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144A -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구동장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구동장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144A
KR20210155144A KR1020200072284A KR20200072284A KR20210155144A KR 20210155144 A KR20210155144 A KR 20210155144A KR 1020200072284 A KR1020200072284 A KR 1020200072284A KR 20200072284 A KR20200072284 A KR 20200072284A KR 20210155144 A KR20210155144 A KR 20210155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level
communication line
oper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석
문용환
김명유
조현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to KR1020200072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5144A/ko
Priority to US17/343,526 priority patent/US20210390924A1/en
Priority to TW110121096A priority patent/TW202213320A/zh
Priority to CN202110661639.4A priority patent/CN113808511A/zh
Publication of KR20210155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09G5/008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3/209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flat pan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not related to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or to communication of data to the pixels by means of a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5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8Details of image data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line driver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0Use of a protocol of communication by packets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구동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시에 데이터처리장치의 요청에 따라 내부 동작 상태를 데이터처리장치에 제공하는 데이터구동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구동장치, 방법 및 시스템{DATA DRIVING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DRIVING DISPLAY DEVICE}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구동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화소로 구성되고, 각 화소는 R(red), G(green), B(blue) 등의 서브화소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서브화소는 영상데이터에 따른 계조(greyscale)로 발광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영상데이터는 타이밍컨트롤러로 호칭되는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소스드라이버로 호칭되는 데이터구동장치로 송신된다. 영상데이터는 디지털값으로 송신되는데, 데이터구동장치는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전압으로 변환하여 각각의 서브화소를 구동하게 된다.
영상데이터는 각 화소의 계조값을 개별적으로 혹은 독립적으로 지시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에 배치되는 화소의 수가 증가할수록 영상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 레이트가 증가할수록 단위 시간에 송신해야하는 영상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최근 디스플레이 패널이 고해상화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배치되는 화소의 수와 프레임 레이트가 모두 증가하고 있으며, 고해상화에 따라 증가된 영상데이터의 양을 처리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데이터통신이 고속화되고 있다.
한편,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의 초기 구동, 즉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된 직후에는 데이터처리장치와 데이터구동장치 간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고속통신 환경의 설정을 해야만 한다.
여기서, 고속통신 환경에 대한 설정 처리를 고속의 데이터통신을 통해 수행하는 경우에는 빠른 동작으로 인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고속통신 환경에 대한 설정 처리는 고속에 비해 낮은 통신 주파수를 가지는 저속의 데이터통신으로 수행하고 있다.
데이터구동장치는 위와 같은 데이터처리장치와의 저속 데이터통신을 수행, 즉 고속통신 환경에 대한 설정 처리를 수행한 후에 클럭 트레이닝을 통해 통신클럭을 동기화한다.
위와 같이 클럭 트레이닝을 완료한 후에는 고속의 데이터통신을 통해 데이터처리장치가 데이터구동장치에 영상데이터 신호를 송신하여 데이터구동장치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중에 데이터처리장치는 데이터구동장치로부터 락(Lock)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락신호의 전압 레벨을 확인하여 데이터구동장치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락신호의 전압 레벨은 하이 레벨(고전압 레벨)과 로우 레벨(저전압 레벨)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락신호가 하이 레벨인 경우, 데이터처리장치는 데이터구동장치의 동작 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락신호가 로우 레벨인 경우에는 데이터구동장치의 동작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데이터처리장치가 다수의 데이터구동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데이터처리장치가 다수의 데이터구동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데이터구동장치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해야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위와 같이 데이터처리장치가 락신호를 통해 데이터구동장치의 동작 상태를 단순히 정상 또는 비정상으로 판단할 뿐, 다수의 데이터구동장치 각각의 동작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는 없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일 측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시에 데이터처리장치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구동장치가 내부 동작 상태를 데이터처리장치에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는, 제1통신라인을 통해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 단계; 일정 레벨의 락신호를 제2통신라인을 통해 송신하는 제 1 송신 단계; 상기 영상데이터 신호의 수신 중에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명령 수신 단계; 내부 동작 상태에 대한 동작 상태 데이터를 포함한 동작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일정 레벨의 락신호를 대신하여 상기 동작 상태 신호를 상기 제2통신라인을 통해 송신하는 제 2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영상 수신 단계 이전에 상기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회로에 포함된 클럭복원부의 설정값을 상기 영상데이터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최적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적화한 설정값은 상기 클럭복원부에 포함된 발진기의 기준전류값, 기준전압값 및 이득 조정값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는 상기 최적화한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영상 수신 단계 이전에 상기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회로에 포함된 이퀄라이저의 설정값을 상기 제1통신라인의 특성에 따라 최적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적화한 설정값은 상기 이퀄라이저의 게인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는 상기 최적화한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 수신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구동장치는 상기 영상데이터 신호를 프레임 구간 단위로 수신하고, 일 프레임 구간과 다른 일 프레임 구간 사이에 존재하는 프레임 제어 구간에서 상기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는 상기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수신한 직후부터 상기 다른 일 프레임 구간 이후의 프레임 제어 구간이 도래할 때까지 상기 신호 생성 단계 내지 상기 제 2 송신 단계를 N(N은 자연수)번 반복하여 수행한 후에 상기 일정 레벨의 락신호를 상기 제2통신라인을 통해 재송신할 수 있다.
신호 생성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구동장치는 맨체스터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상기 동작 상태 신호로 인코딩할 수 있다.
동작 상태 신호는 어느 하나의 이진수에 해당하는 맨체스터 코드가 M(M은 2이상의 자연수)회 동안 반복되는 프리앰블, 상기 프리앰블 이후에 배치되는 스타트 비트, 상기 스타트 비트 이후에 배치되는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 및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 이후에 배치되는 엔드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송신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구동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일정 레벨의 락신호와 상기 동작 상태 신호의 논리곱 연산을 통해 상기 동작 상태 신호를 상기 제2통신라인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제1통신라인을 통해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데이터 신호의 수신 중에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태 회신 명령 정보로 처리하는 통신 회로; 상기 통신 회로에서 상기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때에 제1레벨의 락신호를 출력하는 락 제어부; 상기 통신 회로로부터 상기 상태 회신 명령 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통신 회로의 동작 상태에 대한 데이터인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신 제어부;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동작 상태 신호로 출력하는 인코더; 및 상기 제1레벨의 락신호를 출력단에 연결된 제2통신라인으로 송신한 후에 상기 제1레벨의 락신호를 대신하여 상기 동작 상태 신호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제2통신라인으로 송신하는 논리 게이트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데이터구동장치는 상기 제1레벨의 락신호만 입력되면, 상기 제1레벨의 락신호를 상기 논리 게이트로 출력하고, 상기 동작 상태 신호와 상기 제1레벨의 락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동작 상태 신호를 상기 논리 게이트로 출력하는 신호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논리 게이트는 앤드 게이트이고, 상기 앤드 게이트는 입력단을 통해 상기 신호 선택부로부터 상기 동작 상태 신호를 입력받고 다른 입력단에 연결된 제2통신라인을 통해 제1레벨의 외부 락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동작 상태 신호와 상기 외부 락신호에 대한 논리곱 연산을 통해 상기 동작 상태 신호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제2통신라인으로 송신할 수 있다.
