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946A - 스톱 밸브 - Google Patents

스톱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946A
KR20230002946A KR1020227040731A KR20227040731A KR20230002946A KR 20230002946 A KR20230002946 A KR 20230002946A KR 1020227040731 A KR1020227040731 A KR 1020227040731A KR 20227040731 A KR20227040731 A KR 20227040731A KR 20230002946 A KR20230002946 A KR 20230002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avity
sealing
valve cor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0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광후이 지앙
Original Assignee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2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6Attachment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16K1/38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ps Or Cocks (AREA)
  • Lift Valve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스톱 밸브에 있어서, 상기 스톱 밸브는 밸브 시트(1) 및 밸브 코어(2)를 포함한다. 밸브 시트(1)에는 밸브 캐비티(11)가 설치되고, 밸브 캐비티(11)에는 내부 테이퍼형면(113)과 내부 기둥형면(114)이 설치된다. 내부 테이퍼형면(113)의 직경이 비교적 작은 일단은 내부 기둥형면(114)과 연결되어 하나의 밀봉 모서리(115)를 형성한다. 밸브 코어(2)는 밀봉면(21)을 구비한다. 밸브 코어(2)는 밸브 캐비티(11)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밸브 캐비티(11)를 차단 또는 연통시킨다. 밸브 코어(2)가 밸브 캐비티(11)를 차단하면, 밀봉 모서리(115)는 밀봉면(21)을 가압하여 밀봉을 형성한다. 또한 밸브 코어(2)의 밀봉면(21)과 내부 테이퍼형면(113) 사이는 협각(a)을 형성하며, 협각(a)은 1° 내지 10°이다.

Description

스톱 밸브
본 출원은 2020년 5월 18일 출원된 출원번호는 202020848411.7이고 발명의 명칭은 "스톱 밸브"인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는 본 출원에 전체로서 인용되었다.
본 출원은 밸브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톱 밸브에 관한 것이다.
스톱 밸브는 글로브 밸브로 불리기도 하는 것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밸브 중 하나이다. 스톱 밸브가 주목 받는 이유는, 스톱 밸브 개폐 과정에서 밸브 코어와 밸브 캐비티 사이의 마찰력이 작아 비교적 내구성이 있고 개방 높이가 크지 않고 제조가 용이하며 유지보수가 편리하기 때문이다. 이는 중저압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고압에도 적합하다.
종래 기술에서 스톱 밸브에는 밀봉 단차가 설치된다. 밀봉 단차의 에지는 직각을 이루며, 밀봉 단차는 스톱 밸브의 밸브 코어 상의 밀봉면을 가압하여 밀봉을 형성한다. 밀봉 시, 밀봉 단차의 직각 지점 모서리변을 통해 밸브 코어의 밀봉면을 압출하며, 밸브 코어의 밀봉면 상에 비교적 깊은 압흔이 생긴다. 사용 과정에서 밸브 코어에 편심이 발생하면 밀봉이 느슨해지기 쉽고, 스톱 밸브에 누출이 발생하기 쉽다.
