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3986A - Plant support apparatus and pland management system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Plant support apparatus and pland management system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3986A
KR20230003986A KR1020210085709A KR20210085709A KR20230003986A KR 20230003986 A KR20230003986 A KR 20230003986A KR 1020210085709 A KR1020210085709 A KR 1020210085709A KR 20210085709 A KR20210085709 A KR 20210085709A KR 20230003986 A KR20230003986 A KR 20230003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support
support device
plants
environ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7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여표
Original Assignee
윤여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표 filed Critical 윤여표
Priority to KR1020210085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3986A/en
Publication of KR20230003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9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support apparatus and a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 support apparatus comprises a support supporting plant and a sensing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to detect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around the plant. The support has a configuration which includes a spiral ring part to be bound to the plant by rotating motion to support the plant, such a suppor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easily and quickly.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round the plant is detected and plant cultivation conditions can be changed on the basis of detected results, such that a cultivation operation can be efficiently managed.

Description

식물 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PLANT SUPPORT APPARATUS AND PLAND MANAGEMENT SYSTEM WITH THE SAME}Plant support device and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PLANT SUPPORT APPARATUS AND PLAND MANAGEMENT SYSTEM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식물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줄기가 자라면서 옆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식물 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suppor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 plant stem so that it does not fall sideways while growing, and a control method of a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 줄기가 길거나 키가 큰 식물들은 어느 정도 길이 성장을 하면 비나 바람 등 기후에 의하여 옆으로 쓰러지기 쉬워지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식물의 도복(倒伏) 방지는 건강한 생장, 생산량 증대 및 상품성 제고 등 재배상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중요한 작업으로써 그 비중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In general, in the case of cultivating plants, long-stemmed or tall plants have a characteristic of being easy to fall sideways due to weather such as rain or wind when they grow to a certain length. Prevention of lodging of these plants is an important work that has important meaning in cultivation, such as healthy growth, increase in production, and improvement in marketability, and its proportion is very large.

즉, 식물에서 생장하는 줄기는 하늘로 향하여 성장하는 특징이 있으나, 그 높이가 높아질수록 식물 스스로 쓰러지지 않기 위해 부담해야할 힘이 커지므로, 옆으로 휘어 성장하거나 쓰러져 성장하는 등 재배상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한다. 그래서 식물의 도복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대 설치 작업은 식물 재배작업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그 비중이나 중요성이 매우 높다.In other words, the stem growing in a plant has a characteristic of growing toward the sky, but the higher the height, the greater the force that the plant must bear to prevent itself from falling down. Occurs. Therefore, the work of installing supports to prevent plants from falling down is very important and accounts for most of the plant cultivation work.

종래에는 식물의 도복을 방지하기 위해, 식물 옆에 직선 형상을 갖는 철사나 막대 등의 지지대를 땅에 고정하고, 이를 집게나 철사 등을 이용하여 식물과 지지대를 직접 결속하여 고정하였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prevent the plant from falling over, a support such as a wire or rod having a straight shape next to the plant is fixed to the ground, and the plant and the support are directly bound and fixed using tongs or wire.

또는, 복수의 견인줄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나란하게 설치하고, 집게 등을 이용해서 식물과 견일줄을 접속하여 고정하기도 하였다.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towlines were installed side by side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and the plants and towlines were connected and fixed using tongs or the like.

