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292A - 접촉 조립체의 탄성 암을 스터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 - Google Patents

접촉 조립체의 탄성 암을 스터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292A
KR20220133292A KR1020227030794A KR20227030794A KR20220133292A KR 20220133292 A KR20220133292 A KR 20220133292A KR 1020227030794 A KR1020227030794 A KR 1020227030794A KR 20227030794 A KR20227030794 A KR 20227030794A KR 20220133292 A KR20220133292 A KR 20220133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assembly
cable
mating
resilient contact
contac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0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네일 프랭클린 스크롤
나단 윌리엄 스완거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비티 솔루션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비티 솔루션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비티 솔루션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133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01R24/547Split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86Parallel contacts arranged about a common ax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03Connection between two cable e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케이블을 종단처리하기 위한 케이블 조립체(10, 110, 210)이다. 케이블 조립체(10, 110, 210)는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30, 130, 230) 및 케이블 조립체 케이블 수용 단부(31, 131, 231)를 포함한다. 금속성 외부 쉘(32, 132, 232)이 케이블 조립체(10, 110, 210)의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30, 130, 230)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금속성 외부 쉘(32, 132, 232)은 상대 접촉 맞물림부(36, 136, 236)를 갖는다. 유전체 재료로 만들어진 하우징(50, 150, 250)이 금속성 외부 쉘(32, 132, 232)에 위치한다. 탄성 접촉 암(86, 186, 286)이 금속성 외부 쉘(32, 132, 232)의 상대 접촉 맞물림부(36, 136, 236) 상에 구비된다. 탄성 접촉 암(86, 186, 286)은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30, 130, 230) 부근으로부터 연장된다. 탄성 접촉 암(86, 186, 286)의 전방 단부(94, 194, 294)가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30, 130, 230)에 근접하게 구비되며, 케이블 조립체가 상대 조립체에 결합될 때 탄성 접촉 암(86, 186, 286)의 전방 단부(94, 194, 294)가 스터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 조립체(10, 110, 210)의 보호부(88, 188, 288)와 협력한다.

Description

접촉 조립체의 탄성 암을 스터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
본 발명은 탄성 접촉 암을 갖는 접촉 슬리브 또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접촉 암의 스터빙(stubbing)을 방지하는 동시에 접지를 위한 개선된 전기 경로를 제공하는 보호 부재를 갖는 접촉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특히 동축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을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동축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의 장점, 특히 낮은 전자기 영향과 우수한 전기 차폐를 갖는다. 동축 커넥터는 또한 동축 커넥터와 동축 케이블 사이의 전이 지점에서 반사 현상을 피하기 위해 연결된 동축 케이블의 임피던스에 해당하는 임피던스를 갖는다.
동축 커넥터는 RF 신호의 무반사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소정의 특성 임피던스를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동축 커넥터를 상대 동축 커넥터와 결합할 때 임피던스 불일치가 종종 발생하여 이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열화가 발생한다. 또한, 많은 공지된 커넥터에서, 동축 커넥터를 상대 동축 커넥터와 결합하면 스터빙 등의 문제로 인해 커넥터 또는 상대 커넥터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대 커넥터와의 접지를 위한 개선된 전기 경로를 제공하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될 때 스터빙 가능성을 줄이는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케이블을 종단처리하기 위한 케이블 조립체에 의해 해결된다. 케이블 조립체는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와 케이블 조립체 케이블 수용 단부를 포함한다. 금속성 외부 쉘은 케이블 조립체의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한다. 금속성 외부 쉘은 상대 접촉 맞물림부를 갖는다. 유전체 재료로 만들어진 하우징이 금속성 외부 쉘에 위치한다. 하우징은 하우징 결합 단부 및 그 반대편을 향하는 하우징 전도체 수용 단부를 갖는다. 단자 수용 개구가 하우징 결합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하우징은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 부근으로부터 케이블 조립체 케이블 수용 단부 쪽으로 연장된다. 금속성 외부 쉘의 상대 접촉 맞물림부에는 탄성 접촉 암이 구비된다. 탄성 접촉 암은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 부근으로부터 연장된다. 탄성 접촉 암의 전방 단부가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에 근접하게 구비되며, 케이블 조립체가 상대 조립체에 결합될 때 탄성 접촉 암의 전방 단부가 스터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 조립체의 보호부와 협력한다.
