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3537A - 배터리 팩용 관통 커넥터,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용 기밀 밀봉 가능한 케이싱에 적어도 하나의 가스를 도입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용 관통 커넥터,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용 기밀 밀봉 가능한 케이싱에 적어도 하나의 가스를 도입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3537A
KR20230003537A KR1020227040285A KR20227040285A KR20230003537A KR 20230003537 A KR20230003537 A KR 20230003537A KR 1020227040285 A KR1020227040285 A KR 1020227040285A KR 20227040285 A KR20227040285 A KR 20227040285A KR 20230003537 A KR20230003537 A KR 20230003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asing
gasket
body portio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0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바스티앙 조프루아
로낭 라쿠르
Original Assignee
블루 솔루션즈 캐나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 솔루션즈 캐나다 인크. filed Critical 블루 솔루션즈 캐나다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003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1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crew or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8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one or more scre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기밀 케이싱을 갖는 배터리 팩용 관통 커넥터가 개시된다. 관통 커넥터는, 기밀 전기, 제1 커넥터 부분을 획정하는 제1 본체 부분, 제1 본체 부분에 대향하는 제2 본체 부분, 및 제2 본체 부분에 연결되고 제2 본체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본체를 갖는다. 관통 커넥터는 또한 제1 커넥터 부분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제2 커넥터 부분, 및 플랜지의 맞물림 표면에 맞접하고 관통 커넥터와 케이싱 사이에 기밀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개스킷을 갖는다. 제1 본체 부분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케이싱 안팎으로 가스 교환을 허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획정한다. 관통 커넥터를 갖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용 기밀 밀봉 가능한 케이싱에 적어도 하나의 가스를 도입하는 방법이 또한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팩용 관통 커넥터,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용 기밀 밀봉 가능한 케이싱에 적어도 하나의 가스를 도입하는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4월 22일자로 출원된 "Pass-Through Connector for a Battery Pack, Battery Pack, and Method for Introducing at Least One Gas in a Hermetically Sealable Casing for a Battery Pack"이라는 명칭의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013,78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가출원은 그 전문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기술은 배터리 팩용 관통 커넥터, 관통 커넥터를 갖는 배터리 팩, 및 관통 커넥터를 사용하여 배터리 팩용 기밀 밀봉 가능한 케이싱에 적어도 하나의 가스를 도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배터리 팩은 통상적으로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고전압 배터리를 포함한다.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팩의 총 전압은 모든 배터리가 함께 연결될 때 최대 400 볼트에 도달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배터리는 케이싱 내에 수용된다. 케이싱은 기밀 밀봉되어 있고 불활성 가스 혼합물이 채워져 배터리 및/또는 케이싱 내에 수용된 구성요소의 산화를 방지한다. 적절한 유량으로 케이싱으로부터 그리고 케이싱 내로 가스를 제거 및 도입하고, 이어서 케이싱 내에 도입된 가스를 기밀 밀봉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케이싱의 기밀 밀봉부를 유지하면서 케이싱 외부에 위치된 구성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케이싱 내부에 위치된 전기 및 전자 구성요소를 케이싱 외부에 위치된 다른 전기 및 전자 구성요소와 연결하기 위해 관통 커넥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통 커넥터는 제조 비용, 조립의 복잡성, 및 관통 커넥터를 통해 케이싱 밖으로 가스가 누설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복잡한 피처를 갖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완화할 수 있는 관통 커넥터가 요구된다.
본 기술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불편함의 적어도 일부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일 양태에 따르면, 기밀 케이싱을 갖는 배터리 팩용 관통 커넥터가 제공된다. 관통 커넥터는 본체, 제2 커넥터 부분 및 개스킷을 갖는다. 본체는 기밀 전기 커넥터, 제1 본체 부분, 제2 본체 부분 및 플랜지를 갖는다. 기밀 전기 커넥터는 제1 및 제2 측면을 갖는다. 제1 본체 부분은 기밀 전기 커넥터의 제1 측면과 동일 측면에 있는 제1 커넥터 부분을 획정한다. 제2 본체 부분은 제1 본체 부분에 대향하고, 기밀 전기 커넥터의 제2 측면과 동일 측면에 있다. 플랜지는 제2 본체 부분에 연결되고 제2 본체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어지게 돌출된다. 플랜지는 맞물림 표면을 갖는다. 제2 커넥터 부분은 제1 커넥터 부분을 통해 본체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본체 부분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케이싱 안팎으로 가스 교환을 허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획정한다. 개스킷은 플랜지의 맞물림 표면에 대해 맞접한다. 개스킷은 플랜지가 있는 케이싱에 대해 개스킷을 탄성적으로 압축하기 위해 제2 커넥터 부분을 제1 커넥터 부분에 연결함으로써 관통 커넥터와 케이싱 사이에 기밀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개스킷은 제1 본체 부분과 동일한 플랜지 측면에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 부분은 외부 나사부를 갖고, 제2 커넥터 부분은 외부 나사부와 상보적인 내부 나사부를 갖는다. 개스킷은 플랜지의 맞물림 표면에 맞접하고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커넥터 부분에 나사 결합되고 개스킷이 플랜지에 의해 케이싱에 대해 탄성적으로 압축될 때 관통 커넥터를 케이싱에 기밀 밀봉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밀 전기 커넥터는 본체에 연결된 칸막이벽을 갖는다. 칸막이벽은 복수의 관통 구멍을 획정한다. 칸막이벽은 제1 본체 부분과 동일 측면에 있는 제1 측면, 및 제2 본체 부분과 동일 측면에 있는 제2 측면을 갖는다. 기밀 전기 커넥터는 또한 복수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고, 칸막이벽의 제1 및 제2 측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하는 복수의 커넥터 핀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본체 부분은 칸막이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측벽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측벽은 칸막이벽의 제1 측면 상에 배치된 제1 공동을 획정한다. 복수의 커넥터 핀은 제1 공동 내에서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측벽은 제1 높이를 갖는다. 복수의 커넥터 핀의 각각의 커넥터 핀은 제1 공동 내에 그리고 칸막이벽의 제1 측면 상에 배치된 커넥터 핀의 제1 자유 단부 사이에 획정된 제1 핀 높이를 갖는다. 제1 높이는 제1 핀 높이보다 크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본체 부분은 칸막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측벽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제2 측벽은 칸막이벽의 제2 측면 상에 배치된 제2 공동을 획정한다. 복수의 커넥터 핀은 제2 공동 내에서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측벽은 제2 높이를 갖는다. 복수의 커넥터 핀의 각각의 커넥터 핀은 제1 자유 단부 반대쪽에 있는 제2 자유 단부 사이에 획정된 제2 핀 높이를 갖는다. 제2 자유 단부는 제2 공동 내에 그리고 칸막이벽의 제2 측면 상에 배치된다. 제2 높이는 제2 핀 높이보다 짧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공동은 복수의 커넥터 핀을 본체에 접합하고 복수의 커넥터 핀과 복수의 관통 구멍 사이의 공간을 기밀 밀봉하기 위한 접착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진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체, 제2 커넥터 부분 및 개스킷은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체는 사출 성형된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고, 플랜지는 맞물림 표면 상에 플래시 라인이 없다.
