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4993A -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 및 박리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 및 박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4993A
KR20230004993A KR1020210085502A KR20210085502A KR20230004993A KR 20230004993 A KR20230004993 A KR 20230004993A KR 1020210085502 A KR1020210085502 A KR 1020210085502A KR 20210085502 A KR20210085502 A KR 20210085502A KR 20230004993 A KR20230004993 A KR 20230004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material coil
starting end
adhesive tap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9556B1 (ko
Inventor
이원종
박종철
오세원
이정규
우동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Priority to KR1020210085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556B1/ko
Publication of KR20230004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05Opening of web rolls; Removing damaged outer layers; Detecting the leading end of a closed web ro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5Unwinding
    • B65H2301/41505Preparing unwinding process
    • B65H2301/41508Preparing unwinding process the web roll being in the unwinding support / unwinding location
    • B65H2301/41509Preparing unwinding process the web roll being in the unwinding support / unwinding location opening web roll and related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 및 박리방법을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는 이차전지의 제조시 사용되는 소재시트가 코일 형태를 이루도록 롤에 감겨져 마련되고, 개시단이 그 외경부 외면에 접착테이프를 통해 부착되어 있는 소재코일의 상기 개시단을 상기 외경부 외면으로부터 박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접착테이프의 위치를 감지하고, 위치가 감지된 상기 접착테이프를 상기 소재코일로부터 박리하는 제1 박리유닛; 상기 개시단을 상기 외경부 외면으로부터 박리하는 제2 박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 및 박리방법{starting end peeling device and peeling method of material coil for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이차전지 제조시 사용되는 소재코일의 개시단을 박리하기 위한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 및 박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반복적인 충방전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이점을 구비하여 모바일기기나 전기자동차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등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기술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와, 전해액과 함께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한다. 전극조립체는 양전극 및 음전극과, 이들 사이에 개재되어 쇼트를 방지하면서 전해액과 이온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분리막 등을 구비한다.
전극과 분리막은 각각 전극시트와 분리막시트로부터 절단되어 상호 적층되고, 전극시트와 분리막시트는 전극조립체 제조라인에 코일을 형성하도록 롤에 권취된 상태로 설치되어 전극과 분리막 가공위치로 풀리면서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소재코일들은 통상 사용 중인 것 외에 여분을 더 두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중인 소재코일이 모두 소진되면, 사용중인 소재코일에 여분의 소재코일을 연결함으로써 소재의 공급을 지속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전극조립체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사용중인 소재코일과 대기 상태에서 있는 여분의 소재코일의 연결작업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차전지의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 및 박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자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분리장치는 이차전지의 제조시 사용되는 소재시트가 코일 형태를 이루도록 롤에 감겨져 마련되고, 개시단이 그 외경부 외면에 접착테이프를 통해 부착되어 있는 소재코일의 상기 개시단을 상기 외경부 외면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으로, 상기 접착테이프의 위치를 감지하고, 위치가 감지된 상기 접착테이프를 상기 소재코일로부터 박리하는 제1 박리유닛; 상기 개시단을 상기 외경부 외면으로부터 박리하는 제2 박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재코일을 상기 소재시트의 감김방향과 풀림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정지시키는 회전구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박리유닛은, 회전하는 상기 소재코일의 외면을 지지하여 상기 소재코일로부터 상기 접착테이프를 박리시키도록 상기 소재코일 쪽으로 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박리부재; 상기 소재코일로부터 박리되어 상기 박리부재 후방으로 인출되는 상기 접착테이프의 일단부를 상기 박리부재와 협력하여 파지하도록 상기 박리부재 후방에 상기 박리부재 