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108U -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및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 - Google Patents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및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108U
KR20230002108U KR2020230000839U KR20230000839U KR20230002108U KR 20230002108 U KR20230002108 U KR 20230002108U KR 2020230000839 U KR2020230000839 U KR 2020230000839U KR 20230000839 U KR20230000839 U KR 20230000839U KR 20230002108 U KR20230002108 U KR 202300021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loating raft
aquaponics system
crop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08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익
Original Assignee
김동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익 filed Critical 김동익
Publication of KR202300021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108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Abstract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및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에 의하면, 수면에 부유 가능한 소재로 구비되는 본체; 각각, 상기 본체의 제1 면으로부터 제2 면으로의 제1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제1 직경에서 제2 직경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수용공을 포함하는 다수의 농작물 지지체; 상기 본체의 제2 면의 일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수로 형성부; 및 상기 본체의 제2 면과 상기 수로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수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및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 {Aquaponics System and Floating Raft for Aquaponics System}
본 고안은 아쿠아포닉스 시스템(aquaponics system) 및 포트(port) 없이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floating raft)에 관한 것이다.
농업에서 해충방제를 위해 농약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농약의 지속적 사용은 토양의 양분이 결핍되어 생산성 저하의 문제뿐 아니라 토양 오염으로 인한 환경 문제도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친환경 농업이 개발되고 있고, 아쿠아포닉스 방식은 대표적인 친환경 순환 농법 중 하나이다. 아쿠아포닉스 방식은 물고기의 생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설물을 포함하는 물을 수경 재배되는 농작물에 공급하고, 농작물로 인해 정화된 물이 물고기의 생육에 다시 사용되는 순환 및 재생 농법이다.
이렇게 토양이 없는 수경 재배 시 수면에서 농작물을 지탱하기 위한 플로팅 래프트(floating raft)가 요구된다. 그런데, 플로팅 래프트를 타공하여 타공 부위에 농작물이 식재된 포트(port)를 장착하여 수경 재배하는 경우, 포트 재사용을 위한 상당한 시간 및 노동력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별도의 포트를 장착하지 아니하고도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및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는, 수면에 부유 가능한 소재로 구비되는 본체; 각각, 상기 본체의 제1 면으로부터 제2 면으로의 제1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제1 직경에서 제2 직경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수용공을 포함하는 다수의 농작물 지지체; 상기 본체의 제2 면의 일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수로 형성부; 및 상기 본체의 제2 면과 상기 수로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수로;를 포함한다.
상기 농작물 지지체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제1 면으로부터 제1 높이 만큼 돌출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의 측면을 형성하는 지지벽; 및 상기 지지벽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제2면까지 상기 제2 직경보다 넓은 제3 직경으로 구비되는 공기 노출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작물 지지체는, 일단에서 타단으로의 상기 제1 방향으로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의 측면을 형성하는 지지벽; 및 상기 지지벽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제2면까지 상기 제2 직경보다 넓은 제3 직경으로 구비되는 공기 노출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작물 지지체는, 상기 지지벽의 타단에서 상기 수용공의 중심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지지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로 형성부 및 상기 내부 수로는, 상기 농작물 지지체의 배열에 대응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은, 플로팅 래프트; 및 상기 플로팅 래프트가 수면에 플로팅되어 구비되는 재배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 래프트는, 수면에 부유 가능한 소재로 구비되는 본체; 각각, 상기 본체의 제1 면으로부터 제2 면으로의 제1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제1 직경에서 제2 직경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수용공을 포함하는 다수의 농작물 지지체; 상기 본체의 제2 면의 일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수로 형성부; 및 상기 본체의 제2 면과 상기 수로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수로;를 포함한다.
상기 재배 수조는, 상기 플로팅 래프트의 상기 본체의 높이 및 상기 수로 형성부의 높이의 합에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및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에 의하면, 포트를 장착하지 아니하고도 최적의 구조로 재배하고자 하는 농작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농작물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고안의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및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에 의하면, 포트를 장착하지 아니하고도 최적의 구조로 재배하고자 하는 농작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포트의 재사용 등이 요구되지 아니함으로써, 농작물 재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의 방향으로 본 플로팅 래프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절단선 a-a'를 따라 절단된 플로팅 래프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지지체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공에 배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래프트의 농작물 지지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래프트의 수로 형성부 및 내부 수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래프트의 농작물 지지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래프트가 장착된 상태의 재배 수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이때,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 위치 및 순서와 관련된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도면을 기준으로 할 뿐, 다른 실시예에 대해 그 의미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살표 ↘의 방향으로 본 플로팅 래프트(100)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절단선 a-a'를 따라 절단된 플로팅 래프트(10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래프트(100)는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서 재배 수조에 수용되는 물의 수면에 부유하고,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통해 재배하고자 하는 농작물을 지지하여 재배 수조의 물로부터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수분 및 영양분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래프트(100)는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서의 농작물 재배가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래프트(100)는 본체(120), 농작물 지지체(140), 수로 형성부(160) 및 내부 수로(180)를 포함한다.