몇몇 실시예에서, 개스킷은 X-링 밀봉부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커넥터 부분에 연결되고 개스킷이 관통 커넥터를 케이싱에 대해 기밀 밀봉할 때, 개스킷은 10 내지 25%만큼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본체 부분은 케이싱에 맞접하기 위한 숄더 표면을 갖는 반경방향 연장 숄더를 획정한다. 플랜지는 숄더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어지게 연장된다. 플랜지의 맞물림 표면과 숄더 표면 사이의 축방향 거리는 개스킷의 압축되지 않은 축방향 치수의 75%보다 크다.
몇몇 실시예에서, 플랜지의 맞물림 표면과 숄더 표면 사이의 축방향 거리는 개스킷의 압축되지 않은 축방향 치수의 83% 이상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본체 부분은 관통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팩의 케이싱에 획정된 구멍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반경방향 연장 다각형 플랜지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다각형 플랜지는 팔각형 형상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본체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보어 구멍을 획정한다. 보어 구멍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형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본체 부분은 칸막이벽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돌출부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안내 돌출부는 복수의 커넥터 핀과의 작동 연결을 위해 전자 회로 기판을 위치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회로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보어 구멍을 통해 제1 본체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형 체결구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획정하는 제1 본체 부분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본체 부분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제1 본체 부분의 반경방향 외부 표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제1 리세스 및 제2 리세스를 포함한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에서, 케이싱, 적어도 하나의 셀, 전술한 양태에 따른 또는 전술한 양태 및 상기 실시예 중 하나 이상에 따른 관통 커넥터, 및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갖는 배터리 팩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셀은 애노드 및 캐소드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셀은 케이싱 내부에 배치된다. 관통 커넥터는 케이싱에 연결되고 케이싱을 통해 연장된다.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셀과 케이싱 내부의 관통 커넥터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기술의 다른 양태에서, 배터리 팩용 기밀 밀봉 가능한 케이싱에 적어도 하나의 가스를 도입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케이싱에 고정되고 케이싱을 통해 연장되는 관통 커넥터를 느슨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통 커넥터는 관통 커넥터의 플랜지와 케이싱의 내부 표면 사이에 배치된 개스킷을 갖는다. 개스킷은 관통 커넥터가 삽입되는 케이싱의 구멍을 둘러싼다. 관통 커넥터를 느슨하게 하면 개스킷과 케이싱 내부 표면 사이에 가스가 통과하게 된다. 관통 커넥터를 느슨하게 한 후, 방법은 또한 관통 커넥터에 의해 획정되고 케이싱의 외부에 배치된 리세스를 통해 케이싱 내에 수용된 가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거되는 가스는 케이싱으로부터 개스킷을 지나 리세스를 통해 순차적으로 유동한다. 케이싱 내에 수용된 가스를 제거한 후, 방법은 또한 리세스를 통해 케이싱에 적어도 하나의 가스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는 리세스를 통해 개스킷을 지나 케이싱 내로 순차적으로 유동한다. 적어도 하나의 가스를 도입한 후, 방법은 또한 플랜지와 케이싱의 내부 표면 사이의 개스킷을 탄성적으로 압축하도록 관통 커넥터를 조여, 케이싱의 구멍을 통한 그리고 관통 커넥터의 리세스를 통한 가스의 통과를 방지하는 기밀 밀봉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스는 불활성 가스이다.
본 기술의 실시예는 각각 앞서 설명한 목적 및/또는 양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갖지만, 그들 모두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앞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려는 시도로 인해 초래된 본 기술의 일부 양태는 이 목적을 만족하지 않을 수 있고 및/또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을 만족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기술의 실시예의 추가적인 및/또는 대안적인 특징, 양태 및 이점은 다음의 설명, 첨부 도면 및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기술의 더 나은 이해, 뿐만 아니라 그 다른 양태 및 추가 특징을 위해, 첨부 도면과 함께 사용되는 다음 설명을 참조하고, 도면에서:
도 1은 배터리 팩의 전방 부분의 정면, 상단, 좌측 부분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2-2를 통해 취한 도 1의 배터리 팩의 관통 커넥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관통 커넥터의 본체, 커넥터 핀, 및 개스킷의 하단, 정면, 좌측으로부터 취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본체 및 커넥터 핀의 좌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본체 및 커넥터 핀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선 6-6을 통해 취한 도 3의 본체 및 커넥터 핀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3의 본체 및 커넥터 핀의 상단, 정면, 좌측으로부터 취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의 본체의 상단, 정면, 좌측으로부터 취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본체의 상단, 후방, 우측으로부터 취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3의 개스킷의 정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선 11-11을 통해 취한 도 10의 개스킷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2의 관통 커넥터의 너트의 상단, 정면, 좌측으로부터 취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너트의 하단, 후방, 좌측으로부터 취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의 배터리 팩용 케이싱에 적어도 하나의 가스를 도입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본 상세한 설명은 본 기술의 예시적인 예에 대한 설명인 것으로 의도된다.
