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291U - 두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과 요도스텐트용 밀대 - Google Patents
두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과 요도스텐트용 밀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02291U KR20230002291U KR2020220001280U KR20220001280U KR20230002291U KR 20230002291 U KR20230002291 U KR 20230002291U KR 2020220001280 U KR2020220001280 U KR 2020220001280U KR 20220001280 U KR20220001280 U KR 20220001280U KR 20230002291 U KR20230002291 U KR 2023000229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rethral
- balloon
- catheter
- stent
- urethral cathet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06010004446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08000004403 Prostatic Hyperplasia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10000003708 urethra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09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6010051482 Prostatomegal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9
- 210000002307 prostat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2485 urina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2574 cystoscop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2271 res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7630 basic procedure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1272 standard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1
- 210000003932 urinary bladder Anatomy 0.000 description 97
- 208000018672 Dila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27939 mictu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3899 penis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06010013990 dysu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6
- 206010046555 Urinary reten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100 adrenal gland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484 anatomy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6010020880 Hypertroph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60862 Prostate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MUMGGOZAMZWBJJ-DYKIIFRCSA-N Testostosterone Chemical compound O=C1CC[C@]2(C)[C@H]3CC[C@](C)([C@H](CC4)O)[C@@H]4[C@@H]3CCC2=C1 MUMGGOZAMZWBJJ-DYKIIFRC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72 contrast medi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64 dys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02 growth fa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7497 prostat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4240 prostatic hypertroph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206 urina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73306 Exposure to radi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236 Prostatic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647 Renal Insufficienc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392 Sp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6454 Urethral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5584 Urethral ste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568 Urinary Bladder Calculi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6542 Urinary hesi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2931 Urolog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and in rare case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98 an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99 angioplast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9231 contrast media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63 epididym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18 hyperpla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90 hyperplas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24 intravesical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6370 kidney failur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47 laser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3 med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3 metabo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9446 noctu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369 optimal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05 plas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471 prostatectom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70 sphinct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580 syndrom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50 test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604 testoster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988 urethral strictur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001 urina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2327 urinary tract obstru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1—Multiple balloon cathe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42—Urinary blad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6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1—Means for forcing inflation fluid into the ballo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6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 A61F2002/96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with additional retain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78—Urinary tract
- A61M2210/1089—Ureth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전립선비대증(轉立腺肥大症, Prostatic hyperplasia)은 전 세계 남성의 약 25% 정도가 치료를 받아야 하는 흔한 남성질환이다. 이 질환의 최적(最適, gold standard)의 치료는 경요도적 전립선절제술(經尿道的前立線切除術, transurethral resection of prostate, TURP)이다. 최근, 전립선 비대증으로 배뇨곤란을 겪는 고령의 환자들이 폭증하고, 많은 고령의 환자들이 여러 동반질환을 소유하고 있어, 이 환자들에 대한 수술적 치료가 높은 생명의 위험성(risk)을 포함하고 있어, 전립선비대증에 대한 최적의 수술적치료를 실시하는 것이 금기되는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이런 수술의 위험성을 포함하는 환자들에게, 최적의 수술은 아니더라도, 환자의 배뇨곤란을 해소시켜주기 위해, 덜 침습적(侵襲的)인 치료(less invasive treatment)가 많이 연구되었다. 본 고안, 두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Urethral catheter having two balloons)과 요도스텐트용 밀대(Pusher for urethral stent)는 여러 덜 침습적인 치료방법 중, 전립선요도 풍선확장술(前立腺尿道 風扇擴張術, prostatic urethral balloon dilatation)이나 요도스텐트설치술(尿道stent設置術, urethral stenting)을 실시할 때, 이 두 치료를 쉽게 시술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의료장비이다. 비뇨기과 의사들이 익숙한 기본 술기인 방광경검사(cystoscopy)와 요도경검사(urethroscopy)와 본 고안의 두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Urethral catheter having two balloons)과 요도스텐트용 밀대(Pusher for urethral stent)를 이용함으로서, 치료목표인 비대된 전립선 요도부위에 치료용 풍선이나 요도스텐트를 아주 쉽게 위치시켜 (位置, localize), 효과적으로 전립선비대증을 치료할 수 있도록 하고, 환자들도 저렴한 시술비로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의료기구분야이며, 전립선비대증(轉立腺肥大症, prostatic hyperplasia)은 모든 남자의 약 1/4이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알려졌는데, 약제치료로 효과가 없는 환자들은 수술적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고령 및 동반질환 소유의 노약자에게는 수술적치료가 생명의 위험 때문에 덜 침습적(侵襲的)치료(less invasive treatment)를 실시하고 있는데, 이 덜침습적치료 중, 전립선요도(prostatic urethral)의 풍선확장술(balloon dilatation) 및 요도스텐트(urethral stent) 설치술로 비대한 전립선에 의해 좁혀진 전립선요도 부위를 확장하고자 시도할 때, 쉽고 효과적으로 풍선 및 요도스텐트를 병변부위에 위치시키는, 두 개의 풍선(風船, balloon)을 소유한 요도도뇨관(尿道導尿管, urethral catheter)과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을 이용해 요도스텐트 설치술을 쉽게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요도스텐트 밀대에 관한 것이다.
