압을 센싱하고, 상기 공통 모드 전압을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LVDS 전송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노이즈 검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회로에 있어서, 컨트롤러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저전압 차등 신호(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 LVDS) 전송 라인; 상기 LVDS 전송 라인의 포지티브 라인과 네거티브 라인 사이에서 직렬 연결된 제1 저항과 제2 저항; 상기 직렬 연결된 제1 저항과 제2 저항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LVDS의 공통 모드 전압을 센싱하고, 상기 공통 모드 전압을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LVDS 전송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노이즈 검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회로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방법에 있어서, 컨트롤러로 입력된 제1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 회로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는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제2 영상 데이터를 저전압 차등 신호(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 LVDS) 전송 라인을 통해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된 상기 LVDS 전송 라인의 포지티브 라인과 네거티브 라인 사이에서 LVDS의 공통 모드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모드 전압을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LVDS 전송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컨트롤러(예: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데이터 구동 회로(예: SD-IC)로 연결되는 저전압 차등 신호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검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락 신호 발생 회로에 의한 검출 방법에 비해 통신 라인의 노이즈가 발생하는 초기 구간에서 노이즈를 미리 검출함으로써 화질의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 회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압 차등 신호의 전송 라인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검출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비교부의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발생 여부 판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플래그가 전송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패널(110), 데이터 구동회로(120), 게이트 구동회로(130), 데이터 처리회로(140), 전원 관리 집적회로(PMIC; power management IC)(150), 및 터치 센싱 회로(16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110)에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DL) 및 복수의 게이트 라인(GL)이 배치되고, 복수의 화소(P)가 배치될 수 있다. 패널(110)(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LED 패널일 수 있다. 이때, 패널(110)에 배치되는 화소(P)들은 LED 및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110)(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때, 패널(110)에 배치되는 화소(P)들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및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패널(110)은 LCD 패널일 수도 있다.
한편, 패널(110)에는 복수의 터치 전극(TE)들이 배치되고, 터치 센싱 회로(160)는 구동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전극(TE)을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센싱 회로(160)는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터치 전극(TE)에 형성되는 반응신호에 따라 터치 전극(TE)에 대한 센싱값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센싱 회로(160)는 패널(110)에 배치되는 복수의 터치 전극(TE)에 대한 센싱값을 이용하여 터치 좌표를 계산할 수 있으며, 계산된 터치 좌표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호스트 또는 컨트롤러(예: 터치 컨트롤러(touch MCU; TMCU) 또는 타이밍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로 전송되어 활용될 수 있다.
패널(110)은 소정 계조의 영상을 표시하거나 손(또는 손가락) 또는 액티브 펜(또는 전자 펜)에 의한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패널(110)은 정전용량방식을 이용한 인셀(In-cell) 터치 타입의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패널(110)은 자기정전용량(Self Capacitance) 방식을 이용한 인셀 터치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호정전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을 이용한 인셀 터치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모드와 터치 센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패널(110)이 LCD 패널인 경우 디스플레이 모드 동안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고, 터치 센싱 모드 동안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패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회로(130)는 턴 온 전압 혹은 턴 오프 전압의 스캔 신호를 게이트 라인(GL)으로 공급할 수 있다. 턴 온 전압의 스캔 신호가 화소(P)로 공급되면 해당 화소(P)는 데이터 라인(DL)과 연결되고 턴 오프 전압의 스캔 신호가 화소(P)로 공급되면 해당 화소(P)와 데이터 라인(DL)의 연결은 해제된다.
데이터 구동회로(120)는 데이터 라인(DL)으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DL)으로 공급된 데이터 전압은 스캔 신호에 따라 데이터 라인(DL)과 연결된 화소(P)로 전달되게 된다.
