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4847A - 잠금 해제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잠금 해제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4847A
KR20230004847A KR1020227042047A KR20227042047A KR20230004847A KR 20230004847 A KR20230004847 A KR 20230004847A KR 1020227042047 A KR1020227042047 A KR 1020227042047A KR 20227042047 A KR20227042047 A KR 20227042047A KR 20230004847 A KR20230004847 A KR 20230004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unlocking
locking mechanism
aid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르트 하버만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04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플러그 커넥터를 연결 해제하는 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한 잠금 해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기계 구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연결부를 가지며, 잠금 해제 보조 장치는 플러그 커넥터 외부로부터 플러그 커넥터의 잠금 기계 구조와 맞물리며, 잠금 기계 구조의 잠금 해제를 위해 연결 요소를 이용하여 파지 영역을 실질적으로 케이블 연결부의 뒤로 안내한다.

Description

잠금 해제 보조 장치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제1항의 카테고리에 따른 잠금 해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 캐비닛 패널, 서버 패널, 스위치 또는 이와 유사한 요소와 같이 밀집된 연결 영역에서 플러그 연결부의 잠금 상태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해제하기 위해 상기 유형의 잠금 해제 보조 장치가 필요하다.
선행 기술에서는 일반적으로 "패치 케이블" 또는 "LAN 케이블"과 같은 데이터 케이블의 플러그 커넥터로서 공지된 "RJ-45" 유형의 데이터 플러그 커넥터용 잠금 해제 보조 장치가 존재한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는 서버, 서버 팜 및 유사한 응용 분야와 같이 밀집된 영역에서도 필요하다. 특히 서버, 스위치 및 허브의 경우, 때로는 관리 불가능한 수의 플러그 커넥터들 사이의 개별 플러그 커넥터에 도달하여 상대 플러그 요소로부터 이들을 분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많은 수의 부품으로 인해 플러그 커넥터의 잠금 기계 구조(locking mechanism)에 직접 도달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플러그 연결을 분리하는 것이 매우 복잡하다.
선행 기술의 단점은, 모든 잠금 해제 보조 장치가 "RJ-45" 유형의 플러그 커넥터에서의 통합 솔루션으로만 사용된다는 것이다.
특히 산업 분야에서는 앞서 언급한 "RJ-45" 플러그 커넥터 이외의 플러그 커넥터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자주 사용된다. "M12" 및/또는 "M8" 유형의 원형 커넥터가 매우 일반적이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를 위해서도 주로, 앞서 언급한 플러그 커넥터와 함께 다수의 연결될 케이블을 제공하는 어레이 및/또는 장치 연결 패널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어레이의 가용 공간을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연결 영역이 점점 더 작게 구현되고 있다. 조립 속도를 높이고 조립을 간소화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에 이른바 "푸시-풀 기계 구조(push-pull mechanism)"를 갖춘 잠금 기계 구조가 점점 더 많이 장착되고 있다. 그러나 유지 보수 및/또는 수리 목적으로 설치자 및 유지 보수 담당자가 해당 어레이에서 개별 플러그 커넥터를 분리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는데, 이는 특히 기본적으로 완전히 밀집된 어레이 및/또는 장치 연결 패널의 경우 잠금 기계 구조에 도달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독일 특허청은 본 출원과 관련된 우선권 출원에서 하기의 선행 기술을 조사하였다: JP 2009- 42767 A, US 2014/0068912 A1, WO 2009/111527 A1, US 9,891,392 B2 및 JP 2004-20880 A.