요도(尿道, urethra)는 체내 대사산물 중 유해한 물질들을 신체 밖으로 배출하는 중요 기전 중 하나인 배뇨(排尿, urination)과정의 산물인 소변(小便, urine)을 방광으로부터 체외로 배설하는 생체도관(生體導管, biological conduit)이다. 남성의 요도는 음경(陰莖, penis)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데, 음경 절단면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체내도관(體內導管, body conduit)으로서, 그 직경은, 개인적인 차이가 있으며, 탄력성을 가지고 있다. 정상적인 상황아래에서, 요도는 방광(膀胱, urinary bladder)에 저장된 소변을 외요도구(外尿道口, external urethral orifice) 밖의 체외로 배출하는데 필요한 체내도관으로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드믈게는, 체외(體外, outside of body)의 물질을 방광 속으로 주입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요도도뇨관(尿道導尿管, urethral catheter)은 요도(尿道, urethra) 내부에 위치하면서, 방광 내부와 음경귀두(陰莖龜頭, glans penis) 밖까지를 연결시키는, 일정 크기의 내경 또는 외경을 소유한 비생물학적인(nonbiological) 관(管, tube)으로서 방광과 요도 외부의 체외(體外, outside of body)를 연결하는 의료기구로서, 진단 및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尿道導尿管, urethral catheter)은 3부분으로 크게 구분된다. 요도도뇨관의 한쪽 말단첨단부(末端尖端部, end tip)는 풍선과 소변이 빠져나갈 수 있는 몇 개의 구멍이 위치한 부분으로서, 이 부위가 음경(陰莖, penis) 끝의 외요도구(外尿道口, external urethral orifice)를 통해 요도를 거처 방광 속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대부분의 요도도뇨관에서는 풍선이 위치하는 부분 근접의 첨단부위에 방광의 소변이 체외(體外, outside of body)로 배출되기 위한 소변이 유입되는 구멍(流入口, opening for urine)이 한 개 또는 두 개가 요도도뇨관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일부에서는, 추가로 외부에서 방광내로 어떤 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다른 구멍이 위치하기도 한다. 요도도뇨관의, 풍선이 설치된 부분과 반대편의, 다른 말단부는, 방광 내에 위치한 요도도뇨관을 통해 소변이 체외로 배출되는 요도도뇨관 배출구(排出口, outlet of urine)와 풍선을 부풀리는 충만제(充滿材, fulling material)를 주입하는 주입구가 있으며, 간혹 신체외부에서 방광 내로 어떤 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를 별도로 소유하고 있다. 이 두 말단부위, 요도도뇨관의 풍선부와 요배출구 부위 사이는, 일정 내강을 가진, 동시에 요도 속에 위치하는, 도뇨관의 외경(外徑, outer diameter)이 일정한, 요도도뇨관 체부(體部, body)로서, 이 부위는 2개 또는 3개의 내강(內睦, lumen) 가지고 있는데, 하나는 방광의 소변이 외부로 배출되는 내강으로서 가장 넓은 면적의 소변배출구(尿排出口)의 내강이고, 다른 하나는 풍선을 부풀리는 충만제(充滿材, fulling material) 주입용 내강이고, 만약 3개의 내강이 있는 경우는, 마지막 하나는, 체외에서 방광으로 어떤 물질을 주입할 때 이 주입물질이 통과하기 위한 내강이다.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尿道導尿管, urethral catheter) 대부분은, 풍선을 소유한 부위를 음경(penis)말단부(龜頭, glans penis)의 외요도구(外尿道口, external urethral orifice)로 삽입하여, 요도(尿道, urethra)를 통해 방광 속으로 삽입된다. 요도를 통과해 방광으로 삽입되는 요도도뇨관 끝의 반대편 끝은 외요도구(外尿道口, external urethral orifice) 밖에 위치시킴으로서, 요도도뇨관이 방광 내부(內部)와 요도밖의 신체외부(外部)를 연결시켜주는 도관으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요도도뇨관은 진단목적과 치료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진단목적으로는, 방광내의 소변양을 측정하는 잔뇨(殘尿, residual urine)양의 측정, 방광내의 압력(膀胱內壓, intravesical pressure)의 측정, 방광의 형태를 검사를 위해 조영제를 방광으로 주입하여 실시하는 방광촬영(膀胱撮影, cystography), 방광내 소변채취(尿採取, urine collection) 등의 목적으로 사용한다. 치료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방광에 정체된 소변이 요도를 통해 체외(體外, outside of the body)로 배출되지 못하는 요폐(尿閉, urinary obstruction)의 해결, 요도성형술(尿道成形術, urethroplasty)의 수술 때 또는 요도손상(尿道損傷, urethral injury) 치료 때 요도부목(尿道副木, urethral stent) 등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요도도뇨관(尿道導尿管, urethral catheter)을 일단 요도에 위치시킨 후, 검사 또는 치료 등의 어떤 목적으로 요도도뇨관을 일정시간 이상 방광에 유치할 필요가 있을 때, 요도도뇨관이 요도로부터 빠지지 않고 장시간(長時間, long time) 요도내에 유지(維持, maintain)시켜야 할 경우, 요도도뇨관이 요도구 밖으로 빠지지 않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즉, 요도도뇨관을 일정시간 이상 방광에 유치(留置, indwelling)할 필요가 있고, 또 방광에 삽입하였던 유치도뇨관(留置導尿管, indwelled catheter)이 체외(體外, outside of the body)로 빠지지 못하게 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요도를 통해 방광으로 삽입된 요도도뇨관의 체외부분과 음경을 반창고(絆瘡膏, adhesive plaster) 등을 이용해 단단히 부착시킴으로서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요도도뇨관을 설치하고 있는 환자나 사람들이 움직이지 않거나 매우 조심해야 했다. 이는 환자 등에게 매우 힘든 내용이었다. 이런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찾아야 했다. 그 방법은, 요도도뇨관이 방광으로 부터 빠지지 않게 하는 것이었다. 요도구와 요도를 통해 방광으로 삽입된 요도도뇨관 끝에 방광출구(膀胱出口, bladder outlet)의 내요도구폭(內尿道口幅, internal urethral orifice diameter)보다 넓은 직경을 가진 물체를 설치함으로서, 요도폭보다 넓은 폭의 물체로 인해, 요도도뇨관이 방광출구에 걸려서 체외로 빠질 수 없는 방법을 고안하게 되었다. 이 물체는, 요도도뇨관이 방광출구를 지나 요도를 통과해 신체 밖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해야 하기 때문에, 이 물체의 방광내에서의 크기는, 최소한, 요도폭(尿道幅, urethral diameter) 및 방광출구보다 커야 한다. 이런 크기의 물체를 요도를 통해 방광속으로 삽입(揮入, insertion)하는 것은 실지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법으로, 요도도뇨관(尿道導尿管, urethral catheter)을 만드는 재료로서, 탄력성(彈方性, elasticity)이 좋고 높은 굴절성(屈折性, flexibility)을 소유한 재질로, 유연한(柔軟, flexible) 고무(rubber) 나 실리콘(silicone) 등의 물질을 사용해 요도도뇨관을 생산하고, 요도도뇨관 중 방광으로 삽입되는 요도도뇨관 끝 부위에 충만제(充滿材, fulling material)를 외부로부터 삽입하면 팽창이 가능하고, 사용했던 충만제를 제거했을 때에는 원래크기로 수축될 수 있는 풍선(balloon)을 요도도뇨관의 방광속으로 삽입되는 부위에 설치하는 방법을 고안하였으며, 현재는, 이러한 제품이 발명되어 임상(臨床, clinic)에서 상용(常用, commercial use)되고 있다. 이 요도도뇨관의 풍선을 팽창시키는 충만제로는 대부분 물(水, water)이 사용되며, 드믈게 공기(空氣, air) 또는 물과 희석된 조영제(造影劑, contrast media) 등 만약 어떤 이유로 풍선이 파열되어 충만제(充滿材)가 몸에 접촉하여도 신체에 해가되지 않고 풍선의 품질에도 해를 주지 않는 물질들이 사용된다. 이들 풍선을 팽창하는데 이용되는 충만제는, 요도도뇨관의 풍선으로부터 반대쪽 끝에 있는 요도도뇨관 말단 부에 설치된 풍선충만제 주입구로부터 풍선까지 연결된 도관(連結導管, connecting conduit)을 통해 주입된다. 이 연결도관은 요도도뇨관 속을 통과한다. 지속적인 요도도뇨관 생산기술의 발달로 인해, 요도도뇨관에 설치된 풍선이 팽창 가능한 현재의 용량은 100mL 또는 그 이상으로까지 다양하게 생산되고 있다.
현재 상용되고 있는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尿道導尿管, urethral catheter)에서, 풍선이 설치된 쪽의 반대쪽에는, 방광의 소변이 배출되는 요배출구(尿排出口, urinary outlet)와 풍선 충만제의 투입을 위한 충만제주입구(充滿材注入口)의 총 2개의 필수적인 장치가 있다. 이와 다른 형태의 경우, 방광 내로 어떤 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추가적인 장치 하나를 추가해 3개의 장치가 설치되어 있기도 하다. 요배출구는, 요도도뇨관이 방광 내부와 신체외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을 때, 요도를 통해 방광 내로 설치된 요도도뇨관을 통해, 방광 내부로부터 신체 외부로 소변을 배출시키기 위한 내강(內腔, lumen)의 전용 배출구이다. 이 내강의 풍선 쪽 방광 내 개구하는 부위는, 대부분, 풍선 바로 위(尖部)의 요도도뇨관의 측면에 위치한다. 요도도뇨관의 풍선이 있는 곳 반대쪽의 장치 중 다른 하나는, 이 요도도뇨관이 방광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풍선을 부풀리게 하는 충만제(充滿材, fulling material)를 주입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기본적으로 폐쇄되어 있으나, 압력에 의해 폐쇄부분이 열릴 수 있는 밸브(valve)기전의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압력을 가하지 않을 때는, 풍선을 부풀릴 때 사용된 충만제가 이 장치 밖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압력을 가하면 풍선 쪽으로 충만제를 주입하여 풍선을 부풀릴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선, 풍선을 부풀리는데 사용된 충만제를 배출시킬 수도 있어, 부풀려진 풍선을 수축시킬 수도 있다. 만약 3번째의 장치가 설치된 요도도뇨관의 경우, 이는 신체 외부에서 방광안으로 액체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로 사용되며, 분리된 마개가 설치될 수 있다.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은 이와 같은 구조적 및 기능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부풀려지지 않은 풍선이 설치된 요도도뇨관을 방광내로 충분히 삽입한 후, 음경의 외요도구 밖의 요도도뇨관 부위의 요도도뇨관 풍선을 부풀리는 충만제주입구를 통해 충만제를 삽입하여 방광내부의 요도도뇨관의 끝에 설치되어 있는 풍선을 부풀(inflate)려서, 이 부풀려진 요도도뇨관의 풍선의 직경이, 방광경(膀胱頸, bladder neck)의 요배출구(膀胱內 尿排出口, intravesical urinary outlet)의 폭보다 넓어 요도도뇨관이 방광경(bladder neck)에 걸려서, 방광 내에 유치된 요도도뇨관이 체외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정착하게 되었다.
요도는 방광의 소변이 체외로 배출되는 오줌길로서, 남성과 여성의 요도는 근본적으로 상이하다. 남성의 요도는 평균적으로 15-23 Cm 정도의 길이를 소유하고 있으며, 막양부요도(膜樣部尿道, membranous urethra)에서 굴곡을 가지고 있으나, 여성의 요도는, 남성요도에 비하여, 해부학적으로 거의 직선에 가깝고, 요도의 길이도 5 Cm 내외로 짧다. 요도의 폭은, 남녀 상이하나, 남성요도의 경우, 개인마다 차이는 있으나, 동그란 상태에서 5mm에서 10mm 내외의 크기이고, 여성요도의 폭이 남성보다 더 넓다.
전립선(前立腺)은 출생 때는 남아 및 여아 모두가 소유하고 태어난다. 전립선의 성장에 필수적인 성장인자(成長因子, growth factor)는 남성호르몬(男性 호르몬, testosterone/ androgen) 이다. 남성호르몬은, 남성에서는 고환(睾丸, testis)에서 대부분 생산되고, 매우 적은 양이 부신(副腎, adrenal gland)에서 생산되나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부신의 전립선 관련성은 임상적 의미가 낮다. 정상 여성의 경우, 남성호르몬이 부신에서 극히 소량이 생산되지만 임상적 의미가 없고, 정상 여성에서는 부신 이외에는 남성호르몬 생산하는 다른 특이한 기관은 없다. 전립선의 크기는, 남성에서, 사춘기까지는 거의 큰 변화가 없다가, 사춘기 이후부터 20대까지 급격히 성장한다. 50대 이상의 성인 남성에서는 남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성장한 전립선이 방광직하부(膀胱直下部, Just below the urinary bladder)에 위치하는 전립선요도(前立腺尿道, prostatic urethra)를 압박하여 요배출(尿排出)에 저항을 일으켜 배뇨곤란(排尿困難, urination/voiding difficulty)을 포함하는 많은 증상을 초래하기도 한다. 여성의 경우는, 출생 직후는 전립선을 소유하고 있었으나, 나이가 증가하더라도, 전립선 성장인자인 남성호르몬이 생산되지 않으므로, 태어날 때 있었던 전립선은 점차 퇴화하여, 성인 또는 노인의 경우 흔적적으로 존재하거나, 육안적 확인이 힘들다.
