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872B1 - 광 커넥터 - Google Patents

광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872B1
KR101716872B1 KR1020150142477A KR20150142477A KR101716872B1 KR 101716872 B1 KR101716872 B1 KR 101716872B1 KR 1020150142477 A KR1020150142477 A KR 1020150142477A KR 20150142477 A KR20150142477 A KR 20150142477A KR 101716872 B1 KR101716872 B1 KR 101716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ball
plug
type connector
socket
ferr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훈
이민희
박상호
이상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콘
Priority to KR1020150142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6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 G02B6/383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comprising a keying element on the plug or adapter, e.g. to forbid wrong conn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1Ferrules having keying or cod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중심부에 광통신 페룰(130)이 고정되는 플러그 몸체(110)에 포함되어,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강구(140)를 구비하는 플러그형 커넥터(100)와, 결합시 상기 플러그 몸체(110)에 삽입되는 유전체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유전체부(220) 내에 위치하여 상기 페룰(130)과 접하는 페룰(230)과, 상기 강구(140)를 상기 중심축에 가깝게 밀어 상기 유전체부(220)에 마련된 강구삽입홈(223)에 삽입하여 로킹시키는 소켓형 커넥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커넥터{Optical connector}
본 발명은 광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결합 및 분리가 빠르고 용이한 광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지국, 이동 무선 네트워크 안테나, 선박, 산업용 케이블 및 광섬유의 가설과 같이 야외에서 사용되는 광 커넥터는 열악한 환경조건에서 방수 및 방진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광 커넥터의 소켓과 플러그를 상호 회전 결합에 의해 체결하는 구조의 것을 사용하였으나 현장에서 체결 또는 분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작업성의 개선이 요구되었다.
이를 고려하여 퀵 록킹(Quick locking 또는 Rapid locking)이 가능한 광 커넥터가 제안되었다. 미국특허 US8,814,441호(OPTICAL CONNECTOR, 2014년 8월 26일 등록)에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커넥터의 축방향으로 체결하였을 때 소켓형 커넥터와 플러그형 커넥터가 쉽게 체결되며 로킹되도록 함으로써, 빠른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소켓형 커넥터의 소켓 섹션 외측으로 숄더부와 걸림단을 형성하고, 플러그형 커넥터에는 상기 숄더부를 너머 걸림단에 걸려 로킹을 하는 너트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너트는 탄성체 링의 구조이며 체결시 숄더부를 따라 확장하다가 걸림단에서는 직경이 원복되면서 로킹이 되도록 한 구성이다.
또한 로킹을 해제하기 위해서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에는 잠금해제 슬리브를 두어 잠금해제 슬리브를 당기면 슬리브의 끝이 너트를 눌러 너트의 내경이 증가하면서 상기 걸림단을 넘을 수 있게 구성되어, 체결과 분리를 원터치로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광 커넥터는, 소켓형 커넥터와 플러그형 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잠금해제 슬리브는 그 플러그형 커넥터의 외측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와는 U자형으로 절곡된 구성이며, 그 형상이 복잡하고 제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잠금해제 슬리브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른 걸림턱 등을 만들어야하기 때문에 전체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며, 구조의 복잡성에 따른 내구성 저하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방수 및 방진 성능이 우수한 광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별도의 잠금 해제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두 커넥터를 커넥터의 축방향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하는 것으로 쉽게 로킹을 해제하여 분리할 수 있는 광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광 커넥터는, 중심부에 광통신 페룰(130)이 고정되는 플러그 몸체(110)에 포함되어,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강구(140)를 구비하는 플러그형 커넥터(100)와, 결합시 상기 플러그 몸체(110)에 삽입되는 