이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금속 외부 쉘을 갖는 예시적인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금속 외부 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4-4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대안적인 예시적인 금속 외부 쉘을 갖는 제1 대안적인 예시적인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5의 7-7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대안적인 예시적인 금속 외부 쉘을 갖는 제2 대안적인 예시적인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10-10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 조립체(10)가 케이블(12)에 전기적으로 및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케이블(12)은 저장 장치, 스위치, 라우터, 인쇄회로기판(PCB),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커넥터 및 기타 장치 중 양자간 또는 다자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케이블(12)은 100 Mbps 이상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케이블(12)은 대략 4.25 Gbps 내지 대략 25 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케이블(12)은 또한 이러한 예시적인 속도보다 높거나 낮은 데이터 전송 속도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2)은 케이블 재킷(14), 편조 실드(16), 금속화 포일(18) 및 2개의 중심 전도체(20, 22)를 갖는다. 케이블(12)의 단부에는 케이블 재킷(14)이 제거되어 있다. 전도체(20, 22)의 유전체(24, 26)도 제거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전도체(20, 22)의 일부를 노출시킨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10)는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30) 및 케이블 조립체 케이블 수용 단부(31)를 갖는다. 커넥터 조립체(10)는 제1 금속성 외부 쉘(32), 제2 금속성 외부 쉘(34) 및 제3 금속성 외부 쉘(35)을 포함한다. 제1 금속성 외부 쉘(32)은 상대 커넥터 수용부(36) 및 제2 금속성 외부 쉘 수용부(40)를 갖는다. 제2 금속성 외부 쉘(34)은 제1 금속성 외부 쉘 수용부(42) 및 전도체 전이부(44)를 갖는다.
유전체 하우징(50)이 전기 커넥터 조립체(10)에 위치된다. 하우징(50)은 유전체 재료로 만들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은 결합 단부(52) 및 그 반대편을 향하는 전도체 수용 단부(54)를 갖는다. 단자 수용 개구(56)가 결합 단부(52)에서 전도체 수용 단부(54)까지 연장된다. 단자 수용 개구(56)는 전도체 수용 단부(54)를 통해 단자(60)(도 2 및 도 4)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단자(60)는 케이블(12)의 전도체(20, 22)의 노출된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단자 수용 개구(56)가 구비되지만, 다른 개수 및 구성의 단자 수용 개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유전체 하우징(50)은 그 측부 표면(72)으로부터 연장되는 장착 돌출부(70)를 갖는다. 장착 돌출부 각각은 제1 쉘 맞물림 표면(74) 및 제2 쉘 맞물림 표면(76)을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하우징(50)은 조립되었을 때 제1 금속성 외부 쉘(32)의 상대 커넥터 수용부(36) 및 제2 금속성 외부 쉘 수용부(40)에 위치된다. 하우징(50)을 적절하게 위치시키고 하우징(50)이 상대 커넥터 수용부(36) 내로 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착 돌출부(70)의 제1 쉘 맞물림 표면(74)은 상대 커넥터 수용부(36)의 내부 전이 벽(78)과 맞물린다.