논리 게이트는 앤드 게이트이고, 상기 앤드 게이트는 입력단을 통해 상기 신호 선택부로부터 동작 상태 신호를 입력받고 다른 입력단에 연결된 제2통신라인을 통해 제2레벨의 외부 락신호를 인가받으면, 상기 동작 상태 신호와 상기 외부 락신호에 대한 논리곱 연산을 통해 상기 외부 락신호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제2통신라인으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 회로는 클럭복원부 및 이퀄라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통신 회로에서 상기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영상데이터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클럭복원부에 포함된 발진기의 설정값을 최적화하고, 상기 제1통신라인의 특성에 따라 상기 이퀄라이저의 게인 레벨을 최적화할 수 있다.
동작 상태 데이터는 상기 발진기의 설정값 및 상기 이퀄라이저의 게인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제1-1통신라인을 통해 제1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면서 제1락신호를 제2-1통신라인을 통해 송신하고, 상기 제1영상데이터 신호의 수신 중에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락신호를 대신하여 내부 동작 상태에 대한 동작 상태 신호를 상기 제2-1통신라인으로 송신하는 제 1 데이터구동장치; 제1-2통신라인을 통해 제2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면서 제2락신호를 생성 및 상기 제2-1통신라인을 통해 상기 제1락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락신호와 상기 제2락신호를 논리 연산한 신호를 제2-2통신라인으로 송신하며, 상기 제2-1통신라인을 통해 상기 동작 상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동작 상태 신호와 상기 제2락신호의 논리 연산을 통해 상기 동작 상태 신호를 상기 제2-2통신라인으로 송신하는 제 2 데이터구동장치; 및 상기 제1-1통신라인으로 상기 제1영상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2통신라인으로 상기 제2영상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1-1통신라인으로 상기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송신한 후에 상기 제2-2통신라인을 통해 상기 동작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제1-1통신라인으로 상기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송신할 때에 상기 제1-2통신라인으로는 상기 제2락신호의 레벨을 고정하기 위한 레벨 고정 명령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 2 데이터구동장치는 상기 제1-2통신라인을 통해 상기 레벨 고정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락신호의 레벨을 하이 레벨로 고정할 수 있다.
제 2 데이터구동장치는 상기 제2락신호를 하이 레벨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2영상데이터 신호의 수신에 대한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제2락신호를 로우 레벨로 변경하고, 상기 동작 상태 신호와 로우 레벨의 상기 제2락신호의 논리 연산을 통해 로우 레벨의 신호를 상기 제2-2통신라인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시에 데이터처리장치가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 각각에 대한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처리장치가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통신 회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통신라인의 데이터 송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통신라인의 데이터 송신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구동장치의 인코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구동장치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데이터구동장치(120), 게이트구동장치(130) 및 데이터처리장치(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에는 다수의 데이터라인(DL) 및 다수의 게이트라인(GL)이 배치되고, 다수의 화소가 배치될 수 있다. 화소는 복수의 서브화소(SP: Sub-Pixel)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화소는 R(red), G(green), B(blue), W(white) 등일 수 있다. 하나의 화소는 RGB의 서브화소(SP)로 구성되거나, RGBG의 서브화소(SP)로 구성되거나, RGBW의 서브화소(SP)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0), 게이트구동장치(130) 및 데이터처리장치(14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신호들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게이트구동장치(130)는 턴온전압 혹은 턴오프전압의 게이트구동신호를 게이트라인(GL)으로 공급할 수 있다. 턴온전압의 게이트구동신호가 서브화소(SP)로 공급되면 서브화소(SP)는 데이터라인(DL)과 연결된다. 그리고, 턴오프전압의 게이트구동신호가 서브화소(SP)로 공급되면 서브화소(SP)와 데이터라인(DL)의 연결은 해제된다. 이러한, 게이트구동장치(120)는 게이트드라이버로 호칭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0)는 데이터라인(DL)을 통해 서브화소(SP)로 데이터전압(Vp)을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라인(DL)으로 공급되는 데이터전압(Vp)은 게이트구동신호에 따라 서브화소(SP)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소스드라이버(SD-IC)로 호칭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집적회로는, 테이프오토메이티드본딩(TAB: Tape Automated Bonding) 타입 또는 칩온글래스(COG: Chip On Glass) 타입으로 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패널(11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패널(110)에 집적화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칩온필름(COF: Chip On Film) 타입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전압(VCC)이 데이터구동장치(120)와 데이터처리장치(140)에 인가되면, 데이터구동장치(120)는 데이터처리장치(140)와의 고속통신에 대한 통신 환경인 고속통신 환경의 설정을 위해 데이터처리장치(140)와 저속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저속통신을 통해 데이터처리장치(140)로부터 고속통신 환경에 대한 설정값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구동장치(120)는 도 5의 CFG Data 구간에서 설정값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설정값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설정값 데이터는 데이터구동장치(120)에 포함된 이퀄라이저의 기본적인 게인(Gain) 레벨, 스크램블 정보, 라인 극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램블 정보는 데이터처리장치(140)가 데이터구동장치(120)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 데이터를 그대로 전송하는 지, 스크램블하여 전송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라인 극성 정보는 화소의 첫번째 라인의 극성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위와 같은 설정값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속통신 환경을 설정하고, 설정값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장치 내부에 포함된 메모리부(미도시)에 설정값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0)의 메모리부(미도시)는 레지스터(Register) 및 램(RAM: Random Access Memory)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구동장치(120)는 CFG Data 구간의 이전 구간인 Preamble 구간에서 데이터처리장치(140)로부터 저속통신에 대한 클럭패턴을 수신하여 저속통신에 대한 클럭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설정값 데이터 신호와 저속통신에 대한 클럭패턴을 제1통신라인(LN1)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클럭 트레이닝은 데이터구동장치(120)의 내부 클럭을 통신 클럭에 동기화시키는 과정일 수 있다.
저속통신에 대한 클럭 트레이닝을 정상적으로 완료한 경우, 데이터구동장치(120)는 통신 상태가 안정적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인 제1레벨의 락(Lock) 신호를 출력하여 데이터처리장치(140)에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레벨은 하이 레벨(고전압 레벨)일 수 있고, 제1레벨의 락신호는 제2통신라인(LN2)을 통해서 송신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데이터처리장치(140)와의 저속통신을 수행하여 저속통신에 대한 클럭 트레이닝과 고속통신 환경을 설정한 후에 데이터구동장치(120)는 데이터처리장치(140)와의 고속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Display Mode에서 데이터구동장치(120)는 데이터처리장치(140)와의 고속통신을 통해 영상데이터 신호를 데이터처리장치(14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데이터 신호는 제1통신라인(LN1)을 통해서 송수신될 수 있다.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회로인 고속통신 회로 중에서 클럭복원부의 설정값을 고속통신의 통신 주파수, 즉 영상데이터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구동장치(120)는 고속통신 회로에 포함된 이퀄라이저의 설정값을 제1통신라인(LN1)의 특성에 따라 최적화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 및 도 6에서 하도록 한다.
