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871A - 인조 터프 - Google Patents

인조 터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6871A
KR20230006871A KR1020227041132A KR20227041132A KR20230006871A KR 20230006871 A KR20230006871 A KR 20230006871A KR 1020227041132 A KR1020227041132 A KR 1020227041132A KR 20227041132 A KR20227041132 A KR 20227041132A KR 20230006871 A KR20230006871 A KR 20230006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grass
layer
thermoplastic
artificial tur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귄터 숄츠
마틴 발로
카이 브루에닝
프랑크 티엘비어
에케하르트 포지 모리츠
아이케 베델
칼 베테캄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이노베이션즈마누팍투어 게엠베하
트로필 스포츠보덴시스템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닥터. 칼 웨테캄 운트 코. 카게 쿤스트스토페-페던, 밴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이노베이션즈마누팍투어 게엠베하, 트로필 스포츠보덴시스템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닥터. 칼 웨테캄 운트 코. 카게 쿤스트스토페-페던, 밴더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230006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for securing layers together; for attaching the product to another member, e.g. to a support, or to another product, e.g. groove/tongue, inter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6Knitt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D06N7/0068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 primary backing or the fibrous top lay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D06N7/0071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 D06N7/0086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ir backing, e.g. pre-coat, back coating, secondary backing, cushion backing characterised by the cushion backing, e.g. foamed 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07Elastomer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07Elastomeric fibres
    • B32B2262/0215Thermoplastic elastomer fi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23Vinyl resin fibres
    • B32B2262/023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61Polyamid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92Polyurethan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07Materials belonging to B32B2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28Aromatic vinyl resin,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7Polyam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64Polye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92Thermoplastic elasto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6Oriented mon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6Damping, energ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자 폼으로 제조된 댐핑층(3), 섬유 백킹(fiber backing)(5), 및 단일 또는 다중 섬유로 제조된 인조 그래스(artificial grass)층(7)을 포함하는 인조 터프(artificial turf)(1)로서, 섬유는 섬유 백킹(5)에 결합되어 인조 그래스 카페트를 형성하고, 입자 폼 및 인조 그래스층(7)을 형성하는 단일 또는 다중 섬유는 각각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제조되는 것인 인조 터프(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조 터프
본 발명은 입자 폼으로 제조된 댐핑층, 섬유 백킹(fiber backing), 및 단일 또는 다중 섬유로 제조된 인조 그래스(artificial grass)층을 포함하는 인조 터프(artificial turf)로서, 섬유는 섬유 백킹에 결합되어 인조 그래스 카페트를 형성하는 것인 인조 터프에 관한 것이다.
인조 터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닥재로서, 건물 내부 또는 건물 외부, 예를 들어 운동장, 놀이터에, 또는 테라스나 발코니에 사용될 수 있다.
천연 터프의 느낌과 작용 및 반작용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인조 터프는 합성 그래스층이 배치된 댐핑층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합성 그래스층은 그래스 잎을 형성하는 가닥들이 연결되어 있는 직조된 섬유 백킹으로 제조될 수 있다.
탄성이 있는 개방 셀 팽창 비드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 댐핑층, 및 터프가 고정되어 있는 직조 클로스의 합성 터프 파일 카페트로 형성된 이러한 인조 터프는, 예를 들어 EP-B 0 988 423에 기술되어 있다. 인조 터프의 자연스러운 감촉을 위해, 그래스 잎을 형성하는 터프의 하부를 감싸는 직물 위에 모래층을 피착한다. US 3,332,828, US 3,551,63 및 US 3,597,297은 또한 베이스층 및 백킹에 편직된 섬유를 갖는 인조 그래스층으로 구성된 인조 터프를 기술한다. 예를 들어 US 3,332,828 또는 US 3,551,263에 따른 베이스층은 PVC 폼이고, US 3,597,297에 따른 것은 폴리우레탄 폼이다.
EP-A 1 842 963은 인조 그래스층 및 베이스층을 포함하는 인조 터프를 기술한다. 인조 그래스층 및 베이스층은 투수성이다. 이를 통해, 흙을 메우지 않으면서도 야외에서 인조 터프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수인 또 다른 인조 터프는 US-A 2005/0039511에 기술되어 있다.
천연 그래스와 같은 작용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US-A 2004/0229007에서는 2개의 별개의 섬유 그룹이 사용되며, 여기서 섬유는 백킹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다. 안정화 충전재는 백킹에 있으며, 섬유 그룹은 충전재 위로 연장되고, 두 번째 섬유 그룹은 백킹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지만 충전재 위로는 연장되지 않는다. WO-A 98/40559 및 DE 60 2005 005 630 T2는 또한 인조 터프를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입자 물질이 백킹에 적용되며, 이 백킹은 섬유를 직립 자세로 지지하기 위해 그래스 잎을 형성하는 섬유의 하부를 둘러싼다.
US 4,882,208은 특히 인조 그래스 아래에서 사용될 수 있는 베이스층을 기술하고 있으며, 여기서 베이스층은 폐쇄 셀 가교 폴리에틸렌 폼 재료의 하부층 및 금속층으로 된 상부층을 포함한다. 인조 그래스 아래에서 사용하기 위한 충격 흡수 패드도 US 4,505,960에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는, 요구되는 조건을 달성하기 위해서 특히 엘라스토머 폼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향상된 힘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 바닥 표면에 사용되는 복합재가 WO 2018/206657에 기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독일 표준 DIN 18035-7은 운동장용 인조 터프의 구성 및 시스템을 기술한다.
당업계의 인조 터프의 단점은, 천연 그래스의 느낌을 얻기 위해서 입자층을 적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그래스 잎을 형성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머,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아미드의 단점은, 예를 들어 인조 터프 위를 걷는 사람과 같은 하중이 가해질 때에 비가역적으로 휘거나 균열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섬유를 수직으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입자 물질로 인해, 인조 터프는 설치된 한 장소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인조 터프는 이동 용도로 사용될 수 없다. 또한, 당업계의 인조 터프의 경우, 일반적으로 누군가가 터프에 넘어져 미끄러지는 경우에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젖은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당업계에 공지된 인조 터프의 단점을 가지지 않는 인조 터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입자 폼으로 제조된 댐핑층, 섬유 백킹, 및 단일 섬유로 제조된 인조 그래스층을 포함하는 인조 터프로서, 단일 섬유는 섬유 백킹에 결합되어 인조 그래스 카페트를 형성하고, 입자 폼 및 인조 그래스층을 형성하는 단일 섬유는 각각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폴리머로 제조되는 것인 인조 터프에 의해 달성된다.