최근 과학의 발달과 동반된 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사람들의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지속적으로 고연령 남성들의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질병양상이 변화되고 있다. 고연령의 사람들이 겪게 되는 많은 질병 중, 전립선 관련 질환의 빈도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고연령의 남자들이 소유한 전립선질환들에는 악성(惡性, malignant) 전립선종양(前立腺, prostate tumor)인 전립선암(前立腺癌, prostate cancer)도 있으나, 감염(感染, infection)을 포함하여 많은 양성질환이 있다. 이 양성질환 중, 종양에 속하는, 전립선이 커지는 질환을 양성전립선비대증(良性前立腺肥大症, Benigh prostatic hyperplasia, BPH)이라 칭한다. 전립선비대증은 방광 및 전립선요도에 영향을 주어 초래되는 배뇨곤란의 증상은 배뇨 후 잔뇨감(排尿後殘尿感, post-voiding residual urine sense), 빈뇨(頻尿,frequency), 배뇨의 간헐적 중단(interruption of voiding), 요선의 세선화(thin urinary stream), 급박뇨(急迫尿, urgency), 배뇨개시곤란(initiation difficulty), 소변주저(urinary hesitancy) 및 야뇨(夜尿, nocturia), 요폐(尿閉, urinary retention), 요로감염, 방광결석(膀胱結石, bladder stone), 신부전(腎不全, renal failure)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전립선비대증상으로 고생하는 환자의 빈도는, 통계에 의하면, 모든 남자의 약 1/2 이상이 되고, 이들 중 1/2 이상은 치료를 필요로 한다고 알려지고 있다. 과거에는 양성 전립선비대증의 생물학적 특성이 잘 밝혀지지 않아, 특별한 약제는 별로 없었다. 그러나, 전립선의 분자생물학적 성격이 규정된 20-30년 전부터는, 여러 약제들이 개발되어 배뇨곤란 증세를 호소하던 많은 환자들이 치료되었으나, 아직도 많은 환자들이 약물로는 효과를 보지 못해, 약물 이외의 수술적치료(手術的治療, surgical treatment)를 필요로 하고 있다. 오래전에는, 개복수술(前立腺摘出術, prostatotecomy)을 대부분에서 실시하였으나, 비뇨기계 의료장비의 개발로, 요도를 통한 (經尿道, transurethral)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이 증가되었다. 이후, 경요도적 전립선 절제술(經尿道轉立線切除術, transurethral resection of prostate, TURP)이 고전적인 수술이기는 하나, 현재까지, 최선의 치료방법(gold standard)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환자가 출혈, 관류액유출, 경요도적전립선절제술 증후군, 부고환염 및 요로감염, 요도협착 및 방광경부경축 등의 합병증에 더불어 최악의 경우 사망하는 것까지 여러 가지 부작용 및 수술 후 합병증을 겪고 있다.
최근, 고연령층의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특히, 전립선질환 이외에도 여러 동반질환을 소유한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환자에서, 상기 전립선비대증의 최선의 치료법인 경요도적 전립선 절제술(TURP)과 같은 치료를 이런 환자들에게 실시되면, 수술과 관련하여 높은 생명의 위험성(高危險性, high risk)을 겪게 될 가능성이 있는 환자가 급증하게 되었다. 이러한 위험성을 피하고 환자의 고통스러운 증상을 해소시키고자, 여러 덜침습적(侵襲的)치료(less invasive treatment)가 고안되어 시술되고 있다. 이에는, 전립선 고온/온열치료, 전기기화술, 초음파치료, 레이저치료와 더불어 전립선요도 풍선확장술 (前立腺尿道 風扇擴張術, prostatic urethral balloon dilatation) 및 요도스텐트설치술(尿道stent設置術, urethral stenting) 등이 고안되고 환자치료에 시술되고 있다. 이러한 덜침습적인 치료법을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시술하기 위하고, 의사들의 시술(施術)의 용이도(容易度)를 높이고자 많은 고가(高價)의 의료장비들이 개발되었고, 이 비싼 의료장비를 이용함에 따른 비싼 치료비는 환자들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그러나, 전립선요도 풍선확장술과 요도스텐트 설치술은 다른 덜침습적치료법에 비해 비싸지 않는 의료비로 실시할 수는 있으나, 의사들에게 시술의 편의성을 보장하는 의료장비들이 아직 개발되지 않아서, 이들 덜침습적치료를 시술할 때, 시술 의사들이, 풍선 또는 스텐트를 비대된 전립선에 위치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요구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즉, 전립선요도 풍선확장술이나 전립선요도스텐트 설치술은, 그 자체의 재료비는 비싸지 않으나, 비뇨기계 의사들의 입장에서는, 이들 덜침습적(侵襲的)치료(less invasive treatment) 실시를 도와 줄 적절한 의료장비가 개발되지 못해, 전립선요도 풍선확장술이나 전립선요도스텐트 설치술 시술을 실시하는 것이 힘들고, 시술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시술 시 방사선에 노출되는 등의 이유로, 이들 치료의 시술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즉, 전립선요도 확장용 풍선이나 요도스텐트의 설치술에서 풍선 및 요도스텐트를 안전하고 쉽게 전립선요도에 설치하는(위치시키는) 장치(定置裝備, instrument to put in place)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전립선요도 풍선확장술이나 요도스텐트 설치술에서 안전하고 쉽게 전립선 요도에 풍선 또는 요도스텐트를 설치할 수 있는 의료장비가 필요하며, 이런 이유로 인하여, 비뇨기과 의사들이, 쉽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이들 전립선요도 풍선확장술이나 요도스텐트 설치술을 실시하는데 도움을 주는 의료장비를 고안하는 것이 필요한 상태이다.
본 고안은, 전 세계 모든 남성의 약 25% 정도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전립선비대증(轉立線肥大症, prostatic hyperplasia) 환자들의 치료와 관련된 것이다. 세계적인 문명의 지속적인 발달과 함께 전 세계인의 평균수명의 연장이 동반되고 있으며, 전립선비대증 환자들 중에도 고연령 또는 심각한 동반질환을 소유한 고위험군(高危險群, high risk) 환자들의 수도 비례하여 증가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고위험군 환자들에게는 여러 문제점을 소유하는 기존의 수술적 치료에 비해 덜침습적(侵襲的)인 치료(less invasive treatment)를 실시하여, 환자 생명의 위험을 감소시키고자 하고 있다. 전립선비대증에 대한 여러 덜 침습적인 치료방법 중, 전립선요도 풍선확장술 (前立腺尿道 風扇擴張術, prostatic urethral balloon dilatation)이나 요도스텐트설치술(尿道stent設置術, urethral stenting)은 오래 전부터 고안되었으나, 현재까지 이 두 시술을 실시하는 비뇨기과 의사들이 매우 적다. 그 이유는, 비뇨기과 전문의사들이 이 두 치료를 쉽게 시술할 수 있도록 보조하도록 특별히 개발된 의료장비가 없어서, 이 두 시술을 실시할 때 의사들이 매우 까다롭고 힘들기 때문에, 드믈게 시술하거나 아예 시술하지 않는다. 이 고안에서는, "두 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尿道導尿管, urethral catheter)과 요도스텐트 밀대"를 개발하여, 비뇨기과의사들이 전립선요도 풍선확장술이나 요도스텐트설치술을 쉽게 시술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수술적치료가 높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환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모든 비뇨기과 전문의사들이 매우 익숙한 비뇨기과의 기본적인 술기인 내시경(內視鏡, endoscope) 술기(術技, technique)에 첨가하여, 이 고안물(考案物, device)을 이용함으로서, 비대된 전립선에 치료용 풍선이나 요도스텐트를 아주 쉽게, 치료해야 할 전립선 요도부위에 위치시키고(位置, localize), 효과적으로 전립선비대증을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 "2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과 요도스텐트 밀대"를 개발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양성 전립선비대증(良性前立腺肥大症, Benigh prostatic hyperplasia, BPH)은 대부분 50대 이후의 남성에 발생하는, 전 세계 모든 남성의 25%가 치료를 받아야 하는 매우 높은 발생빈도를 보이는, 남성 비뇨기계 질환이다. 최근, 문명의 발달과 함께, 고령의 환자들이 폭증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전립선비대증으로 배뇨곤란을 겪고 있는, 많은 고령의 환자들이 급증함과 동시에, 전립선비대증과 함께 여러 동반질환을 소유하고 있어, 이들 고령의 환자들에 대한 수술 자체가 높은 생명의 위험성(危險性, risk)을 포함하고 있어, 전립선비대증(BPH)의 최적의 치료인 TURP를 실시하는 것이 금기되는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고령의 환자가 급증으로 인한 수술 위험성 때문에 수술을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이 환자들이 겪는 고통의 근본적인 치료는 할 수 없어도, 환자의 고통을 큰 폭으로 줄여줄 수 있는, 위험성이 적은 치료방법들을 연구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치료 때 생명의 위험성이 적은, 다양한 덜 침습적(侵襲的)인 치료법(less invasive treatment)들이 많이 시술되고 있다.