이를 감안하여, 종래 기술에서 밀봉 단차가 밀봉면 상에 매우 깊은 함몰을 남겨 밸브 편심으로 인해 밀봉이 느슨해지고 스톱 밸브에 누설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스톱 밸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은 밸브 시트 및 밸브 코어를 포함하는 스톱 밸브를 제공한다. 밸브 시트에는 밸브 캐비티가 설치된다. 밸브 캐비티에는 내부 테이퍼형면 및 내부 기둥형면이 설치된다. 내부 테이퍼형면의 직경이 비교적 작은 일단은 내부 기둥형면과 연결되어 하나의 밀봉 모서리를 형성한다. 밸브 코어는 밀봉면을 구비한다. 밸브 코어는 밸브 캐비티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밸브 캐비티를 차단 또는 연통시킨다. 밸브 코어가 밸브 캐비티를 차단하면, 밀봉 모서리가 밀봉면을 가압하여 밀봉을 형성한다. 또한 밸브 코어의 밀봉면과 내부 테이퍼형면 사이는 협각을 형성하며, 협각은 1° 내지 10°이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스톱 밸브는 주로 밸브 시트 상의 밀봉 모서리를 이용하여 밸브 코어 상의 밀봉면을 가압한다. 통상적으로 곡면 상의 각각의 지점에는 모두 하나의 접평면이 구비된다. 따라서 밀봉 모서리와 밀봉면의 각각의 접촉점은 모두 상응하는 접평면을 구비한다. 힘의 분해에서 알 수 있듯이, 밀봉 모서리가 밀봉면 상에 작용하는 힘은 접평면에 수직인 힘과 접평면과 평행한 힘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접평면과 평행한 힘은 밀봉면을 변형시킬 수 없으며, 접평면에 수직인 힘만 밀봉면을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공식 P=F/S에서 알 수 있듯이, P는 압축강도를 나타내고, F는 압력을 나타내며, S는 접촉면적을 나타낸다. 동일한 압력 작용 하에서, 접촉면적이 클수록 압축강도가 작아진다. 밀봉 모서리가 밀봉면에 압력을 인가하면, 밸브 코어의 밀봉면은 미세한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밀봉면과 거리가 비교적 근접한 내부 테이퍼형면과 밀봉면 사이의 협각은 1° 내지 10°이며, 내부 테이퍼형면과 밀봉면은 접합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밸브 코어의 밀봉면이 미세한 변형을 일으키는 순간, 밸브 시트의 내부 테이퍼형면과 밸브 코어의 밀봉면의 접촉면적이 급증하여, 밀봉면이 받는 압축강도가 급감할 수 있다. 이는 밸브 코어의 밀봉면 지점이 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밀봉 모서리는 밀봉면 상에 비교적 큰 압흔을 쉽게 발생시키기 않으며, 밸브 코어에 편심이 일어날 때 틈을 쉽게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톱 밸브는 쉽게 누출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 모서리와 밀봉면 사이는 선 밀봉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면은 테이퍼면 또는 구면이다. 밀봉면은 테이퍼면이며, 구조가 간단하고 가공이 용이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밀봉면은 구면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협각은 2° 내지 5°이다. 밀봉면과 내부 테이퍼형면 사이의 협각이 2° 내지 5°이면, 밀봉면 상에 압흔이 쉽게 형성되지 않아, 밸브 코어와 밸브 시트 사이의 우수한 밀봉 성능이 보장된다. 또한 스톱 밸브의 가공 난이도가 비교적 낮아, 스톱 밸브의 가공 비용을 절감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 모서리는 밸브 캐비티를 제1 캐비티와 제2 캐비티로 분할한다. 제1 캐비티는 밸브 캐비티의 내부 테이퍼형면이 설치된 일측에 위치하고, 제2 캐비티는 밸브 캐비티의 내부 기둥형면이 설치된 일측에 위치한다. 밸브 시트에는 제1 채널, 제2 채널 및 제3 채널이 설치되고, 제1 채널은 제2 캐비티와 연통된다. 제2 채널과 제3 채널은 모두 제1 캐비티와 연통된다. 밸브 코어는 밸브 캐비티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밸브 캐비티를 차단 또는 연통시키고, 밀봉 모서리는 밸브 캐비티를 제1 캐비티와 제2 캐비티로 분할한다. 따라서 밸브 코어는 제1 캐비티와 제2 캐비티를 차단 또는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 시트에는 제1 채널이 설치되고, 제1 채널은 제2 캐비티와 연통된다. 