놀랍게도, 인조 그래스층을 형성하는 단일 섬유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사용하는 경우, 섬유가 하중에 의해 구부러진 후에 다시 일어선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섬유를 수직 위치로 유지하는 백킹에 입자 층을 적용할 필요가 없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사용하는 또 다른 이점은, 그래스 잎이 더 부드러워 부상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입자층을 생략하는 것의 또 다른 장점은, 인조 터프를 지면에 쉽게 깔았다가 나중에 지면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인조 터프에서 진행되는 특정 행사를 위해 바닥에 인조 터프를 설치했다가 나중에 제거하여, 그 특정 행사를 위해 인조 터프가 설치되었던 장소를, 다른 시간에 인조 터프가 필요하지 않은 다른 행사에 사용할 수 있다.
인조 터프는, 예를 들어 건물의 바닥, 예컨대 스포츠 홀 또는 이벤트 홀 또는 건물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건물 외부에 사용하는 경우, 인조 터프는 매끄러운 지면, 예컨대 콘크리트 또는 석고(plaster), 타일 또는 포석, 또는 평평한 토양이나 모래 위에 깔 수 있다. 특히 콘크리트, 석고, 타일, 포석과 같은 단단한 표면에 사용하거나 실내에서 사용하는 경우, 댐핑층에 의해, 자연 론(lawn)의 느낌에 해당하는 느낌을 만들 수 있다. 실외 사용을 위해, 예를 들어 모래 론(sandy lawn)과 같은 자연스러운 느낌을 위해 인조 터프에 입자 층을 제공하거나, 예를 들어 푹풍과 같은 악천후 조건에서 인조 터프를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해 안전한 배치를 위한 추가 하중으로서 입자 층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입자층이 없는 인조 터프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댐핑층의 다양한 댐핑 특성은, 댐핑층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구성, 입자 폼의 패킹 밀도, 입자 폼에 사용되는 입자의 크기, 또는 댐핑층의 두께에 의해 확립될 수 있다. 접합부를 보호하고 낙상시 부상을 줄이는 적절한 댐핑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댐핑층이 DIN 53512:2000에 따라 측정될 때 30% 초과, 바람직하게는 50% 초과의 반동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댐핑층의 반동 외에도, 댐핑층이 낮은 영구 압축 변형률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잔류 변형이 거의 없음을 의미한다. 댐핑층에 사용되는 입자 폼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 g/cm3 범위, 특히 0.1 내지 0.4 g/cm3 범위이다. 또한, 댐핑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mm 범위, 특히 2 내지 50 mm 범위이다. 댐핑층용 입자 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팽창 비드는 바람직하게는 계란형 또는 원형 형상을 가지며, 최대 팽창이 2 내지 30 mm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mm 범위, 특히 2 내지 10 mm 범위이다. 따라서 댐핑층은 일반적으로 2 내지 30 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개, 특히 1 내지 15 개의 입자 층을 포함한다.
댐핑층에 구조 폼 대신에 입자 폼을 사용하면, 모두 동일한 특성을 갖는 팽창 비드를 생성할 수 있고, 단순히 댐핑층의 패킹 밀도 및/또는 두께의 변화에 의해 댐핑층의 다양한 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통로가 비드 사이에 형성되어 댐핑층을 통해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팽창 비드로부터 입자 폼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입자 폼을 사용할 때에 투수성 댐핑층을 달성하는 것이 더 쉽다. 인조 터프가 실외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입자 폼의 투수성을 제공하는 것이 특히 필요하다. 투수성에 의해, 비가 온 후에 인조 터프에 물웅덩이가 생기는 것이 방지되고, 물이 인조 터프 표면으로부터 그 아래의 지면으로 배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예를 들어 실내 용도로만 사용될 인조 터프의 경우에는 통로가 없는 조밀한 입자 폼을 사용할 수 있는데, 실내 용도의 경우에는 입자 폼의 투수성이 필요없기 때문이다.
입자 폼에 사용되는 비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특히 팽창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팽창된 폴리머로 제조된다. 이로써, 비드는 폐쇄 셀 폼 또는 개방 셀 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팽창 비드는 폐쇄 스킨을 갖는다. 입자 폼을 위한 비드는 팽창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팽창 비드는 압출 공정에서 예를 들어 펠릿을 생성하고 고압 하에서 발포제로 수성 현탁액에 펠릿을 함침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후, 펠릿은 압력 감소에 의해 팽창하여 팽창 비드를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팽창 펠릿을 압출 공정에서 수득할 수 있으며, 이 압출 공정에서는 발포제가 압출기에 첨가되고, 폴리머 용융물은 압출 다이를 통과할 때 팽창하고 팽창 비드로 절단되거나, 예를 들어 팽창 가능한 비드를 포함하는 발포제가 수중 과립화로 형성되고, 별도의 공정 단계에서 팽창된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팽창 비드를 제조하는 WO-A 2007/082838에 기술되어 있다.
댐핑층용 입자 폼을 제조하기 위해서, 펠릿은 단단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비드는 접착 또는 용접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착을 위해, 예를 들어 비드에 접착제를 제공하고, 표면에 접착제를 갖는 비드를 접착제를, 댐핑층용 입자 폼을 형성하기 위한 다이에 채울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팽창 비드는 용접에 의해 연결된다. 용접된 입자 폼에 의해 댐핑층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팽창 비드는 공기압으로 몰드에 채워질 수 있으며, 그 후 흔히 몰드의 양쪽으로부터 고온의 증기가 여러 다이에 의해 가압된다. 팽창 비드를 통과하는 동안에, 이들은 표면이 부드러워지고 서로 접착되며, 압력 증가에 의해 지지된다. 일반적으로, 몰드는 몰드의 부품들 사이에 틈이 남도록 하는 방식으로 닫혀 있으며, 팽창 비드를 몰드에 채우고 몰드에 증기를 통과시킨 후, 몰드를 다시 닫아 압력을 높이고 팽창 비드를 연결한다. 이로써, 몰드의 형상을 갖는 구성요소가 형성된다.