본 고안은, 전립선비대증을 치료하는 덜침습적인치료법들 중, 시술과 관련된 보조 의료장비가 개발되지 않아, 실질적으로 치료가 매우 힘들어, 비뇨기(泌尿器, urology)계 의사들이 시술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는, 전립선요도 풍선확장술(prostatic urethral balloon dilatation) 및 요도스텐트(urethral stent) 설치술을 쉽게 할 수 있는 의료장비, "2개의 풍선을 가진 요도도뇨관"과 이와 관련된, "요도스텐트밀대"를 개발하는 것이다.
방광경검사(膀胱鏡檢査, cystoscopy) 및 요도경검사(尿道鏡檢査, urethroscopy): 비뇨기과 고유의 기본적인 필수적으로 획득해야 하는 술기이며, 이 검사들에 사용되는 장비가 방광경(膀胱鏡, cystoscope)과 요도경(尿道鏡, urethroscope)이다. 이 장비들을 이용하여 많은 비뇨기과적 검사 및 치료가 행해지기도 한다. 이들 장비와 술기는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과 요도스텐트밀대를 이용한, 전립선비대증의 덜 침습적인치료 (less invasive treatment) 중 전립선요도 풍선확장술 및 요도스텐트 설치술의 2종류 시술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 2 종류의 시술에 앞서, 먼저, 방광경검사(cystoscopy) 또는 요도경검사(urethroscopy)를 실시하는데, 이를 통해 방광과 요도를 관찰하여 배뇨곤란의 원인을 파악하며, 배뇨곤란을 초래하는 주된 원인인 비대해진 전립선의 길이를 정확히 측정한다.
현재 전세계에서 사용되는 요도도뇨관의 길이는, 풍선쪽 요도도뇨관 끝(尖端部. tip)으로부터, 반대쪽 요 배출구(尿排出口, urine outlet)가 있는 곳까지의 길이가 보통 40 Cm 내외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尿道導尿管, urethral catheter), 2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의 길이는 2 종류로서, 한 종류는 현재 관찰되고 있는 상용(常用, common use)의 요도도뇨관과 비슷한 40Cm 내외의 길이를 소유하고 있는 단축(短軸, short length)의 2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이며 이는 풍선확장술에 이용될 것이고, 다른 종류의 본 고안의 2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은 요도스텐트설치술에서 요도스텐트의 확장(擴張, expansion)에 사용하는 요도도뇨관으로서, 장축(長軸, long length)의 요도도뇨관으로서 그 길이는 단축 요도관 길이의 약 2배 크기인 80 Cm 내외의 길이 또는 그 이상의 길이이다.
전립선요도풍선확장술: 이 시술을 실시하기 위해선, 이미 실시된 방광경검사(cystoscopy) 또는 요도경검사(urethroscopy)로, 배뇨곤란을 초래하는 환자의, 비대된 전립선요도 길이가 측정되어야 한다. 이 시술을 실시하기 위해선, 본 고안 "2개의 풍선을 가진 요도도뇨관"의 2번째 풍선의 길이가, 측정된 비대된 전립선의 길이보다 약간 더 길며,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총 길이가 40 Cm 내외인 단축의 요도됴뇨관을 시술에 사용할 요도도뇨관으로 선택한다.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풍선이 있는 첨단부(尖端部, tip)를 방광 속으로 충분히 삽입한 후, 방광 내(膀胱內, within in bladder)에 위치하는 요도도뇨관에 있는 2개의 풍선 중, 요도도뇨관의 첨단부에 있는 첫 번째 풍선을, 요도 밖의 체외에 있는 충만제주입구에 충만제를 주입하여 팽창시킨다. 이 팽창된 첫 번째 풍선이 방광경(膀胱頸, bladder neck)에 걸려,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이 방광 내부로부터 요도외부(尿道外部, outside of urethra) 체외(體外, out side of body)로 미끄러져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태에서, 요도 밖, 신체 밖에 위치하는 요도도뇨관 쪽에서 요도도뇨관의 요배출구(尿排出口, urinary outlet) 내강을 통해, 방광 내로, 유도철심(guide wire)을 삽입하여, 만약의 사고에 대비한다. 이 상태에서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을 신체외부에서 살며시 당김으로서 첫 번째 풍선은 방광경(bladder neck)에 밀착하게 된다. 동시에, 두 번째 풍선은, 남성 요도의 해부학적 구조상, 방광이하부의 해부학적으로, 전립선요도부위에 위치하게 되어, 환자의 증상인 배뇨장애를 초래하는 비대해진 전립선(hypertrophied prostate) 부위의 전립선요도 내에 자연히 위치하게 된다. 두번째 풍선을 충만제로 충만시켜 부풀림을 유지함으로서, 비대해진 전립선을 본 고안의 두번째 풍선이 압박하여, 비대해진 전립선(hypertrophied prostate)을 치료하는 전립선요도 풍선확장술을 쉽게 실시하게 된다.
요도스텐트(Urethral stent)설치술: 요도스텐트설치술 시술에 앞서,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 요도스텐트 및 요도스텐트 밀대를 이용한 "준비"가 필요하고, 그 후, 이 준비물로 요도스텐트 설치술을 쉽고 효과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요도스텐트설치술에서도, 치료할 비대해진 전립선의 길이가 이미 실시된 방광경검사(cystoscopy) 또는 요도경검사(urethroscopy)로 정확히 측정되어있는 상태에서 실시하게 된다. 여러 종류의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 "2개의 풍선을 가진 요도도뇨관" 중 2번째 풍선의 길이가, 방광경검사(cystoscopy) 또는 요도경검사(urethroscopy)으로 측정된 비대된 전립선요도의 길이보다 약간 더 길며,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총 길이가 80 Cm 내외인 긴(長軸) 요도됴뇨관을 선택한다. 요도스텐트(urethral stent)의 길이는, 이미 측정된 비대해진 전립선길이와 일치하는 것을 선택한다.
요도스텐트설치시술의 준비는, 요도스텐트밀대(urethral stent pusher)의 돌출부가 없는 쪽의 끝에서부터 시작하여, 요도스텐트밀대의 내강(內睦, lumen) 속으로, 선택한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을 밀어 삽입한다. 즉, 이 요도스텐트밀대의 한쪽 끝, 본 고안 요도도뇨관(총 길이가 80 Cm 내외인 긴 요도됴뇨관)의 풍선충만제주입구가 있는 끝까지 요도스텐트밀대를 밀어 놓는다(단, 요도스텐트밀대의 돌출부의 외경은 요도스텐트 외경보다 커야하며, 요도스텐트밀대의 돌출부 끝은, 본 장축의 요도도뇨관의 중간 부위 근처에 놓이게 된다). 이후, 방광경검사(cystoscopy) 또는 요도경 검사(urethroscopy)로 측정된 비대해진 전립선의 크기와 일치하는 길이(length)이면서, 요도스텐트(urethral stent)의 내경이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외경보다 큰 요도스텐트(그러나, 요도스텐트밀대의 돌출부 외경의 폭보다는 작아야 함)를 선택한다. 이 선택된 요도스텐트 속으로,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을 밀어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는 "요도스텐트밀대"가 이미 요배출구쪽에 위치하고 있어서, 요도스텐트를 요도스텐트밀대 돌출부까지 움직여 놓는다. 이 상태에서는, 요도도뇨관의 풍선충만제주입구 쪽에 요도스텐트밀대가 위치하고,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중간 부위에 요도스텐트가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장축(약 80 Cm 길이)의 요도도뇨관의 풍선충만제주입구 입구 쪽 요도도뇨관의 약 중간 부위(1/2)에 요도스텐트 및 본 고안의 요도스텐트밀대의 돌출부가 위치하게끔 준비된다.