본 발명의 과제는,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플러그 연결이 분리될 수 있게 하는, 플러그 커넥터용, 특히 원형 플러그 커넥터용 잠금 해제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특히 푸시-풀 기계 구조를 위한 잠금 해제 보조 장치를 가진 플러그 커넥터, 특히 원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들의 대상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하기의 설명부에 명시되어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상대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플러그 커넥터를 연결 해제하는 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한 잠금 해제 보조 장치의 실시예가 제안되며, 여기서는 플러그 커넥터가 특히 "푸시-풀 기계 구조"로서 구현된 적어도 하나의 잠금 기계 구조,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연결부를 갖는다. 잠금 해제 보조 장치는 플러그 커넥터 외부로부터 플러그 커넥터의 잠금 기계 구조와 맞물리며, 잠금 기계 구조의 잠금 해제를 위해 연결 요소를 이용하여 파지 영역이 실질적으로 케이블 연결부의 뒤로 안내된다. 잠금 해제 보조 장치는 특히 원형 플러그 커넥터용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M12 원형 플러그 커넥터" 유형의 원형 플러그 커넥터가 원형 플러그 커넥터로 이해될 수 있다. 잠금 해제 보조 장치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 특히 원형 플러그 커넥터의 잠금 기계 구조를 도구 없이 열 수 있다. 따라서, 잠금 해제 보조 장치 이외의 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달리 표현하면, 잠금 해제 보조 장치가 플러그 커넥터에 부착되면 플러그 커넥터의 일부가 된다. 그러나 다른 플러그 커넥터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잠금 해제 보조 장치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커넥터 외부로부터"라는 표현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잠금 해제 보조 장치의 장착이 실질적으로 플러그 커넥터, 특히 원형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 외부로부터 수행됨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처음부터 잠금 해제 보조 장치가 부착되도록 의도되지 않은 플러그 커넥터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잠금 해제 보조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해제 보조 장치는 이상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플러그 커넥터, 특히 원형 플러그 커넥터를 개조하는 데 적합하다. "연결 요소"로서 먼저 잠금 해제 보조 장치에 일체로 성형된 리브(rib)가 제안되고, 이 리브는 잠금 장치에 작용하는 잠금 해제 보조 장치의 단부와 파지 영역 사이의 연결을 형성한다. 이 경우, 서로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그리고/또는 잠금 해제 보조 장치에 재료 결합 방식으로 일체로 성형된 연결 요소와 파지 영역을 갖는 잠금 해제 보조 장치를 특히 간단하게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용하다. 대안적으로, 잠금 해제 보조 장치를 다른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해제 보조 장치는 강성 재료로 제조되고 연결 요소 및/또는 파지 영역은 연성 재료로 제조되거나, 그 반대로 제조된다. 실질적으로 케이블 연결부의 높이에, 이상적으로는 케이블 연결부 뒤에 위치하는, 즉, 플러그 커넥터의 설치 공간을 넘어 플러그인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유도되는 잠금 해제 보조 장치의 영역이 실질적으로 "파지 영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플러그인 방향"은,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 요소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기본적으로 케이블 연결부로부터 플러그 커넥터의 잠금 기계 구조 방향으로 정렬된 벡터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파지 영역에 파지 보조 장치가 제공된다. 파지 보조 장치는 예를 들어 프로파일링된 표면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특히 플러그인 방향에 반대로 힘을 가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잠금 기계 구조의 잠금 해제를 더 간편하게 하는, 일체로 성형되거나 오목한 기하학적 형상을 갖도록 구현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파지 보조 장치는 예를 들어 사람 손가락의 일부 또는 후크의 통과를 적어도 실질적으로 가능케 하는 관통 개구로서 구현된다.
한 유용한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 상의 잠금 해제 보조 장치가 푸시-풀 기계 구조로서 구현된 잠금 기계 구조와 맞물린다. 푸시-풀 기계 구조라고 지칭되는 잠금 기계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해제 보조 장치가 장착되기에 특히 적합하다. 왜냐하면,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관련 케이블 연결부의 방향으로 실행되는 간단한 당김 동작에 의해 잠금 해제 보조 장치가 잠금 기계 구조를 사용 목적에 따라 잠금 해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잠금 해제 보조 장치는 고정 장치를 가지며, 이 고정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러그 커넥터의 잠금 기계 구조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고정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후크가 제공되지만, 실질적으로 주연 방향으로 후크 형태로 성형되고 잠금 해제 보조 장치에 배치된 링도 고려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잠금 해제 보조 장치는 실질적으로 부싱 유형으로 구현되며, 이 경우 잠금 해제 보조 장치는 잠금 기계 구조와 연결된다. "부싱 유형으로"라는 용어는 특히, 이러한 유형의 잠금 해제 보조 장치가 실질적으로, 플러그 커넥터, 특히 잠금 기계 구조 위로 슬라이딩되거나 가압될 수 있는 중공 실린더의 형상을 가짐을 의미한다. 이 경우, 잠금 해제 보조 장치의 고정 장치는 적어도 부분원 형태로 잠금 기계 구조 둘레에 파지된다. 이상적으로는, 잠금 해제 보조 장치가 플러그 커넥터의 잠금 기계 구조 위로 안내되고, 여기서 잠금 기계 구조와 강제 결합 방식으로 그리고/또는 형상 결합 방식으로 맞물린다. 이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는,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의 잠금 요소의 외부 영역에 있는 홈 또는 오목부에 맞물리는 단순한 후크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연 방향으로 형성된 칼라로서 잠금 해제 보조 장치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예를 들어 U자형 또는 C자형 클립과 같은 고정 요소를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잠금 해제 보조 장치가 플러그 커넥터와 또는 플러그 커넥터의 잠금 요소와 지속적으로, 그러나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추가로 개발된 한 실시예에서는, 잠금 해제 보조 장치가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잠금 기계 구조 위로 안내되며, 잠금 해제 보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실질적으로 중공 원통형으로 성형된 잠금 해제 보조 장치의 경우, 잠금 기계 구조와 간단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 관통 개구는 플러그인 방향으로 정렬되어 플러그 커넥터가 상대 플러그 커넥터에 문제없이 플러그인되도록 한다. 달리 말하면, 잠금 해제 보조 장치는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플러그 커넥터 상으로 슬라이딩되며, 이때 관통 개구는 플러그 커넥터와 상대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인 가능성을 허용한다. 특히 푸시-풀 기계 구조로서 구현된 잠금 기계 구조는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간단한 당김 동작에 의해 잠금 해제될 수 있다.