제2 금속성 외부 쉘(34)의 제1 금속성 외부 쉘 수용부(42)의 단부(80)가 제1 금속성 외부 쉘(32)의 제2 금속성 외부 쉘 수용부(40) 내에 위치된다. 제1 금속성 외부 쉘(32)의 하나 이상의 래치(82)가 제2 금속성 외부 쉘(34)의 하나 이상의 개구(84)와 협력하여 제2 금속성 외부 쉘(34)을 제1 금속성 외부 쉘(32)에 고정한다. 대안적으로, 제2 금속성 외부 쉘(34)은 접착제, 또는 기타 공지의 부착 방법에 의해 제1 금속성 외부 쉘(32)에 고정된다. 이 위치에서, 제2 금속성 외부 쉘(34)의 단부(80)는 장착 돌출부(70)의 제2 쉘 맞물림 표면(76)과 맞물려서 하우징(50)을 적절하게 위치설정하고 하우징(50)이 제2 금속성 외부 쉘(34) 내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 조립체(10)의 단자(60)는, 예를 들어 크림핑에 의해, 케이블(12)의 전도체(20, 22)의 단부에 종단처리된다. 그러나, 단자(60)를 전도체(20, 22)에 종단처리하는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자(60)는 리셉터클부(62)가 있는 암 단자이다. 그러나, 암 소켓 단자를 비롯한(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 다른 구성의 단자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단자(60)가 전도체(20, 22)에 적절하게 종단처리되면, 단자(60)는 전도체 전이부(44)를 통해 단자 수용 개구(56) 내로 삽입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금속성 외부 쉘(32)의 상대 커넥터 수용부(36)는 제2 금속성 외부 쉘 수용부(40)에서 상대 커넥터 수용부(36)의 전기 전도성 보호 부재 또는 보호부(88)까지 연장되는 탄성 접촉 암(86)을 갖는다. 보호 부재(88)는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30)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그로부터 연장된다. 보호 부재(88)는 하우징(50)의 결합 단부(52)를 둘러싸지만 단자 수용 개구(56)를 덮지는 않는다. 보호 부재(88)는 케이블 조립체(10)의 길이방향 축(92)을 향해 테이퍼진 외부 표면(90)을 갖는다. 외부 표면(90)의 테이퍼진 형상은 상대 커넥터가 커넥터 조립체(10)에 결합될 때 인입 표면으로서 작용한다.
탄성 접촉 암(86)은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30)에 근접해 있고 보호 부재(88)와 협력하는 전방 단부(94)를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접촉 암(86)의 전방 단부(94)는 제1 금속성 외부 쉘(32)의 상대 커넥터 수용부(36)의 보호 부재(88)에 일체로 형성되어 부착된다. 탄성 접촉 암(86)의 후방 단부(95)는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30)로부터 떨어져 위치되고, 결합 커넥터 수용부(36)의 내부 전이 벽(78)에 일체로 형성되어 부착된다. 탄성 접촉 암(86)은 휘어져 있고, 여기서 탄성 접촉 암(86)의 중앙 섹션(96)은 탄성 접촉 암(86)의 전방 단부(94) 또는 보호 부재(88)보다 케이블 조립체(10)의 길이방향 축(92)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중앙 섹션(96)은 상대 커넥터가 커넥터 조립체(10)에 결합될 때 상대 커넥터와 맞물리기 위해 더 큰 표면적을 제공하는 확대된 접촉 섹션을 가질 수 있다.
탄성 접촉 암(86) 및 휘어진 중앙 섹션(96)의 사용은 상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커넥터 조립체(10) 사이의 증가된 연결을 제공한다. 또한, 탄성 접촉 암(86)이 양 단부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탄성 접촉 암(86)은 제1 금속성 외부 쉘(32)의 상대 커넥터 수용부(36)의 향상된 구조적 무결성을 제공한다.
커넥터 조립체(10)가 상대 커넥터와 결합될 때, 탄성 접촉 암(86)의 휘어진 중앙 섹션(96)은 상대 커넥터의 공동(도시되지 않음)과 맞물려서, 휘어진 중앙 섹션(96)이 케이블 조립체(10)의 길이방향 축(92)을 향해 탄성적으로 변형되게 한다. 전방 단부(94) 및 후방 단부(95)가 고정되므로, 휘어진 중앙 섹션(96)은 휘어진 중앙 섹션(96)이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저항하며, 이에 의해 상대 커넥터에 힘이 가해지게 된다. 고정된 전방 단부(94) 및 후방 단부(95)는 또한 휘어진 중앙 섹션(96)의 중심이 휘어진 중앙 섹션(96)의 단부보다 더 많이 변형되게 하여, 휘어진 중앙 섹션(96)이 더 평평해지도록 하며, 이에 의해 상대 커넥터와 커넥터 조립체(10) 사이의 전기적 연결 또는 경로를 위한 더 많은 연결 지점 및 표면을 제공한다. 또한, 전방 단부(94)가 전기 전도성 보호 부재(88)에 연결되므로, 탄성 접촉 암(86) 및 전기 전도성 보호 부재(88)의 전체 길이가 전기적 경로를 제공하며 이에 의해 고속 전송 및 더 나은 EMI 성능을 용이하게 하는데, 이는 접촉 암이 고정되거나 변형불가능이고 양 단부 모두에서 전기 전도성 부재에 연결된 것은 아니어서 접촉 암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따라서 EMI 성능이 향상되지 않는 종래의 커넥터와 대조된다.