섬유 백킹은 천연 또는 폴리머 필라멘트로 제조될 수 있다. 보다 용이한 취급 및 다른 폴리머 층, 특히 댐핑층에 대한 보다 우수한 접착을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필라멘트가 섬유 백킹에 사용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섬유 백킹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제조된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면, 인조 그래스층이 열가소성 폴리머를 연결하기 위한 기존의 수단, 예컨대 접착 또는 용접에 의해 댐핑층에 연결될 수 있다는 추가의 이점이 있다.
섬유 백킹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댐핑층에 연결하는 경우, 섬유 백킹 및/또는 댐핑층을 구성하는 폴리머와 동일한 모노머 단위로 구성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그래스 잎을 형성하는 섬유는 노팅(knotting) 또는 터프팅(tufting)에 의해 섬유 백킹에 고정된다. 이는, 섬유 백킹이, 그래스 잎을 형성하는 섬유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포함하게 한다. 따라서 섬유 백킹의 적합한 형태는 직물, 편성물, 크로셰 패브릭(crocheted fabric) 또는 부직물이며, 직물이 섬유 백킹으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 백킹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모든 적합한 텍스타일 표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드 텍스타일(laid textile)도 섬유 백킹으로서 가능하다. 섬유 백킹으로서 추가로 호일 또는 매트가 가능하며, 이들은 연신되거나 연신되지 않을 수 있다. 연신된 호일 또는 매트는 한 방향(일축 연신) 또는 두 방향(이축 연신)으로 연신될 수 있다.
섬유 백킹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섬유 백킹은 최신 기술에서 인조 터프 구조물에 사용되는 유사한 크기 및 두께를 갖는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섬유 백킹의 두께가 약 0.2 mm 내지 약 3 mm 범위이다.
섬유 백킹에 고정된 그래스 잎은 바람직하게는 모노필라멘트 또는 모노필라멘트 다발(멀티필라멘트)로부터 형성되며, 터프팅 공정 동안에 적합한 짧은 섬유로 절단되고, 짧은 섬유는 인조 터프의 그래스 잎을 형성하기 위한 각각의 길이를 가진다. 모노필라멘트 또는 모노필라멘트 다발의 단면적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적합한 형상의 선택은 최종 상태에서의 인조 터프의 용도에 따라 달라진다. 모노필라멘트는 예를 들어 모노필라멘트의 직접 압출, 또는 모노필라멘트가 절단되는 테이프의 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이한 유형의 모노필라멘트 및/또는 모노필라멘트 다발이 인조 터프에 조합될 수 있다. 그래스 잎은 매끄럽거나 주름형일 수 있다. 주름진 그래스 잎이 사용되는 경우, 인조 터프는 매끄럽고 주름진 잎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여기서 주름진 잎은 특히 평평한 잎이 직립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잎은 예를 들어 스페이서 패브릭 공정을 이용하여 섬유 백킹에 고정될 수 있다. 스페이서 패브릭 공정에서, 섬유 백킹의 2개 층이 그 섬유 백킹의 2개 층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두고 병렬로 배치된다. 공정 동안에, 잎을 형성하는 모노필라멘트 또는 모노필라멘트 다발(멀티필라멘트)은 섬유 백킹의 2개 층 사이에서 직조된다. 그런 식으로, 섬유 백킹의 2개 층은 필라멘트 중간층(모노필라멘트 또는 모노필라멘트 다발)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스페이서 패브릭 공정의 결과는 3차원(3D) 직물 제품이다. 섬유 백킹의 2개 층 사이에 있는 필라멘트를 절단함으로써, 잎이 섬유 백킹에 고정되어 있는 2개의 개별 섬유 백킹이 형성되어, 인조 그래스 카페트가 생성된다. 절단은 예를 들어 중간뿐만 아니라 2개의 섬유 백킹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섬유 백킹에 터프팅된 잎의 밀도/개수(미터당 잎의 수)는 인조 터프의 의도된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미터당 잎의 수는 50개 초과, 200개 초과, 500개 초과, 또는 750개 초과이다. 바람직하게는, 미터당 잎의 수는 약 100개 내지 약 200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0개 내지 약 1750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0개 내지 약 1500개이다. 또한, 섬유 백킹은 섬유 백킹에 고정된 단일 잎 또는 잎 다발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 잎 또는 잎 다발을 섬유 백킹으로 고정하는 공정은 특히 접착, 터프팅, 재봉 또는 직조를 포함한다. 섬유 백킹 중 잎의 수는 인조 터프/인조 그래스 카페트의 원하는 밀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잎의 형상에 대해서는, 다양한 크기와 모양이 가능하다. 잎의 단면적이 원형, 계란형, 타원형, 편평형, 낫형, 월상형, 직사각형, 장방형 또는 정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편평형 및 계란형 잎이 특히 바람직하다. 잎은 모든 고려 가능한 색상, 예컨대 녹색, 황색, 청색, 적색 또는 이들의 혼합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인조 터프용으로 다양한 색상의 잎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조 터프의 잎의 길이는 예를 들어 약 1 mm 내지 약 80 mm, 약 2 mm 내지 약 60 mm, 바람직하게는 약 3 mm 내지 약 5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 mm 내지 약 45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 mm 내지 약 40 mm 범위이다. 3차원(3D) 직조 제품(인조 그래스 카페트)의 절단 후에 스페이서 패브릭 공정을 이용하는 경우, 잎의 길이는 예를 들어 약 1 mm 내지 약 80 mm, 약 2 mm 내지 약 60 mm, 바람직하게는 약 3 mm 내지 약 5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 mm 내지 약 45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8 mm 내지 약 40 mm 범위이다.