데이터 처리회로(140)는 게이트 구동회로(130) 및 데이터 구동회로(120)로 각종 제어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회로(14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이 시작되도록 하는 게이트 제어신호(GCS)를 생성하여 게이트 구동회로(1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회로(14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이하, '제1 영상 데이터'라 한다.)를 데이터 구동회로(12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는 영상 데이터(예: RGB 데이터)(이하, '제2 영상 데이터'라 한다.)로 전환하고, 상기 전환한 영상 데이터(예: RGB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회로(12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회로(150)는 각 타이밍에 맞게 데이터구동회로(120)가 각 화소(P)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구동회로(120)는 소스 드라이버(source driver; SD)라는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 구동회로(130)는 게이트 드라이버(gate driver; GD)라는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회로(140)는 컨트롤러 또는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 T-CON)라는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120)는 하나의 집적회로에 포함되어 있으면서, 소스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SD-IC)라는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동회로(120), 및 데이터 처리회로는 하나의 집적회로에 포함되어 있으면서, 통합 IC라는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이러한 명칭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아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소스 드라이버, 게이트 드라이버, 타이밍 컨트롤러 등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일부 구성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는 이러한 일부 구성들이 생략되어 있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전원 관리 집적회로(150)는 패널(110), 데이터 구동회로(120), 게이트 구동회로(130), 데이터 처리회로(140), 또는 터치 센싱 회로(16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관리 집적회로(150)는 전력 라인을 통해 구동 전압(DRV)을 패널(110), 데이터 구동회로(120), 게이트 구동회로(130), 데이터 처리회로(140), 또는 터치 센싱 회로(160)로 송신함으로써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동일 전압 또는 다른 전압값을 갖는 구동전압(DRV)이 각각의 회로에 인가될 수 있다. 전원 관리 집적회로(150)는 패널(110), 데이터 구동회로(120), 게이트 구동회로(130), 데이터 처리회로(140), 터치 센싱 회로(160)의 전력 공급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 처리회로(14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제1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회로(12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는 영상 데이터(제2 영상 데이터)(예: RGB 데이터)로 전환하고, 상기 전환한 영상 데이터(예: RGB 데이터)를 저전압 차등 신호(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 LVDS) 전송 라인을 통해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120)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LVDS 전송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제2 영상 데이터는 주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예컨대, 폰 노이즈(phone noise))에 의한 간섭이 야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저전압 차등 신호 전송 라인 근처에 스마트 폰 등이 위치하고, 상기 스마트 폰을 통해 통화를 하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스마트 폰에서 송수신되는 고주파 신호(예컨대, 수 GHz 내지 수십 GHz 대역의 신호)가 상기 저전압 차등 신호 전송 라인 상에 간섭을 야기하여 영상 데이터에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데이터 구동 회로(120)는 상기 불량이 발생한 영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각 화소(P)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패널(110)을 통해 표시되는 화면상에 화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저전압 차등 신호 전송 라인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검출하여 화질 문제 발생을 방지하고, 화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트롤러(140)(예: 타이밍 컨트롤러(T-CON)) 및 데이터 구동 회로(120)(예: 소스 드라이버 IC(SD-IC))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제1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회로(12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는 영상 데이터(제2 영상 데이터)(예: RGB 데이터)로 전환하고, 상기 전환한 영상 데이터(제2 영상 데이터)(예: RGB 데이터)를 저전압 차등 신호(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 LVDS) 전송 라인을 통해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140)의 송신 회로(210)는 상기 저전압 차등 신호 전송 라인의 포지티브 단자(211)(A+(P)) 및 네거티브 단자(212)(B-(N))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저전압 차등 신호 전송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전압을 갖는 신호로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LVDS 전송 라인을 