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4936A - 이차전지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4936A
KR20230004936A KR1020227044503A KR20227044503A KR20230004936A KR 20230004936 A KR20230004936 A KR 20230004936A KR 1020227044503 A KR1020227044503 A KR 1020227044503A KR 20227044503 A KR20227044503 A KR 20227044503A KR 20230004936 A KR20230004936 A KR 20230004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securities
user
uni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코 마쓰무라
가쓰히코 곤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리다무 얼라이언스
테스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리다무 얼라이언스, 테스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리다무 얼라이언스
Publication of KR20230004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8Off-site monitoring or control, e.g. remot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battery ageing, e.g. to the number of charging cycles or the state of health [So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4Energy storage un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차전지 관리 시스템은, 이차전지와 하나 이상의 증권을 대응시키고, 증권과 투자가를 대응시키고, 이차전지와 사용자를 대응시키고, 이차전지의 대여처가 되는 사용자로부터, 이차전지의 사용료를 취득한다. 이차전지의 증권을 구입한 투자가에 대하여, 이차전지의 사용료에 기초하는 분배금을 송금한다. 이차전지 관리 시스템은, 이차전지의 대여처가 제1 사용자에서 제2 사용자로 변경되었을 때 이차전지의 사용료를 제2 사용자로부터 취득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 관리 장치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유통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의 시장은 순조롭게 확대를 계속하고 있다.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 모바일 단말기, 전동 어시스트 자전거, 무정전 전원 장치(UPS) 등, 이차전지를 이용하는 제품은 폭넓다. 이차전지의 특징은 충방전을 반복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차전지의 개발 경쟁은 활발화되고 있고, 이차전지의 열화의 억제, 바꿔 말하면, 이차전지의 장수명화가 향후 한층 진행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이차전지는 재료로서 사용하는 자원의 발굴, 제조, 재활용 등의 과정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다고 한다. 그러므로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도 이차전지의 장수명화는 바람직하다.
이차전지가 장수명화되어 가면, 이차전지의 유통이 본격화된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면, 공공 교통 기관의 업무용 EV에서 이차전지를 1차 이용하고, 이차전지의 SOH(State of Health)가 어느 정도 내려간 곳에서 이 이차전지를 다른 사용자가 가정용 축전지로서 재이용하는 것도 생각된다. 이차전지의 원래의 에너지 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그 SOH가 다소 내려갔다고 해도 가정용 축전지로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기도 하다. 이차전지가 장수명화됨으로써, 이차전지의 1차 이용뿐만 아니라 재이용, 3차 이용도 실현 가능하게 된다(특허문헌 1, 2 참조).
국제공개 제2019/131824호 일본공개특허 제2020-126305호 공보
한편, 이차전지의 유통에는 몇 가지의 장해가 생각된다. 먼저, 이차전지를 최초로 도입하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이차전지의 구입 부담(초기 비용)은 크다. 예를 들면, 장기적으로 보면 경제 효율이 양호한 고성능 이차전지라도, 초기 비용이 클 경우에는 사용자는 구입을 망설일지도 모른다. 특히, 1차 사용자가 이차전지를 그 수명이 소진될 때까지 다 쓰는 것이 아니라, 근간 2차 사용자로의 매각을 고려하고 있을 때는, 전매 가격의 전망이 서지 않으면 초기 비용을 부담하기 어렵다.
또한, 1차 사용자로부터 중고의 이차전지를 구입하려는 2차 사용자에게 있어서도, 이차전지를 얼마에 구입하는 것이 적절한지, 어느 1차 사용자의 어느 이차전지를 구입해야 할지를 판단하는 것이 어렵고, 이 판단의 어려움도 이차전지의 유통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 인식에 기초하여 완성된 발명이며, 그 주된 목적은, 이차전지의 유통을 촉진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에서의 이차전지 관리 장치는, 이차전지와 하나 이상의 증권을 대응시키는 증권 관리부와, 증권과, 증권을 구입한 투자가를 대응시키는 투자가 관리부와, 이차전지와 이차전지의 대여처가 되는 사용자를 대응시키는 사용자 관리부와, 이차전지의 대여처가 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차전지의 사용료를 징수하는 징수부와, 이차전지의 증권을 구입한 투자가에 대하여, 상기 증권에 기초하는 분배금의 송금을 지시하는 분배부와, 투자 정보를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증권 관리부는 증권과 투자 정보를 대응시켜 관리하고, 이차전지의 설치 위치가 제1 설치 위치에서 제2 설치 위치로 변경되었을 때는, 이차전지에 대응되는 증권의 투자 정보에 있어서 이차전지의 설치 위치를 제1 설치 위치에서 제2 설치 위치로 등록 변경하고, 송신부는 등록 변경 후의 투자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기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의 이차전지 관리 장치는, 이차전지와 하나 이상의 증권을 대응시키는 증권 관리부와, 증권과, 증권을 구입한 투자가를 대응시키는 투자가 관리부와, 이차전지와 이차전지의 대여처가 되는 사용자를 대응시키는 사용자 관리부와, 이차전지의 대여처가 되는 사용자로부터, 이차전지의 사용료를 징수하는 징수부와, 이차전지의 증권을 구입한 투자가에 대하여, 증권에 기초하는 분배금의 송금을 지시하는 분배부를 구비한다.
분배부는, 이차전지의 증권을 보유하는 제1 투자가가 증권을 제2 투자가에게 양도했을 때, 이차전지의 분배금의 송금처를 제1 투자가에서 제2 투자가로 변경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의 이차전지 관리 장치는, 이차전지와 하나 이상의 증권을 대응시키는 증권 관리부와, 증권과, 증권을 구입한 투자가를 대응시키는 투자가 관리부와, 이차전지와 이차전지의 대여처가 되는 사용자를 대응시키는 사용자 관리부와, 이차전지의 대여처가 되는 사용자로부터, 이차전지의 사용료를 징수하는 징수부와, 이차전지의 증권을 구입한 투자가에 대하여, 증권에 기초하는 분배금의 송금을 지시하는 분배부를 구비한다.
징수부는, 이차전지의 대여처가 제1 사용자에서 제2 사용자로 변경되었을 때, 이차전지의 사용료의 징수처를 제1 사용자에서 제2 사용자로 변경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의 이차전지 관리 장치는, 이차전지의 대여처가 되는 사용자로부터, 이차전지의 사용료를 징수하는 징수부와, 이차전지에 대응되는 증권을 구입한 투자가에 대하여, 증권에 기초하는 분배금을 송금하는 분배부를 구비한다.
분배부는, 이차전지의 증권을 보유하는 제1 투자가가 증권을 제2 투자가에게 양도했을 때, 이차전지의 분배금의 송금처를 제1 투자가에서 제2 투자가로 변경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차전지의 유통을 촉진하기 용이해진다.
[도 1] 이차전지의 사용자와 투자가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이차전지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 이차전지 관리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4] 이차전지 관리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5] 이차전지 관리 서버, 투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 이차전지 정보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7] 전지 보유 정보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8] 사용자 정보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9] 증권 정보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10] 투자가 정보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11] 투자 정보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도 12] 전지증권의 판매 가격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3] 전지증권의 발행 시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4] 분배금의 지불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5] 도 14의 S48에서의 처리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6] 전지증권의 매매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7] 이차전지의 대출처를 변경할 때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8] 투자 화면의 화면도이다.
[도 19] 변형예에서의 사용료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0] 변형예에서의 증권 블록 체인의 모식도이다.
이차전지의 오너인 관리 회사는, 메이커로부터 이차전지를 구입한다. 이차전지는 사용자에게 대여된다. 사용자는 이차전지의 사용료를 지불한다. 이차전지는 사용료라는 계속 수입을 산출하는 자산이 된다.
관리 회사는, 이차전지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증권을 대응시킨다. 증권은 일반 투자가 또는 기관 투자가에게 판매된다. 증권을 구입한 투자가는, 사용자가 지불하는 이차전지의 사용료에 기초하여 분배금(인컴 게인)을 얻는다.
이차전지의 도입 비용은 증권화(Securitization)를 통하여, 다수의 투자가에게 보다 적고 넓게 부담된다. 이차전지의 사용료는 증권화를 통하여, 다수의 투자가에게 분배된다.
이차전지는 1차 이용뿐만 아니라, 2차 이용, 3차 이용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A1)가 이차전지(B1)를 사용하고, 이차전지(B1)가 20(%) 열화되고, 이 이차전지(B1)의 대여처를 사용자(A2)로 변경했다고 한다. 이후는, 사용자(A2)가 사용료를 지불하게 된다.
사용자(A2)가 이차전지(B1)를 사용하고, 이차전지(B1)가 40(%) 더 열화되고, 이 이차전지(B1)의 대여처를 사용자(A3)에게 변경했다고 한다. 이후는, 사용자(A3)가 사용료를 지불하게 된다. 투자가는 사용자(A1, A2, A3) 등 그 때의 사용자의 사용료에 기초하여 분배금을 계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
가솔린 자동차에 비교하면 EV는 부품수가 적고, 차량 가격은 크게 내려간다고 생각된다. 차량 가격이 저하되면, 차량 가격에 차지하는 이차전지의 가격의 비율(이차전지/차량 전체의 가격비)가 높아진다. 이차전지를 구입하는 것이 아니고, 이차전지를 빌려서 사용료를 지불하는 방식이면, 사용자는 EV를 한층 이용하기 용이해진다.
도 1은, 이차전지의 사용자와 투자가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차전지는 1차 사용자, 2차 사용자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에게 사용되는 것이 상정된다. 이차전지의 사용력은, 후술하는 DI 엔진에 의해 관리된다. 혹은 블록 체인 등의 분산 대장을 이용하여 사용력을 관리해도 된다. 이차전지에는 배터리 매니지먼트를 위한 컴퓨터(이하, 「DI 엔진」이라고 함)이 탑재된다. DI 엔진은 사용자 ID, 방전 일시, 충전 일시, 열화도(SOH: State of Heath), SOC(State Of Charge), 방전 전압, 기온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등록하여 보유한다. 이들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사용력을 추적할 수 있다.
이차전지의 구입 가격이 M(엔)이라고 한다. 이차전지에 대해서는 n개의 증권을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증권의 판매 가격이 D(엔)이고, n개의 증권이 매진됐다고 한다. 이 때, 이차전지의 오너인 관리 회사는 D×n(엔)의 자금 조달이 가능하게 된다. D×n>M이면, 관리 회사는 이차전지를 구입한 후, 증권화를 행함으로써, 수익을 얻을 수 있다.
관리 회사는 이차전지마다 사용자와 투자가를 대응시켜 등록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 관리 회사 및 투자가는 이차전지를 통하여 결부된다.
사용자는 이차전지의 사용료를 지불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차전지의 열화도가 1(%) 상승할 때마다, 즉 SOH가 1 (%) 저하될 때마다 F(엔)을 지불한다. 또한, 충전 1회에 대하여 사용료로서 G(엔)을 지불한다. F>G라고 한다. 충전 횟수 및 열화도는 DI 엔진에 의해 정기적으로 계측되고, DI 엔진 혹은 블록 체인의 사용력에 기록된다.
사용료는 증권을 구입한 투자가에게 분배된다. 이 구조는, 부동산의 대차인이 지불하는 사용료를, 부동산을 증권화한 REIT(Real Estate Investment Trust)의 투자가에게 분배하는 구조에 유사한 면이 있다. 투자가는 REIT를 구매하는 것과 동일하게, 이차전지의 증권(이하, 「전지증권」이라고도 함)을 구매할 수 있다.
도 2는, 이차전지 관리 시스템(200)의 개념도이다.
이차전지 관리 시스템(200)은 사용자와, 관리 회사와, 증권 회사 투자가, 증권 거래소를 포함한다. 관리 회사는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를 보유한다. 관리 회사는 메이커로부터 이차전지를 구입하고, 증권 회사에 위탁하여 이차전지를 증권화한다. 전지증권은 증권 거래소를 통하여 투자가에게 판매된다. 투자가는 이차전지의 증권을 구입한다.
관리 회사는 이차전지의 구입비를 즉시 투자가에게 전가할 수 있다. 관리 회사는 자기자금에 한정되지 않고, 은행으로부터의 차입금으로 이차전지를 구입해도 된다.
이차전지를 업무용 EV에서 1차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차전지가 어디에서 사용될지, 누구에게 사용될지에 의해 증권의 가치는 변화된다. 증권 회사는 이차전지의 사용 상황에 따라 증권의 판매 가격을 정한다. 이 방식은 신규 상장주의 프라이싱에 유사한 면이 있다. 인기있는 전지증권이면 판매 가격은 높아지고, 인기없는 전지증권이면 판매 가격을 낮게 하지 않으면 다 팔 수는 없게 된다.
업무용 EV의 경우, SOH가 80(%)(열화도가 20(%))가 될 때까지 이차전지를 1차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열화도 1(%)에 대하여 F1(엔)의 사용료로 하면, 열화도에 기초하는 1차 사용료로서 F1×20(엔)이 지불된다. 충전량 1(kW)당 H1(엔)의 사용료로 하면, 충전에 기초하는 사용료는 합계하여 H1×m1(엔)이 된다. m1은 충전량이다.
