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871U - 에어 컨디셔닝 유닛 및 이러한 에어 컨디셔닝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 컨디셔닝 유닛 및 이러한 에어 컨디셔닝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871U
KR20230001871U KR2020237000037U KR20237000037U KR20230001871U KR 20230001871 U KR20230001871 U KR 20230001871U KR 2020237000037 U KR2020237000037 U KR 2020237000037U KR 20237000037 U KR20237000037 U KR 20237000037U KR 20230001871 U KR20230001871 U KR 202300018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air conditioning
centering
centering portion
conditio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7000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티앙 뒤부아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ublication of KR202300018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871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57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means connecting the initiating means, e.g. control lever, to the damper d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3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에어 컨디셔닝 유닛(1)은: - 실질적으로 원추형인 제 1 중심설정 부분(11)을 포함하는 제 1 피스(10), -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을 포함하는 제 2 피스(20) ― 상기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은 회전축(Z-Z)을 함께 정의하도록 제 1 피스(10)의 제 1 중심설정 부분(11)을 수용함 ―, - 상기 제 1 피스(10)와 제 2 피스(20) 사이에 위치되고, 개구부(31)를 포함하는 제 3 피스(30) ― 상기 제 1 중심설정 부분(11) 및/또는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은 상기 개구부(31)를 통해 연장되며, 상기 유닛(1)은 상기 제 3 피스(30)가 축(Z-Z)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중심설정 부분(11) 및 상기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은 제 2 중심설정 부분(21) 상의 제 1 중심설정 부분(11)의 일정한 지지에 의해 제 1 피스(10) 및 제 2 피스(20)를 상호 중심설정하는 수단을 함께 형성하도록 형상화된다.

Description

에어 컨디셔닝 유닛 및 이러한 에어 컨디셔닝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본 고안의 분야는 에어 컨디셔닝 장치이다.
이러한 유닛을 형성할 때, 피스들의 일부가 함께 고정되기 전에 다양한 피스의 올바른 위치설정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특히 클립 시스템을 사용하여 피스들의 중심설정 및 고정을 모두 가능하게 하는 중심설정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것들은 특히 플라스틱 피스의 경우 완전히 만족스럽지 않다. 실제로, 플라스틱 피스를 사용하려면 금속 피스보다 더 많은 작업과 더 큰 공차가 필요하며, 만족스러운 중심설정 및 고정이 가능하지 않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위에서 설명한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에어 컨디셔닝 유닛을 제안하며, 이 에어 컨디셔닝 유닛은:
- 실질적으로 원추형인 제 1 중심설정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피스,
- 제 2 중심설정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피스 ― 상기 제 2 중심설정 부분은 회전축(Z-Z)을 함께 정의하도록 제 1 피스의 제 1 중심설정 부분을 수용함 ―,
- 상기 제 1 피스와 제 2 피스 사이에 위치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 3 피스 ― 상기 제 1 중심설정 부분 및/또는 제 2 중심설정 부분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연장되며, 상기 유닛은 상기 제 3 피스가 축(Z-Z)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중심설정 부분 및 상기 제 2 중심설정 부분은 제 2 중심설정 부분 상의 제 1 중심설정 부분의 일정한 지지에 의해 제 1 피스 및 제 2 피스를 상호 중심설정하는 수단을 함께 형성하도록 형상화된다.
제 1 피스의 제 1 중심설정 부분의 실질적으로 원추형 형태 및 제 2 중심설정 부분에 대한 제 1 중심설정 부분의 일정한 지지를 갖는 중심설정 수단의 형상은 상기 제 1 중심설정 부분이 상기 제 2 중심설정 부분에 놓이게 될 때 제 1 및 제 2 피스들의 효과적인 상호 중심설정을 허용한다. 특히 제 1 및 제 2 피스의 이러한 상호 중심설정은 제 3 피스의 관절 축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허용한다.
본 고안은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으로 고려되는 다음 특징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유닛은 제 1 피스 및/또는 제 2 피스에 대해 제 3 피스의 Z-Z 주위를 회전하는 관절부를 포함한다.