유전체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유전체부(220) 내에 위치하여 상기 페룰(130)과 접하는 페룰(230)과, 상기 강구(140)를 상기 중심축에 가깝게 밀어 상기 유전체부(220)에 마련된 강구삽입홈(223)에 삽입하여 로킹시키는 소켓형 커넥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100)는, 상기 플러그 몸체(110)와, 상기 플러그 몸체(110) 내에 삽입되는 상기 페룰(130)과, 상기 페룰(130)에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131)과, 상기 페룰(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링(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몸체(110)는, 상기 소켓형 커넥터(200)의 유전체부(220)가 삽입되는 소경부(112)와, 상기 소경부(112)와의 사이에 상기 소켓형 커넥터(200)의 소켓 몸체(210)가 삽입되는 삽입홈부(113)가 위치하는 대경부(111)와, 상기 소경부(112)의 일부에 마련되어 상기 강구(140)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강구홈(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경부(112)의 내측 일부에는 상기 유전체부(220)에 마련된 키(221)가 삽입되는 키홈(121)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소켓 몸체(210)는 스프링(211)의 압축에 의해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100)와의 결합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원력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전체부(220)의 단부는 상기 소켓 몸체(210)의 단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100)와 소켓형 커넥터(200)가 체결될 때, 상기 소켓 몸체(210)의 단부는 상기 강구(140)에 접촉되어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후퇴하여 상기 스프링(211)을 압축시키고, 상기 강구(140)가 상기 유전체부(220)의 강구삽입홈(223)에 삽입될 때, 상기 소켓 몸체(210)는 상기 스프링(211)의 복원력에 의해 결합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강구(140)의 하부를 지지하여 로킹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 광 커넥터는, 간단한 구조를 사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광 커넥터는 별도의 로킹 해제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소켓형 플러그의 하우징을 이용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두 커넥터를 축방향을 따라 분리하는 조작만으로 쉽게 로킹을 해제하여 분리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의 일부 단면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의 체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 광 커넥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는, 대경부(111)와 소경부(112) 및 상기 대경부(111)와 소경부(112) 사이의 삽입홈을 포함하는 플러그 몸체부(110)와, 상기 플러그 몸체부(110)의 소경부(112) 내측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룰(130)과, 상기 소경부(112)의 일부에 마련된 강구홈(123)에 삽입된 강구(140)를 포함하는 플러그형 커넥터(100)와,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100)의 소경부에 삽입되어, 상기 페룰(130)이 삽입되어 내측에 고정된 펠룰(230)에 접하도록 하는 광연결구(222)를 구비하는 유전체부(220)와, 상기 유전체부(220)의 외면 일부에 마련되어 상기 강구(140)의 일부가 수용되는 강구삽입홈(223)과, 상기 유전체부(220)의 외면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시 상기 강구(140)의 하단을 밀어 올려 상기 강구(140)가 상기 강구삽입홈(223)에 삽입되어 로킹상태가 되도록 하는 소켓 몸체(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각각 페룰(130,230)이 내측에 실장되어 서로 결합되었을 때 페룰(130,230)이 접하는 플러그형 커넥터(100)와 소켓형 커넥터(200)를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100)와 소켓형 커넥터(200)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룰(130,230)을 같은 수로 구비하는 것으로, 광포트 수를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하여 연결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100)의 외형을 이루는 플러그 몸체(110)는 상기 소켓 몸체(210)의 끝단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단부가 대경부(111)와, 상기 대경부(111)와는 삽입홈부(113)를 사이에 두고 내측에 위치하는 소경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소경부(112)에는 강구(140)가 삽입되는 강구홈(123)이 위치하며, 그 강구홈(123)과는 다른 위치에 마련된 키홈(121)이 소경부(112)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키홈(121)은 소켓형 커넥터(200)가 결합될 때 소켓 몸체(210)에 마련된 강구삽입홈(223)이 상기 강구(140)의 위치에 맞게 정렬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유전체부(220)의 외면일부에 마련된 키(221)가 삽입된다.
