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570A - 지지 플레이트,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지지 플레이트,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570A
KR20230001570A KR1020210083675A KR20210083675A KR20230001570A KR 20230001570 A KR20230001570 A KR 20230001570A KR 1020210083675 A KR1020210083675 A KR 1020210083675A KR 20210083675 A KR20210083675 A KR 20210083675A KR 20230001570 A KR20230001570 A KR 20230001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connecting portion
display device
bridg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진용
신재구
조성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570A/ko
Priority to CN202210686397.9A priority patent/CN115602052A/zh
Priority to CN202221517264.0U priority patent/CN217880694U/zh
Priority to US17/849,880 priority patent/US20220418118A1/en
Publication of KR20230001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5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01L51/523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축을 따라 폴딩 가능한 표시 패널 그리고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 플레이트는 제1 바디, 제1 바디로부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제2 바디, 제1 바디와 제2 바디 사이에 배치되고 폴딩축에 중첩하며 복수의 개구들을 정의하는 연결부, 그리고 연결부의 표면을 커버하는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지 플레이트,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SUPPORT PLAT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지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지지 플레이트,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등과 같은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전자 기기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가지면서도 상대적으로 큰 화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접거나 펼칠 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 또는 벤더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의 아래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을 지지하고, 표시 패널의 폴딩에 대응하여 적어도 일부가 신축 가능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전하 축적을 방지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표시 품질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지지 플레이트의 전하 축적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이 이와 같은 목적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축을 따라 폴딩 가능한 표시 패널 그리고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축에 중첩하며 복수의 개구들을 정의하는 연결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표면을 커버하는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돌기의 표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표면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표면의 프로파일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개구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개구들을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되는 디지타이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제1 바디 아래에 배치되는 제1 부분 그리고 상기 제2 바디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크로뮴 카바이드(CrC) 및 아크릴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 각각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제1 방향에 배치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개구들을 정의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표면을 커버하는 절연층,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신장 및 압축을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하는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가장자리의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가장자리의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브릿지 각각은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은 절연 물질로 브릿지에 연결되는 연결부의 표면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연결부의 양 측들에 각각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브릿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기 표면은 스프레이 방법 및 증착 방법 중 하나로 코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절연 물질로 상기 브릿지의 절단으로 노출되는 상기 연결부의 돌기의 표면을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상기 표면은 인쇄 방법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표면을 코팅하는 단계 이후 및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브릿지를 폴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의 연결부의 표면이 절연층에 의해 커버됨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에 전하가 축적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지지 플레이트가 표시 패널에 미치는 전자기적인 영향이 감소할 수 있고,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의 연결부의 표면을 절연 물질로 코팅함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의 전기 저항이 증가할 수 있고, 지지 플레이트에 전하가 축적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전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 선을 따라 자른 지지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II-II' 선을 따라 자른 지지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II-III' 선을 따라 자른 지지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IV-IV' 선을 따라 자른 지지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V-V' 선을 따라 자른 지지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 도 18,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지지 플레이트, 및 지지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1)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은 서로 수직하는 다른 방향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방향(X)은 길이 방향(length direction)일 수 있고, 제2 방향(Y)은 폭 방향(width direction)일 수 있으며, 제3 방향(Z)은 두께 방향(thickness direction)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1)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양 장변들 및 제1 방향(X)에 수직하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 단변들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표시 장치(1)는 다양한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면(DS)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면(DS)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면(DS)은 후술하는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면(DS)은 표시 장치(1)의 전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면(DS)은 표시 장치(1)의 전면 및 배면일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에는 블랙 매트릭스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폴더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폴딩(folding)'은 '벤딩(bending)'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1)는 일부가 다른 일부에 마주하거나 일부가 다른 일부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1)는 일부가 다른 일부에 대하여 약 0도 보다 크고 약 180도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도록 접히거나 일부가 다른 일부에 대하여 약 18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펼쳐질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안으로 접히거나(인-폴딩) 또는 바깥으로 접힐 수 있다(아웃-폴딩). 