1차 사용자가 이차전지를 소중하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20(%) 열화까지 장기간에 걸쳐 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토탈의 충전량은 많아진다. 바꿔 말하면, 충전에 기초하는 1차 사용료 H1×m1은 커진다. 1차 사용자는 이차전지의 가치를 떨어뜨리지 않고 이차전지를 오래 사용할 수 있고, 투자가는 장기간에 걸쳐 분배금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우량한 사용자에 의한 사용이 상정되는 이차전지의 경우, 전지증권의 가격은 높아진다.
1차 사용자가 이차전지를 중요하게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20(%) 열화까지 단기간밖에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충전에 기초하는 1차 사용료 H1×m1은 작아진다. 1차 사용자는 이차전지의 가치를 떨어뜨리고, 이차전지를 단기간밖에 사용할 수 없어, 투자가도 단기간밖에 분배금을 받을 수 없다. 이와 같은 1차 사용자에 의한 사용이 상정되는 경우, 전지증권의 가격은 낮아진다.
장수명의 이차전지의 경우, 20(%)의 열화 후라도 가정용 축전지로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1차 사용자는, 사용완료된 이차전지를 2차 사용자에게 양도한다. 이차전지의 대여처는 1차 사용자에서 2차 사용자로 변경된다.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는 이차전지의 대여처를 등록 변경한다.
그리고, 투자가는 전지증권을 증권시장에 있어서 자유롭게 매매할 수 있다.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는 전지증권의 매매가 성립할 때마다 전지증권의 소유자(투자가)의 명의 변경를 행한다. 이차전지가 1차 사용자로부터 2차 사용자에게 양도되었을 때는, 투자가는 일단 전지증권을 증권시장에서 매각해도 되고, 계속 보유해도 된다.
1차 사용자는 2차 사용자에게 이차전지를 그대로 양도해도 된다. 양도했을 때는, 블록 체인에 있어서 사용자 ID가 변경된다. 또한, 이차전지의 DI 엔진은 사용자가 변경된 것을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에 통지한다. 2차 사용자가 1차 사용자에게 이차전지의 양도를 신청해도 되고, 1차 사용자가 2차 사용자에게 이차전지의 양도를 신청해도 된다. 혹은, 관리 회사가 이차전지의 대출처, 대출 기간, 대출 조건을 설정해도 된다.
가정용 축전지의 경우, SOH가 80(%)에서 40(%){열화도가 20(%)에서 60(%)}로 될 때까지 이차전지를 2차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열화도 1(%)에 대하여 F2(엔)의 사용료로 하면, 열화도에 기초하는 2차 사용료는 합계하여 F2×(40)(엔)의 사용료가 지불된다. 충전 1회에 대하여 G2(엔)의 사용료로 하면, 충전에 기초하는 2차 사용료는 합계하여 G2×n2(엔)이 된다. n2는 충전 횟수다.
F2<F1, G2<G1이라도 된다. 이 경우, 1차 이용일 때보다 2차 이용일 때가 전지증권의 단위기간당의 분배금이 낮아지기 쉽다. 한편, 이차전지의 사용 기간{열화도 40(%)분의 변화 기간}은 길어지므로, 전지증권으로부터 분배금을 받는 기간은 길어진다.
1차 사용자와 같이, 2차 사용자가 이차전지를 소중하게 또한 활발하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지증권의 가치는 높아진다. 또한, 전지증권의 가치는 이차전지의 사용 환경에 의해서도 변화된다. 예를 들면, 직사광선이 닿는 곳에 설치되어 있는 이차전지는 열화가 진행되기 쉽다. 사용자는 이차전지를 직사광선으로부터 지키는 것만으로도 사용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유리하게 된다.
1차 이용으로부터 2차 이용으로 변화할 때도 전지증권의 가치는 변화된다. 2차 이용에 있어서는 이차전지가 중고로 되어 있으므로, 전지증권의 가치는 1차 이용 개시 시보다 낮아진다. 한편, 2차 이용의 이차전지로부터도 계속적으로 분배금을 얻을 수 있다. 전지증권의 가치가 크게 내려가고 있을 때 전지증권을 구입하면 캐피탈 게인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전지증권은 채권과 같이 안정된 인컴 게인을 가져온다는 측면뿐만 아니라, 캐피탈 게인을 노릴 수 있다는 투자 묘미도 겸비한다.
3차 이용, 4차 이용까지 상정하면, 전지증권의 가치는 서서히 하락해 간다. 한편, 열화도가 진행된 이차전지라도 원래의 에너지 밀도가 큰 경우에는 장기간에 걸친 이용이 가능하므로, 결과적으로 전지증권의 현재 가치가 상정보다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 전지증권에 이와 같은 투자성을 가져오게 함으로써, 투자가를 시장에 불러들여, 전지증권 거래가 활성화되는 것이 기대된다. 또한, 이차전지의 사용 페이스는 예측하기 쉽기 때문에, DCF(Discounted Cash Flow)법에 의한 현재 가치 계산에도 익숙해지기 쉽다고 생각된다.
이하, 사용자, 관리 회사, 투자가 및 사회 각각의 관점에서 이차전지의 증권화에 의해 얻어지는 장점을 정리한다.
1. 사용자
사용자는 고액·고성능의 이차전지라도, 구입할 필요도 대출받을 필요도 없고, 사용료를 지불함으로써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DI 엔진 혹은 블록 체인에 의해 이차전지의 사용력(내력)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중고 이차전지에서도 안심하고 도입하기 용이해진다.
사용자는, 대여된 이차전지를 소중하게 사용함으로써 이차전지를 오래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단위기간당의 비용 부담을 억제할 수 있다.
2. 관리 회사
관리 회사에 있어서, 이차전지는 「돈을 산출하는 에너지 상자」가 된다. 관리 회사는 이차전지를 구입하고, 증권화를 행함으로써 이차전지를 자산화할 수 있다. 관리 회사는 사용료의 일부를 운영비로서 징수해도 된다. 관리 회사는, 전지증권의 가격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량 사용자에게 이차전지를 대출하고자 한다. 이 를 위해서는, 관리 회사가 우량 사용자에게 사용료의 가격 인하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도 생각된다. 관리 회사로서도, 다른 관리 회사와의 대출 경쟁을 할 필요가 있으므로, 우량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한 연구를 관리 회사에 촉구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관리 회사는, 장수명으로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응할 수 있는 범용성이 높은 이차전지일수록 전지증권의 가격을 높게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우량 메이커의 이차전지의 구입이 촉진되게 되고 건전한 개발 경쟁에도 기여한다고 생각된다. 이차전지의 사용자는 DI 엔진 혹은 블록 체인에 의해 관리되므로, 관리 회사는 사용자 사이에서 이차전지가 유통해도, 사용료를 누구에게 청구하면 좋을지를 상시 파악할 수 있다. 관리 회사는, 이차전지의 사용자에 따라 사용료를 기동적으로 변경해도 된다.
3. 투자가
투자가는 전지증권을 구입함으로써 인컴 게인을 얻을 수 있다. 전기는 매일 사용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므로, 인컴 게인이 안정되기 쉽다. 또한, 이차전지의 사용 상황이나 그것에 얽히는 의도에 의해 전지증권의 거래 가격이 변동하므로, 투자 묘미를 즐길 수도 있다.
투자가는 복수 종류의 전지증권을 구입해도 된다. 예를 들면, 안정된 인컴 게인을 기대하는 전지증권과 캐피탈 게인을 기대하는 전지증권을 조합함으로써 포트폴리오를 짤 수도 있다.
전지증권은 리스크 혹은 이율에 따라 트란쉐로 분류되어도 된다. 전지증권을
트란쉐로 분류함으로써 기관 투자가도 안심하고 전지증권에 투자하기 용이해진다고 생각된다.
일반적으로는, 기관 투자가는 복수의 금융 상품에 분산 투자를 하는 것에 의해 리스크 관리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금융 상품 A의 가격 변동과 금융 상품 B의 가격 변동에 어느 정도의 상관성이 생기는 경우, 금융 상품 A와 금융 상품 B에 분산 투자하는 효과는 감쇄되어 버리는 것이 알려져 있다. 전지증권은 주식, 채권, 부동산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타입의 자산이므로, 분산 투자의 포트폴리오에 편입됨으로써 분산 효과를 발휘하기 쉬워진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거액 투자가에게 있어서도 포트폴리오의 일부에 편집되는 것을 검토하기 용이해진다.
4. 사회
투자 행동을 통하여, 이차전지를 소중하게 사용하는 사용자는 시장에 높게 평가되게 된다. 시장이 우량한 이차전지의 적절한 사용을 촉구하게 된다.
EV 1대가 탑재하는 이차전지의 용량을 50(kWH)로 하면, 100만대의 EV만으로도 50(GWH)이라는 거대한 전력 시장이 생겨난다. 이와 같은 거대 전력을 담당하는 대량의 이차전지는 폐기 혹은 재활용될 때 방대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장수명의 이차전지를 될 수 있는 한 완전히 사용하는」 것이 향후에는 중요해진다. 이차전지 관리 시스템(200)에 의해 이차전지를 다양한 사용자 요구에 따라 유통시킴으로써 환경 부하를 크게 내릴 수 있다고 생각된다.
관리 회사는 불량 사용자에게는 높은 사용료를 설정하고, 우량 사용자에게는 낮은 사용료를 설정해도 된다. 불량 사용자의 높은 사용료의 일부는 우량 사용자의 사용료의 보전으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혹은, 정부는 이차전지의 사용료의 일부로부터 세금을 징수하고, 우량 사용자에게는 거기에서 장려금을 지불해도 된다.
이차전지 이외에도 이차전지 관리 시스템(200)에 의한 증권화 방법은 응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EV 자체를 증권화하여 대출해도 되고, EV를 구성하는 부품, 예를 들면 모터를 증권화하여 사용자에게 대출해도 된다.
이차전지의 사용력을 블록 체인으로 관리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다. 이차전지에 부속하는 DI 엔진이 사용력을 기록하고, DI 엔진끼리 정보 교환해도 된다.
DI 엔진은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에 정기적으로 사용력을 보고해도 된다. 이 경우,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이차전지의 사용력을 통합하여 관리해도 된다.
DI 엔진과 DI 엔진이 통신할 때, 혹은, DI 엔진과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가 통신할 때 통신료를 발생시켜도 된다. 사용자로부터 관리 회사에 통신료가 지불되고, 통신료의 전부 또는 일부는 투자가에게 분배금으로서 지불되어도 된다. 혹은, 관리 회사에서 사용자에 대하여 통신료(정보료)가 지불되어도 된다.
이차전지의 사용자로부터 관리 회사를 경유하여 투자가에게 통신료(분배금)이 지불되는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그다지 사용되고 있지 않은 이차전지라도 통신료가 정기적으로 발생하므로, 투자가는 일층 안정적으로 인컴 게인을 얻을 수 있다.
관리 회사는 이차전지를 구입하고, 투자가는 이차전지의 구입비를 부담한다. 이 때의 전지증권은, 관리 회사의 투자가에 대한 채무(차용 증서)로서의 성질을 가지는 금융 상품이라도 된다. 이 경우, 전지증권의 분배금에는, 관리 회사에 의한 금리를 포함시킨 상환금으로서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DI 엔진은 이차전지를 충전할 때의 전력원을 파악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DI 엔진은 원자력 발전, 화력 발전, 태양광 발전 등 복수의 발전원 중, 어느 발전원을 어느 정도의 비율로 사용하여 이차전지를 충전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것을 사용력으로서 기록해도 된다.
DI 엔진은 이차전지의 사용 조건, 예를 들면 누가 사용하고 있는지(사용자의 종별), 무엇에 사용하고 있는지(용도의 종별)을 사용력으로서 기록해도 된다. 태양광 발전 등 탈탄소형의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을 때는, 전지증권에 「탈탄소」라는 속성을 부여해도 된다(이하, 「환경 배려형 전지증권」이라고 함). 탈탄소사회를 응원하고 싶은 투자가는, 환경 배려형 전지증권에 적극적으로 투자해도 된다. 또한, 정부도 탈탄소 촉진을 위해 환경 배려형 전지증권에 우대 세제를 적용해도 된다. 우대 세제에 의해, 환경 배려형 전지증권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업무용 EV는 상시 운행되므로 이차전지를 계속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업무용 EV에 사용되는 이차전지로부터는 계속적인 사용료 수입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시부에서의 개인용 EV는 주말밖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도 많아, 그 이차전지로부터는 안정된 사용료 수입을 기대할 수 없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급가속·급감속을 반복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열화는 진행되기 쉽다. 이와 같이, 이차전지의 사용자에 의해 전지증권의 가치도 변화된다. 투자가는 전지증권을 구입할 때, 이차전지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투자 판단을 해도 된다. 관리 회사는 이차전지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정된 사용료 수입을 기대할 수 없는 사용자나 열화를 진행시키기 쉬운 사용법을 하고 있는 불량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료의 금액을 높게 설정함으로써 전지증권의 가치를 제어할 수 있다.
관리 회사는, 이차전지의 DI 엔진으로부터 수집한 사용력의 통계 정보를 판매해도 된다. 예를 들면, 통계 정보의 일부를 투자가에게 판매하면, 투자가는 투자 판단에 통계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혹은, 통계 정보의 일부를 이차전지를 개발하는 기업에 판매하면, 기업은 이차전지의 기획·개발을 하는 데에 유용한 지침을 얻을 수 있다.