본 기술은 본체(110), 개스킷(300) 및 너트(350)를 갖는 관통 커넥터(100)에 관한 것이다. 관통 커넥터(100)는, 기밀 케이싱(50)에 연결될 때, 케이싱(50) 안팎으로 가스 유동을 허용할 수 있거나, 전기 커넥터(130)를 통해, 내부 회로 기판(16)을 외부 전자 회로 기판(18) 또는 커넥터(130)에 연결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다른 전기 또는 전자 구성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케이싱(50)을 기밀 밀봉할 수 있다. 관통 커넥터(100)는 배터리 팩(10)과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관통 커넥터(100)는 가스 교환 및/또는 기밀 밀봉부를 필요로 하는 다른 케이싱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케이싱(50) 및 관통 커넥터(100)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10)에 대해 설명한다. 케이싱(50)은 내부면(52) 및 외부면(54)을 갖는다. 내부면(52)에서, 배터리 팩(10)은 복수의 셀(12)을 갖는다. 각각의 셀(12)은 애노드 및 캐소드를 갖는다. 셀(12)은 케이싱(50)의 내부에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 셀(12)은 케이싱(50) 내부에 적층된다. 케이블(14)은 내부 회로 기판(16)을 통해 셀(12)을 관통 커넥터(100)에 연결한다.
배터리 팩(10)은 또한 2개의 전력 포스트(20)를 갖는다. 전력 포스트(20) 중 하나는 양의 전기 극성을 갖고, 다른 전력 포스트(20)는 음의 전기 극성을 갖는다. 전력 포스트(20) 각각은 전도체(22), 내부 개스킷(24), 연결 부분(26), 외부 개스킷(28), 및 너트(30)를 갖는다. 전도체(22) 각각은 버스바(32)에 연결된다. 버스바(32)는 셀(12)을 전력 포스트(20)에 연결한다. 전력 포스트(20) 중 하나의 버스바(32)는 활성화 시에 연결된 버스바(32)를 파괴하도록 구성된 파이로테크닉 디바이스(pyrotechnic device)(34)에 연결된다. 이 안전 피처는 특정 조건 하에 배터리 팩(10)을 통해 유동하는 전류를 차단한다.
케이싱(50)은 전방 커버(55)를 갖는다. 전방 커버(55)는 케이싱(50)의 나머지 부분에 용접됨으로써, 기밀 조인트를 형성한다. 전방 커버(55)는 대체로 8각형 케이싱 구멍(56) 및 2개의 8각형 케이싱 구멍(57)을 획정한다. 케이싱 구멍(56, 57)은 오각형 또는 육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이 고려된다. 케이싱 구멍(56)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관통하는 관통 커넥터(100)를 수용한다. 케이싱 구멍(57) 각각은 관통하는 전력 포스트(20) 중 하나를 수용한다. 외부면(54)에서, 너트(350)는 관통 커넥터(100)의 본체(110)에 연결되고, 너트(30)는 케이싱 구멍(57)을 통해 연장되는 전력 포스트(20)의 연결 부분(26)에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관통 커넥터(100)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 커넥터(100)는 본체(110), 개스킷(300), 및 너트(350)를 갖는다. 관통 커넥터(100)는 케이싱(50)의 케이싱 구멍(56) 내로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본체(110)는 본체 부분(180) 및 본체 부분(180)에 대향하는 본체 부분(250)을 갖는다. 관통 커넥터(100)가 케이싱(50)에 설치될 때, 본체 부분(180)의 피처는 케이싱(50)의 내부면(52) 상에 있고, 본체 부분(250)의 피처는 케이싱(50)의 외부면(54) 상에 있다. 본체 부분(250)은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너트(350)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부분(260)을 획정한다. 2개의 축방향 연장 리세스(270)(도 3, 도 7 및 도 8에서 가장 잘 보임)가 본체 부분(250)에 획정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리세스(270)는 너트(350)가 커넥터 부분(260)에 단단히 연결되지 않을 때 케이싱(50) 안팎으로 가스 교환을 허용한다. 본체(110)는 또한 본체 부분(180)에 연결되어 본체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120)를 갖는다. 개스킷(300)은 케이싱(50) 내부에 있으며, 플랜지(120) 및 전방 커버(55) 모두에 맞접한다. 너트(350)가 커넥터 부분(260)에 단단히 연결된 경우, 개스킷(300)은 플랜지(120)와 전방 커버(55)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되어, 개스킷(300)이 관통 커넥터(100)와 케이싱 구멍(56)을 둘러싸는 전방 커버(55)의 내부면의 일부 사이에 기밀 밀봉부를 제공하게 한다. 배터리 팩(10)은 케이싱(50)에 밀봉된 불활성 가스 혼합물을 갖는다. 불활성 가스 혼합물은 셀(12) 및/또는 배터리 팩(10) 내의 다른 구성요소의 산화를 방지한다. 기밀 밀봉부를 갖는 것은 불활성 가스 혼합물이 케이싱(50)을 떠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가스가 케이싱(50)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체(110), 개스킷(300), 및 너트(350)는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체(110), 개스킷(300) 및 너트(350) 중 하나 이상이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될 수 없음이 고려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10)는 사출 성형된 폴리머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체(110)는 주조 또는 3D 인쇄와 같은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관통 커넥터(100) 및 그 다양한 구성요소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관통 커넥터(100)의 본체(110)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체(110)는 기밀 전기 커넥터(130), 본체 부분(180) 및 본체 부분(250)을 갖는다.