데이터처리장치(140)는 게이트구동장치(130) 및 데이터구동장치(120)로 제어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처리장치(140)는 스캔이 시작되도록 하는 게이트제어신호(GCS)를 게이트구동장치(13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처리장치(140)는 영상데이터 신호를 데이터구동장치(12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처리장치(140)는 데이터구동장치(120)가 각 서브화소(SP)로 데이터전압(Vp)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처리장치(140)는 타이밍컨트롤러(T-CON)로 호칭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처리장치(140) 및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40)는 제1PCB(PCB1, printed circuit boar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처리장치(140)는 제1통신라인(LN1) 및 제2통신라인(LN2)을 통해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와 연결될 수 있다.
제1통신라인(LN1) 및 제2통신라인(LN2)은 제1PCB(PCB1) 및 제2PCB(PCB2)를 거쳐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에 도달할 수 있다. 제1PCB(PCB1)와 제2PCB(PCB2)는 유연소재로 구성되는 제1필름(FL1)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제1통신라인(LN1) 및 제2통신라인(LN2)은 이러한 제1필름(FL1)을 거쳐 제1PCB(PCB1)에서 제2PCB(PCB2)로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는 COF(chip-on-film)의 형태로 제2필름(FL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필름(FL2)은 제2PCB(PCB2)와 패널(110)을 연결하는 유연한 소재의 지지기판일 수 있는데, 제1통신라인(LN1)과 제2통신라인(LN2)은 제2필름(FL2)을 거쳐 제2PCB(PCB2)에서 각각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로 연장될 수 있다.
제1통신라인(LN1)은 데이터처리장치(140)와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 사이에서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통신라인(LN1)의 연결 방식은 점 대 점(Point to Point) 방식일 수 있다.
제2통신라인(LN2)은 평면상으로 제1통신라인(LN1)과 중첩되지 않으면서 각각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 사이 혹은 데이터구동장치(120d)와 데이터처리장치(140) 사이에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번째 데이터구동장치(120a)는 제2통신라인(LN2)을 통해 두번째 데이터구동장치(120b)와 연결되고, 두번째 데이터구동장치(120b)는 제2통신라인(LN2)을 통해 세번째 데이터구동장치(120c)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두번째 데이터구동장치(120b)와 세번째 데이터구동장치(120c)는 서로 다른 제2PCB(PCB2)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그 사이에 배치되는 제2통신라인(LN2)은 제2PCB(PCB2), 제1필름(FL1) 및 제1PCB(PCB1)를 거쳐 두번째 데이터구동장치(120b)와 세번째 데이터구동장치(120c)를 연결시킬 수 있다. 세번째 데이터구동장치(120c)는 제2통신라인(LN2)을 통해 네번째 데이터구동장치(120d)와 연결되고, 네번째 데이터구동장치(120d)는 제2통신라인(LN2)을 통해 데이터처리장치(14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통신라인(LN2)의 연결 방식은 케스케이스(Cascade) 방식일 수 있다.
위와 같이 데이터처리장치(140)와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는 제1통신라인(LN1)과 제2통신라인(LN2)을 통해 상호 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처리장치(140)는 제1통신라인(LN1)을 통해 각각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로 영상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처리장치(140)는 영상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도중에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 중에서 일 데이터구동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일 데이터구동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 중에서 제1통신라인(LN1)을 통해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수신한 일 데이터구동장치는 내부 동작 상태에 대한 동작 상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통신라인(LN2)을 통해서 동작 상태 신호를 데이터처리장치(14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데이터구동장치(120)의 구성에 대한 설명과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
우선,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 각각, 즉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저속통신 회로(310), 고속통신 회로(320), 락 제어부(330), 통신 제어부(340), 인코더(350), 신호 선택부(360) 및 논리 게이트(37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속통신 회로(310)는 제1통신라인(LN1)을 통해 데이터처리장치(140)와 저속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저속통신의 통신 주파수는 고속통신의 통신 주파수보다 1/10배 이상 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속통신의 통신 주파수가 수 기가(Giga)bps인 경우, 저속통신의 통신 주파수는 수 메가(Mega)bps일 수 있다.
저속통신 회로(310)는 데이터처리장치(140)로부터 저속통신에 대한 클럭패턴을 수신하여 저속통신에 대한 클럭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저속통신 회로(310)는 도 5의 Preamble 구간에서 저속통신에 대한 클럭패턴을 수신할 수 있다.
저속통신에 대한 클럭 트레이닝을 완료한 경우, 저속통신 회로(310)는 저속통신의 상태를 나타내는 저속통신 상태 신호(CMD_L)를 하이 레벨(고전압 레벨)로 출력할 수 있다.
저속통신에 대한 클럭 트레이닝을 완료한 후, 저속통신 회로(310)는 고속통신 환경에 대한 설정값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처리장치(14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저속통신 회로(310)는 설정값 데이터 신호를 설정값 데이터로 처리(예를 들어, 신호의 디코딩 및 데이터 정렬 등)할 수 있고, 후술할 통신 제어부(340)로 설정값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저속통신 회로(120)는 도 5의 CFG Data 구간에서 설정값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저속통신 회로(310)는 데이터구동장치(120)에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에 통신 제어부(340)의 제어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저속통신 구간에 해당하는 Command 모드가 종료되었을 때에 통신 제어부(340)의 제어에 의해 비활성화될 수 있다.
고속통신 회로(320)는 제1통신라인(LN1)을 통해 데이터처리장치(140)와 고속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처리장치(140)로부터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속통신 회로(320)는 도 5의 Display 모드에서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고속통신 회로(320)는 영상데이터 신호를 영상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고속통신 회로(320)는 도 4와 같이 이퀄라이저(410), 클럭복원부(420) 및 병렬화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고속통신 회로(320)는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전(예를 들어, 도 5의 Pre-Clock Training 구간)에 데이터처리장치(140)로부터 고속통신의 통신 주파수, 즉 영상데이터 신호의 주파수를 가지는 테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340)의 제어에 의해 클럭복원부(420)에 포함된 발진기(Oscillator)의 설정값을 일정 시간(Ts)마다 변경하면서 테스트 신호에 포함된 클럭(도 5의 TR_CLK)을 트레이닝할 수 있다.
고속통신 회로(320)는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전(예를 들어, 도 6의 EQ Training 구간)에 데이터처리장치(140)로부터 EQ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EQ트레이닝 신호는 도 6과 같이 각 시구간마다 반복되는 트레이닝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닝 시퀀스는 일정 레벨(예를 들어, 하이 레벨)을 가지는 블랭크 신호(H), 블랭크 신호의 후단에 배치되는 EQ클럭트레이닝 신호(EQCP) 및 EQ클럭트레이닝 신호(EQCP)의 후단에 배치되는 EQ테스트 신호(EQTP)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블랭크 신호(H)는 각 시구간을 구분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EQ테스트 신호(EQTP)는 PRBS(Pseudo Random binary Sequence)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PRBS패턴은 PRBS7 패턴, PRBS9 패턴, PRBS10 패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EQ테스트 신호(EQTP)는 DC밸런스코드 방식으로 인코딩된 테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DC밸런스코드 방식으로 인코딩된 테스트 데이터에는 "0"과 "1"의 개수가 같은 코드그룹이 다수 개 포함될 수 있다.