전지증권에는, 이차전지 본체의 가치와, 이차전지에 있어서 사용되는 전지의 가치가 포함된다. 이차전지 본체의 가치에는, 이차전지가 재활용될 때의 가치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희소 금속을 많이 포함하는 이차전지는 가치가 높다. 또한, 재활용하기 쉽게 설계가 되어 있는 이차전지도 재활용 시에서의 잔존 가치가 높아진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이차전지의 사양도 투자 판단에 있어서 중요한 정보가 된다고 생각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이차전지 관리 시스템(200)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이차전지 관리 시스템(200)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차전지 관리 시스템(200)에 있어서는, 관리 회사(102)가 운영하는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이차전지 관리 장치), 결제 시스템(104), 사용자가 가지는 전자기기(106)와 사용자 단말기(108), 투자가가 가지는 투자 단말기(110), 증권 회사(112) 및 물류 회사(114)가 인터넷(116)을 통하여 서로 접속된다. 관리 회사(102)는 이차전지 메이커(118)과 전용 회선에 의해 접속된다. 증권 회사(112)는 증권 거래소(120)와 전용 회선에 의해 접속된다.
이차전지 메이커(118)는 이차전지(122)를 제조한다. 관리 회사(102)는, 이차전지 메이커(118)로부터 이차전지(122)를 구입한다. 관리 회사(102)는, 이차전지 메이커(118)에게 이차전지(122)의 제조를 발주하고, 이차전지 메이커(118)는 이차전지(122)를 발주수만큼 제조하여 관리 회사(102)에 납품한다. 그러므로, 이차전지 메이커(118)는 이차전지(122)의 재고 리스크로부터 해방된다.
관리 회사(102)는 이차전지 메이커(118)로부터 구입한 이차전지(122)를 다양한 사용자에게 대여한다. 이차전지(122)에는 전술한 DI 엔진이 탑재된다. DI 엔진은 통신 기능을 가지는 IC(Integrated Circuit) 칩 및 경량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성된다. 사용자가 보유하는 전자기기(106)는 대여된 이차전지(122)에 의해 구동된다. 전자기기(106)로서는, EV, ESS(Energy Storage System), 가전 제품, 배, 랩탑 PC, 포터블 전원 등이 상정된다. 전자기기(106)는 이차전지(122)에 의해 구동되는 장치이면 된다. 관리 회사(102)는 증권 회사(112)에 대하여, 구입한 이차전지(122)에 관한 전지증권의 발행을 의뢰한다(후술).
결제 시스템(104)은 금융 기관이 운영하는 시스템이며, 사용자, 관리 회사(102), 투자가 사이에서의 결제를 실행한다.
사용자 단말기(108)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단말기다. 사용자 단말기(108)는 스마트폰, 랩탑 PC 등 임의의 통신 단말기이면 되지만, 본 실시형태서의 사용자 단말기(108)는 스마트폰이라고 상정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8)로부터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에 대하여, 이차전지(122)의 대출 및 반각을 요구한다. 사용자는 미리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에 대하여 사용자 등록을 해 놓는다. 사용자 등록 시에는,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ID (이하, 「PID」로 표기함)을 부여한다.
투자 단말기(110)는 투자가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단말기다. 투자 단말기(110)도 임의의 통신 단말기이면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의 투자 단말기(110)는 랩탑 PC라고 상정하여 설명한다. 투자가는 투자 단말기(110)로부터 증권 회사(112)에 대하여, 전지증권의 구매 주문과 매각 주문을 한다. 투자가는 투자가 ID(이하, 「IID」로 표기함)에 의해 식별된다.
증권 회사(112)는 관리 회사(102)로부터의 의뢰에 기초하여 전지증권을 증권 거래소(120)에 발행한다. 또한, 투자가로부터의 주문에 따라, 전지증권의 매매를 행한다. 증권 거래소(120)는 일반적인 금융 상품 거래소라도 되고, 사설 거래 시스템(PTS: Proprietary Trading System)이라도 된다. 물류 회사(114)는 관리 회사(10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이차전지(122)를 사용자에게 배송한다.
도 4는,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불휘발성 메모리로서의 스토리지(312),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전개하는 휘발성의 메모리(304), 레지스터, 연산기, 명령 디코더 등을 내장하고, 메모리(304)로부터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하는 프로세서(300)(CPU: 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300)는 비교적 고속인 제1 버스(302)와 접속된다. 제1 버스(302)에는, 메모리(304) 외에 NIC(Network Interface Card)가 접속된다. 제1 버스(302)에는, 이 외에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등의 다른 디바이스가 접속되어도 된다.
제1 버스(302)는 브리지(308)를 통하여 비교적 저속인 제2 버스(310)와 접속된다. 제2 버스(310)에는, 스토리지(312) 외에, 모니터 혹은 스피커 등의 출력 디바이스(316)가 접속된다. 또한, 제2 버스(310)에는,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입력 디바이스(314), 프린터 등의 주변 기기(318)가 접속되어도 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08) 및 투자 단말기(11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서도,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다.
도 5는,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 투자 단말기(110) 및 사용자 단말기(108)의 기능 블록도이다.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 투자 단말기(110) 및 사용자 단말기(108)의 각 구성 요소는, CPU 및 각종 코프로세서(co-processor) 등의 연산기, 메모리나 스토리지라는 기억 장치, 이들을 연결하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선을 포함하는 하드웨어와, 기억 장치에 저장되고, 연산기에 처리 명령을 공급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디바이스 드라이버, 오퍼레이팅 시스템, 이들의 상위층에 위치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한, 이들 프로그램에 공통 기능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이하에 설명하는 각 블록은 하드웨어 단위의 구성이 아니라,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는 통신부(130), 데이터 처리부(132) 및 데이터 저장부(134)를 포함한다.
통신부(130)는 투자 단말기(110) 등의 외부 장치와의 통신 처리를 담당한다. 데이터 저장부(134)는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 처리부(132)는, 통신부(130)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 및 데이터 저장부(13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데이터 처리부(132)는 통신부(130) 및 데이터 저장부(134)의 인터페이스로서도 기능한다.
통신부(130)는 송신부(136)와 수신부(138)를 포함한다.
송신부(136)는 외부 장치에 각종 데이터를 송신한다. 수신부(138)는 외부 장치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부(138)는 성능 정보 취득부(140)를 포함한다.
성능 정보 취득부(140)는, 이차전지(122)에 탑재되는 DI 엔진으로부터 이차전지(122)의 「성능 정보」를 취득한다. 성능 정보란, 이차전지(122)의 성능 또는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예를 들면 공칭 전압, 내부 저항값, 용량, 충전 횟수, 충전율, 온도, 이차전지(122)의 종별 등이다.
데이터 처리부(132)는 증권 관리부(142), 투자가 관리부(144), 사용자 관리부(146), 징수부(148), 분배부(150), 열화 측정부(152) 및 요금 설정부(154)를 포함한다.
증권 관리부(142)는 전지증권을 관리한다. 투자가 관리부(144)는 투자가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사용자 관리부(146)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징수부(148)는 사용자로부터 이차전지(122)의 사용료를 징수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이차전지(122)를 충전할 때 사용료가 발생한다. 분배부(150)는 투자가에게 분배금을 지불한다. 또한, 사용료의 일부는 관리 회사(102)의 운영비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료의 5(%)가 운영비가 되고, 나머지의 95(%)가 분배금이 된다.
열화 측정부(152)는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이차전지(122)의 「열화도」를 계산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열화도(%)=100×(초기 용량-계측 용량)/초기 용량으로서 정의한다. 계측 용량이란, 계측 시점(時点)에서의 이차전지의 방전 용량이다. 이차전지(122)의 열화의 진행 방법은 SOH에 의해 지표화된다. SOH는 용량 유지율을 나타내지만, 내부 저항값의 유지율에 기초하여 정의되는 경우도 있다. 열화도는 「100-SOH(%)」를 의미한다.
요금 설정부(154)는 사용자가 이차전지(122)를 충전할 때 징수해야 할 사용료를 설정한다.
{투자 단말기(110)}
투자 단말기(110)는 유저 인터페이스 처리부(160), 통신부(162), 데이터 처리부(164) 및 데이터 저장부(166)를 포함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처리부(160)는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패널 등의 입력 디바이스를 통하여 투자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것 외에, 화상 표시나 음성 출력 등, 유저 인터페이스에 관한 처리를 담당한다. 통신부(162)는 증권 회사(112) 등과의 통신 처리를 담당한다. 데이터 저장부(166)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 처리부(164)는 유저 인터페이스 처리부(160)로부터의 입력, 통신부(162)의 수신 데이터 및 데이터 저장부(16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데이터 처리부(164)는 통신부(162), 유저 인터페이스 처리부(160) 및 데이터 저장부(166)의 인터페이스로서도 기능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처리부(160)는 입력부(168) 및 출력부(170)를 포함한다.
입력부(168)는 투자가로부터의 각종 입력을 접수한다. 출력부(170)는 투자가에 대하여 각종 정보를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기(108)}
사용자 단말기(108)는 유저 인터페이스 처리부(180), 통신부(182), 데이터 처리부(184) 및 데이터 저장부(186)를 포함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처리부(180)도, 입력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것 이외에, 화상 표시나 음성 출력 등, 유저 인터페이스에 관한 처리를 담당한다. 통신부(182)는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 등과의 통신 처리를 담당한다. 데이터 저장부(186)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 처리부(184)는 유저 인터페이스 처리부(180)로부터의 입력, 통신부(182)의 수신 데이터 및 데이터 저장부(18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데이터 처리부(184)는 통신부(182), 유저 인터페이스 처리부(180) 및 데이터 저장부(186)의 인터페이스로서도 기능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처리부(180)는 입력부(188) 및 출력부(190)를 포함한다.
입력부(188)는 사용자로부터의 각종 입력을 접수한다. 출력부(190)는 사용자에 대하여 각종 정보를 출력한다.
도 6은, 이차전지 정보(210)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이차전지 정보(210)는, DI 엔진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차전지(122)는 전지 ID(이하, 「BID」로 표기함)에 의해 식별된다. 전자기기(106)는 기기 ID (이하, 「MID」로 표기함)에 의해 식별된다. BID=B01인 이차전지(122)(이하, 「이차전지(122(B01))」와 같이 표기함)은, 전자기기(106(M01))에 탑재되고 있다. 기기 ID는 이차전지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다.
이차전지(122)의 「설치 위치」는, 이차전지(122)가 탑재되는 전자기기(106)의 종류, 바꿔 말하면, 이차전지(122)의 용도를 나타내는 정보라도 된다. 예를 들면, 이차전지(122)가 EV에 있어서 1차 이용되고, 그 후 ESS에 있어서 2차 이용된다고 한다. 이 경우, EV, ESS 등의 전자기기(106)의 종류, 바꿔 말하면, 이차전지(122)의 사용 용도를 이차전지(122)의 「설치 위치」로 간주해도 된다.
동일 종류의 전자기기(106)라도, 기체가 상이할 때는 「설치 위치」는 상이하다고 간주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이차전지(B01)가 있는 EV{전자기기(106)}에서 사용된 후, 별도의 EV에서 사용될 때, 이 이차전지(B01)의 설치 위치는 변경되었다고 간주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기 ID가 이차전지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차전지(122)에 대해서는 성능 정보를 대응시킬 수 있다. 성능 정보로서는, SOH, 충전 횟수, 방전 전압 등, 이차전지(122)의 성능 또는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이차전지(122(B01))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Li-ion)이며, SOH는 98(%)이다. 즉, 이차전지(122(B01))의 열화도는 2(%)이다.
DI 엔진은 정기적, 또는, 충전에 있어서 이차전지(122)에 관한 각종 성능 정보를 취득한다. 성능 정보로서는 이 외에는, 에너지 밀도, 충방전 효율, 자기 방전율, 중량, 내용(耐用) 충방전 사이클수, 내용 연수, 이차전지 메이커(118)의 명칭등, 사양 또는 계측값에 기초하는 다양한 데이터가 포함되어도 된다. 성능 정보는 투자가에게 있어서 전지증권으로의 투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로 된다. DI 엔진은 이들 성능 정보를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에 자동적으로 송신한다.
이차전지 정보(210)에 의하면, 이차전지(122(B01))는 전자기기(106(M01))에 탑재되어 있지만, 이차전지(122)(B05)는 어떠한 전자기기(106)에도 탑재되어 있지 않다. 즉, 이차전지(122)(B06)는 유휴 상태에 있다.
도 7는, 전지 보유 정보(220)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전지 보유 정보(220)는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의 데이터 저장부(134)에 저장된다. 이차전지(122)가 사용자에게 대출되었을 때, 사용자 관리부(146)는, 대출의 대상이 된 이차전지(122)의 BID와 대출을 받은 사용자의 PID를 전지 보유 정보(220)에 있어서 대응시킨다.
전지 보유 정보(220)에 의하면, 이차전지(122(B01))는 사용자(P01)에게 대출되고 있다. 또한, 유휴 상태에 있는 이차전지(122)(B05)는 어떠한 사용자에게도 대응되고 있지 않다. 사용자는 개인이라도 되고, 법인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EV를 사용하는 물류 기업, ESS를 사용하여 발전소를 운영하는 전력 회사 등도 법인 사용자가 될 수 있다.