한 유용한 실시예에서는, 고정 장치가 플러그 커넥터와 상대 플러그 커넥터 사이의 영역에서 잠금 기계 구조에 맞물린다. 이를 위해, 어떤 버전의 잠금 해제 보조 장치는 안전 클립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잠금 요소의 외부 영역 상에 씌워지는 고정 장치를 갖도록 구현된다. 한 대안적인 버전에서는 고정 장치가 플러그 커넥터의 유지 장치에 맞물리며, 이 유지 장치는 잠금 기계 구조상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요소, 잠금 기계 구조 및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연결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기반하며, 상기 잠금 기계 구조에는 유지 장치가 제공되고, 이 유지 장치는 잠금 해제 보조 장치의 고정 장치와 맞물린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지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핀으로 형성된다. 잠금 해제 보조 장치의 고정 장치는 블라인드 홀 또는 관통 개구로서 형성되고 핀과 연결될 수 있다.
한 유용한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는 실질적으로 원형 플러그 커넥터로서 성형되고, 잠금 기계 구조는 푸시-풀 잠금 기계 구조로서 구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행 기술에 비해 최소한으로 변경된 설치 공간을 사용해서, 상대 플러그 커넥터, 특히 플러그 어레이에 푸시-풀 잠금 기계 구조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플러그 연결부의 개선된 잠금 해제가 가능한 점이 간단하게 보장된다.
나아가 매우 독창적으로, 전기 플러그 커넥터의 한 실시예에서는 잠금 해제 보조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잠금 기계 구조에 고정된다.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잠금 해제 보조 장치에 의해, 특히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이 간소화될 수 있다. 왜냐하면, 케이블을 플러그 커넥터에 고정하기 위해 잠금 해제 보조 장치가 먼저 조립 영역 밖으로 선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대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연결 해제하기 위해, 실제 잠금 기계 구조 자체와 달리, 잠금 기계 구조에 고정된 잠금 해제 보조 장치에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매우 복잡하고 조밀하게 배열된 어레이에서도 잠금 해제 보조 장치에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는데, 이는 다수의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실시예의 매우 특별한 장점은, 잠금 해제 보조 장치가 플러그인 방향과 정확히 반대 방향으로 평행하게 작동되지 않아도 잠금 기계 구조의 잠금 해제가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잠금 해제 보조 장치가 꺾인 형상의 플러그 커넥터에 간단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는 한편, 잠금 해제는 요구되지 않거나 불필요하다. 이를 통해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동시에, 배치된 잠금 해제 보조 장치에 의해 언제든지 간단한 잠금 해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고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해제 보조 장치의 사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꺾인 형상의 케이블 콘센트를 구비한 원형 플러그 커넥터 상의 잠금 해제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잠금 해제 보조 장치가 부착된 원형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꺾인 형상의 케이블 콘센트 및 잠금 해제 보조 장치를 구비한 원형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면들은 부분적으로 단순화된 개략적 도해들을 포함하고 있다. 어떤 경우에는 유사한, 그러나 경우에 따라 동일하지는 않은 요소들에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된다. 동일한 요소를 상이한 관찰 방향에서 도시한 도해는 상이하게 스케일링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 해제 보조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잠금 해제 보조 장치(1)가 원형 플러그 커넥터로 구현된 플러그 커넥터(2)용으로 성형되었다. 잠금 해제 보조 장치(1)는 실질적으로 부싱 유형으로 구현되어 있고 종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즉, 부싱 유형의 잠금 해제 보조 장치(1)는 플러그 커넥터 상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중공 원통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잠금 해제 보조 장치(1)는 이 경우 내부 링으로 구현된 고정 장치(7)를 갖는다. 연결 요소(8)는 잠금 해제 보조 장치(1)의 고정 장치(7)를 파지 영역(9)에 연결한다. 도시된 잠금 해제 보조 장치(1)의 실시예는, 링으로서 일체로 성형된 고정 장치(7) 및 파지 영역(9)으로 이어지는 쉘 형태의 연결 요소(8)를 갖는 관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파지 영역(9)은 취급이 용이하도록 파지 보조 장치(10)의 역할을 하는, 기본적으로 둥근 관통 개구를 갖도록 구현된다. 고정 장치(7)는 잠금 해제 보조 장치(1) 상에 덮개로서 구현되며, 이 덮개에 관통 개구(11)가 제공된다.