전기 커넥터(130)는 측면(131) 및 측면(132)(도 6에 가장 잘 도시됨)을 갖는다. 전기 커넥터(130)는 본체(110)에 연결되는 칸막이벽(140)을 갖는다. 칸막이벽(140)은 칸막이 측면(141) 및 칸막이 측면(142)을 갖는다. 칸막이 측면(141)은 본체 부분(180) 및 측면(131)과 동일 측면에 있고, 칸막이 측면(142)은 본체 부분(250) 및 측면(132)과 동일 측면에 있다. 칸막이벽(140)은 32개의 관통 구멍(145)을 획정한다. 전기 커넥터(130)는 또한 관통 구멍(145)을 통해 삽입된 32개의 커넥터 핀(146)을 갖는다. 커넥터 핀(146) 각각은 측면(131) 및 측면(132)에 각각 위치된 자유 단부(147) 및 자유 단부(148)를 갖는다. 조립될 때, 커넥터 핀(146)은 칸막이 측면(141, 142)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된다. 커넥터 핀(146)의 수 및 관통 구멍(145)의 수는 다른 유형의 전기 커넥터(130)가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 변경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 커넥터(100)는 2개의 수형 커넥터(즉, 칸막이벽(140)의 각각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핀(146))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관통 커넥터(100)는 2개의 암형 커넥터 또는 하나의 수형 커넥터와 하나의 암형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전기 커넥터(130), 및 전기 커넥터가 본체(110)에 연결되는 방법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9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본체 부분(180)은 상부 측벽(182), 좌측 측벽(185), 우측 측벽(192) 및 하부 측벽(195)을 가지며, 하부 측벽은 칸막이 측면(141)으로부터 시작하여 본체 부분(250)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된다. 벽(182, 185, 192, 195)은 칸막이벽(140)으로부터 대체로 동일한 거리만큼 돌출되고, 따라서 칸막이벽(140)으로부터 벽(182, 185, 192, 195)의 후방 단부까지 측정된 공통 측벽 높이(198)(도 6)를 갖는다. 벽(182, 185, 192, 195)은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원형 형상, 오각형 형상 또는 다른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더 많거나 작은 벽이 있을 수 있음이 고려된다. 벽(182, 185, 192, 195)은 칸막이 측면(141)과 동일 측면에 측면 공동(200)을 획정한다. 본체 부분(180)은 칸막이벽(140)에 인접한 상부 및 하부 측벽(182, 195)으로부터 측면 공동(200) 내부로 연장하는 2개의 리브(205)를 갖는다. 리브(205)의 단부 사이에 공간이 획정된다. 측면 공동(200)은 칸막이벽(140)으로부터 리브(205)의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내부 부분(202)을 갖는다. 리브(205)의 좌측에 16개의 관통 구멍(145)이 있고, 리브(205)의 우측에 16개의 관통 구멍(145)이 있다.
본체 부분(180)은 또한 공동(200) 외부에 2개의 원형 돌출부(210)를 갖는다. 원형 돌출부(210) 중 하나는 좌측 벽(185)의 외벽 표면에 인접하고, 다른 원형 돌출부(210)는 우측 벽(192)의 외벽 표면에 인접한다. 2개의 원형 돌출부(210)는, 칸막이벽(140)으로부터 시작하여, 본체 부분(250)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지게 연장된다. 원형 돌출부(210)는 측벽 높이(198)와 대체로 동일한, 칸막이벽(140)으로부터 후방 단부까지 측정된 높이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오직 하나의 원형 돌출부(210)가 있을 수 있음이 고려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3개 이상의 원형 돌출부(210)가 있을 수 있다. 원형 돌출부(210)가 생략될 수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플랜지(120)는 제2 본체 부분(180)에 연결되고, 제2 본체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어지게 돌출된다. 플랜지(120)는 환형 형상을 갖는다. 플랜지(120)는 개스킷(300)과 맞물리는 맞물림 표면(122)을 갖는다. 사출 성형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몰드는 맞물림 표면(122)에 플래시 라인이 없도록 설계되어, 개스킷(300)과 맞물림 표면(122) 사이의 밀봉부를 개선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 부분(180)은 숄더(220)를 획정한다. 숄더(220)는 본체 부분(180)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어지게 연장되고, 숄더(220)가 연결되는 플랜지(120)는 숄더(220)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어지게 연장된다. 숄더(220)는 플랜지(120)보다 작은 직경을 갖지만, 케이싱 구멍(56)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숄더(220)는 또한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관통 커넥터(100)가 케이싱(50)에 단단히 연결될 때 전방 커버(55)의 내부면(52)에 대해 맞접하는 숄더 표면(222)을 갖는다. 숄더(220)는 숄더 높이(224)(도 6)를 갖는다. 숄더 높이(224)는 맞물림 표면(122)으로부터 숄더 표면(222)까지 축방향으로 측정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숄더 높이(224)는 개스킷(300)의 압축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전히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체 부분(250)은 반경방향 연장 다각형 플랜지(252)를 갖는다. 다각형 플랜지(252)는 숄더(22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각형 플랜지(252)는 팔각형 플랜지(252)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각형 플랜지(252)는 오각형 또는 육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이 고려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각형 플랜지(252)는 케이싱 구멍(56)에 수용된다.
본체 부분(250)은, 칸막이벽(140)으로부터 시작하여, 본체 부분(180)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되어 원형 형상을 형성하는 측벽(254)을 추가로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측벽(254)은 직사각형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이 고려되고, 따라서 하나보다 많은 측벽(254)이 있을 수 있음이 고려된다. 측벽(254)은 칸막이벽(140)으로부터 측벽(254)의 전방 단부까지 측정되는 측벽 높이(255)(도 6)를 갖는다. 측벽(254)은 또한 내벽 표면(255) 및 외벽 표면(256)을 갖는다. 측벽(254)은 칸막이 측면(142)과 동일 측면에 있는 측면 공동(258)을 획정한다.
외벽 표면(256)에는 외부 나사부(259)가 획정되어 있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측벽(254) 및 외부 나사부(259)는 함께 커넥터 부분(260)을 형성한다.
2개의 리세스(270)는 외벽 표면(256) 및 다각형 플랜지(252) 상에 축방향으로 획정된다. 따라서, 2개의 리세스(270)는 외부 나사부(259)를 비롯하여, 전체 본체 부분(250)을 따라 축방향으로 획정된다. 리세스(270)는 다른 방식으로 획정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단 하나의 리세스(270)가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3개 이상의 리세스(270)가 있을 수 있다.