본체(120)는 플로팅 래프트(100)가 위치되는 수면에 부유 가능한 소재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본체(120)는 스티로폼 패드, 에어 매트(air mat), 플로팅 폼(floating foam)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체(120)는 일정 면적(L1xL2)으로 구비되는데, 이는 플로팅 래프트(100)의 재질, 플로팅 래프트(100)에 장착되는 농작물의 특성 및 플로팅 래프트(100)가 위치되는 재배 수조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농작물 지지체(140)는 본체(120)에 다수로 구비되고, 본체(120)의 제1 면(122)으로부터 제2 면(124)으로의 제1 방향(화살표 ♭의 방향)으로, 일정 길이(h2) 만큼 제1 직경(d1)에서 제2 직경(d2)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수용공(144)을 포함한다. 본체(120)의 제2 면(124)이 수면과 접하게 위치되고, 본체(120)의 제1 면(122)에 수용공(144)의 제1 직경(d1)의 개구부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지지체(140)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공(144)에 배지(BG)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농작물 지지체(140)의 수용공(144)은 제1 방향(화살표 ♭의 방향)으로 제1 직경(d1)에서 제2 직경(d2)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므로, 장착되는 제2 직경(d2) 이상의 농작물이 농작물 지지체(140)에 의해 지지되면서도 본체(120)의 제2 면(124)에 접하는 물로부터 수분 및 영양분을 공급받아 성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용공(144)에는 농작물의 씨앗 또는 모종이 파종된 배지(badge, BG)가 장착될 수 있다. 배지(BG)는 다양한 유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면 배지(Rock wool), 왕겨 배지, 코코핏 배지 및 스펀지 배지 등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재배에 사용될 수 있다.
농작물 지지체(140)는 지지벽(142) 및 공기 노출공(1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벽(142)은 일단이 본체(120)의 제1 면(122)으로부터 제1 높이(h1) 만큼 돌출되고 제1 방향(화살표 ②의 방향)으로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벽(142)에 의해 수용공(144)의 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벽(142)의 일단이 본체(120)의 제1 면(122)으로부터 제1 높이(h1) 만큼 돌출되어 구비됨으로써, 재배하는 농작물이 일정 크기 이상으로 클 때까지 충분히 지지함으로써 그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는, 지지벽(142)의 일단이 본체(120)의 제1 면(122)으로부터 제1 높이(h1) 만큼 돌출되어 구비됨으로써, 플로팅 래프트(100)가 장착되는 재배 수조의 물이 유동됨에 따라 본체(120)의 제1 면(122)까지 유입되게 되더라도 농작물의 잎 등이 손상되지 아니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지지체(140)를 설명하기 위한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재배하고자 하는 농작물의 잎 등이 일정 양 이상 또는 일정 시간 이상 물에 접촉하더라도 문제가 크지 않거나, 재배하고자 하는 농작물의 일정 크기 이상 성장하면 지지할 필요가 크지 않은 경우 등에서, 농작물 지지체(140)의 지지벽(142)의 일단은 본체(120)의 제1 면(122)의 연장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벽(142)은 일정 높이, 예를 들어 제2 높이(h2)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높이(h2)가 본체(120)의 두께 및 제1 높이(h1)의 합보다 크지 않게 구비됨으로써, 지지벽(142)의 타단은 본체(120)의 제2 면(124)까지 이르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벽(142)의 타단으로부터 본체(120)의 제2 면(124)까지 제2 직경(d2)보다 넓은 제3 직경(d3)으로 구비되는 공기 노출공(146)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체(120)의 제2 면(124)은 수면에 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공기 노출공(146)에는 수면의 유동에 따른 일시적인 상황이 아니면 공기 노출공(146)은 대부분 공기에 노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재배되는 농작물의 뿌리가 성장하는 중에 적어도 일부가 공기 중에 노출됨으로써, 그 뿌리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재배되는 농작물에 산소 공급을 높이기 위한 브로아(풍력기)의 용량이 크지 않더라도 그 뿌리가 공기 중에 노출되어 농작물의 산소 호흡이 수월하게 수행될 수 있어, 그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공기 노출공(146)은 재배하고자 하는 농작물의 특성 및 요구되는 성장 환경 등에 따라, 제2 높이(h2) 및 제3 직경(d3)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지지체(140)를 설명하기 위한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충분한 용량으로 브로아(풍력기)가 동작되거나 재배하고자 하는 농작물 특성 상, 또는 구조의 단순화가 더 요구되는 경우 등에는 도 3의 공기 노출공(146)이 포함되지 않은 상태로 농작물 지지체(1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수로 형성부(160)는 본체(120)의 제2 면(124)의 일부로부터 제1 방향(화살표 ♭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4 높이(h4)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래프트(100)에서 수로 형성부(160)가 본체(120)의 제2 면(124)의 양단 및 본체(120)의 제2 면(124)의 양단 사이의 세 부분에서 구비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수로 형성부(160)는 본체(120)에 대해 화살표 ↘의 방향으로 L1의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내부 수로(180)는 본체(120)의 제2 면(124)과 수로 형성부(160)에 의해 형성되어, 플로팅 래프트(100)가 위치하는 재배 수조의 물이 플로팅 래프트(100)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게 한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 수로 형성부(160)가 5개 구비되고 화살표 ↘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에 따라, 내부 수로(180)는 화살표 ↘의 방향으로 4개 형성되게 된다.