그래스 잎의 제조에 사용되는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의 소재로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폴리머와 관련하여 적절한 단면적을 선택함으로써, 천연 그래스의 느낌과 매우 가까운 인조 터프의 느낌을 얻는다. 그래스 잎의 제조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폴리머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거나, 또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폴리머의 공압출물로서, 폴리머 중 하나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인 공압출물일 수 있다. 그래스 잎을 형성하는 섬유가 형성되는 필라멘트에 공압출물이 사용되는 경우, 두 폴리머의 공압출물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모노필라멘트는, 적절한 다이를 통해 폴리머 용융물을 가압하여 연속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압출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이렇게 형성된 연속 필라멘트는 베일에 감겨지고 베일로부터 섬유 백킹에 편직되거나 터프팅되고, 편직 또는 터프팅 동안에 단일 섬유로 절단되어 그래스 잎을 형성한다.
모노필라멘트는 평면 필름 압출 또는 취입 필름 압출과 같은 필름 압출에 의해 또한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압출에 의해 후속적으로 제조된 필름은 모노필라멘트에 대해 원하는 폭을 갖는 줄무늬로 절단된다. 이 경우, 모노필라멘트는 직사각형의 편평한 단면적을 갖는다. 터프팅 과정 동안에, 모노필라멘트는 작은 단편으로 절단되어 잎을 형성하며, 그 잎은 편평하고 단면의 관점에서 볼 때 계란형 또는 직사각형이다.
인조 터프의 그래스층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는 모두 동일한 길이를 가질수 있다. 이 경우에도, 모든 그래스 잎은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다르게는, 상이한 길이를 갖는 섬유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섬유가 2개의 상이한 길이를 가짐으로써 긴 그래스 잎 및 짧은 그래스 잎을 갖는 그래스층이 얻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짧은 그래스 잎이 긴 그래스 잎을 지지하여 직립을 유지하고 더 조밀한 채움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그래스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이한 길이의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터프팅 공정을 2회, 즉, 처음에는 짧은 섬유층에, 두 번째로는 긴 섬유층에 수행해야 한다. 적합한 터프팅 기계는 동시에 한 번에 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르게는, 모두 동일한 길이를 갖는 상이한 수축 거동을 갖는 2개의 상이한 폴리머의 모노필라멘트를 터프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터프팅 공정 후, 그래스 카페트는 온도 처리되며, 이로써 한 폴리머의 모노필라멘트로 제조된 그래스 잎이 수직으로 유지되고, 두 번째 폴리머의 모노필라멘트로 제조된 그래스 잎이 컬을 형성한다. 이런 식으로, 컬링되어 있지 않은 그래스 잎은 컬링된 그래스 잎에 의해 직립 자세로 지지된다.
입자 폼, 그래스 잎 형성용 섬유, 및 섬유 백킹이 폴리머로 제조되는 경우의 섬유 백킹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TPO), 열가소성 가황물(TPV), 열가소성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TPS),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TPC), 열가소성 폴리아미드(TPA),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TPS이거나 TPS, TPU, TPC 또는 TPA를 포함하는 화합물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TPU이다.
댐핑층용 폴리머, 섬유 백킹 및 그래스층용 단일 섬유의 상이한 필수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이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경질상과 연질상을 변화시키거나 적절한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상이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한 가지 방법은 쇼어 경도로 재료 강성을 분류하는 것이다. 이 경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는 관계 없이, 그래스 잎의 쇼어 경도 범위는 80A 내지 85D, 바람직하게는 40D 내지 70D이고, 섬유 백킹의 경우 40D 내지 85D, 바람직하게는 60D 내지 85D이다.
본 발명의 장점은, 본 발명의 인조 터프의 잎를 밟았을 때에, 잎이 탄성 거동을 나타내고 잎이 뒤틀림(kinking)에 저항력이 있다는 점이다. 잎의 경우, 특히 연질 TPU와 경질 TPU의 조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연질 TPU는 70A 내지 60D의 쇼어 경도를 갖고, 경질 TPU는 바람직하게는 90A 내지 80D의 쇼어 경도를 갖는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첨가될 수 있는 첨가제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첨가제일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예를 들어 댐핑층, 섬유 백킹 및/또는 그래스층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첨가제는 계면활성 물질, 충전제, 난연제, 정전기 방지제, 조핵제, 항산화제, 활제 및 이형제, 염료 및 안료, 안정화제(예컨대 가수분해, 빛, 열 또는 변색에 대한 안정화제), 강화제 및 가소제이다. 첨가제, 예컨대 활제 및 난연성 첨가제는 서로 조합될 수 있다. 특히, 인조 터프를 실외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가수분해, 빛, 열 및 변색에 대한 안정화제를 첨가하여 환경 조건에 안정한 폴리머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섬유 백킹에 사용되는 경우, 필요한 강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섬유, 예를 들어 유리 섬유, 광물 섬유, 또는 폴리머 섬유 및/또는 입자 충전제, 예컨대 무기 충전제 또는 유기 충전제, 예컨대 탈크, 광물 입자 또는 열가소성 폴리머, 예컨대 PBT 또는 POM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섬유 백킹에 적합한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무기 충전제, 예컨대 광물, 금속 카보네이트 또는 설페이트, 유리 섬유, 탄소 섬유; 폴리아미드(P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스티렌(PS);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SAN),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레이트(ASA) 또는 엘라스토머 등급물 유사 열가소성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TPS)를 포함하는 폴리스티렌(PS)의 코폴리머;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TPC), 열가소성 폴리아미드(TP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폴리머이다.