- 제 1 피스 및/또는 제 2 피스는 축(Z-Z)에 수직인 제 3 피스의 유격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 제 1 피스 또는 제 2 피스는 제 3 피스의 Z-Z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관절부를 형성한다.
- 제 2 중심설정 부분은 변형 가능한 중심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원위 단부를 구비한다.
- 변형 가능한 중심설정 수단은 제 1 피스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의 영향 하에 변형 가능한 러그를 포함한다.
- 러그는 방사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 변형 가능한 러그는 제 2 중심설정 부분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감소된 두께를 갖는다.
- 러그는 절두원추대에 끼워맞춰진다.
- 제 1 중심설정 부분은 실질적으로 원추형 스터드의 형태를 갖는다.
- 스터드는 10° 이상의 원추 각도를 갖는다.
- 스터드는 클리어런스 각도보다 큰 원추 각도를 갖는다.
- 스터드는 실질적으로 중공이다.
- 스터드는 일정한 벽 두께를 갖는다.
- 러그의 자유 단부는 그 기부의 레벨에서 스터드와 접촉한다.
- 제 1 피스는 제 3 피스를 수용하기 위한 원통형 부분을 포함한다.
- 유닛은 제 2 피스에 대해 제 3 피스의 Z-Z 주위를 회전하는 관절부를 포함한다.
- 회전하는 관절부는 제 2 피스와 제 3 피스의 대응 형태를 포함한다.
- 제 3 피스는 제 2 중심설정 부분의 통과를 허용하는 원통형 구멍을 포함한다.
- 제 2 중심설정 부분은 실질적으로 원추형 형태를 갖는다.
- 제 2 중심설정 부분의 기부는 환형 추가 두께의 재료를 갖는다.
- 제 3 피스의 원통형 구멍은 환형 추가 두께의 재료를 갖는다.
- 축(Z-Z)을 따른 축방향 유격은 제 2 피스와 제 3 피스 사이에 존재한다.
- 유닛은 축(Z-Z)을 따른 제 3 피스의 축방향 변위를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를 포함한다.
- 상기 정지부 중 하나는 제 1 피스 상에 형성된 링을 포함한다.
- 링과 원추형 스터드는 동심원이다.
- 제 2 피스의 가요성 러그는 축(Z-Z)을 따른 제 3 피스의 축방향 변위를 제한하는 정지부와 제 1 피스의 제 1 중심설정 수단 사이에 위치된다.
- 제 2 피스의 가요성 러그는 링과 제 1 피스의 원추형 스터드 사이에 위치된다.
- 상기 정지부 중 다른 하나는 제 2 피스의 추가 두께의 재료를 포함한다.
- 컨디셔닝 유닛은 제 1 및 제 2 피스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중심설정 수단과 별개이다.
- 고정 수단은 나사를 포함한다.
- 제 1 피스는 적어도 3개의 나사 통과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 컨디셔닝 유닛은 회전 정지부를 포함한다.
- 회전 정지부는 중심설정 부분에서 가장 먼 상기 오리피스 중 하나에 가깝게 위치된다.
- 회전 정지부는 오리피스의 각 측면 상에 리브를 포함한다.
- 3개의 나사 통과 오리피스는 편평한 자유 단부(플레이트를 위한 편평한 지지 표면 제공함)를 구비한다.
- 컨디셔닝 유닛은 축(Z-Z) 주위의 환형 인덱싱의 수단을 포함한다.
- 고정 수단은 클립을 포함한다.
- 제 1 피스는 액추에이터 고정 플레이트이다.
- 제 2 피스는 에어 컨디셔닝 모듈(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난방, 환기 및 에어 컨디셔닝))의 하우징의 일부이다.
- 제 3 피스는 운동학적 피스이다.
- 운동학적 피스는 하나 이상의 캠을 포함한다.
- 캠 또는 캠들은 HVAC의 분배 및/또는 혼합 플랩의 움직임을 구동하기 위해 HVAC의 분배 및/또는 혼합 플랩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 운동학적 피스는 기어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 피스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 피스들은 PBT로 제조된다.