밸브 시트에는 제2 채널과 제3 채널이 더 설치되며, 제2 채널과 제3 채널은 모두 제1 캐비티와 연통된다. 따라서 밸브 코어는 제1 캐비티와 제2 캐비티를 차단함으로써, 제2 채널과 제1 채널의 연통, 및 제3 채널과 제1 채널의 연통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다. 밸브 코어가 제1 캐비티와 제2 캐비티를 연통시키면, 제2 채널 및 제3 채널과 제1 채널을 동시에 연통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면은 밸브 코어의 밀봉 모서리에 근접한 일단에 설치된다. 밸브 코어가 밀봉 모서리에 근접한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밸브 코어의 단부는 밀봉 모서리 지점까지 이동하여 밀봉면을 밀봉 모서리에 가깝게 만들어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밀봉면이 밸브 코어의 밀봉 모서리에 근접한 일단에 설치되며, 밸브 코어는 너무 길게 설계할 필요가 없으며 밸브 코어가 너무 긴 거리를 이동할 필요 없이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제어가 용이하고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시트와 밸브 코어 사이는 나사산에 의해 연결되며, 밸브 코어의 밀봉면에서 먼 일단에는 회전홀이 설치된다. 밸브 시트와 밸브 코어 사이는 나사산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을 신뢰할 수 있고 안정성이 우수하며 밸브 캐비티 내에서 밸브 코어가 안정적으로 이동하여 밸브 캐비티를 차단 또는 연통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 밸브 코어의 밀봉면에서 먼 일단에는 회전홀이 설치된다. 제어 도구는 회전홀에 삽입하여 회전홀과 매칭시킴으로써, 밸브 코어를 회전시키고 밸브 코어를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홀 설치를 통해 제어 도구의 연결 용이성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제어 도구를 통한 밸브 코어의 이동을 제어하는 조작도 더욱 간편해졌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홀은 육각형 회전홀이다. 육각형 회전홀은 육각 스패너와 매칭될 수 있다. 육각 스패너로 육각형 회전홀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육각형 회전홀과 육각 스패너 사이에는 6개의 접촉면이 있다. 따라서 육각형 회전홀이 균형적으로 힘을 받아 밸브 코어가 쉽게 손상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코어와 밸브 시트 사이에는 밀봉링이 설치된다. 밸브 코어와 밸브 시트 사이에 밀봉링을 설치함으로써, 밸브 코어와 밸브 시트의 연결 밀봉성을 대폭 증가시켜 밸브 코어 이동 시 밸브 코어와 밸브 시트 사이에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코어와 밸브 캐비티의 마손을 감소시켜 스톱 밸브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코어 외주측에는 환형의 오목홈이 설치되며, 밀봉링은 오목홈 내에 설치된다. 밸브 코어 외주측에 환형의 오목홈을 설치하고, 밀봉링을 오목홈 내에 설치한다. 장착 시, 밀봉링을 오목홈 내에 직접 장착할 수 있어 장착이 편리하다. 또한 밸브 코어가 밸브 시트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 밀봉링은 마찰력 작용으로 인한 변위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밀봉링의 우수한 밀봉 성능이 보장된다. 또한 밀봉링은 고무 부재이다. 고무 부재는 비교적 강한 탄성을 가지므로, 압출될 때 우수한 밀봉성을 형성할 수 있다. 동시에 고무 부재의 내마모성이 비교적 높아, 밸브 코어가 여러 차례 이동하더라도 밀봉링이 쉽게 마손되지 않는다. 또한 고무 부재의 가격이 비교적 낮아 스톱 밸브의 생산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출원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톱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톱 밸브의 A 지점 구조의 확대도이다.