쪽으로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파지부재; 상기 박리부재와 제1 파지부재 사이로 상기 접착테이프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테이프 진입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테이프는, 상기 소재시트의 감김방향으로 상기 개시단 전방의 외경부 외면에 접착되는 제1접착부; 상기 제1접착부로부터 상기 소재시트의 풀림방향을 따라 상기 개시단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시단 외면에 접착되는 제2접착부; 상기 제1접착부로부터 상기 소재시트의 감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경부 외면에 미접착되는 미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박리유닛은, 상기 미접착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미접착부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박리유닛은, 상기 개시단의 외면을 진공흡착하여 상기 외경부 외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소재코일 쪽으로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흡착부재; 상기 외경부 외면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개시단을 상기 흡착부재와 협력하여 파지하도록 상기 흡착부재 전방에 승강 및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파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방법은 이차전지의 제조시 사용되는 소재시트가 코일 형태를 이루도록 롤에 감겨져 마련되고, 개시단이 그 외경부 외면에 접착테이프를 통해 부착되어 있는 소재코일의 상기 개시단을 상기 외경부 외면으로부터 박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접착테이프는, 상기 소재시트의 감김방향으로 상기 개시단 전방의 외경부 외면에 접착되는 제1접착부; 상기 제1접착부로부터 상기 소재시트의 풀림방향을 따라 상기 개시단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시단 외면에 접착되는 제2접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재코일로부터 상기 접착테이프를 박리하고; 상기 외경부 외면으로부터 상기 개시단을 박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테이프를 박리하는 것은, 상기 소재코일로부터 상기 제1접착부와 상기 제2접착부를 순차적으로 박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개시단을 박리하는 것은, 상기 소재코일로부터 상기 제1접착부가 박리된 상태에서 상기 소재코일로부터 상기 제2접착부가 박리되기 전에, 상기 외경부 외면으로부터 상기 개시단을 박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 및 박리방법에 따르면, 이차전지의 제조시 사용되는 소재코일의 개시단을 보다 신속하게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이차전지의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에서 제1박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에서 제2박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내지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방법에 의해 소재코일의 개시단을 박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 및 박리방법은 이차전지의 제조시 사용되는 소재시트가 코일 형태를 이루도록 롤에 감겨져 마련되는 소재코일(1)의 개시단(1a)을 소재코일(1)의 외경부(1b) 외면으로부터 박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재는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를 형성하는 분리막과 전극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고, 전극은 양전극과 음전극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소재코일(1)을 이루는 소재시트는 분리막을 형성하기 위한 분리막시트와, 양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양전극시트와, 음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음전극시트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소재코일(1)은 전극조립체 제조라인에 배치되는 것으로, 사용중인 소재코일의 소진시를 대비하여 마련되는 여분의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 및 박리방법은 제조라인 상의 여분의 소재코일의 개시단을 쉽게 정확하게 박리시킴으로써, 사용중인 소재코일의 소진시 그 말단에 대기 중인 소재코일의 개시단을 연결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소재코일(1)의 개시단(1a)은 롤에 감기는 소재시트의 끝단을 가리킨다. 개시단(1a)은 소재코일(1)의 최외면을 이루고, 소재시트를 롤에서 풀어지도록 하여 사용할 경우 소재시트의 시작단이 될 수 있다.
개시단(1a)은 소재코일(1)의 외경부(1b) 외면에 접착테이프(2)를 통해 부착되어 미사용시 외경부(1a) 외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접착테이프(2)는 소재코일(1)의 축방향 중앙부 측면에 소재코일(1)의 둘레방향을 따라 부착되는 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접착테이프(2)는 소재시트의 감김방향으로 개시단(1a) 전방의 외경부(1b) 외면에 접착되는 제1접착부(2a)와, 제1접착부(2a)로부터 소재시트의 풀림방향을 따라 개시단(1a) 쪽으로 연장되어 개시단(1a) 외면에 접착되는 제2접착부(2b)와, 제1접착부(2a)로부터 소재시트의 감김방향으로 연장되어 외경부(1b) 외면에 미접착되는 미접착부(2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접착부(2a)와 제2접착부(2b)는 내면이 접착제에 의해 소재코일(1)에 부착된 부위를 가리키고, 미접착부(2c)는 내면에 접착제가 없는 부위를 가리킨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는 접착테이프(2)를 소재코일(1)로부터 박리하는 제1 박리유닛(10)과, 개시단(1a)을 소재코일(1)의 외경부(1b) 외면으로부터 박리하는 제2 박리유닛(20)과, 소재코일(1)을 소재시트의 감김방향과 풀림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정지시키는 구동기(30)를 구비한다.