탄성 접촉 암(86)의 전방 단부(94)가 보호 부재(88)에 일체로 부착되므로, 전방 단부(94)의 자유 가장자리는 자유롭거나 노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대 커넥터가 커넥터 조립체(10)에 결합될 때 상대 커넥터와 맞물릴 수 없다. 또한, 자유 부동 단부 표면이 있는 접촉 암(86)을 갖는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일체로 형성된 보호 부재(88)의 외부 표면(90)은 상대 커넥터가 초기에 커넥터 조립체(10)에 결합될 때 상대 커넥터가 외부 표면(90) 및 접촉 암(86) 위로 이동함에 따라 인입 표면으로서 작용한다. 이에 의해 탄성 접촉 암(86) 상의 상대 커넥터의 스터빙이 최소화되거나 방지된다.
전기 커넥터(110)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110)는 케이블(12)에 전기적으로 및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110)는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130) 및 케이블 조립체 케이블 수용 단부(131)를 갖는다. 커넥터 조립체(110)는 제1 금속성 외부 쉘(132), 제2 금속성 외부 쉘(134) 및 제3 금속성 외부 쉘(135)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금속성 외부 쉘(132)은 하우징 유지부이기도 한 상대 커넥터 수용부(136) 및 제2 금속성 외부 쉘 수용부(140)를 갖는다. 제2 금속성 외부 쉘(134)은 제1 금속성 외부 쉘 수용부(142), 전도체 전이부(144) 및 제3 금속성 쉘 협력부(146)를 갖는다.
유전체 하우징(150)이 전기 커넥터 조립체(110)에 위치된다. 하우징(150)은 유전체 재료로 만들어진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50)은 결합 단부(152) 및 그 반대편을 향하는 전도체 수용 단부(154)를 갖는다. 단자 수용 개구(156)가 결합 단부(152)에서 전도체 수용 단부(154)까지 연장된다. 단자 수용 개구(156)는 전도체 수용 단부(154)를 통해 단자(160)(도 2)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단자(160)는 케이블(12)의 전도체(20, 22)의 노출된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단자 수용 개구(156)가 구비되지만, 다른 개수 및 구성의 단자 수용 개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유전체 하우징(150)은 결합 단부(152) 부근으로부터 전도체 수용 단부(154) 쪽으로 연장되는 리세스(recess)(166)를 갖는다. 융기된 돌출부 또는 영역(167)(도 7)이 리세스(166) 부근에 구비된다. 하우징(150)의 결합 단부(152)에 보호 부재(188)가 구비된다. 보호 부재(188)는 유전체 재료로 만들어지고 하우징(150)과 일체로 성형된다. 보호 부재(188)는 하우징(150)의 결합 단부(152)를 둘러싸지만 단자 수용 개구(156)를 덮지는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부재(188)는 탄성 암 수용 공동(193)을 한정하는 숄더부(191)가 있는 외부 표면(190)을 갖는다.
제1 금속성 외부 쉘(132)의 상대 커넥터 수용부(136)는 제2 금속성 외부 쉘 수용부(140)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접촉 암(186)을 갖는다. 탄성 접촉 암(186)은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130)에 근접해 있고 보호 부재(188)와 협력하는 전방 단부(194)를 갖는다. 탄성 접촉 암(186)의 전방 단부(194)는 곡선형 또는 아치형의 접촉 섹션(196)을 갖고, 여기서 탄성 접촉 암(186)의 곡선형 접촉 섹션(196)은 탄성 접촉 암(186)의 전방 단부(194) 또는 보호 부재(188)보다 케이블 조립체(110)의 길이방향 축(192)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된다.