도 8은, 사용자 정보(230)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사용자 정보(230)는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의 데이터 저장부(134)에 저장된다. 사용자 정보(230)는 사용자의 속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사용자에게는, 활용 랭크, 배려 랭크 및 종합 랭크가 설정된다. 사용자가 이차전지(122)를 충전할 때, 이차전지(122)의 DI 엔진은 충전이 행해진 것을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에 통지한다. 이 때, 사용자에게는 사용료가 발생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사용자는 충전 1회에 대하여 G(엔)을 지불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료를 정할 때, 충전량 등 다른 요소는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사용자가 이차전지(122)를 활발하게 이용할수록, 바꿔 말하면, 충전 횟수가 많아질수록, 관리 회사(102)는 이 사용자로부터 많은 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다. 많은 사용료를 지불해 주는 사용자는 투자가에게 있어서 바람직하다.
활용 랭크는 사용자가 이차전지(122)를 활발하게 이용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자 관리부(146)는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1개월(단위 기간)당의 이차전지(122)의 충전 횟수를 집계한다. 사용자 관리부(146)는 충전 횟수의 평균값 및 분산값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의 표준편차를 계산한다.
사용자 관리부(146)는 상위부터 5(%) 이상의 활용 랭크를 「5」, 5∼20(%)의 활용 랭크를 「4」, 20∼50(%)의 활용 랭크를 「3」, 50∼70(%)의 활용 랭크를 「2」, 70(%) 미만의 활용 랭크를 「1」로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P01)는, 이차전지(122)의 충전 횟수가 상위 5(%)에 들어갈만큼 많기 때문에, 그 활용 랭크는 「5」로 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P03)는, 이차전지(122)의 충전 횟수가 상위 70(%)에도 들어 있지 않으므로, 그 활용 랭크는 「1」로 되어 있다.
사용자가 이차전지(122)를 소중하게 이용할수록, 바꿔 말하면, 이차전지(122)의 열화가 느릴수록, 관리 회사(102)는 이 사용자로부터 장기간에 걸쳐 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다. 사용료를 장기간에 걸쳐 지불해 주는 사용자도 투자가에게 있어서는 바람직하다.
배려 랭크는, 사용자가 이차전지(122)를 어느 정도 소중하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자 관리부(146)는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고, 1개월(단위 기간)당의 이차전지(122)의 열화도의 변화량(이하, 「열화 진행도」라고 함)에 대하여 통계를 취해 놓는다. 사용자 관리부(146)는, 이 열화 진행도의 작음(열화되기 어려움)에 대하여 상위부터 5(%) 이상의 배려 랭크를 「5」, 5∼20(%)의 배려 랭크를 「4」, 20∼50(%)의 배려 랭크를 「3」, 50∼70(%)의 배려 랭크를 「2」, 70(%) 미만의 배려 랭크를 「1」로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P01)는 이차전지(122)의 지난달의 열화 진행도가 상위 20∼50(%) 존에 들어가므로, 그 배려 랭크는 「3」으로 되어 있다.
종합 랭크는, 활용 랭크와 배려 랭크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사용자 관리부(146)는 활용 랭크 및 배려 랭크를 변수로 하는 임의의 단조 증가 함수에 의해 종합 랭크를 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자 관리부(146)는 활용 랭크와 배려 랭크의 평균값을 종합 랭크로서 산출한다.
사용자 정보(230)에는 이 외에도, 사용자의 이름, 연령, 성별, 거주지, 계좌번호, 메일 어드레스 등, 다양한 사용자 속성이 포함되어도 된다.
도 9는, 증권 정보(240)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증권 정보(240)는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의 데이터 저장부(134)에 저장된다. 전지증권은 증권 ID(이하, 「SID」로 표기함)에 의해 식별된다. 이차전지(122)에는 하나 이상의 전지증권이 대응된다. 도 9에 나타낸 증권 정보(240)에 의하면, 이차전지(122(B01))에 대해서는 10장의 전지증권(S01)이 발행되고 있다. 전지증권(S01)의 판매 가격(매출 가격)은 100(엔)이며, 현재 가격은 110(엔)이다. 따라서, 판매 가격으로 전지증권(S01)을 구입한 투자가에게는, 10(엔)의 장부상 이익이 나오고 있게 된다. 10장의 전지증권(S01)을 구별할 때는, 전지증권(S01:1)∼전지증권(S01:10)과 같이 표기한다.
전지증권의 판매 가격 및 현재 가격의 결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0은, 투자가 정보(250)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투자가 정보(250)는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의 데이터 저장부(134)에 저장된다. 투자가 정보(250)는 전지증권의 보유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투자가 정보(250)에 의하면, 투자가(I01)는 기업 X1이다. 즉, 투자가(I01)는 기관 투자가다. 기관 투자가로서는, 보험 회사, 연금 운용 회사, 투자 은행 등의 금융 기관, 대학 등의 교육 기관, 일반의 사업회사 등이 생각된다. 한편, 투자가(I02)는 개인투자가다.
투자가(I01)는 전지증권(S01)을 1장, 전지증권(S03)을 10장, 전지증권(S04)을 2장, 전지증권(S08)을 5장 보유하고 있다. 또한, 투자가(I01)는 전지증권(S03)을 평균하여 102(엔)으로 취득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증권 정보(240)에 의하면, 전지증권(S03)의 현재 가격은 130(엔)이므로, 투자가(I01)는 전지증권(S03)에 대해서는 장부상 이익을 얻고 있다.
도 11은, 투자 정보(260)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투자 정보(260)는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의 데이터 저장부(134)에 저장된다. 증권 관리부(142)는 이차전지 정보(210), 전지 보유 정보(220), 사용자 정보(230), 증권 정보(240)에 기초하여 투자 정보(260)를 생성한다. 도 11은, 이차전지(122(B01))에 대응되는 전지증권(S01:1)의 투자 정보(260)를 나타낸다.
투자 정보(260)는 현재 가격란(261), 성능 정보란(262), 투자가 정보란(264), 사용자 정보란(266), 예상 수익란(268)을 포함한다.
증권 관리부(142)는 현재 가격란(261)에 전지증권(S01)의 현재 가격을 기록한다. 증권 관리부(142)는 이차전지(122)의 이차전지 정보(210)(도 6 참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성능 정보란(262)에, 투자가 정보(250)(도 10)의 일부를 투자가 정보란(264)에, 사용자 정보(230)(도 8 참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자 정보란(266)에 기록한다. 이 외에, 도시는 하지 있지 않지만, 투자 정보(260)에는 이차전지(122(B01))의 설치 위치(기기 ID)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증권 관리부(142)는 이차전지(122(B01))의 과거의 일정 기간에서의 분배금의 수입 실적에 기초하여, 전지증권(S01)의 1개월당의 예상 수익을 산출하여 예상 수익란(268)에 기록한다. 예를 들면, 이차전지(122(B01))가 과거 1년간에 평균하여 1개월당 1.5(엔)의 분배금을 발생시키고 있을 때는, 증권 관리부(142)는 예상 수익을 1.5(엔)으로서 산출해도 된다.
이 외에, 증권 관리부(142)는, 과거의 일정 기간에서의 분배금의 수입 실적으로부터 장래의 기대 수익을 계산하고, DCF법에 의해 전지증권의 현재 가치를 산출해도 된다. 증권 관리부(142)는 DCF법에 의해 계산된 현재 가치와 현재 가격(거래 가격)을 비교함으로써, 전지증권(S01)이 저가·적정·고가 중 어느 하나인지를 투자 정보(260)에 등록해도 된다.
투자 정보(260)는 전지증권마다 생성된다.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의 송신부(136)는 증권 회사(112)에 대하여 투자 정보(260)를 적절히 송신한다. 증권 회사(112)는 전지증권의 매매 기회를 투자가에게 제공하지만, 이 때 전지증권의 투자 정보(260)도 투자가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투자가로의 정보 제공 시에는, 투자가 정보란(264) 등 일부의 정보를 제공 대상외로 해도 된다.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의 송신부(136)는 투자 정보(260)로 변경이 있었을 때는, 증권 회사(112)에 대하여 변경 후의 투자 정보(260)를 송신하고, 증권 회사(112)는 최신의 투자 정보(260)를 투자가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면, 이차전지(B01)를 탑재하는 전자기기(106)가 변경이 되었을 때, 증권 관리부(142)는 투자 정보(260)에 포함되는 기기 ID(설치 위치)를 등록 변경한다. 송신부(136)는 변경 후의 투자 정보를 증권 회사(112)에 송신한다.
도 12는, 전지증권의 판매 가격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관리 회사(102)는 이차전지(122)를 이차전지 메이커(118)로부터 구입한 뒤, 전지증권의 발행을 증권 회사(112)에 의뢰한다. 전지증권을 신규 발행할 때, 관리 회사(102)는 전지증권의 판매 가격을 결정한다. 전지증권의 판매 가격의 결정 방법은 임의이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는 이하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판매 가격을 결정한다.
도 12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관리 회사(102)의 수익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원점에 나타내는 시점에 있어서 이차전지(122)가 구입되고,또한, 이차전지(122)는 곧 어느 사용자에게 대출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한다.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도 12에 있어서는 유휴 기간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관리 회사(102)가 이차전지 메이커(118)로부터 이차전지(122)를 구입했을 때의 구입 가격을 M(엔)으로 한다. 이차전지(122)에 대하여 n개의 전지증권이 발행되는 것으로 한다. 이 때의 1장당의 판매 가격을 D(엔)으로 한다. 따라서, 관리 회사(102)는 이차전지(122)를 M(엔)으로 구입하고, n개의 전지증권을 D(엔)으로 발행함으로써, 증권 회사(112)로부터 D×n(엔)의 수입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는, M>D×n으로 한다. 이 경우, 전지증권의 발행 단계에서는, 관리 회사(102)는 U=M-D×n(엔)만큼 손해를 보고 있게 되지만, 관리 회사(102)는 이차전지(122)의 사용료의 일부를 운영비로서 회수할 수 있다. 판매 가격이 낮은 쪽이 투자를 모으기 쉽다. 그래서, 관리 회사(102)는 판매 가격을 억제하면서, 부족분은 이차전지(122)의 사용료의 일부로부터 회수한다.
여기서는, 관리 회사(102)는 전지증권을 발행하고 나서 v월후에 부족분인 U(엔)을 운영비로서 회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차전지(122)를 1회 충전했을 때 얻어지는 사용료를 G(엔)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G(엔)의 사용료가 발생할 때, k×G(엔)이 관리 회사(102)의 운영비가 되고, 나머지의 (1-k)×G(엔)이 투자가로의 분배금이 된다(0≤k≤1).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k는 5(%)이다.
1개월당 상정되는 충전 횟수를 c(회)로 하면, 이 이차전지(122)로부터는 1개월당 k×G×c(엔)의 운영비가 얻어진다고 생각된다. v월로 부족 금액 U(엔)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M-D×n=k×G×c×V가 성립하도록 판매 가격 D(엔)을 결정한다.
이 방정식에 있어서, M은 이미 알고 있고, G, n, V, k는 임의의 설정값이다. 증권 관리부(142)는 이차전지(122)에 관한 과거의 충전 실적에 기초하여 c(1개월당의 상정 충전 횟수)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전지증권의 신규 발행 대상이 되는 이차전지(122a)와 같은 타입이면서 같은 충전 용량의 이차전지(122b)에 대하여, 1개월당의 충전 횟수의 평균값이 30(회)이면, 증권 관리부(142)는 c=30으로 설정해도 된다.
관리 회사(102)는 상기 방정식에 기초하여 판매 가격 D(엔)을 정함으로써, 저가격으로 전지증권을 발행하면서, v월로 초기 비용을 회수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상정대로 라면, v월 이후의 운영비를 관리 회사(102)는 모두 이익으로서 계상할 수 있다.
실제로는, 1개월당의 충전 횟수는 이차전지(122)의 사용 상황에 따라 크게 불균일이 생긴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충전 횟수의 불확실성, 바꿔 말하면, 분배금의 불확실성이 전지증권의 투자 묘미를 산출한다.
이차전지 메이커(118)는 관리 회사(102)로부터 이차전지(122)를 수주 생산므로 재고 리스크로부터 해방된다. 이차전지(122)의 대출처가 보이지 않으면, 이차전지(122)는 관리 회사(102)의 재고로 되므로, 관리 회사(102)는 재고 리스크를 부담 하게 된다. 한편, 관리 회사(102)는 이차전지 메이커(118)로부터 이차전지(122)를 구입한 뒤, 전지증권을 발행함으로써 구입 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단기간에 회수할 수 있으므로, 리스크를 많은 투자가에게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장기간에 걸쳐 이차전지(122)를 대출할 수 있으면, 관리 회사(102)는 이차전지(122)의 사용료로부터 계속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도 13은, 전지증권의 발행 시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관리 회사(102)는 먼저, 이차전지 메이커(118)로부터 이차전지(122)를 구입한다. 이 때, 증권 관리부(142)는 구입 가격에 기초하여, 도 12에 관련하여 설명한 방법에 의해 판매 가격을 계산한다(S10). 송신부(136)는 증권 회사(112)에 대하여 전지증권의 발행 의뢰를 송신한다(S12). 발행 의뢰에는, 전지증권에 관한 투자 정보(260) 외에, 판매 가격과 전지증권의 발행수가 포함된다.