고속통신 회로(320)는 위와 같은 EQ 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시구간 동안에 복수의 EQ 설정값에 따라 이퀄라이저(410)의 설정이 각 시구간마다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고속통신 회로(320)는 통신 제어부(340)의 제어에 의해 이퀄라이저(410)의 설정이 각 시구간마다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EQ 설정값 각각은 이퀄라이저(410)의 게인 레벨을 포함할 수 있고, 이퀄라이저(410)의 탭(Tab) 계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EQ 설정값은 통신 제어부(340)에서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속통신 회로(320)는 위와 같은 Pre-Clock Training 구간과 EQ Training 구간에서 클럭 트레이닝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통신의 상태를 나타내는 고속통신 상태 신호(CDR_L)를 하이 레벨(고전압 레벨)과 로우 레벨(저전압 레벨)로 반복적으로 변경하면서 출력할 수 있다.
EQ 트레이닝 구간이 경과한 후에 고속통신 회로(320)는 고속통신에 대한 일반적인 클럭 트레이닝과 링크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인 클럭 트레이닝을 완료한 후에 고속통신 회로(320)는 고속통신 상태 신호(CDR_L)를 하이 레벨(고전압 레벨)로 출력할 수 있다.
이후, 고속통신 회로(320)는 데이터처리장치(140)로부터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데이터 신호는 제1통신라인(LN1)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ESD(Electro Static Discharge) 등에 의해 클럭 손실이 발생할 경우, 고속통신 회로(320)는 고속통신 상태 신호(CDR_L)를 로우 레벨(저전압 레벨)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고속통신 회로(320)는 영상데이터 신호의 수신중에 데이터처리장치(140)로부터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고속통신 회로(320)는 영상데이터 신호를 프레임 구간 단위로 수신할 수 있고, 도 7 또는 도 8과 같이 일 프레임 구간(예를 들어, 도 7 또는 도 8의 n(n은 자연수)-1 Frame)과 다른 일 프레임 구간(예를 들어, 도 7 또는 도 8의 n Frame) 사이에 존재하는 일 프레임 제어 구간(CTR)에서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태 회신 명령 신호는 고속통신 회로(320)가 일 프레임 제어 구간(CTR) 동안에 수신하는 프레임 제어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고속통신 회로(320)는 일 프레임 제어 구간(CTR) 이후에 도래하는 다른 일 프레임 제어 구간(CTR)에서 회신 종료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고속통신 회로(320)는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상태 회신 명령 정보로 처리하여 통신 제어부(340)로 전달하고, 회신 종료 명령 신호를 회신 종료 명령 정보로 처리하여 통신 제어부(34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속통신 회로(320)는 프레임 제어 구간(CTR)에서 상태 회신 명령 신호가 아닌 레벨 고정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프레임 제어 구간(CTR)에서 레벨 고정 명령 신호를 수신한 경우, 고속통신 회로(320)는 레벨 고정 명령 신호를 수신한 프레임 제어 구간(CTR) 이후의 프레임 제어 구간(CTR)에서 고정 해제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레벨 고정 명령 신호와 고정 해제 명령 신호도 프레임 제어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고속통신 회로(320)는 레벨 고정 명령 신호와 고정 해제 명령 신호를 레벨 고정 명령 정보와 고정 해제 명령 정보로 처리하여 락 제어부(33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속통신 회로(320)는 저속통신 회로(310)가 활성화되었을 때에는 통신 제어부(340)의 제어에 의해 비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저속통신 회로(310)가 비활성화되었을 때에는 통신 제어부(340)의 제어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락 제어부(330)는 저속통신 회로(310)로부터 저속통신 상태 신호(CMD_L)를 입력받고, 고속통신 회로(320)로부터 고속통신 상태 신호(CDR_L)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저속통신 회로(310)에서 저속통신에 대한 클럭 트레이닝을 완료했을 때, 락 제어부(330)는 저속통신 회로(310)로부터 하이 레벨(고전압 레벨)의 저속통신 상태 신호(CMD_L)를 입력받을 수 있고, 고속통신 회로(320)로부터는 로우 레벨(저전압 레벨)의 고속통신 상태 신호(CDR_L)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락 제어부(330)는 도 5 또는 도 6과 같이 제1레벨의 락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레벨은 하이 레벨(고전압 레벨)일 수 있다.
저속통신 회로(310)와 데이터처리장치(140) 간의 저속통신이 종료되면, 락 제어부(330)는 저속통신 회로(310)로부터 로우 레벨(저전압 레벨)의 저속통신 상태 신호(CMD_L)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고속통신 구간에 Pre-Clock Training 구간과 EQ Training 구간이 포함된 경우, 락 제어부(330)는 고속통신 회로(320)로부터 하이 레벨(고전압 레벨)과 로우 레벨(저전압 레벨)이 반복적으로 변경되는 고속통신 상태 신호(CDR_L)를 입력받을 수 있고, 저속통신 회로(310)로부터는 로우 레벨(저전압 레벨)의 저속통신 상태 신호(CMD_L)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락 제어부(330)는 도 5 또는 도 6과 같이 제1레벨의 락신호를 지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왜냐하면, 고속통신 상태 신호(CDR_L)의 빈번한 레벨 변경에 따라 락신호의 레벨을 빈번하게 변경하게 되면, 락신호 송신에 대한 오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고속통신 회로(320)에서 일반적인 클럭 트레이닝을 완료했을 때, 락 제어부(330)는 고속통신 회로(320)로부터 하이 레벨(고전압 레벨)의 고속통신 상태 신호(CDR_L)를 입력받을 수 있고, 저속통신 회로(310)로부터는 로우 레벨(저전압 레벨)의 저속통신 상태 신호(CMD_L)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락 제어부(330)는 도 5 또는 도 6과 같이 제1레벨의 락신호를 지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고속통신 회로(320)가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도중에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도, 락 제어부(330)는 제1레벨의 락신호를 지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락 제어부(330)는 고속통신 회로(320)로부터 레벨 고정 명령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락 제어부(330)는 락신호의 레벨을 제1레벨로 고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고속통신 회로(320)가 레벨 고정 명령 신호를 수신한 후에 ESD 등에 의해 클럭 손실이 발생하게 되면, 고속통신 회로(320)의 신호 처리가 비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속통신 회로(320)가 고정 해제 명령 신호를 온전하게 수신하지 못하거나, 고정 해제 명령 신호를 고정 해제 명령 정보로 처리하지 못할 수 있다.