주요 부재의 부호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즉, 1는 밸브 시트, 11은 밸브 캐비티, 111은 제1 캐비티, 112는 제2 캐비티, 113은 내부 테이퍼형면, 114는 내부 기둥형면, 115는 밀봉 모서리, 12는 제1 채널, 13은 제2 채널, 14는 제3 채널, 2는 밸브 코어, 21은 밀봉면, 22는 회전홀, 23은 오목홈, 3은 밀봉링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첨부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출원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 실시방식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 실시방식의 기술적 해결책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방식은 본 출원의 전부가 아닌 일부 실시방식일 뿐이다. 본 출원의 실시방식을 기반으로 창의적인 작업 없이 당업자에 의해 획득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장착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장착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설치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설치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고정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출원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하다. 본원에서 본 출원의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또는/및"은 하나 이상의 관련하여 나열된 항목의 임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출원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톱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톱 밸브의 부분 구조의 확대도이다. 상기 스톱 밸브는 밸브 시트(1) 및 밸브 코어(2)를 포함한다. 밸브 시트(1)에는 밸브 캐비티(11)가 설치되고, 밸브 캐비티(11)에는 내부 테이퍼형면(113)과 내부 기둥형면(114)이 설치된다. 내부 테이퍼형면(113)의 직경이 비교적 작은 일단은 내부 기둥형면(114)과 연결되어 하나의 밀봉 모서리(115)를 형성한다. 밸브 코어(2)는 밀봉면(21)을 구비한다. 밸브 코어(2)는 밸브 캐비티(11)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밸브 캐비티(11)를 차단 또는 연통시킨다. 밸브 코어(2)가 밸브 캐비티(11)를 차단하면, 밀봉 모서리(115)는 밀봉면(21)을 가압하여 밀봉을 형성한다. 또한 밸브 코어(2)의 밀봉면(21)과 내부 테이퍼형면(113) 사이는 협각(a)을 형성하며, 협각(a)은 1° 내지 10°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톱 밸브는 주로 밸브 시트(1) 상의 밀봉 모서리(115)를 이용해 밸브 코어(2) 상의 밀봉면(21)을 가압한다. 통상적으로 곡면 상의 각각의 지점에는 모두 하나의 접평면이 구비된다. 따라서 밀봉 모서리(115)와 밀봉면(21)의 각각의 접촉점은 모두 상응하는 접평면을 구비한다. 힘의 분해에서 알 수 있듯이, 밀봉 모서리(115)가 밀봉면(21) 상에 작용하는 힘은 접평면에 수직인 힘과 접평면과 평행한 힘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접평면과 평행한 힘은 밀봉면(21)을 변형시킬 수 없으며, 접평면에 수직인 힘만 밀봉면(21)을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공식 P=F/S에서 알 수 있듯이, P는 압축강도를 나타내고, F는 압력을 나타내며, S는 접촉면적을 나타낸다. 동일한 압력 작용 하에서, 접촉면적이 클수록 압축강도가 작아진다. 밀봉 모서리(115)가 밀봉면(21)에 압력을 인가하면, 밸브 코어(2)의 밀봉면(21)은 미세한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밀봉면(21)과 거리가 비교적 근접한 내부 테이퍼형면(113)과 밀봉면(21) 사이의 협각(a)은 1° 내지 10°이며, 내부 테이퍼형면(113)과 밀봉면(21)은 접합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밸브 코어(2)의 밀봉면(21)이 미세한 변형을 일으키는 순간, 밸브 시트(1)의 내부 테이퍼형면(113)과 밸브 코어(2)의 밀봉면(21)의 접촉면적이 급증하여, 밀봉면(21)이 받는 압축강도가 급감할 수 있다. 이는 밸브 코어(2)의 밀봉면(21) 지점이 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밀봉 모서리(115)는 밀봉면(21) 상에 비교적 큰 압흔을 쉽게 발생시키기 않으며, 스톱 밸브도 쉽게 누출이 발생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 모서리(115)와 밀봉면(21) 사이는 선 밀봉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밀봉면(21)은 테이퍼면 또는 구면이다. 