제1 박리유닛(10)은 접착테이프(2) 쪽으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소재코일(1)의 축방향 중앙부 측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박리유닛(20)은 소재코일(1)의 축방향 양 단부의 측면에 대응하여 제1 박리유닛(10)의 양쪽으로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기(30)는 소재코일(1)을 형성하도록 소재시트가 권취되는 롤의 축을 양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를 통해 구성될 수 잇다.
제1 박리유닛(10)과 한 쌍의 제2 박리유닛(20)은 연결본체(40)를 통해 상호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박리유닛(10)은 후술하게 될 이동수단(120)을 지지하는 연결부재(51)를 통해 연결본체(40)에 연결되고, 한 쌍의 제2 박리유닛(20)은 한 쌍의 제1실린더(61)를 통해 연결본체(40)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실린더(61)는 한 쌍의 제2박리유닛(20)을 수평방향을 따라 동시에 진퇴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함께 구동될 수 있다.
연결본체(40)에는 랙기어(41)가 연결되고, 랙기어(41)는 구동기(43)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42)을 통해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연결본체(40)를 수평방향으로 진퇴동작 시킬 수 있다. 랙기어(41)와 피니언(42)은 연결본체(40)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고, 구동기(43)로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박리유닛(10)은 회전하는 소재코일(1)의 외면을 지지하여 소재코일(1)로부터 접착테이프(2)를 박리시키도록 소재코일(1) 쪽으로 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박리부재(70)와, 소재코일(1)로부터 박리되어 박리부재(70) 후방으로 인출되는 접착테이프(2)의 일단부를 박리부재(70)와 협력하여 파지하도록 박리부재(70) 후방에 박리부재(70) 쪽으로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파지부재(80)를 구비할 수 있다.
박리부재(70)는 쐐기 형태로 마련되어 끝단을 통해 소재코일(1)의 외면을 지지하고, 제1 파지부재(80)는 박리부재(70)의 후방에 박리부재(70)의 끝단 쪽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파지부재(80)의 선단과 박리부재(70)의 하단 측면은 상호 밀착 가능한 경사면으로 마련되어 그 사이에서 접착테이프(2)가 안정적인 상태에서 파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파지부재(80)는 제2실린더(62)에 의해 수평방향을 따라 단독으로 진퇴동작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지부재(80)와 박리부재(70)는 제3실린더(63)에 의해 수평방향을 따라 함께 진퇴동작 할 수 있다.
제1 파지부재(80)가 연결되는 제2실린더(62)와, 박리부재(70)는 제3실린더(63)에 연결되는 슬라이더(63a)에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접착테이프(2)의 박리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박리부재(70)는 고압의 에어를 분사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박리부재(70)에는 에어를 전달받아 분사하기 위한 분사유로(71)가 구비되고, 분사유로(71)에는 도시되지 않은 에어펌프가 연결될 수 있다.
박리부재(70)에 의한 에어분사 동작은 에어펌프(미도시)의 구동여부에 따라 필요시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제1 박리유닛(10)은 박리부재(70)와 제1 파지부재(80) 사이로 접착테이프(2)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테이프 진입 감지센서(90)를 구비할 수 있다.
테이프 진입 감지센서(90)는 소재코일(1)로부터 박리되는 접착테이프(2)의 일단이 박리부재(70)와 제1 파지부재(80) 사이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박리부재(70)와 제1파지부재(80)에 의한 접착테이프(2)의 파지 동작을 준비하도록 할 수 있다.