상기 인-폴딩은 표시 장치(1)의 표시면(DS)의 일부가 표시면(DS)의 다른 일부에 마주하도록 접히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아웃-폴딩은 표시 장치(1)의 표시면(DS)의 일부가 표시면(DS)의 다른 일부에 마주하지 않도록 접히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폴딩 은 표시면(DS)의 일부가 표시면(DS)의 다른 일부에 대하여 약 0도 보다 크고 약 180도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도록 접힌 상태일 수 있고, 상기 아웃-폴딩은 표시면(DS)의 일부가 표시면(DS)의 다른 일부에 대하여 약 180도 보다 크고 약 360도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도록 접힌 상태일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표시 장치(1)가 접히는 경우에 접히거나 구부러지는 영역일 수 있다. 비폴딩 영역(NFA1, NFA2)은 표시 장치(1)가 접히는 경우에 접히거나 구부러지지 않는 영역일 수 있다. 비폴딩 영역(NFA1, NFA2)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제1 비폴딩 영역(NFA1)으로부터 제1 방향(X)에 배치될 수 있고, 폴딩 영역(FA)은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접힌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접힌 상태는 구부러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힌 상태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이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접힌 상태일 수 있고, 상기 펼쳐진 상태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이 제2 비폴딩 영역(NFA2)과 하나의 평면 상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힌 상태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이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대하여 약 0도 보다 크고 약 180도보다 작은 각도 또는 약 180도 보다 크고 약 360도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도록 접힌 상태일 수 있고, 상기 펼쳐진 상태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이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대하여 약 18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펼쳐진 상태일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폴딩축(FX)은 폴딩 영역(FA)에 중첩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1)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모듈(10), 지지 플레이트(200), 디지타이저(300), 및 메탈 플레이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10)은 플렉서블할 수 있다. 표시 모듈(10)은 표시 패널(100), 편광층(500), 윈도우(600), 보호층(700), 및 보호 필름(8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무기 발광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마이크로 LED 표시 패널, 나노 LED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계 방출 표시 패널, 음극선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층(500)은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층(500)은 이를 통과하는 광을 편광할 수 있다. 편광층(500)은 표시 장치(1)의 외광 반사를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편광층(500)은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층(500)은 일 방향으로 연신될 수 있다. 편광층(500)의 연신 방향은 흡수축이 될 수 있고, 상기 연신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은 투과축이 될 수 있다.
윈도우(600)는 편광층(5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600)는 표시 패널(100)을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600)는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윈도우(600)는 유리, 플라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600)가 유리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유리는 초박막 유리(ultra thin glass, UTG)일 수 있다. 상기 유리가 초박막 유리인 경우에, 상기 유리는 플렉서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리의 두께는 약 10 ㎛ 내지 약 300 ㎛일 수 있다.
보호층(700)은 윈도우(6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700)은 윈도우(600)의 비산 방지, 윈도우(600)의 충격 흡수, 윈도우(600)의 찍힘 방지, 윈도우(600)의 지문 방지, 윈도우(600)의 눈부심 방지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호층(700)은 투명 고분자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명 고분자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이미드(PI),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C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필름(800)은 표시 패널(1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 필름(800)은 표시 패널(100)이 접히거나 구부러질 때, 표시 패널(10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800)은 수분 등이 표시 패널(100)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보호 필름(800)은 플라스틱 필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 필름(800)은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C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00)은 표시 모듈(1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00)는 플렉서블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00)는 제1 바디(210), 제2 바디(220), 및 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210)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바디(220)는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230)는 폴딩 영역(FA)에 배치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300)는 표시 모듈(1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300)는 입력 장치로써 사용자가 지시하는 표시 장치(1)의 표시면(도 1의 DS) 상의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는 디지타이저(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입력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300)는 표시 장치(1)의 표시면(DS)에서의 입력 장치(예를 들면, 스타일러스 펜)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300)는 지지 플레이트(2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300)가 지지 플레이트(200) 아래에 배치됨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200)는 표시 장치(1)의 표시면(DS)을 통해 디지타이저(300)가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지타이저(300)는 제1 부분(310) 및 제2 부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310)은 제1 바디(21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320)은 제2 바디(22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320)은 제1 부분(31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300)는 서로 이격되는 제1 부분(310)과 제2 부분(320)을 포함하는 분리형 디지타이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부분(310)과 제2 부분(320)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300)가 서로 이격되는 제1 부분(310)과 제2 부분(320)을 포함함에 따라, 디지타이저(300)가 표시 장치(1)의 폴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지지 플레이트(200)와 디지타이저(300) 사이에는 쿠션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쿠션층은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을 포함할 수 있다.