본체 부분(250)은 또한 측면 공동(258) 내부에 위치된 2개의 안내 돌출부(272)를 갖는다. 안내 돌출부(272) 중 하나는 측면 공동(258)의 상부면에 위치 설정되고, 다른 안내 돌출부(272)는 측면 공동(258)의 하부면에 위치 설정된다. 2개의 안내 돌출부(272)는, 칸막이벽(140)으로부터 시작하여, 본체 부분(180)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지게 연장되고 내벽 표면(255)에 인접한다. 안내 돌출부(272)는 측벽 높이(255)보다 큰 높이를 가지며, 따라서 안내 돌출부(172)는 측벽(254)의 전방 단부를 넘어 돌출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 하나의 안내 돌출부(272)가 있을 수 있음이 고려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3개 이상의 안내 돌출부(272)가 있을 수 있다. 안내 돌출부(272)가 생략될 수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본체 부분(250)은 또한 측면 공동(258) 내부에 위치된 2개의 원형 돌출부(274)를 갖는다. 원형 돌출부(274) 중 하나는 측면 공동(258)의 좌측에 위치 설정되고, 다른 원형 돌출부(274)는 측면 공동(258)의 우측에 위치 설정된다. 2개의 원형 돌출부(274)는, 칸막이벽(140)으로부터 시작하여, 본체 부분(180)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멀어지게 연장되고 내벽 표면(255)에 인접한다. 원형 돌출부(274)는 측벽 높이(255)와 동일한 돌출 높이를 가지며, 따라서 원형 돌출부(274)는 측벽(254)의 전방 단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원형 돌출부(274)는 원형 돌출부(210)와 동심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오직 하나의 원형 돌출부(274)가 있을 수 있음이 고려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3개 이상의 원형 돌출부(274)가 있을 수 있다. 원형 돌출부(274)가 생략될 수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2개의 원형 돌출부(274) 각각은 테이퍼링 보어 구멍(276)을 획정한다. 원형 돌출부(274)의 수가 상이한 실시예에서, 보어 구멍(276)의 수가 그에 따라 변경될 것이라는 것이 고려된다. 원형 돌출부(274)가 생략된 실시예에서, 보어 구멍(276)은 측벽(254)에서와 같이 본체(110) 상의 다른 곳에 획정될 수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보어 구멍(276)은 원형 돌출부(274)의 상단으로부터 칸막이벽(140)을 지나 원형 돌출부(210) 내로 연장되도록 획정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보어 구멍(276)은 나사형 체결구(6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제,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전기 커넥터(130)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측면 공동(200)을 통해 연장되는 커넥터 핀(146)의 부분은 칸막이 측면(141)으로부터 자유 단부(147)까지 측정되는 핀 높이(151)(도 6)를 갖는다. 커넥터 핀(146)의 핀 높이(151)는 측벽 높이(198)보다 크고, 그에 따라 커넥터 핀(146)은 도 2, 도 4 및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벽(189, 185, 192, 195)의 후방 단부를 지나 연장된다.
측면 공동(200)은 부분적으로 에폭시(201)(도 6에서 가장 잘 보임)로 채워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충전제가 사용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에폭시(201)는 공동의 내부 부분(202)을 완전히 채운다. 에폭시(201)는 커넥터 핀(146)을 본체(110)에 접합하고 또한 커넥터 핀(146)과 대응하는 관통 구멍(145)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공간을 기밀 밀봉한다.
측면 공동(258)을 통해 연장되는 커넥터 핀(146)의 부분은 칸막이 측면(142)으로부터 자유 단부(148)까지 측정되는 핀 높이(153)(도 6)를 갖는다. 커넥터 핀(146)의 핀 높이(153)는 측벽 높이(255)보다 작고, 그에 따라 커넥터 핀(146)은 측벽(254)의 전방 단부를 지나 연장되지 않는다.
이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개스킷(300)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개스킷(300)은 압축되지 않은 축방향 높이(304)를 갖는 X-링 밀봉부(300)이다. 그러나, 몇몇 실시예에서, O-링 밀봉부 또는 정사각형 링 밀봉부와 같은 다른 유형의 링 밀봉부가 사용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X-링 밀봉부(300)의 내경은 본체(110)의 숄더(220) 및 전방 커버(55)의 케이싱 구멍(56) 모두를 둘러쌀 만큼 충분히 크다. X-링 밀봉부(300)의 외경은 플랜지(252)의 외경보다 작다.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X-링 밀봉부(300)는 내경과 외경 사이에서 개스킷(300)의 양 측면에 획정된 리세스(302)로 인해 X의 형상과 유사한 단면을 갖는다.
이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너트(350)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너트(350)는 커넥터 부분(26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부분(350)이다. 너트(350)는 본체(360) 및 플랜지(370)를 갖는다. 본체(360)는 육각형 형상을 갖고, 내부 나사부(362)를 획정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내부 나사부(362)는 외부 나사부(259)에 대해 상보적이다. 플랜지(370)는 본체(360)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어지게 연장되고, 평탄한 에지(372)가 있는 원형 윤곽을 갖는다. 플랜지(370)는 또한 후방 케이싱 맞물림 표면(374)을 갖는다.
도 2를 참조하여, 케이싱(50)에 대한 관통 커넥터(100)의 연결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셀(12)은 전기 커넥터(130)에 연결된 내부 회로 기판(16)에 연결되고, 전기 커넥터는 본체(110)에 연결된다.
개스킷(300)은 숄더(220)를 둘러싸고 플랜지(120)의 맞물림 표면(122)과 맞물린다. 개스킷(300)은 전방 커버(55)와 플랜지(120) 사이에 배치된다.
본체(110)는 케이싱 구멍(56)에 수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다각형 플랜지(252)는 케이싱 구멍(56)에 수용된다. 다각형 플랜지(252) 및 케이싱 구멍(56)이 모두 대응하는 팔각형 형상을 갖는다는 것을 고려하면, 다각형 플랜지(252)가 케이싱 구멍(56) 내로 수용되면, 관통 커넥터(100)는 전방 커버(55)에 대해 회전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싱 구멍(56) 및 다각형 플랜지(252)의 형상은 상이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이 피처가 생략될 수도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이어서, 너트(350)는 그 상보적인 내부 및 외부 나사부(362, 259)를 통해 커넥터 부분(260)에 연결된다. 커넥터 부분(166, 350)이 서로 연결되는 방식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나사 결합 연결과 상이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연결은 원형 클립, 클레비스 핀 또는 다른 유형의 연결일 수 있다. 너트(350)를 커넥터 부분(260)에 조이면, 개스킷(300)이 탄성적으로 압축되어, 기밀 밀봉부를 제공한다. 케이싱(50)에 대한 관통 커넥터(100)의 초기 조립 동안, 본 시나리오에서, 케이싱(50)은 배터리 팩(10)이 조립된 곳에 존재하는 어떤 가스 혼합물(이후, 대기 가스 혼합물로 지칭됨)이든지 자연스럽게 채워진다.