통한 전송 방식은 공지된 방법들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LVDS 전송 방식은 공지된 방법들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120)의 수신 회로(220)는 상기 LVDS 전송 라인의 포지티브 단자(221)(A+(P)) 및 네거티브 단자(222)(B-(N))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140)와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120) 사이에 연결된 상기 LVDS 전송 라인 상에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 노이즈(401)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LVDS 전송 라인 근처에 스마트 폰 등이 위치하고, 상기 스마트 폰을 통해 통화를 하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스마트 폰에서 송수신되는 고주파 신호(예컨대, 수 GHz 내지 수십 GHz 대역의 신호)가 상기 LVDS 전송 라인 상에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120)는 노이즈 검출부(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에 의해 상기 LVDS 전송 라인 상에 발생한 노이즈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마트 폰에 의한 폰 노이즈는 상기 LVDS 전송 라인 상에서 상기 LVDS와 동일 위상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LVDS 전송 선로의 공통 모드(common mode) 전압(VCM)에 동일한 노이즈(Z0)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120)는 상기 수신 회로(220)에 연결되는 LVDS 전송 라인의 포지티브 단자(221)(A+(P))와 네거티브 단자(222)(B-(N)) 사이에서 2개의 저항(예컨대, 터미네이션(termination) 저항(RT))(231, 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저항은 직렬 연결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제1 저항(RT)(231)과 제2 저항(RT)(232)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저항(231)의 저항값과 상기 제2 저항(232)의 저항값(resistance)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으며,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저항(231)과 상기 제2 저항(232) 사이의 전압은 상기 LVDS의 공통 모드(common mode) 전압(VCM)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저항(231)의 저항값과 상기 제2 저항(232)의 저항값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공통 모드 전압(VCM)은 상기 포지티브 단자(221)(A+(P))의 전압과 네거티브 단자(222)(B-(N))의 전압에 대한 중간 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저항(231)과 상기 제2 저항(232) 사이에 커패시터(240)(예: 터미네이션 커패시터(CTERM))의 일 단이 연결되고, 상기 커패시터(240)의 타 단은 접지(ground; GND)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는 상기 직렬 연결된 제1 저항(231)과 제2 저항(232)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LVDS의 공통 모드 전압(VCM)을 센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는 상기 공통 모드 전압을 적어도 하나의 기준 전압(Vref)과 비교하여 상기 LVDS 전송 라인 상에서 발생한 노이즈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는 상기 센싱된 공통 모드 전압이 설정된 제1 기준 전압(V1)보다 큰 경우, 노이즈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는 상기 센싱된 공통 모드 전압이 설정된 제2 기준 전압(V2)보다 작은 경우, 노이즈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 전압(V2)은 상기 제1 기준 전압(V1)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는 상기 센싱된 공통 모드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V1)과 제2 기준 전압(V2) 사이일 경우 상기 LVDS 전송 라인 상에서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준 전압(V1) 또는 상기 제2 기준 전압(V2)은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120)에서 설정된 설정값 또는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120)의 외부에서 수신된 설정값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기준 전압(V1) 또는 상기 제2 기준 전압(V2)을 조정함으로써 노이즈 검출의 감도(sensitivity) 또는 민감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는, 상기 공통 모드 전압과 상기 제1 기준 전압 또는 상기 제2 기준 전압의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노이즈 플래그(noise flag)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는 상기 센싱된 공통 모드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크거나, 상기 제2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노이즈 플래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는 상기 노이즈 플래그를 발생시킨 후, 설정된 시간만큼 노이즈 플래그의 발생을 지속시킬 수 있다. 