유전체 하우징(150)을 제1 금속성 외부 쉘(132)에 조립하는 동안, 제1 금속성 외부 쉘(132)의 탄성 접촉 암(186)의 전방 단부(194)는 하우징(150)의 융기된 영역(167)에 의해 길이방향 축(19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계속 삽입하면 전방 단부(194)가 융기된 영역(167)을 넘어 이동할 수 있게 되어 탄성 접촉 암(186)이 응력을 받지 않은 위치 쪽으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이 위치에서, 전방 단부(194)는 리세스(166)에 위치되며, 이에 의해 하우징(150)을 제1 금속성 외부 쉘(132)에 유지한다. 이 위치에서, 전방 단부(194)는 또한 보호 부재(188)의 탄성 암 수용 공동(193)에도 위치되며, 숄더부(191)는 탄성 접촉 암(186)의 전방 단부(194) 위에 위치된다.
탄성 접촉 암(186) 및 곡선형 접촉 섹션(196)의 사용은 상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커넥터 조립체(110) 사이의 증가된 연결을 제공한다. 또한, 탄성 접촉 암(186)의 자유 단부(194)가 하우징(150)에 의해 지지되므로, 케이블 조립체(110)의 길이방향 축(192)을 향한 탄성 접촉 암(186)의 이동이 제한되고, 이에 의해 제1 금속성 외부 쉘(132)의 상대 커넥터 수용부(136)의 향상된 구조적 무결성이 제공된다.
커넥터 조립체(110)가 상대 커넥터와 결합될 때, 탄성 접촉 암(186)의 곡선형 접촉 섹션(196)은 상대 커넥터의 공동(도시되지 않음)과 맞물려서, 곡선형 접촉 섹션(196)이 케이블 조립체(110)의 길이방향 축(192)을 향해 변형되게 한다. 전방 단부(194)가 하우징(150)에 의해 지지되므로, 곡선형 접촉 섹션(196)은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의해 곡선형 접촉 섹션(196)에 의해 상대 커넥터에 힘이 가해지게 된다. 전방 단부(194)의 이동이 방지되므로, 곡선형 접촉 섹션(196)은 결합이 발생함에 따라 변형된다. 곡선형 접촉 섹션(196)의 변형은 곡선형 접촉 섹션(196)이 더 평평해지도록 하며, 이에 의해 상대 커넥터와 커넥터 조립체(110) 사이의 전기적 연결 또는 경로를 위한 더 많은 연결 지점 및 표면을 제공한다.
탄성 접촉 암(186)의 전방 단부(194)가 보호 부재(188)에 의해 보호되거나 수용되므로, 전방 단부(194)의 자유 가장자리는 자유롭거나 노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대 커넥터가 커넥터 조립체(110)에 결합될 때 상대 커넥터와 맞물릴 수 없고, 이에 의해, 커넥터 조립체(110)가 상대 커넥터와 결합될 때 탄성 접촉 암(186)의 스터빙이 최소화되거나 방지된다.
전기 커넥터(210)의 제2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210)는 케이블(12)에 전기적으로 및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전기 커넥터 조립체(210)는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230) 및 케이블 조립체 케이블 수용 단부(231)를 갖는다. 커넥터 조립체(210)는 제1 금속성 외부 쉘(232) 및 제2 금속성 외부 쉘(234)을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금속성 외부 쉘(232)은 상대 커넥터 수용부(236) 및 제2 금속성 외부 쉘 수용부(240)를 갖는다. 제2 금속성 외부 쉘(234)은 제1 금속성 외부 쉘 수용부(242)를 갖는다.
유전체 하우징(250)이 전기 커넥터 조립체(210)에 위치된다. 하우징(250)은 유전체 재료로 만들어진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50)은 결합 단부(252) 및 그 반대편을 향하는 전도체 수용 단부(254)를 갖는다. 단자 수용 개구(256)가 결합 단부(252)에서 전도체 수용 단부(254)까지 연장된다. 단자 수용 개구(256)는 전도체 수용 단부(254)를 통해 단자(260)(도 9)를 수용하도록 치수가 정해진다. 단자(260)는 케이블(12)의 전도체(20, 22)의 노출된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단자 수용 개구(256)가 구비되지만, 다른 개수 및 구성의 단자 수용 개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유전체 하우징(250)은 결합 단부(252) 부근으로부터 전도체 수용 단부(254) 쪽으로 연장되는 리세스(266)를 갖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기된 돌출부 또는 영역(267)은 리세스(266) 부근에 구비된다. 하우징(250)의 결합 단부(252)에 보호 부재(288)가 구비된다. 보호 부재(288)는 유전체 재료로 만들어지고 하우징(250)과 일체로 성형된다. 보호 부재(288)는 하우징(250)의 결합 단부(252)를 둘러싸지만 단자 수용 개구(256)를 덮지는 않는다. 보호 부재(288)는 케이블 조립체(10)의 길이방향 축(292)을 향해 테이퍼진 외부 표면(290)을 갖는다. 외부 표면(290)의 테이퍼진 형상은 상대 커넥터가 커넥터 조립체(210)에 결합될 때 인입 표면으로서 작용한다.