- 피스들은 POM으로 제조된다.
- 피스들은 PA로 제조된다.
- 플레이트는 HVAC의 분배 및/또는 혼합 플랩의 액추에이터를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또한, 상술한 에어 컨디셔닝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 제 2 피스 상에 제 3 피스를 위치설정하는 단계(E1),
- 제 2 피스 상에 제 1 피스의 자체 중심설정에 의해 위치설정하는 단계(E2) ― 이 단계의 완료 시, 상기 제 1 피스 및 상기 제 2 피스는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특히 회전됨 ―,
- 상기 제 1 피스 및 상기 제 2 피스를 고정하는 단계(E3) ― 상기 고정 단계(E3)는 자체 중심설정에 의한 위치설정 단계(E2)와 별개임 ― 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더 잘 이해될 것이며, 본 고안의 추가 세부 사항, 특징 및 이점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그리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제공되는 다음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닛의 분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닛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닛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닛의 제 1 피스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닛의 제 1 피스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닛의 제 2 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에어 컨디셔닝 유닛(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닛은 제 1 중심설정 부분(11)을 갖는 제 1 피스(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중심설정 부분(11)은 실질적으로 원추형 형태를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유닛(1)은 제 2 피스(20)를 포함한다. 제 2 피스(20)는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을 포함한다.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은 회전축(Z-Z)을 함께 정의하도록 제 1 피스의 제 1 중심설정 부분(11)을 수용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닛(1)은 또한 제 1 피스(10)와 제 2 피스(20) 사이에 위치된 제 3 피스(30)를 포함한다. 제 3 피스(30)는 개구부(31)를 포함하며, 제 1 중심설정 부분(11) 및/또는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이 개구부(31)를 통해 연장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피스(30)의 개구부(31)는 바람직하게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의 통과를 허용하는 원통형 구멍(32)을 포함한다.
유닛(1)은 제 3 피스가 축(Z-Z) 주위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중심설정 부분(11) 및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은 제 2 중심설정 부분 상의 제 1 중심설정 부분의 일정한 지지에 의해 제 1 피스(10) 및 제 2 피스(20)를 상호 중심설정하는 수단을 함께 형성하도록 형상화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유닛(1)은 제 1 및 제 2 피스의 효과적인 상호 중심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유닛(1)은 제 1 피스(10) 및/또는 제 2 피스(20)에 대해 제 3 피스(30)의 Z-Z 주위에서 회전하는 관절부를 포함한다. 회전하는 관절부는 특히 제 2 피스 및 제 3 피스의 대응하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 제 1 피스(10) 및/또는 제 2 피스(20)는 축(Z-Z)에 수직인 제 3 피스(30)의 방사상 유격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제 3 피스(30)는 축(Z-Z)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축(Z-Z)을 정의하는 중심설정 부분과 긴밀하게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유리하게, 제 1 피스(10) 또는 제 2 피스(20)는 제 3 피스(30)의 Z-Z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관절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은 변형 가능한 중심설정 수단(23)을 포함하는 원위 단부(22)를 갖는다. 따라서, 제 1의 실질적으로 원추형인 중심설정 부분(11)이 제 2 중심설정 부분(21)에 수용될 때, 변형 가능한 중심설정 수단(23)은 제 1 피스(10)와 제 2 피스(20) 사이에서 축(Z-Z)에 수직인 임의의 방사상 유격을 보상하기 위해 변형된다.