테이프 진입 감지센서(90)는 포토센서로 마련되고, 박리부재(70)와 제1 파지부재(80) 사이로 위치될 수 있다. 박리부재(70)는 연결부재(52)를 통해 슬라이더(63a)에 연결되고, 테이프 진입 감지센서(90)는 연결부재(52)에 설치될 수 있다.
또 제1 박리유닛(10)은 접착테이프(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테이프 감지센서(100)를 포함하고, 테이프 감지센서(100)는 접착테이프(2)에서 박리가 용이한 미접착부(2c)의 위치를 감지하는 미접착부 감지센서(1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테이프 감지센서(100)는 박리부재(70)를 통해 접착테이프(2)를 미접착부(2c) 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박리되도록 하는데 기여함으로써, 제1 박리유닛(10)에 의한 접착테이프(2)의 박리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테이프 감지센서(100)는 컬러센서로 마련되고, 접착테이프(2)의 미접착부(2c)는 적색, 녹색, 청색 등을 띄도록 제1접착부(2a)나 제2접착부(2b)와 구분이 가능한 색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접착테이프(2)는 제1접착부(2a)와 제2접착부(2b)가 흰색으로 마련되고, 미접착부(2c)가 빨간색을 띄도록 마련될 수 있다.
테이프 감지센서(100)는 소재코일(1)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63a)에 연결되는 연결부재(53)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박리부재(70)는 회전하는 소재코일(1)의 외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접착테이프(2)를 박리하고, 제1 박리유닛(10)은 박리부재(70) 양측으로 배치되어 소재코일(1)과 접촉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11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롤(110)은 박리부재(70)가 소재코일(1) 외면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회전하는 소재코일(1)에 의해 회전하면서 소재코일(1)의 외면을 지지함으로써, 박리부재(70)와 소재코일(1)의 마찰에 따른 진동이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롤(110)은 연결부재(52,53)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미도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박리유닛(10)은 접착테이프(2)의 일단부를 파지한 상태의 박리부재(70)와 제1 파지부재(80)를 접착테이프(2)의 타단부가 박리되는 사선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2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동수단(120)은 개시단(1a)이 제2 박리유닛(20)에 파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개시단(1a)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접착테이프(2)를 소재코일(1)로부터 완전히 박리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개시단(1a)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접착테이프(2)는 이동수단(120)에 의해 그 박리되는 방향으로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개시단(1a) 외면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박리될 수 있다.
이동수단(120)은 구동기(121)와, 구동기(121)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잭(122)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121)는 모터로 구성되어 연결본체(4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51)에 결합하고, 스크류잭(122)은 단부가 제3실린더(63)가 설치되는 설치대(130)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대(130)는 구동기(121)를 구성하는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류잭(122)을 타고 사선방향으로 승강하고, 박리부재(70)와 파지부재(80)는 설치대(130)와 함께 사선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접착테이프(2)를 소재코일(1)로부터 완전히 박리시키거나 본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제2 박리유닛(20)은 개시단(1a)의 외면을 진공흡착하여 외경부(1b) 외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소재코일(1) 쪽으로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흡착부재(140)와, 외경부(1b) 외면으로부터 이격된 개시단(1a)을 흡착부재(140)와 협력하여 파지하도록 흡착부재(140) 전방에 승강 및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파지부재(1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파지부재(150)는 제1 박리유닛(10)의 제1 파지부재(80)보다 저부로 위치되고, 흡착부재(140)는 제2 파지부재(150) 저부로 위치될 수 있다.
흡착부재(140)는 도시되지 않은 진공발생기로부터 인가되는 진공압에 의해 개시단(1a)의 외면을 흡착하는 형태로 구속하고, 흡착부재(140)에 인가되었던 진공압이 해제될 경우 개시단(1a) 외면에 대한 흡착부재(140)의 구속은 해제될 수 있다.