이와 같은 지지대 이외의 자재, 즉 견일줄이나 집게 등을 설치해서 식물을 고정하는 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작업 속도를 늦춰 재배 효율을 떨어뜨리며, 집게 또는 철사가 식물 표피에 직접 닿으며 쓰러지려는 힘을 온전히 받아내야 하므로, 식물이 압박되어 손상되고, 식물의 성장 및 상품성을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work of fixing plants by installing materials other than these supports, such as wire ropes or tongs, is very cumbersome, slows down the work and reduces cultivation efficiency, and the tongs or wire directly touches the plant epidermis and completely absorbs the force to fall down. Since it has to be picked up,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lant is compressed and damaged, and the growth and marketability of the plant is reduced.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집게 등의 부품을 이용해서 식물을 지지하는 지지대나 견인줄에 식물을 접속하는 식물 지지장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to 3 below disclose a plant support device technology for connecting a plant to a support rod or a towing line for supporting a plant using parts such as tongs.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들을 포함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식물 지지장치들은 식물과 지지대나 견인줄 간의 고정 방식이 상기한 바와 같이 집게 등 별도의 자재나 부품을 사용하거나, 연결 방식이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plant support devic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ing the above patent documents have problems in that the fixing method between the plant and the support or towline uses separate materials or parts such as tongs, or the connection method is quite cumbersome and inconvenient.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10-0009462호(2010년 9월 29일 공개)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09462 (published on September 29, 2010)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816652호(2008년 3월 26일 공고)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16652 (published on March 26, 2008)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856761호(2018년 5월 11일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56761 (Announced on May 11, 201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집게 등 별도의 자재나 부품없이 지지대를 이용해서 식물을 결정하여 쉽고 빠르게 지지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식물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plant support device capable of easily and quickly performing a support operation by determining a plant using a support without separate materials or parts such as tong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물 주변의 온도나 습도 등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기초해서 식물 재배 조건을 변경하여 식물의 재배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식물 지지장치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a plant support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managing plant cultivation work by sensing temperature or humidity around the plant and changing plant cultivation conditions based on the detected result. is to do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지지장치는 식물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식물 주변의 온도와 습도 정보를 포함하는 재배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나선 형상의 고리부를 이용해서 회전 동작에 의해 식물과 결속되어 식물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lan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for supporting a plant and a sensor installed on the support to detect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around the plant, The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ound to the plant by a rotational motion using a spiral-shaped ring to support the plant.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지지장치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은 상기 식물 지지장치로부터 감지된 식물의 재배 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재배 환경 정보에 기초해서 식물의 재배 조건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관리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lan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plant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plant support device, and plants are planted based on the received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nagement terminal for controlling to change the cultivation conditions of.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집게 등 별도의 자재나 부품없이 지지대를 회전시켜 식물을 결속하고, 쉽고 빠르게 지지 작업을 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lant support device and the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binding the plant by rotating the support without additional materials or parts such as tongs and performing the supporting work easily and quickly is obtained. .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대를 땅에 박는 과정에서 고리부를 가압하여 지지대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상체를 숙이면서 지지대와의 접촉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the support by pressing the ring part in the process of driving the support into the ground,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due to contact with the support while the operator bends the upper body is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 주변의 온도와 습도를 포함하는 재배 환경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기초해서 식물 재배 조건을 변경하여 식물의 재배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age the plant cultivation operation by sensing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 and humidity around the plant and changing plant cultivation conditions based on the detected result. .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의 도복을 방지하고, 식물을 최적의 조건에서 재배하여 재배 효율 및 식물 재배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lodging of plants and cultivating plants under optimal conditions to maximize cultivation efficiency and plant cultivation work efficiency is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식물 지지장치의 사시도와 평면도 및 측면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plant support device and a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re a perspective view,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plant support device shown in FIG. 1, respectivel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lant support device and a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는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Hereinafter, terms indicating directions such as 'left', 'right', 'front', 'rear', 'upper' and 'downer' are defined as indicating each direction based on the state shown in each drawing. do.

식물 지지대는 식물의 줄기나 잎이 성장하면서 옆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고정시키거나 식물의 성장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The plant support is used for the purpose of fixing the sideways inclination of a plant's stem or leaf as it grows, or for guiding the growth direction of a plant in a desired direction.

통상적인 식물 지지대는 일직선의 지주로서, 식물 주변 땅에 박고 집게나 철사 등 별도의 결속 자재를 이용해서 식물과 지지대를 결속하여 고정한다. A typical plant support is a straight support, which is driven into the ground around the plant and fixed by binding the plant and the support using a separate binding material such as tongs or wire.

그러나 식물과 지지대를 별도의 결속 자재로 결속하는 것은 번거롭고 작업효율이 떨어지며, 결속 자재가 식물을 압박하는 경우에 식물이 손상될 수 있다. However, binding the plant and the support with a separate binding material is cumbersome and reduces work efficiency, and the plant may be damaged when the binding material presses the plant.

또, 직선 형상의 지지대는 끝 부분이 예리한 부분으로 되어 있고, 미관을 고려하여 녹색의 코팅이 되어 있어 눈에 잘 띠지 않아 작업자가 구부리다가 얼굴을 다치는 사고의 위험도 존재한다. In addition, the linear support has a sharp end and is coated with green in consideration of aesthetics, so it is not easily visible, and there is a risk of an accident in which a worker bends and injures his or her face.