이 상태에서, 본 고안을 포함한 준비물을 이용해 요도스텐트시술을 시술하게 된다. 시술의사(施術醫師, Doctor)는 요도스텐트설치술 전에 방광경검사(cystoscopy) 또는 요도경검사(urethroscopy)를 실시하고, 이들 검사를 끝내기 전에, 방광경(cystoscope) 또는 요도경(urethroscope) 싸게(sheath) 만을 요도 내에 남겨 놓은 상태에서, 방광경검사 및 요도경검사에 필요한 다른 부품(싸게를 제외한 부품)들을 분리하여 방광경(cystoscope) 또는 요도경(urethroscope) 으로부터 제거한다. 이로 인해 방광경(cystoscope) 또는 요도경(urethroscope)싸게(sheath) 만이 요도로부터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요도내에 남아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이미 준비한, 본 고안의 장축(長軸)의 요도도뇨관 둘레에 요도스텐트 및 요도스텐트밀대가 끼어져 요배출구와 풍선충만제주입구쪽으로 밀쳐져 있는 부분의 반대쪽인, 요도도뇨관 전체의 풍선쪽 약 절반(1/2)의 길이에 해당하는 풍선쪽 첨부(尖部, apex)를 방광경 또는 요도경의 싸게(cystoscope or urethroscope sheath) 속으로 충분히 집어 넣는다. 이 상태는,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2개의 풍선이 있는 요도도뇨관 끝부분이 방광경(膀胱頸, bladder neck)을 지나, 방광내부(inner side of the bladder)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후, 요도외부 신체 밖에 있는 요도도뇨관의 풍선충만제주입구를 통해, 방광 내에 위치하는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첫 번째 풍선을 충만-팽창시켜 요도도뇨관이 방광경(膀胱頸, bladder neck)에 걸려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이 체외 밖으로 빠지지 않는 안전한 상태(secure state)를 만든다. 이 후, 2개의 풍선은 가진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을 요도를 통해 방광내로 삽입한 후, 첫 번째 풍선을 충만시켜 풍선을 확장시켜, 방광경(膀胱頸, bladder neck)에 걸리게 한다. 이 상태에서,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풍선쪽과 반대쪽에 있는 소변배출구를 통해 유도철심(guide wire)을 요도도뇨관 내강을 통해 요도도뇨관 풍선쪽 첨부(尖部, apex)의 중앙부의 요배출구 입구를 통해 방광내로 삽입하여, 만약의 사고에 대비한다. 이 상태에서의 요도는, 제거하지 않고 요도에 남아 있는 방광경 또는 요도경싸게(cystoscope or urethroscope sheath)가 지지해주어, 정상 요도의 해부학적구조인 굴곡(屈曲, curvature)을 유지하지 않고, 방광경(膀胱頸, bladder neck)으로부터 외요도구(外尿道口, external urethral orifice)까지는 직선(直線, straight line)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을 둘러싸고, 음경의 외요도구(外尿道口, external urethral orifice) 밖, 신체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을 둘러싸고 있는, 요도스텐트(urethral stent)와 요도스텐트밀대(urethral stent pusher)를 요도 속에 위치하는 방광경 또는 요도경싸게 (cystoscope or urethroscope sheath) 속으로 밀어 넣는다. 방광경 또는 요도경싸게(cystoscope or urethroscope sheath) 속에 있는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 외부를 따라 방광(bladder)쪽으로 밀려 운반된 요도스텐트(urethral stent)는 요도스텐트 밀대(urethral stent pusher)에 밀려, 충만제로 부풀려져 팽창되어 방광경(bladder neck)을 막고 있는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첫 번째 풍선을 만나 더 이상 방광 속으로 밀려들어가지 못하게 되고, 이는 요도스텐트가 비대해진 전립선요도 속에 위치하게 된다. 요도스텐트(urethral stent)는, 방광경(bladder neck)과 요도스텐트의 외경보다 더 넓은 외경을 가진 요도스텐트밀대(urethral stent pusher)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요도스텐트는 외요도구(外尿道口, external urethral orifice)쪽으로 밀려날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요도스텐트는 배뇨장애를 초래하는 전립선 요도의 비대해진 전립선(hypertrophied prostate) 부위의 요도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는,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두 번째 풍선을 요도스텐트가 둘러싸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방광경 또는 요도경싸게(cystoscope or urethroscope sheath)를 서서히 외요도구 쪽으로, 이미 측정된 비대해진 전립선길이 만큼을, 서서히 조금씩 뒤로 잡아당겨 움직인 후, 방광경 또는 요도경싸게(cystoscope or urethroscope sheath)를 정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둘째 풍선을 충만제를 삽입하여 팽창시킴으로서, 요도스텐트(urethral stent)가 팽창하게 되고, 비대해진 전립선이 압박하여 좁아진 요도가 확장되게 된다. 즉, 요도스텐트 내강 속에 위치하고 있던 본 고안의 두 번째 풍선이 부풀려짐으로서, 두 번째 풍선위에 위치하고 있던 요도스텐트가 확장되고, 양성전립선비대증에 의해 폐쇄되어있던 전립선요도가 확장되는 목적하는 치료를 달성하여 배뇨곤란을 치료하게 된다. 요도스텐트가 확장되어, 압박받던 전립선요도가 확장된 후,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2개의 풍선의 충만제를 제거시킨 후, 방광경 또는 요도경싸게(cystoscope or urethroscope sheath)를 요도속에 남겨놓은 후,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을 신체외부로 완전히 제거한 후, 최종적으로, 방광경(cystoscope) 또는 요도경(urethroscope)싸게(sheath)를 요도로부터 안전하게 제거한다.
본 고안, "두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尿道導尿管, urethral catheter)과 요도스텐트(urethral stent) 밀대(pusher)"의 효과는, 전립선비대증으로 인한 배뇨곤란의 증상으로 근본적인 수술적치료가 필요하나, 환자가 고령이거나 여러 질환들이 동반됨으로써, 수술적 치료 자체가 환자의 생명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환자들에게 수술대신 시술하는, 덜 침습적치료(less invasive treatments) 중 치료표적인 비대(hyperplasitic)된 전립선부위에 전립선요도 풍선확장술이나 요도스텐트 설치술을 시술하여 비대된 전립선을 압박하여 치료할 때, 본 고안의 "두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 (urethral catheter with two balloons)과 요도스텐트 밀대(pusher for urethral stent)"를 이용함으로서, 시술의사는 풍선 및 요도스텐트를 배뇨장애를 초래하는 비대해진 전립선요도(hypertrophied prostate urethra)에 아주 쉽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 두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尿道導尿管, urethral catheter)과 요도스텐트 밀대를 이용함으로서 치료의사들은 이전보다는 훨씬 빨리 효과적으로 전립선요도 풍선확장술(balloon dilatation)과 요도스텐트설치술(urethral stenting)을 시술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본 고안, 두 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과 요도스텐트밀대는, 다른 종류의 덜 침습적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복잡한 고가(高價, high price)의 의료장비와 비교하여 매우 저렴하므로, 환자들은 다른 덜 침습적인 치료에 비해 낮은 치료비로 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의료산업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방광과 전립선 및 요도와의 정상구조에서의 관계를 보여주는 절단면 도면. 전립선요도가 정상적이다.
도 2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전립선이 비대해졌을 때의 방광과 전립선 및 요도와의 관계를 보여주는 절단면 도면. 전립선요도가 압박되어 좁아져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요도도뇨관 전체에서 첫 번째 풍선 및 두 번째 풍선 모두가 충만되어 팽창되어진 상태의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요도도뇨관에서, 요도도뇨관 축의 절단면의 도면.
도 5은 본 고안에 의한 요도도뇨관에서 풍선이 위치하는 첨부의 절단면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요도도뇨관에서의 2개의 풍선이 충만되었을 때의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요도도뇨관이 비대해진 전립선이 위치하는 요도를 통과하여 방광내로 삽입된 후, 첫 번째 풍선이 부풀려져 방광경(bladder neck)에 걸려있는 모식도.
도 8는 본 고안에 의한 요도도뇨관이 비대해진 전립선이 위치하는 요도를 통과하여, 방광내로 삽입된 후, 첫 번째 풍선과 두 번째 풍선이 모두 부풀려져, 첫 번째 풍선은 방광경에 걸쳐져 있고, 두 번째 풍선은 비대해진 전립선부위에서 부풀려져 있는 모식도 도면.
도 9은 본 고안에 의한 요도스텐트 밀대가 방광경(cystoscope) 또는 요도경(urethroscope) 외피(外皮, sheath) 속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모식도 도면.
도 10은 요도스텐트 설치술을 실시하기 전 준비된 상태의 모식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장축의 요도도뇨관의 충만제주입구 및 소변 배출구가 있는 쪽으로 요도스텐트 밀대 및 요도스텐트를 밀쳐놓은 상태의 모식도 도면.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요도도뇨관 및 요도스텐트밀대가 전립선이 비대해진 상태에서 실시된 방광경검사(cystoscopy) 또는 요도경검사(urethroscopy) 후 이들 방광경(cystoscope) 또는 요도경(urethroscope) 외피(sheath)가 전립선요도 속에 남아서 위치하고 있고,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첫 번째 풍선이 부풀려져 방광경(bladder neck)에 걸쳐져 있고, 요도스텐트밀대(urethral stent pusher)가 요도스텐트를 비대해진 전립선위치의 방광경(cystoscope) 또는 요도경(urethroscope)외피(sheath) 내에 위치하고 있는 모식도의 도면.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요도도뇨관 및 요도스텐트밀대가 비대해진 전립선 상태에서 실시된 방광경검사(cystoscopy) 또는 요도경검사(urethroscopy) 후 도 11 에서의 상태에서, 방광경(cystoscope) 또는 요도경(urethroscope) 싸게(sheath)를 비대해진 전립선길이 만큼 외요도구쪽으로 뺀(pull) 상태에서, 요도스텐트가 비대해진 전립선에 의해 압박되고 있는 요도와 접하고 있는 상태의 모식도 도면으로서, 요도스텐트 및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두 번째 풍선부위가 비대해진 전립선내의 요도에 위치하고 있는 모식도의 도면.
