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036U - 루버 창문 - Google Patents

루버 창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036U
KR20230002036U KR2020220000935U KR20220000935U KR20230002036U KR 20230002036 U KR20230002036 U KR 20230002036U KR 2020220000935 U KR2020220000935 U KR 2020220000935U KR 20220000935 U KR20220000935 U KR 20220000935U KR 20230002036 U KR20230002036 U KR 202300020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ouver
rail portion
plate
mount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9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진
Original Assignee
형제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형제코퍼레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형제코퍼레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200009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2036U/ko
Publication of KR202300020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03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2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igid or slidable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루버 창문은 내부에 개구가 형성된 제1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마주하게 배치된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결합된 제3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몸체,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3 프레임부와 마주하게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들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결합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 레일부를 포함하는 마감 플레이트 및 긴 띠 형상으로 상기 장착 레일부의 상기 결합 공간에 삽입되는 스트립 부재 및 상기 스트립 부재에 다수개가 식모되며 상기 장착 레일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모(毛) 부재를 포함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루버 창문{LOUVER WINDOW}
본 고안은 루버 창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회동되어 개폐되는 루버를 갖는 루버 창문에서 루버를 폐쇄한 상태에서 먼지, 소음 및 광이 유출입 되는 것을 방지하는 루버 창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빌라,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에는 창문이 설치되어 있고, 창문 개방시 물건, 어린이, 영유아, 성인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창살 형태의 난간이 설치되고 있다.
종래 널리 사용되던 난간은 시야 확보가 어렵고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난간의 강도가 저하되며 난간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들을 갖는다.
이와 같은 종래 난간의 시야 확보, 강도 저하 및 청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0-1387470호, 갤러리창문 및 이를 구비한 창호(등록일자: 2014년 04월 15일)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갤러리창문 및 이를 구비한 창호는 발코니에 설치되어 거주자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고, 시야를 가리지 않아 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는 2장의 유리판을 겹친 루버(louver) 형태의 갤러리 창문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갤리리창문 및 이를 구비한 창호와 같이 루버 형태로 개폐되는 창호의 경우 창틀에 대하여 루버가 회동을 하기 위해서는 창틀에 대하여 루버의 단부가 일정 간격 이상 이격되어야 한다. 만일 창틀과 루버가 밀착되거나 간격이 지나치게 좁을 경우 루버가 창틀로부터 회동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창틀에 대하여 루버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루버의 단부가 창틀에 대하여 이격됨에 따라 창틀과 루버 사이에 형성된 갭으로 먼지, 벌레, 이물질, 오염된 외부 공기, 광이 유출입됨으로써 주거 환경이 악화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등록특허 제10-1055718호, 발코니 난간(등록일자: 2011년08월03일) 등록특허 제10-1387470호, 갤러리창문 및 이를 구비한 창호(등록일자: 2014년 04월 15일)
본 고안은 창틀 및 창틀에 대하여 회동되는 루버의 사이에 필연적으로 형성될 수밖에 없는 갭을 통해 먼지, 벌레, 이물질, 오염된 외부 공기 및 광 등이 유출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루버가 창틀에 대하여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는 루버 창문을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루버 창문은 내부에 개구가 형성된 제1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마주하게 배치된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결합된 제3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몸체;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3 프레임부와 마주하게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들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결합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 레일부를 포함하는 마감 플레이트; 및 긴 띠 형상으로 상기 장착 레일부의 상기 결합 공간에 삽입되는 스트립 부재 및 상기 스트립 부재에 다수개가 식모되며 상기 장착 레일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모(毛) 부재를 포함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 유닛을 포함한다.
루버 창문의 상기 장착 레일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세워진 형태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펜스 형상의 제1 레일부 및 상기 제1 레일부의 상단로부터 상기 외측면과 나란하게 절곡된 제2 레일부를 포함하는 제1 장착 레일부 및 상기 플레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세워진 형태로 상기 제1 레일부와 마주하게 배치된 제3 레일부 및 상기 제3 레일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2 레일부와 마주하게 절곡된 제4 레일부를 포함한다.
루버 창문의 상기 장착 레일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중앙으로부터 일측 및 상기 중앙으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이 형성된다.
루버 창문의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들의 내측 테두리에는 안쪽으로 절곡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후면으로부터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플레이트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후크부가 돌출된다.
루버 창문은 복수개의 상기 마감 플레이트들 중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한 쌍의 마감 플레이트부에 회동되게 복수개가 나란하게 결합되며 회동되면서 개폐되는 복수개의 루버를 더 포함한다.