이는, 수로 형성부(160) 및 내부 수로(180)는, 농작물 지지체(140)의 배열에 대응되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 농작물 지지체(140)는 6개의 행과 4개의 열을 갖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이 경우, 수로 형성부(160)는 본체(120)의 제2 면(124)의 양단과 열 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농작물 지지체(1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각각의 내부 수로(180)를 통해 동일한 열에 위치하는 6개의 농작물 지지체(140)에 의해 지지되는 농작물로 수분과 영양분이 공급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100)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래프트(100)는 도 1과 마찬가지로 6개의 행과 4개의 열을 갖는 매트릭스 형태로 농작물 지지체(140)가 배열되고, 수로 형성부(160)와 내부 수로(180)는 그에 대응되는 개수 및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8의 플로팅 래프트(100)에서, 재배하고자 하는 농작물의 크기 또는 성장 특성 등에 근거하여, 행 또는 열의 방향으로 농작물 지지체(140)가 인접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범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재배하고자 하는 농작물의 크기 또는 성장 특성에 근거하더라도, 도 1과 같이 농작물 지지체(140)를 배열시키되 행 또는 열의 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농작물 지지체(140) 중 하나에서는 농작물을 재배하지 않고 빈 공간으로 남겨둘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래프트(100)의 수로 형성부(160) 및 내부 수로(18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수로 형성부(160)는 본체(120)의 제2 면(124)의 양단에만 구비되어 하나의 내부 수로(180)만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수로 형성부(160)는 본체(120)의 제2 면(124)의 양단에는 구비되지 아니하고 그 양단 사이에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수로(180)가 3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렇듯,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로 형성부(160) 및 내부 수로(18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 및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플로팅 래프트(100)의 재질, 재배하고자 하는 농작물의 특성, 재배 수조의 담수 용량 등에 따라 설계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래프트(100)의 농작물 지지체(1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래프트(100)의 농작물 지지체(140)는 지지 돌기(1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돌기(148)는 지지벽(142)의 타단으로부터 수용공(144)의 중심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지지 돌기(148)로 인하여 수용공(144)의 제2 직경(d2)의 개구부 면적이 일정 부분 감소하는 효과가 작용됨에 따라, 재배하고자 하는 농작물 또는 재배하고자 하는 농작물이 파종된 배지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래프트(100)가 장착된 상태의 재배 수조(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래프트(100)는 다양한 형태의 재배 수조(200)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플로팅 래프트(100)는 예를 들어 수위가 20~30 cm인 담액식 수조 또는 수위가 1~2 cm인 박막식 수조에 장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래프트(100)가 장착되는 재배 수조(200)가 박막식 수조인 경우, 재배 수조(200)의 높이(h5)가 플로팅 래프트(100)의 본체(120)의 높이 및 수로 형성부(160)의 높이의 합에 대응되는 정도의 높이로만 구비되더라도, 수로 형성부(160) 및 내부 수로(180)에 의하여 농작물 지지체(140)에 위치하는 농작물에게 충분한 수분과 영양분이 공급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포닉스 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도 3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포닉스 시스템(1000)은 플로팅 래프트(100) 및 플로팅 래프트(100)가 수면에 플로팅되어 구비되는 재배 수조(20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포닉스 시스템(1000)에 포함되는 플로팅 래프트(100)는 전술된 실시예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팅 래프트(100)는 수면에 부유 가능한 소재로 구비되는 본체(120), 각각, 본체(120)의 제1 면(122)으로부터 제2 면(124)으로의 제1 방향(화살표 ②의 방향)으로, 일정 길이(h2) 만큼 제1 직경(d1)에서 제2 직경(d2)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수용공(144)을 포함하는 다수의 농작물 지지체(140), 본체(120)의 제2 면(124)의 일부로부터 제1 방향(화살표 ②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수로 형성부(160) 및 본체(120)의 제2 면(124)과 수로 형성부(16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수로(18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포닉스 시스템(1000)은 포트를 장착하지 아니하고도 최적의 구조로 재배하고자 하는 농작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플로팅 래프트(100)를 구비함으로써, 농작물의 성장에 도움을 주고, 포트의 재사용 등이 요구되지 아니함으로써, 농작물 재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포닉스 시스템(10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배 수조(200)가 놓여지는 시스템 프레임(300) 및 재배 수조(200)로 공급될 물이 수용되고 어류를 사육하는 사육 수조(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아쿠아포닉스 시스템(1000)은 아쿠아포닉스 농법에 요구되는 브로아 등 다양한 설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플로팅 래프트