이어서, 외부 전자 회로 기판(18)은, 커넥터 핀(146)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외부 전자 회로 기판(18)을 위치 설정하도록 구성된 안내 돌출부(272) 덕분에, 그리고 보어 구멍(276)에 나사형 체결구(62)를 고정함으로써 외부 전자 회로 기판(18)을 본체 부분(250)에 고정하는 나사형 체결구(62) 덕분에 전기 커넥터(130) 및 본체 부분(250)에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외부 전자 회로 기판(18)은, 예컨대 접착제를 이용하여 또는 클립을 통해 관통 커넥터(100)에 상이하게 연결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이제, 도 14를 참조하여, 관통 커넥터(100)를 갖는 배터리 팩(10)의 케이싱(50)에 가스를 도입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방법은 자동 제어기, 조작자 또는 이 둘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방법은 관통 커넥터(100)가 느슨해지는 단계(400)에서 시작한다. 관통 커넥터(100)는 커넥터 부분(260)으로부터 너트(350)를 풀어서 느슨하게 한다. 너트(350)가 풀릴 때, 가스 제거 및 전달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는, 가스가 오직 가스 제거 및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케이싱(50)에서 빠져나가거나 케이싱에 진입할 수 있도록 케이싱(50) 외부의 관통 커넥터(100) 및 케이싱 구멍(56) 위에 배치되고 이들을 둘러싼다. 몇몇 실시예에서, 너트(350)는 가스 디바이스에 의해 풀릴 수 있다. 일단 너트(350)가 풀리면, 개스킷(300)은 더 이상 탄성적으로 압축되지 않고, 따라서 관통 커넥터(100)와 케이싱(50)은 더 이상 기밀 밀봉되지 않는다.
이후, 단계(410)에서, 케이싱(50) 내부의 대기 가스 혼합물이 제거된다. 대기 가스 혼합물은 가스 제거 및 전달 디바이스와 리세스(270) 덕분에 케이싱(50)으로부터 제거된다. 기밀 밀봉부가 더 이상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가스 제거 및 전달 디바이스는 케이싱(50) 내부로부터 대기 가스 혼합물을 제거할 수 있다. 대기 가스 혼합물은 케이싱(50)의 내부면(52)으로부터 개스킷(300)을 지나 너트(350)와 본체 부분(250) 사이에서 리세스(270)를 통해 케이싱(50)의 외부면(54)으로 유동한다. 결국, 케이싱(50) 내의 모든 대기 가스 혼합물이 제거됨에 따라, 케이싱(50) 내부에 진공이 형성된다.
그 다음, 단계(420)에서, 가스가 케이싱(50) 내로 도입된다. 가스는 가스 제거 및 전달 디바이스를 통해 케이싱(50)에 도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입되는 가스는 불활성 가스인 헬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불활성 가스가 도입되어 케이싱(50) 내의 배터리 팩(10) 및/또는 그 구성요소의 산화를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불활성 가스 또는 불활성 가스 혼합물이 헬륨 대신에 케이싱(50) 내로 도입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비-불활성 가스가 케이싱(50)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단계(410)와 유사하게, 가스 제거 및 전달 디바이스와 리세스(270) 덕분에 헬륨이 케이싱(50)에 도입된다. 도입되는 헬륨은 리세스(270)를 통해 개스킷(300)을 지나 케이싱(50)의 내부면(52)으로 유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헬륨 압력이 대기압을 초과할 때까지 케이싱(50) 내부에 헬륨이 도입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헬륨 압력은 대기압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설명된 바와 같이, 리세스(270)는, 관통 커넥터(100)가 케이싱(50)에 느슨하게 연결될 때, 케이싱(50)의 내부면(52)으로부터 외부면(54)으로 통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케이싱(50) 안팎으로 가스의 통과를 허용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리세스(270)는 커넥터 부분(260) 대신에 너트(350) 상에 획정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리세스(270)는 너트(350)와 커넥터 부분(260) 모두에 획정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430)에서, 관통 커넥터(100)가 조여진다. 관통 커넥터(100)는 너트(350)를 커넥터 부분(260)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조여진다. 몇몇 실시예에서, 너트(350)는 가스 제거 및 전달 디바이스에 의해 나사 결합된다. 너트(350)를 나사 결합하면 결국 개스킷(300)의 탄성 압축 및 전방 커버(55)의 외부면(54)에 대한 너트(350)의 케이싱 맞물림 표면(374)의 맞물림이 초래된다. 개스킷(300)이 충분히 탄성적으로 압축되면, 개스킷(300)은 기밀 밀봉부를 제공하여, 케이싱(50) 내부의 헬륨을 밀봉한다. 본 실시예에서, 개스킷(300)은, 숄더 표면(222)이 전방 커버(55)의 내부면(52)에 맞접하도록 적어도 너트(350)가 나사 결합될 때 충분히 압축된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 커넥터(100)의 숄더 높이(224)는 개스킷(300)이 압축되지 않은 축방향 높이(304)의 17%까지 압축될 수 있도록 개스킷(300)의 압축되지 않은 축방향 높이(304)의 83%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관통 커넥터(100)의 숄더 높이(224)는, 관통 커넥터(100)가 조여질 때, 개스킷(300)이 숄더 표면(222)이 전방 커버(55)의 내부면(52)에 대해 맞접하기 전에 압축되지 않은 축방향 높이(304)의 17% 미만만큼 탄성적으로 압축되도록 개스킷(300)의 압축되지 않은 축방향 높이(304)의 83%보다 클 수 있다. 이 특징은 개스킷(300)이 과도하게 압축되지 않고, 관통 커넥터(100)에 불필요한 부하가 인가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숄더 높이(224)는 개스킷(300)의 압축되지 않은 축방향 높이(304)의 75%보다 클 수 있음이 고려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조일 때, 개스킷(300)은 압축되지 않은 축방향 높이(304)의 25% 미만만큼 탄성적으로 압축될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숄더(220)가 생략될 수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개스킷(300)의 정확한 압축량은 너트(350)가 조여질 때 너트에 인가되는 토크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개스킷(350)은 압축되지 않은 축방향 높이(304)의 10 내지 25%만큼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X-링 밀봉부(300)를 탄성적으로 압축하면 1x10-6 atm-cc/s 미만의 헬륨의 밀봉부가 제공된다. 너트(350)가 조여지면, 가스 제거 및 전달 디바이스가 제거될 수 있다.