루버 창문의 상기 루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모 부재의 길이는 상기 루버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사이에 형성된 갭 보다 긴 길이로 형성 및 상기 모 부재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루버의 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모 부재에 의하여 상기 갭을 통해 이물질, 먼지, 광 또는 벌레의 입출입을 방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루버 창문은 루버 및 루버가 장착되는 마감 플레이트의 사이에 필연적으로 형성될 수밖에 없는 갭을 통해 먼지, 이물질, 오염된 공기, 광, 벌레 등이 입출입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버 창문의 전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마감 플레이트를 발췌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고안의 기술적 창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버 창문의 전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마감 플레이트를 발췌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루버 창문(600)은 프레임 몸체(100), 마감 플레이트(200), 이물질 유입 방지 유닛(300) 및 루버(400)를 포함한다.
프레임 몸체(100)는 후술될 루버(4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프레임 몸체(100)는 구조물에 고정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프레임 몸체(100)는 다양한 디자인 및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프레임 몸체(100)는 내부에 후술될 루버(400)를 수납하기에 적합한 개구가 형성된다.
프레임 몸체(100)는, 예를 들어, 내부에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루버를 수납하기에 적합한 사각형 개구가 형성된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 몸체(100)는 다시 제1 프레임부(110), 제2 프레임부(120) 및 제3 프레임부(130)를 포함한다. 프레임 몸체(100)는 경량이면서 가공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프레임부(110)는 내부에 개구가 형성된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프레임부(120)는 제1 프레임부(110)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제2 프레임부(120)는 제1 프레임부(110)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프레임부(120)는 기능적, 심미적 요인에 의하여 제1 프레임부(110)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제3 프레임부(130)는 직사각형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3 프레임부(130)는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프레임부(110,120)들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결합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프레임부(110,120,130)들은 압출 공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거나,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조립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프레임부(110,120,130)를 갖는 프레임 몸체(100)는 제3 프레임부(130)와 마주하는 부분이 완전히 개구되어 프레임 몸체(100)의 내부가 노출된 상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부(110)의 내측 테두리의 내측면으로부터는 제1 걸림턱(112)이 지정된 길이로 돌출된다. 제1 걸림턱(112)은 돌기 형상 또는 펜스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프레임부(120)의 내측 테두리의 내측면으로부터는 제1 걸림턱(112)을 향해 제2 걸림턱(122)이 지정된 길이로 돌출된다. 제2 걸림턱(122)은 돌기 형상 또는 펜스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턱(112) 및 제2 걸림턱(122)은 후술될 마감 플레이트(200)를 프레임 몸체(100)에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마감 플레이트(200)는 프레임 몸체(100) 중 제3 프레임부(130)와 마주하는 개방된 부분에 결합되어 개방된 부분을 마감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마감 플레이트(200)를 별도로 제작하여 프레임 몸체(100)에 결합하는 것은 후술될 이물질 유입 방지 유닛(300)을 쉽고 빠르게 마감 플레이트(20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마감 플레이트(200)는 플레이트부(210), 장착 레일부(220) 및 후크부(23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부(210)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레이트부(210)는 프레임 몸체(100) 중 제3 프레임부(130)와 마주하는 개방된 부분에 결합되어 개방된 부분을 마감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플레이트부(210)는 제1 및 제2 프레임부(110,120) 사이의 간격과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며, 플레이트부(210)의 길이는 제1 및 제2 프레임부(110,120)의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플레이트부(210)의 길이는 프레임 몸체(100)의 사이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부(110,120)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걸림턱(112,122)과 마주하는 플레이트부(210)의 후면에는 후크부(230)가 형성된다.
플레이트부(210)의 후면에 형성된 후크부(230)는 제1 및 제2 프레임부(110,120)의 제1 및 제2 걸림턱(112,122)에 결합되어 플레이트부(210)의 이탈을 방지한다. 후크부(230)들 중 제1 및 제2 걸림턱(112,122)과 접촉되는 부분은 제1 및 제2 걸림턱(112,122)에 쉽게 삽입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고, 후크부(230)들 중 제1 및 제2 걸림턱(112,122)들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1 및 제2 걸림턱(112,122)들에 걸리는 이탈 방지홈(235)이 형성된다.