또한, 직선 형상의 지지대는 땅에 박을 때 힘을 주기가 어렵기 때문에, 땅에 고정하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apply force to the linear support when driving it into the grou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fix the support to the ground.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식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식물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structure of a support for supporting plants, facilitates installation work, prevents safety accidents of workers, and minimizes damage to plants.

또한, 본 발명은 지지대에 온도, 습도 등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마련해서 식물의 재배 환경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기초해서 재배 조건을 변경해서 관리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cultivation environment of plants by providing a sensor for sensing temperature, humidity, etc. on the support, and changes and manages the cultivation conditions based on the detected result.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to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 plant support device and a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식물 지지장치의 사시도와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lant support device and a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4 are a perspective view,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the plant support device shown in FIG. 1, respectivel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지지장치(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을 지지하는 지지대(20)와 지지대(20)에 설치되어 식물 주변의 재배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plant support device 1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20 for supporting plants and a sensing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20 to detect information about the cultivation environment around the plants. (30).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지지장치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10)은 식물 지지장치(11)에 마련된 감지부(3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신호를 통해 수신된 식물의 재배 환경 정보에 기초해서 재배 조건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관리단말(12)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lant management system 10 using the plan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detection signal of the sensing unit 30 provided in the plant support device 11, and the plant and a management terminal 12 that controls to change the cultivation conditions based o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이를 위해, 식물 지지장치(11)는 감지부(30)에서 감지되는 감지신호를 관리단말(12)로 송신하는 통신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plant support device 11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40 that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30 to the management terminal 12 .

그리고 식물 지지장치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10)은 관리단말(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식물의 재배 조건을 변경해서 물이나 비료, 살충제 등을 공급하는 공급모듈(60) 및 식물이 재배되는 온실이나 비닐하우스 등의 창문이나 도어를 개폐하는 구동모듈(7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ant management system 10 using a plant support device includes a supply module 60 for supplying water, fertilizer, pesticide, etc. by changing plant cultivation condition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management terminal 12 and a greenhouse in which plants are grown. I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module 70 for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or door of a vinyl house or the like.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지지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First, the configuration of a plan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지지장치(1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 형상의 고리부(22)의 회전을 이용하여 별도의 결속 자재 없이 식물과 결속되어 식물을 지지하는 지지대(20)와 지지대(20)에 설치되고 식물 주변의 재배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2 to 4 , the plant support device 1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ound to a plant without a separate binding material by using the rotation of the spiral ring 22 to secure the plant. It includes a support 20 for supporting and a sensing unit 30 installed on the support 20 and detecting information about the cultivation environment around the plant.

지지대(20)는 식물의 줄기나 잎이 성장하면서 옆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해서 고정하고, 식물의 성장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The support 20 supports and fixes the stem or leaf of the plant so that it does not tilt sideways as it grows, and functions to induce the growth direction of the plant in a desired direction.

이를 위해, 지지대(20)는 땅에 박혀서 고정되고 지지대(20)의 지지력을 확보하는 지지부(21) 및 지지대(21)의 일단에 마련되고 식물과 결속되는 고리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support 20 may include a support 21 that is fixed to the ground and secures the bearing capacity of the support 20, and a hook 22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pport 21 and bound to the plant. .

지지부(21)는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리부(22)는 지지부(21)의 상단에 지지부(21)와 수직이고 지면과는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2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shape, and the ring part 22 is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part 21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21 and may be formed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고리부(22)는 나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리부(22)는 지지부(21)의 상단에서 출발하는 나선 형상의 시작 부분의 폭(w1)보다 나선 형상의 끝 부분의 폭(w2)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w1<w2). The ring portion 22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Here, the ring part 22 may have a larger width (w2) of the end portion of the spiral shape than the width (w1) of the beginning portion of the spiral shape depart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21 (w1 < w2). .

그래서 지지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1)의 하단부분이 식물의 주변에 박혀 세워진 상태에서 회전 동작에 의해 고리부(22)를 이용해서 식물의 줄기와 결속된다. So, as shown in FIG. 2, the support 20 is bound to the stem of the plant using the hook 22 by a rotational motion in a state where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21 is built around the plant.

