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744A -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유전체 클램쉘 커넥터를 갖는 케이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유전체 클램쉘 커넥터를 갖는 케이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744A
KR20230002744A KR1020227039844A KR20227039844A KR20230002744A KR 20230002744 A KR20230002744 A KR 20230002744A KR 1020227039844 A KR1020227039844 A KR 1020227039844A KR 20227039844 A KR20227039844 A KR 20227039844A KR 20230002744 A KR20230002744 A KR 20230002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portions
cable
hous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9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 린
나단 윌리엄 스완거
존 웨슬리 홀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비티 솔루션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비티 솔루션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비티 솔루션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02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7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di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터 어셈블리에서의 사용을 위해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커넥터는 유전체 재료로 제조된 하우징(44)을 갖는다. 하우징(44)은 케이블(10)의 노출된 도체들(18, 20)을 수용하도록 치수화되는 제1 도체 수용 개구부(68) 및 제2 도체 수용 개구부(68)를 갖는다. 제1 도체 수용 개구부(68) 및 제2 도체 수용 개구부(68)는 도체 수용 부분들(41, 49)을 가지며, 도체 수용 부분들(41, 49)은 하우징(44)의 길이 축(45)에 대해 각도(71)를 가지고 연장된다. 제1 도체 수용 개구부(68) 및 제2 도체 수용 개구부(68)는 도체 수용 부분들(41, 49)로부터 연장되는 도체 간격 부분들(43, 51)을 갖는다. 도체 간격 부분들(43, 51)은 본질적으로 하우징(44)의 길이 축(45)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간격 부분들(43, 51)은 거리만큼 이격된다. 유전체 재료 및 도체 간격 부분들이 이격되는 거리(47)는 케이블(10)의 임피던스를 정합하기 위해 선택된다.

Description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유전체 클램쉘 커넥터를 갖는 케이블 어셈블리
본 발명은 임피던스를 제어하는 케이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케이블 종단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해 유전체 클램쉘 구성요소를 이용하는 케이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통신에서 신호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이 항상 요구된다. 신호 무결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케이블 디자인 및 케이블을 종단하거나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케이블들은 전형적으로 유전체에 의해 커버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금된, 또는 비도금된 중심 도체 및 전체 비전도성 재킷을 갖는 브레이드 및/또는 포일(braid and/or foil) 차폐 보호기로 제조된다. 인쇄 회로 보드(PCB) 또는 커넥터와 같은, 디바이스 위에 브레이드의 종단은 케이블 성능에 상당히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CB/커넥터 종단 위에 와이어의 단부의 납땜, 레이저 종단 평행 갭 저항 용접을 포함하여, 차폐물, 구성요소들을 종단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공지되어 있다. 다른 예증 종단 방법은 페룰(ferrule)을 사용하는 것이다. 페룰이 갖는 하나의 중요한 문제는 페룰을 적용하기 위해 와이어를 압착하는 것이 케이블 유전체를 분쇄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브레이드를 종단하는 기존 방법들이 갖는 다른 문제는 케이블 재킷 내에 차별 쌍의 설치를 재배치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양 문제들은 임피던스 및 다른 전기 파라미터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 파라미터들은 신호 무결성에 영향을 미친다.
해결해야 할 문제는 임피던스를 제어하고, 도체들을 손상시키거나 재배치하지 않는 케이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그것은 케이블 종단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해 유전체 클램쉘 구성요소를 이용하는 케이블 어셈블리에 유익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커넥터 어셈블리에서의 사용을 위해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한 커넥터에 의해 해결되며, 커넥터는 제1 도체 수용 개구부 및 제2 도체 수용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을 갖는다. 제1 도체 수용 개구부 및 제2 도체 수용 개구부는 케이블의 노출된 도체들을 수용하도록 치수화된다. 제1 도체 수용 개구부 및 제2 도체 수용 개구부는 도체 수용 부분들을 가지며, 도체 수용 부분들은 하우징의 길이 축에 대해 각도를 가지고 연장된다. 제1 도체 수용 개구부 및 제2 도체 수용 개구부는 도체 수용 개구부로부터 연장되는 도체 간격 부분들을 갖는다. 도체 간격 부분들은 본질적으로 하우징의 길이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간격 부분들은 거리만큼 이격된다. 간격 부분들이 이격된 거리는 케이블의 임피던스를 정합하기 위해 선택된다.