잎에 적합한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P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스티렌(PS); 및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SAN),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레이트(ASA) 또는 엘라스토 등급물 유사 열가소성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TPS)를 포함하는 폴리스티렌(PS)의 코폴리머,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TPC), 열가소성 폴리아미드(TP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댐핑층에 적합한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P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스티렌(PS); 및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SAN),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레이트(ASA) 또는 엘라스토머 등급물 유사 열가소성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TPS)를 포함하는 폴리스티렌(PS)의 코폴리머,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TPC), 열가소성 폴리아미드(TP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별개의 층들에 상이한 폴리머를 사용하면 이상적인 특성을 갖는 층들을 가질 수 있으나, 인조 터프의 수명이 다한 후에 재활용하면 각각 상이한 폴리머로 구성된 상이한 층들을 분리할 수 있다. 섬유 백킹 및 그래스 잎을 형성하는 섬유로 구성된 인조 그래스층은 접착제로 접착하거나 용접하는 것에 의해 댐핑층과 분리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인조 그래스층은 댐핑층은 쉬운 방법으로 분리될 수 없다. 따라서, 입자 폼, 섬유 백킹 및 인조 그래스층을 형성하는 섬유 잎은 동일한 모노머 단위로 구성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제조되고, 층들의 상이한 특성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경질상과 연질상의 비율 및 각각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임의로 첨가된 첨가제의 변화에 의해 확립되는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동일한 모노머 단위로 구성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모든 층들을 형성함으로써, 폴리머 유형별로 분류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인 폴리머 재활용이 가능하다. 전체 인조 터프는 사전 분리 없이 재활용 공정에 공급될 수 있다. 댐핑층이 인조 그래스층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연결되는 경우, 이러한 분류 없는 재활용에 있어서, 인조 그래스층에 댐핑층을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가 다른 층들과 동일한 모노머 단위로 구성되는 것이 추가로 요구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인조 터프는 단 하나의 재료 유형, 특히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만을 함유한다. 이는, 특히 잎, 섬유 백킹 및 댐핑층이 TPU로 구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3개의 구성요소인 잎, 섬유 백킹 및 댐핑층을 함께 모으기 위해서, TPU 접착제(예컨대 TPU 핫멜트)를 사용하여 인조 터프의 3개의 구성요소가 함께 접착 또는 용접되도록 보장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TPU 층들을 함께 용접하기 위해서, 재료는 열, 적외선, 마이크로파, 고주파 또는 매우 유사한 에너지원에 의해 열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TPU 접착제는 팽창된 TPU 폼 입자를 함께 접착하여 댐핑층을 생성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조 터프에 대한 단일 재료 개념이 보장될 수 있다. 인조 터프의 제작에 한 가지 재료만을 사용함으로써 인조 터프의 재활용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사용 후, 인조 터프는 열적으로, 기계적으로 및/또는 화학적으로, 특히, 예를 들어 기계적 절단 또는 과립화 장비를 통해 사전에 압출기에서 컴파운딩하고 선택적으로 크기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가공될 수 있다. 그 후, 가공된(컴파운딩된) 재료는 잎, 섬유 백킹 및/또는 댐핑층의 제조에 재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함께 조합/결합하면, 재활용된 인조 터프가 얻어진다. 재활용된 인조 터프는 여전히 단 하나의 재료 유형, 특히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으로만 구성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인조 터프는 50% 초과의 TPU와, 폴리아미드(P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옥시메틸렌(POM), 및 폴리스티렌(PS), 및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SAN),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레이트(ASA) 또는 엘라스토머 등급물 유사 열가소성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TPS)를 포함하는 폴리스티렌(PS)의 코폴리머,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TPC), 열가소성 폴리아미드(TP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50% 미만의 다른 폴리머를 함유한다. 그것으로 여전히 인조 터프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 후, 인조 터프는 열적으로, 기계적으로 및/또는 화학적으로, 특히, 예를 들어 기계적 절단 또는 과립화 장비를 통해 사전에 압출기에서 컴파운딩하고 선택적으로 크기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가공될 수 있다. 그 후, 가공된(컴파운딩된) 재료는 잎, 섬유 백킹 및/또는 댐핑층의 제조에 재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함께 조합/결합하면, 재활용된 인조 터프가 얻어진다. 재활용된 인조 터프는 특히 여전히 50% 초과의 TPU와, 폴리아미드(P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옥시메틸렌(POM), 폴리스티렌(PS), 및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SAN),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레이트(ASA) 또는 엘라스토머 등급물 유사 열가소성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TPS)를 포함하는 폴리스티렌(PS)의 코폴리머,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TPC), 열가소성 폴리아미드(TP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50% 미만의 다른 폴리머를 함유한다.
인조 터프를 제조하기 위해서, 먼저 댐핑층과 인조 그래스층을 제조한 다음에, 댐핑층을 인조 그래스층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먼저 인조 그래스층을 제조하고, 인조 그래스층 상에 직접 댐핑층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입자 폼용 팽창 비드를 접착제로 접착하면, 접착층을 갖는 팽창 비드를 섬유 백킹에 적용하고, 접착제가 코팅된 팽창 비드를 접착하여 인조 그래스층에 직접 입자 폼을 형성한다. 원하는 형태의 입자 폼을 달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인조 그래스층을 몰드 또는 프레임에 넣은 다음에, 접착제 코팅된 팽창 비드를 몰드 또는 프레임에 공급하여 입자 폼을 형성한다.
팽창 입자를 용접하여 입자 폼을 형성하고 입자 폼을 인조 그래스층에 용접할 경우, 먼저 인조 그래스층을 제조하고 인조 그래스층을 몰드 또는 프레임에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팽창 비드를 몰드 또는 프레임에 공급한 다음, 입자 폼을 형성하고 그 입자 폼을 인조 그래스층에 용접하기 위해서, 고온의 증기를 몰드에 통과시킨다. 입자를 몰드 또는 프레임에 공급하고 이로써 입자 폼을 제조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종래의 인조 터프와 대조적으로 입자층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인조 터프는 이동성이 있어 인조 터프가 필요한 위치에 쉽게 설치 및 제거될 수 있고, 그 위치로 쉽게 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조 터프에 가능한 응용 분야는, 예를 들어 운동장(실내 및/또는 실외), 조경 분야, 건설 분야, 정원 가꾸기, 옥상 녹화, 교통섬이 있다.