밀봉면(21)은 테이퍼면이며, 구조가 간단하고 가공이 용이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밀봉면(21)은 구면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협각(a)은 2° 내지 5°이다. 밀봉면(21)과 내부 테이퍼형면(113) 사이의 협각(a)이 2° 내지 5°이면, 밀봉면(21) 상에 압흔이 쉽게 형성되지 않아, 밸브 코어(2)와 밸브 시트(1) 사이의 우수한 밀봉 성능이 보장된다. 또한 스톱 밸브의 가공 난이도가 비교적 낮아, 스톱 밸브의 가공 비용을 절감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모서리(115)는 밸브 캐비티(11)를 제1 캐비티(111)와 제2 캐비티(112)로 분할한다. 제1 캐비티(111)는 밸브 캐비티(11)의 내부 테이퍼형면(113)이 설치된 일측에 위치하고, 제2 캐비티(112)는 밸브 캐비티(11)의 내부 기둥형면(114)이 설치된 일측에 위치한다. 밸브 시트(1)에는 제1 채널(12), 제2 채널(13) 및 제3 채널(14)이 설치되고, 제1 채널(12)은 제2 캐비티(112)와 연통된다. 제2 채널(13)과 제3 채널(14)은 모두 제1 캐비티(111)와 연통된다. 밸브 코어(2)는 밸브 캐비티(11)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밸브 캐비티(11)를 차단 또는 연통시키고, 밀봉 모서리(115)는 밸브 캐비티(11)를 제1 캐비티(111)와 제2 캐비티(112)로 분할한다. 따라서 밸브 코어(2)는 제1 캐비티(111)와 제2 캐비티(112)를 차단 또는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 시트(1)에는 제1 채널(12)이 설치되고, 제1 채널(12)은 제2 캐비티(112)와 연통된다. 밸브 시트(1)에는 제2 채널(13)과 제3 채널(14)이 더 설치되며, 제2 채널(13)과 제3 채널(14)은 모두 제1 캐비티(111)와 연통된다. 따라서 밸브 코어(2)는 제1 캐비티(111)와 제2 캐비티(112)를 차단함으로써, 제2 채널(13)과 제1 채널(12)의 연통, 및 제3 채널(14)과 제1 채널(12)의 연통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다. 밸브 코어(2)가 제1 캐비티(111)와 제2 캐비티(112)를 연통시키면, 제2 채널(13) 및 제3 채널(14)과 제1 채널(12)을 동시에 연통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면(21)은 밸브 코어(2)의 밀봉 모서리(115)에 근접한 일단에 설치된다. 밸브 코어(2)가 밀봉 모서리(115)에 근접한 방향을 향해 이동하면, 밸브 코어(2)의 단부는 밀봉 모서리(115) 지점까지 이동하여 밀봉면(21)을 밀봉 모서리(115)에 가깝게 만들어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밀봉면(21)이 밸브 코어(2)의 밀봉 모서리(115)에 근접한 일단에 설치되며, 밸브 코어(2)는 너무 길게 설계할 필요가 없으며 밸브 코어(2)가 너무 긴 거리를 이동할 필요 없이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제어가 용이하고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시트(1)와 밸브 코어(2) 사이는 나사산에 의해 연결되고, 밸브 코어(2)는 밀봉면(21)에서 먼 일단에 회전홀(22)이 설치된다. 밸브 시트(1)와 밸브 코어(2) 사이는 나사산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을 신뢰할 수 있고 안정성이 우수하며 밸브 캐비티(11) 내에서 밸브 코어(2)가 안정적으로 이동하여 밸브 캐비티(11)를 차단 또는 연통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 밸브 코어(2)의 밀봉면(21)에서 먼 일단에는 회전홀(22)이 설치된다. 제어 도구는 회전홀(22)에 삽입하여 회전홀(22)과 매칭시킴으로써, 밸브 코어(2)를 회전시키고 밸브 코어(2)를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홀(22) 설치를 통해 제어 도구의 연결 용이성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제어 도구를 통한 밸브 코어(2)의 이동을 제어하는 조작도 더욱 간편해졌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홀(22)은 육각형 회전홀(22)이다. 육각형 회전홀(22)은 육각 스패너와 매칭될 수 있다. 육각 스패너로 육각형 회전홀(22)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육각형 회전홀(22)과 육각 스패너 사이에는 6개의 접촉면이 있다. 따라서 육각형 회전홀(22)이 균형적으로 힘을 받아 밸브 코어(2)가 쉽게 손상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코어(2)와 밸브 시트(1) 사이에는 밀봉링(3)이 설치된다. 밸브 코어(2)와 밸브 시트(1) 사이에 밀봉링(3)을 설치함으로써, 밸브 코어(2)와 밸브 시트(1)의 연결 밀봉성을 대폭 증가시켜 밸브 코어(2) 이동 시 밸브 코어(2)와 밸브 시트(1) 사이에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코어(2)와 밸브 캐비티(11)의 마손을 감소시켜 스톱 밸브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코어(2) 외주측에는 환형의 오목홈(23)이 설치되며, 밀봉링(3)은 오목홈(23) 내에 설치된다. 밸브 코어(2) 외주측에 환형의 오목홈(23)을 설치하고, 밀봉링(3)을 오목홈(23) 내에 설치한다. 장착 시, 밀봉링(3)을 오목홈(23) 내에 직접 장착할 수 있어 장착이 편리하다. 또한 밸브 코어(2)가 밸브 시트(1)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 밀봉링(3)은 마찰력 작용으로 인한 변위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밀봉링(3)의 우수한 밀봉 성능이 보장된다.