이 때에 락 제어부(330)는 고속통신 회로(320)로부터 로우 레벨(저전압 레벨)의 고속통신 상태 신호(CDR_L)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1레벨로 고정된 락신호의 레벨을 고속통신 상태 신호(CDR_L)의 레벨 변경에 따라 제2레벨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락 제어부(330)가 레벨 고정 명령 정보를 통해 락신호의 레벨을 제1레벨로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 해제 명령 정보가 아닌 로우 레벨(저전압 레벨)의 고속통신 상태 신호(CDR_L)만 입력될 경우, 락 제어부(330)는 레벨 고정 명령 정보를 무시하고 락신호의 레벨을 제2레벨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레벨이 하이 레벨(고전압 레벨)일 경우, 제2레벨은 로우 레벨(저전압 레벨)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속통신 회로(310)와 고속통신 회로(320) 중에서 하나의 회로가 활성화되었을 때에 다른 하나의 회로는 비활성화되는 경우, 락 제어부(330)는 활성화된 회로의 상태 신호(CMD_L 또는 CDR_L)만을 입력받을 수 있고, 활성화된 회로의 상태 신호(CMD_L 또는 CDR_L)만을 사용하여 락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속통신 회로(310)는 활성화된 상태이고, 고속통신 회로(320)는 비활성화 된 상태인 경우, 락 제어부(330)는 저속통신 회로(310)로부터 저속통신 상태 신호(CMD_L)만을 입력받을 수 있고, 저속통신 상태 신호(CMD_L)의 레벨과 동일한 레벨의 락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340)는 저속통신 회로(310)와 고속통신 회로(3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제어부(340)는 저속통신 회로(310)로부터 전달받은 설정값 데이터에 따라 고속통신 회로(32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의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고속통신 회로(320)에서 도 5의 클럭(TR_CLK)을 포함한 테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통신 제어부(340)는 클럭복원부(420)에 포함된 발진기의 설정값을 일정 시간마다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제어부(340)는 복수의 발진기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340)는 발진기의 설정값을 일정 시간마다 변경할 때에 테스트 신호의 클럭(TR_CLK)에 대한 저속통신 회로(310)의 트레이닝 결과를 일정 시간마다 확인할 수 있고, 일정 시간마다의 트레이닝 결과에 따라 고속통신의 통신 주파수, 즉 영상데이터 신호의 주파수에 대한 최적을 설정값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통신 제어부(340)는 고속통신 회로(320)에서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고속통신 회로(320)에 포함된 클럭복원부(420)의 설정값을 영상데이터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최적화할 수 있고, 최적화한 설정값은 발진기의 설정값일 수 있다. 여기서, 최적화한 설정값은 발진기의 기준전류값, 기준전압값 및 이득 조정값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고속통신 회로(320)에서 도 6과 같은 EQ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통신 제어부(340)는 고속통신 회로(320)에서 EQ트레이닝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시구간 동안에 복수의 EQ 설정값에 따라 이퀄라이저(410)의 설정을 각 시구간(Tp)마다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EQ 설정값 각각은 이퀄라이저(410)의 게인 레벨을 포함할 수 있고, 이퀄라이저(410)의 탭(Tab) 계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EQ 설정값은 설정값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고, 통신 제어부(340)는 기저장한 설정값 데이터에서 복수의 EQ 설정값을 추출해서 이퀄라이저(410)의 설정을 각 시구간(Tp)마다 변경할 수 있다.
한편, 고속통신 회로(320)에서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도중에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통신 제어부(340)는 고속통신 회로(320)로부터 상태 회신 명령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신 제어부(340)는 데이터구동장치(120)의 내부 동작 상태에 대한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상태 데이터는 저속통신 회로(310)로부터 전달받은 설정값 데이터, Pre-Clock Training 구간에서 최적화한 클럭복원부(420)의 설정값 및 EQ Training 구간에서 최적화한 이퀄라이저(410)의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데이터 신호에 대한 디코딩 에러 횟수, 프레임 제어 신호에 포함된 프레임 제어 데이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40)가 영상데이터 신호를 8B10B 코드로 인코딩한 경우, 디코딩 에러 횟수는 8B10B 코드에 대한 디코딩 에러 횟수일 수 있다.
통신 제어부(340)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생성한 후에 동작 상태 데이터에 대한 체크섬을 산출할 수 있고, 동작 상태 데이터의 헤더 영역에 체크섬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동작 상태 데이터는 체크섬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제어부(340)는 위와 같이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 인코더(350)와 신호 선택부(360)로 하이 레벨(고전압 레벨)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340)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인코더(35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제어부(340)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1회만 생성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340)는 동작 상태 데이터를 일정 시간동안 반복해서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속통신 회로(320)가 도 8과 같이 일 프레임 구간인 n-1 프레임 구간과 다른 일 프레임 구간인 n 프레임 구간 사이의 프레임 제어 구간에서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수신한 경우, 통신 제어부(340)는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수신한 직후부터 다른 일 프레임 구간 이후의 프레임 제어 구간이 도래할 때까지 N(N은 자연수)개의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일 프레임 구간 이후의 프레임 제어 구간에서 통신 제어부(340)는 고속통신 회로(320)로부터 회신 종료 명령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통신 제어부(340)는 동작 상태 데이터의 생성을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340)는 인코더(350)와 신호 선택부(360)로 로우 레벨(저전압 레벨)의 동작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인코더(350)가 통신 제어부(340)로부터 하이 레벨(고전압 레벨)의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인코더(350)는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340)로부터 전달받은 동작 상태 데이터를 동작 상태 신호로 인코딩할 수 있다. 여기서, 인코더(350)는 맨체스터 코드를 이용하여 동작 상태 데이터를 동작 상태 신호로 인코딩할 수 있다. 동작 상태 데이터를 맨체스터 코드로 인코딩하게 되면, 도 9와 같이 동작 상태 신호의 매 비트 마다 펄스의 변화가 있어서 수신측인 데이터처리장치(140)에서 동기 타이밍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9A와 같이 이진수 "0"에 해당하는 데이터 비트가 연속되거나 9B와 같이 이진수 "1"에 해당하는 데이터 비트가 연속되어도, 전압 레벨은 데이터 비트들의 중간 위치에서 항상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구동장치(120)의 전송 주파수가 변경되더라도 데이터처리장치(140)가 맨체스터 코드로 인코딩된 동작 상태 신호에서 동기 타이밍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동작 상태 신호는 어느 하나의 이진수에 해당하는 맨체스터 코드가 M(M은 2이상의 자연수)회 동안 반복되는 프리앰블, 상기 프리앰블 이후에 배치되는 스타트 비트, 스타트 비트 이후에 배치되는 동작 상태 데이터 및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 이후에 배치되는 엔드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제어부(340)가 동작 상태 데이터를 1회만 생성하는 경우, 인코더(350)가 인코딩한 동작 상태 신호는 도 7과 같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340)가 동작 상태 데이터를 일정 시간동안 반복해서 생성하는 경우, 인코더(350)가 인코딩한 동작 상태 신호는 도 8과 같이 프리앰블, 스타트 비트, 동작 상태 데이터 및 엔드 비트가 순차적으로 N번 반복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동작 상태 데이터를 인코딩한 후에 인코더(350)가 통신 제어부(340)로부터 로우 레벨(저전압 레벨)의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인코더(350)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신호 선택부(360)는 락 제어부(330)로부터 락신호만을 입력받으면, 락신호를 논리 게이트(37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락신호의 레벨은 제1레벨일 수 있다.