상기 노이즈 플래그의 지속 시간(L)을 가변시킴으로써 노이즈 검출의 감도(sensitivity) 또는 민감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플래그는 노이즈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노이즈 플래그가 '0'인 경우 노이즈가 발생한 것을 의미하도록 설정하거나, 노이즈 플래그가 '1'인 경우 노이즈가 발생한 것을 의미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로부터 출력되는 노이즈 플래그는 상기 노이즈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노이즈 플래그는 상기 컨트롤러(140)(예: 타이밍 컨트롤러(T-CON)), 전력 관리 집적 회로(150), 터치 컨트롤러(예: TMCU(touch MCU), SRIC(source driver and touch readout IC), 또는 ROIC(touch readout IC)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로부터 노이즈 플래그를 수신한 데이터 구동 회로(120)는 화면을 갱신시키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로부터 노이즈 플래그를 수신한 컨트롤러(140)(예: 타이밍 컨트롤러(T-CON))는 영상 데이터(예: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LVDS 전송 라인을 통해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120)로 재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로부터 노이즈 플래그를 수신한 컨트롤러(140)는 자동 VID 기능에 따라 상기 LVDS 전송 라인의 전압을 증가시켜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 회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구동 회로(120)는 수신 회로(220), 노이즈 검출부(250), 락 신호 발생 회로(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설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120)의 수신 회로(220)는 LVDS 전송 라인의 포지티브 단자(221)(A+(P)) 및 네거티브 단자(222)(B-(N))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140)와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120) 사이에 연결된 상기 LVDS 전송 라인 상에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 노이즈(401)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LVDS 전송 라인 근처에 스마트 폰 등이 위치하고, 상기 스마트 폰을 통해 통화를 하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스마트 폰에서 송수신되는 고주파 신호(예컨대, 수 GHz 내지 수십 GHz 대역의 신호)가 상기 LVDS 전송 라인 상에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120)는 수신 회로(220)에 연결되는 락 신호 발생 회로(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 신호 발생 회로(310)는 상기 컨트롤러(140)로부터 수신된 상기 영상 데이터(제2 영상 데이터)에 노이즈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클럭 트레이닝 회로(clock training circuit)를 통해 락(lock) 신호(Lock_out)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락 신호는 상기 LVDS 전송 라인 상에서 노이즈가 심해진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LVDS 라인의 노이즈가 발생하는 초기 구간에서는 검출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LVDS 라인의 노이즈가 발생하는 초기 구간에서 상기 락 신호 발생 회로(310)가 노이즈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노이즈 검출부(250)를 통해 노이즈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120)는 노이즈 검출부(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에 의해 상기 LVDS 전송 라인 상에 발생한 노이즈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마트 폰에 의한 폰 노이즈는 상기 LVDS 전송 라인 상에서 상기 LVDS와 동일 위상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LVDS 전송 선로의 공통 모드(common mode) 전압(VCM)에 동일한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120)는 상기 수신 회로(220)에 연결되는 LVDS 전송 라인의 포지티브 단자(221)(A+(P))와 네거티브 단자(222)(B-(N)) 사이에서 2개의 저항(예컨대, 터미네이션(termination) 저항(RT))(231, 23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는 상기 직렬 연결된 제1 저항(231)과 제2 저항(232)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LVDS의 공통 모드 전압(VCM)을 센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는 상기 공통 모드 전압을 적어도 하나의 기준 전압(Vref)과 비교하여 상기 LVDS 전송 라인 상에서 발생한 노이즈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는 제1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251), 제2 DAC(252), 및 노이즈 비교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DAC(251)는 제1 기준 전압(V1)에 대응하는 디지털 설정값을 입력받아, 해당하는 아날로그 전압 신호 V1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DAC(252)는 제2 기준 전압(V2)에 대응하는 디지털 설정값을 입력받아, 해당하는 아날로그 전압 신호 V2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DAC(251) 또는 제2 DAC(252)로 입력되는 디지털 설정값은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120)에서 설정되거나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120)의 외부에서 수신도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기준 전압(V1) 또는 상기 제2 기준 전압(V2)을 조정함으로써 노이즈 검출의 감도(sensitivity) 또는 민감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비교부(253)는 상기 센싱된 공통 모드 전압을 상기 제1 DAC(251)에서 출력된 제1 기준 전압(V1) 또는 상기 제2 DAC(252)에서 출력된 제2 기준 전압(V2)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는 노이즈 플래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노이즈 비교부(253)는 상기 센싱된 공통 모드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V1)보다 큰 경우, 노이즈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노이즈 플래그를 '0'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이즈 비교부(253)는 상기 센싱된 공통 모드 전압이 상기 제2 기준 전압(V2)보다 작은 경우, 노이즈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노이즈 플래그를 '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 