메탈 플레이트(400)는 디지타이저(3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메탈 플레이트(40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탈 플레이트(400)는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디지타이저(300)와 메탈 플레이트(400) 사이에는 차폐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폐층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폐층은 자성 금속 분말(magnetic metal powder, MMP)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0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0)은 기판(110), 회로층(120), 발광층(130), 봉지층(140), 및 입력 감지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폴리이미드(PI) 등과 같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0)은 구부러지거나 접힐 수 있다.
회로층(120)은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층(120)은 발광층(130)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120)은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130)은 회로층(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130)은 회로층(120)에서 전송되는 구동 신호에 대응하여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발광층(130)은 복수의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140)은 발광층(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140)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 봉지층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층(150)은 봉지층(1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감지층(150)은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면, 터치)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표시 모듈(10)에 부착된 후의 지지 플레이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2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 선을 따라 자른 지지 플레이트(2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II-II' 선을 따라 자른 지지 플레이트(2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는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하는 절연층(250)이 생략된다.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지지 플레이트(200)는 제1 바디(210), 제2 바디(220), 연결부(230), 돌기(240), 및 절연층(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210)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바디(210)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220)는 제1 바디(210)로부터 폴딩축(FX)과 수직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바디(220)는 제1 바디(210)로부터 제1 방향(X)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220)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바디(220)는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는 표시 장치(1)의 폴딩과는 무관하게 평평함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표시 장치(1)가 접히는 경우에,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는 신축하지 않고, 길이 또는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 각각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 각각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30)는 제1 바디(210)와 제2 바디(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230)는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230)는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와 약 0.2 mm의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 연결부(230)는 폴딩 영역(FA)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230)는 폴딩축(FX)에 중첩할 수 있다.
연결부(230)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230)의 가장자리(230e)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양 제1 측면들(230x) 및 제2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 제2 측면들(230y)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측면(230x)의 길이는 제2 측면(230y)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연결부(230)는 플렉서블할 수 있다. 연결부(230)는 지지 플레이트(200)의 폴딩 또는 언폴딩에 의해 신장되거나 압축될 수 있다. 연결부(230)는 지지 플레이트(200)의 폴딩에 의해 발생하는 인장 스트레스 또는 압축 스트레스를 감소할 수 있다.