흡착부재(140)는 제4실린더(64)에 연결되어 제4실린더(64)의 동작에 의해 수평방향을 따라 단독으로 진퇴동작 할 수 있다.
제2 파지부재(150)는 흡착부재(140) 상부에 위치되고, 승강동작에 의해 흡착부재(140)의 전방 또는 상방으로 위치될 수 있다. 흡착부재(140)의 전방으로 위치된 제2 파지부재(150)는 수평방향으로의 진퇴동작에 의해 흡착부재(140)에 밀착되거나 흡착부재(14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흡착부재가(140) 개시단(1a)의 외면을 흡착한 상태에서 후진하여 개시단(1a)이 외경부(1b)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면, 제2파지부재(150)는 개시단(1a)과 외경부(1b) 외면 사이로 진입된 상태에서 후진하여 흡착부재(140)와의 사이에서 개시단(1a)이 파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파지부재(150)는 제5실린더(65)에 연결되어 제5실린더(65)의 동작에 의해 승강하고, 제5실린더(65)는 연결부재(54)를 통해 제6실린더(66)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진퇴동작 할 수 있다.
흡착부재(140)와 제2 파지부재(150)는 제1실린더(6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함께 진퇴동작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제4실린더(64)와 제6실린더(66)는 제1실린더(61)에 연결되는 슬라이더(61a)에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제6실린더(66)는 연결부재(55)를 통해 슬라이더(61a)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실린더(61,62,63,64,65,66)와 구동기(30,43,121)의 동작은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방법을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방법에는 전술한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한 언급이 없더라도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의 실시예는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는 소재코일(1)로부터 개시단(1a)을 박리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된다.
개시단(1a)을 박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감지센서(100)를 통해 접착테이프(2)의 미접착부(2c)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는 랙기어(41)가 전진하도록 구동기(43)를 구동시켜 테이프 감지센서(100)가 소재코일(1)에 인접하게 되도록 하고, 구동기(30)를 구동하여 소재코일(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소재코일(1)의 회전에 의해 미접착부(2c)가 테이프 감지센서(100)에 대응하는 위치로 회전하면, 테이프 감지센서(100)는 미접착부(2c)가 그 전방으로 위치되었음을 감지하고, 이 상태에서는 소재코일(1)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박리부재(70)를 소재코일(1) 표면에 지지되도록 전진시키고, 접착테이프(2)의 미접착부(2c)가 박리부재(70) 쪽으로 이동하도록 소재코일(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는 랙기어(41)가 전진하도록 구동기(43)를 구동하면서 제3실린더(63)를 전전 동작시켜 박리부재(70)를 소재코일(1)에 지지되도록 전진시키고, 소재코일(1)이 소재시트의 감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기(30)를 구동시켜 미접착부(2c)를 박리부재(70)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소재코일(1)이 감김방향으로 회전하면, 박리부재(70)에 접착테이프(2)가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접착테이프(2)는 미접착부(2c) 쪽부터 소재코일(1)에서 박리되기 시작하며, 소재코일(1)로부터 박리된 접착테이프(2)의 단부는 박리부재(70)와 제1파지부재(80) 사이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는 필요에 따라 박리부재(70)에서 접착테이프(2)와 소재코일(1) 사이로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접착테이프(2)의 박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소재코일(1)로부터 박리되는 접착테이프(2)의 일단이 박리부재(70)와 제1 파지부재(80) 사이로 진입하고, 테이프 진입 감지센서(90)가 이를 감지하면, 제2실린더(62)를 구동시켜 제1 파지부재(80)를 박리부재(70) 쪽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접착부(2c)가 위치하는 접착테이프(2)의 일단부는 제1 박리유닛(10)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접착부(2a)의 대부분이 소재코일로부터 박리될 수 있게 구동기(121)를 구동시켜 제1 박리유닛(10)을 스크류잭(122)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하강시키면서 소재코일(1)을 소재시트의 감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2접착부(2b)는 개시단(1a) 외면에 대부분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는 한 쌍의 제2 박리유닛(20)을 동시에 동작시켜 소재코일(1) 개시단(1a)의 축방향 양단을 소재코일(1)의 외경부(1b)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다.