전압(V2)은 상기 제1 기준 전압(V1)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노이즈 비교부(253)는 상기 센싱된 공통 모드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V1)과 제2 기준 전압(V2) 사이일 경우 상기 LVDS 전송 라인 상에서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 신호로 판단하고, 노이즈 플래그를 '1'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플래그는 노이즈가 발생한 상태를 '0'으로 설정하고,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플래그는 노이즈가 발생한 상태를 '1'로 설정하고,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는, 노이즈가 발생한 상태가 '0'으로 설정된 것을 가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는 상기 노이즈 플래그를 발생시킨 후, 설정된 시간만큼 노이즈 플래그의 발생을 지속시킬 수 있다. 상기 노이즈 플래그의 지속 시간(L)을 가변시킴으로써 노이즈 검출의 감도(sensitivity) 또는 민감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로부터 출력되는 노이즈 플래그는 상기 노이즈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노이즈 플래그는 상기 컨트롤러(140)(예: 타이밍 컨트롤러(T-CON)), 전력 관리 집적 회로(150), 터치 컨트롤러(예: TMCU(touch MCU), SRIC(source driver and touch readout IC), 또는 ROIC(touch readout IC)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로부터 노이즈 플래그를 수신한 데이터 구동 회로(120)는 화면을 갱신시키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로부터 노이즈 플래그를 수신한 컨트롤러(140)(예: 타이밍 컨트롤러(T-CON))는 영상 데이터(예: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LVDS 전송 라인을 통해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120)로 재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로부터 노이즈 플래그를 수신한 컨트롤러(140)는 자동 VID 기능에 따라 상기 LVDS 전송 라인의 전압을 증가시켜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저전압 차등 신호의 전송 라인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2 및 도 3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120)의 수신 회로(220)는 상기 LVDS 전송 라인의 포지티브 단자(221)(A+(P)) 및 네거티브 단자(222)(B-(N))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LVDS 전송 라인 상에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원인에 의해 노이즈(401)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LVDS 전송 라인 근처에 스마트 폰 등이 위치하고, 상기 스마트 폰을 통해 통화를 하거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스마트 폰에서 송수신되는 고주파 신호(예컨대, 수 GHz 내지 수십 GHz 대역의 신호)가 상기 LVDS 전송 라인 상에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다. 기준 전압 이상의 노이즈 신호가 상기 LVDS 전송 라인의 포지티브 단자(221)(A+(P)) 및 네거티브 단자(222)(B-(N))를 통해 유입되는 경우, 전술한 공통 모드 전압은 노이즈 신호와 동일한 위상 및 진폭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구동 회로(120)는 노이즈 검출부(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에 의해 공통 모드 전압(VCM)을 센싱함으로써 상기 LVDS 전송 라인 상에 발생한 노이즈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1 시간 내지 t4 시간 동안에는 노이즈 신호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t4 시간 내지 t8 시간 동안에는 노이즈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이즈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t1 시간 내지 t4 시간 동안에는 VCM이 LVDS에 따른 일정한 전압값을 가짐으로써 V1과 V2 사이를 유지하게 되나, 노이즈 신호가 발생하는 t4 시간 내지 t8 시간 동안에는 공통 모드 전압(VCM)이 노이즈 신호와 동일한 위상 및 진폭으로 움직임에 따라 V1과 V2 사이를 벗어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노이즈 검출부(250)는 상기 공통 모드 전압을 V1 및/또는 V2와 비교함으로써 노이즈 신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는 노이즈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t1 시간 내지 t4 시간 동안 공통 모드 전압(VCM)이 V1과 V2 사이를 유지함에 따라 노이즈 플래그를 '1'로 유지시킴으로써 해당 구간에서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음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는 노이즈 신호가 발생하는 t4 시간 내지 t8 시간 동안 공통 모드 전압(VCM)이 V1과 V2 사이를 벗어남에 따라 노이즈 플래그를 '1'에서 '0'으로 전환하여 출력시킴으로써 해당 구간에서 노이즈가 발생함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검출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비교부(253)는 센싱된 공통 모드 전압(VCM)을 제1 DAC(251)에서 출력된 제1 기준 전압(V1) 또는 제2 DAC(252)에서 출력된 제2 기준 전압(V2)과 비교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는 노이즈 플래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노이즈 비교부(253)는 상기 센싱된 공통 모드 전압이 상기 제1 기준 전압(V1)보다 크거나, 제2 기준 전압(V2)보다 작은 경우, 노이즈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노이즈 플래그를 '0'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 전압(V2)은 상기 제1 기준 전압(V1)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플래그는 노이즈가 발생한 상태를 '0'으로 설정하고,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플래그는 노이즈가 발생한 상태를 '1'로 설정하고,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검출부(250)는 상기 노이즈 플래그를 발생시킨 후, 설정된 시간만큼 노이즈 플래그의 발생을 지속시킬 수 있다. 