이러한 체결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 광 커넥터의 결합 과정을 보인 일부 단면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100)와 소켓형 커넥터(200)의 단부를 마주한 상태에서 서로 결합을 하면 상기 소켓형 커넥터(200)의 유전체(220)가 플러그형 커넥터(100)의 플러그 몸체 소경부(112)에 삽입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키(221)와 키홈(121)에 의하여 강구(140)와 강구삽입홈(223)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유전체(220)가 삽입되면서 유전체부(220)의 외면에 접한 강구(140)는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100)의 중심 축에서 외측으로 밀려 이동하게 된다.이는 상기 유전체(220)의 단부가 상기 소켓 몸체(210)의 단부에 비하여 더 돌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100)와 소켓형 커넥터(200)가 더 결합되어 플러그형 커넥터(100)의 페룰(130)이 소켓형 커넥터(200)의 유전체부(220)의 광연결구(222)에 삽입되며, 페룰(130,230) 간 접촉은 이루어지지 않은 도 3의 상태에서는 상기 유전체부(220)에 의해 중심축에서 외측 방향으로 밀려 위치하는 강구(140)에 상기 소켓형 커넥터(200)의 소켓 몸체(210)의 끝단이 접촉되면서 소켓 몸체(210)가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는 소켓 몸체(210)가 스프링(211)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소켓 몸체(210)는 일부에 절곡된 부분이 있으며, 상기 유전체부(220)의 외면에도 돌출된 부분이 존재하여, 그 사이에 스프링(211)의 양단이 각각 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소켓 몸체(210)는 강구(140)에 접한 상태에서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상기 스프링(211)이 압축된다.
그 다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형 커넥터(100)와 소켓형 커넥터(200)가 완전히 결합되어 플러그형 커넥터(100)의 페룰이 소켓형 커넥터(200)의 페룰(230)에 접한 상태가 될 때, 상기 강구(140)는 유전체부(220)에 마련된 강구삽입홈(223)에 삽입된다.
이는 상기 강구(140)의 상부에서 유전체부(220)의 접촉 압력이 해제되고, 상기 압축된 스프링(211)의 복원력에 의해 강구(140)의 하부측은 소켓 몸체(210)의 끝단에 접촉되어 결합방향측으로의 힘이 계속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강구(140)는 중심축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강구삽입홈(223)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강구홈(123)의 상부측에는 상기 강구(1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2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소켓 몸체(210)의 선단부는 대경부(111)와 소경부(112) 사이의 삽입홈부(113)에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211)의 복원력이 완전히 해소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강구(140)는 강구삽입홈(223)에 상부 일부가 삽입되고, 하부 일부는 상기 강구홈(123)에 삽입된 상태가 되어,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100)와 소켓형 커넥터(200)를 로킹시킨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사용하면서도 용이하게 커넥터를 로킹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100)와 소켓형 커넥터(2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결합시와는 반대의 작용을 하게 되는데, 완전한 결합상태인 도 4에서 사용자가 플러그 몸체(110)와 소켓 몸체(210)를 각각 잡고 분리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소켓 몸체(210)가 먼저 이동하면서 스프링(211)을 압축시키고, 그 소켓 몸체(210)의 안쪽과 강구(140)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강구(140)가 강구삽입홈(223)으로부터 이탈된다.
그 다음, 강구(140)가 유전체부(220)에 접촉된 상태로 분리가 이루어지며, 결국 플러그형 커넥터(100)와 소켓형 커넥터(200)가 쉽게 분리된다.
분리과정을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플러그형 커넥터(100)와 소켓형 커넥터를 분리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으로 분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강구(140)는 플러그형 커넥터(100)와 소켓형 커넥터(200)가 결합될 때 및 분리될 때, 상기 유전체부(220)의 외면에 접한 상태에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은 강구(140)와 유전체부(220)의 마모를 최소화하여 수명의 단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합 또는 분리 동작이 보다 원활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플러그형 커넥터 110:플러그 몸체
111:대경부 112:소경부
113:삽입홈부 121:키홈
122:실링부 123:강구홈
130,230:페룰 131,231:스프링
132,232:고정링 140:강구
200:소켓형 커넥터 210:소켓 몸체
211:스프링 220:유전체부
221:키 222:광연결구
223:강구삽입홈

Claims (7)

  1. 중심부에 광통신 페룰(130)이 고정되는 플러그 몸체(110)에 포함되어, 상기 플러그 몸체(1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강구(140)를 구비하는 플러그형 커넥터(100)와,
    결합시 상기 플러그 몸체(110)에 삽입되는 유전체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유전체부(220) 내에 위치하여 상기 페룰(130)과 접하는 페룰(230)과, 상기 강구(140)를 상기 중심축에 가깝게 밀어 상기 유전체부(220)에 마련된 강구삽입홈(223)에 삽입하여 로킹시키는 소켓 몸체(210)를 구비하는 소켓형 커넥터(200)로 구성되며,
    상기 유전체부(220)의 단부는 상기 소켓 몸체(210)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소켓 몸체(210)의 단부는 상기 강구삽입홈(223)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100)는,