본 발명은 케이블 종단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해 유전체 클램쉘 구성요소를 이용하는 케이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라인 2-2를 따라 절취된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케이블 어셈블리의 클램쉘 커넥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클램쉘 커넥터의 제2 부분이 분해된 상태에서, 클램쉘 커넥터의 제1 부분 내의 도체 위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체들 위로 완전히 삽입된 클램쉘 커넥터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완전히 조립된 케이블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라인 7-7을 따라 절취된, 도 6의 케이블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케이블(10)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다. 케이블(10)은 저장 디바이스들, 스위치들, 라우터들, 인쇄 회로 보드들(PCBs),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들, 커넥터들, 및 다른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그리고 이들 중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케이블(10)은 100 Mbps 이상의 데이터 전송 속도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케이블(10)은 대략 4.25 Gbps 내지 대략 25 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들을 지원할 수 있다. 케이블(10)은 또한 이들 예시적인 속도들 위 또는 아래의 데이터 전송 속도들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은 케이블 재킷(12), 편조 차폐물(16), 금속화 포일(14) 및 2개의 중심 도체(18, 20)을 갖는다. 도체들(18, 20)은 서로 이격되고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체들(18, 20)은 편조 구리 차폐물과 같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편조 금속 차폐물(16)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중심 도체들(18, 20)은 또한 개별 유전체들(22, 23)에 의해 둘러싸여질 수 있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의 단부에는 케이블 재킷(12)이 제거되어 있다. 케이블(10)의 일부(24)는 그의 단부에 인접하여 제공되는 페룰(2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적용들에서, 편조 차폐물(16)은 페룰(26) 위에 다시 접힐 것이다. 도체들(18, 20)의 유전체들이 또한 제거되며, 이에 따라 도체들(18, 20)의 일부를 노출시킨다.
도체들(18, 20)이 노출된 상태에서, 단자들(30)은 도체들(18, 20)의 단부들 상에 위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들(30)의 와이어 종단 부분들(32)은 도체들(18, 20)에 압착된다. 그러나, 단자들(30)을 도체들(18, 20)에 종단하는 다른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자들(30)은 와이어 종단 부분들(32)로부터 연장되는 핀 부분들(34)을 갖는 수형 단자들이다. 그러나, 암형 소켓 단자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 단자들의 다른 구성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단자들(30)이 도체들(18, 20)에 적절히 종단된 상태에서, 도체들(18, 20)의 노출된 부분들은 클램쉘 커넥터 또는 하우징(44) 내로 정렬된다. 클램쉘 커넥터(44)는 유전체 재료로 제조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쉘 커넥터(44)는 제1 또는 하단 부분(42) 및 제2 또는 상단 부분(46)을 갖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부분(42)은 도체들(18, 20)을 수용하기 위한 도체 수용 오목부들(40)을 갖는다. 도체 수용 오목부들(40)은 도체 수용 부분들(41) 및 도체 전이 또는 간격 부분들(43)을 갖는다. 도체 수용 부분들(41)은 도체들(18, 20)이 케이블(10)을 빠져나갈 때 도체들(18, 20)을 수용하고 이격시키기 위해 하우징(44)의 길이 축(45)에 대해 각도를 가지고 연장된다. 도체 간격 부분들(43)은 본질적으로 하우징(44)의 길이 축(45)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간격 부분들(43)은 거리(47)만큼 이격된다.
하단 부분(42)은 도체들(18, 20)을 수용하기 위한 도체 수용 오목부들(40)을 갖는다. 도체 수용 오목부들(40)은 단자들(30)의 와이어 종단 부분들(32)을 수용하도록 치수화되는 단자 수용 오목부들(58)로 연장된다. 래치 수용 개구부(60)는 도체 수용 오목부들(40) 사이에 위치된다. 래치 수용 개구부(60)는 그의 측벽들로부터 연장되는 래칭 숄더들(61)을 갖는다. 래치 수용 오목부(62)는 단자 수용 오목부들(58) 사이에 위치된다. 래치 수용 오목부(62)는 그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되는 래칭 숄더(63)를 갖는다.
상단 부분(46)은 도체들(18, 20)을 수용하기 위한 도체 수용 오목부들(48)을 갖는다. 도체 수용 오목부들(48)은 도체 수용 부분들(49) 및 도체 전이 또는 간격 부분들(51)을 갖는다. 도체 수용 부분들(49)은 케이블(10)을 빠져나갈 때 도체들(18, 20)을 수용하고 이격시키기 위해 하우징(44)의 길이 축(45)에 대해 각도를 가지고 연장된다. 도체 간격 부분들(51)은 본질적으로 하우징(44)의 길이 축(45)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간격 부분들(51)은 거리(47)만큼 이격된다.