즉, 작업자는 식물의 옆에 지지대(20)를 땅에 박아 세우고, 나선 형상의 고리부(20) 끝 부분에 식물을 삽입한 후, 지지부(21)를 축으로 지지대(20)를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식물이 나선 형상의 시작 부분까지 들어간다. That is, the operator drives the support 20 into the ground next to the plant, inserts the plant into the end of the spiral ring 20, and then sets the support 20 with the support 21 as an axis as shown in FIG. By rota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the plant enters the beginning of the spiral shape.

그리고 지지대(20)가 상기 화살표 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하면, 고리부(22)가 식물의 줄기와 꼬이면서 밀착되며 강한 고정력이 발생한다.And when the support 20 continues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ring part 22 is twisted and closely adhered to the stem of the plant, and strong fixing force is generated.

또한, 지지대(20)에는 직선 형상의 지지부(21) 상단에 고리부(22)가 수평으로 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은 지지대를 땅에 박는 과정에서 고리부를 가압하여 지지대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상체를 숙이면서 지지대와의 접촉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support 20 has the hook 22 formed horizontally at the top of the linear support 21,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nstall the support by pressing the hook in the process of driving the support into the ground, and the operator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caused by contact with the support while bending the virtual body.

한편, 도 2에는 식물 옆에 하나의 지지대(20)를 세워 식물과 결속해서 지지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Meanwhile, in FIG. 2, a configuration in which a single support 20 is erected next to a plant and bound to the plant for support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복수, 예컨대 2개의 지지대(20)를 연결하여 화단의 출입통제나 게시물을 걸 수 있는 임시 펜스(fence)로 사용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temporary fence that can control access to a flower bed or hang a post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for example, two supports 20 .

즉, 복수의 지지대(20)의 각 고리부(22)를 서로 결합하면, 서로가 강한 지지력을 받아 펜스로 사용할 수 있다. That is, when each of the ring parts 22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each receives a strong supporting force and can be used as a fence.

이러한 식물 지지장치(11)는 식물의 재배 환경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Such a plant support device 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for detecting a plant cultivation environment.

즉, 감지부(30)는 식물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31)와, 식물의 주변 습도를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32)를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sensing unit 30 may include a first sensor 31 for sensing the temperature around the plant and a second sensor 32 for sensing the humidity around the plant.

제1 감지센서(31)는 온도감지센서로 마련되고, 지지대(20)의 지지부(21) 또는 고리부(22)에 부착 방식이나 결합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detection sensor 31 is provided as a temperature sensor, and may be installed in the support part 21 or the ring part 22 of the support 20 in an attachment method or a coupling method.

제2 감지센서(32)는 습도감지센서로 마련되고, 지지대(20)의 지지부(21) 또는 고리부(22)에 부착 방식이나 결합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second detection sensor 32 is provided as a humidity sensor, and may be installed in the support part 21 or the ring part 22 of the support 20 in an attachment method or a coupling method.

예를 들어, 지지대(20)의 지지부(21) 또는 고리부(22)에는 각 감지센서(31,32)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홈(도면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n installation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part 21 or the hook part 22 of the support 20 so that each of the detection sensors 31 and 32 can be installed.

또는, 각 감지센서(31,32)는 소형 스티커 형상을 모사해서 대략 사각판이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해서 부착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each of the detection sensors 31 and 3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quare plate or disc shape by copying the shape of a small sticker, and may be attached using an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이러한 제1 및 제2 감지센서(31,32)는 각각 필요에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sensors 31 and 32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s needed.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감지센서(31,32)는 각각 식물의 줄기 하단부에 설치되는 경우, 식물의 하단부 주변 및 토양의 온도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31 and 32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tem of a plant, they may detect temperature or humidity around the lower end of the plant and soil.

그리고 제1 및 제2 감지센서(31,32)는 각각 식물의 줄기 상단부에 설치되는 경우, 식물의 상단부 주변 온도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31 and 32 ar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stem of the plant, the temperature or humidity around the upper end of the plant may be sensed.