본 기술의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대한 수정 및 개선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하게 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본 기술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4)

  1. 기밀 케이싱을 갖는 배터리 팩용 관통 커넥터이며,
    본체로서,
    제1 및 제2 측면을 갖는 기밀 전기 커넥터;
    제1 커넥터 부분을 획정하고 기밀 전기 커넥터의 제1 측면과 동일 측면에 있는 제1 본체 부분;
    제1 본체 부분에 대향하고 기밀 전기 커넥터의 제2 측면과 동일 측면에 있는 제2 본체 부분; 및
    제2 본체 부분에 연결되고 제2 본체 부분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어지게 돌출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플랜지는 맞물림 표면을 갖는, 본체;
    제1 커넥터 부분을 통해 본체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 커넥터 부분으로서, 제1 본체 부분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케이싱 안팎으로 가스 교환을 허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획정하는, 제2 커넥터 부분; 및
    플랜지의 맞물림 표면에 맞접하고 플랜지가 있는 케이싱에 대해 개스킷을 탄성적으로 압축하기 위해 제2 커넥터 부분을 제1 커넥터 부분에 연결함으로써 관통 커넥터와 케이싱 사이에 기밀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개스킷을 포함하고, 개스킷은 제1 본체 부분과 동일한 플랜지 측면에 있는, 관통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커넥터 부분은 외부 나사부를 갖고;
    제2 커넥터 부분은 외부 나사부와 상보적인 내부 나사부를 가지며;
    개스킷은 플랜지의 맞물림 표면에 맞접하고,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커넥터 부분에 나사 결합되고 개스킷이 플랜지에 의해 케이싱에 대해 탄성적으로 압축될 때 관통 커넥터를 케이싱에 기밀 밀봉하는, 관통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기밀 전기 커넥터는:
    본체에 연결되고 복수의 관통 구멍을 획정하는 칸막이벽으로서, 제1 본체 부분과 동일 측면에 있는 제1 측면, 및 제2 본체 부분과 동일 측면에 있는 제2 측면을 갖는, 칸막이벽, 및
    복수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고 칸막이벽의 제1 및 제2 측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돌출되는 복수의 커넥터 핀을 포함하는, 관통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제1 본체 부분은 칸막이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측벽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제1 측벽은 칸막이벽의 제1 측면 상에 배치된 제1 공동을 획정하며,
    복수의 커넥터 핀은 제1 공동 내에서 연장되는, 관통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측벽은 제1 높이를 갖고;
    복수의 커넥터 핀의 각각의 커넥터 핀은 제1 공동 내에 그리고 칸막이벽의 제1 측면 상에 배치된 커넥터 핀의 제1 자유 단부 사이에 획정된 제1 핀 높이를 갖고, 제1 높이는 제1 핀 높이보다 큰, 관통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제2 본체 부분은 칸막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측벽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측벽은 칸막이벽의 제2 측면 상에 배치된 제2 공동을 획정하며,
    복수의 커넥터 핀은 제2 공동 내에서 연장되는, 관통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측벽은 제2 높이를 갖고;
    복수의 커넥터 핀의 각각의 커넥터 핀은 제1 자유 단부에 대향하는 제2 자유 단부 사이에 획정된 제2 핀 높이를 갖고, 제2 자유 단부는 제2 공동 내에 그리고 칸막이벽의 제2 측면 상에 배치되며, 제2 높이는 제2 핀 높이보다 짧은, 관통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제2 공동은 복수의 커넥터 핀을 본체에 접합하고 복수의 커넥터 핀과 복수의 관통 구멍 사이의 공간을 기밀 밀봉하기 위한 접착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지는, 관통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본체, 제2 커넥터 부분 및 개스킷은 전기 절연 재료로 제조되는, 관통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본체는 사출 성형된 폴리머 재료로 형성되고, 플랜지는 맞물림 표면 상에 플래시 라인이 없는, 관통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개스킷은 X-링 밀봉부인, 관통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제2 커넥터 부분이 제1 커넥터 부분에 연결되고 개스킷이 관통 커넥터를 케이싱에 대해 기밀 밀봉할 때, 개스킷은 10 내지 25%만큼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관통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제2 본체 부분은 케이싱에 맞접하기 위한 숄더 표면을 갖는 반경방향 연장 숄더를 획정하고,
    플랜지는 숄더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플랜지의 맞물림 표면과 숄더 표면 사이의 축방향 거리는 개스킷의 압축되지 않은 축방향 치수의 75%보다 큰, 관통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플랜지의 맞물림 표면과 숄더 표면 사이의 축방향 거리는 개스킷의 압축되지 않은 축방향 치수의 83% 이상인, 관통 커넥터.
  15. 제1항에 있어서, 제1 본체 부분은 관통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팩의 케이싱에 획정된 구멍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반경방향 연장 다각형 플랜지를 갖는, 관통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다각형 플랜지는 팔각형 형상을 갖는, 관통 커넥터.
  17. 제1항에 있어서, 제1 본체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형 체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어 구멍을 획정하는, 관통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 본체 부분은 칸막이벽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돌출부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안내 돌출부는 복수의 커넥터 핀과의 작동 연결을 위해 전자 회로 기판을 위치 설정하도록 구성되며, 전자 회로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보어 구멍을 통해 제1 본체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형 체결구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관통 커넥터.
  1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획정하는 제1 본체 부분 및 제2 커넥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본체 부분인, 관통 커넥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제1 본체 부분의 반경방향 외부 표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되는, 관통 커넥터.