제1 금속성 외부 쉘(232)의 상대 커넥터 수용부(236)는 제2 금속성 외부 쉘 수용부(240)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접촉 암(286)을 갖는다. 탄성 접촉 암(286)은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230)에 근접해 있고 보호 부재(288)와 협력하는 전방 단부(294)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전방 단부(294)는 보호 부재(288)의 리세스(266)에 수용된다. 탄성 접촉 암(286)의 전방 단부(294)는 곡선형 또는 아치형 접촉 섹션(296)을 갖는다. 탄성 접촉 암(286)의 곡선형 접촉 섹션(296)은 탄성 접촉 암(286)의 전방 단부(294) 또는 보호 부재(288)보다 케이블 조립체(210)의 길이방향 축(292)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된다.
유전체 하우징(250)을 제1 금속성 외부 쉘(232)에 조립하는 동안, 탄성 접촉 암(286)의 전방 단부(294)는 하우징(250)에 의해 길이방향 축(29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데, 이는 하우징(250)의 폭이 탄성 접촉 암(286)의 전방 단부들(294) 사이의 개구보다 크기 때문이다. 계속 삽입하면 전방 단부(294)가 리세스(266) 내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탄성 접촉 암(286)이 응력을 받지 않은 위치 쪽으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이 위치에서, 전방 단부(294)는 리세스(266)에 위치되며, 이에 의해 하우징(250)을 제1 금속성 외부 쉘(232)에 유지한다.
탄성 접촉 암(286) 및 곡선형 접촉 섹션(296)의 사용은 상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커넥터 조립체(210) 사이의 증가된 연결을 제공한다. 또한, 탄성 접촉 암(286)의 자유 단부(294)가 하우징(250)에 의해 지지되므로, 케이블 조립체(210)의 길이방향 축(292)을 향한 탄성 접촉 암(286)의 이동이 제한되고, 이에 의해 제1 금속성 외부 쉘(232)의 상대 커넥터 수용부(236)의 향상된 구조적 무결성을 제공한다.
커넥터 조립체(210)가 상대 커넥터와 결합될 때, 탄성 접촉 암(286)의 곡선형 접촉 섹션(296)은 상대 커넥터의 공동(도시되지 않음)과 맞물려서, 곡선형 접촉 섹션(296)이 케이블 조립체(210)의 길이방향 축(292)을 향해 변형되게 한다. 전방 단부(294)가 하우징(250)에 의해 지지되므로, 곡선형 접촉 섹션(296)이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의해 곡선형 접촉 섹션(296)에 의해 상대 커넥터에 힘이 가해지게 된다. 전방 단부(294)가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곡선형 접촉 섹션(296)은 결합이 발생함에 따라 변형된다. 곡선형 접촉 섹션(296)의 변형은 곡선형 접촉 섹션(296)이 더 평평해지도록 하고, 이에 의해 상대 커넥터와 커넥터 조립체(210) 사이의 전기적 연결 또는 경로를 위한 더 많은 연결 지점 및 표면을 제공한다.
탄성 접촉 암(286)의 전방 단부(294)가 보호 부재(288)에 의해 보호되거나 수용되기 때문에, 전방 단부(294)의 자유 가장자리는 자유롭거나 노출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대 커넥터가 커넥터 조립체(210)에 결합될 때 상대 커넥터와 맞물릴 수 없다. 또한, 상대 커넥터가 커넥터 조립체(10)에 결합될 때 외부 표면(290)이 인입 표면으로서 작용하므로, 탄성 접촉 암(86)의 스터빙이 최소화되거나 방지된다.