증권 회사(112)는,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지정 매수의 전지증권을 증권 거래소(120)에 있어서 신규 발행한다(S14). 이 때, 증권 회사(112)는 판매 가격×지정 매수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발행 요금을 관리 회사(102)에 대하여 지불하도록 지시를 내린다(S16). 보다 구체적으로는, 증권 회사(112)는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에 대하여 발행 요금의 지불을 지시하고,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는 증권 회사(112)의 계좌에서 발행 요금을 이체하고, 관리 회사(102)의 계좌에 발행 요금을 입금하도록 결제 시스템(104)에 지시한다(S18). 증권 관리부(142)는 전지증권의 발행 후, 이차전지 정보(210), 증권 정보(240) 등의 각종 데이터를 갱신한다(S20).
신규 발행된 전지증권에 대하여, 투자가는 투자 단말기(110)로부터 구입 지시를 증권 회사(112)에 송신한다(S22). 증권 회사(112)는 결제 시스템(104)에 지시하여 결제 처리를 실행시킨다(S24). 구체적으로는, 결제 시스템(104)은 투자가의 계좌에서 구입 대금을 이체하고, 증권 회사(112)의 계좌에 구입 대금을 입금한다. 결제 후, 증권 회사(112)는 구입 통지를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에 송신한다(S26). 구입 통지에는, 전지증권의 SID, 구입한 투자가의 IID, 거래 가격 등이 포함된다. 구입 통지의 수신 후, 증권 관리부(142)는 증권 정보(240), 투자가 정보(250) 등의 각종 데이터를 갱신한다(S28).
이 후, 사용자가 이차전지(122)의 대출을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에 요구했을 때에는,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의 송신부(136)는 물류 회사(114)에 지시하여 이차전지(122)의 배송을 지시한다. 이 때의 배송 지시에는, 사용자의 주소, 대출 대상이 되는 이차전지(122)의 BID 등이 포함된다.
물류 회사(114)는 배송 지시에 따라서, 관리 회사(102)가 보유하는 이차전지(122)를 사용자에게 배송한다. 이차전지(122)의 배송 시에 있어서는, 사용자 관리부(146)는 전지 보유 정보(220) 등의 각종 데이터를 갱신하고, 이차전지(122)와 대출처의 사용자를 대응시킨다.
이차전지(122)가 탑재하는 DI 엔진은 적절히 이차전지(122)의 상태를 계측하고, 성능 정보를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에 송신한다. 또한, DI 엔진은 이차전지(122)가 장착되는 전자기기(106)로부터 MID를 판독하고, BID와 함께 MID도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에 송신한다. 사용자 관리부(146)는 MID를 수신했을 때는 이차전지 정보(210)를 갱신한다.
도 14는, 분배금의 지불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여기서는, 사용자(P01)가 이차전지(122(B01))를 충전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사용자(P01)는 이차전지(122(B01))를 충전 스테이션에서 충전한다 (S30). 이차전지(122(B01))의 DI 엔진은 충전 통지를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에 송신한다(S32). 충전 통지에는, BID, PID 등이 포함된다.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의 징수부(148)는, 각 이차전지(122)에 대하여 언제 충전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충전 실적 정보(도시하지 않음)를 관리하고 있다. 충전 실적 정보에 있어서는, BID와 충전 일시가 대응된다. 충전 통지가 수신되었을 때, 징수부(148)는 충전 실적 정보를 갱신한다(S34). 징수부(148)는 충전 통지를 수신할 때마다 충전 실적 정보를 갱신한다.
대여 기간 중의 소정 기일, 예를 들면 매월 25일이 되면(이하, 「정산일」이라고 함), DI 엔진은 이차전지(122)의 최신의 성능 정보를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에 송신한다(S36). 징수부(148)는 전회의 정산일부터 금회의 정산일까지의 충전 횟수에 기초하여 사용료를 계산한다. 예를 들면, 충전 횟수가 n회이고, 1회의 충전당의 사용료(이하, 1개월당의 합계의 사용료와 구별하기 위해 1회분의 사용료를 「단위사용료」라고 함)이 G(엔)이면, 1개월의 사용료는 G×n(엔)이 된다. 단위사용료 G(엔)은, 이차전지(122)마다 사전에 정해져 있다. 송신부(136)는 합계의 사용료 G×n을 사용자 단말기(108)에 통지한다(S38).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8)에 있어서, 1개월당의 사용료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다.
징수부(148)는 사용료 G×n(엔)의 결제를 결제 시스템(104)에 지시한다 (S40). 사용자(P01)의 계좌에서는 사용료가 이체되고, 관리 회사(102)의 계좌에 입금된다.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는 사용료를 증권 회사(112)에 통지한다(S42). 증권 회사(112)는 사용료 중 (1-k)×G×n을 분배금으로서 투자 단말기(110)에 통지한다(S44). 증권 회사(112)는, 관리 회사(102)에 입금된 사용료의 일부를 분배금으로서 투자가의 계좌에 입금하도록 결제 시스템(104)에 지시함으로써, 결제 처리를 실행시킨다(S46). 이로써, 사용자(P01)가 지불한 사용료 중 일부는 관리 회사(102)의 운영비가 되고, 나머지는 투자가에게의 분배금이 된다.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는 사용료의 징수 후, 필요에 따라 단위사용료의 변경을 더 행한다(S48). 단위사용료의 변경에 대해서는 다음의 도 15에 관련하여 상술한다.
도 15는, 도 14의 S48에서의 처리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열화 측정부(152)는 정산일에 취득된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이차전지(122)의 SOH를 계산한다(S50). 또한, 열화 측정부(152)는, 전회의 정산일부터 금회의 정산일까지의 단위기간에서의 열화 진행도도 계산한다. 사용자 관리부(146)는 열화 진행도에 기초하여 배려 랭크를 갱신한다(S52).
계속해서, 사용자 관리부(146)는 충전 실적 정보에 기초하여 활용 랭크를 갱신한다(S54). 사용자 관리부(146)는 배려 랭크 및 활용 랭크에 기초하여 종합 랭크를 갱신한다(S56). 전회부터 종합 랭크에 변화가 없으면(S58의 N), 이후의 처리는 스킵된다. 종합 랭크에 변화가 있으면(S58의 Y), 요금 설정부(154)는 단위사용료를 변경한다(S60).
구체적으로는, 종합 랭크가 1 이하일 때는, 요금 설정부(154)는 단위사용료를 기본 설정값으로부터 50(%)분만큼 증가시킨다. 종합 랭크가 1∼2일 때는, 요금 설정부(154)는 단위사용료를 기본 설정값으로부터 10(%)분만큼 증가시킨다. 종합 랭크가 2∼3일 때는, 요금 설정부(154)는 단위사용료를 기본 설정값으로 설정한다. 종합 랭크가 3∼4일 때는, 요금 설정부(154)는 단위사용료를 기본 설정값으로부터 10(%)분만큼 감소시킨다. 종합 랭크가 4보다 클 때는, 요금 설정부(154)는 단위사용료를 기본 설정값으로부터 50(%)분만큼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사용자(P01)에 대하여 이차전지(122(B01))의 단위사용료의 기본 설정값이 20(엔)이고, 사용자(P01)는 이차전지(122(B01))를 1개월당 20회 충전했다고 한다. 이 때의 기준이 되는 사용료는 400(엔)이 된다. 사용자(P01)의 종합 랭크가 「1」일 때는 단위사용료는 30(엔)이 되므로, 1개월당의 사용료는 600(엔)이 된다. 사용자(P01)의 종합 랭크가 「4.5」일 때는 단위사용료는 10(엔)이 되므로, 1개월의 사용료는 200(엔)이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P01)는 이차전지(122(B01))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또한, 이차전지(122(B01))가 열화하지 않도록 소중하게 사용할수록, 사용료에 관한 우대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1인의 사용자가 복수의 이차전지(122)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 관리부(146)는 이차전지(122)마다 사용자의 배려 랭크, 활용 랭크 및 종합 랭크를 계산해도 된다. 혹은, 사용자 관리부(146)는 복수의 이차전지(122) 각각에 대하여 계산된 배려 랭크의 평균값을, 이 사용자의 배려 랭크로서 산출해도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P01)가 이차전지(122(B01)), 이차전지(122(B21)), 이차전지(122(B22))를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사용자 관리부(146)는 이차전지(122(B01))에 대한 사용자(P01)의 배려 랭크를 「3」으로 산출한다. 동일하게 하여, 이차전지(122(B21)), 이차전지(122(B22))에 관한 배려 랭크를 각각 「4」, 「5」로 산출했다고 한다. 이 경우, 사용자 관리부(146)는 사용자(P01)의 배려 랭크를 그 평균값인 「4(=(3+4+5)/3)」으로 하여 산출해도 된다. 동일하게 하여, 사용자 관리부(146)는 이 사용자(P01)의 활용 랭크, 종합 랭크를 산출해도 된다.
전술한 예에서는, 전회의 정산일부터 금회의 정산일까지의 충전 횟수에 따라서 활용 랭크를 계산하고, 활용 랭크에 따라 단위사용료가 변화한다고 하여 설명했다. 이 외에는, 예를 들면 전회의 정산일부터 금회의 정산일까지의 총 충전량에 따라, 사용자 관리부(146)는 활용 랭크를 갱신해도 된다. 사용자 관리부(146)는 총 충전량이 많을수록 활용 랭크를 높게 설정해도 된다. 요금 설정부(154)는 총 충전량에 기초하여 산출된 활용 랭크에 따라, 단위사용료를 변화시켜도 된다.
도 16은, 전지증권의 매매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투자가(I01)가 전지증권의 매각 주문을 내고, 투자가(I02)가 전지증권의 구매 주문을 했을 때, 증권 회사(112)는 통상의 주식 매매와 동일하게 하여 매매 성공 여부를 판정한다. 매매가 성립되면(S70), 증권 회사(112)는 전지증권의 보유자를 투자가(I01)에 투자가(I02)로 명의 변경한다(S72).
명의 변경의 완료 후, 증권 회사(112)는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에 매매 대상이 된 전지증권의 SID와 함께, 매매에 관련된 투자가의 IID를 포함하는 변경 통지를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에 송신한다(S74). 투자가 관리부(144)는 변경 통지에 따라서 증권 정보(240) 등의 데이터를 갱신한다(S76).
도 17은, 이차전지(122)의 대출처를 변경할 때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여기서는, 사용자(P01)가 이차전지(122(B01))를 반각하고, 이 이차전지(122(B01))가 새롭게 사용자(P10)에 대출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사용자(P01)는 사용자 단말기(108)에 있어서 이차전지(122(B01))의 반각을 지시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108)의 입력부(188)는 반각 지시를 접수하고, 통신부(182)는 반각 지시를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에 송신한다(S80). 반각 지시에는, BID(=B01) 및 (PID)(=P01)이 포함된다.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의 송신부(136)는 물류 회사(114)에 이차전지(122)의 회수 지시를 송신한다(S82). 회수 지시에는, 회수 대상이 되는 사용자(P01)의 PID와 주소, 이차전지(122(B01))의 BID가 포함된다. 물류 회사(114)는 사용자(P01)로부터 이차전지(122(B01))를 회수하고, 관리 회사(102)가 가지는 창고에 운반한다. 즉, 이차전지(122(B01))는 일단 관리 회사(102)의 재고품이 된다. 사용자 관리부(146)는 이차전지 정보(210), 전지 보유 정보(220) 등의 데이터를 갱신한다(S84).
다음으로, 사용자(P10)가 이차전지(122(B01))의 대여를 요구했다고 한다. 사용자 단말기(108)의 입력부(188)는 대여 요구를 접수하고, 통신부(182)는 대여 요구를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에 송신한다(S86). 대여 지시에는, BID(=B01)및 PID 및 (=P10)이 포함된다.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는 물류 회사(114)에 배송 지시를 송신한다(S88). 배송 지시에는, 대출 대상이 되는 이차전지(122(B01))의 BID, 사용자(P10)의 PID 및 사용자(P10)의 주소가 포함된다. 물류 회사(114)는 관리 회사(102)로부터 이차전지(122(B01))를 회수하고, 사용자(P10)에게 이차전지(122(B01))를 운반한다. 사용자 관리부(146)는 이차전지 정보(210), 전지 보유 정보(220) 등의 데이터를 갱신한다(S90).
이상과 같이, 이차전지(122(B01))가 반각되었을 때, 이차전지(122(B01))는 관리 회사(102)의 재고품이 된다. 이차전지(122(B01))가 재고품으로 되어 있을 때, 이차전지(122(B01))에 대응되는 전지증권(S01: B01)은 수익을 낳지 않게 된다. 이차전지(122(B01))의 유휴화, 바꿔 말하면, 이차전지(122(B01))가 재고화되어 새로운 사용자에게 대출되지 않는 것은 투자가에게 있어서 리스크로 된다.
전지증권(S01:B01)은, 이차전지(122(B01))가 재고품이 되는 리스크를 안지만, 전술한 구조에 의해, 관리 회사(102)는 재고 리스크를 많은 투자가에게 부담하게 할 수 있다. 관리 회사(102)는 재고 리스크를 억제하기 쉬워지므로, 적극적으로 이차전지(122)를 구입하기 용이해진다.