도 2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전립선이 비대해졌을 때의 방광과 전립선 및 요도와의 관계를 보여주는 절단면 도면. 전립선요도가 압박되어 좁아져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요도도뇨관 전체에서 첫 번째 풍선 및 두 번째 풍선 모두가 충만되어 팽창되어진 상태의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요도도뇨관에서, 요도도뇨관 축의 절단면의 도면.
도 5은 본 고안에 의한 요도도뇨관에서 풍선이 위치하는 첨부의 절단면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요도도뇨관에서의 2개의 풍선이 충만되었을 때의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요도도뇨관이 비대해진 전립선이 위치하는 요도를 통과하여 방광내로 삽입된 후, 첫 번째 풍선이 부풀려져 방광경(bladder neck)에 걸려있는 모식도.
도 8는 본 고안에 의한 요도도뇨관이 비대해진 전립선이 위치하는 요도를 통과하여, 방광내로 삽입된 후, 첫 번째 풍선과 두 번째 풍선이 모두 부풀려져, 첫 번째 풍선은 방광경에 걸쳐져 있고, 두 번째 풍선은 비대해진 전립선부위에서 부풀려져 있는 모식도 도면.
도 9은 본 고안에 의한 요도스텐트 밀대가 방광경(cystoscope) 또는 요도경(urethroscope) 외피(外皮, sheath) 속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모식도 도면.
도 10은 요도스텐트 설치술을 실시하기 전 준비된 상태의 모식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장축의 요도도뇨관의 충만제주입구 및 소변 배출구가 있는 쪽으로 요도스텐트 밀대 및 요도스텐트를 밀쳐놓은 상태의 모식도 도면.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요도도뇨관 및 요도스텐트밀대가 전립선이 비대해진 상태에서 실시된 방광경검사(cystoscopy) 또는 요도경검사(urethroscopy) 후 이들 방광경(cystoscope) 또는 요도경(urethroscope) 외피(sheath)가 전립선요도 속에 남아서 위치하고 있고,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첫 번째 풍선이 부풀려져 방광경(bladder neck)에 걸쳐져 있고, 요도스텐트밀대(urethral stent pusher)가 요도스텐트를 비대해진 전립선위치의 방광경(cystoscope) 또는 요도경(urethroscope)외피(sheath) 내에 위치하고 있는 모식도의 도면.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요도도뇨관 및 요도스텐트밀대가 비대해진 전립선 상태에서 실시된 방광경검사(cystoscopy) 또는 요도경검사(urethroscopy) 후 도 11 에서의 상태에서, 방광경(cystoscope) 또는 요도경(urethroscope) 싸게(sheath)를 비대해진 전립선길이 만큼 외요도구쪽으로 뺀(pull) 상태에서, 요도스텐트가 비대해진 전립선에 의해 압박되고 있는 요도와 접하고 있는 상태의 모식도 도면으로서, 요도스텐트 및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두 번째 풍선부위가 비대해진 전립선내의 요도에 위치하고 있는 모식도의 도면.
본 고안은 2가지인데, 하나는, "2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 이며, 이 요도도뇨관을 고안한 이유는, 이 고안을 이용해 쉽게 풍선확장술을 실시하여 비대해진 전립선에 의해 압박된 요도를 넓혀 배뇨곤란을 치료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본 고안의 2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을 이용해 요도스텐트 설치술을 쉽고 정확히 실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요도스텐트밀대"를 고안하는 것이며, 이 요도스텐트밀대를 이용해 요도스텐트 설치술을 쉽게 실시하여 비대해진 전립선에 의해 압박된 요도를 넓혀 배뇨곤란을 치료하기 위 한 것이다.
이 고안들을 이용해 전립선비대증 치료를 하는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2개의 풍선을 가진 요도도뇨관을 이용한 전립선요도풍선확장술:
이 시술을 실시하기 위해선, 이미 실시된 방광경검사(膀胱鏡檢査, cystoscopy) 또는 요도경검사(尿道鏡檢査, urethroscopy)로, 배뇨곤란을 초래하는, 환자의 비대된 전립선(9)에 의해 압박된 요도의 길이가 측정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이용해 요도풍선확장술을 시술을 실시하기 위해선,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총 길이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상용(商用, commercial use)되고 있는 일반 요도도뇨관의 길이와 같은, 40 Cm 내외인 단축의 본고안의 요도됴뇨관을 이 시술에 사용할 요도도뇨관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본 고안 "2개의 풍선을 가진 요도도뇨관"의, 비대한 전립선에 의해 압박된 전립선요도부위(11)에 위치할 2번째 풍선(13)(23)의 길이는, 측정된 비대된 전립선(9)의 길이보다 약간 더 길어야 한다.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풍선이 있는 첨단부(尖端部, tip)를 방광 속으로 충분히 삽입한 후, 방광 내(膀胱內, within in bladder)에 위치하는 요도도뇨관에 있는 2개의 풍선 중, 요도도뇨관의 첨단부에 있는 첫 번째 풍선(12)(22)을, 요도 밖의 체외에 있는 충만제 주입구(16 또는 17)로 충만제를 주입하여 첫 번째 풍선을 팽창시킨다. 이 팽창된 첫 번째 풍선(도 8의 12)이 방광경(膀胱頸, bladder neck)에 걸려,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이 방광 내부로부터 요도외부(尿道外部, outside of urethra) 체외(體外, out side of body)로 미끄러져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태에서, 요도 밖, 신체 밖에 위치하는 요도도뇨관 쪽에서 요도도뇨관의 요배출구(尿排出口, urinary outlet)(15) 내강을 통해, 방광 내로, 유도철사(guide wire)을 삽입하여, 만약의 사고에 대비한다. 이 상태에서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을 신체외부에서 요배출구(15)쪽에서 살며시 잡아당김으로서 첫 번째 풍선은 방광경(bladder neck)에 밀착하게 된다(도7의 12). 동시에, 두 번째 풍선(23)은, 남성 요도의 해부학적 구조와 본 고안, 2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의 구조로 인해, 방광경(bladder neck) 아래 부분의 비대해진 전립선요도(hypertrophied prostate)(9) 부위에 본 고안의 두 번째 풍선 부분이 자연히 위치하게 됨으로서, 본 고안의 두 번째 풍선이, 환자의 비대해진 전립선요도를 압박할 준비가 된다. 이 후, 두 번째 풍선(23)과 연결된 풍선충만제 주입구를 통해 충만제를 주입하여 풍선을 충만시켜 팽창상태(13)을 유지함으로서, 비대해진 전립선을 본 고안의 두 번째 풍선이 압박(25)하여, 비대해진 전립선(hypertrophied prostate)을 치료하는 전립선요도 풍선확장술(도 8)을 쉽게 실시하게 된다.
2) 요도스텐트 밀대를 이용한 요도스텐트설치술 시술:
이 시술을 실시하기 위해서도, 이미 실시된 방광경검사(膀胱鏡檢査, cystoscopy) 또는 요도경검사(尿道鏡檢査, urethroscopy)로, 배뇨곤란을 초래하는, 환자의 비대된 전립선(9)에 의해 압박된 요도의 길이가 측정되어야 한다. 요도스텐트밀대를 이용한 요도스텐트 설치술에는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 중 장축(길이 약 80 Cm 내외의 장축, 현재 전 세계적으로 상용되고 있는 일반 요도도뇨관의 길이의 약 2배의 길이)의 요도도뇨관을 선택하고, 동시에, 측정된 비대한 전립선의 길이보다 약간 큰 두 번째 풍선(13)(23)을 소유하고 있는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을 선택한다. 도 10 에서와 같이 요도스텐트밀대(27)의 내강 속으로 요도도뇨관(14)을 밀어넣고, 그 후 비대된 전립선에 의해 압박된 요도의 길이에 맞추어 선택된 요도스텐트(29) 내강 속으로 요도도뇨관(14)을 밀어넣어, 요도스텐트밀대(27)와 요도스텐트(29)를 풍선충만제 주입구(16 또는 17) 쪽으로 밀쳐놓아 시술 전(施術 前, preoperative) 준비를 한다.