즉, 도 2에서 제1 및 제2 감지센서(31,32)는 각각 식물의 줄기 상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at is, although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31 and 32 in FIG. 2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plant stem,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즉, 식물 재배시 토양의 온도 및 수분 정도, 즉 습도는 매우 중요한 재배 환경 정보 중 하나이다. That is, the temperature and moisture level of the soil during plant cultivation, that is, humidity,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따라서 제1 및 제2 감지센서(31,32)는 각각 토양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21)의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31 and 32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21 so as to detect soil temperature and humidity, respectively.

그래서 제1 및 제2 감지센서(31,32)는 각각 지지부(21)를 땅에 박는 과정에서 토양에 지지부(21)의 하단부와 함께 토양에 묻히거나, 지면에 근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So,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31 and 32 may be buried in the soil together with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21 or installed close to the ground in the process of driving the support 21 into the ground, respectively.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감지센서(31,32)는 각각 지지부(2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토양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31 and 32 ar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21 to sens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oil.

한편, 감지부(30)는 온도 감지센서와 습도 감지센서 외에도 다양한 식물의 재배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nsor 30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for sensing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of various plants in addition to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humidity sensor.

예를 들어, 감지부(30)는 태양광이 조사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 감지센서, 식물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센서, 식물이 심어진 농장의 풍량이나 풍향을 감지하는 풍량 감지센서와 풍향 감지센서 등 다양한 감지센서를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30 may include a light quantity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sunlight irradiated, an illuminance sensor for detecting the illuminance around the plant, a wind quantity sensor and wind direction for detecting the wind volume or wind direction of the farm where the plant is planted. One or more various detection sensors such as detection sensors may be further included.

통신부(4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관리단말(12)과 통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40 may communicate with the management terminal 12 in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이와 함께, 식물 지지장치(11)는 감지부(30)와 통신부(4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도면 미도시)와 각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ant support device 11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drive the sensing unit 30 and the communication unit 40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each device. can include more.

상기 제어부는 관리단말(12)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 장치를 온 또는 오프시키거나,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감지신호를 관리단말로 전송하도록 통신부(4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driving of the communication unit 40 to turn each device on or off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management terminal 12 or to transmit a detection signal to the management terminal according to a preset cycle.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지지장치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Referring again to FIG. 1, the configuration of a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a plan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지지장치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10)은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 필요한 물, 비료, 살충제 등을 공급하는 공급모듈(60), 식물이 재배되는 온실이나 하우스 등의 도어나 창문을 개폐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듈(70) 및 상기한 식물 지지장치(11)의 감지부(30)에서 수신된 감지신호에 포함된 재배 환경 정보에 기초해서 공급모듈(60)과 구동모듈(70)의 구동을 제어하는 관리단말(1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ant management system 10 using a plan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module 60 for supplying water, fertilizer, pesticides, etc. necessary for growing plants, a greenhouse or a house where plants are grown. Based o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driving module 70 generating driving force to open and close the door or window and the sensing unit 30 of the plant support device 11, the supply module 60 and It may include a management terminal 12 that controls driving of the driving module 70 .

공급모듈(60)은 물이나 비료, 살충제가 저장되는 탱크(도면 미도시)와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이나 비료, 살충제를 펌핑하는 펌프(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ly module 60 may include a tank (not shown) for storing water, fertilizer, or pesticide and a pump (not shown) for pumping the water, fertilizer, or pesticide stored in the tank.

구동모듈(70)은 전원을 공급받거나 공압 또는 유압을 공급받아 도어나 창문을 개폐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module 70 may include a motor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open or close a door or window by receiving power or receiving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이와 함께, 구동모듈(70)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실이나 하우스 내부에 복수의 식물이 재배되는 트레이를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module 7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generate a driving force to rotate or move a tray in which a plurality of plants are grown in a greenhouse or a house.

관리단말(12)은 각 식물 지지장치(11)에 마련된 통신부(40)와 통신하는 통신모듈(51) 및 통신모듈(51)을 통해 각 식물 지지장치(11)의 감지부(30)에서 수신된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각 공급모듈(60) 및 구동모듈(70)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nagement terminal 12 is received by the sensing unit 30 of each plant support device 11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51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unit 40 provided in each plant support device 11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51 It may include a main control unit 50 that controls driving of each supply module 60 and the driving module 70 based on the detected signal.

이러한 관리단말(12)은 데스크탑 컴퓨터나 서버로 마련되고, 다양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재배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terminal 12 is provided as a desktop computer or server and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52 for storing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for growing various plants.