도체 수용 오목부들(48)은 단자들(30)의 와이어 종단 부분들(32)을 수용하도록 치수화되는 단자 수용 오목부들(50)로 연장된다. 래치들(52, 54)은 상단 부분(46)으로부터 연장되고 도체 수용 오목부들(48) 사이에 위치된다. 래치들(52, 54)은 래칭 숄더들(53, 55)을 갖는다. 래치(56)는 상단 부분(46)으로부터 연장되고 단자 수용 오목부들(50) 사이에 위치된다. 래치(56)는 래칭 숄더(57)를 갖는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래치들(52, 54, 및 56)은 유사한 구성들을 갖는다. 그러나, 래치들의 다른 구성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부분(42) 및 상단 부분(46)은 도체들(18, 20)의 노출된 부분들을 둘러싸기 위해 함께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도체들(18, 20)의 노출된 부분들은 고정될 때, 도체 수용 오목부들(40, 48)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및 제2 도체 수용 개구부들(66)(도 7) 내에 위치된다. 도체 수용 개구부들(66)은 하단 부분들(42)이 상단 부분(46)에 결합될 때 제1 도체 전이 또는 간격 부분들(43) 및 제2 도체 전이 또는 간격 부분들(51)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및 제2 도체 전이 또는 간격 부분들(65)을 포함한다. 도체 수용 개구부들(66)은 또한 하단 부분들(42)이 상단 부분(46)에 결합될 때 제1 도체 수용 부분들(41) 및 제2 도체 수용 부분들(49)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및 제2 도체 수용 부분들(67)을 포함한다. 단자들(30)의 와이어 종단 부분들(32)은 단자 수용 오목부들(50, 58)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및 제2 단자 수용 개구부들(68)(도 7) 내에 위치된다.
하단 부분(42) 및 상단 부분(46)은 래치 수용 개구부(60)의 래칭 숄더들(61)과 래치들(52, 54)의 래칭 숄더들(53, 55)의 협력 및 래치 수용 오목부(62)의 래칭 숄더(63)와 래치(56)의 래칭 숄더(57)의 협력에 의해 폐쇄된 위치 내에 유지된다.
클램쉘 커넥터(44)의 제1 및 제2 도체 수용 개구부(66)의 제1 및 제2 도체 수용 부분들(67) 내에 도체들(18, 20)의 노출된 부분들을 위치결정하는 것은 결합 커넥터에 대한 결합을 허용하기 위해 도체들(18, 20)의 노출된 부분들의 적절한 위치결정 및 원하는 간격을 유지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도체 수용 부분들(67) 내의 도체들(18, 20)의 노출된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그리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서 연장된다. 하우징(44)이 도체들(18, 20)의 노출된 부분들을 둘러싸므로, 하우징은 도체들(18, 20)의 노출된 부분들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여, 도체들(18, 20)의 노출된 부분들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도체들(18, 20)의 노출된 부분들 및 이에 따라 제공된 신호 경로의 무결성을 유지한다.
클램쉘 커넥터(44)의 제1 및 제2 도체 수용 개구부들(66)의 제1 및 제2 도체 수용 부분들(67)의 간격 및 치수가 클램쉘 커넥터(44)의 제조 동안 제어되므로, 도체들(18, 20)의 노출된 부분들의 간격은 또한 도체들이 제1 및 제2 도체 수용 개구부들(66)의 제1 및 제2 도체 수용 부분들(67) 내에 위치될 때 제어된다. 따라서, 클램쉘 커넥터(44)에 사용되는 유전체 재료를 적절히 선택하고 제1 도체 수용 부분들(41) 및 제2 도체 수용 부분들(49)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및 제2 도체 수용 부분들(67)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결정함으로써, 클램쉘 커넥터(44)의 임피던스는 케이블(10)의 임피던스를 정합하거나 대략 정합하기 위해 맞춤화될 수 있다.