방광경외피(膀胱鏡外皮, cystoscope sheath)(26)에 0 도 망원경(望遠鏡, telescope)을 설치한 후, 외요도구(外尿道口, external urethral orifice)부터 요도 내부로 방광을 향해 방광경(膀胱鏡, cystoscope)을 서서히 전진시키면서 요도경검사(尿道鏡檢査, urethroscopy)를 실시하면서, 방광내(膀胱內)로 방광경(膀胱鏡, cystoscope)외피(外皮, sheath)를 삽입한 후, 망원경(望遠鏡, telescope)을 30도로 바꾸고, 요관구(尿管口, ureteral orifice)를 포함한 방광 내부를 확인한다. 방광내부에 이상이 없음을 확인 후, 30도 망원경(望遠鏡, telescope)을 다시 0도 망원경(望遠鏡, telescope)으로 교환한다. 0도 망원경(望遠鏡, telescope)을 설치한 후 전립선요도를 자세히 검사하고, 방광경(放光頸, bladder neck) 및 전립선 요도의 정구(精丘, verumontanum)를 확인하고 요관카테터(尿管 catheter) 같은 측정자를 이용해 비대해진 전립선(肥大轉立線, hyperplastic prostate)을 포함한 총 전립선요도의 길이를 측정한다. 이 상태에서, 방광경외피(放光鏡外皮, cystoscope sheath)(26)는 요도에 그대로 남겨둔 후, 망원경(望遠鏡, telescope)과 카테터 삽입장치(deflecting system) 등을 제거하고, 남겨진 방광경외피(放光鏡外皮, cystoscope sheath)(26) 내강을 통해, 준비된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요도스텐트 및 요도스텐트 밀대가 위치하는 반대쪽의, 요도도뇨관의 풍선이 있는 요도도뇨관 첨단부(尖端部, tip)를 방광속으로 충분히 삽입한다(도 11). 이 상태에서, 첫번째 풍선의 충만액 주입구(16 또는 17)를 통해 충만액을 주입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을 뒤로 잡아 빼면, 첫 번째 풍선이 방광경(放光頸, bladder neck)에 걸려,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은 요도외부로 빠지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중앙의 소변배출내강(21)을 통해 방광에, 약 1미터 이상의 길이를 가진 끝이 유연하게 꺽이는 인도철사(引導鐵絲, floppy/flexible tip guide wire)를 방광경외피(放光鏡外皮, cystoscope sheath)(26) 내강에 이미 삽입되어 있는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 내강(21)을 통해 안전하게 방광의 내요도구(24)를 통해 방광 내에 삽입하여 위치시킨다. 이 상황에서,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풍선충만제 주입구(16과 17) 쪽에 밀어 놓았던 요도스텐트밀대(27)와 요도스텐트(29)를 방광경외피(放光鏡外皮, cystoscope sheath)(26) 속으로 밀어 넣는다. 이때의 모습은, 도 11과 같이, 비대해진 전립선(9)에 압박되어 있는 전립선요도(11)에 삽입되어 있는 방광경외피(放光鏡外皮, cystoscope sheath)(26) 내에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14)이 삽입되어 있으며,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첫 번째 풍선이 충만(12)되어 있으며, 방광경검사(cystoscopy) 후 제거하지 않고 요도에 남겨둔 방광경외피(放光鏡外皮, cystoscope sheath)(26) 내에는, 요도스텐트(29-1) 옆에 요도스텐트 돌출부(28)가 접해 위치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 체외에서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14)을 살며시 약하게 체외 밖으로 잡아당겨, 첫 번째의 풍선(12)이 방광경(放光頸, bladder neck)에 걸림을 확인한 후, 요도에 삽입되어 있는 방광경외피(放光鏡外皮, cystoscope sheath)를 천천히, 비대해진 전립선 길이만큼, 뒤로 잡아당긴 후 정지시킨다. 이 상태(도 12)는,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구조상 비대한 전립선부위에 위치하게 되어 있는 부풀려져 있지 않은 2번째 풍선과 그 풍선위에 둘러싸고 위치하고 있는 요도스텐트(29-2)의 상태이다. 이에 요도스텐트 밀대(27)를 방광쪽으로 약간 밀어, 요도스텐트(29-2)가 요도도뇨관의 충만되어 방광경(膀胱頸, bladder neck)의 내요도구(內尿道口, internal urethral orifice)를 막고 있는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첫 번째 풍선(12)과 요도스텐트 밀대(27)의 돌출부사이에 위치하게 됨을 확신시킨다. 이 상태에서,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두 번째 풍선에 충만제를 충만제주입구(16 또는 17)를 통해 충만제를 두 번째 풍선을 충만시키어, 풍선이 팽창되고, 이 결과로 풍선을 둘러싸고 있는 요도스텐트(29-2)가 팽창되어 비대해진 전립선을 요도 내강에서 밖으로 밀게 된다. 충만제를 삽입한 후, 일정시간동안 두 번째 풍선이 수축(收縮, deflate) 되지 않게 함으로서, 확장된 요도스텐트가 비대해진 전립선을 요도쪽으로부터 밀어내게 되어, 비대해진 전립선에 의해 압박되었던 요도를 확장시키는 치료를 하게 된다.
전립선비대는 나이가 많은 남성만의 질환이며, 전 세계 남성의 50대 이상의 약 25%가 어떤 종류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알려진 매우 높은 빈도를 가진 비뇨기과계 질환이다. 전 세계 과학의 발달은 평균수명의 증가를 초래하고, 그 치료대상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전립선비대로 인한 배뇨곤란을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들 중, 고령 또는 다른 동반질환 등을 이유로 수술적치료 자체가 생명을 위협하는 환자들이 계속 증가되고 있다. 최근, 이런 환자들에게 수술 대신 "덜 침습적치료(less invasive treatment)"가 대안으로 대두되었다. 그러나, 이런 덜 침습적인치료를 실시하기 위한 의료장비 대부분이 비싼 외국산 의료장비 및 재료를 수입해 사용해야 했으나, 본 고안 "두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과 요도스텐트용 밀대(Urethral catheter having two balloons and pusher for urethral stent)"를 이용함으로서, 덜 침습적치료로 전립선요도 풍선확장술(balloon dilatation) 및 요도스텐트 설치술(urethral stenting)를 저렴하고, 쉽게 실시 할 수 있는데, 본 고안의 의료장비는 국내에서 생산이 가능한 의료장비이며, 국제적으로 선진국 및 후진국을 막론하고 많은 수요층을 보장함으로서, 국내 뿐 만 아니라, 외국으로 수출도 가능하여, 의료산업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1. 방광벽 (bladder wall)
2. 전립선피막(prostate capsule)
3. 정상전립선(normal prostate)
4. 외요도 괄약근(external urethral sphincter)
5. 요도 해면체(corpus spongiosum)
6. 음경 해면체(corpus cavernosa)
7. 정상 전립선요도 (normal prostatic urethra)
8. 정상 막양부요도 (normal membraneous urethra)
9. 비대해진 전립선(hypertrophied prostate)
10. 방광내 요도입구 (intravesical urethral opening)
11. 비대해진 전립선에 의해 압박된 전립선요도 (compressed prostatic urethra due to hypertrophied prostate)
12. 팽창된 첫 번째 풍선 (dilated first balloon)
13. 팽창된 두 번째 풍선 (dilated second balloon)
14. 요도도뇨관 축 (urethral catheter shaft)
15. 요도도뇨관의 요배출구 (urinary outlet of urethral catheter)
16. 풍선충만제 주입구 (inlet for balloon fulling material)
17. 풍선충만제 주입구 (inlet for balloon fulling material)
18. 요도도뇨관의 절단면 (cut image of the urethral catheter)
19. 풍선팽창용 충만제 공급도관 (lumen for balloon fulling material)
20. 풍선팽창용 충만제 공급도관 (lumen for balloon fulling material)
21. 요도도뇨관의 요배출도관(lumen for urine drainage in urethral catheter)
22. 팽창 안된 첫 번째 풍선(undilated first balloon)
23. 팽창 안된 두 번째 풍선(undilated second balloon)
24. 요도도뇨과 풍선쪽 첨부 요배출구입구 (inlet for the urine drainage at apex of the balloon side in urethral catheter)
25. 팽창된 두 번째 풍선에 의해 압박된 비대해진 전립선 (compressed hypertrophied prostate by dilated second balloon)
26. 방광경 또는 요도경외피 (cystoscope or urethroscope sheath)
27. 요도스텐트 밀대 (urethral stent pusher)
28. 요도스텐트 밀대 돌출부(protrusion in urethral stent pusher)
29. 요도스텐트 (urethral stent)
29-1. 방광경 또는 요도경외피 내의 요도스텐트 (urethral stent within cystoscope or urethroscope sheath)
29-2. 비대해진 전립선에 의해 압박된 전립선요도와 접하고 있는 요도스텐트 (urethral stent contacted with compressed prostatic urethra due to hypertrophied prostate)
2. 전립선피막(prostate capsule)
3. 정상전립선(normal prostate)
4. 외요도 괄약근(external urethral sphincter)
5. 요도 해면체(corpus spongiosum)
6. 음경 해면체(corpus cavernosa)
7. 정상 전립선요도 (normal prostatic urethra)
8. 정상 막양부요도 (normal membraneous urethra)
9. 비대해진 전립선(hypertrophied prostate)
10. 방광내 요도입구 (intravesical urethral opening)
11. 비대해진 전립선에 의해 압박된 전립선요도 (compressed prostatic urethra due to hypertrophied prostate)
12. 팽창된 첫 번째 풍선 (dilated first balloon)
13. 팽창된 두 번째 풍선 (dilated second balloon)
14. 요도도뇨관 축 (urethral catheter shaft)
15. 요도도뇨관의 요배출구 (urinary outlet of urethral catheter)
16. 풍선충만제 주입구 (inlet for balloon fulling material)
17. 풍선충만제 주입구 (inlet for balloon fulling material)
18. 요도도뇨관의 절단면 (cut image of the urethral catheter)
19. 풍선팽창용 충만제 공급도관 (lumen for balloon fulling material)
20. 풍선팽창용 충만제 공급도관 (lumen for balloon fulling material)
21. 요도도뇨관의 요배출도관(lumen for urine drainage in urethral catheter)
22. 팽창 안된 첫 번째 풍선(undilated first balloon)
23. 팽창 안된 두 번째 풍선(undilated second balloon)
24. 요도도뇨과 풍선쪽 첨부 요배출구입구 (inlet for the urine drainage at apex of the balloon side in urethral catheter)
25. 팽창된 두 번째 풍선에 의해 압박된 비대해진 전립선 (compressed hypertrophied prostate by dilated second balloon)
26. 방광경 또는 요도경외피 (cystoscope or urethroscope sheath)
27. 요도스텐트 밀대 (urethral stent pusher)
28. 요도스텐트 밀대 돌출부(protrusion in urethral stent pusher)
29. 요도스텐트 (urethral stent)
29-1. 방광경 또는 요도경외피 내의 요도스텐트 (urethral stent within cystoscope or urethroscope sheath)
29-2. 비대해진 전립선에 의해 압박된 전립선요도와 접하고 있는 요도스텐트 (urethral stent contacted with compressed prostatic urethra due to hypertrophied prostate)
Claims (6)
- 전립선비대증의 덜침습적치료(低侵襲的, less invasive treatment) 중 전립선요도풍선확장술 또는 요도스텐트 설치술을 실시할 때 사용하는 2개의 풍선을 가진 요도도뇨관.