연결부(230)는 복수의 제1 개구들(OP1)을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개구들(OP1) 각각은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개구들(OP1)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을 따라 행렬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연결부(230)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230)는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테인리스 강은 철(Fe), 크로뮴(Cr), 탄소(C), 니켈(Ni), 실리콘(Si), 망가니즈(Mn), 및 몰리브데넘(Mo) 중 적어도 하나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240)는 연결부(230)의 가장자리(230e)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돌기(240)는 연결부(230)의 가장자리(230e)로부터 폴딩축(FX)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돌기(240)는 연결부(230)의 가장자리(230e)로부터 제2 방향(Y)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돌기(240)는 연결부(230)의 제1 측면(230x)으로부터 제2 방향(Y)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돌기(240)는 제1 돌기(241) 및 제2 돌기(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241) 및 제2 돌기(242)는 연결부(230)의 제1 측면(230x)에 폴딩축(FX)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돌기(240)는 연결부(230)로부터 후술하는 브릿지(도 8의 260)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절단되는 브릿지(260)의 단부들이 연결부(230)의 가장자리(230e) 상에 잔존하여 제1 돌기(241) 및 제2 돌기(242)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240)는 연결부(2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돌기(240)는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250)은 연결부(230)의 표면을 커버할 수 있다. 연결부(230)의 상기 표면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절연층(250)이 금속을 포함하는 연결부(230)의 상기 표면을 커버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하가 연결부(230)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연층(250)은 연결부(230)의 상기 표면의 프로파일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연층(250)은 연결부(230)의 제1 개구들(OP1)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2 개구들(OP2)을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절연층(250)은 돌기(240)의 표면을 커버할 수 있다. 돌기(240)의 상기 표면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돌기(240)가 연결부(230)의 제1 측면(230x)으로부터 제2 방향(Y)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돌기(240)의 상기 표면이 절연층(25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경우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하가 돌기(240)를 통해 연결부(230)에 축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절연층(250)이 금속을 포함하는 돌기(240)의 상기 표면을 커버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하가 돌기(240)를 통해 연결부(230)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연층(250)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절연층(250)은 크로뮴 카바이드(chromium carbide, CrC) 및 아크릴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00)가 절연층(250)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지지 플레이트(200)의 전기 저항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00)가 절연층(250)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외부로부터 보호층(도 3의 700), 윈도우(도 3의 600), 및/또는 편광층(도 3의 500)을 통해 표시 장치(1) 내로 유입되는 전하가 지지 플레이트(200)에 축적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00)에 전하가 축적되는 경우에 지지 플레이트(200)와 표시 패널(도 3의 10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기장이 표시 패널(100)의 회로층(도 4의 120)에 영향을 미쳐서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200)가 연결부(230)의 표면 및 돌기(240)의 표면을 커버하는 절연층(250)을 포함함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200)의 전기 저항이 증가할 수 있고, 지지 플레이트(200)에 전하가 축적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표시 모듈(10)에 부착되기 전의 지지 플레이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20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II-III' 선을 따라 자른 지지 플레이트(20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는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하는 절연층(250)이 생략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지지 플레이트(201)는 제1 바디(210), 제2 바디(220), 연결부(230), 절연층(250), 및 브릿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지지 플레이트(201)는 브릿지(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지지 플레이트(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브릿지(260)는 연결부(230)의 가장자리(230e)에 연결될 수 있다. 브릿지(260)는 연결부(230)의 신장 및 압축을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릿지(260)는 연결부(230)의 변형을 감소하거나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201)는 한 쌍의 브릿지들(26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브릿지들(260)은 연결부(26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브릿지(260)는 연결부(230)의 제1 측면(230x)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브릿지들(260)은 각각 연결부(230)의 양 제1 측면들(230x)에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브릿지(260)의 일 단은 연결부(230)의 제1 측면(230x)의 일 측에 연결될 수 있고, 브릿지(260)의 타 단은 연결부(230)의 제1 측면(230x)의 타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브릿지(260)는 연결부(2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브릿지(260)는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260)는 지지 플레이트(201)가 표시 모듈(도 3의 10)에 부착되기 전에 절단될 수 있다. 절단되는 브릿지(260)의 상기 일 단과 상기 타 단이 연결부(230)의 제1 측면(230x) 상에 잔존하여 제1 돌기(도 5의 241) 및 제2 돌기(도 5의 24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예를 들면, 도 10 내지 도 12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지지 플레이트(200)의 제조 방법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절연 물질로 브릿지(260)에 연결되는 연결부(230)의 표면을 코팅할 수 있다. 