상기 노이즈 플래그의 지속 시간(L)을 가변시킴으로써 노이즈 검출의 감도(sensitivity) 또는 민감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플래그는 노이즈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노이즈 플래그가 '0'인 경우 노이즈가 발생한 것을 의미하도록 설정하거나, 노이즈 플래그가 '1'인 경우 노이즈가 발생한 것을 의미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비교부의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3의 노이즈 비교부(253)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 회로(또는 논리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노이즈 비교부(253)는 제1 감산기(611), 제2 감산기(612), NOR 게이트(6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감산기(611)는 V2 전압과 VCM 간의 차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산기(611)는 노이즈가 발생하여 VCM이 V2보다 작은 경우 양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산기(612)는 노이즈가 발생하여 VCM이 V1보다 큰 경우 양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NOR 게이트(620)는 상기 제1 감산기(611) 또는 제2 감산기(612)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이 양의 신호일 경우 '0'을 노이즈 플래그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플래그가 '0'으로 출력됨에 따라 노이즈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감산기(611)는 VCM이 V2보다 큰 값이 되어 음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산기(612)는 VCM이 V1보다 작은 값이 되어 음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NOR 게이트(620)는 상기 제1 감산기(611) 및 제2 감산기(612) 모두 음의 신호일 경우 '1'을 노이즈 플래그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 플래그가 '1'로 출력됨에 따라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발생 여부 판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라, 노이즈 비교부(253)는 센싱된 공통 모드 전압(VCM)을 제1 DAC(251)에서 출력된 제1 기준 전압(V1) 또는 제2 DAC(252)에서 출력된 제2 기준 전압(V2)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노이즈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노이즈 비교부(253)는 상기 센싱된 공통 모드 전압(VCM)이 상기 제1 기준 전압(V1)보다 크거나, 제2 기준 전압(V2)보다 작은 경우, 노이즈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노이즈 비교부(253)는 상기 센싱된 공통 모드 전압(VCM)이 상기 제1 기준 전압(V1)과 제2 기준 전압(V2) 사이에 해당하는 경우,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 동작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플래그가 전송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패널(110) 및 복수의 데이터 구동 회로(120a, 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데이터 구동 회로(120a, 120b)(예컨대, 노이즈 검출부(250))로부터 출력되는 노이즈 플래그는 상기 노이즈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노이즈 플래그는 상기 컨트롤러(140)(예: 타이밍 컨트롤러(T-CON)), 전력 관리 집적 회로(150), 터치 컨트롤러(810)(예: TMCU(touch MCU), SRIC(source driver and touch readout IC), ROIC(touch readout IC), 또는 다른 고밀도 집적 회로(얘: L/S(large scale) IC)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데이터 구동 회로(120a)로부터 출력되는 제1 노이즈 플래그는 상기 컨트롤러(140), 전력 관리 집적 회로(150), 터치 컨트롤러(810), SRIC, ROIC, 또는 다른 고밀도 집적 회로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으며, 제2 데이터 구동 회로(120b)로부터 출력되는 제2 노이즈 플래그는 상기 컨트롤러(140), 전력 관리 집적 회로(150), 터치 컨트롤러(810), SRIC, ROIC, 또는 다른 고밀도 집적 회로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각 데이터 구동 회로(120a, 120b)(예컨대, 노이즈 검출부(250))로부터 출력된 노이즈 플래그를 수신한 컨트롤러(140)(예: 타이밍 컨트롤러(T-CON))는 영상 데이터(예: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LVDS 전송 라인을 통해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120)로 재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데이터 구동 회로(120a, 120b)(예컨대, 노이즈 검출부(250))로부터 출력되는 노이즈 플래그를 수신한 컨트롤러(140)는 자동 VID 기능에 따라 상기 LVDS 전송 라인의 전압을 증가시켜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러(140)는 컨트롤러(140)로 입력된 제1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 회로(12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는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시킬 수 있다.(910 단계)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140)는 변환된 제2 영상 데이터를 LVDS 전송 라인을 통해 데이터 구동 회로(120)로 전송할 수 있다.(920 단계)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120)는 상기 컨트롤러(140)와 연결된 LVDS 전송 라인의 포지티브 라인과 네거티브 라인 사이에서 LVDS의 공통 모드 전압(VCM)을 센싱할 수 있다.(930 단계)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120)는 상기 공통 모드 전압을 설정된 기준 전압(예컨대, 제1 기준 전압(V1) 또는 제2 기준 전압(V2))과 비교하여 LVDS 전송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제2 영상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940 단계)