운송이 용이하도록, 인조 터프는 운송이 가능한 크기를 갖는 모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모듈보다 큰 인조 터프를 깔아야 하는 경우, 인조 터프의 모듈을 여러 개 깔아야 하므로, 인조 터프를 이용한 인조 론(artificial lawn)은 본 발명의 인조 터프로 제조된 적어도 2개의 모듈로 구성된다. 인조 터프의 모듈은 편평한 모듈의 운송을 가능하게 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모듈은 코일을 형성하기 위해 그 모듈을 롤링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모듈의 크기에 따라, 모듈은 운반 또는 보관될 수 있으며, 편평한 모듈로서 사용되거나 코일로서 롤링되지 않는다.
인조 론이 적어도 2개의 모듈로 구성된 경우, 인접한 모듈을 고정함으로써, 단일 모듈의 이동으로 인해 모듈 사이에 틈이 생길 수 있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이러한 틈은, 누군가가 그러한 틈에 발을 들여놓아 휘청거리거나, 누군가가 인조 론에 넘어져서 그러한 틈으로 미끄러져 끼일 경우, 예를 들어, 인조 론이 운동장에 사용되는 경우에, 심각한 부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인접한 모듈을 고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서로 플러깅(plugged)될 수 있는 엣지를 갖는 모듈을 설계할 수 있다. 엣지의 형태는 맞물리는 언더컷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맞물리는 엣지에 언더컷을 갖는 모듈을 제공하는 것 외에도, 오목부 및 볼록부가 있는 모듈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직선 엣지를 갖는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 가장 바깥쪽 모듈이 놓이는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지면에 모듈을 배치하여 모듈의 이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영구적인 인조 론을 배치할 경우, 인접한 모듈들을 서로 접착하거나 용접할 수 있다. 접착 또는 용접에 의해, 영구적인 연결이 달성되므로, 이렇게 제조된 인조 론은 일반적으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이동형 인조 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인접한 모듈들을 서로 플러깅하거나 론(lawn)을 프레임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모듈을 연결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도면에 도시하고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제1 실시양태에서의 인조 터프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제2 실시양태에서의 인조 터프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3은 제3 실시양태에서의 인조 터프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인조 론을 도시한다.
도 1은 제1 실시양태에서의 인조 터프를 도시한다.
인조 터프(1)는 댐핑층(3), 섬유 백킹(5) 및 인조 그래스층(7)으로 구성된다. 댐핑층(3)은 서로 연결된 팽창 비드(9)로 구성된 입자 폼으로부터 형성된다. 팽창 비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특히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으로 제조된다. 입자 폼을 제조하기 위해, 첫 번째 단계에서 팽창 비드가 제조된다. 이어서, 이러한 비드는 일반적으로 압력 하의 다이에서 서로 연결된다. 압력은 입자 폼의 의도된 밀도에 따라 좌우된다. 팽창 비드(9)를 연결하기 위해서, 팽창 비드(9)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되거나 용접될 수 있다. 고온의 증기를 다이에 통과시켜 팽창 비드(9)를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팽창 비드를 접착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팽창 비드(9)의 제조에 사용된 폴리머와 동일한 모노머 단위로 구성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팽창 비드(9)는 비드 사이에 통로(10)가 형성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통로(10)는 물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인조 터프(1)가 실외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 인조 터프(1)에 웅덩이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특히 바람직하다.
댐핑층(3)에 섬유 백킹(5)이 고정된다. 댐핑층(5)에 섬유 백킹(5)을 고정하기 위해서, 섬유 백킹(5)을 댐핑층(3)에 용접하거나 섬유 백킹(5)을 댐핑층(3)에 접착할 수 있다. 추가의 폴리머를 추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또한 섬유 백킹(5)을 댐핑층(3)에 고정하기 위해, 용접이 바람직하다.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 또한 섬유 백킹(5)을 댐핑층(3)에 접착하기 위해, 팽창 비드(9)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머와 동일한 모노머 단위로 구성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조 그래스층(7)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가 섬유 백킹(5)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섬유 백킹은 직물, 편성물, 크로셰 패브릭, 레이드 텍스타일, 매트, 호일 또는 부직물이다.
또한, 섬유 백킹(5)도 팽창 비드(9)의 폴리머와 동일한 모노머 단위로 구성된 폴리머로 제조된다. 동일한 모노머 단위로 구성된 폴리머를 사용하면, 층들을 분리 및 분류하지 않으면서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에서, 인조 그래스층(7)은 모두 동일한 길이를 갖는 섬유로 제조된 그래스 잎(11)을 포함한다. 섬유는 섬유 백킹(5)에 연결되어 인조 그래스층(7)을 형성한다. 그래스 잎(11)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를 섬유 백킹(5)에 연결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노팅(knotting) 또는 터프팅(tufting)에 의해 수행된다.
분리 및 분류 없이 재활용할 수 있도록, 그래스 잎(7)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섬유도 댐핑층(3) 및 섬유 백킹(5)과 동일한 모노머 단위로 구성된 폴리머로 제조된다.
도 2는 제2 실시양태의 인조 터프(1)를 도시한다.
도 2의 인조 터프(1)는 인조 그래스층(7)에 대해서만 도 1의 인조 터프와 상이하다. 도 2에서, 인조 그래스층(7)은 긴 그래스 잎(13) 및 짧은 그래스 잎(15)으로 구성된다. 그래스의 상이한 길이는, 그래스 잎을 형성하는 섬유에 대해 상이한 섬유 길이를 사용하거나, 먼저 짧은 그래스 잎(15)을 형성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 긴 그래스 잎(13)을 형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는, 그래스 잎 루프가 형성된 다음에 터프팅 공정 동안에 별개의 그래스 잎으로 절단되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인조 터프에 있어서, 또한 도 2에 도시된 인조 터프에 있어서, 모든 층은 복합 구조의 경우에 각각 동일한 성분으로부터 유래된 동일한 모노머 단위들로 구성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연질상과 경질상을 변화시키는 것 및 임의로 첨가제를 더 첨가하는 것에 의해 층들의 상이한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제3 실시양태의 인조 터프(1)를 도시한다.