브릿지(260)는 연결부(230)의 상기 표면을 코팅하는 과정에서 연결부(23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절연 물질로 연결부(230)의 상기 표면을 코팅함에 따라, 연결부(230)의 상기 표면 상에 절연층(250)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30)의 상기 표면은 스프레이 방법 및 증착 방법 중 하나로 코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크릴 도료를 스프레이 방법을 이용하여 연결부(230)의 상기 표면에 코팅할 수 있다. 상기 스프레이 방법으로 상기 아크릴 도료가 코팅된 연결부(230)의 전기 저항은, 예를 들면, 약 0.8 Ω 내지 약 30 kΩ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크로뮴 카바이드(CrC) 도료를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연결부(230)의 상기 표면에 코팅할 수 있다. 상기 증착 방법으로 상기 크로뮴 카바이드(CrC) 도료가 코팅된 연결부(230)의 전기 저항은, 예를 들면, 약 0.4 kΩ 내지 약 6 MΩ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연결부(230)의 양 측들에 각각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는 각각 제1 방향(X)으로 연결부(230)의 양 제2 측면들(230y)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230)를 지그 상에 안착한 후에 상기 지그 상에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를 연결부(230)의 양 측들에 각각 인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지그 상에 가이드 블록이 배치되어 연결부(230)와 제1 및 제2 바디들(210, 220) 사이의 소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연결부(230)로부터 브릿지(260)를 절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브릿지(260) 제거용 지그를 이용하여 브릿지(260)에 물리적인 힘을 가해 브릿지(260)를 절단할 수 있다.
브릿지(260)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브릿지(260)의 일부가 연결부(230)의 가장자리(230e) 상에 잔존하여 돌기(2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브릿지(260)의 절단면인 돌기(240)의 표면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돌기(240)의 상기 표면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 물질로 외부에 노출되는 돌기(240)의 상기 표면을 코팅할 수 있다. 돌기(240)의 상기 표면은 인쇄 방법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260) 제거용 지그가 상기 절연 물질을 함유하는 패드(PAD)를 포함할 수 있고, 패드(PAD)가 돌기(240)의 상기 표면에 접촉하여 돌기(240)의 상기 표면이 상기 절연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표시 모듈(10)에 부착된 후의 지지 플레이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202)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IV-IV' 선을 따라 자른 지지 플레이트(202)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에는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하는 절연층(250)이 생략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지지 플레이트(202)는 제1 바디(210), 제2 바디(220), 연결부(230), 돌기(240), 및 절연층(2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지지 플레이트(202)는 돌기(240)의 위치를 제외하고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지지 플레이트(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돌기(240)는 연결부(230)의 가장자리(230e)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돌기(240)는 연결부(230)의 가장자리(230e)로부터 폴딩축(FX)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돌기(240)는 연결부(230)의 가장자리(230e)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돌기(240)는 연결부(230)의 제2 측면(230y)으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돌기(240)는 제1 돌기(241) 및 제2 돌기(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241) 및 제2 돌기(242)는 연결부(230)의 제2 측면(230y)에 폴딩축(FX)과 수직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돌기(240)의 표면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절연층(250)은 돌기(240)의 상기 표면을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돌기(240)가 연결부(230)의 제2 측면(230y)으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돌기(240)의 상기 표면이 절연층(250)에 의해 커버되지 않더라도, 제1 바디(210), 제2 바디(220), 지지 플레이트(202) 상에 배치되는 층들, 및 지지 플레이트(202) 아래에 배치되는 층들이 돌기(240)의 상기 표면을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하가 돌기(240)를 통해 연결부(230)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표시 모듈(10)에 부착되기 전의 지지 플레이트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203)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V-V' 선을 따라 자른 지지 플레이트(203)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에는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하는 절연층(250)이 생략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지지 플레이트(203)는 제1 바디(210), 제2 바디(220), 연결부(230), 절연층(250), 및 브릿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지지 플레이트(203)는 브릿지(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지지 플레이트(20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브릿지(260)는 연결부(230)의 가장자리(230e)에 연결될 수 있다. 브릿지(260)는 연결부(230)의 신장 및 압축을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릿지(260)는 연결부(230)의 변형을 감소하거나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203)는 한 쌍의 브릿지들(26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브릿지들(260)은 연결부(26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브릿지(260)는 연결부(230)의 제2 측면(230y)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브릿지들(260)은 각각 연결부(230)의 양 제2 측면들(230y)에 제2 방향(Y)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브릿지(260)의 일 단은 연결부(230)의 제2 측면(230y)의 일 측에 연결될 수 있고, 브릿지(260)의 타 단은 연결부(230)의 제2 측면(230y)의 타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브릿지(260)는 연결부(2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브릿지(260)는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할 수 있다.