클램쉘 커넥터(44)의 제1 및 제2 도체 수용 개구부(66)의 제1 및 제2 도체 전이 또는 간격 부분들(65) 내에 도체들(18, 20)의 노출된 부분들을 위치결정하는 것은 케이블(10) 내에 제공되는 도체(18, 20)와 제1 및 제2 도체 수용 개구부들(66)의 제1 및 제2 도체 수용 부분들(67) 내에 위치되는 노출된 도체들(18, 20) 사이의 제어된 전이 각도(71)를 제어된 전이에 제공한다. 전이 각도(71)는 하우징(44)의 길이 축(45)과 전이 부분들(65)의 표면 사이에서 측정되는 바와 같은 각도이다.
클램쉘 커넥터(44)의 제1 및 제2 도체 수용 개구부들(66)의 전이 각도(71), 간격 및 치수가 클램쉘 커넥터(44)의 제조 동안 제어되므로, 도체들(18, 20)의 노출된 부분들의 전이 각도(71) 및 간격은 또한 도체들이 제1 및 제2 도체 수용 개구부들(66)의 제1 및 제2 도체 전이 또는 간격 부분들(65) 내에 위치될 때 제어된다. 따라서, 클램쉘 커넥터(44)에 사용되는 유전체 재료를 적절히 선택하고 제1 도체 전이 또는 간격 부분들(43) 및 제2 도체 전이 또는 간격 부분들(51)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및 제2 도체 전이 또는 간격 부분들(65) 사이의 전이 각도(71) 및 간격을 적절히 결정함으로써, 클램쉘 커넥터(44)의 임피던스는 케이블(10)의 임피던스를 정합하거나 대략 정합하기 위해 맞춤화될 수 있다.
클램쉘 커넥터(44)가 도체들(18, 20)의 노출된 부분들 및 단자들(30)의 와이어 종단 부분들(32) 상에 적절히 위치된 상태에서, 단자 하우징(70)(도 7)은 안정성을 컨택트들(30)의 자유 단부들에 제공하기 위해 제공된다.
케이블 어셈블리(74)의 외부 금속 차폐 부재(72)는 케이블(10)에 고정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금속 부재(72)의 고정 부분(76)은 케이블(10)의 일부 및 페룰(26) 위에 위치된다. 그 다음, 고정 부분(76)은 예를 들어 압착에 의해 고정되어, 케이블(10) 상에 외부 금속 부재(72)를 유지하기 위해 압착된다. 외부 금속 부재(72)의 넥 다운 부분(78)은 추가 차폐를 제공하고 클램쉘 커넥터(44)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클램쉘 커넥터(44) 위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부 금속 부재(72)는 래치들, 접착제, 또는 다른 공지된 부착 방법들에 의해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피스를 갖는다.
케이블 어셈블리(74), 및 특히, 클램쉘 커넥터(44)는 임피던스 제어를 제공하고 도체들(18, 20)을 손상 또는 재배치하지 않는다. 클램쉘 커넥터(44)에 사용되는 유전체 재료를 적절히 선택하고 오목부들(40, 48)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결정함으로써, 도체들(18, 20)이 적절히 위치되고 클램쉘 커넥터(44)의 임피던스가 케이블(10)의 임피던스를 정합하거나 대략 정합하기 위해 맞춤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케이블(10) 및 케이블 어셈블리(74)의 성능을 최적화한다.

Claims (13)

  1. 커넥터 어셈블리에서의 사용을 위해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제1 도체 수용 개구부(68) 및 제2 도체 수용 개구부(68)를 갖는 하우징(44)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도체 수용 개구부(68) 및 상기 제2 도체 수용 개구부(68)는 케이블(10)의 노출된 도체들(18, 20)을 수용하도록 치수화되고;
    상기 제1 도체 수용 개구부(68) 및 상기 제2 도체 수용 개구부(68)는 도체 수용 부분들(41, 49)을 가지며, 상기 도체 수용 부분들(41, 49)은 상기 하우징(44)의 길이 축(45)에 대해 각도(71)를 가지고 연장되고;
    상기 제1 도체 수용 개구부(68) 및 상기 제2 도체 수용 개구부(68)는 상기 도체 수용 부분들(41, 49)로부터 연장되는 도체 간격 부분들(43, 51)을 가지며, 상기 도체 간격 부분들(43, 51)은 본질적으로 상기 하우징(44)의 길이 축(45)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도체 간격 부분들(43, 51)은 거리(47)만큼 이격되고;
    상기 간격 부분들(43, 51)이 이격되는 거리(47)는 상기 케이블(10)의 임피던스를 정합하기 위해 선택되는,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4)은 제1 부분(42) 및 제2 부분(46)을 갖고, 상기 제1 부분(42)은 제1 도체 수용 오목부들(40)을 갖고 제2 부분(46)은 상기 제1 및 제2 도체 수용 개구부들(68)을 형성하기 위해 정렬되는 제2 도체 수용 오목부들(48)을 갖는,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한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체 수용 오목부들(40)은 제1 단자 수용 오목부들(58)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도체 