Claims (11)

  1. 케이블을 종단처리하기 위한 케이블 조립체(10, 110, 210)로서,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30, 130, 230) 및 케이블 조립체 케이블 수용 단부(31, 131, 231);
    상기 케이블 조립체(10, 110, 210)의 상기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30, 130, 230)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대 접촉 맞물림부(36, 136, 236)를 갖는 금속성 외부 쉘(32, 132, 232);
    상기 금속성 외부 쉘(32, 132, 232)에 위치한 유전체 재료로 만들어진 하우징(50, 150, 250)으로서, 상기 하우징(50, 150, 250)은 하우징 결합 단부(52, 152, 252) 및 그 반대편을 향하는 하우징 전도체 수용 단부(54, 154, 254)를 갖고, 단자 수용 개구(56, 156, 256)가 상기 하우징 결합 단부(52, 152, 252)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50, 150, 250)은 상기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30, 130, 230) 부근으로부터 상기 케이블 조립체 케이블 수용 단부(31, 131, 231) 쪽으로 연장되는, 하우징(50, 150, 250);
    상기 금속성 외부 쉘(32, 132, 232)의 상기 상대 접촉 맞물림부(36, 136, 236) 상에 구비된 탄성 접촉 암(86, 186, 286)으로서, 상기 탄성 접촉 암(86, 186, 286)은 상기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30, 130, 230) 부근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탄성 접촉 암(86, 186, 286)의 전방 단부(94, 194, 294)가 상기 케이블 조립체 결합 단부(30, 130, 230)에 근접해 있고 상기 케이블 조립체(10, 110, 210)의 보호부(88, 188, 288)와 협력하는, 탄성 접촉 암(86, 186, 286)
    을 포함하는, 케이블 조립체(10, 110, 2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조립체(10)의 상기 보호부(88)는 상기 금속성 외부 쉘(32) 상에 구비되는, 케이블 조립체(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 암(86)의 상기 전방 단부(94)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조립체(10)의 상기 보호부(88)에 부착되는, 케이블 조립체(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 암(86)은 휘어지고, 상기 탄성 접촉 암(86)의 중앙 섹션(96)은 상기 탄성 접촉 암(86)의 상기 전방 단부(94)보다 상기 케이블 조립체(10)의 길이방향 축(92)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는, 케이블 조립체(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섹션(96)은 확장된 접촉 섹션을 갖는, 케이블 조립체(1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조립체(110)의 상기 보호부(188)는 하우징(150) 상에 구비되는, 케이블 조립체(11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50)은 상기 보호부(188)로부터 상기 케이블 조립체 케이블 수용 단부(131) 쪽으로 연장되는 탄성 접촉 암 수용 리세스(166)를 갖는, 케이블 조립체(11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 암(186)의 상기 전방 단부(194)는 상기 탄성 접촉 암 수용 리세스(166)에 위치되는, 케이블 조립체(11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188)는 탄성 접촉 암 수용 리세스(166)의 부분 및 탄성 접촉 암(86)의 전방 단부(194) 위로 연장되는 숄더부(191)를 갖는, 케이블 조립체(110).
  10. 제8항에 있어서, 상대 조립체 접촉부(296)가 탄성 접촉 암(286)의 전방 단부(294)에 근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대 조립체 접촉부(296)는 상기 하우징(250)의 상기 보호부(288)보다 상기 케이블 조립체(210)의 길이방향 축(292)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는, 케이블 조립체(210).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조립체(10, 110, 210)는 노출된 전도체를 갖는 케이블을 종단처리하기 위한 임피던스 제어 케이블 조립체인, 케이블 조립체(10, 110, 210).