구체적으로, 밸브 시트(1) 상에는 암나사산이 설치된다. 밸브 코어(2) 외주에는 상기 암나사산과 나사산 연결되는 수나사산이 설치된다. 상기 수나사산은 오목홈(23)과 밸브 코어(2)의 밀봉면(21)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밀봉링(3)은 고무 부재이다. 고무 부재는 비교적 강한 탄성을 가지므로, 압출될 때 우수한 밀봉성을 형성할 수 있다. 동시에 고무 부재의 내마모성이 비교적 높아, 밸브 코어(2)가 여러 차례 이동하더라도 밀봉링(3)이 쉽게 마손되지 않는다. 또한 고무 부재의 가격이 비교적 낮아 스톱 밸브의 생산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된다.
상기 실시방식의 각 기술적 특징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실시방식 중 각 기술적 특징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설명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의 조합에 모순이 없는 한 이는 모두 본 발명에 기술된 범위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실시예가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을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한다. 본 출원의 사상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를 적절하게 변경 및 수정한 것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스톱 밸브에 있어서,
    밸브 캐비티가 설치된 밸브 시트 - 상기 밸브 캐비티에는 내부 테이퍼형면 및 내부 기둥형면이 설치되고, 상기 내부 테이퍼형면의 직경이 비교적 작은 일단은 상기 내부 기둥형면과 연결되어 하나의 밀봉 모서리를 형성함 - ; 및
    밀봉면을 구비한 밸브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코어는 상기 밸브 캐비티 내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밸브 캐비티를 차단 또는 연통시키고, 상기 밸브 코어가 상기 밸브 캐비티를 차단하면, 상기 밀봉 모서리가 상기 밀봉면을 가압하여 밀봉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 코어의 밀봉면과 상기 내부 테이퍼형면 사이는 협각(a)을 형성하고, 상기 협각(a)은 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톱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모서리와 상기 밀봉면 사이는 선 밀봉인 스톱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면은 테이퍼면 또는 구면인 스톱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각(a)은 2° 내지 5°인 스톱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모서리는 상기 밸브 캐비티를 제1 캐비티와 제2 캐비티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캐비티는 상기 밸브 캐비티의 내부 테이퍼형면이 설치된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캐비티는 상기 밸브 캐비티의 내부 기둥형면이 설치된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밸브 시트에는 제1 채널, 제2 채널 및 제3 채널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제2 캐비티와 연통되고, 상기 제2 채널과 상기 제3 채널은 모두 상기 제1 캐비티와 연통되는 스톱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면은 상기 밸브 코어의 상기 밀봉 모서리에 근접한 일단에 설치되는 스톱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 코어 사이는 나사산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밸브 코어는 상기 밀봉면에서 먼 일단에 회전홀이 설치되는 스톱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홀은 육각형 회전홀인 스톱 밸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코어와 상기 밸브 시트 사이에 밀봉링이 설치되는 스톱 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코어 외주측에 환형의 오목홈이 설치되고, 상기 밀봉링은 상기 오목홈 내에 설치되는 스톱 밸브.