그리고 인코더(350)로부터 동작 상태 신호를 입력받고 락 제어부(330)로부터 락신호를 입력받으면, 신호 선택부(360)는 통신 제어부(340)의 제어를 통해 동작 상태 신호를 논리 게이트(370)로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신호 선택부(360)가 통신 제어부(340)로부터 로우 레벨(저전압 레벨)의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신호 선택부(360)는 신호의 입출력 경로를 락 제어부(330) 측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선택부(360)가 통신 제어부(340)로부터 하이 레벨(고전압 레벨)의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신호 선택부(360)는 신호의 입출력 경로를 인코더(350) 측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선택부(360)는 다수의 입력 신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랙서(Multiplexer)일 수 있다.
논리 게이트(370)는 제1레벨의 락신호를 출력단에 연결된 제2통신라인(LN2)으로 송힌한 후에 제1레벨의 락신호를 대신하여 동작 상태 신호를 출력단에 연결된 제2통신라인(LN2)로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논리 게이트(370)는 일 입력단을 통해 신호 선택부(360)로부터 제1레벨의 락신호가 입력되고, 다른 입력단에 연결된 제2통신라인(LN2)을 통해 제1레벨의 외부 락신호가 입력되면, 제1레벨의 락신호와 외부 락신호에 대한 논리 연산을 통해 제1레벨의 락신호를 출력단에 연결된 제2통신라인(LN2)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논리 게이트(370)는 일 입력단을 통해 신호 선택부(360)로부터 동작 상태 신호가 입력되고, 다른 입력단에 연결된 제2통신라인(LN2)을 통해 제1레벨의 외부 락신호가 입력되면, 동작 상태 신호와 제1레벨의 외부 락신호에 대한 논리 연산을 통해 동작 상태 신호를 출력단에 연결된 제2통신라인(LN2)으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레벨은 하이 레벨(고전압 레벨)일 수 있고, 제1레벨의 외부 락신호는 인접한 다른 데이터구동장치의 논리 게이트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논리 게이트(370)는 논리곱 연산을 하는 앤드(AND) 게이트일 수 있다. 제1레벨이 로우 레벨(저전압 레벨)일 경우, 논리 게이트(370)는 논리 덧셈 연산을 하는 OR 게이트일 수 있다.
한편, 논리 게이트(370)는 일 입력단을 통해 신호 선택부(360)로부터 동작 상태 신호가 입력되고, 다른 입력단에 연결된 제2통신라인(LN2)을 통해 제2레벨의 외부 락신호가 입력되면, 동작 상태 신호와 제2레벨의 외부 락신호에 대한 논리 연산을 통해 제2레벨의 외부 락신호를 출력단에 연결된 제2통신라인(LN2)으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레벨은 로우 레벨(저전압 레벨)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데이터구동장치(12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3에서 데이터처리장치(140)와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는 점 대 점(Point to Point) 방식의 제1통신라인(LN1)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40)는 제1통신라인(LN1)을 통해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에 영상데이터 신호를 각각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데이터를 송신하는 도중에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의 상태를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처리장치(140)가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로 영상데이터 신호를 각각 송신하는 도중에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의 상태를 확인할 경우, 데이터처리장치(140)는 도 7 또는 8과 같이 n-1 프레임 이후의 프레임 제어 구간(CTR)에서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로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데이터처리장치(140)는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와 연결된 제1통신라인(LN1)인 제1-1통신라인(LN1-1)을 통해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에 데이터처리장치(140)는 나머지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d)로는 상태 회신 명령 신호가 아닌 레벨 고정 명령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레벨 고정 명령 신호를 수신한 나머지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d)는 제2통신라인(LN2)으로 송신하는 락신호의 레벨을 제1레벨로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레벨은 하이 레벨(고전압 레벨)일 수 있다.
한편, 데이터처리장치(140)로부터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수신한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는 내부 동작 상태에 대한 동작 상태 데이터를 포함한 동작 상태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동작 상태 신호는 맨체스터 코드로 인코딩된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일 데이터구동장치(120d)와 연결된 제2-1통신라인(LN2-1)으로 송신중인 제1레벨의 락신호를 대신하여 동작 상태 신호를 제2-1통신라인(LN2-1)으로 송신한다. 여기서,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는 또 다른 일 데이터구동장치(120b)로부터 제1레벨의 락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동작 상태 신호와 제1레벨의 락신호의 논리 연산을 통해 동작 상태 신호를 제2-1통신라인(LN2-1)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논리 연산은 논리곱 연산이거나 논리 덧셈 연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가 제2-1통신라인(LN2-1)으로 동작 상태 신호를 송신할 때에 다른 일 데이터구동장치(120d)는 데이터처리장치(140)로부터 수신한 레벨 고정 명령 신호에 의해 락신호의 레벨을 제1레벨로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다른 일 데이터구동장치(120d)는 제2-1통신라인(LN2-1)을 통해 수신한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의 동작 상태 신호와 자신의 락신호에 대한 논리 연산을 한다.
이를 통해 다른 일 데이터구동장치(120d)는 제2-2통신라인(LN2-2)으로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의 동작 상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처리장치(140)는 제2-2통신라인(LN2-2)을 통해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의 동작 상태 신호를 수신하고, 동작 상태 신호를 동작 상태 데이터로 처리하여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의 동작 상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 상태 데이터는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가 Pre-Clock Training 구간에서 최적화한 클럭복원부(420)의 설정값과 EQ Training 구간에서 최적화한 이퀄라이저(410)의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데이터 신호에 대한 디코딩 에러 횟수, 프레임 제어 신호에 포함된 프레임 제어 데이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작 상태 데이터가 체크섬을 더 포함하는 경우, 데이터처리장치(140)는 체크섬을 통한 동작 상태 데이터의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40)가 체크섬을 통해 동작 상태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한 경우, 데이터처리장치(140)는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에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재송신하고, 나머지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d)로는 레벨 고정 명령 신호를 재송신할 수 있다.