유리하게, 변형 가능한 중심설정 수단(23)은 제 1 피스(10), 특히 제 1 중심설정 부분(11)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의 영향 하에서 변형 가능한 러그(24)를 포함한다. 이들 변형 가능한 러그(24)는 특히 도 1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 러그(24)는 방사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제 1의 실질적으로 원추형인 중심설정 부분(11)이 제 2 중심설정 부분(21)에 수용될 때, 러그(24)는 외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변형되고, 제 1 중심설정 부분(11)에 대해 압력을 가하여, 제 1 피스(10)와 제 2 피스(20) 사이에서 축(Z-Z)에 수직인 임의의 방사상 유격을 제한하며, 그에 피스들의 중심설정을 개선한다. 바람직하게, 변형 가능한 러그(24)는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감소된 두께를 갖는다. 러그(24)의 감소된 두께는 러그를 보다 유연하게 만들고, 따라서 압력의 영향 하에서 그들 반경방향 변형을 촉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은 실질적으로 원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유리하게, 러그(24)는 절두원추대에 끼워맞춰진다. 따라서, 제 1 피스(10)를 향하는 러그(24)의 원위 단부에 대응하는,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의 원위 단부는 상기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감소된 원주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변형 가능한 러그(24)는 변형 가능한 중심설정 수단(23)의 형태를 유리하게 구성한다. 그러나, 변형 가능한 중심설정 수단(23)의 형태는 어떠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나 다양한 도면에 도시된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제 1 중심설정 부분(11)은 실질적으로 원추형 스터드(12)의 형태를 갖는다. 스터드(12)는 근위 기부, 및 기부보다 작은 원주의 원위 단부를 갖는다. 따라서, 스터드(12)가 제 2 중심설정 부분(21)에 수용될 때, 상기 스터드(12)는 축(Z-Z)을 따라 제 2 피스(20)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변형 가능한 중심설정 수단(23) 및 특히 변형 가능한 러그(24)에 대해 반경방향 압력을 가한다. 따라서, 러그(24)의 자유 단부는 그 기부의 레벨에서 스터드(12)와 접촉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스터드(12)는 클리어런스 각도보다 큰 원추 각도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 스터드는 10°보다 큰 원추 각도를 갖는다. 최소 원추 각도의 정의는 클리어런스 각도와 구별할 수 있게 한다. 사실, 이러한 클리어런스 각도는 제 2 중심설정 부분(21) 상에 제 1 중심설정 부분(11)의 일정한 지지를 생성하여 원하는 중심설정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12)는 유리하게 실질적으로 중공이다. 또한 유리하게, 스터드(12)는 일정한 벽 두께를 갖는다.
유리하게, 제 2 피스(20) 및 제 3 피스(30)는 상기 제 2 피스와 제 3 피스 사이에서 축(Z-Z)에 수직인 임의의 방사상 유격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임의의 유격의 이러한 제한은 특히 제 2 및 제 3 피스 중 하나 및/또는 다른 하나 상의 추가적인 재료 두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의 기부는 유리하게 환형 추가 두께의 재료(25)를 갖는다. 또한 유리하게, 제 3 피스(30)의 원통형 구멍(32)은 제 2 환형 추가 두께의 재료(33)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Z-Z)을 따른 축방향 유격은 제 1 피스(10)와 제 2 피스(20) 사이에 유리하게 존재한다. 가요성 러그(24)가 제 1 중심설정 수단(11)에 의해 방사상 압력을 받을 때, 이들은 피스가 축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제 1 피스(10)를 위로 가압한다. 그러나, 유리하게 반경 방향에서 제 1 피스(10)와 제 2 피스(20) 사이에 유격이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피스(30)는 축(Z-Z) 주위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다. 그러나, 축(Z-Z)을 따라 병진하는 제 3 피스(30)의 이동성은 제한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닛(1)은 축(Z-Z)을 따른 제 3 피스(30)의 축방향 변위를 제한하도록 유리하게 구성된다. 유리하게, 유닛(1)은 축(Z-Z)을 따른 제 3 피스(30)의 축방향 변위를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13)를 포함한다. 또한 유리하게,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의 원위 단부(22)는 축(Z-Z)을 따른 제 3 부분(30)의 축방향 변위를 제한하는 정지부(13)와 제 1 피스(10)의 제 1 중심설정 부분(11) 사이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지부(13) 중 하나는 제 1 피스(10)에 형성된 링(14)을 포함한다. 또한 유리하게, 링(14)과 원추형 스터드(12)는 동심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가요성 러그(24)는 링(14)과 스터드(12)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정지부(13) 중 다른 하나는 제 2 피스(20)의 제 3 추가 두께의 재료(26)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3 추가 두께의 재료(26)는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의 근위 단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제 3 피스(30)는 제 1 피스(10)의 링(14)과 제 2 피스(20)의 제 2 추가 두께의 재료(26)에 의해 샌드위치되어, 축(Z-Z)을 따라 제 3 피스(30)의 축방향 변위를 제한한다.