KR1020227040731A 2020-05-18 2021-04-25 스톱 밸브 KR202300029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0848411.7U CN212899738U (zh) 2020-05-18 2020-05-18 截止阀
CN202020848411.7 2020-05-18
PCT/CN2021/089672 WO2021233076A1 (zh) 2020-05-18 2021-04-25 截止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946A true KR20230002946A (ko) 2023-01-05

Family

ID=7526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0731A KR20230002946A (ko) 2020-05-18 2021-04-25 스톱 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525672A (ko)
KR (1) KR20230002946A (ko)
CN (1) CN212899738U (ko)
WO (1) WO20212330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899738U (zh) * 2020-05-18 2021-04-06 盾安(芜湖)中元自控有限公司 截止阀
CN114517753B (zh) * 2022-02-16 2023-05-30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开关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0012A (ja) * 1994-03-24 1995-10-13 Tosok Corp 流量制御弁
US6820857B1 (en) * 2002-11-07 2004-11-23 Noshok, Inc. Needle valve with soft tip stem
JP2004198092A (ja) * 2002-12-20 2004-07-15 Hayakawa Seisakusho:Kk ガスコンロの器具栓
CN207393964U (zh) * 2017-09-16 2018-05-22 浙江百鼎斯阀业有限公司 一种截止阀
CN208719371U (zh) * 2018-08-28 2019-04-09 易速泵阀科技有限公司 易速截止阀
CN209494939U (zh) * 2018-12-15 2019-10-15 江苏兴亚船用阀门有限公司 设有锥形阀塞的直通截止阀
CN212899738U (zh) * 2020-05-18 2021-04-06 盾安(芜湖)中元自控有限公司 截止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25672A (ja) 2023-06-19
CN212899738U (zh) 2021-04-06
WO2021233076A1 (zh)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559B1 (ko) 자체 밀봉 버터플라이 밸브
KR20230002946A (ko) 스톱 밸브
JPS5825177Y2 (ja) ボ−ル弁等におけるシ−トリング装置
US20220228664A1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CN215487978U (zh) 一种防微泄漏闸阀
CN213117571U (zh) 一种硬密封固定球阀
US20130032747A1 (en) Face sealing annular valve for a fluid-working machine
TW201918652A (zh) 密封件
US20210003152A1 (en) Seal structure in hydraulic cylinder, and said hydraulic cylinder
CN216519658U (zh) 一种新型双向压旋球阀的密封结构
WO2022151760A1 (zh) 一种控制阀
CN111022655B (zh) 一种双向可靠截止密封的气控阀
CN217927191U (zh) 一种蝶阀的三重密封结构
CN112797219A (zh) 一种具有导向结构的气动隔膜阀驱动气缸
CN218152386U (zh) 一种双向软密封蝶阀
KR101867146B1 (ko) 시트 가압형 축 중심 버터 플라이 밸브
CN218293802U (zh) 一种气阀的密封结构
CN220416267U (zh) 双向密封低温蝶阀
CN216951768U (zh) 整体式双向密封球阀阀座
CN217123028U (zh) 一种精密阀内件密封装配工装
CN218207912U (zh) 蝶型偏心旋球阀
CN215371025U (zh) 一种单向阀平面密封机构
CN215445106U (zh) 一种密封性强的阀杆
WO2024061190A1 (zh) 一种阀装置
CN217874204U (zh) 一种截止阀防止过度拧紧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