그리고, 1차 이용자인 사용자(P01)로부터 2차 이용자인 별도의 사용자(P10)에게 이차전지(122(B01))의 대여처를 변경하는 경우뿐 아니라, 1차 이용자인 사용자(P01)가 일단 이차전지(122(B01))를 반각하고, 다시 2차 이용자로서 동일한 이차전지(122(B01))를 빌리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P01)는 이차전지(122(B01))를 EV용으로 빌려서 이차전지(122(B01))를 설치한 뒤, 동일한 이차전지(122(B01))를 다음에 ESS용으로 설치하는 경우도 생각된다. 이와 같이, 1차 사용자와 2차 사용자는 다른 사람일 필요는 없다. 이 경우에는, 이차전지(122(B01))의 징수처는 변경이 되지 않는다. 다만, 1차 이용과 2차 이용에서는 사용료가 다르다고 해도 된다.
도 18은, 투자 화면(270)의 화면도이다.
투자가 관리부(144)는 투자 단말기(110)에 대하여 투자 화면(270)을 제공한다. 투자 단말기(110)의 출력부(170)는 전지증권의 보유 상황을 나타내는 투자 화면(270)을 표시시킨다. 도 18은, 투자가(I01)의 투자 화면(270)을 나타낸다. 투자 화면(270)에는, 투자가(I01)가 보유하는 전지증권의 종목, 현재 가격, 보유수, 평가 손익 등이 표시된다.
도 18의 투자 화면(270)에 의하면, 투자가(I01)는 전지증권(B01)을 1장 보유하고, 「평가 손익」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0(엔)」의 장부상 이익을 얻고 있다. 투자가(I01)는 전지증권(B01)을 추가 구입하려고 할 때에는 구매(BUY) 버튼(274)을 터치함으로써, 구매 화면(도시하지 않음)을 표시시킬 수 있다. 투자가(I01)는 전지증권(B01)의 구매 화면에 있어서, 전지증권(B01)의 추가 구입을 지시한다.
투자가(I01)는 전지증권(B01)을 매각하고 싶을 때는 매각(SELL) 버튼(272)을 터치한다. 매각 버튼(272)이 터치되었을 때, 출력부(170)는 매각 화면(도시하지 않음)을 표시시킨다. 투자가(I01)는 전지증권(B01)의 매각 화면에 있어서, 전지증권(B01)의 매각을 지시한다.
증권 회사(112)는 전지증권의 매각 주문 및 구매 주문을 모아서 거래를 성립시킨다. 출력부(170)는 구매 불가 또는 매각 불가로 되어 있는 전지증권에 대해서는, 매각 버튼(272) 또는 구매 버튼(274)을 그레이 아웃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도 18에 있어서는, 전지증권(B04)에 대해서는 어느 투자가로부터도 매각 주문이 나오고 있지 않으므로, 출력부(170)는 전지증권(B04)의 구매 버튼(274)을 그레이 아웃 표시시키고 있다. 따라서, 투자가(I01)는 전지증권(B04)을 새롭게 구입할 수는 없다. 전지증권(B04)의 매각 주문이 나왔을 때는, 증권 회사(112)는 각 투자 단말기(110)에 전지증권(B04)을 구입 가능한 취지를 통지한다. 이 때, 출력부(170)는 구매 버튼(274)의 그레이 아웃 표시를 해제한다.
투자가(I01), 종목명을 터치함으로써, 투자 정보 화면(도시하지 않음)을 표시시킬 수 있다. 투자 정보 화면에 있어서는, 전지증권의 거래 가격의 차트(가격 천이)가 표시된다. 또한, 투자 정보(260)(도 11 참조)의 일부도 표시된다. 이 외에, 증권 관리부(142)는 전지증권의 저렴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투자 정보 화면에 표시해도 된다.
<총괄>
이상, 실시형태에 따라서 이차전지 관리 시스템(200)을 설명했다.
사용자는 이차전지(122)를 사는 것이 아니라, 이차전지(122)를 빌리는 것에 의해, 이차전지(122)의 초기 도입에 따른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차전지(122)의 충전 횟수에 따라 사용료를 지불한다. 이차전지(122)의 도입 비용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구형의 이차전지(122)로부터 신형의 이차전지(122)로 교환하기 용이해진다. 사용자는 사용 완료한 이차전지(122)를 처분할 필요는 없고, 관리 회사(102)에 반환하면 된다. 관리 회사(102)가 이차전지(122)의 라이프 사이클에 책임을 가지므로, 이차전지(122)의 불법 투기·부정 처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관리 회사(102)는 이차전지(122)를 구입했을 때, 증권화에 의해 이차전지(122)의 구입비를 조달할 수 있다. 또한, 이차전지(122)의 사용료의 일부를 운영비로서 징수함으로써, 관리 회사(102)는 이차전지(122)로부터 계속적 수입을 얻을 수 있다. 증권화와 운영비의 징수에 의해, 관리 회사(102)의 경영을 안정시킬 수 있다. 관리 회사(102)는 이차전지(122)의 1차 이용에 의해 이차전지(122)의 초기 비용을 회수하고, 2차 이용, 3차 이용에 의해 이익을 올릴 수 있도록 사용료를 설정해도 된다.
사용자의 이차전지(122)에 대한 요구는 다양하다. 소량이면서 또한 고성능의 이차전지(122)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도 있으면, SOH가 낮아도 대량인 이차전지(122)를 모으고자 하는 사용자도 있다. 관리 회사(102)가 사용자로부터 반환된 이차전지(122)를 다른 사용자에게 대출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응할 수 있다. 이차전지(122)의 유통을 촉진함으로써, 1개의 이차전지(122)가 1차 사용자, 2차 사용자 등의 복수 사용자에 의해 장기간에 걸쳐 사용되게 된다. 이차전지(122)의 장기 사용은 환경 보호의 관점에서도 중요하다. 신품일 때의 성능뿐만 아니라, 장기 사용에 견딜 수 있는지 아닌지가 사용자, 관리 회사(102) 및 투자가에게 있어서 중요하게 되므로, 고가격이라도 고품질의 이차전지(122)에 대한 개발 요구를 환기할 수 있다.
투자가는 전지증권을 구입함으로써, 안정된 인컴 게인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지증권의 거래로부터 캐피탈 게인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전지증권은 주식, 채권, 부동산, 원자재와는 거의 관련되지 않는 금융 상품이므로, 다른 금융 상품과 포트폴리오를 짬으로써 분산 투자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지증권은, 이차전지(122)에 대한 채권을 나타내는 채무증서라도 된다.
이차전지 메이커(118)는 관리 회사(102)로부터 정리된 생산수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이차전지(122)를 안정 생산하기 쉽다.
예를 들면, EV용의 이차전지(122)는 SOH가 80(%)에 이를 때까지 사용하고, ESS용의 이차전지(122)는 SOH가 30(%)에 이를 때까지 사용 가능하다고 한다. 이 경우에는, SOH가 100(%)에서 80(%)로 저하될 때까지는 EV용으로서 이차전지(122)를 1차 이용하고, SOH가 80(%)에서 30(%)로 저하될 때까지는 ESS용으로서 같은 이차전지(122)를 2차 이용하면 된다. 즉, 1개의 이차전지(122)를 EV용을 희망하는 1차 사용자로부터, ESS용을 희망하는 2차 사용자에게 유통시킬 수 있다. EV에 있어서는 이차전지(122)의 사용료를 높게 설정하고, 사용 조건이 그것보다 느슨한 ESS에 있어서는 이차전지(122)의 사용료를 낮게 설정해도 된다.
요금 설정부(154)는 이차전지(122)의 대출 시점의 SOH(열화도)에 따라, 이차전지(122)의 사용료를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어떤 이차전지(122)가 SOH=(100)(%)로 대출될 때의 사용료를 G(엔)으로 한다. 이 이차전지(122)의 SOH가 80(%)까지 열화되었다고 한다. 요금 설정부(154)는, 다음 번의 대출 시점에서 (SOH)=(80)(%)의 이차전지(122)가 2차 이용될 때는,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료 G(엔)에 대출 시점의 SOH=(80)%을 곱한 0.8×G(엔)의 사용료를 설정해도 된다. 이와 같은 제어 방법에 의하면, 2차 사용자는 중고의 이차전지(122)를 도입하기 용이해지므로, 이차전지(122)의 유통을 한층 촉진하기 용이해진다.
일반적으로는, EV용의 이차전지(122)는 사용자의 사용 방법에 의해 열화의 진행 정도가 변화되기 쉽다. 그러므로, EV의 이차전지(122)에는 높은 SOH가 요구된다. 한편, ESS용의 이차전지(122)는 안정적인 사용법을 취하므로, 열화는 완만하고, EV만큼 높은 SOH는 요구되지 않는다. 관리 회사(102)도 1차 이용 시에 이차전지(122)의 구입비를 회수할 수 있으면, 이차전지(122)를 저가로 대출하기 용이해진다. 최종적으로는, 사용 불가가 된 이차전지(122)를 관리 회사(102)가 회수하고, 분해 및 부품의 재이용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차전지(122)가 사용되는 상황(scene)에 따라, 전지증권의 금융 상품으로서의 성격도 변화된다. ESS의 경우, 안정적으로 충전이 행하여지기 쉬우므로, 사용료가 싸도 수입이 안정되기 쉽다. 안전하면서 또한 안정된 수입을 추구하는 투자가에게 있어서는, ESS 등에서 2차 이용되는 이차전지(122)에 대응되는 전지증권은 매력적인 투자 대상이 될지도 모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차전지(122)가 고성능이면서 고가인 경우, 전지증권의 거래 가격은 높아지기 쉽다. 한편, 이와 같은 이차전지(122)는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기 투자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는 이차전지(122)를 소중하게 사용함으로써, 사용료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 투자가에게 있어서도, 이차전지(122)를 오래 사용해 주는 사용자는 바람직하다. 관리 회사(102)로서도 우량 사용자에게 적극적으로 이차전지(122)를 대출하고 싶다. 이와 같은 메커니즘에 의해, 우량한 이차전지(122)의 개발을 촉진시키고, 사용자에게 이차전지(122)를 소중하게 사용하게 하도록 촉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차전지(122)의 사용자가 변경이 되는 기회에는 투자 묘미가 높아진다. 전지증권의 가치는 이차전지(122)의 사용자에 의해 변화한다. 사용자가 변경이 될 때, 전지증권으로의 투자를 계속할 것인지, 매각할지, 혹은, 추가 구매를 할지라는 판단은 투자가에게 있어서 중요하게 된다.
어떤 사용자가 이차전지(122)를 반각했을 때, 혹은, 관리 회사(102)가 이차전지(122)를 증권화했을 때는, 이차전지(122)가 새로운 사용자가 결정될 때까지 이차전지(122)는 유휴 상태로 된다. 유휴 상태에 있는 이차전지(122)로부터는 사용료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전지증권으로부터 인컴 게인을 얻을 수 없을지도 모른다. 이하, 이차전지(122)가 유휴 상태로 되므로, 이 이차전지(122)가 새롭게 대출될 때까지 투자가가 인컴 게인을 얻을 수 없게 되는 투자가에게 있어서의 리스크를 「유휴 리스크」라고 한다.
이차전지(122)에 대한 수요가 높을 때는 유휴 리스크는 낮아진다. 한편, 이차전지(122)가 공급 과다로 되고 있을 때는 유휴 리스크가 높아진다. 유휴 리스크가 높을 때는 전지증권의 거래 가격이 낮아진다고 생각된다. 반대로, ESS 등에 있어서 이차전지(122)의 2차 이용에 대한 수요가 클 때는, 전지증권의 거래 가격은 1차 이용 시의 증권 가격 이상이 될 가능성도 있다. 투자가는, 수요의 크기에 관한 전망, 유휴 리스크에 관한 콘센서스와 독자적인 시세 관측에 기초하여 전지증권을 매매함으로써, 이차전지(122)에 특유한 투자를 즐길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각종 발명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나타내어지는 전체 구성 요소로부터 몇 가지의 구성 요소를 삭제해도 된다.
복수의 투자 단말기(110), 복수 사용자 단말기(108) 및 1개의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를 포함함으로써 이차전지 관리 시스템(200)이 구성된다고 하여 설명했으나, 투자 단말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08)의 기능의 일부는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고,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의 기능의 일부가 투자 단말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08)에 할당되어도 된다. 또한, 투자 단말기(110), 사용자 단말기(108)나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 이외의 제3의 장치가,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 투자 단말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08)의 기능의 일부를 담당해도 된다. 도 5에 있어서 설명한 투자 단말기(110) 및 사용자 단말기(108)의 각 기능과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의 각 기능의 집합체는 대국적으로는 1개의 「정보 처리 장치(이차전지 관리 장치)」로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1개 또는 복수의 하드웨어에 대하여,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복수의 기능을 어떻게 배분할 것인지는, 각 하드웨어의 처리 능력이나 이차전지 관리 시스템(200)에 요구되는 사양 등을 감안하여 결정되면 된다.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차전지(122)에 대하여, 통신 기능을 가지는 DI 엔진을 탑재한다고 하여 설명했다. 변형예로서, 이차전지(122)가 아니라 전자기기(106)가 DI 엔진을 탑재해도 된다. DI 엔진은 적어도, 통신 기능과 이차전지(122)의 성능을 계측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장치이면 된다. DI 엔진은, 전자기기(106)을 IoT 기기로서 기능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IC칩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이차전지 정보(210)(도 6)는 이차전지(122)에 보존되어도 되고, 전자기기(106)에 보존되어도 된다. 혹은, 이차전지 정보(210)는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에 보존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이차전지(122)의 DI 엔진은 이차전지(122)의 성능·상태를 정기적으로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에 송신하고,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의 성능 정보 취득부(140)는 성능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134)에 보존해도 된다.