수용 오목부들(48)은 제2 단자 수용 오목부들(50)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자 수용 오목부들(58, 50)은 상기 케이블(10)의 노출된 도체들(18, 20)의 단부들에 종단되는 단자들(30)의 와이어 종단 부분들(32)을 수용하도록 치수화되는,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한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제1 래치들(52, 54)은 상기 제2 부분(46)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도체 수용 오목부들(48) 사이에 위치되는,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한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제2 래치(56)는 상기 제2 부분(46)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단자 수용 오목부들(58) 사이에 위치되는,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한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치들(52, 54) 및 상기 제2 래치(56)는 래칭 숄더들(53, 55, 57)을 갖는,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한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42)은 상기 제1 도체 수용 오목부들(40) 사이에 위치된 래치 수용 개구부(60)를 갖는,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한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래치 수용 오목부(62)는 상기 제1 단자 수용 오목부들(58) 사이에 위치되는,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한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용 개구부(60) 및 상기 래치 수용 오목부(62)는 그의 측벽들으로부터 연장되는 래칭 숄더들(61, 63)을 갖는,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한 커넥터.
  10. 노출된 도체들(18, 20)을 갖는 케이블(10)을 종단하기 위한 케이블 어셈블리(74)로서,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74)는,
    커넥터 어셈블리(74)에서의 사용을 위해 임피던스를 제어하기 위한 클램쉘 커넥터(44)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유전체 재료로 제조된 하우징(44)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44)은 제1 도체 수용 개구부(58) 및 제2 도체 수용 개구부(68)를 갖고, 상기 제1 도체 수용 개구부(68) 및 상기 제2 도체 수용 개구부(68)는 상기 케이블(10)의 노출된 도체들(18, 20)을 수용하도록 치수화되고;
    상기 제1 도체 수용 개구부(68) 및 상기 제2 도체 수용 개구부(68)는 도체 수용 부분들(41, 49)을 가지며, 상기 도체 수용 부분들(41, 49)은 상기 하우징(44)의 길이 축(45)에 대해 각도(71)를 가지고 연장되고;
    상기 제1 도체 수용 개구부(68) 및 상기 제2 도체 수용 개구부(68)는 상기 도체 수용 부분들(41, 49)로부터 연장되는 도체 간격 부분들(43, 51)을 가지며, 상기 도체 간격 부분들(43, 51)은 본질적으로 상기 하우징(44)의 길이 축(45)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간격 부분들(43, 51)은 거리(47)만큼 이격되고;
    상기 유전체 재료 및 상기 간격 부분들(43, 51)이 이격되는 거리(47)는 상기 케이블(10)의 임피던스를 정합하기 위해 선택되고;
    상기 케이블(10)로부터 연장되는 차폐 부재(72)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 부재(72)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44) 위에 위치되는, 케이블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72)의 고정 부분(76)은 상기 케이블(10)의 일부 및 상기 케이블(10)의 페룰(ferrule)(26) 위에 위치되는, 케이블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72)의 넥 다운 부분(78)은 추가 차폐를 제공하고 상기 하우징(44)을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44) 위에 위치되는, 케이블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함께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2개의 피스(piece)를 갖는, 케이블 어셈블리.