도 5와 6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단(1a)을 박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흡착부재(140)가 그 전방의 개시단(1a) 외면을 흡착하도록 제4실린더(64)를 전진 구동시키고, 개시단(1a) 외면이 흡착부재(140)에 흡착되면, 제4실린더(64)를 후진 구동시켜 개시단(1a)을 소재코일(1)의 외경부(1b)로부터 박리시킬 수 있다.
개시단(1a)이 소재코일(1)의 외경부(1b)로부터 박리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접착부(2b)가 개시단(1a)으로부터 완전히 박리될 수 있게 구동기(121)모터를 구동시켜 제1 박리유닛(10)을 스크류잭(122)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더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재코일(1)의 개시단(1a) 박리잡업은 종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방법에 따르면, 소재코일(1)로부터 접착테이프(2)의 제1접착부(2a)와 제2접착부(2b)를 순차적으로 박리하고, 소재코일(1)로부터 제1접착부(2a)가 박리된 상태에서 소재코일(1a)로부터 제2접착부(2b)가 박리되기 전에 외경부(1b) 외면으로부터 개시단(1a)을 박리함으로써, 접착테이프(2)를 정확하게 박리시키면서 소재코일(1) 개시단(1a)의 박리과정에서 접착테이프(2)가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1: 소재코일 1a: 개시단
2: 접착테이프 2a: 제1접착부
2b: 제2접착부 2c: 미접착부
10: 제1 박리유닛 20: 제2 박리유닛
30: 구동기 40: 연결본체
70: 박리부재 80: 제1 파지부재
90: 테이프 진입 감지센서 100: 테이프 감지센서
110: 가이드롤 120: 이동수단
140: 흡착부재 150: 제2 파지부재

Claims (5)

  1. 이차전지의 제조시 사용되는 소재시트가 코일 형태를 이루도록 롤에 감겨져 마련되고, 개시단이 그 외경부 외면에 접착테이프를 통해 부착되어 있는 소재코일의 상기 개시단을 상기 외경부 외면으로부터 박리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착테이프의 위치를 감지하고, 위치가 감지된 상기 접착테이프를 상기 소재코일로부터 박리하는 제1 박리유닛;
    상기 개시단을 상기 외경부 외면으로부터 박리하는 제2 박리유닛;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코일을 상기 소재시트의 감김방향과 풀림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회전 또는 정지시키는 회전구동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박리유닛은,
    회전하는 상기 소재코일의 외면을 지지하여 상기 소재코일로부터 상기 접착테이프를 박리시키도록 상기 소재코일 쪽으로 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박리부재;
    상기 소재코일로부터 박리되어 상기 박리부재 후방으로 인출되는 상기 접착테이프의 일단부를 상기 박리부재와 협력하여 파지하도록 상기 박리부재 후방에 상기 박리부재 쪽으로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파지부재;
    상기 박리부재와 제1 파지부재 사이로 상기 접착테이프의 진입여부를 감지하는 테이프 진입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테이프는,
    상기 소재시트의 감김방향으로 상기 개시단 전방의 외경부 외면에 접착되는 제1접착부;
    상기 제1접착부로부터 상기 소재시트의 풀림방향을 따라 상기 개시단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시단 외면에 접착되는 제2접착부;
    상기 제1접착부로부터 상기 소재시트의 감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경부 외면에 미접착되는 미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박리유닛은,
    상기 미접착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미접착부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박리유닛은,
    상기 개시단의 외면을 진공흡착하여 상기 외경부 외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소재코일 쪽으로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흡착부재;
    상기 외경부 외면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개시단을 상기 흡착부재와 협력하여 파지하도록 상기 흡착부재 전방에 승강 및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파지부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
  5. 이차전지의 제조시 사용되는 소재시트가 코일 형태를 이루도록 롤에 감겨져 마련되고, 개시단이 그 외경부 외면에 접착테이프를 통해 부착되어 있는 소재코일의 상기 개시단을 상기 외경부 외면으로부터 박리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착테이프는,
    상기 소재시트의 감김방향으로 상기 개시단 전방의 외경부 외면에 접착되는 제1접착부;
    상기 제1접착부로부터 상기 소재시트의 풀림방향을 따라 상기 개시단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시단 외면에 접착되는 제2접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재코일로부터 상기 접착테이프를 박리하고;
    상기 외경부 외면으로부터 상기 개시단을 박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테이프를 박리하는 것은,
    상기 소재코일로부터 상기 제1접착부와 상기 제2접착부를 순차적으로 박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개시단을 박리하는 것은,
    상기 소재코일로부터 상기 제1접착부가 박리된 상태에서 상기 소재코일로부터 상기 제2접착부가 박리되기 전에, 상기 외경부 외면으로부터 상기 개시단을 박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방법.