장착 레일부(220)는 플레이트부(210)의 상면에 형성된다. 장착 레일부(220)는 플레이트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장착 레일부(220)는 도 4에 도시된 후술될 이물질 유입 방지 유닛(300)이 장착되는 결합 공간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장착 레일부(220)는 플레이트부(2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중앙으로부터 일측 및 중앙으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이 형성되며,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장착 레일부(220)들 사이에는 후술될 루버가 배치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장착 레일부(220)는 각각 제1 장착 레일부(225) 및 제2 장착 레일부(229)를 포함한다.
제1 장착 레일부(225)는 플레이트부(2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중앙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레일부(222) 및 제 2 레일부(224)를 포함한다.
제1 레일부(222)는 플레이트부(210)의 외측면으로부터 세워진 펜스 형상으로 플레이트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2 레일부(224)는 제1 레일부(222)의 상단으로부터 플레이트부(210)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플레이트부(210)의 외측면과 나란하게 절곡된다.
제2 장착 레일부(229)는 플레이트부(210)의 중앙을 기준으로 중앙의 타측에 배치된 제3 레일부(226) 및 제4 레일부(228)를 포함한다.
제3 레일부(226)는 플레이트부(210)의 외측면으로부터 세워진 펜스 형상으로 플레이트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3 레일부(226)는 제1 레일부(222)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4 레일부(228)는 제3 레일부(226)의 상단으로부터 플레이트부(210)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플레이트부(210)의 외측면과 나란하게 절곡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제2 레일부(224) 및 제4 레일부(228)의 단부 사이에는 갭이 형성되는데, 이 갭을 통해 후술될 이물질 유입 방지 유닛(300)의 모 부재가 돌출된다.
한편, 제1 및 제3 레일부(222,226)의 높이는 후술될 루버 및 플레이트부(210) 사이의 갭에 의하여 제한되는데, 제1 및 제3 레일부(222,226)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 후술될 루버가 회동되면서 제1 및 제3 레일부(222,226)에 걸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제1 및 제3 레일부(222,226)의 높이가 낮아야 할 경우, 제1 및 제3 레일부(222,226)의 사이에 대응하는 플레이트부(210)를 하부로 함몰시키거나 플레이트부(210)의 살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이물질 유입 방지 유닛(300)이 수납되기에 충분한 수납 공간을 확보한다.
또한, 제2 및 제4 레일부(224,228)는 후술될 이물질 유입 방지 유닛(300)의 스트립 부재가 장착 레일부(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내지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이물질 유입 방지 유닛(300)은 루버(400) 및 마감 플레이트(200) 사이에 형성되는 갭(G)을 통해 먼지, 이물질, 오염된 공기, 벌레 등이 입출입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한다.
이물질 유입 방지 유닛(300)은 스트립 부재(310) 및 모(毛) 부재(320)를 포함한다.
스트립 부재(310)는 긴 띠 형상으로 장착 레일부(220)에 삽입되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스트립 부재(310)의 폭은 장착 레일부(220)의 제1 및 제3 레일부(222,226)들 사이의 폭보다는 좁게 형성되고, 제2 및 제4 레일부(224,228)들 사이의 간격보다는 넓게 형성됨으로써 스트립 부재(310)는 장착 레일부(22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모 부재(320)는 스트립 부재(310)의 상면에 조밀하게 다수개가 식모되어 형성되며, 모 부재(310)는 외력에 의하여 쉽게 구부러지는 가늘고 긴 합성수지 필라멘트 섬유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모 부재(320)는 루버(400)와 접촉되어 루버(400)의 회동에 의하여 쉽게 구부러져야 하기 때문이다.