KR1020227039844A 2020-04-15 2021-04-15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유전체 클램쉘 커넥터를 갖는 케이블 어셈블리 KR202300027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49,447 2020-04-15
US16/849,447 US11239611B2 (en) 2020-04-15 2020-04-15 Cable assembly with dielectric clamshell connector for impedance control
PCT/IB2021/053141 WO2021209958A1 (en) 2020-04-15 2021-04-15 Cable assembly with dielectric clamshell connector for impedance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744A true KR20230002744A (ko) 2023-01-05

Family

ID=7563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9844A KR20230002744A (ko) 2020-04-15 2021-04-15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유전체 클램쉘 커넥터를 갖는 케이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39611B2 (ko)
EP (1) EP4136713A1 (ko)
JP (1) JP2023521993A (ko)
KR (1) KR20230002744A (ko)
CN (1) CN115668659A (ko)
WO (1) WO20212099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93837A1 (de) * 2022-06-13 2023-12-20 Escha GmbH & Co. K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CN115101986B (zh) * 2022-07-22 2022-11-25 深圳市众智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以太网连接器外导体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880C (de) 1924-05-28 1926-07-23 James Mcdonald Burnett Akkumulatorenplatte mit einem ihre Kanten umfassenden Isolierrahmen
DE4318800C5 (de) * 1993-06-07 2006-07-13 Hirschmann Electronics Gmbh & Co. Kg Mehrpoliger Kabelsteckverbinder
US5945634A (en) * 1995-04-24 1999-08-31 Raychem Corporation Coaxial cable tap with slitted housing and non-piercing tap insert
US6663411B2 (en) * 1998-07-15 2003-12-16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Clamshell connector for airbag gas generator
US6203369B1 (en) * 1999-10-25 2001-03-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igh frequency cable connector having low self-inductance ground return paths
CN100340034C (zh) * 2001-10-17 2007-09-26 莫莱克斯公司 带有改进的接地装置的连接器
JP2005317260A (ja) * 2004-04-27 2005-11-10 Tyco Electronics Amp Kk 同軸コネクタ
US7686642B2 (en) * 2008-03-03 2010-03-30 Tempo Industries, Inc. Wire harness interconnection and retention method and apparatus
US8047051B2 (en) * 2008-06-20 2011-11-01 Delphi Technologies, Inc. Gas sensor
US7563118B1 (en) * 2008-06-20 2009-07-21 Delphi Technologies, Inc. High temperature connector
US7775820B2 (en) * 2008-06-20 2010-08-17 Delphi Technologies, Inc. High temperature connector body
US8371877B2 (en) 2010-05-05 2013-02-12 Sabritec,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printed circuit board subassembly
US8928338B2 (en) * 2010-11-17 2015-01-06 Delphi Technologies, Inc. Self diagnostics of a particulate matter sensor
US8235731B1 (en) * 2011-03-18 2012-08-07 Leviton Manufacturing Co., Ltd. Connector module and patch panel
US8834202B2 (en) * 2011-06-13 2014-09-16 Lear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for vehicle charging
GB2507090A (en) * 2012-10-18 2014-04-23 Sanders Associates Ltd LED lighting distribution unit
US9306312B2 (en) * 2012-10-29 2016-04-05 Carlisle Interconnect Technologies, Inc. High density sealed electrical connector with multiple shielding strain relief devices
US9581565B2 (en) * 2013-05-20 2017-02-28 Ngk Spark Plug Co., Ltd. Gas sensor
US9537231B2 (en) * 2014-11-12 2017-01-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JP6673267B2 (ja) 2017-03-08 2020-03-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端子
US10171902B2 (en) * 2017-03-29 2019-01-01 Campfire Audio Llc In-ear monitor
DE102018104253B4 (de) 2018-02-26 2019-12-05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21993A (ja) 2023-05-26
US20210328387A1 (en) 2021-10-21
US11239611B2 (en) 2022-02-01
EP4136713A1 (en) 2023-02-22
CN115668659A (zh) 2023-01-31
WO2021209958A1 (en)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4342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balanced transmission cables with module for positioning cables
US4493525A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therefor
US6582252B1 (en) Termin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tight angle for shielded cable
US4611878A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US10777936B2 (en) Electrical device having a ground termination component with strain relief
US6585528B1 (en) Wire spacer for high speed cable termination
US10170862B2 (en) Electrical device having a ground bus terminated to a cable drain wire
KR20060135964A (ko) 저 인덕턴스 차폐 커넥터
EP2330693B1 (en) Electric connector
KR100602961B1 (ko) 모듈식 고속 커넥터
EP3316406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KR20230002744A (ko) 임피던스 제어를 위한 유전체 클램쉘 커넥터를 갖는 케이블 어셈블리
KR20100068002A (ko)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KR20220133292A (ko) 접촉 조립체의 탄성 암을 스터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
US11075488B2 (en) Impedance control connector with dielectric seperator rib
KR20220106846A (ko) 전기 케이블 브레이드(braid) 위치결정 클립
US11296464B2 (en) Impedance control connector
US20230010530A1 (en) High performance cable termination
CN212783870U (zh) 连接器、连接器组件及通信设备
JP2010257812A (ja) 外部導体ホルダ付き電気コネクタ及びシールドケーブルハーネス
CN118017302A (zh) 连接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