도 2의 인조 터프(1)와 달리, 도 3의 인조 터프(1)는 긴 그래스 잎(13) 및 컬링된 그래스 잎(16)을 포함한다. 컬링된 그래스 잎(16)은, 예를 들어 폴리머가 온도 처리시 컬링되도록 하는 조성을 갖는 폴리머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섬유 백킹(5)과 그래스 잎(13, 16)을 포함하는 인조 그래스 카페트가 형성되며, 이때 모든 잎이 매끄럽게 형성된다. 제조 후, 예를 들어 터프팅에 의해, 인조 그래스 카페트는 온도 처리됨으로써, 온도 처리시에 컬링되는 폴리머로 제조된 일부 그래스 잎이 컬링되고, 직립하는 매끄러운 긴 그래스 잎(14)을 지지하는 컬링된 그래스 잎 (16)의 층을 형성한다.
온도 처리에 의해 그래스 잎의 일부를 컬링하는 것 외에도, 컬링된 그래스 잎(16)으로서 사용되는 컬링되거나 주름진 모노필라멘트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제조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온도 처리시 매끈하게 유지되는 것과 온도 처리시 컬링되는 것의 두 종류의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인조 론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인조 론(17)은 여러 개의 모듈(19)로 형성되며, 각각의 모듈(19)은 도 1, 2 또는 3 중 하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 터프로 제조된다. 복수의 모듈(19)을 사용하여 인조 론(17)을 형성함으로써, 넓은 면적에 인조 론(17)을 제공하면서도 인조 론(17)을 영구적으로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운송할 수 있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듈(19)의 미끄러짐 및 그로 인한 모듈(19) 사이의 갭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서, 모듈을 서로 용접 또는 접착하거나 인접한 모듈(19)을 서로 플러깅할 수 있다. 접착 또는 용접은 인조 론이 영구적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만 적합하다. 운송 가능한 인조 론(17)의 경우, 인접 모듈을 서로 플러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듈(19)을 서로 플러깅하기 위해서, 맞물리는 맞물리는 언더컷(23)을 모듈(19)의 엣지(21)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언더컷의 맞물림에 의하면, 탈착 가능하지만 안정적인 모듈(19)의 연결이 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더컷(23)은 예를 들어, 서로 플러깅될 수 있는 T자형 연장부(25) 또는 L자형 연장부(27)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자형 또는 L자형 연장부 외에도, 언더컷을 갖는 임의의 다른 형상, 예를 들어 퍼즐 조각과 같은 형상도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서 인접 모듈(19)을 서로 플러깅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장부는 단지 예시로서 도시된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하나의 인조 론(1)에 대해 한 가지 유형의 연장부만 제공된다. 다양한 연장부가 사용될 경우, 모듈(19)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각각의 모듈에 동일한 연장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히, 예를 들어 일정 패턴의 인조 론을 설치하기 위해, 특정 배열의 모듈이 필요한 경우, 각각의 엣지에 상이한 연장부를 제공하여 각각의 모듈(19)이 올바른 자세로 배치되도록 보장하는 것이 유리하다.

Claims (15)

  1. 입자 폼으로 제조된 댐핑층(3), 섬유 백킹(fiber backing)(5), 및 단일 또는 다중 섬유로 제조된 인조 그래스(artificial grass)층(7)을 포함하는 인조 터프(artificial turf)로서, 섬유는 섬유 백킹에 결합되어 인조 그래스 카페트를 형성하고, 입자 폼 및 인조 그래스층(7)을 형성하는 단일 섬유는 각각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폴리머로 제조되는 것인 인조 터프.
  2. 제1항에 있어서, 섬유 백킹(5)도 또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제조되는 것인 인조 터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입자 폼, 섬유 백킹(5), 및 인조 그래스층(7)을 형성하는 단일 또는 다중 섬유는, 복합 구조의 경우에 각각 동일한 성분으로부터 유래된 동일한 모노머 단위들로 구성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제조되고, 층들의 상이한 특성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경질상과 연질상의 비율 및 각각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임의로 첨가된 첨가제의 변화에 의해 확립되는 것인 인조 터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자 폼은, 통로(10)가 팽창 비드(9) 사이에 형성되어 댐핑층(3)을 통해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팽창 비드(9)로 형성되는 것인 인조 터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자 폼의 비드(9)는 접착 또는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것인 인조 터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 백킹(5)은 직물, 편성물, 크로셰 패브릭(crocheted fabric), 레이드 텍스타일(laid textile), 매트, 호일 또는 부직물인 인조 터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조 그래스층(7)의 단일 섬유는 긴 그래스 잎(13) 및 짧은 그래스 잎(15)을 형성하는 상이한 길이를 갖는 것인 인조 터프.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조 그래스 카페트는 직립된 그래스 잎 및 컬링된 그래스 잎을 포함하는 것인 인조 터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 백킹(5)은 접착 또는 용접에 의해 댐핑층에 연결되는 것인 인조 터프.
  10. 제9항에 있어서, 댐핑층(3) 상에 섬유 백킹(5)을 접착하기 위해, 섬유 백킹(5)을 구성하는 폴리머와 동일한 모노머 단위로 구성되는 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인 인조 터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TPO), 열가소성 가황물(TPV), 열가소성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TPS) 또는 화합물,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TPC) 또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TPA)인 인조 터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조 터프(1)로 제조된 적어도 2개의 모듈(19)로 구성된 인조 론(artificial lawn).
  13. 제12항에 있어서, 인접한 모듈들(19)이 서로 플러깅되는 것인 인조 론.
  14. 제13항에 있어서, 인접한 모듈들(19)이 서로 접착 또는 용접되는 것인 인조 론.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모듈(19)은, 운송용 코일을 형성하기 위해 그 모듈을 롤링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 것인 인조 론.