한편, 동작 상태 신호가 도 8과 같이 프리앰블, 스타트 비트, 동작 상태 데이터 및 엔드 비트가 순차적으로 N번 반복되고, 동작 상태 데이터에 디코딩 에러 횟수가 포함된 경우, 데이터처리장치(140)는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로 송신하는 영상데이터 신호에 대한 디코딩 에러 비율을 실시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처리장치(140)는 영상데이터 신호에 대한 디코딩 에러 비율을 저감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처리장치(140)가 영상데이터 신호를 인코딩할 때에 디코딩 에러 비율을 저감시키기 위한 인코딩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40)는 위와 같은 방식을 통해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 각각의 동작 상태 데이터를 확인 및 저장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 중에 데이터처리장치(140)가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 각각의 동작 상태 데이터를 저장한 후에 ESD 등에 의해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 중 하나 이상에서 클럭 손실이 발생한 경우, 데이터처리장치(140)에서 수신하는 락신호의 레벨은 제2레벨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처리장치(140)는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에 대한 클럭 복원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여기서, 클럭 복원 과정은 도 5 또는 도 6의 Command Mode의 Preamble 구간부터 Display Mode의 링크 트레이닝 구간까지의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럭 복원 과정의 수행시에 데이터처리장치(140)는 해당 데이터구동장치의 동작 상태 데이터에 포함된 클럭복원부(420)의 최적 설정값 및 이퀄라이저(410)의 최적 설정값을 설정값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고, 클럭 복원 과정 중 Command Mode 구간에서 이러한 설정값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구동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클럭 복원 과정의 수행시에는 Pre-Clock Training 구간과 EQ Training 구간이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레벨 고정 명령 신호를 수신한 나머지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d) 중에서 ESD 등에 의해 클럭 손실이 발생한 데이터구동장치가 하나 이상 존재할 경우, 하나 이상의 데이터구동장치는 데이터처리장치(140)로부터의 신호 수신 및 처리를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고정 해제 명령 신호를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하나 이상의 데이터구동장치는 클럭 손실이 발생한 상태에서도 락신호의 레벨을 제1레벨로 고정하게 되어 데이터처리장치(140)가 하나 이상의 데이터구동장치에서 이상이 발생한 것을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사항을 방지하기 위해, 레벨 고정 명령 신호를 수신한 나머지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d) 중에서 하나 이상의 데이터구동장치에서 클럭 손실이 발생하면, 하나 이상의 데이터구동장치가 레벨 고정 명령 신호를 무시하고 락신호의 레벨을 제2레벨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처리장치(140)는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의 동작 상태 신호가 아닌 제2레벨의 락신호를 다른 일 데이터구동장치(120d)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처리장치(140)는 제1레벨 또는 제2레벨이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되는 리셋 신호를 제1통신라인(LN1)을 통해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에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에 대한 클럭 복원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처리장치(140)는 리셋 신호를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에 순차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처리장치(140)가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에 최초 송신한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의 동작 상태 신호를 미수신하게 되면, 데이터처리장치(140)는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에 일회 이상 재송신할 수 있다.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일회 이상 재송신한 후에도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의 동작 상태 신호를 미수신하게 되면, 데이터처리장치(140)는 위와 같은 리셋 신호를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에 송신하여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에 대한 클럭 복원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시에 데이터처리장치(140)가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 각각에 대한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처리장치(140)가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데이터구동장치(120a, 120b, 120c, 120d) 중에서 데이터처리장치(140)로부터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구동장치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는 데이터처리장치(140)와 연결된 제1통신라인(LN1)인 제1-1통신라인(LN1-1)을 통해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010). 여기서, 영상데이터 신호를 프레임 구간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때에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는 제2-1통신라인(LN2-1)을 통해 일정 레벨의 락신호, 즉 제1레벨의 락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1020). 여기서, 제1레벨은 하이 레벨(고전압 레벨)일 수 있다.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는 프레임 구간 단위로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도중에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데이터처리장치(14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1030). 여기서,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는 영상데이터 신호의 일 프레임 구간과 다른 일 프레임 구간 사이에 존재하는 프레임 제어 구간(CTR)에서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수신한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는 내부 동작 상태에 대한 동작 상태 데이터를 포함한 동작 상태 신호를 생성하고, 일정 레벨의 락신호 대신에 동작 상태 신호를 제2-1통신라인(LN2-1)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S1040). 여기서, 동작 상태 신호는 맨체스터 코드로 인코딩된 신호일 수 있다.
상기 단계 S1040 이후에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는 일정 레벨의 락신호를 제2-1통신라인(LN2-1)을 통해 재송신할 수 있다(S1050).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S1010 이전에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는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고속통신 회로(320)에 포함된 클럭복원부(420)의 설정값을 영상데이터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최적화할 수 있다. 여기서, 최적화한 클럭복원부(420)의 설정값은 클럭복원부(420)에 포함된 발진기의 기준전류값, 기준전압값 및 이득 조정값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상태 데이터는 최적화한 클럭복원부(420)의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1010 이전에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는 고속통신 회로(320)에 포함된 이퀄라이저(410)의 설정값을 제1-1통신라인(LN1-1)의 특성에 따라 최적화할 수 있다. 여기서, 최적화한 이퀄라이저(410)의 설정값은 이퀄라이저(410)의 게인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상태 데이터를 최적화한 이퀄라이저(410)의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1040에서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는 동작 상태 신호의 생성 및 송신을 일정 시간 동안 반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계 S1050에서 다른 일 프레임 구간 이후의 프레임 제어 구간에서 회신 종료 명령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회신 종료 명령 신호를 통해 동작 상태 신호의 생성 및 송신을 종료하고 일정 레벨의 락신호를 재송신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1040에서 일 데이터구동장치(120c)는 외부(예를 들어, 또 다른 일 데이터구동장치(120b))로부터 수신한 일정 레벨의 락신호와 동작 상태 신호의 논리곱 연산을 통해 동작 상태 신호를 제2-2통신라인(LN2-2)으로 송신할 수 있다.