KR1020227030794A 2020-02-07 2021-02-08 접촉 조립체의 탄성 암을 스터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 KR202201332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784,626 US10978832B1 (en) 2020-02-07 2020-02-07 Protection member to protect resilient arms of a contact assembly from stubbing
US16/784,626 2020-02-07
PCT/IB2021/051006 WO2021156843A1 (en) 2020-02-07 2021-02-08 Protection member to protect resilient arms of a contact assembly from stubb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292A true KR20220133292A (ko) 2022-10-04

Family

ID=7459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0794A KR20220133292A (ko) 2020-02-07 2021-02-08 접촉 조립체의 탄성 암을 스터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78832B1 (ko)
EP (1) EP4101034A1 (ko)
JP (1) JP2023513119A (ko)
KR (1) KR20220133292A (ko)
CN (1) CN115336118A (ko)
MX (1) MX2022009663A (ko)
WO (1) WO20211568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32011A1 (de) * 2020-12-02 2022-06-02 Md Elektronik Gmbh Steckverbinderanordnung
US20230155336A1 (en) * 2021-11-16 2023-05-18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High Deformation and Retention Ferrul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6920A (en) * 1965-11-22 1968-01-30 Amp Inc Coaxial connector
US5066249A (en) * 1990-12-18 1991-11-19 Amp Incorporated Coaxial subminiature connector
GB9406934D0 (en) * 1994-04-07 1994-06-01 Amp Gmbh Electrial terminal back-up spring with anti-chattering support members
FR2730864B3 (fr) * 1995-02-17 1997-04-30 Amp France Borne femelle electrique d'une seule piece
US7806737B2 (en) * 2008-02-04 2010-10-05 Methode Electronics, Inc. Stamped beam connector
DE202012007577U1 (de) 2012-08-07 2012-09-13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DE202012008961U1 (de) 2012-09-17 2012-10-1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Kontaktelement
DE202013006297U1 (de) 2013-07-11 2013-07-25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DE202014003291U1 (de) 2014-04-16 2014-07-04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Kabelanordnung
DE102014006244A1 (de) 2014-04-28 2015-10-2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Crimp-Schweißverbindung
DE202015000750U1 (de) 2015-01-30 2015-02-25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anordnung mit Kompensationshülse
DE102015004485B4 (de) 2015-04-07 2016-12-15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teckverbinderanordnung
US10249995B2 (en) 2016-02-26 2019-04-0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Self-closing contact sleeve
WO2017144071A1 (de) * 2016-02-26 2017-08-31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Aussenleiteranordnung für einen koaxial-steckverbinder
CN108701930A (zh) 2016-02-26 2018-10-23 罗森伯格高频技术有限及两合公司 电插接连接器
DE112016006492A5 (de) 2016-02-26 2018-11-15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Kontakthülse für einen elektrischen steckverbinder
DE102016003134A1 (de) 2016-03-15 2017-09-21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Kabel zum Übertragen von elektrischen Signalen
DE102016109266A1 (de) 2016-05-06 2017-11-0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ungsvorrichtung mit wenigstens einem Steckverbinder
FR3074616B1 (fr) * 2017-12-06 2019-11-01 Raydiall Piece d'adaptation d'impedance electrique pour connecteur monte sur cable a fils electriques isoles
FR3074614B1 (fr) * 2017-12-06 2019-11-01 Raydiall Connecteur pour cable a fils electriques isoles, comprenant un corps logeant des contacts centraux en saillie et deux demi-coques assemblees entre elles autour du corps et des contacts sertis sur les fi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336118A (zh) 2022-11-11
US10978832B1 (en) 2021-04-13
WO2021156843A1 (en) 2021-08-12
EP4101034A1 (en) 2022-12-14
MX2022009663A (es) 2022-09-09
JP2023513119A (ja)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2252B1 (en) Termin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tight angle for shielded cable
US6206730B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EP0118168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therefor
US5228871A (en) Shielded connector
US5454734A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US7094103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shield members
US11276949B2 (en) Shielded connector assembly
US6929512B2 (en)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with a shield device
KR20090050005A (ko) 기판 어셈블리
US6966797B2 (en) High-speed cable assembly
US6065998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axial cable
US7097505B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6296518B1 (en) Stack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220133292A (ko) 접촉 조립체의 탄성 암을 스터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
US20100317220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device
EP4136713A1 (en) Cable assembly with dielectric clamshell connector for impedance control
US20050026500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latch means
US6106334A (en) Shielded cable connector
US12003054B2 (en) Terminal system of a connector system
US20230012270A1 (en) Terminal System Of A Connector System
US11296464B2 (en) Impedance control connector
US12003061B2 (en) Ground structure for a cable card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US20230077720A1 (en) Ground structure for a cable card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WO2023008035A1 (ja) 基板用コネクタおよび機器
CN114069283A (zh) 抗损耗传输装置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