그래서 메인 제어부(50)는 각 식물 지지장치(11)에 마련된 감지부(30)에서 수신된 재배 환경 정보와 저장부(52)에 저장된 재배 환경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해서 각 공급모듈(60) 및 구동모듈(7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Therefore, the main control unit 50 compares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30 provided in each plant support device 11 with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52, an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each supply module 60 and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driving module 70 may be generated.

여기서, 상기 재배 환경 정보는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온도, 습도 정보와 함께, 일조량, 조도, 풍량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amount of sunlight,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and the amount of wind along with information of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cultivating plants.

그래서 메인 제어부(50)는 각 식물 지지장치(11)로부터 수신된 재배 환경 정보에 기초해서 각 식물에 공급되는 물, 비료, 살충제 등의 공급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공급모듈(6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refore, the main control unit 50 drives the supply module 60 to increase or decrease the supply amount of water, fertilizer, insecticide, etc. supplied to each plant based o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plant support device 11. You can control it.

그리고 메인 제어부(50)는 각 식물 지지장치(11)로부터 수신된 재배 환경 정보에 기초해서 식물의 재배되는 온실이나 하우스의 도어나 창문을 개방 또는 폐쇄하거나, 개방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동모듈(7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 50 opens or closes the door or window of the greenhouse or house where plants are grown, or adjusts the opening angle based o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plant support device 11.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또한, 메인 제어부는 각 식물 지지장치(11)로부터 수신된 재배 환경 정보에 기초해서 식물의 재배되는 식물이 설치되는 트레이를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키도록 구동모듈(70)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may control driving of the driving module 70 to rotate or move a tray on which plants to be grown are installed based o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plant support device 11 .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집게 등 별도의 자재나 부품없이 지지대를 회전시켜 식물을 결속하고, 쉽고 빠르게 지지 작업을 행할 수 있다. Through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ind plants by rotating the support without additional materials or parts such as tongs, and can perform support work easily and quickly.

그리고 본 발명은 식물 주변의 온도와 습도를 포함하는 재배 환경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기초해서 식물 재배 조건을 변경하여 재배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manage cultivation work by sensing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 and humidity around the plant and changing plant cultivation conditions based on the sensed result.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식물을 결속해서 지지하는 식물 지지장치를 이용해서 식물 주변의 온도와 습도를 포함하는 재배 환경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기초해서 식물 재배 조건을 변경하여 재배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식물 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기술에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 and humidity around the plant using a plant support device that binds and supports the plant, and changes the plant cultivation condition based on the detected result to efficiently manage the cultivation work. It is applied to a plant support device and a plant management system technology using the same.

10: 식물 지지장치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11: 식물 지지장치
12: 관리단말
20: 지지대
21: 지지부 22: 고리부
30: 감지부
31: 제1 감지센서 32: 제2 감지센서
40: 통신부
50: 메인 제어부 51: 통신모듈
52: 저장부
60: 공급모듈 70: 구동모듈
10: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a plant support device
11: plant support device
12: management terminal
20: support
21: support part 22: ring part
30: sensing unit
31: first detection sensor 32: second detection sensor
40: Ministry of Communications
50: main control unit 51: communication module
52: storage unit
60: supply module 70: drive module

Claims (8)