사용자의 사용료의 일부는 증권 회사(112)에 지불되어도 된다. 증권 회사(112)는 전지증권의 매매 수수료에 의해 수익을 얻어도 된다.
관리 회사(102)는 탄소배출권(Carbon Credit)을 구입해도 된다. 그리고, 이 탄소권의 구입 비용을 전지증권의 판매 가격에 추가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이차전지(122)의 제조에 요하는 탄소 배출량을 상쇄 가능한 양의 탄소권의 가격이 Q(엔)이라로 한다. 이 이차전지(122)에 대하여 n개의 전지증권이 발행될 때는, 관리 회사(102)는 판매 가격 D(엔)에 Q/n(엔)을 추가해도 된다. 관리 회사(102)는 이차전지(122)의 사용료로부터 얻어지는 운영비에 추가분을 설정함으로써, 탄소배출권의 비용 부담분을 회수해도 된다.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는 증권 회사(112)의 거래 중개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담당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는 매매 처리부(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해도 된다. 매매 처리부는 투자가로부터의 구매 주문과 매각 주문을 접수하여 매칭함으로써, 전지증권의 매매를 중개해도 된다.
사용자는 열화 진행도에 따른 사용료를 지불한다고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열화도가 1(%) 증가할 때마다, 바꿔 말하면, SOH가 1(%) 저하될 때마다, F(엔)의 사용료를 지불한다고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M-D×n=k×G×c×v+F×J×v가 성립하도록 판매 가격 D(엔)을 결정한다. 여기에서, 변수 J는 1개월당의 상정 열화 진행도이다. 그리고, 판매 가격은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가 아니라 증권 회사(112)가 결정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는 사용료를 결제하고, 사용료로부터 관리비를 공제한 분배금을 투자가에게 분배하도록 증권 회사(112)에 지시한다고 하여 설명했다. 즉,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 및 증권 회사(112)가 각각 결제를 실행하고 있다. 변형예로서,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료를 징수하고, 일부를 관리 회사(102)의 계좌에 관리비로서 입금하고, 나머지를 투자가의 계좌에 분배금으로서 입금해도 된다. 즉, 관리비 및 분배금의 결제는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가 정리하여 실행해도 된다.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의 투자가 관리부(144)는 사용자에 대하여, 투자가명을 통지해도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이차전지(122)에 대하여, 누가 투자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명 투자가가 전지증권을 통하여 자신에게 투자하고 있다는 것을 아는 것에 의해, 유명 투자가의 기대와 신뢰를 느낄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차전지(122)를 소중하게 사용하려고 하는 의욕이 한층 높아진다. 또한, 많은 투자가가 모이는 사용자는, 투자가의 주목을 모으는 사용자로서의 지위를 확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자를 통하여, 우량 사용자가 되려로 하는 동기를 높일 수 있다.
이차전지(122)를 통한 금전적 지원도 생각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 A의 이차전지(122)에 대응하는 전지증권에 대하여, 투자가 B가 투자할 때, 사용자 A의 사용료는 투자가 B에 분배금으로서 지불된다. 사용자 A가 투자가 B의 아들인 경우, 사용자 A는 이차전지(122)를 사용함으로써 투자가 B(부모)에게 금전 원조할 수 있다.
Y사는 이차전지(122)를 소중하게 사용하는 기업이라는 좋은 평판이 생기면, 투자가는 Y사가 사용하는 이차전지(122)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기 쉬워진다. 또한, Y사는 이와 같은 평판을 지키는 위해 한층 이차전지(122)를 중요하게 사용한다고 생각된다. Y사의 이와 같은 행동은, 사용료의 삭감이나 기업 이미지의 향상뿐만 아니라, 환경 보호에도 기여한다. 또한, Y사가 사용하는 이차전지(122)에 관한 전지증권은 판매하기 쉬워지므로, 관리 회사(102)에 있어서도 Y사와 같은 우량 사용자는 바람직하다.
Y사의 종업원은 Y사가 사용하는 이차전지(122)에 관한 투자가가 되어도 된다. Y사의 종업원이 이차전지(122)를 소중하게 사용함으로써, 종업원 자신이 분배금이라는 이익을 얻을 수 있다. Y사는 자사가 사용하고 있는 이차전지에 관한 전지증권을 통합하여 증권 회사(112)로부터 구입하고, 종업원에 구입한 전지증권을 2차판매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자는 충전 횟수에 따라 사용료를 지불한다고 하여 설명했다. 변형예로서, 사용자는 충전량에 따라 사용료를 지불한다고 해도 된다. 혹은, 사용자는 이차전지(122)의 사용 기간의 길이에 따라 사용료를 지불한다고 해도 된다.
충전량에 따라서 사용료를 지불하는 경우, SOH를 고려하여 사용료를 변화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1(kWh)당 30(엔)의 사용료를 설정한다고 한다. 또한, 전기 용량이 1(kWh)인 이차전지(122(BX))를 사용자(P01)가 1일 1회 충전하는 경우, 5년간의 합계 사용료는 37,500(엔)(=30×250×5)이 된다. 여기서는, 1년당의 가동 일수를 250일로 상정하고, 또한, 1일 1회 만충전을 행한다고 상정하고 있다.
SOH가 저하됨에 따라서, 이차전지(122(BX))의 1회당의 충전량은 저하된다. 예를 들면, 이차전지(122(BX))의 전기 용량이 1(kWh)에서 0.9(kWh)로 저하되었을 때는, 충전 1회당의 사용료를 27(엔)(= 30×0.9)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충전 시점에서의 SOH에 따라, 요금 설정부(154)는 단위사용료를 변화시켜도 된다.
일례로서, 5월 10일부터 15일까지의 이차전지(122(BX))의 SOH는 100(%)이며, 사용자(P01)는 1일에 1회 만충전을 행했다고 한다. 이 경우에는, 이 6일간의 합계 사용료는 180(엔)(=30×6×1.0)이 된다. 다음으로, 5월 16일부터 22일까지의 이차전지(122(BX))의 SOH는 99(%)이며, 이 때도 1일에 1회 만충전을 했다고 한다. 이 경우에는, 이 7일간의 합계 사용료는 208(엔)(= 30×7×0.99)이 된다. 이와 같이, 충전 시의 SOH에 기초하여, 요금 설정부(154)는 1회당의 충전에 요하는 사용료를 보정해도 된다. 충전 1회당의 사용료의 적분값이 이차전지(122(BX))의 합계 사용료가 된다.
SOH=80(%)가 된 이차전지(122(BX))가 사용자(P02)에 대여되었다고 한다. 2차 이용일 때의 1(kWh)당의 사용료를 8(엔)으로 한다. 이차전지(BX)을 1년에 365일간 가동시키고, 1일 1회 충전하는 경우, 10년간의 합계 사용료는 29,200(엔)(=8×365×10)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SOH의 저하에 따라 이차전지(122(BX))의 사용료를 가변으로 해도 된다.
사용자(P02)가 이차전지(122(BX))를 10년간 사용하고, SOH는 80(%)에서 70 (%)로 저하되었다고 한다. 다른 예로서, 요금 설정부(154)는, 전술한 29,200(엔)의 10(%)(=80-70)에 해당하는 2,920(엔)을 사용자(P02)에게 환불해도 된다.
이차전지(122(BX))의 열화가 진행되면, 이차전지(122(BX))를 만충전하기 위한 전기 에너지의 일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되기 쉬워진다. 바꿔 말하면, SOH의 저하에 따라 충전 효율이 나빠진다. 예를 들면, SOH=100(%)일 때는 SOC=100(%)까지 만충전하지만, SOH=90(%)일 때는 SOC=90(%)를 상한으로 하여 충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충전 효율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전기 용량이 1(kWh)인 이차전지(122(BX))는, SOH=100(%)일 때는, 1회 충전했을 때의 사용료는 30(엔)이다. 한편, 이 이차전지(122(BX))의 SOH가 90(%)로 열화되었을 때는, 1회 충전했을 때의 사용료는 24.3(엔)(=30×0.9×0.9)이 된다. SOH=90(%)가 되었을 때, 이차전지(122(BX))의 1회당의 충전량은 0.81(kWh)(=1×0.9×0.9)가 되기 때문이다.
이차전지(122(BX))가 열화되었을 때는, 1회당의 충전량이 적으므로, 1회당의 사용료도 저렴해진다. 한편, 충전 횟수는 많아지므로, 투자가는 이차전지(122(BX))의 열화가 진행되어도 이익을 확보하기 쉽다. 그러나, 이차전지(122(BX))가 단기간에 열화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충전 횟수가 많아지므로, 번거로움을 느낀 사용자가 이차전지(122(BX))를 새로운 이차전지(BX)로 교환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로써, 투자가에게 있어서는, 전지증권에 의한 수익 기간이 짧아져 버리게 된다. 그러므로, 투자가는 이차전지(122(BX))의 열화 상황을 보면서, 전지증권을 처분할 시기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전지증권의 가치는 이차전지(122)의 열화되기 어려움뿐만 아니라, 이차전지(122)의 개체차(個體差)(품질의 불균일)에도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이차전지 메이커(118(M1))가 제조하는 이차전지(122)에 비교하여, 이차전지 메이커(118(M2))가 제조하는 이차전지(122)는 제조 품질의 불균일이 적다고 한다. 제조 불량에 의해 내부 저항값이 큰 이차전지(122)는, 정상인 이차전지(122)에 비교하여 충전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불량한 이차전지(122)를 빌려 버렸을 때는, 이것을 반각하여 새로운 이차전지(122)를 다시 빌리려고 한다. 이 결과, 불량한 이차전지(122)에 대응되는 전지증권을 구입한 투자가는 불리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및 투자가는 이차전지 메이커(118(M2))가 제조하는 이차전지(122)보다 이차전지 메이커(118(M1))가 제조하는 이차전지(122)보다 선호하게 된다. 또한, 이차전지 메이커(118)도 성능뿐만 아니라, 제조 품질의 안정성에 대해서도 평가를 받기 용이해진다.
증권 관리부(142)는 복수의 전지증권을 테마에 맞추어 패키지화해도 된다. 예를 들면, 증권 관리부(142)는 Z사가 사용자로 되어 있는 이차전지(122)에 관한 전지증권을 통합하여, 「Z사가 사용하는 이차전지(122)의 전지증권」로서 패키지 판매해도 된다. Z사를 신뢰하는 투자가는 이와 같은 전지증권을 통합하여 구입해도 된다.
이 외에도, 「S사가 제조한 이차전지(122)의 전지증권」, 「일본제의 이차전지(122)의 전지증권」, 「2차 이용되고 있는 이차전지(122)의 전지증권」, 「종합 랭크가 4 이상인 사용자만을 대상으로 한 이차전지(122)의 전지증권」, 「동북 지방(소정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차전지(122)의 전지증권」 등이 생각된다. 테마에 맞추어 전지증권을 패키지화함으로써, 투자가의 투자 판단을 지원하기 용이해진다. 예를 들면,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을 중시하는 투자가라면 「2차 이용되고 있는 이차전지(122)의 전지증권」에 적극적으로 투자함으로써, 투자 활동을 통하여 이차전지(122)의 2차 이용을 응원할 수 있다.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는 전지증권의 등급을 매기는 등급 처리부(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해도 된다. 등급 처리부는 사용자의 종합 랭크, 내용 충방전 사이클수 등의 이차전지(122)의 성능을 나타내는 수치를 변수로 하는 임의의 다변량 함수에 의해, 전지증권의 등급을 산출해도 된다. 투자 정보(260)에 등급을 포함함으로써, 투자 판단을 지원해도 된다.
사용자는 이차전지(122)에 대하여 열화 임계값을 설정해도 된다. 이차전지(122)의 열화도가 열화 임계값에 도달했을 때,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는 이차전지(122)를 자동적으로 회수한다고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 A가 사용하는 이차전지의 열화도가 열화 임계값(예:20(%))를 넘었다고 한다. 이 때,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의 교환 처리부(도시하지 않음)는, 사용자 A에 이차전지의 교환을 통지하고 또한, 물류 회사(114)에 대하여 이차전지(122)를 사용자 A로부터 회수하도록 지시한다. 이와 같은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이차전지(122)가 미리 결정한 열화 임계값에 도달했을 때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가 이차전지(122)를 자동적으로 회수해 주므로, 요구하는 성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 이차전지(122)를 계속해서 사용하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교환 처리부는 사용자 A에게 새로운 이차전지(122)를 배달하도록 물류 회사(114)에 지시해도 된다.