동심 스터드(12)와 관련된 링(14) 및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 2 추가 두께의 재료(26)는 본 고안에 따른 유닛(1)의 유리한 구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정지부(13)의 형태 및 특성, 및 제 1 중심설정 부분(11)의 구성은 어떠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 또는 다양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단 제 1 피스(10), 제 2 피스(20) 및 제 3 피스(30)가 그들 상대적인 위치에 있으면,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유닛(1)의 중심설정 수단 덕분에, 제 1 피스(10)는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제 2 피스(20)에 고정된다.
유리하게, 컨디셔닝 유닛(1)은 제 1 및 제 2 피스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중심설정 수단과 별개이다.
고정 수단의 개수 및 특성은 본 고안에 따른 유닛(1)의 구성의 함수로서 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수단은 클립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수단은 나사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유리하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피스(10)는 고정 수단, 특히 나사의 통과를 위한 적어도 3개의 오리피스(15)를 포함한다.
제 2 피스(20)는 또한 고정 수단, 특히 나사의 통과를 위한 오리피스(27)를 포함한다. 제 2 피스(20)의 오리피스(27)는 제 1 피스의 오리피스(15)를 향하도록 배열된다.
제 1 및 제 2 피스가 그들 상대적인 위치에 있을 때 그리고 고정 수단에 의해 함께 고정되기 전에, 축(Z-Z)에 수직인 임의의 유격은 회전 정지부(16)에 의해 제한된다. 유리하게,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정지부(16)는 중심설정 부분(11, 21)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열된 제 1 피스(10)의 상기 오리피스(15) 중 하나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정지부(16)는 유리하게 오리피스(15)의 각 측면에 리브(17)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피스(10)의 오리피스(15)와 제 2 피스(20)의 오리피스(27)는 편평한 자유 단부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의 단부들은 제 1 피스(10)와 제 2 피스(2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편평한 지지 표면을 한정한다.
유리하게, 컨디셔닝 유닛은 또한 축(Z-Z) 주위의 각도 인덱싱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단은 특히 제 2 피스(20)에 대한 제 1 피스(10)의 각도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한다.
유리하게, 에어 컨디셔닝 유닛(1)의 제 1 피스(10)는 액추에이터 고정 플레이트이다.
또한 유리하게, 제 2 피스(20)는 에어 컨디셔닝 모듈, 특히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난방, 환기 및 에어 컨디셔닝)의 하우징의 일부이다.
바람직하게, 제 3 피스(30)는 운동학적 피스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운동학적 피스는 하나 이상의 캠(34) 및/또는 기어 메커니즘(35)을 포함한다. 캠 또는 캠들(34)은 HVAC의 분배 및/또는 혼합 플랩의 움직임을 구동하기 위해 HVAC의 분배 및/또는 혼합 플랩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에 기어 메커니즘(35)은 HVAC의 분배 플랩 및/또는 혼합 플랩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중간 피스(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캠 또는 캠들(34)은 제 3 피스(30)의 주변 부분에 위치된다. 기어 메커니즘(35)은 그 외부 벽 상에서, 원통형 구멍(32)의 레벨에 위치된다. 특히, HVAC의 분배 및/또는 혼합 플랩의 변위를 유발하는 것은 축(Z-Z) 주위의 캠의 회전이다.