브릿지(260)는 브릿지(260)가 연결부(230)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이루도록 접히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브릿지(260)는 브릿지(260)가 연결부(230)에 대하여 약 0도 보다 크고 약 90도 보다 작거나 같은 각도를 이루도록 접힐 수 있다.
브릿지(260)는 지지 플레이트(203)가 표시 모듈(도 3의 10)에 부착되기 전에 절단될 수 있다. 절단되는 브릿지(260)의 상기 일 단과 상기 타 단이 연결부(230)의 제2 측면(230y) 상에 잔존하여 제1 돌기(도 13의 241) 및 제2 돌기(도 13의 24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7, 도 18,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예를 들면, 도 17 내지 도 20은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지지 플레이트(202)의 제조 방법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절연 물질로 브릿지(260)에 연결되는 연결부(230)의 표면을 코팅할 수 있다. 브릿지(260)는 연결부(230)의 상기 표면을 코팅하는 과정에서 연결부(23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절연 물질로 연결부(230)의 상기 표면을 코팅함에 따라, 연결부(230)의 상기 표면 상에 절연층(250)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30)의 상기 표면은 스프레이 방법 및 증착 방법 중 하나로 코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크릴 도료를 스프레이 방법을 이용하여 연결부(230)의 상기 표면에 코팅할 수 있다. 상기 스프레이 방법으로 상기 아크릴 도료가 코팅된 연결부(230)의 전기 저항은, 예를 들면, 약 0.8 Ω 내지 약 30 kΩ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크로뮴 카바이드(CrC) 도료를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연결부(230)의 상기 표면에 코팅할 수 있다. 상기 증착 방법으로 상기 크로뮴 카바이드(CrC) 도료가 코팅된 연결부(230)의 전기 저항은, 예를 들면, 약 0.4 kΩ 내지 약 6 MΩ일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브릿지(260)를 폴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브릿지(260)가 연결부(230)에 대하여 약 0도 보다 크고 약 90도 보다 작거나 같은 각도를 이루도록 브릿지(260)를 폴딩할 수 있다. 브릿지(260)를 폴딩함에 따라, 후속 공정에서 연결부(230)의 양 측들에 각각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연결부(230)의 양 측들에 각각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는 각각 제1 방향(X)으로 연결부(230)의 양 제2 측면들(230y)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230)를 지그 상에 안착한 후에 상기 지그 상에 제1 바디(210) 및 제2 바디(220)를 연결부(230)의 양 측들에 각각 인접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지그 상에 가이드 블록이 배치되어 연결부(230)와 제1 및 제2 바디들(210, 220) 사이의 소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연결부(230)로부터 브릿지(260)를 절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브릿지(260) 제거용 지그를 이용하여 브릿지(260)에 물리적인 힘을 가해 브릿지(260)를 절단할 수 있다.