도 19는, 변형예에서의 사용료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료는 「G(엔)×충전 횟수」인 것으로 하여 설명했다. 변형예로서, 1개월당의 충전 횟수가 L회(예: 10회)까지는 W(엔)으로서 고정 요금(기본 사용료)로 하고, 충전 횟수가 L+1회(예: 11회)부터는 1회의 충전당 GQ(엔)만큼 사용료가 가산된다고 해도 된다. 바꿔 말하면, 1개월당의 충전 횟수가 L회 이내라는 사용 조건이 성립하고 있을 때는 고정 요금만이 청구된다.
여기에서, W/L>GQ라고 한다. 이 경우에는, L회째의 충전까지는, 1회의 충전당 「W/L(엔)」의 사용료로 되지만, L+1회째의 충전부터는 1회당의 사용료는 저렴해진다. 이차전지(122)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유리한 요금 설정이 된다. 또한, 이차전지(122)를 별로 사용하지 않는 소극적인 사용자라도, W(엔)의 기본 사용료는 반드시 발생하므로, 관리 회사(102) 및 투자가는 수입을 확보하기 용이해진다.
관리 회사(102)의 운영비를 기본료 부분의 W(엔)으로 하고, W(엔)을 초과한 추가의 사용료는 투자가에게 분배금으로서 지불된다고 해도 된다. 이와 같은 요금 설정에 의하면, 관리 회사(102)의 수입을 안정화시키고 또한 투자가에게 리스크를 부담시킬 수 있다. 한편, 투자 리스크에 알맞도록 전지증권의 판매 가격을 내린다는 방법도 생각된다.
1개월당의 열화 진행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하일 때는, 요금 설정부(154)는 이 사용자의 사용료를 할인해도 된다. 예를 들면, 1개월당의 열화 진행도가 1(%)이내일 때는, 요금 설정부(154)는 본래의 사용료로부터 10(%)를 공제한다고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열화 진행도를 가미한 후에 사용료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차전지(122)를 소중하게 사용하도록 한층 유도하기 용이해진다.
도 20은, 변형예에서의 증권 블록 체인(280)의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차전지(122) 및 전지증권에 관한 정보를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에 의해 관리한다고 하여 설명했다. 변형예로서, 전지증권 등에 관한 정보를 블록 체인에 의해 분산 관리한다고 해도 된다.
여기서는, 전지증권을 관리하는 증권 블록 체인(280)을 상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블록(280a)은 전지증권(S01:1)에 관한 블록이다. 블록(280a)에 의하면, 전지증권(S01:1)은 이차전지(122(B01))에 대응되어 있고, 투자가(I01)에 의해 구입되어 있다. 이차전지(122(B01))는 사용자(P01)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P01)가 이차전지(122(B01))를 반각하고, 사용자(P02)가 이차전지(122(B01))를 빌렸다고 한다. 이 때, 사용자(P02)는 사용자 단말기(108)에 있어서 블록(280b)을 생성한다. 블록(280b)에 있어서는, 전지증권(S01:1)의 소유자는 사용자(P02)로 변경되어 있다.
블록(280b)이 일반적인 블록 체인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인증되면, 블록(280a)에 블록(280b)이 접속된다. 블록(280b)이 증권 블록 체인(280)에 접속된 후에는, 징수부(148)는 사용자(P01)가 아니라 사용자(P02)로부터 사용료를 징수한다. 그리고, 사용자(P02)가 아니라, 이차전지 관리 서버(100)의 증권 관리부(142)가 블록(280b)을 생성한다고 해도 된다.
다음으로, 투자가(I01)가 전지증권(S01:1)을 매각하고, 이것을 투자가(I02)가 구입했다고 한다. 이 때, 투자가(I02)는 투자 단말기(110)에 있어서 블록(280c)을 생성한다. 블록(280c)에 있어서는, 전지증권(S01:1)의 보유자는 투자가(I02)로 변경되어 있다.
블록(280c)은 인증 후에 블록(280b)에 접속된다. 블록(280c)이 증권 블록 체인(280)에 접속된 후에는, 분배부(150)는 투자가(I02)에게 분배금을 보낸다.
증권 블록 체인(280)을 참조함으로써, 투자가는 전지증권에 관한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전지증권에 한정되지 않고, 이차전지(122)에 관한 정보를 블록 체인에 의해 관리해도 된다.

Claims (14)

  1. 이차전지와 하나 이상의 증권을 대응시키는 증권 관리부;
    증권과, 상기 증권을 구입한 투자가를 대응시키는 투자가 관리부;
    이차전지와 상기 이차전지의 대여처가 되는 사용자를 대응시키는 사용자 관리부;
    이차전지의 대여처가 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차전지의 사용료를 징수하는 징수부;
    이차전지의 증권을 구입한 투자가에 대하여, 상기 증권에 기초하는 분배금의 송금을 지시하는 분배부; 및
    투자 정보를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증권 관리부는, 증권과 투자 정보를 대응시켜 관리하고, 이차전지의 설치 위치가 제1 설치 위치에서 제2 설치 위치로 변경되었을 때는, 상기 이차전지에 대응되는 증권의 투자 정보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의 설치 위치를 상기 제1 설치 위치에서 상기 제2 설치 위치로 등록 변경하고,
    상기 송신부는, 등록 변경 후의 투자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기에 송신하는,
    이차전지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권 관리부는, 이차전지의 제조에 필요로 하는 탄소 배출량을 상쇄 가능한 탄소배출권(Carbon Credit)의 가격에 기초하여, 상기 이차전지의 증권의 판매 가격을 설정하는, 이차전지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징수부는, 이차전지의 대여처가 제1 사용자에서 제2 사용자로 변경되었을 때, 상기 이차전지의 사용료의 징수처를 상기 제1 사용자에서 상기 제2 사용자로 변경하는, 이차전지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는, 이차전지의 증권을 보유하는 제1 투자가가, 상기 증권을 제2 투자가에게 양도했을 때, 상기 이차전지의 분배금의 송금처를 상기 제1 투자가에서 상기 제2 투자가로 변경하는, 이차전지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징수부는, 이차전지의 설치 위치가 제1 설치 위치에서 제2 설치 위치로 변경될 때는, 상기 이차전지의 사용료를 변경하는, 이차전지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대여 기간 중에 있어서, 이차전지의 성능 정보를 취득하는 성능 정보 취득부; 및
    상기 취득된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차전지의 열화도를 측정하는 열화 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또한, 이차전지의 열화도를 투자 정보에 포함하여 송신하는, 이차전지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리부는, 상기 취득된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한 이차전지의 사용 능력을 나타내는 랭크를 설정하고,
    상기 증권 관리부는, 또한, 이차전지의 사용자에 관한 랭크를 투자 정보의 일부로서 관리하고,
    상기 송신부는, 또한, 랭크를 포함하는 투자 정보를 송신하는, 이차전지 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이차전지의 사용료를 관리하는 요금 설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요금 설정부는, 사용자의 랭크에 따라 이차전지의 사용료를 설정하는, 이차전지 관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권 관리부는, 또한, 이차전지의 사용자의 속성을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투자 정보로서 관리하고,
    상기 송신부는, 또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투자 정보를 송신하는, 이차전지 관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징수부는, 이차전지의 충전 횟수에 따라 사용료를 취득하는, 이차전지 관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징수부는, 소정의 사용 조건이 성립하고 있을 때는 소정의 단위 기간에 있어서 이차전지의 사용료로서 고정된 제1 요금을 취득하고, 상기 사용 조건이 성립하지 않을 때는 추가의 제2 요금을 취득하는, 이차전지 관리 장치.
  12. 이차전지와 하나 이상의 증권을 대응시키는 증권 관리부;
    증권과, 상기 증권을 구입한 투자가를 대응시키는 투자가 관리부;
    이차전지와 상기 이차전지의 대여처가 되는 사용자를 대응시키는 사용자 관리부;
    이차전지의 대여처가 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차전지의 사용료를 징수하는 징수부; 및
    이차전지의 증권을 구입한 투자가에 대하여, 상기 증권에 기초하는 분배금의 송금을 지시하는 분배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배부는, 이차전지의 증권을 보유하는 제1 투자가가, 상기 증권을 제2 투자가에게 양도했을 때, 상기 이차전지의 분배금의 송금처를 상기 제1 투자가에서 상기 제2 투자가로 변경하는,
    이차전지 관리 장치.
  13. 이차전지와 하나 이상의 증권을 대응시키는 증권 관리부;
    증권과, 상기 증권을 구입한 투자가를 대응시키는 투자가 관리부;
    이차전지와 상기 이차전지의 대여처가 되는 사용자를 대응시키는 사용자 관리부;
    이차전지의 대여처가 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차전지의 사용료를 징수하는 징수부; 및
    이차전지의 증권을 구입한 투자가에 대하여, 상기 증권에 기초하는 분배금의 송금을 지시하는 분배부;를 구비하고,
    상기 징수부는, 이차전지의 대여처가 제1 사용자에서 제2 사용자로 변경되었을 때, 상기 이차전지의 사용료의 징수처를 상기 제1 사용자에서 상기 제2 사용자로 변경하는,
    이차전지 관리 장치.
  14. 이차전지의 대여처가 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차전지의 사용료를 징수하는 징수부; 및
    상기 이차전지에 대응되는 증권을 구입한 투자가에 대하여, 상기 증권에 기초하는 분배금을 송금하는 분배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배부는, 이차전지의 증권을 보유하는 제1 투자가가, 상기 증권을 제2 투자가에게 양도했을 때, 상기 이차전지의 분배금의 송금처를 상기 제1 투자가에서 상기 제2 투자가로 변경하는,
    이차전지 관리 장치.
KR1020227044503A 2021-06-18 2022-06-08 이차전지 관리 장치 KR202300049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01757 2021-06-18
JPJP-P-2021-101757 2021-06-18
PCT/JP2022/023123 WO2022264898A1 (ja) 2021-06-18 2022-06-08 二次電池管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936A true KR20230004936A (ko) 2023-01-06

Family

ID=8452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4503A KR20230004936A (ko) 2021-06-18 2022-06-08 이차전지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131123A4 (ko)
JP (2) JP7361323B2 (ko)
KR (1) KR20230004936A (ko)
CN (1) CN116075844A (ko)
TW (1) TW202307772A (ko)
WO (1) WO202226489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1824A1 (ja) 2017-12-27 2019-07-04 Future Science Research株式会社 二次電池管理装置および二次電池管理プログラム
JP2020126305A (ja) 2019-02-01 2020-08-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6687A (ja) 2004-06-07 2005-12-15 Maiku Watanabe 小口化マンション投資の販売手法
JP2020190762A (ja) 2017-08-07 2020-11-26 功 比嘉 担保付暗号通貨運用システムおよび担保付暗号通貨運用システムに基づいて暗号化通貨を発行する方法
SG11202005957PA (en) * 2017-12-27 2020-07-29 Future Science Res Inc Secondary battery management device,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anagement program
JP2020009121A (ja) * 2018-07-06 2020-01-16 浩明 仁科 バッテリー蓄電情報対応仮想通貨発行システム
JP2020149679A (ja) 2019-03-11 2020-09-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貸出システム、車両、サーバおよび電池貸出方法
JP7246503B2 (ja) 2019-09-30 2023-03-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交換バッテリ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21086191A (ja) 2019-11-25 2021-06-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貸出システム、貸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1824A1 (ja) 2017-12-27 2019-07-04 Future Science Research株式会社 二次電池管理装置および二次電池管理プログラム
JP2020126305A (ja) 2019-02-01 2020-08-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1123A1 (en) 2023-02-08
JP7361323B2 (ja) 2023-10-16
EP4131123A4 (en) 2024-02-28
CN116075844A (zh) 2023-05-05
JP2023134643A (ja) 2023-09-27
WO2022264898A1 (ja) 2022-12-22
JPWO2022264898A1 (ko) 2022-12-22
TW202307772A (zh)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9214B1 (en) Method for tracking transferrable digital objects within decentralized consensus system
Oprea et al. Two novel blockchain-based market settlement mechanisms embedded into smart contracts for securely trading renewable energy
Bushnell et al. Improving private incentives for electric grid investment
JP7271207B2 (ja) 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9094828A1 (en) Digital crypto asset generation
JP7042637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仮想通貨取引システム
US202202226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life cycle of a tokenized real asset in a blockchain-based ecosystem
Gan et al. Decentralized platforms: Governance, tokenomics, and ICO design
Risanger et al. Congestion risk, transmission rights, and investment equilibria in electricity markets
Agur et al. Bank Competition and Household Privacy in a Digital Payment Monopoly
KR20230004936A (ko) 이차전지 관리 장치
US20220414780A1 (en) Secondary battery management device
KR20200048547A (ko) 블록체인 기반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Krishnaswamy et al. Closing the electricity supply-demand gap
KR20110123186A (ko) 부동산 투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Baisa et al. Discriminatory price auctions with resale and optimal quantity caps
Meher et al. Power sector reform and pricing of electricity: the Odisha experience
EP1364325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ding electrical transmission rights
KR20200048550A (ko) 블록체인 기반 거래 규칙 적용을 위한 프로그램
KR20200048548A (ko) 블록체인 기반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00048552A (ko) 금 교환을 위한 거래 규칙 적용 방법, 그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Oren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of the ISO: objectives, options and tradeoffs
Benedetti et al. A Closer Look Into Decentralized Finance
Vaishya et al. Designing option FTRs for the lossy FTR system
WO202204503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