도 2에는 꺾인 형상의 케이블 연결부(5)를 가진 플러그 커넥터(1)에서의 잠금 해제 보조 장치(1)의 가능한 사용이 도시되어 있다. 잠금 해제 보조 장치(1)가 부싱으로서 구현됨으로써, 잠금 해제 보조 장치(1)는 플러그 커넥터(2)의 잠금 기계 구조(3) 위로 직접 안내될 수 있다. 잠금 해제 보조 장치(1)의 고정 장치(7)는 플러그인 방향(S)의 반대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가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의 잠금 기계 구조(3)가 잠금 해제될 수 있게 한다. 연결 요소(8)가 실질적으로 하프 튜브(half tube)로 성형되었기 때문에, 잠금 해제 보조 장치(1)는 또한 꺾인 형상의 케이블 연결부(5)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2)에 간단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유지 장치(6)를 가진 잠금 기계 구조(3)가 장착된 플러그 커넥터(2)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는 원형 플러그 커넥터로 구현된 플러그 커넥터(2)에 직선 케이블 연결부(5)가 제공되어 있다. 도 4에서는, 기본적으로 유사하게 구현된 플러그 커넥터(2)에 꺾인 형상의 케이블 연결부(5)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잠금 해제 보조 장치(1)는 플러그 커넥터(2)의 유지 장치(6)에 고정되어 있다. 유지 장치(6)가 핀으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장치(7)를 블라인드 홀로서 또는 도시된 경우와 같이 관통 개구로서 형성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관통 개구로서 구현된 잠금 해제 보조 장치(1)의 고정 장치(7)는, 플러그 커넥터(2)를 통과하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잠금 해제 보조 장치(1)가 선회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우선 플러그 커넥터(2)의 조립이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한데, 그 이유는 잠금 해제 보조 장치(1)가 문제없이 조립 영역 밖으로 선회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특히, 도 4에 도시된 꺾인 형상의 케이블 연결부(5)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2)에 잠금 해제 보조 장치(1)가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잠금 해제 보조 장치(1)는, 파지 보조 장치(10)가 케이블 연결부(5) 가까이에 위치하는 공간 절약 위치로 선회될 수 있다. 예시된 잠금 해제 요소(1)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버팀대(strut)로서 구현된 2개의 연결 요소(8)를 갖는다. 연결 요소(8)는 케이블 연결부(5)의 영역에서만 연결되거나 그 뒤로 파지 영역(9)에 의해 연결된다. 파지 영역(9)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각각, 플러그인 방향(S)의 반대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간단하게 가해질 수 있게 하는 파지 보조 장치(10)를 갖는다.
도면들에 본 발명의 상이한 양태들 또는 특징들이 각각 조합되어 도시되어 있더라도,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도시되고 논의된 조합이 유일하게 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다. 특히, 상이한 실시예들의 상호 대응하는 유닛들 또는 특징 복합체들은 서로 교환될 수 있다.
1 잠금 해제 보조 장치
2 플러그 커넥터
3 잠금 기계 구조
4 하우징 요소
5 케이블 연결부
6 유지 장치
7 고정 장치
8 연결 요소
9 파지 영역
10 파지 보조 장치
11 관통 개구
S 플러그인 방향

Claims (10)

  1. 상대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플러그 커넥터(2)를 연결 해제하는 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한 잠금 해제 보조 장치(1)이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2)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 기계 구조(3),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요소(4) 및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연결부(5)를 가진, 잠금 해제 보조 장치에 있어서,
    잠금 해제 보조 장치(1)는 플러그 커넥터(2) 외부로부터 플러그 커넥터(2)의 잠금 기계 구조(3)와 맞물리며, 잠금 기계 구조(3)의 잠금 해제를 위해 연결 요소(8)를 이용하여 파지 영역(9)을 실질적으로 케이블 연결부(5)의 뒤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 보조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2) 상의 잠금 해제 보조 장치(1)가 푸시-풀 기계 구조로서 구현된 잠금 기계 구조(3)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 보조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잠금 해제 보조 장치(1)는 고정 장치(7)를 가지며, 이 고정 장치(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금 기계 구조(3)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 보조 장치(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해제 보조 장치(1)는 실질적으로, 잠금 기계 구조(3)에 연결된 부싱으로서 구현되며, 고정 장치(7)는 적어도 부분원 형태로 잠금 기계 구조(3) 둘레에 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 보조 장치(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 해제 보조 장치(1)는 플러그인 방향(S)의 반대 방향으로 잠금 기계 구조(3) 위로 안내되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1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 보조 장치(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장치(7)가 플러그 커넥터(2)와 상대 플러그 커넥터 사이의 영역에서 잠금 기계 구조(3)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 보조 장치(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장치(7)가 플러그 커넥터(2)의 유지 장치(6)에 맞물리며, 이 유지 장치(6)는 잠금 기계 구조(3)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 해제 보조 장치(1).