Claims (22)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라인을 통해 복수의 화소들이 배치되는 패널의 각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 회로; 및
    입력된 제1 영상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는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제2 영상 데이터를 저전압 차등 신호(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 LVDS) 전송 라인을 통해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로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는,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된 상기 LVDS 전송 라인의 포지티브 라인과 네거티브 라인 사이에서 LVDS의 공통 모드 전압을 센싱하고, 상기 공통 모드 전압을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LVDS 전송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노이즈 검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는,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된 상기 LVDS 전송 라인의 포지티브 라인과 네거티브 라인 사이에서 직렬 연결된 제1 저항과 제2 저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 검출부는,
    상기 직렬 연결된 제1 저항과 제2 저항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LVDS의 공통 모드 전압을 센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는,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노이즈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클럭 트레이닝 회로를 통해 락 신호를 발생시키는 락 신호 발생 회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검출부는,
    상기 공통 모드 전압이 설정된 제1 기준 전압보다 크거나, 설정된 제2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노이즈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작게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전압 또는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에서 수신된 설정값에 의해 조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검출부는,
    상기 공통 모드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의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노이즈 플래그를 발생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플래그의 지속 시간은 설정에 의해 조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는,
    상기 노이즈 검출부의 판단 결과, 노이즈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갱신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는,
    상기 노이즈 검출부의 판단 결과, 노이즈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노이즈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 전력 관리 집적 회로, 터치 컨트롤러, SRIC(source driver and touch readout IC), 및 ROIC(touch readout IC)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회로에 있어서,
    컨트롤러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저전압 차등 신호(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 LVDS) 전송 라인;
    상기 LVDS 전송 라인의 포지티브 라인과 네거티브 라인 사이에서 직렬 연결된 제1 저항과 제2 저항;
    상기 직렬 연결된 제1 저항과 제2 저항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LVDS의 공통 모드 전압을 센싱하고, 상기 공통 모드 전압을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LVDS 전송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노이즈 검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회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검출부는,
    상기 공통 모드 전압이 설정된 제1 기준 전압보다 크거나, 설정된 제2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노이즈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작게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전압 또는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에서 수신된 설정값에 의해 조정되는,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회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검출부는,
    상기 공통 모드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의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노이즈 플래그를 발생시키는,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회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플래그의 지속 시간은 설정에 의해 조정되는,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회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검출 회로는,
    상기 노이즈 검출부의 판단 결과, 노이즈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노이즈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 전력 관리 집적 회로, 또는 터치 컨트롤러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회로.