브릿지(260)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브릿지(260)의 일부가 연결부(230)의 가장자리(230e) 상에 잔존하여 돌기(2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브릿지(260)의 절단면인 돌기(240)의 표면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돌기(240)의 상기 표면이 외부에 노출되더라도, 제1 바디(210), 제2 바디(220), 지지 플레이트(202) 상에 배치되는 층들, 및 지지 플레이트(202) 아래에 배치되는 층들이 돌기(240)의 상기 표면을 커버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하가 돌기(240)를 통해 연결부(230)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엠피(PMP), 피디에이(PDA), MP3 플레이어 등에 포함되는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 지지 플레이트, 및 지지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설시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지지 플레이트
210: 제1 바디
220: 제2 바디
230: 연결부
240: 돌기
250: 절연층
260: 브릿지
300: 디지타이저

Claims (21)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축을 따라 폴딩 가능한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아래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축에 중첩하며, 복수의 개구들을 정의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표면을 커버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돌기의 표면을 커버하는, 표시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표면은 외부에 노출되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표면의 프로파일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개구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개구들을 정의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 아래에 배치되는 디지타이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타이저는,
    상기 제1 바디 아래에 배치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바디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크로뮴 카바이드(CrC) 및 아크릴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제2 바디 각각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유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제1 방향에 배치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개구들을 정의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표면을 커버하는 절연층; 및
    상기 연결부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신장 및 압축을 소정 범위 내로 제한하는 브릿지를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가장자리의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에 연결되는, 지지 플레이트.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가장자리의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에 연결되는, 지지 플레이트.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브릿지 각각은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17. 절연 물질로 브릿지에 연결되는 연결부의 표면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연결부의 양 측들에 각각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브릿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기 표면은 스프레이 방법 및 증착 방법 중 하나로 코팅되는, 지지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물질로 상기 브릿지의 절단으로 노출되는 상기 연결부의 돌기의 표면을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상기 표면은 인쇄 방법으로 코팅되는, 지지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21.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기 표면을 코팅하는 단계 이후 및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브릿지를 폴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의 제조 방법.
KR1020210083675A 2021-06-28 2021-06-28 지지 플레이트,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01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675A KR20230001570A (ko) 2021-06-28 2021-06-28 지지 플레이트,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2210686397.9A CN115602052A (zh) 2021-06-28 2022-06-17 支承板、包括支承板的显示装置和制造支承板的方法
CN202221517264.0U CN217880694U (zh) 2021-06-28 2022-06-17 支承板和包括支承板的显示装置
US17/849,880 US20220418118A1 (en) 2021-06-28 2022-06-27 Support plate,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675A KR20230001570A (ko) 2021-06-28 2021-06-28 지지 플레이트,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570A true KR20230001570A (ko) 2023-01-05

Family

ID=8409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675A KR20230001570A (ko) 2021-06-28 2021-06-28 지지 플레이트,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418118A1 (ko)
KR (1) KR20230001570A (ko)
CN (2) CN217880694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418118A1 (en) 2022-12-29
CN115602052A (zh) 2023-01-13
CN217880694U (zh)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2577B2 (en) Display device having an optical sensor
US10146347B2 (en) Display device having an integrated display panel and touch panel
KR20210143419A (ko) 슬라이드 아웃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60066411A1 (en) Flexible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41745B2 (en) Display device
CN103970336A (zh) 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CN111722748B (zh) 触摸感测装置和包括触摸感测装置的显示装置
CN104063084A (zh) 触控显示装置
US20220174823A1 (en) Display device
JP2004252676A (ja) タッチパネル付電気光学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付電気光学パネル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20230180413A1 (en) Display module including cushion lay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KR20230001570A (ko) 지지 플레이트,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218525253U (zh) 显示装置
KR20160002448A (ko) 안테나 일체형 터치패널
KR20220109024A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19246306U (zh) 可折叠显示装置
CN220820973U (zh) 柔性显示装置
US20240187508A1 (en) Display devic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20230171902A1 (en) Display device
CN220570916U (zh) 显示设备
CN212302454U (zh) 触摸传感器、窗层叠体和图像显示装置
WO2022244355A1 (ja) タッチセンサ
KR20220160218A (ko) 방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6631287A (zh) 显示装置
CN118076149A (zh) 显示装置