플레이트 자체는 HVAC의 분배 플랩 및/또는 혼합 플랩의 액추에이터를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분배 플랩의 액추에이터는 플레이트(10)에 의해 운반되고 그리고 상기 분배 플랩의 움직임은 제 3 피스(30)의 캠 또는 캠들(34)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액추에이터에 대한 운동학적 연결 체인이 존재한다. 따라서, 제 2 피스(20) 상에 제 1 피스(10)를 중심설정하는 목적은 캠 또는 캠들(34) 및 제 3 피스(30)의 기어 메커니즘(35)과의 양호한 운동학적 연결을 보장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닛(1)의 피스들은 유리하게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실제로, 본 고안에 따른 유닛(1)의 사용은 특히 중심설정 수단에 의해 플라스틱의 임의의 작업이 보상되는 한 플라스틱 피스들에 특히 유리하다.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M(폴리아세탈) 및/또는 PA(폴리아미드)와 같은 경질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다른 재료, 특히 실질적으로 경질인 다른 플라스틱이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닛(1)의 피스들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고안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에어 컨디셔닝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방법은 제 2 피스(20) 상에 제 3 피스(30)를 위치설정하는 단계(E1)를 포함한다. 이 단계(E1) 다음에는 제 1 피스(10)를 제 2 피스(20) 상에 자체 중심설정함으로써 위치설정하는 단계(E2)가 이어진다. 이 단계(E2)의 완료 시, 제 1 피스(10)와 제 2 피스(20)는 특히 축(Z-Z)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다른 것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단계(E2)에 이어 제 1 피스(10)와 제 2 피스(20)를 고정하는 단계(E3)가 이어진다. 이 고정 단계(E3)는 자체 중심설정에 의한 위치설정의 단계(E2)와 별개이다.

Claims (14)

  1. 에어 컨디셔닝 유닛(1)에 있어서,
    - 실질적으로 원추형인 제 1 중심설정 부분(11)을 포함하는 제 1 피스(10),
    -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을 포함하는 제 2 피스(20) ― 상기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은 회전축(Z-Z)을 함께 정의하도록 제 1 피스(10)의 제 1 중심설정 부분(11)을 수용함 ―,
    - 상기 제 1 피스(10)와 제 2 피스(20) 사이에 위치되고, 개구부(31)를 포함하는 제 3 피스(30) ― 상기 제 1 중심설정 부분(11) 및/또는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은 상기 개구부(31)를 통해 연장되며, 상기 유닛(1)은 상기 제 3 피스(30)가 축(Z-Z)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중심설정 부분(11) 및 상기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은 제 2 중심설정 부분(21) 상의 제 1 중심설정 부분(11)의 일정한 지지에 의해 제 1 피스(10) 및 제 2 피스(20)를 상호 중심설정하는 수단을 함께 형성하도록 형상화되는
    에어 컨디셔닝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스(10) 및/또는 상기 제 2 피스(20)에 대해 상기 제 3 피스(30)의 Z-Z 주위를 회전하는 관절부를 포함하는
    에어 컨디셔닝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스(10) 및/또는 상기 제 2 피스(20)는 축(Z-Z)에 수직인 제 3 피스(30)의 방사상 유격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에어 컨디셔닝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스(10) 또는 상기 제 2 피스(20)는 상기 제 3 피스(30)의 축(Z-Z)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관절부를 형성하는
    에어 컨디셔닝 유닛.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심설정 부분(21)은 변형 가능한 중심설정 수단(23)을 포함하는 원위 단부(22)를 갖는
    에어 컨디셔닝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가능한 중심설정 수단(23)은 제 1 피스(1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의 영향 하에서 변형 가능한 러그(24)를 포함하는
    에어 컨디셔닝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24)는 절두원추대에 끼워맞춤되는
    에어 컨디셔닝 유닛.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심설정 부분(11)은 실질적으로 원추형 스터드(12)의 형태를 갖는
    에어 컨디셔닝.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24)의 자유 단부는 그 기부의 레벨에서 스터드(12)와 접촉하는
    에어 컨디셔닝 유닛.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Z-Z)을 따른 상기 제 3 피스(30)의 축방향 변위를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13), 특히 상기 제 1 피스(10) 상에 형성된 링(14)을 포함하는
    에어 컨디셔닝 유닛.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스(10)는 액추에이터 고정 플레이트인
    에어 컨디셔닝 유닛.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피스(20)는 에어 컨디셔닝 모듈(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난방, 환기 및 에어 컨디셔닝))의 하우징의 일부인
    에어 컨디셔닝 유닛.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피스(30)는 HVAC의 분배 및/또는 혼합 플랩의 움직임을 구동하기 위해 HVAC의 분배 및/또는 혼합 플랩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캠(34)을 포함하는 운동학적 피스인
    에어 컨디셔닝 유닛.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 컨디셔닝 유닛(1)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 제 2 피스(20) 상에 제 3 피스(30)를 위치설정하는 단계(E1),
    - 제 2 피스(20) 상에 제 1 피스(10)의 자체 중심설정에 의해 위치설정하는 단계(E2) ― 이 단계의 완료 시, 상기 제 1 피스(10) 및 상기 제 2 피스(20)는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특히 회전됨 ―,
    - 상기 제 1 피스(10) 및 상기 제 2 피스(20)를 고정하는 단계(E3) ― 상기 고정 단계(E3)는 자체 중심설정에 의한 위치설정 단계(E2)와 별개임 ― 를 포함하는
    에어 컨디셔닝 유닛 제조 방법.