식물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식물 주변의 온도와 습도 정보를 포함하는 재배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나선 형상의 고리부를 이용해서 회전 동작에 의해 식물과 결속되어 식물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지지장치.
supports to support plants
A sensor installed on the support to detect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nformation around the plant;
The plant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is bound to the plant by a rotational motion using a spiral-shaped ring to support the pla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식물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와
식물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지지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includes a first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around the plant and
Plant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sensor for detecting the humidity around the pla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태양광이 조사되는 광량을 감지하는 광량 감지센서,
식물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센서 및
식물이 심어진 농장의 풍량이나 풍향을 감지하는 풍량 감지센서와 풍향 감지센서 중에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지지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sensing unit includes a light amoun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sunlight irradiated thereon;
An illuminance sensor that detects the illuminance around plants and
The plant support device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n air volume detection sensor and a wind direc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ir volume or wind direction of a farm where plants are plan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 마련되는 각 감지센서는 상기 지지대의 지지부 또는 고리부에 부착 또는 결합 방식으로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지지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plant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sensors provided in the sensing unit are installed in an attachment or coupling manner to the support part or the ring part of the suppo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감지센서는 각각 토양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지지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lant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ar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to sens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oil,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감지장치는 식물 관리 시스템에 마련된 관리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관리단말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지지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lant sensing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management terminal provided in a plant management system;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to each device and
Plant suppor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each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anagement terminal.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물 지지장치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물 지지장치로부터 감지된 식물의 재배 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재배 환경 정보에 기초해서 식물의 재배 조건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관리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지지장치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In the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plant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plant management system using a plant support device comprising a management terminal that receives plant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sensed from the plant support device and controls to change plant cultivation conditions based on the received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
제7항에 있어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 필요한 물, 비료, 살충제를 공급하는 공급모듈 및
식물이 재배되는 온실이나 하우스의 도어나 창문을 개폐하는 구동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단말은 내부의 저장부에 저장된 재배 환경 정보와 상기 식물 지지장치에서 수신된 재배 환경 정보에 기초해서 상기 공급모듈 및 구동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지지장치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7,
A supply module that supplies water, fertilizer, and pesticides needed to grow plants, and
Further comprising a drive module that opens and closes the door or window of the greenhouse or house where plants are grown,
The management terminal controls driving of the supply module and the driving module based o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internal storage unit and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lant support device. .
KR1020210085709A 2021-06-30 2021-06-30 Plant support apparatus and pland management system with the same KR202300039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709A KR20230003986A (en) 2021-06-30 2021-06-30 Plant support apparatus and pland management system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709A KR20230003986A (en) 2021-06-30 2021-06-30 Plant support apparatus and pland management system with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986A true KR20230003986A (en) 2023-01-06

Family

ID=84924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709A KR20230003986A (en) 2021-06-30 2021-06-30 Plant support apparatus and pland management system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3986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652B1 (en) 2006-01-10 2008-03-26 이승열 fixation tongs of plant
KR20100009462U (en) 2009-03-18 2010-09-29 카레브 주식회사 Plant supporter
KR101856761B1 (en) 2016-07-13 2018-05-11 서상기 Tongs for supporting stem of plan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652B1 (en) 2006-01-10 2008-03-26 이승열 fixation tongs of plant
KR20100009462U (en) 2009-03-18 2010-09-29 카레브 주식회사 Plant supporter
KR101856761B1 (en) 2016-07-13 2018-05-11 서상기 Tongs for supporting stem of pla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25287A1 (en) Plant growing system
CN101430552A (e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greenhouse culture environment
KR102213131B1 (en) Smart apparatus for landscaping management
KR101542890B1 (en) Natural lighting system for indoor flower pot enabling it to move vertically
KR101892163B1 (en) System for controlling a smart greenhouse
CN102883467B (en) Bidirectional adjustable wireless sensor node for detecting multiple parameters of growth of nursery stock on line
KR20230003986A (en) Plant support apparatus and pland management system with the same
CN112449908B (en) Light following and supplementing system in facility cultivation
KR102043743B1 (en) Greenhouse system with assistant small greenhouse
KR101335205B1 (en) Automatic gardener
KR100980439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ew of ground plant
KR20210064969A (en) Vertical hanging bed
CN208143916U (en) A kind of greenhouse automatic lifting light-supplementing system
CN212893648U (en) Convenient nursery stock hoist and mount conveyer
CN211044041U (en) Environment control system of greenhouse
CN205755833U (en) Packaging cultivation box set greatly wind-proof fixer
KR102539767B1 (en) Hydroponic Cultivation System
CN205922160U (en) Automatic drainage and irrigation system of case are planted to collection dress
CN209265662U (en) A kind of agrometeorological hazard prior-warning device
KR102105456B1 (en) Smart tree nursery system using ICT and IoT, and hybrid tree nursery house for the same
CN209449334U (en) Hot bandwidth water-fertilizer integral semi-intelligent cultivates equipment
CN105830791A (en) Big-tree windproof fixing device for planting container
KR101876101B1 (en) Monitoring system for tree growth and method for monitoring tree growth using the same
CN205830667U (en) Intelligent watering device
CN216931263U (en) Intelligent watering irrigation device for gre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