모 부재(320)의 길이는 이물질 유입 방지에서 매우 중요한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플레이트부(210)의 외측면을 기준으로 측정하였을 때 모 부재(320)의 길이(L)는 플레이트부(210) 및 루버(400) 사이의 간격(G) 보다 길게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루버(400)가 폐쇄 상태일 때 모 부재(320)의 측면은 루버(400)의 측면과 접촉된다. 루버(400)가 폐쇄 상태일 때 모 부재(320)의 측면이 루버(400)의 측면과 접촉될 경우 모 부재(320)가 루버(400) 및 플레이트부(210) 사이의 갭을 막아 먼지, 이물질, 광, 오염된 공기, 벌레 등의 입출입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루버(400)는 복수개의 마감 플레이트(200)들 중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마감 플레이트(200)에 회동되게 복수개가 나란하게 결합되며, 회동되면서 개페된다. 루버(400)들은 루버(400)들 사이에 갭이 형성되지 않도록 후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루버 및 루버가 장착되는 마감 플레이트의 사이에 필연적으로 형성될 수밖에 없는 갭을 통해 먼지, 이물질, 오염된 공기, 광, 벌레 등이 입출입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창안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프레임 몸체 200...마감 플레이트
300...이물질 유입 방지 유닛 400...루버

Claims (6)

  1. 내부에 개구가 형성된 제1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마주하게 배치된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결합된 제3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몸체;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3 프레임부와 마주하게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들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결합 공간을 제공하는 장착 레일부를 포함하는 마감 플레이트; 및
    긴 띠 형상으로 상기 장착 레일부의 상기 결합 공간에 삽입되는 스트립 부재 및 상기 스트립 부재에 다수개가 식모되며 상기 장착 레일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모(毛) 부재를 포함하는 이물질 유입 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루버 창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레일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세워진 형태로 상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펜스 형상의 제1 레일부 및 상기 제1 레일부의 상단로부터 상기 외측면과 나란하게 절곡된 제2 레일부를 포함하는 제1 장착 레일부 및
    상기 플레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세워진 형태로 상기 제1 레일부와 마주하게 배치된 제3 레일부 및 상기 제3 레일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2 레일부와 마주하게 절곡된 제4 레일부를 포함하는 제2 장착 레일부를 포함하는 루버 창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레일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중앙으로부터 일측 및 상기 중앙으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한 쌍이 형성된 루버 창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부들의 내측 테두리에는 안쪽으로 절곡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후면으로부터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플레이트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후크부가 돌출된 루버 창문.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마감 플레이트들 중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한 쌍의 마감 플레이트부에 회동되게 복수개가 나란하게 결합되며 회동되면서 개폐되는 복수개의 루버를 더 포함하는 루버 창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모 부재의 길이는 상기 루버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사이에 형성된 갭 보다 긴 길이로 형성 및 상기 모 부재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루버의 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모 부재에 의하여 상기 갭을 통해 이물질, 먼지, 광 또는 벌레의 입출입을 방지하는 루버 창문.
KR2020220000935U 2022-04-18 2022-04-18 루버 창문 KR202300020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935U KR20230002036U (ko) 2022-04-18 2022-04-18 루버 창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935U KR20230002036U (ko) 2022-04-18 2022-04-18 루버 창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036U true KR20230002036U (ko) 2023-10-25

Family

ID=88508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935U KR20230002036U (ko) 2022-04-18 2022-04-18 루버 창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2036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718B1 (ko) 2011-01-13 2011-08-11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발코니 난간
KR101387470B1 (ko) 2013-04-24 2014-04-21 김장회 갤러리창문 및 이를 구비한 창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718B1 (ko) 2011-01-13 2011-08-11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발코니 난간
KR101387470B1 (ko) 2013-04-24 2014-04-21 김장회 갤러리창문 및 이를 구비한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3239C2 (ru) Рама для окон и дверей с присоединяемыми и отсоединяемыми рельсами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20210068977A (ko) 방충망 일체형 유리난간이 포함된 창호
KR101948011B1 (ko) 미세먼지 필터와 방충망이 구비된 가변형 창틀
KR20230002036U (ko) 루버 창문
KR101484009B1 (ko) 보조풍지부재를 구비한 풍지판
KR102638195B1 (ko) 난간대 일체형 방충창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100507748B1 (ko) 소음 흡수를 위한 트랩형 방음판
GB2276235A (en) Ventilators
KR101678346B1 (ko)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 구조
KR200272005Y1 (ko) 창호 조립체
KR102642719B1 (ko) 롤타입 나노방진망이 구비된 미서기 방충망
KR20180077815A (ko)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DE10240290A1 (de) Fensterfalzlüfter
JP7085939B2 (ja) 隠し框外動片引き窓の排水構造
US4545148A (en) Weathershield and safety screen for opening windows in buildings
TWI777643B (zh) 紗窗鎖扣結構
JP6905733B2 (ja) 網戸用ルーバー
KR102430591B1 (ko) 빗물유입 방지 환기창
KR100571065B1 (ko) 공동주택용 빗물차단 방충망구조
TW201420870A (zh) 防颱式百葉
JP7483533B2 (ja) 下枠カバーおよび引違いサッシ
DE2542720A1 (de) Schallschutzeinrichtung fuer fenster, glastueren o.dgl.
JP4056483B2 (ja) サッシ窓
KR20200017289A (ko) 창호용 방진필터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