  21. 제1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제1 리세스 및 제2 리세스를 포함하는, 관통 커넥터.
  22. 배터리 팩이며,
    케이싱;
    애노드 및 캐소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셀 - 적어도 하나의 셀은 케이싱 내부에 배치됨 -;
    케이싱에 연결되고 케이싱을 통해 연장되는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관통 커넥터; 및
    적어도 하나의 셀과 케이싱 내부의 관통 커넥터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23. 배터리 팩용 기밀 밀봉 가능한 케이싱에 적어도 하나의 가스를 도입하는 방법이며,
    케이싱에 고정되고 케이싱을 통해 연장되는 관통 커넥터를 느슨하게 하는 단계로서, 관통 커넥터는 관통 커넥터의 플랜지와 케이싱의 내부 표면 사이에 배치된 개스킷을 갖고, 개스킷은 관통 커넥터가 삽입되는 케이싱의 구멍을 둘러싸며, 관통 커넥터를 느슨하게 하여 개스킷과 케이싱의 내부 표면 사이의 가스 통과를 허용하는, 단계;
    관통 커넥터를 느슨하게 한 후, 관통 커넥터에 의해 획정되고 케이싱의 외부에 배치된 리세스를 통해 케이싱 내에 수용된 가스를 제거하는 단계로서, 제거되는 가스는 케이싱으로부터 개스킷을 지나 리세스를 통해 순차적으로 유동하는, 단계;
    케이싱 내에 수용된 가스를 제거한 후, 리세스를 통해 케이싱에 적어도 하나의 가스를 도입하는 단계로서, 도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는 리세스를 통해 개스킷을 지나 케이싱 내로 순차적으로 유동하는, 단계; 및
    케이싱의 구멍을 통한 그리고 관통 커넥터의 리세스를 통한 가스의 통과를 방지하는 기밀 밀봉부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가스를 도입한 후, 플랜지와 케이싱의 내부 표면 사이의 개스킷을 탄성적으로 압축하도록 관통 커넥터를 조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스는 불활성 가스인, 방법.
KR1020227040285A 2020-04-22 2021-04-21 배터리 팩용 관통 커넥터,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용 기밀 밀봉 가능한 케이싱에 적어도 하나의 가스를 도입하는 방법 KR202300035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13780P 2020-04-22 2020-04-22
US63/013,780 2020-04-22
PCT/CA2021/050546 WO2021212224A1 (en) 2020-04-22 2021-04-21 Pass-through connector for a battery pack, battery pack, and method for introducing at least one gas in a hermetically sealable casing for a battery pa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537A true KR20230003537A (ko) 2023-01-06

Family

ID=78222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0285A KR20230003537A (ko) 2020-04-22 2021-04-21 배터리 팩용 관통 커넥터,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용 기밀 밀봉 가능한 케이싱에 적어도 하나의 가스를 도입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456558B2 (ko)
EP (1) EP4139989A1 (ko)
JP (1) JP2023523595A (ko)
KR (1) KR20230003537A (ko)
CN (1) CN115485930A (ko)
CA (1) CA3173691A1 (ko)
WO (1) WO202121222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7610A (en) * 1992-12-21 1994-01-11 Molex Incorporated Sealing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s
GB9416217D0 (en) * 1994-08-11 1994-10-05 Amp Great Britain A fuel pump unit and an electrical connector therefor
JP3991670B2 (ja) * 2001-12-06 2007-10-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1692501B (zh) 2005-05-17 2012-08-2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蓄电池和绝缘材料及使用该绝缘材料的电池容器
US20100190375A1 (en) * 2009-01-27 2010-07-29 Rohde Daniel F Connector receptacle with molded front nut gasket
TWM401877U (en) * 2010-11-08 2011-04-11 han-xi Huang Water-proof battery box
KR101273193B1 (ko) * 2010-11-30 2013-06-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고전압 배터리용 커넥터의 설치구조
US9413099B2 (en) * 2012-03-01 2016-08-09 Molex, Llc Feed through panel connector with seal
WO2017104942A1 (ko) 2015-12-18 2017-06-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FR3085556A1 (fr) 2018-09-04 2020-03-06 Exoes Connecteur electrique hermetique pour equiper un module electrique comprenant une pluralite de cellules de batteries immergees dans un fluide dielectrique
JP2020140818A (ja) * 2019-02-27 2020-09-0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485930A (zh) 2022-12-16
US20210336375A1 (en) 2021-10-28
EP4139989A1 (en) 2023-03-01
WO2021212224A1 (en) 2021-10-28
US11456558B2 (en) 2022-09-27
CA3173691A1 (en) 2021-10-28
JP2023523595A (ja) 202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8902B2 (en) Connector
JP7046167B2 (ja) パックハウジング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US9039454B2 (en) Busbar module and power supply unit including same busbar module
CN107836048B (zh) 电池模块、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和包括电池组的车辆
US10559430B2 (en) Power storage module
US7682204B2 (en) Electrical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657621B2 (en) Connector apparatus
US9211852B2 (en) Conductive plate and joint connector
US20100216323A1 (en) Connector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EP1988606A1 (en) Waterproof structure for connector housing
JP2002508581A (ja) バッテリ・システム電気接続装置および方法
US4337301A (en) Aircraft battery
KR101944957B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N104937740A (zh) 用于电化学装置电互连的装置及方法
CN111433936B (zh) 电池组连接器和包括其的电池组
KR20230003537A (ko) 배터리 팩용 관통 커넥터,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용 기밀 밀봉 가능한 케이싱에 적어도 하나의 가스를 도입하는 방법
WO2012029995A1 (en) Busbar module and power supply unit including same busbar module
CN205583211U (zh) 连接件、连接器、对配连接件、对配连接器及连接组件
JP7359943B2 (ja) Hvターミナルに対する気密性が確保された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含む電池パック
JP7185584B2 (ja) コネクタ取付構造
KR102647222B1 (ko) 터미널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US7358702B2 (en) Storage battery with auxiliary terminals
CN220066205U (zh) 一种连接器
US4419815A (en) Method of making an aircraft battery
CN116169517A (zh) 一种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