KR1020227041132A 2020-04-23 2021-04-22 인조 터프 KR202300068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71010.0 2020-04-23
EP20171010 2020-04-23
PCT/EP2021/060544 WO2021214229A1 (en) 2020-04-23 2021-04-22 Artificial tur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871A true KR20230006871A (ko) 2023-01-11

Family

ID=70417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132A KR20230006871A (ko) 2020-04-23 2021-04-22 인조 터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145157A1 (ko)
EP (1) EP4139528A1 (ko)
JP (1) JP2023532389A (ko)
KR (1) KR20230006871A (ko)
CN (1) CN115605647A (ko)
AU (1) AU2021260104A1 (ko)
BR (1) BR112022021519A2 (ko)
CA (1) CA3180988A1 (ko)
WO (1) WO20212142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3273A (ko) * 2020-10-19 2023-06-27 테트로 엘티디. 서스펜션 품질을 갖는 하이브리드 구조체
WO2023110527A1 (en) 2021-12-16 2023-06-22 Victoria Holdco B.V. Artificial turf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turf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163A (en) 1886-12-28 Sewer system
US3332828A (en) 1965-12-28 1967-07-25 Monsanto Co Monofilament ribbon pile product
US3551263A (en) 1968-01-24 1970-12-29 Monsanto Co Cut pile type synthetic turf simulating grass
US3597297A (en) 1968-06-25 1971-08-03 Minnesota Mining & Mfg Synthetic turf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505960A (en) 1983-08-12 1985-03-19 Monsanto Company Unitary shock-absorbing polymeric pad for artificial turf
DE3717880A1 (de) 1987-05-27 1988-12-15 Huels Troisdorf Mehrschichtige verbundbahn, insbesondere zur verwendung als polsterschicht unter kunstrasen
JPH07246646A (ja) * 1994-03-08 1995-09-26 Hiroshima Kasei Ltd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を主材料とする複合多重異形押出物 を製造する方法
GB2329910C (en) 1997-03-10 2012-09-12 Fieldturf Holdings Inc Synthetic turf
CA2206295A1 (fr) 1997-06-09 1998-12-09 Alain Lemieux Gazon synthetique, de composition specifique, faite par un procede au jet de sable, jumele a une base en polypropylene servant de coussin d'absorption, ainsi qu'un procede de traitement au jet de sable de cette surface de gazon synthetique
US20040229007A1 (en) 2002-10-09 2004-11-18 Motz Joseph E. Infilled artificial surface with natural grass-like play characteristics
US7159425B2 (en) 2003-03-14 2007-01-09 Prevey Paul 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layer of compressive residual stress in the surface of a part
US7244477B2 (en) * 2003-08-20 2007-07-17 Brock Usa, Llc Multi-layered sports playing field with a water draining, padding layer
EP1650021A1 (en) * 2004-10-25 2006-04-26 Lankhorst Indutech B.V.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e product of a polyolefenic article and a cloth
US9267232B2 (en) 2005-03-24 2016-02-23 Tarkett Inc. Synthetic turf system having an infill trapping structure
WO2007002442A1 (en) * 2005-06-22 2007-01-04 Kruschke Neil E Modular surfacing system
EP1979401B1 (de) 2006-01-18 2010-09-29 Basf Se Schaumstoffe auf basis thermoplastischer polyurethane
EP1842963A1 (de) 2006-04-07 2007-10-10 XL Work AG Kunstrasen mit Kunstrasenoberfläche, Unterlage und Unterbau
NL1034142C2 (nl) * 2007-07-17 2009-06-10 Hugo De Vries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kunstgras.
NL2008961C2 (nl) * 2012-06-08 2013-12-10 Ten Cate Nederland B V Dragerelement, ingericht voor het samenstellen van een drager voor toepassing in een kunstgrasveld, een drager, samengesteld uit dergelijke dragerelementen, alsmede een kunstgrasveld, omvattende een dergelijke drager.
CN102808368A (zh) * 2012-08-14 2012-12-05 青岛青禾人造草坪有限公司 一种可以完全回收的人造草坪及其制备方法
DE102012024685A1 (de) * 2012-12-18 2014-06-18 Gerhard Schramm Kunstrasen mit einem Garn
WO2018206657A1 (en) 2017-05-10 2018-11-15 Basf Se Floorings prepared from composites comprising expanded thermoplastic elastomer particles
CN108948723A (zh) * 2018-07-25 2018-12-07 常州市顺祥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含热塑性发泡粒子卷片材的制备方法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4229A1 (en) 2021-10-28
EP4139528A1 (en) 2023-03-01
JP2023532389A (ja) 2023-07-28
CN115605647A (zh) 2023-01-13
CA3180988A1 (en) 2021-10-28
AU2021260104A1 (en) 2022-11-17
US20230145157A1 (en) 2023-05-11
BR112022021519A2 (pt) 202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7363B2 (en) Artificial grass turf system
US6723413B2 (en) Tufted surface covering and method
US3332828A (en) Monofilament ribbon pile product
KR101757189B1 (ko) 인조잔디 구조물
KR20230006871A (ko) 인조 터프
CA2193261C (en) Play area surface treatment
KR101962318B1 (ko) 인조잔디 구조체
WO2008011708A1 (en) Play surface layer structure
KR101977176B1 (ko) 3중 구조의 파일원사를 가지는 인조잔디매트 제조방법
US20160265170A1 (en) Artificial turf system
CA3117667C (en) Playing surface assemblies and systems
IL25517A (en) Natural grass-like synthetic textile material
JP2851241B2 (ja) 人工芝生の製造方法
EP2388375A1 (en) Drainage system providing damping properties
US20200071886A1 (en) Novel Artificial Turf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2580785B1 (ko) 충격흡수패드층이 일체로 구성되어 자기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인조잔디매트
JPH0226965Y2 (ko)
US20240125056A1 (en) Surface covering panel assembly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of installing the same
EP3947818B1 (en) Artificial turf and method for producing it
JP2003232007A (ja) 人工芝およびそれを用いたジョイント式人工芝
WO2012005576A2 (en) Artificial turf with hook and loop fastening
JP3946346B2 (ja) 人工芝生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人工芝生用基材
JP2021127650A (ja) 人工芝
JP2012102579A (ja) ゴムチップシート
JPH07268987A (ja) 難燃性ブロック構造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