- 제1항에 있어서,
요도를 거쳐 방광으로 삽입되는 부분의 끝부위(尖部)에 첫 번째 풍선이 설치되어 있고, 첫 번째 풍선에 바로 옆에 이어서, 첫 번째 풍선과 분리된 공간의, 두 번째 풍선이 있으며, 각각의 풍선을 충만시키는 물질(充滿劑)의 주입구가 각각 분리되어있는 2개의 풍선을 가진 요도도뇨관. - 제1항에 있어서,
방광 내로 삽입되는 요도도뇨관 끝부위(尖部) 중앙부에 소변배출구가 있고, 이 소변배출구와 연결된 요도도뇨관 내강이 반대편 요도도뇨관 끝까지 연결되어 개방된 2개의 풍선을 가진 요도도뇨관. - 제1항에 있어서,
요도 도뇨관은 2 종류의 길이를 소유하고 있으며, 이는 총 길이가, 약 40Cm 내외의 현재 통상의 판매되는 요도도뇨관과 비슷한 길이를 소유한 단축 요도도뇨관과, 단축 요도도뇨관 길이의 약 2배 또는 이상의 길이를 소유한 장축 요도도뇨관의 총 2종류이며, 한쪽 끝은 방광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2개의 풍선을 소유하고 있으며, 요도도뇨관 끝 중앙에 방광내의 소변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소유하고 있으며, 풍선이 있는 반대편 끝 부분에는 중앙부분에 방광내 배출구와 연결된 소변배출구를 소유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서로 분리된 첫 번째 풍선 및 두 번째 풍선 각각에 분리하여 풍선충만제를 주입하는 분리된 2개의 풍선 충만제 주입구를 소유하고 있으며, 이 양 끝 사이의 중간(軸) 부분은 일정 크기의 외경과 일정한 크기의 내경 3개의 관을 내부에 포함하고 있는 관이고, 이 중간(軸)부분에는 아무 부착물이 없이 균일한 모양 및 외경과 내경을 소유한 2개의 풍선을 가진 요도도뇨관. - 본 고안의 요도도뇨관의 풍선쪽 요도도뇨관 및 요도도뇨관 중간(軸)부분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진, 제 4항에 있어서의 단축의 요도도뇨관의 길이보다 짧고 남자 요도길이 보다 긴, 길이 약 35 Cm 내외의 길이를 가진 요도스텐트 밀대.
- 제5항에 있어서, 요도스텐트 밀대의 내경의 폭은 제1항의 요도도뇨관의 외경의 폭보다는 크나, 시술에 사용할 요도스텐트의 내경의 폭보다는 적은 내경을 소유하고 있으며; 요도스텐트밀대의 외경의 폭은 요도스텐트 설치술에 사용될 요도스텐트 외경보다 크고, 요도스텐트와 접해 요도스텐트를 미는 요도스텐트 밀대의 끝 부분 면은 밀고 있는 요도스텐트가 미끌어지지 않는 돌출부를 소유한 요도스텐트 밀대.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1280U KR20230002291U (ko) | 2022-05-25 | 2022-05-25 | 두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과 요도스텐트용 밀대 |
PCT/KR2023/005002 WO2023229225A1 (ko) | 2022-05-25 | 2023-04-13 | 두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과 요도스텐트용 밀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20001280U KR20230002291U (ko) | 2022-05-25 | 2022-05-25 | 두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과 요도스텐트용 밀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2291U true KR20230002291U (ko) | 2023-12-04 |
Family
ID=8891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20001280U KR20230002291U (ko) | 2022-05-25 | 2022-05-25 | 두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과 요도스텐트용 밀대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02291U (ko) |
WO (1) | WO2023229225A1 (ko)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9295A (ko) * | 1989-11-20 | 1991-06-28 | 원본미기재 | 전립선 밸룬 확장기 |
JP2001500023A (ja) * | 1996-02-12 | 2001-01-09 | メンター ユロ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前立腺組織イクスパンダー |
CA2289763A1 (en) * | 1997-05-15 | 1998-11-19 | Richard C. Davis | Male urethral catheter sizing and insertion method |
US5916195A (en) * | 1998-02-04 | 1999-06-29 | Argomed Ltd. | Internal catheter |
KR200260927Y1 (ko) * | 1998-10-14 | 2002-05-13 | 송호영 | 호흡관을구비한스텐트삽입장치 |
US20040024355A1 (en) * | 2001-09-07 | 2004-02-05 | Osamu Tsukada | Catheter for treatment of prostatic hypertrophy |
KR102136930B1 (ko) * | 2018-08-29 | 2020-07-23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중 내강 시스 구조를 갖는 스텐트 로딩 장치 및 이의 스텐트 로딩 방법 |
-
2022
- 2022-05-25 KR KR2020220001280U patent/KR20230002291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3
- 2023-04-13 WO PCT/KR2023/005002 patent/WO2023229225A1/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229225A1 (ko) | 2023-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95787B2 (en) | Prostate visualization device and methods of use | |
US5209725A (en) | Prostatic urethra dilatation catheter system and method | |
US7141038B2 (en) | Endourethral device and method | |
US6517569B2 (en) | Insertion device for stents and methods for use | |
WO2008132735A1 (en) | A urethral implant and method | |
EP0935977A2 (en) | Urethral catheter and guide | |
US20060287570A1 (en) | Endourethral device & method | |
JP2004513679A (ja) | 局部的組織係合手段を有する前立腺ステントおよび前立腺尿道の閉塞を阻止する方法 | |
CN203264017U (zh) | 靶向扩张成形球囊导管 | |
CA2537025A1 (en) | Partial-length indwelling urinary catheter and method permitting selective urine discharge | |
US20080033570A1 (en) | Prostatic stent placement device | |
US6422997B1 (en) | Prostate visualization device and methods of use | |
JP2023514802A (ja) | ほ乳動物の中空器官の領域を隔離するためのカテーテル及び方法、ならびにカテーテルに基づくシステム、ならびにカテーテルの使用 | |
KR20230002291U (ko) | 두개의 풍선을 소유한 요도도뇨관과 요도스텐트용 밀대 | |
US20050124852A1 (en) | Method and device for the treatment of incontinence | |
US9962185B2 (en) | Trocar and sheath assembly for placement of implantable device adjacent a body lumen | |
KR20240113494A (ko) | 포유동물의 중공 기관 내 영역 격리용 카테터, 시스템 및 방법, 및 카테터의 용도 | |
RU57123U1 (ru) | Баллонный катетер с метками для интраоперационной эндобилиарной дилатации | |
RU223673U1 (ru) | Катетер уретральный оптический для безопасного дренирования мочевого пузыря | |
RU2761080C1 (ru) | Катетер и способ для создания изолированной зоны в полом органе млекопитающего, а также система на основе такого катетера и применение такого катетера | |
JP7449602B2 (ja) | 便迂回補助装置 | |
R. MUNDY | A technique for total substitution of the lower urinary tract without the use of a prosthesis | |
Malloy et al. | Urologic Problems | |
KR20210066393A (ko) | 의료용 카테터 | |
EA045140B1 (ru) | Катетер и способ для создания изолированной области в полом органе млекопитающего, а также система на основе такого катетера и применение такого катетер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