120: 본체
140: 농작물 지지체
142: 지지벽
144: 수용공
146: 공기 노출공
160: 수로 형성부
180: 내부 수로

Claims (7)

  1. 수면에 부유 가능한 소재로 구비되는 본체;
    각각, 상기 본체의 제1 면으로부터 제2 면으로의 제1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제1 직경에서 제2 직경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수용공을 포함하는 다수의 농작물 지지체;
    상기 본체의 제2 면의 일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수로 형성부; 및
    상기 본체의 제2 면과 상기 수로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수로;를 포함하는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 지지체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제1 면으로부터 제1 높이 만큼 돌출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의 측면을 형성하는 지지벽; 및
    상기 지지벽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제2면까지 상기 제2 직경보다 넓은 제3 직경으로 구비되는 공기 노출공;을 더 포함하는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 지지체는,
    일단에서 타단으로의 상기 제1 방향으로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의 측면을 형성하는 지지벽; 및
    상기 지지벽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제2면까지 상기 제2 직경보다 넓은 제3 직경으로 구비되는 공기 노출공;을 더 포함하는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 지지체는,
    상기 지지벽의 타단에서 상기 수용공의 중심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지지 돌기;를 더 포함하는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로 형성부 및 상기 내부 수로는,
    상기 농작물 지지체의 배열에 대응되어 구비되는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
  6. 청구항 1의 플로팅 래프트; 및
    상기 플로팅 래프트가 수면에 플로팅되어 구비되는 재배 수조;를 포함하는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재배 수조는,
    상기 플로팅 래프트의 상기 본체의 높이 및 상기 수로 형성부의 높이의 합에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되는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KR2020230000839U 2022-04-26 2023-04-26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및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 KR20230002108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019 2022-04-26
KR20220001019 2022-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108U true KR20230002108U (ko) 2023-11-02

Family

ID=8874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839U KR20230002108U (ko) 2022-04-26 2023-04-26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및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210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365988A1 (en) Hydroponic culture member and hydroponic culture method
KR20130021799A (ko) 양액 재배용 베드 구조
KR20010029409A (ko) 식물의 재배장치
KR101262677B1 (ko) 식물재배장치
JP4297238B2 (ja) マングローブの苗の育成方法
KR20160098944A (ko) 육묘용 포트 플레이트
JP6562264B2 (ja) 水耕栽培用プレートとそれを用いた水耕栽培装置
KR20230002108U (ko)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및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용 플로팅 래프트
KR102205570B1 (ko) 뿌리식물 수경재배용 시트
KR101391164B1 (ko) 경사면 보호용 식생매트
JP7004370B1 (ja) イチゴ苗の生育システム及び生育方法
KR20150127326A (ko) 어류의 배설물을 비료로 이용하는 수평 구조의 양어 및 수경재배 수조
JP3060208B2 (ja) 渟水式養液栽培方法及び栽培装置
JP2001275502A (ja) 水面浮き床式農法
KR200183479Y1 (ko) 인삼묘 재배장치
JP4133584B2 (ja) 水耕栽培用の栽培トレー
JP3879914B2 (ja) 浮力調整可能な植生フロート装置
JP2004344086A (ja) 水耕栽培方法並びに装置
KR102600285B1 (ko) 수경재배용 베드
CN212232534U (zh) 一种水培漂浮栽培装置
JP2013220037A (ja) 水耕栽培用定植プレート
CN210519840U (zh) 一种小龙虾养殖结构
CN212436792U (zh) 一种水生植物栽培排架
JP2001251980A (ja) 植物の栽培方法および栽培装置
WO2023058257A1 (ja) イチゴ苗の生育システム及び生育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