KR1020210085502A 2021-06-30 2021-06-30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 및 박리방법 KR102559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502A KR102559556B1 (ko) 2021-06-30 2021-06-30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 및 박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502A KR102559556B1 (ko) 2021-06-30 2021-06-30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 및 박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993A true KR20230004993A (ko) 2023-01-09
KR102559556B1 KR102559556B1 (ko) 2023-07-27

Family

ID=84892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502A KR102559556B1 (ko) 2021-06-30 2021-06-30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 및 박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5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601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외경에 부착된 테이프 자동 제거장치
JP2010089905A (ja) * 2008-10-08 2010-04-22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保護膜剥離装置及び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パネ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601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외경에 부착된 테이프 자동 제거장치
JP2010089905A (ja) * 2008-10-08 2010-04-22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保護膜剥離装置及び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556B1 (ko)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65434B1 (en) Continuous tape-feeding apparatus and continuous tape-feeding method
JP2023530532A (ja) 電極アセンブリの作成装置及び電極アセンブリの作成方法
KR101410036B1 (ko) 이차전지용 전극 어셈블리의 제조를 위한 자동화 폴딩 시스템
CN109585898A (zh) 二次电池的电池组制造系统
KR101827204B1 (ko) 롤투시트 풀림공급장치
CN115084702A (zh) 一种电芯胶带去除装置以及锂电池回收生产线
TWI772577B (zh) 捲取單元
EP1380526B9 (en) Web win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02559556B1 (ko) 이차전지 제조용 소재코일의 개시단 박리장치 및 박리방법
KR102370758B1 (ko) 이차전지용 셀스택 제조장치의 분리막 공급시스템
KR102192068B1 (ko) 리튬이온 배터리 전극판 접착장치의 테이프 자동공급장치
JP5560252B2 (ja) 捲回素子のプレス装置
CN218595657U (zh) 一种搬运装置及换卷设备
CN218507136U (zh) 一种放卷装置及换卷设备
KR102611154B1 (ko) 이차 전지용 전극시트 연결방법
KR20230122541A (ko) 전극 연결용 필름 권취장치, 권취방법 및 전극 롤
CN109775417A (zh) 一种全自动撕膜回收机
JP2016074173A (ja) タイヤ構成部材積層体の搬送装置およびタイヤ構成部材積層体の成型方法
CN210137504U (zh) 一种无胶单面挠性覆铜板的熟化装置
CN209721133U (zh) 一种全自动撕膜回收机
CN219009435U (zh) 电芯下料装置和电芯卷绕设备
CN106657482B (zh) 贴辅料设备
EP4108614A1 (en) Tape attaching apparatus
JP4002444B2 (ja) 偏光板供給装置
KR102661995B1 (ko) 테이프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