KR2020237000037U 2021-02-23 2022-02-21 에어 컨디셔닝 유닛 및 이러한 에어 컨디셔닝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KR20230001871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101740 2021-02-23
FRFR2101740 2021-02-23
PCT/EP2022/054293 WO2022179992A1 (fr) 2021-02-23 2022-02-21 Unite de conditionnement d'air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uni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871U true KR20230001871U (ko) 2023-09-26

Family

ID=7487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7000037U KR20230001871U (ko) 2021-02-23 2022-02-21 에어 컨디셔닝 유닛 및 이러한 에어 컨디셔닝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01871U (ko)
WO (1) WO202217999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1848B2 (ja) * 2003-03-31 2009-07-22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車両用空調装置のリンク駆動機構
JP4466511B2 (ja) * 2005-08-29 2010-05-2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動アクチュエータの取り付け構造
JP2007191033A (ja) * 2006-01-19 2007-08-02 Calsonic Kansei Corp アクチュエータの取付構造
DE102015212509A1 (de) * 2014-07-08 2016-01-14 Denso Thermal Systems S.P.A. Hebel mit axialer Anpassung für eine HVAC-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KR101977216B1 (ko) * 2017-07-06 2019-05-10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용 댐퍼 다이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79992A1 (fr)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5962B2 (ja) 公差補正付き締結装置
US9709152B2 (en) Joined multiple cam comprising individual prefabricated cams
US5611635A (en) Ball joint
US4050844A (en) Connection between vane arm and unison ring in variable area stator ring
JPS5842369B2 (ja) アンダカツトのない同期回転継手
EP1788263B1 (en) Ball joint
US7431002B2 (en) Camshaft with contrarotating cams for automotive engines in particular
GB2307026A (en) Connecting a rotary valve to an actuator
GB2343916A (en) Ball joint having rotational and axial movement
US10814747B2 (en) Spindle drive, method for producing a spindle drive, and comfort drive
KR20230001871U (ko) 에어 컨디셔닝 유닛 및 이러한 에어 컨디셔닝 유닛을 제조하는 방법
CN103080448B (zh) 用于机动车应用的执行单元
JP6208550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8176791A (ja) レジスタ
KR20010108247A (ko) 피팅 부재
CN105715697A (zh) 用于手动变速箱的同步组件的变送器和用于生产变送器的方法
WO2017221502A1 (ja) 気流制御弁構造
GB2184203A (en) Clutch assembly
CN108928364A (zh) 铁路车辆用轮轴箱
US11364774B2 (en) Wind direction adjustment device
US20050003896A1 (en) Arrangement of a running roller on a coupling journal of a moveable shaft coupling
US7140968B2 (en) Universal joint with a securing element
US20190128304A1 (en) Tolerance compensator clip to reduce assembly variation
JP2010190030A (ja) シリンダ錠
CN112041569A (zh) 无内螺纹且具有阻尼功能的连接元件的外套筒、包括外套筒的连接元件、以及相应的连接和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