  8. 잠금 기계 구조(3), 하우징 요소(4) 및 케이블 연결부(5)를 가진 전기 플러그 커넥터(2)에 있어서,
    잠금 기계 구조(3)에 유지 장치(6)가 제공되고, 이 유지 장치(6)는 잠금 해제 보조 장치(1)의 고정 장치(7)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2).
  9. 제8항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2)는 실질적으로 원형 플러그 커넥터로서 성형되고, 잠금 기계 구조(3)는 푸시-풀 잠금 기계 구조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2).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잠금 해제 보조 장치(1)가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잠금 기계 구조(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2).
KR1020227042047A 2020-05-04 2021-04-28 잠금 해제 보조 장치 KR202300048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11907.0A DE102020111907A1 (de) 2020-05-04 2020-05-04 Entriegelungshilfe
DE102020111907.0 2020-05-04
PCT/DE2021/100385 WO2021223801A1 (de) 2020-05-04 2021-04-28 Entriegelungshilf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847A true KR20230004847A (ko) 2023-01-06

Family

ID=75953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047A KR20230004847A (ko) 2020-05-04 2021-04-28 잠금 해제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45763A1 (ko)
EP (1) EP4147308A1 (ko)
KR (1) KR20230004847A (ko)
CN (1) CN115461939A (ko)
DE (1) DE102020111907A1 (ko)
WO (1) WO2021223801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2014B2 (ja) * 1999-06-29 2003-01-07 エヌイーシートーキン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のロック、アンロック構造及びロック、アンロック方法
JP2004020880A (ja) 2002-06-14 2004-01-22 Fujikura Ltd 抜去用部材付き光コネクタ
US8855458B2 (en) 2008-03-06 2014-10-07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removal clips
US20140068912A1 (en) 2012-09-12 2014-03-13 Andrew Wireless Systems Gmbh Disconnect Tool
JP6118882B1 (ja) 2015-11-16 2017-04-19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JP6649328B2 (ja) 2017-09-01 2020-02-19 東芝機械株式会社 レーザ加工装置、及び、レーザ加工方法
US10396493B2 (en) * 2017-09-06 2019-08-27 Hirel Connectors,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pull rele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47308A1 (de) 2023-03-15
CN115461939A (zh) 2022-12-09
WO2021223801A1 (de) 2021-11-11
DE102020111907A1 (de) 2021-11-04
US20230145763A1 (en)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2537B2 (en) Modular plug connectors
US786236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 clip
US6880859B2 (en) Conduit coupling assembly
US7682177B2 (en) Connector with an anti-unlocking system
JP6595243B2 (ja) エンクロージャアセンブリ
JP4925372B2 (ja) 光コネクタアダプタ
US20150167880A1 (en) Coupling and clip for coupling
US9121439B2 (en) Multi-piece shifter cable system
KR20200029054A (ko) 잠금형 커넥터 및 연결 조립체
US10422966B2 (en) Optical fiber connection system
RU2487287C2 (ru) Штекерное соединение для труб и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2536620B1 (ko) 볼잠금 연결체
JP2016149362A (ja) 予備組立された導管アダプタを備えたコネクタ
JP2019526919A (ja) エルボコネクタ
US20130011101A1 (en) Optical connector
JP2009297511A (ja) 自動固定コネクターシステム用雌型連結器
KR200481623Y1 (ko) 전기 커넥터
KR20230004847A (ko) 잠금 해제 보조 장치
US9829657B2 (en) Connector
EP0993075A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etallic jacket
US9575264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US9634442B2 (en) System of plug connectors fixed on mounting rails
US9287651B2 (en) Protective device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of an on-board device of a bicycle
US10330881B1 (en) Optical fiber furcation assemblies
KR101716872B1 (ko) 광 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