    상기 플러그 몸체(110)와, 상기 플러그 몸체(110) 내에 삽입되는 상기 페룰(130)과, 상기 페룰(130)에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131)과, 상기 페룰(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링(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몸체(110)는,
    상기 소켓형 커넥터(200)의 유전체부(220)가 삽입되는 소경부(112)와,
    상기 소경부(112)와의 사이에 상기 소켓형 커넥터(200)의 소켓 몸체(210)가 삽입되는 삽입홈부(113)가 위치하는 대경부(111)와,
    상기 소경부(112)의 일부에 마련되어 상기 강구(140)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강구홈(123)을 포함하는 광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부(112)의 내측 일부에는 상기 유전체부(220)에 마련된 키(221)가 삽입되는 키홈(1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몸체(210)는 스프링(211)의 압축에 의해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100)와의 결합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원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부(220)의 단부는 상기 소켓 몸체(210)의 단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100)와 소켓형 커넥터(200)가 체결될 때, 상기 소켓 몸체(210)의 단부는 상기 강구(140)에 접촉되어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후퇴하여 상기 스프링(211)을 압축시키고,
    상기 강구(140)가 상기 유전체부(220)의 강구삽입홈(223)에 삽입될 때, 상기 소켓 몸체(210)는 상기 스프링(211)의 복원력에 의해 결합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강구(140)의 하부를 지지하여 로킹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KR1020150142477A 2015-10-13 2015-10-13 광 커넥터 KR101716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477A KR101716872B1 (ko) 2015-10-13 2015-10-13 광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477A KR101716872B1 (ko) 2015-10-13 2015-10-13 광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872B1 true KR101716872B1 (ko) 2017-03-15

Family

ID=58402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477A KR101716872B1 (ko) 2015-10-13 2015-10-13 광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80516A (zh) * 2020-09-28 2021-01-05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多芯矩形光纤连接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37733A1 (en) * 2011-08-12 2013-02-14 Hsiu-Hsiung LIU Quick release connector
KR20140117260A (ko) * 2013-03-26 2014-10-07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분진의 진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셔터 기구를 갖는 광 커넥터
KR101460978B1 (ko) * 2013-06-21 2014-11-12 주식회사 텔콘 광전복합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37733A1 (en) * 2011-08-12 2013-02-14 Hsiu-Hsiung LIU Quick release connector
KR20140117260A (ko) * 2013-03-26 2014-10-07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분진의 진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셔터 기구를 갖는 광 커넥터
KR101460978B1 (ko) * 2013-06-21 2014-11-12 주식회사 텔콘 광전복합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80516A (zh) * 2020-09-28 2021-01-05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多芯矩形光纤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9583C (zh) 具有内闭锁机构的密封连接器
KR102126106B1 (ko) 잠금형 커넥터 및 연결 조립체
US7758370B1 (en) Quick release electrical connector
JP5846083B2 (ja) コネクタ
EP3637163B1 (en) Easy-to-insert waterproof optical fiber connector
US9448370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01546882B (zh) 一种同轴连接器快速锁紧、分离机构
US7632130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inner and outer plug housings
CN101494337B (zh) 具有滑动部件的连接器组件
US8221161B2 (en) Break-away adapter
US20160186792A1 (en) Connection assembly with bayonet locking of the connection elements
WO2021134971A1 (zh) 一种连接器和光纤连接组件
CN101371407B (zh) 电插座
US1013518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air
JP2011228212A (ja) ボールロック式コネクタ
JP2004206934A (ja) コネクタ装置
EP3100091A1 (en) Cable pulling assembly
JP2016514863A (ja) 光コネクタ組立体
CN103782456A (zh) 保护触点的插塞连接器
KR101716872B1 (ko) 광 커넥터
JP6700508B2 (ja) コネクタの締結構造
EP3420614A1 (en) Electrical connector
EP3467957B1 (en) Connecting part, method for mating a first connecting part and a second connecting part and method for unplugging a first connecting part from a second connecting part
US9575264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US8435061B2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