  17.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방법에 있어서,
    컨트롤러로 입력된 제1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 회로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는 제2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제2 영상 데이터를 저전압 차등 신호(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 LVDS) 전송 라인을 통해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된 상기 LVDS 전송 라인의 포지티브 라인과 네거티브 라인 사이에서 LVDS의 공통 모드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모드 전압을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LVDS 전송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에 대한 노이즈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공통 모드 전압이 설정된 제1 기준 전압보다 크거나, 설정된 제2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노이즈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상기 제1 기준 전압보다 작게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전압 또는 상기 제2 기준 전압은,
    상기 데이터 구동회로에서 수신된 설정값에 의해 조정되는,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공통 모드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의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노이즈 플래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플래그의 지속 시간은 설정에 의해 조정되는,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판단 결과, 노이즈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갱신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방법.
KR1020210087849A 2021-07-05 2021-07-05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회로, 및 노이즈 검출 방법 KR20230007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849A KR20230007063A (ko) 2021-07-05 2021-07-05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회로, 및 노이즈 검출 방법
CN202210769862.5A CN115588399A (zh) 2021-07-05 2022-06-30 数据驱动电路、显示信号的噪声检测方法和显示设备
US17/857,501 US11676519B2 (en) 2021-07-05 2022-07-05 Data driving circuit, method for detecting noise of display signal, and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849A KR20230007063A (ko) 2021-07-05 2021-07-05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회로, 및 노이즈 검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063A true KR20230007063A (ko) 2023-01-12

Family

ID=8477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849A KR20230007063A (ko) 2021-07-05 2021-07-05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회로, 및 노이즈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76519B2 (ko)
KR (1) KR20230007063A (ko)
CN (1) CN115588399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49910B (en) * 2006-10-19 2011-10-0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Driver device and related image transmission device of flat panel display
KR20080089868A (ko) * 2007-04-02 2008-10-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차동 신호 전송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평판표시장치
TWI407421B (zh) * 2009-02-17 2013-09-01 Au Optronics Corp 用於驅動一液晶顯示面板之驅動裝置
US20110102395A1 (en) * 2009-11-04 2011-05-05 Himax Technologies Limited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halt and resume of scanning an lcd
KR20120130355A (ko) * 2011-05-23 2012-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155144A (ko) 2020-06-15 2021-12-22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구동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12603A (ko)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구동장치 및 데이터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76519B2 (en) 2023-06-13
CN115588399A (zh) 2023-01-10
US20230005401A1 (en)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8079B1 (en) Over-current control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dpoting the same
KR102371182B1 (ko) 표시장치, 패널 결함 검출 시스템 및 패널 결함 검출 방법
US9176629B2 (en) Pixel unit, method for sensing touch of an object, and display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US20170004753A1 (en) Display driving circuit having burn-in relaxing function and display driv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605367B1 (ko) 터치 표시 장치, 구동 방법 및 구동 회로
EP2592616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180024283A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60083157A (ko) 컨트롤러, 유기발광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60046041A (ko) 표시장치 및 전원제어장치
US8907939B2 (en) Frame maintaining circuit and frame maintaining method
KR20160078634A (ko) 유기발광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70039003A (ko) 타이밍 컨트롤러, 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1450265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2663628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전압 제어 방법
US10775931B2 (en) Touch display device having a power output circuit, controller, and touch display panel
KR20200074618A (ko) 표시장치
KR20220099169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전원 설정 방법
JP2007164160A (ja) ディスプレイイメージの輝度を制御するシステム
KR100932988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240119883A1 (en) Pixel driving circuit and display panel
KR20080060527A (ko)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3000706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회로, 및 노이즈 검출 방법
KR102433500B1 (ko) 터치 표시 장치, 구동 방법 및 구동 회로
KR20170081050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타이밍 컨트롤러 및 타이밍 컨트롤러의 구동 방법
KR102253684B1 (ko) 표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