Claims (20)

  1. 제1통신라인을 통해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 단계;
    일정 레벨의 락신호를 제2통신라인을 통해 송신하는 제 1 송신 단계;
    상기 영상데이터 신호의 수신 중에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명령 수신 단계;
    내부 동작 상태에 대한 동작 상태 데이터를 포함한 동작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일정 레벨의 락신호를 대신하여 상기 동작 상태 신호를 상기 제2통신라인을 통해 송신하는 제 2 송신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의 구동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수신 단계 이전에
    상기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회로에 포함된 클럭복원부의 설정값을 상기 영상데이터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최적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의 구동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한 설정값은 상기 클럭복원부에 포함된 발진기의 기준전류값, 기준전압값 및 이득 조정값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는 상기 최적화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의 구동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수신 단계 이전에
    상기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회로에 포함된 이퀄라이저의 설정값을 상기 제1통신라인의 특성에 따라 최적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의 구동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한 설정값은 상기 이퀄라이저의 게인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는 상기 최적화한 설정값을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의 구동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수신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구동장치는 상기 영상데이터 신호를 프레임 구간 단위로 수신하고, 일 프레임 구간과 다른 일 프레임 구간 사이에 존재하는 프레임 제어 구간에서 상기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구동장치의 구동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구동장치는 상기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수신한 직후부터 상기 다른 일 프레임 구간 이후의 프레임 제어 구간이 도래할 때까지 상기 신호 생성 단계 내지 상기 제 2 송신 단계를 N(N은 자연수)번 반복하여 수행한 후에 상기 일정 레벨의 락신호를 상기 제2통신라인을 통해 재송신하는 데이터구동장치의 구동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생성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구동장치는 맨체스터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상기 동작 상태 신호로 인코딩하는 데이터구동장치의 구동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 신호는 어느 하나의 이진수에 해당하는 맨체스터 코드가 M(M은 2이상의 자연수)회 동안 반복되는 프리앰블, 상기 프리앰블 이후에 배치되는 스타트 비트, 상기 스타트 비트 이후에 배치되는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 및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 이후에 배치되는 엔드 비트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송신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구동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일정 레벨의 락신호와 상기 동작 상태 신호의 논리곱 연산을 통해 상기 동작 상태 신호를 상기 제2통신라인으로 송신하는 데이터구동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1통신라인을 통해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영상데이터 신호의 수신 중에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태 회신 명령 정보로 처리하는 통신 회로;
    상기 통신 회로에서 상기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때에 제1레벨의 락신호를 출력하는 락 제어부;
    상기 통신 회로로부터 상기 상태 회신 명령 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통신 회로의 동작 상태에 대한 데이터인 동작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신 제어부;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동작 상태 신호로 출력하는 인코더; 및
    상기 제1레벨의 락신호를 출력단에 연결된 제2통신라인으로 송신한 후에 상기 제1레벨의 락신호를 대신하여 상기 동작 상태 신호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제2통신라인으로 송신하는 논리 게이트
    를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벨의 락신호만 입력되면, 상기 제1레벨의 락신호를 상기 논리 게이트로 출력하고, 상기 동작 상태 신호와 상기 제1레벨의 락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동작 상태 신호를 상기 논리 게이트로 출력하는 신호 선택부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게이트는 앤드 게이트이고, 상기 앤드 게이트는 입력단을 통해 상기 신호 선택부로부터 상기 동작 상태 신호를 입력받고 다른 입력단에 연결된 제2통신라인을 통해 제1레벨의 외부 락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동작 상태 신호와 상기 외부 락신호에 대한 논리곱 연산을 통해 상기 동작 상태 신호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제2통신라인으로 송신하는 데이터구동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게이트는 앤드 게이트이고, 상기 앤드 게이트는 입력단을 통해 상기 신호 선택부로부터 동작 상태 신호를 입력받고 다른 입력단에 연결된 제2통신라인을 통해 제2레벨의 외부 락신호를 인가받으면, 상기 동작 상태 신호와 상기 외부 락신호에 대한 논리곱 연산을 통해 상기 외부 락신호를 상기 출력단에 연결된 제2통신라인으로 송신하는 데이터구동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회로는 클럭복원부 및 이퀄라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통신 회로에서 상기 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영상데이터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클럭복원부에 포함된 발진기의 설정값을 최적화하고, 상기 제1통신라인의 특성에 따라 상기 이퀄라이저의 게인 레벨을 최적화하는 데이터구동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 데이터는 상기 발진기의 설정값 및 상기 이퀄라이저의 게인 레벨을 포함하는 데이터구동장치.
  17. 제1-1통신라인을 통해 제1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면서 제1락신호를 제2-1통신라인을 통해 송신하고, 상기 제1영상데이터 신호의 수신 중에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락신호를 대신하여 내부 동작 상태에 대한 동작 상태 신호를 상기 제2-1통신라인으로 송신하는 제 1 데이터구동장치;
    제1-2통신라인을 통해 제2영상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면서 제2락신호를 생성 및 상기 제2-1통신라인을 통해 상기 제1락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락신호와 상기 제2락신호를 논리 연산한 신호를 제2-2통신라인으로 송신하며, 상기 제2-1통신라인을 통해 상기 동작 상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동작 상태 신호와 상기 제2락신호의 논리 연산을 통해 상기 동작 상태 신호를 상기 제2-2통신라인으로 송신하는 제 2 데이터구동장치; 및
    상기 제1-1통신라인으로 상기 제1영상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2통신라인으로 상기 제2영상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1-1통신라인으로 상기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송신한 후에 상기 제2-2통신라인을 통해 상기 동작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처리장치
    를 포함하는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장치는 상기 제1-1통신라인으로 상기 상태 회신 명령 신호를 송신할 때에 상기 제1-2통신라인으로는 상기 제2락신호의 레벨을 고정하기 위한 레벨 고정 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구동장치는 상기 제1-2통신라인을 통해 상기 레벨 고정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락신호의 레벨을 하이 레벨로 고정하는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데이터구동장치는 상기 제2락신호를 하이 레벨로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2영상데이터 신호의 수신에 대한 오류가 발생하면, 상기 제2락신호를 로우 레벨로 변경하고, 상기 동작 상태 신호와 로우 레벨의 상기 제2락신호의 논리 연산을 통해 로우 레벨의 신호를 상기 제2-2통신라인으로 송신하는 시스템.
KR1020200072284A 2020-06-15 2020-06-15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구동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55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284A KR20210155144A (ko) 2020-06-15 2020-06-15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구동장치, 방법 및 시스템
US17/343,526 US20210390924A1 (en) 2020-06-15 2021-06-09 Data Driving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Driving Display Device
TW110121096A TW202213320A (zh) 2020-06-15 2021-06-10 用於驅動顯示裝置的資料驅動裝置、方法和系統
CN202110661639.4A CN113808511A (zh) 2020-06-15 2021-06-15 用于驱动显示装置的数据驱动装置、方法和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284A KR20210155144A (ko) 2020-06-15 2020-06-15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구동장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144A true KR20210155144A (ko) 2021-12-22

Family

ID=78825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284A KR20210155144A (ko) 2020-06-15 2020-06-15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구동장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390924A1 (ko)
KR (1) KR20210155144A (ko)
CN (1) CN113808511A (ko)
TW (1) TW20221332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327A (ko) * 2020-04-20 2021-10-28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데이터구동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30007063A (ko)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신호의 노이즈 검출 회로, 및 노이즈 검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666B1 (ko) * 2002-07-22 2008-09-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100701086B1 (ko) * 2004-02-04 2007-03-29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
CN108694898B (zh) * 2017-06-09 2022-03-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驱动控制方法、组件及显示装置
KR102495319B1 (ko) * 2018-09-21 2023-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드라이버,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구동 방법
KR102514636B1 (ko) * 2018-10-22 2023-03-28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구동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13320A (zh) 2022-04-01
US20210390924A1 (en) 2021-12-16
CN113808511A (zh) 202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3155B2 (en) Data processing device, data driving device and system for driving display device
US11893921B2 (en) Data processing device and data driving device for driv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1610527B2 (en) Data processing device, data driving device, and system for driving display device
KR20210155144A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구동장치, 방법 및 시스템
US11817027B2 (en) Data processing device, data driving device and system for driving display device
KR20210111664A (ko)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처리장치, 데이터구동장치 및 시스템
US11164493B2 (en) Data processing device, data driving device, and system for driving display device
US11183145B2 (en) Data processing device, data driving device, and system for driving display device using two communication lines
US114552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isplay device
CN113129793A (zh) 显示装置
US11862124B2 (en) Data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of data driv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device
TWI842822B (zh) 數據處理裝置、數據驅動裝置和用於驅動顯示裝置的系統
KR20190065626A (ko)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데이터송수신방법 및 디스플레이 패널구동장치
KR20230094691A (ko) 데이터 구동 장치, 데이터 구동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